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6075B1 - 권심 - Google Patents

권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6075B1
KR100826075B1 KR1020040092261A KR20040092261A KR100826075B1 KR 100826075 B1 KR100826075 B1 KR 100826075B1 KR 1020040092261 A KR1020040092261 A KR 1020040092261A KR 20040092261 A KR20040092261 A KR 20040092261A KR 100826075 B1 KR100826075 B1 KR 1008260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winding
cylindrical body
core
w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22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46598A (ko
Inventor
후지다카히로
Original Assignee
나가오카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가오카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나가오카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465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65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60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60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04Kinds or types
    • B65H75/08Kinds or types of circular or polygonal cross-section
    • B65H75/10Kinds or types of circular or polygonal cross-section without flanges, e.g. cop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7Nature of material
    • B65H2701/175Plastic
    • B65H2701/1752Polymer film

Landscapes

  • Storage Of Web-Like 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Abstract

원통체의 표면에 탄성층이 형성되고, 이 탄성층이 상기 원통체의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접착박리가 자유롭게 접착된 층인 필름용 권심(卷芯)이고, 또, 상기 탄성층이 발포수지 또는 탄성수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시트로 이루어지고, 이 시트의 이음매에 있어서, 하나의 시트의 끝단면의 면방향과 상기 표면의 면방향이 사교(斜交)하고, 또한 해당 하나의 시트의 끝단면의 대향하는 다른 시트의 끝단면이 평행한 권심이다. 또한, 원통체, 이 원통체의 표면에 첩합(貼合)되게 되는 탄성수지시트 또는 발포수지시트, 및 양면점착테이프를 준비하는 공정과, 이 표면의, 해당 표면에 첩합된 상태의 상기 탄성수지시트 또는 발포수지시트의 가장자리끼리가 인접한 위치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영역에, 상기 양면점착테이프를 붙이는 공정과, 붙여진 상기 양면점착테이프를 통해 상기 탄성수지시트 또는 발포수지시트를 상기 표면에 첩합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권심의 제조방법이다.

Description

권심{Core}
도 1은 본 발명의 권심의 형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권심의 형태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 모식도이다.
도 3은 발포수지시트의 단면(端面)끼리 마주 대하는 이음매의 상태를 설명하는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 4는 발포수지시트의 단면(端面)끼리 마주 대하는 이음매의 바람직한 상태를 설명하는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권심에 사용되는 재박리성 점착제층이 형성된 발포수지시트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권심의 형태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 모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권심의 형태의 또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 모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권심의 형태의 또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 모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권심의 형성에 사용되는 점착제층부착 발포수지시트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권심의 형성에 사용되는 이형(離型)시트·점착제층부착 발포수지시트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피권취시트의 끝단가장자리부와 발포수지시트와의 접합의 형태를 설 명하는 단면모식도이다.
도 12는 절개부분이 들어간 이형(離型)시트를 구비한 이형시트·점착제층부착 발포수지시트의 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모식도이다.
도 13은 피권취시트의 끝단가장자리부와 발포수지시트와의 접합과정의 하나를 설명하는 단면모식도이다.
도 14는 피권취시트의 끝단가장자리부와 발포수지시트와의 접합의 다른 형태를 설명하는 단면모식도이다.
도 15는 피권취시트의 끝단가장자리부와 발포수지시트와의 접합과정의 다른 하나를 설명하는 단면모식도이다.
도 16은 피권취시트의 끝단가장자리부와 발포수지시트와의 접합의 또 다른 형태를 설명하는 단면모식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권심의 형성에 사용되는 보강발포수지시트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2a, 2b, 2c : 권심 4 : 원통체
6 : 탄성층 8, 8a, 8b :발포수지시트
10, 10a : 양면점착테이프 12 : 이음매
14a, 14b : 가장자리 16a, 16b : 단면
18 : 표면 20 : 점착제층
22, 30 : 발포수지시트 24, 29 : 이형시트
27 : 절개부분 32 : 끝단가장자리부
34 : 가장자리부 40 : 피권취시트
44 : 제 2 점착제층 50 : 보강용 필름
52 : 접착제층 60 : 보강발포수지시트
본 발명은 정보기술분야에서 사용되는 기능성 필름 등의 고기능성 필름의 감기에 사용되는 권심(卷芯)에 관한 것이다.
근래, 정보기술분야의 발전에 의해, 액정용 필름, X선용 필름, 프린트기반용 필름 및 그 동박(銅箔)라미네이트 필름, 또한 고성능 인화지 등의 정보기기용 필름으로서 많이 사용되어 왔다. 통상, 이들 필름은 그 생산이나 가공공정에서 원통형의 코어로 불리는 지관(紙管)에 감겨진다.
감겨진 이들 필름은, 자세히 보면, 가장 안층에 있어서 필름두께에 영향을 받아, '들뜸 단차'에 의한 턱이 생긴다. 즉, 가장 안층인 1번째 층을 감아 돌려, 2층째에 걸리면, 필름의 길이방향 종단에 2층째가 들뜨게 되어, 2층째의 들뜬 부분의 필름의 원래의 평면성이 손상되고, 결과적으로 필름에 내부의 턱이나 요철이 단면단차(端面段差)흔적으로서 발생하여, 표면의 평면성이나 정밀함이 요구되는 그 후의 공정에서 사용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이 내부의 턱이나 요철은 감은 후의 필름이 일시적 스톡이나 유통 등을 위해 장시간 유치되면 특히 발생하기 쉽다.
이 턱의 결점은, 감아돌려 겹치는 것에 의해 더욱 바깥층으로 파급되어, 같은 결점이 전파되어 생기게 된다. 또한, 이 턱의 결점은 감은 후의 필름이 일시적 스톡이나 유통 등을 위해 장시간 유치되면 특히 발생하기 쉽다.
이들의 부분 결점은, 사용되는 단계에서 절제되어 버려지게 되어, 고가의 원재료를 낭비하게 되어, 비용상승의 원인이 되고 있었다.
이러한 상황에 대하여, 롤 형상 기록지용 지관의 분야에서는, 0.2mm 이상 등의 매우 두꺼운 화상인쇄용 기록지의 권심부에 발생하는 끝단부의 단차를 해소하기 위해서, 지관의 바깥둘레에 완충층으로서 발포스티렌 시트를 감아 붙이거나, 권심에 슬릿을 형성하거나 하고 있다(예를 들면, 일본 특허공개 2000-318930호 공보(제2∼6페이지, 도 3) 참조).
그러나, 특히, 액정용 필름, X선용 필름, 고성능 인화지 등의 광학적인 균일성이 요구되는 정보기기 분야의 광학적 용도의 필름에 있어서는, 프린트기반용 필름 및 그 동박라미네이트 필름에 비교해서 더욱 균일성이 요구되고, 이 턱 결점은 치명적이다.
또한, 권심으로서 지관을 사용하고, 지관의 표면에 완충성이 있는 소재의 층을 형성하였다면 그 지관이 발진원(發塵源)이 되어 먼지를 꺼리는 공정현장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 또, 발포지도 구성섬유가 발진원이 되므로 적당하지 않다.
