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1805B1 - 승강기 화상 감시 시스템 - Google Patents

승강기 화상 감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1805B1
KR100821805B1 KR1020067011526A KR20067011526A KR100821805B1 KR 100821805 B1 KR100821805 B1 KR 100821805B1 KR 1020067011526 A KR1020067011526 A KR 1020067011526A KR 20067011526 A KR20067011526 A KR 20067011526A KR 100821805 B1 KR100821805 B1 KR 1008218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nitoring
image data
time
accumulated
escal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15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35651A (ko
Inventor
신이치 구로다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0670115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1805B1/ko
Publication of KR200601356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356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18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18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06Monitoring devices or performance analys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엘레베이터, 에스컬레이터 또는 무빙 워크에 있어서, 같은 시각에서의 복수의 감시 지점의 화상 데이터의 모니터링을 저렴하고 용이하게 실행하는 승강기 감시 시스템을 구현한다. 복수의 감시 지점을 촬영한 화상 데이터(8a~8f)를 출력하는 복수의 감시 카메라(2a~2f)와, 각 화상 데이터(8a~8f)를 시계열적으로 출적하는 화상 데이터 축적 장치(6a)와, 사용자로부터의 모니터링 요구(11, 12)에 응답하여 화상 데이터를 표시하는 축적 화상 데이터 표시 장치(6, 6c)를 구비하고 있다. 화상 데이터 축적 장치(6a)는 모니터링 요구(11, 12)에 해당하는 복수의 모니터링 화상 데이터(9a~9c)를 축적 화상 데이터 표시 장치(6c)에 출력하고, 축적 화상 데이터 표시 장치(6, 6c)는 모니터링 지점(11)과 1개의 재생 개시의 일시 정보(12)에 응답하여 재생 개시의 일시에 있어서의 복수의 모니터링 지점의 화상 데이터(10a~10c)를 각 데이터 간의 동기를 잡으면서 표시한다.

Description

승강기 화상 감시 시스템 {LIFTING MACHINE IMAGE MONITORING SYSTEM}
본 발명은 승강기의 상황을 복수의 감시 카메라로 촬영하고 촬영한 복수의 감시 지점의 화상 데이터를 축적함과 동시에 축적된 복수의 화상 데이터 중 사용자로부터의 모니터링 요구에 따른 복수의 모니터링 화상 데이터를 서로 동기시켜 표시하는 것이 가능한 승강기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승강기 감시 시스템은,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 내부에 설치되어 엘리베이터 칸 내부의 상황을 촬영하는 감시 카메라, 감시 카메라에 의해 촬상된 화상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 장치 및 기억 장치에 기억된 화상 데이터를 기억 매체에 복사 처리하는 중앙 처리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상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종래 시스템에 있어서, 중앙 처리 장치는 사용자로부터의 무선 통신에 의한 지시에 응답하여 기억 장치에 기억된 화상 데이터를 무선식 휴대 단말로 송신하며, 무선식 휴대 단말 상의 모니터에 화상 데이터를 표시시킴으로써 모니터링을 가능하게 한다.
특허문헌 1: 일본 특개 2003-201072호 공보
종래의 승강기 감시 시스템은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어, 여러 지점의 감시 화상을 모니터링하려는 경우 사용자의 준비 작업으로서 여러 대의 휴대 단말을 준비해서 복수의 감시 장소에 나가 감시 화상을 다운로드할 필요가 있으므로, 준비 작업에 어려움이 있고 시간이 걸리는 문제가 있었다.
또, 여러 지점의 감시 화상을 모니터링할 때, 감시 화상이 다운로드된 여러대의 휴대 단말을 늘어놓고 다른 휴대 단말 상에 모니터 재생된 감시 화상을 각각 보고 비교하면서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으므로, 사용자에 많은 부담을 준다는 문제가 있었다.
나아가, 여러 지점의 감시 화상을 모니터링할 때, 어떤 휴대 단말에 다운로드되는 감시 화상과 다른 휴대 단말에 다운로드되는 감시 화상 간에 시간적인 동기가 반드시 유지되고 있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같은 시각에 있어서의 복수 지점의 감시 화상을 모니터링할 수는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에 관한 승강기 화상 감시 시스템은, 복수의 감시 지점에 개별적으로 설치되어 복수의 감시 지점의 상황을 촬영한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복수의 감시 카메라; 복수의 감시 카메라로부터 출력되는 각 화상 데이터를 시계열적으로 축적하는 화상 데이터 축적 장치; 및 사용자로부터의 모니터링 요구에 응답하여 화상 데이터 축적 장치에 축적된 화상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축적 화상 데이터 표시 장치를 구비하고, 화상 데이터 축적 장치는 모니터링 요구가 발생한 경우 모니터링 요구에 해당하는 복수의 모니터링 화상 데이터를 축적 화상 데이터 표시 장치에 출력하며, 축적 화상 데이터 표시 장치는 모니터링 요구에 포함되는 복수의 모니터링 지점 및 1개의 재생 개시의 일시 정보에 응답하여 재생 개시의 일시에 있어서의 복수의 모니터링 지점에 관한 복수의 모니터링 화상 데이터를 복수의 모니터링 화상 데이터 간의 동기를 잡으면서 표시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단일의 모니터를 포함한 축적 화상 데이터 표시 장치를 이용하여, 축적된 복수의 감시 지점의 화상 데이터 중 사용자로부터의 모니터링 요구에 따른 복수의 모니터링 화상 데이터를 서로 동기를 잡으면서 표시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1에 관한 승강기 감시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 구성도(실시예 1).
