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0457B1 - 영상처리 시스템의 영상 복호기 - Google Patents

영상처리 시스템의 영상 복호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0457B1
KR100830457B1 KR1020020007505A KR20020007505A KR100830457B1 KR 100830457 B1 KR100830457 B1 KR 100830457B1 KR 1020020007505 A KR1020020007505 A KR 1020020007505A KR 20020007505 A KR20020007505 A KR 20020007505A KR 100830457 B1 KR100830457 B1 KR 1008304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erence point
signal
horizontal
input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75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67363A (ko
Inventor
안진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075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0457B1/ko
Publication of KR200300673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73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04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04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02Content synchronisation processes, e.g. decoder synchroni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04N21/42607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for processing the incoming bit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04Synchroni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ynchronizing For Televis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처리 시스템의 영상 복호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외부 수평 동기 신호를 입력하고, 입력 수평 동기 신호의 기준점과 영상처리 시스템의 동기 생성 기준점의 동일 여부에 따라 상기 외부 수평 동기 신호를 바이패스하여 출력하거나, 유효 데이터 영역과 일정폭 위치에 고정된 기준점을 갖는 수평 동기 신호를 재생성하여 출력하는 수평 동기 신호 처리부; 상기 수평 동기 신호 처리부에서 생성된 수평 동기 신호를 이용하여 정해진 폭을 기준으로 하여 유효 데이터 영역과 일정폭 위치에 고정된 기준점을 갖는 수직 동기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수직 동기 신호 처리부; 상기 수평 및 수직 동기 신호 처리부로부터 출력되는 수평 및 수직 동기 신호에 따라 영상 정보(유효 데이터 위치 및 크기)를 입력받아 유효 데이터를 추출하는 유효 데이터 추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여러 가지 형태의 외부 입력 동기 신호에 대해서 안정적으로 유효 영상 데이터를 추출한다.
Figure R1020020007505
복합 영상 신호, 유효 데이터, 수직 동기 신호, 수평 동기 신호

Description

영상처리 시스템의 영상 복호기{Image Decoder of Image Processor System }
도1은 일반적인 디지털 영상 시스템의 구조도.
도2a는 일반적인 인터레이스 타입(interlaced type)의 입력 수직 동기 및 입력 수평 동기의 모식도.
도2b는 입력 수직 동기 및 입력 수평 동기와 유효 데이터 영역 사이의 관계 모식도.
도3a는 입력 수평 동기 신호와 유효 데이터의 영역의 관계 모식도.
도3b는 일반적인 PAL 타입의 입력 수직 동기 신호와 유효 데이터 영역의 관계 모식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처리 시스템의 영상 복호기의 블록도.
도5a 및 도5b는 상기 도4에 도시된 영상 복호기의 수평 동기 신호 처리부 및 수직 동기 신호 처리부를 이용한 수평 동기 및 수직 동기 처리 동작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수평 동기 신호 처리부
20 : 수직 동기 신호 처리부
30 : 유효 데이터 추출부
본 발명은 영상처리 시스템 혹은 관련 IC에서 외부에서 입력되는 영상을 수신, 처리, 저장하는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영상처리 시스템의 외부 입력 영상 데이터를 추출하기 위한 방법 및 그를 위한 동기 신호 생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외부에서 입력되는 영상 신호에서 필요한 영상 데이터만을 추출하기 위해서는 영상처리 시스템에서 기준이 되는 동기 신호가 필요하다.
그러나 제조사마다 영상처리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동기 신호의 기준점이 일정하지 않아서 일부 제품의 출력을 수신, 처리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하지만 모든 경우를 고려해서 시스템을 설계한다면 효과 대비 코스트(cost)가 증가하고 구조상 비효율적으로 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시스템의 효율성을 위해서는 기준이 되는 동기 신호의 일관성이 요구된다.
