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9838B1 - 용기 - Google Patents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9838B1
KR100829838B1 KR1020067010557A KR20067010557A KR100829838B1 KR 100829838 B1 KR100829838 B1 KR 100829838B1 KR 1020067010557 A KR1020067010557 A KR 1020067010557A KR 20067010557 A KR20067010557 A KR 20067010557A KR 100829838 B1 KR100829838 B1 KR 1008298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opening
container
container body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05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88255A (ko
Inventor
히토시 미즈노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호에이 쇼카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호에이 쇼카이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호에이 쇼카이
Publication of KR200700882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82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98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98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35/00Equipment for conveying molten metal into beds or mou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7/00Pressure die casting or injection die casting, i.e. casting in which the metal is forced into a mould under high pressure
    • B22D17/20Accessories: Details
    • B22D17/30Accessories for supplying molten metal, e.g. in 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B22D41/12Travelling ladles or similar containers; Cars for la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B22D41/14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7/00Casting pla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sting Support Devices, Ladles, And Melt Control Thereby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폐할 수 있는 뚜껑을 크게 하더라도 개폐작업이 용이하여 안정성이 높은 용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이 용기는, 상부에 제1개구를 구비하고 용융금속을 저장할 수 있는 용기 본체와, 상기 제1개구를 막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상기 제1개구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제1뚜껑과, 상기 용기 본체 내에 가압기체를 유입하기 위한 가압기체 유입구와, 상기 용기 본체 내에 저장된 용융금속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유로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용기{CONTAINER}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용융 알루미늄(熔融 aluminium)의 반송(搬送)에 사용되는 용기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자동차의 엔진에 사용되는 알루미늄 합금은, 용융된 상태에서 다이캐스팅 머신의 서버에 공급된다. 이러한 용융 알루미늄의 반송에는, 종래부터 냄비 형상의 용기가 사용되고 있다.
이 시스템에서는, 알루미늄 합금을 제조하는 공장에서 알루미늄을 녹여서 배합하고, 그 녹은 상태 그대로 용기에 넣고 용기를 트럭 등으로 실어서 엔진을 성형하는 공장으로 나르고, 그 용기를 포크리프트에 실어 다이캐스팅 머신의 서버까지 반송하고, 용기로부터 서버에 용융 알루미늄을 공급한다.
알루미늄 합금을 제조하는 공장에서 일단 고화시켜 소위 잉곳(ingot)의 상태에서 다이캐스팅 머신이 있는 공장까지 반송하면, 다이캐스팅 머신이 있는 공장에서 잉곳을 용융하는 공정이 필요하게 되어 에너지가 낭비 되고 또한 CO2의 배출량도 많아지게 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상기한 시스템은 그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지금까지 압력차이를 이용하여 용융 알루미늄을 배출하는 밀폐형의 용기를 제안하고 또한 여러 가지 개량을 하였다. 그 용기의 기본적인 태양으로서는, 상부가 개구하고 있는 원통 모양의 용기 본체를 큰 뚜껑으로 덮고, 큰 뚜껑의 대략 중앙에 해치를 설치함과 아울러 해치에 용기 내부로 가압기체를 유입하기 위한 포트, 본체에 용융 알루미늄을 배출하는 유로 및 배관을 설치한 것이다.
큰 뚜껑은 패킹을 사이에 두고 용기 본체에 볼트와 너트에 의하여 부착되어 고정되며, 해치(작은 뚜껑)는 평면에서 보아 일단 측이 힌지에 의하여 큰 뚜껑에 부착되고, 반대측이 핸들이 부착된 볼트에 의하여 큰 뚜껑에 고정 가능하게 되어 있다. 해치는 핸들이 부착된 볼트를 본체로부터 풀어 힌지를 축으로 하여 상하로 개폐 가능하게 되어 있다(특허문헌1 참조).
해치를 설치한 이유는, 해치를 열어 가스 버너로 용기 내를 예열하기 위해서이다. 또 다른 이유는, 용기 내에 저장된 용융 알루미늄의 표면에 뜨는 산화물(lime wash라고 부른다)을 외부로부터 떠내기 위해서다. 구체적으로는, 해치를 열어서 라임 워시 제거용의 용구를 용기 내에 넣어서 용융 알루미늄의 표면으로부터 떠내어 외부로 반출하고 있다.
