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8375B1 - 식품 급속동결장치 - Google Patents

식품 급속동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8375B1
KR100828375B1 KR1020060134651A KR20060134651A KR100828375B1 KR 100828375 B1 KR100828375 B1 KR 100828375B1 KR 1020060134651 A KR1020060134651 A KR 1020060134651A KR 20060134651 A KR20060134651 A KR 20060134651A KR 100828375 B1 KR100828375 B1 KR 1008283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push
pull
pusher
freez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46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경찬
Original Assignee
박현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현운 filed Critical 박현운
Priority to KR10200601346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83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83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83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4Freezing; Subsequent thawing; Cool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20Freez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품 동결장치에 있어서, 냉동실(10)내 장치된 메인프레임(14)의 각 층별 안내레일부(16)를 따라 다수의 식품적재 트레이(26)가 미끄럼 안내되게 구성하고, 안내레일부(16)의 일측단에는 홀수층 승강판(30a)을 갖는 제1 승강구(30)와 홀수층 푸쉬로드(34a)를 갖는 제1 푸셔(34)가 구비되고 안내레일부(16)의 타측단에는 짝수층 승강판(32a)을 갖는 제2 승강구(32)와 짝수층 푸쉬로드(36a)를 갖는 제2 푸셔(36)가 구비되게 구성하되, 작동대들을 갖는 기어박스부(40)가 제1 및 제2 승강구(30)(32)의 승강작동이 상호반대되게 이루어지게 하고 제1,제2 승강구(30)(32)에서의 각 승강판(30a)(32a) 상승상태에서 제1 및 제2 푸셔(34)(36)의 푸쉬로드(36a)(36b)를 선택적으로 푸쉬풀 작동하도록 구성한다.
식품, 동결, 엘리베이터식,

Description

식품 급속동결장치{QUICK FREEZER FOR FOO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식품 급속동결장치의 정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식품 급속동결장치의 측단면도,
도 3은 냉동실내에 장치된 메인 프레임의 부분 확대 사시도,
도 4는 도 1의 기어박스부내 각 캠부 및 대응 연결된 작동대들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제2 승강구 및 제1,제2 푸셔의 작동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냉동실 (14)-- 메인프레임
(16)-- 안내레일부 (18)-- 수직지지간
(20)-- 결합판재 (22)-- 안내홈
(24)-- 레일봉 (26)-- 식품적재 트레이
(30)-- 제1 승강구 (30a)-- 홀수층 승강판
(32)-- 제2 승강구 (32a)-- 짝수층 승강판
(34)-- 제1 푸셔 (34a)-- 홀수층 푸쉬로드
(36)-- 제2 푸셔 (36a)-- 짝수층 푸쉬로드
(31)(33)--- 지지롤 (40)-- 기어박스부
(42)-- 승강용 캠 (44)(46)-- 제1,제2 푸쉬풀 캠
(48)-- 승강작동대 (50)(52)-- 제1,제2 푸쉬풀 작동대
본 발명은 식품 동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식품을 급속동결시키는 식품 급속동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품의 동결 방법에는 급속 동결법과 완만 동결법이 있으며, 급속동결법으로 식품을 급속동결을 하게되면 동결식품의 품질저하가 적어진다고 알려져 있다. 급속 동결법은 동결할 식품이 최대 빙결정 생성대(-1∼-5℃)를 단시간(15∼30분이내)에 통과되도록 하여 그 빙결정의 크기가 가능한한 작도록 해줌으로써 고품질의 동결식품을 제조가공하는 동결법이다. 이러한 급속동결법으로 제조된 냉동식품은 빙결정의 크기의 축소로 인한 조직 감의 저하억제, 해동 중에 드립(drip)의 유출로 인한 영양성분의 손실 억제 등의 효과가 있다.
식품의 급속동결장치는 바퀴달린 랙의 각 선반에 식품을 칸칸이 적재한 후 급속동결시키는 대차식이 급속동결방식 초기도입시에 보편적으로 사용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대차식 급속동결장치는 비위생적이고 인력소모가 많으며 연속 동작이 불가능하다는 단점과 아울러 생산능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대차식 급속 동결장치의 단점들이나 문제점을 개선한 것으로, 요즈음 국내에는 터널식과 스파이럴식을 주로 많이 사용하고 있다.
