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3173B1 - 복합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염증질환 또는 알레르기 질환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복합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염증질환 또는 알레르기 질환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3173B1
KR101373173B1 KR1020120050732A KR20120050732A KR101373173B1 KR 101373173 B1 KR101373173 B1 KR 101373173B1 KR 1020120050732 A KR1020120050732 A KR 1020120050732A KR 20120050732 A KR20120050732 A KR 20120050732A KR 101373173 B1 KR101373173 B1 KR 1013731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disease
inflammatory
allergic
solu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07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27090A (ko
Inventor
이은경
박영나
김선건
박효현
이화동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한국한방산업진흥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한국한방산업진흥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 한국한방산업진흥원
Priority to KR10201200507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3173B1/ko
Publication of KR201301270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70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31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31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2Cucurbitaceae (Cucumber family)
    • A61K36/428Trichosant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6Liliaceae (Lily family), e.g. daylily, plantain lily, Hyacinth or narciss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 modulation effect on allergy and risk of allerg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1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water, e.g. cold water, infusion, tea, steam distillation, deco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mixed solvents, e.g. 70% EtO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Botan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Rheumat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복화, 해백, 전호 및 괄루인으로 구성된 복합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질환 또는 알레르기 질환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추출물은 골수유래 비만세포 (BMMC)에서 COX-2 의존적인 PGD2 생성 및 류코트리엔 C4 (LTC4)생성을 억제하며, LPS 자극 후 대식세포에서 분비되는 NO 및 사이토카인 (TNF-α, IL-1, IL-6) 생성 억제 그리고 오브알부민에 의해 유도된 천식 동물모델에서 혈청 IgE 농도 감소 및 기관지 폐포세척액의 IL-4, IL-5, IL-10, 및 IL-17의 생산을 억제하는 항염증, 항알레르기 및 항천식 효과를 확인함으로써, 염증질환 또는 알레르기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에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복합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염증질환 또는 알레르기 질환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Composition comprising an extract of combined crude drug for preventing and treating inflammatory disease or allergic disease}
본 발명은 복합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염증질환 또는 알레르기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문헌 1] Busse WW and Lemanske RF, Asthma, N Engl Med 2001, 344(5), 350-362.
[문헌 2] Lemanske RF and Busse WW, Asthma, J Allergy Clin Immunol 2003, 110(5), 703-705.
[문헌 3] Woodfolk JA, Cytokines as a therapeutic target for allergic disease: a complex picture, Curr Pharm Des 2006, 12(19), 2349-2396.
[문헌 4] Harizi H, et al., Arachidonic-acid-derived eicosanoids: roles in biology and immunopathology, Trends Mol Med 2008, 14(10), 461-469.
[문헌 5] Cicardo VH, Mechanism of the hypotensive effect of prostaglandins A2 and E2, Acta Physiol Lat Am 1981, 85-91.
[문헌 6] Liu F, et al., Prostaglandin B2-induced pulmonary hypertension is mediated by TxA2/PGH2 receptor stimulation, Am . J. Physiol 1994, 267, 602-608).
[문헌 7] Gollman HM et al., Comparative pyrogenic potency of endogenous prostanoids and of prostanoid-mimetics injected into the anterior hypothalamic/preoptic region of the cat, Brain Res 1988, 449, 281-293.
[문헌 8] Collins, et al., Cutaneous sympathetic motor rhythms during a fever-like response induced by prostaglandin E(1), Neuroscience , 2002, 110, 351-360.
[문헌 9] Shiraishi, et al., Cyclooxygenase-2/prostaglandin D2/CRTH2 pathway mediates double-stranded RNA-induced enhancement of allergic airway inflammation, J Immunol 2008, 180, 541-549.
[문헌 10] Dahlen SE, Treatment of asthma with antileukotrienes: first line or last resort therapy, Eur J Pharmacol 2006, 533, 40-56.
[문헌 11] Kitamura S, Leukotriene (B4, C4, D4, E4), Nippon Rinsho 2005, Suppl 8, 28-33.
[문헌 12] 정보섭 및 신민교 저, 도해향약(생약)대사전, 영림사, pp 1054-1056, 1998.
[문헌 13] 정보섭 및 신민교 저, 도해향약(생약)대사전 -약용식물편, 영림사, pp 158-159, 1998.
[문헌 14] 정보섭 및 신민교 저, 도해향약(생약)대사전 -약용식물편, 영림사, pp 411-412, 1998.
[문헌 15] 정보섭 및 신민교 저, 도해향약(생약)대사전 -약용식물편, 영림사, pp 960-963, 1998).
[문헌 16] Hua JM et al., 4.5-Methoxy-8-(2-hydroxy-3-buthoxy-3-methylbutyloxy)-psoralen isolated from Angelica dahurica inhibits cyclooxygenase-2 and 5-lipoxygenase in mouse bone marrow-derived mast cells, Arch Pharm Res 2008, 31(5), 617-621.
[문헌 17] Yang JH et al.,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ethylacetate fraction of Cliona celata, Immunopharmacol Immunotoxicol 2011, 33(2), 373-379.
[문헌 18] Park YN et al., Alleviation of OVA-induced airway inflammation by flowers of Inula japonica in a murine model of asthma, Biosci Biotechnol Biochem 2011, 75(5), 871-876.
염증이란 신체 국소에 일어나는 상해에 대하여 생체조직의 방어반응이다. 즉, 각종의 유해한 자극 (stressor)에 응답하여, 자극에 의한 상해를 제거하여 원래의 상태로 회복하려는 생체방어 반응이 염증반응이다. 염증의 자극에는, 감염 혹은 화학적, 물리적 자극 등이 있다. 염증반응에 관련된 생체구성인자는 자유라디칼 (free radical), 단백질, 당질, 지질 등의 저분자나 고분자의 화학물질과, 혈장, 혈구, 혈관 및 결합조직 등이 있다. 염증의 과정은 보통 2가지로 나누며, 급성 및 만성 염증으로 나눌 수 있다. 급성염증은 수일이내의 단기적인 반응이며, 혈장성분이나 혈구 등이 미소순환계를 개재하여 이물 제거에 관련한다. 만성염증은 지속시간이 길며, 조직의 증식 등이 나타난다.
