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2435Y1 - 음식물 쓰레기의 선별 분쇄 장치를 탑재한 차량 - Google Patents

음식물 쓰레기의 선별 분쇄 장치를 탑재한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2435Y1
KR200252435Y1 KR2020010021643U KR20010021643U KR200252435Y1 KR 200252435 Y1 KR200252435 Y1 KR 200252435Y1 KR 2020010021643 U KR2020010021643 U KR 2020010021643U KR 20010021643 U KR20010021643 U KR 20010021643U KR 200252435 Y1 KR200252435 Y1 KR 2002524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waste
sorting
vehicle
crushing
storage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16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석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모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모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모텍
Priority to KR20200100216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243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24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2435Y1/ko

Links

Landscapes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음식물 쓰레기의 선별 분쇄 장치를 탑재한 차량에 관한 것으로, 차량의 이동 중에 음식물 쓰레기에 포함되어 각종 독성물질이 생산되어 잔존할 수 있는 합성수지류, 포장랩, 비닐 등의 이물질을 제거함과 동시에 음식물 쓰레기를 잘게 분쇄하여 후처리 공정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키는 음식물 쓰레기의 선별 분쇄 장치를 탑재한 차량에 관한 것이다.
음식물 쓰레기를 이송하는 차량에서, 상기 차량에 제공되며, 내부에 공간이 제공되는 하부 케이스, 상기 하부 케이스에 결합되어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하는 호퍼가 제공된 상부케이스, 상기 하부케이스에 결합되어 구동원의 구동력에 의하여 회전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외주에 축방향으로 유동이 되면서 다수가 결합되는 회전 플레이트 그리고 상기 회전 플레이트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호퍼로 인입되는 음식물 쓰레기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을 선별하며 상기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는 다수의 선별 및 분쇄부재를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선별 및 분쇄장치; 상기 차량에 제공되며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를 수용하는 저장탱크; 상기 차량에 제공되며, 상기 음식물 쓰레기 선별 및 분쇄 장치에서 분쇄되어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상기 저장탱크로 이송하는 이송 장치 그리고 상기 저장탱크에 제공되며, 상기 저장 탱크에 수용된 음식물 쓰레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 장치를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의 선별 분쇄 장치를 탑재한 차량을 제공한다.
따라서, 차량의 이동 중에 음식물 쓰레기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을 선별할뿐만 아니라, 잘게 분쇄하고, 수분 및 염분을 제거하여 음식물 쓰레기의 후처리 공정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음식물 쓰레기의 선별 분쇄 장치를 탑재한 차량{Vehicle having an apparatus for sorting and crushing of garbage}
본 고안은 음식물 쓰레기의 선별 분쇄 장치를 탑재한 차량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 전에 음식물 쓰레기의 분해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전처리를 하는 음식물 쓰레기 선별 분쇄기가 탑재되어 음식물 쓰레기를 이동하는 중에 음식물 쓰레기의 선별 및 분쇄가 이루어질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의 선별 분쇄 장치를 탑재한 차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은, 음식물 찌꺼기를 수집하여 사료화, 퇴비화 또는 소멸화하여 처리하는 방법이 있다.
상기 소멸화 방법의 대표적인 것으로, 혐기성 미생물을 이용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는 시스템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12821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기술은, 음식물 쓰레기 또는 분뇨를 통 형상의 몸체에 투입하고, 상기 몸체에 연결되어 가수분해가 이루어지는 발효조, 혐기성 분해가 이루어지는 완충처리조 그리고 호기성 분해가 이루어지는 또 다른 발효조를 포함하는 구성을 통하여 음식물 쓰레기 또는 분뇨를 처리한다.
