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2839B1 - 온라인 1인칭 슈팅 게임에서의 무기 개조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온라인 1인칭 슈팅 게임에서의 무기 개조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2839B1
KR100822839B1 KR1020070093852A KR20070093852A KR100822839B1 KR 100822839 B1 KR100822839 B1 KR 100822839B1 KR 1020070093852 A KR1020070093852 A KR 1020070093852A KR 20070093852 A KR20070093852 A KR 20070093852A KR 100822839 B1 KR100822839 B1 KR 1008228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apon
firearm
game
online
modif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38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보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레드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레드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레드덕
Priority to KR10200700938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28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28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2839B1/ko
Priority to US12/146,115 priority patent/US20090075709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60Generating or modifying game content before or while executing the game program, e.g. authoring tools specially adapted for game development or game-integrated level editor
    • A63F13/63Generating or modifying game content before or while executing the game program, e.g. authoring tools specially adapted for game development or game-integrated level editor by the player, e.g. authoring using a level editor
    • A63F13/10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30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and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 A63F13/33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and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using wide area network [WAN] connections
    • A63F13/335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and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using wide area network [WAN] connections using Interne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45Controlling the progress of the video gam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80Special adaptations for executing a specific game genre or game mode
    • A63F13/837Shooting of targe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8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specially adapted for executing a specific type of game
    • A63F2300/8076Shooting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사용자가 인터넷 연결이 가능한 자신의 컴퓨터 단말기를 통해 사업자가 제공하는 온라인 1인칭 슈팅 게임에 참여하고, 복수의 사용자들 간에 서로 다른 팀을 구성하여 상호 대결하는 온라인 1인칭 슈팅 게임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기 온라인 1인칭 슈팅 게임 콘텐츠를 인터넷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한 상기 복수의 사용자들에게 제공하는 게임 콘텐츠 제공 서버; 및 상기 게임의 미션 수행 중 상기 각 사용자들에게 복수의 총기들 중 하나의 총기를 생성시키고, 상기 사용자의 총기 개조 요청에 따라 총기 개조 가능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판단 결과 총기 개조가 가능할 경우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커스텀 파츠를 상기 총기에 장착시킴으로써 총기 개조를 수행하는 무기 개조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PS, 온라인 게임, RIS, 총기, 개조, 커스텀 파츠

Description

온라인 1인칭 슈팅 게임에서의 무기 개조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of customizing a weapon on the online first person shooting game}
본 발명은 온라인 게임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온라인 1인칭 슈팅 게임에서의 무기 개조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21세기의 주력산업으로서 영화, 만화, 게임 등 영상을 통한 문화산업이 각광을 받고 있다. 이 중 게임 산업은 고부가 가치의 최첨단 지식형 복합 산업으로서 다가올 21세기 문화 관광산업 시대에서의 중심 산업으로 발전할 것이다.
현재 유행하는 게임의 장르는 인터넷을 이용하는 네트워크 게임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이 같은 경향은 PC와 겨루는 단독 사용자 게임은 사용자의 선택에 대한 PC의 반응에 대한 경우의 수가 한정될 수밖에 없어 일정한 시간이 경과할 경우, PC의 반응을 예측할 수 있어서 게임의 수명이 비교적 짧기 때문이다. 반면에 네트워크를 통한 서로 다른 사용자와 온라인으로 진행하는 게임은 게임 참가자의 게임 운영 특성에 따라 상대방의 액션에 대한 반응들이 거의 무한대에 가깝게 발생하여 게임 사용자에게 보다 다양한 즐거움을 줄 수 있다. 이러한 연유로 거의 모든 게임이 네트워크를 이용한 다중 사용자 게임으로 개발되고 있으며 이는 PC방, 사이버 아파 트 및 개인용 인터넷 전용라인 등 사회 전반에 걸친 초고속 통신망의 구축과 개인용 컴퓨터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가능하게 되었다.
게임 시나리오는 보드게임과 같이 일련의 정해진 룰을 정하여 게이머가 그 고정된 룰에 따라 게임을 수행하는 경우와 소설이나 드라마 같이 정해진 시공간에서 게이머가 자신의 캐릭터를 이용하여 역할을 수행해서 캐릭터의 능력을 성장시켜 가면서 이야기를 만들어 나가는 롤플레잉게임(RPG; Role Playing Game)용 시나리오 등이 있다.
또한, 게임상 캐릭터의 시점을 통해 이루어지는 대전 컴퓨터 게임으로서 1인칭 슈팅 게임(First Person Shooter; 이하, 'FPS 게임'라 한다.)이 있으며, 다양한 무기와 제한된 탄약을 가지고 조준, 발사 조작 등을 하면서 플레이하게 된다. 현대 FPS 장르는 1990년대 초기에 발생하였으며, 그때부터 기초적인 3차원 그래픽을 실시간으로 그릴 수 있을만한 성능의 컴퓨터가 나오기 시작했다.
최근 출시되는 FPS 게임들은 보다 사실적인 전투 장면을 재현하기 위해 배경 오브젝트들에 상호 작용을 부여하기도 하며, 다양한 방법으로 타격감을 느낄 수 있도록 많은 기능들이 지원되고 있다.
