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8548B1 - 이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접착성 필름 및 착색하드코팅 필름 - Google Patents

이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접착성 필름 및 착색하드코팅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8548B1
KR100838548B1 KR1020027005223A KR20027005223A KR100838548B1 KR 100838548 B1 KR100838548 B1 KR 100838548B1 KR 1020027005223 A KR1020027005223 A KR 1020027005223A KR 20027005223 A KR20027005223 A KR 20027005223A KR 100838548 B1 KR100838548 B1 KR 1008385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wavelength
hard coat
layer
pig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52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60210A (ko
Inventor
오야다로
한다마꼬또
후꾸다마사유끼
Original Assignee
데이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1054038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2258760A/ja
Application filed by 데이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데이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602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02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85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85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67/00Adhesives based on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3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 C08K5/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having also oxygen in the ring
    • C08K5/353Five-membered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67/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09J7/25Plastics; Metallised plastic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7/255Polyes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S428/91Product with molecular orient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942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components having same physical characteristic in differing degree
    • Y10T428/24983Hardnes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8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having an adhesive outermost lay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786Of polyester [e.g., alkyd, etc.]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Abstract

CRT 나 액정표시장치 등의 영상표시면에 접합함으로써, 휘도를 저하시키지 않고 콘트라스트나 색순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광학용 이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접착성 필름 및 착색 하드코팅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색소가 배합된 파장 540 내지 630 ㎚ 에 있어서의 (1) 광선의 최대흡수피크의 파장 (X) 이 560 ㎚ 내지 610 ㎚ 의 범위에 있고, 또한 (2) 광선의 최대흡수피크의 반값폭이 80 ㎚ 이하이고, 파장 (X) 에 있어서의 광선투과율 (Tx) 을 파장 540 ㎚ 에 있어서의 광선투과율 (T540) 로 나눈 값 (Tx/T540) 이 0.80 미만이고, 파장 620 ㎚ 및 파장 450 ㎚ 에 있어서의 광선투과율 (T620 및 T450) 을 파장 540 ㎚ 에 있어서의 광선투과율 (T540) 로 나눈 값 (T620/T540) 이 각각 0.5 내지 1.5 의 범위에 있는 이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접착성 필름 및 착색 하드코팅 필름.

Description

이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접착성 필름 및 착색 하드코팅 필름{BIAXIALLY ORIENTED POLYESTER FILM, ADHESIVE FILM AND COLORED HARD COATING FILM}
본 발명은 이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접착성 필름 및 착색 하드코팅 필름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CRT 나 액정표시장치 등의 전자 디스플레이의 표시면에 접합하여 사용하기에 적합한 이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접착성 필름 및 착색 하드코팅 필름에 관한 것이다.
텔레비젼이나 퍼스널 컴퓨터의 CRT 디스플레이 등은 청색광, 녹색광 및 적색광의 3가지 빛을 발광시켜 영상을 표시한다. 그러나, 이들의 디스플레이 등은 청색광과 녹색광 또는 녹색광과 적색광의 각각의 중간색도 발광하고 있어 이들 중간색의 빛으로 인해 영상 색상의 콘트라스트가 희미해지는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이 문제는 퍼스널 컴퓨터의 급속한 보급에 의해 장시간 계속 보는 경우가 많아졌기 때문에 그 개선이 크게 요망되고 있다.
상기 문제의 대책으로서, 영상표시면에 방호층과 점착층으로 이루어지는 보호필름을 접합할 때에, 점착층에 카본블랙을 배합시키는 방법이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1-335639 호에 제안되어 있다. 이 공보에 따르면 점착층의 카본블랙에 의해 가시광대의 각 파장에 걸쳐 평균적으로 흡광도가 증가하므로, 청색광 및 녹색광 그리고 녹색광 및 적색광의 중간색의 투과를 각각 억제할 수 있어, 영상 색상의 콘트라스트가 명료해진다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 공보와 같은 평균적으로 투과율을 저하시키는 방법으로는 브라운관의 광량 자체가 저하되기 때문에 브라운관의 휘도가 저하되는 결점이 있었다.
이 같은 브라운관의 휘도가 저하되는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으로서, 가시광선의 투과율에 선택성을 갖게 한 컬러필터를 사용하여 콘트라스트 및 색순도를 향상시키는 방법이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58-153904 호에 제안되어 있다. 또한 플라스마 디스플레이용이기는 하나, 월간 디스플레이 Vol.58 (가부시끼가이샤 테크노타임즈 발행, 2000 년 4 월호) 의 72 내지 77 페이지에 유사한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컬러필터는 외면 설치식이며 브라운관과의 일체형이 아니다. 따라서, 브라운관과 외면 필터 사이에 공기층이 개재하기 때문에 외광의 반사율을 억제하기가 매우 어려워서 외래광에 의해 시인성 (視認性) 이 저하되기 쉬운 결점이 있었다.
또한, 브라운관의 유리에 색소를 첨가하여 가시광선에 대해 선택흡수성을 갖는 유리를 사용하는 방법이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57-5251 호에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은 제조비용이 매우 고가이기 때문에 현재 상품화되어 있지 않다. 게다가, 최근 확산되고 있는 평면화된 브라운관은 유리 두께가 브라운관의 중심부와 주변부에서 크게 다르기 때문에, 이 공보와 같은 색소의 첨가방법으로는 균일한 선택흡수성을 갖도록 하는 것이 매우 어렵게 되어 있다.
따라서, 이상과 같은 결점을 극복하는 CRT 나 액정표시장치 등의 영상표시면에 접합함으로써, 휘도를 저하시키지 않고 콘트라스트나 색순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광학용 보호필름의 제공이 크게 요망되었다. 또한 광학용 보호필름에서는 영상표시장치의 휘도를 저하시키지 않고 콘트라스트나 색순도를 향상시키는 것 이외에, 공정의 간소화, 점착층의 취급성 향상, 투명성의 향상, 외래광에 의한 시인성 저하의 방지, 내마모성의 향상 또는 보호필름을 구성하는 층간의 박리방지도 크게 요망되었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기술한 문제를 해소하여, 휘도를 저하시키지 않고 콘트라스트나 색순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이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휘도를 저하시키지 않고 콘트라스트나 색순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층간의 내박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접착성 필름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휘도를 저하시키지 않고 콘트라스트, 색순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내마모성도 향상시킬 수 있는 착색 하드코팅 필름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 및 이점은 이하의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상기 목적 및 이점은 첫째,
(1) 색소를 함유하고,
(2) 헤이즈값이 최대 5 % 이하이고,
(3) 파장이 540 내지 630 ㎚ 인 광선의 최대흡수피크의 파장 (X) 이 560 ㎚ 내지 610 ㎚ 의 범위에 있고,
(4) 파장이 540 내지 630 ㎚ 인 광선의 최대흡수피크의 반값폭이 80 ㎚ 이하이고,
(5) 파장이 540 내지 630 ㎚ 인 광선의 최대흡수피크의 파장 (X) 에 있어서의 광선투과율 (Tx) 을 파장 540 ㎚ 에 있어서의 광선투과율 (T540) 로 나눈 값 (Tx/T540) 이 0.80 미만이고,
(6) 파장 620 ㎚ 에 있어서의 광선투과율 (T620) 을 파장 540 ㎚ 에 있어서의 광선투과율 (T540) 로 나눈 값 (T620/T540) 이 0.5 내지 1.5 의 범위이고,
(7) 파장 450 ㎚ 에 있어서의 광선투과율 (T450) 을 파장 540 ㎚ 에 있어서의 광선투과율 (T540) 로 나눈 값 (T450/T540) 이 0.5 내지 1.5 의 범위이고, 또한
(8) 영상표시면 접합용 착색 하드코팅 필름을 위한 베이스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상기 목적 및 이점은 둘째, 본 발명의 이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그 편면상에 형성된 제 1 접착층으로 이루어지는 접착성 필름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상기 목적 및 이점은 셋째,
(1) 투명 기재필름과 그 한쪽의 면에 형성된 하드코팅층으로 이루어지고,
(2) 색소를 함유하고,
(3) 파장이 540 내지 630 ㎚ 인 광선의 최대흡수피크의 파장 (X) 이 560 ㎚ 내지 610 ㎚ 의 범위에 있고,
(4) 파장이 540 내지 630 ㎚ 인 광선의 최대흡수피크의 반값폭이 80 ㎚ 이하이고,
(5) 파장이 540 내지 630 ㎚ 인 광선의 최대흡수피크의 파장 (X) 에 있어서의 광선투과율 (Tx) 을 파장 540 ㎚ 에 있어서의 광선투과율 (T540) 로 나눈 값 (Tx/T540) 이 0.80 미만이고,
(6) 파장 620 ㎚ 에 있어서의 광선투과율 (T620) 을 파장 540 ㎚ 에 있어서의 광선투과율 (T540) 로 나눈 값 (T620/T540) 이 0.5 내지 1.5 의 범위이고,
(7) 파장 450 ㎚ 에 있어서의 광선투과율 (T450) 을 파장 540 ㎚ 에 있어서의 광선투과율 (T540) 로 나눈 값 (T450/T540) 이 0.5 내지 1.5 의 범위이고, 또한
(8) 영상표시면에 접합하기 위한 하드코팅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색 하드코팅 필름에 의해 달성된다.
도 1 은 본 발명의 광학용 이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나타내는 투과율 곡선의 일례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광학용 착색 하드코팅 필름이 나타내는 투과율 곡선의 일례이다.
도 3 은 음극선관의 형광체 스크린에 있어서의 청색, 녹색, 적색의 각 형광체의 발광 스펙트럼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착색 하드코팅필름의 두께방향을 따른 단면으로, 층 구성을 나타낸다.
도 5 내지 10 은 본 발명의 다른 착색 하드코팅 필름의 두께방향을 따른 단면으로, 본 발명의 착색 하드코팅 필름의 다른 층구성을 나타낸다.
발명의 실시형태
CRT 등의 발광색의 강도와 빛의 파장의 관계를 보면, 단파장측으로부터 청, 녹, 적의 3 개의 피크가 존재한다. 문제는 청색과 녹색 및 녹색과 적색의 피크의 완만하게 경사진 부분이 중첩된다는 데 있다. 이로 인해, 청색만 또는 녹색만 발색하여도 청색과 녹색의 중간색이, 또는 녹색만 또는 적색만 발색하여도 적색과 녹색의 중간색 즉 황색을 띠는 색이 약간 발색된다. 그리고, 이들 중간색이 영상의 콘트라스트 및 색순도를 저하시킨다. 사람의 눈이 특히 녹색과 적색의 중간색에 대해 감도가 높기 때문에, 특히 녹색과 적색의 중간색은 영상의 콘트라스트 및 색순도를 크게 저하시킨다. 청색과 녹색의 중간색은 사람의 눈에 있어 감도가 낮기 때문에 색순도는 향상되지만, 콘트라스트라는 점에서는 그다지 효과가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은 영상표시면에 접합하는 하드코팅 필름 또는 그것을 구성하는 이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색소 등을 첨가하여 녹색과 적색의 중간색에 해당하는 영역의 광선투과율을 저하시킨, 녹색과 적색의 중첩부분을 투과시키지 않도록 한 것이다.
이하, 먼저 본 발명의 이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상기 3원색의 녹색과 적색의 중첩부분의 빛을 투과시키지 않기 위해, 파장이 540 내지 630 ㎚ 인 광선의 최대흡수피크의 파장이 560 ㎚ 내지 610 ㎚ 의 범위에 있다. 이 최대흡수피크의 파장이 560 ㎚ 미만이거나 610 ㎚ 를 초과하면 녹색 또는 적색의 발광 자체를 많이 흡수하기 때문에 콘트라스트나 색순도의 향상은 기대할 수 없다. 바람직한 그 최대흡수피크의 파장은 570 ㎚ 내지 600 ㎚ 이다. 이하, X 를 파장이 540 내지 630 ㎚ 인 광선의 최대흡수피크의 파장이라고 하는 경우도 있다.
본 발명의 이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상기 3원색의 녹색과 적색의 중첩부분의 빛을 투과시키지 않기 위해, 파장이 540 내지 630 ㎚ 인 광선의 가시광역에 있어서의 최대흡수피크의 반값폭은 80 ㎚ 이하이다. 최대흡수피크의 반값폭이 80 ㎚ 를 초과하면 적색 또는 녹색의 발광을 많이 흡수하기 때문에 콘트라스트의 향상 및 색순도의 향상도 기대할 수 없다. 바람직한 최대흡수피크의 반값폭은 60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 매우 바람직하게는 40 ㎚ 이하이다. 한편, 최대흡수피크의 반값폭의 하한은 광범위한 표시장치에 대응할 수 있다는 점에서 10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이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콘트라스트 및 색순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파장이 540 내지 630 ㎚ 인 광선의 최대흡수피크의 파장 (X) 의 광선에 있어서의 투과율 (Tx) 이 파장 540 ㎚ 의 광선에 있어서의 투과율 (T540) 에 대해 0.80 미만이어야 한다. 이하, Tx 를 파장 (X) 의 광선에 있어서의 투과율, T540 을 파장 540 ㎚ 의 광선에 있어서의 투과율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Tx 가 T540 에 대해 0.80 이상이면 적색과 녹색의 중간색의 흡수가 불충분하여 콘트라스트 및 색순도의 향상을 기대할 수 없다. 바람직한 Tx/T540 은 0.60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Tx/T540 0.40 미만이다. 또한 Tx/T540 의 하한은 작을수록 바람직하기 때문에 제한되지 않지만, 0.05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10 이상인 것이 과도하게 색소를 첨가하지 않아도 되므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이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색소를 함유시킴으로써 선택적으로 가시광선을 흡수시키고 있어 발색에 편차가 생기기 쉽고, 본래 비춰지는 색을 변경하지 않도록 색상 (채도) 의 어긋남을 최대한 억제하는 것이 중요하다. 색상의 어긋남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적색, 녹색, 청색의 빛의 파장, 450 ㎚, 540 ㎚ 및 620 ㎚ 의 파장에 있어서의 광선의 투과율 (T450, T540 및 T620) 이 거의 동등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T450 을 파장 450 ㎚ 의 광선에 있어서의 투과율, T540 을 파장 540 ㎚ 의 광선에 있어서의 투과율 및 T620 을 파장 620 ㎚ 의 광선에 있어서의 투과율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이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색상의 어긋남을 억제하기 위해 T450/T540 및 T620/T540 이 0.5 내지 1.5 의 범위에 있다. T450/T540 또는 T620/T540 이 0.5 미만이거나 1.5 를 초과하면 브라운관으로부터의 발광의 착색정도가 커져 시인성이 저하된다. 바람직한 T450/T540 및 T620/T540 의 상한은 1.3 이고 하한은 0.7 이다. 더욱 바람직한 T450/T 540 및 T620/T540 의 상한은 1.2 이고 하한은 0.8 이다.
본 발명의 이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헤이즈값이 5 % 이하이다. 헤이즈값이 5 % 보다 크면 영상의 색상이 백탁되므로, 선영성이 결여되어 시인성이 저하된다. 본 발명에서 첨가하는 색소는 염료 및 안료를 들 수 있지만, 헤이즈값을 5 % 이하로 하기 쉬운 점에서 염료가 바람직하다. 또한, 염료는 그 흡수기구가 안료와는 상이하여 빛의 산란을 일으키지 않기 때문에 중간광만을 선택적으로 제거한다는 목적에서 바람직하다. 색소로서 안료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헤이즈값을 5 % 이하로 하기 쉬운 점에서 입경이 작은 안료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바람직한 안료의 입경은 평균입경 50 내지 500 ㎚ 의 범위이다.
본 발명의 이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선택적으로 적색과 녹색의 중간색을 흡수하도록 색소를 함유한다. 필름에 함유시키는 색소로는 최종제품까지의 열이력을 고려하여 330 ℃ 이하의 온도에서는 변질이나 열화가 일어나기 어려운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바람직한 색소로는 안트라퀴논계 색소, 퀴나크리돈계 색소, 피리논계 색소, 폴리메틴계 색소, 피로메텐계 색소, 포르피린계 색소, 프탈로시아닌계 색소 등을 들 수 있다. 색소의 첨가량은 이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면적, 즉 이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두께방향에 수직인 면의 면적을 기준으로 하여 0.004 내지 0.420 g/㎡,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4 내지 0.200 g/㎡ 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첨가량이 0.004 g/㎡ 미만 또는 0.420 g/㎡ 를 초과하면 전술한 가시광선에 있어서의 광선투과특성을 만족시키기 어렵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색소의 첨가방법은 에틸렌글리콜 등에 분산 또는 용해시켜 중합단계에서 첨가해도 되고, 필름 첨가농도보다 고농도의 색소를 첨가한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펠릿 또는 염료 자체를 용융 고화시킨 펠릿을 작성하고, 이것들을 폴리에스테르에 혼합하여 첨가해도 된다. 필름의 생산성이나 이물의 혼입방지 및 공정의 간소화라는 관점에서 후자의 방법이 바람직하다. 염료를 용융 고화시킬 때에는 적절한 바인더를 첨가해도 된다. 혼합방법은 특히 염료를 용융 고화시킨 펠릿에서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펠릿과 기계적 물성이 다르므로, 소형 공급장치에 의해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에스테르에 첨가하는 색소의 성질로는 생산성의 관점에서 폴리에스테르의 압출시에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점도 저하가 적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용융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점도 저하를 억제하기 위해 압출기의 전단변형속도는 70 (1/초) 근방, 체류시간은 20 내지 4000 초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체류시간이 20 초 미만에서는 염료의 혼련이 충분치 못하여 착색의 얼룩이 관찰되고, 한편 4000 초를 초과하면 점도의 저하로 인한 절단을 초래하기 쉬워진다.
