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5041B1 - 염증성 질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염증성 질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5041B1
KR100825041B1 KR1020070014784A KR20070014784A KR100825041B1 KR 100825041 B1 KR100825041 B1 KR 100825041B1 KR 1020070014784 A KR1020070014784 A KR 1020070014784A KR 20070014784 A KR20070014784 A KR 20070014784A KR 100825041 B1 KR100825041 B1 KR 1008250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extract
composition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47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호철
정성문
김미연
박영미
부영민
Original Assignee
(주)뉴메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뉴메드 filed Critical (주)뉴메드
Priority to KR10200700147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50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50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50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61K36/254Acanthopanax or Eleutherococcu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61K36/232Angeli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61K36/539Scutellaria (skullca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1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water, e.g. cold water, infusion, tea, steam distillation, deco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mixed solvents, e.g. 70% EtO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yc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otany (AREA)
  • Epidemi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Rheumat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Neurosurger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염증성 질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가시오가피, 중국당귀 및 황금 생약 추출물이 함유되어 있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엘루스로사이드 E, 리구스틸라이드, 바이칼린의 함량이 일정 범위로 최적화된 조성물로서, 관절조직에서 염증을 유발시키는 인자인 백혈구수, 인터루킨-6, TNF-α, 프로스타글란딘 E2를 감소시키며, 염증을 억제하는 프로스타글란딘 D2 합성효소를 증가시켜, 염증성 질환을 치료 및 예방하는데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가시오가피, 중국당귀, 황금, 엘루스로사이드 E, 리구스틸라이드, 바이칼린, 염증성 질환, 관절염

Description

염증성 질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Composition for treatment or prevention of inflammatory diseases}
도 1은 낭침출액의 백혈구수를 정상군, 대조군 실험군으로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2는 막조직을 헤마톡실린과 에오신으로 염색하여 정상군, 대조군 실험군으로 비교한 사진이다.
도 3은 낭침출액의 인터루킨(IL)-6 단백질함량을 정상군, 대조군 실험군으로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4는 막조직의 인터루킨(IL)-6 mRNA 발현량을 정상군, 대조군 실험군으로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5는 막조직의 종양괴사인자(TNF)-a mRNA 발현량을 정상군, 대조군 실험군으로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6은 낭침출액의 프로스타글란딘(PG)-E2의 함량을 정상군, 대조군 실험군으로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7은 HT008의 성분을 분석한 2차원 HPLC 크로마토그램이다.
본 발명은 염증성 질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가시오가피, 중국당귀 및 황금 생약 추출물이 함유되어 있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엘루스로사이드 E, 리구스틸라이드, 바이칼린의 함량이 일정 범위로 최적화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염증성 질환이란 세균의 침입에 의하여 형성되는 농양의 병리적 상태를 의미한다. 염증을 유발하는 효소인 시클로옥시게나제(COX)는 2종류가 알려져 있다. 이중 COX-1은 염증부위뿐 아니라 정상적인 인체 여러 장기와 조직, 즉, 위장관 또는 신장 등에서 프로스타글란딘(Prostaglandin)의 물질을 생성하는 데에도 관여한다. 이에 비하여 COX-2는 염증이 있는 부위에서만 작용하는 효소로 알려져 있다. 시판되고 있는 디클로페낙(diclofenac), 아스피린(aspirin) 및 이브프로펜(ibuprofen) 등의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s)는 COX-1과 COX-2를 동시에 억제하거나 주로 COX-1을 억제하므로 염증이 있는 조직뿐만 아니라, 장기 복용시 간 위장관 또는 신장 등의 기능유지에 필수적인 프로스타글란딘을 동시에 억제하여 많은 부작용을 야기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Isselbecher et al ., Harrison's Principles of Internal Medicine.(13th ed)2. pp.1543-1711). 따라서 최근 기존의 NSAIDs의 부작용을 감소시키기 위해 COX-2 효소만을 선택적으로 억제하는 약물의 개발에 역점을 두고 천연물을 대상으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염증성 질환으로는 골관절염, 류마티스 관절염, 통풍, 강직성 척추염, 건염, 건막염, 류마티스 열, 루프스, 섬유근통(Fibromyalgia), 건선 관절염, 천식, 아토피, 크론병, 궤양성 대장염 등 급성 만성 염증질환 등이 있다.
이중 관절염의 원인은 박테리아 감염에 의한 화농성, 염증성 관절염 등 몇 가지 질환을 제외하고는 정확하게 밝혀있지는 않은데, 바이러스나 박테리아 같은 병원체가 체내에 들어오면 유사분자구조를 가진 유전인자에 의해 면역반응이 발생하여, 면역세포들이 활성화되어 그 결과로 염증을 발생하며 특히 관절 내에서 관절염이 유발된다. 또한, 관절염유발요인으로는 사람 개개인의 유전인 선천적 요인도 주요요인으로 강직성 척추염이나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에게 질병 특이유전자가 발견되었다. 그 외 외부의 자극이나 스트레스 혹은 물리적인 상처 등에 의한 연골파괴도 관절염 발생에 한 요인으로 작용한다. 관절조직에 염증반응이 일어나면 면역세포인 백혈구의 수치가 증가하고, 백혈구에서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IL-6, TNF-α, 프로스타글란딘E2 등 염증유발 인자를 생성 분비하여 관절의 염증과 통증을 유발하는 각종 독성, 연골등 관절조직을 파괴하는 물질을 생성하고 활동을 촉진시켜 관절염을 악화시킨다. 이에 반해 염증반응을 종결시키는 작용을 한다고 알려진 프로스타글란딘D2가 증가하면 후기 염증반응을 조속히 종결한다.
