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5937B1 - 클러치 페달 장치 - Google Patents

클러치 페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5937B1
KR100825937B1 KR1020060105325A KR20060105325A KR100825937B1 KR 100825937 B1 KR100825937 B1 KR 100825937B1 KR 1020060105325 A KR1020060105325 A KR 1020060105325A KR 20060105325 A KR20060105325 A KR 20060105325A KR 100825937 B1 KR100825937 B1 KR 1008259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llet
clutch
clutch arm
bullet member
ped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53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진오
이지용
Original Assignee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053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5937B1/ko
Priority to DE102007051564A priority patent/DE102007051564B4/de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59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59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vehicle transmissions, or part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K23/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vehicle transmissions, or part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ain transmission clutch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30Controlling members actuated by foot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30Controlling members actuated by foot
    • G05G1/46Means, e.g. links, for connecting the pedal to the controlled unit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5/00Means for preventing, limiting or returning the movements of parts of a control mechanism, e.g. locking controlling member
    • G05G5/03Means for enhancing the operator's awareness of arrival of the controlling member at a command or datum position; Providing feel, e.g. means for creating a counterfor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 And Mounting Of Devices That Control Transmission Of Motive Force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 Mechanical Operated Clutches (AREA)

Abstract

클러치 페달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러치 페달 장치는 일단에 페달(pedal)이 형성되어 있고, 타단에는 개방된 내부 공간을 가지는 소켓부가 형성되며, 소켓부와 가까운 쪽에 페달에 가해지는 외부 힘에 의해 회동하도록 회전축이 형성되는 클러치 암(clutch arm), 소켓부에 삽입되어 소켓부 내에서 움직이며 소켓부 밖으로 돌출된 헤드부를 가지는 뷸렛(bullet) 부재, 소켓부와 뷸렛 부재 사이에 삽입되는 탄성 부재, 뷸렛 부재의 헤드부와 접촉하며, 클러치 암의 회동에 따라서 탄성부재에 의해 소켓부 내에서 뷸렛 부재가 움직이도록 접촉면이 형성된 뷸렛 부재 가이드부 및 클러치 암의 회동에 따라 마스터 실린더(master cylinder)에 압력을 가하는 푸쉬 로드(push rod)를 포함한다.
클러치, clutch, 클러치 페달, clutch pedal, 답력 저감

Description

클러치 페달 장치{Clutch pedal apparatus}
도 1은 종래의 푸쉬 로드와 클러치 암 사이의 결합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러치 페달 장치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러치 페달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러치 페달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러치 페달 장치의 뷸렛 부재, 클러치 암의 소켓부, 및 탄성 부재의 결합 관계를 보여주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릭 핏 부재의 측면도 및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릭 핏 부재에 푸쉬 로드가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7의 클릭 핏 부재에 푸쉬 로드가 결합되어 클러치 암에 삽입되어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9a, 도 9b, 도 9c, 도 9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러치 암의 회동에 따라 각각 초기 상태, 뷸렛 부재가 최대로 압축된 상태, 뷸렛 부재 가이드부에 안내되어 뷸렛부재가 다시 팽창되는 상태, 풀 스트로크되어 뷸렛 부재가 뷸렛 부재 가이드부를 이탈된 상태를 보여주는 클러치 페달 장치와 뷸렛 부재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클러치 암
110: 뷸렛(bullet) 부재
120: 탄성 부재
130: 뷸렛 부재 가이드부
140: 푸쉬 로드(push rod)
150: 덮개 부재
160: 샤프트
170: 클릭 핏(click fit) 부재
본 발명은 클러치 페달(clutch pedal)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클러치 페달의 답력을 경감시키고, 푸시 로드(push rod)와 클러치 암(clutch arm) 사이의 조립성을 향상시킨 클러치 페달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클러치는 플라이휠(flywheel)과 변속기의 입력축 사이에 설치되어, 변속기로 전달되는 기관의 동력을 단속하는 역할을 한다. 즉, 최초 차체를 기동시킬 때 또는 변속기의 기어를 변속할 때에는 기관의 동력과의 연결을 끊고, 기관의 동력에 의해 차체를 움직이고자 할 때에는 기관의 동력과 서서히 연결시키는 역할을 한다.
