KR100840038B1 - 전기 청소기 - Google Patents

전기 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0038B1
KR100840038B1 KR20077003224A KR20077003224A KR100840038B1 KR 100840038 B1 KR100840038 B1 KR 100840038B1 KR 20077003224 A KR20077003224 A KR 20077003224A KR 20077003224 A KR20077003224 A KR 20077003224A KR 100840038 B1 KR100840038 B1 KR 1008400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dust collecting
bag
opening
breathable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770032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24741A (ko
Inventor
리쓰오 다케모토
준지 나이토
아쓰시 모리시타
이쿠오 오시마
다카유키 이치노
요시히로 쓰치야
요시유키 히라하라
요시타카 스기야마
미쓰루 와타나베
Original Assignee
도시바 테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시바 테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시바 테크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247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47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00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00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02Dust separators
    • A47L9/104Means for intercepting small objec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4Bags or the like; Rigid filtering receptacles; Attachment of, or closures for, bags or recepta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ter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집진성능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는 동시에, 유지보수성을 향상할 수 있는 전기 청소기를 제공한다.
주머니체(122)의 가장 안쪽에 위치하는 통기성 소재(131)의 통기성을, 다른 통기성 소재(132,133)의 통기성보다 크게 함으로써, 집진주머니(19)의 주머니체 (122)의 통기성을 확보하면서, 통기성 소재(131)의 두께를 다른 통기성 소재 (132,133)의 두꺼운 부분보다 두껍게 함으로써, 빨아 들인 진애의 포집 용량을 통기성 소재(131)의 두께 방향으로 삼차원적으로 증가시켜, 통기성 소재(131)가 쉽게 막히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집진주머니(19)의 집진 용량을 확보할 수 있어, 집진주머니(19)의 막힘에 의한 집진 성능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는 동시에, 집진주머니(19)를 빈번히 교환하지 않아도 되어, 유지보수성을 향상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기 청소기{ELECTRIC CLEANER}
본 발명은, 전동 송풍기의 흡입측에 연통하는 제1 집진부와, 이 제1 집진부의 하류측과 전동 송풍기의 흡입측의 각각에 연통하는 제2 집진부를 구비한 전기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러한 종류의 전기 청소기는, 전동 송풍기를 수용한 청소기 본체를 구비하고 있다.
이 청소기 본체에는, 호스체, 연장관(延長管) 및 바닥 브러시가 전동 송풍기의 흡입측에 차례로 연통 접속되고, 이들 호스체, 연장관 및 바닥 브러시에 의해 전동 송풍기의 흡입측에 연통하는 풍로(風路)가 형성된다. 이 풍로에는, 전동 송풍기의 구동에 의해 공기와 함께 빨려 들어온 진애(塵埃) 속의 굵은 먼지를 포집하는 제1 집진부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청소기 본체에는, 풍로의 하류측과 전동 송풍기의 흡입측에 각각 연통하는 제2 집진부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제2 집진부에는, 집진주머니가 착탈 가능하게 부착된다.
이 집진주머니는, 제1 집진부를 통과한 진애를 공기와 함께 도입하는 개구부를 가진 입구틀과, 이 입구틀이 일체적으로 설치되고, 개구부로부터 도입된 진애를 포집하는 주머니체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 주머니체는, 예를 들면 부직포 등 의 통기성 소재를 복수층, 예를 들면 2층으로 겹쳐 맞추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안쪽의 통기성 소재는, 단위면적당의 중량을 줄여 통기성을 크게 하기 위해서 두께가 얇고, 바깥쪽의 통기성 소재는, 강도를 높게 확보하면서 안쪽의 통기성 소재를 통과한 진애를 포집하기 위해서 단위면적당 중량을 많게 하여, 안쪽의 통기성 소재보다 통기성을 작게 하기 위해서 두꺼워지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1 : 일본 특개2003-93290호 공보(제4∼5페이지)
상술의 전기 청소기에서는, 제1 집진부에 의해 굵은 먼지가 포집되는 것으로, 제2 집진부에 부착된 집진주머니에 도입되는 진애는, 예를 들면 꽃가루, 가루가 된 진드기의 사체(死體) 혹은 화산성 흙 등의 미세 먼지의 비율이 많아진다.
이 때문에, 집진주머니의 안쪽에 위치한 통기성 소재의 두께가 얇으면, 섬유의 간격이 좁아져, 미세 먼지가 집진주머니에 들어갔을 때에, 소량으로도 안쪽의 통기성 소재가 막혀, 집진주머니에 진애가 그다지 들어가 있지 않은데도 흡진(吸塵)할 수 없게 되어 버리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한편, 안쪽의 통기성 소재의 통기성을 더욱 크게 하여, 바깥쪽의 통기성 소재의 통기성이 안쪽의 통기성 소재의 통기성보다 작으면, 바깥쪽의 통기성 소재가 미세 먼지로 막혀, 안쪽의 통기성 소재를 마련하는 의미가 적어진다.