그러나, 이러한 선행기술은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는 경우, 몸체에 투입되는 음식물 쓰레기에 합성수지류, 포장랩, 비닐 등이 포함된 상태로 투입되어 이들이 쌓이면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을 멈추어 별도의 제거 작업을 해주어야하는 불편함 때문에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별도로 음식물 쓰레기를 선별 및 분쇄하는 장치를 몸체의 투입구 측에 설치하는 경우에, 이물질의 선별 및 분쇄하는 전처리 과정에서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작업 시간이 증대되어 음식물 쓰레기 처리 효율이 줄어드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써, 본고안의 목적은 음식물 쓰레기에 포함되어 있는 비닐, 포장랩, 합성수지류 등의 이물질을 선별하는 작업 및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는 작업이 음식물 쓰레기를 수거하면서 또는 수거 후 이동 중에 이루어지도록 하여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작업 효율을 증대시키는 음식물 쓰레기의 선별 분쇄 장치를 탑재한 차량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음식물 쓰레기를 이송하는 차량에 있어서, 상기 차량에 제공되며, 내부에 공간이 제공되는 하부 케이스, 상기 하부 케이스에 결합되어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하는 호퍼가 제공된 상부케이스, 상기 하부케이스에 결합되어 구동원의 구동력에 의하여 회전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외주에 축방향으로 유동이 되면서 다수가 결합되는 회전 플레이트 그리고 상기 회전 플레이트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호퍼로 인입되는 음식물 쓰레기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을 선별하며 상기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는 다수의 선별 및 분쇄부재를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선별 및 분쇄장치; 상기 차량에 제공되며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를 수용하는 저장탱크; 상기 차량에 제공되며, 상기 음식물 쓰레기 선별 및 분쇄 장치에서 분쇄되어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상기 저장탱크로 이송하는 이송 장치; 그리고 상기 저장탱크에 제공되며, 상기 저장 탱크에 수용된 음식물 쓰레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 장치를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의 선별 분쇄 장치를 탑재한 차량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음식물 쓰레기를 선별과 동시에 분쇄하는 장치를 탑재한 차량은, 음식물 쓰레기 공급 장치를 통하여 호퍼에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하면, 이때 구동원에 의하여 회전축이 회전하여 선별 및 분쇄 부재가 회전하고 음식물 쓰레기가상부 케이스 등에 제공되는 댐과 선별 및 분쇄 부재 사이에 끼면서 음식물 쓰레기가 분쇄된다. 그리고 이와 동시에 음식물 쓰레기에 포함되어 있는 비닐 또는 수저 등의 이물질은 상기 선별 및 분쇄부재의 경사홈 등을 타고 이동하면서 개폐도어를 오픈시키는 경우 비닐 등의 이물질이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는 매쉬부재를 통하여 음식물 쓰레기 이송장치로 이동된다. 그러면 이송 스크류를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이송장치는, 음식물 쓰레기를 저장 탱크로 이송시킨다. 이때 이송과정에서 음식물 쓰레기는 압축되어 음식물 쓰레기의 내부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이 오수 탱크로 전달된다. 이러한 음식물 쓰레기의 선별 및 분쇄는 차량의 정지 또는 이송 중에 가능하다. 이와 같이, 음식물 쓰레기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을 선별함과 아울러 분해 등의 후처리가 용이하도록 잘게 분쇄하는 작업을 차량에 적재한 상태로 이동 중에 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차량의 외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측면도이다.
도 3은 차량에 탑재되는 선별 분쇄기의 외형도이다.
도 4는 도 3의 내부 및 작동 설명을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를 이동하는 이송 스크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음식물 쓰레기를 선별 분쇄기에 투입하기 위한 장치 및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음식물 쓰레기 투입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음식물 쓰레기의 배출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음식물 쓰레기의 선별 및 분쇄장치를 탑재한 차량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차량은 음식물 쓰레기를 미생물 등에 의하여 분해시키기 위한 전단계로 음식물 쓰레기를 이동 중에 선별 및 분쇄(분쇄)를 하는 것이다. 이러한 차량은 음식물 쓰레기 선별 및 분쇄장치(1, 도 2 참조), 음식물 쓰레기 이송 장치(3), 음식물 쓰레기를 저장하는 저장탱크(5) 그리고 저장탱크(5)에 수용된 음식물 쓰레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 장치(7)를 탑재한다. 상기 차량은 음식물 쓰레기를 선별 및 분쇄장치(1)에 공급할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 공급장치(9) 및 음식물 쓰레기에서 나오는 오수를 저장하는 오수 탱크(11)를 더욱 탑재한다. 상기 차량에 탑재되는 음식물 쓰레기의 선별 및 분쇄장치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케이스(101), 상부케이스(103), 회전축(105, 도 4에 도시) 그리고 회전축(105)의 외주에 회전 플레이트(107)가 결합되고, 이 회전 플레이트(107)에 힌지 결합되는 다수의 선별 및 분쇄부재(109)를 포함한다.
