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7341B1 - 보온 냄비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보온 냄비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7341B1
KR100827341B1 KR1020020000175A KR20020000175A KR100827341B1 KR 100827341 B1 KR100827341 B1 KR 100827341B1 KR 1020020000175 A KR1020020000175 A KR 1020020000175A KR 20020000175 A KR20020000175 A KR 20020000175A KR 100827341 B1 KR100827341 B1 KR 1008273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t
heat storage
storage material
heat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01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90097A (ko
Inventor
스즈키구니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아이호
김재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아이호, 김재수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아이호
Publication of KR200200900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00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73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73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2Multiple-unit cooking vessels
    • A47J27/13Tie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00Soldering, e.g. brazing, or unsoldering
    • B23K1/0008Soldering, e.g. brazing, or unsolder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okers (AREA)
  • Thermally Insulated Containers For Foods (AREA)

Abstract

속냄비 안의 음식 재료에의 열전달 효율을 높일 수 있는 동시에, 축열재(蓄熱材)를 속냄비와 겉냄비 사이에 끼워 넣은 상태에서 속냄비와 겉냄비를 용이하게 결합시키는 것이 가능한 보온 냄비를 제공한다.
겉냄비(12)의 바닥면에 돌출부(12b)를 형성하고, 이 돌출부(12b) 안에 축열재(13)를 수납한 상태에서, 속냄비(11)와 겉냄비(12)를 서로 접합한다.
속냄비, 겉냄비, 돌출부, 축열재, 보온 냄비, 열전달.

Description

보온 냄비 및 그 제조 방법 {HEAT-INSULATING PAN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보온 냄비의 종단면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보온 냄비 바닥부의 부분적 확대도이다.
도 3은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보온 냄비의 종단면도이다.
도 4는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보온 냄비 바닥부의 부분적 확대도이다.
도 5는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보온 냄비의 부분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보온 냄비의 종단면도로서, 그 제조 중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보온 냄비의 종단면도로서, 그 제조가 완료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종래의 보온 냄비의 분해 사시도(도 8 (A))와 종단면도(도 8 (B))이다.
도 9는 다른 종래의 보온 냄비의 종단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0: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보온 냄비, 11: 속냄비, 12: 겉냄비, 12a: 겉냄비 본체, 12b: 돌출부, 13: 축열재, 14: 손잡이, 15: 공간, 16: 접착제층, 20: 제2 실 시 형태에 관한 보온 냄비, 21: 2중 바닥 부재, 22: 제2 축열재, 24: 제2 접착제층, 30: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보온 냄비, 31, 33: 볼록부, 32, 34: 오목부.
본 발명은 보온 냄비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며, 특히, 음식 재료를 가열 조리한 후, 다시 가열하지 않고, 그 음식 재료를 보온할 수 있는 보온 냄비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음식 재료를 가열 조리한 후, 다시 가열하지 않고 그 음식 재료를 보온할 수 있는 보온 냄비가 제안되어 있다.
그 하나로서, 일본국 실개소 59(1984)-133133호 공보에 기재된 보온 냄비를 도 8에 나타낸다. 도 8은 이 보온 냄비의 분해 사시도(도 8 (A))와 종단면도(도 8 (B))이다.
도 8에 나타낸 것과 같이, 이 보온 냄비는 플랜지부(1a)를 가지는 바닥이 있는 원통의 속냄비(1)와, 바닥이 있는 원통의 겉냄비(2)로 이루어지며, 겉냄비(2)의 내측에 속냄비(1)가 배치된다. 플랜지부(1a)와 겉냄비(2)의 상단부(2a)가 용접, 기타의 방법에 의해 접합됨으로써, 속냄비(1)와 겉냄비(2)가 결합되어 있다.
속냄비(1)의 외주 측면과 겉냄비(2)의 내주 측면 사이에는 공간(3)이 형성되어 있고, 속냄비(1)의 바닥면과 겉냄비(2)의 바닥면 사이에는 공간(3a)이 형성되어 있다.
도 8에 나타낸 보온 냄비에 의하면, 열원(熱源)에 의해 가열된 공기가 공간(3 및 3a)에 가두어지기 때문에, 이 가열 공기에 의해 속냄비(1)의 내부에 넣어져 있는 음식 재료의 보온이 이루어진다고 하는 것이다.
도 9는 다른 보온 냄비의 예로서, 일본국 특개평 9(1997)-206201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보온 냄비의 단면도이다.
이 보온 냄비는 속냄비(6), 겉냄비(7) 및 축열재(9)로 이루어져 있다.
속냄비(6)는 상방이 개구되어 있는 동시에, 바닥면에는 하방으로부터 보아 오목형의 오목부(6a)가 형성되어 있다. 속냄비(6)는 1장의 금속판으로 형성되어 있다. 겉냄비(7)는 상방이 개구되어 있고 바닥이 있는 원통 형상을 이루고 있다. 속냄비(6)와 겉냄비(7)는 축열재(9)가 속냄비(6)의 오목부(6a)에 수납된 상태에서 쌍방의 상단이 접합됨으로써, 서로 결합되어 있다. 겉냄비(7)의 내경(內徑)은 속냄비(6)의 외경(外徑)보다도 크게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속냄비(6)와 겉냄비(7)를 결합시킨 상태에서는, 속냄비(6)와 겉냄비(7) 사이에 링형의 공간(8)이 형성된다.
속냄비(6)가 1장의 금속판으로 성형되어 있기 때문에, 속냄비(6) 바닥면의 오목부(6a)는 드로잉 가공에 의해 형성된다.
겉냄비(7)의 내주면 바닥면과 축열재(9) 사이, 또 축열재(9)와 오목부(6a) 사이는 납재료를 통해 용접되어 있다. 또, 속냄비(6)의 상단부는 굽힘 가공을 실시한 다음, 납재료를 통해 겉냄비(7)의 상단부에 용접되어 있다.
그러나, 도 8에 나타낸 보온 냄비에서는, 속냄비(1)의 바닥부와 겉냄비의 바닥부 사이에 공간(3a)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열원으로부터의 열은 겉냄비(2)의 바닥부를 가열하고, 그 열이 공간(3a) 내부의 공기를 고온으로 하고, 이어서, 이 고온으로 열이 가해진 공기로부터 속냄비(1)의 바닥부에 열이 전달되고, 마지막으로, 속냄비(1) 내부의 음식 재료나 수분을 가열한다. 즉, 속냄비(1)의 바닥부와 겉냄비(2)의 바닥부 사이에 공간(3a)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열원으로부터의 열이 속냄비(1) 안의 음식 재료에 직접적으로는 전도되기 어렵다.