그리고, 이렇게 집진주머니가 쉽게 막혀 버리는 것에 의해, 2단의 집진부를 가진 전기 청소기의 집진 성능이 바로 저하하거나, 또는, 집진주머니를 빈번히 교환해야만 하여, 유지보수성이 저하한다고 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집진 성능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는 동시에, 유지보수성을 향상할 수 있는 전기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은, 전동 송풍기의 흡입측에 연통하는 제1 집진부의 하류측과 전동 송풍기의 흡입측의 각각에 연통하는 제2 집진부에 설치된 집진주머니가, 전동 송풍기에 의해 빨려 들어온 진애를 도입하는 개구부와, 복수층의 통기성 소재에 의해 주머니 모양으로 형성되며, 개구부로부터 도입된 진애를 포집하는 주머니체를 구비하고, 통기성 소재는, 주머니체의 가장 안쪽에 위치하는 것이, 다른 것보다 두께가 두껍고, 또한, 통기성이 큰 것이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집진주머니의 주머니체를 구성하는 복수의 통기성 소재로 가장 안쪽에 위치한 것의 통기성을, 다른 통기성 소재보다 크게 함으로써, 집진주머니의 통기성을 확보하면서, 가장 안쪽에 위치한 통기성 소재의 두께를 다른 통기성 소재보다 두껍게 함으로써, 빨려 들어온 진애의 포집 용량을 가장 안쪽의 통기성 소재의 두께 방향으로 증가시키고, 가장 안쪽에 위치한 통기성 소재의 막힘을 억제하여, 집진주머니의 집진 용량을 확보할 수 있고, 집진주머니의 막힘에 의한 집진 성능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는 동시에, 집진주머니를 빈번히 교환하지 않아도 되어, 유지보수성을 향상할 수 있다.
[도 1] 본 발명의 일실시의 형태의 전기 청소기의 집진주머니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며, (a)는 상기 집진주머니의 종단면도, (b)는 상기 집진주머니의 일부를 확대한 종단면도이다.
[도 2] 상기 전기 청소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 상기 집진주머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고, (a)는, 상기 집진주머니를 나타내는 설명 평면도, (b)는 상기 집진주머니의 조립 순서의 일부를 나타내는 설명 사시도, (c)는, 상기 집진주머니의 조립 순서의 다른 일부를 나타내는 설명 사시도, (d)는, 상기 집진주머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 상기 집진주머니의 통기성 소재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a)는, 상기 집진주머니의 가장 안쪽에 위치한 통기성 소재를 나타내는 사시도, (b)는, 상기 집진주머니의 가장 바깥쪽에 위치한 통기성 소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 상기 전기 청소기의 제1 집진부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6] 상기 제1 집진부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7] 상기 제1 집진부를 나타내는 단면 사시도이다.
[부호의 설명]
1 : 청소기 본체
6 : 전동 송풍기
15 : 제1 집진부
18 : 제2 집진부로서의 본체 집진실
19 : 집진주머니
122 : 주머니체
125 : 개구부로서의 흡입 개구
131, 132, 133 : 통기성 소재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의 구성을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에 있어서, 1은 청소기 본체이고, 이 청소기 본체(1)는 바닥면을 주행 가능한, 소위 캐니스터형의 전기 청소기이다. 또한, 이 청소기 본체(1)는, 하부 케이스(2)와, 이 하부 케이스(2)의 위쪽의 뒷부분을 덮음과 동시에 앞부분을 틀 형상으로 둘러싸는 상부 케이스(3)와, 이 상부 케이스(3)에 뒷부분이 연결하여 회동에 의해 하부 케이스(2)의 앞쪽의 상부를 개방가능하도록 덮어 부착된 덮개체(4)를 구비한 본체 케이스(5)를 가지며, 이 본체 케이스(5)내에는, 전동 송풍기(6)가 수용되어 있다.
본체 케이스(5)내의 앞쪽 하부에는, 전방을 향해서 본체 흡입구(9)가 개구되어 있다. 또한, 이 본체 흡입구(9)에는, 가요성을 가지며 신축 가능한 호스체(11)의 배기측, 즉 기단(基端)측이 착탈 가능하게 연통 접속된다. 이 호스체(11)의 흡기측인 선단측에는, 조작부로서의 손잡이 조작부인 통 모양의 손잡이관부(12)가 설치되어 있다. 이 손잡이관부(12)의 내부에는, 진애분리부(13)가 설치되고, 이 손잡이관부(12)의 하부에는, 진애분리부(13)의 하류측에 연통하는 대략 통모양의 집 진실(14)이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이들 진애분리부(13)와 집진실(14)에 의해, 제1 집진부(15)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손잡이관부(12)의 흡기측인 선단측에는, 신축이 가능한 접속관으로서의 직선 모양의 연장관(16)을 개재하여 흡입구체로서의 노즐체인 바닥 브러시(17)가 착탈 가능하게 연통되어 접속된다.