특허문헌1 :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4-276118호 공보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알루미늄 합금의 제조를 보다 높은 정밀도로 할 필요성이 점점 강해지고 있다. 그 경우에, 상기한 산화물을 제거하는 것도 상당히 신중하고 정성스럽게 할 것이 요구된다. 그러나 종래의 해치의 크기는 큰 뚜껑의 반 정도의 지름이기 때문에 해치의 개구를 통하여 용융 알루미늄 표면을 외부로부터 들여다 보는 것도 힘들고, 제거하기 위한 작업은 더 힘들다. 따라서 해치의 지름을 지금보다도 크게 하는 것이 바라직하지만, 해치가 대형화 하면 무겁게 되어 개폐작업이 매우 힘들게 된다. 특히, 이러한 용기는 고온상태에서 개폐작업을 할 필요가 있으므로 안전면에서도 문제가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개폐할 수 있는 뚜껑을 크게 하더라도 개폐작업이 용이하여 안정성이 높은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발명의 구성)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주된 관점에 관한 용기는, 상부에 제1개구를 구비하고 용융금속을 저장할 수 있는 용기 본체와, 상기 제1개구를 막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상기 제1개구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제1뚜껑과, 상기 용기 본체 내에 가압기체를 유입하기 위한 가압기체 유입구와, 상기 용기 본체 내에 저장된 용융금속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유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제1뚜껑을 용기 본체의 제1개구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하였으므로, 뚜껑을 상하로 개폐하는 것과 비교하여 개폐에 필요한 힘이 작아진다. 이에 따라 개폐할 수 있는 뚜껑을 크게 하더라도 개폐작업이 용이하여 안정성이 높은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용기 본체는, 상기 제1개구보다 큰 제2개구를 상부에 구비하는 저장부와, 상기 제2개구를 덮도록 상기 저장부에 고정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1개구를 구비하는 제2뚜껑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뚜껑은, 상기 제1뚜껑을 회전 가능하게 축지하는 지지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뚜껑은, 상기 지지부에 의하여 상기 제2뚜껑의 표면으로부터 부상할 수 있도록 지지되고, 상기 제1뚜껑의 외주부에는, 상기 제2뚜껑의 표면에 있어서의 상기 제1개구 이외의 영역에 회전 가능하게 접촉하고 또한 상하로 승강할 수 있는 제1롤러를 구비하는 제1의 지지안내기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뚜껑의 개폐에 필요한 힘이 보다 작아진다.
상기 제2뚜껑의 상기 지지부 근방에 설치된 제2롤러와, 상기 용기 본체에 부착되고, 상기 제1롤러가 상기 제2표면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제2롤러를 지지하여 안내하는 안내 레일을 구비하는 제2의 지지안내기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제1롤러가 제2뚜껑의 표면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있을 때에도 뚜껑의 개폐에 필요한 힘은 보다 작아진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관한 용기는, 제1개구가 형성된 제1영역과, 배관 설치부 및 뚜껑 회전 지지부가 설치된 제2영역을 상부에 구비하고, 용융금속을 저장할 수 있는 용기 본체와, 상기 제1개구를 막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상기 제1개구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뚜껑 회전 지지부에 부착된 제1뚜껑과, 상기 용기 본체 내에 저장된 용융금속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유로와, 상기 배관 설치부에 부착되고 상기 유로와 통하는 배관과, 상기 용기 본체 내에 가압기체를 유입하기 위한 가압기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제1뚜껑을 용기 본체의 제1개구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했으므로, 뚜껑을 상하로 개폐하는 것과 비교하여 개폐에 필요한 힘은 작아진다. 또한 제2영역에 배관 설치부 및 뚜껑 회전 지지부를 집중시킴으로써 제1영역을 더 넓게 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제1개구를 더 크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산화물을 제거하기 위한 작업이 보다 원활하게 된다.
상기 제1뚜껑은, 상기 제1개구를 막는 것이 가능한 뚜껑 본체와, 상기 뚜껑 회전 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고, 상기 뚜껑 본체를 지지하는 연결부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제1뚜껑이 배관 설치부 및 뚜껑 회전 지지부를 간섭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뚜껑의 회전반경을 크게 하면서도 경량화 도모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관한 용기의 평면도(제1뚜껑이 열린 상태)이다.