알러지성 질환은 대부분이 항원-항체 반응에 의해 활성화된 조직의 비만세포 및 혈액의 호염기성 세포 및 호산구에서 유리되는 매개체들 (주로 히스타민 (histamine), 류코트리엔 (leukotrienes), 종양괴사요인α(TNFα), 사이토카인 (cytokines) 등)에 의해서 야기된다. 현재 사용되는 알러지 치료 약물들의 용도는 증상완화에 머무르고 있기 때문에 보다 근본적인 치료 약물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된다.
천식은 가역적인 기도폐색과 기관지 과민성을 특정적으로 갖는 만성 염증성 질환이며, 천식의 발병은 호산구, 비만세포, 대식세포 및 T 림프구와 같은 염증성 세포의 유입과 깊은 관련이 있다 (Busse WW and Lemanske RF, Asthma, N Engl Med 2001, 344(5), 350-362; Lemanske RF and Busse WW, Asthma, J Allergy Clin Immunol 2003, 110(5), 703-705). 천식 발병시 혈청에서의 IgE 농도 및 Th2 림프구에 의해 분비되는 사이토카인 (IL-4, IL-5, IL-13)이 증가한다 (Woodfolk JA, Cytokines as a therapeutic target for allergic disease: a complex picture, Curr Pharm Des 2006, 12(19), 2349-2396).
또한 염증 및 천식과 같은 알레르기 질환을 유도하는 핵심적인 매개물질은 프로스타글란딘류 (prostaglandines, PGs), 류코트리엔류(leukotriens, LTs), 혈소판활성화인자 (PAF) 등의 포스포리파아제 A2 (phospholipase A2), 시클로옥시게나제 (cyclooxygenase, COX) 및 리폭시게나제(lipoxygenase)에 의하여 전구체인 아라키돈산(arachidonic acid)으로부터 생성된다 (Harizi H, et al., Arachidonic-acid-derived eicosanoids: roles in biology and immunopathology, Trends Mol Med 2008, 14(10), 461-469).
프로스타글란딘류는 특이한 세포표면 수용체와 결합하여 cAMP (경우에 따라서는 cGMP)의 세포내 농도를 증가시키는 작용을 한다. cAMP의 증가에 의한 효과는 세포 종류에 따라 다르며 PGA2, PGB2는 혈압을 강하시키고 (Cicardo VH, Mechanism of the hypotensive effect of prostaglandins A2 and E2, Acta Physiol Lat Am 1981, 85-91; Liu F, et al., Prostaglandin B2-induced pulmonary hypertension is mediated by TxA2/PGH2 receptor stimulation, Am . J. Physiol 1994, 267, 602-608), PGD2, PGE1은 동통, 발열 등의 염증과정에 관여한다고 알려져 있다 (Gollman HM et al., Comparative pyrogenic potency of endogenous prostanoids and of prostanoid-mimetics injected into the anterior hypothalamic/preoptic region of the cat, Brain Res 1988, 449, 281-293; Collins, et al., Cutaneous sympathetic motor rhythms during a fever-like response induced by prostaglandin E(1), Neuroscience , 2002, 110, 351-360). PGD2은 특히 기관지 천식환자의 평활근을 수축하여 천식을 악화시키는 주범으로 알려져 있다 (Shiraishi, et al., Cyclooxygenase-2/prostaglandin D2/CRTH2 pathway mediates double-stranded RNA-induced enhancement of allergic airway inflammation, J Immunol 2008, 180, 541-549).
류코트리엔은 아라키돈산으로부터 생체에서 생성되는 국소 작용성 호르몬 그룹을 구성하며, 중요한 류코트리엔으로는 류코트리엔 B4 (LTB4), 류코트리엔 C4 (LTC4), 류코트리엔 D4 (LTD4) 및 류코트리엔 E4 LTE4)가 있다. 이들 류코트리엔의 생합성은 효소 5-리폭시게나아제가 아라키돈산에 대하여 작용하여 류코트리엔 A4로서 알려진 에폭사이드를 생성시킴으로써 시작되며, 이것은 연속적인 효소 반응 단계에 의해 다른 류코트리엔 (LTB4, LTC4, LTD4, LTE4)으로 전환된다. 류코트리엔은 폐동맥질환, 예를 들면, 천식, 만성 기관지염 및 관련 폐쇄성 기도 질환, 알러지성 비염, 접촉성 피부염, 알러지성 결막염 등의 알러지 및 알러지 반응, 관절염 또는 염증성 장 질환, 통증 등의 염증 등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에는 알러지성 천식 치료제로서 주목을 받고 있는 약물들은 히스타민 유리억제, 류코트리엔 C4 생성 억제, 혈소판 활성화인자 생성 억제 활성을 동시에 가지는 약물들이다(Dahlen SE, Treatment of asthma with antileukotrienes: first line or last resort therapy, Eur J Pharmacol 2006, 533,40-56; Kitamura S, Leukotriene (B4, C4, D4, E4), Nippon Rinsho 2005, Suppl 8, 28-33).
국화과에 속하는 다년생인 금불초 (Inula britannica L. var. chinensis REG =Inula japonica Thunberg)는 꽃만 약재로 삼아 선복화라 불리며, 금불초 지상부에는 세스퀴테르페노이드 락톤 (sesquiterpenoid lactone), 브리타닌 (britanin) 및 이눌린 (inulin)이 함유되어 있다. 꽃인 선복화에는 퀘르세틴 (quercetin), 이소퀘르세틴 (isoquercetin), 카페인산 (caffeic acid), 클로로겐산 (cholorogenic acid), 이눌린 (inulin) 및 타락스테롤 (taraxasterol) 등 다량의 스테롤 (sterol) 성분이 함유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정보섭 및 신민교 저, 도해향약(생약)대사전, 영림사, pp 1054-1056, 1998).
