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9217B1 - 중금속을 해독하는 기능성 차음료와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중금속을 해독하는 기능성 차음료와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9217B1
KR100839217B1 KR1020060129966A KR20060129966A KR100839217B1 KR 100839217 B1 KR100839217 B1 KR 100839217B1 KR 1020060129966 A KR1020060129966 A KR 1020060129966A KR 20060129966 A KR20060129966 A KR 20060129966A KR 100839217 B1 KR100839217 B1 KR 1008392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a
group
cadmium
drink
experime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99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경
최종오
Original Assignee
김태경
최종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경, 최종오 filed Critical 김태경
Priority to KR10200601299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92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92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921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16Tea extraction; Tea extracts; Treating tea extract; Making instant te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16Tea extraction; Tea extracts; Treating tea extract; Making instant tea
    • A23F3/163Liquid or semi-liquid tea extract preparations, e.g. gels, liquid extracts in solid capsu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16Tea extraction; Tea extracts; Treating tea extract; Making instant tea
    • A23F3/18Extraction of water soluble tea constitu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Tea And Coffee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능성 차음료와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차 추출물과 과일즙을 혼합한 차음료로써 중금속을 해독하는 기능성 차음료에 관한 것으로 말차, 우룡차, 홍차, 보이차의 각 추출물과 과일즙을 혼합한 차음료는 중금속의 대표적인 카드뮴의 함량을 감소시키며 관능평가에서 매우 뛰어난 효과가 있다.
차음료, 홍차, 보이차, 우룡차, 말차, 과즙, 중금속, 카드뮴

Description

중금속을 해독하는 기능성 차음료와 그의 제조방법{Functional tea drink against heavy meta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각 차 추출물과 과일즙을 혼합한 기능성 차음료와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능성 음료란 우리 몸의 기능을 돕는 음료이다. 차 성분 중 여러 가지 약리작용을 하는 물질인 카테킨이 함유되어 있다. 우리가 마시는 녹차에는 카테킨이 10 내지 15%나 들어있고 그 종류가 에피카테킨(EC), 에피카테킨 갈레이드(ECq), 에피갈로카테킨(EGC), 애피갈로카테킨갈레이드(EGCq) 등이 있다. 녹차 한 잔 중에는 카테킨이 100 내지 150mg이나 함유되어 있으며 녹차 특유의 여러 가지 약리적 기능과 맛을 갖는 것은 대부분의 카테킨의 특성 때문으로 알려져 있다.
차에 함유되어 있는 대표적인 생리활성 물질인 카테킨류는 차잎에 함유되어 있는 폴리페놀화합물의 75% 이상을 차지하며, 주요 카테킨류로는 EC[(-)-epicatechin], ECg[(-)-epicatechin gallate], EGC[(-)-epigllaocatechin], EGCg[(-)-epigallocatechin gallate], GC(gallocatechin)가 있다. 주요 생리활성 작용으로는 항산화작용, 항암작용, 해독작용, 혈당저하작용, 항균작용, 충치예방효 과 및 노화억제작용 등이 보고되고 있다.
특히 차잎 중에는 지질의 과산화를 막는 비타민 C와 E, 그리고 강력한 항산화제인 카테킨 성분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다. 이 카테킨은 식품에 사용되는 대표적인 항산화제인 비타민 C의 10배에 해당 되는 강력한 산화력이 있는데 또한 주석산과 같은 유기산, 비타민 C, 등과 혼합했을 때 더욱 강력한 항산화 작용을 낸다. 이와같이 성인병을 비롯한 각종 질병이나 노화, 발암 등항산화 및 항노화 효과와 중금속해독 등의 해독효과가 있는 것을 알면서도 차를 우려서 마셔야 한다는 번거로운 고정관념 때문에 다반사(茶飯事)로 마시지 못해 늘 아쉬워 고정 관념을 깨고 쉽게 차 음료로 쉽게 섭취할 수 있는 기능성 차음료로 어디서나 즐길 수 있도록 개발하였다.
불발효차인 녹차의 카테킨은 자연적인 항산화제로서 항염, 항알레르기 및 항암 등 다양한 생리활성작용을 지닌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혈압강하 및 혈중 지질 개선 효과 등 심순환기 질환의 예방과 혈당강하작용이 보고되고 있다. 또한 발효차인 홍차는 발효과정 중에 생성된 카테킨의 산화 중합체인 테아플라빈은 상쾌한 떫은맛을 나타내며 항혈전, 항돌연변이의 생리활성 효과와 더불어 치석 형성의 억제효과도 알려져 있다.