도2는, 도1의 제1뚜껑을 닫은 상태의 용기의 평면도이다.
도3은, 도2의 종단면도이다.
도4는, 고정 핸들의 확대 정면도이다.
도5는, 고정 핸들의 확대 측면도이다.
도6은, 작은 뚜껑 지지 주행부의 확대도이다.
도7은, 캠팔로워의 설명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용기 200 용기 본체
210 저장부 211 개구부
215 저장공간 218 융기부
219 유로 230 큰 뚜껑
231 개구부 236 제1영역
237 배관 설치부 238 뚜껑 회전 지지부
239 제2영역 241 유로
300 제1뚜껑으로서의 작은 뚜껑 304, 305 고정 핸들
310 작은 뚜껑 지지 주행부 321 캠팔로워(cam-follower)
400 배관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관한 용기의 평면도(제1뚜껑이 열린 상태), 도2는 도1의 제1뚜껑이 닫힌 상태의 용기의 평면도, 도3은 도2의 단면도이다.
용기100은, 용기 본체200과, 제1뚜껑으로서의 작은 뚜껑300과, 배관400을 구비한다.
(용기 본체200의 상세한 설명)
용기 본체200은, 상부의 전체 면이 개구하는 개구부211을 구비하는 저장부210과, 개구부211을 덮도록 저장부210에 배치되고 개구부211보다 작게 개구하는 개구부231을 구비하는 큰 뚜껑230을 구비한다.
·저장부210
저장부210은, 저면을 구비하고 상부에 개구를 구비하는 금속제로서 대략 원통형상의 프레임 본체212와, 프레임 본체212의 내측에 부설된 단열층213과, 단열층213을 덮는 내화층214를 구비한다. 그리고 내화층214의 내측에는 용융 알루미늄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공간215가 형성되어 있다. 내화층214는, 단열층213보다 치밀(緻密)하여 열전도율이 높다. 단열층213이나 내화층214는 필요에 따라 복수의 층으로 하더라도 물론 상관없다.
프레임 본체212의 개구부211의 외주에는 플랜지215가 형성되어 있다. 프레임 본체212의 하면(下面)216에는 한 쌍의 채널 부재217이 부착되어 있다. 이 채널 부재217에는, 이 용기100을 반송하기 위한 포크리프트의 포크가 삽입되거나 빠지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내화층214의 내주벽에는, 저장공간215 측(내측)으로 돌출하는 융기부218이 상하방향으로 이 내화층214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즉, 융기부218은 내화층214 그 자체로 되어 있다. 이 융기부218의 내부에는 상하방향을 따라 용융 알루미늄을 외부와의 사이에서 유통하기 위한 유로219가 형성되어 있다. 이 유로219는, 저장공간215의 저면에 가까운 위치로부터 저장공간215의 상부까지 관통하고 있다.
유로219는, 예를 들면 세라믹제의 배관220에 의하여 둘러싸여 있다. 이에 따라 저장공간215의 가압 시에 융기부218을 통하여 저장공간215로부터 유로219 내에 대한 기체의 침투를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용기100은, 이러한 배관220을 설치하지 않아도 좋다.
·큰 뚜껑230
큰 뚜껑230은, 금속제로서 캡 형상의 프레임 본체232와, 프레임 본체232의 내측에 부설된 단열층233과, 나머지의 잉여공간을 메우는 내화층234를 구비한다.
큰 뚜껑230의 외주에는 플랜지235가 형성되어 있다. 이 플랜지235는, 저장부210의 외주에 형성된 플랜지215 위에 실려 볼트 및 너트(도면에 나타내는 것을 생략)에 의하여 플랜지215와 플랜지235가 여러 곳에서 고정되어 있다. 이에 따라 큰 뚜껑230은 저장부210에 대하여 부착되어 고정된다. 용기100 내의 기밀성을 높이기 위하여 플랜지215와 플랜지235의 사이에는 패킹(도면에 나타내는 것을 생략)이 삽입되어 있다.
큰 뚜껑230을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개구부231이 형성된 제1영역236과, 배관 설치부237 및 뚜껑 회전 지지부238이 설치된 제2영역239를 구비한다.
