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8357B1 - 자동차의 테일 게이트 스테이 와이어 가이드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테일 게이트 스테이 와이어 가이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8357B1
KR100368357B1 KR10-2000-0065507A KR20000065507A KR100368357B1 KR 100368357 B1 KR100368357 B1 KR 100368357B1 KR 20000065507 A KR20000065507 A KR 20000065507A KR 100368357 B1 KR100368357 B1 KR 1003683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il gate
stay wire
tail
sides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55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35275A (ko
Inventor
김용수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655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8357B1/ko
Publication of KR200200352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52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83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835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2Platforms; Open load compartments
    • B62D33/023Sideboard or tailgate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2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specially for preventing the slamming of swinging wings during final closing movement, e.g. jamb stops
    • E05F5/022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specially for preventing the slamming of swinging wings during final closing movement, e.g. jamb stop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e.g. for hoods or tru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테일 게이트 가이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테일 게이트가 열릴 때에는 스테이 와이어가 인출되고 테일 게이트가 닫칠 때에는 스테이 와이어가 인입되게 한 스테이 와이어 가이드장치를 화물적재함의 테일부 양측에 설치함으로서 종래에 문제시되던 노이즈 발생을 방지하고, 화물적재함의 테일부와 테일 게이트의 양 측면간 마찰에 의한 훼손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자동차의 테일부 바디에 고정되고 내측 상부 양측 상/하부에 소정길이를 갖는 축안착홈이 형성된 브래킷; 상기 축안착홈에 안착되어 이동되도록 양측에 축이 마련되고 중앙에 스테이 와이어를 수용하는 수용홈이 형성된 각각의 휠; 상기 휠의 양측에 형성된 축에 결합되도록 선단부 양측에 걸이부가 형성되고 후방중앙에 스프링결합부가 형성된 각각의 가이드; 상기 각각의 가이드에 형성된 스프링결합부에 일측단이 결합되고 타측단은 브래킷에 고정되는 인장스프링을 설치하여서 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테일 게이트 스테이 와이어 가이드 장치{Stay wire guide device for tail gate of car}
본 발명은 자동차의 테일 게이트 스테이 와이어 가이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운전석 후방에 화물적재함이 마련된 픽업(Pickup)차종의 테일 게이트 양측과 상기 화물적재함의 테일부 양측에 상호 연결 설치되어 상기 테일 게이트가 열릴 때에 그 열림 정도를 제한해주는 스테이 와이어를 필요(테일 게이트의 개폐시)에 따라 인출 및 인입 해줌으로서 상기 테일 게이트 개폐시 발생되는 노이즈(Noise)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픽업 차종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방에 운전석(10)이 마련되어 있고 그 운전석(10)의 후방에는 운전석(10)과 일체로 화물적재함(11)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화물적재함(11)의 테일부에는 테일 게이트(12)가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이 화물적재함(11)의 테일부에 마련된 테일 게이트(12)가 열릴 때에는 상부에서 하부로 회동하여 열리게되고 닫칠 때에는 하부에서 상부로 회동하며 닫치게 되는 바, 상기 테일 게이트(12)의 양측 및 화물적재함(11)의 테일부 양측에는 스테이 와이어(13)가 설치되어 상기 테일 게이트(12)의 열림 량을 제한한다.
상기와 같이 테일 게이트(12)의 열림 량을 제한하는 스테이 와이어(13)가 상기 테일 게이트(12)의 양측 및 화물적재함(11)의 테일부 양측에 설치되는 구조를 설명하면 이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테이 와이어(13)가 피복재(14)로 감싸여져 있고 그 피복재(14)로 감싸여진 스테이 와이어(13)의 양단은 각각의 고정구(15)가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각각의 고정구 중 일측의 고정구는 화물적재함(11)의 테일부에 볼팅되고 타측의 고정구는 테일 게이트(12)의 측면에 볼팅된다.
이와 같이 테일 게이트(12)의 양측 및 화물적재함(11)의 테일부 양측에 설치된 스테이 와이어(13)는 상기 테일 게이트(12)가 개폐시 도 3a 및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테일 게이트(12)가 열리게 되면 스테이 와이어(13)가 일직선 상태로 펴지고 상기 테일 게이트(12)가 닫치게 되면 스테이 와이어(13)가 접힌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테일 게이트(12)가 열린 상태에서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으나 테일 게이트(12)가 닫치게 되면 스테이 와이어(13)가 접혀지면서 화물적재함(11)의 테일부와 테일 게이트(12)의 양 측면 사이에 끼이게 되어 상기 테일 게이트(12)와 화물적재함(11)의 테일부 간에 결합력이 떨어진다.
