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6284B1 - 트럭의 테일 게이트 수평 유지 장치 - Google Patents

트럭의 테일 게이트 수평 유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6284B1
KR100836284B1 KR1020060121476A KR20060121476A KR100836284B1 KR 100836284 B1 KR100836284 B1 KR 100836284B1 KR 1020060121476 A KR1020060121476 A KR 1020060121476A KR 20060121476 A KR20060121476 A KR 20060121476A KR 100836284 B1 KR100836284 B1 KR 1008362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il gate
hinge
horizontal bar
rod
tru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14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문규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214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62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62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62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2Platforms; Open load compartments
    • B62D33/023Sideboard or tailgate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9/00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2Platforms; Open load compartments
    • B62D33/023Sideboard or tailgate structures
    • B62D33/027Sideboard or tailgate structures movable
    • B62D33/037Latching mean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3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vehicle
    • B60W2300/12Trucks; Loa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럭의 테일 게이트 수평 유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화물 적재부의 테일 게이트 개방 시 단순히 열러 젖혀짐에 따라 자동적으로 수평을 유지하면서 잠금 상태로 전환되도록 해, 테일 게이트의 개방 작업이 편리해지면서 테일 게이트의 열어 젖혀짐에 따른 안전 사고의 위험성을 방지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적재함(A)을 이루는 측면 프레임에 잠금장치(B)를 매개로 수직 상태가 고정되면서 그 길이 방향을 따라 힌지(H)와 경첩(h)을 매개로 젖혀지는 테일 게이트(T)의 개방 시 수평 유지 장치가, 적재함(A)의 바닥 프레임 끝단에 구비되어 테일 게이트(T)의 90°이상 젖혀짐을 구속하는 가압 부재(1)와, 테일 게이트(T)를 180°로 완전히 젖히도록 가압 부재(1)의 구속력을 해제하는 구속해제부재(6)로 구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트럭의 테일 게이트 수평 유지 장치{Horizontal locking device of tail gate in commercial truck}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트럭의 테일 게이트 수평 유지 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평 유지 장치를 구성하는 테일 게이트 부위의 부품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평 유지 장치를 이용한 테일 게이트의 작동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가압 부재 2 : 가압 스프링
3,15 : 스프링 지지단 4 : 가이더 플레이트
5 : 이동 로드 5a : 밀착단
5b : 걸림턱 6 : 구속해제부재
7 : 수평 바 7a,9b : 고정 홈
8 : 인너 그립 부재 8a : 힌지 브라켓
8b : 힌지 결합단 9 : 아우터 그립 부재
9a : 지지 브라켓 10 : 구속 스프링
11 : 걸림단 12 : 수용공간
13 : 힌지 로드 14 : 해제 그립 브라켓
16 : 수평 열림 구속로드 16a : 걸림 리브
A : 적재함 B : 잠금장치
H : 힌지 h : 경첩
T : 테일 게이트
본 발명은 트럭의 테일 게이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적재함을 이루는 테일 게이트를 수평으로 열어 젖혀 고정할 수 있도록 된 트럭의 테일 게이트 수평 유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물의 운송을 목적으로 하는 트럭은 운전석 후방에 화물적재부를 설치하여 화물을 적재 운반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이다.