가시오가피는 두릅나무과(Araliaceae)의 낙엽 관목인 자오가(Acanthopanax senticosus (RUPR. et MAXIM) HAMS)의 뿌리와 근경 및 수피를 건조한 것으로서 카로틴(carotene), 리구스트린(ligustrin), 7-메틸-6,8-디메틸쿠마린글리코사이드(7-methyl-6,8-dimethylcoumarineglycoside), 갈락토사이드(galactoside), 시린가레시놀디-O-베타-D-글루코사이드(syringaresinol di-o-beta-D-glucoside) 및 카리오피놀(caryophyllenol) 등 다종의 배당체와 클로로제닉 에시드(chlorogenic acid), 플라본(flavone), 정유, 다당 등을 성분으로 함유한다. 가시오가피는 정신적 육체적 활력을 불어넣으며 강장 효과 및 비특이적인 저항력 증가를 나타내어 질병에 대한 예방효과가 있으며, 혈당저하 작용, 암, 저혈압에도 효과가 있으며 사람을 흥분시키지 않기 때문에 인삼과는 달리 불면증 등의 부작용이 없다(Park SH, Arch Pharm Res. Sep;29(9):768-76 2006). 또한, 특히, 가시오가피의 성분 중 엘로이테로사이드(eleutheroside) B는 염증성의 COX를 저해하고, 디텔펜(diterpene; 예를 들어 pinoresinol, sesamin 등) 계통의 약물 분자도 이런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경희대 약대 논문집 Bull K.H. Pharma, Sci. vol. 18, p43,1990). 또한 스테로이드 호르몬이 PLA2(Phospholipase A2)를 억제하듯이, β-시토스테롤(sitosterol) 등의 스테로이드성 물질들이 역시 이런 기능을 가져 세포막 인지질로부터 아라키돈산이 유리되는 것을 저해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00-9820호). 전술한 가시오가피의 약리 작용에 기초하여 다양한 용도가 연구되어 왔는데, 본 발명자들은 가시오가피 추출물이 신경보호효과를 갖는다는 것을 규명하였다(대한민국 특허 제 463263호).
당귀(angelica)는 신농본초경 중품에 수록된 이래 보혈활혈, 조경지통, 윤조활장 등의 효능으로 한의학 임상에서 많이 활용되는 한약재로서 약리작용으로는 혈액 및 조혈계통에 대한 작용, 자궁에 대한 작용, 심혈관 계통에 대한 작용, 면역계에 대한 작용, 진통작용, 소염작용, 항균작용, 간기능 보호작용, 항암작용, 조혈작용(Zu,K.J. et al ,. Zhongyaotongbao, p.39, 1985)을 한다. 중국당귀(angelica sinensis)의 성분으로는 ligustilide, n-butylidenephthalide, vitamin B-12, folic acid 등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황금은 꿀풀과(Labiatae)에 속한 다년생 본초인 황금(Scutellaria baicalensis GEORGI)의 뿌리를 거피하여 건조한 것으로 제습열, 지혈, 안태(安胎)의 효능이 있어 임상에서 황련해독탕(黃連解毒湯), 용담사간탕(龍膽瀉肝湯), 우황청심환(牛黃淸心丸) 등 처방으로 고혈압, 유행성 뇌척수막염(腦脊髓膜炎)의 치료에 사용되어 온 한약재이다(김동찬, 노승현, 이상인, 이영종, 주영승 : 方劑學, 서울, 永林社, 1990, pp.111-113, pp263-264, p338). 이에 대한 성분으로는 우고닌(wogonin), 바이칼린(baicalin), 바이칼레인(baicalein) 등 여러 종류의 플라보노이드들이 함유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지금까지 밝혀진 약리작용으로는 항균작용, 항염증작용(Michinori Kubo et , al ., Chem . Pharm. Bull ., 32(7), 1984), 항알러지작용, 담즙분비촉진작용, 간장애 예방작용, 이뇨작용, 고지혈증 개선작용, 장관운동억제작용, 항암작용 등이 보고되어 있다(國家中醫藥管理局 : 中華本草, 上海, 上海科學技術出版社, 1998, pp1682-1694). 또한 신경보호작용을 갖는 황금추 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약학적 제제에 대한 특허를 등록한 바 있다(대한민국 특허 제 364383호).
동의보감, 향약집성방 및 광제비급 등의 기성 한약서나 관련 문헌에서는 대부분 이들 생약 각각에 대한 단방 생약으로서의 한방의학적 약효와 탕액의 제조방법에 관해서만 언급하고 있을 뿐 적절히 배합함으로써, 탕액을 제조하여 처방한 바 없다.
본 발명은 가시오가피, 중국당귀 ,황금 추출물이 염증성 질환에 유용함을 확인하였으며, 아울러 최대로 약효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약재같은 중량비보다 생약 조성물 중 엘루스로사이드 E, 리구스틸라이드 및 바이카린의 함유량을 조절하는 것이 효과적임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가시오가피, 중국당귀, 황금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염증성 질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및 염증성 질환 예방용 건강식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가시오가피, 중국당귀 및 황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염증성 질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이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관절염 치료제를 제공한 다.
아울러, 본 발명은 가시오가피, 중국당귀 및 황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염증성 질환 예방용 건강식품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가시오가피, 중국당귀 및 황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염증성 질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있어서, 가시오가피 1 ~ 10 중량부, 중국당귀 1 ~ 8 중량부, 황금 0.1 ~ 2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며, 가시오가피 3 ~ 7 중량부, 중국당귀 2 ~ 6 중량부, 황금 0.8 ~ 1.2 중량부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생약에 함유된 유효 생리 활성물질의 함량은 산지, 채취시기, 보관기간 및 보관상태에 따라 크게 달라질 수 있으므로 각 생약 추출물의 배합비율 또는 원생약의 혼합비율을 생약 출처별로 엄밀히 검사하여 적절히 배합하는 것이 약효 발현에 유리하다. 다시 말하면, 원생약의 산지, 채취시기, 보관기간 및 보관상태에 따라 동일 중량의 생약 추출물중에 포함되는 유효 생리 활성물질의 함량이 크게는 100배 이상으로 달라질 수밖에 없으므로 생약 조성물의 조성을 한정함에 있어 사용성분의 '중량비' 한정은 커다란 의미를 갖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생약 조성물은 가시오가피, 중국당귀, 황금의 3가지 생약을 각각 추출하여 얻은 생약 엑기스를 배합하여 제조하거나, 또는 원생약을 배합하고 추출하여 활성분획을 분획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이때의 배합비율은 원생약의 중량비율에 관계없이 엘루스로사이드 E, 리구스틸라이드, 바이칼린의 생약 조성물중의 함유량으로 결정된다. 이로써 본 발명의 생약 조성물은 지표물질인 엘루스로사이드 E 0.5% 중량이상, 리구스틸라이드 0.05% 이상, 바이칼린 1%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엘루스로사이드 E 0.5 ∼ 5.0%, 리구스틸라이드 0.05 ∼ 0.5%, 바이칼린 1 ∼ 10% 함유되어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서로 일정 함량범위로 함유되어 있을 때 약효 상승효과(synergic effect)를 발현하여 보다 강력한 약효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얻은 생약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서 상기 성분 이외에의 기타 다른 성분의 작용을 배제 할 수는 없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가시오가피, 중국당귀, 황금 각각 또는 상기 중량비대로 혼합하여 생약 중량의 5 ~ 10 배의 물 또는 물과 알코올의 혼합용액을 추출용매로 사용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혼합용액의 농도는 10 ~ 90% 알코올 혼합용액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4 ~ 6시간 환류 추출하여 여과한 후 감압 농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농축액을 동결건조하여 분말상태의 엑기스를 얻었다.
