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4500B1 - 승객 컨베이어의 이동 난간 보수 장치 및 이동 난간 보수방법 - Google Patents

승객 컨베이어의 이동 난간 보수 장치 및 이동 난간 보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4500B1
KR100824500B1 KR1020067016268A KR20067016268A KR100824500B1 KR 100824500 B1 KR100824500 B1 KR 100824500B1 KR 1020067016268 A KR1020067016268 A KR 1020067016268A KR 20067016268 A KR20067016268 A KR 20067016268A KR 100824500 B1 KR100824500 B1 KR 1008245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ing
moving handrail
passenger conveyor
handrail
surfac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62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20247A (ko
Inventor
아츠시 가와사키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0670162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4500B1/ko
Publication of KR200601202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02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45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45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31/00Accessories for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e.g. for sterilising or cleaning
    • B66B31/02Accessories for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e.g. for sterilising or cleaning for handrails

Landscapes

  • Escalators And Moving Walkways (AREA)

Abstract

승객 컨베이어의 난간에는, 이동 난간이 설치되어 있다. 이동 난간의 표면부는, 열가소성 재료로 이루어져 있다. 이동 난간 보수 장치는, 표면부를 가열 용착시키는 가열 수단을 가지고 있다. 표면부가 손상된 경우, 표면부의 보수해야 할 목적 개소를 가열 용착시킨다. 그 후, 목적 개소를 재경화시킨다.

Description

승객 컨베이어의 이동 난간 보수 장치 및 이동 난간 보수 방법{DEVICE AND METHOD FOR REPAIRING MOVING HANDRAIL OF PASSENGER CONVEYOR}
본 발명은, 표면부가 열가소성 재료로 구성되어 있는 이동 난간을 이용한 승객 컨베이어(conveyor)에 관하여, 손상된 이동 난간의 표면부를 보수하는 승객 컨베이어의 이동 난간 보수 장치 및 이동 난간 보수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승객 컨베이어에서는, 이동 난간의 표면부에 상처나 균열이 발생하면, 손상 개소를 잘라내, 대신에 미가류(未加硫)의 고무를 씌운 후, 보수 치구(治具)로 가류시킨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참조).
특허문헌 1 : 특허 제3283480호 공보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이동 난간의 보수 방법에서는, 보수 작업에 상당한 수고가 걸려 버린다. 따라서, 손상 개소가 광범위하게 미치는 경우에는, 손상의 정도가 가벼운 단계에서도 보수를 단념하여, 이동 난간 전체를 교환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이동 난간의 표면부의 보수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승객 컨베이어의 이동 난간 보수 장치 및 이동 난간 보수 방법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에 의한 승객 컨베이어의 이동 난간 보수 장치는, 표면부가 열가소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이동 난간을 보수하기 위한 것으로, 표면부를 가열 용융시키는 가열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한 승객 컨베이어의 이동 난간 보수 방법은, 표면부가 열가소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이동 난간을 보수하기 위한 방법으로, 표면부의 보수해야 할 목적 개소를 가열 용융시키는 행정, 및 목적 개소를 재경화시키는 행정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에스컬레이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I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이동 난간 보수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의한 이동 난간 보수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4에 의한 이동 난간 보수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5에 의한 이동 난간 보수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 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6에 의한 이동 난간 보수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7에 의한 이동 난간 보수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IX-IX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형태>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에스컬레이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난간 보수 작업시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에 있어서, 메인 프레임(트러스)(1) 위에는, 계단의 발판(도시하지 않음)의 폭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한 쌍의 난간(2)이 세워 설치되어 있다. 각 난간(2)에는, 단(端)이 없는 모양의 이동 난간(3)이 지지되어 있다. 이동 난간(3)의 귀로(歸路) 측 구간에는, 이동 난간(3)을 주행시키기 위한 난간 구동부(4)가 설치되어 있다. 이동 난간(3)은, 난간 구동부(4)에 의해 계단의 발판의 이동에 동기(同期)하여 순환 이동된다.