한편, 후발효차인 보이차는 홍차, 녹차와는 달리 중국 운남의 대엽종 차나무의 찻잎으로 만든 것으로 제조 과정 중 독특하게 미생물을 번식시키며, 이 미생물이 분비하는 효소에 의하여 발효되는 차다. 본초강목에는 보이차의 약리적 특성을 숙취해소와 소화를 돕고 가래를 삭히고 위를 깨끗하게 하며 갈증해소와 지방 감소 에 좋은 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카드뮴은 인체에 흡수되면 미량으로써도 생채 내의 대사 장애를 일으키고, 주로 신장 및 간에 축적되어 조직의 변성 및 섬유화를 일으키며, 빈혈, 고혈압, 가성골절(이따이이따이병), 불임, 발암 등의 원인이 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에 체내에 축적된 카드뮴을 해독하는 차의 음용효과 연구가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 차음료에 관한 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등록 10-59125호에 우룡차의 제조방법, 10-386640호에 연잎차음료 제조방법 및 10-124081호에 기호성이 우수한 냉녹차음료의 제조방법 등이 공지된 바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중금속을 해독하는 기능성 차음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말차, 우룡차, 홍차 및 보이차음료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말차, 우룡차, 홍차, 보이차 추출물과 과일즙을 혼합 제조한 차음료를 동물실험을 통해 카드뮴 해독 능력을 측정하고 상기 차음료의 관능평가를 조사함으로써 달성하였다.
본 발명은 차음료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차음료의 중금속 해독 능력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차음료의 과능검사를 평가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차음료의 중금속 해독능력 측정은 (주)오리엔트로부터 구입한 120g±15g 내외의 5주령 숫컷 흰쥐에 각 실험군마다 6마리씩 총 36마리를 사용하였다.
본 발명에서 각 실험의 결과는 실험동물 6마리의 평균치와 표준편차로 나타내었으며, 유의성 검증은 SPSS(Static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s, Version 13.0 SPPS Inc, Chicago, IL, USA) 소프트웨어 패키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던칸스 멀티플 레인지 테스트를 행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방법을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하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들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당업자가 본 발명의 시험조건을 적절히 변경하는 것에 의하여 달성되는 것들 모두를 포함한다.
실시예 1: 차음료의 제조
말차 음료(powdered green tea beverage, Gt)는 생수 1 L에 말차 2 g을 넣어 가루가 엉키지 않게 용해시킨 다음 레몬즙 66.06 mL, 오렌지즙 396.33 mL, 슈가시럽 66.06 mL, 생수 330.12 mL를 혼합하고 비타민 C를 100 mg되게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우룡차 음료(oolong tea beverage, Ot), 홍차 음료(black tea beverage, Bt), 보이차 음료(pure tea beverage, Pt)는 추출원액을 제조하여 음료를 제조하 였다. 추출원액의 제조는 우룡차의 경우는 우룡차 125 g에 100℃로 끓인 생수 1.5 L에 넣어 30분간 열수추출하였으며, 홍차는 홍차 125 g에 100℃로 끓인 생수 1 L를 넣어 1시간 동안 방치한 후 열수추출하였고, 보이차는 보이차 20 g에 100℃로 끓인 생수 1.5 L를 넣어 2시간 동안 열수추출한 후 각각 3겹의 면포로 여과하여 제조하였다. 각 차음료의 재료 조성은 [표 1]과 같다.
본 발명 각 차음료의 재료 조성
재료 말차음료 우룡차음료 홍차음료 보이차음료
말차 (mL) 141.43 - - -
우룡차 추출원액 (mL) - 128.21 - -
홍차 추출원액 (mL) - - 128.21 -
보이차 추출원액 (mL) - - - 128.21
레몬즙 (mL) 66.06 64.10 64.10 64.10
오렌지즙 (mL) 396.33 384.62 384.62 384.62
슈가 시럽 (mL) 66.06 38.46 38.46 38.46
석류 시럽 (mL) - 128.21 128.21 128.21
물 (mL) 330.12 256.40 256.40 256.40
총 합 (mL) 1,000 1,000 1,000 1,000
실시예 2: 실험동물 사육
(주)오리엔트로부터 구입한 120 g ± 15g 내외의 5주령의 숫컷 SD계 흰쥐를 각 실험군마다 6마리씩 총 36마리를 환경에 적응시키기 위해 일반 배합사료(PMI Nutrition International, Ltd., MO, USA)로 1주일간 예비 사육한 후 실험 식이를 행하였다. 실험 식이와 물은 자유 공급하였다.