또한, 게임에 사용되는 총기들도 실제 존재하는 총기들을 그대로 차용하여 사용하며, 각 총기의 제원도 게임상에 그대로 반영함으로써 보다 실제와 가까운 게임이 되도록 구현하고 있다. 상기 FPS 게임에 사용되는 다양한 총기들은 사용자가 게임 중 획득한 포인트 등에 의해 구매하거나 교환하여 사용될 수가 있다.
한편, 실제 전투에서는 동일한 총기라 하더라도 총기를 개량하거나 보조 수 단(예컨대, 스코프나 마운트 등)을 총기에 덧붙여 사용함으로써 해당 총기의 성능을 향상시키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현실 세계에서의 총기 개조 또는 개량 방법이 FPS 게임 상에서도 구현될 수 있는 방법들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온라인 1인칭 슈팅 게임에서 각 총기에 대해 커스텀 파츠를 부착함으로써 총기의 성능을 개량시킬 수 있는 온라인 1인칭 슈팅 게임에서의 무기 개조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온라인 1인칭 슈팅 게임에서 커스텀 파츠를 직접적으로 부착할 수 없는 총기에 대해 레일 인터페이스 시스템을 이용하여 커스텀 파츠를 부착함으로써 총기의 성능을 개량시킬 수 있는 온라인 1인칭 슈팅 게임에서의 무기 개조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시스템은, 복수의 사용자가 인터넷 연결이 가능한 자신의 컴퓨터 단말기를 통해 사업자가 제공하는 온라인 1인칭 슈팅 게임에 참여하고, 복수의 사용자들 간에 서로 다른 팀을 구성하여 상호 대결하는 온라인 1인칭 슈팅 게임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온라인 1인칭 슈팅 게임 콘텐츠를 인터넷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한 상기 복수의 사용자들에게 제공하는 게임 콘텐츠 제공 서버; 및 상기 게임의 미션 수행 중 상기 각 사용자들에게 복수의 총기들 중 하나의 총기를 생성시키고, 상기 사용자의 총기 개조 요청에 따라 총기 개조 가능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판단 결과 총기 개조가 가능할 경우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커스텀 파츠를 상기 총기에 장착시킴으로써 총기 개조를 수행하는 무기 개조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총기 개조시, 상기 해당 사용자가 보유하고 있는 사이버 머니 중 기설정된 금액만큼을 차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판단 결과 상기 개조 요청한 총기가, 총기 개조가 불가능한 총기들 중 레일 인터페이스 시스템 개조가 가능한 총기일 경우, 상기 레일 인터페이스 시스템 개조 후 상기 커스텀 파츠를 상기 총기에 장착시킴으로써 총기 개조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레인 인터페이스 시스템 개조시, 상기 해당 사용자가 보유하고 있는 사이버 머니 중 기설정된 금액만큼을 차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레일 인터페이스 시스템 개조가 가능한 총기는, G36 또는 MP5K-PDW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무기 개조 서버는, 상기 각 게임 미션 시작 시에 각 사용자 대한 총기에 관한 정보를 생성시키는 무기 생성부; 및 상기 무기 생성부에서 생성된 상기 총기를 게임 중 상기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개조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무기 개조부;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무기 개조 서버는, 상기 무기 개조에 따라 상기 해당 사용자가 보유하고 있는 사이버 머니 중 기설정된 금액만큼을 차감 처리하는 구매 처리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무기 개조부는, 상기 해당 사용자가 보유하고 있는 총기에 대해 개조를 요청할 경우 무기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해당 총기가 개조 가능한 총기인지를 판단하는 개조 판단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해당 커스텀 파츠를 상기 총기에 장착시키는 커스텀 파츠 부착부; 및 상기 개조 판단부의 판단에 따라 직접적인 커스텀 파츠 부착이 불가능하지만 RIS 개조가 한 총기에 대해 RIS 개조를 수행하는 RIS 개조부;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스텀 파츠는, 프론트, 마운트, 배럴, 트리거, 그립 및 스톡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부분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RIS 개조는, 상기 총기의 마운트 부분 또는 총기의 프론트 부분에 대해 레일 인터페이스를 설치하여 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복수의 사용자가 인터넷 연결이 가능한 자신의 컴퓨터 단말기를 통해 사업자가 제공하는 온라인 1인칭 슈팅 게임에 참여하고, 복수의 사용자들 간에 서로 다른 팀을 구성하여 상호 대결하는 온라인 1인칭 슈팅 게임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사업자의 게임 서버에 접속하여 로그인한 후, 상기 온라인 1인칭 슈팅 게임의 해당 미션에 입장하는 단계; 상기 게임의 미션 수행 중 상기 각 사용자들에게 복수의 총기들 중 하나의 총기를 생성시키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총기 개조 요청에 따라 총기 개조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 총기 개조가 가능할 경우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커스텀 파츠를 상기 총기에 장착시킴으로써 총기 개조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판단 결과 상기 개조 요청한 총기가 총기 개조가 불가능한 총기일 경우, 상기 총기가 레일 인터페이스 시스템 개조가 가능한 총기인지를 판단하는 단 계; 상기 판단 결과 레일 인터페이스 시스템 개조가 가능한 총기일 경우, 상기 총기에 대해 레일 인터페이스 시스템 개조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커스텀 파츠를 상기 총기에 장착시킴으로써 총기 개조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온라인 1인칭 슈팅 게임에서의 무기 개조 방법에 대한 정보는 서버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도록 프로그램 및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매체를 포함한다. 그 예로는, 롬(Read Only Memory), 램(Random Access Memory), CD(Compact Disk), DVD(Digital Video Disk)-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케리어 웨이브(예를 들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된다. 