도 2는 범용 PC의 모니터 상에 표시되는 화면 레이아웃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실시예 1).
도 3은 범용 PC에 설치된 화상 데이터 축적용 소프트웨어에 의한 처리 순서를 나타내는 순서도(실시예 1).
도 4는 범용 PC에 설치된 화상 데이터(모니터링 화상 데이터) 표시용의 소프트웨어의 처리 순서를 나타내는 순서도(실시예 1).
도 5는 실시예 2에 관한 승강기 감시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 구성도(실시예 2).
도 6은 실시예 2에 관한 재생 속도 정보와 표시 간격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설명도(실시예 2).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시스템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엘리베이터나 에스컬레이터 또는 무빙 워크에 있어서 같은 시각에서의 여러 감시 지점 화상 데이터의 모니터링을 염가로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승강기 감시 시스템을 구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관한 승강기 화상 감시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 구성도이며, 빌딩 내 에스컬레이터(1a, 1b)에 관련된 여러 지점을 감시 대상으로 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도 1에서는, 빌딩 내 2대의 에스컬레이터(1a, 1b) 각각에 대하여 타는 곳과 내리는 곳, 그리고 그 사이의 구역이 복수의 감시 지점으로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각 에스컬레이터(1a, 1b)의 타는 곳과 내리는 곳 및 그 사이의 구역에는 각각 개별적으로 네트워크 카메라(감시 카메라 장치)(2a~2c, 2d~2f)가 설치되어 있다.
예를 들어, 에스컬레이터(1a)는 1층에서 2층으로의 상향 에스컬레이터, 에스컬레이터(1b)는 2층에서 3층으로의 상향 에스컬레이터이고, 네트워크 카메라(2a)는 에스컬레이터(1a)의 타는 곳에 설치되어 있다.
또, 네트워크 카메라(2b)는 에스컬레이터(1a)의 타는 곳과 내리는 곳 사이에 설치되어 있고, 네트워크 카메라(2c)는 에스컬레이터(1a)의 내리는 곳에 설치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네트워크 카메라(2d)는 에스컬레이터(1b)의 타는 곳에 설치되어 있고, 네트워크 카메라(2e)는 에스컬레이터(1b)의 타는 곳과 내리는 곳 사이에 설 치되어 있으며, 네트워크 카메라(2f)는 에스컬레이터(1b)의 내리는 곳에 설치되어 있다.
또, 에스컬레이터(1a, 1b)가 설치된 빌딩의 기계실(100)에는, 이더넷(등록상표) 케이블(이더넷(등록상표) 규격을 만족하는 케이블, 3a~3h)을 거쳐서 각 네트워크 카메라(2a~2f)에 접속된 HUB(집선장치, 4) 및 각 에스컬레이터(1a, 1b)의 운행 상태를 취입하는 에스컬레이터 감시 패널(5)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이더넷(등록상표)이란 「IEEE 802.3 위원회」에 의해 표준화된 LAN(Local Area Network)에 관한 규격이다.
한편, 에스컬레이터(1a, 1b)가 설치된 건물의 빌딩 방재 센터(200)에는 범용 PC(6)가 설치되어 있다.
범용 PC(6)는 하드디스크 메모리 등으로 이루어진 대용량의 보조 기억 장치(6a), 각종 연산 처리용의 고속 동작이 가능한 주 기억 장치(6b) 및 범용 PC(6)와 연동하여 축적 화상 데이터 표시 장치로서 기능하는 모니터(6c)를 구비하고 있다.
또, 범용 PC(6)는 이더넷의 인터페이스를 가지고 있으며, 이더넷 케이블(3g 및 3h)을 통해 기계실(100) 내의 HUB(4) 및 에스컬레이터 감시 패널(5)에 접속되어 있다.
화상 데이터 축적 장치로서 기능하는 보조 기억 장치(6a)는 이더넷 케이블(3g), HUB(4) 및 이더넷 케이블(3a~3f)을 통해 네트워크 카메라(2a~2f)에 접속되어 있으며, 범용 PC(6)로부터 주기적으로 생성되는 송신 요구(7a~7f)에 따라 각 네트워크 카메라(2a~2f)로부터 전송되는 디지털 압축 화상 데이터(8a~8f)를 시계열적으 로 취득하여 축적한다.
이 때, 각 네트워크 카메라(2a~2f)는, 이더넷 케이블(3g, 3a~3f)을 통해 송신 요구(7a~7f)를 받으면, 각 에스컬레이터(1a, 1b)의 각 감시 지점을 촬영한 화상 데이터를 디지털 압축 화상 데이터(8a~8f)로서 이더넷 케이블(3a~3f, 3g)을 거쳐 보조 기억 장치(6a)에 입력한다.
즉, 각 네트워크 카메라(2a~2f)는 이더넷의 인터페이스, 감시 지점의 영상을 촬영하는 기능, 촬영한 화상 데이터를 디지털 변환하는 디지털 변환 기능 및 디지털 화상을 압축하는 디지털 압축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로써 각 네트워크 카메라(2a~2f)는, 예컨대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등의 프로토콜에 따라 이더넷 케이블(3a~3f, 3g)을 통해 화상 데이터의 송신 요구(7a~7f)를 수신하면, 수신 시점에서 촬영한 영상에 대해서 디지털 변환 처리 및 디지털 화상 압축 처리를 가해, 디지털 압축 화상 데이터(8a~8f)를 이더넷 인터페이스로부터 이더넷 케이블(3a~3f, 3g)을 거쳐서 출력한다.