제1영역236은, 큰 뚜껑230의 중심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대략 0°∼225°의 회전반경의 범위에 있고, 나머지의 회전반경(225°∼360°)의 범위를 제2영역239로 하고 있다. 여기에서 이 영역의 비율은 어디까지나 일례로서, 이 외의 범위이어도 물론 상관없다.
개구부231은 제1영역236의 거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고, 개구부231의 외주에는 플랜지240이 형성되어 있다.
제2영역239에는, 배관 설치부237과 뚜껑 회전 지지부238이 인접하도록 하여 집약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배관 설치부237에는 유로241이 개구하고 있고, 그 주위에 플랜지242가 형성되어 있다. 유로241은 내화층234 내를 관통하고 또한 저장부210의 유로219와 통하고 있다. 또한 배관220은 유로219로부터 연장되어 유로241까지 둘러싸고 있다. 결국, 배관220의 상부 선단은 배관 설치부237의 플랜지242와 대략 동일한 평면이 되는 위치까지 도달하고 있다.
플랜지242는, 배관400에 형성된 플랜지401과 여러 곳에서 볼트(도면에 나타내는 것을 생략)에 의하여 체결되어, 배관400이 용기 본체200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이 위치에 배관400을 회전시키는 기구를 설치하여 배관400을 플랜지242와 플랜지401이 대면하는 면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하더라도 상관없다.
뚜껑 회전 지지부238은, 제1뚜껑으로서의 작은 뚜껑300을 회전 가능하게 축지(軸支)하는 지지부이다. 또한 뚜껑 회전 지지부238은, 작은 뚜껑300을 큰 뚜껑230의 표면으로부터 예를 들어 2°정도 들어올릴 수 있도록 지지하고 있다. 즉, 작은 뚜껑300은 뚜껑 회전 지지부238을 지점으로 하여 상방으로 2° 정도 들어올리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1뚜껑으로서의 작은 뚜껑300의 상세한 설명)
작은 뚜껑300은, 평면에서 보아서 상기한 개구부231을 조금 크게 한 형상을 구비하여 개구부231을 막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개구부231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작은 뚜껑300은, 금속제로서 캡 형상의 프레임 본체301과, 프레임 본체 301의 내측을 메우는 내화층302를 구비한다.
작은 뚜껑300의 외주에는 플랜지303이 형성되어 있다. 이 플랜지303은, 큰 뚜껑230의 개구부231의 외주에 형성된 플랜지240 위에 실어 고정 핸들304, 305에 의하여 플랜지303과 플랜지240이 여러 곳에서 고정 가능하게 되어 있다.
고정 핸들304는, 예를 들면 큰 뚜껑230의 외주 부근의 4곳에 설치되어 있다. 각 고정 핸들304는, 도4 및 도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작은 뚜껑300의 플랜지303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돌출하는 돌기부306과, 큰 뚜껑230의 외주에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축지된 지지부재307과, 지지부재307의 상단에 형성된 핸들이 부착된 볼트308을 구비한다.
핸들이 부착된 볼트308은, 역L자 모양의 형상을 구비하여 회전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되어 있다. 작은 뚜껑300을 큰 뚜껑230에 고정할 때에는, 지지부재307을 회전시켜서 핸들이 부착된 볼트308의 하부 선단이 돌기부306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하고, 핸들이 부착된 볼트308을 회전시켜서 그 하부 선단을 돌기부306에 대어 체결한다. 이에 따라 작은 뚜껑300이 큰 뚜껑230에 고정된다. 한편 작은 뚜껑300을 회전시켜서 개구부231을 개구하고자 할 때에는, 핸들이 부착된 볼트308을 회전시켜서 그 하부 선단을 돌기부306으로부터 후퇴시키고 지지부재307을 회전시켜서 핸들이 부착된 볼트308을 작은 뚜껑300보다 아래에 위치시킨다. 이에 따라 핸들이 부착된 볼트308이 작은 뚜껑300의 회전을 간섭하지 않게 된다.
고정 핸들305는, 예를 들면 작은 뚜껑300의 중심 부근의 한 곳에 설치되어 있다. 고정 핸들305는 하부 선단이 볼트 모양으로서, 큰 뚜껑230에 있어서 대응하는 위치에는 볼트가 삽입되는 나사 구멍(도면에는 나타내지 않는다)이 형성되고, 이 구멍에 고정 핸들305의 볼트 모양의 부분이 볼트로 체결됨으로써 작은 뚜껑300이 큰 뚜껑230에 고정된다.