또한, 이러한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실제 존재하는 총기에 대한 개조를 온라인 1인칭 슈팅 게임에 그대로 반영함으로써 보다 실제와 유사한 게임이 되어 게임 사용자들의 재미를 극대화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실제 존재하는 총기들 중 직접적인 개조가 불가능한 총기에 대해 레일 인터페이스를 장착하여 개조하는 방식을 온라인 1인칭 슈팅 게임에 그대로 반영함으로써 보다 실제와 유사한 게임이 되어 게임 사용자들의 재미를 극대화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온라인 1인칭 슈팅 게임에서 각 총기에 대해 커스텀 파츠를 부착함으로써 총기의 성능을 개량시킬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때, 특정 총기에 대해 커스텀 파츠를 직접적으로 부착할 수 없는 경우에는 실제 총기에서와 같이 레일 인터페이스 시스템(Rail Interface System; 이하, 'RIS'라 한다.)을 장착함으로써 커스텀 파츠를 부착할 수 있도록 개조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상세한 설명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하기에는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이하, 먼저 도 1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라 온라인 1인칭 슈팅 게임에서의 무기 개조 시스템 및 장치 구조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1인칭 슈팅 게임에서의 무기 개조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1인칭 슈팅 게임에서의 무기 개조 시스템은 온라인 게임 사업자 서버(100), 인터넷 네트워크(110) 및 복수의 클 라이언트 단말(120)들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온라인 게임 사업자 서버(100)는 게임 콘텐츠 제공 서버(101) 및 무기 개조 서버(102)를 포함한다.
복수의 사용자들은 각자 클라이언트 단말(120)에서 상기 인터넷 네트워크(110)를 통해 사업자의 온라인 게임 사업자 서버(100)에 접속하며, 특히 게임 콘텐츠 제공 서버(101)에 접속하여 사업자가 제공하는 온라인 게임을 자신의 단말기를 통해 실행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게임 콘텐츠 제공 서버(101)에서 제공되는 온라인 게임은 FPS 게임으로서 복수의 사용자들 간에 대결하는 팀플레이 형태의 게임이 된다. 또한, 상기 게임 콘텐츠 제공 서버(101)에서는 게임 내에서 다양한 미션(mission) 또는 맵(map)을 선택하여 플레이하도록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게임 중 각 사용자들의 플레이 현황 및 기록들이 관리되며, 상기 각 사용자들은 상기 게임 콘텐츠 제공 서버(101)로부터 제공되는 게임을 플레이하기 위해서는 회원 가입을 하여 로그인 한 후 플레이하도록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FPS 게임은 다양한 미션 및 맵들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하나의 미션 내에서 복수의 클라이언트들이 각 캐릭터로 참여하여 협력 플레이를 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게임 콘텐츠 제공 서버(101) 내에는 각 클라이언트들에게 온라인 접속 환경을 제공하는 각종 인터페이스와 게임 실행에 따른 각종 미션 및 맵들을 제공하는 다양한 장치들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각 클라이언트들(120)은 상기 FPS 게임 내에서 하나 이상의 무기를 사용하며, 기본적으로 하나의 총기를 지급받게 된다. 또한, 상기 클라이언트들 은 게임 진행 중 획득하거나, 일정한 값을 지불하고 구매한 포인트(머니)로 새로운 총기를 구매하거나, 각 총기의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무기 개조를 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복수의 클라이언트들(120)이 상기 온라인 게임 사업자 서버(100)의 게임 콘텐츠 제공 서버(101)를 통해 제공되는 온라인 게임 진행 중 수행하는 무기 개조는 상기 무기 개조 서버(102)에서 관리되어 구현된다.
상기 무기 개조 서버(102)는 본 발명에 따라 각종 총기류 등의 성능 향상을 위해 각 총기의 특성에 맞게 개조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온라인 게임 사업자 서버(100) 내에 포함되어 구현되며, 실제적으로는 사업자가 구현하는 온라인 게임 소프트웨어 내에 프로그램의 형태로서 구현된다. 이때, 상기 무기 개조 서버(102)는 별도의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으나, 일반적으로는 상기 게임 콘텐츠 제공 서버(101)에 포함되어 구성된다. 즉, 게임 콘텐츠가 프로그램 형태로 제작될 때, 상기 인식표에 대한 생성 및 관리를 위한 프로그램 코드가 포함되어 제작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기 개조 서버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기 개조 서버(102)는 무기 생성부(210), 무기 개조부(220) 및 구매 처리부(230)로 구성되는 기능 수행 모듈(200)과 회원 정보 데이터베이스(240), 무기 정보 데이터베이스(250) 및 머니 정보 데이터베이스(260) 등의 데이터베이스들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무기 생성부(200)는 각 게임 미션 시작 시에 각 사용자(즉, 캐릭터)에 대한 총기에 관한 정보를 생성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각 사용자는 게임 수행 시, 회원 가입 후, 로그인하여 플레이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각 회원에 대한 로그인 정보 등은 상기 회원 정보 데이터베이스(240)에 저장된다. 최초 게임 가입자에게는 기본적으로 동일한 총기가 지급될 수 있으며, 게임 진행을 통해 새로운 총기를 구매하거나, 본 발명에 따라 무기 개조를 수행한 경우 해당 총기가 계속하여 유지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무기 개조부(220)는 상기 무기 생성부(200)에서 생성된 상기 무기(즉, 총기)를 게임 중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개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무기 개조부(220)는 개조 판단부(221), 커스텀 파츠 부착부(222) 및 RIS 개조부(223)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개조 판단부(221)는 상기 해당 게임 사용자가 가지고 있는 총기에 대해 개조를 요청할 경우 상기 무기 정보 데이터베이스(250)에 저장된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해당 총기가 개조 가능한 총기인지를 판단하게 된다. 하기 <표 1>은 게임 내에서 지급되는 각 총기들에 대한 개조 가능 여부를 나타낸 예로서 상기 무기 정보 데이터베이스(250)에 저장되는 정보가 될 수 있다.