전동 송풍기(6)는, 본체 케이스(5)의 전후방향의 중심영역보다 약간 뒤쪽에 편위(偏位)하여 수용되어 있다. 또한, 이 전동 송풍기(6)의 앞쪽인 흡입측은, 본체 흡입구(9)를 통하여 호스체(11), 손잡이관부(12) 및 바닥 브러시(17)의 각각의 배기측인 기단측에 연통하고 있다. 그리고, 본체 흡입구(9)와 전동 송풍기(6)의 흡입측의 사이에는, 덮개체(4)에 의해 개폐 가능한 제2 집진부로서의 본체 집진실 (18)이 설치되고, 이 본체 집진실(18)은, 집진주머니(19)를 착탈 가능하게 구비하고 있다.
또한, 손잡이관부(12)는, 도 5 내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략 원통형의 앞쪽부분(21)을 선단측에 구비하고, 이 앞쪽부분(21)의 축방향에 대해서 둔각형상으로 축방향을 가지는 대략 원통형의 뒤쪽부분(22)을 기단측에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이 뒤쪽부분(22)의 앞쪽부분(21)과 반대측의 단부, 즉 뒤쪽부분(22)의 기단측에는, 호스체(11)의 선단측에 접속되는 접속부가 되는 원통형의 미끄럼동작부 (23)가 뒤쪽부분(22)에 대해서 둘레방향으로 미끄럼동작 가능하도록 접속되어 있다. 이들 앞쪽부분(21), 뒤쪽부분(22) 및 미끄럼동작부(23)에 의해, 손잡이관부 (12)는, 측면에서 보아 대략 일본어의 ヘ자 형상으로, 즉 둔각형상으로 굴곡되어 있다.
앞쪽부분(21)은, 연장관(16)의 기단측이 삽입되어 착탈 가능하게 연통 접속되는 흡입구(26)를 선단측에 구비하고, 이 흡입구(26)에는, 직선 모양으로 설치된 유입 풍로(27)가 연통하고 있다.
또한, 앞쪽부분(21)내에는, 유입 풍로(27)의 기단측에 위치한 관부(33)와, 이 관부(33)에 연통 접속된 연통관(34)이 설치되고 있다.
관부(33)는, 유입 풍로(27)의 배기측인 기단측에 연통하고, 선단측인 유입 풍로(27)측으로부터 기단측인 연통관(34)측을 향하여 지름축소된 대략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관부(33)의 둘레벽에는, 이 둘레벽을 관부(33)의 지름 방향으로 관통하는 개구(35)가 복수, 예를 들면 4개 형성되어 있다. 이들 개구(35)는, 관부(33)의 둘레방향으로 대략 등각도(等角度)로 서로 떨어져 있다. 그리고, 이들 개구(35)에는, 필터로서의 네트 형상의 제1 필터(36)가 부착되어 있다.
또한, 앞쪽부분(21)내의 관부(33)의 주위는, 뒤쪽부분(22)의 선단측에 연통하는 풍로로서의 연통 풍로(37)가 되어 있다. 이 연통 풍로(37)는, 개구(35) 및 제1 필터(36)를 통하여 관부(33)의 내부와 연통하고 있다. 즉, 연통 풍로(37)는, 관부(33)와 동축상으로 손잡이관부(12)내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앞쪽부분(21)은, 관부(33)와 연통 풍로(37)에 의해, 일부가 이중관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관부(33)의 기단측에는, 연통구(38)가, 이 관부(33)를 관통해서 형성되어 연통관(34)의 선단측과 연통하고 있다.
연통관(34)은, 측면에서 보아 아래쪽을 향해서 약 90°굴곡한 L자 모양의 파이프이고, 연통구(38)와 반대측의 단부가, 앞쪽부분(21)과 뒤쪽부분(22)의 인접부 에 뚫려 형성된 원형 모양의 하부 연통구(39)에 연통 접속되고 있다. 따라서, 연통관(34)은, 손잡이관부(12)의 외부와 연통하고 있다. 또한, 하부 연통구(39)의 안둘레 가장자리에는, 가요성을 가진 시일부로서의 패킹(41)이 전둘레에 걸쳐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유입 풍로(27), 관부(33), 연통관(34), 개구(35) 및 제1 필터(36) 등에 의해 진애분리부(13)가 구성되어 있다. 이 진애분리부(13)에서는, 전동 송풍기(6)의 구동에 의해 공기와 함께 빨려 들어온 진애중에서, 비중, 혹은 크기가 비교적 큰 굵은 먼지와, 비중, 혹은 크기가 비교적 작은 가는 먼지로 분리된다. 바꾸어 말하면, 이 진애분리부(13)는, 바닥 브러시(17)로부터 공기와 함께 빨아 들인 진애를, 관성을 이용하여 비중, 혹은 크기에 따라 직진 방향으로 분리, 즉 직진 분리(直進分離)한다.
또한, 앞쪽부분(21)은, 작업자가 파지함으로써 손잡이관부(12)에 의해 바닥 브러시(17)를 조작가능하게 하는 파지부(43)를 뒤쪽부분(22)쪽의 바깥둘레면에 구비하고 있다. 이 파지부(43)는, 앞쪽부분(21)의 기단측에 설치되어 있으며, 이 앞쪽부분(21)의 기단측으로 돌출하고, 미끄럼동작부(23)의 기단측의 위쪽에 걸쳐 아래쪽으로 만곡되어 있다. 그리고, 이 파지부(43)에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동 송풍기(6)의 구동 상태 등을 설정하는 설정 버튼(44)이 복수 설치되어 있다.