즉, 트럭과 같은 경우 운전석을 이루는 캡(Cab)의 뒤로 빈 공간인 데크(Deck)를 화물 적재부로 사용하게 되며, 이는 통상적으로 화물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된 플로워(Floor)와, 상기 플로워(Floor)의 양쪽 측면에 설치되어 적재된 화물의 측면이동을 제한할 수 있도록 된 사이드게이트와, 상기 플로워(Floor)의 차체 후방에 설치되어 상기 사이드게이트와 함께 결합된 상태로 적재된 화물이 후방으로 이동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도록 된 테일게이트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화물적재부는 화물의 적재작업이 용이하게 하기 위해 사이드게이트와 테일게이트를 각각 열고 닫을 수 있도록, 경첩등을 매개로 힌지 결합되면서 잠금장치를 구비하고, 통상적으로 테일게이트의 개방 시 사이드 게이트부위에 체인등을 이용하여 걸어주면서 플로워 면에 테일게이트의 면이 일치하도록 즉, 테일게이트가 플로워 면에 수평이 되도록 열어 젖혀지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화물적재부를 이루는 테일게이트의 개방 시 플로워 면에 수평이 되도록 열어 젖혀진 상태를 고정하는 방식이 단순히 체인등을 이용하게 되면, 체인에 구비된 후크가 사이드 게이트에 걸려지지 않는 경우 자중에 의한 테일게이트의 낙하로 인해 작업자의 부상 위험성이 있고, 또한 테일게이트의 개방 시 체인에 의한 고정에 많은 주위를 기울여야 하는 불편이 있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발명된 것으로, 화물 적재부의 테일게이트 개방 시 단순히 열러 젖혀짐에 따라 자동적으로 수평을 유지하면서 잠금 상태로 전환되도록 해, 테일게이트의 개방 작업이 편리해지면서 테일게이트의 열어 젖혀짐에 따른 안전 사고의 위험성을 방지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트럭의 테일 게이트 수평 유지 장치가 적재함의 폭 길이 방향을 따라 힌지와 경첩을 매개로 젖혀지는 테일 게이트쪽으로 탄성력을 가하도록, 적재함의 바닥 프레임 끝단에서 일단이 스프링 지지단을 통해 지지되어 가압 스프링과, 상기 가압 스프링을 통해 가압력을 받는 가이더 플레이트 및 상기 가이더 플레이트에 결합되어져 가압 스프링이 가하는 가압 력에 의해 테일 게이트쪽으로 이동되면서, 테일 게이트의 90°젖혀진 상태를 구속하도록 테일 게이트부위를 구속하는 이동 로드로 이루어진 가압 부재와;
테일 게이트의 폭을 따라 양 끝단으로 배열되면서 테일 게이트에서 돌출 된 걸림단이 끼워지는 장방 형상 고정 홈을 형성한 수평 바와, 상기 수평 바의 일단에서 테일 게이트의 개구된 수용공간에 가로로 배열된 힌지 로드에 결합되어 90°젖혀진 상태를 유지하는 테일 게이트의 구속력을 해제하는 인너 그립 부재 및 상기 수평 바의 타단에서 인너 그립 부재가 90°젖혀진 상태를 유지하는 테일 게이트의 구속부위를 해제하도록 작동시켜, 테일 게이트를 180°로 완전히 젖히도록 하는 아우터 그립 부재로 이루어진 구속해제부재;
로 구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이동 로드는 일단이 가이더 플레이트로 삽입된 상태에서 상면으로 돌출된 걸림턱을 이용해 가이더 플레이트와 결합력을 유지하고, 가이더 플레이트로 삽입되지 않는 타단의 끝단에 반원 형상을 이루는 밀착단을 형성해 90°젖혀진 테일 게이트의 젖혀짐 방향을 구속해 테일 게이트의 90°열림 상태를 유지시켜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이동 로드와 테일 게이트간 구속 유지는 이동 로드의 반원 형상 밀착단이, 테일 게이트의 저부를 이루는 끝단에 형성된 원형 단면의 수평 열림 구속로드의 일단에서 돌출 되어진 걸림 리브를 구속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인너 그립 부재는 수평 바의 일단에 고정되는 일측이 길게 형성 된 디귿 자 형상을 이루는 힌지 브라켓과, 상기 힌지 브라켓의 수평 바 고정부위의 안쪽에서 테일 게이트의 힌지 로드에 결합되어, 수평 바의 직선 이동에 대해 힌지 로드를 매개로 힌지 브라켓을 위로 상승시키는 힌지점을 이루는 힌지 결합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아우터 그립 부재는 수평 바의 일단에 고정되면서 테일 게이트에서 돌출 된 걸림단이 끼워지는 장방 형상 고정 홈을 형성한 지지 브라켓과, 상기 지지 브라켓의 일측에서 손으로 잡고 단길 수 있도록 수직하게 형성되어진 해제 그립 브라켓 및 상기 브라켓 사이에서 스프링 지지단을 매개로 양쪽이 지지되어져 수평 바를 밀어주는 탄성력을 가하는 구속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트럭의 테일 게이트 수평 유지 장치의 구성도를 도시한 것인바, 본 발명은 적재함(A)을 이루는 측면 프레임에 잠금장치(B)를 매개로 수직 상태가 고정되면서 그 길이 방향을 따라 힌지(H)와 경첩(h)을 매개로 젖혀지는 테일 게이트(T)의 개방 시 수평 유지 장치가, 적재함(A)의 바닥 프레임 끝단에 구비되어 테일 게이트(T)의 90°이상 젖혀짐을 구속하는 가압 부재(1)와, 테일 게이트(T)를 180°로 완전히 젖히도록 가압 부재(1)의 구속력을 해제하는 구속해제부재(6)로 구성되어진다.