개조 가능 여부 총기
커스텀 파츠가 붙지 않는 총기 G3A3, AK47, MP5A3, M24, G36, MP5K-PDW
프론트, 스코프 레일을 제외한 커스텀 파츠(베럴, 트리거, 그립, 스톡) 장착 가능한 총기 M16A2, Bizon PP-19, Uzi
스코프 외 4종의 커스텀 파츠(베럴, 트리거, 그립, 스톡) 장착 가능한 총기 Galil Sniper, SV98, MSG90A1
프론트, 스코프를 포함한 모든 커스텀 파츠 장착이 가능한 총기 G36 Rail, MP5K-PDW Rail
즉, 상기 개조 판단부(221)에서는 상기 <표 1>에 따라 해당 사용자가 보유하고 있는 각 총기에 대한 개조 요청이 있을 경우 개조 가능 여부를 판단하여 알려주게 된다. 이때, 상기 개조 가능 여부는 해당 사용자가 총기 구매 또는 개조를 위해 상점에 들어갔을 경우, 해당 총에 대한 각 파트별 개조 여부가 표시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상기 <표 1>을 참조하면, 모든 총기들은 커스텀 파츠가 붙지 않는 총기 또는 부분적으로 커스텀 파츠가 장착 가능한 총기로 구분된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커스텀 파츠가 붙지 않는 총기 중에서 RIS 개조를 하게 되면 커스텀 파츠 장착이 가능해지게 된다.
예컨대, 상기 G36 및 MP5K-PDW는 기본 형태로는 커스텀 파츠의 장착이 되지 않는 구조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RIS 개조를 수행하게 되면, 각종 커스텀 파츠를 장착할 수 있는 구조가 된다. 즉, 실제 총기에서 RIS 개조를 하여야 커스텀 파츠를 장착할 수 있는 것과 동일하게 구현된다.
한편, 상기 개조 불가능한 총기(즉, 커스텀 파츠가 붙지 않는 총기)에 대해 RIS 개조 없이 커스텀 파츠를 붙일 수 있는 것으로 구현할 경우, 총기의 모양이 부자연스러워지며, 실제 총기에서의 개조 방법과 다르기 때문에 현실성이 떨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개조 판단부(221)에서 개조 가능한 총기로 판단되면, 상기 커스텀 파츠 부착부(222)에서는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해당 커스텀 파츠가 부착된다. 이때, 상기 커스텀 파츠 부착시에도 일정한 포인트(또는 게임 머니) 등이 차감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대한 구매 처리는 상기 구매 처리부(230)에서 처리하게 된다. 상기 구매 처리부(230)에서는 상기 머니 정보 데이터베이스(260)를 통해 상기 해당 사용자의 포인트(또는 게임 머니)의 잔액을 확인하고, 상기 잔액이 무기 개조 또는 구매에 충분한 금액일 경우에만 무기 개조 또는 총기 구매를 진행하게 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직접적인 커스텀 파츠 부착이 불가능한 총기(예컨대, G36 또는 MP5K-PDW 등)의 경우에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RIS 개조를 수행할 수가 있다. 상기 RIS 개조 작업은 상기 RIS 개조부(223)에서 수행하게 되며, 상기 RIS 개조의 결과로 총기의 전방 또는 윗부분에 레일 인터페이스가 설치된다. 상기 RIS 개조의 경우에도 일정한 포인트(또는 게임 머니) 등이 차감되도록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RIS 개조를 수행하게 되면, 상기 레일 인터페이스를 통해 커스텀 파츠의 부착이 불가능한 일부 총기에 대해서도 커스텀 파츠의 부착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개조 판단부(221)에서는 상기 RIS 개조를 수행한 총기를 다시 개조 가능한 총기로 판단되고, 상기 커스텀 파츠 부착부(222)를 통해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해당 커스텀 파츠가 부착된다.
이하,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무기 개조를 위해 요구되는 각종 데이터베이스들을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회원 정보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필드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회원 정보 데이터베이스(240)는 아이디(301), 패스워드(302), 플레이 이력(303) 병과(304) 및 보유 무기(305) 등의 데이터필드들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아이디(301) 및 패스워드(302) 정보는 회원 인증을 위한 정보이며, 상기 플레이 이력(303) 정보는 각 회원의 게임 플레이 횟수 또는 경험치 등의 정보이다. 또한, 상기 병과(304) 정보는 각 사용자가 선택한 게임 내에서의 병과를 의미하며, 각 병과에 따라 상이한 총기가 지급될 수 있다. 상기 보유 무기(305)는 상기 회원이 게임 진행시 최초로 지급받은 총기 또는 새롭게 구매하거나 무기 개조를 수행한 총기의 정보가 저장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기 정보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필드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기 정보 데이터베이스(250)는 무기 명칭(401), 구매 비용(402), 커스텀 파츠(403) 및 RIS 개조 여부(404) 등의 데이터필드들의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무기 명칭(401)은 각 무기에 대한 기본 명칭이며, 상기 구매 비용(402)은 해당 무기를 구매하는 데 소요되는 포인트(또는 게임 머니) 정보이다. 또한, 상기 커스텀 파츠(403)는 해당 총기에 장착할 수 있는 커스텀 파츠의 종류를 나타낸 정보이다. 상기 RIS 개조 여부(404)는 커스텀 파츠를 직접 장착할 수 없는 총기에 대한 RIS 개조의 가능 여부를 포함하는 정보이다.
