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1426B1 -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1426B1
KR100811426B1 KR1020070000584A KR20070000584A KR100811426B1 KR 100811426 B1 KR100811426 B1 KR 100811426B1 KR 1020070000584 A KR1020070000584 A KR 1020070000584A KR 20070000584 A KR20070000584 A KR 20070000584A KR 100811426 B1 KR100811426 B1 KR 1008114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waste
drying
drying member
screw
guid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05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우용
Original Assignee
한우용
최재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우용, 최재준 filed Critical 한우용
Priority to KR10200700005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14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14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14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4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thermal treatment, e.g. evapor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게시된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된 케이스와 연통되고,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는 호퍼와;상기 케이스의 상기 중공부에 회전가능하도록 상향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호퍼로 투입되는 상기 음식물 쓰레기를 파쇄하는 파쇄부재와; 상기 파쇄부재와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중공부에 회전가능하도록 상향경사지게 형성되고, 외주연에 돌출 형성된 나선의 스크류가 파쇄된 상기 음식물 쓰레기를 하단에서 상단방향으로 이송시킴과 동시에 파쇄된 상기 음식물 쓰레기를 압축하여 상기 음식물 쓰레기에 함유된 수분이 하부방향으로 흘러내릴 수 있도록 하는 압축이송부와; 상기 압축이송부의 상기 스크류에 의해 하단에서 상단방향으로 이송되는 상기 음식물 쓰레기를 공급받아 건조시키는 건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스크류의 외경과 상기 스크류 사이의 간격은 하단에서 상단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며 상기 스크류에 의해 하부방향으로 흘러내린 수분은 상기 중공부의 하측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중공부의 하부에 형성된 배수구를 통해 외부로 배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상기 음식물 쓰레기에 포함된 상기 수분을 보다 수월하게 제거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케이스의 상기 중공부에서 상기 수분을 외부로 보다 용이하게 배수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건조부에서 상기 음식물 쓰 레기가 건조되기 때문에 상기 음식물 쓰레기에 함유된 상기 수분을 보다 확실하게 제거할 수 있음은 물론 이로 인해 상기 음식물 쓰레기의 부피와 무게가 현저하게 줄어들게 되어 상기 음식물 쓰레기를 운반 및 처리하는 데 많은 인력과 비용을 소요할 필요가 없어지게 될 뿐만 아니라 상기 음식물 쓰레기가 부패하여 환경을 오염시키는 것을 예방할 수 있게 되고, 아울러 상기 음식물 쓰레기의 건조효율이 보다 증가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호퍼, 파쇄부재, 압축이송부, 건조부

Description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DISPOSAL APPARATUS OF GARBAG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케이스의 내부에 형성된 중공부에 상향경사지게 형성된 파쇄부재와 압축이송부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A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4는 도 2의 B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5는 상기 파쇄부재에 의해 파쇄된 음식물 쓰레기가 상기 압축이송부의 스크류에 의해 하단에서 상단방향으로 이송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파쇄된 상기 음식물 쓰레기가 건조부로 공급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건조부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 및 도 9는 건조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0은 상기 건조부에 의해 건조되는 상기 음식물 쓰레기의 이동경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 하우징, 7; 바퀴부재,
10; 음식물 쓰레기, 30; 호퍼,
33; 물분사부재, 35; 케이스,
37; 중공부, 50; 파쇄부재,
53, 73, 91c; 회전축, 55; 파쇄날부,
70; 압축이송부, 75; 스크류,
90; 건조부, 91; 프레임,
91a; 덮개, 91b; 공급관,
91d; 수평판, 91e; 배출구,
93; 건조부재, 95; 제 1건조부재,
95a, 97a, 99a; 회전블레이드, 95b, 97b, 99b; 안내판,
95c, 97c, 99c; 히터, 97; 제 2건조부재,