본 발명의 이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는 방향족 이염기산 또는 그 에스테르 형성성 유도체와, 디올 또는 그 에스테르 형성성 유도체로부터 합성되는 선형 포화 폴리에스테르이다. 이러한 폴리에스테르의 구체예로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이소프탈레이트, 폴리프로필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1,4-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2,6-나프탈렌디카르복실레이트 등을 예시할 수 있고, 이들을 공중합 또는 블렌드한 것도 포함된다. 이들 중에서도 폴리에스테르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70 중량% 이상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폴리에틸렌-2,6-나프탈렌디카르복실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이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으로 하였을 때의 가공성이나 투명성의 관점에서,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주된 반복단위로 하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가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에 대한 공중합성분은, 디카르복실산 성분으로는 이소프탈산, 프탈산, 2,6-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등과 같은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아디프산, 아젤라인산, 세바스산, 데칸디카르복실산 등과 같은 지방족 디카르복실산, 시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과 같은 지환족 디카르복실산 등을 예시할 수 있고, 또는 디올 성분으로는 1,4-부탄디올, 1,6-헥산디올, 디에틸렌글리콜 등과 같은 지방족 디올,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과 같은 지환족 디올, 비스페놀 A 와 같은 방향족 디올을 예시할 수 있고, 이들 공중합성분은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 병용해도 된다. 이들 공중합성분 중, 가공성이나 투명성 등의 관점에서 이소프탈산이 특히 바람직하다.
공중합성분의 비율은 그 종류에 따라서도 달라지지만, 결과적으로 폴리머 융점이 230 내지 258 ℃ 로 되는 비율인 것이 바람직하다. 융점이 230 ℃ 미만에서는 내열성이나 기계적 강도가 떨어지는 경우가 있다. 이 같은 폴리에스테르로는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주된 반복단위로 하고 공중합성분을 이소프탈산으로 하는 경우, 산성분의 몰수를 기준으로 하여 이소프탈산의 비율을 12 ㏖% 이하로 하면 된다. 여기서, 폴리에스테르의 융점측정은 DuPont Instruments 910DSC 를 사용하여 승온속도 20 ℃/분으로 융해피크를 구하는 방법에 의한다. 그리고 샘플량은 20 ㎎ 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이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의 고유점도 (오르토클로로페놀, 35 ℃) 는 0.52 내지 1.50, 더욱 바람직하게는 0.57 내지 1.00, 특히 바람직하게는 0.60 내지 0.80 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유점도가 0.52 미만인 경우에는 제막성이 불량한 경우가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고유점도가 1.50 을 초과하면 성형가공성이 불량해지거나, 압출기에 과부하가 가해진다거나, 또는 수지온도의 지나친 상승으로 인해 고유점도가 현저히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이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는 그 자체 공지된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예컨대 테레프탈산과 에틸렌글리콜, 필요하다면 공중합성분 (예컨대 이소프탈산) 을 에스테르화 반응시키고, 이어서 얻어진 반응생성물을 목적하는 중합도가 될 때까지 중축합반응시켜 폴리에스테르로 하는 방법, 테레프탈산디메틸에스테르와 에틸렌글리콜, 필요하다면 공중합성분 (예컨대 이소프탈산디메틸에스테르) 을 에스테르 교환반응시키고, 이어서 얻어진 반응생성물을 목적으로 하는 중합도가 될 때까지 중축합반응시켜 폴리에스테르로 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물론, 필요하다면 산성분에 2,6-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또는 글리콜성분에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의 방법 (용융중합) 에 의해 얻어진 폴리에스테르는 필요에 따라 고체상 상태에서의 중합방법 (고체상중합) 에 의해 더욱 중합도가 높은 폴리머로 해도 된다. 그리고, 이 같이 하여 얻어진 폴리머는 그 자체 공지된 제막방법, 즉 폴리에스테르를 용융상태로 한 다음 선상의 다이로부터 압출하여 미연신 필름으로 하고, 그것을 연신, 열처리함으로써 이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으로 할 수 있다.
그런데, 염료는 일반적으로 열안정성 및 내후성이 안료에 비해 부족하다는 결점이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염료는 폴리에스테르에 첨가되므로, 대부분의 자외선은 폴리에스테르에 흡수되어 염료의 내후성을 우려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물론, 자외선에 의한 염료의 열화를 더욱 억제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이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자외선 흡수제가 첨가되는 것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이다.
본 발명의 이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함유되는 자외선 흡수제로는 예컨대 하기 화학식 1 :
Figure 112002012220889-pct00001
[식중, X01 은 상기 식에 표시된 X01 로부터의 2 개의 결합수(結合手)가 1 번 위치, 2 번 위치의 위치관계에 있는 2 가의 방향족 잔기이고 ; n 은 1, 2 또는 3 이고 ; R01 은 n 가의 탄화수소 잔기이고, 이것은 추가로 헤테로원자를 함유해도 되고, 또는 R01 은 n = 2 일 때 직접 결합일 수 있다],
및 하기 화학식 2 :
Figure 112002012220889-pct00002
[식중, A 는 하기 화학식 3 으로 표시되는 기이거나 하기 화학식 4 로 표시되는 기이고:
Figure 112002012220889-pct00003
Figure 112002012220889-pct00004
;
R02 및 R03 은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1 가의 탄화수소 잔기이고 ; X02 는 4 가의 방향족 잔기이고, 이것은 추가로 헤테로원자를 함유해도 된다]
로 표시되는 환상 이미노에스테르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화합물을 미반응의 형태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환상 이미노에스테르는 자외선 흡수제로서 공지된 화합물이고, 예컨대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59-12952 호에 기재되어 있다.
상기 화학식 1 중, X01 은 화학식 1 에 표시된 X01 로부터의 2 개의 결합수가 1 번 위치, 2 번 위치의 위치관계에 있는 2 가의 방향족 잔기이고 ; n 은 1, 2 또는 3 이고 ; R1 은 n 가의 탄화수소 잔기이고, 이것은 추가로 헤테로원자를 함유해도 되고, 또는 R1 은 n = 2 일 때 직접 결합일 수 있다.
X01 로는 바람직하게는 예컨대 1,2-페닐렌, 1,2-나프틸렌, 2,3-나프틸렌, 하기 화학식 5 로 표시되는 기를 들 수 있다:
Figure 112002012220889-pct00005
[식중, R 은 -O-, -CO-, -S-, -SO2-, -CH2-, -(CH2)2- 또는 -C(CH3)2- 이다].
이들 중, 특히 1,2-페닐렌이 바람직하다.
X01 에 대해 예시한 상기 방향족 잔기로는 탄소수 1 내지 10 의 알킬 예컨대 메틸, 에틸, 프로필, 헥실, 데실 등 ; 탄소수 6 내지 12 의 아릴 예컨대 페닐, 나프틸 등 ; 탄소수 5 내지 12 의 시클로알킬 예컨대 시클로펜틸, 시클로헥실 등 ; 탄소수 8 내지 20 의 아르알킬 예컨대 페닐에틸 등 ; 탄소수 1 내지 10 의 알콕시 예컨대 메톡시, 에톡시, 데실옥시 등 ; 니트로 ; 할로겐 예컨대 염소, 브롬 등 ; 탄소수 2 내지 10 의 아실 예컨대 아세틸, 프로포닐, 젠조일, 데카노일 ; 등의 치환기로 치환될 수 있다.
R01 은 n 가 (단, n 은 1, 2 또는 3 이다) 의 탄화수소 잔기이거나, 또는 n 이 2 일 때에 한해 직접 결합일 수 있다.
1 가의 탄화수소 잔기 (n = 1 인 경우) 로는 첫째, 예컨대 탄소수 1 내지 10 의 미치환 지방족 기, 탄소수 6 내지 12 의 미치환 방향족 기, 탄소수 5 내지 12 의 미치환 지환족 기를 들 수 있다.
탄소수 1 내지 10 의 미치환 지방족 기로는 예컨대 메틸, 에틸, 프로필, 헥실, 데실 등을, 탄소수 6 내지 12 의 미치환 방향족 기로는 예컨대 페닐, 나프틸, 비페닐 등을, 탄소수 5 내지 12 의 미치환 지환족 기로는 예컨대 시클로펜틸, 시클로헥실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1 가의 탄화수소 잔기로는 둘째, 예컨대 하기 화학식 6 으로 표 시되는 기:
Figure 112002012220889-pct00006
[식중, R04 는 탄소수 2 내지 10 의 알킬렌, 페닐렌 또는 나프틸렌이다],
하기 화학식 7 로 표시되는 기:
Figure 112002012220889-pct00007
[식중, R05 는 탄소수 1 내지 10 의 알킬기, 페닐기 또는 나프틸기이다],
하기 화학식 8 로 표시되는 기:
Figure 112002012220889-pct00008
[식중, R04 및 R05 의 정의는 상기한 것과 동일하며, R06 은 수소원자 또는 R05 로 정의된 기 중 어느 하나이다],
하기 화학식 9 로 표시되는 치환된 지방족 잔기 또는 방향족 잔기를 들 수 있다:
Figure 112002012220889-pct00009
[식중, R04 및 R06 의 정의는 상기한 것과 동일하며, R07 은 수소원자 또는 R05 로 정의된 기 중 어느 하나이다].
또한, 상기 1 가의 탄화수소 잔기로는 셋째, 상기 미치환의 방향족 잔기가 예컨대 상기 X01 을 나타내는 방향족 잔기의 치환기로서 예시한 것과 동일한 치환기로 치환되어 있는 것을 들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치환기로 치환된 경우의 예로는 예컨대 톨릴, 메틸나프틸, 니트로페닐, 니트로나프틸, 클로로페닐, 벤조일페닐, 아세틸페닐 또는 아세틸나프틸 등을 들 수 있다.
1 가의 탄화수소 잔기로는 상기 화학식 6, 7, 8 또는 9 로 표시되는 기, 즉 치환된 지방족 잔기 또는 방향족 잔기, 특히 그 중 치환된 방향족 잔기가 바람직하다.
2 가의 탄화수소 잔기 (n = 2 인 경우) 로는 첫째, 예컨대 2 가의 탄소수 2 내지 10 의 미치환의 지방족 잔기, 탄소수 6 내지 12 의 미치환의 방향족 잔기, 탄소수 5 내지 12 의 미치환의 지환족 잔기를 들 수 있다.
2 가의 탄소수 2 내지 10 의 미치환의 지방족 기로는 예컨대 에틸렌, 트리메틸렌, 테트라메틸렌, 데카메틸렌 등을, 2 가의 탄소수 6 내지 12 의 미치환의 방향족 잔기로는 예컨대 페닐렌, 나프틸렌, P,P'-비페닐렌 등을, 2 가의 탄소수 5 내지 12 의 미치환의 지환족 잔기로는 예컨대 시클로펜틸렌, 시클로헥실렌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2 가의 탄화수소 잔기로는 둘째, 예컨대 하기 화학식 10 :
Figure 112002012220889-pct00010
[식중, R08 은 R04 로 정의된 기 중 어느 하나이다],
으로 표시되는 기, 또는 하기 화학식 11
Figure 112002012220889-pct00011
[식중, R08 의 정의는 상기한 것과 동일하며, R09 는 R04 로 정의된 기 중 어느 하나이고, 그리고 R010 은 R06 으로 정의된 기 중 어느 하나이다]
로 표시되는 치환된 지방족 잔기 또는 방향족 잔기를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2 가의 탄화수소 잔기로는 셋째, 상기 미치환의 2 가의 방향족 잔기가 예컨대 상기 X01 을 나타내는 방향족 기의 치환기로서 예시한 것과 동일한 치환기로 치환되어 있는 것을 들 수 있다.
n 이 2 인 경우에는 R01 로는 이들 중 직접 결합 또는 상기 제 1 내지 제 3 군의 미치환 또는 치환된 2 가의 방향족 탄화수소 잔기가 바람직하고, 특히 2 개의 결합수가 가장 떨어진 위치로부터 나와 있는 제 1 또는 제 3 군의 미치환 또는 치환된 방향족 탄화수소 잔기가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P-페닐렌, P,P'-비페닐렌 또는 2,6-나프틸렌이 바람직하다.
3 가의 탄화수소 잔기 (n = 3 인 경우) 로는 예컨대 3 가의 탄소수 6 내지 12 의 방향족 잔기를 들 수 있다.
이러한 방향족 잔기로는 예컨대 하기 화학식 12 등을 들 수 있다:
Figure 112002012220889-pct00012
.
이러한 방향족 잔기는 상기 1 가의 방향족 잔기의 치환기로서 예시한 것과 동일한 치환기로 치환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5 중, R02 및 R03 은 동일하거나 상이한 1 가의 탄화수소 잔기이고, X02 는 4 가의 방향족 탄화수소 잔기이다.
R02 및 R03 으로는 상기 화학식 1 의 설명에서, n = 1 인 경우의 R01 에 대해 예시한 것과 동일한 기를 예로서 들 수 있다.
4 가의 방향족 탄화수소 잔기로는 예컨대 하기 화학식 13 으로 표시되는 기 를 들 수 있다:
Figure 112002012220889-pct00013
[식중, R0 의 정의는 화학식 5 와 동일하다].
상기 4 가의 방향족 잔기는 상기 화학식 1 의 설명에서, R01 을 나타내는 1 가의 방향족 잔기의 치환기로서 예시한 것과 동일한 치환기로 치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상기 화학식 1 및 2 로 표시되는 환상 이미노에스테르의 구체예로는 예컨대 하기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 의 n = 1 인 경우의 화합물 :
2-메틸-3,1-벤조옥사진-4-온, 2-부틸-3,1-벤조옥사진-4-온, 2-페닐-3,1-벤조옥사진-4-온, 2-(1-또는 2-나프틸)-3,1-벤조옥사진-4-온, 2-(4-비페닐)-3,1-벤조옥사진-4-온, 2-p-니트로페닐-3,1-벤조옥사진-4-온, 2-m-니트로페닐-3,1-벤조옥사진-4-온, 2-p-벤조일페닐-3,1-벤조옥사진-4-온, 2-p-메톡시페닐-3,1-벤조옥사진-4-온, 2-o-메톡시페닐-3,1-벤조옥사진-4-온, 2-시클로헥실-3,1-벤조옥사진-4-온, 2-p-(또는 m-)프탈이미드페닐-3,1-벤조옥사진-4-온, N-페닐-4-(3,1-벤조옥사진-4-온-2-일)프탈이미드, N-벤조일-4-(3,1-벤조옥사진-4-온-2-일)아닐린, N-벤조일-N-메틸-4-(3,1-벤조옥사진-4-온-2-일)아닐린, 2-(p-(N-메틸카르보닐)페닐)-3,1-벤조옥사진-4-온.
상기 화학식 1 의 n=2 인 경우의 화합물 :
2,2'-비스(3,1-벤조옥사진-4-온), 2,2'-에틸렌비스(3,1-벤조옥사진-4-온), 2,2'-테트라메틸렌비스(3,1-벤조옥사진-4-온), 2,2'-데카메틸렌비스(3,1-벤조옥사진-4-온), 2,2'-p-페닐렌비스(3,1-벤조옥사진-4-온), 2,2'-m-페닐렌비스(3,1-벤조옥사진-4-온), 2,2'-(4,4'-디페닐렌)비스(3,1-벤조옥사진-4-온), 2,2'-(2,6-또는 1,5-나프틸렌)비스(3,1-벤조옥사진-4-온), 2,2'-(2-메틸-p-페닐렌)비스(3,1-벤조옥사진-4-온), 2,2'-(2-니트로-p-페닐렌)비스(3,1-벤조옥사진-4-온), 2,2'-(2-클로로-p-페닐렌)비스(3,1-벤조옥사진-4-온), 2,2'-(1,4-시클로헥실렌)비스(3,1-벤조옥사진-4-온), N-p-(3,1-벤조옥사진-4-온-2-일)페닐, 4-(3,1-벤조옥사진-4-온-2-일)프탈아미드, N-p-(3,1-벤조옥사진-4-온-2-일)벤조일, 4-(3,1-벤조옥사진-4-온-2-일)아닐린.
상기 화학식 1 의 n=3 인 경우의 화합물 :
1,3,5-트리(3,1-벤조옥사진-4-온-2-일)벤젠, 1,3,5-트리(3,1-벤조옥사진-4-온-2-일)나프탈렌, 2,4,6-트리(3,1-벤조옥사진-4-온-2-일)나프탈렌
상기 화학식 2 의 화합물 :
2,8-디메틸-4H,6H-벤조(1,2-d;5,4-d')비스(1,3)-옥사진-4,6-디온, 2,7-디메틸-4H,9H-벤조(1,2-d;4,5-d')비스(1,3)-옥사진-4,9-디온, 2,8-디페닐-4H,8H-벤조(1,2-d;5,4-d')비스(1,3)-옥사진-4,6-디온, 2,7-디페닐-4H,9H-벤조(1,2-d;4,5-d')비스(1,3)-옥사진-4,6-디온, 6,6'-비스(2-메틸-4H,3,1-벤조옥사진-4-온), 6,6'-비스(2-에틸-4H,3,1-벤조옥사진-4-온), 6,6'-비스(2-페닐-4H,3,1-벤조옥사진-4-온), 6,6'-메틸렌비스(2-메틸-4H,3,1-벤조옥사진-4-온), 6,6'-메틸렌비스(2-페닐-4H,3,1-벤조옥사진-4-온), 6,6'-에틸렌비스(2-메틸-4H,3,1-벤조옥사진-4-온), 6,6'-에틸렌비스(2-페닐-4H,3,1-벤조옥사진-4-온), 6,6'-부틸렌비스(2-메틸-4H,3,1-벤조옥사진-4-온), 6,6'-부틸렌비스(2-페닐-4H,3,1-벤조옥사진-4-온), 6,6'-옥시비스(2-메틸-4H,3,1-벤조옥사진-4-온), 6,6'-옥시비스(2-페닐-4H,3,1-벤조옥사진-4-온), 6,6'-술포닐비스(2-메틸-4H,3,1-벤조옥사진-4-온), 6,6'-술포닐비스(2-페닐-4H,3,1-벤조옥사진-4-온), 6,6'-카르보닐비스(2-메틸-4H,3,1-벤조옥사진-4-온), 6,6'-카르보닐비스(2-페닐-4H,3,1-벤조옥사진-4-온), 7,7'-메틸렌비스(2-메틸-4H,3,1-벤조옥사진-4-온), 7,7'-메틸렌비스(2-페닐-4H,3,1-벤조옥사진-4-온), 7,7'-비스(2-메틸-4H,3,1-벤조옥사진-4-온), 7,7'-에틸렌비스(2-메틸-4H,3,1-벤조옥사진-4-온), 7,7'-옥시비스(2-메틸-4H,3,1-벤조옥사진-4-온), 7,7'-술포닐비스(2-메틸-4H,3,1-벤조옥사진-4-온), 7,7'-카르보닐비스(2-메틸-4H,3,1-벤조옥사진-4-온), 6,7'-비스(2-메틸-4H,3,1-벤조옥사진-4-온), 6,7'-비스(2-페닐-4H,3,1-벤조옥사진-4-온), 6,7'-메틸렌비스(2-메틸-4H,3,1-벤조옥사진-4-온), 6,7'-메틸렌비스(2-페닐-4H,3,1-벤조옥사진-4-온).