따라서, 상기 각 총기에 대해 커스텀 파츠별 장착 가능 여부가 결정되며, 근본적으로 커스텀 파츠가 장착될 수 없는 총기라 할지라도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RIS 개조 가능한 총기일 경우에는 상기 RIS 개조를 통해 각종 커스텀 파츠의 부착이 가능해지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라인 1인칭 슈팅 게임에서의 무기 개조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사업자의 게임 서버에 접속하여 로그인 한 후, 온라인 1인칭 슈팅 게임(즉, FPS 게임)의 해당 미션에 입장하게 되면, 플레이하고자 하는 맵을 선택하게 된다. 이렇게 하여 게임이 시작(S501)되면 각 캐릭터 별로 병과를 선택하고, 기본 무기(즉, 총기 등)가 지급(S502)된다.
게임 진행(S503)에 따라 새로운 무기 구매를 하거나 현재 보유하고 있는 총기에 대한 개조를 하고자 할 경우(S504) 캐릭터 상점에 입장(S505)을 하게 된다. 상기 캐릭터 상점에는 각종 구매 가능한 총기가 디스플레이되며, 해당 총기에 대한 개조 가능 여부(RIS 개조 포함) 및 구매 금액이 표시된다.
한편, 해당 사용자가 무기를 구매(S506)하고자 할 경우에는 구매 가능한 포인트(또는 게임 머니)가 있는 경우 선택된 무기에 대한 구매 처리(S507)가 수행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무기 개조(S508)를 하고자 할 경우에는 먼저 개조 가능한 무기인지를 판단(S509)하게 되며, 상기 판단 결과 개조 가능한 무기일 경우에는 각 선택 항목(예컨대, 프론트, 마운트, 배럴, 트리거, 그립, 스톡 등)에 대한 개조 처리(S510)를 수행하게 되며, 이에 따른 개조 비용을 해당 사용자의 포인트(또는 게임 머니)에서 차감(S511)시키게 된다.
반면, 상기 판단 결과 개조 불가능한 무기일 경우에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RIS 개조가 가능한 지 여부를 판단(S512)하게 된다. 상기 판단 결과 RIS 개조가 가능한 총기(예컨대, G36 또는 MP5K-PDW 등)일 경우에는 RIS 개조 처리(S513)를 수행하고 이에 따른 개조 비용을 차감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RIS 개조를 수행하게 되면, 커스텀 파츠 부착이 불가능한 총기라도 레일 시스템을 통해 커스텀 파츠의 부착이 가능하므로, 다시 무기 개조(S508)를 통해 커스텀 파츠를 부착시키게 된다.
이하,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총기 개조가 불가능한 총기에 대해 RIS 개조를 통해 무기 개조를 구현한 예를 설명한다.
도 6은 총기 개조가 불가능한 총기의 예로서 G36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6을 참조하면, G36(600)의 기본 형태로서 커스텀 파츠의 부착이 불가능하게 설계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총기의 마운트(윗부분) 및 프론트(전방)에 각각 RIS 개조(710, 720)를 수행함으로써 도 8과 같이 도트 사이트(810) 또는 레이저 사이트(820) 등의 커스텀 파츠를 부착할 수가 있게 된다.
한편, 각 총기에 대해 개조를 위해 총기에 부착할 수 있는 커스텀 파츠(custom parts)의 종류로는 다음과 같이 프론트, 마운트, 배럴, 트리거, 그립, 스톡 등이 있다.
- 프론트 : 총기 전방에 장비를 추가하는 것으로 레이저 사이트와 같은 추가 외부 장비를 장착한다.
- 마운트 : 총기의 윗부분에 도트나 스코프와 같은 광학 장비를 장착한다
- 배럴 : 총기의 총신 부분으로 총탄의 구경이나, 내부의 강선, 길이 등을 변경하여 무기 성능을 개선한다.
- 트리거 : 트리거의 압력이나 총의 구동 방식과 연결된 매커니즘을 개조하여 무기 성능의 변화를 준다.
- 그립 : 손잡이 부분으로 총의 무게 중심을 잡거나, 재질에 의한 차이를 두어 총을 다루는 느낌을 다르게 개조한다.
- 스톡 : 주로 어깨와 견착이 되는 스톡 부분으로 발사시의 충격을 흡수하거나 일부 총기의 경우 발사시의 매커니즘과 연결된 부분을 개조하여 총기의 성능을 향상시킨다.