더욱이, 완충층은 부드러운 소재로 되어 있어, 반복사용에는 기능이 저하되기 쉽고, 또한, 권심의 표면이 더러워진 경우에 더러움을 닦아 내기 어렵기 때문 에, 권심의 빈번한 갱신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이들 문제점에 비추어, 권심부에 단면단차흔적을 발생시키지 않고, 또한, 저발진성을 구비하며, 또한, 완충층의 기능저하나 더러움에 신속하게 저비용으로 대응할 수 있는 필름의 권심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요지로 하는 바는, 원통체의 표면에 탄성층이 형성되고, 이 탄성층이 상기 원통체의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배치된 점착제층을 통해 접착박리가 자유롭게 접착된 층인 필름용 권심인 데에 있다.
상기 원통체는, 수지제 또는 금속제일 수 있다.
상기 탄성층은, 독립기포를 갖고 주성분이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으로부터 선택되는 발포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포수지의 겉보기 밀도는 0.03∼0.2gr/cm3일 수 있고, 상기 시트의 두께는 0.1∼2mm일 수 있다.
상기 권심에 있어서는, 상기 원통체에 상기 탄성층을 구성하는 발포수지 또는 탄성수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시트가 감아 돌려질 수 있고, 이 시트가 상기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양면점착테이프를 통해 접착될 수 있다.
상기 양면점착테이프는, 상기 원통체의 양 끝단부 둘레면에 붙여질 수 있다.
상기 권심에 있어서는, 상기 원통체에 상기 탄성층을 구성하는 발포수지 또 는 탄성수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시트가 감아 돌려질 수 있어, 이 시트가 박리성 점착제층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탄성층에는 보강용 필름이 적층될 수 있다.
상기 권심에 있어서는, 상기 원통체에 상기 탄성층을 구성하는 발포수지 또는 탄성수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시트가 감아 돌려질 수 있고, 이 시트의 이음매에 있어서, 하나의 시트의 단면(端面)의 면방향과 상기 표면의 면방향이 사교(斜交)하고, 또한 해당 하나의 시트의 단면에 대향하는 다른 시트의 단면이 평행할 수 있다.
상기 시트의 이음매는, 상기 표면에 따른 나선형상일 수 있다.
상기 시트의 이음매는, 상기 원통체의 축방향에 평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요지로 하는 바는, 원통체, 발포수지 또는 탄성수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이 원통체의 표면에 감아 돌려지게 되는 시트 및 양면점착테이프를 준비하는 공정과,
이 표면의, 이 표면에 첩합(貼合)된 상태의 상기 시트의 가장자리끼리가 인접하는 위치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영역에, 상기 양면점착테이프를 붙이는 공정과,
붙여진 상기 양면점착테이프를 통해 상기 탄성수지시트 또는 발포수지시트를 상기 표면에 첩합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권심의 제조방법인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요지로 하는 바는, 피권취(被券取)시트를 감는 권심의 사용방법으로서,
원통체와, 발포수지 또는 탄성수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이 원통체의 표면에 감아 돌려져서 한면에 박리성 점착제층이 형성된 시트를 준비하는 공정과,
상기 시트를 상기 표면에 첩합하여 권심을 얻는 공정과,
이 권심에 피권취시트를 감는 공정과,
이 권심으로부터 이 피권취시트를 감아내어 제거하는 공정과,
이 권심으로부터 상기 시트를 박리하여 제거하는 공정과,
새로운, 상기 시트를 상기 원통체의 표면에 첩합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권심의 사용방법인 데에 있다.
더욱 또, 본 발명이 요지로 하는 바는, 피권취시트를 권심에 감는 방법으로서,
상기 권심을 준비하는 공정,
상기 하나의 시트의 단면(端面)에 따른 상기 시트의 끝단가장자리와 상기 원통체의 표면과의 사이에 상기 피권취시트의 감기 시작하는 끝단가장자리부를 삽입하는 공정,
상기 피권취시트의 상기 권심에의 감기를 시작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권취방법인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요지로 하는 바는, 피권취시트를 권심에 감는 방법으로서,
상기 권심을 준비하는 공정,
상기 피권취시트의 감기 시작의 끝단가장자리부의 한 면에 점착층을 형성하는 공정,
상기 끝단가장자리부를, 상기 이음매를 넘어 상기 시트의 표면에 점착층을 통해 접합하는 공정,
상기 피권취시트의 상기 권심에의 감기를 시작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권취방법인 것에 있다.
본 발명에 관한 형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권심은 원통체의 표면에 완충층으로서 탄성층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탄성층은, 예를 들면, 고무시트와 같은 탄성을 가진 시트나 발포수지시트를 원통체의 표면에 나선형상으로 감아붙여 접착고정함으로써 형성된다.
탄성층이 발포수지시트로 이루어진 경우, 이 수지발포체는, 턱 25%에 있어서의 압축응력(JIS K6767에 준하여 측정)이 30∼250kPa인 것이 바람직한 완충효과를 얻을 수 있고 단면단차흔적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이 압축응력의 값이 이 범위를 밑돌면 필름끝단의 단차를 흡수할 수 없고, 이 범위를 상회하면 완충효과를 얻을 수 없다.
수지발포체의 발포율은 8∼20배인 것이 적절한 상술의 압축응력의 범위의 값을 얻을 수 있어 바람직하다. 발포체의 겉보기 밀도는 0.03∼0.25gr/cm3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탄성층의 두께는 0.1∼3mm인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층이 수지발포수지시트로 이루어지는 경우, 탄성층의 두께는 0.1∼2.5mm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 발포체의 겉보기 밀도가 0.03∼0.2gr/㎤이고 또한 이 발포수지시트의 두께가 0.1∼2mm인 것이 단면단차흔적의 발생을 억제하는 데에 있어서 가장 바람직하다. 정보기기분야의 광학적 용도의 필름은 감았을 때에 단면단차흔적이 생기기 쉽고, 또한, 치수상으로는 미세한 단차라 하더라도 광학적으로는 눈에 띄기 쉬워 제품의 성능에도 크게 영향을 주기 때문에, 이 겉보기 밀도와 두께의 범위를 동시에 만족하는 범위가 바람직하다. 두께가 증가하면 감아 붙일 때에 탄성층에 주름이 들어가고 이 주름에 의한 압흔(壓痕)이 필름에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발포체를 구성하는 수지는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폴리에틸렌계나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를 들 수 있다. 또, 발포체는 독립기포를 가진 것이 탄성회복에 뛰어나 반복 사용에 견딜 수 있어 바람직하다.
독립기포를 가진 발포체는 예컨대 폴리에틸렌계나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를 전자선이나 약제에 의해 가교시킨후 발포시킴으로써 얻어진다.
탄성층이 탄성수지시트로 이루어지는 경우, 이 탄성수지시트의 소재로서는, 고무, 합성고무 등의 엘라스토머를 들 수 있다. 펠트나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것이라도 좋다. 섬유와 엘라스토머가 중첩 또는 복합된 탄성수지시트라도 좋다.
원통체의 안지름은 통상 3인치(약 76mm), 6인치(약 152mm) 등의 것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원통체의 두께는 3∼15mm의 범위이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들은 권취제품의 양, 권취장력 등의 권취조건에 의해 적절히 선택된다.
