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0451B1 - 건조 유기성폐기물 선별기 - Google Patents

건조 유기성폐기물 선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0451B1
KR101940451B1 KR1020180051548A KR20180051548A KR101940451B1 KR 101940451 B1 KR101940451 B1 KR 101940451B1 KR 1020180051548 A KR1020180051548 A KR 1020180051548A KR 20180051548 A KR20180051548 A KR 20180051548A KR 101940451 B1 KR101940451 B1 KR 1019404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perforated
organic waste
feeder
dry organ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15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순걸
남명송
김현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우티씨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우티씨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우티씨씨
Priority to KR10201800515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04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04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04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18Drum screens
    • B07B1/22Revolving dru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2Drive mechanisms, regulating or controlling devices, or balanc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6Constructional details of screens in general; Cleaning or heating of screens
    • B07B1/50Cleaning
    • B07B1/52Cleaning with brushes or scrapers
    • B07B1/522Cleaning with brushes or scrapers with brushes
    • B07B1/524Cleaning with brushes or scrapers with brushes the brushes being rot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14Details or accessories
    • B07B13/16Feed or discharge arrangements

Landscapes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기성폐기물을 건조 처리한 후에 이중 드럼 선별방식으로 건조 유기성폐기물을 크기에 따라 분류하는 선별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유기성폐기물의 건조 처리 후에 이중 타공망 드럼을 이용하여 건조 유기성폐기물 속에 포함되어 있는 비닐류, 나무젓가락, 스푼, 풀뿌리 등과 같은 굵은 입자의 이물질은 물론 건조 유기성폐기물의 크기에 따라 단계별로 분류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유기성폐기물 선별기를 구현함으로써, 일일 처리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고, 설비의 내구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지 및 보수 등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으며, 건조 유기성폐기물 선별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건조 유기성폐기물 선별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건조 유기성폐기물 선별기{SEPARATE SORTER FOR ORGANIC DRY ACTIVE SOLID WASTE}
본 발명은 건조 유기성폐기물 선별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유기성폐기물을 건조 처리한 후에 이중 드럼 선별방식으로 건조 유기성폐기물을 크기에 따라 분류하는 선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 현장에서 발생되는 각종 일반쓰레기 및 매립쓰레기의 일부는 소각하고, 그 나머지는 대부분 땅에 전량 매립하게 된다.
하지만, 쓰레기의 매립은 근본적인 해결책이 되지 못하였으며, 계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쓰레기를 매립할 수 있는 매립지도 거의 포화상태에 이르렀고, 쓰레기의 매립으로 인해 썩거나 분해되지 않은 채 거의 영구적인 공해물질로 남아 있어 자연환경을 파괴하는 원인이 되고 있다.
또한, 지금까지는 가정 및 산업 현장에서 발생되어 반입되는 폐기물을 종류에 따라 생활폐기물, 건축폐기물, 유기성폐기물 및 가내폐기물 등으로 구분하지 않고, 소각 및 매립하게 됨으로서, 폐기물에 포함된 악취, 침출수, 먼지 등의 오염물질에 의해 매립장 주변에 환경이 오염되는 현상도 발생하게 된다.
일 예로서, 현재 가정에서 배출하는 전체 쓰레기양의 30∼40% 정도가 음식물 쓰레기이다.
이러한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기 위해서 기존에는 지하 매립, 해양 투기, 또는 소각의 방법으로 처리하였다.
그러나, 지하 매립 시에는 매립부지 확보 문제와 매립 시의 침출수에 의한 토양오염 및 지하수 오염이 발생하고, 해양 투기시에는 물고기의 떼죽음과 적조현상 및 해양오염이 발생하며, 소각 시에는 악취와 분진으로 인한 심각한 대기오염 유발이 발생하여 생활터전과 자연환경이 크게 위협받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가공 처리하여 사료나 비료로 재활용하는 공정이 많이 개발되어 왔는 바, 종래에 음식물 쓰레기 처리공정은 가정과 음식점 등에서 음식물 쓰레기를 수거한 후, 수거된 음식물 쓰레기의 이물질을 제거하고 잘게 파쇄 및 분쇄한 다음 상온에서 건조, 발효시키는 방법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보통 음식물 쓰레기 등과 같은 유기성폐기물을 건조한 후, 가축용 사료나 농작물의 퇴비로 재활용하는 경우에는 건조 유기성 폐기물에 혼입되어 있는 비닐류, 나무젓가락, 스푼 등과 같은 것들을 선별해야 한다.
현재 비닐류, 나무젓가락, 스푼 등과 같은 이물질의 선별은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해 통상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렇게 수작업에 의해 이물질을 선별할 경우, 작업능률이 떨어져 생산성을 향상시키는데 어려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인건비로 의한 제품의 원가가 상승되어 시장경쟁력이 저하되는 단점을 가지고 있고, 작업자가 악취에 노출되어 작업자의 건강을 보호할 수 없는 등 많은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일반적인 진동 선별기 등은 비닐 및 섬유 물질(풀뿌리 등), 원사 조직류 등의 원인으로 진동 선별기의 타공망을 막아 선별 능력을 저하시키고, 사료원료로 사용가능한 뼈조각 등의 유기물질도 소각 폐기물로 분리되어 선별 폐기물의 양이 많아지게 되면서 높은 비용으로 소각처리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252271호 한국 공개특허 제10-2017-0090011호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55183호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유기성폐기물의 건조 처리 후에 이중 타공망 드럼을 이용하여 건조 유기성폐기물 속에 포함되어 있는 비닐류, 나무젓가락, 스푼, 풀뿌리 등과 같은 굵은 입자의 이물질은 물론 건조 유기성폐기물의 크기에 따라 단계별로 분류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유기성폐기물 선별기를 구현함으로써, 일일 처리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고, 설비의 내구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지 및 보수 등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으며, 건조 유기성폐기물 선별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건조 유기성폐기물 선별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건조 유기성폐기물 선별기를 사용함으로써, 유기성페기물의 건조자원화 시스템에서 선별된 건조유기성폐기물의 밀입자화하는 분쇄공정 시 분쇄기 내의 거름망에 풀뿌리 및 비닐류, 면/섬유 등으로 인한 막힘 현상 등 분쇄공정에서 발생되는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으며, 내구성 및 효율 향상에 큰 효과 구현이 가능하다.