99; 제 3건조부재.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에 포함된 수분을 보다 수월하게 제거할 수 있음은 물론 케이스의 중공부에서 상기 수분을 외부로 보다 용이하게 배수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건조부에서 상기 음식물 쓰레기가 건조되기 때문에 상기 음식물 쓰레기에 함유된 상기 수분을 보다 확실하게 제거할 수 있음은 물론 이로 인해 상기 음식물 쓰레기의 부피와 무게가 현저하게 줄어들게 되어 상기 음식물 쓰레기를 운반 및 처리하는 데 많은 인력과 비용을 소요할 필요가 없어지게 될 뿐만 아니라 상기 음식물 쓰레기가 부패하여 환경을 오염시키는 것을 예방할 수 있게 되고, 아울러 상기 음식물 쓰레기의 건조효율이 보다 증가될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음식점 등에서는 매일 많은 양의 음식물 쓰레기가 배출되고 있으며 이러한 음식물 쓰레기의 대부분은 쓰레기 하치장으로 이송되거나 일부분은 가축의 사료로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상기 음식물쓰레기에는 다량의 수분이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그 부피 및 중량이 클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상기 음식물 쓰레기를 운반 및 처리하는데 많은 인력과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다량의 상기 수분을 함유한 상기 음식물 쓰레기를 상기 쓰레기 하치장으로 이송하여 관리할 시 다량의 상기 수분으로 인해 상기 음식물 쓰레기의 부패가 촉진되고, 이로 인해 환경이 오염될 우려가 다분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써, 상기 음식물 쓰레기에 포함된 상기 수분을 보다 수월하게 제거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케이스의 상기 중공부에서 상기 수분을 외부로 보다 용이하게 배수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건조부에서 상기 음식물 쓰레기가 건조되기 때문에 상기 음식물 쓰레기에 함 유된 상기 수분을 보다 확실하게 제거할 수 있음은 물론 이로 인해 상기 음식물 쓰레기의 부피와 무게가 현저하게 줄어들게 되어 상기 음식물 쓰레기를 운반 및 처리하는 데 많은 인력과 비용을 소요할 필요가 없어지게 될 뿐만 아니라 상기 음식물 쓰레기가 부패하여 환경을 오염시키는 것을 예방할 수 있게 되고, 아울러 상기 음식물 쓰레기의 건조효율이 보다 증가될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된 케이스와 연통되고,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는 호퍼와; 상기 케이스의 상기 중공부에 회전가능하도록 상향경사지게 설치되어 상기 호퍼로 투입되는 상기 음식물 쓰레기를 파쇄하는 파쇄부재와; 상기 파쇄부재와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중공부에 회전가능하도록 상향경사지게 설치되고, 외주연에 돌출 형성된 나선의 스크류가 파쇄된 상기 음식물 쓰레기를 하단에서 상단방향으로 이송시킴과 동시에 파쇄된 상기 음식물 쓰레기를 압축하여 상기 음식물 쓰레기에 함유된 수분이 하부방향으로 흘러내릴 수 있도록 하는 압축이송부와; 상기 압축이송부의 상기 스크류에 의해 하단에서 상단방향으로 이송되는 상기 음식물 쓰레기를 공급받아 건조시키는 건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스크류의 외경과 상기 스크류 사이의 간격은 하단에서 상단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며 상기 스크류에 의해 하부방향으로 흘러내린 수분은 상기 중공부의 하측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중공부의 하부에 형성된 배수구를 통 해 외부로 배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건조부는 상측에 상기 음식물 쓰레기를 공급받는 공급관이 설치되고,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회전축이 구비됨과 동시에 하측에 상기 음식물 쓰레기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공급관을 통해 상기 프레임의 내부로 공급된 상기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시키는 건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특히, 상기 건조부재는 상기 회전축에 구비되는 수평판의 저면에 일정간격으로 예각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의 내부로 공급된 상기 음식물 쓰레기를 회전시키는 회전블레이드와, 상기 회전 블레이드의 하부에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회전블레이드에 의해 회전하는 상기 음식물 쓰레기를 하부방향으로 안내하는 안내판과, 상기 안내판의 내부에 삽입고정되어 상기 안내판이 안내하는 상기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시키는 히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 1건조부재와; 상기 회전블레이드, 상기 안내판, 상기 히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 1건조부재의 하측에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 2건조부재와; 상기 회전블레이드, 상기 안내판, 상기 히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 2건조부재의 하측에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 3건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케이스(35)의 내부에 형성된 중공부(37)에 상향경사지게 형성된 파쇄부재(50)와 압축이송부(70)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A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4는 도 2의 B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먼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호퍼(30), 파쇄부재(50), 압축이송부(70) 및 건조부(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호퍼(30)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내부에 중공부(37)가 형성된 케이스(35)와 연통되되, 상기 호퍼(30)로는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된다.
