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9111B1 - 인조대리석 성형용 폴리에스터 필름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인조대리석 성형용 폴리에스터 필름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9111B1
KR100839111B1 KR1020030009727A KR20030009727A KR100839111B1 KR 100839111 B1 KR100839111 B1 KR 100839111B1 KR 1020030009727 A KR1020030009727 A KR 1020030009727A KR 20030009727 A KR20030009727 A KR 20030009727A KR 100839111 B1 KR100839111 B1 KR 1008391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artificial marble
polyester film
water
marble m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97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74158A (ko
Inventor
정길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오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오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오롱
Priority to KR10200300097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9111B1/ko
Publication of KR200400741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41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91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911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 B29C55/1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 B29C55/1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biax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08J2367/03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the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having the hydroxy and the carboxyl groups directly linked to aromatic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08L67/03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the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having the carboxyl- and the hydroxy groups directly linked to aromatic ring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인조대리석 성형용 폴리에스터 필름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폴리에스터 수지를 용융압출시켜 일축 배향시킨 필름의 일면에 고형분 함량 6 내지 15중량%인 수분산 폴리우레탄 수지를 포함하는 도포액을 도포하여 이축연신시켜 제조된 폴리에스터 필름을 인조대리석 성형용으로 사용되는 PVA 코팅필름의 기재필름으로 사용할 경우 습윤 장력과 블로킹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PVA 코팅필름과의 접착성과 수성잉크 접착성 등이 우수하여 인조대리석 성형시 PVA 코팅필름의 기재 필름으로 적합하다.
폴리에스터*폴리우레탄*접착력*인조대리석

Description

인조대리석 성형용 폴리에스터 필름 및 그 제조방법 {Polyester film for artificial marble molding and their preparation method}
본 발명은 인조대리석 성형용 폴리에스터 필름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폴리에스터 필름의 적어도 일면에 수분산 폴리우레탄 도포층을 구비하여 인조대리석 성형용 폴리비닐알콜(PVA) 코팅필름의 기재 필름으로 사용될 때 PVA 코팅 수지와의 접착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터 필름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폴리에스터 필름은 안정한 화학구조를 가지고 있어 기계적 강도가 높으며, 내열성, 내구성, 내약품성 등의 물성이 우수하다.
이러한 폴리에스터 중에서 특히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는 저온에서 고온에 이르기까지 넓은 온도 범위에 걸쳐 물성의 안정성이 뛰어나고 내화학 특성이 우수하며, 기계적 강도, 표면 특성, 두께의 균일성이 양호하고 다양한 용도의 공정조건에 우수한 적응력을 가지고 있어 산업용, 의료용, 포장용 등의 용도에 폭넓게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 제기되고 있는 환경오염 문제에 있어서도 재활용율이 높아 산업분야에서 차지하는 중요도는 점점 커지고 있다.
그러나, PET의 여러 가지 우수한 특성에도 불구하고 다른 수지와 마찬가지로 다양한 코팅제의 기재로 사용되어질 때, 코팅제와 PET 표면과 접착성이 저하되는 현상이 발생된다.
특히, 특수 용도인 인조대리석 성형시 PVA 코팅 필름의 기재 필름으로 PET 필름이 사용될 때 PVA 코팅 수지와 PET 표면과의 접착성이 떨어져 PET를 직접 사용하는 것은 불가능한 실정이며, 여러 가지 아크릴계 화합물로 처리한 필름을 사용하더라도 우수한 접착력을 발휘하는 필름은 거의 없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인조대리석 성형시 코팅필름으로 사용되는 PVA 필름과 접착력을 개선시킬 수 있는 PET 기재 필름을 개발하기 위하여 연구 노력하던 중, 적어도 일면에 고형분 함량이 6 내지 15중량%인 수분산 폴리우레탄계 수지를 포함하는 도포액으로 도포층을 구비하여 인조대리석 성형시 PVA 코팅필름의 기재 필름으로 사용한 결과, 도포면의 습윤 장력(wetting tension)이 높아 수계 코팅제 및 잉크접착성이 우수하며, PVA 코팅 필름과 우수한 접착력을 가진다는 것을 알게 되어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PVA 코팅수지와의 접착성이 우수하고, 잉크 접착성이 우수한 인조대리석 성형용 폴리에스터 필름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같은 폴리에스터 필름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도 그 목 적이 있다.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인조대리석 성형용 폴리에스터 필름은 적어도 일면에 고형분 함량 6 내지 15중량%인 수분산 폴리우레탄 수지를 포함하는 도포층이 구비된 것임을 그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폴리에스터 필름은 분자내 주반복 단위가 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진 폴리에스터 수지를 용융압출시켜 일축 배향시킨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의 적어도 일면에 고형분 함량 6 내지 15중량%인 수분산 폴리우레탄 수지를 포함하는 도포액을 도포하여 이축연신시키는 단계를 거쳐 제조되는 것임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와같은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인조대리석 성형용 폴리에스터 필름은 분자내 주반복 단위가 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진 폴리에스터 필름을 일축배향시킨 폴리에스터 필름에 수분산 폴리우레탄계 수지를 포함하는 도포액을 도포하여 이축연신시켜 제조된 것이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터 필름은 분자내 주반복 단위가 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진 통상의 폴리에스터 수지로부터 얻어지는 바, 방향족 디카르복실산을 주성분으로 하는 산성분과 알킬렌글리콜을 주성분으로 하는 글리콜 성분을 중합한 것이다.