자동 변속기일 경우에는 유체의 압력을 이용해서 일정 속도별로 자동적으로 변속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수동 변속기일 경우에는 변속레버를 조작하여 기어변속을 하기 위해서는 기관의 동력이 변속기 내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해야 되기 때문에, 클러치 페달을 밟아서 엔진의 동력을 단속하도록 되어 있다.
운전자가 클러치 페달을 밟아서 기관 동력과 변속기 사이의 동력 전달을 끊고, 변속레버를 조작하여 변속시킨 후, 발을 떼면 클러치 페달은 마스터 실린더에 의한 유압에 의해 다시 원위치로 리턴하게 된다.
따라서, 리터하는 힘보다 더 강한 힘으로 클러치 페달을 밟아야 하기 때문에 변속을 자주 하게 되는 주행 상황에서 장시간 운전을 하게 되면 클러치를 밟는 운전자의 다리에 무리가 갈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클러치 페달 답력 저감 장치가 개발되어 왔다.
클러치 페달을 밟아 클러치 암이 회전할 때 마스터 실린더에 압력을 가하도록 마스터 실린더와 클러치 암 사이에 푸쉬 로드가 형성되는데, 도 1은 종래의 푸쉬 로드와 클러치 암 사이의 결합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종래에는 푸쉬 로드(10) 끝단에 형성된 홀(hole)(12)과 클러치 암에 형성된 홀에 클래비스 핀(clevis-pin)(20)이 삽입되어 와셔(washer)(30)와 핀 스플릿(pin-split)(40)을 이용하여 결합되는 분할 핀 결합 타입이었다. 이러한 종래의 방법은 조립성이 떨어져 안정적인 품질 확보를 기대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클러치 페달 장치에 있어서 클러치 암의 회동에 따라 뷸렛 부재가 뷸렛 부재 가이드부에 의해 압축 팽창되며 움직이도록 하여 페달의 답력을 저감시키고, 클릭 핏(click fit) 부재에 의해 푸쉬 로드와 클러치 암 사이에 원터치로 결합할 수 있도록 조립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러치 페달 장치는 일단에 페달(pedal)이 형성되어 있고, 타단에는 개방된 내부 공간을 가지는 소켓부가 형성되며, 상기 소켓부와 가까운 쪽에 상기 페달에 가해지는 외부 힘에 의해 회동하도록 회전축이 형성되는 클러치 암(clutch arm); 상기 소켓부에 삽입되어 상기 소켓부 내에서 움직이며 상기 소켓부 밖으로 돌출된 헤드부를 가지는 뷸렛(bullet) 부재; 상기 소켓부와 상기 뷸렛 부재 사이에 삽입되는 탄성 부재; 상기 뷸렛 부재의 헤드부와 접촉하며, 상기 클러치 암의 회동에 따라서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소켓부 내에서 상기 뷸렛 부재가 움직이도록 접촉면이 형성된 뷸렛 부재 가이드부; 및 상기 클러치 암의 회동에 따라 마스터 실린더(master cylinder)에 압력을 가하는 푸쉬 로드(push rod)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클러치 페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러치 페달 장치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러치 페달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러치 페달 장치의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러치 페달 장치의 뷸렛 부재, 클러치 암의 소켓부, 및 탄성 부재의 결합 관계를 보여주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러치 페달 장치는 클러치 암(100), 뷸렛 부재(110), 탄성 부재(120), 뷸렛 부재 가이드부(130) 및 푸쉬 로드(1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클러치 암(100)은 한쪽 끝단에는 운전자의 발에 의해 힘이 가해지는 페달(102)이 형성되고, 다른 쪽 끝단에는 탄성 부재(120)와 뷸렛 부재(110)가 삽입되도록 내부 공간을 가지는 소켓부(106)로 형성된다. 페달(102)과 소켓부(106)를 포함하여 클러치 암(100)의 형상은 전체적으로 'S'자 형상일 수 있다. 