상기 예시화합물 중, 상기 화학식 1 의 화합물, 보다 바람직하게는 n=2 인 경우의 상기 화학식 1 의 화합물, 특히 바람직하게는 하기 화학식 14 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유리하게 사용된다:
Figure 112002012220889-pct00014
[식중, R011 은 2 가의 방향족 탄화수소 잔기이다].
화학식 14 의 화합물로는, 그 중에서 2,2'-p-페닐렌비스(3,1-벤조옥사진-4-온), 2,2'-(4,4'-디페닐렌)비스(3,1-벤조옥사진-4-온) 및 2,2'-(2,6-나프틸렌)비스(3,1-벤조옥사진-4-온) 이 바람직하다.
이들 환상 이미노에스테르의 자외선흡수 특성은, 예컨대 그 대표적 화합물에 대하여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59-12952호에 기재되어 있으므로 그것을 원용한다.
상기 환상 이미노에스테르는, 폴리에스테르에 대하여 우수한 상용성을 갖지만, 상기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59-12952호 또는 미합중국 특허 제 4291152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폴리에스테르의 말단수산기와 반응하는 능력을 갖는다. 따라서 환상 이미노에스테르가 실질적으로 미반응 상태에서 함유되도록, 환상 이미노에스테르와 폴리에스테르를 주의깊게 혼합할 필요가 있다. 단, 폴리에스테르로서 주된 비율의 말단기가 카르복실기인 폴리에스테르나, 말단수산기가 이 환상 이미노에스테르와 반응성이 없는 말단봉쇄제로 봉쇄되어 있는 폴리에스테르를 사용하는 경우, 환상 이미노에스테르를 미반응 상태에서 함유하는 조성물을 제조하는데 특별한 주의를 할 필요는 없다. 주된 비율의 말단기가 수산기인 폴리에스테르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용융 혼합의 시간은 이하의 2 개의 식을 만족하도록 단시간에 완료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logt≤-0.008T+4.8
Tm〈T〈320
[식 중, t 는 용융 혼합시간 (초), T 는 용융 혼합온도 (℃) 및 Tm 은 폴리에스테르의 용융온도 (℃) 이다].
이 경우, 환상 이미노에스테르와 폴리에스테르가 적은 비율로 반응할 가능성이 있지만, 이 반응에 의해 폴리에스테르의 분자량은 커지므로, 이 비율에 따라서는 흡광제에 의해 폴리에스테르의 열화로 인한 분자량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환상 이미노에스테르가 폴리에스테르와 반응한 경우, 자외선흡수 파장영역이 일반적으로 미반응 상태의 자외선흡수 파장영역에서 저파장측으로 어긋나는 경향을 나타내고, 이 때문에 고파장측의 자외선을 투과하는 경향을 갖는다.
상기 환상 이미노에스테르는, 적량을 첨가할 경우, 승화물이 거의 없으므로, 제막으로 다이 주변을 오염시키는 일이 적고, 자외선으로부터 380㎚ 부근의 광선을 흡수하므로 필름의 착색이 없으며, 가시광선흡수제나 필름의 열화를 방지하는 특성이 우수하다.
상기 자외선흡수제의 첨가량은 폴리에스테르에 대하여 0.1 내지 5 중량% 가 바람직하고, 0.2 내지 3 중량% 가 더욱 바람직하다. 0.1% 미만의 양에서는 자외선 열화방지효과가 작고, 한편 5 중량% 를 초과하면 폴리에스테르의 제막 특성이 쉽게 저하된다. 이 자외선흡수제의 첨가는, 폴리에스테르의 중합시, 또는 용융압출시가 바람직하고, 특히 자외선흡수제를 마스터 펠릿으로 하여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이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는, 그 제조과정 또는 그 후의 다이에서 압출할 때까지의 과정에서, 필요에 따라 산화방지제, 열안정제, 점도조정제, 가소제, 색상개량제, 활제, 핵제, 대전방지제, 산화방지제, 촉매 등의 첨가제를 첨가하여도 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폴리에스테르에 첨가하는 활제로는 적당한 조면화물질 (필러: filler) 을 함유시키는 것을 들 수 있다. 이 필러로는 종래부터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활성부여제로서 알려져 있는 것을 들 수 있고, 예컨대 탄산칼슘, 산화칼슘, 산화알루미늄, 카오린, 산화규소, 산화아연, 카본블랙, 탄화규소, 산화주석, 가교아크릴수지, 가교폴리스티렌수지, 멜라민수지, 가교실리콘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입자를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투명성을 유지하면서 활성을 부여할 수 있는 점에서, 평균입경 1 내지 3㎛ 의 다공질 실리카가 바람직하다. 다공질 실리카의 첨가량은, 투명성과 활성의 관점에서 0.01 내지 0.005 중량% 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이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두께는, 만일 CRT 가 폭축(爆縮)된 경우에 유리의 비산(飛散)을 쉽게 억제할 수 있는 점에서 5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두께의 상한은, 헤이즈값을 5% 이하로 유지하는 것의 용이성 및 필름의 생산성으로부터 250㎛ 이하가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전술한 이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적어도 편면에, 접착층을 형성시킨 본 발명의 접착성 필름에 대하여 상세히 서술한다.
본 발명의 접착성 필름은, 영상표시면 접합용 착색 하드코팅 필름을 제조하기 위한 중간제품이라고 할 수 있다. 영상표시면 접합용 착색 하드코팅 필름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본 발명의 접착성 필름을 구성하는 접착층은, 수성 폴리에스테르수지 또는 아크릴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조성물 내지는 양자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중에서도, 특히 수성 폴리에스테르와 아크릴수지의 혼합물이 바람직하다. 이 접착층을 형성하는 수성 폴리에스테르수지의 유리전이점 (Tg) 은 45 내지 100℃ 인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Tg 의 상한은 80℃ 이고, 바람직한 Tg 의 하한은 50℃ 이다. 수성 폴리에스테르의 유리전이점이 45℃ 미만인 경우, 얻은 접착성 필름의 내열성이 낮아지거나 내블로킹성이 쉽게 저하된다. 한편 수성 폴리에스테르의 Tg 가 100℃ 를 초과하면, 접착성의 향상효과가 부족해진다. 여기에서 말하는 수성 폴리에스테르란 물에 가용성 또는 분산성의 폴리에스테르이지만, 다소의 유기용제를 병용함으로써, 물에 가용성 또는 분산성을 나타내는 폴리에스테르도 포함한다.
이와 같은 수성 폴리에스테르수지는, 다염기산 또는 그 에스테르 형성 유도체와 폴리올 또는 그 에스테르 형성 유도체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인 다염기산 성분으로는,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프탈산, 무수프탈산, 2,6-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1,4-시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 아디프산, 세바스산, 트리멜리트산, 피로멜리트산, 다이머산, 5-나트륨술포이소프탈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의 산성분을 2 종 이상 사용하여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수지를 합성한다. 또 약간의 양이면서 불포화다염기산성분의 말레산, 이타콘산 등 및 p-히드록시벤조산 등과 같은 히드록시카르복실산을 사용하여도 된다. 또 구체적인 폴리올성분으로는, 에틸렌글리콜, 1,4-부탄디올, 디에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1,6-헥산디올,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크실렌글리콜, 디메틸올프로판, 폴리(에틸렌옥시드)글리콜, 폴리(테트라메틸렌옥시드)글리콜 등을 들 수 있다.
접착층을 구성하는 아크릴수지의 유리전이점 (Tg) 은 -50 내지 50℃ 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아크릴수지의 유리전이점이 -50℃ 미만인 경우, 얻은 접착성 필름의 내열성이 낮아지거나, 내블로킹성이 쉽게 저하된다. 한편 이 아크릴수지의 Tg 가 50℃ 를 초과하면, 접착성의 향상효과가 부족해진다. 여기에서 말하는 아크릴수지란, 물에 가용성 또는 분산성의 폴리에스테르이지만, 다소의 유기용제를 병용함으로써, 물에 가용성 또는 분산성을 나타내는 폴리에스테르도 포함한다.
이와 같은 아크릴수지로는 이하와 같은 아크릴모노머로부터 공중합된 것이다. 구체적인 아크릴모노머로는, 알킬아크릴레이트, 알킬메타크릴레이트 (알킬기로는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n-부틸기, 이소부틸기, t-부틸기, 2-에틸헥실기, 시클로헥실기 등) ;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 틸메타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등의 히드록시 함유 모노머 ; 글리시딜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알릴글리시딜에테르 등의 에폭시기 함유 모노머 ;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이타콘산, 말레산, 푸마르산, 크로톤산, 스티렌술폰산 및 그 염 (나트륨염, 칼륨염, 암모늄염, 제3급아민염 등) 등의 카르복실기 또는 그 염을 함유하는 모노머 ; 아크릴아미드, 메타크릴아미드, N-알킬아크릴아미드, N-알킬메타크릴아미드, N,N-디알킬아크릴아미드, N,N-디알킬메타크릴레이트 (알킬기로는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n-부틸기, 이소부틸기, t-부틸기, 2-에틸헥실기, 시클로헥실기 등), N-알콕시아크릴아미드, N-알콕시메타크릴아미드, N,N-디알콕시아크릴아미드, N,N-디알콕시메타크릴아미드 (알콕시기로는 메톡시기, 에톡시기, 부톡시기, 이소부톡시기 등), 아크릴로일모르폴린, N-메틸올아크릴아미드, N-메틸올메타크릴아미드, N-페닐아크릴아미드, N-페닐메타크릴아미드 등의 아미드기를 함유하는 모노머 ; 무수말레산, 무수이타콘산 등의 산무수물의 모노머 ; 비닐이소시아네이트, 알릴이소시아네이트, 스티렌, α-메틸스티렌, 비닐메틸에테르, 비닐에틸에테르, 비닐트리알콕시실란, 알킬말레산모노에스테르, 알킬푸마르산모노에스테르, 알킬이타콘산모노에스테르,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염화비닐리덴, 에틸렌, 프로필렌, 염화비닐, 아세트산비닐, 부타디엔 등을 바람직하게 예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접착층은, 상기 조성물의 수용액, 수분산액 또는 유화액을, 롤코팅법, 그라비아코팅법, 롤브러시법, 스프레이코팅법, 에어나이프코팅법, 함침법, 커텐코팅법 등에 의해 지지체 상에 형성할 수 있다. 이 접착층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의 수용액, 수분산액 또는 유화액, 필요에 따라 전술한 조성물로 예시한 것 이외의 수지, 예컨대 옥사졸릴기를 갖는 중합체, 멜라민, 에폭시, 아지리딘 등의 가교제, 대전방지제, 색소, 계면활성제, 자외선흡수제, 활제 (필러, 왁스) 등을 첨가한 것이어도 된다. 상기 조성물의 수용액, 수분산액 또는 유화액의 지지체로의 도포는, 지지체인 이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과정에서나 제조후에서도 상관없지만, 이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막과정에서 실행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이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배향 결정화가 완료될 때까지의 단계에서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결정 배향이 완료될 때까지의 단계란, 미연신 필름, 미연신 필름을 필름의 길이방향 (길이방향) 또는 필름의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방향 (축방향) 중 어느 한 쪽으로 배향시킨 일축 배향 필름, 그리고 필름의 길이방향 및 필름의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양 방향으로 저배율로 연신배향시킨 것 (최종적으로 필름의 길이방향 또는 필름의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재연신시켜 배향 결정화를 완료시키기 전의 이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등을 포함하는 것이다. 이들 중에서도, 한 방향으로 배향시킨 일축 연신 필름에 상기 조성물의 도포액을 도포하고, 그대로 배향시킨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신하고, 그 후 열고정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연신공정의 도중에서 도포된 접착층은 베이스 필름인 이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과 강고하게 접합한다. 이 접착층은, 필요에 따라 필름의 편면에만 형성하여도 되고, 양면에 형성하여도 된다. 이 접착층의 두께는, 도포액의 도포량에 의해 조정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100㎚, 보다 바람직하게는 75 내지 95㎚ 의 범위이다. 도막의 두께가 70㎚ 미만이면 접착력이 부족하고, 반대로 너무 두꺼워 100㎚ 을 초과하면 블로킹을 일으키거나 헤이즈값이 높아질 가능성이 있다.
또 도포액을 필름에 도포할 때에는, 도포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예비처리로서 도포면에 미리 코로나표면처리, 화염처리, 플라즈마처리 등의 물리처리를 실시하거나 또는 도막조성물과 함께 이것과 화학적으로 불활성인 계면활성제를 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계면활성제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수성도액이 젖는 것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예컨대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지방산에스테르, 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르,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지방산금속비누, 알킬황산염, 알킬술폰산염, 알킬술포숙신산염 등의 음이온형, 비이온형 계면활성제를 들 수 있다.
접착층을 형성하기 위한 도액은, 원료중의 불순물 등의 존재에 의해, 이온성의 저분자화합물이 혼재되는 경우가 있다. 여기에서 말하는 이온성의 저분자화합물은, -SO3 -M+, -COO-M+, -PO4 -M+, -NO-M+ (식 중의 M 은 알칼리금속 또는 암모늄기를 나타냄) 등으로 표시되는 이온성 관능기를 갖는 분자량 1000 이하의 물질이다. 이 이온성의 저분자화합물이 접착층중에 1000ppm 을 초과하여 존재하면, 전술한 도액을 이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도공할 때에, 도액의 이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대한 습성이 저하되어, 일정한 두께의 도막을 얻을 수 없거나, 접착성이 쉽게 저하된다. 또한 이온성 저분자 화합물의 검출은 필름면에 도막을 형성한 후, 그 도막면을 XPS (X선 광전자분광) 에 의해 표면분석함으로써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접착성 필름은, 접착층을 이면 (양면도포의 경우에는 임의의 편면) 으로 할 때, 이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측으로부터 가시광영역의 광을, 면에 대하여 45도 각도로 입사되었을 때의 접착층과 이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과의 계면에 있어서의 반사율이, 입사광에 대하여 0.4%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이 반사율을 이면반사율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이면반사율이 0.4% 를 초과하면 표면반사에 대한 영향을 무시할 수 없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광학용 착색 하드코팅 필름으로 사용한 경우, 외래광의 반사가 표면반사와 이면반사의 간섭에 의해 무지개모양을 형성하여 시인성을 매우 저하시킨다. 이 이면반사율을 0.4% 이하로 하기 위해서는, 접착층의 두께방향에서의 굴절율 (nz) 을 1.50 내지 1.60 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nz 가 상기 범위를 일탈하면, 가시광영역의 이면반사율이 0.4% 를 쉽게 초과하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착색 하드코팅 필름에 대하여 상세하게 서술한다.
본 발명의 착색 하드코팅 필름은, 녹색과 적색의 중간색에 해당하는 영역의 광선투과율을 적당량 저하시켜, 상기 삼원색의 녹색과 적색의 중첩부분을 투과시키지 않도록 한, 적어도 하드코팅층과 투명 기재필름으로 이루어지는 하드코팅 필름에 색소를 함유시킨 착색 하드코팅 필름이다.
본 발명의 착색 하드코팅 필름은, 상기 삼원색의 녹색과 적색의 중첩부분의 광을 투과시키지 않기 위해, 파장 540 내지 630㎚ 에서의 광선의 최대흡수피크의 파장이 560㎚ 내지 610㎚ 의 범위에 있다. 이 최대흡수피크의 파장이 560㎚ 미만이거나 610㎚ 을 초과하면, 녹 또는 적의 발광자체를 많이 흡수하기 때문에, 콘 트라스트나 색순도의 향상은 기대할 수 없다. 바람직한 이 최대흡수피크의 파장은 570㎚ 내지 600㎚ 이다.