이 때문에, 음식 재료에의 가열 온도가 낮게 억제되어, 가열 시의 열 전도율도 저하시키지 않을 수 없었다.
이와 같이, 도 8에 나타낸 보온 냄비는 가열 조리에 장시간을 요할 뿐만 아니라, 속냄비(1) 내부의 음식 재료를 고온으로 가열하기 어렵다고 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 도 9에 나타낸 보온 냄비에서는, 드로잉 가공을 실시한 속냄비(6)의 되접어 꺾은 부분(6b)에 수분이 진입하거나, 또는 음식 재료 찌꺼기가 끼이기 쉬운 데다, 되접어 꺾은 부분(6b)은 세정(洗淨)하기가 매우 곤란하기 때문에, 도 9에 나타낸 보온 냄비는 위생면에서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속냄비(6)는 겉냄비(7)의 내부에 전체가 삽입되기 때문에, 속냄비(6)의 최하단(즉, 오목부(6a)의 정상부)과 겉냄비(7)의 바닥면을 용접하는 것이 매우 곤란했다. 이 때문에, 속냄비(6)와 겉냄비(7)는 각각의 상단부에서만 서로 접합되어 있지만, 이것만으로는 속냄비(6)와 겉냄비(7)의 접합 강도가 충분하지 못했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속냄비 안의 음식 재료에의 열전달 효율을 높일 수 있는 동시에, 축열재를 속냄비와 겉냄비 사이에 끼워 넣은 상태에서 속냄비와 겉냄비를 용이하게 결합시키는 것이 가능한 보온 냄비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청구항 1에서, 속냄비와, 상기 속냄비의 외측에 배치되는 겉냄비와, 상기 속냄비와 상기 겉냄비 사이에 배치되는 축열재(蓄熱材)를 구비하는 보온 냄비로서, 상기 속냄비는 제1 내경(內徑)과 제1 깊이를 가지는 원통형의 바닥이 있는 냄비로 이루어지며, 상기 겉냄비는 겉냄비 본체와, 상기 겉냄비 본체의 바닥부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돌출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겉냄비 본체의 상단과 상기 속냄비의 상단은 서로 접합되어 있고, 상기 겉냄비 본체는 상기 제1 내경보다도 큰 제2 내경과 상기 제1 깊이보다도 깊은 제2 깊이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2 내경보다도 작은 제3 내경과, 제1 높이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축열재는 상기 제3 내경과 동일한 외경을 가지는 원판 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상기 축열재는 상기 돌출부에 수납된 상태에서 상기 속냄비의 바닥면과 상기 돌출부 사이에 끼워 배치되어 있는 보온 냄비를 제공한다.
본 청구항에 관한 보온 냄비에 의하면, 열원으로부터의 열은 겉냄비 및 축열재를 거쳐 속냄비에 전달되어, 속냄비 안의 음식 재료를 가열한다. 열원으로부터의 열의 일부는 축열재에 축적되기 때문에, 이 축적된 열에 의해 일단 가열된 음식 재료가 보온된다.
이와 같이, 본 청구항에 관한 보온 냄비에 의하면, 도 8에 나타낸 종래의 보온 냄비와는 달리, 열원으로부터의 열은 거의 직접적으로 속냄비 안의 음식 재료에 전달되기 때문에, 열전도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청구항에 관한 보온 냄비에서는, 축열재는 겉냄비의 돌출부에 수납되므로, 축열재를 용이하게 위치 결정할 수 있고, 또한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본 청구항에 관한 보온 냄비에 의하면, 축열재를 속냄비 외주면의 바닥부에 접합시킨 후에 겉냄비를 속냄비에 결합시킬 수 있으므로, 도 9에 나타낸 종래의 보온 냄비와는 달리, 속냄비와 겉냄비를 충분한 접합 강도를 갖고 서로 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청구항 2에 기재되어 있는 것과 같이, 상기 제3 내경 및 상기 축열재의 외경은 상기 제1 내경보다도 작게 설정할 수 있다.
또는, 청구항 3에 기재되어 있는 것과 같이, 상기 제3 내경 및 상기 축열재의 외경은 상기 제1 내경과 동일하게 설정할 수도 있다.
청구항 4에 기재되어 있는 것과 같이, 본 발명에 관한 보온 냄비는 상기 축열재를 상기 속냄비의 바닥면 및 상기 돌출부에 접착시키는 접착제층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접착제층을 형성함으로써, 축열재를 속냄비에 대하여 위치 결정한 다음, 확실하게 속냄비에 접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 축열재와 속냄비 및 돌출부 사이의 접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청구항 5에 기재되어 있는 것과 같이, 상기 돌출부에는 볼록부를 형성하고, 상기 축열재의 바닥면에는 상기 볼록부에 끼워 맞추는 오목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이 볼록부와 오목부의 조합에 의해, 축열재를 돌출부의 내부에 배치하는 경우에 축열재를 용이하게 돌출부에 대하여 위치 결정할 수 있는 동시에, 축열재의 돌출부에 대한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청구항 6에 기재되어 있는 것과 같이, 본 보온 냄비는 상기 겉냄비의 바닥면을 덮고, 상기 겉냄비 본체의 외연(外緣)에서 접합되는 2중 바닥 부재와, 상기 2중 바닥 부재와 상기 돌출부의 바닥면 사이에 끼워 넣어진 제2 축열재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제2 축열재를 설치함으로써, 본 보온 냄비의 축열량을 늘릴 수 있으므로, 본 보온 냄비의 보온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 제2 축열재는 속냄비 및 겉냄비와는 별개의 부품인 2중 바닥 부재를 통해 유지되므로, 상기 보온 냄비에 대하여 용이하게 제2 축열재를 추가시킬 수 있다.