작은 뚜껑300의 외주의 2곳에는, 작은 뚜껑 지지 주행부310이 설치되어 있다. 이 작은 뚜껑 지지 주행부310은, 도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롤러311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롤러 지지부312와, 이 롤러 지지부312를 승강시킬 수 있도록 지지하는 승강 지지부를 구비한다.
승강 지지부는, 롤러 지지부312의 승강을 안내하는 안내부재314와, 롤러 지지부312를 승강시키는 핸들이 부착된 볼트315를 구비한다. 안내부재314는 오목형상으로서, 상부에 나사가 형성되어 있는 관통구멍이 형성되고, 그 관통구멍에 핸들이 부착된 볼트315가 통과하여 핸들이 부착된 볼트315의 하단 선단에 롤러 지지부312가 부착되어 있다. 롤러 지지부312도 오목형상으로서, 그 공간에 롤러311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작은 뚜껑 지지 주행부310 중에 적어도 하나는, 작은 뚜껑300을 회전시켰을 때에 작은 뚜껑300의 외주의 궤적이 가장 외측이 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작은 뚜껑300을 가장 작은 힘으로 들어 올리는 것이 가능하게 되기 때문이며 또한 중량 균형의 면에서도 바람직하다.
작은 뚜껑300이 큰 뚜껑230을 막은 상태이면서 또한 고정 핸들304, 305 에 의하여 작은 뚜껑300이 큰 뚜껑230에 고정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핸들이 부착된 볼트315를 회전시켜서 롤러 지지부312를 하강시키면, 작은 뚜껑300이 그 회전 중심을 중심으로 하여 큰 뚜껑230으로부터 상방으로 최대 2° 정도 들어올려서 작은 뚜껑300이 큰 뚜껑230으로부터 이간한다. 이 상태에서 작은 뚜껑300을 수평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롤러311이 큰 뚜껑230의 표면을 주행하고, 즉 롤러311이 작은 뚜껑30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작은 뚜껑300을 보다 작은 힘으로 수평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작은 뚜껑300이 큰 뚜껑230으로부터 벗어난 상태에서 작은 뚜껑300이 큰 뚜껑230을 막을 때에는 이와는 역동작을 하면 좋다.
작은 뚜껑300은, 연결판320을 통하여 뚜껑 회전 지지부238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즉, 작은 뚜껑300은, 뚜껑 회전 지지부238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수평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뚜껑 회전 지지부238의 주위에는 캠팔로워321이 설치되어 있다. 캠팔로워321은 도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뚜껑 회전 지지부238의 외주를 둘러 싸도록 큰 뚜껑230에 고정되고 내주 측으로 개구하는 단면이 ㄷ자 모양의 안내 레일322와, 안내 레일322의 내주 상부에 접촉하는 롤러323을 구비한다. 롤러323은, 연결부재의 하측이고 또한 뚜껑 회전 지지부238을 사이에 두고 작은 뚜껑300과는 반대측에 예를 들면 2곳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이루어져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작은 뚜껑300을 수평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롤러311이 큰 뚜껑230의 표면을 주행하지만, 소정이상 회전시키면 롤러311이 큰 뚜껑230의 표면에서 외측으로 나가버린다. 그 때에, 캠팔로워321은 이것을 보충하는 것이다. 즉, 롤러311이 큰 뚜껑230의 표면에서 외측으로 나갔을 때에, 롤러323이 안내 레일322에 접촉하고, 작은 뚜껑300은 뚜껑 회전 지지부238을 지점으로 하는 지렛대와 같이 균형이 유지되게 된다. 이에 따라 매우 작은 힘으로 작은 뚜껑300을 수평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작은 뚜껑300의 중앙 또는 중앙으로부터 조금 벗어난 위치에는, 용기 본체200 내의 감압 및/또는 가압을 하기 위한 내압 조정용의 기체 유통로330이 형성되어 있다. 이 기체 유통로330에는 가감압용 배관331이 접속되어 있다. 이 배관331은, 기체 유통로330으로부터 상방으로 신장하고 소정의 높이에서 구부러져 거기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하고 있다.