난간(2)에는, 이동 난간(3)을 보수하기 위한 이동 난간 보수 장치(5)가 설치되어 있다. 이동 난간 보수 장치(5)는, 이동 난간(3)의 경로의 왕복로 측의 직선부에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동 난간 보수 장치(5)는, 이동 난간(3)의 경로 의 상부 수평부 또는 하부 수평부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도 1에서는 하부 수평부에 배치되어 있다.
도 2는 도 1의 II-II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에 있어서, 난간(2)의 상부에는, 이동 난간(3)의 경로의 왕복로 측에서 이동 난간(3)의 이동을 안내하는 난간 가이드(6)가 고정되어 있다. 난간 가이드(6)의 상단부 양측에는, 이동 난간(3)의 내면에 맞물리는 한 쌍의 플랜지부(6a)가 설치되어 있다. 이동 난간(3) 중 적어도 표면부(3a)는, 예를 들면 우레탄 엘라스토머(elastomer) 등의 열가소성 재료로 구성되어 있다.
이동 난간 보수 장치(5)는, 표면부(3a)를 가열하는 가열 수단(7)과, 난간(2) 에 대하여 가열 수단(7)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 수단(8)을 가지고 있다. 가열 수단(7)은, 이동 난간(3)의 경로의 왕복로 측에 있어서의 표면부(3a)의 상면 및 측면에 접합되는 금형(9)과, 금형(9)을 가열하는 전열기(10)와, 전열기(10)로부터 인출되는 복수 개의 케이블(11)을 가지고 있다. 금형(9)에는, 이동 난간(3)이 삽입되는 홈(9a)이 설치되어 있다. 전열기(10)에는, 케이블(11)을 통하여 전력이 공급된다.
고정 수단(8)은, 난간(2)의 내면(계단의 발판 측의 측면) 및 외면(계단 발판의 반대 측의 측면)에 자력에 의해 흡착된 복수의 자석부(12)와, 금형(9)에 고정된 복수의 금형 유지부(13)와, 자석부(12)와 금형 유지부(13)와의 사이에 연결된 굴곡 가능한 복수의 링크 기구(14)를 가지고 있다.
다음으로, 이동 난간(3)의 보수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손상 개소, 즉 보수해야 할 목적 개소가 작은 경우, 그 목적 개소를 하부 수평부에 이동시켜 이동 난간(3)을 정지시킨다. 그리고, 목적 개소에 금형(9)을 씌우도록 하여 이동 난간 보수 장치(5)를 난간(2)에 장착한다. 이 때, 링크 기구(14)가 굴곡 가능하기 때문에, 홈(9a)의 내면에 이동 난간(3)의 표면부(3a)를 용이하게 밀착시킬 수 있다. 그리고, 금형(9)는, 자중(自重)에 의해 표면부(3a)에 가볍게 눌러 접하게 된다.
이 상태로, 전열기(10)에 의해 금형(9)을 가열하고, 이것에 의해 이동 난간(3)을 가열한다. 표면부(3a)의 재료가 열가소성 우레탄 앨라스토머인 경우, 가열 온도는 180℃ ~ 200℃가 바람직하다. 이것은, 열가소성 우레탄 앨라스토머의 용융 개시 온도가 180℃ ~ 200℃이기 때문에, 180℃보다 낮으면 표면부(3a)가 충분히 용융하지 않고, 200℃보다 높으면 표면부(3a)의 유동성이 증가하여 형상이 붕괴될 우려가 있다. 예를 들면, 가열 수단(7)에 온도 센서를 설치하고, 가열 온도를 모니터링하면서 전열기(10)로의 통전(通電)을 제어하는 것에 의해, 가열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동 난간(3)을 가열함으로써, 표면부(3a)는 적당히 용융되고, 표면부(3a)에 생긴 상처나 균열 등이 보수된다. 이 후, 가열 수단(7)에 의한 가열을 정지하고, 표면부(3a)를 자연 냉각시키면, 표면부(3a)는 재경화하여, 보수 작업이 완료한다. 또, 금형(9) 내에 냉각액 유로를 설치해 두고, 가열 정지 후에 냉각액 유로에 냉각액을 흘리는 것에 의해, 금형(9)을 강제 냉각하여, 표면부(3a)를 급속히 재경화시켜도 좋다
또, 표면부(3a)에 이물질이 부착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동 난간 보수 장치(5)에 의한 보수 전에, 샌드 페이터(sand paper)나 약품 등을 이용하여, 이물질 을 깎아 떨어뜨리거나 비벼 떨어뜨리거나 한다. 이 이물질을 떨어뜨리는 작업에 의해, 표면부(3a)는, 거칠어져서 매끄럽지 않은 상태가 되지만, 이물질을 떨어뜨린 후에 이동 난간 보수 장치(5)에 의한 보수 작업을 행함으로써, 표면부(3a)는 평활(平滑)한 상태에 복원된다.
