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4112B1 - 루틸형 산화티탄 초미립자 - Google Patents

루틸형 산화티탄 초미립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4112B1
KR100824112B1 KR1020077002949A KR20077002949A KR100824112B1 KR 100824112 B1 KR100824112 B1 KR 100824112B1 KR 1020077002949 A KR1020077002949 A KR 1020077002949A KR 20077002949 A KR20077002949 A KR 20077002949A KR 100824112 B1 KR100824112 B1 KR 1008241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tanium oxide
ultrafine particles
oxide ultrafine
acid
rut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29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31441A (ko
Inventor
토요하루 하야시
노리오 나카야마
토모노리 이이지마
Original Assignee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0770029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4112B1/ko
Publication of KR200700314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14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41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41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GCOMPOUNDS CONTAINING METAL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1D OR C01F
    • C01G23/00Compounds of titanium
    • C01G23/04Oxides; Hydrox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1/00Catalysts comprising the elements, oxides, or hydroxides of magnesium, boron, aluminium, carbon, silicon, titanium, zirconium, or hafnium
    • B01J21/06Silicon, titanium, zirconium or hafnium; Oxides or hydroxides thereof
    • B01J21/063Titanium; Oxides or hydroxides thereof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atalysts (AREA)

Abstract

킬레이트제의 존재하, Ti분농도가 0.07~5mol/L인 티탄 화합물의 수용액의 pH를 -1~3의 범위에서 유지하여 얻어지는 루틸형 산화티탄 초미립자를 제공한다. 광촉매, 고굴절률 재료, 자외선 흡수재료 등에 유용하다.
루틸형 산화티탄 초미립자, 광촉매, 고굴절률 재료, 자외선 흡수 재료

Description

루틸형 산화티탄 초미립자{ULTRAFINE PARTICLE OF RUTILE-TYPE TITANIUM OXIDE}
본 발명은 광촉매, 고굴절률 재료, 자외선 흡수 재료 등에 이용되는 루틸형 산화티탄 초미립자에 관한 것이다.
산화티탄은 대표적인 광산화 촉매로서 알려져 있어, 지금까지 항균제나 초친수성을 활용한 방담제 등에 응용되고 있다. 산화티탄의 결정형에는 아나타제형, 루틸형, 브루카이트형이 알려져 있고, 이 중 아나타제형이 광촉매 활성이 가장 높다고 되어 있지만, 근년에는 일부 루틸형 성분이 아나타제형 성분과 접촉 혼입되어 있는 것이 더 광촉매 활성을 높인다는 것이 알려지게 되었다. 그 때문에 루틸형 산화티탄 초미립자를 아나타제형 산화티탄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또한, 루틸형 산화티탄 초미립자를 단독으로 이용하는 것으로 고활성이 발현된다는 것을 아울러 기대하게 되었다. 그러나, 종래와 같이 기상법으로 제조되는 루틸형 산화티탄은 고온에서 처리되기 때문에 소결에 의해 대입자경으로 되어, 표면적의 저하로 인해 필연적으로 광촉매 활성이 저하되어 버리는 난점이 있었다.
한편, 루틸형 산화티탄을 저온 습식법으로 합성하는 방법이 H.D. Nam들에 의해 보고되어 있다 (비특허문헌 1). 그러나, 이 방법에 의하면, 장섬유상의 루틸형 산화티탄이 모인 응집입자경 200~400nm의 응집체가 생성되어, 마찬가지로 광촉매 활성 저하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들 난점의 극복으로 투명성이 요구되는 고굴절률 재료나 자외선 재료에 필요한 고분산성 루틸 초미립자의 제공도 가능하게 한다.