배관331의 수직부의 소정의 위치에는 유니버셜 조인트부332가 삽입되어 있어, 배관331의 수평방향 선단부가 원하는 수평방향,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배관331의 수평방향 선단부에는, 가압용 또는 감압용의 배관(도면에는 나타내지 않는다)이 접속 가능하게 되어 있어, 가압용의 배관에는 가압기체가 저장된 탱크나 가압용의 펌프가 접속되어 있고, 감압용의 배관에는 감압용의 펌프가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감압에 의하여 배관400을 통하여 용기 본체200 내로 용융 알루미늄을 유입하는 것이 가능하고, 가압에 의하여 압력차이를 이용하여 배관400을 통하여 용기 본체200 밖으로 용융 알루미늄의 배출이 가능하다.
작은 뚜껑300에는, 액체 표면 센서로서 2개의 전극(電極)이 각각 삽입되는 액체 표면 센서용의 2개의 관통구멍333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이들 관통구멍333에는, 각각 전극(도면에 나타내는 것을 생략)이 삽입 가능하게 되어 있다.
(배관400의 상세한 설명)
배관400의 플랜지401이 플랜지242와 여러 곳에서 볼트(도면에 나타내는 것을 생략)에 의하여 체결됨으로써 배관400이 용기 본체200에 고정되어 있다.
배관400은, R형상의 제1부위402와, 외측을 향할 수록 상방을 향하여 약간 경사지는 제2부위403과, 대략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부위404가 각각의 플랜지를 볼트로 체결함으로써 이 순서로 접속되어 있다. 제3부위404의 하부 선단에 유로의 개방부405(용융 알루미늄의 토출구, 유입구)가 형성되어 있다.
(용기100의 사용방법)
(1)용기100 내의 예열
작은 뚜껑300을 큰 뚜껑230의 개구부231로부터 제쳐놓은 상태에서, 저장공간215 내를 가스 버너로 예열한다.
예열함으로써, 유로219에 용융 알루미늄이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2)용기100 내로 용융 알루미늄의 유입
작은 뚜껑300을 평면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작은 뚜껑300에 의하여 큰 뚜껑230의 개구부231을 덮고, 고정 핸들304, 305에 의하여 작은 뚜껑300을 큰 뚜껑230에 고정한다.
이 상태에서, 용융 알루미늄을 저장하는 노(爐)에 배관400의 개방부405를 담근다.
배관331의 수평방향 선단부에 감압용의 배관을 부착하여 용기100 내를 압력을 내린다.
그러면, 노에 저장된 용융 알루미늄은, 배관400 및 유로219를 통하여 저장공간215 내로 유입된다.
(3)용기100 내의 용융 알루미늄으로부터의 산화물의 제거
고정 핸들304, 305를 풀고 핸들이 부착된 볼트315를 회전시켜서 작은 뚜껑300을 큰 뚜껑230으로부터 2°정도 상승시킨다. 그리고 작은 뚜껑300을 평면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작은 뚜껑300을 큰 뚜껑230의 개구부231로부터 제쳐놓는다.
이 상태에서, 저장공간215 내의 용융 알루미늄 표면의 산화물을, 막대가 부착된 컵과 같은 용구를 사용하여 제거한다.
(4)사용처로 용기100의 반송
작은 뚜껑300을 평면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작은 뚜껑300에 의하여 큰 뚜껑230의 개구부231을 덮고, 고정 핸들304, 305에 의하여 작은 뚜껑300을 큰 뚜껑230에 고정한다.
그리고 채널 부재217에 포크리프트의 포크를 삽입하고, 포크리프트에 의하여 원하는 사용처인 용융 알루미늄의 서버로 나른다. 또는 포크리프트에 의하여 일단 트럭에 싣고, 예를 들면 도로를 달려 소정의 공장까지 운반하고, 거기에서 다시 포크리프트를 사용하여 원하는 사용처인 용융 알루미늄의 서버로 나른다.
(5)용기100 내에 용융 알루미늄의 유입
배관331의 수평방향 선단부에 가압용의 배관을 부착하여 용기100 내를 가압한다.
그러면, 저장공간215 내에 저장되어 있는 용융 알루미늄이, 유로219 및 배관400을 통하여 서버로 배출된다.