그중 터널식 급속동결장치는 상부에서 냉풍이 공급되고 하부에서는 식품을 이송시키는 컨베이어가 장착된 구조로 이루어진 동결장치로서, 위생적이고 연속작동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터널식 급속동결장치는 그 길이가 12∼15m나 되므로 장치 설치면적을 많이 차지하고 구조물의 용적 및 중량이 과다한 단점이 있으며, 급속동결되는 냉각온도 예컨대, -40℃∼-50℃에서 컨베이어의 체인이나 와이어, 베어링, 스프링 등의 부품 손상이나 절단이 쉽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나선형 타입의 컨베이어를 가진 스파이럴 급속동결장치도 터널식과 마찬가지로 위생적이고 연속작동이 가능하며 무인화작업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그 설치면적이 터널식의 1/3∼1/5정도 밖에 되지 않는 이점도 있다. 하지만 나선형 컨베이어의 체인이 상당히 길고 구조물 중량도 엄청난 관계로 냉열에너지 및 구동에너지 소비가 많다는 단점이 있고, 또한 고가로 수입되는 컨베이어 체인이 급속동결시의 냉각온도로 인해 쉽게 절단되는 등 급속동결장치를 유지보수하는데에 많은 부담이 가중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냉동실의 용적효율이 좋고 구조물 구동메카니즘도 간단하도록 된 식품 급속동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냉열에너지 및 구동에너지 소비를 최소화시킬 수 있으며 저온냉동 환경에서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급속동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컨베이어체인, 와이어, 베어링, 스프링을 포함하는 저온냉동환경에서 손상 및 파괴가 쉬운 부품들을 최소 장치되게 구성하여 유지보수 비용부담이 적으며 제작비용도 저렴한 급속동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식품의 동결장치에 있어서, 냉동실(10)내 장치된 메인프레임(14)의 각 층별 안내레일부(16)를 따라 다수의 식품적재 트레이(26)가 미끄럼 안내되게 구성하고, 안내레일부(16)의 일측단에는 홀수층 승강판(30a)을 갖는 제1 승강구(30)와 홀수층 푸쉬로드(34a)를 갖는 제1 푸셔(34)가 구비되고 안내레일부(16)의 타측단에는 짝수층 승강판(32a)을 갖는 제2 승강구(32)와 짝수층 푸쉬로드(36a)를 갖는 제2 푸셔(36)가 구비되게 구성하되, 작동대들을 갖는 기어박스부(40)가 제1 및 제2 승강구(30)(32)의 승강작동이 상호반대되게 이루어지게 하고 제1,제2 승강구(30)(32)에서의 각 승강판(30a)(32a) 상승상태에서 제1 및 제2 푸셔(34)(36)의 푸쉬로드(36a)(36b)를 선택적으로 푸쉬풀 작동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식품 급속동결장치의 정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식품 급속동결장치의 측단면도이며, 도 3은 냉동실내에 장치된 메인 프레임의 확대 부분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식품 급속동결장치(2)는 기존의 대차식, 터널식, 스파이럴식과는 다르게 엘리베이터식으로 구현되어진 구성적 특징이 있으며, 아울러 냉동실(6)내의 급속동결 냉각온도(예컨대, -40℃∼-50℃) 환경에서 고장이나 파손을 야기시켰던 부품들이 거의 최소로 장치되게 한 구성적 특징이 있다. 즉 본 발명 식품 급속동결장치(2)의 부품들에는 컨베이어의 체인이나 와이어, 베어링, 스프링 등의 부품이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식품 급속동결장치(2)의 냉동실(10)은 단열벽체(12)로 하우징함으로써 구성되어지고, 냉동실(10)의 입구와 출구 각각에는 식품 이송을 위한 입구측 컨베이어(72)와 출구측 컨베이어(74)가 장치되게 구성한다.
냉동실(10)의 내부에는 바닥 받침대(70)상에 메인프레임(14)이 설치된다. 메인프레임(14)은 다수의 수직지지간(18)들과 수평지지간(19)들로 수십층들이 형성되게 조립함으로써 구성되며, 메인프레임(14)의 각 층에는 안내레일부(16)가 형성되게 구성하여서 다수의 식품적재 트레이(26)가 안내레일부(16)를 따라 미끄럼 안내되게 해준다.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각층별로 형성되는 안내레일부(16)는 메인프레임(14)의 수직지지간(18)에 취부된 결합판재(20)에 안내홈(22)을 형성하고, 그 안내홈(22)의 상하부 및 내측부에 각 레일봉(24)들이 결합되게 하여 서 구성된다. 그러므로 식품적재 트레이(26)는 안내레일부(16)의 각 레일봉(24)들에 둘러싸여 최소 면접촉하면서 미끄럼 운동하게되며, 결빙상태에서의 지속적인 이동으로 인해서 그 미끄럼 운동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의 상기와 같은 안내레일부(16)의 구성은 적재식품의 이송에 있어 기존 컨베이어의 체인이나 와이어, 베어링, 스프링 등과 같은 부품사용을 최소화시켜준다.