모든 실험군의 식이는 1주일에 한 번씩 제조하여 4℃에 냉장보관하면서 매일 신선한 식이를 공급하였다. 사육장은 스텐레스 스틸장을 사용하였고, 뇨와 변의 채취를 위해 메타볼릭 케이지를 사용하였다.
온도 및 습도는 23±2℃, 60±5%로 조정하였고 명암은 오전 6:00에서 오후 6:00로 명암 사이클을 유지하였다.
실험군은 정상 식이군(NC), 카드뮴 대조군(Cd), 카드뮴 섭취 말차음료 식이군(Cd-Gt), 카드뮴 섭취 우룡차음료 식이군(Cd-Ot), 카드뮴섭취 홍차음료 식이군(Cd-Bt), 카드뮴섭취 보이차음료 식이군(Cd-Pt)의 6개 군으로 구분하였다.
NC 및 Cd군은 증류수를, Cd-Gt군, Cd-Ot군, Cd-Bt군 및 Cd-Pt군은 각각 각각에 해당하는 음료를 식이에 15%(w/w)되게 첨가하여 펠렛(pellet)을 제조한 후 실온에서 24시간 건조하여 5주간 급여하였다. 카드뮴(Cadmium, CdCl2 2½ H2O, Cd)은 음용수에 50 ppm 수준으로 혼합하여 자유 공급하였다. 식이조성은 [표 2]와 같다.
각 실험군의 식이조성
재 료 NC7 ) CD8 ) CD-GT9 ) CD-OT10 ) CD-BT11 ) CD-PT12 )
카제인Casein 180 180 180 180 180 180
콘스타치Corn starch 668 668 518 518 518 518
셀룰로즈Cellulose 50 50 50 50 50 50
콘오일Corn oil 50 50 50 50 50 50
AIN 미네랄 혼합물1 ) 40 40 40 40 40 40
AIN 비타민 혼합물2 ) 10 10 10 10 10 10
DL-메티오닌 2 2 2 2 2 2
말차음료3 ) - - 150 - - -
우룡차음료4 ) - - - 150 - -
홍차음료5 ) - - - - 150 -
보이차음료6 ) - - - - - 150
총 합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 칼슘 유산염 620.0g, 염화나트륨 74.0g, 인산수소칼륨 디-베이직 220.0g, 황산칼륨 52.0g, 산화마그네슘 23.0g, 망간 카보네이트 3.3g, 구연산 철 6.0g, 탄산아연 1.0g, 탄산구리 0.2g, 요오드화 칼륨 0.01g, 아셀렌산 나트륨0.01g, 크롬 황산칼륨 0.5g. 2) 티아민-HCl 600mg, 리보플라빈 600mg, 파이리독신-HCl 700mg, 니코티닉산 3,000mg, D-칼슘 판토테네이트 1,600mg, 포릭산 200mg, D-비오틴 20mg, 비타민 B12 2.5mg, 비타민 A 400,000 IU, 비타민 D3 100,000 IU, 비타민 E 7,500 IU, 비타민 K 75mg 3-6) [표 1] 참조 7-12) NC; 정상 식이군, Cd; 카드뮴 대조군, Cd-Gt; 카드뮴 섭취 말차음료 식이군, Cd-Ot; 카드뮴 섭취 우룡차음료 식이군, Cd-Bt; 카드뮴 섭취 홍차음료 식이군, Cd-Pt; 카드뮴 섭취 보이차음료 식이군
실험예 1: 실험군에 따른 체중, 식이 및 음용수 섭취량 측정
모든 실험군의 체중, 식이 및 음용수 섭취량 측정은 전 실험기간을 통하여 매일 일정한 시간에 측정하였다. 식이효율(feed efficiency ratio, FER)은 같은 기간 동안의 체중 증가량을 동일 기간의 섭취량으로 나눈 값으로 하였다.