본 발명의 착색 하드코팅 필름은, 상기 삼원색의 녹색과 적색의 중첩부분의 광을 투과시키지 않기 위해, 파장이 540 내지 630㎚ 인 광선의 가사광역에서의 최대흡수피크의 반값폭은 80㎚ 이하이다. 최대흡수피크의 반값폭이 80㎚ 을 초과하면, 적 또는 녹의 발광을 많이 흡수하기 때문에, 콘트라스트와 색순도의 향상을 기대할 수 없다. 바람직한 최대흡수피크의 반값폭은 6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매우 바람직하게는 40㎚ 이하이다. 한편 최대흡수피크의 반값폭의 하한은, 광범한 표시장치에 대응할 수 있기 때문에 1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착색 하드코팅 필름은, 콘트라스트 및 색순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파장이 540 내지 630㎚ 인 광선의 최대흡수피크의 파장 (X) 의 광선에서의 투과율 (TX) 이, 파장 540㎚ 의 광선에서의 투과율 (T540) 에 대하여, 0.80 미만이어야 한다. 이하, TX 를 파장 (X) 의 광선에서의 투과율, T540 를 파장 540㎚ 의 광선에서의 투과율로 칭하는 경우가 있다. TX 가 T540 에 대하여, 0.80 이상이면, 적과 녹의 중간색의 흡수가 불충분하여, 콘트라스트 및 색순도의 향상을 기대할 수 없다. 바람직한 TX/T540 는 0.60 미만, 보다 바람직한 TX/T540 는 0.40 미만이다. 또 TX/T540 의 하한은 작을수록 바람직하기 때문에 제한되지 않지만, 0.05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10 이상인 것이 과도하게 색소를 첨가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착색 하드 코팅 필름은, 색소를 함유시킴으로써 선택적으로 가시광선을 흡수시키고 있기 때문에, 발색에 편차가 생기기 쉽고, 본래 비춰지는 색을 변경하지 않도록 색상 (채도) 의 어긋남을 최대한으로 억제하는 것이 중요하다. 색상의 어긋남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적색, 녹색, 청색의 빛의 파장, 450㎚, 540㎚ 및 620㎚ 의 파장에서의 광선의 투과율 (T450, T540 및 T620) 이 거의 동등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착색 하드코팅 필름은, 색상의 어긋남을 억제하기 위해, T450/T540 및 T620/T540 이 0.5 내지 1.5 의 범위에 있다. T450/T540 또는 T620/T540 이 0.5 미만이거나 1.5 를 초과하면, 브라운관으로부터의 발광의 착색정도가 커져 시인성이 저하된다. 바람직한 T450/T540 및 T620/T540 의 상한은 1.3 이고, 하한은 0.7 이다. 더욱 바람직한 T450/T540 및 T620/T540 의 상한은 1.2 이고, 하한은 0.8 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착색 하드코팅 필름은 이 하드코팅 필름을 구성하는 어느 하나의 층에, 전술한 광학특성을 만족하는 색소를 함유시킨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색소는, 최종제품까지의 열이력을 고려하여 적어도 150℃ 이하의 온도에서는 변질이나 열화가 잘 생기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본 발명의 이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에서 예시한, 안트라퀴논계 색소, 퀴나크리돈계 색소, 피리논계 색소, 폴리메틴계 색소, 피로메텐계 색소, 포르피린계 색소, 프탈 로시아닌계 색소가 바람직하다. 색소의 바람직한 첨가량은, 착색 하드코팅 필름의 면적, 즉 착색 하드코팅 필름의 두께방향에 수직인 면의 면적을 기준으로 하여, 0.004 내지 0.420g/㎡,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4 내지 0.200g/㎡ 의 범위이다.
본 발명의 착색 하드코팅 필름의 헤이즈값은, 10% 이하, 5%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헤이즈값이 10% 보다 크면 영상 색상이 백탁되어, 선영성이 결여되어 시인성이 저하되기 쉽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색소는, 염료 및 안료중 어느 것이어도 되지만, 헤이즈값의 관점에서 염료가 바람직하다. 안료를 색소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 입경을 작게 함으로써 헤이즈값을 억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바람직한 안료의 입경은, 평균입경으로 50 내지 500㎚ 의 범위이다.
본 발명의 착색 하드코팅 필름의 층구성에 대하여, 도 4 내지 10 을 이용하여 이하에 상세히 서술한다. 또한 도면중의 부호, 1 은 투명 기재필름, 2 는 착색층, 3 은 점착층, 4 는 하드코팅층, 5 는 반사방지층, 6 은 오염방지층, 21 은 착색된 투명 기재필름, 23 은 착색된 점착층, 24 는 착색된 하드코팅층, 51 은 중굴절율층, 52 는 고굴절율층 및 53 은 저굴절율층을 나타낸다. 또한 전술한 접착성 필름에서 설명한 접착층은 투명 기재필름과 하드코팅층 또는 점착층 등과의 접착성을 높이는 것으로, 여기에서 말하는 점착층은, 착색 하드코팅 필름을 영상표시면에 접합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 접착층을 제 1 접착층, 점착층을 제 2 접착층으로 칭하는 경우가 있다.
도 4 는 본 발명의 착색 하드코팅 필름의 층구성 1 을 나타낸다. 도 4 의 착색 하드코팅 필름은 색소를 함유하는 착색된 투명 기재필름 (21) 을 사용하는 예로, 이 착색 투명 기재필름 (21) 의 일측의 면에 하드코팅층 (4) 이, 타측의 면, 즉 표시장치의 표시면에 접착하는 측의 면에 점착층 (3) 이 형성되어 있다.
도 5 는 본 발명의 착색 하드코팅 필름의 층구성 2 를 나타낸다. 도 5 의 착색 하드코팅 필름은 점착층이 색소를 함유하는 예로, 투명 기재필름 (1) 의 일측의 면에 하드코팅층 (4) 이 타측의 면, 즉 표시장치의 표시면에 접착하는 측의 면에 착색점착층 (23) 이 형성되어 있다.
도 6 은 본 발명의 착색 하드코팅 필름의 층구성 3 을 나타낸다. 도 6 의 착색 하드코팅 필름은 하드코팅층이 색소를 함유하는 예로, 투명 기재필름 (1) 의 일측의 면에 하드코팅층 (24) 이, 타측의 면 즉 표시장치의 표시면에 접착하는 측의 면에 점착층 (3) 이 형성되어 있다.
도 7 은 본 발명의 착색 하드코팅 필름의 층구성 4 를 나타낸다. 도 7 을 보고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투명 기재필름 (1) 의 일측의 면에 하드코팅층 (4) 이, 타측의 면에 색소를 함유하는 착색층 (2) 이 형성되고, 이 착색층 (2) 상에는 점착층 (3) 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착색 하드코팅 필름의 점착층 (3) 이 형성되어 있는 면이 표시장치의 표시면에 접착되는 측의 면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착색 하드코팅 필름의 층구성 5 를 나타낸다. 도 8 의 착색 하드코팅 필름은, 투명 기재필름 (1) 의 일측의 면에 색소를 함유하는 착색층 (2) 이 형성되고, 이 착색층 (2) 상에 다시 하드코팅층 (4) 이 형성되고, 투명 기재필름 (1) 의 타측의 면, 즉 표시장치의 표시면에 접착되는 측의 면에 점착 층 (3) 이 형성되어 있다.
도 9 는 본 발명의 착색 하드코팅 필름의 층구성 6 을 나타낸다. 도 9 의 착색 하드코팅 필름은 반사방지성과 오염방지성이 부여된 예로, 도 7 의 층구성 4 의 착색 하드코팅 필름의 하드코팅층 (4) 상에, 중굴절율층 (51), 고굴절율층 (52), 저굴절율층 (53) 으로 이루어지는 반사방지층 (5) 을 이 순서대로 형성하고, 다시 이 반사방지층 (5) 상에 오염방지층 (6) 을 형성한 것이다. 또한 반사방지층 (5) 또는 오염방지층 (6) 은, 층구성 1 의 착색 하드코팅 필름뿐만 아니라, 전술한 층구성 2 내지 5 중 어느 착색 하드코팅 필름에도 적용할 수 있고, 이것들은 하드코팅층의 투명 기재필름측과는 다른 면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 은 본 발명의 착색 하드코팅 필름의 층구성 7 을 나타낸다. 도 10 의 착색 하드코팅 필름은 반사방지성과 오염방지성이 부여된 예로, 도 4 의 층구성 1 의 착색 하드코팅 필름의 하드코팅층 (4) 상에, 중굴절율층 (51), 고굴절율층 (52), 저굴절율층 (53) 으로 이루어지는 반사방지층 (5) 을 이 순서대로 형성하고, 추가로 이 반사방지층 (5) 상에 오염방지층 (6) 을 형성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의 착색 하드코팅 필름은, 전술한 도 4 내지 10 의 층구성에 한정하지 않고, 이것들은 조합하여도 된다. 예컨대 투명 기재필름과 하드코팅층, 투명 기재필름과 점착층 또는 하드코팅층과 점착층의 양쪽에 색소를 함유시킨 것 또는 투명 기재필름, 하드코팅층 및 투명 기재필름의 3 층에 색소를 함유시킨 것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착색 하드코팅 필름을 형성하는 투명 기재필름은, 무색투명하고 착색 하드코팅 필름의 지지체로서 실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기계적강도를 갖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에서 말하는 무색이란, 착색 하드코팅 필름으로 했을 때에, 전술한 가시광선에서의 광학특성을 만족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투명 기재필름에 색소를 첨가하여 착색한 것도 이 광학특성을 만족하는 경우는 포함된다. 또 여기에서 말하는 투명이란, 헤이즈가 최대 10% 이하, 바람직하게는 5%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구체적인 투명 기재필름으로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트리아세틸셀룰로스 (TAC) 필름, 폴리알릴레이트필름, 폴리이미드필름, 폴리에테르필름, 폴리카보네이트필름, 폴리술폰필름, 폴리에테르술폰필름, 폴리아미드필름, 폴리프로필렌필름, 폴리메틸펜텐필름, 폴리염화비닐필름, 폴리비닐아세탈필름, 폴리메타크릴산메틸필름, 폴리우레탄필름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투명성 및 가공성의 관점에서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바람직하고, 특히 기계적강도가 높은 점에서 이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바람직하다. 이들의 투명 기재필름의 두께는, 만일 CRT 가 폭축된 경우에 유리의 비산을 쉽게 억제하는 점에서 50㎛ 이상이 바람직하고, 한편 두께의 상한은 헤이즈값을 10% 이하로 하기 쉬운 점 및 필름의 생산성이 높은 점에서 250㎛ 이하가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착색 하드코팅 필름을 구성하는 이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으로는, 색소를 첨가하지 않아도 되는 것 이외에는, 전술한 본 발명의 이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에서 설명한 것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착색 하드코팅 필름을 구성하는 이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하드코팅층 등과의 접착성을 높이기 위해, 그 적어도 편면에 접착층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착색 하드코팅 필름을 구성하는 이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적어도 편면에 형성하는 접착층에 대해서는, 전술한 접착성 필름에서 설명한 것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특히 접착층으로는 수성 폴리에스테르와 지방산의 아미드 및/또는 지방산의 비스아미드를 주성분으로 하는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접착층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의 접착층을 구성하는 지방산의 아미드 또는 지방산의 비스아미드는, 각각 R001CONH2 또는 R001CONHR003NHOCR002 로 표시되는 것으로, R001CO- 및 R002CO- 는 지방산 잔기, -NHR003NH- 는 디아민 잔기이다. 본 발명에서의 지방산으로는 탄소수 6 내지 22 의 포화 또는 불포화지방산이 바람직하고, 디아민으로는 탄소수 1 내지 15 의 디아민 특히 알킬렌디아민이 바람직하고, 또 비스아미드로는 탄소수가 13 내지 15 이고 분자량이 200 내지 800 의 N,N'-알킬렌비스아미드가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N,N'-메틸렌비스스테아르산아미드, N,N'-에틸렌비스팔미틴산아미드, N,N'-메틸렌비스라우린산아미드, 리놀산아미드, 카프릴산아미드, 스테아르산아미드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이들 지방산의 아미드 및/또는 지방산의 비스아미드는, 도막을 형성하는 조성물중에 3 내지 10 중량% 함유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방산의 아미드 및/또는 지방산의 비스아미드의 함유량이 3 중량% 미만이면 충분한 접착력을 얻기 어려워, 활성, 내블로킹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으며, 또한 10 중량% 를 초과하면, 필름과 도막의 밀착성이 쉽게 저하되어 도막과 유리용 접착제의 접착성이 저하되거나 도막의 약화를 초래함과 동시에 헤이즈가 쉽게 높아진다.
본 발명에서의 접착층은 마찰계수가 0.8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0.6%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접착층의 마찰계수가 0.8 을 초과하면 권취성이나 가공작업성이 불량하여 원활한 제막과 가공을 할 수 없다. 이와 같은 마찰계수의 접착층을 형성하는 수단으로는, 접착층의 도막중에 평균입경이 0.15㎛ 이하, 특히 0.01 내지 0.1㎛ 의 조면화물질을 함유시키는 것을 들 수 있다. 이 조면화물질의 구체예로는,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산화칼슘, 산화아연, 산화마그네슘, 산화규소, 규산소다, 수산화알루미늄, 산화철, 산화지르코늄, 황산바륨, 산화티탄, 산화주석, 삼산화안티몬, 카본블랙, 이황화몰리브덴 등의 무기미립자, 아크릴계 가교중합체, 스티렌계 가교중합체, 가교실리콘수지, 불소수지, 벤조구아나민수지, 페놀수지, 나일론수지, 폴리에틸렌왁스 등의 유기미립자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이 중 수불용성의 고체물질은 수분산액중에서 침강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비중이 3 을 초과하지 않는 초미립자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의 조면화물질은 도막표면을 조면화함과 동시에 미세분말 자체에 의한 도막의 보강작용이 있고, 나아가서는 도막으로의 내블로킹성 부여작용, 적층체로의 활성부여작용을 나타낸다. 조면화물질의 바람직한 첨가량은, 도막을 형성하는 조성물중에 5 내지 30 중량% 이다. 특히 평균입경이 0.1㎛ 이상의 비교적 큰 입자를 사용할 때에는 5 내지 10 중량% 의 범위에서, 또 평균입경이 0.01 내지 0.1㎛ 의 입자를 사용할 때에는 8 내지 30 중량% 의 범위에서 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 다. 이들 조면화물질의 도막중의 함유량이 너무 많아지면 얻어지는 적층체의 헤이즈값이 3% 를 초과하고, 또한 심한 경우에는 5% 를 초과하여 투명성이 악화되므로 주의를 요한다. 또 조면화물질을 첨가한 접착층의 중심선 표면조도 (Ra) 는 2 내지 10㎚ 인 것이 바람직하다. Ra 가 2㎚ 미만이면 전술한 마찰계수를 달성하기 어렵고, 적층체의 권취시에 활성 부족때문에 권취 상태가 불량해져 이후의 작업에 지장을 준다. 한편 접착층의 Ra 가 10㎚ 를 초과하면 투명성이 악화되어, 헤이즈값이 5% 를 쉽게 초과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의 접착층은, 전술한 수성 폴리에스테르와 지방산의 아미드 및/또는 지방산의 비스아미드로 이루어지는 조성물의 수용액, 수분산액 또는 유화액을, 롤코팅법, 그라비어코팅법, 롤브러시법, 스프레이코팅법, 에어나이프코팅법, 함침법, 커텐코팅법 등으로 바람직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 도막을 형성하기 위해, 필요에 따라 상기 수성 폴리에스테르 이외의 다른 수지, 조면화물질, 대전방지제, 계면활성제, 자외선흡수제 등을 첨가할 수도 있다. 도포액의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대한 도포는 임의의 단계에서 실시할 수 있고,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막 과정에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배향결정화가 완료될 때까지의 단계에서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결정배향이 완료될 때까지의 단계란, 미연신필름, 미연신필름을 종방향 또는 횡방향 중 어느 한쪽으로 배향시킨 일축배향 필름, 또한 종방향 및 횡방향의 두방향으로 저배율 연신 배향시킨 것 (최종적으로 종방향 또는 횡방향으로 재연신시켜 배향결정화를 완료시키기 전의 이축배향 연신필름) 등을 포함하는 것이다. 이들 중에서도, 한 방향으로 배향시킨 일축연신필름에 상기 조성물의 도포액을 도포하고, 그대로 횡연신과 열고정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렇게 해서 얻은 접착층은 베이스필름의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과 강고한 접합력을 발현한다. 도막은 필요에 따라, 필름 편면에만 형성해도 되고 양면에 형성해도 되며, 도포액의 도포량은 도막의 두께가 70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75 내지 95㎚ 의 범위가 되는 양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막 두께가 70㎚ 미만이면 접착력이 부족하고, 반대로 너무 두꺼워 100㎚ 을 초과하면 블로킹을 일으키거나 헤이즈값이 높아질 가능성이 있다.
또 도포액을 필름에 도포할 때에는 도포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예비처리로서 도포면에 미리 코로나 표면처리, 화염처리, 플라즈마처리 등의 물리처리를 실시하거나, 또는 도막조성물과 함께 이것과 화학적으로 불활성 계면활성제를 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계면활성제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수성 도포액의 습성을 촉진하는 것으로, 예컨대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지방산에스테르, 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르,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지방산금속비누, 알킬황산염, 알킬술폰산염, 알킬술포숙신산염 등과 같은 음이온형, 비이온형 계면활성제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접착층을 갖는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접착층을 이면 (양면 도포의 경우에는 임의의 편면) 으로 할 때,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측으로부터 가시광영역의 광을, 면에 대하여 45도 각도로 입사되었을 때의 접착층과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과의 계면에서의 반사율 (이하 이면반사율이라고 함) 이 0.4%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면반사율이 0.4% 를 초과하면, 표면반사에 대한 영향을 무시할 수 없게 되고, 광학용 적층체로서 디스플레이의 눈부심방지 필름에 사용한 경우, 외래광의 반사가 표면반사와 이면 반사의 간섭에 의해 무지개모양으로 되어 눈에 거슬리게 되므로, 시인성을 손상시키기 쉽다. 이면 반사율을 0.4% 이하로 하기 위해서는, 도막의 두께방향에서의 굴절율 (nz) 을 1.50 내지 1.60 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nz 가 상기 범위를 일탈하면, 가시광영역의 이면 반사가 0.4% 를 쉽게 초과하게 된다. 또, 이 굴절율이 이 범위를 초과하면 이면 반사의 영향이 현저해져, 후술하는 반사방지층을 형성하는 경우에 반사방지가 어려워진다는 문제점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이렇게 해서 얻은 접착층을 갖는 투명기재필름은, 표면의 활성 및 접착성이 우수하며 투명성도 우수하다.