원통체는, 지관(紙管)이더라도 좋지만, ABS, ABS(아크릴-부타디엔-스티렌수지), 염화비닐계 수지, 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아미드계 수지, 스티렌계 수지 등의 수지나 이들 수지를 성분으로 하는 복합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 람직하다.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원통체는, 사용시의 발진이 지관에 비해서 훨씬 적어서 바람직하다. 더욱이,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원통체는 흡습, 탈습에 의한 지름의 변화가 지관에 비해서 적고, 감겨진 정보기기 분야의 광학적 용도의 필름이, 원통체의 흡습에 의한 팽창으로 압축되어, 필름의 끝단부에 기인하는 단차에 의해 생기는 상술의 턱 결점이 조장되는 정도가 훨씬 적어서, 바람직하다. 이러한 현상은, 프린트기반용 필름 및 그 동박라미네이트 필름과 같은 전자회로기기용 필름의 경우는 결점으로서 현재화(顯在化)하지 않은 것이다.
원통체는, 알루미늄, 철, 동, 혹은 이들 금속의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합금이나, 이들을 성분으로 하는 부재를 포함하는 복합구조재로 이루어지는 것이라도 좋다. 이 경우도, 수지와 같이, 원통체는 흡습, 탈습에 의한 지름의 변화가 지관에 비해서 적어 바람직하다.
흡습에 의한 지름의 변화는, 30℃ 20% RH의 분위기에 48시간 유치된 원통체의 바깥지름을 R1로 하고, 그 후 30℃ 90% RH의 분위기에 48시간 유치된 원통체의 바깥지름을 R2로 하여, ((R1-R2)/R1) ×100(%)으로 표시된다. 원통체의 흡습에 의한 지름의 변화는 0.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지관은 이 변화가 1% 이상이며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정보기기 분야의 광학적 용도의 필름은 감았을 때에 단면단차흔적이 붙기 쉽고, 또한, 치수상으로는 미세한 단차라 하더라도 광학적으로는 눈에 띄기 쉬워 제품의 성능에도 크게 영향을 주기 때문에, 통상의 공정에서는 제품 생산수율을 소정의 수준으로 유지하는 데 세심의 주의와 막대한 노동력을 요하였지만, 열화 (劣化)한 탄성수지시트나 발포수지시트를 신속히 교환함으로써, 시간과 비용을 그렇게 요하지 않고 제품 생산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교환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는, 탄성수지시트나 발포수지시트와 원통체의 표면과의 접착이, 접착박리가 자유롭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문에, 이 접착은 점착제를 통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상의 경화하여 접착력이 생기는, 예를 들면 에멀젼타입, 용제타입, 화학반응에 의한 경화타입의 접착제는, 박리에 있어서 원통체의 표면에서 점착제가 용이하게는 제거되지 않고 별도의 탄성수지시트나 발포수지시트를 붙일 때에 그 부분이 요철이 되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점착제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탄성수지시트나 발포수지시트와 원통체의 표면과의 접착이 접착박리가 자유롭게 이루어진다. 탄성수지시트나 발포수지시트와 원통체의 표면과의 접착이 접착박리가 자유롭게 이루어지면, 사용에 의한 기능저하나 더러움 등에 의해 성능이나 외관이 열화한 탄성수지시트나 발포수지시트를 박리하기 쉽게 교환할 수 있다.
원통체가 수지 또는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경우는, 이 박리에 있어서 원통체의 표면에서 점착제가 제거되어, 다른 탄성수지시트나 발포수지시트를 붙일 때에 그 부분이 요철이 되지 않아서 바람직하다. 원통체가 지관이면 점착제가 지관의 섬유조직의 미세한 틈에 매몰하고 있기 때문에, 이 박리에 있어서 원통체의 표면에서 점착제가 제거되지 않고 다른 탄성수지시트나 발포수지시트를 붙일 때에 그 부분이 요철이 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또, 원통체가 수지 또는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경우는, 지관에 비교해서 일반 적으로는 고가이고, 사용에 의해 탄성수지시트나 발포수지시트의 성능이나 외관이 열화한 경우, 이 시트를 박리하여 시트만을 교환할 수 있는 것은 자재비용을 줄이게 된다.
더욱이, 발포수지시트가 독립기포를 가진 경우에는, 발포수지시트의 표면이 연속기포를 가진 발포체의 표면에 비해서 평활하여, 원통체로부터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고, 발포수지시트를 교환하는 조작이 용이해져서 바람직하다. 발포수지시트가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관능기를 갖지 않은 수지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더욱 원통체로부터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어 발포수지시트를 교환하는 조작이 용이해져서, 바람직하다.
점착제는 발포수지시트 및/또는 원통체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도포하여 사용할 수 있다. 혹은, 양면에 점착제층이 형성된 양면접착테이프를 통해 탄성수지시트나 발포수지시트와 원통체 표면이 접착되더라도 좋다. 미리 양면접착테이프를 원통체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붙이고, 이어서 소정의 위치에 탄성수지시트나 발포수지시트를 배치하여 첩합하면, 첩합위치를 정확하고 확실하게 하여 첩합조작이 이루어져 바람직하다.
점착제로서는, 고무계, 아크릴계, 실리콘계, 비닐에테르계, 우레탄계 등의 점탄성 폴리머에 필요에 따라 로진계, 석유수지계 등의 점착부여수지, 연화제, 가교제 등이 배합된 것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권심의 바람직한 형태의 일례를 도 1에 도시한다. 도 1에 있어서, 권심(2)은 원통체(4)의 표면에 탄성층(6)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탄성층(6) 은, 발포수지시트(또는 탄성수지시트)(8)가 원통체(4)의 표면에 나선형상으로 감아붙여져 접착고정되어 형성되어 있다. 발포수지시트(8)와 원통체(4)는, 원통체(4)의 표면에 나선형상으로 감아붙여진 양면점착테이프(10)를 통해 접착되어 있다. 양면점착테이프(10)는, 발포수지시트(8)의 가장자리끼리의 이음매(12)를 따라 미리 배치되고, 양면점착테이프(10)가 인접한 발포수지시트(8)의 길이방향의 가장자리부에 걸쳐진 상태에서 발포수지시트(8)가 양면점착테이프(10)에 의하여 원통체(4)에 접착되어 있다.
본 발명의 권심의 바람직한 형태의 다른 일례를 도 2에 도시한다. 도 2에 있어서, 권심(2a)은 원통체(4)의 표면에 탄성층(6)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탄성층(6)은, 발포수지시트(또는 탄성수지시트)(8)가 원통체(4)의 표면에 나선형상으로 감아붙여져 접착고정되어 형성되어 있다. 발포수지시트(8)와 원통체(4)는, 원통체 (4)의 양 끝단부 표면에 고리형상으로 감아붙여진 양면점착테이프(10a)를 통해 접착되어 있다. 양면점착테이프(10a)는, 원통체(4)의 표면에 원통체(4)의 둘레가장자리를 따라 미리 배치되고, 발포수지시트(8)의 원통체(4)의 둘레가장자리의 위치에 해당하는 부분에 양면점착테이프(10a)에 의해 원통체(4)가 접착되어 있다.