상기 하부케이스(101)는 내부에 공간이 제공되며, 상, 하부가 관통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하부케이스(101)는 저면측에 매쉬부재(111)가 결합된다.
상기 매쉬부재(111)는 하부케이스(101)의 저면에 제공된 관통부를 막을 수 있도록 배치되며, 작은 다수의 홀(111a)을 구비한다. 이 홀(111a)은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가 배출되는 구멍인 것이다.
상기 상부케이스(103)는 역시 내부에 공간이 제공되며, 상부 일측에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할 수 있는 호퍼(103a)가 마련된다. 상기 호퍼(103a)는 음식물 쓰레기가 이곳을 통하여 투입되면, 상기 상, 하부 케이스(103, 101)의 내부에 제공된 공간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공간이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케이스(103)는 일측에 개폐도어(113)가 힌지 결합된다. 상기 개폐도어(113)는 상, 하부 케이스(103, 101)의 공간 내에서 분리된 수저, 비닐 등의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 상부 케이스(103)에 일정한 배출공간이 마련되고, 이 배출공간을 선택적으로 폐쇄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케이스(103)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개폐도어(113)는 일측에 개폐도어(113)를 회전이동 시킬 수 있도록 손잡이(115, 도 3에 도시하고 있음)가 결합된다. 상기 손잡이(115)는 중간부가 절곡되어 적은 힘으로 개폐도어(113)를 회전 이동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 상부케이스(103)는 일측에 상기 손잡이(115)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제한할 수 있도록 손잡이 고정부재(117)가 결합된다. 상기 손잡이 고정부재(117)는 상기 상부 케이스(113)에 결합되는 고정부(119)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손잡이 고정부재(117)를 회전시킴에 따라 손잡이(115)가 걸릴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것이다.
한편, 상기 상부 케이스(103)는 내측면 상측에 다수의 댐(103b)이 결합된다. 상기 댐(103b)은 상기 회전축(105)이 회전하는 방향에 대하여 가로 방향으로 대응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상기 개폐도어(113)에도 다수의 댐(113b)이 결합된다. 상기 댐(103b, 113b)들과 선별 및 분쇄부재(109) 사이에 음식물 쓰레기가 끼면서 분쇄 효과를 극대화시키는 것이다.
상기 회전축(105)은 모터 등의 구동원에 의하여 구동되어 회전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회전축(105)은 외주에 대략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의 회전 플레이트(107)가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 플레이트(107)는 방사상 방향으로 선별 및 분쇄부재(109)가 힌지 결합된다. 즉, 상기 선별 및 분쇄부재(109)는 일단이 상기 회전 플레이트(107)에 자유 회전할 수 있도록 서로 대향하는 4군데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은 자유단을 가진다. 또한, 상기 회전 플레이트(107)는 축방향으로 어느 정도 유격을 가지면 이동할 수 있도록 결합된다.
상기 선별 및 분쇄부재(109)는 자유단측의 일면 즉, 회전하여 음식물 쓰레기가 부딪히는 면에 하나 이상의 경사홈(109a)이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경사홈(109a)은 자유단측으로 갈수록 그 크기가 점점 커지는 형태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상부 케이스(103)의 배출공간 측에는 이물질 수용통(121)이 제공된다. 상기 이물질 수용통(121)은 배출공간을 빠져 나온 비닐, 수저 등의 이물질을 수용하는 공간이다.
상기 선별 및 분쇄장치(1)의 아래측에는 상기 선별 및 분쇄장치에서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가 저장 탱크(5)로 이송될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 이송장치(3)가 차량에 탑재된다.