도 1 및 도 2를 다시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안내레일부(16)의 양측단에 엘리베이터기능을 하는 승강구(30)(32)를 설치하되, 그 승강구(30)(32)가 메인프레임(14)의 양단 수직지지간(18)에 고정설치되게 구성한다.
승강구(30)(32)중에서 제1 승강구(30)는 냉동실(10)의 입구 및 출구가 마련된 일측단 위치하며 홀수층 승강판(30a)들을 갖도록 구성하며, 제2 승강구(32)는 타측단에 위치하며 짝수층 승강판(32a)들을 갖도록 구성한다.
냉동실(10)의 입구는 메인프레임(14)이 갖는 층들중 지하1층에 형성되며, 출구는 최상층에 형성된다. 제1 승강구(30)의 홀수층 승강판(30a)들은 초기상태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하1층 및 짝수층에 위치하며 식품적재후 상승시에는 한층 위인 홀수층으로 위치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제2 승강구(32)의 짝수층 승강판(32a)들은 초기상태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상태에서는 짝수층에 위치하며 그 후 식품 적재를 하기 위해서 1층 아래인 홀수층으로 위치이동하게 된다.
한편 안내레일부(16)의 일측단인 제1 승강구(30)의 후부에는 홀수층 푸쉬로 드(34a)를 갖는 제1 푸셔(34)가 구비되고, 안내레일부(16)의 타측단인 제2 승강구(32)의 후부에는 짝수층 푸쉬로드(36a)를 갖는 제2 푸셔(36)가 구비된다.
상기한 제1 승강구(30) 및 제2 승강구(32)는 기어박스부(40)의 승강작동대(48)에 연결되어 승강작동하고, 제1 푸셔(34) 및 제2 푸셔(36)는 기어박스부(40)의 제1 푸쉬풀 작동대(50)와 제2 푸쉬풀 작동대(52)에 연결되어 푸쉬풀 작동한다.
기어박스부(40)에서는 한쌍의 작동대들(48)(50)(52)과 도 4와 같은 기어구조를 통해서 제1 및 제2 승강구(30)(32)의 승강작동이 상호반대되게 이루어지게 구성하고, 제1,제2 승강구(30)(32)에서의 각 승강판(30a)(32a) 상승상태에서 제1 및 제2 푸셔(34)(36)의 푸쉬로드(36a)(36b)가 선택적으로 푸쉬풀 작동되게 구성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기어박스부(40)에는 주구동축(57)에 축고정된 세개의 주구동기어(53)(54)(56) 한쌍을 구동모터(미도시함)로 연결하여 축회전되도록 구성한다. 주구동기어(53)(54)(56)를 한쌍으로 구성한 것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대들(48)(50)(52)을 메인프레임(14)의 전방측과 후방측을 나란히 가로질러서 제1,제2 승강구(30)(32), 제1,제2 푸셔(34)(36)와 연결되게 해줌으로써 각각이 균형있게 작동되도록 해주기 위함이다. 즉, 주동축(57)에는 전방측용의 주구동기어(53)(54)(56)와 후방측용의 주구동기어(53)(54)(56)가 축고정되어있다.
주구동기어(53)(54)(56)들중 제1 주구동기어(53)는 스프라켓기어들과 체인으로 된 제1 기어연결부(60)를 통해서 승강용 캠(42)에 연결되며, 승강용 캠(42)에는 제1,제2 승강구(30)(32)를 승강작동시키는 승강작동대(48)가 연결된다.