또, 청구항 7에 기재되어 있는 것과 같이, 상기 2중 바닥 부재의 상면에는 볼록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축열재의 바닥면에는 상기 볼록부에 끼워 맞추는 오목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이 볼록부와 오목부와의 조합에 의해, 제2 축열재를 용이하게 2중 바닥 부재에 대하여 위치 결정할 수 있는 동시에, 제2 축열재의 2중 바닥 부재에 대한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보온 냄비는 청구항 8에 기재되어 있는 것과 같이, 상기 제2 축열재를 상기 2중 바닥 부재 및 상기 돌출부의 바닥면에 접착시키는 제2 접착제층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제2 접착제층을 형성함으로써, 제2 축열재를 돌출부의 외주면 바닥면에 대하여 위치 결정한 다음, 확실하게 2중 바닥 부재에 접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 제2 축열재와 2중 바닥 부재 및 돌출부 사이의 접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접착제층 및 상기 제2 접착제층으로서는, 청구항 9에 기재되어 있는 것과 같이,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4불화 알루미늄 칼륨 또는 이들의 분체(粉體), 은, 구리, 산화 베릴륨, 스틸, 땜납, 산화 알루미늄, 폴리이미드, 폴리벤트이미다졸, 실리콘, 변성 실리콘, 에폭시 수지, 페놀 수지, 노볼락, 산무수물(酸無水物), 니트릴, N-메틸피롤리돈, 석영 유리, 파이렉스, 소다 유리, 티탄산 바륨, 페라이트, 탄소 구리, 듀랄루민, 놋쇠 및 이들 유도체 중에서 하나 또는 2개 이상의 조합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청구항 10에서, 청구항 4에 기재된 보온 냄비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축열재를 상기 속냄비의 외주 바닥면에 상기 접착제층을 통해 접착시키는 제1 공정과, 상기 속냄비를 상기 겉냄비의 내부에 넣고, 상기 축열재를 상기 돌출부의 내부에 상기 접착제층을 통해 접착시키는 제2 공정과, 상기 속냄비의 상단부와 상기 겉냄비의 상단부를 접합하는 제3 공정을 구비하는 보온 냄비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또, 본 발명은 청구항 11에서, 청구항 8에 기재된 보온 냄비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축열재를 상기 속냄비의 외주 바닥면에 상기 접착제층을 통해 접착시키는 제1 공정과, 상기 속냄비를 상기 겉냄비의 내부에 넣고, 상기 축열재를 상기 돌출부의 내부에 상기 접착제층을 통해 접착시키는 제2 공정과, 상기 속냄비의 상단부와 상기 겉냄비의 상단부를 접합하는 제3 공정과, 상기 제2 축열재를 상기 제2 접착제층을 통해 상기 돌출부의 바닥면에 접착시키는 제4 공정과, 상기 2중 바닥 부재를 상기 제2 접착제층을 통해 상기 제2 축열재에 접착시키는 제5 공정을 구비하는 보온 냄비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청구항 12에 기재되어 있는 것과 같이, 상기 제1 및 제2 공정에서는, 0.5 ×103Kg/㎠ 내지 1.0 ×103kg/㎠ 범위의 압력을 작용시켜, 상기 축열재를 접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착제층을 통해 축열재를 속냄비 및 돌출부의 쌍방에 접착시키는 경우, 접착제층에 압력을 작용시키면, 접착력을 늘릴 수 있는 등시에, 접착제층이 고화(固化)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접착제층에 작용시키는 적절한 압력의 범위를 결정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발명자는 여러 가지의 실험을 한 결과, 0.5 ×103Kg/㎠ 내지 1.0 ×103kg/㎠ 범위의 압력이 적당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청구항 13에 기재되어 있는 것과 같이, 상기 제4 및 제5 공정에서는, 0.5 ×103Kg/㎠ 내지 1.0 ×103kg/㎠ 범위의 압력을 작용시켜, 상기 제2 축열재를 접착 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접착제층을 통해 제2 축열재를 겉냄비 및 2중 바닥 부재의 쌍방에 접착시키는 경우, 제2 접착제층에 압력을 작용시키면, 접착력을 늘릴 수 있는 동시에, 제2 접착제층이 고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제2 접착제층에 작용시키는 적절한 압력의 범위를 결정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발명자는 여러 가지의 실험을 한 결과, 0.5 ×103Kg/㎠ 내지 1.0 ×103kg/㎠ 범위의 압력이 적당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청구항 14에 기재되어 있는 것과 같이, 상기 제1 및 제2 공정에서는, 섭씨 400°내지 500°범위의 온도를 작용시켜, 상기 축열재를 접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착제층을 통해 축열재를 속냄비 및 돌출부의 쌍방에 접착시키는 경우, 접착제층을 가열하면, 접착제층이 고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접착체층에 가열하는 적절한 온도 범위를 결정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발명자는 여러 가지의 실험을 한 결과, 섭씨 400°내지 500°범위의 온도가 적당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청구항 15에 기재되어 있는 것과 같이, 상기 제4 및 제5 공정에서는, 섭씨 400°내지 500°범위의 온도를 작용시켜, 상기 제2 축열재를 접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접착제층을 통해 제2 축열재를 겉냄비 및 2중 바닥 부재의 쌍방에 접착시키는 경우, 제2 접착제층을 가열하면, 제2 접착제층이 고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제2 접착체층에 가열하는 적절한 온도 범위를 결정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발명자는 여러 가지의 실험을 한 결과, 섭씨 400°내지 500°범위의 온도가 적당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본 발명은 청구항 16은, 제4항에 기재된 보온 냄비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축열재를 상기 속냄비의 외주 바닥면에 상기 접착제층을 통해 접착시키는 제1 공정과, 상기 속냄비를 상기 겉냄비의 내부에 넣고, 상기 축열재를 상기 돌출부의 내부에 상기 접착제층을 통해 접착시키는 제2 공정과, 상기 속냄비의 상단부와 겉냄비의 상단부 사이에 간격을 형성한 후, 이 간격에 일정한 길이 용접 등을 행하여 속냄비의 상단부와 겉냄비의 상단부를 서로 결합시켜 주는 공정, 및 상기 속냄비의 상단부와 겉냄비의 상단부를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속냄비(41)와 겉냄비를 그 상단부로부터 일측 하방으로 절곡하면서 둥글게 말아주는 컬링(curling) 공정을 포함하는 보온 냄비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보온 냄비(10)의 종단면도이다. 그리고, 특히 명기하지 않는 한,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 형태에서는 재료의 두께는 고려하지 않는 것으로 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보온 냄비(10)는 속냄비(11)와 속냄비(11)의 외측에서, 속냄비(11)와 동심(同心)으로 배치되는 겉냄비(12)와, 속냄비(11)와 겉냄비(12) 사이에 배치되는 축열재(13)와, 겉냄비(12)의 한 직경 방향의 양단에서 겉냄비(12)에 장착되어 있는 한 쌍의 손잡이(14)를 구비하고 있다.