단, 상기 호퍼(30)의 내부에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물분사부재(33)가 구비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이 상기 호퍼(30)의 내부에 상기 물분사부재(33)가 구비되면 상기 물분사부재(33)에서 분사되는 물을 사용하여 상기 호퍼(30)로 투입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세척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호퍼(30)와 연통된 상기 케이스(35)의 상기 중공부(37)에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파쇄부재(50)와 상기 압축이송부(70)가 회전가능하도록 상향경사지게 설치된다.
단, 상기 압축이송부(70)는 상기 파쇄부재(50)와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중공부(37)에 회전가능하도록 상향경사지게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케이스(35)의 상기 중공부(37) 하부에는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외부와 연통되는 배수구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호퍼(30)의 형상 및 구조는 도 1 및 도 2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음식물 쓰레기(10)가 투입될 수 있는 형상 및 구조로 이루어지면 족하다.
아울러, 상기 케이스(35)의 형상 및 구조 역시 도 1 및 도 2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파쇄부재(50)와 상기 압축이송부(70)를 설치할 수 있는 형상 및 구조로 이루어지면 족하다.
다음으로, 상기 파쇄부재(50)는 상기 호퍼(30)로 투입되는 음식물 쓰레기(10)를 파쇄하기 위한 것으로써,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35)의 상기 중공부(37)에 회전가능하도록 상향경사지게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파쇄부재(50)는 도 3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35)의 상기 중공부(37)에서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는 한쌍의 회전축(53)과; 상기 회전축(53)의 외주연에 일정간격으로 구비되어 상기 호퍼(30)에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10)를 파쇄하는 파쇄날부(55);로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한쌍의 상기 회전축(53)은 상기 케이스(35)의 상기 중공부(37)상에 베어링고정됨과 동시에 모터 등의 구동부재에 의해 상기 중공부(37)에서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한쌍의 상기 회전축(53) 외주연에 일정간격으로 구비된 상기 파쇄날부(55)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호 맞물림된다.
한편, 한쌍의 상기 회전축(53)이 상기 케이스(35)의 상기 중공부(37)에서 서로 다른방향으로 회전할 시 한쌍의 상기 회전축(53)의 외주연에 각각 일정간격으로 구비된 상기 파쇄날부(55) 또한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맞물림 되면서 회전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맞물림 되면서 회전하는 파쇄날부(55)로 인해 상기 호퍼(30)에 투입된 상기 음식물 쓰레기를 파쇄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파쇄날부(55)를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가위칼날식으로 구성하여 상기 파쇄날부(55)가 단단한 상기 음식물 쓰레기(10)도 수월하게 파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구성된 파쇄부재(50)의 형상 및 구조는 도 3 및 도 4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호퍼(30)로 투입되는 상기 음식물 쓰레기를 파쇄할 수 있는 형상 및 구조로 이루어지면 족하다.
도 5는 상기 파쇄부재(50)에 의해 파쇄된 음식물 쓰레기(10)가 상기 압축이송부(70)의 스크류(75)에 의해 하단에서 상단방향으로 이송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파쇄된 상기 음식물 쓰레기(10)가 건조부재(93)로 공급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다음으로, 상기 압축이송부(70)는 상기 파쇄부재(50)에 의해 파쇄된 상기 음식물 쓰레기(10)를 하단에서 상단방향으로 이송시킴과 동시에 상기 음식물 쓰레기(10)를 압축하여 상기 음식물 쓰레기(10)에 함유된 수분(W)이 하부방향으로 흘러내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써,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파쇄부재(50)와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케이스(35)의 상기 중공부(37)에 회전가능하도록 상향경사지게 설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압축이송부(70)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회전축(73)과; 상기 회전축(73)의 외주연에 돌출 형성된 나선의 스크류(75);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압축이송부(70)의 상기 회전축(73)은 상기 케이스(35)의 상기 중공부(37)상에 베어링고정됨과 동시에 모터 등의 구동부재에 의해 상기 중공부(37)에서 회전하게 되고, 이때, 상기 회전축(73)의 외주연에 돌출 형성된 나선의 상기 스크류(75)가 상기 회전축(73)의 회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상기 파쇄부재(50)에 의해 파쇄된 상기 음식물 쓰레기(10)를 하단에서 상단방향으로 이송시키게 된다.