상기 수득한 분말상태의 엑기스를 이용하여 염증유발인자에 대한 영향을 조사한 결과, 백혈구수는 87% 감소하였으며(도 1 , 도 2 및 표 2), 인터루킨-6은 단백질 레벨(50%) 및 유전자 레벨(100%)에서 모두 감소를 일으켰다(도 3, 도 4, 표 4 및 표 5). 또한, TNF-α는 효과적으로 100% 감소하였으며(도 5 및 표 6), 프로스타글란딘 E2가 감소하였으며(도 6 및 표 7), 프로스타글란딘 E2/프로스타글란딘 D2 가 효과적으로 증가함을 확인하였다(표 8). 프로스프로스타글란딘 E2와 프로스타글란딘 D2는 사이클로옥시지나제-2(Cyclooxygenase-2: COX-2)에 의해 생성된다. 프로스타글란딘 E2은 염증과 통증, 관절조직의 퇴화에 중요한 역할을 하여 연골조직 퇴화, 연골세포 사멸을 유도시키고 관절활액의 섬유화를 증가시켜 관절의 염증과 통증을 악화시킨다(Morgan et al ., Arthritis Rheum, 2004. 50(5): p.1642-9.). 반면에 프로스타글란딘 D2는 프라스타글란딘 J2의 전구물질로 염증성 사이토카인 생성을 억제하고 염증을 조기에 종결지어 염증질환을 치료할 수 있는 새로운 치료 타겟 물질이다(Gilroy et al, Nat Med, 1999. 5(6): p. 698-701). 그러므로 본 발명의 조서물은 염증을 유발하는 프로스타글란딘 E2을 억제하고, 염증반응을 조기에 종결시켜 항염증 작용을 하는 프로스타글란딘 D2을 증가시키므로 염증을 치료하는데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조성물이 염증성 질환의 치료 및 예방에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단일 성분으로 처리할 때보다 본 발명의 비율로 제조하여 처리할 때 더욱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상기 염증성 질환으로는 통풍, 간직성 척추염, 류마티스 열, 루푸스, 섬유근통(fibromyalgia), 건선관절염, 천식, 아토피, 크론병, 궤양성 대장염, 급성 및 만성 염증질환, 골관절염, 류마티스관절염, 견관절주위염, 건염, 건초염, 건주위염 및 근육염인 것을 특징으로 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을 통상의 제제화 법으로 제형화하여 정제, 연질캅셀, 주사제, 연고제, 경피투여제 등의 경구투여용 제제 또는 비경구투여용 제제 등으로 제조할 수 있다. 사람에게 적용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단독으로 투여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투여방식과 표준 약제학적 관행(standard phamaceutical practice)을 고려하여 선택된 약제학적 담체와 혼합되어 투여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조성물은 전분 또는 락토오즈를 함유하는 정제 형태로, 또는 단독 또는 부형제를 함유하는 캡슐 또는 포낭(ovules) 형태로, 또는 맛을 내거나 색을 띄게 하는 화학 약품을 함유하는 엘릭시르 또는 현탁제 형태로 경구, 구강내 또는 혀밑 투여될 수 있다. 이러한 액체 제제는 현탁제(예를 들면, 메틸셀룰로오즈, 위텝솔(witepsol)과 같은 반합성 글리세라이드 또는 행인유(apricot kernel oil)와 PEG-6 에스테르의 혼합물 또는 PEG-8과 카프릴릭/카프릭 글리세라이드의 혼합물과 같은 글리세라이드 혼합물)와 같은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첨가제와 함께 제조된다. 또한, 비경구적으로 예를 들면, 정맥내, 해면체내, 근육내, 피하 및 관내를 통하여 주사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해서는 무균의 수용액 형태로서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며, 이때 상기 용액은 혈액과의 등장성을 갖기 위하여 다른 물질들(예를 들면 염(salt) 또는 만니톨, 글루코오스와 같은 단당류)을 함유할 수도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조성물은 경피제로도 제조가 가능한 바, 폴리아크릴산 나트륨, 글리세린, 메틸 파라벤 등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습포제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 유동 파라핀 및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등을 함유한 프라스타 제형 등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인체에 대한 투여용량은 환자의 나이, 몸무게, 성별, 투여형태, 건강상태 및 질환정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의사 또는 약사의 판단에 따라 일정 시간간격으로 1일 1회 내지 수회로 분할투여할 수도 있다. 예컨대 평균 몸무게가 70 ㎏인 성인환자를 기준으로할 때 정제, 연질캅셀 등으로 제형화하여 경구로 투여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50∼ 2400 ㎎/일의 단위투여용량으로 투여되고, 주사제로 투여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50 ∼ 400 ㎎/일의 단위투여용량으로 투여되고, 연고제로 투여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300 ∼ 2400 ㎎/일의 단위투여용량으로 투여되고, 경피투여제로 투여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150 ∼ 1200 ㎎/일의 단위투여용량으로 투여된다. 상기한 투여량은 평균적인 경우를 예시한 것으로서 개인적인 차이에 따라 그 투여량이 높거나 낮을 수 있으며, 이러한 것은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다. 또한, 이들 조성물의 1일 투여량이 상기 투여용량 미만이면 유의성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없으며, 그 이상을 초과하는 경우 비경제적일 뿐만 아니라 상용량의 범위를 벗어나므로 역시 바람직하지 않은 부작용이 나타날 우려가 발생한다.
특히, 본 발명의 조성물을 인체에 투여하는 경우 천연추출물의 일반적 특성에 비추어 볼 때 다른 합성 의약품에 비해 부작용의 염려가 없을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관절염 치료제를 제공한다.