백합과에 속하는 다년생인 해백 (Allium macrostemon Bge. =Allium oragi Reg, Allium nipponicum Franch et Savat)은 돌달래 및 동속 근연식물의 인경이며, 산달래, 돌산달래, 산부추, 소근산, 해근, 채지, 교자, 효자이라 불리며, 약재로 사용되는 인경에는 알리인 (alliin), 메틸알리인 (methyl alliin), 스코로더즈 (scorodose) 등 다량의 황화합물 및 4당류 성분이 함유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정보섭 및 신민교 저, 도해향약(생약)대사전 -약용식물편, 영림사, pp 158-159, 1998).
미나리과에 속하는 다년생인 전호 (Anthriscus sylvestris Hoffm. =Chaerophyllum sylvestre L.)는 뿌리만 약재로 삼아 아삼이라 불리며, 뿌리에는 안스리신 (anthricin), 디옥시포도필로톡신 (deoxypodophyllotoxin), 이소안스리신 (isoanthricin) 등 리그난 (lignan) 계열의 물질과 환원당, 자당, 전분 등이 함유되어 있고 꽃에는 플라보노이드 (flavonoid) 배당체인 루테올린-7-글리코시드(luteolin-7-glycoside) 등이 함유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정보섭 및 신민교 저, 도해향약(생약)대사전 -약용식물편, 영림사, pp 411-412, 1998).
박과에 속하는 다년생인 괄루인(Trichosanthes kirilowii Maxim.)은 하눌타리의 종자로서 괄루자, 과루인이라 불리며, 약재로는 과실, 뿌리, 경엽, 과피, 종자를 사용한다. 하눌타리의 과실에는 트리테르페노이드 (triterpenoid)계 사포닌 (saponin) 및 유기산, 수지, 당류, 색소 등의 성분과, 뿌리에는 트리코산틴 (trichosanthin)과 사포닌 (saponin) 성분이 함유되어 있다. 종자인 괄루인은 글리코시드 (glycoside), 사포닌 (saponin), 유기산, 염류, 식물고무질, 수지, 색소 및 지방유 중에서 불포화지방산인 트리코사닉 애시드 (trichosanic acid) 등이 함유하고 있으며, 아르기닌 (arginine), 라이신 (lysine), 알라닌 (alanine), 발린 (valine), 루신 (leucine), 이소루신 (isoleucine), 글리신 (glycine) 및 알칼로이드 (alkaloid)양 물질이 함유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정보섭 및 신민교 저, 도해향약(생약)대사전 -약용식물편, 영림사, pp 960-963, 1998).
그러나 상기 문헌 어디에도 선복화, 해백, 전호 및 괄루인으로 구성된 복합생약 혼합물 (본원에서, AS13이라 함) 추출물의 염증 질환 또는 알러지 질환에 대한 효과에 대한 어떠한 개시 또는 교시된 바가 없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복합생약 추출물이 골수유래 비만세포 (BMMC)에서 COX-2 의존적인 PGD2 생성 및 류코트리엔 C4 (LTC4)생성을 억제하며, LPS 자극 후 대식세포에서 분비되는 NO 및 사이토카인 (TNF-α) 생성 억제 그리고 오브알부민에 의해 유도된 천식 동물모델에서 혈청 IgE 농도 감소 및 기관지 폐포세척액의 Th2 사이토카인 (IL-4, IL-5, IL-10 및 IL-17) 생산을 억제하는 항염증, 항알레르기 및 항천식 효과를 확인함으로서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선복화, 해백, 전호 및 괄루인으로 구성된 복합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 질환 또는 알러지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본원에서 정의되는 복합생약은 선복화, 해백, 전호 및 괄루인의 상대 배합(w/w)비가 1 내지 20; 1 내지 10: 1 내지 20: 1 내지 20,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 1 내지 8: 1 내지 10: 1 내지 10,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 1 내지 2: 1 내지 2: 1 내지 2의 배합비로 배합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추출물은 조추출물, 비극성용매 가용 추출물 및 극성용매 가용 추출물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상기 조추출물은 물, 메탄올, 에탄올, 부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부터 선택되어진 용매, 바람직하게는 물, 메탄올, 부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에 가용한 추출 화합물, 보다 바람직하게는 물 및 에탄올 혼합용매,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90% 에탄올 혼합용매에 가용한 추출물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상기 비극성 용매 가용 추출 화합물은 헥산, 클로로포름, 메틸렌클로라이드 또는 에틸아세테이트, 바람직하게는 헥산 또는 에틸아세테이트에 가용한 추출 화합물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상기 극성용매 가용 추출 화합물은 물, 메탄올, 에탄올, 부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부터 선택되어진 용매, 바람직하게는 물, 메탄올, 부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에 가용한 추출 화합물, 보다 바람직하게는 부탄올 가용 추출물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염증 질환은 급성 또는 만성 염증질환, 만성 기관지염 및 관련 폐쇄성 기도 질환, 상기도염 및 비염, 관절염 또는 염증성 장 질환, 통증, 동맥경화, 심장병 질환, 다발성 경화증, 파킨슨씨 병, 알쯔하이머 병, 결장암 등을 비롯한 질환, 바람직하게는, 급성 또는 만성 염증질환, 관절염 또는 염증성 장 질환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알러지 질환은 천식, 접촉성 피부염, 알러지성 결막염 등의 알러지 및 알러지 반응, 아토피성 피부염 등의 알러지성 질환, 바람직하게는 천식, 접촉성 피부염 또는 아토피성 피부염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추출물을 수득하는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예를 들어, 추출물은 원재료인 건조 상태의 선복화, 해백, 전호 및 괄루인를, 일정비, 바람직하게는, 그 상대 배합(w/w)비가 1 내지 20; 1 내지 10: 1 내지 20: 1 내지 20,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 1 내지 8: 1 내지 10: 1 내지 10,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 1 내지 2: 1 내지 2: 1 내지 2의 배합비로 배합하는 제 1단계; 추출용매로서 물, C1 내지 C4의 저급 알콜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 바람직하게는 물 및 에탄올 혼합 용매를 건조된 상기 원재료 중량의 약 1 내지 5배, 바람직하게는 2 내지 4배를 가하여, 5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90℃에서, 더 바람직하게는 실온 또는 80℃에서 10시간 내지 30시간, 바람직하게는 약 18 내지 25시간 동안 냉침추출, 열수추출, 초음파 추출, 환류냉각 추출 또는 가열추출법, 바람직하게는 냉침 추출법으로 추출한 후 여과하고 감압 농축하여 본 발명의 조추출물을 수득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극성 및 비극성용매 가용 추출물은 상기 조추출물을 약 0.5 내지 10배 부피, 바람직하게는 약 1 내지 5배 부피의 물로 현탁한 후에, 상기 현탁물에 헥산, 클로로포름, 메틸렌클로라이드 또는 에틸아세테이트로부터 선택된 비극성용매로 분획을 수행하여 비극성용매 가용 추출물을 수득하고; 남은 잔사에 물, 메탄올, 에탄올, 부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부터 선택되어진 용매, 바람직하게는 부탄올로 분획하여 극성용매 가용 추출물을 수득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으로 얻어진 선복화, 해백, 전호 및 괄루인으로 구성된 복합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 질환 또는 알러지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에서 제조된 AS13 생약 조합 추출물은 골수유래 비만세포 (BMMC)에서 COX-2 의존적인 PGD2 생성 및 류코트리엔 C4 (LTC4)생성을 