그리고, 상기 가압 부재(1)는 적재함(A)의 바닥 프레임 끝단에서 일단이 스 프링 지지단(3)을 통해 지지되어 테일 게이트(T)쪽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가압 스프링(2)과, 상기 가압 스프링(2)을 통해 가압력을 받는 탄성 재질의 가이더 플레이트(4) 및 상기 가이더 플레이트(4)에 결합되어져 가압 스프링(2)이 가하는 가압력에 의해 테일 게이트(T)쪽으로 이동되면서, 테일 게이트(T)의 90°젖혀진 상태를 구속하도록 테일 게이트(T)부위를 구속하는 이동 로드(5)로 구성되어진다.
여기서, 상기 가압 스프링(2)은 초기 상태가 압축되어진 상태로 설치되어, 테일 게이트(T)가 열려져 젖혀질 때 압축 상태가 해제되면서 인장되고, 테일 게이트(T)가 닫혀질 때 다시 압축된 상태로 전환되어진다.
또한, 상기 가압 스프링(2)의 탄성 복원력은 테일 게이트의 수평 유지를 위한 가압력을 제공하는 근본적인 수단으로서, 초기 압축된 가압 스프링(2)의 이동 로드(5)에 대한 가압력은 이동 로드(5)가 테일 게이트에 밀착된 상태에서 젖혀진 상태에서 내려가려는 테일 게이트(T) 자중을 충분히 구속하는 크기로서, 이는 트럭 사양에 따른 테일 게이트의 하중이 각각 다름에 따라 설계 시 탄성 계수가 결정되어진다.
그리고, 상기 이동 로드(5)는 일단이 가이더 플레이트(4)로 삽입된 상태에서 상면으로 돌출된 걸림턱(5b)을 이용해 가이더 플레이트(4)와 결합력을 유지하고, 가이더 플레이트(4)로 삽입되지 않는 타단의 끝단에 반원 형상을 이루는 밀착단(5a)을 형성해 90°젖혀진 테일 게이트(T)의 젖혀짐 방향을 구속해 테일 게이트(T)의 90°열림 상태를 유지시켜주게 된다.
삭제
이때, 상기 이동 로드(5)와 테일 게이트(T)간 구속 유지는 이동 로드(5)의 반원 형상 밀착단(5a)이, 테일 게이트(T)의 저부를 이루는 끝단에 형성된 원형 단면의 수평 열림 구속로드(16)의 일단에서 돌출 되어진 걸림 리브(16a)를 구속해 이루어지는데,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일 게이트(T)가 90°젖혀짐에 따라 구속로드(16)의 걸림 리브(16a)가 하 방향으로 위치됨에 따라, 상기 걸림 리브(16a)가 구속로드(16)의 측면에서 밀착되는 이동 로드(5)의 반원 형상 밀착단(5a)에 걸려져, 자중에 의해 90°이상으로 젖혀지려는 테일 게이트(T)의 젖혀짐을 구속해주게 된다.