비특허 문헌 1: Jpn. J. Appl. Phys., Vol. 37, p. 4603 (1998)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 하려고 하는 과제]
본 발명은 광촉매, 고굴절률 재료, 자외선 흡수 재료 등에 이용되는 루틸형 산화티탄 초미립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예의 검토를 행한 결과, 루틸형 산화티탄 제조시에 킬레이트제가 존재하면 결정경의 증대가 억제되는 동시에 결정의 응집도 억제되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즉, 본 발명은 킬레이트제의 존재하, Ti분농도가 0.07~5mol/L인 티탄화합물의 수용액의 pH를 -1~3의 범위에서 유지하여 얻어지는 루틸형 산화티탄 초미립자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신규 루틸형 산화티탄 초미립자 및 해당 루틸형 산화티탄 초미립자를 함유하는 광촉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1에서 얻어진 풍건(風乾)시킨 분말의 X선 회절 스펙트럼을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실시예 1에서 얻어진 풍건시킨 분말의 적외선 흡수 스펙트럼을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실시예 1에서 얻어진 풍건시킨 루틸형 산화티탄의 분말, 이것을 400℃에서 소성시킨 루틸형 산화티탄의 분말, 비교예 2에서 얻어진 아나타제형 산화티탄의 분말의 광촉매 활성 시험결과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4는 실시예 5의 아세트알데히드 분해시험 결과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5는 실시예 6의 톨루엔 분해시험 결과를 나타내는 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본 발명의 루틸형 산화티탄 초미립자는 킬레이트제의 존재하, Ti분농도가 0.07~5mol/L인 티탄 화합물의 수용액의 pH를 -1~3의 범위로 유지하는 것에 의해 얻어진다.
본 발명의 루틸형 산화티탄 초미립자의 제조에 이용되는 킬레이트제로서는 티탄 양이온에 대해 배위능력을 갖는 적어도 2개의 관능기를 갖는 화합물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티탄 양이온에 대해 배위 능력을 갖는 적어도 2개의 관능기를 갖는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하이드록시카르본산류, 디케톤류, 케토카르본산, 케토에스테르류, 디카르본산류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루틸형 산화티탄 초미립자의 제조에는 하이드록시카르본산류, 디케톤류, 케토에스테르산류, 디카르본산류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것을 이용할 수 있다.
하이드록시카르본산류로는, 예를 들면, 글리콜산, 젖산, 구연산, 주석산, 살리실릭산 및 이들의 염, 예를 들면, 구연산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디케톤류로는, 예를 들면, 아세틸아세톤이나 프로피오닐아세톤 및 이들의 염, 예를 들면, 알루미늄 아세틸아세토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케토에스테르산류로는, 예를 들면, 에틸 아세토아세테이트나 에틸마로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디카르본산류로는, 예를 들면, 말론산이나 숙신산 등을 들 수 있다.
킬레이트제의 티탄 화합물에 대한 사용량은 티탄 화합물 중의 Ti분에 대한 킬레이트제의몰비가 0.0005~0.05의 범위로부터 선택되는 양을 사용한다. 킬레이트제의 사용량이 이 범위이면 루틸형 산화티탄 초미립자가 응집하여 거대한 응집체로 되기 어려워지므로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티탄 화합물로는 화학반응에 의해 산화티탄을 생성하는 것이면 제한은 없고, 예를 들면, 사염화티탄, 염화산화티탄, 황산티탄, 질산티탄, 티탄알콕사이드, 수화산화티탄 (미리 티탄 화합물을 알칼리 조건에서 가수분해시킨 것도 포함)등으로부터 선택되는 티탄화합물 등을 바람직한 것으로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티탄 화합물의 수용액에서, 해당 수용액 중의 티탄 화합물의 농도는 해당 티탄 화합물 중의 Ti분의 농도 (이하, 「Ti분농도」라고 약칭함)로서 0.07~5mol/L, 바람직하게는 0.1mol/L로부터 1mol/L인 것이 바람직하다.
Ti분농도가 0.07mol/L 보다 낮은 경우는 아나타제형 산화티탄이 생성되고, Ti분농도가 5mol/L 보다 높은 경우는 수농도가 저하되기 때문에 산화티탄의 생성이 저해된다.
상기의 티탄 화합물을 함유하는 수용액의 pH는 사용하는 킬레이트제 및 티탄화합물의 종류에 따라 다르다. 그 때문에, 티탄 화합물을 함유하는 수용액의 pH 조정은 필요에 따라서 염산이나 질산 등을 이용하여 행한다.
