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8011B1 - 차량의 후드 충격흡수 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의 후드 충격흡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8011B1
KR100838011B1 KR1020060134555A KR20060134555A KR100838011B1 KR 100838011 B1 KR100838011 B1 KR 100838011B1 KR 1020060134555 A KR1020060134555 A KR 1020060134555A KR 20060134555 A KR20060134555 A KR 20060134555A KR 100838011 B1 KR100838011 B1 KR 1008380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d
patch
vehicle
head lamp
head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45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진호
Original Assignee
지엠대우오토앤테크놀로지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엠대우오토앤테크놀로지주식회사 filed Critical 지엠대우오토앤테크놀로지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345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80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80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80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0Bonnets or lids, e.g. for trucks, tractors, busses, work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34Protecting non-occupants of a vehicle, e.g. pedestrians
    • B60R21/38Protecting non-occupants of a vehicle, e.g. pedestrians using means for lifting bonn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0Bonnets or lids, e.g. for trucks, tractors, busses, work vehicles
    • B62D25/12Parts or detail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Superstructure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후드패치를 연성재질로 성형하여 장착함으로써 헤드램프와의 간극 및 단차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보행자와의 충돌에서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여 보행자의 상해치를 최대한 낮출 수 있도록 한 차량의 후드 충격흡수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그 기술적 구성은, 엔진룸을 개폐시킴과 동시에 외관을 형성시키는 후드 및 차체의 전방에 고정부에 의해 고정·지지되는 헤드램프로 구성되는 후드 충격흡수 구조에 있어서, 아우터판넬 및 헤드램프를 소정간격 이격시키고, 이격된 부위에 구비되는 후드패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차량, 후드, 헤드램프, 보행자, 상해치, 엔진룸, 충격, 흡수, 후드패치, 연성재질.