이는, 상기 구속 로드(16)의 아래쪽에 돌출된 걸림 리브(16a)와 이동 로드(5)의 밀착단(5a)간 작용은 힘의 역학 관계로서 즉, 테일 게이트가 90°로 열린 상태에서 자중에 의해 90°이상으로 젖혀지려 할 때 테일 게이트와 함께 구속 로드(16)가 밑으로 처지려는 이동 경로는 도 3(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속 로드(16)의 아래쪽으로 돌출된 걸림 리브(16a)가 이동 로드(5)의 밀착단(5a)에 접촉된 상태에서 저지됨에 따라, 결국 테일 게이트의 자중에 의한 처짐은 구속 로드(16)의 걸림 리브(16a)를 통해 가압 스프링(2)의 가압력을 지속적으로 받는 이동 로드(5)가 저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테일 게이트(T)를 180°로 완전히 젖히도록 가압 부재(1)의 구속력을 해제하는 구속해제부재(6)는, 테일 게이트(T)의 폭을 따라 양 끝단으로 배열되면서 테일 게이트(T)에서 돌출 된 걸림단(11)이 끼워지는 장방 형상 고정 홈(7a)을 형성한 수평 바(7)와, 상기 수평 바(7)의 일단에서 테일 게이트(T)의 개구된 수용공간(12)에 가로로 배열된 힌지 로드(13)에 결합되어 90°젖혀진 상태를 유지하는 테일 게이트(T)의 구속력을 해제하는 인너 그립 부재(8) 및 상기 수평 바(7)의 타단에서 인너 그립 부재(8)가 90°젖혀진 상태를 유지하는 테일 게이트(T)의 구속부위를 해제하도록 작동시키는 아우터 그립 부재(9)로 구성되어진다.
여기서, 상기 수평 바(7)의 고정 홈(7a)은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중앙부위와 양쪽 끝단 부위 쪽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고정 홈(7a)의 길이는 90°젖혀진 상태를 유지하는 테일 게이트(T)의 구속력을 해제하기 위해 수평 바(7)가 직선 이동되는 간격을 갖도록 형성되어진다.
그리고, 상기 인너 그립 부재(8)는 수평 바(7)의 일단에 고정되는 일측이 길게 형성된 디귿 자 형상을 이루는 힌지 브라켓(8a)과, 상기 힌지 브라켓(8a)의 수평 바(7) 고정부위의 안쪽에서 테일 게이트(T)의 힌지 로드(13)에 결합되어, 수평 바(7)의 직선 이동에 대해 힌지 로드(13)를 매개로 힌지 브라켓(8a)를 위로 상승시키는 힌지점을 이루는 힌지 결합단(8b)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아우터 그립 부재(9)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바(7)의 일단에 고정되면서 테일 게이트(T)에서 돌출 된 걸림단(11)이 끼워지는 장방 형상 고정 홈(9b)을 형성한 지지 브라켓(9a)과, 상기 지지 브라켓(9a)의 일측에서 손으로 잡고 단길 수 있도록 수직하게 형성되어진 해제 그립 브라켓(14) 및 상기 브라켓(9a,14)사이에서 스프링 지지단(15)을 매개로 양쪽이 지지되어져 수평 바(7)를 밀어주는 탄성력을 가하는 구속 스프링(10)으로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의 작동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테일게이트(T)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함(A)을 개방하도록 열어 젖혀질 때, 적재함(A)의 바닥 프레임 끝단에 힌지(H)와 경첩(h)을 매개로 구비된 테일 게이트(T)가 90°젖혀진 상태에서 적재함(A)의 바닥 프레임과 일치되는 열림 상태가 유지되고, 또한 단순히 잡아당기는 작동만으로 테일 게이트(T)를 180°로 완전히 젖혀지도록 할 수 있는 특징이 있게 된다.
이는 적재함(A)을 이루는 바닥 프레임 끝단과 힌지(H)와 경첩(h)을 매개로 결합된 테일 게이트(T)의 개방 시, 테일 게이트(T)의 자중에 의해 90°이상 젖혀지려는 거동이 적재함(A)의 바닥 프레임 끝단에서 테일 게이트(T)쪽으로 구비된 가압 부재(1)에 의해 구속되고, 테일 게이트(T)를 180°로 완전히 젖히는 경우는 단순히 잡아당김에 따라 발생되는 회전력을 통해, 수평 상태를 유지시키는 가압 부재(1)의 구속력을 구속해제부재(6)가 해제하도록 작용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즉, 적재함(A)에서 테일 게이트(T)를 열면 테일 게이트(T)는 적재함(A)의 바닥 프레임과 일치하는 90°열림 상태에서 자동적으로 고정 상태로 전환되는데, 이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일 게이트(T)의 젖혀짐에 따라 적재함(A)의 바닥 프 레임에 구비된 가압 부재(1)의 가압 스프링(2)이 인장되고, 이와 같은 가압 스프링(2)의 인장력은 가이더 플레이트(4)에 결합된 이동 로드(5)쪽을 가압해 이동 로드(5)를 이동시켜 주게 된다.