티탄 화합물을 함유하는 수용액의 pH는 -1~3으로 조정하지만, pH가 3보다 큰 조건에서 반응시키면, 산화티탄 결정생성이 저해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킬레이트제 및 티탄 화합물을 함유하는 pH 조정 후의 수용액은 통상 그 수용액의 온도가 -10~100℃에서 선택되는 온도에서 유지되지만, 바람직하게는 20~60℃의 범위 내의 온도가 추천된다. 상기의 온도 범위 내의 수용액은 통상 0.5~10 시간 사이, 상기 온도범위 내에서 유지된다.
상기와 같이, 킬레이트제의 존재하, Ti분농도가 0.07~5mol/L인 티탄 화합물의 수용액의 pH는 -1~3의 범위에서 유지됨으로써, 해당 수용액 중에 루틸형 산화티탄 초미립자가 석출된다. 또한, 해당 수용액 중에는 루틸형 산화티탄 초미립자가 응집된 응집체가 소량 함유된다.
상기 수용액 중에 석출되는 초미립자가 루틸형 산화티탄인 것은 X-선 회절 측정에 의해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해당 루틸형 산화티탄 초미립자의 평균입경은 Debye-Scherrer 식으로부터도 구할 수 있다.
상기 수용액 중에 석출되는 루틸형 산화티탄 초미립자의 평균입경은 초미립자의 단축, 장축의 범위에 있으면, 각각 2~10nm, 15~30nm이고, 해당 루틸형 산화티탄 초미립자끼리가 응집된 응집체의 평균입경은 10~100nm이다.
루틸형 산화티탄 초미립자 및 루틸형 산화티탄 초미립자가 응집된 응집체는 이것을 함유하는 수용액으로부터 여과 등의 방법으로 분리하고, 필요에 따라서, 물 및/또는 알코올 등의 용매로의 분산, 한외 여과, 재침전 등의 방법에 의해 세정한다.
이와 같이 하여 회수되는 루틸형 산화티탄 초미립자 (루틸형 산화티탄 초미립자가 응집된 응집체를 포함함)는 건조함으로써, 또는 100℃~800℃에서 소성함으로써 분말로서 얻을 수 있지만, 소망에 따라, 졸로서 제조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얻어지는 루틸형 산화티탄 초미립자는 광분해 반응 등의 촉매로서 작용하기 때문에, 이것을 함유하는 광촉매로서 유용하다. 광분해 반응으로는, 예를 들면, 유기색소, 포르말린, 방향족 탄화수소 등의 유기 화합물을 분해하는 반응 등을 들 수 있다.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광촉매로서의 활성 평가는 다음의 방법에 의했다.
산화티탄 TiO2를 6mg 채취하고 (졸액의 경우는 상당 TiO2를 함유하는 졸액), 1cm 큐벳셀에 넣고, 2x10-5mol/L의 메틸렌 블루 수용액을 첨가하여 자기회전자로 교반한다. 고압 크세논 램프로부터의 광을 5cm 길이의 물필터를 통과하여, 셀에 측면으로부터 조사한다. 셀 앞면에서의 광량을 측정하고, 120mW/cm2으로 조절했다. 10분 마다 시료액을 꺼내어, 원심 분리하여 여과액의 가시자외흡수 스펙트럼을 측정하여 메틸렌 블루의 흡광도 변화로부터 광촉매 활성을 평가했다.
[실시예 1]
100mL 가지형 플라스크를 이용하여, 이온교환수 50mL에 Ti 25mmol의 0.001몰비, 즉, 0.025mmol의 글리콜산을 첨가했다. 이어서, 플루카사 제 TiOCl2·HCL 용액 5ml (Ti분 25mmol)를 가하여, 0.45M TiOCl2 용액을 제조했다. 이것을 50℃, 1시간 반응시켰다. 얻어진 침전을 이온교환수에 재분산시켜, 전자현미경 관찰을 행한 결과, 평균입경은 장축 25nm, 단축은 10nm인 초미립자 및 평균입경이 50nm인 초미립자의 응집체를 소량 함유하는 혼합물을 얻었다. 얻어진 침전을 아세토니트릴로 세정하고, 풍건시킨 분말의 X-선 회절 스펙트럼을 측정한 결과 루틸형 산화티탄이라고 동정했다.