도1은 일반적인 디지털 영상 시스템의 구조를 기술하였다.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지털 영상 시스템은 외부에서 입력되는 데이터에서 유효한 영상 데이터(유효 영역)만을 추출하여 메모리에 저장하거나 데이터를 가공하여 출력시키는 형태를 갖는다.
그리고 유효한 영상 데이터를 추출하기 위해서 유효한 영상 데이터의 정확한 위치 및 크기 정보를 사용자에 의해 디지털 영상 시스템에 입력한다.
물론 상기와 같이 사용자가 직접 유효한 영상 데이터의 위치 및 크기 정보를 입력하는 경우는 일반적으로 아날로그 영상을 디지털화 했을 경우에만 해당이 된다.
그러나 디지털 규격 영상의 경우에도 시스템의 세부 기능에 따라 유효한 영상 데이터 중에서 필요한 일부만을 추출해야 하는 경우도 있으므로 입력 데이터의 위치와 크기 정보는 필수적이다.
따라서, 외부 영상 신호(입력 데이터)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영상 수신 시스템에서 기준이 되는 동기 신호에 따라 영상 데이터를 입력, 변환, 재생하여 원하는 영상 데이터를 추출하여야 한다.
도2a는 일반적인 인터레이스 타입(interlaced type)의 입력 수직 동기 및 입력 수평 동기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2b는 입력 수직 동기 및 입력 수평 동기와 유효 데이터 영역의 관계를 도시한 것이다
즉, 도2a 및 도2b는 복합 영상 신호에서 동기 신호와 영상 신호를 분리한 일반적인 형태의 영상 신호 구성을 나타내었다.
분리된 영상 신호는 크게 수평 동기 신호, 수직 동기 신호, 그리고 영상 데이터로 구분할 수 있다.
도2a에 도시된 바와 같은 비월 주사 방식에서는 수평 동기 신호와 수직 동기 신호가 주사방식에 따라 일정한 형태의 상호 관계를 갖는데, 이러한 비월 주사 방식에서는 각 필드마다 수평과 수직 동기 신호의 관계가 다름을 알 수 있다.
즉, 비월주사 방식은 탑 필드와 바텀 필드로 나누어져 있으며, NTSC 방식의 경우 한 필드당 525 주사라인을 갖기 때문에 탑 필드와 바텀 필드는 각각 262.5 주사라인이 할당되나 이로 인해 탑 필드와 바텀 필드의 경계 부분에서 수평 동기의 위치가 달라진다.
그리고 도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데이터 중 의미 있는 유효 데이터 영역은 도2b의 상단과 같이 수직 동기 신호의 일정 라인 이후, 그리고 도2b의 하단과 같이 수평 동기 신호에서 일정 클럭 이후에 존재함을 알 수 있다.
도3a는 입력 수평 동기 신호와 유효 데이터의 영역의 관계를 상세히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고, 도3b는 일반적인 PAL 타입의 입력 수직 동기 신호와 유효 데이터 영역의 위치를 도시한 것이다.
즉, 도3a 및 도3b는 도2b와 같은 신호에서 유효 데이터의 정확한 위치 정보를 나타내는 방법을 도시하였다.
먼저, 정확한 위치 정보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특정 기준점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도3a에서와 같이 수평 동기 신호의 폴링(falling) 시점에서 몇 클럭, 또는 라이징(rising) 시점에서 몇 클럭 째에 유효 데이터가 위치하는지에 따라 유효 데이터 영역의 위치 정보를 입력하게 된다.
그리고, 도3b에서와 같이 수직 동기 신호의 경우도 마찬가지 방식으로 입력 수직 동기의 폴링(falling) 시점을 기준으로 몇 라인에 해당하는지, 혹은 수직 동기의 라이징(rising) 시점을 기준으로 몇 라인에 해당하는지 등과 같은 방식으로 유효 데이터 영역의 위치 정보를 입력하게 된다.