나아가, 화상 데이터의 압축 처리의 일례로 JPEG(Joint Photographic Experts Group)을 들 수 있다.
한편, 범용 PC(6)에는 사용자의 설정 조작에 의한 모니터링 요구로서, 모니터링을 희망하는 에스컬레이터 정보(11)와 모니터링을 개시하고자 하는 일시(일자 및 시각) 정보(12)가 입력된다.
또, 범용 PC(6)는 모니터(6c)와 연동하여 보조 기억 장치(6a)에 축적된 화상 데이터를 모니터링 요구에 따라 표시하기 위한 축적 화상 데이터 표시 장치로서 기 능한다.
즉, 범용 PC(6)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에스컬레이터 정보(11, 복수의 모니터링 지점)와 1개의 일시 정보(12, 원하는 재생 개시 일시)에 응답하여, 재생 개시 일시에 있어서의 복수의 모니터링 지점에 관한 디지털 압축 화상 데이터의 모니터링 요구를 보조 기억 장치(6a)에 출력한다.
보조 기억 장치(6a)는, 모니터링 요구(사용자 요구)를 받으면, 축적한 화상 데이터(디지털 압축 데이터) 중 표시 대상이 되는 디지털 압축 데이터(9a~9c)를 주 기억 장치(6b)를 거쳐서 모니터(6c)에 출력한다.
또, 보조 기억 장치(6a)는 에스컬레이터 감시 패널(5)로부터 이더넷 케이블(3h)을 통해 에스컬레이터(1a, 1b)의 운행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취입하고, 사용자 요구에 따라 디지털 압축 화상 데이터(9a~9c)와 함께 에스컬레이터(1a, 1b)의 운행 상태를 주 기억 장치(6b)를 거쳐서 모니터(6c)에 출력한다.
즉, 보조 기억 장치(6a)는 주기적인 송신 요구(7a~7f)에 기초하여 각 감시 지점의 디지털 압축 화상 데이터를 축적하고 있으며, 사용자로부터의 모니터링 요구가 입력된 때에는 모니터링 요구에 해당하는 디지털 압축 화상 데이터(9a~9c)를 주 기억 장치(6b)를 거쳐서 모니터(6c)에 출력해서 표시하게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범용 PC(6) 내에서, 보조 기억 장치(6a)는 네트워크 카메라(2a~2f)로부터 전송된 디지털 압축 화상 데이터(8a~8f)를 축적한 후 표시 대상이 되는 디지털 압축 화상 데이터(9a~9c)를 주 기억 장치(6b)로 전송하고, 주 기억 장치(6b)는 디지털 압축 화상 데이터(9a~9c)를 복호 화상(10a~10c)으로서 모니터(6c) 로 전송한다.
이때, 범용 PC(6)는 사용자가 설정한 에스컬레이터 정보(11) 및 일시 정보(12)에 따라 보조 기억 장치(6a)에 축적된 디지털 압축 화상 데이터 중 표시 대상이 되는 디지털 압축 화상 데이터(9a~9c)를 복호 화상(10a~10c)으로서 모니터(6c)에 표시한다.
즉, 복호 화상(10a~10c)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모니터링 화상 데이터는, 사용자가 설정한 재생 개시 일시에 따라, 복수의 모니터링 화상 데이터 간의 동기가 이루어지면서 모니터(6c)에 표시된다.
도 1에 나타낸 범용 PC(6)는 디지털 압축 화상 데이터(8a~8f)를 보조 기억 장치(6a)에 축적하기 위한 화상 데이터 축적용의 소프트웨어 및 화상 데이터를 모니터(6c)에 표시하기 위한 화상 데이터 표시용의 소프트웨어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들 2개의 소프트웨어가 시간적으로 병렬 처리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화상 데이터 표시용의 소프트웨어는 축적 화상 데이터 표시 장치에서 실행되며, 표시 대상이 되는 디지털 압축 화상 데이터(9a~9c)를 보조 기억 장치(6a)로부터 추출하는 처리, 표시 대상이 되는 디지털 압축 화상 데이터(9a~9c)에 대해 신장 처리를 가해 복호 화상(10a~10c)을 작성하는 처리 및 복호 화상(10a~10c)을 모니터(6c)에 표시하는 처리를 포함한다.
또, 화상 데이터 표시용의 소프트웨어와 관련하여, 범용 PC(6)의 모니터(6c) 상에는 에스컬레이터(1a, 1b)의 운행 상황의 모니터링을 가능하게 하는 운행 상황 감시 화면(20, 도 2 참조)이 표시된다.
도 2에 나타낸 화면 레이아웃 구성에서, 모니터(6c) 상에는 운행 상황 감시 화면(20), 감시 화상 표시 화면(21a~21c) 및 축적 화상 검색 버튼(22)이 표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예컨대 운행 상황 감시 화면(20)을 참조하여 모니터링을 희망하는 복수의 감시 지점을 설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의 순서도를 참조하면서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있어서의 화상 데이터 축적용(디지털 압축 화상 데이터(8a~8f)를 보조 기억 장치(6a)에 축적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에 의한 처리 순서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에서, 우선 범용 PC(6)는 전술한 HTTP 등의 프로토콜에 따라 네트워크 카메라(2a~2f)에 대해 화상 데이터 송신 요구(7a~7f)를 송신한다(스텝 S1).
