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1150B1 - 의복 - Google Patents

의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1150B1
KR100831150B1 KR1020020041860A KR20020041860A KR100831150B1 KR 100831150 B1 KR100831150 B1 KR 100831150B1 KR 1020020041860 A KR1020020041860 A KR 1020020041860A KR 20020041860 A KR20020041860 A KR 20020041860A KR 100831150 B1 KR100831150 B1 KR 1008311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ing
garment
rubber
sleeve
circumferential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18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09182A (ko
Inventor
마사요시 요시모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ublication of KR200300091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91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11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11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02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controlled internal environment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10Sleeves; Armhol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12Shields or protectors
    • A41D27/14Shields or protectors on the underedge of the garment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32Closures using elastic band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10Heat retention or warm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Details Of Garments (AREA)
  • Outerwear In General, And Traditional Japanes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래에 비하여 보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의복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하며, 상기 의복은 의복의 통 형상 부분에, 당해 통 형상 부분이 부분적으로 둘레 방향으로 줄어들도록 신축 가능한 유상체(紐狀體)가 신장 상태로 둘레 방향을 따라 장착되어 있다.
Figure R1020020041860
의복, 보온성, 유상체, 공기층, 셔링(shirring)

Description

의복 {CLOTHE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의복을 도시하는 일부 파단선을 포함한 정면도.
도 2는 상기 의복의 배면도.
도 3은 도 1의 P-P선을 따라서 취한 개략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바지를 도시하는 일부 파단선을 포함한 정면도.
도 5는 종래의 의복에서의 소매부의 주요부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소매부
5 : 몸통부
9 : 겉감
10 : 안감
20 : 고무끈(유상체(紐狀體))
31 : 다리부
본 발명은 상의나 바지 등의 의복의 개량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방한에 적합한 방한용 의복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이런 종류의 의복을 착용하면, 예를 들어 상의에 있는 소매부에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의(50)와 팔 R(안쪽에 다른 의복을 착용하고 있는 경우에는 그 의복)의 사이에는 공기층 V가 형성된다. 공기층 V는 단열 효과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 공기층 V가 형성되는 것에 의하여 보온 효과를 얻을 수 있고, 특히, 의복을 껴입는 경우에는 공기층 V가 여러 층으로도 형성되기 때문에 효과가 크다.
그런데, 종래의 의복의 경우에는 팔 R 등의 바깥쪽에, 단순히 의복(50)이 서로 겹쳐져만 있기 때문에, 그 사이에 형성된 공기층 V에서 공기의 이동이 크고 이 공기의 이동에 수반하여 열이 방출되어 손실(loss)이 커지는 문제가 있어 보온성의 개량이 요구되고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보온성이 종래보다 향상될 수 있는 의복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고, 본 발명에 의한 의복은 의복의 통 형상 부분에, 당해 통 형상 부분이 부분적으로 둘레 방향으로 줄어들도록, 신축 가능한 유상체(紐狀體)가 둘레 방향을 따라 신장 상태로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의복에는 상의, 바지 및 상의와 바지가 일체로 된 것 등 어떠한 것도 포함된다. 또한, 둘레 방향에는 통 형상 부분의 축선(軸線) 방향에 대하여 비스듬한 경우도 포함될 수 있다.
특히, 유상체가 통 형상 부분의 축선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개로 병렬로 제공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유상체는 셔링(shirring)에 의해 장착되고, 당해 유상체가 장착된 옷감의 바깥쪽에 방수성을 가지는 겉감이 제공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유상체를 장착한 옷감과는 별도로 그 바깥쪽에 겉감을 제공하면 겉감에 방수성을 갖게 할 수가 있고, 또한, 유상체를 셔링에 의해 간단하게 옷감에 장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관련한 의복의 일 실시 형태로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단, 도 1 및 도 2에서 일부 겉감을 파단하고 있는 부분이 있다.
도 1에 도시한 의복은 주로 방한용의 상의이고, 특히, 껴입는 경우 가장 바깥쪽에 착용하는 것이다.
이 방한용의 상의는 긴소매 타입이고, 좌우 한 쌍의 앞몸판(1, 1)과, 뒷몸판(2)과, 긴소매 길이의 양 소매부(3, 3)를 포함한다.