상기 음식물 쓰레기 이송장치(3)는, 도 5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이송관(151), 축(153), 이송 스크류(155) 그리고 오수 유통관(157)을 포함한다.
상기 이송관(151)은 상기 음식물 쓰레기 선별 및 분쇄장치(1)에 제공된 음식물 쓰레기 배출구 측과 연결되어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가 유입되며, 유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상기 저장탱크(5)로 이동시키고, 일측에 오수를 배출시킬 수 있는 다수의 구멍(151a)이 제공된다.
상기 축(153)은 상기 이송관(151)의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유압 모터 등으로 이루어지는 구동원에 의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
상기 이송 스크류(155)는 상기 축(153)의 외주에 결합되어 입구부 측으로 유입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저장탱크(5) 측으로 압송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오수 유통관(157)은 상기 구멍(151a) 들이 제공된 이송관(151)에 결합되어 구멍을 통하여 배출되는 오수를 오수탱크(11)에 전달하는 구조로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저장탱크(5)에 수용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음식물 쓰레기 후처리 공정(미생물 등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의 분해 공정)으로 전달하기 위하여 배출장치(7)가 마련된다. 상기 배출장치(7)는 구동원에 의하여 저장탱크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음식물 쓰레기를 후처리 공정 장치 등에 공급하는 펌프 등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펌프는 호스 등을 후처리 장치와 직접 연결하여 외부로 악취가 나올 수 있는 여지를 최소화하였다.
상기 음식물 쓰레기 공급장치(9)는, 도 6 및 도 7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차량에 탑재되며, 한 쌍의 가이드 레일(201), 롤러(203), 실린더 및 피스톤(205, 207) 그리고 연결부재(209)에 제공되는 걸림부재(211)를 포함한다.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레일(201)은, 차량의 일측에 제공되며, 상단부가 상기 선별 및 분쇄 장치의 호퍼 측으로 경사지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롤러(203)는 상기 가이드 레일(201)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배치되며 서로 연결부재(209)에 의하여 연결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실린더 및 피스톤(205, 207)은 상기 차량의 일측 및 상기 롤러(203)를 연결하는 연결부재(209)에 각각 힌지 결합되며 유압에 의하여 상대 이동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걸림부재(211)는 상기 롤러(203)를 연결하는 연결부재(209)에 제공되며 음식물 쓰레기를 수거하는 수거통(213, 도 7에 도시하고 있음)의 상단부에 제공되는 (213a)홈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고리 등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음식물 쓰레기의 선별 분쇄 장치를 탑재한 차량의 작용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차량을 이동시켜 표준화된 수거통(213)을 걸림부재(211)에 의하여 걸리도록 가이드 레일(201) 측에 배치한다. 이대 수거통(213)에는 걸림부재(211)에 대응하는 홈(213a)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실린더(205) 내에 유압을 공급하면 피스톤(207)이 상승하고, 따라서 롤러(203)가 가이드 레일(201)을 따라 상승한다. 이때 수거통(213)은 역시 연결부재(209)의 걸림부재(211)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롤러(203)와 함께 상승한다. 그리고 수거통(213)에 수용되어 있는 음식물 쓰레기는 상부케이스(103)의 호퍼(103a)에 투입된다. 그러면 모터 등에 의하여 회전하는 회전축(105)이 회전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편의상 도 4의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예로 설명한다. 회전축(105)이 회전함에 따라 회전 플레이트(107)가 회전함과 아울러 선별 및 분쇄부재(109) 역시 회전한다. 이때 호퍼(103a)를 통하여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는, 상, 하부 케이스(101, 103)의 내측 공간으로 이동된다. 이때 회전하는 선별 및 분쇄부재(109)들은 상, 하부 케이스(101, 103) 공간 내로 유입되는 음식물 쓰레기와 부딪히게 된다. 이때, 비닐, 합성수지류, 포장랩, 스티로폼 등의 이물질은 경사홈(109a)의 경사면을 따라 원심력에 의하여 상부 케이스(103) 측으로 이동하여 댐(103b) 측에 전달된다. 그리고 댐(103b)에 전달된 이물질들은 다시 회전하는 선별 및 분쇄부재(109)로 떨어진다. 이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는 동안 음식물 쓰레기는 댐(103b) 및 선별 분쇄부재(109)에 끼면서 잘게 부서진다. 잘게 부서진 음식물 쓰레기는 매쉬부재(111)에 제공된 홀(111a)을 통하여 하부케이스(101)의 아래로 배출된다. 상기 경사홈(109a)에 제공된 경사면은 이물질이 원심력에 의하여 외측으로 밀어내는데 효과적이다.