본 발명에서, 전술한 색소를 투명기재필름, 예컨대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함유시키는 경우는, 색소를 에틸렌글리콜 등에 분산 또는 용해시켜 중합단계에서 첨가해도 되고, 필름 첨가 농도보다 고농도인 색소를 첨가한 폴리에스테르수지의 펠릿 또는 염료 자체를 용융 고화시킨 펠릿을 작성하고 이것들을 폴리에스테르에 혼합하여 첨가해도 된다. 필름의 생산성이나 이물질의 혼입방지 및 공정의 간소화의 관점에서는 후자 방법이 바람직하다. 염료를 용융 고화시킬 때에는 적절히 바인더를 첨가해도 된다. 혼합방법은, 특히 염료를 용융 고화시킨 펠릿에서는 폴리에스테르수지의 펠릿과 기계적 물성이 상이하기 때문에 소형 공급장치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에스테르에 첨가되는 색소의 성질로는, 생산성의 관점에서 폴리에스테르의 압출시에 폴리에스테르수지의 점도저하가 적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색소의 내광성을 높이고 균일하게 색소를 분산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본 발명의 착색 하드코팅 필름은, 투명기재필름이 색소를 함유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착색 하드코팅 필름은, 투명기재필름, 하드코팅층, 점착층의 1층 이상의 층에 색소를 혼입해도 되지만, 새로 착색층을 형성해도 된다.
이 착색층을 형성하는 수지로는 전리방사선 경화형 수지, 열경화형 수지, 열가소성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착색 하드코팅 필름 전체의 투과율이 40% 이상이 되도록 색소를 조정하고 수지에 첨가하여 착색층용 수지조성물을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착색층용 수지조성물의 도공방법은, 롤코팅, 그라비어코팅, 바코팅, 압출코팅 등 도료의 특성, 도공량에 따라 적절히 선택하면 된다. 물론 투명기재필름에 도포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그 자체 공지된 도공방법을 채택할 수 있고, 그 도공시기도 임의의 단계에서 실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투명기재필름의 제막 과정에서 실시해도 되고, 제막 후에 실시해도 된다. 또 도포에 있어서는, 상기 조성물을 용해시킬 수 있는 적당한 용매를 사용해도 되고, 상기 조성물의 수용액, 수분산액 또는 유화액을 사용해도 된다. 또한 투명기재필름의 제막 과정에서 실시하는 경우는, 상기 조성물의 수용액, 수분산액 또는 유화액을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이 착색층을 상기 접착층으로서 투명기재의 제막 공정과정에서 상기 조성의 수용액 등을 사용하여 도포해도 된다.
본 발명의 착색 하드코팅 필름을 구성하는 하드코팅층은, 전리방사선 경화형 수지, 열경화형 수지, 열가소성수지 등으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투명기 재필름에 대하여, 제막 작업이 쉽고 또한 연필경도를 원하는 값으로 쉽게 높이는 전리방사선 경화형 수지이다.
하드코팅층 형성에 사용되는 전리방사선 경화형 수지로는 아크릴레이트계 관능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폴리에스테르아크릴레이트 또는 우레탄아크릴레이트가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에스테르아크릴레이트는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올의 올리고머의 아크릴레이트 및/또는 메타크릴레이트로 구성된다. 이하 아크릴레이트와 메타크릴레이트를 포함하여 (메트)아크릴레이트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또 상기 우레탄아크릴레이트는 폴리올화합물과 디이소시아네이트화합물로 이루어진 올리고머를 아크릴레이트화한 것으로 구성된다. 또한 아크릴레이트를 구성하는 단량체로는,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메톡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부톡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페닐(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이 있다.
그러나 하드코팅층의 경도를 더욱 높이고자 하는 경우에는 다관능 모노머를 병용할 수 있다. 구체적인 다관능 모노머로서는, 예컨대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헥산디올(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프로필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예시할 수 있다.
하드코팅층 형성에 사용되는 폴리에스테르계 올리고머로서는, 아디프산과 글리콜 (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폴리부틸 렌글리콜 등) 이나 트리올(글리세린, 트리메틸올프로판 등) 세바신산과 글리콜이나 트리올의 축합생성물인 폴리아디페이트트리올이나 폴리세바시에이트폴리올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방족의 디카르복실산의 일부 또는 전부를 다른 유기산으로 치환해도 된다. 이 경우 다른 유기산으로서는 이소프탈산, 테레프탈산 또는 무수프탈산 등이, 하드코팅층에 고도의 경도를 발현시킨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하드코팅층 형성에 사용되는 폴리우레탄계 올리고머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폴리올의 축합생성물로부터 얻을 수 있다. 구체적인 폴리이소시아네이트로서는 메틸렌ㆍ비스(p-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ㆍ헥산트리올의 부가체,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트리메틸올프로판의 첨가 생성물, 1,5-나프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티오프로필디이소시아네이트, 에틸벤젠-2,4-디이소시아네이트, 2,4-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이량체, 수소화크실렌디이소시아네이트, 트리스(4-페닐이소시아네이트)티오포스페이트 등을 예시할 수 있고, 또 구체적인 폴리올로서는, 폴리옥시테트라메틸렌글리콜 등의 폴리에테르계 폴리올, 폴리아디페이트폴리올, 폴리카보네이트폴리올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올, 아크릴산에스테르류와 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의 코폴리머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하드코팅층을 형성하는 전리방사선 경화형 수지로서 자외선경화형 수지를 사용할 때에는, 이들 수지중에 아세토페논류, 벤조페논류, 미힐러벤조일벤조에이트, α-아밀옥심에스테르 또는 티옥산톤류 등을 광중합개시제로서, 또, n-부틸아 민, 트리에틸아민, 트리n-부틸포스핀 등을 광증감제로서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우레탄아크릴레이트는, 탄성이나 가요성이 풍부하여 가공성 (절곡성) 이 우수한 반면, 표면경도가 충분하여 2H 이상의 연필경도의 것을 얻기 어렵다. 이에 대하여, 폴리에스테르아크릴레이트는, 폴리에스테르의 구성성분의 선택에 따라 매우 높은 경도의 하드코팅층을 형성할 수 있다. 그래서, 고경도와 가요성이 양립하기 쉽다는 점에서, 우레탄아크릴레이트 60 내지 90 중량부에 대하여 폴리에스테르아크릴레이트 40 내지 10 중량부를 배합시킨 하드코팅층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하드코팅층을 형성하는 데에 사용되는 도공액에는, 광택을 조정함과 동시에, (이형성이 아니라) 표면의 활성을 부여하는 목적에서 2차입경이 20㎛ 이하인 불활성 미립자를, 수지성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0.3 내지 3 중량부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0.3 중량부 이하에서는 활성의 향상효과가 부족하고, 한편 3 중량부를 초과하면 얻은 하드코팅층의 연필경도가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도공액에 첨가되는 불활성 미립자로서는, 실리카, 탄산마그네슘, 수산화알루미늄, 황산바륨 등의 무기 미립자 외에, 폴리카보네이트, 아크릴수지, 폴리이미드, 폴리아미드,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멜라민수지 등의 유기 폴리머의 미립자를 예시할 수 있다.
하드코팅층을 형성하기 위한 도공방법은, 롤코팅, 그라비어코팅, 바코팅, 압출코팅 등 도액의 특성이나 도공량에 따라 종래보다 그 자체 공지된 방법을 적절히 선택하면 된다.
본 발명의 착색 하드코팅 필름을 구성하는 점착층은, 그 자체 공지된 접착제나 점착제를 적절히 채택하면 되며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여기에서 말하는 점착층이란, 착색 하드코팅 필름을 영상표시면에 점착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접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접착층과는 다른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점착층은 적절한 밀착성을 가지면서도 박리시에 점도가 약하여 우수한 재박리성을 갖는다는 점에서, 유리전이온도가 낮은 점착성 수지나 고무탄성을 갖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와 왁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점착제를 사용한 것이 바람직하다.
유리전이온도가 낮은 점착성수지로서는 아크릴계수지나 실리콘계 수지를 예시할 수 있고, 고무탄성을 갖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서는, 예컨대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부타디엔고무, 스티렌-부타디엔고무, 니트릴고무, 니트릴-부타디엔고무, 하이스티렌고무, 아크릴고무 등의 합성고무나 천연고무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또 점착층은 필요에 따라 이형필름 (세퍼레이트 필름) 으로 커버해도 된다. 이형 필름에는, 통상적인 종이재, 실리콘박리지, 플라스틱필름, 실리콘박리필름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착색 하드코팅을 형성하는 투명기재필름 이외의 각 층은 경화가 필요한 경우, 각 층마다 경화시켜도 되지만, 동시에 경화시켜도 된다. 특히 2 층 이상에서 자외선흡수형 수지조성물을 사용하는 경우는, 다음과 같은 경화방법을 채택하는 것이 효과적으로 도막을 경화시킬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먼저 최표면층 이외의 자외선경화형 수지조성물의 도막은, 하프큐어상태로서 자외선조사하여 각 도막을 동시에 경화시키는 경우, 자외선조사에 사용되는 자외선광원의 파장특성에 반응하는 광경화개시제를 선택하여 사용하고, 자외선경화형 수지조성물의 복수개의 도막층마다 흡수파장역의 피크가 다른 광경화개시제를 혼입시킨다. 이와 같이 흡수파장역의 피크가 다른 광경화개시제가 첨가된 각 층의 도막은, 경화의 조정을 매우 쉽게 할 수 있어 효과적인 경화를 행할 수 있다. 바꿔말하면 자외선광원의 조사 스펙트럼의 파장역에 의해 각 층마다 도달하기 쉬운 선택적인 파장을 유효하게 활용하여 기재 및 복수층의 각 도막간의 밀착성을 개선한 경화 도막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반사방지층은 착색 하드코팅 필름의 전술한 광학특성을 손상시키지 않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인 반사방지층으로는, (1) 두께 0.1㎛ 정도의 MgF2 등의 극박막으로 이루어지는 반사방지층, (2) 금속증착막으로 형성된 반사방지층, (3) 광의 굴절율이 하드코팅층의 굴절율보다 낮은 재료로 이루어진 층을 하드코팅층 상에 형성한 반사방지층, (4) 굴절율이 높은 고굴절율층을 하드코팅층 상에 형성하고, 이 고굴절율층 상에 이 고굴절율층 보다도 굴절율이 낮은 저굴절율층을 형성한 반사방지층 (예컨대 반사방지층에서의 하드코팅층에 접하는 부위에 고굴절율을 갖는 금속산화물의 초미립자층을 편재시킨 것), (5) 상기 (4) 의 층 구성을 반복하여 적층한 다층적층형의 반사방지층, (6) 굴절율이 높은 고굴절율층의 내측 (표시면에 점착시켰을 때의 표시면측) 에 이 고굴절율 층보다 굴절율이 낮은 중굴절율층을 형성하고, 이 굴절율이 높은 고굴절율층의 외측 (표시면에 점착시켰을 때의 표시면과는 다른 측) 에 중굴절율층보다 굴절율이 낮은 저굴절율층을 형성한 반사방지층을 예시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보다 효과적으로 반사방지를 행할 수 있다는 점에서, 도 9 및 도 10 의 착색 하드코팅 필름에 나타낸 바와 같은, 투명기재필름 (1) 상의 하드코팅층 (4) 을 개재하고, 중굴절율층 (51), 고굴절율층 (52), 저굴절율층 (53) 을 이 순서로 층을 형성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색소의 분산을 보다 균일하게 하기 쉽고 색상 얼룩을 억제하기 쉽다는 점에서, 특히 도 10 의 착색 하드코팅 필름이 바람직하다. 또한 저굴절율층 (53), 중굴절율층 (51) 및 고굴절율층 (52) 이 SiOx 로 이루어지고, 저굴절율층 (53) 의 굴절율이 1.4 보다 크고, 고굴절율층 (52) 의 굴절율이 2.2 미만이고, 저굴절율층 (53) 이 80 내지 110㎚ 의 두께, 고굴절율층 (52) 이 30 내지 110㎚ 의 두께 및 중굴절율층 (51) 이 50 내지 100㎚ 의 두께를 가지며, 또한 각각의 층의 광학적 막두께 D (D=nㆍd, 단 n:중굴절율층의 굴절율, d=중굴절율층의 두께) 가 가시광의 파장 이하인 반사방지층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오염방지층으로는, 발수성 도료로서 사용되는 불소계 또는 실리콘계 수지가 바람직하다. 예컨대 반사방지층의 저굴절율층을 SiO2 로 형성한 경우에는, 플루오로실리케이트계 발수성 도료가 바람직하다.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실시예 중의 각 특성값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측정 또는 평가한 것이다. 또 실시예 중의 부 및 비는,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중량부 및 중량비를 나타낸다.
(1) 전체 광선투과율 및 헤이즈값
JIS K6714-1958 에 준하여 닛뽕 덴쇼꾸 고오교사 제조의 헤이즈측정기 (NDH-20) 를 사용하여 전체 광선투과율 Tt(%) 과 산란광투과율 Td(%) 를 측정하였다.
얻은 전체 광선투과율은 다음과 같은 기준으로 평가하고, 평가 2 이상이 실용상 문제없는 것이고, 평가 3 이 매우 우수한 것이다.
○: 전체 광선투과율 60% 이상
△: 전체 광선투과율 40% 이상 60% 미만
×: 전체 광선투과율 40% 미만
또 측정된 전체 광선투과율 Tt(%) 와 산란광투과율 Td(%) 로부터 다음 식에서 헤이즈 (%) 를 산출하였다.
헤이즈 (%) = (Td/Tt) ×100
얻은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의 헤이즈값은 다음과 같은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 : 헤이즈값 ≤2.0% (헤이즈값이 작아서 실용상 매우 양호하게 사용할 수 있음)
○: 2.0%〈헤이즈값≤3.0% (헤이즈값이 작아서 실용상 양호하게 사용할 수 있음)
△: 3.0%〈헤이즈값≤5.0% (헤이즈값이 약간 작아서 실용상은 문제없음)
×: 5.0%〈헤이즈값 (헤이즈값이 커서 실용상 문제있음)
얻은 착색 하드코팅 필름의 헤이즈값은 다음과 같은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 : 헤이즈값 ≤2.0% (헤이즈가 거의 없어서 매우 양호)
◎ : 2.0%〈헤이즈값 ≤3.0% (헤이즈값이 작아서 실용상 양호)
○: 3.0%〈헤이즈값≤5.0% (실용상 문제없는 헤이즈값)
△: 5.0%〈헤이즈값≤10% (헤이즈가 실용상 약간 문제가 있는 경우가 있음)
×: 10%〈헤이즈값 (헤이즈값이 커서 실용 불가능)
(2) 파장 400 내지 650㎚ 의 가시광선에서의 광선투과 특성
(주)시마쓰 세이사꾸쇼 제조의 분광광도계 MPC3100 을 사용하여, 파장 400 내지 650㎚ 가시광선의 투과율을 측정하고, 각 파장에서의 투과율, 특정한 파장범위내에서의 최대 흡수파장 및 그 피크의 반값폭을 구하였다.
(3) 콘트라스트
수평방향에 대하여 표시면이 직교하도록 배치된 발광하고 있는 시험용 CRT 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부터 상방 45°각도의 위치로부터 30W 의 형광등을 비추어, 정반사광이 직접 입사되지 않는 거의 수평방향으로부터 상방 30°각도의 위치에서 화면상의 최고 휘도를 휘도계 (미놀타 제조) 로 측정한다. 또 시험용 CRT 의 전원을 OFF 로 한 발광되고 있지 않은 시험용 CRT 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부터 상방 45° 각도의 위치로부터 30W 의 형광등을 비추어, 정반사광이 직접 입사되지 않는 거의 수평방향으로부터 상방 30°각도의 위치에서 화면상의 최저 휘도를 휘도계 (미놀타 제조) 로 측정한다. 그리고 얻은 최고 휘도를 최저 휘도로 나누어 콘트라스트 1 (최고 휘도/최저 휘도) 을 구한다. 다음에 공시 샘플의 점착제측을 CRT 에 압착하여 점착하고, 전술한 바와 동일하게 하여 다시 최고 휘도와 최저 휘도를 측정하고, 얻은 최고 휘도를 최저 휘도로 나누어 콘트라스트 2 (최고 휘도/최저 휘도) 를 구한다. 그리고 (콘트라스트 2/콘트라스트 1) ×100(%) 의 값이 큰 것일수록 양호한 것으로 하고, 다음과 같은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 : (콘트라스트 2/콘트라스트 1) ×100 이 120% 이상
○: (콘트라스트 2/콘트라스트 1) ×100 이 100% 이상 120% 미만
×: (콘트라스트 2/콘트라스트 1) ×100 이 100% 미만
(4) 색상 어긋남
표준광 A 에 대한 공시필름의 투과스펙트럼으로부터 JIS 규격 Z8729 에 준하여 L*a*b* 표색계에서의 L*, a* 및 b* 를 구하고, 다음 식에서 구한 ab 크로마 (C*ab) 를 산출하였다.
C*ab = ((a*)2+(b*)2)1/2
얻은 C*ab 로부터 다음과 같은 기준으로 무채색과의 채도의 어긋남을 평가하였다.
◎ : C*ab 가 10 미만
○: C*ab 가 10 이상 20 미만
×: C*ab 가 20 이상
(5) 색 순도
브라운관에서 발광되는 각 발광체 (청색, 녹색, 적색) 의 색도좌표 (CIE 표색계) 를 JIS 규격 Z8701 에 준하여 각각 산출하였다. 또 이와 동일하게 하여 공시 샘플을 브라운관에 접착한 후의 각 발광체의 색도좌표를 산출하고, 다음과 같은 기준으로 3 원색의 색 순도를 평가하였다. 단, 샘플을 접착함으로써 각 발광체의 색도좌표가 단파장 (460㎚, 560㎚, 620㎚) 의 색도좌표에 근접한 경우, 색 순도가 향상된 것으로 판단된다.