클러치 암(100)에서 소켓부(106)가 이어지며 꺽이는 부분에는 회전축(104)이 형성되어 운전자가 페달(102)에 힘을 가할 때 회전축(104)을 중심으로 클러치 암(100)은 회동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회전축(104)에 홀(hole)(104)이 형성되어 홀(104)에 삽입되는 샤프트(160)를 기준으로 회동할 수 있다. 클러치 암(100)의 소켓부(106)를 덮는 후술할 덮개 부재(150)에 형성된 홀(152)과 클러치 암(100)에 형성된 홀(104) 사이에 샤프트(160)가 삽입되어 클러치 암(100)과 덮개 부재(150)는 결합되는데, 이때 클러치 암(100)은 샤프트(160)를 중심으로 회동할 수가 있다. 소켓부(106)의 양 측면에는 소켓부(106)의 개방된 면에 수직한 길이 방향으로 홈(107)이 형성될 수 있는데, 후술할 뷸렛 부재(110)의 돌기부(114)가 여기에 삽입되어 돌기부(114)가 홈(107)을 따라 움직이면서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회전축(104)의 아래에 푸쉬 로드(140)가 결합되는 면에는 후술할 푸쉬 로드(140)가 결합된 클릭 핏 부재(170)가 결합될 수 있도록 내부 공간을 가지고, 내부에는 클릭 핏 부재(170)의 제 2 돌기부(176)가 걸려서 고정될 수 있도록 걸림부(109)가 형성되어 있다. 이는 도 6 내지 도 8을 이용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뷸렛 부재(110)는 클러치 암(100)의 소켓부(106)에 삽입되어 움직일 수 있고, 소켓부(106) 밖으로 튀어나온 총알 형상의 헤드부(112)를 가진다. 소켓부(106)와 뷸렛 부재(110) 사이에는 탄성 부재(120)가 삽입된다. 헤드부(112)는 뷸렛 부재 가이드부(130)와 접촉하여 클러치 암(100)의 회동에 따라서 뷸렛 부재 가이드부(130)의 접촉면을 따라 움직이면서 탄성 부재(120)가 압축 팽창하면서 소켓부(106) 내에서 움직이게 된다. 도 5와 같이 뷸렛 부재(110)의 양 측면에는 돌기 부(114)가 형성되어 있어서 전술한 소켓부(106)의 홈(107)에 걸려서 탄성 부재(120)가 압축, 팽창될 때 홈(107)을 따라 움직일 수 있다.
탄성 부재(120)는 외부 힘에 의해 압축, 팽창하면서 원래의 형상으로 돌아올 수 있는 부재로, 전술한 바와 같이 소켓부(106)의 내부 공간에 삽입되고 뷸렛 부재(110)와 연결된다. 즉, 소켓부(106)에 삽입되어 소켓부(106)와 뷸렛 부재(110) 사이에 형성된다. 클러치 암(100)이 회동함에 따라서 뷸렛 부재(110)의 헤드부(112)가 뷸렛 부재 가이드부(130)에 접촉하여 안내되면 탄성 부재(120)를 기준으로 뷸렛 부재 가이드부(130)의 접촉면과의 거리는 달라지므로, 뷸렛 부재(110)와 연결된 탄성 부재(120)는 거리에 따라서 압축 또는 팽창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탄성 부재(120)는 압축 스프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뷸렛 부재 가이드부(13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뷸렛 부재(110)의 헤드부가 접촉하여 클러치 암(100)이 회동할 때 탄성 부재(120)가 압축 및 팽창되도록 접촉면을 형성한다. 운전자가 클러치 페달(102)을 밟아 클러치 암(100)이 회동함에 따라서 뷸렛 부재 가이드부(130)와 접촉한 뷸렛 부재(110)가 탄성 부재(120)에 의해 압축되다가 다시 팽창하도록 도 4와 같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후술할 내용이지만 압축 후에 다시 팽창하는 구간에서 클러치 페달(102)의 답력 저감 효과가 발생한다. 이때, 클러치 암(100)이 풀 스트로크하여 완전히 회동하였을 때에도 뷸렛 부재(110)가 뷸렛 부재 가이드부(130)의 접촉면과 접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풀 스크로크하였을 때 후술할 도 9와 같이 뷸렛 부재가 뷸렛 부재 가이드 부에 접촉하지 않고 이탈하도록 할 수 있다. 뷸렛 부재 가이드부(130)는 후술할 덮개 부 재(150) 내에 형성될 수 있다.
