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9145B1 - 이동식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이동식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9145B1
KR100829145B1 KR1020070137597A KR20070137597A KR100829145B1 KR 100829145 B1 KR100829145 B1 KR 100829145B1 KR 1020070137597 A KR1020070137597 A KR 1020070137597A KR 20070137597 A KR20070137597 A KR 20070137597A KR 100829145 B1 KR100829145 B1 KR 1008291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waste
leachate
unit
drying
f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75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달문
Original Assignee
서달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달문 filed Critical 서달문
Priority to KR10200701375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91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91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91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4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thermal treatment, e.g. evapo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9/00Other disintegrating devices or methods
    • B02C19/22Crushing mills with screw-shaped crush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5/00Control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1/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with movement which is non-progressive
    • F26B11/02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with movement which is non-progressive in moving drums or other mainly-closed recepta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3/00Machines and apparatus for drying fabrics, fibres, yarns, or other materials in long lengths, with progressive movement
    • F26B13/10Arrangements for feeding, heating or supporting materials; Controlling movement, tension or position of materials
    • F26B13/22Arrangements of gas fl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201/00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 B02C2201/06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for garbage, waste or sewa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02Biomass, e.g. waste vegetative matter, stra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04Garb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에 탑재하여 이동하면서 음식물 쓰레기를 수거함과 동시에 수거된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 및 건조처리할 수 있도록 한 이동식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음식물 쓰레기를 부어 낼 수 있도록 설치된 수거부; 최초 유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기 위한 1차 분쇄부; 1차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로부터 침출수를 분리하기 위한 침출수 분리부; 상기 침출수가 분리된 음식물 쓰레기를 긁어 올리도록 형성된 이송부; 음식물 쓰레기를 더 잘게 분쇄하기 위한 2차 분쇄부; 음식물 쓰레기를 저장한 상태로 건조시키기 위한 건조부; 음식물 쓰레기의 침출수를 상기 건조부 내부로 분사하기 위한 침출수 분사부; 및 음식물 쓰레기를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 컨베이어;를 구성하여 이루어짐에 따라, 수거된 음식물 쓰레기를 더욱 원활하게 분쇄 및 건조처리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이고, 음식물 쓰레기로부터 흘러내리는 침출수를 분리하여 더욱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한 이동식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제공하게 된다.
Figure R1020070137597
음식물 쓰레기 처리용 차량, 음식물 쓰레기 처리차

Description

이동식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Apparatus for disposing of food waste}
본 발명은 이동하면서 음식물 쓰레기를 수거함과 동시에 수거된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 및 건조처리할 수 있도록 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수거된 음식물 쓰레기를 더욱 원활하게 분쇄 및 건조처리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이고, 음식물 쓰레기로부터 흘러내리는 침출수를 분리하여 더욱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한 이동식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상가에서 방출되는 음식물 쓰레기는 별도의 분리 수거를 통해 소각 또는 매립하거나 사료나 퇴비로 재활용되고 있음은 주지된 사실이다.
즉, 각지에서 방출되는 음식물 쓰레기는 차량으로 수거하여 소각장이나 매립장에 모은 상태에서 이들은 분쇄 및 건조 처리 후 소각 또는 매립시키거나, 이와는 별도로 가축용 사료나 농작용 퇴비 등의 상품으로 재활용하기도 한다.
이 경우 음식물 쓰레기를 수거한 차량은 이동 중에 계속해서 심한 악취가 발생할 뿐만 아니라, 이렇게 음식물 쓰레기가 모인 소각장이나 매각장에서는 더 심한 악취를 발생시키므로 집결된 음식물 쓰레기의 분쇄 및 건조에 각별한 관리가 필요 하게 된다.
따라서 최근에는 상기 음식물 쓰레기를 수거하는 차량을 개선하여 수거된 음식물 쓰레기를 직접 분쇄하고 건조할 수 있도록 하는 처리장치가 발명되고 있다.
