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0658B1 - 차량용 트레이 - Google Patents

차량용 트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0658B1
KR100830658B1 KR1020070011005A KR20070011005A KR100830658B1 KR 100830658 B1 KR100830658 B1 KR 100830658B1 KR 1020070011005 A KR1020070011005 A KR 1020070011005A KR 20070011005 A KR20070011005 A KR 20070011005A KR 100830658 B1 KR100830658 B1 KR 1008306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housing
damper
slider
t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10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노
이용주
Original Assignee
한국Trw자동차부품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Trw자동차부품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Trw자동차부품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110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06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06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06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1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removable closures
    • B65D47/127Snap-on c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0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 B65D47/08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integrally formed with the base element provided with the spout or discharge pass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동성이 향상된 차량용 트레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몸체를 형성하며 전면부가 개방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양측에 구비되되, 길이방향으로 복수 개의 가이드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의 사이에 랙기어부가 형성된 레일가이드; 상기 랙기어부에 치합되어 회전되도록 피니언이 구비된 댐퍼; 양측에 안내부가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부에 슬라이딩되도록 결합되며, 일측에 구비된 홀더에 결합된 상기 댐퍼의 피니언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레일가이드의 길이방향을 따라 좌우로 이동하는 슬라이더; 그리고 상기 하우징의 전면부에 힌지연결되되, 일단부가 상기 슬라이더에 연결된 링크의 타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을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차량용 트레이를 제공한다.
트레이, 댐퍼, 하우징, 슬라이더, 링크

Description

차량용 트레이{tray for car}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트레이를 나타낸 사시도.
도 2a 및 도 2b는 종래의 차량용 트레이의 댐퍼 조립체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트레이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트레이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트레이를 나타낸 측면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트레이의 슬라이더와 댐퍼의 결합상태를 상측과 하측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트레이의 슬라이더를 상측과 하측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트레이의 레일가이드와 슬라이더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9은 도 8의 A-A선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210: 하우징 11: 삽입부
20,220: 도어 25,225: 링크
30: 레일가이드 31,36: 가이드부
37: 삽입돌기 38: 체결돌기
40: 슬라이더 41: 안내부
42: 슬라이딩 돌기 45: 홀더
50: 댐퍼 60: 텐션가이드
61: 전방 텐션가이드 62: 후방 텐션가이드
80: 체결구
본 발명은 차량용 트레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작동성이 향상된 차량용 트레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사물을 수납할 수 있도록 차량 내부의 패널에 장착되는 차량용 트레이는 사물이 수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을 개폐하는 도어로 이루어진다. 상기 도어는 상기 하우징과 힌지연결되고, 상기 도어와 하우징의 사이에는 링크가 결합되어 상기 도어가 일정한 속도로 개폐하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트레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몸체를 구성하는 하우징(210)의 양측에는 댐퍼가이드(230)가 구비되며, 상기 댐퍼가이드(230)는 댐퍼가이드 결합볼트(236)에 의해 상기 하우징(210)에 결합된다.
상기 댐퍼가이드(230)의 외측에는 댐퍼(250)가 결합된 댐퍼홀더(240)가 구비 된다. 여기서, 상기 댐퍼(250)에는 상기 댐퍼가이드(230)의 외측에 형성된 랙기어부(235)에 치합되는 피니언(도 2b의 251)이 구비되는데, 상기 피니언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댐퍼홀더(240)가 상기 댐퍼가이드(23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댐퍼홀더(240)와 상기 도어(220)는 링크(225)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댐퍼홀더(240)가 상기 댐퍼가이드(230)를 따라 이동되면서 상기 하우징(210)에 힌지결합된 도어(220)가 상기 하우징(210)을 개폐하게 된다.