또한, 보수해야 할 목적 개소가 다수인 경우나 광범위한 경우, 도 1과 같이 이동 난간 보수 장치(5)를 난간(2)에 장착한 후, 가열 수단(7)에 의해 표면부(3a)를 가열하면서 이동 난간(3)을 주행시켜도 좋다. 이것에 의해, 가열 수단(7)에 의한 가열 개소가 이동 난간(3)의 길이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이동되어, 이동 난간(3)의 전체 길이에 걸쳐 표면부(3a)의 보수를 실시할 수 있다. 이 때의 이동 난간(3)의 주행 속도는, 통상 운전시의 주행 속도보다 저속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것에 의해 표면부(3a)를 충분히 가열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에스컬레이터의 제어장치(도시하지 않음)의 운전 모드로, 통상 운전 모드보다 충분히 저속으로 계단의 발판 및 이동 난간을 주행시키는 보수 운전 모드를 설치하여도 좋다.
또한, 표면부(3a)에 큰 상처나 균열이 있는 경우, 분체(粉體) 또는 페이스트(paste)상의 열가소성 재료로 상처 또는 균열을 매장한 후, 상기와 같은 이동 난간 보수 장치(5)에 의한 보수 작업을 실시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실시 형태 1의 이동 난간 보수 장치(5)에 의하면, 이동 난간(3)의 표면부(3a)의 보수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 가열 수단(7)에는, 표면부(3a)의 표면 및 측면에만 접하는 금형(9)을 설치함으로,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다. 또한, 금형(9)에 의해, 가열 용융시의 표면 부(3a)의 형상의 붕괴가 저지되어, 표면부(3a)를 재성형할 수 있다. 더욱이 또, 금형(9)을 접합시킨 채로 표면부(3a)를 가열 용융시키는 것에 의해, 보수 후의 표면부(3a)를 평활하게 마무리할 수 있다.
또, 자석부(12)를 난간(2)에 흡착시키는 것에 의해 이동 난간 보수 장치(5)를 난간(2) 에 장착하도록 했으므로, 이동 난간 보수 장치(5)의 착탈이 용이하다.
또한, 링크 기구(14)가 굴곡 가능하기 때문에, 이동 난간(3)을 주행시키면서 보수하는 경우에, 이동 난간(3)의 상하 좌우로의 진동에 가열 수단(7)을 추종(追從)시킬 수 있다.
더욱이 또, 이동 난간 보수 장치(5)를 이동 난간(3)의 경로의 직선부에 배치 하도록 했으므로, 이동 난간(3)을 난간(2)으로부터 떼어내지 않고, 표면부(3a)에 잔류응력을 남기지 않게 보수할 수 있어, 이동 난간(3)의 강도 및 수명을 유지할 수 있다.
실시 형태 2.
다음에,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이동 난간 보수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에 있어서, 가열 수단(15)은, 금형(16), 전열기(10) 및, 케이블(11)을 가지고 있다. 금형(16)은, 평판 모양이며, 표면부(3a)의 상면에만 접합된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이다.
이와 같이, 평판 모양의 금형(16)을 이용하여도, 승객으로부터 주로 보이는 표면부(3a)의 상면을 용이하게 보수할 수 있고, 또한 구성을 더욱 간소화할 수 있다.