이어, 상기 이동 로드(5)가 이동됨에 따라 이동 로드(5)의 끝단에 형성된 반원 형상 밀착단(5a)이 테일 게이트(T)의 구속로드(16)에 밀착되며, 이와 같이 상기 이동 로드(5)의 밀착단(5a)에 구속로드(16)가 밀착 결합됨에 따라, 상기 구속로드(16)의 일단에서 돌출 되어진 걸림 리브(16a)도 밀착단(5a)에 걸려 구속되도록 지지되어진다.
이때, 상기 구속로드(16)의 걸림 리브(16a)는 테일 게이트(T)가 90°젖혀짐에 따라 자동적으로 이동 로드(5)의 밀착단(5a)에 걸려지는데, 이는 상기 걸림 리브(16a)의 돌출 방향이 테일 게이트(T)와 함께 구속로드(16)가 90°젖혀진 상태에서, 걸림 리브(16a)가 하 방향으로 위치되도록 형성되기 때문이다.
삭제
이와 같이 가압 부재(1)의 이동 로드(5)와 테일 게이트(T)의 구속로드(16)를 매개로 해, 테일 게이트(T)가 개방되면 테일 게이트(T)가 90°젖혀진 상태에서 자동적으로 수평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더불어, 90°젖혀진 테일 게이트(T)가 자중에 의해 180°로 내려가려는 하 방향 회전력을 받는 상기 이동 로드(5)의 저면이 더 지지되는 즉, 테일 게이트(T)에 설치되어 테일 게이트(T)가 90°젖혀진 상태에서 상기 가압 부재(1)의 이동 로드(5)의 저면 부위로 위치되는 인너 그립 부재(8)를 이용해 더 지지해주는 작용을 구현해 주게 된다.
이는, 90°젖혀진 테일 게이트(T)의 자중에 의해 180°로 내려가려는 하 방향 회전력을 받는 이동 로드(5)의 저면을 지지해 구속하도록, 구속해제 부재(6)가 테일 게이트(T)에서 구속로드(16)의 아래쪽으로 설치됨에 따라, 도 3(나)에 표시된 화살표 방향과 같이 상기 가압 부재(1)와 구속 해제 부재(6) 간 이루어지는 서로간의 구속 작용을 통해 구현되어진다.
이와 같이 개방 시, 90°젖혀진 테일 게이트(T)의 자중에 대항해 젖혀진 상태를 유지해주는 힘은 가압 부재(1)와 더불어 구속 해제 부재(6)와의 결합 구조를 통해 구현되는 것으로, 이는 도 3(나)에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가압 부재(1)는 테일 게이트(T)를 구속하는 구속력을 가압 스프링(2)의 탄성 복원력을 통한 지속적인 가압력과, 상기 가압 스프링(2)의 가압력을 받는 이동 로드(5)의 걸림단(5a)을 통한 마찰 접촉력과 더불어, 구속 로드(16)의 하 방향 돌출된 걸림단(16a)이 이동 로드(5)의 걸림단(5a)부위에 접촉됨에 따른 자중에 의해 내려가려는 테일 게이트(T)에 대한 구속력은 물론, 구속해제 부재(6)를 이루는 인너 그립 부재(8)를 통한 상기 이동 로드(5)의 저면 위치 지지력을 동시에 받을 수 있도록 작용되어진다.
이러한 다중의 지지력을 통해 테일 게이트(T)가 90°젖혀져 열린 상태에서도, 테일 게이트(T)가 자중에 의해 밑으로 더 내려가지 않고 수평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90°젖혀진 수평 상태인 테일 게이트(T)를 180°로 완전히 젖혀주려면, 테일 게이트(T)의 끝단부위에서 가압 부재(1)쪽으로 이어지는 구속해제부재(6)를 조작해 가압 부재(1)의 구속력을 해제함에 따라, 테일 게이트(T)를 구속하던 가압 부재(1)의 구속력이 제거되면서 테일 게이트(T)의 자중으로 180°로 완전히 젖혀지게 된다.