푸쉬 로드(140)는 클러치 암(100)과 마스터실린더(미도시) 사이에 연결되어 운전자가 클러치 페달(102)을 밟을 때 클러치 암(100)의 회동에 따라 마스터실린터(미도시)를 향하여 압력을 가하여 유압을 발생시키는 역할을 한다. 클러치 암(100)의 회전축(104)의 아래 지점에서 결합되는데 결합 방법은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클러치 암(100)의 회전축(104)과 함께 결합되어 소켓부(106)를 덮는 덮개 부재(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덮개 부재(150)의 양 측면에는 홀(152)이 형성되어 있는데, 클러치 암(100)의 회전축에 형성된 홀(104)과 상기 덮개 부재(150)의 측면에 형성된 홀(152) 사이에 샤프트(160)를 삽입하여 클러치 암(100)과 덮개 부재(150)는 결합되고, 클러치 암(100)은 샤프트(160)를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다. 이때 덮개 부재(150)는 클러치 암(100)이 회동함에 따라서 클러치 암(100)의 소켓부(106)와 클러치 암(100)의 몸체가 덮개 부재(150)에 닿지 않도록 내부 공간을 확보한 형상이어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전술한 뷸렛 부재 가이드부(130)는 덮개 부재(150)의 내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쉬 로드(140)가 클러치 암(100)과 결합되는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릭 핏 부재의 측면도 및 정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릭 핏 부재에 푸쉬 로드가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7의 클릭 핏 부재에 푸 쉬 로드가 결합되어 클러치 암에 삽입되어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푸쉬 로드(140)는 푸쉬 로드(140) 끝단에 클릭 핏 부재(170)가 연결되고 푸쉬 로드(140)가 결합된 클릭 핏 부재(170)가 클러치 암(100)에 형성된 내부 공간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클릭 핏 부재(170)는 연결부 고정부(172), 제 1 돌기부(174), 제 2 돌기부(17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연결부 고정부(172)는 도 7에서와 같이 푸쉬 로드(140) 끝단에 형성된 구 형상의 연결부(142)가 내부에 고정되어 삽입되도록 클릭 핏 부재(170) 내부에 고정되어 형성된다. 푸쉬 로드(140)의 연결부(142)가 삽입될 때 연결부(142)를 안내할 수 있도록 양쪽의 연결부 고정부(172) 사이의 거리는 점점 좁아지다가, 연결부(142)가 고정되는 부분에는 연결부(142)가 고정될 수 있도록 연결부(142)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곡선으로 내부 형상을 가진다. 따라서, 연결부(142)는 연결부 고정부(172)에 의해 고정되어 빠지지가 않는다. 푸쉬 로드(140)가 당겨지면 당기는 힘에 의해 연결부(142)가 연결부 고정부(142)에서 이탈할 수 있으므로, 2차적으로 연결부(142)가 빠지지 않도록 제 1 돌기부(174)가 연결부 고정부(172) 외부에 힘을 가하여 연결부 고정부(172)가 벌어지는 것을 막는데, 이는 후술하기로 한다.