도 1, 도 2에 도시한 형태에 있어서는, 탄성층(6)이 원통체(4)의 표면의 일부에 양면접착테이프를 통해 접착된 층이 되어 있다. 이렇게 발포수지시트(또는 탄성수지시트)(8)가 원통체(4)의 표면의 일부분에서 접착되면, 탄성층(6)과 원통체 (4)의 결합은 충분하다. 이 형태는, 탄성층(6)과 원통체(4)가 전체면에 걸쳐 접착된 것에 비하여 탄성층(6)과 원통체(4)의 분리가 용이하고, 탄성층(6)의 신품과 교 환할 때는 유리하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양면점착테이프(10a)가, 원통체(4)의 표면에 원통체(4)의 둘레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되어, 발포수지시트(8)와 접착된 형태는, 적은 접착면적으로 확실하게 발포수지시트(8)를 원통체(4)의 표면에 첩합할 수가 있어, 바람직하다. 이 형태는, 원통체(4)의 표면과 발포수지시트(8)와의 접착면적이 적기 때문에, 발포수지시트(8)의 첩합조작, 박리조작이 용이하고, 양면점착테이프(10a)의 사용량이 적어도 된다. 또, 양면점착테이프(10a)의 원통체(4)에 붙이는 위치가 둘레가장자리를 따르고 있기 때문에, 붙이는 위치를 특정하기 쉽고 붙이는 조작이 용이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발포수지시트(또는 탄성수지시트)는, 이음매가 원통체 (4)의 축방향과 평행하게 되도록 원통체(4)에 감아붙여지더라도 좋다. 즉, 직사각형의 발포수지시트(또는 탄성수지시트)를, 그 시트의 한변을 원통체(4)의 축방향과 평행하게 하여 원통체(4)에 감아붙여도 좋다. 그러나, 예를 들어 도 1,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음매(12)가 원통체(4)의 표면에 나선형상으로 형성된 형태는, 감긴 필름에 이음매의 흔적이 생기기 어려워,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탄성층(6)은 1매의 발포수지시트(또는 탄성수지시트)로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좋지만, 복수매의 시트를 면방향으로 나열하여 배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좋다.
이러한 양면점착테이프(10)를 사용한 붙이는 순서는, 늘어나기 쉬운 발포수지시트(또는 탄성수지시트)(8)를 붙일 때에, 붙이는 조작에 의해 그 발포수지시트( 또는 탄성수지시트)(8)가 늘어나거나 소정의 위치로부터 어긋나 붙여진 경우, 즉시 그 늘어난 부분이나 어긋난 부분을 벗겨내고 다시 붙일 수 있어, 처음부터 다시 하거나 불량품이 되거나 하지 않고 정확하게 붙이는 조작이 단시간에서 이루어져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탄성수지시트나 발포수지시트와 원통체가 마주 대하는 면 전체에 걸쳐 접착되어 있어도 좋지만,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수지시트나 발포수지시트가 원통체에 감아 돌려져 발포수지시트의 가장자리끼리의 이음매가 되는 부분에서만 접착되어 있는 것이, 접착조작, 박리조작이 용이하므로 바람직하다.
한편,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면(16a), 단면(16b)이 시트의 면방향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도록 형성된 발포수지시트(8)를 사용하여 점선으로 표시된 상태로 맞대어, 발포수지시트(8)의 표면(18)에의 첩합이 이루어지면, 이음매(12) 부분에서 단면(16a)과 단면(16b)이 V자 형상을 이루어 탄성층(6)의 표면에 V자 형상의 홈이 생겨버리는 경우가 있다. 이 현상은, 이음매(12)의 부분에서 발포수지시트 (8)와 표면(18)이 접착되어 있는 경우에도 생긴다.
이러한 V자 형상의 홈의 발생을 방지하는 대책으로서, 도 4에 도시한 형태를 들 수 있다. 도 4에 도 2의 이음매(12)의 부분의 A-A방향의 주요부단면도를 나타낸다. 이음매(12) 부분, 즉, 발포수지시트(8)의 하나의 가장자리(14a)와, 하나의 가장자리(14a)에 상대의 다른 가장자리(14b)가 원통체(4)의 표면(18)의 면방향에 인접하는 위치에 있어서, 하나의 가장자리(14a)의 발포수지시트(8)의 단면(16a)과 표면(18)이 이루는 각 α가 예각이고, 단면(16a)의 방향과 표면(18)의 방향이 사교(斜交)하고, 또한 단면(16a)과, 다른 가장자리(14b)의 발포수지시트(8)의 단면 (16b)이 서로 평행하게 되어 대향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이음매(12)부분에서 단면(16a)과 단면(16b)이 V자 형상을 이루어 탄성층(6)의 표면에 V자 형상의 홈이 생겨 버리는 도 3에 도시한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형태에 있어서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발포수지시트(8)가 한 면에 재박리성 점착제층(20)을 구비한다. 이 재박리성 점착제층이 형성된 발포수지시트(22)를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통체(4)의 표면에 나선형상으로 감아붙여 재박리성 점착제층(20)을 통해 원통체(4)의 표면에 붙임으로써, 본 발명의 권심(2b)을 얻을 수 있다. 권심(2b)은, 필름과 같은 피권취시트의 권취 및 감아내어 사용된 후, 더러움이나 압흔이 생긴 재박리성 점착제층이 형성된 발포수지시트(22)를 벗겨내고, 새로운 재박리성 점착제층이 형성된 발포수지시트(22)를 원통체(4)의 표면에 붙여 재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필름의 생산공장에서 권심(2b)에 필름을 감아 사용처에 출하하고, 사용처에서 필름이 감아내어진 권심(2b)을 생산공장으로 반송하고, 반송된 권심(2b)에서 재박리성 점착제층이 형성된 발포수지시트(22)를 벗겨내고 새로운 재박리성 점착제층이 형성된 발포수지시트(22)를 원통체(4)의 표면에 붙여 재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권심(2b)은 원통체(4)의 리사이클사용이 가능하다.
또, 재박리성 점착제층이 형성된 발포수지시트(22)의 단면끼리가 상대하는 이음매(12b)에 있어서, 도 4에 나타내는 형태와 같이, 대향의 양 끝단면의 방향이 어느 것이나 사교(斜交)하고, 또한 서로 평행하게 되어 있어도 좋다.
도 6에 도시한 형태에 있어서는, 재박리성 점착제층이 형성된 발포수지시트 대신에, 한 면에 재박리성 점착제층을 구비하는 탄성수지시트가 사용되더라도 좋다.