Description

차량의 후드 충격흡수 구조{HOOD IMPACT ABSORPTION STRUCTURE OF VEHICLES}
도 1은, 종래의 후드 및 헤드램프의 장착구조를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
도 2는, 도 1의 후드 및 헤드램프의 장착구조를 도시한 개략적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후드 및 헤드램프의 장착구조를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후드 및 헤드램프의 장착구조를 부분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후드(Hood),
110 : 헤드램프(Head Lamp),
112 : 고정부,
120 : 후드패치(Hood Patch),
122 : 지지부,
124 : 결합부,
130 : 체결수단,
본 발명은 차량의 후드 충격흡수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후드패치를 연성재질로 성형하여 장착함으로써 헤드램프와의 간극 및 단차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보행자와의 충돌에서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여 보행자의 상해치를 최대한 낮출 수 있도록 한 차량의 후드 충격흡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차량의 차체구조는 충돌시 탑승객의 안전 및 차량과 보행자의 충돌시 보행자의 안전까지도 규제하도록 제정된 각종 관련법규 및 주행중인 차량과 보행자 사이의 충돌시 보행자의 각 신체부위에 대한 상해의 정도를 특정하게 규정된 시험방법(EURO - NCAP)을 통해 차체의 안전성을 평가하여 공표하는 기관(EEVC)에서 제정하는 관련기준까지도 만족시켜야 한다.
도 1은, 종래의 후드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후드(10)의 폐쇄시 후드(10)와 헤드램프(20) 사이의 간섭을 방지하는 오버슬램범퍼(미도시)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후드(10)는 차량의 외관을 형성하는 아우터판넬(12)과 오버슬램을 고려한 적정한 간극과 단차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후드(10)의 강도를 확보하기 위한 인너판넬(14)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후드의 오버슬램을 위한 적정한 간극과 단차가 지속적으로 관리되지 않아 그 간극과 단차가 유지되지 못할 경우 외관 및 헤드램프 등이 파손되는 현상 이 발생하였다.
또한, 보행자가 후드에 충돌할 경우 아우터판넬이 인너판넬에 맞닿게 되면 충격 흡수는 이루어지지 않아 발생되는 충격이 모두 보행자에게 전달됨으로써 보행자에게 심각한 상해를 끼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연질의 후드패치를 구비하여 오버슬램량을 고려하지 않아도 됨으로써 헤드램프 및 각 부품들의 설계 및 적용에 유연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후드패치의 범위를 보행자 보호 충돌 성능 범위 이상으로 적용하여 차량과 보행자의 충돌시 충돌 부위가 보다 용이하게 완충됨으로써 보행자에게 가해지는 상해치를 최대한 완화시켜 보행자의 안전을 도모함과 더불어 관련법규 및 평가기관의 관련기준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엔진룸을 개폐시킴과 동시에 외관을 형성시키는 후드 및 차체의 전방에 고정부에 의해 고정·지지되는 헤드램프로 구성되는 후드 충격흡수 구조에 있어서, 후드 및 헤드램프를 소정간격 이격시키고, 이격된 부위에 구비되는 후드패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후드패치는 일단이 헤드램프의 고정부 상면에 지지될 수 있도록 내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지지부와, 그 상면이 전체적으로 만곡된 형상으로 형성 되어 차체의 외관과 조화를 이루도록 하고, 타단이 중공부를 형성하여 후드와 체결수단에 의해 결합되는 결합부로 구성된다.
그리고, 후드패치는 연성재질의 EPDM(합성수지계열), 실리콘, 고무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조합으로 형성하여 헤드램프와의 간극 및 단차관리를 편리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후드패치의 폭은 95㎜ ~ 105㎜으로 형성하는 것이 적절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후드 및 헤드램프의 장착구조를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후드 및 헤드램프의 장착구조를 부분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엔진룸을 개폐시킴과 동시에 외관을 형성시키는 후드(100) 및 차체의 전방에 고정부(112)에 의해 고정·지지되는 헤드램프(110)로 구성되는 후드 충격흡수 구조에 있어서, 후드(100) 및 헤드램프(110)를 소정간격 이격시키고, 이격된 부위에 구비되는 후드패치(Hood Patch, 1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후드패치(120)는 그 일단에 헤드램프(110)의 고정부(112) 상면에 지지될 수 있도록 내측으로 절곡되는 지지부(122)가 형성된다.
그리고, 후드패치(120)의 상면은 전체적으로 만곡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차체의 외관과 조화를 이루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후드패치(120)의 길이 는 약 95㎜ ~ 105㎜ 로 형성하는 것이 적절하고, 100㎜인 것이 가장 양호하다.
또한, 후드패치(120)의 타단이 소정의 중공부를 형성하여 일단이 내측으로 절곡된 후드(100)와 체결수단(130)에 의해 결합되는 결합부(124)가 형성된다. 이 체결수단(130)은 볼트 등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아울러, 후드패치(120)는 색상을 차체와 동일하게 적용하는 한편, 연성재질의 EPDM(합성수지계열), 실리콘, 고무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조합으로 형성하여 헤드램프(110)와의 간극 및 단차관리를 편리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연성재질의 후드패치(120)는 보행자와 충돌시 쉽게 완충역할을 함으로써 상해치를 최대한 낮출 수 있어 관련법규 및 평가기관의 기준을 만족시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연성재질의 후드패치(120)는 헤드램프 및 각 부품들과의 간극 및 단차를 위한 오버슬램(Over - Slam)량을 고려하지 않아도 됨으로써 헤드램프 및 각 부품들의 설계 및 적용에 유연성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후드 충격흡수 구조에 의하면, 연질의 후드패치를 구비하여 오버슬램량을 고려하지 않아도 됨으로써 헤드램프 및 각 부품들의 설계 및 적용에 유연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후드패치의 범위를 보행자 보호 충돌 성능 범위 이상으로 적용하여 차량과 보행자의 충돌시 충돌 부위가 보다 용이하게 주저않게 됨으로써 보행자에게 가해지는 상해치를 최대한 완화시켜 보행자의 안전을 도모함과 더불어 관련법규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Claims (4)