제 1 돌기부(174)는 클릭 핏 부재(170)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데, 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돌기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내부로 움직일 수 있도록 도 6과 같이 일부 절단되어 있다. 즉, U자 형상으로 절단되어 있고 절단되지 않은 부분의 반대쪽 끝 절단된 곳 부분에 돌기가 형성된다. 따라서 돌기에 힘이 가해지면 절단되지 않은 부분을 중심으로 휘어서 내부로 움직일 수 있다. 제 1 돌기부(174)는 클러치 암(100)에 푸쉬 로드(140)가 결합되는 내부 벽면에 의해 힘을 받아 내부로 움직이게 되고 내부에 형성된 연결부 고정부(172) 외부에 힘을 가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푸쉬 로드(140)가 클러치 암(100)에 결합되었을 때, 클릭 핏 부재(170)로부터 푸쉬 로드(140)가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 2 돌기부(176)도 역시 클릭 핏 부재(170)의 측면에 형성된다. 제 1 돌기부(174) 아래에 위치하여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데, 제 1 돌기부(174)와는 달리 절단된 부분이 없다. 제 2 돌기부(176)는 클릭 핏 부재(170)가 클러치 암(100)에 푸쉬 로드(140)가 결합되는 내부 벽면에 삽입 될 때, 클러치 암(100)의 내부에 형성된 걸림부(109)에 걸려서 클릭 핏 부재(170)가 클러치 암(100)과 결합할 수 있도록 한다.
도 8은 최종적으로 푸쉬 로드(140)와 클러치 암(100)이 결합하였을 때의 모습을 보여주는데, 도면에서와 같이 제 1 돌기부(174)는 클러치 암(100)의 내부 벽면에 의해 힘을 받아 클릭 핏 부재(170)의 내부로 휘게 되고 내부에 형성된 연결부 고정부(172)의 외부에 닿아 힘을 가하여 연결부 고정부(172)가 벌어지는 것을 막는다. 따라서 연결부(142)가 연결부 고정부(172)를 이탈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제 2 돌기부(176)는 클러치 암(100)의 내부 벽면에 형성된 걸림부(109)에 걸려서 푸쉬 로드(140)에 의해 당겨지는 힘을 받더라도 클릭 핏 부재(170)가 클러치 암(100)을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조립을 할 때에는 클릭 핏 부재(170)에 푸쉬 로드(140)의 연결부(142)를 연 결부 고정부(172) 내에 삽입하여 결합한 다음, 푸쉬 로드(140)가 연결된 클릭 핏 부재(170)를 클릭 핏 부재(170)를 결합하기 위해 클러치 암(100)에 형성된 내부 공간에 삽입하면 원터치로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 클릭 핏 부재(170)를 이용한 푸쉬 로드(140)와 클러치 암(100)의 결합 방법은 원터치로 이루어져 간단하고, 푸쉬 로드(140)가 클러치 암(10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성능이 우수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클러치 페달 장치의 클러치 암(100)이 회동함에 따른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9a, 도 9b, 도 9c, 도 9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러치 암의 회동에 따라 각각 초기 상태, 뷸렛 부재가 최대로 압축된 상태, 뷸렛 부재 가이드부에 안내되어 뷸렛 부재가 팽창되는 상태, 풀 스트로크되어 뷸렛 부재가 뷸렛 부재 가이드부를 이탈된 상태를 보여주는 클러치 페달 장치와 뷸렛 부재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9a는 운전자가 페달(102)을 밟지 않았을 때의 클러치 페달 장치의 모습을 나타내는데, 뷸렛 부재(110)를 확대한 도면을 보면 뷸렛 부재(110)는 뷸렛 부재 가이드부(130)의 아래쪽에 접촉하고 있다. 