풍건시킨 분말의 X-선 회절 스펙트럼 및 적외선 흡수 스펙트럼을 각각 도1 및 도2에 나타냈다. 또한, Debye-Scherrer 식으로부터 평가되는 초미립자의 장축, 단축의 계산치는 전자현미경 관찰 결과에 대응했다.
풍건시킨 분말과 그것을 도가니에 넣어 400℃에서 2시간 소성하여 얻어진 분말에 대해서 각각 광촉매 활성 시험을 행한 결과, 고활성을 나타냈다. 결과를 도3에 나타냈다.
[실시예 2]
글리콜산 대신에 젖산을 이용하는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했다. 그 결과, 평균입경은 장축으로 20nm, 단축으로 8nm인 초미립자 및 소량의 평균입경이 30nm인 초미립자의 응집체의 혼합물을 얻었다.
[실시예 3]
글리콜산 대신에 아세틸아세톤을 이용하는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했다. 그 결과, 평균입경은 장축 20nm, 단축 7nm인 초미립자 및 평균입경이 25nm인 초미립자의 응집체를 소량 함유하는 혼합물을 얻었다.
[실시예 4]
글리콜산 대신에 숙신산을 이용하는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했다. 그 결과, 평균입경은 장축 25nm, 단축 12nm인 초미립자 및 평균입경이 40nm인 초미립자의 응집체를 소량 함유하는 혼합물을 얻었다.
[실시예 5]
아세트알데히드 분해시험용 시료판 A 제작
실시예 1에서 400℃에서 2시간 소성하여 얻어진 루틸형 산화티탄 초미립자 광촉매 5.0g을, 100mL 폴리에틸렌제 용기에 넣고, 직경 1mm의 글라스비드 50.0g, 에탄올 44.0g, 1 규정 염산 0.5g, 비이온계 계면활성제 TritonX-100 (유니온카바이드사 등록상표) 0.5g을 더하여, 밀봉했다. 이것을 내용적 300mL의 스테인레스제 볼밀 포트에 넣어, 용기가 볼밀포트의 중앙에 되도록 간극에 천을 채웠다. 그래서, 볼밀포트를 밀봉한 후, 볼밀 회전대에 얹어 놓고, 매분 60회전의 속도로 18시간 분산화 처리를 실시했다. 처리후, 용기를 꺼내어, 나일론제 메쉬시트로 글라스비드를 여과하여 제거하여, 루틸형 산화티탄 초미립자 광촉매의 에탄올 분산액을 얻었다. 다음에, 미리 중량을 측정한 슬라이드 글라스 (2.6cm x 7.6cm, 두께 1mm)를, 이 분산액에 90초 마다, 매초 0.4cm의 속도로 42회, 침지 및 인상을 행하여, 슬라이드글라스 표면에 루틸형 산화티탄 초미립자 광촉매를 고정화했다. 2.6cm 폭의 한쪽 면을 제외하고, 다른 면에 부착한 광촉매는 모두 닦아냈다. 이것을 전기로로 공기 분위기하, 400℃, 3시간 소성처리를 행하여, 광촉매 도포 시료판 A를 제작했다. 광촉매 고정화 전후의 중량 측정 및 루틸형 산화티탄 초미립자 광촉매를 고정화한 부분의 치수 계측에 의해, 이 시료판은 루틸형 산화티탄 초미립자 광촉매의 도포 중량 6.6 mg, 루틸형 산화티탄 초미립자 광촉매의 도포면적 12.2cm2, 면적당의 도포중량 5.4g/cm2 이었다.
아세트알데히드 분해시험
광촉매 도포 시료판 A에, 공기 분위기하, 5.4mW/cm2의 자외선을 3시간 조사했다. 광원에는 27W의 블랙라이트 블루등 (산쿄덴끼, FPL27BLB)을 자외선 강도측정에는 UVA-365 (커스텀사제)를 사용했다.