  1. 엔진룸을 개폐시킴과 동시에 외관을 형성시키는 후드(100) 및 차체의 전방에 고정부(112)에 의해 고정·지지되는 헤드램프(110)로 구성되는 후드 충격흡수 구조에 있어서,
    상기 후드(100) 및 헤드램프(110)를 소정간격 이격시키고, 이격된 부위에 일단이 상기 헤드램프(110)의 고정부(112) 상면에 지지될 수 있도록 내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지지부(122)와,
    그 상면이 전체적으로 만곡되게 형성되고, 타단에 중공부를 형성하여 상기 후드(100)와 체결수단(130)에 의해 결합되는 결합부(124)로 구비되는 후드패치(1 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후드 충격 흡수 구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드패치(120)는 연성재질의 EPDM, 실리콘, 고무 중 어느 하나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후드 충격 흡수 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드패치(120)의 폭은 95㎜ ~ 10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후드 충격 흡수 구조.
KR1020060134555A 2006-12-27 2006-12-27 차량의 후드 충격흡수 구조 KR1008380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4555A KR100838011B1 (ko) 2006-12-27 2006-12-27 차량의 후드 충격흡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4555A KR100838011B1 (ko) 2006-12-27 2006-12-27 차량의 후드 충격흡수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8011B1 true KR100838011B1 (ko) 2008-06-12

Family

ID=397712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4555A KR100838011B1 (ko) 2006-12-27 2006-12-27 차량의 후드 충격흡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801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73561A (zh) * 2013-04-08 2015-11-18 丰田自动车株式会社 车辆前部结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33771U (ja) 1984-08-01 1986-03-01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自動車の車体構造
KR19980045275A (ko) * 1996-12-10 1998-09-15 김영귀 자동차의 본넷트 기밀구조
JP2002046650A (ja) * 2000-08-02 2002-02-12 Mazda Motor Corp 車両前部の構造
KR20030041394A (ko) * 2001-11-20 2003-05-2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헤드램프 완충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33771U (ja) 1984-08-01 1986-03-01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自動車の車体構造
KR19980045275A (ko) * 1996-12-10 1998-09-15 김영귀 자동차의 본넷트 기밀구조
JP2002046650A (ja) * 2000-08-02 2002-02-12 Mazda Motor Corp 車両前部の構造
KR20030041394A (ko) * 2001-11-20 2003-05-2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헤드램프 완충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73561A (zh) * 2013-04-08 2015-11-18 丰田自动车株式会社 车辆前部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12838B1 (ko) 자동차의 휀더부 구조
JP2007106368A (ja) 自動車の遮音構造
JP2000108841A (ja) 車両用前部構造
JP4355961B2 (ja) フロントボンネットシステム
KR100838011B1 (ko) 차량의 후드 충격흡수 구조
US6923496B1 (en) Anti-flutter bumper for hood mounted grilles
KR100527941B1 (ko) 보행자 보호를 위한 후드 오버슬램범퍼
KR100727116B1 (ko) 장착 구조가 개선된 차량용 헤드램프
KR100398430B1 (ko) 자동차의 펜더패널 고정구
KR102237066B1 (ko) 차량용 오버 슬램 범퍼
KR100836304B1 (ko) 오버 슬램 범퍼구조
KR0138810B1 (ko) 승용차의 사이드 실
KR100752436B1 (ko) 자동차 펜더 밀봉 스트립
KR200320913Y1 (ko) 자동차의 차체 보호장치
KR100401672B1 (ko) 차량의 카울패널
KR900003037Y1 (ko) 차량용 도어샤시구조
KR0137759Y1 (ko) 비산물질차단용 차량도어의 사이드 프로텍터
JP6349123B2 (ja) 車両のドア部構造
KR200235369Y1 (ko) 자동차의 후방문 지지구조
KR970020864A (ko) 자동차의 오버슬램 범퍼
JP2009126208A (ja) ハーネスグロメット
KR19990020347U (ko) 범퍼 일체형 웨더 스트립
KR19980051657U (ko) 도어의 충격 흡수구조
KR19980035756U (ko) 자동차의 트렁크 리드 완충용 스토퍼
KR910018239A (ko) 충격흡수용 범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8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