속냄비(11) 및 겉냄비(12)는 모두 스테인레스강 등의 열 전도율이 큰 재료로 만들어 지며, 축열재(13)도 동일하게 알루미늄 합금 등 열 전도율이 큰 재료로 만 들어져 있다. 이에 대하여, 손잡이(14)는 합성 수지 등 열 전도율이 작은 재료로 만들어져 있다.
속냄비(11)는 제1 내경(R1)과 제1 깊이(D1)를 가지는 원통형의 바닥이 있는 냄비로 이루어진다.
겉냄비(12)는 겉냄비 본체(12a)와, 겉냄비 본체(12a)의 바닥부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돌출부(12b)로 이루어져 있다.
겉냄비 본체(12a)는 제1 내경(R1)보다도 큰 제2 내경(R2)과 제1 깊이(D1)보다도 깊은 제2 깊이(D2)를 가지고 있다.
또, 돌출부(12b)는 제1 내경(R1)보다도 작은 제3 내경(R3)과, 제1 높이(H1)를 가지고 있다.
속냄비(11)는 그 상단보다 약간 하방에서 크랭크(crank)형으로 굴곡되어 있고, 또한 그 상단(12c)은 외측으로 절곡(折曲)되어 있다. 겉냄비 본체(12a)도 속냄비(11)와 동일하게, 그 상단보다 약간 하방에서 크랭크형으로 굴곡되어 있다. 속냄비(11)와 겉냄비(12)는 겉냄비 본체(12a)의 상단이 속냄비(11)가 절곡된 상단(12c) 내부에 삽입되며, 필요에 따라 다시 용접함으로써, 서로 결합되어 있다.
속냄비(11)가 절곡된 상단(12c)이 이루는 원형 영역의 면적은 속냄비(11)의 굴곡 개소에 놓여지는 덮개(도시하지 않음)의 점유 면적보다도 약 1.5배 정도 넓어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축열재(13)는 원판 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제3 내경(R3)과 동일한 외경과 다음 식으로 표현되는 높이(H2)를 가지고 있다.
H2 = H1 + (D2 - D1)
축열재(13)는 돌출부(12b)에 수납된 상태에서, 속냄비(11)의 외주 바닥면과 돌출부(12b) 사이에 끼워 넣어져 있다.
축열재(13)는 용접에 의해 속냄비(11)에 고정되어 있다. 용접 방법으로서는, 납제(劑)를 통해 행하는 납땜 용접, 아크 용접 또는 가스 용접을 선택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보온 냄비(10)에서는, 열원(도시하지 않음)으로부터의 열은 겉냄비(12)의 돌출부(12b) 바닥면 및 축열재(13)를 거쳐 속냄비(11)에 전달되어, 속냄비(11) 안의 음식 재료를 가열한다. 열이 속냄비(11)에 전달될 때, 열원으로부터의 열의 일부는 축열재(13)에 축적된다. 이 축적된 열에 의해, 일단 가열된 속냄비(11) 안의 음식 재료가 보온된다.
또,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보온 냄비(10)에 의하면, 도 8에 나타낸 종래의 보온 냄비와는 달리, 열원으로부터의 열은 거의 직접적으로 속냄비(11) 안의 음식 재료에 전달된다. 이 때문에, 열전달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보온 냄비(10)에서는, 축열재(13)는 겉냄비(12)의 돌출부(12b)에 수납되므로, 축열재(13)를 용이하게 위치 결정할 수 있고, 또한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축열재(13)를 속냄비(11)의 외주면 바닥부에 접합시킨 후 겉냄비(12)를 속냄비(11)에 결합시킬 수 있으므로, 도 9에 나타낸 종래의 보온 냄비와는 달리, 속냄비(11)와 겉냄비(12)를 충분한 접합 강도를 갖고 서로 결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보온 냄비(10)에서는, 제3 내경(R3) 및 축열재(13)의 외경은 제1 내경(R1)보다도 작게 설정되어 있지만, 제3 내경(R3) 및 축열재(13)의 외경은 제1 내경(R1)과 동일하게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축열재(13)는 접착제를 통해 속냄비(11)의 바닥면 및 돌출부(12b)의 내면에 접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도 2는 접착제층(16)을 통해 축열재(13)를 속냄비(11)의 바닥면 및 돌출부(12b)의 내면에 접착시킨 경우의 부분적인 확대 단면도이다.
도 2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접착제층(16)을 형성함으로써, 예를 들면, 맨처음 축열재(13)를 속냄비(11)에 대하여 접착하고, 이어서 돌출부(12b)에 접착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축열재(13)를 속냄비(11)에 대하여 위치 결정한 다음, 확실하게 속냄비(11)에 접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 축열재(13)와 속냄비(11) 및 돌출부(12b) 사이의 접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접착제층(16)을 이루는 접착제가 축열재(13)와 속냄비(11) 사이, 또는 축열재(13)와 돌출부(12b) 사이로부터 누출되었다고 해도, 접착제는 속냄비(11)와 겉냄비(12) 사이의 공간에 누출되므로, 보온 냄비(10)의 품질 또는 성능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그리고, 접착제층(16)의 성분은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4불화 알루미늄 칼륨 또는 이들의 분체(粉體), 은, 구리, 산화 베릴륨, 스틸, 땜납, 산화 알루미늄, 폴리이미드, 폴리벤트이미다졸, 실리콘, 변성 실리콘, 에폭시 수지, 페놀 수 지, 노볼락, 산무수물(酸無水物), 니트릴, N-메틸피롤리돈, 석영 유리, 파이렉스, 소다 유리, 티탄산 바륨, 페라이트, 탄소 구리, 듀랄루민, 놋쇠 및 이들 유도체의 하나 또는 2개 이상의 조합으로부터 선택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보온 냄비(10)의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속냄비(11)의 개구부를 하향으로 하고, 바닥부를 상향으로 한다.
이어서, 속냄비(11)의 바닥부 외주면에 알루미늄 합금 분말의 접착제를 도포하고, 원판형의 축열재(13)를 속냄비(11)와 동심이 되도록 접착한다.
이 때, 접착면은 플라스마 등의 활성 가스를 사용하여 세정하고, 유기물의 찌꺼기를 완전히 제거해 둔다. 이 세정이 불충분하면, 접착면에 보이드(기포)가 많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이하도 동일하게, 접착면은 사전에 충분히 세정해 둔다. 또한, 속냄비(11)의 내면은 흠이 나지 않도록 보호해 둔다.