그러나 NTSC/PAL 같은 복합 영상 신호에서 동기 신호와 영상 데이터를 분리하는 과정에서 PLL의 영향 및 제조사의 하드웨어 구조적 차이로 인하여 동기 신호의 미세 변동 내지는 왜곡이 발생하여 유효 데이터의 위치가 때때로 라인별, 필드별로 달라지게 되어 입력된 위치 정보의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수평 동기 신호가 미세하게 변화하는 상황에서 위치 정보를 고정하게 되면 유효 데이터의 값이 수평 단위로 변하게 되어 출력 영상이 좌우로 흔들리는 현상(jitter)이 발생한다.
도3a를 참조하면 수평 동기 신호의 라이징 시점을 기준으로 위치 정보가 입력된 상황에서 라이징 시점이 흔들리게 되면 유효 데이터까지의 거리가 라인 단위로 변하게 되어 라인별 시작 위치가 달라지게 됨을 볼 수 있다.
또한 도3b를 참조하면 수직 동기 신호의 경우에도 한 라인의 시작점을 수직 동기 신호의 폴링 시점 혹은 라이징 시점이라고 볼 때, 라이징 시점을 기준으로 첫 번째 필드에서는 유효 데이터까지의 거리가 6 라인인데 비해 두 번째 필드에서는 7 라인이 됨을 볼 수 있다.
이런 경우에는 필드가 역전되어 입력됨으로 화면상의 수직 떨림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러 가지 형태의 외부 입력 동기 신호에 대해서 안정적으로 유효 영상 데이터를 추출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영상처리 시스템의 영상복호기는, 외부 수평 동기 신호를 입력하고, 상기 외부 수평 동기 신호의 기준점과 영상처리 시스템의 동기 생성 기준점의 동일 여부에 따라 상기 외부 수평 동기 신호를 바이패스하여 출력하거나, 유효 데이터 영역과 일정폭 위치에 고정된 기준점을 갖는 수평 동기 신호를 재생성하여 출력하는 수평 동기 신호 처리부; 외부 수직 동기 신호를 입력하고, 상기 외부 수직 동기 신호를 그대로 출력하거나, 상기 수평 동기 신호 처리부에서 생성된 수평 동기 신호를 이용하여 정해진 폭을 기준으로 하여 유효 데이터 영역과 일정폭 위치에 고정된 기준점을 갖는 수직 동기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수직 동기 신호 처리부; 상기 수평 동기 신호 처리부 및 상기 수직 동기 신호 처리부로부터 출력되는 수평 동기 신호 및 수직 동기 신호에 따라 영상 정보를 입력받아 유효 데이터를 추출하는 유효 데이터 추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평 동기 신호 처리부는 상기 외부 수평 동기 신호의 기준점이 상기 영상처리 시스템의 동기 생성 기준점과 동일한 경우, 상기 외부 수평 동기 신호를 바이패스하여 출력하고, 상기 외부 수평 동기 신호의 기준점이 상기 영상처리 시스템의 동기 생성 기준점과 동일하지 않은 경우, 폭 정보를 입력받아 유효 데이터 영역과 일정폭 위치에 고정된 기준점을 갖는 수평 동기 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폭 정보는 상기 외부 수평 동기 신호에 대해 가변적인 값을 갖되, 상기 고정된 기준점을 동일하게 유지한다.
상기 수직 동기 신호 처리부는 상기 입력 수직 동기 신호에 대해 필드별로 상기 정해진 폭을 일정 라인 가변한다.