카드뮴 투여 흰쥐의 증체량, 식이섭취량 및 식이효율에 미치는 차음료의 효과를 5주간 조사한 결과는 [표 3]과 같이 카드뮴 대조군(CD)의 주당 증체량은 정상군(NC)에 비하여 약 26%가 감소하였으며 각 차 음료를 5주간 식이한 경우는 정상군(NC)에는 미치지 못하였으나 CD군보다는 높았다. 식이효율(FER)은 각 실험구간의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평균값은 증체량의 경우와 같이 차음료 식이군(CD-GT, CD-OT, CD-BT 및 CD-PT군)과 CD군간의 뚜렷한 차이없이 NC군보다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본 발명 차음료 섭취군에 따른 증체량, 식이섭취량 및 식이효율 측정
실험군1 ) 초기체중 (g) 최종체중 (g) 증체중(g/week) 식이섭취량(g/week) FER2 )
NC 91.00±20.663) 427.67±26.63 47.33±3.65 187.87± 3.97 0.25±0.02
CD 171.33±15.37 346.50±36.99 35.03±4.76 165.60± 6.07 0.21±0.02
CD-GT 182.00±17.00 354.00±55.45 34.40±8.26 175.77±12.21 0.19±0.04
CD-OT 198.33± 4.16 374.83±14.49 35.20±2.07 170.13± 4.56 0.21±0.02
CD-BT 178.00±33.15 361.33±17.27 36.67±3.81 171.87±13.72 0.21±0.02
CD-PT 188.67± 4.16 364.67±48.84 35.20±9.01 169.80±19.87 0.21±0.02
1)[표 1] 참조 2) 식이효율 3) 유의성 없음 4) 평균±표준편차
실험예 2: 실험군에 따른 뇨량 및 변량 비교
카드뮴 투여군의 뇨량 및 변량에 미치는 차음료의 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말차, 우룡차, 홍차 및 보이차로 제조한 음료를 15% 함유하는 실험식이로 5주간 사육한 결과는 [표 4]와 같다. CD군의 뇨량은 NC 및 각 실험구간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변량은 CD군이 NC군에 비해 19%가 감소되었다. 또, 각 실험군의 변량은 CD군과 유의차는 없으나 그 평균값은 CD군에 비하여는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카드뮴의 투여가 변량 및 요량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는 보이지 않으나 변량이 감소되는 것으로 사료되며 차음료를 섭취함으로서 이러한 변량의 감소가 다소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군에 따른 뇨량 및 변량의 비교
실험군1 ) 뇨량 (mL/일) 변량 (g/일)
NC 18.73±2.472) 0.90±0.063)
CD 17.72±2.05 0.73±0.07b
CD-GT 17.88±2.00 0.74±0.03b
CD-OT 17.50±2.06 0.75±0.09b
CD-BT 17.53±1.82 0.78±0.05b
CD-PT 17.06±2.17 0.76±0.09b
1) [표 1] 참조 2) 유의성 없음 3) 6 마리 쥐의 평균치±표준편차 (p<0.05).
실험예 3: 실험군에 따른 장기중량 비교
카드뮴 투여 실험군의 간 및 신장의 중량에 미치는 차음료의 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말차, 우룡차, 홍차 및 보이차로 제조한 음료를 15% 함유하는 실험식이로 5주간 사육한 결과는 [표 5]와 같다. CD군의 체중 당 간 중량의 평균값은 NC군에 비해 약 17%가 감소되었다. 차 음료를 식이한 CD-GT, CD-OT, CD-BT 및 CD-PT군의 간 및 신장의 평균중량은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CD군보다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간과 신장은 체내 카드뮴의 주 해독기관으로 섭취한 카드뮴의 50~80%가 여기에 분포한다고 하였으며, 조직의 손상과 함께 중량감소를 동반한다고 보고되어 있다. 따라서 카드뮴에 중독시킨 쥐에 차 음료를 섭취함으로서 간과 신장의 중량이 다소 개선되는 현상은 차음료가 카드뮴의 독성을 어느 정도 해소시키는 작용을 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실험군에 따른 간 및 신장의 중량 비교
실험군1 ) 간 중량 (g/rat) 간 중량/체중 (%) 신장 중량 (g/rat) 신장 중량/체중 (%)
NC 14.60±2.482) 3.53±0.483) 2.99±0.38 0.72±0.06
CD 9.77±0.49 2.93±0.45 2.44±0.25 0.73±0.03
CD-GT 11.48±0.63 3.36±0.31 2.53±0.13 0.74±0.11
CD-OT 12.87±2.16 3.47±0.49 2.98±0.45 0.80±0.11
CD-BT 11.73±1.55 3.33±0.30 2.53±0.36 0.72±0.07
CD-PT 12.17±1.94 3.42±0.10 2.52±0.18 0.72±0.10
1) [표 1] 참조 2) 6 마리 쥐의 평균치±표준편차 (p<0.05). 3) 유의성 없음.