도 2a 및 도 2b는 종래의 차량용 트레이의 댐퍼 조립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a 및 도 2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댐퍼(250)와 상기 댐퍼홀더(240)는 댐퍼결합볼트(255)에 의해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댐퍼홀더(240)와 상기 댐퍼가이드(230)는 상기 댐퍼홀더(240)의 중앙부에 형성된 홈부(231)를 관통하는 댐퍼 간격조절볼트(257)에 의해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댐퍼홀더(240)가 상기 댐퍼가이드(230)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댐퍼 간격조절볼트(257)의 헤드가 상기 홈부(231)보다 크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댐퍼홀더(240)가 상기 댐퍼가이드(23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댐퍼 간격조절볼트(257)는 그 헤드와 상기 댐퍼가이드(230)의 내측면에 소정의 간격이 형성되도록 결합된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차량용 트레이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댐퍼홀더가 댐퍼가이드로부터 이탈이 방지되고 이동될 수 있도록 댐퍼간격조절볼트를 체결하는 공정이 수동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댐퍼 간격조절볼 트의 헤드와 상기 댐퍼가이드면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게 형성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둘째, 따라서, 상기 댐퍼 간격조절볼트의 헤드와 상기 댐퍼가이드면 사이의 간격이 지나치게 가까울 경우에는, 마찰저항에 의하여 상기 댐퍼홀더의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셋째, 또한, 댐퍼 간격조절볼트의 헤드와 상기 댐퍼가이드면 사이의 간격이 지나치게 멀 경우에는 상기 댐퍼홀더가 덜컹거리게 되어 작동이 불안정하게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소음도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넷째, 상기 댐퍼홀더와 댐퍼, 상기 댐퍼홀더와 댐퍼가이드 그리고 상기 댐퍼가이드와 하우징 간의 결합이 모두 볼트와 같은 체결요소에 의해 이루어짐으로써, 생산공정이 늘어나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작동성이 향상된 차량용 트레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몸체를 형성하며 전면부가 개방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양측에 구비되되, 길이방향으로 복수 개의 가이드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의 사이에 랙기어부가 형성된 레일가이드; 상기 랙기어부에 치합되어 회전되도록 피니언이 구비된 댐퍼; 양측에 안내부가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부에 슬라이딩되도록 결합되며, 일측에 구비된 홀더에 결합된 상기 댐퍼의 피니언 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레일가이드의 길이방향을 따라 좌우로 이동하는 슬라이더; 그리고 상기 하우징의 전면부에 힌지연결되되, 일단부가 상기 슬라이더에 연결된 링크의 타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을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차량용 트레이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더의 전방부 및 후방부에는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의 텐션가이드가 구비되며, 상기 각 텐션가이드의 일측이 상기 가이드부에 밀착되어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슬라이더가 탄발 지지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홀더는 상기 댐퍼를 구속하도록 상기 댐퍼의 형상에 대응되게 적어도 2개 이상이 형성되되, 상기 댐퍼가 탈착되도록 밴딩가능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레일가이드는 일측에 형성된 삽입돌기가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 형성된 삽입부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타측에 형성된 체결돌기가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 구비되는 체결구의 체결홈에 체결되어 상기 하우징에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안내부의 일면에는 대향하는 상기 가이드부와의 접촉면적이 감소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슬라이딩 돌기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트레이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트레이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트레이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차량용 트레이는 하우징(10), 도어(20), 레일가이드(30), 슬라이더(40) 그리고 댐퍼(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몸체를 형성하는 상기 하우징(10)의 개방된 전면부에는 상기 도어(20)가 힌지연결되며, 상기 하우징(10)의 양측에는 상기 레일가이드(30)가 구비된다. 그리고, 각각의 상기 레일가이드(30)에는 상기 댐퍼(50)가 구비된 슬라이더(40)가 결합되어 상기 레일가이드(30)를 따라 좌우로 이동되며, 상기 슬라이더(40)가 이동됨에 따라 일측이 상기 슬라이더(40)와 연결된 링크(25)의 타측에 연결된 상기 도어(20)가 회전하면서 상기 하우징(10)의 전면부가 개폐되어 진다.
상세히, 상기 하우징(10)은 개방된 전면부를 통하여 내부에 물건이 수납될 수 있도록 박스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전면부의 외측으로는 플랜지(16)가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0)의 전면부에는 도어(20)가 힌지연결되며, 상기 도어(20)의 양측에는 링크(25)의 일단부가 힌지연결되는데, 상기 각 링크(25)는 상기 플랜지(16)의 양측에 관통형성된 링크관통공(17)을 통하여 위치된다.