이와 같은 이동식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크게 음식물 쓰레기를 담아서 자동으로 적재하기 위한 바스켓, 바스켓을 통해 최초 적재된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기 위한 분쇄부,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를 상측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 스크루, 이송된 음식물 쓰레기를 저장한 상태로 회전하면서 화염을 공급하여 건조하기 위한 건조부 및 건조된 음식물 쓰레기를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구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이동식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종래에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고 이송시키며 건조하는 일련의 과정 전체에서 침출수가 항상 함께 처리되기 때문에 수분의 응집력에 의해 운전이 원활하지 못하고 수분의 함량이 많아 건조 시간이 지연될 뿐만 아니라, 침출수의 누출에 의해 악취가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하려는 것이 목적이다.
본 발명의 이동식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종래에 음식물 쓰레기가 잘게 분쇄되지 않은 상태로 건조되기 때문에 그 내부의 수분까지 완전히 건조되지 못하고 시간이 지연되는 문제점을 해결하려는 것이 목적이다.
본 발명의 이동식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종래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를 이송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이송 스크루를 설치하는 경우 최소 2개 이상의 이송 스크루가 교차하도록 설치되어야 하기 때문에 많은 동력이 사용되는 문제점뿐만 아니라, 이송이 원활하지 못하고 설치가 어려운 문제점을 해결하려는 것이 목적이다.
본 발명은 차량에 탑재하여 이동하면서 음식물 쓰레기를 수거함과 동시에 수거된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 및 건조 처리할 수 있도록 한 이동식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있어서,
음식물이 담긴 쓰레기통을 안착시켜 고정한 상태에서 회전을 통해 담긴 음식물 쓰레기를 부어 낼 수 있도록 형성된 수거부; 상기 수거부를 통해 최초 유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기 위한 1차 분쇄부; 상기 1차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를 받아 그로부터 침출수를 분리할 수 있도록 상측에는 다공판이 설치되고 하측에 수조가 형성된 침출수 분리부; 상기 침출수가 분리된 음식물 쓰레기를 다수개의 갈퀴가 회전하면서 경사판을 따라 긁어 올리도록 형성된 이송부; 상기 긁어 올려진 음식물 쓰레기를 더 잘게 분쇄하기 위한 2차 분쇄부; 상기 2차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를 저장한 상태로 회전하면서 화염을 공급하여 건조시키기 위한 건조부; 상기 수조에 담긴 음식물 쓰레기의 침출수를 펌프로 빨아올린 후 분사 노즐을 통해 상기 건조부 내부로 공급되는 화염에 분사하기 위한 침출수 분사부; 및 상기 건조된 음식물 쓰레기를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 컨베이어;를 구성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수거부는 음식물이 담긴 쓰레기통을 안착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대; 상기 고정대를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안내하고, 상측 정점에서 고정대가 기울어져 음식물이 부어지도록 하기 위한 가이드 레일; 및 상기 고정대를 연결한 상태에서 가이드 레일을 따라 당겨 올리거나 늘여 내리기 위한 와이어 로프; 를 구성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침출수 분사부는 빨아올린 침출수에 포함된 음식물 쓰레기를 분리할 수 있도록 크기가 다른 다층의 스크린을 더 구성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1차 분쇄부 하측에는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를 침출수 분리부로 이송시키기 위한 제1 이송 컨베이어를 설치하고, 상기 이송부의 상측 끝단에는 긁어 올린 음식물 쓰레기를 2차 분쇄부로 공급하기 위한 제2 이송 컨베이어를 설치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2차 분쇄부 하측에는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를 저장한 상태에서 상기 건조부로 공급되는 화염에 배출하도록 하는 호퍼를 구성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건조부는 다공이 형성된 상태로 그 내부에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가 저장되는 내통; 상기 내통을 커버하면서 다공을 통해 배출된 음식물 쓰레기를 배출 컨베이어로 안내하기 위한 외통; 및 상기 외통 상측에 설치되어 화염에 의한 뜨거운 열을 배출시키기 위한 건조열 배출구;를 구성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이동식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의하면 1차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로부터 침출수를 분리한 상태로 이송, 2차 분쇄 및 건조가 이루어짐으로써 운전이 더욱 원활하고 건조가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것은 물론이고, 침출수의 누출에 의한 악취를 방지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발휘된다.
본 발명의 이동식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의하면 1차 및 2차 분쇄를 통해 음식물 쓰레기를 더욱 잘게 분쇄할 수 있으므로 건조가 더욱 원활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발휘된다.