최근 류마티스 관절염 등 염증성 질환을 치료하는데 IL-6, TNF-α등 주요 염증성 사이토카인을 억제하는 접근법이 큰 주목을 받고있는 추세인데, TNF 사이토카 인에 대한 항체약물(예: Remicade)이나 TNF 수용체 단백질 약물(예: Enbrel)은 최근 시판되어 높은 매출을 올리고 있으며, IL-6 억제제(inhibitor)에 대한 새로운 관절염 약도 개발중에 있다(Goldblatt et al, Clin Exp Immunol, 2005. 140(2): p. 195-204.). 또한 프로스타글란딘 D2을 상승시켜 염증반응을 조기 종결시키는 새로운 기전의 항염증약물 개발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Gilroy et al , Nat Rev Drug Discov, 2004. 3(5): p. 401-16.) 본 발명의 염증성 질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은 염증성 질환에 효과적이므로 관절염 치료제로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아울러, 본 발명은 가시오가피, 중국당귀 및 황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염증성 질환 예방용 건강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염증성 질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을 함유하는 건강식품으로는 상기 본 발명의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차, 젤리, 즙, 엑기스, 음료 등의 염증성 질환 예방을 목적으로 하는 민간요법제를 들 수 있다. 이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가공된 본 발명의 염증성 질환 예방용 건강식품은 인체에 부작용이 없으면서 항염증 작용이 우수할 뿐 아니라 복용이 용이하고 장기간 보관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염증성 질환 예방을 목적으로 건강식품에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식품 첨가물로 사용할 경우, 상기 각각의 추출물을 그대로 참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성분의 혼합양은 사용 목적(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시에는 본 발명의 가시오가피, 중국당귀, 황금 생약 추출물이 원료 100 중량부에 대하여 15 중량부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중량부 이하의 양으로 첨가된다. 그러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으므로 유효성분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혼합 생약 추출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세지, 빵, 쵸컬릿, 캔디류, 스낵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하는 낙농제품, 각종 수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코올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 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건강 음료 조성물은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오스, 슈크로오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및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코올이다. 감미제로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감미제나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염증성 질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100 ㎖당 일반적으로 0.01 내지 0.04 g, 바람직하게는 약 0.02 내지 0.03 g이다.
상기 외의 본 발명의 혼합 생약 추출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 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은 천연 과일 주스, 과일 주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크게 중요하지 않지만 본 발명의 염증성 질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01 내지 0.1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실험예 및 제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실험예 및 제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 실험예 및 제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개별 생약 추출물의 제조
<1-1> 가시오가피 추출물의 제조
중국 헤이룽성에서 수입한 가시오가피를 물로 세척하여 협잡물을 제거하고 잘 건조된 상태로 250 g에 2 ℓ의 75%(v/v) 에탄올 수용액을 가해 잘 교반하여 주면서 6 시간 환류 추출하였다. 여액을 취하여 모으고 잔사에 대해서는 1.5 ℓ의 75%(v/v) 에탄올 수용액을 가해 3 시간 재 가온 추출한 후 여액을 모두 합하여 생약추출물이 건조될 때까지 감압 농축하였다. 최종적으로 증류수를 가하여 현탁시킨 후 동결 건조하여 분말상태의 가시오가피 엑기스 21.7 g을 얻었다.
<1-2> 중국당귀 추출물의 제조
중국 간수성에서 수입한 중국당귀는 250 g에 2 ℓ의 50%(v/v) 에탄올 수용액을 가해 잘 교반하여 주면서 6 시간 환류 추출하였다. 여액을 취하여 모으고 잔사에 대해서는 1.5 ℓ의 50% 에탄올 수용액을 가해 3 시간 재 가온 추출한 후 여액을 모두 합하여 생약추출물이 건조될 때까지 감압 농축하였다. 최종적으로 증류수를 가하여 현탁시킨 후 동결 건조하여 분말상태의 중국당귀 엑기스 113.5 g을 얻었다.
<1-3> 황금 추출물의 제조
중국 산시성에서 수입한 황금은 250 g에 2 ℓ의 80%(v/v) 에탄올 수용액을 가해 잘 교반하여 주면서 6 시간 환류 추출하였다. 여액을 취하여 모으고 잔사에 대해서는 1.5 ℓ의 80%(v/v) 에탄올 수용액을 가해 3 시간 재 가온 추출한 후 여액을 모두 합하여 생약추출물이 건조될 때까지 감압 농축하였다. 최종적으로 증류수를 가하여 현탁시킨 후 동결 건조하여 분말상태의 황금 엑기스 133 g을 얻었다.
< 실시예 2> 비교 혼합물의 제조
<2-1> 가시오가피 추출물과 중국당귀 추출물과의 혼합물 제조
상기 실시예 1의 가시오가피 및 당귀의 동결건조 분말을 1:1로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2-2> 가시오가피 추출물과 황금 추출물과의 혼합물 제조
상기 실시예 1의 가시오가피 및 황금의 동결건조 분말을 1:1로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2-3> 중국당귀 추출물과 황금 추출물과의 혼합물 제조
상기 실시예 1의 중국당귀 및 황금의 동결건조 분말을 1:1로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 실시예 3> 생약 추출물의 혼합물 제조
상기 실시예 1의 가시오가피, 중국당귀 및 황금의 동결건조 분말을 5:4:1로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 실험예 1> 본 발명의 각 혼합물의 백혈구수에 미치는 영향 조사
McCarty 등(Curr Ther Res Clin Exp 1963; 5: 284-90)의 방법에 따라 8주령의 female BALB/c마우스의 등에 3 ㎖의 여과된 공기를 피하주사하여 공기낭을 생성시켰으며,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된 동결건조물을 실험시작 3일째부터 6일째까지 마우스 1 kg당 100 mg씩 경구투여하고, 음성대조구에는 식염수를 투여하였다. 염증은 실험 6일째에 요산제일나트륨(monosodium urate:MSU) 2 mg을 1 ㎖의 PBS에 녹여 주사하여 유발하였으며, 9시간 후 마우스를 CO2로 마취하여 희생시켰다. 희생시킨 마우스로부터 등 부위의 조직과 공기낭의 아래의 조직을 2×2 cm 채취하고, 절개시 공기주머니로부터 채취한 침출액을 분리하여 각각 채취하였으며, 액체질소로 급속동결시킨후 분석실험 때까지 -70℃에서 보관하였다. 채취한 조직의 일부를 24-48시간 포르말린에 고정한 후 파라핀에 담근 후, 섹션하여 헤마톡실린과 에오신염색을 통하여 염색된 백혈수를 측정하였다. 혼합 추출물이 미치는 영향은(실험군-정상군)/(대조군-정상군)×100으로 계산하였다.
그 결과, 백혈구수는 전체적으로 감소하였으며, 이중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생약 혼합 추출물이 백혈구수를 가장 효율적으로 감소시켰다(도 1, 도 2 및 표 1).
본 발명의 각 혼합물의 백혈구수에 미치는 영향 1
실험부위 분석법 효능1 마리수
실시예 1-1 낭침출액 세포 카운트 56% 감소 10
실시예 1-2 낭침출액 세포 카운트 55% 감소 10
실시예 1-3 낭침출액 세포 카운트 50% 감소 10
실시예 2-1 낭침출액 세포 카운트 62% 감소 10
실시예 2-2 낭침출액 세포 카운트 64% 감소 10
실시예 2-3 낭침출액 세포 카운트 59% 감소 10
실시예 3 낭침출액 세포 카운트 87% 감소 10
1염증유발시킨 후 식염수를 복용한 대조구와의 발현수치를 비교하여 미치는 영향을 퍼센트로 나타냄.