도 9b는 운전자가 페달(102)을 계속 밟아 뷸렛 부재(110)가 뷸렛 부재 가이드부(130)에 의해 최대로 압축된 상태를 나타내는데, 도 9a 초기 상태에서 도 9b의 상태로 운전자가 페달(102)을 밟음에 따라서 클러치 암(100)은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동하고, 뷸렛 부재 가이드부(130)의 접촉면을 따라 뷸렛 부재(110)는 점점 압축된다. 탄성 부재(120)가 최대로 압축된 도 9b 상태에서 운전자가 페달(102)을 더 밟으면 뷸렛 부재(110)가 뷸렛 부재 가이드부(130)에 안내되어 최대로 팽창되는 상태인 도 9c 상태가 되는데, 도 9b와 도 9c 사이에는 압축된 탄성 부재(120)가 팽창하므로 클러치 암(100)이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탄성력이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도 9b와 도 9c 사이의 구간에는 클러치 페달(102)의 답력이 저감되는 효과가 발생한다. 운전자가 페달(102)을 더 밟으면 도 9d와 같이 뷸렛 부재(110)가 뷸렛 부재 가이드부(130)와 더 이상 접촉하지 않고 이탈할 수 있다. 이탈한 구간에서는 클러치 암(100)은 탄성 부재(120)의 탄성력에는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 운전자가 페달을 밟는 힘에 의해 회동하게 된다.
운전자가 클러치 페달(102)을 밟은 후 발을 때면 마스터 실린더(미도시)의 유압에 의해 다시 푸쉬 로드(140)가 클러치 암(100)을 향하여 힘을 가하게 되어 클러치 페달(102)은 초기 상태의 도 9a 상태로 다시 복귀하게 된다. 클러치 페달(102)을 완전히 밟아 도 9d 상태에 이른 후 발을 때서 도 9c, 도 9b 상태를 거쳐 초기 상태인 도 9a의 상태로 복귀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먼저 도 9d의 이탈된 상태에서 도 9c의 뷸렛 부재 가이드부(130)와 접촉하기까지 클러치 암(100)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때에는 탄성 부재(120)의 탄성력이 작용하지 않으므로, 뷸렛 부재(110)가 뷸렛 부재 가이드부(130)와 접촉하여 접촉에 의해 탄성 부재(120)를 압축해야 하는 경우보다, 쉽게 복귀할 수 있다. 그리고, 도 9c 상태에서 도 9b 상태로 복귀할 때에는 탄성 부재(120)가 다시 압축되므로 탄성 부재를 압축할 수 있는 힘보다 더 큰 힘이 마스터 실린더의 유압에 의해 작용하여야 한다. 그리고, 도 9b 상태에서 도 9a에 이르기까지는 다시 탄성 부재(120)가 팽창되므로, 클러치 페 달(102)을 밟을 때 답력이 저감되는 도 9b와 도 9c 사이의 구간과 동일한 원리가 복귀 과정에서 역으로 작용하여, 탄성 부재(120)의 팽창하는 탄성력에 의해 시계 방향으로 클러치 암(100)에 힘을 가하므로 더 적은 힘으로 클러치 암(100)을 복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클럽 페달 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뷸렛 부재 가이드부를 따라 뷸렛 부재가 압축, 팽창하도록 하여 클러치 페달의 답력을 저감시키는 장점이 있다.
둘째, 클러치 암이 복귀할 때 뷸렛 부재가 최대로 압축된 상태에서 초기 상태로 이르기 까지는 탄성 부재의 팽창하는 탄성력에 의해 클러치 암이 적은 힘으로 복귀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셋째, 클러치 암이 풀 스트로크 되었을 때 뷸렛 부재가 뷸렛 부재 가이드부 를 이탈하도록 하여, 클러치 암이 더 적은 힘으로 복귀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넷째, 클릭 핏 부재에 의해 클러치 암과 푸쉬 로드의 조립이 용이한 장점도 있다.