(기타)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용기100의 형태는, 원통형상의 것 뿐만 아니라 유로219 부분이 외주 측이 융기한 형태 등이더라도 상관없다.
기타,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1뚜껑을 용기 본체의 제1개구에 대하여 수평방 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하므로, 개폐할 수 있는 뚜껑을 크게 하더라도 개폐작업이 용이하여 안정성이 높은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7)

  1. 상부에 제1개구를 구비하고 용융금속을 저장할 수 있는 용기 본체와,
    상기 제1개구를 막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상기 제1개구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제1뚜껑과,
    상기 용기 본체 내에 가압기체를 유입하기 위한 가압기체 유입구와,
    상기 용기 본체 내에 저장된 용융금속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유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는,
    상기 제1개구보다 큰 제2개구를 상부에 구비하는 저장부와,
    상기 제2개구를 덮도록 상기 저장부에 고정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1개구를 구비하는 제2뚜껑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뚜껑은, 상기 제1뚜껑을 회전 가능하게 축지(軸支)하는 지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뚜껑은, 상기 지지부에 의하여 상기 제2뚜껑의 표면으로부터 부상(浮上)할 수 있도록 지지되고,
    상기 제1뚜껑의 외주부(外周部)에는, 상기 제2뚜껑의 표면에 있어서의 상기 제1개구 이외의 영역에 회전 가능하게 접촉하고 또한 상하로 승강할 수 있는 제1롤러를 구비하는 제1의 지지안내기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뚜껑의 상기 지지부 근방에 설치된 제2롤러와,
    상기 용기 본체에 부착되고, 상기 제1롤러가 상기 제2뚜껑의 표면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제2롤러를 지지하여 안내하는 안내 레일을 구비하는 제2의 지지안내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6. 제1개구가 형성된 제1영역과, 배관 설치부 및 뚜껑 회전 지지부가 설치된 제2영역을 상부에 구비하고, 용융금속을 저장할 수 있는 용기 본체와,
    상기 제1개구를 막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상기 제1개구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뚜껑 회전 지지부에 부착된 제1뚜껑과,
    상기 용기 본체 내에 저장된 용융금속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유로와,
    상기 배관 설치부에 부착되고 상기 유로와 통하는 배관과,
    상기 용기 본체 내에 가압기체를 유입하기 위한 가압기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뚜껑은,
    상기 제1개구를 막는 것이 가능한 뚜껑 본체와,
    상기 뚜껑 회전 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고 상기 뚜껑 본체를 지지하는 연결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KR1020067010557A 2005-02-28 2005-11-09 용기 KR1008298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052898A JP2006231389A (ja) 2005-02-28 2005-02-28 容器
JPJP-P-2005-00052898 2005-02-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8255A KR20070088255A (ko) 2007-08-29
KR100829838B1 true KR100829838B1 (ko) 2008-05-19

Family

ID=369389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0557A KR100829838B1 (ko) 2005-02-28 2005-11-09 용기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7531127B2 (ko)
JP (1) JP2006231389A (ko)
KR (1) KR100829838B1 (ko)
CN (1) CN1898049A (ko)
CA (1) CA2539104A1 (ko)
CZ (1) CZ2006180A3 (ko)
DE (1) DE112005002997B4 (ko)
GB (1) GB2437233B (ko)
PL (1) PL380765A1 (ko)
WO (1) WO2006092889A1 (ko)
ZA (1) ZA200602757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5484Y1 (ko) * 2020-12-17 2022-06-02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CIPS(close interval potential survey)를 위한 라인 마크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6515B1 (ko) 2010-03-19 2011-04-01 주식회사 엠텍이엔지 레이들 로의 루프장치
CN104289704A (zh) * 2014-10-15 2015-01-21 裴柯兴 具有简易助力开合机构的回转式包盖
JP6193325B2 (ja) * 2015-09-28 2017-09-06 アイシン高丘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ト式金属溶解炉
JP1550328S (ko) * 2015-10-26 2016-05-30