또, 스텝 S1의 요구 처리와 동시에, 범용 PC(6)는 현 시점에 있어서의 일시 정보를 주 기억 장치(6b)에 기억시킨다.
스텝 S1의 실행에 의해, 화상 데이터의 송신 요구(7a~7f)는 이더넷 케이블(3g), 기계실(100) 내의 HUB(4) 및 이더넷 케이블(3a~3f)을 거쳐서 에스컬레이터(1a~1b) 주변의 감시 지점에 설치된 네트워크 카메라(2a~2f)에 송신된다.
네트워크 카메라(2a~2f)는, 화상 데이터의 송신 요구(7a~7f)를 수신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디지털 압축 화상 데이터(8a~8f)를 HUB(4)를 거쳐서 범용 PC(6)에 출력한다.
이로써 범용 PC(6)는 각 네트워크 카메라(2a~2f)에서 출력된 디지털 압축 화상 데이터(8a~8f)를 수신한다(스텝 S2).
이어서, 디지털 압축 화상 데이터(8a~8f)에 대해서, 범용 PC(6)에 인스톨되 어 있는 OS(Operating System)가 관리하는 일시 정보를 부가하고(스텝 S3), 이를 범용 PC(6)에 접속된 보조 기억 장치(6a)에 축적한다(스텝 S4).
또한, 스텝 S3에서 일시 정보를 디지털 압축 화상 데이터(8a~8f)에 부가하기 위한 처리 방법의 일례로는, 디지털 압축 화상 데이터(8a~8f)의 명칭을 일시 정보를 이용하여 작성하고 각 디지털 압축 화상 데이터(8a~8f)의 명칭으로 보조 기억 장치(6a)에 축적하는 처리 방법을 들 수 있다.
또, 스텝 S4에서 보조 기억 장치(6a)에 축적하기 위한 처리 방법의 일례로는, 보조 기억 장치(6a)의 기억 영역 중 디지털 압축 화상 데이터의 축적에 할당된 영역에 대해, 네트워크 카메라(2a~2f)의 대수(도 1 의 경우 "6대")로 등분한 기억 영역과 네트워크 카메라(2a~2f)를 일의적으로 대응시킴과 동시에 분할한 기억 영역에 대해서 디지털 압축 화상 데이터를 차례차례 축적하고, 이들 기억 영역의 모두에 대한 축적이 종료한 후에는 최고(最古)의 디지털 압축 화상 데이터로부터 차례로 덧쓰기하면서 축적해 나가는 처리 방법을 들 수 있다.
마지막으로, 단위 시간만큼 대기 처리를 실행하고(스텝 S5), 스텝 S1로 돌아와 다음의 화상 데이터의 송신 요구를 실시하며, 상기 처리 스텝 S2~S5를 반복해서 실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스텝 S5에 있어서, 스텝 S1에서 주 기억 장치(6b)에 기억시킨 일시 정보를 이용하여 스텝 S1의 처리를 실행한 시각부터 현재 시각까지의 경과 시간을 계측하고, 경과 시간이 단위 시간과 동일해진 경우에 스텝 S1로 돌아와 각 네트워크 카메라(2a~2f)에 대해서 다음의 화상 데이터 송신 요구(7a~7f)를 송신한다.
또한, 스텝 S5에 있어서의 단위 시간이란, 범용 PC(6)에 설치된 2개의 소프트웨어가 미리 공유하고 있는 값이며, 화상 데이터의 송신 요구(7a~7f)의 전회 송신 시각부터 이번 송신 시각까지의 간격에 상당한다.
예를 들어, 단위 시간을 「500밀리초」로 설정한 경우, 네트워크 카메라(2a~2f)에 대해서 1초간에 2회의 송신 요구(7a~7f)가 송신되게 된다. 즉, 1대의 네트워크 카메라에 관해서는, 1초 동안 2프레임분의 디지털 압축 화상 데이터가 보조 기억 장치(6a)에 축적되게 된다.
다음에, 도 2와 함께 도 4의 순서도를 참조하면서,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있어서의 화상 데이터 표시용의 소프트웨어에 의한 처리 순서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화상 데이터 표시용의 소프트웨어에 의해 보조 기억 장치(6a)에 축적된 디지털 압축 화상 데이터로부터 표시 대상이 되는 디지털 압축 화상 데이터(9a~9c)가 추출됨과 동시에 디지털 압축 화상 데이터(9a~9c)에 대해서 신장 처리를 가하는 것으로 복호 화상(10a~10c)이 작성되며, 이들이 모니터(6c)에 표시된다.
또, 기계실(100)에 설치된 에스컬레이터 감시 패널(5)은 에스컬레이터(1a, 1b)의 운행 상황을 관리하고 있으며, 운행 상황 감시 화면(20, 도 2 참조)에 표시되는 정보는 에스컬레이터 감시 패널(5)로부터 얻어지고 있다.
도 4에 있어서, 우선 운행 상황 감시 화면(20) 상의 에스컬레이터 모식도를 사용자가 클릭 조작하는 것으로써 모니터링을 원하는 에스컬레이터 정보(11)를 선 택함과 동시에, 축적 화상 검색 버튼(22)을 조작함으로써 먼저 선택한 에스컬레이터에 관한 화상 데이터 중 모니터링을 개시하고자 하는 일시 정보(12)를 설정하고, 각 정보(11, 12)를 모니터링 요구로서 범용 PC(6)에 입력한다(스텝 S10).