이하,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라 총기 개조를 수행하는 절차가 실제 게임 내에서 구현된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총기 구매 또는 개조를 위해 상점에 들어간 화면을 캡쳐한 도면이다. 상기 도 9를 참조하면, 총기 구매 또는 개조를 위해 상점에 들어가면 해당 사용자의 보유 총기 목록이 좌측 하단에 표시된다. 이때, 해당 보유 총기에 대해서 개조 가능 여부가 표시된다. 예컨대, G36 총기에 대해서는 직접적인 커스텀 파츠 부착이 되지 않기 때문에 어떠한 커스텀 파츠도 제시되지 않게 된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RIS 개조가 가능한 총기이므로 RIS 개조가 가능한 것으로 표시된다.
이때, 상기 총기에 대해 RIS 개조를 선택하게 되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유하고 있는 머니가 기설정된 금액만큼 차감되며, RIS 개조가 수행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점에서 총기 개조를 선택한 화면을 캡쳐한 도면이다.
상기와 같이 RIS 개조가 수행되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착 가능한 커스텀 파츠들이 새롭게 나타나게 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RIS 개조 후 커스텀 파츠 부착이 가능하도록 표시된 화면을 캡쳐한 도면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1인칭 슈팅 게임에서의 무기 개조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기 개조 서버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회원 정보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필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기 정보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필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라인 1인칭 슈팅 게임에서의 무기 개조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
도 6은 총기 개조가 불가능한 총기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도 6의 총기를 레일 인터페이스 시스템에 의해 개조한 총기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레일 인터페이스 시스템에 의한 개조 후 커스텀 파츠를 부착한 총기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총기 구매 또는 개조를 위해 상점에 들어간 화면을 캡쳐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점에서 총기 개조를 선택한 화면을 캡쳐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RIS 개조 후 커스텀 파츠 부착이 가능하도록 표시된 화면을 캡쳐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온라인 게임 사업자 서버 101 : 게임 콘텐츠 제공 서버
102 : 무기 개조 서버 110 : 인터넷
120 : 클라이언트 단말 210 : 무기 생성부
220 : 무기 개조부 221 : 개조 판단부
222 : 커스텀 파츠 부착부 223 : RIS 개조부
230 : 구매 처리부 240 : 회원 정보 데이터베이스
250 : 무기 정보 데이터베이스 260 : 머니 정보 데이터베이스
600 : G36 총기 710 : 마운트 RIS
720 : 프론트 RIS 810 : 도트 사이트
820 : 레이저 사이트

Claims (21)

  1. 복수의 사용자가 인터넷 연결이 가능한 자신의 컴퓨터 단말기를 통해 사업자가 제공하는 온라인 1인칭 슈팅 게임에 참여하고, 복수의 사용자들 간에 서로 다른 팀을 구성하여 상호 대결하는 온라인 1인칭 슈팅 게임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온라인 1인칭 슈팅 게임 콘텐츠를 인터넷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한 상기 컴퓨터 단말기에 제공하는 게임 콘텐츠 제공 서버; 및
    상기 게임의 미션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컴퓨터 단말기에 복수의 총기들 중 하나의 총기를 생성시키고, 상기 컴퓨터 단말기의 총기 개조 요청에 따라 총기 개조 가능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판단 결과 총기 개조가 가능할 경우 상기 컴퓨터 단말기가 선택한 커스텀 파츠를 상기 총기에 장착시킴으로써 총기 개조를 수행하며, 상기 판단 결과 상기 개조 요청한 총기가 총기 개조가 불가능한 총기들 중 레일 인터페이스 시스템(Rail Interface System : RIS) 개조가 가능한 총기일 경우, 상기 레일 인터페이스 시스템 개조 후 상기 커스텀 파츠를 상기 총기에 장착시킴으로써 총기 개조를 수행하는 무기 개조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1인칭 슈팅 게임에서의 무기 개조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총기 개조시,
    상기 컴퓨터 단말기의 사용자가 보유하고 있는 사이버 머니 중 기설정된 금액만큼을 차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1인칭 슈팅 게임에서의 무기 개조 시스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 인터페이스 시스템 개조시,
    상기 컴퓨터 단말기의 사용자가 보유하고 있는 사이버 머니 중 기설정된 금액만큼을 차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1인칭 슈팅 게임에서의 무기 개조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 인터페이스 시스템 개조가 가능한 총기는,
    G3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1인칭 슈팅 게임에서의 무기 개조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 인터페이스 시스템 개조가 가능한 총기는,
    MP5K-PDW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1인칭 슈팅 게임에서의 무기 개조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 개조 서버는,
    상기 게임의 미션 시작 시에 상기 컴퓨터 단말기에 대한 총기에 관한 정보를 생성시키는 무기 생성부; 및
    상기 무기 생성부에서 생성된 상기 총기를 게임 중 상기 컴퓨터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개조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무기 개조부;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1인칭 슈팅 게임에서의 무기 개조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 개조 서버는,
    상기 무기 개조에 따라 상기 컴퓨터 단말기의 사용자가 보유하고 있는 사이버 머니 중 기설정된 금액만큼을 차감 처리하는 구매 처리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1인칭 슈팅 게임에서의 무기 개조 시스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 개조부는,
    상기 컴퓨터 단말기가 상기 총기에 대해 개조를 요청할 경우 무기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총기가 개조 가능한 총기인지를 판단하는 개조 판단부;
    상기 컴퓨터 단말기에 의해 선택된 해당 커스텀 파츠를 상기 총기에 장착시키는 커스텀 파츠 부착부; 및
    상기 개조 판단부의 판단에 따라 직접적인 커스텀 파츠 부착이 불가능하지만 RIS 개조가 가능한 총기에 대해 RIS 개조를 수행하는 RIS 개조부;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1인칭 슈팅 게임에서의 무기 개조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RIS 개조는,
    상기 총기의 마운트 부분에 대해 레일 인터페이스를 설치하여 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1인칭 슈팅 게임에서의 무기 개조 시스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RIS 개조는,
    상기 총기의 프론트 부분에 대해 레일 인터페이스를 설치하여 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1인칭 슈팅 게임에서의 무기 개조 시스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스텀 파츠는,
    프론트, 마운트, 배럴, 트리거, 그립 및 스톡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부분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1인칭 슈팅 게임에서의 무기 개조 시스템.