상기 수직 동기 신호 처리부는 입력 수직 동기 신호를 입력하고, 상기 수평 동기 신호 처리부에서 생성된 수평 동기 신호를 이용하여 입력 수직 동기 신호의 기준점과 영상처리 시스템의 동기 생성 기준점의 동일 여부에 따라 상기 입력 수직 동기 신호를 바이패스하여 출력하거나, 유효 데이터 영역과 일정폭 위치에 고정된 기준점을 갖는 수평 동기 신호를 재생성하여 출력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작용은 입력 동기 신호의 기준점(falling 또는 rising)을 나누어, 기준점에 따라 내부적으로 동기 신호를 다시 만들어 사용하거나 입력 신호를 그대로 사용하여 여러 가지 형태의 외부 입력 동기 신호에 대해서 안정적으로 유효 영상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이때 영상처리 시스템의 동기 생성 기준점은 하나로 고정되도록 설계하고, 외부 수평 및 수직 동기 입력 처리시 내부적으로 고정된 동기 생성 기준점에 따라 동기를 재생성하거나 그대로 사용한다.
그리고 동기 신호의 재생성시에는 그 폭을 가변할 수 있게 하고, 수평 동기의 경우에는 입력 영상의 포맷에 관계없이 정해진 폭을 기준으로 재생성하고, 수직 동기의 경우에는 정해진 폭을 기준으로 생성하되 임의 파형에 대비하기 위해 필드별로 일정 라인 가변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성 및 잇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영상처리 시스템의 영상복호기의 동기 신호 생성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처리 시스템의 영상 복호기의 블록도이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동기 신호 처리부(10)에 의해 입력 수평 동기 신호를 입력하고, 입력 수평 동기 신호의 기준점과 영상처리 시스템의 동기 생성 기준점의 동일 여부에 따라 상기 입력 수평 동기 신호를 바이패스하여 출력하거나, 유효 데이터 영역과 일정폭 위치에 고정된 기준점을 갖는 수평 동기 신호를 재생성하여 출력한다.
상기 수평 동기 신호 처리부(10)는 상기 입력 수평 동기 신호의 기준점이 상기 영상처리 시스템의 동기 생성 기준점과 동일한 경우, 상기 입력 수평 동기 신호를 바이패스하여 출력하고, 상기 입력 수평 동기 신호의 기준점이 상기 영상처리 시스템의 동기 생성 기준점과 동일하지 않은 경우, 폭 정보를 입력받아 유효 데이터 영역과 일정폭 위치에 고정된 기준점을 갖는 수평 동기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수평 동기 신호 처리부(10)는 상기 수평 동기 신호의 기준점과 상기 영상처리 시스템의 동기 생성 기준점이 동일하지 않은 경우, 상기 수평 동기 신호의 폭 정보는 가변적인 값을 갖되, 상기 고정된 기준점을 동일하게 유지하여 이때 재생성되는 수평 동기 신호의 기준점은 항상 일치하도록 한다.
이렇게 생성된 수평 동기 신호를 이용하여 수직 동기 신호 처리부(20)에서 수직 동기 신호를 생성한다.
그리고 수직 동기 신호 처리부(20)는 입력 수직 동기 신호의 기준점이 폴링 시점이든 라이징 시점이든 관계없이 생성된 수평 동기 신호를 이용하여 정해진 폭 을 기준으로 하여 새로운 폭을 설정하여 유효 데이터 영역과 일정폭 위치에 고정된 기준점을 갖는 수직 동기 신호를 출력한다.
그리고 수직 동기 신호 처리부(20)는 임의 파형이 상기 영상처리 시스템에 입력되는 경우, 상기 임의의 파형에 대해 필드별로 상기 정해진 폭을 일정 라인 가변하여 수직 동기 신호를 생성한다.