◎ : 3 원색 전부의 색 순도가 향상됨
○: 3 원색 중 2 색에 대해서는 향상되었으나 나머지 1 색은 저하됨
△ : 3 원색 중 어느 하나는 향상되었으나 나머지들은 저하됨
×: 전부 저하되었거나 변화없음
(6) 이면반사율
접착성필름의 접착층 면을 이면 (양면 도포의 경우에는 임의의 편면) 으로 할 때,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표면으로부터 45°각도로 점광원을 조사하여, 주요 반사로부터 필름 두께를 d 로 할 때 d/0.707 만큼 떨어진 반사광을 이면 반사로 하고, 이를 점광원의 광량으로 나눈 것을 반사율로 한다. 이를 다음과 같은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 이면 반사율이 0.4% 이하
×: 이면 반사율이 0.4% 를 초과함
(7) 접착력
a. 접착제에 대해
접착성필름의 접착층 면에 두께 10㎛ 의 아크릴계 점착제를 도포한다. 60℃, 80% RH 의 항온항습조 내에 24시간이 경과한 후, 에폭시수지계 접착제로 점착하고, 박리시험에 의해 다음과 같은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 : 기재필름이 파단될 정도로 접착력이 강함
○: 박리는 되지만 실용성은 있음
× : 쉽게 박리되어 실용성없음
b. 하드코팅에 대해
접착성필름의 접착층 면에 두께 5㎛ 의 하드코팅층을 형성하여 바둑판 모양의 크로스 컷 (1㎜ 의 피스를 100개) 을 실시하고, 그 위에 24㎜ 폭의 셀로판테이프 (니치반사 제조) 를 접착하여, 180도의 박리각도로 급격하게 떼어낸 후, 박리면을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 : 박리면적이 10% 미만 …접착력 매우 양호
◎ : 박리면적이 10% 이상 20% 미만 … 접착력 양호
○: 박리면적이 20% 이상 30% 미만 … 접착력 약간 양호
△ : 박리면적이 30% 이상 40% 미만 …접착력 불량
× : 박리면적이 40% 를 초과하는 것 … 접착력 매우 불량
(8) 이온성 저분자 화합물의 검출
접착성필름의 접착층의 면을 XPS (X 선 광전자분광) 의 표면분석에 의해, 이온성 저분자 화합물의 함유량을 측정한다. 그리고 검출된 이온성 저분자 화합물의 함유량을 다음과 같이 표시하였다.
○: 이온성 저분자 화합물의 함유량이 1,000ppm 이하
×: 이온성 저분자 화합물의 함유량이 1,000ppm 을 초과함
(9) 필름/필름 마찰계수
표면과 이면을 중첩한 2 장의 필름시료의 하측에 고정시킨 유리를 놓고, 중첩한 필름의 하측 필름 (유리판과 접하고 있는 필름) 을 정속 롤로 인취 (10㎝/분), 상측 필름의 일단 (하측필름의 인취방향과 반대단) 에 검출기를 고정시켜 필름/필름간의 인장력 (F) 을 검출한다. 또한 이 때에 사용되는 상측 필름상에 올려져 있는 슬레드는 하측면적이 50㎠ (80㎜ ×62.5㎜) 이고, 필름에 접하는 면은 경도 80°의 네오프렌고무이며, 그 무게 (W) 는 1.2㎏ 으로 한다. 정마찰계수 (μs) 는 다음 식으로 산출된다.
μs = F(g)/W(g)
(10) 접착층의 두께방향의 굴절율
아베 굴절율계를 사용하여 나트륨 D 선을 광원으로 하고 측정하였다. 또한 마운트액에는 요오드화메틸렌을 사용하며 측정분위기는 25℃, 65% RH 로 하였다.
(11) 시인성 개량 필름으로서 표면반사의 평가
발광되어 있지 않은 시험용 CRT 에 7001x 의 외부광을 조사하고, 반사휘도 1 을 휘도계 (미놀타 제조) 로 측정한다. 다음에 공시 필름을 CRT 에 점착제로 접착하고, 다시 반사휘도 2 를 측정하였다. (반사휘도2/반사휘도1) ×100% 의 값을 다음과 같은 구분으로 평가하였다.
◎ : (반사휘도2/반사휘도1) ×100% 가 20% 미만
○: (반사휘도2/반사휘도1) ×100% 가 20% 이상 30% 미만
△ : (반사휘도2/반사휘도1) ×100% 가 30% 이상 40% 미만
× : (반사휘도2/반사휘도1) ×100% 가 40% 이상
(12) 시인성 개량 필름으로서의 내마모성
시료를 스틸웰#000 을 각형 패드 (면적 6.25㎠) 에 장착하고, 왕복식 마모시험기에 의한 마모시험 (하중 1㎏, 50회 왕복) 전후의 헤이즈값의 차이 (Δ헤이즈) 를 다음 식으로 산출하였다.
Δ헤이즈 = (마모시험후의 헤이즈값) - (마모시험전의 헤이즈값)
얻은 Δ헤이즈로부터 다음과 같이 내마모성을 평가하였다.
○: Δ헤이즈가 10 미만
△ : Δ헤이즈가 10 이상 20 미만
×: Δ헤이즈가 20 초과
(13) 내광열화성
도요 세이끼(주) 제조의 크세논웨더미터를 사용하며 샘플필름에 300 내지 800㎚ 의 파장의 광선을 방사조도 765W/㎡ 로 100시간 조사하고, 조사 전후의 3 자 극값 (시감투과율을 포함), L*a*b* (색도좌표), YI (황색변도) 를 색차계 (닛뽕 덴쇼꾸 고오교(주) 제조, SZS-∑90) 를 사용하여 측정하고, 다음과 같은 기준으로 평가한다. ○는 옥내에서의 사용에는 문제는 없고, ◎ 는 옥내뿐만 아니라 옥외에서의 사용에도 문제가 없는 레벨의 내광열화성을 갖는다.
◎ : 시감도 투과율의 변화가 3% 이내이고 황색변도 4 이내
○: 시감도 투과율의 변화가 3% 를 초과하거나 및/또는 황색변도 4 초과
(14) 필름면 내의 색상 얼룩
닛뽕 덴쇼꾸 고오교 (주) 제조의 색차계 SZS-∑90 을 사용하여, 샘플필름의 면내로부터 랜덤하게 선택한 50 점에 대해서 C 광원에 대한 L*a*b* (색도좌표) 를 측정하고, 그 최대값 (a* max, b* max) 와 최소값 (a* min, b* min) 으로부터 ΔC*ab 를 다음 식으로 구하였다.
ΔC*ab = ((a* max - a* min)2 +(b* max - b* min)2)1/2
얻은 ΔC*ab 로부터 다음과 같은 기준으로 면내에서의 색상 얼룩을 평가하였다.
◎ : ΔC*ab 가 3 미만으로 매우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음
○: ΔC*ab 가 3 이상 5 미만으로 실용상은 문제가 없음
×: ΔC*ab 가 5 이상으로 실용상 문제가 있음.
실시예 1
평균입경 1.7㎛ 의 다공질 실리카를 0.007 중량% 함유시킨 고유점도 0.65 (35℃, 오르토클로로페놀용액) 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에 미츠이가가꾸제조 염료 (상품명; HS-299) 의 조립체를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에 대하여 0.05 중량% 가 되도록 소형 단축 스크루 공급장치를 사용하여 첨가하고, 얻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조성물을 압출기로 용융상태로 한 (전단속도 65 (1/초), 체류시간 600 초) 후, 다이로부터 압출하고,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냉각드럼으로 냉각하여 미연신 필름으로 하였다.
이어서, 이 미연신 필름을 일단 권취하지 않고 계속해서 종방향으로 90℃ 로 가열한 상태에서 연신배율 3.5 배로 연신하고, 횡방향으로 95℃ 로 가열한 상태에서 연신배율 3.8 배로 연신한 후, 230℃ 에서 긴장열처리하여 두께 75㎛ 의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얻은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광학특성의 평가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실시예 2
실시예 1 에서 두께를 200㎛ 로 변경하고, 또한 색소 및 그 첨가량을 미츠이가가꾸제조 염료 (상품명; HS-307) 및 닛폰가야꾸제조 염료 (상품명; Kayaset YellowEG) 의 중량비 20:1 블렌드 및 0.02 중량% 로 변경한 것 이외는 동일한 조작을 반복하였다. 얻은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광학특성의 평가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실시예 3
미츠이가가꾸제조 염료 (상품명; HS-299) 를 0.04 중량%, 평균입경 1.7㎛ 의 다공질 실리카를 0.007 중량% 함유시킨 고유점도 0.64 (35℃, 오르토클로로페놀용액) 의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를 압출기로 용융상태로 한 (전단속도 65 (1/초), 체류시간 600 초) 후, 다이로부터 압출하고,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냉각드럼으로 냉각하여 미연신 필름으로 하였다.
이어서, 이 미연신 필름을 일단 권취하지 않고 계속해서 종방향으로 140℃ 로 가열한 상태에서 연신배율 3.5 배로 연신하고, 횡방향으로 135℃ 로 가열한 상태에서 연신배율 3.8 배로 연신한 후, 230℃ 에서 긴장열처리하여 두께 50㎛ 의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얻은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광학특성의 평가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실시예 4
실시예 1 에서 색소 및 그 첨가량을 미츠이가가꾸제조 염료 (상품명; HS-296) 및 닛폰가야꾸제조 염료 (상품명; Kayaset OrangeAN) 및 닛폰가야꾸제조 염료 (상품명; Kayaset GreenAB) 의 중량비 10:3:3 블렌드 및 0.06 중량% 로 변경한 것 이외는 동일한 조작을 반복하였다. 얻은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광학특성의 평가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비교예 1 내지 4
실시예 1 에서 색소 및 그 첨가량을 표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경한 것 이외는 동일한 조작을 반복하였다. 얻은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광학특성의 평가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Figure 112006028839785-pct00040
또한, 표 1 에서의 PET 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EN 은 폴리에틸렌-2,6-나프탈렌디카르복실레이트, 색소의 기호 (A 내지 F) 는 이하의 염료 및 안료를 나타낸다.
A: 미츠이가가꾸제조 염료 (상품명; HS-299)
B: 미츠이가가꾸제조 염료 (상품명; HS-307) 및 닛폰가야꾸제조 염료 (상품명; Kayaset YellowEG) 의 중량비 20:1 블렌드
C: 미츠이가가꾸제조 염료 (상품명; HS-296), 닛폰가야꾸제조 염료 (상품명; Kayaset OrangeAN) 및 닛폰가야꾸제조 염료 (상품명; Kayaset GreenAB) 의 중량비 10:3:3 블렌드
D: 닛폰가야꾸제조 염료 (상품명; Kayaset BlueA2R)
E: 닛폰가야꾸제조 염료 (상품명; Kayaset BlackAN)
F: 다이니찌세이까제조 안료 CarbonBlack (상품명; 4818Black15F-7.5)
실시예 5
평균입경 1.7㎛ 의 다공질 실리카를 0.007 중량% 함유시킨 고유점도 0.65 (35℃, 오르토클로로페놀용액) 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에 미츠이가가꾸제조 염료 (상품명; HS-299) 의 조립체를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에 대하여 0.05 중량% 가 되도록 소형 단축 스크루 공급장치를 사용하여 첨가하고, 얻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조성물을 압출기로 용융상태로 한 (전단속도 65 (1/초), 체류시간 600 초) 후, 다이로부터 압출하고,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냉각드럼으로 냉각하여 미연신 필름으로 하였다.
이어서, 이 미연신 필름을 일단 권취하지 않고 계속해서 종방향으로 90℃ 의 온도에서 연신배율 3.5 배로 연신한 후, 그 양면에 이하의 도막용 조성물의 농도 8% 의 수성액을 롤 코터로 균일하게 도포하였다. 그 후, 계속해서 95℃ 에서 건조시키면서 횡방향으로 120℃ 에서 3.8 배로 연신하고, 230℃ 에서 열고정하여 두께 75㎛ 의 접착성 필름을 얻었다. 또한, 도막의 두께는 0.15㎛, 두께방향의 굴절율은 1.559 였다. 얻은 접착성 필름의 평가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도막용 조성물
산성분이 2,6-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70 몰%), 이소프탈산 (24 몰%) 및, 5-술포이소프탈산나트륨 (6 몰%), 글리콜성분이 에틸렌글리콜 (90 몰%) 및 디에틸렌글리콜 (30 몰%) 로 합성되는 Tg 85℃ 의 공중합폴리에스테르: 75 중량%
구성성분이 메틸메타크릴레이트 15 몰%, 에틸아크릴레이트 75 몰%, N-메틸올아크릴아미드 5 몰%, 2-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5 몰% 로 합성되는 Tg 0℃ 의 아크릴공중합체: 15 중량%
폴리옥시에틸렌 (N=7) 라우릴에테르: 10 중량%
실시예 6 내지 8
도막용 조성물의 조성을 표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6 과 동일하게 하여 두께 75㎛ 의 광학용 접착용이성 필름을 얻었다. 또한, 도막의 두께는 0.15㎛ 였다. 얻은 접착성 필름의 평가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Figure 112002012220889-pct00016
표 2 에서의 도막용 조성물의 기호 (P1, H, J1, J2 및, Y1) 는 각각 이하의 중합체 또는 화합물인 것을 나타낸다.
수성폴리에스테르
P1: 산성분이 2,6-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70 몰%), 이소프탈산 (24 몰%) 및, 5-술포이소프탈산나트륨 (6 몰%), 글리콜성분이 에틸렌글리콜 (90 몰%) 및 디에틸렌글리콜 (10 몰%) 의 공중합폴리에스테르 (Tg 85℃)
아크릴
H: 메틸메타크릴레이트 15 몰%, 에틸아크릴레이트 75 몰%, N-메틸올아크릴아미드 5 몰%, 2-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5 몰% 로 합성되는 Tg 0℃ 의 아크릴공중합체
첨가제
J1: 실리카필러 (평균입경 100㎚)
J2: 실리카필러 (평균입경 100㎚) 와 카르나바 왁스의 중량비 5:3 의 혼합물
계면활성제
Y1: 폴리옥시에틸렌 (N=7) 라우릴에테르
실시예 9
실시예 5 의 접착성 필름의 편면의 도막 위에 이하의 조성으로 이루어지는 UV 경화계 조성물을 롤코터를 이용하여 경화 후의 막두께가 5㎛ 가 되도록 균일하게 도포하였다.
UV 경화조성물
펜타에리트리톨아크릴레이트 45 중량%
N-메틸올아크릴아미드 40 중량%
N-비닐피롤리돈 10 중량%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5 중량%
그 후, 80W/㎝ 의 강도를 갖는 고압 수은등으로 30 초간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시켜 하드코팅층을 형성하였다.
그리고, 이 하드코팅층 위에 저굴절율층 (SiO2, 30㎚), 고굴절율층 (TiO2, 30㎚), 저굴절율층 (SiO2, 30㎚), 고굴절율층 (TiO2, 100㎚) 및, 저굴절율층 (SiO2 , 100㎚) 이 이 순서로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반사방지층을 스퍼터링에 의해 형성하였다. 얻은 광학용 하드코팅 필름의 평가결과를 표 3 에 나타낸다.
실시예 10 내지 12
실시예 9 에서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폴리머, 연신온도 및 연신배율에 관한 제막조건을 표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2 내지 4 의 것으로 변경 한 것 이외는 동일한 조작을 반복하였다. 얻은 광학용 하드코팅 필름의 평가결과를 표 3 에 나타낸다.
비교예 5 내지 8
실시예 9 에서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폴리머, 연신온도 및 연신배율에 관한 제막조건을 표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교예 1 내지 4 의 것으로 변경하고, 또한 접착층을 형성하는 데에 사용하는 도막용 조성물을 이하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경한 것 이외는 동일한 조작을 반복하였다. 얻은 광학용 하드코팅 필름의 평가결과를 표 3 에 나타낸다.
도막용 조성물
산성분이 2,6-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70 몰%), 이소프탈산 (24 몰%) 및, 5-술포이소프탈산나트륨 (6 몰%), 글리콜성분이 에틸렌글리콜 (90 몰%) 및 디에틸렌글리콜 (30 몰%) 로 합성되는 Tg 85℃ 의 공중합폴리에스테르: 75 중량%
구성성분이 메틸메타크릴레이트 15 몰%, 에틸아크릴레이트 75 몰%, N-메틸올아크릴아미드 5 몰%, 2-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5 몰% 로 합성되는 Tg 0℃ 의 아크릴공중합체: 15 중량%
폴리옥시에틸렌 (n=7) 라우릴에테르: 10 중량%
Figure 112002012220889-pct00017
이하, 표 1 내지 3 을 고찰한다. 표 1 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실시예 1 내지 4) 은 높은 색순도와 콘트라스트성과 투과율을 겸비한 것이다. 그리고, 이들 본 발명의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접착층을 형성한 접착성 필름 (실시예 5 내지 8) 은 표 2 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유리용 접착제 및 하드코팅에 대해 양호한 접착성을 가지면서도 광학특성을 손상시키지 않는다. 또한, 이들 본 발명의 광학용 접착성 필름에 하드코팅층 및 반사방지층을 형성한 하드코팅 필름 (실시예 9 내지 12) 은 색순도, 콘트라스트, 투과율 및 내마모성이나 반사방지능 어느 면에서나 우수한 것이었다. 이에 대해, 본 발명의 요건 중 어느 하나를 만족하고 있지 않는 비교예 1 내지 6 의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비교예 7 내지 12 의 하드코팅 필름은 광학특성이 결핍된 것밖에 얻을 수 없었다.