실험예 4: 실험군에 따른 경골 및 대퇴골의 차이
카드뮴 투여 실험군에 5주간 말차, 우룡차, 홍차 및 보이차로 제조한 음료를 함유하는 실험식이로 사육한 결과는 [표 6]과 같다. 경골의 길이는 CD군과 NC군을 비교하였을 때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각 실험군과도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경골의 중량은 CD군이 NC군에 비해 약 14% 감소하였으며 차음료를 섭취한 군들에서는 CD군과 유의적인 차이는 없으나 정상군(NC)과도 차이를 보이지 않아 카드뮴의 섭취로 감소된 중량이 개선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대퇴골은 차음료를 섭취한 군에서 길이와 중량 모두 차이를 보였다. 즉, 카드뮴 대조군인 CD군은 정상군 및 차 음료 섭취군보다 길이가 유의적으로 짧았고 중량에서도 동일한 경향이었으나 차 음료 섭취군은 NC군과 유의차를 보이지 않을 정도로 개선되었다.
카드뮴이 체내에 일정량 이상으로 축적되면 간접적으로는 장내에서 카드뮴을 효과적으로 흡수하지 못하여 신장에서 재흡수 되어 뇨를 통해 배출된다고 하였으며 직접적으로는 카드뮴이 골수(bone marrow cell)에 작용하여 용골세포(osteoclast)의 분화를 유도하며, 카드뮴 대신 카드뮴이 뼈에 축적된다고 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결과는 차음료의 섭취로 뼈에 축적된 카드뮴을 체외로 배설시킴으로서 카드뮴의 독성을 경감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군에 따른 결골 및 대퇴골의 차이
실험군1 ) 경골 대퇴골
길이(mm) 중량(g) 길이(mm) 중량(g)
NC 4.00±0.102) 0.43±0.03 3.83±0.253) 0.56±0.07
CD 3.87±0.06 0.37±0.02 3.17±0.32 0.45±0.02
CD-GT 3.87±0.06 0.39±0.03 3.70±0.26 0.50±0.05
CD-OT 3.93±0.06 0.40±0.03 3.90±0.10 0.52±0.06
CD-BT 3.83±0.06 0.39±0.02 3.77±0.12 0.51±0.04
CD-PT 3.87±0.12 0.38±0.02 3.80±0.17 0.48±0.02
1) [표 1] 참조. 2) 유의성 없음. 3) 6 마리 쥐의 평균치±표준편차 (p<0.05).
실험예 5: 실험군에 따른 대퇴골의 회분, 카드뮴 및 칼슘 함량 측정
대퇴골의 회분, 카드뮴 및 칼슘 함량에 미치는 본 발명 차음료의 식이효과를 조사한 결과는 [표 7]과 같다. 대퇴골 회분함량은 CD군에서 40.72%, 차음료 섭취군에서 35.31~37.02%, NC군에서 33.61%로 차음료 섭취군이 CD군 보다 낮았으며 정상군에 가까웠다. 카드뮴 함량은 NC군에서는 0.08 μg/g이었으나 CD군은 123.28 μg/g, 실험식이군에서는 23.07~28.82 μg/g으로 차 음료의 섭취로 대퇴골에 축적되는 카드뮴 함량을 크게 감소시켰다. 또한 칼슘 함량은 NC군에서 6.7 mg/g, CD군에서 3.76 mg/g, 실험식이군에서 4.04~5.42 mg/g으로 카드뮴에 의하여 감소되는 양을 다소 개선시키는 효과를 보였다.
카드뮴이 체내에 축적되면 체내의 칼슘의 흡수를 저해하며, 칼슘 대신에 카드뮴을 축적하게 되며 뼈의 카드뮴 함량은 높이고 칼슘 함량은 감소시킨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본 발명 차음료가 카드뮴의 대퇴골 축적을 저해하며 칼슘 함량을 증가시킨 것으로 판단된다.
실험군에 따른 대퇴골의 회분, 카드뮴 및 칼슘 함량 측정
실험군1 ) 경골 대퇴골
길이(mm) 중량(g) 길이(mm) 중량(g)
NC 4.00±0.102) 0.43±0.03 3.83±0.253) 0.56±0.07
CD 3.87±0.06 0.37±0.02 3.17±0.32 0.45±0.02
CD-GT 3.87±0.06 0.39±0.03 3.70±0.26 0.50±0.05
CD-OT 3.93±0.06 0.40±0.03 3.90±0.10 0.52±0.06
CD-BT 3.83±0.06 0.39±0.02 3.77±0.12 0.51±0.04
CD-PT 3.87±0.12 0.38±0.02 3.80±0.17 0.48±0.02
1) [표 1] 참조. 2) 유의성 없음. 3) 6 마리 쥐의 평균치±표준편차 (p<0.05).