앞몸판(1) 한 쌍을 앞쪽에서 연결하는 앞 맞댐부(4)는 면 체결구와 슬라이드 체결구를 포함하고 있으며, 슬라이드 체결구에 의해 양 앞몸판(1)을 연결시키거나 분리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양 앞몸판(1)을 슬라이드 체결구에 의해 연결했을 때에 다시 면 체결구에 의해 연결 상태를 유지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앞몸판(1) 한 쌍이 앞 맞댐부(4)에 의해 연결되면, 당해 상의의 몸통부(5)는 통 형 상으로 된다. 즉, 당해 상의는, 몸통부(5)와 양 소매부(3)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당해 상의는 통 형상 부분으로서 양 소매부(3)와 몸통부(5), 총 세 개를 가지고 있고, 이러한 통 형상 부분의 개구부(開口部)는 양 소맷부리(6), 머리부(7) 및 옷자락부(8)이다.
이러한 상의는, 겉감(9)과 안감(10)으로 구성된 다층 구조로 되어 있다. 안감(10)은, 몸통부(5) 뿐만 아니라 소매부(3)에도 제공되어 있고, 겉감(9)의 뒤쪽 거의 전체를 덮고 있다. 겉감(9)은 방수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안감(10)은, 소정의 통기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폴리에스텔의 옷감이 사용되고, 특히, 50 데니어(denier)×75 데니어의 것이 바람직하다. 안감(10)의 외면(인체쪽의 면)은 스테인레스나 티탄 등의 물리 증착 처리가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티탄의 스패터링(spattering) 가공이 축열과 복사의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옷감을 열가공하는 것에 의해 옷감의 통기공(通氣孔)을 막아 옷감의 투기도(透氣度)를 저하시킴으로써 한층 더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그 옷감을 안감(10)으로 사용하면, 통기성의 저하와 축열과 복사로서 보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더욱이, 안감(10)은, 크게 나누면 다섯 개로 구획되어 있고, 도합 다섯 개의 부분이 상호 봉착되는 것에 의해 하나의 안감(10)을 구성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통 형상의 양소매 안감부(11)와, 뒷몸판(2)에 대응하는 시트 형상의 뒤쪽 안감부(12)와, 앞몸판(1)에 대응하는 시트 형상의 양 앞쪽 안감부(13)로 구성되고, 소매 안감부(11)는 앞쪽 안감부(13) 및 뒤쪽 안감부(12)에 어깨자락(14)에서 봉착 되고, 앞쪽 안감부(13)와 뒤쪽 안감부(12)는 옆구리부(15) 및 어깨부(16)에서 서로 앞뒤로 봉착되어 있다. 이와 같이 봉착에 의해 한 장으로 연결된 안감(10)은, 개구부인 양 소맷부리(6)와 머리부(7)와 옷자락부(8) 및 앞쪽 맞댐부(4)에서, 각각 겉감(9)과 봉착에 의해 연결되고, 그 이외의 곳에서는 겉감(9)과는 연결되지 않고 분리된 상태에 있다.
도 1 내지 도 3에는, 신축 가능한 유상체인 고무끈(20)이 도시되어 있다. 이 고무끈(20)은, 장착 후에 의복이 둘레 방향을 따라 줄어들도록, 원래의 길이에서 소정의 양만큼 신장시킨 상태로 옷감에 장착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고무끈(20)은 셔링에 의해 안감(10)에 장착되고 있고,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안감(10)의 내면쪽(겉감(9)쪽)에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고무끈(20)은 안감(10)의 외면에는 표출되지 않고 양호한 외관을 얻을 수 있다.
이 때, 셔링하는 경우에 있어서 고무끈(20)의 신장의 정도는, 의복의 형태나 형상, 옷감의 재질 등에 의해 다양하게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예를 들어, 10 내지 20% 신장시킨 상태로 봉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15% 정도가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고무끈(20)이 신장 상태로 장착되면, 장착 후의 통상 상태에서는 그 탄성 복원력에 의해 안감(10)을 신장의 정도에 따라 줄어들게 한다.
이러한 고무끈(20)은, 안감(10)의 통 형상 부분의 둘레 방향을 따라 장착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소매부(3), 소매 안감부(11)에서는 소매부(3)의 축선 A 방향으로 거의 일정한 간격을 두고 합계 세 줄이 병설되어 있고, 서로 거의 평행하게, 또한, 소맷 부리(6)에 대해 거의 평행하게 제공되어 있다. 또한, 몸통부(5)에서는 몸 통부(5)의 축선 B 방향(상하 방향)으로 거의 일정한 간격을 두고 합계 네 줄이 병설되어 있고, 서로 거의 평행하게, 또한, 머리부(7) 및 옷자락부(8)에 대해서 거의 평행하게 제공되어 있다. 즉, 몸통부(5)의 고무끈(20)은 거의 수평하게 제공되어 있다.