본 발명의 이동식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의하면 1차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를 갈퀴로 간편하게 긁어 올리도록 설치함으로써 하나의 동력을 사용하여 원활한 이송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서 설치가 더욱 편리한 매우 유용한 효과가 발휘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이동식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도시한 전체 구 성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이동식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수거부 작동을 도시한 작용도,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이동식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침출수 및 이송부를 도시한 요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된 이동식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침출수 분사부를 도시한 요부 작용도,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된 이동식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건조부를 도시한 요부 작용도이다.
본 발명의 이동식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게 음식물 쓰레기를 부어 낼 수 있도록 설치된 수거부(100), 최초 유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기 위한 1차 분쇄부(200), 1차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로부터 침출수를 분리하기 위한 침출수 분리부(300), 상기 침출수가 분리된 음식물 쓰레기를 긁어 올리도록 형성된 이송부(400), 음식물 쓰레기를 더 잘게 분쇄하기 위한 2차 분쇄부(500), 음식물 쓰레기를 저장한 상태로 건조시키기 위한 건조부(600), 음식물 쓰레기의 침출수를 상기 건조부 내부로 분사하기 위한 침출수 분사부(700) 및 음식물 쓰레기를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 컨베이어(800)를 구성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수거부(100)는 음식물이 담긴 쓰레기통(10)을 안착시켜 고정한 상태에서 회전을 통해 담긴 음식물 쓰레기를 부어 낼 수 있도록 설치한다. 즉,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수거부(100)는 음식물이 담긴 쓰레기통(10)을 안착시킨후 고정하기 위한 고정대(120)를 "∩" 형태의 가이드 레일(140) 상에 설치한 상태에서 상기 고정대(120)에 와이어 로프(160)를 연결한 후 상기 와이어 로프(160)을 상기 가이드 레일(140)을 견인되도록 설치한다. 따라서 상기 고정대(120)에 쓰레기통(10)을 안착시킨 후 와이어 로프(160)를 끌어당기면 상기 고정 대(120)가 가이드 레일(140)을 따라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안내되면서 상측 정점에서 고정대(120)가 기울어져 음식물이 부어진다. 이후, 상기 와이어 로프(160)를 풀면 고정대(120)가 다시 가이드 레일(140) 하측으로 내려가 고정된 쓰레기통(10)을 분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와이어 로프(160)는 별도의 모터와 풀리에 의해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1차 분쇄부(200)는 수거부(100)를 통해 최초 유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 내부 양측에 맞물려 회전하는 스크루 또는 드럼을 구성한다. 이때, 상기 1차 분쇄부(200)는 딱딱하거나 큰 덩어리의 음식을 부수거나 찢는 작용을 한다. 한편, 상기 1차 분쇄부(200)의 하측에는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를 앞서 설명된 침출수 분리부로 이송시키기 위한 제1 이송 컨베이어(220)를 설치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1 이송 컨베이어(220)는 1차 분쇄부(200)와 침출수 분리부(300)가 서로 다른 방향에 설치된 경우에 설치하여 사용한다.
상기 침출수 분리부(300)는 1차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를 받아 그로부터 침출수를 분리할 수 있도록 상측에는 다공판(320)을 설치하고 하측에는 수조(340)를 형성한다. 즉, 도 1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상기 1차 분쇄부(200)로부터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가 침출수와 함께 상기 다공판(320)에 올려지면 상기 다공판(320)의 구멍을 통해 침출수가 수조(340)로 흘러내리기 때문에 간편한 분리가 이루어진다.
상기 이송부(400)는 침출수가 분리된 음식물 쓰레기를 다수개의 갈퀴(420)가 회전하면서 경사판(440)을 따라 긁어 올리도록 형성한다. 즉, 도 1 및 도 3에 도시 한 바와 같이 경사판(440)은 상기 다공판(320)으로부터 연결되어 앞서 설명된 2차 분쇄부(500)로 이어지고, 상기 갈퀴(420)는 경사판(440) 양측에 설치된 프레임의 가이드를 따라 상하 연속하여 회전하면서 음식물 쓰레기를 긁어 올리도록 형성한다. 이때, 상기 갈퀴(420)의 양측 단부는 상기 가이드에 의해 안내되는 체인과 결합함으로써 연속 회전이 이루어진다.