또는 상기 수직 동기 신호 처리부(20)는 입력 수직 동기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수평 동기 신호 처리부(10)에서 생성된 수평 동기 신호를 이용하여 입력 수직 동기 신호의 기준점과 영상처리 시스템의 동기 생성 기준점의 동일 여부에 따라 상기 입력 수직 동기 신호를 바이패스하여 출력하거나, 유효 데이터 영역과 일정폭 위치에 고정된 기준점을 갖는 수평 동기 신호를 재생성하여 출력한다
이때의 상기 수직 동기 신호 처리부(20)는 상기 입력 수직 동기 신호의 기준점이 상기 영상처리 시스템의 동기 생성 기준점과 동일한 경우, 상기 입력 수직 동기 신호를 바이패스하여 출력하고, 상기 입력 수직 동기 신호의 기준점이 상기 영상처리 시스템의 동기 생성 기준점과 동일하지 않은 경우, 폭 정보를 입력받아 유효 데이터 영역과 일정폭 위치에 고정된 기준점을 갖는 수직 동기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그리고 유효 데이터 추출부(30)에 의해 상기 수평 및 수직 동기 신호 처리부(10, 20)로부터 출력되는 수평 및 수직 동기 신호에 따라 영상 정보(유효 데이터 크기 및 위치)를 입력받아 유효 데이터를 추출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영상처리 시스템의 복합 영상 복호기(Video Decorder)는 복합 영상 신호에서 동기 신호와 영상 신호를 분리하여 입력하고, 분리된 동기 신호의 수평 및 수직 성분, 즉 입력 수평 및 수직 동기 신호에 대해 유효 데이터 영역으로부터 일정한 위치에 고정된 기준점을 갖는 수평 및 수직 동기 신호를 생성한다.
이러한 영상처리 시스템의 기준점은 하나로 고정된 상황에서 설계하고, 외부 동기 입력 신호 처리시 내부적으로 상기와 같이 동기 신호를 그대로 사용하거나 재생성한다.
물론 이러한 영상처리 시스템의 동기 생성 기준점은 제조사 내지는 제품별로 조금씩 다르나, 대부분의 경우에는 외부 입력 동기 신호의 폴링 시점을 기준으로 하고, 일부는 라이징 시점을 기준으로 한다.
이러한 2 가지 경우를 모두 고려하여 시스템을 설계한다면 비효율적일 뿐더러 문제 발생의 소지도 많아지게 된다.
따라서 2 가지 기준점의 영상을 내부적으로 하나의 기준점으로 통일하여 사용한다.
도5a 및 도5b는 상기 도4에 도시된 영상 복호기의 수평 동기 신호 처리부(10) 및 수직 동기 신호 처리부(20)를 이용한 수평 동기 및 수직 동기 처리 동작을 도시한 것이다.
영상처리 시스템의 복합 영상 복호기를 통해 복호된 수평 및 수직 동기 신호는 폴링 또는 라이징 시점 중 하나가 고정되기 때문에 영상처리 시스템의 동기 재생 기준점(폴링 시점 또는 라이징 시점)에 따라 2가지의 경우를 고려할 수 있다.
첫째로는 입력 동기 신호의 폴링 시점이 안정된 경우이고, 두번째로는 입력 동기 신호의 라이징 시점이 안정된 경우가 있는데, 상기 수평 및 수직 동기 신호 처리부(10, 20)는 상기 영상처리 시스템의 동기 재생 기준점이 상기 입력 동기 신호의 안정시점(기준점)이 동일한 지에 따라 외부로부터 동기 신호 정보(기준점 모드, 폭 정보)를 입력받는다.
입력받은 동기 신호 정보 중 기준점 모드에는 입력 동기 바이패스 모드와 동기 신호 재생성 모드가 있는데, 입력 동기 바이패스 모드는 상기 영상처리 시스템의 동기 재생 기준점이 상기 입력 동기 신호의 안정시점과 동일할 때 동작하고, 동기 신호 재생성 모드는 상기 영상처리 시스템의 동기 재생 기준점이 상기 입력 동기 신호의 안정시점과 동일하지 않은 경우에 동작한다.
영상처리 시스템의 동기 재생 기준점이 라이징 시점을 기준으로 설계가 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즉, 도4의 유효 데이터 추출부(30)가 모든 동기 신호에 대해 동기 신호의 라이징 시점을 기준으로 설계가 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이때, 입력 수평 동기 신호가 폴링 시점을 안정시점(기준점)으로 갖는 신호일 경우에 수평 동기 신호 처리부(10)에서는 CPU의 제어에 따라 동기 신호 재생성 모드로 동작하여 입력 영상 신호의 포맷에 관계없이 도5a의 (2)처럼 입력 수평 동기 신호의 폴링 시점에서 입력된 폭정보(A)에 의해 기준점(C)을 고정하고, 여러 입력 수평 영상 신호에 대해 상기 기준점(C)이 고정되도록 폭정보를 조정하고, 항상 일정한 유효 데이터의 수평 위치 정보(B)를 제공한다.