스텝 S10에 있어서, 모니터링을 개시하고자 하는 일시 정보(12)의 설정 방법의 일례로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풀다운 메뉴로부터 원하는 「년, 월, 일, 시, 분, 초」의 설정을 실시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스텝 S10의 실행에 의해, 모니터링을 실시하고자 하는 에스컬레이터 정보(11)와 모니터링을 개시하고자 하는 일시 정보(12)가 선택되면, 이어서 범용 PC(6)는 모니터링 요구에 해당하는 디지털 압축 화상 데이터를 취득한다(스텝 S11).
즉, 선택된 에스컬레이터의 디지털 압축 화상 데이터가 축적되어 있는 보조 기억 장치(6a) 내의 영역을 선택하는 것과 동시에, 선택한 영역 내에 포함되는 복수의 디지털 압축 화상 데이터 중 사용자가 원하는 디지털 압축 화상 데이터(모니터링 화상 데이터)를 검색하여 취득하고, 이를 주 기억 장치(6b)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에 의해 1층과 2층과 사이에 설치된 에스컬레이터(1a)의 모식도가 선택됨과 동시에 모니터링을 개시하고자 하는 일시 정보(12)로서 축적 화상 검색 버튼(22)으로부터 「2003년 11월 26일 18시 00분 05초」가 설정되었다고 한다.
이 경우, 범용 PC(6) 내의 소프트웨어는 에스컬레이터(1a)에 관련한 네트워크 카메라(2a~2c)가 촬영한 화상 데이터가 모니터링 화상 데이터인 것으로 인식하고, 네트워크 카메라(2a~2c)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 압축 화상 데이터(8a~8c)가 축 적되어 있는 보조 기억 장치(6a)에 포함되는 3개의 영역을 선택한다.
또, 선택한 3개의 영역으로부터, 「2003년 11월 26일 18시 00분 05초」의 일시 정보가 부가되어 있는 디지털 압축 화상을 검색하고, 이 검색 결과를 최종적으로 표시 대상이 되는 디지털 압축 화상 데이터(9a~9c)로서 주 기억 장치(6b)에 출력하게 된다.
상기 스텝 S11에 이어서, 표시 대상이 되는 디지털 압축 화상 데이터(9a~9c)에 대하여 각각 신장 처리를 실행한다(스텝 S12).
이로써, 복호 화상(10a~10c)이 작성된다.
이어서, 표시 대상이 되는 디지털 압축 화상 데이터(9a~9c)에 부가된 일시 정보를 분리하여 주 기억 장치(6b) 상에 일시 정보를 기억시킨다(스텝 S13).
다음으로, 스텝 S12에서 작성된 복호 화상(10a~10c)을 감시 화상 표시 화면(21a~21c)에 동시에 표시시킴과 동시에 현 시점에 있어서의 시각 정보를 주 기억 장치(6b)에 기억시킨다(스텝 S14).
스텝 S14에 의해, 복호 화상(10a~10c)을 감시 화상 표시 화면(21a~21c)에 표시 종료하면, 다음의 표시 대상이 되는 디지털 압축 화상 데이터(9a~9c)를 취득한다(스텝 S15).
즉, 스텝 S11에서 선택한 영역 내에 포함되는 복수의 디지털 압축 화상 데이터 중 스텝 S13에서 주 기억 장치(6b)에 기억된 일시 정보보다도 시간적으로 뒤이고 또 최고(最古)의 일시 정보가 부가된 디지털 압축 화상 데이터를 검색하고, 이 검색 결과를 표시 대상이 되는 디지털 압축 화상 데이터(9a~9c)로서 주 기억 장치 (6b)에 출력한다.
이어서, 표시 대상이 되는 디지털 압축 화상 데이터(9a~9c)에 대해 각각 신장 처리를 하여 복호 화상(10a~10c)을 작성한다.
또, 표시 대상이 되는 디지털 압축 화상 데이터(9a~9c)에 부가된 일시 정보를 분리하고, 분리한 일시 정보와 스텝 S13에서 주 기억 장치(6b)에 기억한 일시 정보와의 일시 차분(差分) 정보를 출력하며(스텝 S16), 분리한 일시 정보를 재차 주 기억 장치(6b)에 기억시킨다(스텝 S17).
마지막으로, 복호 화상(10a~10c)의 표시를 대기하고(스텝 S18), 스텝 S14로 돌아와 상기 처리 스텝 S14~S17를 반복해서 실행한다.