따라서 상기 결합력이 떨어진 상태에서 주행을 하게 되면 노이즈가 발생함은 물론, 상기 화물적재함(11)의 테일부와 테일 게이트(12)의 양 측면간에 마찰이 발생하여 그 마찰부분이 훼손됨으로 부식이 빨리 오게되고 그 부식은 자동차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결과를 가져오게 된다.
또한 상기 스테이 와이어(13)는 테일 게이트(12)의 개폐에 따라 절첩이 이루어짐으로 그에 따른 훼손이 발생하게 되고 그 훼손은 파단으로 이루어져 새로운 스테이 와이어(13)로 교체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소하고자 발명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테일 게이트가 열릴 때에는 스테이 와이어가 인출되고 테일 게이트가 닫칠 때에는 스테이 와이어가 인입되게 한 스테이 와이어 가이드장치를 화물적재함의 테일부 양측에 설치함으로서 종래에 문제시되던 노이즈 발생을 방지하고, 화물적재함의 테일부와 테일 게이트의 양 측면간 마찰에 의한 훼손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테일 게이트 스테이 와이어 가이드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자동차의 테일 게이트 부분을 발췌한 사시도,
도 2는 상기 도 1의 테일 게이트 양측에 설치되는 종래의 스테이 와이어 발췌도,
도 3a 및 도 3b는 종래의 스테이 와이어가 테일 게이트에 설치되어 그 테일 게이트의 개폐에 따라 작용되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테일 게이트 스테이 와이어 가이드 장치 발췌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테일 게이트 스테이 와이어 가이드를 가이드하 는 휠의 발췌 단면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테일 게이트 스테이 와이어 가이드 장치가 테일 게이트의 개폐에 따라 작용하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자동차 11 : 화물적재함
12 : 테일 게이트 13 : 스테이 와이어
20 : 브래킷 21 : 축안착홈
30 : 휠 31 : 축
32 : 수용홈 33 : 스프링
40 : 가이드 41 : 걸이부
42 : 스프링결합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자동차 테일 게이트 스테이 와이어 가이드 장치에 대한 특징적인 기술적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자동차 테일 게이트 스테이 와이어 가이드 장치는 자동차의 테일부 바디에 고정되고 내측 상부 양측 상/하부에 소정길이를 갖는 축안착홈이 형성된 브래킷; 상기 축안착홈에 안착되어 이동되도록 양측에 축이 마련되고 중앙에 스테이 와이어를 수용하는 수용홈이 형성된 각각의 휠; 상기 휠의 양측에 형성된 축에 결합되도록 선단부 양측에 걸이부가 형성되고 후방중앙에 스프링결합부가 형성된 각각의 가이드; 상기 각각의 가이드에 형성된 스프링결합부에 일측단이 결합되고 타측단은 브래킷에 고정되는 인장스프링을 포함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브래킷에 형성된 축안착홈 중 상부에 위치한 축안착홈은 수평상태로 형성되고 하부에 위치한 축안착홈은 경사게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휠은 축으로부터 분해결합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휠의 내측에 위치하는 축의 단부에는 스프링을 개재시켜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의 자동차 테일 게이트 스테이 와이어 가이드 장치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테일 게이트 스테이 와이어 가이드 장치 발췌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테일 게이트 스테이 와이어 가이드를 가이드하 는 휠의 발췌 단면도이며,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테일 게이트 스테이 와이어 가이드 장치가 테일 게이트의 개폐에 따라 작용하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로서,
자동차(10)의 테일부 바디에 브래킷(20)이 볼트와 너트에 의해 분해결합 가능하게 고정되는데, 상기 브래킷(20)의 내측 상부 양측 상/하부에는 그 브래킷(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길이를 갖는 축안착홈(2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브래킷(20)의 내측 상부 양측 상/하부에 형성된 축안착홈(21) 중 상부에 위치한 축안착홈(21)은 브래킷(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상태로 형성되고 하부에 위치한 축안착홈(21)은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축안착홈(21)이 형성된 브래킷(20)의 내부에는 휠(30)이 설치되는데, 그 휠(30)은 중앙부에 스테이 와이어(13)를 수용하는 수용홈(32)이 형성되고 양측에는 상기 축안착홈(21)에 안착되어 이동하면서 휠(30)을 지지해주는 축(31)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휠(30)에 설치된 축(31) 중 일측에 설치된 축(31)은 휠(30)과 분해결합 가능하게 설치되는데, 그의 구성을 보면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휠(30)의 일측에 스프링(33)이 개재되는 스프링개재부(34)를 마련하고 또 상기 휠(30)의 일측 단부에는 나사공(35)을 형성시켰으며 상기 축(31)의 단부에는 나사부(36)를 형성시켜 그 나사부(36)가 나사공(35)에 나사 결합되며 관통 설치되도록 되어있다.