현재 유기성폐기물을 건조자원화하는 설비시스템을 사용하는 현장에서 연속 공정 중 가장 많이 발생되는 기계장치 작동 문제 중 다량의 유기성페기물의 처리에 대한 처리용량 및 후처리 공정 중 분쇄공정에서의 기계작동오류 등의 문제가 다량 발생되고 있으나, 본 발명의 건조 유기성폐기물 선별기를 사용함으로써 이러한 문제에 대한 해결이 모두 가능하다.
그리고, 유기성 페기물 건조화 공정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선별기는 사각형의 타공망 판을 진동발생장치를 통해 진동을 가하여 체를 치듯이 투입되는 유기성페기물을 지정된 타공망의 규격크기에 따라 선별공정을 진행하는 것으로 이 같은 장치는 선별함에 있어 1가지 규격의 타공망에 따라 선별되어 타공망의 크기에 따라 선별효율 및 장치의 크기가 선정된다.
또한, 건조된 유기성폐기물의 함수율이 10%보다 높은 상태도 투입되면, 선별기의 타공망에 흡착되어 선별력 저하의 원인이 되고, 풀뿌리 및 섬유 물질등이 타공망을 막하 선별효율을 현저히 저하 시킨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2단 및 3단의 타공망을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는 장치들도 있으나, 2단 이상 타공망 설치 시 진동발생장치의 크기가 커지고 그에 따라 발생되는 소음이 매우 증가되고, 강한 진동을 연속적으로 장치에 가함으로써 피로파괴에 의한 내구성이 현저히 떨어져 장기간 사용이 불가능한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건조 유기성폐기물 선별기는 회전하는 구동체에 타공망을 2단으로 큰 입자의 이물질을 1차선별하고, 2차로 작은 입자 이물질을 선별 구현이 가능하다.
또한, 회전하는 회전체로서 진동발생이 없어 소음등의 공해가 발생되지 않으며, 강한 진동을 가하지 않기 때문에 진동에 의한 내구성 저하 문제 해결이 가능하다.
또한, 작은 타공망에 흡착되는 비닐 및 풀뿌리, 섬유물질 등은 회전체에 브러시를 설치하여 회전하는 타공망 사이에 흡착되는 이물질을 제거하기 때문에 이물질로 인한 타공망 흡착문제로 선별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건조 유기성폐기물 선별기는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상기 건조 유기성폐기물 선별기는 프레임 상에 양단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되면서 건조 유기성폐기물을 앞쪽으로 밀어내는 스크류 피더 및 상기 스크류 피더의 회전을 위한 스크류 피더 구동부와, 건조 유기성폐기물의 투입과 배출을 위한 투입구 및 배출구를 가지고 있으며 스크류 피더의 후단부 외측 둘레에 동심원 상으로 배치되면서 프레임 상에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되는 파이프 피더와, 상기 스크류 피더 및 파이프 피더의 외측 둘레에 동심원 상으로 배치되면서 제1롤지지장치와 스크류 피더측에 양단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되고 선단부의 제1배출구를 가지고 있으며 건조 유기성폐기물을 1차 선별하는 내부 타공망 드럼 및 상기 내부 타공망 드럼의 회전을 위한 내부 타공망 드럼 구동부와, 상기 내부 타공망 드럼의 외측 둘레에 동심원 상으로 배치되면서 제2롤지지장치에 양단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되고 선단부에 제2배출구를 가지고 있으며 내부 타공망 드럼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직경으로 이루어지는 동시에 내부 타공망 드럼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홀 크기를 가지면서 건조 유기성폐기물을 2차 선별하는 외부 타공망 드럼 및 상기 외부 타공망 드럼의 회전을 위한 외부 타공망 드럼 구동부를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건조 유기성폐기물 선별기는 외부 타공망 드럼의 상부 일측에 나란하게 배치됨과 더불어 프레임 상의 케이스에 양단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되고 외부 타공망 드럼과 접촉하면서 함께 회전 가능하며 샤프트 상의 브러시를 이용하여 외부 타공망 드럼에 끼인 이물질을 제거하는 브러시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조 유기성폐기물 선별기는 외부 타공망 드럼의 하부에 나란하게 배치됨과 더불어 프레임 상에 양단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되고 외부 타공망 드럼을 거친 선별 폐기물을 이송시켜주는 스크류 이송장치 및 스크류 이송장치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롤지지장치와 제2롤지지장치는 프레임 상에 설치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에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롤로 구성되며, 각 내부 타공망 드럼과 외부 타공망 드럼의 폭방향 하단부 양편을 받쳐주는 한 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내부 타공망 드럼과 외부 타공망 드럼의 선단부에는 배출 슈트가 설치되고, 상기 배출 슈트의 내부에는 내부 타공망 드럼의 제1배출구와 외부 타공망 드럼의 제2배출구에서 배출되는 선별 폐기물을 구분하여 유도하는 구획판이 설치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내부 타공망 드럼과 외부 타공망 드럼은 선별 능력 향상을 위해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는 방식으로 구동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스크류 피더에 형성되는 스크류 부분과 상기 파이프 피더의 선단부는 내부 타공망 드럼 및 외부 타공망 드럼의 내측 후단부까지만 위치되고, 스크류 피더와 파이프 피더, 그리고 내부 타공망 드럼 및 외부 타공망 드럼은 길이 방향의 수평선 기준으로 약 5∼10°정도 후단부가 낮게 경사진 자세를 취함으로써 건조 유기성폐기물이 자연스럽게 드럼 후단부쪽으로 진행되면서 선별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건조 유기성폐기물 선별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내부 타공망 드럼과 외부 타공망 드럼을 조합한 형태의 이중 타공망 드럼을 이용하여 건조 유기성폐기물을 크기에 따라 3단계로 선별하는 방식을 적용함으로써, 건조 유기성폐기물 선별 작업과 관련한 일일 처리 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고, 설비의 내구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설비의 유지 및 보수 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등 설비를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으며, 전반적으로 건조 유기성폐기물 선별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외부 타공망 드럼과 연계 동작되는 브러시장치를 적용하여 외부 타공망 드럼에 적층되는 미세 분진 물질 및 비닐류의 적층 물질을 제거함으로써, 선별 기능성 향상은 물론 주기적인 청소 횟수를 줄일 수 있는 등 설비 운용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선별 진행 시 뼈조각 및 폐각 등이 회전하는 타공망을 통해 분리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비닐 및 섬유 물질(풀뿌리), 원사조직 등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고 잘 분리되어 소각으로 처리되는 선별 폐기물의 양을 줄일 수 있고, 사료원료로 사용되는 원료는 더 많이 발생되어 궁극적으로는 소각 폐기물 감소 효과와 사료원료 증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 유기성폐기물 선별기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 유기성폐기물 선별기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 유기성폐기물 선별기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 유기성폐기물 선별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 유기성폐기물 선별기에서 스크류 피더, 내부 타공망 드럼 및 외부 타공망 드럼을 분리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 유기성폐기물 선별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 뒷쪽은 건조 유기성폐기물이 진행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건조 유기성폐기물이 투입되는 곳을, 앞쪽은 선별 폐기물이 배출되는 곳을 각각 정의하며, 정면도를 기준으로 할 때 왼쪽을 뒷쪽, 오른쪽을 앞쪽으로 각각 정의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 유기성폐기물 선별기를 나타내는 정면도, 평면도 및 측면도이고,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 유기성폐기물 선별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 유기성폐기물 선별기에서 스크류 피더, 내부 타공망 드럼 및 외부 타공망 드럼을 분리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건조 유기성폐기물 선별기는 설비의 지지와 작업자의 동선 확보를 위한 수단으로 프레임(10)을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10)은 일정 높이의 빔 구조물 형태로서, 이러한 프레임(10)의 상단부에는 타공망 드럼 등의 설비가 설치되며, 설비 주변으로는 점검이나 수리, 운전 등을 위해 작업자가 다닐 수 있는 발판은 물론 오르고 내릴 수 있는 계단, 난간 등이 갖추어져 있다.