주구동기어(53)(54)(56)들중 제2 주구동기어(54)는 스프라켓기어들과 체인으 로된 제2 기어연결부(62)를 통해서 제1 푸쉬풀 캠(44)에 연결되며, 제1 푸쉬풀 캠(44)에는 제1 푸셔(34)를 작동시키는 제1 푸쉬풀 작동대(50)가 연결되고, 제3 주구동기어(54)는 스프라켓기어들과 체인으로된 제3 기어연결부(64)를 통해서 제2 푸쉬풀 캠(46)에 연결되며, 제2 푸쉬풀 캠(46)에는 제2 푸셔(36)를 작동시키는 제2 푸쉬풀 작동대(52)가 연결된다.
승강작동대(48)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승강구(30)의 지지바 단부의 지지롤(31)과 접촉하는 상승경사면 R1과 상승유지면 R2를 가지며, 아울러 제2 승강구(32)의 지지바 단부의 지지롤(33)과 접촉하는 하강경사면 F1과 하강유지면 F2를 가진다. 그러므로 승강용 캠(42)이 1싸이클 회전하게 되면, 도 1에서와 같이 제1 승강구(30)의 지지롤(31)은 승강작동대(48)의 상승경사면 R1과 상승유지면 R2간을 왕복하게 되고 제2 승강구(32)의 지지롤(33)은 승강작동대(48)의 하강경사면 F1과 하강유지면 F2간을 왕복하게 된다.
도 2에서, 단열벽체(12)의 후측벽에는 냉동실(10)을 급속동결 냉각온도(예컨대, -40℃∼-50℃)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냉열부(76)가 장치되며, 단열벽체(12)의 전측벽에는 냉열부(76)의 다수 송풍구(77)를 통해서 형성되는 냉기류를 상측방과 하측방으로 유도 및 순환되게 하는 냉기유도부(78)가 장치된다.
상기한 구조의 본 발명 식품 급속동결장치(2)의 냉동실(10)은 복수의 층들로 배치구성하고 각 층마다 식품적재 트레이(26)들로 이송되게 구성하므로 용적효율이 좋고, 메인프레임(14)의 전후방으로 각각 3개정도의 작동대들만 연장형성되게 구성하여 구동시키므로 구동메카니즘도 간단하다는 특징이 있다. 그러므로 냉동실(10) 내를 급속동결시기 위한 냉열에너지나 식품적재된 식품적재 트레이(26)를 이송시키는데 필요한 구동에너지 소비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식품 급속동결장치(2)의 제1,제2 승강구(30)(32) 및 제1,제2 푸셔(34)(36)의 작동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제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식품 급속동결장치(2)의 동작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식품 가공라인에서 가공완료된 식품은 도 3에서와 같은 식품적재 트레이(26)에 적재된 후 입구측 컨베이어(72)로 이송된다.
도 4의 주구동축(57)의 한쌍의 주구동기어(53)(54)(46)가 모두 동시 회전하면서 1싸이클 회전운동을 주기적으로 반복하게된다. 상기 1싸이클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t1∼t4의 각도범위구간으로 구분되어진다.
그 중 t1의 각도범위구간(대략 0°∼60°)은 제1 승강구(30)의 지지롤(31)이 승강작동대(48)의 상승경사면 R1을 올라가고 제2 승강구(32)의 지지롤(33)이 승강작동대(48)의 하강경사면 F1을 내려가는 구간이다. t2의 각도범위구간(대략 60°∼180°)은 제1 승강구(30)의 지지롤(31)이 상승유지면 R2에 제2 승강구(32)의 지지롤(33)이 하강유지면 F2에 머무르고 있는 상태 구간임과 동시에 제1 푸셔(34)에서의 푸쉬풀(push-pull)작동이 이루어지는 푸쉬작동구간 PS와 풀작동구간 PL이 존재하는 구간이다. 그리고, t3의 각도범위구간(대략 180°∼240°)은 제1 승강구(30)의 지지롤(31)이 승강작동대(48)의 상승경사면 R1을 내려오고 제2 승강구(32)의 지지롤(33)이 승강작동대(48)의 하강경사면 F1을 올라가는 구간이다. 마지막으로, t4 의 각도범위구간(대략 240°∼360°)은 제1 승강구(30)의 지지롤(31)과 제2 승강구(32)의 지지롤(33)이 초기상태면으로 다시 복귀하는 구간임과 동시에 제2 푸셔(36)에서의 푸쉬풀(push-pull)작동이 이루어지는 푸쉬작동구간 PS와 풀작동구간 PL이 존재하는 구간이다.