한편, 상기 하우징(10)의 양측에는 레일가이드(3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레일가이드(30)의 일단부에는 삽입돌기(37)가 형성되고, 타단부의 양측에는 체결돌기(38)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0)의 양측면에는 상기 삽입돌기(37)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삽입돌기(37)에 대응되는 형상의 삽입부(11)가 돌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우징(10)의 양측면에는 상기 체결돌기(38)가 체결될 수 있도록 양단부에 상기 체결돌기(38)에 대응되는 형상의 체결홈(81)이 형성된 체결구(80)가 상기 레일가이드(30)의 결합위치에 대응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하여, 상기 삽입돌기(37)가 상기 삽입부(11)에 삽입되고 난 후, 상기 체결돌기(38)가 상기 체결홈(81)에 각각 체결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각 레일가이드(30)는 상기 하우징(10)의 양측면에 각각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체결홈(81)이 형성된 상기 체결구(80)의 양단부는 상기 체결돌기(38)의 체결과 탈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외측으로 밴딩가능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하여, 상기 레일가이드(30)는 상기 하우징(10)으로부터 용이하게 탈착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체결구는 상기 하우징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로 제작되어 상기 하우징에 부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0)에 결합된 상기 레일가이드(30)의 이동을 구속할 수 있도록 상기 레일가이드(30)의 상측과 하측에는 상부스토퍼(12)와 하부스토퍼(13)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부스토퍼(12)는 일측이 상기 레일가이드(30)의 상면에 밀착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상부스토퍼(12)는 상기 하우징(10)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로 제작된 후 상기 하우징(10)에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하부스토퍼(13)는 일측이 상기 레일가이드(30)의 하면에 밀착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하우징(10)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로 제조되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레일가이드(30)에는 상기 레일가이드(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좌우로 이동가능하도록 슬라이더(40)가 결합되며, 상기 슬라이더(40)에는 댐퍼(50)가 결합된다.
또한, 상기 댐퍼(50)의 일측에는 피니언(55)이 구비되는데, 상기 댐퍼(50)는 상기 피니언(55)이 상기 레일가이드(30)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랙기어부(33)와 치합될 수 있도록 결합된다.
이를 통하여, 상기 피니언(55)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피니언(55)은 랙기어부(33)를 따라 이동하게 되고, 상기 댐퍼(50)에 결합된 상기 슬라이더(40)는 상기 레일가이드(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더(40)의 단부에는 상기 링크(25)의 타단부가 힌지연결되어, 상기 슬라이더(40)가 이동함에 따라 상기 링크(25)와 연결된 상기 도어(20)가 회전하면서 상기 하우징(10)의 전면부를 개폐하게 된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트레이의 슬라이더와 댐퍼의 결합상태를 상측과 하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6a 및 도 6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더(40)의 상측에는 상기 댐퍼(50)가 결합되는데, 이때, 상기 댐퍼(50)는 상기 피니언(55)이 상기 슬라이더(40)의 내측으로 위치되도록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피니언(55)이 구비되는 플레이트(51)의 양측에는 외부로 연장된 연장부(52)가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더(40)의 상측에는 상기 댐퍼(50)가 고정되도록 홀더(45)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홀더(45)는 상기 슬라이더(40)의 상측에 그 일단부가 후크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홀더(45)의 각 단부가 상기 댐퍼(50)의 일면에 밀착되면서 상기 댐퍼(50)가 고정되도록 상기 댐퍼(50)의 가장자리부를 따라 위치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홀더(45)는 상기 플레이트(51)와 연장부(52)의 형상에 대응되는 위치에 선택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홀더(45)의 각 단부는 상기 댐퍼(50)의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댐퍼(50)가 삽입되면서 접하는 부분이 소정각도로 경사지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홀더(45)는 외측으로 밴딩가능하도록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하여, 상기 댐퍼(50)의 탈착이 가능해진다.
여기서, 상기 홀더(45)의 개수에 제한을 두는 것은 아니나, 상기 댐퍼(50)를 고정하도록 2개 이상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3개가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상기 댐퍼(50)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댐퍼(50)의 이동과 회전을 구속할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더(40)의 상측에는 상기 댐퍼(50)의 외측면에 접하도록 로케이터(47,48)가 더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각 연장부(52)에는 상기 연장부(52)를 관통하는 고정홈(53)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홈(53)에 삽입되도록 상기 슬라이더(40)의 상측에는 상기 고정홈(53)에 대응되는 형상의 고정돌기(49)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를 통하여, 상기 댐퍼(50)는 상기 슬라이더(40)에 더욱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로케이터(47,48), 상기 고정홈(53)과 고정돌기(49)는 선택적으로 어느 하나만 형성되거나, 