상기 2차 분쇄부(500)는 긁어 올려진 음식물 쓰레기를 더 잘게 분쇄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이송부(400)의 상측 끝단 하부에 설치한다. 이때,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이송부(400)의 상측 끝단으로부터 2차 분쇄부(500)까지는 제2 이송 컨베이어(520)를 이용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이송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2차 분쇄부(50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웃하는 두 개 이상의 로터리에 맞물려 돌아가는 다수의 칼날을 형성함으로써 음식물 쓰레기를 더욱 잘게 분쇄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2차 분쇄부(500) 하측에는 도 1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를 저장한 상태로 앞서 설명된 건조부(600)로 공급되는 화염에 배출하도록 하는 호퍼(520)를 구성한다. 즉, 상기 호퍼(520)는 건조부(600)로 공급되는 화염에 일정량의 음식물 쓰레기를 공급함으로써 건조부(600) 내부로 흩날리면서 공급되기 때문에 원활한 건조가 이루어진다.
상기 건조부(600)는 2차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를 저장한 상태로 회전하면서 화염을 공급하여 건조시키도록 형성한다. 즉, 상기 건조부(600)는 도 1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염을 공급하기 위한 버너를 전후에 설치하고, 상기 버너 내측에는 건조부(600)를 지지한 상태로 회전시키기 위한 지지대를 형성하는 한편, 도면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벨트, 체인 또는 기어의 치합을 통해 전동기의 동력을 전달하여 회전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건조부(600)는 다공이 형성된 상태로 그 내부에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가 저장되는 내통(620)과 상기 내통을 커버하면서 다공을 통해 배출된 음식물 쓰레기를 배출 컨베이어로 안내하기 위한 외통(640) 및 상기 외통 상측에 설치되어 화염에 의한 뜨거운 열을 배출시키기 위한 건조열 배출구(660)를 구성하여 이루어진다. 즉, 회전하는 내통(620)과 고정된 외통(640)이 분리된 상태에서 내통(620)에서 음식물 쓰레기의 건조가 이루어지고, 건조된 음식물 쓰레기는 다공을 통해 외통(640)으로 배출되며, 외통(640)으로 배출된 음식물 쓰레기는 앞서 설명된 배출 컨베이어(800)를 통해 배출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건조부(600)에서는 건조된 음식물 쓰레기의 발효 숙성이 이루어진다. 즉, 고온에서 미생물에 의해 음식물의 활발한 발효가 이루어지는데, 상기 발효에 필요한 온도는 온도센서(미도시)에 의해 자동으로 감지되어 버너를 점화시킴으로써 조절한다. 이때, 버너의 점화를 통해 화염이 내통(620)으로 직접 전달되면서 정속으로 회전하는 내부 중심에 부양현상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음식물 쓰레기에 화열이 골고루 전달되어 발효 효율을 최대로 높여준다.
상기 침출수 분사부(700)는 수조(340)에 담긴 음식물 쓰레기의 침출수를 펌프(720)로 빨아올린 후 분사 노즐(760)을 통해 상기 건조부(600) 내부의 화염 공급부로 분사하도록 형성한다. 즉, 상기 침출수 분사부(700)는 분리된 침출수를 건조부(600) 내부로 뿌려줌으로써 쉽게 증발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침출수 분사부(700)는 도 1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사 노즐(760)이 음식물 쓰레기로 막 히지 않도록 펌프(720)로 빨아올린 침출수에 포함된 음식물 쓰레기를 분리하기 위한 다층의 스크린(740)을 구성한다. 이때, 상기 다층의 스크린(740)에 형성된 구멍은 상층으로부터 하층으로 갈수록 점점 작아지게 형성한다. 즉, 최상층의 스크린으로부터 최하층의 스크린으로 침출수가 흘러내리면서 최상층의 스크린에서 비교적 큰 음식물 쓰레기를 거르고, 최하층의 스크린에서는 매우 작은 음식물 쓰레기까지 모두 걸러내므로 분사 노즐(760)로 공급되는 침출수 중에는 음식물 쓰레기를 거의 제거할 수 있다.