재박리성 점착제로서는, 예를 들면, 아크릴수지계 점착제, 우레탄수지계 점착제, 고무계 점착제, 실리콘계 점착제 등을 들 수 있다. 아크릴수지계 점착제의 구체적 예로서는, 아크릴산, 아크릴산메틸, 아크릴산에틸, 아크릴산프로필, 아크릴산부틸, 아크릴산-2-에틸헥실, 메타크릴산에틸, 메타크릴산부틸, 아크릴로니트릴 등의 단독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합성고무계 점착제의 구체적 예로서는, 스티렌-부타디엔고무, 폴리이소부틸렌고무, 이소부틸렌-이소프렌고무, 이소프렌고무, 스티렌-이소프렌 블록공중합체, 스티렌-부타디엔 블록공중합체, 스티렌-에틸렌-부틸렌 블록공중합체, 에틸렌-초산비닐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점착제는,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재박리성 점착제는, 실리카, 타르크, 점토, 산화티탄, 산화알루미늄, 탄산칼슘 등의 은폐성을 향상시키는 전료(塡料)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재박리성 점착제에는, 필요에 따라 더욱 점착부여제, 연화제, 노화방지제 등을 배합할 수가 있다. 점착부여제로서는, 로진계 수지, 테르펜페놀수지, 테르펜수지, 방향족 탄화수소변성 테르펜수지, 석유수지, 쿠마론·인덴수지, 스티렌계 수지, 페놀계 수지, 크실렌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연화제로서는, 프로세스 오일, 액상고무, 가소제 등을 들 수 있다. 재박리성 점착제는, 염료 또는 안료 등의 착색제를 포함하여 도 좋다.
재박리성 점착제층(20)은, 여러가지 방법으로 형성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재박리성 점착제 또는 그 전구체를 에어나이프 코터, 블레이드 코터, 바 코터, 그라비아 코터, 롤 코터, 커튼 코터, 다이 코터, 나이프 코터, 스크린 코터, 마이어 바 코터, 키스 코터 등으로 도포하고 건조 또는 가열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권심(2b)에 사용하는 원통체(4)의 표면에는, 재박리성 점착제층이 형성된 발포수지시트(22)의 박리를 쉽게 하기 위해서 박리층이 형성되어도 좋다. 박리층을 형성하는 수지로서는, 실리콘계 수지, 불소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발포수지시트(또는 탄성수지시트)가, 이음매(12a)가 원통체(4)의 축방향과 평행하게 되도록 원통체(4)에 감겨질 수 있는 형태에 있어서는, 도 7에 나타내는 권심(2c)과 같이, 길이가 원통체(4)의 둘레길이와 같고, 폭이 원통체(4)의 길이와 같은 직사각형의 발포수지시트(8a)를 원통체(4)에 감아 돌리더라도 좋다. 혹은, 도 8에 나타내는 권심(2d)과 같이, 길이가 원통체(4)의 둘레길이와 같은 평행사변형의 발포수지시트(8b)가, 이음매(12b)가 원통체(4)의 축방향과 조금 경사지도록 원통체(4)에 감겨지는 형태이더라도 좋다.
이러한 형태에 있어서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미리 발포수지시트(8a)의 안쪽면에 점착제층(20)이 형성되어 있는 점착제층부착 발포수지시트(22)가 사용되더라도 좋다. 큰 지름, 긴 길이의 권심인 경우는 이러한 점착제층첨부 발포수지시트(22)를 사용하여 권심(2c)을 제조하는 것이 감아붙임조작이 용이하고, 권 심(2c)의 반송 등의 취급 중에 발포수지시트(8a)가 벗겨지는 트러블이 없어 바람직하다. 점착제층은 재박리성 점착제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점착제층부착 발포수지시트(22)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형지(離型紙) 등의 이형시트(24)가 점착제층측에 점착되어 스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이형시트·점착제층부착 발포수지시트(30)는 원통체(4)의 표면에 첩합되기까지의 취급이 용이하고 바람직하다.
또한, 직사각형의 발포수지시트(8a)가, 이음매(12a)가 원통체(4)의 축방향과 평행하게 되도록 원통체(4)에 감아 돌려진 형태에 있어서는,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액정용 편광필름과 같은 피권취시트(40)의 감기 시작하는 끝단가장자리부(32)를, 발포수지시트(8a)의 이음매(12a)를 구성하는, 발포수지시트의 가장자리부(34)의 아래쪽, 즉 가장자리부(34)와 원통체(4)의 표면과의 사이에 삽입하여, 가장자리부(34)와 끝단가장자리부(32)를 가장자리부(34)에 형성되어 있는 점착제층(20)을 통해 접합한 후 피권취시트(40)의 감기를 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접합조작은, 미리 원통체(4)의 표면에 점착되어 있는 가장자리부(34)를, 그 가장자리부(34)의 길이방향을 따라 벗긴 후 끝단가장자리부(32)를 가장자리부(34)와 원통체(4)의 표면과의 사이에 삽입하여 행하여진다.
혹은,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형시트·점착제층부착 발포수지시트(30)의 가장자리부(34a)에 있어서, 이형시트(24)에 폭방향(가장자리부(34a)의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부분(27)을 형성해 두고, 사교절단면(斜交切斷面, 37)을 따라 발포수지시트(30)를 절단하여 이음매(12a)(도 11)의 사교단면을 형성한 후,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책형상(短冊形狀)의 이형시트(29)를 점착제층부착 발포수지시트(22)에 남긴 채로 점착제층부착 발포수지시트(22)를 원통체(4)의 표면에 첩합하고, 그 후 단책형상의 이형시트(29)를 제거하여, 그 단책형상의 이형시트(29)가 제거된 자취부분의 점착제층에 가장자리부(34)를 점착하더라도 좋다. 이에 따라, 가장자리부(34)의 끝단가장자리부(32)에의 점착조작이 간이화될 수 있다.
또한, 이 형태에 있어서는,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장자리부(34)에 접합된 끝단가장자리부(32)에 있어서, 그 접합면과 반대면이 양면점착테이프와 같이 제 2 점착제층(44)을 통해 원통체(4)의 표면과 접착되어 있더라도 좋다. 이러한 형태에 있어서는, 미리,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합전의 피권취시트(40)의 끝단가장자리부(32)에 양면점착테이프 등을 사용하여 제 2 점착제층(44)을 형성하고 나서, 끝단가장자리부(32)를, 가장자리부(34)와 원통체(4)의 표면과의 사이에 삽입하고, 이어서 끝단가장자리부(32)와 원통체(4)의 표면을 제 2 점착제층(44)을 통해 접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1, 도 14에 나타내는 것과 같은, 끝단가장자리부(32)가 가장자리부(34)와 원통체(4)의 표면과의 사이에 끼워져 피권취시트(40)가 권심(2c)에 감겨지는 형태는, 단면단차흔적을 더욱 작게 하여, 피권취시트(40)의 제품제조비율의 향상에 더욱 기여한다.
더욱 또한, 직사각형의 발포수지시트(8a)가, 이음매(12a)가 원통체(4)의 축방향과 평행하게 되도록 원통체(4)에 감아 돌려진 형태에 있어서는, 피권취시트(40)의 감기 시작하는 끝단가장자리부(32)에 등을 사용하여 도 15에 나타내는 것과 같은 띠형의 점착제층(70)을 설치하고,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끝단가장자리부(32)를, 이음매(12a)를 넘어 발포수지시트(8a)의 표면에 점착층(70)을 통해 접합한 상태로, 피권취시트(40)를 권심(2c)에 감을 수 있다. 이 형태도, 단면단차흔적을 더욱 작게 하여, 피권취시트(40)의 제품제조비율의 향상에 더욱 기여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발포수지시트가 발포수지시트 보강용의 필름을 안쪽면에 적층하여 보강되더라도 좋다. 도 17에 발포수지로 이루어지는 시트(8c)의 안쪽면에 보강용 필름(50)을 접착제층(52)을 통해 적층한 보강발포수지시트(60)를 나타낸다. 보강용 필름(50)의 표면에는 점착제층(20)이 형성되고, 점착제층(20)의 표면에는 이형시트(24)가 점착되어 있다. 보강발포수지시트(60)는 잡아당김에 대하여 안정하고, 특히 대형 권심에 발포수지로 이루어지는 시트를 감아 붙이는 조작이 안정하고, 소정의 위치에 정밀도 좋게 발포수지로 이루어지는 시트를 감아붙여 첩합할 수 있다.