한편,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스크류(75)의 외경과 상기 스크류(75) 사이의 간격이 하단에서 상단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도록하여 상기 스크 류(75)에 의해 상단방향으로 이송중인 상기 음식물 쓰레기(10)가 하단에서 상단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는 상기 스크류(75)의 외경과 상기 스크류(75) 사이의 간격에 의해 압축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음식물 쓰레기(10)가 압축되면 상기 음식물 쓰레기(10)에 함유된 상기 수분(W)이 하부방향으로 흘러내리게 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압축이송부(70)의 상기 스크류(75)가 상기 파쇄부재(50)에 의해 파쇄된 상기 음식물 쓰레기(10)를 압축하여 상기 음식물 쓰레기(10)에 포함된 수분(W)이 하부방향으로 흘러내리도록 하기 때문에 상기 음식물 쓰레기(10)에 함유된 상기 수분(W)을 보다 수월하게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압축이송부(70)의 형상 및 구조는 도 5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파쇄부재(50)에 의해 파쇄된 상기 음식물 쓰레기(10)를 하단에서 상단방향으로 이송시킴과 동시에 상기 음식물 쓰레기(10)를 압축하여 상기 음식물 쓰레기(10)에 함유된 수분(W)이 하부방향으로 흘러내릴 수 있도록 하는 형상 및 구조로 이루어지면 족하다.
한편, 상기에서 상술한 사항을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호퍼(30)에 상기 음식물 쓰레기(10)가 투입되면 상기 파쇄부재(50)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호퍼(30)에 투입된 상기 음식물 쓰레기(10)를 파쇄하게 된다.
그리고, 파쇄된 상기 음식물 쓰레기(10)는 상기 압축이송부(70)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파쇄된 상기 음식물 쓰레기(10)는 상기 압축이송부(70)의 상기 스크류(75)에 의해 하단에서 상단방향으로 이송됨과 동시에 압축된다.
여기서, 상기 압축이송부(70)의 상단을 수용하는 중공부(37)의 폭(T)이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단에서 상단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기 때문에 상기 스크류(75)의 압축력이 보다 더 증대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스크류(75)에 의해 상기 음식물 쓰레기(10)가 압축되면 상기 음식물 쓰레기(10)에 함유된 상기 수분(W)이 하부방향으로 흘러내리게 되는데, 이때 하부방향으로 흘러내린 상기 수분(W)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중공부(37)의 하측 경사면(S)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중공부(37)의 하부에 형성된 상기 배수구(미도시)를 통해 외부로 배수된다.
즉, 상기 케이스(35)의 상기 중공부(37)에서 상기 수분(W)을 보다 용이하게 외부로 배수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압축이송부(70)의 상기 스크류(75)에 의해 하단에서 상단방향으로 이송되는 상기 음식물 쓰레기(10)는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건조부(90)와 연결된 공급관(91b)으로 공급된다.
즉, 상기 압축이송부(70)의 상기 스크류(75)에 의해 하단에서 상단방향으로 이송되는 상기 음식물 쓰레기(10)가 상기 공급관(91b)를 통해 상기 건조부(90)로 공급되는 것이다.
도 7은 건조부(90)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 및 도 9는 건조부 재(93)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다음으로, 상기 건조부(90)는 상기 음식물 쓰레기(10)를 건조시키기 위한 것으로써, 앞서 설명한 상기 공급관(91b)을 통해 내부에 상기 음식물 쓰레기(10)가 공급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건조부(90)는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측에 구비된 덮개(91a)에 상기 음식물 쓰레기(10)를 공급받는 공급관(91b)이 설치되고,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회전축(91c)이 구비됨과 동시에 하측에 상기 음식물 쓰레기(10)가 배출되는 배출구(91e)가 형성된 프레임(91)과; 상기 프레임(91)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공급관(91b)을 통해 내부로 공급된 상기 음식물 쓰레기(10)를 건조시키는 건조부재(9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91)의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상기 회전축(91c)은 상기 프레임(91)의 내부에 베어링고정됨과 동시에 모터 등의 구동부재에 의해 상기 프레임(91)의 내부에서 회전하게 된다.