상기 배출 컨베이어(800)는 건조부로부터 건조된 음식물 쓰레기를 배출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통(640)의 중심 하부에 설치한다. 이때, 상기 배출 컨베이어(800) 상에서는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에 발효제를 첨가하여 염분을 줄임으로써 퇴비, 비료 또는 사료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각 구성을 원활하게 작동시키기 위한 모터와 실린더의 동력원은 차량의 변속기어에 연결된 주지의 동력전달장치를 통해 공급받는 것으로서, 이와 같이 차량을 이용한 동력원의 공급은 주지의 수단이므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이동식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도시한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이동식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수거부 작동을 도시한 작용도.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이동식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침출수 및 이송부를 도시한 요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된 이동식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침출수 분사부를 도시한 요부 작용도.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된 이동식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건조부를 도시한 요부 작용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00: 수거부 120: 고정대
140: 가이드 레일 160: 와이어 로프
200: 1차 분쇄부 220: 제1 이송 컨베이어
300: 침출수 분리부 320: 다공판
340: 수조
400: 이송부 420: 경사판
440: 갈퀴
500: 2차 분쇄부 520: 제2 이송 컨베이어
540: 호퍼
600: 건조부 620: 내통
640: 외통 660: 건조열 배출구
700: 침출수 분사부 720: 펌프
740: 스크린 760: 분사 노즐
800: 배출 컨베이어

Claims (6)

  1. 차량에 탑재하여 이동하면서 음식물 쓰레기를 수거함과 동시에 수거된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 및 건조처리할 수 있도록 한 이동식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있어서,
    음식물이 담긴 쓰레기통을 안착시켜 고정한 상태에서 회전을 통해 담긴 음식물 쓰레기를 부어 낼 수 있도록 형성된 수거부;
    상기 수거부를 통해 최초 유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기 위한 1차 분쇄부;
    상기 1차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를 받아 그로부터 침출수를 분리할 수 있도록 상측에는 다공판이 설치되고 하측에 수조가 형성된 침출수 분리부;
    상기 침출수가 분리된 음식물 쓰레기를 다수개의 갈퀴가 회전하면서 경사판을 따라 긁어 올리도록 형성된 이송부;
    상기 긁어 올려진 음식물 쓰레기를 더 잘게 분쇄하기 위한 2차 분쇄부;
    상기 2차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를 저장한 상태로 회전하면서 화염을 공급하여 건조시키기 위한 건조부;
    상기 수조에 담긴 음식물 쓰레기의 침출수를 펌프로 빨아올린 후 분사 노즐을 통해 상기 건조부 내부로 공급하는 화염에 분사하기 위한 침출수 분사부; 및
    상기 건조된 음식물 쓰레기를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 컨베이어;를 구성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거부는 음식물이 담긴 쓰레기통을 안착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대;
    상기 고정대를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안내하고, 상측 정점에서 고정대가 기울어져 음식물이 부어지도록 하기 위한 가이드 레일; 및
    상기 고정대를 연결한 상태에서 가이드 레일을 따라 당겨 올리거나 늘여 내리기 위한 와이어 로프; 를 구성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침출수 분사부는 빨아올린 침출수에 포함된 음식물 쓰레기를 분리할 수 있도록 크기가 다른 다층의 스크린을 더 구성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1차 분쇄부 하측에는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를 침출수 분리부로 이송시키기 위한 제1 이송 컨베이어를 설치하고, 상기 이송부의 상측 끝단에는 긁어 올린 음식물 쓰레기를 2차 분쇄부로 공급하기 위한 제2 이송 컨베이어를 설치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2차 분쇄부 하측에는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를 저장한 상태에서 상기 건조부로 공급되는 화염에 배출하도록 하는 호퍼를 구성하여 이 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부는 다공이 형성된 상태로 그 내부에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가 저장되는 내통;
    상기 내통을 커버하면서 다공을 통해 배출된 음식물 쓰레기를 배출 컨베이어로 안내하기 위한 외통; 및
    상기 외통 상측에 설치되어 화염에 의한 뜨거운 열을 배출시키기 위한 건조열 배출구;를 구성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20070137597A 2007-12-26 2007-12-26 이동식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08291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7597A KR100829145B1 (ko) 2007-12-26 2007-12-26 이동식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7597A KR100829145B1 (ko) 2007-12-26 2007-12-26 이동식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29145B1 true KR100829145B1 (ko) 2008-05-13

Family

ID=396502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7597A KR100829145B1 (ko) 2007-12-26 2007-12-26 이동식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914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13896A1 (ko) * 2014-07-25 2016-01-28 김봉개 동물사체 처리장치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6356A (ko) * 1996-12-28 1998-09-25 송병순 음식물쓰레기 처리용 자동차의 이송탈수장치
KR200230689Y1 (ko) 2001-02-05 2001-07-19 주식회사 한빛특장 이동형 음식물용기 자동세척장치
JP2001259466A (ja) * 2000-03-17 2001-09-25 At & G:Kk 飲食廃棄物の自動処理および飼料製造装置
KR200252435Y1 (ko) 2001-07-18 2001-11-17 주식회사 이모텍 음식물 쓰레기의 선별 분쇄 장치를 탑재한 차량
KR20030008431A (ko) * 2001-07-18 2003-01-29 장석동 음식물 쓰레기의 선별 분쇄 장치를 탑재한 차량
KR200393356Y1 (ko) 2005-06-07 2005-08-18 권혁동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060059919A (ko) * 2006-04-04 2006-06-02 주식회사 드림바이오스 남은음식물류쓰레기의 혐기성자원화를 위한 밀링식 분쇄 및원심식 고액분리 연속처리공정구성과 탈리액의 효소반응을이용한 전처리공정의 설비구성 및 그 운영 방안.