모든 실험군은 t-Student 통계처리로부터 유의성있음 p<0.05
< 실험예 2> 본 발명의 각 혼합물의 인터루킨( interleukin )-6에 미치는 영향 조사
상기 실험예 1에서 채취한 침출액을 대상으로 인터루킨(IL)-6의 함량을 면역분석용 키트(L-6 Immunoassay Kit: eBioscience, San Diogo, USA)를 사용하여 제조사의 방법대로 분석하였다.
또한, RNA 분리 키트(Ribrous RNeasy mini column; Qiagen, USA)를 이용하여 조직에서 RNA을 추출하여 real-time RT-PCR을 실시하여 IL-6의 m-RNA 함량을 분석하였다. real-time PCR에 사용된 프라이머 서열은 표 3과 같다. 본 발명자들은 GAPDH를 대조군으로 이용하였다. real-time PCR은 3회 반복 수행하였으며, 12.5 ㎕의 2X SYBR Green PCR Master Mix(Applied Biosystems, USA)에 cDNA 2 ㎕, 각각의 프라이머를 1 ㎕씩 첨가하고 총 부피가 25 ㎕가 되도록 증류수를 첨가하였다. PCR 혼합물은 50℃에서 2분간 처리하고, 95℃에서 10분간 처리하였다. 이후 95℃에서 15초, 60 ℃에서 1분, 40회 반복 수행하였다. 연장 반응 수행시 ABI Prism 7000 Sequence Detection System(Applied Biosystems, USA)으로 real-time PCR 산물 증폭을 정량분석하였다. mRNA 레벨은 대조군인 GAPDH 로 표준화하였다.
그 결과, 전체적으로 인터루킨-6의 단백질 레벨 및 유전자 레벨에서 모두 감소됨을 확인하였으며 그 중 실시예 3이 뛰어난 효과를 보였다(도 3, 도 4, 표 3 및 표 4).
유전자 서열번호 프라이머 서열
GAPDH 정방향 1 5’-TGCAGTGGCAAAGTGGAGATT- 3’
GAPDH 역방향 2 5’-ATTTGCCGTGAGTGGAGTCAT- 3’
IL-6 정방향 3 5’-GGAGAGGAGACTTCACAG- 3’
IL-6 역방향 4 5’-GCCATTGCACAACTCTTTTC- 3’
TNF-α 정방향 5 5’-CATCTTCTCAAAATTCGAGTGACAA- 3’
TNF-α 역방향 6 5’-TGGGAGTAGACAAGGTACAACCC- 3’
본 발명의 각 혼합물의 인터루킨-6 단백질에 미치는 영향 1
실험부위 분석법 효능1 마리수
실시예 1-1 낭침출액 ELISA 34% 감소 7
실시예 1-2 낭침출액 ELISA 35% 감소 7
실시예 1-3 낭침출액 ELISA 30% 감소 7
실시예 2-1 낭침출액 ELISA 37% 감소 7
실시예 2-2 낭침출액 ELISA 36% 감소 7
실시예 2-3 낭침출액 ELISA 40% 감소 7
실시예 3 낭침출액 ELISA 50% 감소 7
1염증유발시킨 후 식염수를 복용한 대조구와의 발현수치를 비교하여 미치는 영향을 퍼센트로 나타냄.
모든 실험군은 t-Student 통계처리로부터 유의성있음 p<0.05
본 발명의 각 혼합물의 인터루킨-6 mRNA 레벨에 미치는 영향 1
실험부위 분석법 효능1 마리수
실시예 1-1 막조직 qRT-PCR 64% 감소 8
실시예 1-2 막조직 qRT-PCR 62% 감소 8
실시예 1-3 막조직 qRT-PCR 64% 감소 8
실시예 2-1 막조직 qRT-PCR 71% 감소 8
실시예 2-2 막조직 qRT-PCR 74% 감소 8
실시예 2-3 막조직 qRT-PCR 78% 감소 8
실시예 3 막조직 qRT-PCR 100% 감소 8
1 염증유발시킨후 식염수를 복용한 대조구와의 발현수치를 비교하여 미치는 영향을 퍼센트로 나타냄
모든 실험군은 t-Student 통계처리로부터 유의성있음 p<0.05
< 실험예 3> 본 발명의 각 혼합물의 TNF ( tumor necrosis factor )-α에 미치는 영향 조사
실험예 1에서 체취한 막조직을 대상으로 RNA 분리 키트(Ribrous RNeasy mini column; Qiagen, USA)를 이용하여 조직에서 RNA을 추출하여 real-time RT-PCR을 실시하여 TNF-α의 m-RNA 함량을 분석하였다. real-time PCR에 사용된 프라이머 서열은 표 3과 같다. 본 발명자들은 GAPDH를 대조군으로 이용하였다. real-time PCR은 3회 반복 수행하였으며, 12.5 ㎕의 2X SYBR Green PCR Master Mix(Applied Biosystems, USA)에 cDNA 2 ㎕, 각각의 프라이머를 1 ㎕씩 첨가하고 총 부피가 25 ㎕가 되도록 증류수를 첨가하였다. PCR 혼합물은 50℃에서 2분간 처리하고, 95℃에서 10분간 처리하였다. 이후 95℃에서 15초, 60 ℃에서 1분, 40회 반복 수행하였다. 연장 반응 수행시 ABI Prism 7000 Sequence Detection System(Applied Biosystems, USA)으로 real-time PCR 산물 증폭을 정량분석하였다. mRNA 레벨은 대조군인 GAPDH 로 표준화하였다.
그 결과, 전체적으로 TNF-α의 유전자 레벨에서 감소됨을 확인하였으며 그중 실시예 3의 효과가 가장 뛰어남을 확인하였다(도 5 및 표 5).