즉, 상기 폭정보(A)는 가변적인 값을 갖고, 유효 데이터 영역까지 각 동기 신호에 대해 일정폭의 수평 위치 정보(B)를 가지면 된다.
따라서 새로이 생성된 동기 신호의 기준점(C)을 기준으로 유효 데이터의 위치를 지정하면 유효 데이터 추출부(30)에서는 어떠한 경우에도 안정적인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마찬가지로 도4의 유효 데이터 추출부(30)가 모든 동기 신호에 대해 동기 신호의 라이징 시점을 기준으로 설계가 되어 있다고 가정하자.
이때, 입력 수평 동기 신호가 라이징 시점을 안정시점(기준점)으로 갖는 신호일 경우에 수평 동기 신호 처리부(10)에서는 CPU의 제어에 따라 입력 동기 바이패스 모드로 동작하여 도5a의 (3)처럼 입력 수평 동기 신호를 그대로 바이패스하고 유효 데이터 추출부(30)에 유효 데이터의 수평 위치 정보(D)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구성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수직 동기 신호의 생성의 경우에는 입력 수직 동기 신호의 기준점이 폴링 시점이든 라이징 시점이든 관계없이 새로운 폭을 설정하고 생성하는 방법(필드마다 위치 정보를 갱신하는 방법)이 효과적이다.
그 이유는 수직 동기 신호에서는 안정된 기준점과 더불어 수직 동기 신호의 파형 자체가 영상 신호의 종류마다 차이가 나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유효 데이터 추출부(30)가 라이징 시점을 기준으로 설계가 되었고, 입력 수직 동기의 기준점이 라이징 시점이라 하더라도 도5b와 같이 입력 수직 동기의 기준점에서 유효 데이터까지의 라인 수가 필드마다 1씩 차이가 발생할 수도 있다.
따라서 영상처리 시스템의 동기 생성 기준점이 라이징 시점이고, 입력 수직 동기의 기준점이 폴링 시점이면 라이징 시점에 맞추어 새로운 폭을 설정해도 되고, 폴링 시점에 맞추어 새로운 폭을 설정해도 된다.
그리고, 이러한 경우 필드마다 위치 정보를 갱신하는 방법도 있겠지만, 시스템의 통일성을 위해 필드마다 위치 정보를 갱신하는 방법과 기준 시점의 선택방법(영상처리 시스템의 동기 생성 기준점과 입력 수직 동기의 기준점의 동일한지의 여부에 따라 수직 동기 신호를 생성하는 방법)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고, 복합 영상 신호에서 동기 신호를 분리할 때 종종 발생하는 수직 동기 신호의 지연 현상도 보상할 수 있어 대단히 유리하다.
즉, 수직 동기 신호 처리부(20)에서 수직 동기 신호의 재생성 방법은 영상처리 시스템의 동기 생성 기준점이 라이징 시점이고, 도5b의 (2)와 같이 입력 수직 동기 신호의 기준점이 폴링 시점일 때에는, 폴링 시점(E)에서 일정라인 이후 라이징 시점(F)되도록 수직 동기 신호를 생성하면 된다.
그리고, 마찬가지로 영상처리 시스템이 동기 생성 기준점이 라이징 시점이고, 입력 수직 동기 신호의 기준점이 라이징 시점일 때에는, 기본적으로 입력 라이징 시점에 맞추되, 그 폭을 라이징 시점 대비 일정 라인 확장할 수 있게 한다.