더욱이, 몸통부(5)에서의 옷자락부(8)쪽의 두 줄의 고무끈(20)은, 한쪽의 앞몸판(1)으로부터 뒷몸판(2)을 지나 다른 한 편의 앞몸판(1)까지 연속적으로 장착되어 있고 몸통부(5)의 거의 둘레 전체에 걸쳐서 제공되어 있다.
이것에 대해서, 몸통부(5)에서의 머리부(7)쪽의 두 줄의 고무끈(20)은 어깨죽지(14)에서 분단되어 있다. 즉, 몸통부(5)에서의 머리부(7)쪽의 두 줄의 고무끈(20)에 관해서는, 각각, 양 앞쪽 안감부(13)에 장착된 한 쌍의 고무끈편(20a)과, 뒤쪽 안감부(12)에 장착된 하나의 고무끈편(20b)으로 된 한 줄의 고무끈(20)이 구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고무끈(20)을 통 형상 부분의 둘레 방향을 따라 제공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안감(10)에서의 고무끈(20)을 제공한 곳이 고무끈(2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둘레 방향으로 줄어들게 된다.
예를 들어, 소매부(3)에 있어서의 상태를 도 3을 이용해 설명한다. 소매부(3)를 통과한 착용자의 팔 R(혹은 안쪽에 착용하고 있는 다른 의복)과 소매부(3)의 사이에는 소정의 공기층 V가 형성되지만, 고무끈(20)이 안감(10)에 거의 둘레 전체에 걸쳐서 장착되어 안감(10)을 그 부분에서 둘레 방향으로 신축하고 있으므로, 고무끈(20)의 장착 부분이 다른 부분에 비교하여 직경이 줄어들어 있다. 따라서, 착용 자의 팔 R 등과의 사이의 틈새를 그 고무끈(20)의 부분에서 좁힐 수 있고, 따라서 착용자의 팔 R 등과의 사이의 공기의 축선 방향에 따른 이동이 이 고무끈(20)의 장착 부분에 의해 억제된다. 특히, 고무끈(20)을 축선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 개 병렬로 제공하는 것에 의해, 공기층 V가 축선 방향으로 가늘게 윤절(輪切, "테두리가 단절되는 것"을 의미함)된 상태로 구획되고 동시에, 공기의 축선 방향의 이동도 보다 한층 억제된다. 이와 같이, 착용시에 안감(10)의 안쪽에 형성되는 공기층 V에서의 공기의 축선 방향의 이동이 고무끈(20)의 장착 부분에 의해 억제되므로, 공기의 이동에 수반하는 방열 손실이 경감되고 따라서, 보온성을 종래에 비교해 향상시킬 수가 있다.
더욱이, 소매부(3)는 격렬하게 움직이는 부분으로서 본래 공기층 V의 공기가 이동하기 쉬운 부분이기 때문에, 셔링한 고무끈(20)에 의한 공기의 이동 억제 효과가 크다.
또한, 소매부(3)에서는, 겉감(9)과 안감(10)(소매 안감부(11))은 소맷부리(6)에서만 서로 연결되어 있고, 다른 곳에서는 서로 분리되어 있다. 따라서, 겉감(9)과 안감(10)의 사이에도 공기층 V2가 형성되지만, 안감(10)에 고무끈(20)을 제공하고 있기 때문에, 그 부분에서는 안감(10)과 겉감(9)이 멀리 떨어져서 공기층 V2도 두꺼워지고, 따라서 단열 효과가 보다 한층 높아진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이상 소매부(3)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몸통부(5)에 관해서도 같은 효과가 있다. 몸통부(5)는 소매부(3)에 비교하여 움직임은 격렬하지 않지만, 면적이 커서 보온 특성의 우열이 체감적으로 파악되기 쉬운 부분이다. 따라서, 몸통부(5)에서도 고무끈(20)에 의해 공기층의 축선 방향의 이동을 억제하는 것의 효과가 크다.