또한, 상기 건조 유기성폐기물 선별기는 건조 유기성폐기물의 투입, 이송 등을 위한 수단으로 스크류 피더(11)와 스크류 피더 구동부(12)를 포함한다.
상기 스크류 피더(11)는 샤프트(11a)와 스크류(11b)로 구성되며, 샤프트(11a)의 양단부를 통해 프레임(10)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앞뒤쪽 지지대(30) 상에 베어링을 매개로 하여 수평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스크류 피더(11)의 스크류(11b)는 샤프트(11a)의 전체 길이 중에서 후단부 쪽의 약 1/3 정도에 해당하는 길이에 걸쳐 형성되며, 이렇게 형성되는 스크류(11b)의 선단부가 내부 타공망 드럼(18)의 후단부 내측으로 위치될 수 있게 된다.
즉, 스크류(11b)의 선단부는 내부 타공망 드럼(18)의 내측 후단 구간까지만 위치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스크류 피더(11)의 경우 선별 대상물, 즉 건조 유기성폐기물의 크기 등 상태에 따라 인입 위치가 조정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어서 선별 대상물의 투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건조된 유기성폐기물의 형태에 따라 다량의 이물질을 포함하는 것, 큰 이물질을 포함하는 것, 이물질의 함량이 적은 것 등에 따라 스크류 피더(11)의 위치를 피더 축선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조정함으로써, 1단 타공망과 2단 타공망이 회전하고 있는 상태에서 다량의 건조 유기성폐기물을 장치 내에 투입 시 회전하는 타공망에서 역류하여 투입구가 있는 쪽으로 넘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결국, 이러한 스크류 피더(11)의 위치 조정으로 다량의 건조 유기성폐기물이 투입될 때 장시간 연속운전 시 선별되어 타공망 내에 잔류한 이물질로 인한 적층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되고, 이와 더불어 투입구 회전부분에서 넘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스크류 피더 구동부(12)는 스크류 피더(11)의 작동을 위한 동력, 즉 샤프트(11a)의 회전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프레임(10)의 상단부 뒷쪽에 모터(12a)가 설치되고, 이렇게 설치되는 모터(12a)의 축에는 구동 스프로킷(12b)이 장착되는 동시에 샤프트(11a)의 후단부에는 피동 스프로킷(12c)이 장착되며, 이때의 구동 스프로킷(12b)과 피동 스프로킷(12c) 사이에는 체인(12d)이 연결된다.
이에 따라, 상기 모터(12a)의 작동 시 구동 스프로킷(12b)과 피동 스프로킷(12c) 간의 전동에 의해 스크류 피더(11)의 샤프트(11a)가 회전되고, 계속해서 스크류(11b)에 의해 건조 유기성폐기물이 밀려나면서 타공망 드럼 내부를 향해 이송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건조 유기성폐기물 선별기는 건조 유기성폐기물의 공급을 위한 수단으로 파이프 피더(15)를 포함한다.
상기 파이프 피더(15)는 원형의 관 형태로서, 스크류 피더(11)의 외측 둘레에 동심원 상으로 배치되면서 스크류 피더(11)의 샤프트(11a)가 지지되어 있는 뒷쪽의 지지대(30) 상에 후단부를 통해 고정되는 구조로 수평 설치된다.
이러한 파이프 피더(15)의 후단부 외주면 일측에는 건조 유기성폐기물의 투입을 위한 투입구(13)가 형성되고, 선단부에는 건조 유기성폐기물의 배출을 위하여 관 전체 직경에 해당하는 형태의 배출구(14)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파이프 피더(15)의 선단부도 내부 타공망 드럼(18)의 내측 후단 구간까지만 위치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파이프 피더(15)의 투입구(13)를 통해 파이프 피더(15)의 내부로 건조 유기성폐기물이 투입되면, 이때의 건조 유기성폐기물은 파이프 피더(15)의 내부에 위치되어 있는 스크류 피더(11)의 스크류(11b)에 의해 앞쪽으로 밀려나게 되고, 계속해서 파이프 피더(15)의 선단 배출구(14)를 통해 빠져나가서 내부 타공망 드럼(18)의 내부로 공급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건조 유기성폐기물 선별기는 건조 유기성폐기물 1차 선별을 위한 수단으로 내부 타공망 드럼(18)과 내부 타공망 드럼 구동부(19)를 포함한다.