이와 같이 축(31)이 관통 설치된 단부 즉 휠(30)의 내부에는 스프링(33)이 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 휠(30)에 설치된 양측의 축(31)에는 가이드(40)의 선단에 형성된 걸이부(41)가 걸어지고 상기 가이드(40)의 후방 중앙에 형성된 스프링결합부(42)에는 인장스프링(50)의 선단부가 결합되며 후단부는 브래킷(20)에 고정된다.
단 상기 휠(30)은 브래킷(20)의 내측 상/하부에 각각 마련되는데, 그 상/하부에 마련된 각각의 휠(30)의 축(31)에는 가이드(40)가 각각 설치되고 그 가이드(40)에는 인장스프링(50)이 설치되어 상부에 위치한 인장스프링(50)은 브래킷(20)의 후방에 고정되고 하부에 위치한 인장스프링(50)은 브래킷(20)의 전방에 고정된다.
이상과 같이 형성된 본 발명의 자동차 테일 게이트 스테이 와이어 가이드 장치를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테일게이트(12)가 닫히게 되면 상부에 위치한 휠(30)은 브래킷(20)의 후방에 위치하는 상태가 되고 하부에 위치한 휠(30)은 브래킷(20)의 전방에 위치한 성태가 된다, 그리고 인장스프링(50)의 장력은 발휘되지 않는 상태가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테일 게이트(12)가 열리게되면 스테이 와이어(13)가 당겨지면서 브래킷(20)의 상부 후방에 위치한 휠(30)은 전방으로 이동되고 상기 브래킷(20)의 하부 전방에 위치한 휠(30)은 후방으로 이동된다. 이때 상기 각각의 휠(30)이 이동되면 가이드(40)도 같이 이동되고 그에 따른 인장스프링(50)도 인장 된다.
또 상기 테일 게이트(12)가 닫히게 되면 상기 잡아당겨진 스테이 와이어(13)가 도 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위치 되는데, 이때에는 상기 장력을 발휘하고 있던 인장스프링(50)이 가이드(40)를 당겨주고 그 당겨지는 가이드(40)는 휠(30)의 축(31)을 당겨줌으로 휠(30)이 원위치 되면서 스테이 와이어(13) 감아주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브래킷(20)에 형성된 수용홈(32)은 스테이 와이어(13)가 인출 및 인입 될 때 휠(30)로부터 위치 이탈되지 않고 안전하게 가이드 해주는 역할을 하고 또 상기 축(31)의 내측 단부와 휠(30)의 내부 스프링개재부(34) 사이에 개재된 스프링(33)은 휠(30)의 원활한 회전은 물론, 충격을 완충해 주는 역할을 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자동차 테일 게이트 스테이 와이어 가이드 장치는 테일 게이트가 열릴 때에는 스테이 와이어가 인출되고 테일 게이트가 닫힐 때에는 스테이 와이어가 자동으로 인입되게 하도록 하기 위하여 브래킷 내부에 휠과 그 휠을 가이드 해주는 가이드 그리고 가이드를 당겨주는 인장스프링을 마련함으로서 테일 게이트의 개폐가 원활하게 이루어짐은 물론 종래에 문제시되던 노이즈 발생을 방지하고 화물적재함의 테일부와 테일 게이트의 양 측면간 마찰에 의한 훼손을 예방할수 있는 특유의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자동차의 테일부 바디에 고정되고 내측 상부 양측 상/하부에 소정길이를 갖는 축안착홈(21)이 형성된 브래킷(20);
    상기 축안착홈에 안착되어 이동되도록 양측에 축(31)이 마련되고 중앙에 스테이 와이어(13)를 수용하는 수용홈(32)이 형성된 각각의 휠(30);
    상기 휠의 양측에 형성된 축에 결합되도록 선단부 양측에 걸이부(41)가 형성되고 후방중앙에 스프링결합부(42)가 형성된 각각의 가이드(40);
    상기 각각의 가이드에 형성된 스프링결합부에 일측단이 결합되고 타측단은 브래킷에 고정되는 인장스프링(50)을 포함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테일 게이트 스테이 와이어 가이드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에 형성된 축안착홈 중 상부에 위치한 축안착홈은 수평상태로 형성되고 하부에 위치한 축안착홈은 경사게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테일 게이트 스테이 와이어 가이드 장치.