억제하며, LPS 자극 후 대식세포에서 분비되는 NO 및 사이토카인 (TNF-α) 생성 억제 그리고 오브알부민에 의해 유도된 천식 동물모델에서 혈청 IgE 농도 감소 및 기관지 폐포세척액의 IL-4, IL-5, IL-10 및 IL-17의 생산을 억제하는 항염증, 항알레르기 및 항천식 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추출물을 0.1 내지 50 중량%로 포함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조성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환자의 상태 및 질환의 종류 및 진행 정도에 따라 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 자체는 독성 및 부작용이 거의 없으므로 예방 목적으로 장기간 복용 시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약제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추출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 (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 (sucrose) 또는 락토오스 (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 (witepsol), 마크로골, 트윈 (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의 추출물은 1일 0.5 g/kg 내지 5 g/kg으로, 바람직하게는 1 g/kg 내지 3 g/kg으로 투여하는 것이 좋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쥐, 생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내 경막 또는 뇌혈관내 (intracerebroventricular)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선복화, 해백, 전호 및 괄루인으로 구성된 복합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 질환 또는 알러지 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건강기능식품"은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 제6727호에 따른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제조 및 가공한 식품을 의미하며, "기능성"이라 함은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 등과 같은 보건 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을 목적으로 섭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염증 질환 또는 알러지 질환 예방을 위한 건강기능식품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추출물을 0.01 내지 95 %, 바람직하게는 1 내지 80 % 중량백분율로 포함한다.
또한, 염증 질환 또는 알러지 질환 예방을 위한 목적으로 정제, 캅셀, 분말, 과립, 액상, 환 등의 형태인 건강기능식품으로 제조 및 가공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염증 질환 또는 알러지 질환의 예방 및 치료의 효과를 나타내는 상기 선복화, 해백, 전호 및 괄루인으로 구성된 복합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건강보조식품을 제공한다. 상기 추출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 기능성 식품류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염증 질환 또는 알러지 질환의 예방 및 개선을 위한 약제, 식품 및 음료 등에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보조 식품류 등이 있고, 분말, 과립, 정제, 캡슐 또는 음료인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염증 질환 또는 알러지 질환의 예방 및 개선효과를 갖는 선복화, 해백, 전호 및 괄루인으로 구성된 복합생약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식품 또는 식품첨가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추출물은 염증 질환 또는 알러지 질환의 예방 및 개선을 목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에 첨가될 수 있다. 이 때, 식품 또는 음료 중의 상기 추출물의 양은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건강식품 조성물은 전체 식품 중량의 1 내지 5 중량%로 가할 수 있으며, 건강 음료 조성물은 100 ㎖를 기준으로 0.02 내지 10 g,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 g의 비율로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 음료 조성물은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추출물을 함유하는 것 외에 액체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점은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의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의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 (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mL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g,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2g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 (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 (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밖에 본 발명의 조성물들은 천연 과일 쥬스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 내지 약 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발명의 AS13 복합생약 추출물은 골수유래 비만세포 (BMMC)에서 COX-2 의존적인 PGD2 생성 및 류코트리엔 C4 (LTC4)생성을 억제하며, LPS 자극 후 대식세포에서 분비되는 NO 및 사이토카인 (TNF-α) 생성 억제 그리고 오브알부민에 의해 유도된 천식 동물모델에서 혈청 IgE 농도 감소 및 기관지 폐포세척액의 IL-4, IL-5, IL-10 및 IL-17의 생산을 억제하는 항염증, 항알레르기 및 항천식 효과를 확인하여, 각종 염증질환 및 알러지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도 1-A는 복합생약 추출물에 대한 쥐 골수유래 비만세포(mouse bone marrow-derived mast cells, BMMC)에서 시클로옥시게나제-2 (cyclooxygenase-2, COX-2) 의존적인 프로스타글란딘 D2 (prostaglandin D2, PGD2) 생성 억제 도이고;
도 1-B는 기관지 천식 및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키는 류코트리엔 C4 (leukotriene C4, LTC4)의 합성에 관여하는 5-리폭시게나제의 저해활성 실험결과를 나타낸 도이며,
도 2-A, 및 2-B는 염증반응 시 대식세포에서 분비되는 질산염 및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TNF-a의 생성저해 실험결과를 나타낸 도이며,
도 3은 복합생약 추출물의 오브알부민 또는 알룸으로 유도한 천식모델의 혈청으로부터 천식관련 단백질 생성량에 미치는 결과를 IgE 양으로 나타낸 도이며;
도 4-A는 복합생약 추출물의 오브알부민 또는 알룸으로 유도한 천식모델의 기관지폐세척액 (BALF)이 천식관련 단백질 생성량에 미치는 결과를 IL-4 양으로 나타낸 도이며,
도 4-B는 복합생약 추출물의 오브알부민 또는 알룸으로 유도한 천식모델의 기관지폐세척액 (BALF)이 천식관련 단백질 생성량에 미치는 결과를 IL-5 양으로 나타낸 도이고,
도 4-C는 복합생약 추출물의 오브알부민 또는 알룸으로 유도한 천식모델의 기관지폐세척액 (BALF)이 천식관련 단백질 생성량에 미치는 결과를 IL-10 양으로 나타낸 도이며,
도 4-D는 복합생약 추출물의 오브알부민 또는 알룸으로 유도한 천식모델의 기관지폐세척액 (BALF)이 천식관련 단백질 생성량에 미치는 결과를 IL-17 양으로 나타낸 도이며.