조사 처리후의 광촉매 도포 시험판 A를 실리콘 팩킹 부착 커넥터 및 미니콕이 하나씩 부속된 용적 1리터의 테드라 (듀폰사 등록상표)백 내부의 중앙에, 5mm 각의 양면 테이프로 첩부했다. 그 때, 백의 한 면을 한번 잘라내고, 첩부 후에, 절제 부분을 열접착기로 밀봉했다. 이어서, 진공펌프를 이용하여 미니콕으로부터 내부의 공기를 빼낸 후 콕을 닫고, 진공 포장된 상태에서 암소에서 하룻밤 방치했다.
다음에, 산소 20%, 질소 80%의 혼합가스를 15℃의 이온교환수를 통과시킨 습 윤 혼합가스와 1% 아세트알데히드/질소 혼합가스를 혼합하고 아세트알데히드 농도 96 ppm의 가스를 조제했다. 이 가스를 600mL 채취하여, 상기의 광촉매 도포 시료판 A를 내부에 첩부한 백에 주입했다. 그 후, 백을 암소에 20 시간 방치했다. 그 후, 백 내부의 가스의 아세트알데히드 농도 및 이산화탄소 농도를 측정했다. 농도 측정에는 메탄화 장치 부착 가스 크로마토그라피 (시마즈사제 GC-10A)를 사용했다. 분석후, 광촉매 도포 시료판 A를 내부에 첩부한 백을 광촉매 도포 시료판 A의 도포면이, 백색 형광등 (마쓰시따 덴코우 제, 10W, FL10N)으로부터 4cm의 거리에서 광이 수직으로 쬐도록 놓았다. 그래서, 형광등에 의한 광조사 2시간 마다 백 내부의 가스 분석을 행하였다. 이때, 백과 동일한 필름 1장을 필터로서 도포면과 동일한 장소에서 측정한 자외선 강도는 11μW/cm2 이었다. 여기서, 자외선 강도 측정에는 UVA-365 (커스텀사제)를 이용했다. 이산화탄소의 농도 추이는 도4에 나타냈다. 형광등의 광을 조사함으로써, 아세트알데히드를 분해하여 이산화탄소를 생성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6]
톨루엔 분해시험용 시료판 B 제작
침지 및 인상을 40회 한 이외는 실시예 5와 동일하게 하여, 광촉매 도포 시료판 B를 제작했다. 이 시료판은 루틸형 산화티탄 초미립자 광촉매의 도포 중량 5.8mg, 루틸형 산화티탄 초미립자 광촉매의 도포면적 12.3cm2, 면적당의 도포중량 4.7 g/cm2이었다.
톨루엔 분해시험
광촉매 도포 시료판 A 대신에 광촉매 도포 시료판 B를, 아세트알데히드 대신에 톨루엔을, 아세트알데히드 농도 96ppm의 혼합가스 대신에 톨루엔 농도 31ppm의 혼합가스를 사용한 이외는 실시예 5와 동일하게 하였다. 형광등의 광조사에 의한 톨루엔의 분해 반응을 행했다. 이산화탄소의 농도추이는 도5에 나타냈다. 형광등의 광을 조사함으로써, 톨루엔을 분해하여 이산화탄소를 생성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비교예 1]
글리콜산을 첨가하지 않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행한 결과, 침전 여과후, 재분산 곤란한 루틸형 산화티탄 초미립자의 응집체를 얻을 수 있었다. X-선 회절의 Debye-Scherrer 식으로부터 구한 초미립자의 평균입경은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였지만, 초미립자의 응집체의 평균입경은 270nm로 거대하였다.
[비교에 2]
아나타제형 산화티탄을 다음과 같이 제조했다.
250mL 이온 교환수에 플루카사 제 TiOCl2·HCl 용액 2.5mL를 가하여, 0.05 M TiOCl2 용액으로 하고, 60℃, 5시간 가열하여 졸액을 얻었다. 아세토니트릴 첨가에 의해, 침전을 얻어, 이것을 건조하여 분말을 얻었다. X-선 회절 결과, 얻어진 분말은 아나타제형 결정이었다. 전자현미경 관찰에 의하면 구상의 초미립자의 평균입경은 5nm로 응집은 거의 보이지 않았다.