상기 내부 타공망 드럼(18)은 건조 유기성폐기물 속에 포함되어 있는 비교적 굵은 이물질, 예를 들면 비닐류, 나무젓가락, 스푼 등과 같은 이물질을 1차 선별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내부 타공망 드럼(18)은 둘레면에 다수의 홀이 형성되어 있는 원형의 타공 드럼 형태로서, 스크류 피더(11)를 포함하는 파이프 피더(15)의 외측 둘레에 동심원 상으로 배치됨과 더불어 이와 나란한 수평 자세를 취하게 되고, 이렇게 수평 자세를 취하는 내부 타공망 드럼(18)의 후단부는 프레임(10)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제1롤지지장치(16)에 지지되는 동시에 선단부는 베어링을 매개로 하여 스크류 피더(11)의 샤프트(11a)의 선단부에 결합되는 구조로 설치된다.
이러한 내부 타공망 드럼(18)은 후술하는 외부 타공망 드럼(22)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으로 이루어지는 동시에 외부 타공망 드럼(22)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홀 크기를 가지면서 굵은 이물질을 선별할 수 있게 된다.
이때의 상기 내부 타공망 드럼(18)의 홀은 약 15∼20㎜ 정도의 직경, 바람직하게는 약 18㎜ 정도의 직경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내부 타공망 드럼(18)의 선단부에는 외주면 일부를 사각형으로 절개한 형태의 제1배출구(17)가 형성되며, 이렇게 형성한 제1배출구(17)를 통해 1차로 분류된 선별 폐기물이 드럼 밖으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내부 타공망 드럼(18)의 회전 지지를 위해 내부 타공망 드럼(18)의 후단부를 받쳐주는 제1롤지지장치(16)는 프레임(10)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브라켓(16a)과 이렇게 설치되는 브라켓(16a)에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면서 내부 타공망 드럼(18)의 외주면 단부와 구름접촉하는 롤(16b)로 구성된다.
이때의 브라켓(16a) 및 롤(16b)은 2개가 구비되며, 각각의 브라켓(16a) 및 롤(16b)은 내부 타공망 드럼(18)의 폭방향 하단부 양편을 받쳐주면서 내부 타공망 드럼(18)이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2개의 브라켓(16a) 및 롤(16b)은 내부 타공망 드럼(18)의 중심축선을 기준으로 하여 서로 약 90°위상차를 두고 배치되면서 내부 타공망 드럼(18)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더불어, 상기 내부 타공망 드럼(18)의 후단부 외주면 둘레에는 나팔관 형태의 배출 가이드(31)가 형성되며, 이때의 배출 가이드(31)는 내부 타공망 드럼(18)에 있는 제1배출구(17)의 바로 뒷쪽에 위치되면서 제1배출구(17)로부터 배출되는 선별 폐기물을 후술하는 배출 슈트(28)의 앞쪽 공간으로 유도하는 역할을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내부 타공망 드럼 구동부(19)는 내부 타공망 드럼(18)의 회전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프레임(10)의 뒷쪽으로 위치되면서 상단부 바로 아래쪽에 설치되어 있는 모터 프레임(32)에는 모터(19a)가 설치되고, 이렇게 설치되는 모터(19a)의 축에는 구동 스프로킷(19b)이 장착되는 동시에 내부 타공망 드럼(18)의 후단부 외주면 둘레에는 피동 스프로킷(19c)이 장착되며, 이때의 구동 스프로킷(19b)과 피동 스프로킷(19c) 사이에는 체인(19d)이 연결된다.
이에 따라, 상기 모터(19a)의 작동 시 구동 스프로킷(19b)과 피동 스프로킷(19c) 간의 전동에 의해 내부 타공망 드럼(18)이 회전되고, 결국 회전하는 내부 타공망 드럼(18)의 내부에 들어 있는 건조 유기성 폐기물 중의 굵은 이물질들이 홀을 통해 1차 선별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건조 유기성폐기물 선별기는 건조 유기성폐기물 2차 선별을 위한 수단으로 외부 타공망 드럼(22)과 외부 타공망 드럼 구동부(23)를 포함한다.
상기 외부 타공망 드럼(22)은 건조 유기성폐기물 속에 포함되어 있는 중간 굵은 이물질, 예를 들면 내부 타공망 드럼(18)에 의해 1차 선별되고 남은 선별 폐기물 중에서 상대적으로 굵은 이물질을 2차 선별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외부 타공망 드럼(22)은 둘레면에 다수의 홀이 형성되어 있는 원형의 타공 드럼 형태로서, 내부 타공망 드럼(18)의 외측 둘레에 동심원 상으로 배치됨과 더불어 이와 나란한 수평 자세를 취하게 되고, 이렇게 수평 자세를 취하는 외부 타공망 드럼(22)의 선단부와 후단부는 프레임(10)의 상단부에 앞쪽과 뒷쪽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제2롤지지장치(20)에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된다.
이러한 외부 타공망 드럼(22)은 내부 타공망 드럼(18)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직경으로 이루어지는 동시에 내부 타공망 드럼(22)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홀 크기를 가지면서 중간 굵은 이물질을 선별할 수 있게 된다.
이때의 상기 외부 타공망 드럼(22)의 홀은 약 5∼10㎜ 정도의 직경, 바람직하게는 약 8㎜ 정도의 직경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렇게 내부 타공망 드럼(18)과 외부 타공망 드럼(22)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이중 타공망을 채택함으로써, 입도 사이즈별로 선별 배출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내부 타공망 드럼(18)과 외부 타공망 드럼(22)을 이용한 이중 구조로 분리 배출하여 내부의 타공망을 통해 입도가 크고 가벼운 물질을 1차 선별하고, 외부 타공망을 통해 2차로 입도 크기별 선별을 진행함으로써, 건조 유기성폐기물에 대한 우수한 선별 배출능력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외부 타공망 드럼(22)의 선단부에는 2차 선별된 폐기물의 배출을 위하여 드럼 전체 직경에 해당하는 형태의 제2배출구(21)가 형성되며, 이렇게 형성한 제2배출구(21)를 통해 2차로 분류된 선별 폐기물이 드럼 밖으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외부 타공망 드럼(22)의 회전 지지를 위해 외부 타공망 드럼(22)의 선단부와 후단부를 받쳐주는 제2롤지지장치(20)는 프레임(10)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브라켓(20a)과 이렇게 설치되는 브라켓(20a)에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면서 외부 타공망 드럼(22)의 외주면 단부와 구름접촉하는 롤(20b)로 구성된다.