도 5-A는 복합생약 추출물의 오브알부민 또는 알룸으로 유도한 천식모델의 폐조직에서의 뮤신분비에 미치는 결과를 나타낸 도이며,
도 5-B는 복합생약 추출물의 오브알부민 또는 알룸으로 유도한 천식모델의 폐조직으로의 염증세포 유입에 미치는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복합생약추출물의 제조
1-1.복합생약 에탄올 가용성 추출물의 제조
(주)옴니허브(http://www.omniherb.com/)에서 구입한 선복화 (600 g), 해백 (500 g), 전호 (500 g), 및 괄루인 (500 g)을 일정한 비율 (선복화: 해백: 전호: 괄루인 = 10:5:8:8)로 혼합한 복합제 (110 g)를 70% 에탄올 1,650 ml에 60℃에서 24시간 침지시킨 후 실온에서 추출액을 수득하고, 다시 70% 에탄올 1,650 ml를 가하여 2회 더 추출하여 추출액을 모은 후, 상기 각 추출액을 여과한 여과물을 감압 회전농축기 (Vaccum rotary evaporator; 일본 Nihon Seiko사, VR-205c)로 용매를 증발시키는 감압 농축 및 건조과정을 통하여 복합생약 70% 에탄올 추출물 18.5 g (수율 : 16.8%, 이하 AS13 이라 함)를 수득하였다.
1-2. 헥산 가용성 추출물의 제조
상기 복합생약 에탄올 조추출물 17.0 g을 물 170 ml에 현탁하고 헥산 170 ml를 첨가하여 용해한 다음 이를 분획하여 헥산 가용성 분획물 및 수가용성 분획물을 얻고, 다시 헥산 170 ml를 가하여 2회 더 추출하여 헥산 가용성 분획물을 모은 후, 헥산 가용성 분획층에 용해되는 성분만을 분리해서 농축, 감압 여과하여 헥산 가용성 추출물 1.08 g (수율 : 6.35%, 이하 AS13H 라 함)를 수득하였다.
1-3. 에틸아세테이트 가용성 추출물의 제조
수가용성 분획물에 에틸아세테이트 170 ml를 첨가하여 용해한 다음 이를 분획하여 에틸아세테이트 가용성 분획물 및 수가용성 분획물을 얻고, 다시 에틸아세테이트 170 ml를 가하여 2회 더 추출하여 에틸아세테이트 가용성 분획물을 모은 후, 에틸아세테이트 가용성 분획층에 용해되는 성분만을 분리해서 농축, 감압 여과하여 에틸아세테이트 가용성 추출물 1.49g (수율 : 8.76%, 이하 AS13E 라 함)를 수득하였다.
1-4. 부탄올 가용성 추출물의 제조
수가용성 분획물에 부탄올 170 ml를 첨가하여 용해한 다음 이를 분획하여 부탄올 가용성 분획물 및 수가용성 분획물을 얻고, 다시 부탄올 170 ml를 가하여 2회 더 추출하여 부탄올 가용성 분획물을 모은 후, 부탄올 가용성 분획층에 용해되는 성분만을 분리해서 농축, 감압 여과하여 부탄올 가용성 추출물 3.0g (수율 : 17.65%, 이하 AS13B 라 함)를 수득하였다.
1-5. 수가용성 추출물의 제조
부탄올 가용성 분획층을 제외한 나머지 수가용성 분획물을 분리하여 농축, 감압 여과하여 수가용성 추출물 9.1g (수율 : 53.53%, 이하 AS13W 라 함)를 수득하였다.
참조예 1. 실험준비
1-1. 실험재료
세포 배양액인 RPMI-1640, Modifed Eagle Medium(MEM) non-essential amino acids solution, fetal bovine serum (FBS), streptomycine, penicillin 등의 세포배양용 시약들은 Hyclone사 (Logan, UT, USA)에서 구입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시약 중 SCF(Stem cell factor, STEMCELL, Vancouver, Canada), LPS (Lipopolysaccharides, Sigma, St. Louis, MO, USA), IL-10 (Recombinant Mouse IL-10, BD PharmingenTM, San Jose, CA, USA), ovalbumin(Albumin from chicken egg white, Sigma), Alum(Thermo, Hanover Park, IL, USA)를 구입하여 사용하였고, PGD2 및 LTC4의 측정 kit은 Cayman사 (Ann Arbor, MI, USA), TNF-α 측정 kit는 R&D System (Minneapolis, MN, USA)에서 구입하였고, IgE 측정 제품은 BD Biosciences사 (San Jose, CA, USA)와 IL 측정용 kit는 e-Bioscience사 (Vienna, Austria)에서 구입하였다. 조직염색에 사용되는 Schiff's reagent는 MUTO PURE CHEMICAL사 (Tokyo, Japan)에서 구입하였고 Sirius red는 Sigma에서 구입하였다.
1-2. 세포배양
쥐 골수 유래의 비만세포 (BMMC, mouse bone marrow-derived mast cells)는 BALB/C 마우스의 대퇴골에서 골수세포를 분리하여, 10% FBS, 100U/ml penicillin, 100㎍/ml streptomycine을 포함한 RPMI-1640 배지에 IL-3공급원으로 PWM-SCM (containing pokeweed mitogen-stimulated spleen cell-conditioned medium) 을 final 20 % 되도록 넣은 배양액으로 약 3주 정도 배양하여 90% 이상의 균질한 BMMC을 얻어 사용하였다. 세포는 37 ℃, 5 % CO2 incubator에서 배양하였고, BMMC를 96-well plate에 일정한 수의 세포를 분주하여 실험하였다.
마우스 대식세포주인 RAW 264.7 세포는 10% FBS, 100U/ml penicillin, 100㎍/ml streptomycin을 포함한 DMEM (Hyclone)배지에서 37℃, 5% CO2 조건 하에서 배양하였다.