얻어진 분말에 대해서, 광촉매 활성시험을 행한 결과를 도3에 나타냈다.

Claims (28)

  1. 킬레이트제의 존재하, Ti분농도가 0.07~5mol/L인 티탄 화합물의 수용액의 pH를 -1~3의 범위에서 유지하여 얻어지는 루틸형 산화티탄 초미립자.
  2. 제1항에 있어서,
    제1항에 기재된 킬레이트제가 하이드록시카르본산류, 디케톤류, 게토에스테르산류, 디카르본산류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것인, 루틸형 산화티탄 초미립자.
  3. 제2항에 있어서,
    제2항에 기재된 하이드록시카르본산류가 글리콜산, 젖산, 구연산, 주석산 또는 이들의 염인, 루틸형 산화티탄 초미립자.
  4. 제2항에 있어서,
    제2항에 기재된 디케톤류가 아세틸아세톤 또는 그 염인, 루틸형 산화티탄 초미립자.
  5. 제1항에 있어서,
    티탄에 대한몰비가 0.0005~0.05인 킬레이트제를 첨가하는 루틸형 산화티탄 초미립자.
  6. 제1항에 기재된 루틸형 산화티탄 초미립자를 함유하는 광촉매.
  7. 제6항에 있어서,
    100~800℃에서 소성시킨 광촉매.
  8. 킬레이트제의 존재하, Ti분농도가 0.07~5mol/L인 티탄 화합물의 수용액의 pH를 -1~3의 범위에서 유지하는 루틸형 산화티탄 초미립자의 제조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킬레이트제가 하이드록시카르본산류, 디케톤류, 케토에스테르산류 또는 디카르본산류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것인, 루틸형 산화티탄 초미립자의 제조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하이드록시카르본산류가 글리콜산, 젖산, 구연산, 주석산 또는 이들의 염인, 루틸형 산화티탄 초미립자의 제조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디케톤류가 아세틸아세톤 또는 그 염인, 루틸형 산화티탄 초미립자의 제조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티탄에 대한몰비가 0.0005~0.05인 킬레이트제를 첨가하는 루틸형 산화티탄 초미립자의 제조방법.
  13. 킬레이트제의 존재하, Ti분농도가 0.07~5mol/L인 티탄 화합물의 수용액의 pH를 -1~3의 범위에서 유지하여 얻어지는 루틸형 산화티탄 초미립자로 이루어지는 응집체.
  14. 제13항에 있어서,
    킬레이트제가 하이드록시카르본산류, 디케톤류, 케토에스테르산류 또는 디카르본산류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인, 루틸형 산화티탄 초미립자로 이루어지는 응집체.
  15. 제14항에 있어서,
    하이드록시카르본산류가 글리콜산, 젖산, 구연산, 주석산 또는 그들의 염인, 루틸형 산화티탄 초미립자로 이루어지는 응집체.
  16. 제14항에 있어서,
    디케톤류가 아세틸아세톤 또는 그 염인 루틸형 산화티탄 초미립자로 이루어지는 응집체.
  17. 제13항에 있어서,
    티탄에 대한몰비가 0.0005~0.05인 킬레이트제를 첨가하는 루틸형 산화티탄 초미립자로 이루어지는 응집체.
  18. 제13항에 기재된 응집체를 함유하는 광촉매.
  19. 제18항에 있어서,
    100~800℃에서 소성된 광촉매.
  20. 킬레이트제의 존재하, Ti분농도가 0.07~5mol/L인 티탄 화합물의 수용액의 pH를 -1~3의 범위에서 유지하는 루틸형 산화티탄 초미립자로 이루어지는 응집체의 제조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킬레이트제가 하이드록시카르본산류, 디케톤류, 케토에스테르산류 또는 디카르본산류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인 루틸형 산화티탄 초미립자로 이루어지는 응집체의 제조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하이드록시카르본산류가 글리콜산, 젖산, 구연산, 주석산 또는 그들의 염인 루틸형 산화티탄 초미립자로 이루어지는 응집체의 제조방법.