입구측 컨베이어(72)는 제3 주구동기어(56)가 작동하는 각도범위구간 t4의 풀작동구간 PL에서 작동되며, 출구측 컨베이어(74)도 마찬가지로 동시에 작동된다. 그에 따라 입구측 컨베이어(72)에 얹혀진 식품적재 트레이(26)는 식품 급속동결장치(2)의 입구를 통해서 냉동실(10)내 지하 1층에 빈상태로 대기하고 있던 제1 승강구(30)의 홀수층 승강판(30a)의 최하위 승강판에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옮겨 싣어지며, 이때의 타이밍은 1싸이클의 초기상태 복귀시점이다.
주구동축(57)이 다시 1싸이클의 회전을 반복하게되면, 제1승강구(30)의 홀수층 승강판(30a)에 얹혀진 식품적재 트레이(26)는 도 4의 제1 주구동기어(53)의 t1각도범위구간에서 제1 승강구(30)의 한층 상승작용의 의거하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의 홀수층에 위치하게 된다. 예컨대, 제1 승강구(30)의 각 승강판(30a)에 실려서 지하 1층에 있던 식품적재 트레이(26)는 1층으로 올라가고 2층에 있던 식품적재 트레이(26)는 3층으로 올라간다는 것이다.
이때 제2 승강구(32)의 짝수층 승강판(32a)도 한층 하강하여 하부의 짝수층에 위치하게 된다. 예컨대, 2층에 빈상태로 있던 제2 승강구(32)의 승강판(32a)은 1층으로 내려오고 4층에 빈상태로 있던 제2 승강구(32)의 승강판(32a)는 3층으로 내려오는 것이다.
그 후 제1 주구동기어(53)와 제2 주구동기어(54)가 기어물림 작동하는 t2의 각도범위구간에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용 캠(42)에 의해서 제1 승강구(30)의 홀수층 승강판(30a)과 제2 승강구(32)의 짝수층 승강판(32a)은 상승 및 하강한 해당 층에 그대로 머무르고 있다. 또한 제1 푸쉬풀 캠(44)에 연결된 제1 푸쉬풀 작동대(50)에 의해서 제1 푸셔(34)는 t2의 각도범위구간중 푸쉬작동구간 PS에서 제1 푸셔(34)의 홀수층 푸쉬로드(34a)로 식품적재 트레이(26)를 푸쉬하게 되며, 그 후 풀작동구간 PL에서 푸쉬상태로 있던 제1 푸셔(34)의 홀수층 푸쉬로드(34a)를 다시 원래의 상태로 당겨놓게 된다.
상기 홀수층 푸쉬로드(34a)에 의해서 식품적재 트레이(26)가 푸쉬되어지면 홀수층 식품적재 트레이(26)들은 안내레일부(16)상에서 한 식품적재 트레이(26)의 칸사이즈만큼 쉬프트(shift)되어진다. 그러므로 만일 냉동실(10)내 홀수층 안내레일부(16)상에 식품적재 트레이(26)들이 꽉차있다면 도 7에 도시된 일예와 같이, 쉬프트되는 맨앞쪽의 식품적재 트레이(26)는 빈상태로 홀수층에 내려와 있던 제2 승강구(32)의 짝수층 승강판(32a)에 실리게 된다.
그 다음, 제1 주구동기어(53)가 기어물림 작동하는 t3의 각도범위구간에서는 제1 승강구(30)의 한층 하강작동과 제2 승강구(32)의 한층 상승작동이 동시에 이루어진다. 그에 따라 빈상태로 있던 제1 승강구(30)의 각 승강판(30a)은 하부의 지하1층 및 짝수층으로 이동하게되고 제2 승강구(32)의 각 승강판(32a)은 식품적재 트레이(26)를 실은 상태에서 상부의 홀수층으로 이동하게된다.
그 후의 t4의 각도범위 구간에서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용 캠(42) 에 의해서 제1 승강구(30)의 홀수층 승강판(30a)과 제2 승강구(32)의 짝수층 승강판(32a)은 하강 및 상승한 해당 층에 그대로 머무르고 있으며, 또한 제2 푸쉬풀 캠(46)에 연결된 제2 푸쉬풀 작동대(52)에 의해서 제2 푸셔(36)가 도 8에서와 같이 t4의 각도범위구간중 푸쉬작동구간 PS에서 제2 푸셔(36)의 짝수층 푸쉬로드(36a)로 식품적재 트레이(26)를 푸쉬하게 되며, 그 후 풀작동구간 PL에서는 푸쉬상태로 있던 제2 푸셔(36)의 짝수층 푸쉬로드(36a)를 다시 원래의 상태로 당겨놓게 된다.