또한, 뒤쪽부분(22) 내에는, 도 5 내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직선 원통형, 즉 파이프 형상의 통로부(45)가 수용되어 있다. 이 통로부(45)는, 선단측인 앞쪽부분(21)쪽의 단부가, 이 앞쪽부분(21)과 동축상으로 개구하고, 또한 기단측인 미끄럼동작부(23)쪽의 단부가 뒤쪽부분(22)과 동축상으로 개구함과 동시에 미끄럼동작부(23)내까지 연장하여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뒤쪽부분(22)의 바깥둘레면의 아래쪽에는, 대략 사각형상의 통기 개구로서의 개구부(84)가 뚫려 형성되어 있다. 이 개구부(84)는, 통로부(45)의 바깥둘레면의 아래쪽까지 관통하여 형성되고, 집진실(14)을 손잡이관부(12)의 하부에 부착한 상태로 집진실(14)의 기단측에 대해 기밀하게 되도록 연통 접속된다. 이 개구부(84)의 가장자리부의 선단쪽의 옆쪽에는, 복수의 돌기형상의 고정부(85)가 돌출하여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개구부(84)의 안둘레 가장자리부에는, 가요성을 가진 시일부로서의 개구 패킹(86)이 개구부(84)의 전둘레에 걸쳐 부착되어 있다.
한편, 집진실(14)은, 손잡이관부(12)의 뒤쪽부분(22)의 축방향에 대략 평행한 직선 모양의 축방향을 가진 대략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손잡이관부(12)의 하부에 있어서의 앞쪽부분(21)과 뒤쪽부분(22)과의 인접부 근방, 즉 손잡이관부(12)의 협각부(狹角部)쪽의 공간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또한, 집진실(14)은, 대략 원통형상의 집진실 본체(91)를 구비하고, 이 집진실 본체(91)의 일단측의 개구에는, 덮개로서의 집진실 바닥 덮개인 집진 덮개부(92)가 개폐 가능하도록 부착되어 있다.
집진실 본체(91)의 위쪽에는, 사각형상의 집진실 연통 구멍(98)이 뚫려 형성되어 있다. 이 집진실 연통 구멍(98)은, 집진실(14)을 손잡이관부(12)의 하부에 부착한 상태에서, 개구 패킹(86)에 의해 개구부(84)에 기밀하게 되도록 연통한다. 따라서, 집진실(14)은, 이 집진실 연통 구멍(98) 및 개구부(84)를 통하여, 통로부 (45)에 연통하고 있다. 그리고, 집진실 연통 구멍(98)에는, 이 집진실 연통 구멍 (98)의 전체면을 폐색하여 제2 필터(101)가 부착되어 있다.
또한, 집진실 본체(91)의 위쪽에는, 집진실 연통 구멍(98)과는 다른 원형 모양의 집진실 통기구멍(103)이 뚫려 형성되어 있다. 이 집진실 통기구멍(103)은, 집진실(14)을 손잡이관부(12)의 하부에 부착했을 때에, 패킹(41)에 의해 하부 연통구(39)에 대해서 기밀하게 되도록 연통한다. 바꾸어 말하면, 진애분리부(13)와 집진실(14)은, 하부 연통구(39) 및 집진실 통기구멍(103)에 의해 서로 연통하고 있다.
그리고, 집진실 본체(91)의 축방향의 중심영역에는, 손잡이관부(12)의 고정부(85)에 대해서 걸리고 빠지는 돌기부(112)를 구비한 사각형상의 한 쌍의 탈착 버튼(111)이 설치되어 있다. 이 탈착 버튼(111)은, 집진실(14)의 집진실 본체(91)의 축방향을 따라서 소정 거리만큼 미끄럼동작, 즉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부착되어 있다. 이 탈착 버튼(111)은, 슬라이드에 의해 고정부(85)에 대해서 돌기부(112)의 걸어맞춤이 빠지는 것에 의해 손잡이관부(12)로부터 집진실(14)을 떼어낼수 있도록 한다.
집진덮개부(92)는, 원형 캡형상으로 형성되어 집진실 본체(91)에 대해서 닫았을 때에, 집진실 본체(91)의 기단측의 개구를 폐쇄한다. 또한, 이 집진덮개부 (92)에는, 집진덮개부(92)를 집진실 본체(91)에 대해서 고정 및 개방하는 개폐 클램프(116)가 끼워맞춤하여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집진부(15)는, 전동 송풍기(6)의 구동에 의해 빨려 들어온 진애를 진애분리부(13)에서 직진 분리하고, 이 분리된 진애속의 굵은 먼지를 집진실 (14)에 집진하고, 가는 먼지를 제1 필터(36)로 포집하며, 이들 집진된 진애보다 작은 미세 먼지를 본체 집진실(18)로 통과시킨다.