한편, 댐(103b) 측에 있던 이물질들은 선별 분쇄부재(109) 측으로 다시 이동한다. 즉, 이물질들은 댐(103b)과 선별 및 분쇄부재(109) 사이를 반복적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때 개폐도어(113)를 오픈시키면 이물질 수용통(121)으로 배출된다. 즉, 모터가 회전하는 상태에서 손잡이(115)를 고정하고 있는 손잡이 고정부재(117)를 회전 이동시켜 손잡이(115)가 걸려있는 상태를 해제한다. 그리고 작업자는 개폐도어(113)가 배출공간을 오픈 할 수 있는 방향으로 손잡이를 돌리면 개폐도어(113)가 배출공간을 오픈시킨다. 이때, 댐(103b) 및 선별 분쇄부재(109) 사이를 이동하던 이물질은, 선별 및 분쇄부재(109)의 경사홈(109a)에 제공된 경사면을 따라 외측으로 이동하면서 배출공간을 통하여 배출되어 이물질 수용통(121)에 수용된다.
계속해서 상기 매쉬부재(111)를 지나온 음식물 쓰레기는 이송관(151)의 입구 측으로 이동된다. 그러면 유압 모터 등에 의하여 축(153)이 회전에 의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이송 스크류(155)를 따라 저장 탱크(5)로 전달된다. 이러한 음식물 쓰레기 이송과정에서 음식물 쓰레기는 이송 스크류(155) 및 이송관(151)에 의하여 어느 정도 압축되면서, 수분이 분리된다. 이렇게 분리된 수분은 이송관(151)에 제공된 구멍(151a)을 통하여 오수 유통관(157)으로 전달된다. 그러면 음식물 쓰레기에서 분리된 오수는 오수 유통관(157)을 통하여 오수 탱크(11)로 전달되어 수용된다. 이러한 오수 탱크(11)는 필요에 따라 오수를 배출할 수 있는 통상의 배출 구조가 마련되어 있어 어느 정도 오수가 오수탱크(11)에 채워지면 정해진 장소에 투입하여 분해하거나 처리할 수 있다.
이렇게 저장탱크에 저장된 음식물 쓰레기는, 펌프 등을 구비한 배출 장치에 의하여 미생물을 이용한 후처리 공정 장치에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펌프 등에 호스 등을 연결하여 저장탱크의 내부에서 직접 후 처리 장치로 유입되도록 하여 악취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 적용할 수 있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저장탱크에 수용되어 있는 음식물 쓰레기를 후처리 공정을 수행하는 장치에 투입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즉, 저장탱크(5)를 일정한 각도로 기울일 수 있는 실린더 및 피스톤을 제공하여 저장탱크(5)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음식물 쓰레기를 더욱 효과적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물론, 본 실시예는 펌프를 포함하는 구조와 도 8에서 설명하는 구조를 동시에 사용하면 더욱 효과적으로 후처리 장치에 배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분쇄 또는 분쇄가 잘 이루어지지 않는 비닐, 합성수지류 등의 이물질을 선별하는 장치가 차량에 탑재되어 선별 작업이 매우 용이하며 선별 작업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분쇄 또는 분쇄 과정이 차량에 탑재된 선별 및 분쇄장치에 의하여 용이하게 음식물 쓰레기의 분쇄가 이루어져 미생물 등을 이용한 후처리 공정에서 음식물 쓰레기의 처리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음식물 쓰레기의 분쇄 후 저장 탱크로 음식물 쓰레기를 이송하는 과정에서 이송 스크류에 의하여 음식물 쓰레기가 압축되는 이송 장치가 차량에 탑재되고, 이 과정에서 음식물 쓰레기에 포함되어 있는 일부의 수분이 분리되어 별도의 오수 탱크로 전달되어 차량의 이동 중에 수분 및 염분을 제거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음식물 쓰레기 공급 장치가 차량에 제공되어 음식물 쓰레기 규격 용기를 상차시킬 수 있어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작업이 효율적이다.