상기 짝수층 푸쉬로드(36a)에 의해서 식품적재 트레이(26)가 푸쉬되어지면 짝수층의 식품적재 트레이(26)들은 안내레일부(16)상에서 한 식품적재 트레이(26)의 칸사이즈만큼 우측으로 쉬프트(shift)되어진다. 그러므로 만일 냉동실(10)내 짝수층 안내레일부(16)상에 식품적재 트레이(26)들이 꽉차있다면 도 8에 도시된 일예와 같이, 쉬프트되는 맨앞쪽의 식품적재 트레이(26)는 빈상태로 짝수층에 내려와 있던 제1 승강구(30)의 짝수층 승강판(30a)에 실리게 된다. 그리고 최상층에 위치한 짝수층의 안내레일부(16)상에 식품적재 트레이(26)들이 꽉차있다면 쉬프트되는 맨앞쪽의 식품적재 트레이(26)는 출구측 컨베이어(74)로 이동하게된다.
한편 제3 주구동기어(56)가 작동하는 t4의 각도범위구간의 풀작동구간 PL의 시작점에서 입구측 컨베이어(72)와 출구측 컨베이어(74)가 작동되어지며, 상기 풀작동구간 PL의 종료점 즉, 초기상태에서 입구측 컨베이어(72)와 출구측 컨베이어(74)가 중단되어진다. 그에 따라 입구측 컨베이어(74)에 실린 식품적재 트레이(26)는 냉동실(10)의 지하 1층으로 들어오게 되고, 출구측 컨베이어(74)로 우측 쉬프트되어진 급속 동결상태의 식품적재 트레이(26)는 외부로 배출되어진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식품을 급속동결하는 장치에 대해서 구체적인 일예를 들면서 설명을 하였지만 밀가루 등의 식품원료를 반죽 숙성하는 숙성장치에도 본 발명의 구조를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변경 및 변형하여 적용할 수 있음이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여진다. 예컨대, 안내레일부의 레일에 안내롤러를 장치하고 냉열부를 온열부로 변경하면 숙성장치로도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 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컨베이어체인, 와이어, 베어링, 오일, 스프링을 포함하는 저온냉동환경에서 손상 및 파괴가 쉬운 부품들을 최소 장치되게 구성하여 유지보수 비용부담이 적으며 제작비용도 저렴한 장점이 있으며, 급속동결장치의 냉동챔버의 용적효율이 좋고 구조물 구동메카니즘도 간단하다는 이점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냉열에너지 및 구동에너지 소비를 최소화시킬 수 있으며 저온냉동 환경에서의 내구성도 좋다.

Claims (5)

  1. 식품의 동결장치에 있어서,
    냉동실(10)내 장치된 메인프레임(14)의 각 층별 안내레일부(16)를 따라 다수의 식품적재 트레이(26)가 미끄럼 안내되게 구성하고, 안내레일부(16)의 일측단에는 홀수층 승강판(30a)을 갖는 제1 승강구(30)와 홀수층 푸쉬로드(34a)를 갖는 제1 푸셔(34)가 구비되고 안내레일부(16)의 타측단에는 짝수층 승강판(32a)을 갖는 제2 승강구(32)와 짝수층 푸쉬로드(36a)를 갖는 제2 푸셔(36)가 구비되게 구성하되, 제1,2승강구(30)(32)를 승강작동시키는 승강작동대(48)와 제1 푸셔(34)와 제2 푸셔(36) 각각을 푸쉬풀 작동시키는 제1,제2 푸쉬풀 작동대(50)(52)를 갖는 기어박스부(40)가 제1 및 제2 승강구(30)(32)의 승강작동이 상호반대되게 이루어지게 하고 제1,제2 승강구(30)(32)에서의 각 승강판(30a)(32a) 상승상태에서 제1 및 제2 푸셔(34)(36)의 푸쉬로드(36a)(36b)를 선택적으로 푸쉬풀 작동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급속동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제1,제2 승강구(30)(32)는 기어박스부(40)내 제1 주구동기어(53)를 통해서 회전하는 승강용 캠(42)에 연결된 승강작동대(48)에 의해서 승강 작동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급속동결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제1,제2 푸셔(34)(36)는 기어박스부(40)내 제2, 제3 주구동기어(54)(56)를 통해서 회전하는 제1,제2 푸쉬풀 캠(44)(46) 각각에 연결된 제1,제2 푸쉬풀 작동대(50)(52)에 의해서 푸쉬풀 작동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급속동결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안내레일부(16)는 메인프레임(14)의 수직지지간(18)에 취부된 결합판재(20)에 안내홈(22)을 형성하고, 안내홈(22)의 상하부 및 내측부에 각 레일봉(24)들이 결합되게 하여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급속동결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냉동실(10)을 구성하는 단열벽체(12)의 후측벽에는 냉동실(10)을 급속동결 냉각온도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냉열부(76)가 장치되며, 단열벽체(12)의 전측벽에는 냉열부(76)의 다수 송풍구(77)를 통해서 형성되는 냉기류를 상측방과 하측방으로 유도 및 순환되게 하는 냉기유도부(78)가 장치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급속동결장치.