실험예 6: 실험군에 따른 대퇴골의 회분, 카드뮴 및 칼슘 함량 측정
대퇴골의 회분, 카드뮴 및 칼슘 함량에 미치는 본 발명 차음료의 식이효과를 조사한 결과는 [표 7]과 같다. 대퇴골 회분함량은 CD군에서 40.72%, 차음료 섭취군에서 35.31~37.02%, NC군에서 33.61%로 차음료 섭취군이 CD군 보다 낮았으며 정상군에 가까웠다. 카드뮴 함량은 NC군에서는 0.08 μg/g이었으나 CD군은 123.28 μg/g, 실험식이군에서는 23.07~28.82 μg/g으로 차 음료의 섭취로 대퇴골에 축적되는 카드뮴 함량을 크게 감소시켰다. 또한 칼슘 함량은 NC군에서 6.7 mg/g, CD군에서 3.76 mg/g, 실험식이군에서 4.04~5.42 mg/g으로 카드뮴에 의하여 감소되는 양을 다소 개선시키는 효과를 보였다.
카드뮴이 체내에 축적되면 체내의 칼슘의 흡수를 저해하며, 칼슘 대신에 카드뮴을 축적하게 되며 뼈의 카드뮴 함량은 높이고 칼슘 함량은 감소시킨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본 발명 차음료가 카드뮴의 대퇴골 축적을 저해하며 칼슘 함량을 증가시킨 것으로 판단된다.
실험군에 따른 대퇴골의 회분, 카드뮴 및 칼슘 함량 측정
실험군1 ) 대퇴골 회분(%) 카드뮴 (μg/g-대퇴골) 칼슘(mg/g-대퇴골)
NC 33.61±0.572) 0.08± 0.01 6.70±0.83
CD 40.72±0.64 123.28±13.96 3.76±0.47
CD-GT 37.02±1.02 28.82± 4.32 4.04±0.49
CD-OT 35.31±1.67 23.07± 2.09 5.42±0.76
CD-BT 35.62±1.13 25.09± 3.26 4.14±0.55
CD-PT 36.01±1.08 24.40± 2.76 4.55±0.60
1) [표 1] 참조. 2) 6 마리 쥐의 평균치±표준편차 (p<0.05).
실험예 7: 실험군에 따른 변의 회분, 카드뮴 및 칼슘 함량 측정
변의 회분, 카드뮴 및 칼슘 배설량을 조사한 결과는 [표 8]와 같았다. 변의 회분함량은 평균값으로는 홍차음료군(CD-BT)이 14.80%로 가장 높았으며, 기타 음료군은 13.28~ 13.46%, CD군은 12.75%, NC군은 13.07%로 차음료 섭취군이 카드뮴 중독군(CD)보다 높았다.
변의 카드뮴 함량은 NC군 1.12 μg/g, CD군 2.06 μg/g, 실험식이군 4.38~5.35 μg/g으로 실험식이군이 CD군에 비하여 현저하게 높았다. 이와 대조적으로 변의 칼슘 함량은 NC군 146.24 μg/g, CD군 276.08 μg/g, 실험식이군 174.81~197.47 μg/g으로 실험식이군이 CD군에 비하여 칼슘의 배설량이 현저하게 낮았다.
체내에 축적된 카드뮴은 친화력이 강한 플라보노이드와 같은 물질과 결합하여 변을 통해 배설되며, 차에 존재하는 프라보노이드의 일종인 카테킨이 카두뮴과 착화합물을 형성하여 변으로 배설된다고 보고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 차음료를 섭취한 실험식이군의 변에서 회분량이 높으며 배설되는 카드뮴의 양이 높고 칼슘 함량이 낮은 현상이 종래 기술과 일치한다고 판단된다.
그리고 본 발명 차음료를 섭취한 실험군의 카드뮴의 배설양은 우룡차, 홍차 및 보이차가 말차에 비하여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칼슘의 배설양은 말차, 홍차, 보이차, 우룡차 순으로 나타났다.