발포수지로 이루어지는 시트(8c)로서는 발포수지시트(8)와 같은 소재로 이루어지는 시트가 사용된다. 보강용 필름(50)으로서는 얇은 수지필름이 사용되고, 예를 들면, 두께 5∼20㎛의 폴리에스테르필름이 적합하게 사용된다. 접착제층(52)은 발포수지로 이루어지는 시트(8c)와 보강용 필름(50)을 접착하는 것이면 특별히 재질은 상관없지만,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필름을 들 수 있다. 발포수지로 이루어지는 시트(8c)와 보강용 필름(50)과의 사이에 폴리에틸렌필름을 배치하여 열압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심은, 정보기기 분야의 광학적용도의 필름의 감기에 적합하게 사용되지만, 특히, 액정패널용 편광필름의 감기에 적합하게 사용된다. 액정패널용 편광필름의 일례로서는, 폴리비닐알콜계 미연신필름을 염색하고 1축연신하여 얻어진 편광막(혹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계 편광막)의 양면에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막을 라미네이트하여 얻어진 것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권심은, 상술한 바와 같이 탄성층의 교환이 용이하기 때문에, 액정패널용 편광필름에 사용되는 편광막이나 세퍼레이트필름, 프로텍트필름과 같은 베이스 필름의 감기에 적합하게 사용되고, 단면단차흔적의 현저한 감소에 크게 기여한다. 또, 프린트기반용 필름 및 그 동박라미네이트 필름의 감기에 적합하게 사용되고, 단면단차흔적의 현저한 감소에 크게 기여한다.
[실시예]
이하에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 1∼6, 비교예 1, 2, 참고예 1
도 1에 도시한 구성의 권심을 필름용 권취장치에 장착하여, 시료 필름을 감았다. 권심의 안지름은 152mm, 두께는 6mm, 길이는 300mm이다.
원통체와 발포수지시트의 접착은 양면점착테이프를 사용하여 미리 점착테이프를 원통체에 나선형상으로 붙여 행하였다. 양면점착테이프로서는, 닛토덴코사 제조의 폭 5mm인 것을 사용하였다.
단면단차(端面段差)흔적의 잔류성 평가: 시료 필름을 표 1에 도시하는 권심에 단면적당 권취장력이 70N/㎠, 10m/min으로 감았다. 감은 롤을 표 1에 도시한 보관조건으로 보관한 후, 감아내어 권취시작부의 단면단차흔적이 눈으로 보아 잔류하고 있는 부분을 특정하고, 잔류하고 있는 부분의 필름의 길이를 계측하여, 필름 전체길이에 대한 비율을 단면단차흔적 잔류율로서 구하였다.
시료 필름인 액정용 편광필름은, 닛토덴코사제의 것을 사용하였다.
참고예로 사용되는 동박적층체: 두께 25㎛의 폴리이미드필름(도오레듀퐁(주) 제조 '카프톤')에 두께 35㎛의 압연동박(져팬에너지텍(주) 제조)이 에폭시계 접착제를 통해 붙여진 동박적층체를 사용하였다.
Figure 112004052497566-pat00001
표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시예 1∼6에서 얻은 권심을 사용하여 감은 액정용 편광필름은, 단면단차흔적이 거의 생기지 않았다. 한편, 지관을 사용한 권심을 사용하여 감은 액정용 편광필름은, 다습의 분위기에 장기간 보관되면 단면단차흔적이 생겼다.
또, 실시예 1에서 사용한 권심은 20회 사용후에 약간의 단면단차흔적이 생겼기 때문에 발포수지시트를 원통체로부터 벗겨내어 신품과 교환하였다. 발포수지시트를 벗겨낸 후에는 원통체 표면에 접착제의 흔적이 남지 않고, 신품과 교환하더라도 접착제의 흔적에 의한 요철은 없고, 교환후의 권심의 표면은 부드러웠다. 또, 교환조작은 단시간 용이하게 이루어졌다.
실시예 7
도 1에 도시한 구성의 권심을 필름용 권취장치에 장착하고, 시료 필름을 감았다. 권심의 안지름은 152mm, 두께는 6mm, 길이는 300mm이다.
원통체와 발포수지시트의 접착은 양면점착테이프를 사용하여 미리 점착테이프를 원통체에 나선형상으로 붙여 행하였다. 양면점착테이프로서는, 닛토덴고사제의 폭 5mm의 것을 사용하였다.
또한, 탄성층으로서 폴리에틸렌수지 발포수지시트(도오레 제조: 상품명 페프)를 사용하였다. 두께는 1mm이다. 이 폴리에틸렌수지 발포수지시트의 겉보기 밀도는 0.1gr/㎤이었다.
단면단차흔적의 잔류성 평가 : 시료 필름을 표 1에 나타낸 권심에 단면적당 권취장력이 70N/㎠, 10m/min으로 감았다. 감겨진 롤을 표 1에 나타낸 보관조건으 로 보관한 후, 감아내어 권취시작부의 단면단차흔적이 눈으로 보아 잔류하고 있는 부분을 특정하고, 잔류하고 있는 부분의 필름의 길이를 계측하여, 필름 전체길이에 대한 비율을 단면단차흔적 잔류율로서 구하였다.
시료 필름인 액정용 편광필름은, 닛토덴코사제의 것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7에서 얻은 권심을 사용하여 감은 액정용 편광필름은, 단면단차흔적이 거의 생기지 않았다. 한편, 지관을 사용한 권심을 사용하여 감은 액정용 편광필름은, 다습의 분위기에 장기간 보관되면 단면단차흔적이 생겼다.
또, 실시예 7에서 사용한 권심은 20회 사용후에 약간의 단면단차흔적이 생겼기 때문에 발포수지시트를 원통체로부터 벗겨내어 신품과 교환하였다. 발포수지시트를 벗겨낸 후에는 원통체 표면에 접착제의 흔적이 남지 않고, 신품과 교환하더라도 접착제의 흔적에 의한 요철은 없고, 교환후의 권심의 표면은 부드러웠다. 또, 교환조작은 단시간 용이하게 이루어졌다.
실시예 8
도 5에 도시한 구성의 권심(2b)을 필름용 권취장치에 장착하고, 시료 필름을 감았다. 원통체(4)로서 안지름 152mm, 두께 6mm, 길이 300mm의 지관을 사용하였다.
재박리성 점착제층이 형성된 발포수지시트(22)를 구성하는 발포수지시트로서는, 실시예 7과 같은 폴리에틸렌수지 발포수지시트를 사용하였다. 재박리성 점착제로서는 린텍사제의 아크릴계 수지점착제를 사용하였다. 재박리성 점착제층이 형성된 발포수지시트(22)의 두꺼운 종이에 대한 박리강력은, 1.5N/25mm이었다.