1-3.시료준비
실험에 사용하기 위한 시료로서 복합생약 추출물을 DMSO 용매에 녹여 농도 50, 25, 12.5, 6.25μg/㎖의 농도로 희석하였고, 가용성 추출물의 농도는 25, 12.5, 6.25μg/㎖로 희석하여 사용하였다. 오브알부민 (Ovalbumin, OVA)으로 유도한 천식 동물 모델에서는 복합생약 추출물을 200 mg/kg으로 투여하였다.
실험예 1. COX -2 의존적인 프로스타글란딘 PGD 2 생성 억제 측정
상기 실시예에서 얻은 시료의 COX-2 의존적인 프로스타글란딘 PGD2 생성에 대한 억제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기존 문헌에 기재된 방법을 이용하여 하기와 같이 실험을 수행하였다 (Hua JM et al., 14.5-Methoxy-8-(2-hydroxy-3-buthoxy-3-methylbutyloxy)-psoralen isolated from Angelica dahurica inhibits cyclooxygenase-2 and 5-lipoxygenase in mouse bone marrow-derived mast cells, Arch Pharm Res 2008, 31, 617-621).
COX-2-dependent PGD2 생성량 (generation)을 측정하기 위하여, BMMC에 1 mg/ml 아스피린 (aspirin)을 2시간 처리하여 COX-1을 불활성 시킨 후에 1×106 cells/ml에 복합생약 추출물을 농도별로 1시간 처리한 후 LPS, IL-10, SCF 세가지를 각각 100㎍/ml, 100ng/ml, 10ng/ml 농도로 처리하여 6시간 동안 배양하고, 3000rpm, 4℃에서 5분간 원심분리기 (Centrifuge 5415R, Eppendorf)로 분리하여 상층액을 취하여 유리된 PGD2를 PGD2-MOX-EIA kit (Cayman)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본 실험 결과, 도 1A에 나타난 바와 같이, LPS, IL-10 및 SCF에 의해 자극된 세포에서는 PGD2의 생성량이 급격히 증가 (1456pg/ml)하였으며, 복합생약 추출물로 전 처리한 결과 PGD2의 생성량의 생성량은 6.25㎍/ml, 12.5㎍/ml, 25㎍/ml 세 농도에서 PGD2 생성량이 1211pg/ml, 1148pg/ml, 678pg/ml로 농도 의존적으로 저해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2. 류코트리엔 ( Leukotriene , LT ) 생성량 측정
상기 실시예에서 얻은 시료의 류코트리엔 (Leukotriene, LT) 생성량에 대한 억제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기존 문헌에 기재된 방법을 이용하여 하기와 같이 실험을 수행하였다 (Hua JM et al., 14.5-Methoxy-8-(2-hydroxy-3-buthoxy-3-methylbutyloxy)-psoralen isolated from Angelica dahurica inhibits cyclooxygenase-2 and 5-lipoxygenase in mouse bone marrow-derived mast cells, Arch Pharm Res 2008, 31, 617-621).
LT 생성을 확인하기 위해 1X106 cells/ml BMMC에 복합생약 추출물을 농도 별로 처리하여 37℃, 5% CO2 조건하에서 1시간 동안 배양하고 SCF를 50ng/ml농도로 15분간 자극하여 3000 rpm, 4℃에서 5분간 원심분리기 (Centrifuge 5415R, Eppendorf)로 상층액을 분리하였다. 그 상층액 중 LTC4 함량을 LTC4-EIA kit (Cayman)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본 실험 결과, 도 1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세포에서 자연적으로 분비되는 LTC4 양은 0.62ng/ml 이었으나, SCF에 의해 자극된 세포에서는 LTC4의 생성량이 급격히 증가 (4.78ng/ml)하였다. 복합생약 추출물의 LTC4생성 저해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로 전 처리한 결과, LTC4의 생성량은 6.25㎍/ml, 12.5㎍/ml, 25㎍/ml 세 농도에서 생성량이 각각 3.51ng/ml, 3.43ng/ml, 2.84ng/ml 로 농도 의존적으로 저해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3. Nitric oxide ( NO ) 및 전염증성 사이토카인 생성량 측정
상기 실시예에서 얻은 시료의 nitric oxide (NO) 및 전염증성 사이토카인 생성량에 대한 억제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기존 문헌에 기재된 방법을 이용하여 하기와 같이 실험을 수행하였다 (Yang JH et al.,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ethylacetate fraction of Cliona celata, Immunopharmacol Immunotoxicol 2011, 33(2), 373-379).
RAW 264.7 세포 (5X105 cells/well)를 24 well plate에 전 배양하여, DMEM 배지로 교체한 후 복합생약 추출물을 6.25, 12.5, 25, 50 μg/ml의 농도로 1 시간동안 전 처리한 후에 LPS 100ng/ml을 각 well에 처리하여 37℃, 5% CO2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24시간동안 배양한 후 상층액을 수거하여 100μl에 동량의 Griess 시약 (G4410, Sigma)을 섞어 반응시킨 후 ELISA reader (Sunrise, TECAN)로 5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고 sodium nitrite의 농도별 표준곡선을 이용하여 NO의 생성량을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또한 수거한 상층액으로 전염증성 사이토카인 (TNF-α)을 ELISA kit (R&D System, US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본 실험 결과, 도 2A 및 2B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복합생약 추출물의 NO생성 저해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추출물을 전 처리한 결과, 6.25㎍/ml, 12.5㎍/ml, 25㎍/ml, 50㎍/ml 농도에서 nitrate의 생성량이 각각 9uM, 7uM, 5uM, 2uM의 농도로 저해효과를 나타내었다.
실험예 4. 오브알부민 ( Ovalbumin )으로 유도한 천식 동물 모델 제작
상기 실시예에서 얻은 시료의 오브알부민 (Ovalbumin, OVA)으로 유도한 천식 동물 모델을 이용한 천식에 대한 억제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기존 문헌에 기재된 방법을 이용하여 하기와 같이 실험을 수행하였다 (Park YN et al., Alleviation of OVA-induced airway inflammation by flowers of Inula japonica in a murine model of asthma, Biosci Biotechnol Biochem 2011, 75(5), 871-876).