이는 아우터 그립 부재(9)를 잡아 당겨 테일 게이트(T)의 끝단 부위에서 가압 부재(1)쪽으로 이어진 구속해제부재(6)를 조작시켜주면, 즉 테일 게이트(T)의 끝단 부위에 구비된 아우터 그립 부재(9)의 해제 그립 브라켓(14)을 잡아당김에 따라, 상기 아우터 그립 부재(9)에 고정된 수평 바(7)가 당겨지면서 그 끝단에 고정된 인너 그립 부재(8)가 위로 상승되고, 이러한 인너 그립 부재(8)의 상승에 의해 이동 로드(5)가 테일 게이트(T)의 구속로드(16)로부터 벗어나 테일 게이트(T)의 구속 상태를 해제해주게 된다.
이는 도 3(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제 그립 브라켓(14)의 이동에 따라 장방 형상 고정 홈(9b)내 걸림단(11)의 위치가 변한 만큼 지지 브라켓(9a)도 함께 당겨지게 되고, 이와 같은 지지 브라켓(9a)의 이동은 고정된 수평 바(7)를 잡아 당겨 주게 되고, 이때 상기 수평 바(7)에 형성된 장방 형상 고정 홈(7a)에 위치된 걸림단(11)의 위치는 테일 게이트(T)의 수평 상태일 때의 반대 위치에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수평 바(7)가 당겨지면 그 끝단에 고정된 인너 그립 부재(8)가 회전되면서 일단이 상승되는데 즉, 수평 바(7)에 고정된 힌지 브라켓(8a)의 안 쪽에서 테일 게이트(T)의 힌지 로드(13)가 끼워진 힌지 결합단(8b)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 점을 이루면서 힌지 브라켓(8a)을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주게 된다.
이어, 상기 힌지 브라켓(8a)의 반 시계 방향 회전은 그 상부로 위치된 이동로드(5)를 밀어 올리게 되고, 이로 인해 이동로드(5)가 결합된 탄성 재질의 가이더 플레이트(4)를 변형시키면서 이동로드(5)가 상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이동로드(5)의 밀착단(5a)이 테일 게이트(T)의 구속로드(16)로부터 이탈되어진다.
이때, 상기 인너 그립 부재(8)가 위로 상승됨에 따라 구속 로드(16)의 아래쪽에 돌출된 걸림 리브(16a)는 이동 로드(5)의 밀착단(5a)을 통해 더 이상 구속되지 않게 되며, 이러한 이동 로드(5)의 구속 해제는 자중에 의해 하 방향으로 내려가려는 테일 게이트(T)에 작용하는 힘의 균형 상태를 제거하는 즉, 밑으로 처지는 테일 게이트(T)와 함께 구속 로드(16)의 걸림 리브(16a)에 대한 구속이 제거됨에 따라, 90°로 열린 상태에서 자중에 의해 90°이상으로 내려가려는 테일 게이트(T)의 하 방향 운동이 방해받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이동로드(5)와 테일 게이트(T)의 구속로드(16)간의 구속력이 해제되면, 테일 게이트(T)를 구속하던 가압 부재(1)의 구속력이 제거되면서 테일 게이트(T)의 자중으로 180°로 완전히 젖혀지게 된다.
이때, 상기 이동로드(5)의 밀착단(5a)은 테일 게이트(T)의 구속로드(16)로부터 완전히 이탈되지 않아도 되는데, 이는 이동로드(5)의 밀착단(5a)은 테일 게이트(T)의 자중에 의해 지속적인 하 방향 힘을 받게 되므로, 상기 밀착단(5a)이 구속로드(16)의 걸림 리브(16a)가 가하는 하 방향 힘을 이겨내지 못하는 위치일 때, 테일 게이트(T)의 자중이 테일 게이트(T)를 180°로 완전히 젖혀 질 수 있도록 작용하게 된다.