한편, 안감(10)의 외면을 물리 증착 처리와 열가공에 의해 직물의 통기공을 막아두었기 때문에, 최소한의 통기성을 확보하면서 보온 효과를 보다 한층 높일 수가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의를 예로 하여 설명했지만, 바지에 대해서도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4와 같이, 겉감(9)과 안감(10)으로 이루어진 방한용 바지의 안감(10)에, 동일하게 셔링에 의해 둘레 방향을 따라 고무끈(20)을 장착할 수 있다. 이 경우, 허리부(30)와 양 다리부(31)로 된 바지가 구성되고, 이 허리부(30)와 양 다리부(31)가 통 형상 부분이고, 위쪽으로 열려진 웨이스트부(32)와 아래쪽으로 열려진 양 옷자락부(33)가 개구(開口) 부분이다. 그리고, 고무끈(20)은 허리부(30)와 다리부(31)에 각각 거의 둘레 전체에 걸쳐서 개구 부분과 거의 평행하게 장착되어 있는 한편, 축선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 개가 병렬로 제공되어 있다. 다리부(31)도 상술한 소매부(3)와 마찬가지로 상대적으로 움직임이 격렬하기 때문에, 고무끈(20)에 의해 공기의 축선 방향을 따른 이동을 억제하는 것의 효과가 크다.
이러한 상의와 바지의 보온 특성을, 열(thermal) 마네킹에게 상하 함께 착의하고 크로(clo)값을 측정하는 것으로써 평가했다. 종래의 고무끈(20)의 셔링을 제공하지 않는 경우와 비교하면 거의 0.2 크로값 향상하여, 종래의 구성에 비해 보온 특성이 향상한 것을 확인하였다.
한편, 고무끈(20)의 개수나 그 장착 장소는 적당히 설계 변경 가능하다. 또한, 예를 들면, 겉감(9)에 직접 고무끈(20)을 봉착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그 경우에는 봉착 부분으로부터 물이 스며들 우려가 있다. 따라서, 안감(10)의 바깥쪽에 별도의 겉감(9)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것보다 안감(10)에 고무끈(20)을 봉착함으로써 간단히 장착할 수 있으면서 동시에, 겉감(9)에 방수성을 갖게 할 수가 있다.
더욱이,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겉감(9)과 안감(10)의 이 층 구조의 것을 예시했지만, 삼 층 이상의 다층 구조의 것이나, 반대로 단층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이른바 원피스 구조의 의복에도 물론 적용 가능하고, 그 외 여러 가지의 의복에 적응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유상체에 의해 의복이 둘레 방향으로 신축하는 것에 의하여, 의복의 안쪽에 형성되는 공기층에서 공기의 축선 방향의 이동이 억제되어 공기의 이동에 수반하는 방열 손실이 저감되는 결과, 종래에 비해 보온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Claims (6)

  1. 의복의 통 형상 부분에, 상기 통 형상 부분이 부분적으로 둘레 방향으로 줄어들도록, 신축 가능한 유상체(20: 紐狀體)가 둘레 방향을 따라 신장 상태로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
  2. 제1 항에 있어서, 유상체(20)가 통 형상 부분의 축선(軸線)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개가 병설되어 있는, 의복.
  3.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유상체(20)는 셔링(shirring)에 의해 장착되고, 상기 유상체(20)가 장착된 옷감(9)의 바깥쪽에, 방수성을 가지는 겉감(10)이 제공되는, 의복.
  4.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통 형상 부분은 소매부(3)인, 의복.
  5.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통 형상 부분은 몸통부(5)인, 의복.
  6.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통 형상 부분은 다리부(31)인, 의복.