6주령 BALB/C 마우스 암컷 (17~18g, 코아텍)을 사용하여 OVA (A5503,Sigma)을 200 ㎍/㎖ 농도로 saline에 녹여 이 용액과 alum (77161, Thermo)을 1:1로 섞어서 마리당 200㎕ (OVA 20㎍)를 0일과 14일째에 복강으로 감작하였다. 22, 23, 24일째에 1% OVA/PBS 용액을 만들어 연무의 형식으로 30분 동안 흡입시켰다. Dexamethasone (D4702, Sigma)을 대조약물 (reference drug)로 사용하여 1mg/kg으로, 복합생약 추출물은 200mg/kg으로 하루에 2회, 5일간 총 10회 경구투여를 하였고, OVA을 흡입 할 때에는 1시간 전에 먼저 약물을 경구투여하고 흡입을 실행하였다.
실험예 5. 오브알부민 ( Ovalbumin )으로 유도한 천식 동물 모델에서의 IgE 양 측정
상기 실시예에서 얻은 시료의 오브알부민으로 유도한 천식 동물 모델을 이용한 천식에 대한 억제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기존 문헌에 기재된 방법을 이용하여 하기와 같이 실험을 수행하였다 (Park YN et al., Alleviation of OVA-induced airway inflammation by flowers of Inula japonica in a murine model of asthma, Biosci Biotechnol Biochem 2011, 75(5), 871-876).
천식관련 단백질 생성량을 측정하기 위하여 상기 천식모델의 심장에서 혈액을 채취하여 혈청을 분리하고 이 혈청으로부터 IgE 생성량을 ELISA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제품은 Mouse IgE ELISA Set (BD Bioscience)를 사용하였으며 ELISA reader (Sunrise, TECAN)로 측정하였다.
본 실험 결과,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오브알부민으로 유도된 마우스군에서 혈청 IgE의 양 (PC, 2042ng/ml)이 negative control (NC, 385ng/ml)과 비교하였을 때 크게 증가되었으나, 복합생약 추출물을 투여한 마우스군에서는 IgE의 양이 감소 (1519ng/ml)되었으므로 IgE level을 조절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실험예 6. 오브알부민 ( Ovalbumin )으로 유도한 천식 동물 모델에서의 IL 측정
상기 실시예에서 얻은 시료의 오브알부민으로 유도한 천식 동물 모델을 이용한 천식에 대한 억제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기존 문헌에 기재된 방법을 이용하여 하기와 같이 실험을 수행하였다 (Park YN et al., Alleviation of OVA-induced airway inflammation by flowers of Inula japonica in a murine model of asthma, Biosci Biotechnol Biochem 2011, 75(5), 871-876).
천식관련 단백질 생성량을 측정하기 위하여 상기 천식모델의 폐에서 기관지폐세척액 (BALF)을 추출하여 BALF로부터 IL-4, IL-5, IL-10 및 IL-17의 생성량을 ELISA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측정 Kit는 e-Bioscience사의 Platinum ELISA kit (Vienna, Austria)를 사용하여 ELISA reader (Sunrise, TECAN)로 측정하였다.
본 실험 결과, 도 4A, 4B, 4C, 및 4D에 나타난 바와 같이, 오브알부민으로 유도된 천식모델의 기관지폐세척액 (BALF)에서 Th2 사이토카인을 정량한 결과 negative control (NC)과 비교하였을 때 IL-4의 경우 86pg/ml, IL-5의 경우 292pg/ml, IL-10의 경우 32pg/ml, IL-17의 경우 231pg/ml로 크게 증가되었으나, 복합생약 추출물을 투여한 마우스군에서는 각각 33pg/ml, 237pg/ml, 21pg/ml, 142pg/ml로 기관지폐세척액에서의 사이토카인 생성에 대하여 억제활성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7. 오브알부민 ( Ovalbumin )으로 유도한 천식 동물 모델에서의 폐조직에서의 뮤신분비에 미치는 영향 및 폐조직으로의 염증세포 유입양 측정
상기 실시예에서 얻은 시료의 오브알부민으로 유도한 천식 동물 모델을 이용한 천식에 대한 억제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기존 문헌에 기재된 방법을 이용하여 하기와 같이 실험을 수행하였다(Park YN et al., Alleviation of OVA-induced airway inflammation by flowers of Inula japonica in a murine model of asthma, Biosci Biotechnol Biochem 2011, 75(5), 871-876).
위의 천식 동물 모델의 폐 조직에서 뮤신의 분비량 및 폐 조직으로의 염증세포 유입량을 측정하기 위해 상기 천식모델의 폐 조직을 고정용액에서 고정하고 자동조직처리와 임베딩 과정을 거쳐 조직을 절편 한 후 슬라이드글라스에 붙여서 PAS 염색 및 Sirius Red 염색을 하였다. PAS 염색한 조직으로는 뮤신의 분비를, Sirius red 염색 조직으로는 염증세포 유입량을 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본 실험 결과, 도 5A, 및 5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천식 동물 모델의 폐 조직에서 PAS로 염색된 부분인 뮤신을 뚜렷하게 관찰되었으나. 복합생약 추출물을 투여한 천식 동물 모델에서의 폐조직에서는 뮤신분비를 억제하였으므로 PAS로 염색된 부분이 다소 감소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또한 천식모델의 폐조직으로 많은 염증세포가 유입된 것을 복합생약 추출물을 투여한 마우스의 폐조직에서는 염증세포유입이 현저하게 억제함을 확인하였다.
하기에 본 발명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제예를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를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제예 1. 산제의 제조
AS13 추출물 20 mg
유당 100 mg
탈크 10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2. 정제의 제조
AS13 추출물 10 mg
옥수수전분 100 mg
유당 100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3. 캅셀제의 제조
AS13 추출물 10 mg
결정성 셀룰로오스 3 mg
락토오스 14.8 mg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0.2 mg
통상의 캡슐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4. 주사제의 제조
AS13 추출물 10 mg
만니톨 180 mg
주사용 멸균 증류수 2974 mg
Na2HPO4 ,12H2O 26 mg
통상의 주사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1 앰플당(2㎖) 상기의 성분 함량으로 제조한다.