다음에, 겉냄비(12)의 바닥부 내주면에 알루미늄 합금 분말의 접착제를 도포하고, 축열재(13)가 접착된 속냄비(11)를 겉냄비(12)의 안에 끼워 넣는다. 이 때, 축열재(13)가 겉냄비(12) 바닥부의 돌출부(12b)에 끼워 넣어지도록 천천히 삽입하는 동시에, 겉냄비(12)의 상단이 속냄비(11)가 절곡된 상단(12c)에 삽입되도록 한다.
축열재(13)의 돌출부(12b)에의 끼워 넣기가 확인된 후, 겉냄비(12) 바닥부의 외주면에 상방으로부터 누른다. 누르기 위한 압력은 0.5 ×103Kg/㎠ 내지 1.0 ×103kg/㎠ 범위 내로 한다. 이 값은 본 발명의 발명자가 실험에 의해 구한 최적 범 위이다.
예를 들면, 겉냄비(12)의 외경이 약 20cm이면, 약 200톤 내지 400톤의 중량으로 겉냄비를 누른다.
이에 따라, 축열재(13)와 속냄비(11) 바닥부와의 접착면 및 축열재(13)와 겉냄비(12) 바닥부와의 접착면에 기체가 들어가지 않고, 또 보온 냄비(10)를 변형시키지 않고, 축열재(13)를 속냄비(11) 및 돌출부(12b) 쌍방에 접착시킬 수 있다.
이어서, 접착제를 400℃ 내지 500℃로 가열 용해하여, 축열재(13)와 속냄비(11) 사이, 및 축열재(13)와 돌출부(12b) 사이를 빈틈 없이 접착시킨다.
그 후, 속냄비(11)가 절곡된 상단(12c)에 삽입되어 있는 겉냄비(12)의 상단을 용접에 의해 접합한다. 그리고, 이 용접은 속냄비(11) 및 겉냄비(12) 쌍방의 상단이 완전히 밀착될 정도로 할 필요는 없고, 속냄비(11)와 겉냄비(12)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공간(15)이 외기(外氣)와 조금이라도 연이어 통할 수 있을 정도로 느슨하게 접합시켜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보온 냄비(20)의 종단면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보온 냄비(20)는 도 1에 나타낸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보온 냄비(10)의 구조에 더하여, 겉냄비(12)의 바닥면 전체를 덮고, 주변에서 겉냄비 본체(12a)의 외연에서 접합되는 2중 바닥 부재(21)와, 2중 바닥 부재(21)와 돌출부(12b)의 바닥면 사이에 끼워 넣어진 제2 축열재(22)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다.
2중 바닥 부재(21)는 상방이 개구되어 있는 원뿔 사다리꼴형을 이루고 있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보온 냄비(10)의 구조는 도 1에 나타낸 제1 실 시 형태에 관한 보온 냄비(10)의 구조와 다음의 두가지 점에서 상이하다.
첫번째 점은 축열재(13)의 외경(R3)이 속냄비(11)의 내경(R1)과 거의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는 점이다.
두번째 점은 겉냄비(12)의 깊이(D2)와 속냄비(11)의 깊이(D1)가 거의 동일하게 설정되고, 또한 축열재(13)의 높이(H2)가 돌출부(12b)의 높이(H1)와 거의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는 점이다.
이들 두가지 점을 제외하고, 본 실시 형태에서의 보온 냄비(10)는 도 1에 나타낸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보온 냄비(10)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보온 냄비(20)에 의하면, 축열재(13)에 더하여 제2 축열재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보온 냄비(20)의 축열량을 늘릴 수 있어, 보온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 제2 축열재(22)는 속냄비(11) 및 겉냄비(12)와는 별개의 부품인 2중 바닥 부재(21)를 통해 지지되므로, 예를 들면,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보온 냄비(10)에 대하여, 용이하게 제2 축열재(22)를 추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축열재(13)와 제2 축열재(22)는 동일 크기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크기를 동일하게 함으로써, 부품 개수의 증가를 방지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본 보온 냄비(20)의 제조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제2 축열재(22)는 접착제를 통해 2중 바닥 부재(21) 및 돌출부(12b)의 바닥면에 접착시킬 수 있다.
도 4는 접착제층(24)을 통해 제2 축열재(22)를 2중 바닥 부재(21) 및 돌출부(12b)의 바닥면에 접착시킨 경우의 부분적인 확대 단면도이다.
도 4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축열재(13)도 접착제층(16)을 통해 속냄비(11)의 외주 바닥면 및 돌출부(12b)에 접착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접착제층(16, 24)을 통해 축열재(13) 및 제2 축열재(22)를 고정함으로써, 축열재(13) 및 제2 축열재(22)와 주위의 부재 사이의 접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접착제층(24)을 이루는 접착제가 축열재(22)와 돌출부(12b)의 외주 바닥면 사이, 또는 축열재(22)와 2중 바닥 부재(21) 사이로부터 누출되었다고 해도, 접착제는 겉냄비(12)와 2중 바닥 부재(21) 사이의 공간으로 누출되므로, 보온 냄비(20)의 품질 또는 성능에 아무런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그리고, 접착제층(24)의 성분은 접착제층(16)의 성분과 동일한 성분으로 할 수 있다.
이어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보온 냄비(20) 치수의 일례를 이하에 나타낸다.
속냄비(11)의 내경(R1) = 230mm
속냄비(11)의 깊이(D1) = 115mm
속냄비(11)의 개구부 내경 = 250mm
겉냄비(12)의 내경(L2) = 250mm
겉냄비(12)의 깊이(D2)= 115mm
돌출부(12b)의 높이(H1) = 4mm
돌출부(12b)의 외경 = 230mm
축열재(13)의 내경(R3) = 229.5mm
축열재(13)의 높이(H2) = 4mm
제2 축열재(22)의 내경 = 230mm
제2 축열재(22)의 높이 = 4mm
2중 바닥 부재(21)의 높이 = 20mm
2중 바닥 부재(21)의 외경 = 250mm
2중 바닥 부재(21)의 바닥부 외경 = 230mm
속냄비(11), 겉냄비(12), 2중 바닥 부재(21)의 두께 = 0.5mm
이하,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보온 냄비(20)의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전술한 제조 방법에 의해,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보온 냄비(10)를 제조한다.