이때의 브라켓(20a) 및 롤(20b)은 4개개가 구비되며, 각각의 브라켓(20a) 및 롤(20b)은 외부 타공망 드럼(20)의 선단부와 후단부 위치에서 폭방향 하단부 양편을 받쳐주면서 외부 타공망 드럼(22)이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여기서, 앞쪽과 뒷쪽의 각 2개의 브라켓(20a) 및 롤(20b)은 외부 타공망 드럼(22)의 중심축선을 기준으로 하여 서로 약 90°위상차를 두고 배치되면서 외부 타공망 드럼(22)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외부 타공망 드럼 구동부(23)는 외부 타공망 드럼(22)의 회전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프레임(10)의 뒷쪽으로 위치되면서 상단부 바로 아래쪽에 설치되어 있는 모터 프레임(32)에는 모터(23a)가 설치되고, 이렇게 설치되는 모터(23a)의 축에는 구동 스프로킷(23b)이 장착되는 동시에 외부 타공망 드럼(22)의 후단부 외주면 둘레에는 피동 스프로킷(23c)이 장착되며, 이때의 구동 스프로킷(23b)과 피동 스프로킷(23c) 사이에는 체인(23d)이 연결된다.
이에 따라, 상기 모터(23a)의 작동 시 구동 스프로킷(23b)과 피동 스프로킷(23c) 간의 전동에 의해 외부 타공망 드럼(23)이 회전되고, 결국 회전하는 외부 타공망 드럼(23)의 내부에 들어 있는 건조 유기성 폐기물 중의 중간 굵기 이물질들이 홀을 통해 2차 선별될 수 있게 된다.
이때의 상기 외부 타공망 드럼(22)의 회전 방향은 내부 타공망 드럼(18)의 회전 방향에 대해 서로 반대 방향으로 설정될 수 있게 되고, 이렇게 외부 타공망 드럼(22)과 내부 타공망 드럼(18)이 서로 역방향으로 회전되므로서, 타공망 드럼의 1차 선별 및 2차 선별 능력이 한층 더 향상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내외부 타공망을 통해 선별이 진행되는 동안에 건조 유기성폐기물이 별도의 이송수단없이도 자연스럽게 내외부 타공망의 길이 방향을 따라 앞쪽으로 진행되어 내외부 타공망 전체 길이 구간을 거치면서 선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조를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상호 동심원 상으로 나란하게 적층 조합되는 스크류 피더(11)와 파이프 피더(15), 그리고 내부 타공망 드럼(18) 및 외부 타공망 드럼(22)의 경우 드럼 길이 방향의 수평선을 기준으로 그 후단부가 약 5∼10°정도 낮게 경사진 자세를 취하게 되고, 즉 스크류 피더(11), 파이프 피더(15), 내부 타공망 드럼(18) 및 외부 타공망 드럼(22)은 앞쪽이 뒷쪽에 비해 약 5∼10°정도 낮은 자세를 취하게 되고, 이와 더불어 상기 스크류 피더(11)의 스크류(11b) 선단부와 파이프 피더(15)의 선단부는 서로 내외측으로 조합되어 있는 내부 타공망 드럼(18) 및 외부 타공망 드럼(22)의 내측 후단부까지만 위치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파이프 피더(15)의 내부로 공급된 후에 스크류 피더(11)에 밀려나는 건조 유기성폐기물은 내부 타공망 드럼(18) 및 외부 타공망 드럼(22)의 내측 후단부까지만 강제 이송되고, 이후에는 경사진 자세를 취하고 있는 내부 타공망 드럼(18) 및 외부 타공망 드럼(22)의 내부를 따라 앞쪽으로 자연스럽게 이송되면서 선별될 수 있게 되며, 결국 건조 유기성폐기물의 이송을 위한 동력수단없이도 내부 타공망 드럼(18)과 외부 타공망 드럼(22)의 전체 길이 구간을 활용하여 건조 유기성폐기물을 선별할 수 있는 등 타공망 드럼의 이용 효율 및 선별 능력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건조 유기성폐기물 선별기는 외부 타공망 드럼(22)에 부착되는 미세 분진 물질 및 비닐류 등을 제거하는 수단으로 브러시장치(25)를 포함한다.
상기 브러시장치(25)는 외부 타공망 드럼(22)과 맞물려 돌아가면서 외부 타공망(22)의 홀에 끼여 있는 부착물을 긁어서 떼어내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브러시장치(25)는 샤프트(25a)와 브러시(25b)로 구성되며, 상기 샤프트(25a)는 외부 타공망 드럼(22)의 상부에서 외부 타공망 드럼(22)과 나란하게 배치됨과 더불어 프레임(10) 상에 설치되면서 외부 타공망 드럼(22)을 둘러싸고 있는 케이스(24)의 양단부, 즉 케이스(24)의 뒷쪽 벽체와 앞쪽 벽체에 베어링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되고, 상기 브러시(25b)는 샤프트(25a)의 베어링 지지부위를 제외한 전체 길이에 걸쳐 샤프트(25a)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방사상으로 부착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이때의 브러시(25b)는 외부 타공망 드럼(22)의 외주면에 약간 가압되는 형태로 접촉되고, 이에 따라 브러시장치(25)의 샤프트(25a)와 브러시(25b)는 외부 타공망 드럼(22)의 회전 시에 함께 회전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외부 타공망 드럼(22)이 회전하게 되면, 브러시(25b)를 통해 맞물려 있는, 즉 브러시(25b)를 통해 맞접촉되어 있는 브러시장치(25)가 함께 회전하면서 브러시(25b)를 이용하여 외부 타공망 드럼(22)에 끼인 미세 분진 물질, 비닐류 등의 적층 물질을 제거할 수 있게 되며, 결국 주기적으로 청소를 하지 않아도 외부 타공망 드럼(22)의 선별 능력을 장기간 유지할 수 있는 등 외부 타공망 드럼(22)의 기능성 및 내구성 향상은 물론 유지보수 등과 관련한 설비 운용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건조 유기성폐기물 선별기는 내부 타공망 드럼(18)과 외부 타공망 드럼(22)을 통과한 3차 선별 폐기물, 즉 사료 등으로 사용되는 최종 선별 폐기물을 한쪽으로 이송시켜주는 수단으로 스크류 이송장치(26) 및 스크류 이송장치 구동부(27)를 포함한다.