결과적으로 시스템에서는 영상 복호기가 고정되기 때문에 시스템 개발 단계에서 채택한 영상 복호기의 동기 생성 기준점에 따라 수평 동기의 경우에는 도5a의 (2)나 (3)의 경우를 선택하여 수평 동기 신호를 생성한다.
그리고, 수직 동기의 경우에는 내부적으로 동기를 재생성하되 그 폭을 필드 별로 가변할 수 있게 하여 임의 포맷의 영상에 적용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처리 시스템의 영상 복호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외부 영상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영상처리 시스템에서, 입력 신호를 그대로 사용하거나 내부적으로 기준점을 고정하여 이 기준점에 의해 생성된 동기 신호를 출력하여 여러 가지 형태의 외부 입력 동기 신호에 대해서 안정적으로 유효 영상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이는 영상 데이터를 입력, 변환, 재생하는 모든 장치에 적용할 수 있으며 특히 디지털 TV 등 다양한 입력 모드를 제공하는 장치에서 효과적으로 응용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이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Claims (6)

  1. 외부 수평 동기 신호를 입력하고, 상기 외부 수평 동기 신호의 기준점과 영상처리 시스템의 동기 생성 기준점의 동일 여부에 따라 상기 외부 수평 동기 신호를 바이패스하여 출력하거나, 유효 데이터 영역과 일정폭 위치에 고정된 기준점을 갖는 수평 동기 신호를 재생성하여 출력하는 수평 동기 신호 처리부;
    외부 수직 동기 신호를 입력하고, 상기 외부 수직 동기 신호를 그대로 출력하거나, 상기 수평 동기 신호 처리부에서 생성된 수평 동기 신호를 이용하여 정해진 폭을 기준으로 하여 유효 데이터 영역과 일정폭 위치에 고정된 기준점을 갖는 수직 동기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수직 동기 신호 처리부;
    상기 수평 동기 신호 처리부 및 상기 수직 동기 신호 처리부로부터 출력되는 수평 동기 신호 및 수직 동기 신호에 따라 영상 정보를 입력받아 유효 데이터를 추출하는 유효 데이터 추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 시스템의 영상 복호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동기 신호 처리부는
    상기 외부 수평 동기 신호의 기준점이 상기 영상처리 시스템의 동기 생성 기준점과 동일한 경우, 상기 외부 수평 동기 신호를 바이패스하여 출력하고,
    상기 외부 수평 동기 신호의 기준점이 상기 영상처리 시스템의 동기 생성 기준점과 동일하지 않은 경우, 폭 정보를 입력받아 유효 데이터 영역과 일정폭 위치에 고정된 기준점을 갖는 수평 동기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 시스템의 영상 복호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폭 정보는 상기 외부 수평 동기 신호에 대해 가변적인 값을 갖되, 상기 고정된 기준점을 동일하게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 시스템의 영상 복호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동기 신호 처리부는 상기 입력 수직 동기 신호에 대해 필드별로 상기 정해진 폭을 일정 라인 가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 시스템의 영상 복호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동기 신호 처리부는
    입력 수직 동기 신호를 입력하고, 상기 수평 동기 신호 처리부에서 생성된 수평 동기 신호를 이용하여 입력 수직 동기 신호의 기준점과 영상처리 시스템의 동기 생성 기준점의 동일 여부에 따라 상기 입력 수직 동기 신호를 바이패스하여 출력하거나, 또는 유효 데이터 영역과 일정폭 위치에 고정된 기준점을 갖는 수직 동기 신호를 재생성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 시스템의 영상 복호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동기 신호 처리부는
    상기 입력 수직 동기 신호의 기준점이 상기 영상처리 시스템의 동기 생성 기준점과 동일한 경우, 상기 입력 수직 동기 신호를 바이패스하여 출력하고,
    상기 입력 수직 동기 신호의 기준점이 상기 영상처리 시스템의 동기 생성 기준점과 동일하지 않은 경우, 폭 정보를 입력받아 유효 데이터 영역과 일정폭 위치에 고정된 기준점을 갖는 수직 동기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 시스템의 영상 복호기.