실시 형태 3.
다음으로,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의한 이동 난간 보수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 예의 이동 난간 보수 장치는, 가열 수단(7) 및 고정 수단(8)으로 이루어지는 보수 장치 본체(실시 형태 1에서는 이동 난간 보수 장치(5))에 더하여, 가열 수단(7)에 의해 가열 용융된 표면부(3a)를 냉각하는 냉각 수단(17)을 더 포함하고 있다. 냉각 수단(17)은, 보수 장치 본체와는 별체(別體)로 구성되어, 보수 장치 본체에 대하여 이동 난간(3)의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어 난간(2)에 장착되어 있다.
또, 가열 수단(7)에 대하여 이동 난간(3)을 주행시키는 경우, 냉각 수단(17)은, 이동 난간(3)의 이동 방향에 대하여 가열 수단(7)의 하류에 배치된다. 즉, 도 4에 있어서, 이동 난간(3)을 화살표 방향(상승 방향)으로 주행시키는 경우, 냉각 수단(1c7)는, 가열 수단(7)보다 상단 측에 배치된다.
또한, 냉각 수단(17)으로서는, 예를 들면 표면부(3a)에 냉각 바람을 내뿜는 송풍 장치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 표면부(3a)에 직접 접촉하여 표면부(3a)로부터 열을 빼앗는 타입의 냉각기를 이용할 수도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이다.
이와 같은 이동 난간 보수 장치에서는, 가열 용융되어 보수된 표면부(3a)를 즉석에서 재경화시킬 수 있으므로, 표면부(3a)의 형상의 붕괴를 방지할 수 있다. 또, 이동 난간(3)을 주행시키면서 보수 작업을 행하는 경우, 연화(軟化)한 표면부(3a)가 난간 구동부(4)의 롤러에 의해 변형되는 것이 더욱 확실하게 방지된다.
또한, 냉각 수단(17)은, 보수 장치 본체에 탑재하여도 좋다.
또, 예를 들면, 보수 장치 본체를 이동 난간(3)의 경로의 하부 수평부에 배치하고, 냉각 수단(17)을 상부 수평부에 배치하여도 좋다. 또한, 냉각 수단(17)은, 이동 난간(3)의 경로의 경사부 등에 배치할 수도 있다.
실시 형태 4.
다음으로,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4에 의한 이동 난간 보수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동 난간 보수 장치는, 표면부(3a)에 대향하여 표면부(3a)를 가열 용융시키는 가열 수단(21)과, 실시 형태 1과 동일한 고정 수단(8)과, 표면부(3a) 위에 맞닿아서 가열 수단(21)과 표면부(3a)와의 사이에 소정의 간격의 틈을 유지하는 한 쌍의 스페이서 롤러(spacer roller)(22a, 22b)를 가지고 있다. 스페이서 롤러(22a, 22b)는, 이동 난간(3)을 주행시킴으로써 표면부(3a)에 대하여 전동(轉動)된다. 또, 가열 수단(21)은, 스페이서 롤러(22a, 22b)의 사이에 배치되고 있다. 또한, 가열 수단(21)으로서는, 예를 들면 표면부(3a)에 고온의 열풍을 내뿜는 송풍기 또는 복사열에 의해 표면부(3a)를 가열하는 히터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이동 난간 보수 장치에서는, 가열 수단(21)과 표면부(3a)와의 사이에 틈이 확보되고 있으므로, 이동 난간(3)을 부드럽게 주행시키면서 보수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또, 스페이서로서 스페이서 롤러(22a, 22b)를 이용함으로써, 이동 난간(3)의 이동을 더욱 부드럽게 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난간(3)을 주행시켰을 경우에 가열 수단(21)의 하류 측에 위치하는 스페이서 롤러(22b)에 의해, 가열 용융된 표면 부(3a)를 평활하게 할 수 있다.
실시 형태 5.