계속해서, 본체 집진실(18)은, 제1 집진부(15)로 포집할 수 없었던 진애, 즉 제1 집진부(15)에서 포집한 진애보다 작은 미세 먼지를 포집하는 집진주머니(19)를 구비하고 있다.
집진주머니(19)는, 예를 들면 일회용인 것으로, 도 1(a) 및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被)부착부로서의 입구틀(121)과, 이 입구틀(121)이 일체적으로 부착되는 주머니체(122)를 구비하고 있다.
입구틀(121)은, 집진주머니(19)를 본체 집진실(18)에 부착할 때에, 이 본체 집진실(18)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는 피부착부에 끼워붙임되어 고정되는 것으로, 예를 들면 보드지 등의 판지에 의해 정방(正方)형상으로 형성되고, 중앙부에 개구부로서의 둥근 구멍형상의 흡입 개구(125)가 뚫려 형성되고, 예를 들면 고리 형상으로 형성된 접착제(G1)에 의해 주머니체(122)의 측부에 접착되고 있다. 그리고, 흡입 개구(125)는, 집진주머니(19)를 본체집진실(18)에 부착했을 때에 본체 흡입구 (9)에 기밀하게 연결되는 것에 의해, 전동 송풍기(6)의 구동에 의해 공기와 함께 빨려 들어온 진애를 집진주머니(19)내에 도입하는 것이다.
주머니체(122)는, 도 3(a) 내지 도 3(d)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층, 예를 들면 3종류의 통기성 소재(131,132,133)을 겹쳐 형성된 평면에서 보아 사각형상의 시트(134)를 주머니 모양으로 하여 형성된다. 한편, 주머니체(122)는, 각 통기성 소재(131,132,133)로 각각 형성된 주머니 모양의 시트 3층을 겹쳐서 형성해도 좋다.
여기서, 시트(134)는, 입구틀(121)의 흡입 개구(125)에 연통하는 둥근 구멍형상의 흡입구(135)가 뚫려 형성되어, 도 3(a)에 나타내는 상하 방향을 따라서 복수, 예를 들면 10개의 접기선(F1∼F10)이 서로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집진주머니(19)를 형성할 때에는, 접기선(F1,F3,F5) 및 접기선 (F6,F8,F1O)이 꼭대기부에 위치하는 산모양이 되도록 접고, 접기선(F2,F4) 및 접기선(F7,F9)이 각각 바닥부에 위치하는 골짜기모양이 되도록 접어 구부리고, 또한, 이 시트(134)의 도 3(a)에 나타내는 좌우 양측부를 겹쳐 맞추어 접착제(G2)로 접착하여, 도 3(b)에 나타내는 편평한 통 모양의 제1 중간체(136)을 형성함과 동시에, 이 제1 중간체(136)의 양단부를 두 번 접어 접착제(G3)로 접착함으로써, 도 3(c)에 나타내는 제2 중간체(137)를 형성하고, 이 제2 중간체(137)의 흡입구(135)에 대응하는 위치에, 도 3(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입구틀(121)을 접착제(G1)로 접착한다.
또한, 통기성 소재(131,132,133)는, 예를 들면 펄프와 합성 섬유로 형성된 부직포이다.
그리고, 통기성 소재(131)는, 주머니체(122)의 가장 안쪽에 위치하는 것으로,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섬유(F11)가 삼차원 그물코형상으로 서로 겹쳐져 구성되고, 두께가 예를 들면 1.0mm, 단위면적당의 중량이 예를 들면 70g/cm2, 통기 성이 예를 들면 270cm3/cm2·s, 압축했을 때의 압축율이 예를 들면 20%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통기성 소재(132)는, 주머니체(122)의 두께 방향의 중간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두께가 예를 들면 0.5mm, 단위면적당 중량이 예를 들면 50g/cm2, 통기성이 예를 들면 240cm3/cm2·s, 압축했을 때의 압축율이 예를 들면 60%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통기성 소재(133)는, 주머니체(122)의 가장 바깥쪽에 위치하는 것으로,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섬유(F12)가 삼차원 그물코 형상으로 서로 겹쳐 구성되고, 두께가 예를 들면 0.3mm, 단위면적당 중량이 예를 들면 60g/cm2, 통기성이 예를 들면 55cm3/cm2·s, 압축했을 때의 압축율이 예를 들면 100%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통기성 소재(131)는, 통기성 소재(132,133)와 비교하여, 두께가 2배 이상 두껍고, 또한, 통기성, 단위면적당 중량 및 압축했을 때의 압축율이 각각 높다.
이 때문에, 집진주머니(19)의 주머니체(122)는, 바깥쪽으로부터 안쪽으로 통기성이 차례로 좋아진다.
또한, 집진주머니(19)에는, 도시하지 않지만, 통기성 소재(131,132,133) 등에, 예를 들면 활성탄 등의 소취제(탈취제)가 포함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 일실시형태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본체 케이스(5)의 덮개체(4)를 열어, 본체 집진실(18)의 피부착부에 집진주머니(19)의 입구틀(121)을 끼워 장착하여 흡입 개구(125)를 본체 흡입구(9)에 연통시킴과 함께, 주머니체(122)를 본체 집진실(18)내에 수용하고, 덮개체(4)를 닫는다.