Claims (7)

  1. 일단에 페달(pedal)이 형성되어 있고, 타단에는 개방된 내부 공간을 가지는 소켓부가 형성되며, 상기 소켓부와 가까운 쪽에 상기 페달에 가해지는 외부 힘에 의해 회동하도록 회전축이 형성되는 클러치 암(clutch arm);
    상기 소켓부에 삽입되어 상기 소켓부 내에서 움직이며 상기 소켓부 밖으로 돌출된 헤드부를 가지는 뷸렛(bullet) 부재;
    상기 소켓부와 상기 뷸렛 부재 사이에 삽입되는 탄성 부재;
    상기 뷸렛 부재의 헤드부와 접촉하며, 상기 클러치 암의 회동에 따라서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소켓부 내에서 상기 뷸렛 부재가 움직이도록 접촉면이 형성된 뷸렛 부재 가이드부; 및
    상기 클러치 암의 회동에 따라 마스터 실린더(master cylinder)에 압력을 가하는 푸쉬 로드(push rod)를 포함하는 클러치 페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뷸렛 부재는, 상기 소켓부의 양 측면에 상기 개방된 면에 수직한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홈과, 상기 홈에 삽입되는 뷸렛 부재의 양 측면에 형성된 돌기에 의해, 상기 홈을 따라 움직이는 클러치 페달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압축 스프링인 클러치 페달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양 측면에 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양 측면에 형성된 홀과 상기 회전축에 형성된 홀에 삽입되는 샤프트(shaft)에 의해 상기 클러치 암과 결합되며 상기 소켓부를 덮는 덮개 부재를 더 포함하는데, 상기 뷸렛 부재 가이드 부는 상기 덮개 부재의 내 측면에 형성되는 클러치 페달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뷸렛 부재 가이드부의 접촉면은 상기 페달에 힘을 가하여 상기 클러치 암이 회동함에 따라서 상기 탄성 부재에 의해 상기 뷸렛 부재가 압축되다가 다시 팽창하도록 형성된 클러치 페달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뷸렛 부재 가이드부의 접촉면은 상기 페달에 힘을 가하여 상기 클러치 암이 회동함에 따라서 상기 탄성 부재에 의해 상기 뷸렛 부재가 압축되다가 다시 팽창한 후 상기 뷸렛 부재가 상기 가이드부와의 접촉을 이탈하도록 형성된 클러치 페달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푸쉬 로드와 상기 클러치 암과의 연결은 상기 푸쉬 로드 끝단에 형성된 구 형상의 연결부가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시키는 연결부 고정부;
    측면에 형성되어 돌기가 있고, 상기 돌기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내부로 움직여 내부에 형성된 상기 연결부 고정부에 힘을 가하도록 상기 돌기 주변이 절단된 제 1 돌기부; 및
    상기 제 1 돌기부 아래에 측면에 형성되어 돌기가 있는 제 2 돌기부를 포함하는 클릭 핏(click-fit) 부재와 상기 제 2 돌기부가 걸려서 고정되도록 상기 클러치 암 내부 공간에 턱이 형성된 걸림부에 의해 형성되는 클러치 페달 장치.