상기 스크류 이송장치(26)는 베어링에 의해 양단 지지되면서 모터 동력으로 회전하는 스크류 축(26a)과, 선별 폐기물 이송 방향 기준으로 앞쪽 하부에 선별 폐기물 배출구(26b)를 가지는 원형 또는 사각형의 길다란 박스 형태로 이루어진 이송 케이스(26c)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이송 케이스(26c)는 케이스(24)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케이스 슈트(33)에 수평 자세로 결합되는 구조로 설치되며, 이렇게 설치되는 이송 케이스(26c)는 전체 길이에 걸쳐 케이스 슈트(33)와 연통되어 케이스 슈트(33)를 통해 배출되는 가는 입자의 선별 폐기물이 그대로 이송 케이스(26c) 내에 투입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스크류 축(26a)은 이송 케이스(26c)의 내부 중심부를 가로지르면서 이송 케이스(26c)와 나란하게 수평 배치되고, 이렇게 배치된 상태에서 프레임(10) 상의 보조 프레임(34) 상에 설치되어 있는 베어링에 의해 양단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된다.
상기 스크류 이송장치 구동부(27)는 스크류 이송장치(26)의 작동을 위한 동력, 즉 스크류 축(26a)의 회전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프레임(10) 상에 모터 프레임(32)에 모터(27a)가 설치되고, 이렇게 설치되는 모터(27a)의 축에는 구동 스프로킷(27b)이 장착되는 동시에 스크류 축(26a)의 선단부에는 피동 스프로킷(27c)이 장착되며, 이때의 구동 스프로킷(27b)과 피동 스프로킷(27c) 사이에는 체인(27d)이 연결된다.
이에 따라, 상기 모터(27a)의 작동 시 구동 스프로킷(27b)과 피동 스프로킷(27c) 간의 전동에 의해 스크류 이송장치(26)의 스크류 축(26a)이 회전되고, 계속해서 스크류 축(26a)의 회전에 의해 이송 케이스(26c) 내의 선별 폐기물이 밀려나면서 폐기물 배출구(26b)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건조 유기성폐기물 선별기는 내부 타공망 드럼(18)과 외부 타공망 드럼(22)에 의해 선별된 1차 선별 폐기물(굵은 입자 이물질)과 2차 선별 폐기물(중간 입자 이물질)를 각각 구분하여 배출시킬 수 있는 수단으로 배출 슈트(28)를 포함한다.
상기 배출 슈트(28)는 내부 타공망 드럼(18)과 외부 타공망 드럼(22)의 선단부를 동시에 감싸고 있는 하우징 형태로서, 프레임(10) 상에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되며, 이렇게 설치되는 배출 슈트(28)의 내부 영역으로 내부 타공망 드럼(18)과 외부 타공망 드럼(22)에 있는 제1배출구(17)와 제2배출구(21)가 위치되므로서, 제1배출구(17)와 제2배출구(21)를 각각 빠져나온 1차 선별 폐기물과 1차 선별 폐기물이 배출 슈트(28)를 통해 아래쪽으로 분류되어 배출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배출 슈트(28)의 내부에는 내부 타공망 드럼(18)의 제1배출구(17)와 외부 타공망 드럼(22)의 제2배출구(21)에서 배출되는 선별 폐기물을 구분하여 유도하는 구획판(29)이 설치된다.
즉, 상기 구획판(29)은 배출 슈트(28)의 내부에서 내부 타공망 드럼(18)의 제1배출구(17)에서 배출되는 1차 선별 폐기물을 유도하는 배출 가이드(31)의 단부에서부터 배출 슈트 하단까지 아래로 수직 연장되는 형태로 설치된다.
이에 따라, 뒷쪽의 제2배출구(21)에서 배출되는 2차 선별 폐기물과 앞쪽의 제1배출구(17)에서 배출되는 1차 선별 폐기물은 구획판(29)에 의해 각각 분리 배출되므로서, 1차 선별 폐기물 및 2차 선별 폐기물의 회수 처리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 유기성폐기물 선별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여기서는 이중 타공망을 이용한 선별 방식으로 건조 유기성폐기물을 크기별로 선별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먼저, 유기성폐기물 건조 설비(미도시)에서 건조 처리를 마친 건조 유기성폐기물이 컨베이어(미도시) 등을 통해 파이프 피더(15)의 투입구(13)로 투입된다.
다음, 파이프 피더(15)의 내부로 투입된 건조 유기성폐기물은 스크류 피더(11)의 작동에 의해 앞쪽으로 밀려나면서 파이프 피더(15)의 배출구(14)를 빠져나가 내부 타공망 드럼(18)의 내부로 공급된다.
다음, 회전하는 내부 타공망 드럼(18)의 내부로 들어온 건조 유기성폐기물 속의 중간 이물질과 가는 이물질은 내부 타공망 드럼(18)의 홀을 통해 빠져나가 외부 타공망 드럼(22)의 내부로 공급되고, 이와 더불어 내부 타공망 드럼(18)의 홀을 빠져나가지 못한 굵은 이물질, 즉 1차 선별 폐기물은 내부 타공망 드럼(18)의 앞쪽으로 진행된 후, 제1배출구(17)를 통해 빠져나가게 되고, 계속해서 배출 슈트(28)를 통해 배출되어 회수될 수 있게 된다.
다음, 회전하는 외부 타공망 드럼(22)의 내부로 들어온 건조 유기성폐기물 속의 가는 이물질은 외부 타공망 드럼(22)의 홀을 통해 빠져나가 아래쪽의 케이스 슈트(31)쪽으로 떨어지게 되고, 이와 더불어 외부 타공망 드럼(22)의 홀을 빠져나가지 못한 중간 이물질, 즉 2차 선별 폐기물은 외부 타공망 드럼(22)의 앞쪽으로 진행된 후, 제2배출구(21)를 통해 빠져나가게 되고, 계속해서 배출 슈트(28)를 통해 배출되어 회수될 수 있게 된다.