스텝 S18에 있어서, 구체적으로는, 스텝 S14에서 주 기억 장치(6b)에 기억한 시각 정보를 이용하여 스텝 S14의 처리를 실행한 시각부터 현재 시각까지의 경과 시간을 계측하고, 경과 시간이 스텝 S17에서 산출한 일시 차분 정보와 동일해진 경우에 스텝 S16에서 작성한 복호 화상(10a~10c)을 감시 화상 표시 화면(21a~21c, 도 2 참조)에 표시시킴으로써 화상 표시 화면(21a~21c)의 표시 내용의 갱신을 실시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하면, 다수의 감시 지점에서 촬영된 디지털 압축 화상 데이터에 일시 정보를 부가하면서 보조 기억 장치(6a)에 축적함과 동시에, 사용자로부터 주어지는 모니터링 요구 정보(원하는 감시 지점을 나타내는 에스컬레이터 정보(11)와 모니터링을 개시하고자 하는 일시 정보(12))를 검색 키로 하여, 표시 대상이 되는 복수의 디지털 압축 화상 데이터(9a~9c)를 검색하고, 검색된 디지털 압축 화상 데이터(9a~9c)에 신장 처리를 가해 얻어지는 복수의 복호 화상(10a~10c)을 동시에 모니터(6c)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1개의 모니터(6c) 상에서, 같은 시각에 있어서의 여러 지점의 감시 화상의 모니터링을 용이하게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지며, 고장이나 사고 등의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도 이상 발생 시각에 있어서의 에스컬레이터(1a, 1b)의 상황을 용이하게 알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또, 모니터(6c)는 운행 상황의 모니터링을 가능하게 하는 운행 상황 감시 화면(20)을 가지고 있으므로, 사용자가 운행 상황 감시 화면(20) 상에서 모니터링을 희망하는 복수의 감시 지점을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실시예 2
한편, 상기 실시예 1(도 1)에서는 사용자로부터 에스컬레이터 정보(11) 및 일시 정보(12)가 주어지는 구성으로 했지만, 도 5와 같이 재생 속도 정보(30)를 주어도 좋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관한 승강기 감시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 구성도이며, 전술(도 1 참조)한 바와 마찬가지의 것에 대해서는 같은 부호를 붙이거나 부호의 뒤에 「A」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에서, 전술한 것과 다른 점은, 빌딩 방재 센터(200A) 내의 범용 PC(6A)에 대하여 사용자로부터 재생 속도 정보(30)가 주어진다는 점이다.
또,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관한 승강기 감시 시스템의 처리 동작은, 전술한(도 4 참조) 순서도 내의 스텝 S17의 뒤에, 표시 간격의 산출 스텝(미도시)이 추가 되는 점만이 전술한 것과 다르다.
재생 속도 정보(30)란 직전에 모니터(6c)에 표시된 복호 화상과 다음에 모니터(6c)에 표시되는 복호 화상(10a~10c)과의 「표시 간격」을 조정하는 정보이며, 실제의 표시 간격은 재생 속도 정보(30)와 단위 시간(도 3 내의 스텝 S5 참조)을 이용하여 산출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와 관련된 재생 속도 정보(30)와 표시 간격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며, 예를 들어, 단위 시간을 「1초」로 설정한 경우에서의 재생 속도 정보(30)와 표시 간격과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도 6에 있어서, 예를 들어,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재생 속도 정보(30)가 「순방향으로 2배속」인 경우, 표시 간격은 「 1초의 1/2배(= 500밀리초)」로 되며, 복호 화상(10a~10c)을 고속으로 모니터(6c) 상에 표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재생 속도 정보(30)가 「순방향으로 1/2배속」인 경우, 표시 간격은 「1초의 2배(= 2초)」로 되며, 복호 화상(10a~10c)을 느리게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화상 데이터의 축적 간격을 T로 하고, 재생 시의 묘화(描畵) 간격(표시 간격)을 t로 하고, 재생 속도 정보(30)에 따른 화상 데이터의 재생 속도(축적 간격 T와 묘화 간격 t와의 관계)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재생 속도 정보(30)에 따른 축적 간격 T와 묘화 간격 t와의 관계는, 예를 들어 이하의 식(1)~(3)에 의해 표시된다.
즉, 재생 속도 정보(30)가 「1배속」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축적 시간 T와 묘화 간격 t와의 관계는, 이하의 식(1)과 같이 된다.
T = t … (1)
또, 재생 속도 정보(30)가 「2배속」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축적 시간 T와 묘화 간격 t와의 관계는, 이하의 식(2)와 같이 된다.
T = t×2 … (2)
식 (2)에 있어서는, 묘화 간격 t가 축적 간격 T의 1/2이 되므로, 결과적으로 화상 데이터가 배속으로 재생되게 된다.
또한, 재생 속도 정보(30)가 「1/2배속」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축적 간격 T와 묘화 간격 t와의 관계는, 이하의 식 (3)과 같이 된다.
T×2 = t … (3)
식 (3)에 있어서는, 묘화 간격 t가 축적 간격 T의 2배가 되므로, 결과적으로 느리게 재생되게 된다.
한편, 재생 속도 정보(30)가 「역방향으로 2배속」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축적 시간 T(= 1초)에 대해서 T/2의 묘화 간격 t(= 500밀리초)로 역재생하게 된다.
「역방향」이란, 시간축상을 거슬러 올라가 역방향(과거의 방향)으로 진행한다는 의미이며, 「역방향으로 2배속」이란, 이하의 각 시각 (A1)~(A5)에 축적된 화상 데이터(복호 화상)를 (A5)→(A4)→(A3)→(A2)→(A1)의 순서로 묘화 간격 t(= 500밀리초)로 2배속 재생하는 것을 의미한다.
(A1) 15시 00분 00초
(A2) 15시 00분 01초
(A3) 15시 00분 02초
(A4) 15시 00분 03초
(A5) 15시 00분 04초
이하, 도 6과 함께 도 4를 참조하면서, 도 5에 나타낸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의한 처리 동작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에 있어서, 범용 PC(6A)는 복호 화상(10a~10c)을 모니터(6c)상의 감시 화상 표시 화면(21a~21c, 도 2 참조)에 표시 종료하면, 사용자에 의해 주어진 재생 속도 정보(30)를 참조하여, 재생 속도 정보(30)가 「정방향」을 나타내고 있는 경우에는 도 4 내의 스텝 S15의 처리를 실행한다.