  3. 제 1항에 있어, 상기 휠은 축으로부터 분해결합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휠의 내측에 위치하는 축의 단부에는 스프링(33)을 개재시켜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테일 게이트 스테이 와이어 가이드 장치.
KR10-2000-0065507A 2000-11-06 2000-11-06 자동차의 테일 게이트 스테이 와이어 가이드 장치 KR1003683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5507A KR100368357B1 (ko) 2000-11-06 2000-11-06 자동차의 테일 게이트 스테이 와이어 가이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5507A KR100368357B1 (ko) 2000-11-06 2000-11-06 자동차의 테일 게이트 스테이 와이어 가이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5275A KR20020035275A (ko) 2002-05-11
KR100368357B1 true KR100368357B1 (ko) 2003-01-24

Family

ID=196973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5507A KR100368357B1 (ko) 2000-11-06 2000-11-06 자동차의 테일 게이트 스테이 와이어 가이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835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6284B1 (ko) 2006-12-04 2008-06-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트럭의 테일 게이트 수평 유지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59307A (en) * 1975-10-01 1977-11-22 Neufeldt Jacob J Vehicle tailgate assembly
JPH0567585U (ja) * 1992-02-24 1993-09-07 株式会社北村製作所 車両用上下式扉
WO1998024654A1 (fr) * 1996-12-05 1998-06-11 Bory S.A.R.L. Porte arriere de dechargement de benne basculante
KR19990014456U (ko) * 1997-10-02 1999-05-06 추호석 덤프트럭의 적재함 자동 개폐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59307A (en) * 1975-10-01 1977-11-22 Neufeldt Jacob J Vehicle tailgate assembly
JPH0567585U (ja) * 1992-02-24 1993-09-07 株式会社北村製作所 車両用上下式扉
WO1998024654A1 (fr) * 1996-12-05 1998-06-11 Bory S.A.R.L. Porte arriere de dechargement de benne basculante
KR19990014456U (ko) * 1997-10-02 1999-05-06 추호석 덤프트럭의 적재함 자동 개폐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6284B1 (ko) 2006-12-04 2008-06-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트럭의 테일 게이트 수평 유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5275A (ko) 2002-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46838B2 (en) Trailer cover system
US7537269B2 (en) Fuel filler door interlock assembly for a slidable door
US7766410B2 (en) Fuel filler door interlock assembly
JP4410332B2 (ja) 特に自動車用のスライドドアの操作装置
US7159930B2 (en) Power slide device for vehicle sliding door
US7726720B2 (en) Trailer cover system
KR100320835B1 (ko) 자동차용 테일 게이트 진동 방지 구조
JP4055309B2 (ja) 自動車の動力伝達構造
US8172301B2 (en) Trailer cover system
KR100368357B1 (ko) 자동차의 테일 게이트 스테이 와이어 가이드 장치
CN212454073U (zh) 侧门自动关闭系统及汽车
KR100368382B1 (ko) 자동차의 테일 게이트 스테이 와이어 가이드 장치
WO2014001673A1 (fr) Véhicule automobile comprenant une partie de renfort supplémentaire capable de guider la déformation de la structure de pilier central en cas de choc latéral
KR100368356B1 (ko) 자동차의 테일 게이트 스테이 와이어 가이드 장치
JP4181079B2 (ja) 車両スライド扉用動力スライド装置のテンション機構
FR2792894A1 (fr) Dispositif de retenue de charges dans le coffre d'un vehicule automobile
JP4094988B2 (ja) スライドドア開閉装置
KR200264863Y1 (ko) 화물차 적재함용 2단 접이 덮개의 자동개폐장치
JP2005193756A (ja) 車両用スロープ装置
CN111456582A (zh) 侧门自动关闭系统及汽车
KR200290059Y1 (ko) 화물차 적재함 덮개 장치
CN216994057U (zh) 斜坡系统
KR100398435B1 (ko) 자동차의 테일 게이트 가이드 장치
JP4034750B2 (ja) 動力スライド装置のワイヤーケーブルの連結構造および連結方法
KR102634400B1 (ko) 길이가 가변되는 도어 임팩트빔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