실시예 13
염료 (미츠이가가꾸제조, 상품명; HS-299) 를 0.01 중량% 및 평균입경 1.7㎛ 의 다공질 실리카를 0.007 중량% 함유시킨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고유점도 [η]=0.65) 를 용융상태에서 다이로부터 압출하고,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냉각드럼으로 냉각하여 미연신 필름으로 하였다. 이어서, 미연신 필름을 일단 권취하지 않고 계속해서 그 양면에 이하에 나타내는 도막용 조성물의 농도 8% 의 수성액을 롤코터로 균일하게 도포하였다. 그 후, 계속해서 95℃ 에서 건조시키면서 횡방향으로 120℃ 에서 3.8 배로 연신하고, 230℃ 에서 긴장열처리하여 두께 188㎛ 의 착색된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도막용 조성물
산성분이 2,6-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70 몰%), 이소프탈산 (24 몰%) 및, 5-술포이소프탈산나트륨 (6 몰%), 글리콜성분이 에틸렌글리콜 (90 몰%) 및 디에틸렌글리콜 (30 몰%) 로 합성되는 Tg 85℃ 의 공중합폴리에스테르: 75 중량%
구성성분이 메틸메타크릴레이트 15 몰%, 에틸아크릴레이트 75 몰%, N-메틸올아크릴아미드 5 몰%, 2-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5 몰% 로 합성되는 Tg 0℃ 의 아크릴공중합체: 15 중량%
폴리옥시에틸렌 (n=7) 라우릴에테르: 10 중량%
얻은 착색된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한쪽 면에 하드코팅층을 형성하기 위한 하드코팅제 (상품명: PETD-31, 다이니찌세이까제조) 를 롤코터법으로 드라이 두께가 6㎛ 가 되도록 도공하여 건조시킨 후, 전자선을 175kv 및 10Mrad 의 조건에서 조사하여 하드코팅 도막을 형성하였다.
한편, 착색된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적층된 하드코팅층과는 반대 면에 점착층 (조성은 표 4 에 나타냄) 을 형성하기 위한 점착제를 롤코터법으로 드라이두께가 20㎛ 가 되도록 도공하고, 도 4 에 나타내는 층구성 1 의 착색 하드코팅 필름을 얻었다. 얻은 착색 하드코팅 필름의 점착층 면에는 두께 50㎛ 의 표면에 실리콘처리를 실시한 PET 필름을 세퍼레이터 필름 (박리 필름) 으로 하여 접합하였다. 얻은 착색 하드코팅 필름의 특성을 표 8 에 나타낸다.
점착제 아크릴계 점착제 (소켄가가꾸제조, 상품명; SK 다인 1425 (D-90)) 3600 부
용제 아세트산에틸 10000 부
실시예 14
투명기재필름에 색소를 첨가하지 않은 것과, 점착층을 형성하기 위한 점착층을 이하의 표 5 의 조성의 것으로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13 과 동일한 조작을 반복하여 도 5 에 나타내는 층구성 2 의 착색 하드코팅 필름을 얻었다. 얻은 착색 하드코팅 필름의 특성을 표 8 에 나타낸다.
염료 미츠이가가꾸제조, 상품명; HS-307 닛폰가야꾸제조, 상품명; Kayaset YellowEG 3.2 부 0.16 부
점착제 아크릴계 점착제 (소켄화학제조, 상품명; SK 다인 1425 (D-90)) 3600 부
용제 아세트산에틸 10000 부
실시예 15
투명기재 필름에 색소를 첨가하지 않은 것과, 하드코팅층을 형성하기 위한 하드코팅제를 이하의 표 6 의 조성의 것으로, 하드코팅층의 드라이두께를 20㎛ 로, 또 하드코팅층을 형성할 때의 전자선 조사를 185kv 및 1020Mrad 의 조건으로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조작을 반복하여 도 6 에 나타내는 층구성 3 의 착색 하드코팅 필름을 얻었다. 얻은 착색 하드코팅 필름의 특성을 표 8 에 나타낸다.
염료 미츠이가가꾸제조, 상품명; HS-307 닛폰가야꾸제조, 상품명; Kayaset YellowEG 닛폰가야꾸제조, 상품명; Kayaset GreenAB 3.2 부 0.96 부 0.96 부
하드코팅제 닛폰고세이고무제조, 상품명; KZ7817A-1 3600 부
용제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2000 부 2000 부
실시예 16
두께 188㎛ 의 양면 접착용이성처리가 실시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상품명: OPFW-188, 데이진가부시끼가이샤 제조) 의 편면에 착색층을 형성하기 위한 착색코팅제 (조성은 표 7 에 나타냄) 를 롤코팅법으로 드라이 두께가 10㎛ 로 되도록 도공하고 건조시킨 후, 전자선을 175㎸ 및 5Mrad 의 조건에서 조사하여 착색층과 투명 기재필름의 하드코팅 필름을 얻었다.
염료 미쓰이가가꾸제조, 상품명;HS-299 6.5부
바인더수지 폴리에스테르수지(도요보 제조, 상품명;바이론240) 1800부
가교모노머 아크릴산에스테르모노머 1800부
용제 톨루엔 메틸에틸케톤 시클로헥사논 2400부 2300부 2000부
다음에 이 하드코팅 필름의 투명 기재필름 면에 하드코팅층을 형성하기 위한 하드코팅제 (상품명 : PETD-31, 다이니찌세이까 제조) 를 롤코팅법으로 드라이 두께가 6㎛ 로 되도록 도공하고 건조시킨 후, 전자선을 175㎸ 및 10Mrad 의 조건으로 조사하여 하드코팅 도막을 형성하였다. 또한 이 하드코팅 필름의 착색층의 면에, 점착층을 형성하기 위한 점착제 (소켄가가꾸 제조, 상품명 ; SK다인 1425(D-90)) 를 롤코팅법으로 드라이 두께가 20㎛ 이 되도록 도공하여, 도 7 에 나타낸 층구성 4 의 착색하드코팅 필름을 얻었다. 얻은 착색하드코팅 필름의 점착층의 면에는 두께 50㎛ 의 표면에 실리콘처리를 실시한 PET 필름을 세퍼레이터 필름 (박리 필름) 으로서 접합하였다. 얻은 착색 하드코팅 필름의 특성을 표 8 에 나타낸다.
실시예 17
착색층의 위치를, 점착층과 투명 기재필름 사이에서 하드코팅과 투명 기재필름 사이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6 과 동일한 조작을 반복하여 도 8 에 나타낸 층구성 5 의 하드코팅 필름을 얻었다. 얻은 착색 하드코팅 필름의 특성은 표 8 에 나타낸다.
실시예 18
부형(賦型)필름으로서 두께 50㎛ 의 이축 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테이진(주) 제조, 상품명 ; A31-50) 을 준비하고, 그 한쪽 면에 ZrO2 미립자 (스미또모오오사카세멘트(주) 제조, 상품명 ; No.1275) 100 중량부에 대하여, 바인더수지 (전리방사선 경화형 유기규소화합물) 0.3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도공액) 로 조정한 코팅액을 와이어바로 도공하고, 드라이 두께 (건조시 두께) 가 57㎚ 인 중굴절율층 (굴절율 1.74) 을 형성하기 위한 미경화의 도막을 형성하였다.
다음에 상기 실시예 16 에서 사용한 하드코팅층을 형성하기 전의 착색층과 투명 기재필름의 하드코팅 필름을 준비하고, 이 하드코팅 필름의 투명 기재필름의 면에 하드코팅제 (다이니찌세이까 제조, 상품명 ; PETD-31) 를 롤코팅법으로 드라이 두께가 6㎛ 로 되도록 도공하고 용제성분을 건조시켜 미경화의 하드코팅층을 형성하였다. 그리고 상기 부형필름에 형성한 미경화의 중굴절율층과, 상기 하드코팅 필름의 투명 기재필름 면에 형성한 미경화 하드코팅층이 서로 접하도록 적층 및 압착하고, 자외선을 480mJ (10m/min) 의 조건에서 조사하고, 미경화의 중굴절율층과 하드코팅층을 경화시키고 경화된 중굴절율층과 하드코팅층을 형성하고, 중굴절율층의 면에 접합되어 있는 상기 부형필름을 박리ㆍ제거하여 착색층, 투명 기재필름, 하드코팅층 및 중굴절율층으로 이루어지는 착색 하드코팅 필름을 얻었다.
또한 상기 착색 하드코팅 필름의 중굴절율층의 면에, ITO 스퍼터링 (굴절율:2.0, 진공도가 5×10-6torr, 기판온도가 실온, 아르곤이 100scc/min, 산소가 5scc/min) 을 도입하고, 디포지트레이트 1.6 Å/s 의 조건에서 두께가 105㎚ 이고, 고굴절율층을 형성하였다. 다음에 이 착색 하드코팅 필름의 고굴절율층 면에 추가로 SiO (굴절율 : 1.46) 를, 진공도가 5×10-6torr, 기판온도가 실온, 증착속도를 26 Å/s 이고 두께가 85㎚ 로 저굴절율층을 형성하였다. 그리고 또 이 착색 하드코팅 필름의 저굴절율층의 면에, 불소계면활성제 (쓰리엠사 제조, 상품명 ; FC-722) 를 와이어바로 도공하여, 두께가 2㎚ 인 오염방지층을 형성하였다. 한편 이 착색 하드코팅 필름의 착색층의 면에는, 상기 실시예 13 에서 사용한 점착층을 형성하기 위한 점착제를 롤코팅법으로 도공하고, 드라이 두께가 20㎛ 의 점착층을 형성하여 도 9 에 나타낸 층구성 6 의 오염방지성이 부여된 반사방지성 착색 하드코팅 필름을 얻었다. 또한 얻은 착색 하드코팅 필름의 점착층의 면은, 취급성의 관점에서 실리콘처리된 두께 50㎛ 의 보호필름에 의해 보호되었다. 얻은 착색 하드코팅 필름의 특성을 표 8 에 나타낸다.
실시예 19
실시예 18 에서 착색층을 형성하지 않은 것과 이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으로서 실시예 13 의 착색된 이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동일한 조작을 반복하여 도 10 에 나타낸 층구성 7 의 오염방지성이 부여된 반사방지성 착색 하드코팅 필름을 얻었다. 얻은 착색 하드코팅 필름의 특성을 표 8 에 나타낸다.
비교예 9
색소를 첨가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실시예 13 과 동일한 구성의 하드코팅 필름을 얻었다. 얻은 하드코팅 필름의 특성을 표 8 에 나타낸다.
비교예 10
색소를 닛뽕가야꾸 제조 염료 (상품명 ; Kayaset BlueA2R) 로 변경하고 첨가량을 20 중량부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3 과 동일한 조작을 반복하였다. 얻은 착색 하드코팅 필름의 특성을 표 8 에 나타낸다.
비교예 11
색소를 닛뽕가야꾸 제조 염료 (상품명 ; Kayaset BlackAN) 로 변경하고 첨가량을 20 중량부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3 과 동일한 조작을 반복하였다. 얻은 착색 하드코팅 필름의 특성을 표 8 에 나타낸다.
비교예 12
색소를 다이니찌세이까 제조 안료 Carbon Black (상품명 ; 4818Black15F-7) 로 변경하고 그 첨가량을 20 중량부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3 과 동일한 조작을 반복하였다. 얻은 착색 하드코팅 필름의 특성을 표 8 에 나타낸다.
Figure 112002012220889-pct00018
여기에서 상기 표 8 중의 색소 A 내지 F 는 이하의 염료 또는 안료를 나타낸다.
A : 미츠이가가꾸 제조의 염료 (상품명 ; HS-299)
B : 미츠이가가꾸 제조의 염료 (상품명 ; HS-307) 및 닛뽕가야꾸 제조의 염료 (Kayaset YelloewEG) 의 중량비 20:1 의 블렌드
C : 미츠이가가꾸 제조의 염료 (상품명 ; HS-296), 닛뽕가야꾸 제조의 염료 (Kayaset OrangeAN) 및 닛뽕가야꾸 제조의 염료 (Kayaset GreenAB)의 중량비 10:3:3 의 블렌드
D : 닛뽕가야꾸 제조의 염료 (상품명 ; Kayaset BlueA2R)
E : 닛뽕가야꾸 제조의 염료 (상품명 ; Kayaset BlackAN)
F : 다이니찌세이까 제조 안료 (상품명 ; CarbonBlack4818Black15F-7.5)
실시예 20
실시예 1 에서 색소에 추가로 자외선흡수제로서 2,2'-p-페닐렌비스(3,1-벤조옥사디논-4-온) 를 1.0 중량% 첨가하는 것 이외에는 동일한 조작을 반복하였다. 얻은 이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광학특성의 평가결과를 표 9 에 나타낸다.
실시예 21
실시예 2 에서 색소에 추가로 자외선흡수제로서 2,2'-p-페닐렌비스(3,1-벤조옥사디논-4-온) 를 1.0 중량% 첨가하는 것 이외에는 동일한 조작을 반복하였다. 얻은 이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광학특성의 평가결과를 표 9 에 나타낸다.
실시예 22
실시예 3 에서 색소에 추가로 자외선흡수제로서 2-p-니트로페닐-3,1-벤조옥사디논-4-온을 1.0 중량% 첨가하는 것 이외에는 동일한 조작을 반복하였다. 얻은 이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광학특성의 평가결과를 표 9 에 나타낸다.
실시예 23
실시예 4 에서 색소에 추가로 자외선흡수제로서 2,2'-p-페닐렌비스(3,1-벤조옥사디논-4-온) 를 0.5 중량% 및 2-p-니트로페닐-3,1-벤조옥사디논-4-온을 0.5 중량% 첨가하는 것 이외에는 동일한 조작을 반복하였다. 얻은 이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광학특성의 평가결과를 표 9 에 나타낸다.
Figure 112002012220889-pct00019
여기에서 표 9 중의 기호 U 및 V 로 표시된 자외선흡수제는 이하의 것이다.
U : 2,2'-p-페닐렌비스(3,1-벤조옥사디논-4-온)
V : 2-p-니트로페닐-3,1-벤조옥사디논-4-온
실시예 24
실시예 5 에서 색소에 추가로 자외선흡수제로서 2,2'-p-페닐렌비스(3,1-벤조옥사디논-4-온) 를 0.5 중량% 첨가하는 것 이외에는 동일한 조작을 반복하였다. 얻은 접착성 필름의 평가결과를 표 10 에 나타낸다.
실시예 25 내지 27
실시예 24 에서 접착층을 표 10 에 나타낸 조성의 것으로 변경하는 것 이외에는 동일한 조작을 반복하였다. 얻은 접착성 필름의 평가결과를 표 10 에 나타낸다.
Figure 112002012220889-pct00020
표 10 에서의 도막용 조성물의 기호 (P2, P3, K1, K2, K3, J3 및 Y2) 는 각각 이하의 중합체 또는 화합물이다.
수성 폴리에스테르
P1 : 산성분이 2,6-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70 몰%), 이소프탈산 (24 몰%) 및 5-술포이소프탈산나트륨 (6 몰%), 글리콜성분이 에틸렌글리콜 (90 몰%) 및 디에틸렌글리콜 (10 몰%) 의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Tg 85℃).
P2 : 산성분이 테레프탈산 (90 몰%), 이소프탈산 (6 몰%) 및 5-술포이소프탈산칼륨 (4 몰%), 글리콜성분이 에틸렌글리콜 (95 몰%) 및 네오펜틸글리콜 (5 몰%) 의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Tg = 68℃)
P3 : 산성분이 테레프탈산 (85 몰%) 및 이소프탈산 (15 몰%), 글리콜성분이 에틸렌글리콜 (57 몰%), 1,4-부탄디올 (40 몰%), 디에틸렌글리콜 (2 몰%) 및 폴리에틸렌글리콜 (분자량 600) (1 몰%) 의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Tg = 47℃)
지방산의 아미드, 지방산의 비스아미드
K1 : N,N'-메틸렌비스스테아르산아미드
K2 : N,N'-에틸렌비스팔미트산아미드
K3 : N,N'-에틸렌비스카프릴산아미드
첨가제
J3 : 아크릴계 수지미립자 (평균입경 0.03㎛)
계면활성제
Y1 : 폴리옥시에틸렌 (N=7) 라우릴에테르
Y2 : 폴리옥시에틸렌노닐페닐에테르
실시예 28
실시예 9 에서 이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색소 외에 자외선흡수제 (2,2'-p-페닐렌비스(3,1-벤조옥사디논-4-온)) 을 1.0 중량% 첨가하는 것 이외에는 동일한 조작을 반복하였다. 얻은 하드코팅 필름의 광학특성의 평가결과를 표 11 에 나타낸다.
실시예 29
실시예 10 에서 이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색소 외에 자외선흡수제 (2,2'-p-페닐렌비스(3,1-벤조옥사디논-4-온)) 를 1.0 중량% 첨가하는 것 이외에는 동일한 조작을 반복하였다. 얻은 하드코팅 필름의 광학특성의 평가결과를 표 11 에 나타낸다.
실시예 30
실시예 11 에서 이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색소 외에 자외선흡수제 (2,2'-p,p'-디페닐렌비스(3,1-벤조옥사디논-4-온)) 를 1.0 중량% 첨가하는 것 이외에는 동일한 조작을 반복하였다. 얻은 하드코팅 필름의 광학특성의 평가결과를 표 11 에 나타낸다.
실시예 31
실시예 12 에서 이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색소 외에 제 1 자외선흡수제 (2,2'-p-페닐렌비스(3,1-벤조옥사디논-4-온)) 및 제 2 자외선흡수제 2 (2,2'-p,p'-디페닐렌비스(3,1-벤조옥사디논-4-온)) 를 0.5 중량% 및 0.5 중량% 첨가하는 것 이외에는 동일한 조작을 반복하였다. 얻은 하드코팅 필름의 광학특성의 평가결과를 표 11 에 나타낸다.