본 발명의 각 혼합물의 TNF mRNA 레벨에 미치는 영향 1
실험부위 분석법 효능1 마리수
실시예 1-1 막조직 qRT-PCR 69% 감소 8
실시예 1-2 막조직 qRT-PCR 64% 감소 8
실시예 1-3 막조직 qRT-PCR 61% 감소 8
실시예 2-1 막조직 qRT-PCR 72% 감소 8
실시예 2-2 막조직 qRT-PCR 71% 감소 8
실시예 2-3 막조직 qRT-PCR 74% 감소 8
실시예 3 막조직 qRT-PCR 100% 감소 8
1 염증유발시킨후 식염수를 복용한 대조구와의 발현수치를 비교하여 미치는 영향을 퍼센트로 나타냄
모든 실험군은 t-Student 통계처리로부터 유의성있음 p<0.05
<실험예 4> 본 발명의 각 혼합물의 프로스타그란딘 E2에 미치는 영향 조사
상기 실험예 1에서 채취한 침출액을 대상으로 프로스타그란딘 E2의 함량을 면역분석용 키트(PGE2 Immunoassay kit: Cayman Chemical, Ann Arbor, USA)를 사용하여 제조사의 방법대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전체적으로 프로스타그란딘 E2가 감소함을 확인하였으며 그중 실시예 3의 결과가 가장 효과적이었다(도 6 및 표 6).
본 발명의 각 혼합물의 프로스타그란딘E2 에 미치는 영향 1
실험부위 분석법 효능1 마리수
실시예 1-1 낭침출액 ELISA 38% 감소 7
실시예 1-2 낭침출액 ELISA 34% 감소 7
실시예 1-3 낭침출액 ELISA 41% 감소 7
실시예 2-1 낭침출액 ELISA 44% 감소 7
실시예 2-2 낭침출액 ELISA 46% 감소 7
실시예 2-3 낭침출액 ELISA 51% 감소 7
실시예 3 낭침출액 ELISA 69% 감소 7
1 염증유발시킨후 식염수를 복용한 대조구와의 발현수치를 비교하여 미치는 영향을 퍼센트로 나타냄
모든 실험군은 t-Student 통계처리로부터 유의성있음 p<0.05
<실험예 5> 본 발명의 각 추출물의 프로스타그란딘 D2에 미치는 영향 조사
상기 실험예 1에서 채취한 침출액을 대상으로 프로스타그란딘 D2의 함량을 면역분석용 키트(PGD2 Immunoassay kit (Cayman Chemical, Ann Arbor, USA))를 사용하여 제조사의 방법대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전체적으로 프로스타그란딘 D2가 효과적으로 증가함을 확인하였으며 그중 실시예 3이 가장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도 7 및 표 7). 또한 프로스타그란딘E2/프로스타그란딘D2 비율이 증가하였다(표 8). 염증반응을 일으키는 프로스타그란딘E2와 염증반응을 마무리하여 항염증작용을 하는 프로스타그란딘 D2의 비율이 높으면 염증작용을 감소시키고 항염증작용을 높여 염증질환을 조기에 치료하는데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각 혼합물의 프로스타그란딘D2 에 미치는 영향 1
실험부위 분석법 효능1 마리수
실시예 1-1 낭침출액 ELISA 2.1배 증가 7
실시예 1-2 낭침출액 ELISA 3.1배 증가 7
실시예 1-3 낭침출액 ELISA 2.6배 증가 7
실시예 2-1 낭침출액 ELISA 3.5배 증가 7
실시예 2-2 낭침출액 ELISA 3.3배 증가 7
실시예 2-3 낭침출액 ELISA 3.1배 증가 7
실시예 3 낭침출액 ELISA 5.3배 증가 7
1 염증유발시킨후 식염수를 복용한 대조구와의 발현수치를 비교하여 미치는 영향을 퍼센트로 나타냄
모든 실험군은 t-Student 통계처리로부터 유의성있음 p<0.05
본 발명의 각 혼합물의 프로스타그란딘E2 / 프로스타그란딘D2 비율에 미치는 영향 1
분석법 효능1 마리수
실시예 1-1 ELISA 5.7배 증가 7
실시예 1-2 ELISA 4.9배 증가 7
실시예 1-3 ELISA 5.4배 증가 7
실시예 2-1 ELISA 6.1배 증가 7
실시예 2-2 ELISA 6.4배 증가 7
실시예 2-3 ELISA 6.8배 증가 7
실시예 3 ELISA 9.1배 증가 7
1 염증유발시킨후 식염수를 복용한 대조구와의 발현수치를 비교하여 미치는 영향을 퍼센트로 나타냄
모든 실험군은 t-Student 통계처리로부터 유의성있음 p<0.05
<실험예 6> HT008의 혼합물의 HPLC 분석
상기 실험예를 통해 가장 효과가 좋은 실시예 3의 혼합물을 “HT008"이라 명명하였으며, 본 실험의 재료로 사용하였고,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HPLC;기종: Waters, 용매 A:1%인산, B:아세토나이트릴, 분석조건: 0에서 60분간 아세토나이트릴 5%에서 50%로 상승후 60~61 min 사이에 아세토나이트릴 50에서 70% 로 상승시킨 후 20분간 70% 아세토나이트릴로 유지, 유속: 1 ㎖/min, 검출기, photodiode array detector 205 nm)로 지표성분의 함량을 측정한 결과는 도 7 및 표 9와 같다. 이후 엘루스로사이드 E의 함량이 1.9%(w/w), 리구스틸라이드의 함량이 0.1%(w/w), 바이칼린의 함량이 2.4%(w/w)가 되게 혼합한 후 증류수에 용해하여 균질하게 하여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HT008에 함유된 지표성분의 함량분석결과
성분명 함량(%) 검량곡선 함유원료
엘루스로사이드, E 1.909 ± 0.071 Y=1859573.934X-1749470.465, R2=0.972 가시오가피 (Acantopanax senticosus)
바이칼린 2.465 ± 0.327 Y=1774928.297X+3135407.500, R2=0.975 황금 (Scutellaria baicalensis)
리구스틸라이드 0.148 ± 0.059 Y=825706.051X+295628.084, R2=0.997 중국당귀 (Angelica sinensis)
<실험예 7> 본 발명의 HT008 추출물의 급성 독성실험
본 발명의 HT008 추출물에 대한 급성 독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4주령의 특정 병원체 부재(SPF, specific pathogens free) ICR계 마우스를 암수 각각 3 마리씩 4개군(암수 각각 3마리/실험군)으로 나누어, 온도 22± 3℃, 습도 55 ± 10%, 조명 12L/12D 조건의 동물실 내에서 사육하였다. 마우스는 실험에 사용되기 전 1주일 정도 순화시켰다. 실험 동물용 사료(마우스 및 랫트용, Dyets, 미국) 및 음수를 멸균한 후 공급하였으며 자유 섭취시켰다.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한 HT008 추출물을 0.5% 트윈(tween) 80에 50 ㎎/㎖ 농도로 조제한 후, 마우스 체중 20 g 당 0.04 ㎖(100 ㎎/㎏), 0.2 ㎖(500 ㎎/㎏) 및 0.4 ㎖(1,000 ㎎/㎏)씩 경구 투여하였다. 시료는 단회 경구 투여하였으며, 투여 후 7일 동안 다음과 같이 부작용 또는 치사 여부를 관찰하였다. 즉, 투여 당일은 투여 후 1 시간, 4 시간, 8 시간, 12 시간 뒤에, 그리고 투여 익일부터 7 일째까지는 매일 오전, 오후 1 회 이상씩 일반 증상의 변화 및 사망 동물의 유무를 관찰하였다. 또한, 투여 7 일째에 동물을 치사시켜 해부한 후 육안으로 내부 장기를 검사하였다. 투여 당일부터 1일 간격으로 체중의 변화를 측정하여 HT008 추출물에 의한 동물의 체중 감소 현상을 관찰하였다.