방향족 디카르복실산의 구체적인 예에는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 테레프탈레이트산, 이소프탈산, 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시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 디페닐디카르복실산 등이 있으며, 이들 중에서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나 테레프탈산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폴리에스터 단독 중합체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사용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인조대리석 성형시 PVA 코팅 수지와의 접착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폴리에스터 필름의 적어도 일면에 고형분 함량이 6∼15중량%인 수분산 폴리우레탄 수지를 포함한 도포액으로 도포한다.
상기 수분산 폴리우레탄 수지는 폴리올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중합하여 얻어진 것으로, 분자 주쇄에 우레탄 결합을 가지고 있으며, 분자 말단에는 친수성기를 함유하고 있어 물에 잘 분산되는 고분자이다.
이러한 주쇄의 폴리올은 디카르본산으로 방향족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나프타렌 디카르본산 등이 포함된 폴리에스터 폴리올, 프로필렌옥사이드와 에틸렌옥사이드의 블록 공중합물이나 알킬렌 옥사이드와 활성수소 화합물로 중합된 폴리에테르 폴리올 및 기타 공지된 폴리올을 사용한다.
한편, 수분산 폴리우레탄 수지는 고형분 함량이 6∼15중량%인 것이 바람직한 바, 6중량% 미만이면 접착성이 불량해지고, 또한 고형분 함량이 15중량%를 초과하면 도포후 도포면끼리 블록킹(blocking)성이 발생된다.
한편, 수분산 도포액에 필름과의 습윤성(wetting)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미량 의 습윤제(wetting agent)를 포함할 수 있으며, 막의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미량의 가교제를 첨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수분산 도포액을 포함하는 도포층의 연신후 두께는 0.1∼0.3㎛인 것이 적당하다.
이러한 폴리에스터를 이용하여 접착성이 우수한 인조대리석 성형용 폴리에스터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용융압출하여 적어도 일축 배향시켜 폴리에스터 필름을 제조한 후, 이 필름의 적어도 일면에 수분산 폴리우레탄계 수지와 첨가제를 혼합한 도포액을 도포하여 이축연신시키면 본 발명에 따른 접착성이 우수한 인조대리석 성형용 폴리에스터 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은 바,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 4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습윤제 및 가교제를 다음 표 1과 같은 함량으로 용융압출기에 넣고, 280℃의 온도에서 용융압출시킨 다음, MD 방향으로 일축 배향시켰다. 이 필름의 일면에 다음 표 1과 같은 고형분 함량을 갖는 수분산 폴리우레탄 수지를 1.5㎛ 이하 정도의 두께로 도포시켰다.
도포시킨 필름을 이축연신시켜 연신후 두께가 0.2㎛인 접착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터 필름을 얻었다.
이렇게 얻어진 필름의 습윤 장력, PVA 접착성, 수성 잉크 접착성 및 블로킹성 등을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다음 표 2에 나타내었다.
(물성측정)
습윤 장력(wetting tension)
표준 다인(dyne) 시험액(30∼70 dyne/cm)을 면봉에 묻혀 상기 제조된 필름 위에 문지른 후 습윤정도를 측정한 것이다.
PVA 코팅수지 접착성 및 수성잉크 접착성
PVA 코팅 수지, 수성 잉크를 오프라인 공정에서 코팅, 인쇄한 후 점착 테이프(해성 마스킹 점착 테이프)를 코팅층, 인쇄층에 붙여 30회 문지른 다음, 180°박리시킨후 코팅층이 기재에서 벗겨지는 정도를 육안으로 관찰하여 다음과 같이 나타내었다.