Claims (10)

  1. 음식물 쓰레기를 이송하는 차량에 있어서,
    상기 차량에 제공되며, 내부에 공간이 제공되는 하부 케이스, 상기 하부 케이스에 결합되어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하는 호퍼가 제공된 상부케이스, 상기 하부케이스에 결합되어 구동원의 구동력에 의하여 회전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외주에 축방향으로 유동이 되면서 다수가 결합되는 회전 플레이트 그리고 상기 회전 플레이트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호퍼로 인입되는 음식물 쓰레기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을 선별하며 상기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는 다수의 선별 및 분쇄부재를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선별 및 분쇄장치;
    상기 차량에 제공되며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를 수용하는 저장탱크;
    상기 차량에 제공되며, 상기 음식물 쓰레기 선별 및 분쇄 장치에서 분쇄되어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상기 저장탱크로 이송하는 이송 장치; 그리고
    상기 저장탱크에 제공되며, 상기 저장 탱크에 수용된 음식물 쓰레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 장치;
    을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의 선별 분쇄 장치를 탑재한 차량.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식물 쓰레기 선별 및 분쇄장치의 선별 및 분쇄부재는 회전하는 방향 측의 면에 하나 이상의 경사홈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의 선별 분쇄 장치를 탑재한 차량.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식물 쓰레기 선별 및 분쇄장치의 하부케이스는 저면에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매쉬부재가 제공되는 음식물 쓰레기의 선별 분쇄 장치를 탑재한 차량.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식물 쓰레기 선별 및 분쇄장치의 상부케이스는 내측에 상기 선별 및 분쇄부재에 음식물 쓰레기가 끼면서 분쇄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다수의 댐이 제공되는 음식물 쓰레기의 선별 분쇄 장치를 탑재한 차량.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식물 쓰레기 선별 및 분쇄장치의 상부케이스는 일측에 이물질을 배출할 수 있는 개폐도어가 제공되는 음식물 쓰레기의 선별 분쇄 장치를 탑재한 차량.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에는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에서 배출되는 오수가 저장되는 오수탱크를 더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의 선별 분쇄 장치를 탑재한 차량.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장치는
    상기 음식물 쓰레기 선별 및 분쇄장치에 제공된 음식물 쓰레기 배출구 측과 연결되어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가 유입되며, 유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상기 저장탱크로 이동시키고, 일측에 오수를 배출시킬 수 있는 다수의 구멍이 제공되는 이송관;
    상기 이송관의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어 구동원에 의하여 회전하는 축;
    상기 축의 외주에 결합되어 입구부 측으로 유입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저장탱크 측으로 압송하는 이송 스크류; 그리고
    상기 구멍이 제공된 이송관에 결합되어 구멍을 통하여 배출되는 오수를 오수탱크에 전달하는 오수 유통관;
    을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의 선별 분쇄 장치를 탑재한 차량.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장치는 상기 저장탱크에 결합되며 저장탱크에 수용된 음식물 쓰레기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펌프가 제공되는 음식물 쓰레기의 선별 분쇄 장치를 탑재한 차량.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일측에 제공되며, 음식물 쓰레기를 상기 선별 및 분쇄 장치의 호퍼에 투입하는 음식물 쓰레기 공급장치를 더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의 선별 분쇄 장치를 탑재한 차량.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음식물 쓰레기 공급장치는
    차량의 일측에 제공되며, 상단부가 상기 선별 및 분쇄 장치의 호퍼 측으로 경사지는 한 쌍의 가이드 레일;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배치되며 서로 연결부재에 의하여 연결되는 롤러;
    상기 차량의 일측 및 상기 롤러를 연결하는 연결부재에 각각 힌지 결합되며 유압에 의하여 상대 이동하는 실린더 및 피스톤; 그리고
    상기 롤러를 연결하는 연결부재에 제공되며 음식물 쓰레기를 수거하는 수거통의 상단부에 제공되는 홈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걸림고리;
    를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의 선별 분쇄 장치를 탑재한 차량.