모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트레이의 슬라이더를 상측과 하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트레이의 레일가이드와 슬라이더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7a 내지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더(40)의 양측 하단부에는 상기 하단부로부터 상기 슬라이더(40)의 내측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된 안내부(41)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레일가이드(30)의 양측에는 상기 레일가이드(30)의 길이방향으로 가이드부(31)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부(31)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며, 그 외측과 일단부는 대향되는 상기 레일가이드(30)의 측면부와 단부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며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안내부(41)는 그 내측이 상기 가이드부(31)의 외측을 감싸도록 결합될 수 있고, 결합된 상기 안내부(41)는 상기 가이드부(31)를 따라 슬라이딩될 수 있게 되면서, 상기 슬라이더(40)는 상기 레일가이드(3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더(40)의 전방부 및 후방부에는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의 텐션가이드(60)가 구비될 수 있는데, 여기서, 상기 텐션가이드(60)는 전방 텐션 가이드(61)과 후방 텐션가이드(62)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전방 텐션가이드(61)는 상기 슬라이더(40)의 전방부 양측에 하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로 비스듬하게 형성되며, 상기 전방 텐션가이드(61)의 각 단부는 상기 가이드부(31)의 일측면에 접하면서 상기 슬라이더(40)를 탄발 지지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하방 텐션가이드(62)는 상기 슬라이더(40)의 후방부에 하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하방 텐션가이드(62)의 단부는 상기 가이드부(31)의 사이에 상기 가이드부(31)와 평행하게 형성되는 다른 가이드부(36)에 접하면서 상기 슬라이더(40)를 탄발 지지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텐션가이드(60)가 상기 레일가이드(30)에 접하면서 상기 슬라이더(40)를 탄발 지지함에 따라, 상기 슬라이더(40)는 덜컹거림 없이 상기 레일가이드(30)를 따라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방 텐션가이드(61)와 후방 텐션가이드(62)가 상기 각 가이드부(31,36)에 각각 접하는 접합면적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상기 전방 텐션가이드(61)와 후방 텐션가이드(62)는 단부가 라운드진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하여, 상기 텐션가이드(60)가 상기 각 가이드부(31,36)에 접하여 슬라이딩될 때 마찰저항이 감소될 수 있어 작동성이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더(40)의 하부 양측에는 상기 가이드부(36)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더(40)의 슬라이딩이 더욱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더(40)의 길이방향으로 안내가이드(43)가 각각 형성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31)의 타측면에 대향되는 상기 안내부(41)의 일면에는 상기 가이드부(31)의 타측면과의 접촉면적이 감소되어 상기 슬라이더(40)가 이동시 마찰저항이 감소될 수 있도록 돌출된 형상의 슬라이딩 돌기(42)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딩 돌기(42)는 상기 슬라이더(40)가 상기 가이드부(31)에서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고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동일한 높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 돌기(42)는 상기 텐션가이드(60)가 상기 레일가이드(30)를 탄발 지지할 수 있도록 적절한 높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하여, 상기 슬라이더(40)는 상기 텐션가이드(60)와 상기 슬라이딩 돌기(42)가 상기 가이드부(31)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각각 접하면서 탄발 지지하게 되어 흔들림 또는 소음 발생 없이 상기 레일가이드(30)를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딩 돌기는 상기 슬라이더(40)의 이동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거나, 원형의 돌기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특정한 형상으로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 슬라이더(40)의 후측에는 상기 링크(25)의 일단부와 연결되도록 힌지부(44)가 형성되고, 상기 힌지부(44)의 내측에는 홀이(46)이 형성된다.
상기 홀(46)은 상기 링크(도 3의 25)의 일단부에 형성된 관통홀(도 3의 26)에 삽입되고, 상기 홀(46)에는 상기 관통홀(26)의 지름보다 큰 지름의 헤드를 갖는 고정볼트(도 3의 27)가 결합되어 상기 링크(25)가 상기 힌지부(44)에서 이탈되지 않고 회전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트레이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먼저, 레일가이드는 상기 레일가이드에 형성된 체결돌기와 삽입돌기가 하우징에 형성된 체결홈과 삽입부에 각각 체결되면서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탈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둘째, 또한, 상기 레일가이드에 형성된 가이드부를 감싸면서 슬라이더에 형성된 안내부가 결합됨에 따라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레일가이드에 슬라이딩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슬라이더에 형성된 홀더에는 댐퍼가 원터치방식으로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댐퍼와 슬라이더, 상기 슬라이더와 레일가이드 간의 탈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셋째, 이와 같이, 상기 구성부재 간의 결합이 볼트와 같은 별도의 체결부재 없이 이루어짐으로써 생산시 조립시간과 공정이 단축되어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 다.