KR1020060105325A 2006-10-27 2006-10-27 클러치 페달 장치 KR1008259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5325A KR100825937B1 (ko) 2006-10-27 2006-10-27 클러치 페달 장치
DE102007051564A DE102007051564B4 (de) 2006-10-27 2007-10-29 Kupplungspedalvorrichtu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5325A KR100825937B1 (ko) 2006-10-27 2006-10-27 클러치 페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25937B1 true KR100825937B1 (ko) 2008-04-28

Family

ID=39311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5325A KR100825937B1 (ko) 2006-10-27 2006-10-27 클러치 페달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825937B1 (ko)
DE (1) DE102007051564B4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7787B1 (ko) * 2014-12-30 2016-07-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페달의 답력 저감 장치
KR20190081876A (ko) 2017-12-29 2019-07-09 에스엘 주식회사 클러치 페달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46681B2 (ja) * 2009-01-21 2011-08-10 豊田鉄工株式会社 車両用操作ペダル装置
FR2983155B1 (fr) * 2011-11-28 2014-01-24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Dispositif de liaison entre la tige de commande de frein et la pedale de frein d'un vehicule automobile equipe d'un systeme additionnel de freinage electrique a recureration d'energie
FR3021598B1 (fr) * 2014-05-28 2016-05-13 Renault Sa Emetteur d'embrayage optimise
DE102018221614B4 (de) 2018-12-13 2023-05-17 Audi Ag Anordnung einer Bremsbetätigungseinheit an einer einen Fahrzeuginnenraum von einem Motorraum trennenden Spritzwand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8991A (ko) * 1999-07-06 2001-02-05 정몽규 클러치 시스템의 마스터 실린더
KR100456537B1 (ko) 2002-04-19 2004-11-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클러치 페달 어셈블리
KR20070016554A (ko) * 2005-08-04 2007-02-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클러치 페달의 밀림방지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841719A1 (de) * 1987-12-22 1989-07-06 Volkswagen Ag Druckfedervorrichtung, insbesondere uebertotpunktfedervorrichtung fuer das fusshebelwerk eines kraftfahrzeuges
DE10156987A1 (de) * 2001-11-21 2003-06-05 Fico Cables Sa Verbindungselement
DE10258938B4 (de) * 2002-12-17 2016-07-14 Volkswagen Ag Betätigungseinrichtung für eine Kraftfahrzeugkupplung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8991A (ko) * 1999-07-06 2001-02-05 정몽규 클러치 시스템의 마스터 실린더
KR100456537B1 (ko) 2002-04-19 2004-11-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클러치 페달 어셈블리
KR20070016554A (ko) * 2005-08-04 2007-02-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클러치 페달의 밀림방지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7787B1 (ko) * 2014-12-30 2016-07-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페달의 답력 저감 장치
US9829907B2 (en) 2014-12-30 2017-11-28 Hyundai Motor Company Apparatus for reducing pedal effort for vehicle
KR20190081876A (ko) 2017-12-29 2019-07-09 에스엘 주식회사 클러치 페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07051564B4 (de) 2010-09-16
DE102007051564A1 (de) 2008-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5937B1 (ko) 클러치 페달 장치
CN203713569U (zh) 踏板和踏板支架总成组合件
US20100050804A1 (en) Shift lever assembly and assembling method of shift lever assembly
KR101509996B1 (ko) 차량용 클러치페달의 답력 저감장치
KR101418822B1 (ko) 클러치 액츄에이터
KR100910652B1 (ko) 차량용 클러치
US20200072346A1 (en) Gearshift lever device
KR101535024B1 (ko) 차량용 클러치페달의 답력 저감장치
JP5129687B2 (ja) 自動車用ドアチェッカにおけるチェックプレート支持構造及びその組立方法
KR101109417B1 (ko) 자동차용 기계식 킥 다운 스위치 장치
CN210686942U (zh) 一种汽车自动换挡装置
KR20080053592A (ko) 가변 유압식 클러치 릴리스 실린더 장치
KR100771038B1 (ko) 디스크 브레이크
KR102405971B1 (ko) 킥다운 스위치
KR101519291B1 (ko) 차량용 클러치페달의 답력 저감장치
JP2004190431A (ja) 自動車用ドアチェッカ
KR100526874B1 (ko) 수동변속기의 변속조작기구
JPH0982163A (ja) 摺動スイッチ装置の可動接片
KR20020038349A (ko) 수동변속기용 시프트 포크 어셈블리
KR101558784B1 (ko) 차량용 클러치페달의 답력 저감장치
KR100416450B1 (ko) 자동차용 마스터 실린더
KR100427662B1 (ko) 변속 케이블의 소켓 어셈블리
KR100340137B1 (ko) 차량용 클러치 마스터 실린더
JPH0350674B2 (ko)
JP3281482B2 (ja) 管継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6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