  13. 인터넷 연결이 가능한 컴퓨터 단말기를 통해 사업자의 게임 서버에 접속한 복수의 사용자에 대하여 상기 게임 서버가 온라인 1인칭 슈팅 게임을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게임의 미션 수행을 위해 상기 컴퓨터 단말기에 복수의 총기들 중 하나의 총기를 생성시키는 단계;
    상기 컴퓨터 단말기의 총기 개조 요청에 따라 총기 개조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 총기 개조가 가능할 경우 상기 컴퓨터 단말기가 선택한 커스텀 파츠를 상기 총기에 장착시킴으로써 총기 개조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 상기 개조 요청한 총기가 총기 개조가 불가능한 총기일 경우, 상기 게임 서버가 상기 총기가 레일 인터페이스 시스템(Rail Interface System : RIS) 개조가 가능한 총기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 레일 인터페이스 시스템 개조가 가능한 총기일 경우, 상기 총기에 대해 레일 인터페이스 시스템 개조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컴퓨터 단말기가 선택한 커스텀 파츠를 상기 총기에 장착시킴으로써 총기 개조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1인칭 슈팅 게임에서의 무기 개조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총기 개조를 수행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컴퓨터 단말기의 사용자가 보유하고 있는 사이버 머니 중 기설정된 금액만큼을 차감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1인칭 슈팅 게임에서의 무기 개조 방법.
  15. 삭제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 인터페이스 시스템 개조시,
    상기 컴퓨터 단말기의 사용자가 보유하고 있는 사이버 머니 중 기설정된 금액만큼을 차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1인칭 슈팅 게임에서의 무기 개조 방법.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 인터페이스 시스템 개조가 가능한 총기는,
    G3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1인칭 슈팅 게임에서의 무기 개조 방법.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 인터페이스 시스템 개조가 가능한 총기는,
    MP5K-PDW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1인칭 슈팅 게임에서의 무기 개조 방법.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RIS 개조는,
    상기 총기의 마운트 부분에 대해 레일 인터페이스를 설치하여 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1인칭 슈팅 게임에서의 무기 개조 방법.
  20.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RIS 개조는,
    상기 총기의 프론트 부분에 대해 레일 인터페이스를 설치하여 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1인칭 슈팅 게임에서의 무기 개조 방법.
  21.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커스텀 파츠는,
    프론트, 마운트, 배럴, 트리거, 그립 및 스톡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부분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1인칭 슈팅 게임에서의 무기 개조 방법.
KR1020070093852A 2007-09-14 2007-09-14 온라인 1인칭 슈팅 게임에서의 무기 개조 시스템 및 방법 KR1008228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3852A KR100822839B1 (ko) 2007-09-14 2007-09-14 온라인 1인칭 슈팅 게임에서의 무기 개조 시스템 및 방법
US12/146,115 US20090075709A1 (en) 2007-09-14 2008-06-25 System and method of customizing a weapon in the online first person shooter g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3852A KR100822839B1 (ko) 2007-09-14 2007-09-14 온라인 1인칭 슈팅 게임에서의 무기 개조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22839B1 true KR100822839B1 (ko) 2008-04-16

Family

ID=395717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3852A KR100822839B1 (ko) 2007-09-14 2007-09-14 온라인 1인칭 슈팅 게임에서의 무기 개조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90075709A1 (ko)
KR (1) KR10082283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7010B1 (ko) * 2011-09-30 2013-02-26 주식회사 드래곤플라이 게임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13085268A1 (ko) 2011-12-05 2013-06-13 주식회사 레드덕 온라인 1인칭 슈팅 게임에서의 듀얼 모드 무기 제공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WO2014025084A1 (ko) * 2012-08-10 2014-02-13 (주)네오위즈게임즈 아이템 개조 방법, 이를 실행하는 아이템 개조 서버 및 이를 저장한 기록 매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25355A1 (en) * 2008-11-17 2010-05-20 Lippard Karl C Modular custom weapon stock manufacturing
US9412281B2 (en) 2013-11-25 2016-08-09 Pearson Education, Inc. Learning system self-optimization
US8984650B2 (en) 2012-10-19 2015-03-17 Pearson Education, Inc. Privacy server for protecting personally identifiable information
US9446314B2 (en) 2013-10-25 2016-09-20 Pearson Education, Inc. Vector-based gaming content management
US20160042198A1 (en) 2012-10-19 2016-02-11 Pearson Education, Inc. Deidentified access of content
US9436911B2 (en) 2012-10-19 2016-09-06 Pearson Education, Inc. Neural networking system and methods
US9288056B1 (en) 2015-05-28 2016-03-15 Pearson Education, Inc. Data access and anonymity management
US9406239B2 (en) 2013-12-20 2016-08-02 Pearson Education, Inc. Vector-based learning path
US8753200B1 (en) * 2013-02-01 2014-06-17 Pearson Education, Inc. Evaluation and rectification system
US9928383B2 (en) 2014-10-30 2018-03-27 Pearson Education, Inc. Methods and systems for network-based analysis, intervention, and anonymization