박리강력은, 온도 23℃, 상대습도 65%의 분위기하에서, 두꺼운 종이에, 폭 25mm의 테이프형상의 시험편을 중량 2kg의 고무 로울러를 이 시험편위에서 3회 왕복시킴에 따라 붙이고, 붙이고 나서 25분 경과한 후에, 시험편의 일끝단을 180도 방향으로 속도 300mm/분으로 박리시켰을 때의 박리력을 측정하여 구하였다.
이 권심(2b)에 실시예 7과 같은 시료 필름을 감았을 때의 단면단차흔적 잔류율은, 실시예 7의 경우와 같았다.
실시예 9
도 7에 도시한 구성의 권심(2c)을 필름용 권취장치에 장착하여, 시료 필름을 감았다. 권심의 안지름은 250mm, 두께는 12mm, 길이는 1600mm이다.
권심은, 지권(紙卷)에 도 15에 도시한 보강발포수지시트(60)(길이 860.4mm ×폭 1600mm)를 첩합하여 얻었다. 발포수지로 이루어지는 시트(8a)로서는 폴리에틸렌수지 발포수지시트(도오레제: 상품명 퍼프)를 사용하였다. 두께는 1mm이다. 이 폴리에틸렌수지 발포수지시트의 겉보기밀도는 0.1gr/㎤이었다. 보강용 필름(50)으로서는 두께 12㎛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필름이 사용되고, 폴리에틸렌필름에 의해, 폴리에틸렌수지 발포수지시트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필름이 열압착 라미네이트되어 있었다. 점착제층은 실시예 8과 같은 소재로 이루어지는 재박리성 점착제층이고, 라미네이트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필름의 표면에 형성되었다. 점착제층의 표면에는 이형지가 점착되어 있었다. 보강발포수지시트(60)의 길이방향 끝단가장자리는 45도로 커트하였다. 이형지를 벗겨 제거한 후, 보강발포수지시트(60)를 원통(4)의 표면에 첩합하였다.
이 권심(2b)에 실시예 7과 같은 시료필름을 도 11에 나타내는 형태에 따라 감았다. 끝단가장자리부(32)의 단폭은 15mm이었다.
지권(紙卷)에의 보강발포수지시트(60)의 감아붙임은 조작이 안정하여, 정밀도 좋게 보강발포수지시트(60)를 감아 붙일 수 있었다.
또한, 감은 액정용 편광필름은, 단면단차흔적이 거의 생기지 않았다.
이 권심(2b)은, 사용후에 재박리성 점착제층부착 발포수지시트(22)를 원통체(4)로부터 용이하게 벗길 수 있었다. 또한, 새로운 재박리성 점착제층부착 발포수지시트(22)를 원통체(4)에 용이하게 감아 붙여서 점착할 수가 있었다.
이상 본 발명의 권심의 형태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당업자의 지식에 근거하여 여러가지 개량, 수정, 변형을 가한 형태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며, 이들 형태는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권심은, 필름, 또 특히 정보기기 분야의 광학적 용도의 필름의 권심으로서 사용되어 권심부를 단면단차흔적을 거의 발생시키지 않고, 공정의 생산수율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의 권심은, 표층의 완충용 시트의 교환이 용이하기 때문에, 수고를 들이지 않고 영속적으로 권심을 기능저하나 더러움이 없는 정상적인 상태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필름의 권심의 표층의 완충용 시트의 교환이 용이해진다.
본 발명의 권심은 권취작동시의 발진(發塵)이 거의 없고, 먼지의 오염을 극도로 꺼리는 정보기기 분야의 광학적용도 필름의 권심으로서 적합하다.
본 발명의 권심의 제조방법 및 사용방법은, 정보기기 분야의 광학적용도 필름의 권취에 한정되지 않고, 완충층을 구비하는 것이 필요한 권심에 넓게 적용할 수 있다.

Claims (15)

  1. 단차흔적을 해소하기 위한 권심으로, 상기 단차흔적은, 프린트기반용 필름 및 그 동박라미네이트 필름에 발생한 경우는 결점으로서 현재화(顯在化)하지 않고, 정보기기분야의 광학적 용도의 필름에 발생한 경우는 결점으로서 현재화하는 정도의 것으로서,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원통체, 금속제 원통체로부터 선택되는 원통체의 표면에 탄성층을 구성하는 발포수지시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시트가 권회되고, 상기 시트가 상기 표면에 박리성 점착제층을 개입시켜 접착박리가 자유롭게 접착되고, 상기 발포수지시트가, 독립기포를 가진 주성분이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으로부터 선택되는 발포수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발포수지의 겉보기밀도가 0.03∼0.2g/㎤이고, 상기 발포수지시트의 두께가 0.1∼2mm이며, 턱 25%에 있어서의 압축응력이 30∼250kPa인, 정보기기분야의 광학적 용도의 필름용 권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수지시트에 보강용 필름이 적층된 권심.
  3. 피권취(被卷取) 시트를 권심에 감는 방법으로서,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권심을 준비하는 공정,
    상기 시트의 하나의 가장자리부를 상기 하나의 가장자리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원통체의 표면으로부터 벗겨내는 공정,
    벗겨진 상기 가장자리부와 상기 원통체의 표면과의 사이에 상기 피권취 시트의 감기시작하는 끝단가장자리부를 삽입하고, 상기 박리성 점착제층을 개입시켜 상기 벗겨진 가장자리부와 상기 감기시작하는 끝단가장자리부를 접합하는 공정,
    상기 피권취 시트의 상기 권심에의 감기를 시작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감기방법.
  4. 피권취(被卷取) 시트를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권심에 감는 방법으로서,
    상기 시트가 감아 돌려지기 전의 상기 원통체와, 박리성 점착제층을 한면에 준비하고, 상기 박리성 점착제층에 이형(離型)시트가 적층되며, 상기 박리시트에, 상기 박리시트의 가장자리부가 상기 시트의 하나의 가장자리부의 길이방향에 따라서 단책형상(短冊形狀)으로 떼어내지는 절단면이 삽입되고, 감아 돌려지기 전의 상기 시트를 준비하는 공정,
    상기 박리시트의 단책형상 부분을 남겨 상기 박리시트를 상기 시트로부터 제거하는 공정,
    상기 시트를 상기 박리성 점착제층을 개입시켜 상기 원통의 표면에 첩합(貼合)하는 공정,
    상기 박리시트의 단책형상 부분을 상기 시트로부터 제거하는 공정,
    상기 박리시트의 단책형상 부분이 제거된 흔적 부분의 상기 박리성 점착제층에 상기 피권취 시트의 끝단가장자리부를 첩착하는 공정,
    상기 피권취 시트의 상기 권심에의 감기를 시작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감기방법.