한편, 상기 공급관(91b)을 통해 상기 프레임(91)의 내부로 공급된 상기 음식물 쓰레기(10)는 상기 건조부재(93)로 인해 건조되어 상기 프레임(91)의 하측에 형성된 상기 배출구(91e)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데 자세한 사항은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건조부재(93)는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91)의 내부에 3개로 구비된다.
이를 설명의 편의상 각각 제 1건조부재(95), 제 2건조부재(97), 제 3건조부 재(99)로 명칭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1건조부재(95)는 도 8 및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회전축(91c)에 구비되는 수평판(91d)의 저면에 일정간격으로 예각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91)의 내부로 공급된 상기 음식물 쓰레기(10)를 회전시키는 회전블레이드(95a)와; 상기 회전블레이드(95a)의 하부에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회전블레이드(95a)에 의해 회전하는 상기 음식물 쓰레기(10)를 하부방향으로 안내하는 안내판(95b)과; 상기 안내판(95b)의 내부에 삽입고정되어 상기 안내판(95b)이 안내하는 상기 음식물 쓰레기(10)를 건조시키는 히터(95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블레이드(95a)는 상기 회전축(91c)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축(91c)의 회전방향으로 회전하는 상기 수평판(91d)과 동일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91)의 내부로 상기 음식물 쓰레기(10)가 공급될 경우 상기 음식물 쓰레기(10)가 상기 제 1건조부재(95)의 상기 회전블레이드(95a)와 접촉하여 상기 회전블레이드(95a)의 회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안내판(95b)이 상기 제 1건조부재(95)의 상기 회전블레이드(95a)와 접촉하여 상기 회전블레이드(95a)의 회전방향으로 회전하는 상기 음식물 쓰레기(10)를 하부방향으로 안내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안내판(95b)은 상기 회전블레이드(95a)의 하부에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보다 용이하게 상기 음식물 쓰레기(10)를 하부방향으로 안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안내판(95b)의 내부에는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히 터(95c)가 삽입고정되어 있다.
즉, 상기 히터(95c)가 상기 안내판(95b)이 안내하는 상기 음식물 쓰레기(10)에 열을 전달하여 상기 음식물 쓰레기(10)를 건조시키는 것이다.
이로써, 상기 수분으로 인해 축축했던 상기 음식물 쓰레기(10)를 건조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음식물 쓰레기(10)에서 상기 수분이 보다 확실하게 제거될 수 있어 상기 음식물 쓰레기(10)의 부피와 무게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고, 이로 인해 상기 음식물 쓰레기(10)를 운반 및 처리하는 데 많은 인력과 비용을 소요할 필요가 없어짐은 물론 상기 수분으로 인해 상기 음식물 쓰레기(10)가 부패하여 환경을 오염시키는 것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 2건조부재(97), 제 3건조부재(99) 역시 상기 프레임(91)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음식물 쓰레기(10)를 건조시키게 되는데 여기서, 상기 제 2건조부재(97)와 상기 제 3건조부재(99)는 상기 제 1건조부재(95)와 동일하게 구성됨으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단, 상기 제 2건조부재(97)는 상기 제 1건조부재(95)와 일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프레임(91)의 내부에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 3건조부재(99) 역시 상기 제 2건조부재(97)와 일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프레임(91)의 내부에 구비된다.
한편, 상기 건조부재(93)가 도면에서 도시되고 상기에서 상술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91)의 내부에 3개로 구비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상기 프레임(91)의 내부에 상기 건조부재(93)가 3 개이상으로 구비될 수 있음을 밝히는 바이다.
아울러, 상기 건조부재(93)의 형상 및 구조는 도 7 및 도 9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공급관(91b)을 통해 내부로 공급된 상기 음식물 쓰레기(10)를 건조시킬 수 있는 형상 및 구조로 이루어지면 족하다.