넷째, 더욱이, 상기 슬라이더의 전방부 및 후방부에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텐션가이드와, 상기 안내부의 일면에 형성되는 슬라이딩 돌기가 상기 가이드부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각각 접하여 상기 슬라이더를 탄발지지함에 따라, 상기 레일가이드를 따라 슬라이딩하는 상기 슬라이더의 덜컹거림이나 소음이 방지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보다 안정적인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Claims (5)

  1. 몸체를 형성하며 전면부가 개방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양측에 구비되되, 길이방향으로 복수 개의 가이드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의 사이에 랙기어부가 형성된 레일가이드;
    상기 랙기어부에 치합되어 회전되도록 피니언이 구비된 댐퍼;
    양측에 안내부가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부에 슬라이딩되도록 결합되며, 일측에 구비된 홀더에 결합된 상기 댐퍼의 피니언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레일가이드의 길이방향을 따라 좌우로 이동하는 슬라이더; 그리고
    상기 하우징의 전면부에 힌지연결되되, 일단부가 상기 슬라이더에 연결된 링크의 타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을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차량용 트레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의 전방부 및 후방부에는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의 텐션가이드가 구비되며, 상기 각 텐션가이드의 일측이 상기 가이드부에 밀착되어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슬라이더가 탄발 지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트레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댐퍼를 구속하도록 상기 댐퍼의 형상에 대응되게 적어도 2 개 이상이 형성되되, 상기 댐퍼가 탈착되도록 밴딩가능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트레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가이드는 일측에 형성된 삽입돌기가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 형성된 삽입부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타측에 형성된 체결돌기가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 구비되는 체결구의 체결홈에 체결되어 상기 하우징에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트레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의 일면에는 대향하는 상기 가이드부와의 접촉면적이 감소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슬라이딩 돌기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트레이.
KR1020070011005A 2007-02-02 2007-02-02 차량용 트레이 KR1008306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1005A KR100830658B1 (ko) 2007-02-02 2007-02-02 차량용 트레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1005A KR100830658B1 (ko) 2007-02-02 2007-02-02 차량용 트레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0658B1 true KR100830658B1 (ko) 2008-05-19

Family

ID=396646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1005A KR100830658B1 (ko) 2007-02-02 2007-02-02 차량용 트레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065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99608A1 (ko) * 2017-04-28 2018-11-01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자동차 트레이용 지센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2970A (ko) * 2004-04-23 2005-10-27 한국Trw자동차부품산업 주식회사 차량용 트레이
KR20050109772A (ko) * 2004-05-17 2005-11-2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트레이
KR20050114491A (ko) * 2004-06-01 2005-12-06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트레이의 리드 개폐장치
KR20060007539A (ko) * 2004-07-20 2006-01-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트레이 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2970A (ko) * 2004-04-23 2005-10-27 한국Trw자동차부품산업 주식회사 차량용 트레이
KR20050109772A (ko) * 2004-05-17 2005-11-2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트레이
KR20050114491A (ko) * 2004-06-01 2005-12-06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트레이의 리드 개폐장치
KR20060007539A (ko) * 2004-07-20 2006-01-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트레이 구조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1020050102970호 A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10-2005-0109772호 A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1020050114491호 A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10-2006-0007539호 A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99608A1 (ko) * 2017-04-28 2018-11-01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자동차 트레이용 지센서
KR101906724B1 (ko) * 2017-04-28 2018-12-05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자동차 트레이용 지센서
US11499347B2 (en) 2017-04-28 2022-11-15 Nifco Korea, Inc. G-sensor for automobile tra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044799A1 (en) Sliding window assembly having a removable sliding panel
US7527166B2 (en) Storage apparatus
GB2410492A (en) Storage box
KR100830658B1 (ko) 차량용 트레이
JP5360249B2 (ja) デフレクター装置
US20070209284A1 (en) Electrical feeding unit and cable holder
JP2017501917A (ja) 変位可能な素子を案内するスライダを備えた車両
JP2014177838A (ja) ウインドウレギュレータ
JP4940774B2 (ja) サンシェードパネル装置
JP5296433B2 (ja) 収納装置
JP4578421B2 (ja) 開閉体のスライド構造
JP2006314645A (ja) アームレスト
US20050275236A1 (en) Guide structure for vehicular tray
JP6297809B2 (ja) 給電装置
KR100774422B1 (ko) 차량의 트렁크리드 처짐 방지장치
CN112046415A (zh) 滑动门结构
JP5726598B2 (ja) サンシェード装置
KR20090090837A (ko) 도어힌지
JP6104783B2 (ja) コンソールボックス
KR20080000047U (ko) 서랍용 레일
JP4277502B2 (ja) ウインドガラス昇降装置
JP2009234457A (ja) 収納ケース
KR101976861B1 (ko) 폴딩 타입 도어용 스톱퍼
JP2007039030A (ja) 自動車用スライドドアの給電装置
KR20240040219A (ko) 자동차용 커버링 쉘프 또는 카고 스크린에 장착되는 마운팅 힌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