다음으로,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5에 의한 이동 난간 보수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실시 형태 5의 이동 난간 보수 장치에는, 가열 수단(21)에 의해 표면부(3a)를 가열하기 전에 표면부(3a)를 깎기 위한 연삭 수단(23)이 설치되어 있다. 연삭 수단(23)은, 모터(24)와 모터(24)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 브러쉬(25)를 가지고 있다. 회전 브러쉬(25)는, 표면부(3a)에 대해서 수동 또는 자동으로 접리(接離)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표면부(3a)에 접촉시킨 상태로 회전 브러쉬(25)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표면부(3a)의 표층을 연삭할 수 있다. 연삭 수단(23)은, 이동 난간(3)의 이동 방향에 대하여 가열 수단(21)의 상류 측에 배치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4와 같다.
이와 같은 이동 난간 보수 장치에서는, 표면부(3a)에 이물질이 부착하고 있는 경우, 연삭 수단(23)으로, 표면부(3a)의 표층을 연삭하는 것에 의해, 이물질을 없앨 수 있다. 이 때 , 표면부(3a)에는 무수하게 세세한 상처가 생기지만, 이러한 상처는 가열 수단(21)에 의한 보수시에 수복된다.
또한, 연삭 수단(23)은, 보수 장치 본체와는 별체로 구성하여도 좋고, 보수 장치 본체의 상류에서 보수 장치 본체와의 사이에 간격을 두고 배치하여도 좋다.
실시 형태 6.
다음으로,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6에 의한 이동 난간 보수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 예에서는, 표면부(3a)에 대해서 전동하면서 표면부(3a)를 가열하는 가열 롤러(26)가 가열 수단으로서 이용되고 있다. 가열 롤러(26)는, 전열 히터를 내장한 금속제의 롤러이다.
이와 같은 가열 롤러(26)을 이용함으로써, 이동 난간(3)을 주행시키는 경우에 있어서도 , 이동 난간(3)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고, 게다가 표면부(3a)에 직접 접촉하면서 표면부(3a)를 효율 좋게 가열할 수 있다.
또한, 도 7에서는 가열 롤러(26)를 1개만 나타냈지만, 가열 롤러(26)는 복수 설치하여도 좋다.
또, 실시 형태 4 ~ 6의 이동 난간 보수 장치에, 실시 형태 3의 냉각 수단(17)을 추가 또는 탑재하여도 좋다.
실시 형태 7.
다음으로,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7에 의한 이동 난간 보수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9는 도 8의 IX-IX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 예의 이동 난간 보수 장치는, 정지하고 있는 이동 난간(3)에 대하여, 이동 난간(3)의 길이 방향에 따라서 이동하는 자주식(自走式)의 장치이다. 즉, 이동 난간 보수 장치는, 이동 난간(3)을 파지(把持)하는 복수의 파지암(27)을 가지고 있다. 파지암(27)에는, 이동 난간(3)의 측면부를 따라서 전동하는 구동 수단으로서의 구동 롤러(28)가 설치되어 있다. 파지암(27)에는, 구동 롤러(28)을 구동하는 모터(도시하지 않음)가 내장되어 있다.
또, 이러한 이동 난간 보수 장치에는, 실시 형태 3과 같은 냉각 수단(17)이 탑재되어 있다. 냉각 수단(17)은, 가열 롤러보다 하류 측, 즉 장치 후단 부에 배치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이동 난간 보수 장치에서는, 이동 난간(3)에 대한 이동 속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어, 이동 속도를 충분히 늦게 할 수도 있다. 보수 장치를 난간에 고정하고 이동 난간(3)을 주행시키는 경우, 이동 난간(3)의 이동 속도를 충분히 늦게하기(초저속 운전) 위해서는, 에스컬레이터의 제어계의 변경이 필요하여, 비용이 들지만, 자주식의 이동 난간 보수 장치에서는, 에스컬레이터 옆의 변경은 불필요하여, 코스트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실시 형태 7에서는 구동 롤러(28)에 의해 이동 난간 보수 장치를 주행시켰지만, 가열 롤러(26)에 구동력을 전달하고, 가열 롤러(26)에 의해 이동 난간 보수 장치를 주행시켜도 좋다. 즉, 가열 롤러를 구동 수단으로 하여도 좋다.