한편, 재생 속도 정보(30)가 「역방향」을 나타내고 있는 경우에는 도 4 내의 스텝 S11에서 선택한 영역 내에 포함되는 복수의 디지털 압축 화상 데이터 중 스텝 S13에서 주 기억 장치(6b)에 기억한 일시 정보보다 시간적으로 전이며 또 그 중에서 최신의 일시 정보가 부가된 디지털 압축 화상 데이터를 검색하여, 이러한 검색 데이터를 표시 대상이 되는 디지털 압축 화상 데이터(9a~9c)로서 주 기억 장치(6b)에 입력한다.
그 후, 표시 대상이 되는 디지털 압축 화상 데이터(9a~9c)에 대하여 각각 신장 처리가 실시되고, 복호 화상(10a~10c)이 작성된다(스텝 S16).
또, 표시 대상이 되는 디지털 압축 화상 데이터(9a~9c)에 부가된 일시 정보를 분리하고, 분리한 일시 정보와 스텝 S13에서 주 기억 장치(6b)에 기억한 일시 정보와의 차분인 일시 차분 정보를 작성한다(스텝 S17).
나아가, 분리한 일시 정보를 재차 주 기억 장치(6b)에 기억시킴과 동시에 사용자에 의해 주어지는 재생 속도 정보(30)와 소프트웨어가 가지는 단위 시간을 이용하여 도 6에 따라 표시 간격을 산출한다.
마지막으로, 스텝 S18에 있어서, 스텝 S14에서 주 기억 장치(6b)에 기억한 시각 정보를 이용하여 스텝 S14의 처리를 실행한 시각부터 현재 시각까지의 경과 시간을 계측하고, 계측한 경과 시간이 먼저 산출한 표시 간격과 동일해진 경우에, 스텝 S16에서 작성한 복호 화상(10a~10c)을 도 2에 나타낸 감시 화상 표시 화면(21a~21c)에 표시함으로써, 화상 표시 화면(21a~21c)의 표시 내용의 갱신을 실시한다.
한편, 재생 속도 정보(30)에 부가하여 사용자로부터 「표시의 정지」를 의미하는 표시 정지 정보(미도시)가 주어지는 경우도 상정된다.
이 경우, 도 4 내의 스텝 S15에 앞서, 사용자로부터 표시 정지 정보가 주어졌는지 여부의 체크를 실시하여, 표시 정지 정보가 주어지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15의 동작을 실행하고, 표시 정지 정보가 주어진 경우에는 다음에 재생 속도 정보(30)가 주어질 때까지 처리 동작을 대기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의하면, 전술한 실시예 1에 부가하여 사용자로부터 복호 화상(10a~10c)의 표시 간격(표시 속도)에 관한 재생 속도 정보(30)를 주고, 재생 속도 정보(30)에 기초하여 복호 화상(10a~10c)의 표시 간격을 제어하도록 구성했으므로, 복수의 복호 화상(10a~10c)에 대해 동기를 잡으면서 고속 재생 표시, 슬로우 재생 표시, 시간적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표시 또는 표시의 일시 정지를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전술한 실시예 1에 비해, 현재 시각에 있어서의 에스컬레이터(1a, 1b)의 상황을 더욱 용이하게 알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 사용자로부터 재생 속도 정보(30)가 설정된 경우에, 화상 데이터를 축적하는 보조 기억 장치(6a)로부터 수신한 복수의 화상 데이터를, 각 데이터 간에 동기를 잡으면서 재생 속도 정보(30)에 근거하여 표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사용자로부터 표시 정지 정보가 설정된 경우에는, 표시되고 있는 복수의 화상 데이터의 표시를 동시에 정지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상기 실시예 1,2에서는, 각 에스컬레이터(1a, 1b)의 타는 곳, 내리는 곳 및 그 사이의 구역에 감시 카메라(네트워크 카메라(2a~2f))를 설치하고, 에스컬레이터(1a, 1b)의 타는 곳과 내리는 곳 및 그 사이의 구역을 감시 지점으로 하였지만, 임의 수의 에스컬레이터의 타는 곳과 내리는 곳 및 그 사이의 구역 중 적어도 하나를 감시 지점으로 하여도 좋다.
또, 빌딩 내의 승강기로서 에스컬레이터(1a, 1b)를 감시 대상으로 하였지만, 임의 수의 에스컬레이터나 무빙 워크를 감시 대상으로 하여도 된다.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를 감시 대상으로 한 경우,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 안 또는 타는 곳 중 적어도 한곳에 네트워크 카메라가 설치되고, 엘리베이터 칸 안 또는 타는 곳의 상황을 촬영한 화상 데이터가 축적됨과 동시에, 모니터링 요구(에스컬레이터 정보(11), 일시 정보(12))가 설정된 경우에, 해당하는 화상 데이터의 복호 화상(10a~10c)이 동기를 잡으면서 모니터(6c)에 표시되게 된다.
마찬가지로, 무빙 워크를 감시 대상으로 한 경우, 무빙 워크의 타는 곳과 내리는 곳 또는 그 사이의 구역 중 적어도 한곳에 네트워크 카메라가 설치되게 된다.