KR1020020041860A 2001-07-18 2002-07-18 의복 KR1008311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217534 2001-07-18
JP2001217534A JP4861572B2 (ja) 2001-07-18 2001-07-18 衣服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9182A KR20030009182A (ko) 2003-01-29
KR100831150B1 true KR100831150B1 (ko) 2008-05-20

Family

ID=190518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1860A KR100831150B1 (ko) 2001-07-18 2002-07-18 의복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861572B2 (ko)
KR (1) KR100831150B1 (ko)
CN (1) CN1267032C (ko)
TW (1) TWI23058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86811A (ja) * 2006-01-12 2007-07-26 Teijin Fibers Ltd 蓄熱性芯地
AU2008261193B2 (en) * 2008-12-23 2013-07-18 Denim Brothers Group Pty Ltd Protective Garment
KR100947636B1 (ko) * 2009-08-25 2010-03-12 주식회사 파이로 내피원단과 이를 이용한 의류
CN102934845A (zh) * 2012-11-29 2013-02-20 罗蒙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毛衫
US20230042529A1 (en) * 2020-01-10 2023-02-09 Mizuno Corporation Garment
CN112842667B (zh) * 2021-01-14 2023-01-24 重庆智能机器人研究院 一种应用在公共区域的手部取暖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60003314Y1 (ko) * 1984-07-28 1986-11-22 동양정밀공업주식회사 플라스틱 하우징에 부설된 보호 철망
KR920004841A (ko) * 1990-08-27 1992-03-28 구라우찌 노리다까 광섬유 자이로의 신호처리시스템
KR950007809U (ko) * 1993-09-27 1995-04-15 현 승 다리 밴드가 부착된 팬티겸용 남성 내복 하의
JPH0827604A (ja) * 1994-07-13 1996-01-30 Tadako Watabe 患者用ズボン
KR200248743Y1 (ko) * 2001-07-10 2001-11-17 지영표 양말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90142A (en) * 1980-11-25 1982-06-04 Power Reactor & Nuclear Fuel Dev Corp Protecting method for measuring instrument in microwave heater
JPS6241016A (ja) * 1985-08-16 1987-02-23 Idemitsu Petrochem Co Ltd 熱可塑性樹脂成形用スクリユ−
JPS61116715A (ja) * 1985-11-15 1986-06-04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潤滑性絶縁電線の製造方法
JPH01174603A (ja) * 1987-12-28 1989-07-11 Hoffman Berimir 服飾製品
JPH0469408A (ja) * 1990-07-06 1992-03-04 Nissan Motor Co Ltd カルダンジョイント
JPH06312040A (ja) * 1993-04-30 1994-11-08 Tank:Kk ボードセイリング用ジャケット
JP3126927B2 (ja) * 1996-09-26 2001-01-22 株式会社アーヴァン 雨合羽
JP3065273B2 (ja) * 1997-04-14 2000-07-17 鍛治産業株式会社 コート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60003314Y1 (ko) * 1984-07-28 1986-11-22 동양정밀공업주식회사 플라스틱 하우징에 부설된 보호 철망
KR920004841A (ko) * 1990-08-27 1992-03-28 구라우찌 노리다까 광섬유 자이로의 신호처리시스템
KR950007809U (ko) * 1993-09-27 1995-04-15 현 승 다리 밴드가 부착된 팬티겸용 남성 내복 하의
JPH0827604A (ja) * 1994-07-13 1996-01-30 Tadako Watabe 患者用ズボン
KR200248743Y1 (ko) * 2001-07-10 2001-11-17 지영표 양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67032C (zh) 2006-08-02
CN1397240A (zh) 2003-02-19
TWI230585B (en) 2005-04-11
JP2003027302A (ja) 2003-01-29
KR20030009182A (ko) 2003-01-29
JP4861572B2 (ja) 2012-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34417A (en) Protective garments
US2237368A (en) Convertible garment
US5802609A (en) Water-tight diving suit
US582627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acilitating the application and removal of a wet suit
KR100831150B1 (ko) 의복
US20050015865A1 (en) Garment having protection for the bust
US5343565A (en) Clothing, in particular for cooks
US11700896B2 (en) Upper body garment with enhanced mobility portions
EP3418048B1 (en) Garment having adjustable size or dimension
EP1535527A2 (en) A garment particularly a waistcoat or a gilet
GB1560836A (en) Self-ventilating abrasion-resistant garment
JP3555135B2 (ja) サポーター
EP0701782A1 (en) Water-tight diving suit
JP3803703B2 (ja) セパレーツ型伸縮性運動着
KR102580380B1 (ko) 환자용 기능성 수술복
JP2010163723A (ja) 釣用ウェア
EP3945278B1 (en) Bulletproof vest
RU8562U1 (ru) Защитный костюм
JP2023073880A (ja) ナイトウェア
WO2018141348A1 (en) Garment, especially sports garment
RU2176897C1 (ru) Защитная одежда пчеловодов
JPH0220165Y2 (ko)
JPH07503286A (ja) 運動用衣類およびその使用方法
FI95554B (fi) Pelastuspuku
RU1776382C (ru) Защитна одежд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