그 후, 겉냄비(12)의 바닥부를 상향으로 하고, 겉냄비(12)의 돌출부(12b) 외주면을 4불화 알루미늄 칼륨 분말의 접착제를 도포하고, 제2 축열재(22)를 겉냄비(12)와 동심이 되도록 돌출부(12b)의 바닥면에 접착시킨다. 이 때, 접착면은 플라스마 등의 활성 가스를 사용하여 세정하고, 유기물의 찌꺼기를 완전히 제거해 둔다.
한편, 제2 축열재(22)의 표면에 접착제를 도포한다.
그 후, 바로 2중 바닥 부재(21)를 제2 축열재(22)에 눌러 2중 바닥 부재(21)를 제2 축열재(22)에 접착시키는 동시에, 2중 바닥 부재(21)의 선단을 겉냄비 본체(12a)의 외연에 용접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보온 냄비(30)의 부분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보온 냄비(30)는 도 3에 나타낸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보온 냄비(20)의 변형예이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보온 냄비(30)에서는, 속냄비(11)의 돌출부(12b) 내주 바닥면의 중앙에는 원통 형상의 볼록부(31)가 형성되어 있고, 이 볼록부(31)에 대응하여 축열재(13)의 중앙에는 관통공(32)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공(32)은 볼록부(31)의 외경과 동일한 외경을 가지고 있다. 이 때문에, 볼록부(31)는 관통공(32)에 끼워맞춤이 가능하다.
마찬가지로, 2중 바닥 부재(21)의 내주 바닥면 중앙에는, 원통 형상의 볼록부(33)가 형성되어 있고, 이 볼록부(33)에 대응하여 제2 축열재(22)의 중앙에는 관통공(34)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공(34)은 볼록부(33)의 외경과 동일한 외경을 가지고 있다. 이 때문에, 볼록부(33)는 관통공(34)에 끼워맞춤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볼록부(31)와 오목부(32)와의 조합에 의해, 축열재(13)를 돌출부(12b)의 내부에 배치하는 경우, 축열재(13)를 용이하게 돌출부(12b)에 대하여 위치 결정할 수 있는 동시에, 축열재(13)를 돌출부(12b)에 대하여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볼록부(33)와 오목부(34)의 조합에 의해, 제2 축열부(22)를 용이하게 2중 바닥 부재(21)에 대하여 위치 결정할 수 있는 동시에, 제2 축열재(22)를 2중 바닥 부재(21)에 대하여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볼록부(31, 33)의 형상은 반드시 원통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다각형 형상 그 밖의 임의의 단면 형상을 채용할 수 있다.
또, 볼록부(32, 33)는 반드시 돌출부(12b) 또는 2중 바닥 부재(21)의 중앙에 형성하는 것이 필요하지 않으며, 중앙 이외의 개소에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보온 냄비(30)의 제조 방법은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보온 냄비(20)와 동일하다. 볼록부(31)를 오목부(32)에 끼워 맞추는 공정 및 볼록부(33)를 오목부(34)에 끼워 맞추는 공정이 추가적으로 가해질 뿐이다.
도 6은 및 도 7은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보온 냄비의 종단면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보온 냄비(40)는 도 1에 나타낸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보온 냄비(10)의 변형예로서, 하기의 사항 이외에는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보온 냄비(40)는 속냄비(41)와 이 속냄비(41)의 외측에서 속냄비(41)와 동심으로 배치되는 겉냄비(42)를 포함한다.
상기 속냄비(41)의 상단부와 겉냄비(42)의 상단부 사이는 축열재(13)와 속냄비(41) 및 축열재(13)와 겉냄비(42)의 돌출부(12b) 사이의 결합에 따라 일정한 간격을 이루며, 상기 간격에는 이 속냄비(41)의 상단부와 겉냄비(42)의 상단부를 서로 용접 등으로 결합시켜 주기 위한 결합부(43)가 제공된다.
상기 속냄비(41)의 상부에는 이 속냄비(41)의 상단부로부터 일측 하방으로 절곡하면서 둥글게 말아주는 제1 컬링(curling)부(44)가 형성되며, 상기 겉냄비(42)의 상부에는 속냄비(41)의 상단부와 겉냄비(42)의 상단부가 결합부에 의하여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이 겉냄비(42)의 상단부로부터 일측 하방으로 절곡하면 서 둥글게 말아주는 제2 컬링부(45)가 형성된다.
상기 제2 컬링부(45)는 제1 컬링부(44)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이 제1 컬링부(44)와 동시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결합부(43)는 용접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속냄비(41)와 겉냄비(42)를 결합시켜 줄 수 있는 것이면 어떠한 것이라도 무방하다.
상기 결합부(43)는 일정한 길이, 즉 2~10mm 정도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속냄비(41)와 겉냄비(42)의 크기에 따라 가변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보온 냄비(40)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제4 실시 형태의 보온 냄비의 제조 방법은 하기의 사항 이외에는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다.
상기 제1 실시 형태에서와 같이 축열재(13)와 속냄비(41) 및 축열재(13)와 겉냄비(42)의 돌출부(12b) 사이를 접착시킨다.
그리고 상기 속냄비(41)와 축열재(13) 및 축열재(13)와 겉냄비(42)의 돌출부(12b) 사이의 접착에 의하여 속냄비(41)의 상단부와 겉냄비(42)의 상단부 사이 형성된 간격에 일정한 길이, 예를 들면, 2~10mm 정도 용접하여, 속냄비(41)의 상단부와 겉냄비(42)의 상단부를 도 6과 같이 서로 결합시켜 준다.
이와 같이 상기 속냄비(41)의 상단부와 겉냄비(42)의 상단부를 결합한 상태에서, 도 7과 같이 상기 속냄비(41)와 겉냄비(42)를 그 상단부로부터 일측 하방으 로 절곡하면서 둥글게 말아주는 컬링(curling) 공정을 행한다.