Claims (7)

  1. 복수의 감시 지점에 개별적으로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감시 지점의 상황을 촬영한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복수의 감시 카메라;
    상기 복수의 감시 카메라로부터 출력되는 각 화상 데이터를 시계열적으로 축적하는 화상 데이터 축적 장치; 및
    사용자로부터의 모니터링 요구에 응답하여, 상기 화상 데이터 축적 장치에 축적된 화상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축적 화상 데이터 표시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감시 지점은 에스컬레이터의 타는 곳, 내리는 곳 또는 승강 구간을 포함하며,
    상기 화상 데이터 축적 장치는, 상기 모니터링 요구가 발생한 경우에, 상기 모니터링 요구에 해당하는 복수의 모니터링 화상 데이터를 상기 축적 화상 데이터 표시 장치에 출력하며,
    상기 축적 화상 데이터 표시 장치는, 상기 모니터링 요구에 포함되는 감시 대상의 에스컬레이터와 1개의 재생 개시의 일시 정보에 응답하여, 상기 감시 대상의 에스컬레이터에 설치된 복수의 모니터링 지점을 판별함과 동시에, 상기 재생 개시의 일시에 있어서의 상기 복수의 모니터링 지점에 관한 상기 복수의 모니터링 화상 데이터를, 상기 복수의 모니터링 화상 데이터 간의 동기를 잡으면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화상 감시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감시 지점은,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 내부 또는 타는 곳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화상 감시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감시 지점은, 무빙 워크의 타는 곳, 내리는 곳 또는 승강 구간을 포함하며,
    상기 축적 화상 데이터 표시 장치는, 상기 모니터링 요구에 포함되는 감시 대상의 무빙 워크와 1개의 재생 개시의 일시 정보에 응답하여, 상기 감시 대상의 무빙 워크에 설치된 복수의 모니터링 지점을 판별함과 동시에, 상기 재생 개시의 일시에 있어서의 상기 복수의 모니터링 지점에 관한 상기 복수의 모니터링 화상 데이터를, 상기 복수의 모니터링 화상 데이터 간의 동기를 잡으면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화상 감시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축적 화상 데이터 표시 장치는, 엘리베이터, 에스컬레이터 또는 무빙 워크의 운행 상황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운행 상황 감시 화면을 가지며,
    상기 모니터링 지점은, 상기 운행 상황 감시 화면 상에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화상 감시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요구는, 상기 복수의 모니터링 화상 데이터의 표시 속도에 관한 재생 속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축적 화상 데이터 표시 장치는, 상기 재생 속도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화상 데이터 축적 장치로부터 전송된 상기 복수의 모니터링 화상 데이터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화상 감시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요구는 상기 복수의 모니터링 화상 데이터의 표시를 정지하기 위한 표시 정지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축적 화상 데이터 표시 장치는, 상기 표시 정지 정보가 설정된 경우 상기 복수의 모니터링 화상 데이터의 표시를 동시에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화상 감시 시스템.
  7. 삭제
KR1020067011526A 2006-06-12 2004-08-19 승강기 화상 감시 시스템 KR1008218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7011526A KR100821805B1 (ko) 2006-06-12 2004-08-19 승강기 화상 감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7011526A KR100821805B1 (ko) 2006-06-12 2004-08-19 승강기 화상 감시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5651A KR20060135651A (ko) 2006-12-29
KR100821805B1 true KR100821805B1 (ko) 2008-04-14

Family

ID=378134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1526A KR100821805B1 (ko) 2006-06-12 2004-08-19 승강기 화상 감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180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89358A (ja) * 2002-12-09 2004-07-08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ー監視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89358A (ja) * 2002-12-09 2004-07-08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ー監視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5651A (ko) 2006-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32352B2 (ja) 昇降機画像監視システム
US8064080B2 (en) Control of data distribution apparatus and data distribution system
JP2000023146A (ja) 監視システム
JP6595287B2 (ja) 監視システム、監視方法、解析装置及び解析プログラム
JP6381265B2 (ja) 情報処理装置、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7575103B2 (en) Elevator supervisory system for managing operating condition data
KR100821805B1 (ko) 승강기 화상 감시 시스템
JPH1175176A (ja) 遠隔監視システムおよび遠隔監視方法
JP3381772B2 (ja) 生産ライン監視システム
JP5158471B2 (ja) 監視システム
JP2005175701A (ja) 遠隔映像監視システム
JP2006041770A (ja) 画像配信方法、画像表示方法及びそれらを用いた広域監視方法と画像配信装置、画像表示装置及びそれらを用いた広域監視システム
JP3284950B2 (ja) 無線画像監視システム
US7857105B2 (en) System and method for forming information pertaining to a transportation device
US20200068177A1 (en) Plant operating state analysis system
JP2005301850A (ja) 監視カメラシステム
WO2021162015A1 (ja) 工程管理方法、プログラム、及び工程管理システム
JP4441905B2 (ja) カメラ制御装置、カメラ制御方法、及び監視システム
CN110134263B (zh) 鼠标信号传输方法及系统
JP2000217162A (ja) 駅務遠隔監視システム
KR20000030829A (ko) 웹 상에서 특정 장소를 실시간으로 관찰하기 위한 시스템
JP2001054099A (ja) 画像監視システム
JP2005141617A (ja) プラント監視制御システム
JP2001251609A (ja) 監視カメラシステム及び監視画像取得方法
JP4778703B2 (ja) 大規模リアルタイム遠隔監視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9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