CN114769576B (zh) * 2022-04-26 2023-07-25 江苏豪然新材料有限公司 一种大规模铝合金喷射成形柔性、并行生产方式及其熔体转运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34333A (en) 1975-05-19 1976-11-20 Hitachi Ltd Pouring device with sliding cover
JPH05293634A (ja) * 1992-04-23 1993-11-09 S A Koosan Kk 鋳造用等の溶湯運搬炉
JP2002254158A (ja) * 2000-12-27 2002-09-10 Hoei Shokai:Kk 溶融金属供給用容器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644136A (ko) * 1963-02-22
DD104559A1 (ko) 1973-06-08 1974-03-12
JPS5510872Y2 (ko) * 1976-03-31 1980-03-10
JP2001059685A (ja) 1999-08-20 2001-03-06 Sumitomo Metal Ind Ltd 取鍋予熱装置の天井蓋
WO2001098004A1 (fr) * 2000-06-22 2001-12-27 Hoei Shokai Co., Ltd Procede et systeme d'alimentation de metal en fusion, procede de production d'aluminium en fusion, procede de production de piece d'aluminium moulee sous pression, procede de fabrication de voiture, vehicule de transport, cuve et dispositif d'alimentation de metal en fusion
JP2004276118A (ja) 2000-12-27 2004-10-07 Hoei Shokai:Kk 容器
CZ20031848A3 (cs) * 2000-12-27 2003-12-17 Hoei Shokai Co., Ltd. Kontejner k přepravě roztavených kovů
US7514034B2 (en) * 2002-05-31 2009-04-07 Hoei Shokai Co., Ltd. Container capable of transporting molten metal received therein to separate factory and method of producing the container
CA112529S (en) * 2005-03-14 2007-01-30 Hoei Shokai Co Ltd Container for storing molten metal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34333A (en) 1975-05-19 1976-11-20 Hitachi Ltd Pouring device with sliding cover
JPH05293634A (ja) * 1992-04-23 1993-11-09 S A Koosan Kk 鋳造用等の溶湯運搬炉
JP2002254158A (ja) * 2000-12-27 2002-09-10 Hoei Shokai:Kk 溶融金属供給用容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5484Y1 (ko) * 2020-12-17 2022-06-02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CIPS(close interval potential survey)를 위한 라인 마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8255A (ko) 2007-08-29
GB2437233A (en) 2007-10-17
PL380765A1 (pl) 2007-03-19
JP2006231389A (ja) 2006-09-07
GB2437233B (en) 2009-08-12
US20080246196A1 (en) 2008-10-09
ZA200602757B (en) 2007-09-26
CZ2006180A3 (cs) 2007-04-04
GB0716149D0 (en) 2007-09-26
CN1898049A (zh) 2007-01-17
CA2539104A1 (en) 2006-08-28
US7531127B2 (en) 2009-05-12
DE112005002997T5 (de) 2008-01-10
DE112005002997B4 (de) 2010-03-04
WO2006092889A1 (ja) 2006-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9838B1 (ko) 용기
US7204954B2 (en) Container
JPS5986887A (ja) 傾動可能なア−ク炉
US6409963B1 (en) Metallurgic container
CA2949895C (en) Station and method for transferring a metal melt from a melting furnace to a transport crucible, and an arrangement and a system with such a station
US4679205A (en) Tiltable metallurgical furnace vessel
US20070013114A1 (en) Container capable of transporting molten metal received therein to separate factory and method of producing the container
JP3323489B1 (ja) 溶融金属供給用容器
CN105710333A (zh) 大型耐热钢炉底辊身的离心铸造工艺
JP2006035238A (ja) 溶融金属供給システム、容器及び車両
JP3489678B2 (ja) 容 器
JP2008229636A (ja) 容器保持装置
JP3621405B2 (ja) 容器
JP3744865B2 (ja) 容器
JP3621387B2 (ja) 溶融金属供給用容器
JP3491757B1 (ja) 運搬車輌、溶融金属の供給方法及び溶融金属供給システム
JP3610342B2 (ja) 溶融金属供給用容器
JP3727278B2 (ja) 容器
JP2694493B2 (ja) タンディッシュ
RU2262414C2 (ru) Промежуточный ковш для разливки стали
JP2005046914A (ja) 溶融金属供給用容器
JP2003305561A (ja) 容 器
JP2004209521A (ja) 取鍋
JP2004276118A (ja) 容器
JP2007038261A (ja) 溶融金属取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