O (우수) : 코팅층, 잉크층이 전혀 벗겨지지 않음.
△(보통) : 코팅층, 잉크층이 일부 벗겨짐.
X (불량) : 코팅층, 잉크층이 벗겨짐.
블로킹성(blocking)
50kgf/cm2의 압력과 상온에서 프레스를 사용하여 상기 제조된 필름을 20∼30장 적층한 후, 필름 간의 블로킹성 유무를 육안으로 관찰하여 다음과 같이 나타내었다.
O (우수) : 블로킹성 없음.
△(보통) : 블로킹성 부분적으로 있음.
X (불량) : 블로킹성이 다수 있음.
기재 필름 첨가제(중량%)
종류 고형분 함량(중량%) 습윤제 가교제
실시예1 수분산 폴리우레탄 수지로 도포된 PET 6.0 0.4 0.4
실시예2 수분산 폴리우레탄 수지로 도포된 PET 8.0 0.4 0.4
실시예3 수분산 폴리우레탄 수지로 도포된 PET 10.0 0.4 0.4
실시예4 수분산 폴리우레탄 수지로 도포된 PET 15.0 0.4 0.4
비교예1 PET - - -
비교예2 수분산 폴리아크릴 수지로 도포된 PET 6.0 0.4 0.4
비교예3 수분산 폴리아크릴 수지로 도포된 PET 8.0 0.4 0.4
비교예4 수분산 폴리아크릴 수지로 도포된 PET 10.0 0.4 0.4
비교예5 수분산 폴리우레탄 수지로 도포된 PET 2.0 0.4 0.4
비교예6 수분산 폴리우레탄 수지로 도포된 PET 4.0 0.4 0.4
비교예7 수분산 폴리우레탄 수지로 도포된 PET 17.0 0.4 0.4
비교예 1
비교예 1은 수분산 폴리우레탄 수지를 포함하는 수분산 도포액을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필름을 제조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필름의 습윤 장력, PVA 접착성, 수성 잉크 접착성 및 블로킹성 등을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다음 표 2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2 내지 7
비교예 2∼4는 수분산 폴리우레탄 수지 대신에 수분산 폴리아크릴 수지를 포함하는 도포액을 사용하여 도포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필름을 제조하였으며, 비교예 5∼7은 수분산 폴리우레탄 수지의 고형분 함량이 본 발명의 범위와 벗어나는 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렇게 얻어진 필름의 습윤 장력, PVA 접착성, 수성 잉크 접착성 및 블로킹성 등을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다음 표 2에 나타내었다.
습윤 장력 (dyne/cm) PVA 코팅수지 접착성 블로킹성 수성잉크 접착성
실시예1 52 O O O
실시예2 56 O O O
실시예3 60 O O O
실시예4 66 O O O
비교예1 38 X O X
비교예2 50 O X
비교예3 52 O X
비교예4 54 X
비교예5 46 O
비교예6 48 O
비교예7 70 O X O
상기 표 2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고형분 함량이 6 내지 15중량%인 수분산 폴리우레탄 수지를 함유한 도포층을 구비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인조대리석 성형시 코팅수지로 사용되는 PVA 수지의 기재필름으로 사용한 실시예 1 내지 4의 경우, 일체의 도포처리하지 않은 PET 필름을 사용한 비교예 1과 종래 수분산 폴리아크릴 수지를 함유한 도포액으로 도포시켜 제조된 비교예 2 내지 4의 PET 필름 및 고형분 함량이 벗어나는 수분산 폴리우레탄 수지를 포함하는 도포액으로 도포시켜 제조된 비교예 5 내지 7의 PET 필름을 기재 필름으로 사용한 것보다 PVA 코팅 필름과의 접착성 및 수성 잉크 접착성이 우수하고 습윤 장력 및 블로킹성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고형분 함량이 6 내지 15중량%인 수분산 폴리우레탄 수지를 포함하는 도포층을 구비한 폴리에스터 필름은 습윤 장력과 블로킹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PVA 코팅필름과의 접착성과 수성잉크 접착성 등이 우수하여 인조대리석 성형시 PVA 코팅필름의 기재 필름으로 적합하다.

Claims (5)

  1. 적어도 일면에 고형분 함량 6∼15중량%인 수분산 폴리우레탄 수지를 포함하는 도포층이 구비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대리석 성형용 폴리에스터 필름.