도 10은 상기 건조부재(93)에 의해 건조되는 상기 음식물 쓰레기(10)의 이동경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한편, 상기 공급관(91b)을 통해 상기 건조부(90)의 내부에 공급된 상기 음식물 쓰레기(10)의 이동경로는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1건조부재(95) -> 상기 제 2건조부재(97) -> 상기 제 3건조부재(99)로 각각 경유하여 건조된 뒤 상기 배출구(91e)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단, 도 10에서는 상기 건조부(90)의 내부로 공급되어 상기 배출구(91e)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상기 음식물 쓰레기(10)의 이동경로를 ① 내지 ③으로 도시하였음을 밝히는 바이다.
이하, 도 10에 도시된 ① 내지 ③을 참조하여 상기 건조부(90)의 내부에 공급된 상기 음식물 쓰레기(10)의 이동경로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공급관(91b)을 통해 상기 건조부(90)의 내부로 공급된 상기 음식물 쓰레기(10)는 상기 제 1건조부재(95)의 상기 회전블레이드(95a)와 접촉하여 상기 회전블레이드(95a)의 회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안내판(95b)이 도 10의 ①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1건조부재(95)의 상기 회전블레이드(95a)와 접촉하여 상기 회전블레이드(95a)의 회전방향으로 회전하는 상기 음식물 쓰레기(10)를 하부방향으로 안내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안내판(95b)이 상기 회전블레이드(95a)의 하부에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보다 용이하게 상기 음식물 쓰레기(10)를 하부방향으로 안내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안내판(95b)의 내부에 삽입고정된 상기 히터(95c)가 상기 안내판(95b)으로 인해 하부방향으로 이동하는 상기 음식물 쓰레기(10)를 건조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제 1건조부재(95)에서 1차적으로 건조된 뒤 상기 안내판(95b)에 의해 하부방향으로 이동하는 상기 음식물 쓰레기(10)는 상기 제 2건조부재(97)에서 2차적으로 건조된 뒤 다시 하부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1건조부재(95)의 상기 안내판(95b)에 의해 하부방향으로 이동된 상기 음식물 쓰레기(10)는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2건조부재(97)의 회전블레이드(97a)와 접촉함과 동시에 상기 제 2건조부재(97)의 상기 회전블레이드(97a)의 회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2건조부재(97)의 안내판(97b)이 도 10의 ②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2건조부재(97)의 상기 회전블레이드(97a)와 접촉하여 상기 회전블레이드(97a)의 회전방향으로 회전하는 상기 음식물 쓰레기(10)를 하부방향으로 안내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 2건조부재(97)의 상기 안내판(97b)이 상기 회전블레이드(97a)의 하부에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보다 용이하게 상기 음식물 쓰레기(10)를 하부방향으로 안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 2건조부재(97)의 상기 안내판(97b)의 내부에 삽입고정된 히터(97c)가 상기 제 2건조부재(97)의 상기 안내판(97b)으로 인해 하부방향으로 이동하는 상기 음식물 쓰레기(10)를 2차적으로 건조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 2건조부재(97)에서 2차적으로 건조된 뒤 상기 안내판(97b)에 의해 하부방향으로 이동하는 상기 음식물 쓰레기(10)는 상기 제 3건조부재(99)에서 3차적으로 건조된 뒤 상기 프레임(91)의 하측에 형성된 상기 배출구(91e)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2건조부재(97)의 상기 안내판(97b)에 의해 하부방향으로 이동된 상기 음식물 쓰레기(10)는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3건조부재(99)의 회전블레이드(99a)와 접촉함과 동시에 상기 제 3건조부재(99)의 상기 회전블레이드(99a)의 회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3건조부재(99)의 안내판(99b)이 도 10의 ③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3건조부재(99)의 상기 회전블레이드(99a)와 접촉하여 상기 회전블레이드(99a)의 회전방향으로 회전하는 상기 음식물 쓰레기(10)를 하부방향으로 