이와 같이 90°와 180°로 단계적인 열림이 가능한 테일게이트(T)를 다시 잠그게 되면, 즉 테일게이트(T)가 적재함(A)을 이루는 측면 프레임쪽으로 세워진 후 잠금장치(B)를 매개로 수직 상태가 고정되고, 이때 테일게이트(T)를 수평으로 유지하는 가압 부재(1)는 초기 상태로 복귀 즉, 가압 스프링(2)이 닫혀지는 테일 게이트(T)의 거동으로 인해 압축되어져 개방 시 가압 부재(1)를 작동시키기 위한 탄성력을 갖추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적재함을 개방하도록 열어 젖혀지는 테일 게이트가 90°젖혀진 상태에서 적재함의 바닥 프레임과 일치되는 열림 상태가 자동으로 유지되고, 또한 단순히 잡아당기는 작동만으로 테일 게이트를 자중을 이용해 180°로 완전히 젖혀지도록 해, 테일 게이트의 수평 상태 유지를 위해 체인등을 이용해 직접 고정할 때 발생되는 작업자의 부상 위험성 등을 방지 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7)

  1. 적재함(A)의 폭 길이 방향을 따라 힌지(H)와 경첩(h)을 매개로 젖혀지는 테일 게이트(T)쪽으로 탄성력을 가하도록, 적재함(A)의 바닥 프레임 끝단에서 일단이 스프링 지지단(3)을 통해 지지되어 가압 스프링(2)과, 상기 가압 스프링(2)을 통해 가압력을 받는 가이더 플레이트(4) 및 상기 가이더 플레이트(4)에 결합되어져 가압 스프링(2)이 가하는 가압력에 의해 테일 게이트(T)쪽으로 이동되면서, 테일 게이트(T)의 90°젖혀진 상태를 구속하도록 테일 게이트(T)부위를 구속하는 이동 로드(5)로 이루어진 가압 부재(1)와;
    테일 게이트(T)의 폭을 따라 양 끝단으로 배열되면서 테일 게이트(T)에서 돌출 된 걸림단(11)이 끼워지는 장방 형상 고정 홈(7a)을 형성한 수평 바(7)와, 상기 수평 바(7)의 일단에서 테일 게이트(T)의 개구된 수용공간(12)에 가로로 배열된 힌지 로드(13)에 결합되어 90°젖혀진 상태를 유지하는 테일 게이트(T)의 구속력을 해제하는 인너 그립 부재(8) 및 상기 수평 바(7)의 타단에서 인너 그립 부재(8)가 90°젖혀진 상태를 유지하는 테일 게이트(T)의 구속부위를 해제하도록 작동시켜, 테일 게이트(T)를 180°로 완전히 젖히도록 하는 아우터 그립 부재(9)로 이루어진 구속해제부재(6);
    로 구성되어진 트럭의 테일 게이트 수평 유지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압 스프링(2)은 테일 게이트(T)가 닫혀질 때 압축된 상태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럭의 테일 게이트 수평 유지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 로드(5)는 일단이 가이더 플레이트(4)로 삽입된 상태에서 상면으로 돌출된 걸림턱(5b)을 이용해 가이더 플레이트(4)와 결합력을 유지하고, 가이더 플레이트(4)로 삽입되지 않는 타단의 끝단에 반원 형상을 이루는 밀착단(5a)을 형성해 90°젖혀진 테일 게이트(T)의 젖혀짐 방향을 구속해 테일 게이트(T)의 90°열림 상태를 유지시켜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럭의 테일 게이트 수평 유지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이동 로드(5)와 테일 게이트(T)간 구속 유지는 이동 로드(5)의 반원 형상 밀착단(5a)이, 테일 게이트(T)의 저부를 이루는 끝단에 형성된 원형 단면의 수평 열림 구속로드(16)의 일단에서 돌출 되어진 걸림 리브(16a)를 구속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럭의 테일 게이트 수평 유지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평 바(7)의 고정 홈(7a)은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중앙부위와 양쪽 끝단 부위 쪽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고정 홈(7a)의 길이는 90°젖혀진 상태를 유지하는 테일 게이트(T)의 구속력을 해제하기 위해 수평 바(7)가 직선 이동되는 간격을 갖도록 형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럭의 테일 게이트 수평 유지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너 그립 부재(8)는 수평 바(7)의 일단에 고정되는 일측이 길게 형성된 디귿 자 형상을 이루는 힌지 브라켓(8a)과, 상기 힌지 브라켓(8a)의 수평 바(7) 고정부위의 안쪽에서 테일 게이트(T)의 힌지 로드(13)에 결합되어, 수평 바(7)의 직선 이동에 대해 힌지 로드(13)를 매개로 힌지 브라켓(8a)를 위로 상승시키는 힌지점을 이루는 힌지 결합단(8b)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럭의 테일 게이트 수평 유지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그립 부재(9)는 수평 바(7)의 일단에 고정되면서 테일 게이트(T)에서 돌출 된 걸림단(11)이 끼워지는 장방 형상 고정 홈(9b)을 형성한 지지 브라켓(9a)과, 상기 지지 브라켓(9a)의 일측에서 손으로 잡고 단길 수 있도록 수직하게 형성되어진 해제 그립 브라켓(14) 및 상기 브라켓(9a,14)사이에서 스프링 지지단(15)을 매개로 양쪽이 지지되어져 수평 바(7)를 밀어주는 탄성력을 가하는 구속 스프링(1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럭의 테일 게이 트 수평 유지 장치.