  2. 제 1항에 있어서, 도포층은 연신후의 두께가 0.1∼0.3㎛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대리석 성형용 폴리에스터 필름.
  3. 제 1항에 있어서, 도포층은 가교제 또는 습윤제를 포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대리석 성형용 폴리에스터 필름.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터 필름은 습윤 장력이 52∼66 dyne/cm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대리석 성형용 폴리에스터 필름.
  5. 분자내 주반복 단위가 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진 폴리에스터 수지를 용융압출시켜 일축 배향시킨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의 적어도 일면에 고형분 함량 6 내지 15중량%인 수분산 폴리우레탄 수지를 포함하는 도포액을 도포하여 이축연신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조대리석 성형용 폴리에스터 필름의 제조방법.
KR1020030009727A 2003-02-17 2003-02-17 인조대리석 성형용 폴리에스터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1008391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9727A KR100839111B1 (ko) 2003-02-17 2003-02-17 인조대리석 성형용 폴리에스터 필름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9727A KR100839111B1 (ko) 2003-02-17 2003-02-17 인조대리석 성형용 폴리에스터 필름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4158A KR20040074158A (ko) 2004-08-23
KR100839111B1 true KR100839111B1 (ko) 2008-06-19

Family

ID=373609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9727A KR100839111B1 (ko) 2003-02-17 2003-02-17 인조대리석 성형용 폴리에스터 필름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911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4751B1 (ko) * 2003-04-02 2008-03-19 주식회사 코오롱 광투과율이 우수한 폴리에스터 필름
KR20050087505A (ko) * 2004-02-27 2005-08-31 주식회사 코오롱 이접착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1273A (ja) * 1994-07-04 1996-01-16 Diafoil Co Ltd 二軸配向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KR960029380A (ko) * 1995-01-20 1996-08-17 박홍기 소광 필름의 제조방법
KR19990065121A (ko) * 1998-01-08 1999-08-05 한형수 이축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
KR20000019950A (ko) * 1998-09-16 2000-04-15 장용균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
KR20000056714A (ko) * 1999-02-25 2000-09-15 장용균 접착성 고투명 이축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그를 이용하여 제조된 프리즘 시트
KR20030048272A (ko) * 2001-12-11 2003-06-19 주식회사 코오롱 접착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1273A (ja) * 1994-07-04 1996-01-16 Diafoil Co Ltd 二軸配向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KR960029380A (ko) * 1995-01-20 1996-08-17 박홍기 소광 필름의 제조방법
KR19990065121A (ko) * 1998-01-08 1999-08-05 한형수 이축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
KR20000019950A (ko) * 1998-09-16 2000-04-15 장용균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
KR20000056714A (ko) * 1999-02-25 2000-09-15 장용균 접착성 고투명 이축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그를 이용하여 제조된 프리즘 시트
KR20030048272A (ko) * 2001-12-11 2003-06-19 주식회사 코오롱 접착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4158A (ko) 2004-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65602A (en) Laminated polyester film
EP0355990B1 (en) Composite film
JP2009083455A (ja) 帯電防止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6512378B1 (ja) セラミックグリーンシート製造用離型フィルム
JP2009083456A (ja) 帯電防止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の製造方法
EP0637603A1 (en) Polymeric film
US20020064650A1 (en) Biaxially oriented polyester film for window application
JP4805807B2 (ja) 熱プレス成型用離型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WO2017013891A1 (ja) 離型フィルム
JPH09109346A (ja) 積層フイルム
KR100839111B1 (ko) 인조대리석 성형용 폴리에스터 필름 및 그 제조방법
JP5439987B2 (ja) ラミネートフィルム
JP2017061037A (ja) 離型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およびグリーンシート積層体
KR100718920B1 (ko) 접착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
JPH10286921A (ja) 離型フィルム
JP5728143B2 (ja) 離型フィルム
JP4178509B2 (ja) 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814751B1 (ko) 광투과율이 우수한 폴리에스터 필름
KR101929111B1 (ko) 이형 필름
JP2002071921A (ja) 面光源用反射フィルム
JP7467880B2 (ja) 積層体及びプレス成形法
JP7380916B2 (ja) 積層フィルム
JPH09141806A (ja) 離型フイルム
JPH1158655A (ja) 易接着性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596201B1 (ko) 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도포된 라미네이션용폴리에스테르 필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