KR2020010021643U 2001-07-18 2001-07-18 음식물 쓰레기의 선별 분쇄 장치를 탑재한 차량 KR2002524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1643U KR200252435Y1 (ko) 2001-07-18 2001-07-18 음식물 쓰레기의 선별 분쇄 장치를 탑재한 차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1643U KR200252435Y1 (ko) 2001-07-18 2001-07-18 음식물 쓰레기의 선별 분쇄 장치를 탑재한 차량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3073A Division KR100438157B1 (ko) 2001-07-18 2001-07-18 음식물 쓰레기의 선별 분쇄 장치를 탑재한 차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2435Y1 true KR200252435Y1 (ko) 2001-11-17

Family

ID=73105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1643U KR200252435Y1 (ko) 2001-07-18 2001-07-18 음식물 쓰레기의 선별 분쇄 장치를 탑재한 차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2435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0224B1 (ko) * 2003-01-23 2004-02-26 주식회사 한빛특장 음식물쓰레기 자동 파쇄 및 이물질 선별기
KR100450306B1 (ko) * 2002-04-30 2004-09-30 고창수 폐합성수지 분쇄장치가 구비된 자동차
KR100829145B1 (ko) 2007-12-26 2008-05-13 서달문 이동식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634556B1 (ko) * 2016-01-26 2016-07-08 여태철 교반효율을 높인 음식물 쓰레기 처리용 운반차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0306B1 (ko) * 2002-04-30 2004-09-30 고창수 폐합성수지 분쇄장치가 구비된 자동차
KR100420224B1 (ko) * 2003-01-23 2004-02-26 주식회사 한빛특장 음식물쓰레기 자동 파쇄 및 이물질 선별기
KR100829145B1 (ko) 2007-12-26 2008-05-13 서달문 이동식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634556B1 (ko) * 2016-01-26 2016-07-08 여태철 교반효율을 높인 음식물 쓰레기 처리용 운반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10583B2 (en) Process of treating organic waste for anaerobic digestion
KR101239581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1910171B1 (ko) 유기물 쓰레기의 발효 소멸 교반기
US6716401B2 (en) Infectious waste treatment system
KR200252435Y1 (ko) 음식물 쓰레기의 선별 분쇄 장치를 탑재한 차량
KR100438157B1 (ko) 음식물 쓰레기의 선별 분쇄 장치를 탑재한 차량
AU2005310862A1 (en) Bio-energy system and apparatus
KR200432685Y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0300265B1 (ko) 음식물쓰레기의처리장치
KR200414796Y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2423438B1 (ko) 음식물 처리장치
KR20070082135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100041612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이송분쇄로
US20170361330A1 (en) Mobile Size Reduction Device
KR20140036486A (ko) 야채쓰레기 처리장치
KR20120069347A (ko) 음식물 처리 감량장치
CN112675967A (zh) 一种用于餐余垃圾处理的粉碎输送一体化装置
KR100996537B1 (ko) 족답식 음식물쓰레기처리기
KR200481960Y1 (ko) 음식물 쓰레기 투입호퍼의 침출수 처리용 자켓 클리너 장치
KR20170037243A (ko) 유기물 쓰레기의 발효 소멸 교반기
KR20030006192A (ko) 음식물 쓰레기 선별 분쇄기
KR101796953B1 (ko) 음식 폐기물 처리시스템
JP2002018851A (ja) 移動式プラスチック類処理プラント
KR100811426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CN215001601U (zh) 一种固废处理用输料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411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