이상 설명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관한 보온 냄비에 의하면, 열원으로부터의 열은 겉냄비 및 축열재를 통해 속냄비로 전달되어, 속냄비 안의 음식 재료를 가열한다. 열원으로부터의 열의 일부는 축열재에 축적되기 때문에, 이 축적된 열에 의해, 일단 가열된 음식 재료가 보온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보온 냄비에 의하면, 도 8에 나타낸 종래의 보온 냄비와는 달리, 열원으로부터의 열은 거의 직접적으로 속냄비 안의 음식 재료에 전달되기 때문에, 열전달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보온 냄비에서는, 축열재는 겉냄비의 돌출부에 수납되므로, 축열재를 용이하게 위치 결정할 수 있고, 또한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본 발명에 관한 보온 냄비에 의하면, 축열재를 속냄비의 외주면 바닥부에 접합시킨 후 겉냄비를 속냄비에 결합시킬 수 있으므로, 도 9에 나타낸 종래의 보온 냄비와는 달리, 속냄비와 겉냄비를 충분한 접합 강도를 갖고 서로 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2중 바닥 부재 및 제2 축열재를 추가로 설치함으로써, 본 보온 냄비의 축열량을 늘릴 수 있으므로, 본 보온 냄비의 보온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 제2 축열재는 속냄비 및 겉냄비와는 별개의 부품인 2중 바닥 부재를 통해 지지되므로, 축열재를 하나밖에 가지고 있지 않은 보온 냄비에 대하여 용이하게 제2 축열재를 추가시킬 수 있다.
또한, 겉냄비의 돌출부 또는 2중 바닥 부재에 각각 볼록부를 형성하고, 이들 볼록부에 대응하여, 축열재 또는 제2 축열재에 각각 오목부를 형성함으로써, 축열재 또는 제2 축열재을 용이하게 돌출부 또는 2중 바닥 부재에 대하여 위치 결정할 수 있는 동시에, 축열재 또는 제2 축열재를 돌출부 또는 2중 바닥 부재에 대하여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Claims (16)

  1. 속냄비와,
    상기 속냄비의 외측에 배치되는 겉냄비와,
    상기 속냄비와 상기 겉냄비 사이에 배치되는 축열재(蓄熱材)를 구비하는 보온 냄비로서,
    상기 속냄비는 제1 내경(內徑)과 제1 깊이를 가지는 원통형의 바닥이 있는 냄비로 이루어지며,
    상기 겉냄비는 겉냄비 본체와, 상기 겉냄비 본체의 바닥부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돌출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겉냄비 본체의 상단과 상기 속냄비의 상단은 서로 접합되어 있고,
    상기 겉냄비 본체는 상기 제1 내경보다도 큰 제2 내경과 상기 제1 깊이보다도 깊은 제2 깊이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2 내경보다도 작은 제3 내경과, 제1 높이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축열재는 상기 제3 내경과 동일한 외경(外徑)을 가지는 원판 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상기 축열재는 상기 돌출부에 수납된 상태에서 상기 속냄비의 바닥면과 상기 돌출부 사이에 끼워 배치되어 있는 보온 냄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내경 및 상기 축열재의 외경은 상기 제1 내경보다도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온 냄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내경 및 상기 축열재의 외경은 상기 제1 내경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온 냄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축열재를 상기 속냄비의 바닥면 및 상기 돌출부에 접착시키는 접착제층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온 냄비.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에는 볼록부가 형성되고, 상기 축열재의 바닥면에는 상기 볼록부에 끼워 맞추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온 냄비.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겉냄비의 바닥면을 덮고, 상기 겉냄비 본체의 외연(外緣)에서 접합되는 2중 바닥 부재와,
    상기 2중 바닥 부재와 상기 돌출부의 바닥면 사이에 끼워 넣어진 제2 축열재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온 냄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2중 바닥 부재의 상면에는 볼록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축열재의 바닥면에는 상기 볼록부에 끼워 맞추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온 냄비.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축열재를 상기 2중 바닥 부재 및 상기 돌출부의 바닥면에 접착시키는 제2 접착제층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온 냄비.
  9. 제4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층 및 상기 제2 접착제층은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4불화 알루미늄 칼륨 또는 이들의 분체(粉體), 은, 구리, 산화 베릴륨, 스틸, 땜납, 산화 알루미늄, 폴리이미드, 폴리벤트이미다졸, 실리콘, 변성 실리콘, 에폭시 수지, 페놀 수지, 노볼락, 산무수물(酸無水物), 니트릴, N-메틸피롤리돈, 석영 유리, 파이렉스, 소다 유리, 티탄산 바륨, 페라이트, 탄소 구리, 듀랄루민, 놋쇠 및 이들 유도체의 하나 또는 2개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온 냄비.
  10. 제4항에 기재된 보온 냄비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축열재를 상기 속냄비의 외주 바닥면에 상기 접착제층을 통해 접착시키는 제1 공정과,
    상기 속냄비를 상기 겉냄비의 내부에 넣고, 상기 축열재를 상기 돌출부의 내부에 상기 접착제층을 통해 접착시키는 제2 공정과,
    상기 속냄비의 상단부와 상기 겉냄비의 상단부를 접합하는 제3 공정
    을 구비하는 보온 냄비의 제조 방법.
  11. 제8항에 기재된 보온 냄비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축열재를 상기 속냄비의 외주 바닥면에 상기 접착제층을 통해 접착시키는 제1 공정과,
    상기 속냄비를 상기 겉냄비의 내부에 넣고, 상기 축열재를 상기 돌출부의 내부에 상기 접착제층을 통해 접착시키는 제2 공정과,
    상기 속냄비의 상단부와 상기 겉냄비의 상단부를 접합하는 제3 공정과,
    상기 제2 축열재를 상기 제2 접착제층을 통해 상기 돌출부의 바닥면에 접착시키는 제4 공정과,
    상기 2중 바닥 부재를 상기 제2 접착제층을 통해 상기 제2 축열재에 접착시키는 제5 공정
    을 구비하는 보온 냄비의 제조 방법.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공정에서는, 0.5 ×103Kg/㎠ 내지 1.0 ×103kg/㎠ 범위의 압력을 작용시켜, 상기 축열재를 접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온 냄비의 제조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및 제5 공정에서는, 0.5 ×103Kg/㎠ 내지 1.0 ×103kg/㎠ 범위의 압력을 작용시켜, 상기 제2 축열재를 접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온 냄비의 제조 방법.
  14.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공정에서는, 섭씨 400°내지 500°범위의 온도를 작용시켜, 상기 축열재를 접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온 냄비의 제조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및 제5 공정에서는, 섭씨 400°내지 500°범위의 온도를 작용시켜, 상기 제2 축열재를 접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온 냄비의 제조 방법.