실험 결과, 시료를 투여한 모든 마우스에서 특기할 만한 임상증상이 나타나지 않았고 폐사된 마우스도 없었으며, 또한 체중변화, 혈액검사, 혈액생화학 검사, 부검소견 등에서도 독성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HT008 추출물은 모든 마우스에서 1,000 ㎎/㎏까지 독성변화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경구투여 최소치사량(LD50)이 1,000 ㎎/㎏ 이상인 안전한 물질로 판단되었다.
< 제제예 1> HT008 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관절염 치료제의 제조
본 발명자들은 상기 실험예를 통해 HT008 추출물이 항염증 활성을 가짐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관절염을 예방하는데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HT008 추출물 및 항염증 활성을 갖는 성분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치료제를 하기와 같이 제조하였다. 또한 하기 치료제의 제제예는 치료제 뿐만 아니라 건강식품의 제조에도 응용하여 사용될 수 있다.
<1-1> 연질캅셀( soft gelatin capsules )의 제조
HT008 분말 13.5 중량부
글루코사민 22.0 중량부
상어연골추출분말 7.0 중량부
비타민 C 2.5 중량부
비타민 D3 0.0005 중량부
황산망간 0.05 중량부
밀납 5 중량부
팜유 15 중량부
홍화씨유 34.9495 중량부
<1-2> 정제( tablets )의 제조
HT008 분말 29.4 중량부
글루코사민 35.0 중량부
167상어연골추출분말 10.0 중량부
비타민 C 5.8 중량부
비타민 D3 0.0005 중량부
황산망간 0.05 중량부
결정셀룰로오즈 10.0 중량부
유당 9.0495 중량부
스테아린산마그네슘 0.7 중량부
< 제제예 2> HT008 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 예방용 건강식품의 제조
본 발명의 HT008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품들을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1. 조리용 양념의 제조
조리용 양념 100 중량부에 HT008 추출물 8 ~ 12 중량부로 혼합하여 간 기능 개선용 조리용 양념을 제조하였다.
2. 스프 및 육즙(gravies)의 제조
본 발명의 HT008 추출물 8 ~ 12 중량부를 스프 및 육즙 100 중량부에 첨가하여 간 기능 개선용 육가공 제품, 면류의 스프 및 육즙을 제조하였다.
3. 유제품(dairy products)의 제조
본 발명의 HT008 추출물 8 ~ 12 중량부를 우유 100 중량부에 첨가하고, 상기 우유를 이용하여 버터 및 아이스크림과 같은 다양한 유제품을 제조하였다.
4. 선식의 제조
현미, 보리, 찹쌀, 율무를 공지의 발법으로 알파화시켜 건조시킨 것을 배전한 후 분쇄기로 입도 60 메쉬의 분말로 제조하였다.
검은콩, 검은깨, 들깨도 공지의 방법으로 쪄서 건조시킨 것을 배전한 후 분쇄기로 입도 60 메쉬의 분말로 제조하였다.
본 발명의 HT008 추출물을 진공 농축기에 감압, 농축하고 분무, 열풍 건조기로 건조하여 얻은 건조물을 분쇄기로 입도 60 메쉬로 분쇄하여 건조분말을 얻었다.
상기에서 제조한 곡물류, 종실류, 및 본 발명의 추출물을 다음과 같은 비율로 배합하여 제조하였다.
곡물류(현미 30 중량부, 율무 15 중량부, 보리 20 중량부),
종실류(들깨 7 중량부, 검은콩 8 중량부, 검은깨 7 중량부),
HT008 추출물의 건조분말(20 중량부).
< 제제예 3> HT008 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 예방용 건강음료의 제조
1. 탄산음료의 제조
설탕 5 ~ 10 중량부, 구연산 0.05 ~ 0.3 중량부, 카라멜 0.005 ~ 0.02 중량부, 비타민 C 0.1 ~ 1 중량부, HT008 추출물 8 ~ 12 중량부의 첨가물을 혼합하고 여기에 79 ~ 94 중량부의 정제수를 섞어서 시럽을 만들고, 상기 시럽을 95 ~ 98℃에서 20 ~ 180초간 살균하여 냉각수와 1:4의 비율로 혼합한 다음 탄산가스를 0.5 ~ 0.82 중량부를 주입하여 탄산음료를 제조하였다.
2. 염증성 질환 예방용 기능성 음료의 제조
비타민 C 0.1 중량부, 과당 5.8 중량부, 백설탕 3.8 중량부, 구연산 0.12 중량부, 사과산 0.03 중량부, 구연산나타륨 0.04 중량부 및 치자청색소 0.02 중량부에 본 발명의 HT008 추출물 8 ~ 12 중량부를 배합하여 계량된 물에 완전히 용해시켰다. 상기 용해된 음료를 총량이 1 중량부가 되도록 계량된 정제수로 조정하였다.
3. 건강 음료의 제조
액상과당 0.5 중량부, 올리고당 2 중량부, 설탕 2 중량부, 식염 0.5 중량부, 물 75 중량부과 같은 부재료와 HT008 추출물 8 ~ 12 중량부를 균질하게 배합하여 순간 살균을 한 후 이를 유리병, 패트병 등 소포장 용기에 포장하여 건강 음료를 제조하였다.
4. 야채 주스의 제조
본 발명의 HT008 추출물 20 g을 토마토 또는 당근 주스 1 ℓ에 가하여 건강 증진용 야채 주스를 제조하였다.
5. 과일 주스의 제조
본 발명의 HT008 추출물 20 g을 사과 또는 포도 주스 1 ℓ에 가하여 건강 증진용 과일 주스를 제조하였다.