실험군에 따른 변의 회분, 카드뮴 및 칼슘 함량 측정
실험군1 ) 변의 회분(%) 변의 카드뮴(μg/g-feces) 변의 칼슘(μg/g-feces)
NC 13.07±0.522) 1.12±0.12 146.24±19.69
CD 12.75±0.38 2.06±0.30 276.08±31.39
CD-GT 13.35±0.27 4.38±0.52 197.47±13.31
CD-OT 13.28±0.27 5.45±0.27 174.81±11.38
CD-BT 14.80±0.59 5.35±0.29 182.37±14.04
CD-PT 13.46±0.42 5.40±0.40 178.96±13.34
1) [표 1] 참조. 2) 6 마리 쥐의 평균치±표준편차 (p<0.05).
실험예 8: 본 발명 차음료의 관능평가
본 발명 홍차, 말차, 우룡차, 보이차음료에 대한 관능검사를 남여노소 108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통계배점은 색, 향, 미, 기호도 등의 각 항목을 최고 5점에서 최하 1점으로 하였다.
평가방법은 본 발명 말차, 홍차, 우룡차, 보이차 등의 차음료와 비교대상 음료를 식용 후 색상, 향, 맛, 종합적 기호도 등으로 나누어 평가하였으며, 각 항별 점수에 해당 인원을 곱해서 나온 각항의 총점을 더해서 전체인원으로 나누었다.
본 발명 차음료와 비교대상 음료로는 롯데칠성의 실론티, 보성녹차영농조합의 보성녹차, 동서식품의 우롱차를 선정하였다.
관능검사 결과 차의 종류별로 타사 제품(이하 대조구)과 총평점을 비교했을 때 [표 9]와 같이 말차의 경우 본 발명 말차음료는 3.84이고 대조구는 2.94였다. 홍차의 경우 본 발명 홍차음료는 4.14이고 대조구는 3.04였으며 우룡차의 경우 본 발명 우룡차음료는 3.94이고 대조구는 2.96으로 평가되었다. 보이차는 비교대상 음료가 없는 관계로 비교하지 못하였으나, 본 발명 보이차음료가 3.72로 비교적 높은 총평점이 나왔다.
색상은 본 발명 우룡차음료가 평점 4.38점으로 가장 높은 평가를 받았으며 향은 본 발명 홍차음료가 맛은 본 발명 홍차음료가 종합적기호도 역시 본 발명 홍차음료가 가장 높은 평가를 받았다.
전체적으로 본 발명 말차, 홍차, 우룡차, 보이차음료가 비교대상 음료에 비해 월등히 높은 평가를 받았다.
본 발명 차음료의 관능평가
차종류 구 분 색상(평점) 향(평점) 맛(평점) 종합적 기호도 종합 평점
홍차 음료 본 발명 차음료 4.11 3.97 4.28 4.20 4.14
실론티 2.88 3.04 3.15 3.07 3.04
말차 음료 본 발명 차음료 3.83 3.62 4.03 3.88 3.84
보성녹차 2.99 2.83 3.08 3.02 2.94
우룡차 음료 본 발명 차음료 4.38 3.94 4.23 4.18 4.18
우롱차 3.07 2.87 2.90 3.10 2.96
보이차 음료 본 발명 차음료 3.85 3.55 3.73 3.74 3.72
없음 · · · · ·
이상 실시예와 실험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 말차, 우룡차, 홍차 및 보이차를 이용하여 제조한 차음료는 현재 시판 중인 제품과 비교할 때 색상, 향, 맛 및 종합적 기호도면에서 우수하며 중금속을 해독시키는 뛰어난 효과가 있으므로 식품산업상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보이차잎을 열수추출하고 여과한 여과액 12 내지 15%(w/w)에 레몬즙 6내지 6.5%(w/w), 오렌지즙 38 내지 39%(w/w), 슈가시럽 3.7 내지 3.8%(w/w), 석류시럽 12.3 내지 13%(w/w) 및 물 25 내지 25.7%(w/w)를 혼합한 것이 특징인, 중금속 함량을 저하시키는 보이차 음료.