US9483954B2 (en) 2013-03-12 2016-11-01 Pearson Education, Inc. Educational network based intervention
US10516691B2 (en) 2013-03-12 2019-12-24 Pearson Education, Inc. Network based intervention
US9704350B1 (en) 2013-03-14 2017-07-11 Harmonix Music Systems, Inc. Musical combat game
CN105264555A (zh) 2013-04-12 2016-01-20 培生教育公司 评估控制
CN104063210A (zh) * 2013-06-04 2014-09-24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道具的装备方法和装置
US9189968B2 (en) 2013-07-01 2015-11-17 Pearson Education, Inc. Network-probability recommendation system
US9545580B2 (en) * 2013-11-04 2017-01-17 Intralot S.A. — Integrated Lottery Systems and Services Computer systems and computer-implemented methods for conducting and playing personalized games based on vocal and non-vocal game entries
CA3022838A1 (en) 2016-05-03 2017-11-09 Performance Designed Products Llc Video gaming system and method of operation
US10118092B2 (en) * 2016-05-03 2018-11-06 Performance Designed Products Llc Video gaming system and method of operation
US10467551B2 (en) 2017-06-12 2019-11-05 Ford Motor Company Portable privacy managem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58179A (ja) 1998-04-23 1998-09-29 Sega Enterp Ltd 射撃ゲーム装置
JP2002035408A (ja) 2000-07-26 2002-02-05 Namco Ltd ゲーム装置、ゲーム処理方法および記録媒体
KR20050091592A (ko) * 2004-03-12 2005-09-15 엔에이치엔(주) 온라인 게임 방법 및 온라인 게임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35692A1 (en) * 2002-02-08 2006-02-16 Keith Kirby Collectible item and code for interactive games
JP4137140B2 (ja) * 2006-05-01 2008-08-20 株式会社スクウェア・エニックス ビデオゲーム処理装置、およびビデオゲーム処理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58179A (ja) 1998-04-23 1998-09-29 Sega Enterp Ltd 射撃ゲーム装置
JP2002035408A (ja) 2000-07-26 2002-02-05 Namco Ltd ゲーム装置、ゲーム処理方法および記録媒体
KR20050091592A (ko) * 2004-03-12 2005-09-15 엔에이치엔(주) 온라인 게임 방법 및 온라인 게임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7010B1 (ko) * 2011-09-30 2013-02-26 주식회사 드래곤플라이 게임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13085268A1 (ko) 2011-12-05 2013-06-13 주식회사 레드덕 온라인 1인칭 슈팅 게임에서의 듀얼 모드 무기 제공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WO2014025084A1 (ko) * 2012-08-10 2014-02-13 (주)네오위즈게임즈 아이템 개조 방법, 이를 실행하는 아이템 개조 서버 및 이를 저장한 기록 매체
KR101416120B1 (ko) 2012-08-10 2014-07-10 (주)네오위즈게임즈 아이템 개조 방법, 이를 실행하는 아이템 개조 서버 및 이를 저장한 기록 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075709A1 (en) 2009-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2839B1 (ko) 온라인 1인칭 슈팅 게임에서의 무기 개조 시스템 및 방법
KR101124287B1 (ko) 온라인 1인칭 슈팅 게임에서의 듀얼 모드 무기 제공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US9248372B2 (en) Using and exporting experience gained in a video game
US20200023273A1 (en) Computer system and game system
KR101355869B1 (ko) 게임 시스템
US20060223600A1 (en) Method of dynamically modifying a computer game
US1083581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ustomizing weapons and sharing customized weapons via social networks
JP2017064081A (ja) ゲーム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CN112044058B (zh) 虚拟对象的控制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KR20150133869A (ko) 게임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WO2005086602A2 (en) Online game method and online game system
US8998706B2 (en) Game system for exchanging medium in game
CN103246797B (zh) 在线游戏的幽灵竞赛提供方法及装置
KR102012021B1 (ko) 게임 제공 방법, 이를 수행하는 게임 제공 서버 및 이를 저장한 기록 매체
KR101279534B1 (ko) 복귀 사용자에게 부가적 보상을 제공하는 온라인 게임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441464B1 (ko) 부활 강화 버프 기능을 제공하는 온라인 게임 제공 방법 및 그 게임 제공 서버
KR20140101463A (ko) 슈팅 게임의 무기 아이템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0878598B1 (ko) 온라인 1인칭 슈팅 게임 제공 시스템
CN112121416B (zh) 虚拟道具的控制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KR20190043846A (ko) 아이템 패키지를 제공하는 게임 서비스 제공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JP2015150100A (ja) ゲームシステム、それに用いられる制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090028494A (ko) 온라인 1인칭 슈팅 게임에서의 분대장 지휘 시스템 및 방법
US11801448B1 (en) Transposing virtual content between computing environments
JP7322307B1 (ja) ゲーム制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サーバ
US20240061696A1 (en) Transposing virtual content between computing environm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5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