그 다음에, 본체 흡입구(9)에 호스체(11)의 기단을 연통 접속시킴과 동시에, 선단에 바닥 브러시(17)가 연통 접속된 연장관(16)의 기단을, 호스체(11)의 손잡이관부(12)의 선단부에 연통 접속시켜, 집진실(14)을 손잡이관부(12)의 아래쪽에 부착한다.
이후, 손잡이관부(12)의 파지부(43)을 파지하면서, 이 파지부(43)의 소정의 설정 버튼(44)을 온(on)하여 본체 케이스(5)내의 전동 송풍기(6)를 구동시킨다.
그리고, 작업자는 파지부(43)을 파지하여, 바닥 브러시(17)를 전후방향을 향하여 조작하여 청소한다.
이때, 전동 송풍기(6)의 구동에 의해, 바닥면상의 진애가 마루 브러시(17)로부터 공기와 함께 빨려 들어간다.
이 바닥 브러시(17)로부터 빨려 들어온 공기는 흡입풍이 되어, 진애와 함께 연장관(16) 및 유입 풍로(27)을 직선 형상으로 통과하여, 손잡이관부(12)의 앞쪽부분(21)의 관부(33)내에 유입한다.
관부(33)내에 유입한 흡입풍은, 제1 필터(36)를 통과하여 개구(35)로부터 연통 풍로(37)로 유입한다. 이 때, 흡입풍에 포함되는 가는 띠끌은, 흡입풍과 함께 관부(33)의 주위로 확산하여, 제1 필터(36)에 의해 집진된다. 이후, 이 흡입풍은, 제1 필터(36)로 분리할 수 없었던 미세 먼지를 포함한 상태로 손잡이관부(12)의 뒤쪽부분(22)내의 통로부(45) 내를 통과하여, 호스체(11)내로 유입하여 본체 흡입구 (9)로부터 본체 케이스(5)내에 유입한다.
한편, 흡입풍에 포함되는 굵은 먼지는, 흡입풍에 의해 직진 방향의 관성력이 주어져 관부(33)내를 직선 형상으로 이동하여 연통구(38)로부터 연통관(34), 하부 연통구(39) 및 집진실 통기구멍(103)을 거쳐 집진실(14)내에 도입되고, 이 집진실 (14)에 수용된다.
이 결과, 바닥 브러시(17)로부터 공기와 함께 빨아 들여진 진애가, 비중, 혹은 크기에 따라서, 진애분리부(13)에서 미세 먼지와 굵은 먼지로 직진 분리된다.
또한, 통로부(45)내를 통과하는 흡입풍에 의해, 통로부(45)가 집진실(14)내보다 부압(負壓)이 되어, 집진실 연통구멍(98) 및 개구부(84)로부터 집진실(14)내의 공기가 제2 필터(101)를 거쳐 통로부(45)내로 끌어 들여지고, 호스체(11) 및 본체 흡입구(9)를 차례로 통과하여 본체 케이스(5)내에 유입한다.
그리고, 본체 케이스(5)내에 유입한 흡입풍은, 본체 집진실(18)의 집진주머니(19)내로, 입구틀(121)의 흡입 개구(125)로부터 주머니체(122)내에 도입되어, 통기성 소재(131), 통기성 소재(132), 및, 통기성 소재(133)를 차례로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통과해, 잔류한 미세 먼지가 포집된다.
또한, 미세 먼지가 포집된 흡입풍은, 전동 송풍기(6)를 통과하여 배기풍이 되어, 도시하지 않은 배기구멍으로부터 본체 케이스(5)의 외부로 배기된다.
그리고, 진애가 집진실(14)내에 소정량 모였을 때에는, 탈착 버튼(111)을 조 작하여 집진실(14)를 손잡이관부(12)로부터 떼어내고, 집진 덮개부(92)를 열어 집진실(14)내의 진애를 도시하지 않은 쓰레기통 등에 폐기하고, 집진덮개부(92)를 닫아 집진실(14)를 손잡이관부(12)에 다시 부착하여 사용한다.