또, 상기의 예에서는, 난간에 고정되는 타입의 이동 난간 보수 장치와, 자주식의 이동 난간 보수 장치를 나타냈지만, 작업원이 손으로 잡고 작업하는 포터블 타입(portable type)의 이동 난간 보수 장치에 있어서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보수 작업시만 장착되는 이동 난간 보수 장치를 나타냈지만, 예를 들면 이동 난간의 경로의 수동부나 귀로 측에 이동 난간 보수 장치를 상설(常設)하여도 좋다.
더욱이 또, 상기의 예에서는, 에스컬레이터를 나타냈지만, 본 발명은 이동 보도에도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표면부가 열가소성 재료로 구성되어 있는 이동 난간을 이용한 승객 컨베이어에 관하여, 손상된 이동 난간의 표면부를 보수하는 승객 컨베이어의 이동 난간 보수 장치 및 이동 난간 보수 방법에 이용 가능하다.

Claims (15)

  1. 표면부가 열가소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이동 난간을 보수하기 위한 승객 컨베이어의 이동 난간 보수 장치로서,
    상기 표면부를 가열 용융시키는 가열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가열 수단을 상기 이동 난간의 길이 방향에 따라서 이동시키는 구동 수단을 더 구비하고 있는 승객 컨베이어의 이동 난간 보수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수단은, 상기 이동 난간의 경로의 왕복로 측에 있어서의 상기 표면부의 상면에 접합되는 금형과, 상기 금형을 가열하는 전열기를 포함하고 있는 승객 컨베이어의 이동 난간 보수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난간을 지지하는 난간에 자력(磁力)에 의해 흡착되는 자석부를 가지고, 상기 난간에 대하여 상기 가열 수단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 수단을 더 구비하고 있는 승객 컨베이어의 이동 난간 보수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수단에 의해 가열 용융된 상기 표면부를 냉각하는 냉각 수단을 더 구비하고 있는 승객 컨베이어의 이동 난간 보수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수단에 의해 상기 표면부를 가열하기 전에 상기 표면부를 깎기 위한 연삭 수단을 더 구비하고 있는 승객 컨베이어의 이동 난간 보수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부에 맞닿아, 상기 가열 수단과 상기 표면부와의 사이에 소정의 간격의 틈을 유지하는 스페이서(spacer)를 더 구비하고 있는 승객 컨베이어의 이동 난간 보수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표면부에 대해서 전동하는 스페이서 롤러인 승객 컨베이어의 이동 난간 보수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수단은, 상기 표면부에 대하여 전동(轉動)하면서 상기 표면부를 가열하는 가열 롤러인 승객 컨베이어의 이동 난간 보수 장치.
  9. 삭제
  10. 표면부가 열가소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이동 난간을 보수하기 위한 승객 컨베이어의 이동 난간 보수 방법으로서,
    상기 표면부의 보수해야 할 목적 개소를 가열 용융시키는 행정, 및
    상기 목적 개소를 재경화시키는 행정을 포함하고,
    상기 목적 개소를 상기 이동 난간의 경로의 직선부에 이동시킨 상태로, 상기 목적 개소를 가열 용융시키는 승객 컨베이어의 이동 난간 보수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목적 개소의 가열 온도를 180℃ ~ 200℃로 하는 승객 컨베이어의 이동 난간 보수 방법.
  12. 삭제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목적 개소를 가열 용융시키기 전에, 상기 목적 개소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행정을 더 포함하는 승객 컨베이어의 이동 난간 보수 방법.
  14.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부를 가열하면서 상기 이동 난간을 주행시킴으로써 가열 개소를 상기 이동 난간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있는 승객 컨베이어의 이동 난간 보수 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난간의 주행 속도는, 통상 운전시의 주행 속도보다 저속으로 하는 승객 컨베이어의 이동 난간 보수 방법.