  23. 제21항에 있어서,
    디케톤류가 아세틸아세톤 또는 그 염인 루틸형 산화티탄 초미립자로 이루어지는 응집체의 제조방법.
  24. 제20항에 있어서,
    티탄에 대한몰비가 0.0005~0.05인 킬레이트제를 첨가하는 루틸형 산화티탄 초미립자로 이루어지는 응집체의 제조방법.
  25. 제6항에 기재된 유기 화합물 분해용 광촉매.
  26. 제6항에 기재된 광촉매를 사용하는 유기 화합물의 분해방법.
  27. 제25항에 있어서,
    유기 화합물이 알데히드, 톨루엔 또는 유기색소인 광촉매.
  28. 제26항에 있어서,
    유기 화합물이 알데히드, 톨루엔 또는 유기색소인 유기 화합물의 분해방법.
KR1020077002949A 2004-08-26 2005-08-04 루틸형 산화티탄 초미립자 KR1008241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7002949A KR100824112B1 (ko) 2004-08-26 2005-08-04 루틸형 산화티탄 초미립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246745 2004-08-26
KR1020077002949A KR100824112B1 (ko) 2004-08-26 2005-08-04 루틸형 산화티탄 초미립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1441A KR20070031441A (ko) 2007-03-19
KR100824112B1 true KR100824112B1 (ko) 2008-04-21

Family

ID=413457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2949A KR100824112B1 (ko) 2004-08-26 2005-08-04 루틸형 산화티탄 초미립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411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340715A1 (en) * 2000-11-10 2003-09-03 Nippon Sheet Glass Co., Ltd. Method for deposition of rutile-type titanium dioxide, and substrate and glass flake having the oxide attached thereto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340715A1 (en) * 2000-11-10 2003-09-03 Nippon Sheet Glass Co., Ltd. Method for deposition of rutile-type titanium dioxide, and substrate and glass flake having the oxide attached thereto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apanese Journal of Applied Physics, Vol.37, No.8, pp.4603-4608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1441A (ko) 2007-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95162B2 (ja) ルチル型酸化チタン超微粒子
JP4971135B2 (ja) 炭素含有二酸化チタン光触媒および該光触媒の製造方法
US8791044B2 (en) Doped titanium dioxide as a visible and sun light photo catalyst
Ishibai et al. Synthesis of visible-light active TiO2 photocatalyst with Pt-modification: Role of TiO2 substrate for high photocatalytic activity
AU783565B2 (en) Photocatalyst,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and photocatalyst coating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Mogal et al. Metal doped titanium dioxide: synthesis and effect of metal ions on physico-chemical and photocatalytic properties
KR101318743B1 (ko) 산화 텅스텐계 광촉매 및 그 제조 방법
AU782223B2 (en) Titanium oxide, and photocatalyst and photocatalyst coating composition using the same
CN102380366B (zh) 铋、硅共掺杂的纳米二氧化钛光催化剂及其制备、应用
JP3894144B2 (ja) 酸化チタン系光触媒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応用
WO2005102521A1 (ja) 酸化チタン系光触媒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利用
JP2011079713A (ja) 銅イオン修飾酸化チタン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光触媒
JP2012016697A (ja) 光触媒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265685B2 (ja) 光触媒体、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を用いてなる光触媒体コーティング剤
KR100824112B1 (ko) 루틸형 산화티탄 초미립자
JP2007069093A (ja) ルチル型酸化チタン超微粒子光触媒
JP4103324B2 (ja) 酸化チタン、それを用いてなる光触媒体及び光触媒体コーティング剤
KR20190117875A (ko) 수중 플라즈마를 이용한 TiO2의 제조방법
Masae et al. Synthesis of Na doped TiO2 nano photocatalysts film on its photoactivity and hydrophilicity
JP3981757B2 (ja) 光触媒体およびそれを用いてなる光触媒体コーティング剤
JP4296533B2 (ja) 窒素酸化物除去性能にすぐれた酸化チタン光触媒
JP2002143691A (ja) 光触媒体、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を用いてなる光触媒体コーティング剤
CN1150981C (zh) 复合光催化剂的制备方法
JP2002326815A (ja) 酸化チタン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7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