안내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 3건조부재(99)의 상기 안내판(99b)이 상기 회전블레이드(99a)의 하부에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보다 용이하게 상기 음식물 쓰레 기(10)를 하부방향으로 안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 3건조부재(99)의 상기 안내판(99b) 내부에 삽입고정된 히터(99c)가 상기 제 3건조부재(99)의 상기 안내판(99b)으로 인해 하부방향으로 이동하는 상기 음식물 쓰레기(10)를 3차적으로 건조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 3건조부재(99)에서 3차적으로 건조된 뒤 상기 안내판(99b)에 의해 하부방향으로 이동하는 상기 음식물 쓰레기(10)는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91)의 하측에 형성된 상기 배출구(91e)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상기 음식물 쓰레기(10)가 상기 제 1건조부재(95), 상기 제 2건조부재(97), 상기 제 3건조부재(99)를 경유하여 건조되기 때문에 상기 음식물 쓰레기(10)의 건조효율이 보다 증가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건조부(90)상에 모터 등의 구동부재에 의해 구동되는 송풍팬(미도시)을 더 설치하여 상기 건조부(90)의 내부에서 건조되는 상기 음식물 쓰레기(10)에서 발생되는 냄새가 탈취된 채 상기 송풍팬(미도시)에 의해 외부로 배기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음식물 쓰레기(10)에서 발생되는 냄새를 분말 탈취제 등을 사용하여 탈취시킬 수 있겠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음식물 쓰레기(10)에서 발생되는 냄새를 탈취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사항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음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상기 호퍼(30), 상기 파쇄부재(50), 상기 압축이송부(70) 및 상기 건조부재(9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면에 바퀴부재(7)가 구비된 하우징(5)내에 설치될 수 있는데, 이로 인해 작업자가 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필요에 따라 원하는 장소로 손쉽게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가정이나 음식점 등 매일 많은 양의 음식물 쓰레기(10)가 배출되는 곳에서 유용하게 쓰일 수 있는 것임을 밝히는 바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상기 압축이송부의 상기 스크류 외경과 상기 스크류 사이의 간격이 하단에서 상단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짐으로써, 상기 압축이송부의 상단방향으로 이송중인 상기 음식물 쓰레기가 상기 스크류의 외경과 상기 스크류 사이의 간격에 의해 압축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상기 음식물 쓰레기에 포함된 수분이 하부방향으로 흘러내리기 때문에 상기 음식물 쓰레기에 포함된 상기 수분을 보다 수월하게 제거할 수 있음은 물론 하부방향으로 흘러내린 상기 수분이 상기 중공부의 하측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배수구를 통해 외부로 배수되기 때문에 상기 케이스의 상기 중공부에서 상기 수분을 보다 용이하게 외부로 배수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건조부가 상기 압축이송부의 상기 스크류에 의해 하단에서 상 단방향으로 이송되는 상기 음식물 쓰레기를 공급받아 상기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시키기 때문에 상기 수분으로 인해 축축했던 상기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음식물 쓰레기에서 상기 수분이 보다 확실하게 제거될 수 있어 상기 음식물 쓰레기의 부피와 무게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고, 이로 인해 상기 음식물 쓰레기를 운반 및 처리하는 데 많은 인력과 비용을 소요할 필요가 없어짐은 물론 상기 수분으로 인해 상기 음식물 쓰레기가 부패하여 환경을 오염시키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음식물 쓰레기가 상기 제 1건조부재 , 상기 제 2건조부재, 상기 제 3건조부재를 경유하여 건조되기 때문에 상기 음식물 쓰레기의 건조효율이 보다 증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에서 설명되고 도면에서 예시된 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음에 기재되는 청구의 범위 내에서 더 많은 변형 및 변용예가 가능한 것임은 물론이다.