KR100618317B1 (ko) 2005-04-20 2006-08-31 주식회사 세림쵸프밀 이동식 폐스티로폼 재활용 처리기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6356A (ko) * 1996-12-28 1998-09-25 송병순 음식물쓰레기 처리용 자동차의 이송탈수장치
JP2001259466A (ja) * 2000-03-17 2001-09-25 At & G:Kk 飲食廃棄物の自動処理および飼料製造装置
KR200230689Y1 (ko) 2001-02-05 2001-07-19 주식회사 한빛특장 이동형 음식물용기 자동세척장치
KR200252435Y1 (ko) 2001-07-18 2001-11-17 주식회사 이모텍 음식물 쓰레기의 선별 분쇄 장치를 탑재한 차량
KR20030008431A (ko) * 2001-07-18 2003-01-29 장석동 음식물 쓰레기의 선별 분쇄 장치를 탑재한 차량
KR100618317B1 (ko) 2005-04-20 2006-08-31 주식회사 세림쵸프밀 이동식 폐스티로폼 재활용 처리기
KR200393356Y1 (ko) 2005-06-07 2005-08-18 권혁동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060059919A (ko) * 2006-04-04 2006-06-02 주식회사 드림바이오스 남은음식물류쓰레기의 혐기성자원화를 위한 밀링식 분쇄 및원심식 고액분리 연속처리공정구성과 탈리액의 효소반응을이용한 전처리공정의 설비구성 및 그 운영 방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13896A1 (ko) * 2014-07-25 2016-01-28 김봉개 동물사체 처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6410B1 (ko) 회전 스크류를 구비한 이송유닛 및 이를 이용한 음식물 처리 장치
US7966744B2 (en)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using microwave
KR101940451B1 (ko) 건조 유기성폐기물 선별기
KR101239581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0676729B1 (ko) 음식물 및 야채 쓰레기 처리 시스템
KR101734153B1 (ko) 디스크 건조기를 이용하는 음식물류폐기물 처리 시스템
KR100811437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0289070B1 (ko) 유기성 폐기물 건조차량
KR101564211B1 (ko) 건조스크류와 삼각형 형상의 이송커터가 구비된 건조하우징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KR100829145B1 (ko) 이동식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618096B1 (ko) 오물 처리 장치 및 오물 처리 차량
KR200393356Y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0343190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0144585B1 (ko) 음식 쓰레기 자동 처리장치
CN113617480A (zh) 一种厨余垃圾净化处理机
KR200410480Y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CN107999515B (zh) 一种多功能厨余垃圾箱
JP2006082042A (ja) 有機廃棄物乾燥システム
KR200481960Y1 (ko) 음식물 쓰레기 투입호퍼의 침출수 처리용 자켓 클리너 장치
KR100831951B1 (ko) 음식물 건조장치 및 건조방법
KR20060122359A (ko) 음식물 건조장치 및 건조방법
KR20150138782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CN219560899U (zh) 一种组合式生活垃圾低温热解装置
KR20150057682A (ko) 음식물 쓰레기의 분쇄 및 악취제거방법 및 그 장치
KR200155085Y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