KR1020067016268A 2006-08-11 2004-11-30 승객 컨베이어의 이동 난간 보수 장치 및 이동 난간 보수방법 KR1008245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7016268A KR100824500B1 (ko) 2006-08-11 2004-11-30 승객 컨베이어의 이동 난간 보수 장치 및 이동 난간 보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7016268A KR100824500B1 (ko) 2006-08-11 2004-11-30 승객 컨베이어의 이동 난간 보수 장치 및 이동 난간 보수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0247A KR20060120247A (ko) 2006-11-24
KR100824500B1 true KR100824500B1 (ko) 2008-04-22

Family

ID=377065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6268A KR100824500B1 (ko) 2006-08-11 2004-11-30 승객 컨베이어의 이동 난간 보수 장치 및 이동 난간 보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450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9695A (ja) * 1994-08-01 1996-02-13 Showa Electric Wire & Cable Co Ltd ハンドベルト、ハンドベルト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JPH09278340A (ja) * 1996-04-05 1997-10-28 Mitsubishi Denki Bill Techno Service Kk 乗客コンベアの手摺清掃装置
JPH10111276A (ja) * 1996-10-07 1998-04-28 Nippon Stec:Kk 探傷装置
JP2000016743A (ja) * 1998-07-07 2000-01-18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乗客コンベアの移動手摺の補修釜装置
JP2001039663A (ja) * 1999-07-27 2001-02-13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乗客コンベア移動手すり用の熱転写シート貼付け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9695A (ja) * 1994-08-01 1996-02-13 Showa Electric Wire & Cable Co Ltd ハンドベルト、ハンドベルト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JPH09278340A (ja) * 1996-04-05 1997-10-28 Mitsubishi Denki Bill Techno Service Kk 乗客コンベアの手摺清掃装置
JPH10111276A (ja) * 1996-10-07 1998-04-28 Nippon Stec:Kk 探傷装置
JP2000016743A (ja) * 1998-07-07 2000-01-18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乗客コンベアの移動手摺の補修釜装置
JP2001039663A (ja) * 1999-07-27 2001-02-13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乗客コンベア移動手すり用の熱転写シート貼付け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0247A (ko) 2006-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39232B2 (ja) 乗客コンベアの移動手摺補修装置
KR101453587B1 (ko) 이동 유리 리본을 스코어링하기 위한 장치, 시스템, 및 방법
EP066123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ssembling a balustrade for a people moving device
JP4937215B2 (ja) 熱可塑性樹脂製長尺体の接続方法
KR100824500B1 (ko) 승객 컨베이어의 이동 난간 보수 장치 및 이동 난간 보수방법
CN203496104U (zh) 具有调节切割组件的切条机及切坯机
JP5052901B2 (ja) 乗客コンベアの移動手摺補修装置
US9546103B2 (en) Method for cutting to length a float glass strip having a normal or structured surface
CN100522790C (zh) 乘客传送机的移动扶手修补装置
JP2007031072A (ja) 乗客コンベア用移動手摺の加熱加圧装置及びその接続方法
CN101700851B (zh) 乘客运送装置的移动扶手修理装置和移动扶手修理方法
JP2002081298A (ja) トンネル内壁補修機
WO2022044744A1 (ja) 手摺ベルト、乗客コンベアの移動手摺及び乗客コンベアの移動手摺の製造方法
KR20110047535A (ko) 타이어 반제품 절단장치
KR20130092767A (ko) 합성수지 판의 클리닝 장치
CN211942173U (zh) 一种医用一次性口罩组装机构
CN212559983U (zh) 一种玻璃掰片装置
JP6553222B1 (ja) 手摺りベルトの製造方法
JP5687144B2 (ja) 乗客コンベア用移動手摺の仕上げ加工装置
JP6341117B2 (ja) ガイド装置、マンコンベア及びマンコンベアの改修方法
CN118023212A (zh) 一种激光清理铝板带运输辊道粘铝方法及其装置
KR101487920B1 (ko) 맨홀 용융 접합장치
JPH10447A (ja) 走行用履帯の廃棄処理装置
WO2018109882A1 (ja) 乗客コンベアの手摺ガイド装置
JP2010241545A (ja) 乗客コンベアの欄干頭部の清掃方法およびそれに用いられる欄干頭部清掃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