  5. 피권취(被卷取) 시트를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권심에 감는 방법으로서,
    상기 시트가 감아 돌려지기 전의 상기 원통체와, 박리성 점착제층을 준비하고, 상기 박리성 점착제층에 이형(離型)시트가 적층되며, 상기 박리시트에, 상기 박리시트의 가장자리부가 상기 시트의 하나의 가장자리부의 길이방향에 따라서 단책형상으로 떼어내지는 절단면이 삽입되고, 감아 돌려지기 전의 상기 시트를 준비하는 공정,
    상기 피권취 시트의 감기 시작하는 끝단가장자리부의 한면에 박리성의 점착층을 형성하는 공정,
    상기 박리시트의 단책형상 부분을 남기고 상기 박리시트를 상기 시트로부터 제거하는 공정,
    상기 시트를 상기 박리성 점착제층을 개입시켜 상기 원통의 표면에 첩합(貼合)하는 공정,
    상기 시트의 하나의 가장자리부와 상기 원통체의 표면과의 사이에 상기 피권취 시트의 감기 시작하는 끝단가장자리부를 삽입하고, 상기 끝단가장자리부와 상기 원통체의 표면을 상기 점착제층을 개입시켜 접착하는 공정,
    상기 박리시트의 단책형상 부분을 상기 시트로부터 제거하는 공정,
    상기 박리시트의 단책형상 부분이 제거된 흔적 부분의 상기 박리성 점착제층에 상기 피권취 시트의 끝단가장자리부를 첩착하는 공정,
    상기 피권취 시트의 상기 권심에의 감기를 시작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감기방법.
  6. 피권취(被卷取) 시트를 권심에 감는 방법으로서,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권심으로, 상기 시트의 연결고리가 원통체의 축방향에 평행이며, 상기 연결고리에 있어서, 상기 시트의 하나의 단면의 면 방향과 상기 표면의 면 방향과 사교(斜交)하고, 또한 상기 하나의 단면에 대향하는 상기 시트의 다른 단면이 평행인 권심을 준비하는 공정,
    상기 피권취 시트의 감기 시작하는 끝단가장자리부의 단면에 점착층을 형성하는 공정,
    상기 끝단가장자리부를, 상기 연결고리를 걸쳐 상기 시트의 표면에 상기 점착층을 개입시켜 접합해 상기 연결고리에서의 V자 형상의 구조의 발생을 방지하는 공정,
    상기 피권취 시트의 상기 권심에의 감기를 시작하는 고정을 포함하는 감기방법.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040092261A 2003-11-14 2004-11-12 권심 KR1008260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384992 2003-11-14
JPJP-P-2003-00384992 2003-11-14
KR1020040053749 2004-07-10
KR20040053749 2004-07-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6598A KR20050046598A (ko) 2005-05-18
KR100826075B1 true KR100826075B1 (ko) 2008-04-29

Family

ID=372459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2261A KR100826075B1 (ko) 2003-11-14 2004-11-12 권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3964892B2 (ko)
KR (1) KR10082607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9589B1 (ko) * 2008-02-20 2008-05-15 (주)제이엔피 소프트 코어 권취용 지관의 제조 시스템
KR100848175B1 (ko) * 2008-02-26 2008-07-23 (주)제이엔피 권취용 지관 및 제조 방법
JPWO2011055450A1 (ja) * 2009-11-06 2013-03-21 明和産業株式会社 フィルムを巻装するコア
KR101179373B1 (ko) 2010-06-14 2012-09-03 주식회사 베스텍 단차가 가공된 말대
JP5503425B2 (ja) * 2010-06-21 2014-05-28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シールド電線及びシールド電線の製造方法
CN103249660B (zh) 2010-12-17 2016-09-07 3M创新有限公司 开放间隙膜卷芯
JPWO2014178393A1 (ja) * 2013-05-02 2017-02-23 日本発條株式会社 フィルム巻取り用コア
KR101752030B1 (ko) 2013-11-14 2017-06-28 (주)엘지하우시스 필름 권취용 코어
KR101600022B1 (ko) * 2014-05-19 2016-03-04 (주)타스지혁 자국방지형 권취관
KR101940835B1 (ko) * 2014-09-12 2019-01-21 (주)엘지하우시스 권취코어를 이용한 필름시트 권취방법
JP5874094B1 (ja) 2015-07-07 2016-03-02 株式会社美方 巻芯及びウェブ材の巻き取り方法。
WO2017056505A1 (ja) 2015-10-02 2017-04-06 株式会社美方 ウェブ材の巻き取り方法及び巻芯
JP6699159B2 (ja) * 2015-12-17 2020-05-27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ガラスロー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6351798B1 (ja) * 2017-06-22 2018-07-04 株式会社美方 ウェブ材の巻き取り方法
JP2022146466A (ja) 2021-03-22 2022-10-05 住友化学株式会社 巻芯、原反ロール、及び、原反ロールの製造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09472A (ja) * 1999-02-25 2000-11-07 Seiko Epson Corp ロール状記録媒体
JP2002145530A (ja) * 2000-11-14 2002-05-22 Showa Marutsutsu Co Ltd 紙管製巻芯
JP2003292250A (ja) * 2002-03-29 2003-10-15 Fuji Fiber Glass Kk ガラス繊維巻取りチューブ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09472A (ja) * 1999-02-25 2000-11-07 Seiko Epson Corp ロール状記録媒体
JP2002145530A (ja) * 2000-11-14 2002-05-22 Showa Marutsutsu Co Ltd 紙管製巻芯
JP2003292250A (ja) * 2002-03-29 2003-10-15 Fuji Fiber Glass Kk ガラス繊維巻取りチューブ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 H5-197085 A
JP S45-27585 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964892B2 (ja) 2007-08-22
KR20050046598A (ko) 2005-05-18
JP2005162478A (ja) 2005-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6075B1 (ko) 권심
CA2422670A1 (en) Tape for flying splice, method of use, and method of manufacture
EP1261674B1 (en) Stretch releasing adhesive tape with differential adhesive properties
JP5088567B2 (ja) ウェブ状物巻取り用巻芯およびウェブ状物巻き取り方法
KR20000006524A (ko) 양면접착테이프
JP7194571B2 (ja) 光学フィルム用巻き芯、光学フィルムロール体、及び光学フィルムの連続供給方法
JPH076252U (ja) 粘着テープ
JP2008156041A (ja) 塗膜転写具用パンケーキ
JP3157740U (ja) 布製粘着シート
JP2018123202A (ja) クッションテープ
JPH06228513A (ja) 両面粘着テープ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6915981B2 (en) Recording paper roll
JP2008162719A (ja) フィルム巻取りローラ
JPH1035963A (ja) 巻き取りシートの末端部仮止め兼連結用粘着テープ
JPH10219205A (ja) 片面粘着テープ
JP2001172584A (ja) 塗装被覆材用粘着テープ及び粘着テープ付塗装被覆材
JPH07216322A (ja) 巻き取り時および貯蔵時に皺の発生しない粘着性非加硫防水ゴムシートあるいは粘着性非加硫防水ゴムテープ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3025280A (ja) 粘着シートの切断加工方法
JP2014185414A (ja) 印刷用紙補修用パッチ及び印刷用紙
JP2003301146A (ja) 層間剥離両面テープ
CN216513627U (zh) 双面胶片及包含双面胶片的冷气滤网套组
CN216837786U (zh) 一种柔版印刷用贴版泡棉胶带
JP3214591U (ja) 両面粘着テープ
JPH10219206A (ja) 片面粘着テープ
CA2417294A1 (en) Producing a roll of a flat web materi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0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