KR1020060121476A 2006-12-04 2006-12-04 트럭의 테일 게이트 수평 유지 장치 KR1008362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1476A KR100836284B1 (ko) 2006-12-04 2006-12-04 트럭의 테일 게이트 수평 유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1476A KR100836284B1 (ko) 2006-12-04 2006-12-04 트럭의 테일 게이트 수평 유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6284B1 true KR100836284B1 (ko) 2008-06-09

Family

ID=397705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1476A KR100836284B1 (ko) 2006-12-04 2006-12-04 트럭의 테일 게이트 수평 유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628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8357B1 (ko) 2000-11-06 2003-01-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테일 게이트 스테이 와이어 가이드 장치
KR100526962B1 (ko) 2003-04-29 2005-11-09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화물차량의 적재함 게이트 개폐장치
KR20060060878A (ko) * 2004-12-01 2006-06-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화물차의 적재함 게이트 지지 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8357B1 (ko) 2000-11-06 2003-01-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테일 게이트 스테이 와이어 가이드 장치
KR100526962B1 (ko) 2003-04-29 2005-11-09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화물차량의 적재함 게이트 개폐장치
KR20060060878A (ko) * 2004-12-01 2006-06-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화물차의 적재함 게이트 지지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62761B2 (en) Vertically-storing dock leveler apparatus and method
KR100843563B1 (ko) 픽업차량의 적재함용 슬라이딩커버 조립체
US20110266826A1 (en) Tension Bow Locking Device For A Flexible Cover System
KR100836284B1 (ko) 트럭의 테일 게이트 수평 유지 장치
KR102081323B1 (ko) 특장차용 발판
JP2006240338A (ja) 荷箱ゲート落下防止構造
KR101699355B1 (ko) 픽업차량용 적재함 커버 조립체
JP5005397B2 (ja) 車両のゲート開閉装置
JPS587515B2 (ja) ヨウキカバ−ソウチ
KR101550440B1 (ko) 픽업차량용 적재함 커버장치
JP6126504B2 (ja) コンテナ荷役車両
JP3115985B2 (ja) 荷物載置台付き車両
CA2744164C (en) Tensioning bow member locking device for a flexible cover system
JP4397778B2 (ja) コンテナ荷役車輌の荷役アーム固縛装置
JP2016101861A (ja) 箱型車両の外折れ式ドア構造物
JPH08156707A (ja) はしご用キャリヤ
JP3219967B2 (ja) 貨物車等における長尺物荷役装置
JP4022448B2 (ja) 荷受台昇降装置の荷受台折れ曲がり防止装置
JP5562147B2 (ja) スライドパレットユニット及び貨物車
JP7144347B2 (ja) 車両に搭載された荷箱
KR101760130B1 (ko) 적재프레임 구조물
BE1014601A3 (nl) Inrichting voor het laden en/of lossen van een lading op/vanaf een voertuig.
NL1029061C2 (nl) Inrichting voor het bevestigen van lading op een laadvlak.
TW469231B (en) Body cover device for cars
JP2009120199A (ja) 貨物自動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