제제예 5. 액제의 제조
AS13 추출물 20 mg
이성화당 10 g
만니톨 5 g
정제수 적량
통상의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정제수에 각각의 성분을 가하여 용해시키고 레몬향을 적량 가한 다음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를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100㎖로 조절한 후 갈색병에 충진하여 멸균시켜 액제를 제조한다.

Claims (13)

  1. 선복화, 해백, 전호 및 괄루인으로 구성된 복합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 질환 또는 알러지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생약은 선복화, 해백, 전호 및 괄루인의 상대 배합(w/w)비가 1 내지 20; 1 내지 10: 1 내지 20: 1 내지 20인 약학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조추출물, 비극성용매 가용 추출물 및 극성용매 가용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조추출물은 물, 메탄올, 에탄올, 부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부터 선택되어진 용매에 가용한 약학 조성물.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비극성 용매 가용 추출 화합물은 헥산, 클로로포름, 메틸렌클로라이드 또는 에틸아세테이트에 가용한 약학 조성물.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극성용매 가용 추출 화합물은 물, 메탄올, 에탄올, 부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부터 선택되어진 용매에 가용한 약학 조성물.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염증 질환은 급성 또는 만성 염증질환, 만성 기관지염 및 관련 폐쇄성 기도 질환, 상기도염 및 비염, 관절염 또는 염증성 장 질환, 통증, 동맥경화, 심장병 질환, 다발성 경화증, 파킨슨씨 병, 알쯔하이머 병, 또는 결장암인 약학 조성물.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알러지 질환은 천식, 접촉성 피부염, 알러지성 결막염, 또는 아토피성 피부염인 약학 조성물.
  9. 선복화, 해백, 전호 및 괄루인으로 구성된 복합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 질환 또는 알러지 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정제, 캅셀, 분말, 과립, 액상, 또는 환 형태인 건강기능식품.
  11. 삭제
  12. 삭제
  13. 염증 질환 또는 알러지 질환의 예방 및 개선효과를 갖는 선복화, 해백, 전호 및 괄루인으로 구성된 복합생약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식품 또는 식품첨가제.
KR1020120050732A 2012-05-14 2012-05-14 복합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염증질환 또는 알레르기 질환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1013731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0732A KR101373173B1 (ko) 2012-05-14 2012-05-14 복합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염증질환 또는 알레르기 질환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0732A KR101373173B1 (ko) 2012-05-14 2012-05-14 복합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염증질환 또는 알레르기 질환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7090A KR20130127090A (ko) 2013-11-22
KR101373173B1 true KR101373173B1 (ko) 2014-03-12

Family

ID=498547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0732A KR101373173B1 (ko) 2012-05-14 2012-05-14 복합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염증질환 또는 알레르기 질환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317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6148B1 (ko) 2014-02-20 2016-12-13 재단법인 한국한방산업진흥원 선복화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네페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알러지성 조성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7452A (ko) * 2000-11-14 2002-05-22 노용일 고지혈증 및 협심증 예방 및 치료용 생약조성물
KR20050084725A (ko) * 2004-02-24 2005-08-29 학교법인 영남학원 전호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 또는 알러지성 질환의 예방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KR20090116547A (ko) * 2008-05-07 2009-11-11 재단법인대구경북한방산업진흥원 선복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 알레르기또는 천식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00096473A (ko) * 2009-02-24 2010-09-02 삼일제약주식회사 과루인 추출물을 포함하는 궤양성 대장염 또는 크론병 치료용 약학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7452A (ko) * 2000-11-14 2002-05-22 노용일 고지혈증 및 협심증 예방 및 치료용 생약조성물
KR20050084725A (ko) * 2004-02-24 2005-08-29 학교법인 영남학원 전호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 또는 알러지성 질환의 예방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KR20090116547A (ko) * 2008-05-07 2009-11-11 재단법인대구경북한방산업진흥원 선복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 알레르기또는 천식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00096473A (ko) * 2009-02-24 2010-09-02 삼일제약주식회사 과루인 추출물을 포함하는 궤양성 대장염 또는 크론병 치료용 약학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7090A (ko) 2013-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0643B1 (ko) 선복화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 또는 알러지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469325B1 (ko) 창이자 포함 복합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염증질환 또는 알레르기 질환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100825041B1 (ko) 염증성 질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101172595B1 (ko) 꽈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567235B1 (ko)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860080B1 (ko) 항염, 항알레르기 및 항천식 활성을 갖는 꼬리풀속 식물추출물을 함유하는 약학조성물
KR100999598B1 (ko) 선복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 알레르기또는 천식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552813B1 (ko) 사군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전립선 비대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60056007A (ko) 황칠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101313284B1 (ko) 총백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지질 관련 심혈관 질환 또는 비만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522579B1 (ko) 항스트레스 효과를 갖는 황금 및 오미자 혼합 추출물을함유하는 약학조성물
KR20140137185A (ko) 백지 포함 복합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염증질환 또는 알레르기 질환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101373173B1 (ko) 복합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염증질환 또는 알레르기 질환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20190109220A (ko) 호흡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생약 조성물
KR20110109246A (ko) 여우오줌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KR101851639B1 (ko) 모과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KR101448355B1 (ko) 등심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염증 질환 또는 알레르기 질환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101181347B1 (ko) 백선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지질 관련 심혈관 질환 또는 비만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332824B1 (ko) 민대극 추출물을 포함하는 관절염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373653B1 (ko) 해당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전립선 비대증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KR100547560B1 (ko) 항염증 활성을 갖는 해동피, 갈화, 옻나무 추출물을함유하는 약학조성물
KR101403999B1 (ko) 독성물질을 제거한 삼백초 정제물 및 분획물의 제조방법 및 상기 정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천식 및 알러지성 질환의 치료 및 예방을 위한 조성물
KR100547554B1 (ko) 항염증 활성을 갖는 해동피, 갈화, 옻나무 추출물을함유하는 조성물
KR20140142516A (ko) 시호 및 꽈리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787082B1 (ko) 유효 사포닌 함량이 증가된 도라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류마티스 관절염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