다음, 외부 타공망 드럼(22)의 배출 슈트(28)로 떨어진 가는 이물질, 즉 3차 선별 폐기물은 스크류 이송장치(26)의 내부로 유입되고, 이렇게 유입된 3차 선별 폐기물은 스크류 축(26a)의 회전에 의해 앞쪽으로 이송된 후, 계속해서 이송 케이스(26c)에 있는 폐기물 배출구(26b)를 통해 배출되어 회수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건조 유기성폐기물은 내부 이중망 드럼(18)과 외부 이중망 드럼(22)을 순차적으로 거치면서 굵은 이물질, 중간 이물질, 가는 이물질 등 크기별로 선별된 후에 각각 회수되어 재분류 또는 사료 등으로 이용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이중 타공망 드럼을 이용하여 건조 유기성폐기물 속에 포함되어 있는 비닐류, 나무젓가락, 스푼, 풀뿌리 등과 같은 굵은 입자의 선별 폐기물은 물론 중간 입자의 선별 폐기물, 그리고 사료 등으로 사용가능한 가는 입자의 선별 폐기물을 크기에 따라 단계별로 분류할 수 있는 새로운 유기성폐기물 선별기를 제공함으로써, 선별기 설비의 일일 처리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등 선별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고, 선별기 설비의 내구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지 및 보수 등 선별기 설비를 효율적으로, 또 경제적으로 운용할 수 있다.
삭제
10 : 프레임 11 : 스크류 피더
12 : 스크류 피더 구동부 13 : 투입구
14 : 배출구 15 : 파이프 피더
16 : 제1롤지지장치 17 : 제1배출구
18 : 내부 타공망 드럼 19 : 내부 타공망 드럼 구동부
20 : 제2롤지지장치 21 : 제2배출구
22 : 외부 타공망 드럼 23 : 외부 타공망 드럼 구동부
24 : 케이스 25 : 브러시장치
26 : 스크류 이송장치 27 : 스크류 이송장치 구동부
28 : 배출 슈트 29 : 구획판
30 : 지지대 31 : 배출 가이드
32 : 모터 프레임 33 : 케이스 슈트
34 : 보조 프레임

Claims (7)

  1. 프레임(10) 상에 양단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되면서 건조 유기성폐기물을 앞쪽으로 밀어내는 스크류 피더(11) 및 상기 스크류 피더(11)의 회전을 위한 스크류 피더 구동부(12);
    건조 유기성폐기물의 투입과 배출을 위한 투입구(13) 및 배출구(14)를 가지고 있으며 스크류 피더(11)의 후단부 외측 둘레에 동심원 상으로 배치되면서 프레임(10) 상에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되는 파이프 피더(15);
    상기 스크류 피더(11) 및 파이프 피더(15)의 외측 둘레에 동심원 상으로 배치되면서 제1롤지지장치(16)와 스크류 피더(11)측에 양단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되고 선단부에는 외주면 일부를 사각형으로 절개한 형태의 제1배출구(17)를 가지고 있으며 건조 유기성폐기물을 1차 선별하는 내부 타공망 드럼(18) 및 상기 내부 타공망 드럼(18)의 회전을 위한 내부 타공망 드럼 구동부(19);
    상기 내부 타공망 드럼(18)의 외측 둘레에 동심원 상으로 배치되면서 제2롤지지장치(20)에 양단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되고 선단부에 제2배출구(21)를 가지고 있으며 내부 타공망 드럼(18)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직경으로 이루어지는 동시에 내부 타공망 드럼(18)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홀 크기를 가지면서 건조 유기성폐기물을 2차 선별하는 외부 타공망 드럼(22) 및 상기 외부 타공망 드럼(22)의 회전을 위한 외부 타공망 드럼 구동부(23);
    를 포함하며,
    상기 내부 타공망 드럼(18)과 외부 타공망 드럼(22)의 선단부를 동시에 감싸고 있는 하우징 형태의 배출 슈트(28)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 슈트(28)의 내부 영역에 내부 타공망 드럼(18)의 제1배출구(17)와 외부 타공망 드럼(22)의 제2배출구(21)가 위치되며, 상기 배출 슈트(28)의 내부에는 내부 타공망 드럼(18)의 제1배출구(17)와 외부 타공망 드럼(22)의 제2배출구(21)에서 배출되는 선별 폐기물을 구분하여 유도하는 구획판(29)이 설치되되, 상기 구획판(29)은 배출 슈트(28)의 내부에서 내부 타공망 드럼(18)의 제1배출구(17)에서 배출되는 1차 선별 폐기물을 유도하는 배출 가이드(31)의 단부에서부터 배출 슈트 하단까지 아래로 수직 연장되는 형태로 설치되며,
    상기 스크류 피더(11)의 스크류(11b)는 샤프트(11a)의 전체 길이 중에서 후단부 쪽의 1/3 정도에 해당하는 길이에 걸쳐 형성되며, 이렇게 형성되는 스크류(11b)의 선단부가 내부 타공망 드럼(18)의 후단부 내측으로 위치될 수 있게 되고, 상기 스크류 피더(11)의 위치를 선별 대상물의 상태에 따라 피더 축선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조정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어서, 1단 타공망과 2단 타공망이 회전하고 있는 상태에서 다량의 건조 유기성폐기물을 장치 내에 투입 시 회전하는 타공망에서 역류하여 투입구가 있는 쪽으로 넘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며,
    상기 파이프 피더(15)의 선단부에 형성되는 배출구(14)도 내부 타공망 드럼(18)의 내측 후단 구간까지 위치될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유기성폐기물 선별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부 타공망 드럼(22)의 상부 일측에 나란하게 배치됨과 더불어 프레임(10) 상의 케이스(24)에 양단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되고 외부 타공망 드럼(22)과 접촉하면서 함께 회전 가능하며 샤프트(25a) 상의 브러시(25b)를 이용하여 외부 타공망 드럼(22)에 끼인 이물질을 제거하는 브러시장치(2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유기성폐기물 선별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부 타공망 드럼(22)의 하부에 나란하게 배치됨과 더불어 프레임(10) 상에 양단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되고 외부 타공망 드럼(22)을 거친 선별 폐기물을 이송시켜주는 스크류 이송장치(26) 및 스크류 이송장치 구동부(27)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유기성폐기물 선별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롤지지장치(16)와 제2롤지지장치(20)는 프레임(10) 상에 설치되는 브라켓(16a,20a)과 상기 브라켓(16a,20a)에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롤(16b,20b)로 구성되며, 각 내부 타공망 드럼(18)과 외부 타공망 드럼(22)의 폭방향 하단부 양편을 받쳐주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유기성폐기물 선별기.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부 타공망 드럼(18)과 외부 타공망 드럼(22)은 선별 능력 향상을 위해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는 방식으로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유기성폐기물 선별기.