Figure 112002012220889-pct00021
이하 표 9 내지 11 을 고찰한다. 표 9 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자외선흡수제가 첨가된 본 발명의 이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우수한 내광열화성을 갖고, 이것들을 사용한 본 발명의 접착성 필름 및 하드코팅 필름도 동일하게 우수한 내광열화성을 갖는 것이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표시장치의 휘도를 떨어뜨리지 않고, 색순도나 콘트라스트를 높일 수 있는 이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접착성 필름 및 착색하드코팅 필름이 제공된다. 또 본 발명의 접착성 필름을 하드코팅 필름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거나 이면반사율을 축소할 수 있게 하면 표면경도나 내마모성 등이 양호하고, 또한 충분한 투명성, 방현성 및 방폭성 등을 구비한 하드코팅 필름을 제공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접착성 필름 및 착색 하드코팅 필름은 특히 퍼스널 컴퓨터 디스플레이의 표면보호판으로서 유용하다. 또 본 발명의 광학용 이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그 접착성 필름은 영상표시면 접착용으로서 컬러 CRT 뿐만 아니라 컬러 LCD 나 컬러 EL 디스플레이 등의 표시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고, 색순도 및 콘트라스트를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24)

  1. (1) 색소를 함유하고,
    (2) 헤이즈값이 최대 5 % 이하이고,
    (3) 파장이 540 내지 630 ㎚ 인 광선의 최대흡수피크의 파장 (X) 이 560 ㎚ 내지 610 ㎚ 의 범위에 있고,
    (4) 파장이 540 내지 630 ㎚ 인 광선의 최대흡수피크의 반값폭이 80 ㎚ 이하이고,
    (5) 파장이 540 내지 630 ㎚ 인 광선의 최대흡수피크의 파장 (X) 에 있어서의 광선투과율 (Tx) 을 파장 540 ㎚ 에 있어서의 광선투과율 (T540) 로 나눈 값 (Tx/T540) 이 0.80 미만이고,
    (6) 파장 620 ㎚ 에 있어서의 광선투과율 (T620) 을 파장 540 ㎚ 에 있어서의 광선투과율 (T540) 로 나눈 값 (T620/T540) 이 0.5 내지 1.5 의 범위이고,
    (7) 파장 450 ㎚ 에 있어서의 광선투과율 (T450) 을 파장 540 ㎚ 에 있어서의 광선투과율 (T540) 로 나눈 값 (T450/T540) 이 0.5 내지 1.5 의 범위이고, 또한
    (8) 영상표시면 접합용 하드코팅 필름을 위한 베이스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2. 제 1 항에 있어서, T620/T540 및 T450/T540 은 각각 0.7 내지 1.3 의 범위에 있는 이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색소는 안트라퀴논계 색소, 퀴나크리돈계 색소, 피리논계 색소, 폴리메틴계 색소, 피로메텐계 색소, 포르피린계 색소, 프탈로시아닌계 색소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하나 이상이 선택되는 이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색소는 이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면적을 기준으로 하여 0.004 내지 0.420 g/㎡ 의 범위로 배합되어 있는 이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파장 400 내지 650㎚ 에서의 전체 광선투과율이 40% 이상인 이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하는 이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흡수제는, 하기 화학식 1 :
    [화학식 1]
    Figure 112006028839785-pct00022
    [식중, X01 은 상기 식에 표시된 X01 로부터의 2 개의 결합수(結合手)가 1 번 위치, 2 번 위치의 위치관계에 있는 2 가의 방향족 잔기이고 ; n 은 1, 2 또는 3 이며 ; R01 은 n 가의 탄화수소 잔기인데, 이것은 헤테로원자를 추가 함유할 수 있거나, n = 2 일 때 직접 결합일 수 있다],
    및 하기 화학식 2
    [화학식 2]
    Figure 112006028839785-pct00023
    [식중, A 는 하기 화학식 3 :
    [화학식 3]
    Figure 112006028839785-pct00024
    으로 표시되는 기이거나, 또는 하기 화학식 4 :
    [화학식 4]
    Figure 112006028839785-pct00025
    로 표시되는 기이고; R02 및 R03 은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1 가의 탄화수소 잔기이고 ; X02 는 4 가의 방향족 잔기이고, 이것은 추가로 헤테로원자를 함유해도 된다]
    로 표시되는 환상 이미노에스테르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화합물인 이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8. 제 6 항에 있어서, 자외선 흡수제의 함유량은, 이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1 내지 5 중량% 인 이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이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적어도 그 편면 상에 형성된 제 1 접착층으로 이루어지는 접착성 필름.
  10. 제 9 항에 있어서, 이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과 제 1 접착층의 계면에서 반사되는 입사광의 반사율이 입사광에 대하여 0.4% 이하인 접착성 필름.
  11. (1)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이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과 그 한쪽의 면에 형성된 하드코팅층으로 이루어지고, 여기서, 상기 하드코팅층은 전리방사선 경화형 수지, 열경화형 수지 및 열가소성수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드코팅층이고,
    (2) 색소를 함유하고,
    (3) 파장이 540 내지 630 ㎚ 인 광선의 최대흡수피크의 파장 (X) 이 560 ㎚ 내지 610 ㎚ 의 범위에 있고,
    (4) 파장이 540 내지 630 ㎚ 인 광선의 최대흡수피크의 반값폭이 80 ㎚ 이하이고,
    (5) 파장이 540 내지 630 ㎚ 인 광선의 최대흡수피크의 파장 (X) 에 있어서의 광선투과율 (Tx) 을 파장 540 ㎚ 에 있어서의 광선투과율 (T540) 로 나눈 값 (Tx/T540) 이 0.80 미만이고,
    (6) 파장 620 ㎚ 에 있어서의 광선투과율 (T620) 을 파장 540 ㎚ 에 있어서의 광선투과율 (T540) 로 나눈 값 (T620/T540) 이 0.5 내지 1.5 의 범위이고,
    (7) 파장 450 ㎚ 에 있어서의 광선투과율 (T450) 을 파장 540 ㎚ 에 있어서의 광선투과율 (T540) 로 나눈 값 (T450/T540) 이 0.5 내지 1.5 의 범위이고, 또한
    (8) 영상표시면에의 접합을 위한 하드코팅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색 하드코팅 필름.
  12. 제 11 항에 있어서, 이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쪽의 착색 하드코팅 필름 면에 점착층을 갖는 착색 하드코팅 필름.
  13. 제 11 항에 있어서, 하드코팅 쪽의 착색 하드코팅 필름 면에 반사방지층을 갖는 착색 하드코팅 필름.
  14. 제 13 항에 있어서, 반사방지층 쪽의 착색 하드코팅 필름 면에 오염방지층을 갖는 착색 하드코팅 필름.
  15. 삭제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드코팅층이 색소를 함유하고 있는 착색 하드코팅 필름.
  17.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층이 색소를 함유하고 있는 착색 하드코팅 필름.
  18. 제 11 항에 있어서, 이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과 하드코팅층 사이에 착색층을 갖고, 이 착색층이 색소를 함유하는 착색 하드코팅 필름.
  19. 제 12 항에 있어서, 이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과 점착층 사이에 착색층을 갖고, 또한 이 착색층이 색소를 함유하는 착색 하드코팅 필름.
  20. 제 11 항에 있어서, 파장이 400 내지 650㎚ 인 가시광선에서의 전체광선투과율이 40% 이상인 착색 하드코팅 필름.
  21.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색소는 안트라퀴논계 색소, 퀴나크리돈계 색소, 피리논계 색소, 폴리메틴계 색소, 피로메텐계 색소, 포르피린계 색소, 프탈로시아닌계 색소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하나 이상이 선택되는 착색 하드코팅 필름.
  2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하는 착색 하드코팅 필름.
  23. 제 22 항에 있어서, 자외선 흡수제는, 하기 화학식 1
    [화학식 1]
    Figure 112007092077141-pct00026
    [식중, X01 은 상기 식에 표시된 X01 로부터의 2 개의 결합수가 1 번 위치, 2 번 위치의 위치관계에 있는 2 가의 방향족 잔기이고 ; n 은 1, 2 또는 3 이며 ; R01 은 n 가의 탄화수소 잔기인데, 이것은 헤테로원자를 추가 함유할 수 있거나, n = 2 일 때 직접 결합일 수 있다],
    및 하기 화학식 2
    [화학식 2]
    Figure 112007092077141-pct00027
    [식중, A 는 하기 화학식 3 :
    [화학식 3]
    Figure 112007092077141-pct00028
    로 표시되는 기이거나, 하기 화학식 4 :
    [화학식 4]
    Figure 112007092077141-pct00029
    로 표시되는 기이고; R02 및 R03 은 동일하거나 다르며 1 가의 탄화수소 잔기이고 ; X02 는 4 가의 방향족 잔기이고, 이것은 추가로 헤테로원자를 함유할 수 있다]
    로 표시되는 환상 이미노에스테르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화합물인 착색 하드코팅 필름.
  24. 제 22 항에 있어서, 자외선 흡수제의 함유량은, 폴리에스테르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1 내지 5 중량% 인 착색 하드코팅 필름.
KR1020027005223A 2000-08-23 2001-08-13 이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접착성 필름 및 착색하드코팅 필름 KR1008385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0-00252174 2000-08-23
JP2000252174 2000-08-23
JP2001054038A JP2002258760A (ja) 2001-02-28 2001-02-28 着色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JPJP-P-2001-00054038 2001-02-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0210A KR20020060210A (ko) 2002-07-16
KR100838548B1 true KR100838548B1 (ko) 2008-06-17

Family

ID=265982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5223A KR100838548B1 (ko) 2000-08-23 2001-08-13 이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접착성 필름 및 착색하드코팅 필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589649B2 (ko)
EP (1) EP1279700B1 (ko)
KR (1) KR100838548B1 (ko)
DE (1) DE60137123D1 (ko)
TW (1) TW583263B (ko)
WO (1) WO200201649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0123182T2 (de) * 2000-02-10 2007-09-20 Teijin Ltd. Polyesterfolienverbund, Lichtstreuplatte und deren Verwendung
US6835333B2 (en) * 2002-05-07 2004-12-28 Milliken & Company Combinations for use as toners in polyesters
US6875811B2 (en) * 2002-05-07 2005-04-05 Milliken & Company Single compound toners for use in polyesters
EP1403333A1 (en) 2002-09-24 2004-03-31 Sicpa Holding S.A. Method and ink sets for marking and authenticating articles
JP4174509B2 (ja) * 2003-01-21 2008-11-05 帝人デュポンフィルム株式会社 積層フィルム
US7132065B2 (en) * 2003-02-12 2006-11-0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Process for manufacturing polymeric optical film
WO2004081090A1 (ja) * 2003-03-11 2004-09-23 Mitsubishi Polyester Film Corporation 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及び離型フィルム
US7041365B2 (en) * 2003-05-12 2006-05-0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Static dissipative optical construction
EP1686400B1 (en) * 2003-10-27 2012-06-06 Teijin Dupont Films Japan Limited Near infrared shielding film
US7110175B2 (en) * 2004-02-27 2006-09-19 Bose Corporation Display screens
US7981505B2 (en) * 2004-06-24 2011-07-19 Ppg Industries Ohio, Inc. Coated articles and multi-layer coatings
DE102004049609A1 (de) * 2004-10-12 2006-04-13 Mitsubishi Polyester Film Gmbh Polyesterfolie mit hydrophiler Beschichtung,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DE602006008746D1 (de) * 2005-01-21 2009-10-08 Asahi Glass Co Ltd Haftklebemittel und optischer filter
JP4677857B2 (ja) * 2005-08-23 2011-04-27 ヤマハ株式会社 楽器用部材または楽器とその製造方法
KR101362591B1 (ko) * 2006-03-17 2014-02-21 키모토 컴파니 리미티드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용 바인더 조성물 및 이것을 사용한 광학 필름
US20090000727A1 (en) * 2007-06-29 2009-01-01 Kanta Kumar Hardcoat layers on release liners
EP2373708B1 (en) * 2008-12-17 2016-03-0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Bulk polymerization of silicone-containing copolymers
CN102458850A (zh) * 2009-06-12 2012-05-16 三菱树脂株式会社 叠层聚酯膜
JP5349172B2 (ja) * 2009-07-01 2013-11-20 三菱樹脂株式会社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KR101767911B1 (ko) * 2009-07-01 2017-08-14 미쯔비시 케미컬 주식회사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KR20160091451A (ko) * 2009-09-23 2016-08-02 미쓰비시 쥬시 가부시끼가이샤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JP4888853B2 (ja) 2009-11-12 2012-02-29 学校法人慶應義塾 液晶表示装置の視認性改善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US8889193B2 (en) 2010-02-25 2014-11-18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Sustained delivery of therapeutic agents to an eye compartment
KR101248743B1 (ko) * 2010-04-08 2013-04-03 (주)엘지하우시스 성형가공 후에도 높은 광택을 가지는 성형용 적층시트 및 그 제조방법
JP5570289B2 (ja) * 2010-04-29 2014-08-13 三菱樹脂株式会社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KR101379491B1 (ko) 2012-05-31 2014-04-01 주식회사 엘지화학 하드코팅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01686B1 (ko) 2012-05-31 2015-03-11 주식회사 엘지화학 하드코팅 필름
KR101418409B1 (ko) 2012-05-31 2014-07-09 주식회사 엘지화학 하드코팅 조성물
KR101415838B1 (ko) 2012-08-23 2014-07-09 주식회사 엘지화학 하드코팅 조성물
EP3034548A1 (en) * 2014-12-18 2016-06-22 Nederlandse Organisatie voor toegepast- natuurwetenschappelijk onderzoek TNO Barrier film laminate comprising submicron getter particles a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such a laminate
GB201504291D0 (en) * 2015-03-13 2015-04-29 Dupont Teijin Films Us Ltd PV cells
CN107429128A (zh) * 2016-03-09 2017-12-01 三菱化学株式会社 粘接膜及其制造方法
JP7138721B2 (ja) * 2018-11-28 2022-09-16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光学積層フィルムロールの製造方法、および、光学積層フィルムロール
JP7329949B2 (ja) * 2019-03-29 2023-08-21 東洋紡株式会社 組成物、積層体及び被覆金属製品
CN114126869A (zh) * 2019-07-26 2022-03-01 日涂汽车涂料有限公司 层叠膜的制造方法和层叠部件的制造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53904A (ja) 1982-03-08 1983-09-13 Mitsubishi Rayon Co Ltd プラスチツク系フイルタ−
JPH07191428A (ja) * 1993-12-27 1995-07-28 Konica Corp 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及び写真用支持体
US5806834A (en) 1995-03-06 1998-09-15 Fuji Photo Film Co., Ltd. Ultraviolet-asborbing polymer film
US5993958A (en) * 1996-01-25 1999-11-30 Fuji Photo Film Co., Ltd. Method of manufacturing a polyester-series photographic support
JP2000121806A (ja) * 1998-10-19 2000-04-28 Fuji Photo Film Co Ltd 反射防止膜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5251A (en) 1980-06-12 1982-01-12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Cathode ray tube glass
NO872943L (no) * 1986-07-21 1988-01-22 Mitsui Toatsu Chemicals Filter for katodestraaleroerskjerm.
CA2041089C (en) * 1990-05-10 1995-01-17 Yasuo Iwasaki Coating film for the faceplate of a colour cathode ray tube
US5523114A (en) * 1995-03-28 1996-06-04 Chung Picture Tubes, Ltd. Surface coating with enhanced color contrast for video display
JP3760528B2 (ja) * 1996-11-07 2006-03-29 ソニー株式会社 表示素子用フィルター
US5834122A (en) * 1996-11-25 1998-11-10 Hoechst Celanese Corp. Spectrally tuned multiple bandpass filters for video displays
JPH11335639A (ja) 1998-03-26 1999-12-07 Tomoegawa Paper Co Ltd 電子ディスプレイ用貼着フィルム
FR2780390B1 (fr) * 1998-06-30 2000-08-04 Birambeau Tire-bouchon de type automatique
KR100453188B1 (ko) * 1999-05-31 2004-10-1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콘트라스트가 향상된 음극선관 및 그 제조방법
KR100615154B1 (ko) * 1999-08-19 2006-08-2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콘트라스트가 향상된 음극선관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53904A (ja) 1982-03-08 1983-09-13 Mitsubishi Rayon Co Ltd プラスチツク系フイルタ−
JPH07191428A (ja) * 1993-12-27 1995-07-28 Konica Corp 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及び写真用支持体
US5806834A (en) 1995-03-06 1998-09-15 Fuji Photo Film Co., Ltd. Ultraviolet-asborbing polymer film
US5993958A (en) * 1996-01-25 1999-11-30 Fuji Photo Film Co., Ltd. Method of manufacturing a polyester-series photographic support
JP2000121806A (ja) * 1998-10-19 2000-04-28 Fuji Photo Film Co Ltd 反射防止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137123D1 (de) 2009-02-05
WO2002016497A1 (fr) 2002-02-28
EP1279700A4 (en) 2004-08-18
US20030008162A1 (en) 2003-01-09
US6589649B2 (en) 2003-07-08
TW583263B (en) 2004-04-11
EP1279700B1 (en) 2008-12-24
KR20020060210A (ko) 2002-07-16
EP1279700A1 (en) 2003-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8548B1 (ko) 이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접착성 필름 및 착색하드코팅 필름
US6991849B2 (en) Near infrared ray shielding film
JP5009648B2 (ja) 反射防止フィルム用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03082127A (ja) 光学用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およびその積層体
JP5005927B2 (ja) 光学用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WO2003049943A1 (fr) Film en polyester adhesif pour utilisation optique
JP5052716B2 (ja) 赤外線フィルター
JP2008181097A (ja) 近赤外線吸収フィルタ及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KR100964707B1 (ko) 광학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JP2003236969A (ja) 着色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JP5140212B2 (ja) 光学用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03096215A (ja) 近赤外線遮蔽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積層体
JP2002258760A (ja) 着色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KR20080041137A (ko) 광학용 이접착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JP2003001703A (ja) 光学用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03237006A (ja) 光学用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07130956A (ja) 光学用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07047517A (ja) 反射防止フィルム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および反射防止フィルム
JP2003002985A (ja) 近赤外線遮蔽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積層体
JP2003191366A (ja) 着色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JP4758738B2 (ja) 光学用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04149551A (ja) 光学用易接着性フィルムおよび積層体
US9984602B2 (en) Decorative illumination recording sheet,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decorative illumination image sheet,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and decorative illumination signboard
JP2004042528A (ja) 光学用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12000823A (ja)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