또한, 집진주머니(19)에 진애가 가득 찼을 때는, 덮개체(4)를 열어 집진주머니(19)를 본체 집진실(18)로부터 떼어내 미세 먼지과 함께 폐기한 후, 새로운 집진주머니(19)를 본체 집진실(18)에 장착하고 덮개체(4)를 닫아, 전기 청소기를 재차 구동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일실시형태에 의하면, 주머니체(122)의 가장 안쪽에 위치하는 통기성 소재(131)의 통기성을, 다른 통기성 소재(132,133)의 통기성보다 크게 함으로써, 집진주머니(19)의 주머니체(122)의 통기성을 확보하면서, 통기성 소재(131)의 두께를 다른 통기성 소재(132,133)의 두께보다 두껍게 함으로써, 섬유의 간격을 넓혀, 빨려 들어온 진애의 포집 용량을 통기성 소재(131)의 두께 방향으로 삼차원적으로 증가시켜, 통기성 소재(131)가 쉽게 막히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집진주머니(19)의 집진 용량을 확보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형태의 전기 청소기에서는, 흡입풍에 포함되는 굵은 먼지를 제1 집진부(15)로 포집함으로써, 본체 집진실(18)에는 극히 미세한 미세 먼지, 예를 들면 꽃가루, 가루가 된 진드기의 사체 혹은 화산성 흙 등의 미세한 흙 등만이 흡입풍과 함께 유입된다. 이 때문에, 본체 집진실(18)쪽에 종래의 집진주머니를 부착했을 경우에는, 이 집진주머니가 쉽게 막혀 버려, 이 집진주머니에 진애가 그다지 들어가 있지 않은데도 흡진할 수 없게 되므로, 본 실시형태의 집진주머니(19)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통기성을 확보할 수 있는 동시에 본체 집진실(18)쪽에서도 충분한 양의 진애를 포집하는 것이 가능해져, 전기 청소기의 집진 성능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고, 전기 청소기의 신뢰성 및 사용의 편리함이 향상하는 동시에, 집진주머니(19)가 가득 찰 때까지 집진주머니(19)를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집진주머니(19)를 빈번히 교환하지 않아도 되어, 유지보수성이 양호하게 된다.
또한, 전동 송풍기(6)의 구동에 의해 빨려 들어온 진애를, 비중, 혹은 크기 등에 따라 제1 집진부(15)의 진애분리부(13)에서 직진 분리함으로써, 예를 들면 진애를 사이클론 분리하는 경우 등과 비교해서, 공간을 절약할 수 있다.
게다가, 집진실(14)을, 대략 일본어의 ヘ자 모양으로 굴곡된 손잡이관부(12)의 하부의 데드 스페이스에 부착하므로, 보다 공간을 절약할 수 있다.
그리고, 통기성 소재(131)의 두께를, 통기성 소재(132,133)의 2배 이상으로 함으로써, 이 통기성 소재(131)에서 미세 먼지를 보다 확실하게 포집할 수 있다.
또한, 통기성 소재(131)는, 두께를 두껍게 함으로써, 통기성이 큰 통기성 소재를 복수 겹치는 경우와 같이, 통기성 소재 사이에 낭비되는 공간이 생기는 경우가 없다.
또한, 통기성 소재(131)의 단위면적당 중량을, 통기성 소재(132,133)의 단위면적당 중량 이상으로 함으로써, 통기성 소재(131)의 포집 용량을, 보다 향상할 수 있다.
그리고, 통기성 소재(131)의 압축했을 때의 압축율을, 통기성 소재(132,133)을 압축했을 때의 압축율보다 높게 함으로써, 통기성 소재(131)의 두께 방향의 포 집 용량을, 보다 향상할 수 있다.
게다가, 주머니체(122)의 가장 바깥쪽에 위치하는 통기성 소재(133)는, 적절한 단위면적당 중량 및, 두께 치수를 얻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집진주머니(19)의 형상을 유지하는 충분한 강도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흡입풍에 포함되는 굵은 먼지를 제1 집진부(15)로 포집하고, 이 제1 집진부(15)로 포집할 수 없는 미세 먼지를 본체 집진실(18)로 포집함으로써, 흡입풍에 포함되는 진애를 확실하게 포집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일실시형태에 있어서, 통기성 소재(131)는, 두께, 단위면적당 중량 및 통기성 등을 가장 바깥쪽에 위치하는 통기성 소재(133)보다 크게 하고, 이들 통기성 소재(131,133) 사이에 위치한 통기성 소재(132)와의 대소 관계를 고려하지 않는 구성도 가능하다.
또한, 각 통기성 소재(131,132,133)의 두께, 단위면적당 중량, 통기성 및 압축했을 때의 압축율 등은, 그 대소 관계를 유지하는 범위에서, 임의로 수치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주머니체(122)는, 통기성 소재(132)를 마련하지 않는 구성, 혹은 통기성 소재(131)와 통기성 소재(133)의 사이에, 복수의 통기성 소재를 설치하는 구성 등도 가능하다.