본 발명은 가시오가피, 중국당귀, 황금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염증성 질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엘루스로사이드 E, 리구스틸라이드, 바이칼린의 함량이 적절한 범위로 최적화되어 있으며, 염증 유발 인자를 검소시키고, 염증 억제 인자를 증가시킴으로써 염증성 질환 치료 및 예방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서열목록 전자파일 첨부

Claims (13)

  1. 물, C1 내지 C5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추출되는 가시오가피 추출물 3 ~ 7 중량부, 중국당귀 추출물 2 ~ 6 중량부 및 황금 추출물 0.8 ~ 1.2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골관절염, 류마티스관절염 및 견관절주위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염증성 질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에는 엘루스로사이드 E 0.5 ~ 5%, 리구스틸라이드 0.05 ~ 0.5%, 바이칼린 1 ~ 10% 함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증성 질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은 30 ~ 90% 에탄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증성 질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염증성 질환은 골관절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증성 질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9. 제 1항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골관절염, 류마티스관절염 및 견관절주위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염증성 질환 개선용 건강식품.
  10. 삭제
  11. 삭제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에는 엘루스로사이드 E 0.5 ~ 5%, 리구스틸라이드 0.05 ~ 0.5%, 바이칼린 1 ~ 10% 함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증성 질환 개선용 건강식품.
  13. 제 9항에 있어서, 염증성 질환은 골관절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증성 질환 개선용 건강식품.
KR1020070014784A 2007-02-13 2007-02-13 염증성 질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1008250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4784A KR100825041B1 (ko) 2007-02-13 2007-02-13 염증성 질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4784A KR100825041B1 (ko) 2007-02-13 2007-02-13 염증성 질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25041B1 true KR100825041B1 (ko) 2008-04-24

Family

ID=395725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4784A KR100825041B1 (ko) 2007-02-13 2007-02-13 염증성 질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5041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61454A (zh) * 2012-12-03 2013-03-13 熊玲燕 一种治疗肩周炎的药物及其制备方法
CN103751428A (zh) * 2014-01-01 2014-04-30 黄艳英 一种治疗肩周炎的草药
CN103877313A (zh) * 2014-03-28 2014-06-25 孙国锋 一种用于放疗后升白细胞血小板的中草药及其制作方法
KR20150019545A (ko) * 2013-08-14 2015-02-2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항산화 및 항염증용 조성물
KR101496277B1 (ko) * 2014-01-22 2015-02-26 동신대학교산학협력단 류마티스 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50087144A (ko) * 2014-01-21 2015-07-29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60008402A (ko) 2014-07-14 2016-01-22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소청룡탕의 품질 판별 및 품질 표준화 방법
CN112472708A (zh) * 2020-12-04 2021-03-12 苏州大学附属第一医院 Eleutheroside E在制备用于预防和/或治疗KOA药物中的应用
WO2023068616A1 (ko) * 2021-10-20 2023-04-27 파낙스바이오 주식회사 가시오갈피 발효액을 포함하는 골다공증 예방 및 개선 효과를 갖는 식품 조성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31825A (ja) * 2003-07-09 2005-02-03 Hitachi Ltd チケットを利用した情報提供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31825A (ja) * 2003-07-09 2005-02-03 Hitachi Ltd チケットを利用した情報提供方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European Journal of Pharmacology, 465(1-2), 171-181, (2003.)*
대한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17(3), 18-25, (2004.)*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61454A (zh) * 2012-12-03 2013-03-13 熊玲燕 一种治疗肩周炎的药物及其制备方法
KR20150019545A (ko) * 2013-08-14 2015-02-2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항산화 및 항염증용 조성물
KR102001025B1 (ko) 2013-08-14 2019-07-17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항산화 및 항염증용 조성물
CN103751428A (zh) * 2014-01-01 2014-04-30 黄艳英 一种治疗肩周炎的草药
KR20150087144A (ko) * 2014-01-21 2015-07-29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2397926B1 (ko) 2014-01-21 2022-05-16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1496277B1 (ko) * 2014-01-22 2015-02-26 동신대학교산학협력단 류마티스 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03877313A (zh) * 2014-03-28 2014-06-25 孙国锋 一种用于放疗后升白细胞血小板的中草药及其制作方法
KR20160008402A (ko) 2014-07-14 2016-01-22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소청룡탕의 품질 판별 및 품질 표준화 방법
CN112472708A (zh) * 2020-12-04 2021-03-12 苏州大学附属第一医院 Eleutheroside E在制备用于预防和/或治疗KOA药物中的应用
CN112472708B (zh) * 2020-12-04 2023-01-31 苏州大学附属第一医院 Eleutheroside E在制备用于预防和/或治疗KOA药物中的应用
WO2023068616A1 (ko) * 2021-10-20 2023-04-27 파낙스바이오 주식회사 가시오갈피 발효액을 포함하는 골다공증 예방 및 개선 효과를 갖는 식품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5041B1 (ko) 염증성 질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101115500B1 (ko) 강활 및 방풍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135576B1 (ko) 자생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158856B1 (ko) 콩잎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고지혈증, 동맥경화, 지방간, 당뇨 또는 대사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567235B1 (ko)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523663B1 (ko) 우방자, 감초, 생강 및 후박의 혼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지방간 질환 또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469325B1 (ko) 창이자 포함 복합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염증질환 또는 알레르기 질환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20110130546A (ko) 꽈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090025469A (ko) 천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및 치료용 또는 통증 완화용 약학적 조성물
KR101337389B1 (ko) 한약재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용 식품 및 약학 조성물
KR20180061062A (ko) 여주 추출물, 구절초 추출물 및 작약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160056007A (ko) 황칠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101404150B1 (ko) 검정콩으로부터 추출한 안토시아닌을 포함하는 비세균성 전립선염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316044B1 (ko) 오디 유래의 감염성 비만 억제용 약학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KR101692889B1 (ko) 두메닥나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487065B1 (ko) 외톨개모자반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TWI678211B (zh) 管花肉蓯蓉萃取物及異類葉升麻苷於保護肌肉之用途
KR20110109246A (ko) 여우오줌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KR20160108771A (ko) 능이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50046916A (ko) 간 섬유화 또는 간경화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101181347B1 (ko) 백선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지질 관련 심혈관 질환 또는 비만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132110B1 (ko)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치주질환용 조성물
KR100842054B1 (ko) 구운감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포함하는혈당 강하용 조성물
KR101373173B1 (ko) 복합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염증질환 또는 알레르기 질환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20110080678A (ko) 팥꽃나무에서 분리한 아피게닌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치주인대세포에서 항염 효과를 나타내는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6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