KR1020060134651A 2006-12-27 2006-12-27 식품 급속동결장치 KR1008283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4651A KR100828375B1 (ko) 2006-12-27 2006-12-27 식품 급속동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4651A KR100828375B1 (ko) 2006-12-27 2006-12-27 식품 급속동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28375B1 true KR100828375B1 (ko) 2008-05-08

Family

ID=396500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4651A KR100828375B1 (ko) 2006-12-27 2006-12-27 식품 급속동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837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53109A (zh) * 2019-04-03 2019-07-02 浙江大学舟山海洋研究中心 一种海产鱼类贴附冷冻保真结构及方法
CN113091400A (zh) * 2021-04-30 2021-07-09 楚天科技股份有限公司 冻融机的冻融方法及冻融机
KR20220067773A (ko) 2020-11-18 2022-05-25 이한상 포장얼음의 급속 냉동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6679A (ko) * 2000-03-20 2002-11-18 바리깡 스테리플로우 연질포장된 제품의 연속살균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6679A (ko) * 2000-03-20 2002-11-18 바리깡 스테리플로우 연질포장된 제품의 연속살균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53109A (zh) * 2019-04-03 2019-07-02 浙江大学舟山海洋研究中心 一种海产鱼类贴附冷冻保真结构及方法
CN109953109B (zh) * 2019-04-03 2022-04-12 浙江大学舟山海洋研究中心 一种海产鱼类贴附冷冻保真结构及方法
KR20220067773A (ko) 2020-11-18 2022-05-25 이한상 포장얼음의 급속 냉동시스템
CN113091400A (zh) * 2021-04-30 2021-07-09 楚天科技股份有限公司 冻融机的冻融方法及冻融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8375B1 (ko) 식품 급속동결장치
CN202396357U (zh) 连续式自动翻转两面烙饼机
CA2682399C (en) Tray-based continuous throughput blast freezer
CN108986311A (zh) 一种盒饭机
CN112407782B (zh) 冷冻生产线
CN209973330U (zh) 货架移动式车载多温自动共配冷藏柜
WO2014181417A1 (ja) 植物栽培装置、栽培ベッド昇降装置及び植物栽培工場
CN112407783B (zh) 冷冻食品流水线
CN105994468A (zh) 一种自动醒蒸一体机
CN209973278U (zh) 车载多温自动共配冷藏柜
RU2018140573A (ru) Разгрузочно-загруз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горизонтальных морозильных камер и морозильный аппарат с разгрузочно-загрузочным устройством для горизонтальных морозильных камер
CN116588617A (zh) 一种冷冻食品转运装置
CN205865802U (zh) 一种自动醒蒸一体机
CN112594994B (zh) 一种奶酪冷藏存取输送设备
CN115557072A (zh) 一种海洋冷链物流运输装置及工作方法
CN214002927U (zh) 一种冷链物流自动化立体仓储设备
CN211294064U (zh) 自动存饭贩卖柜
CN209373705U (zh) 一种盒饭机
CN111332704A (zh) 一种多种盒箱分区分层运行的冷却装置
CN220380040U (zh) 一种大体积块状包装多排多点间隔定位立体冻结装置
CN112820033A (zh) 一种冷冻餐食微波加热售货机
CN217330339U (zh) 自动出料式冰箱
CN220024077U (zh) 一种预制菜生产用速冻装置
CN213841470U (zh) 一种沉浸式速冻机
CN212291625U (zh) 一种多种盒箱分区分层运行的冷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