  4. 삭제
KR1020060129966A 2006-12-19 2006-12-19 중금속을 해독하는 기능성 차음료와 그의 제조방법 KR1008392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9966A KR100839217B1 (ko) 2006-12-19 2006-12-19 중금속을 해독하는 기능성 차음료와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9966A KR100839217B1 (ko) 2006-12-19 2006-12-19 중금속을 해독하는 기능성 차음료와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9217B1 true KR100839217B1 (ko) 2008-06-17

Family

ID=397717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9966A KR100839217B1 (ko) 2006-12-19 2006-12-19 중금속을 해독하는 기능성 차음료와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921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62923A (zh) * 2012-04-25 2013-08-28 辽宁医学院 一种清凉普洱保健茶及其制备工艺
CN104222395A (zh) * 2014-10-21 2014-12-24 叶青芝 普洱麦麸降血糖养生保健茶及其制备方法
KR20170025450A (ko) 2015-08-28 2017-03-08 농업회사법인 경북대학교포도마을주식회사 미세먼지 해독음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에 의한 조성물
KR102124855B1 (ko) 2020-02-13 2020-06-22 우영삼 미세먼지 제거 효과가 있는 비타민 조성물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60862A (ja) * 1985-05-15 1986-11-19 Kyoei Seichiya Kk 新規な飲料組成物
JPH0767533A (ja) * 1993-08-30 1995-03-14 Yakult Honsha Co Ltd 果汁入紅茶飲料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30022641A (ko) * 2001-09-11 2003-03-17 황재화 녹차 추출물을 함유한 생수
KR20060038832A (ko) * 2004-11-01 2006-05-04 최면 해초를 이용한 식품의 조성물
KR20060066162A (ko) * 2006-05-28 2006-06-15 전현철 감동의 차 새콤달콤한 콜라겐 비타 석류 홍차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60862A (ja) * 1985-05-15 1986-11-19 Kyoei Seichiya Kk 新規な飲料組成物
JPH0767533A (ja) * 1993-08-30 1995-03-14 Yakult Honsha Co Ltd 果汁入紅茶飲料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30022641A (ko) * 2001-09-11 2003-03-17 황재화 녹차 추출물을 함유한 생수
KR20060038832A (ko) * 2004-11-01 2006-05-04 최면 해초를 이용한 식품의 조성물
KR20060066162A (ko) * 2006-05-28 2006-06-15 전현철 감동의 차 새콤달콤한 콜라겐 비타 석류 홍차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62923A (zh) * 2012-04-25 2013-08-28 辽宁医学院 一种清凉普洱保健茶及其制备工艺
CN104222395A (zh) * 2014-10-21 2014-12-24 叶青芝 普洱麦麸降血糖养生保健茶及其制备方法
KR20170025450A (ko) 2015-08-28 2017-03-08 농업회사법인 경북대학교포도마을주식회사 미세먼지 해독음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에 의한 조성물
KR102124855B1 (ko) 2020-02-13 2020-06-22 우영삼 미세먼지 제거 효과가 있는 비타민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293021B (en) Weight management beverage
EP2253223A1 (en) Package drink
KR20150111724A (ko) 소취능 및 항산화능을 가지는 반려동물용 음료 조성물
KR100839217B1 (ko) 중금속을 해독하는 기능성 차음료와 그의 제조방법
KR101123208B1 (ko) 체중감량 및 체지방분해를 위한 체중조절용 식품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기능성 식품
EP2036551A1 (en) Agent for improving muscle power
JP2003081825A (ja) カテキン含有飲料
JP2009247254A (ja) 健康飲料
JP2012191950A (ja) 安定で消費可能な組成物
JP4494033B2 (ja) 血清コレステロール低下剤、飲食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317781B2 (ja) 容器詰カテキン含有飲料
KR101177888B1 (ko) 숙취 예방 및 해소용 조성물
KR100986003B1 (ko) 무를 재료로 한 음료수의 제조방법
JP4819005B2 (ja) 容器詰茶飲料の製造法
JP4494373B2 (ja) カテキン含有飲食物の製造方法
JP2007159541A (ja) 高濃度カテキン類含有液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3171297A (ja) 血中ビリルビン濃度低下剤及び黄疸治療・予防剤
JP2011006355A (ja) 骨密度改善組成物及び飲食物
CN113749203A (zh) 一种具有减肥作用的饮品及制备方法
JP2004210675A (ja) 骨量改善組成物
KR20210035608A (ko) 체중감량및 체지방분해를 위한 체중조절용 식품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기능성 식품
KR20190113721A (ko) 스테비아를 포함하는 양파껍질 효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US20040156924A1 (en) Vitamin C and calcium ascorbate based dietary supplement products
JP4125011B2 (ja) 過剰鉄起因肝障害予防・治療剤及び過剰鉄起因肝障害予防・治療飲食物
KR102414793B1 (ko) 솔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양파즙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솔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양파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40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