그리고, 집진실(14)은, 전동 송풍기(6)의 흡입측으로 연통하고, 본체 집진실 (18)의 상류측에 위치하고 있으면, 예를 들면 연장관(16) 등, 다른 여러가지 위치에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진애분리부(13)는, 관성에 의해 진애를 분리하는 것이면, 직진 분리하는 것 대신에, 예를 들면 사이클론 분리하는 것 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제1 집진부와, 이 제1 집진부의 하류측과 전동 송풍기의 흡입측의 각각에 연통하는 제2 집진부를 구비한 전기 청소기 등에 이용된다

Claims (2)

  1. 전동 송풍기를 수용한 청소기 본체와,
    상기 전동 송풍기의 흡입측에 연통하는 제1 집진부와,
    이 제1 집진부의 하류측과 상기 전동 송풍기의 흡입측의 각각에 연통하는 제2 집진부와,
    이 제2 집진부에 설치된 집진주머니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집진부는,
    둘레벽에 개구를 갖는 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전동송풍기의 구동에 의해 흡입된 진애(塵埃)에 직진 방향의 관성을 부여하여 이 진애 중의 일부를 직진방향으로 분리함과 함께 상기 진애 중의 다른 부분을 상기 개구측으로 분리하는 진애분리부와,
    상기 개구에 설치되어, 상기 진애분리부에 의해 상기 개구측으로 분리된 진애의 일부를 포집하는 필터와,
    상류측이 상기 진애분리부의 하류측에 연이어 통함과 함께 하류측이 상기 제2 집진부의 상류측에 연이어 통하고, 상기 진애분리부에 의해 직진방향으로 분리된 진애를 수용하는 집진실을 구비하고,
    상기 집진주머니는,
    상기 제1 집진부를 통과한 진애를 도입하는 흡입개구와,
    복수층의 통기성 소재에 의해 주머니 모양으로 형성되며, 상기 흡입개구로부터 도입된 진애를 포집하는 주머니체를 구비하고,
    상기 통기성 소재는, 상기 주머니체의 가장 안쪽에 위치하는 것이, 다른 것보다 두께가 두껍고, 또한, 통기성이 큰 것을 특징으로 한 전기 청소기.
  2. 삭제
KR20077003224A 2004-08-30 2005-08-25 전기 청소기 KR1008400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250493A JP2006061582A (ja) 2004-08-30 2004-08-30 電気掃除機
JPJP-P-2004-00250493 2004-08-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4741A KR20070024741A (ko) 2007-03-02
KR100840038B1 true KR100840038B1 (ko) 2008-06-19

Family

ID=359999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77003224A KR100840038B1 (ko) 2004-08-30 2005-08-25 전기 청소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06061582A (ko)
KR (1) KR100840038B1 (ko)
CN (1) CN100577080C (ko)
WO (1) WO200602524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74620B2 (ja) * 2006-09-07 2012-07-11 三菱電機株式会社 電気掃除機用集塵袋及び電気掃除機
KR101148862B1 (ko) * 2010-02-08 2012-05-2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멀티 헤드 진공 청소기 및 그 제어방법
DK2366319T3 (en) * 2010-03-19 2015-05-26 Eurofilters Holding Nv Vacuum cleaner filter bag
CN104116462B (zh) * 2013-04-26 2017-06-30 天佑电器(苏州)有限公司 过滤袋及具有该过滤袋的吸尘器
ES2946604T3 (es) * 2019-06-17 2023-07-21 Eurofilters Holding Nv Bolsa de filtro de aspiradora para una aspiradora de man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10026A (ja) * 1986-03-12 1987-09-16 Toray Ind Inc 掃除機フイルタ
JPH1085159A (ja) * 1996-09-04 1998-04-07 Electrolux:Ab 真空掃除機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24370A (en) * 1978-03-22 1979-09-27 Toray Ind Inc High-strength unwoven filter cloth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JP3968613B2 (ja) * 1998-07-31 2007-08-29 金井 宏彰 エアフィルタ用ろ材及びエアフィルタ
JP3839420B2 (ja) * 2003-06-12 2006-11-01 東芝テック株式会社 電気掃除機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10026A (ja) * 1986-03-12 1987-09-16 Toray Ind Inc 掃除機フイルタ
JPH1085159A (ja) * 1996-09-04 1998-04-07 Electrolux:Ab 真空掃除機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일본공개특허공보 소62-210026호(1987.09.16, 공개)
일본공개특허공보 평10-85159호(1998.04.07, 공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010021A (zh) 2007-08-01
CN100577080C (zh) 2010-01-06
WO2006025249A1 (ja) 2006-03-09
KR20070024741A (ko) 2007-03-02
JP2006061582A (ja) 2006-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22574B2 (ja) 真空掃除機用集塵容器
JP5786908B2 (ja) 分離装置および分離装置を有する掃除機
KR100840038B1 (ko) 전기 청소기
JP3983047B2 (ja) 電気掃除機
US8182564B2 (en) Multi-layer particle collector assembly
JP4294060B2 (ja) 電気掃除機
JP5049602B2 (ja) 電気掃除機
JP6050946B2 (ja) 電気掃除機
US3816983A (en) Electric vacuum cleaner
US11234566B2 (en) Cleaner
JP4485537B2 (ja) 電気掃除機
JP6430112B2 (ja) 電気掃除機
JP4476747B2 (ja) 電気掃除機用集塵袋
JP3922131B2 (ja) 電気掃除機
JP2008173265A (ja) 集塵袋および電気掃除機
JP4161844B2 (ja) 電気掃除機
JP3762360B2 (ja) 電気掃除機
JP6818808B2 (ja) 電気掃除機およびその集塵装置
JP7393804B2 (ja) 電気掃除機
JP2003230514A (ja) 電気掃除機
JP3841214B2 (ja) 電気掃除機
JP3751229B2 (ja) 電気掃除機用集塵フィルタ及びこれを有する電気掃除機
JP2005296532A (ja) 電気掃除機
JP2004135994A (ja) 電気掃除機
JP2023055484A (ja) 電気掃除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