KR1020020007505A 2002-02-08 2002-02-08 영상처리 시스템의 영상 복호기 KR1008304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7505A KR100830457B1 (ko) 2002-02-08 2002-02-08 영상처리 시스템의 영상 복호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7505A KR100830457B1 (ko) 2002-02-08 2002-02-08 영상처리 시스템의 영상 복호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7363A KR20030067363A (ko) 2003-08-14
KR100830457B1 true KR100830457B1 (ko) 2008-05-20

Family

ID=322211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7505A KR100830457B1 (ko) 2002-02-08 2002-02-08 영상처리 시스템의 영상 복호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045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2903B1 (ko) 2005-06-10 2008-07-02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상변환 기억 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647190B1 (ko) * 2005-09-14 2006-11-23 (재)대구경북과학기술연구원 디지털 영상 전송에 사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방법 및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7468A (ko) * 1996-06-29 1998-03-30 배순훈 수직 선형성 자동 조정장치 및 방법
KR100207375B1 (ko) * 1995-06-30 1999-07-15 전주범 피디피에서의 수직 포지션 조절 장치
KR100215655B1 (ko) * 1996-12-30 1999-08-16 윤종용 채널 전환시 노이즈 제거방법
KR100263169B1 (ko) * 1998-06-30 2000-08-01 윤종용 영상표시기기의 펄스 폭 변조 스위칭 주파수의수평주파수 동기화 장치
KR20010081557A (ko) * 2000-02-16 2001-08-29 구자홍 평면 모니터의 동기신호 안정화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07375B1 (ko) * 1995-06-30 1999-07-15 전주범 피디피에서의 수직 포지션 조절 장치
KR980007468A (ko) * 1996-06-29 1998-03-30 배순훈 수직 선형성 자동 조정장치 및 방법
KR100215655B1 (ko) * 1996-12-30 1999-08-16 윤종용 채널 전환시 노이즈 제거방법
KR100263169B1 (ko) * 1998-06-30 2000-08-01 윤종용 영상표시기기의 펄스 폭 변조 스위칭 주파수의수평주파수 동기화 장치
KR20010081557A (ko) * 2000-02-16 2001-08-29 구자홍 평면 모니터의 동기신호 안정화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7363A (ko) 2003-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44045B2 (ja) 記録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2002108315A (ja) 画像表示装置
KR100830457B1 (ko) 영상처리 시스템의 영상 복호기
KR20020002196A (ko) 신호 처리장치 및 방법
KR100922244B1 (ko) 신호 처리 장치 및 화상 출력 장치
JPH07177536A (ja) ディジタルタイムベースコレクタ
US6331875B1 (en) Method and device for arranging digitized image signals or data in orthogonal rows and columns
JP3514067B2 (ja) 半導体集積回路
JPH0832930A (ja) 圧縮解除されたビデオデータとオーディオデータとの双方又はいずれか一方を再生する装置
JP4239475B2 (ja) 走査線変換装置
JP2846858B2 (ja) 2次元/3次元映像変換装置
JP4646637B2 (ja) ゲンロック装置
JPH06253337A (ja) タイムベースコレクタ装置
JP2000244768A (ja) 映像信号処理回路
JP2967727B2 (ja) 画像表示制御回路
JPH0678233A (ja) 文字・音信号発生装置
JP2846870B2 (ja) クランプ回路
JPH04144491A (ja) 画像処理装置
JPH07134575A (ja) 映像信号変換装置
JPH06105286A (ja) ジッタ補償回路
JPH07177535A (ja) ディジタルタイムベースコレクタ
JP2000236487A (ja) 画像処理装置
JP2007074482A (ja) 記録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H07334136A (ja) 画像信号のサンプリング方法及び装置
JPH05103260A (ja) 映像信号合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