  16. 제4항에 기재된 보온 냄비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축열재를 상기 속냄비의 외주 바닥면에 상기 접착제층을 통해 접착시키 는 제1 공정과,
    상기 속냄비를 상기 겉냄비의 내부에 넣고, 상기 축열재를 상기 돌출부의 내부에 상기 접착제층을 통해 접착시키는 제2 공정과,
    상기 속냄비의 상단부와 겉냄비의 상단부 사이에 간격을 형성한 후, 이 간격에 일정한 길이 용접 등을 행하여 속냄비의 상단부와 겉냄비의 상단부를 서로 결합시켜 주는 공정, 및
    상기 속냄비의 상단부와 겉냄비의 상단부를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속냄비(41)와 겉냄비를 그 상단부로부터 일측 하방으로 절곡하면서 둥글게 말아주는 컬링(curling) 공정
    을 포함하는 보온 냄비의 제조방법.
KR1020020000175A 2001-05-24 2002-01-03 보온 냄비 및 그 제조 방법 KR1008273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155191 2001-05-24
JP2001155191A JP4558979B2 (ja) 2001-05-24 2001-05-24 保温鍋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0097A KR20020090097A (ko) 2002-11-30
KR100827341B1 true KR100827341B1 (ko) 2008-05-06

Family

ID=189994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0175A KR100827341B1 (ko) 2001-05-24 2002-01-03 보온 냄비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4558979B2 (ko)
KR (1) KR100827341B1 (ko)
CN (1) CN1387813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4557B1 (ko) * 2012-03-13 2013-11-28 문인철 조리용기
KR101651079B1 (ko) 2016-01-21 2016-08-25 (주)성우금속 조리 및 보온기능을 겸비한 이중 냄비
KR101651078B1 (ko) 2016-01-21 2016-08-25 (주)성우금속 조리 및 보온기능을 겸비한 이중 냄비
WO2020153539A1 (ko) * 2019-01-23 2020-07-30 한상혁 다중 구조의 복합 베이스를 구비하는 요리기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52454B (zh) * 2017-03-31 2020-12-01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锅具和具有锅具的烹饪器具
CN108652414B (zh) * 2017-03-31 2020-11-20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锅具和具有锅具的烹饪器具
CN108991912A (zh) * 2018-09-29 2018-12-14 宁波百飞特厨具有限公司 汤锅
WO2022081027A1 (es) * 2020-10-14 2022-04-21 Picoaga Boluarte Eduardo Raul Parrilla doble portátil que no produce humo para cocina a gas
CN115474828A (zh) * 2022-09-30 2022-12-16 武汉苏泊尔炊具有限公司 用于锅具的导磁材料、其制备方法和包括导磁材料的锅具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06201A (ja) * 1996-02-05 1997-08-12 Nippon Sanso Kk 蓄熱鍋の製造方法
KR19990024221U (ko) * 1997-12-11 1999-07-05 조필휘 다공성 세라믹이 내장된 대류전열식 남비
KR20000016979U (ko) * 1999-02-11 2000-09-25 박종도 이중남비
KR200203452Y1 (ko) * 1998-02-25 2000-12-01 김고정 수증기 배출공이 저면에 구성된 2중 솥
KR20010028517A (ko) * 1999-09-21 2001-04-06 박종도 이중 구조의 냄비 및 그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15604A (ja) * 1996-02-09 1997-08-19 Nippon Sanso Kk 蓄熱鍋および断熱調理容器
JPH09215587A (ja) * 1996-02-09 1997-08-19 Nippon Sanso Kk 断熱調理容器
EP1105245B1 (en) * 1998-01-29 2008-04-02 Clad Metals LLC Method of bonding of dissimilar metal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06201A (ja) * 1996-02-05 1997-08-12 Nippon Sanso Kk 蓄熱鍋の製造方法
KR19990024221U (ko) * 1997-12-11 1999-07-05 조필휘 다공성 세라믹이 내장된 대류전열식 남비
KR200203452Y1 (ko) * 1998-02-25 2000-12-01 김고정 수증기 배출공이 저면에 구성된 2중 솥
KR20000016979U (ko) * 1999-02-11 2000-09-25 박종도 이중남비
KR20010028517A (ko) * 1999-09-21 2001-04-06 박종도 이중 구조의 냄비 및 그 제조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4557B1 (ko) * 2012-03-13 2013-11-28 문인철 조리용기
KR101651079B1 (ko) 2016-01-21 2016-08-25 (주)성우금속 조리 및 보온기능을 겸비한 이중 냄비
KR101651078B1 (ko) 2016-01-21 2016-08-25 (주)성우금속 조리 및 보온기능을 겸비한 이중 냄비
WO2020153539A1 (ko) * 2019-01-23 2020-07-30 한상혁 다중 구조의 복합 베이스를 구비하는 요리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558979B2 (ja) 2010-10-06
KR20020090097A (ko) 2002-11-30
JP2002345627A (ja) 2002-12-03
CN1387813A (zh) 2003-0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7341B1 (ko) 보온 냄비 및 그 제조 방법
JP6631584B2 (ja) インダクタ及びインダクタの製造方法
JP5234854B2 (ja) 圧力感応装置及び圧力感応装置の継手接合方法
JP3009832B2 (ja) 合成樹脂製断熱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JPS63206213A (ja) 金属製二重カップの製造方法
JP2001353068A (ja) 加熱調理器具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827929B2 (ja) 加熱調理器
JP2006313649A (ja) 電池及びその外装缶とキャップ缶の封止方法
KR20000014035A (ko) 전열기구 및 그의 저면히터 결착방법
JPS6140626B2 (ko)
JP3339740B2 (ja) 金属製魔法瓶の製造方法
JPS5917870Y2 (ja) ガラス接合用金属部材
KR200199927Y1 (ko) 전기용 조리기
CN107811501A (zh) 玻璃电水壶及玻璃电水壶的组装方法
RU2005135532A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пространственных двухслойных конструкций из разнородных материалов (его варианты)
JP2004229860A (ja) 取手付き断熱容器の製造方法及び取手付き断熱容器
KR20000000008A (ko) 저면히터를 가지는 전열기구 및 그의 저면히터 결착방법
KR100281482B1 (ko) 냉각접착 방식의 판체 고정방법
KR100791094B1 (ko) 열류 센서 및 그 제조방법
JP2000091147A (ja) コイル部品
JP2001037631A (ja) 真空調理なべ
WO2009063429A1 (en) Container for heating products comprising a foamed mettallic base between the heating surface and the base surface, and method for the manufacturing thereof
JPS6229889Y2 (ko)
JPS6114192Y2 (ko)
JPS59173941A (ja) 鉛蓄電池の製造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