Claims (3)

  1.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된 케이스와 연통되고,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는 호퍼와;
    상기 케이스의 상기 중공부에 회전가능하도록 상향경사지게 설치되어 상기 호퍼로 투입되는 상기 음식물 쓰레기를 파쇄하는 파쇄부재와;
    상기 파쇄부재와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중공부에 회전가능하도록 상향경사지게 설치되고, 외주연에 돌출 형성된 나선의 스크류가 파쇄된 상기 음식물 쓰레기를 하단에서 상단방향으로 이송시킴과 동시에 파쇄된 상기 음식물 쓰레기를 압축하여 상기 음식물 쓰레기에 함유된 수분이 하부방향으로 흘러내릴 수 있도록 하는 압축이송부와;
    상기 압축이송부의 상기 스크류에 의해 하단에서 상단방향으로 이송되는 상기 음식물 쓰레기를 공급받아 건조시키는 건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스크류의 외경과 상기 스크류 사이의 간격은 하단에서 상단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며 상기 스크류에 의해 하부방향으로 흘러내린 수분은 상기 중공부의 하측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중공부의 하부에 형성된 배수구를 통해 외부로 배수되고,
    상기 건조부는 상측에 상기 음식물 쓰레기를 공급받는 공급관이 설치되고,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회전축이 구비됨과 동시에 하측에 상기 음식물 쓰레기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공급관을 통해 상기 프레임의 내부로 공급된 상기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시키는 건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부재는 상기 회전축에 구비되는 수평판의 저면에 일정간격으로 예각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의 내부로 공급된 상기 음식물 쓰레기를 회전시키는 회전블레이드와, 상기 회전 블레이드의 하부에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회전블레이드에 의해 회전하는 상기 음식물 쓰레기를 하부방향으로 안내하는 안내판과, 상기 안내판의 내부에 삽입고정되어 상기 안내판이 안내하는 상기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시키는 히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 1건조부재와;
    상기 회전블레이드, 상기 안내판, 상기 히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 1건조부재의 하측에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 2건조부재와;
    상기 회전블레이드, 상기 안내판, 상기 히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 2건조부재의 하측에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 3건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3. 삭제
KR1020070000584A 2007-01-03 2007-01-03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08114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0584A KR100811426B1 (ko) 2007-01-03 2007-01-03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0584A KR100811426B1 (ko) 2007-01-03 2007-01-03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11426B1 true KR100811426B1 (ko) 2008-03-07

Family

ID=393980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0584A KR100811426B1 (ko) 2007-01-03 2007-01-03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142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85014A (en) * 2010-10-27 2012-05-02 Voro Ltd Waste disposal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25914A (ja) 1999-05-20 2000-11-28 Nippon Koei Co Ltd 廃棄物処理装置
KR200331348Y1 (ko) 2003-08-01 2003-10-23 박봉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060008516A (ko) * 2004-07-21 2006-01-27 이경원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25914A (ja) 1999-05-20 2000-11-28 Nippon Koei Co Ltd 廃棄物処理装置
KR200331348Y1 (ko) 2003-08-01 2003-10-23 박봉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060008516A (ko) * 2004-07-21 2006-01-27 이경원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85014A (en) * 2010-10-27 2012-05-02 Voro Ltd Waste disposal
GB2485014B (en) * 2010-10-27 2015-03-04 Voro Ltd A method of and apparatus for treating waste and a waste product
US9744574B2 (en) 2010-10-27 2017-08-29 Voro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ing kitchen waste and a kitchen waste produc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2000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471168B1 (ko) 건조기능이 향상된 음식물 쓰레기처리기
KR101239581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0811437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0811426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564211B1 (ko) 건조스크류와 삼각형 형상의 이송커터가 구비된 건조하우징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KR100289070B1 (ko) 유기성 폐기물 건조차량
KR200414796Y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448503B1 (ko) 회전유닛을 포함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0343190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0323839B1 (ko) 음식물쓰레기감량처리장치
KR100831951B1 (ko) 음식물 건조장치 및 건조방법
KR19990084655A (ko) 음식물 찌꺼기를 이용한 사료 제조장치
KR20030054134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060122359A (ko) 음식물 건조장치 및 건조방법
KR100221985B1 (ko) 유기폐기물의 처리방법 및 그 장치
KR20150138782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930007657B1 (ko) 음식물 찌꺼기 처리방법 및 그 장치
KR101563690B1 (ko) 삼각형 형상의 이송커터가 구비된 건조하우징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KR101578857B1 (ko) 음식물 처리장치
KR102316113B1 (ko) 차량형 이동식 슬러지 처리시스템
KR101471908B1 (ko) 배기부를 포함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1407004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000038202A (ko) 오니의 파쇄식 건조방법 및 그 장치
KR200392073Y1 (ko) 음식물 건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