  7. 삭제
KR1020180051548A 2018-05-04 2018-05-04 건조 유기성폐기물 선별기 KR1019404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1548A KR101940451B1 (ko) 2018-05-04 2018-05-04 건조 유기성폐기물 선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1548A KR101940451B1 (ko) 2018-05-04 2018-05-04 건조 유기성폐기물 선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0451B1 true KR101940451B1 (ko) 2019-01-18

Family

ID=653235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1548A KR101940451B1 (ko) 2018-05-04 2018-05-04 건조 유기성폐기물 선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0451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02462A (zh) * 2019-05-23 2019-08-09 河南科润德机械有限公司 一种双层筛网的物料除杂装置
KR20210016961A (ko) 2019-08-06 2021-02-17 나민수 트롬멜 선별기
CN112496348A (zh) * 2020-10-12 2021-03-16 安徽哈特三维科技有限公司 一种金属粉末加工用筛分装置
KR102377415B1 (ko) 2021-10-07 2022-03-22 주식회사 삼우티씨씨 유기성폐기물 건조시스템의 냉각 선별기
KR102454111B1 (ko) 2021-10-07 2022-10-14 주식회사 삼우티씨씨 유기성폐기물 건조시스템의 음식물류 폐기물 건조제품의 생산효율 향상된 제품균질화 및 협잡물재순환을 통한 협잡물 최소화 생산설비
KR102515015B1 (ko) * 2022-11-30 2023-03-27 주식회사 한빛에코텍 바이오매스 탄화장치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4641Y1 (ko) * 1999-11-25 2000-06-01 김도근 폐기물 2단 역회전 선별망
KR200255183Y1 (ko) 2001-08-10 2001-12-13 금강산랜드 주식회사 음식물 쓰레기 자동 선별기
KR100729577B1 (ko) * 2006-01-24 2007-06-19 주식회사 포스벨 건설폐기물 및 혼합쓰레기 선별장치의 스크린망 막힘방지장치
KR20100041931A (ko) * 2008-10-15 2010-04-23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유기성 폐기물의 선별분배장치
KR101197299B1 (ko) * 2012-05-08 2012-11-05 (주) 엠엔이엔티 폐기물 선별장치
KR101252271B1 (ko) 2012-10-25 2013-04-08 (주) 리클린 고압세척노즐을 통해 음식폐기물 고형성분의 여과효율을 높인 드럼선별기 및 이를 장착한 음식폐기물 자원화장치
KR20170090011A (ko) 2016-01-27 2017-08-07 주식회사 평안엔비텍 음식물 쓰레기 자동 선별기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4641Y1 (ko) * 1999-11-25 2000-06-01 김도근 폐기물 2단 역회전 선별망
KR200255183Y1 (ko) 2001-08-10 2001-12-13 금강산랜드 주식회사 음식물 쓰레기 자동 선별기
KR100729577B1 (ko) * 2006-01-24 2007-06-19 주식회사 포스벨 건설폐기물 및 혼합쓰레기 선별장치의 스크린망 막힘방지장치
KR20100041931A (ko) * 2008-10-15 2010-04-23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유기성 폐기물의 선별분배장치
KR101197299B1 (ko) * 2012-05-08 2012-11-05 (주) 엠엔이엔티 폐기물 선별장치
KR101252271B1 (ko) 2012-10-25 2013-04-08 (주) 리클린 고압세척노즐을 통해 음식폐기물 고형성분의 여과효율을 높인 드럼선별기 및 이를 장착한 음식폐기물 자원화장치
KR20170090011A (ko) 2016-01-27 2017-08-07 주식회사 평안엔비텍 음식물 쓰레기 자동 선별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02462A (zh) * 2019-05-23 2019-08-09 河南科润德机械有限公司 一种双层筛网的物料除杂装置
KR20210016961A (ko) 2019-08-06 2021-02-17 나민수 트롬멜 선별기
CN112496348A (zh) * 2020-10-12 2021-03-16 安徽哈特三维科技有限公司 一种金属粉末加工用筛分装置
KR102377415B1 (ko) 2021-10-07 2022-03-22 주식회사 삼우티씨씨 유기성폐기물 건조시스템의 냉각 선별기
KR102454111B1 (ko) 2021-10-07 2022-10-14 주식회사 삼우티씨씨 유기성폐기물 건조시스템의 음식물류 폐기물 건조제품의 생산효율 향상된 제품균질화 및 협잡물재순환을 통한 협잡물 최소화 생산설비
KR102515015B1 (ko) * 2022-11-30 2023-03-27 주식회사 한빛에코텍 바이오매스 탄화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0451B1 (ko) 건조 유기성폐기물 선별기
CN106734078B (zh) 固体垃圾无害化处理系统及处理方法
CN110841913B (zh) 一种生活垃圾的预处理系统
KR102259772B1 (ko) 트롬멜 선별기
CN111389701B (zh) 一种物料筛分传送机
KR101272123B1 (ko) 유기성 폐기물 자원화 설비시스템
KR101850975B1 (ko) 이물질 선별 및 분진 배출방지 기능을 구비한 퇴비선별시스템
KR100870648B1 (ko) 토사 및 골재에 포함된 이물질을 선별하는 선별장치
CN111570478A (zh) 一种市政生活混合垃圾筛分处理系统
KR100729956B1 (ko) 음식쓰레기 일괄 처리장치
KR100337935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CN219631563U (zh) 轻垃圾深度分离装置
KR20030013889A (ko) 음식물 쓰레기 자동 선별기
KR0144585B1 (ko) 음식 쓰레기 자동 처리장치
KR200255183Y1 (ko) 음식물 쓰레기 자동 선별기
CN212468747U (zh) 湿垃圾筛分机
CN207857518U (zh) 一种生活垃圾卫生填埋场垃圾综合处理系统
CN210585313U (zh) 固体废物分选设备及垃圾处理系统
RU2176566C1 (ru) Безводный способ переработки твердых бытовых отходов и строительного мусора и линия для реализации этого способа
CN107999515B (zh) 一种多功能厨余垃圾箱
KR100425026B1 (ko) 생활폐기물 처리시스템
CN112775161A (zh) 一种厨余及其他生活垃圾减量分类组合处理系统及方法
KR101910463B1 (ko) 음식물 쓰레기에 포함된 비닐류를 제거하기 위한 음식물 쓰레기 분쇄방법
KR102377415B1 (ko) 유기성폐기물 건조시스템의 냉각 선별기
JP2001179225A (ja) 業務用生ごみ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