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9905B1 - 텐션 보조스프링이 구비된 재봉틀의 회전북장치 - Google Patents

텐션 보조스프링이 구비된 재봉틀의 회전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9905B1
KR100819905B1 KR1020070044985A KR20070044985A KR100819905B1 KR 100819905 B1 KR100819905 B1 KR 100819905B1 KR 1020070044985 A KR1020070044985 A KR 1020070044985A KR 20070044985 A KR20070044985 A KR 20070044985A KR 100819905 B1 KR100819905 B1 KR 1008199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sion
bobbin case
bobbin
spring
auxiliary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49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철
Original Assignee
코베스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베스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베스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449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99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99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99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57/00Loop takers, e.g. loopers
    • D05B57/26Bobbin holders or casings; Bobbin holder or case guards; Bobbin discharge devic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57/00Loop takers, e.g. loopers
    • D05B57/08Loop takers, e.g. loopers for lock-stitch sewing machines
    • D05B57/10Shuttles
    • D05B57/14Shuttles with rotary hook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57/00Loop takers, e.g. loopers
    • D05B57/08Loop takers, e.g. loopers for lock-stitch sewing machines
    • D05B57/10Shuttles
    • D05B57/18Shuttles with bobbin casings held by removable cap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57/00Loop takers, e.g. loopers
    • D05B57/28Applications of bobbins for storing the lower thre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빈케이스 보디 상에서의 밑실 인출경로에서 텐션스프링 이전 위치에 텐션 보조스프링이 설치됨으로써 밑실이 텐션스프링 밖으로 이탈될 경우에도 밑실을 보빈케이스 보디 상에 안전하게 잡아주므로 재봉작업이 원활하게 수행되도록 하고 불량발생을 방지하여 작업성 및 재봉품질이 향상되도록 하는 텐션 보조스프링이 구비된 재봉틀의 회전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구동축에 장착되는 후크보디(Hook Body), 상기 후크보디에 수용되고 바닥에는 스터드가 입설되어 있는 보빈케이스 베이스(Bobbin Case Base)와 보빈케이스 보디(Bobbin Case Body)로 이루어지는 보빈 케이스(Bobbin Case), 상기 보빈케이스 내에 설치되며 밑실이 권취되는 보빈(Bobbin)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보빈케이스 보디는 보빈으로부터 풀려나오는 밑실을 재봉영역으로 안내하기 위하여 일측에 보빈으로부터 풀리는 밑실을 인출시키기 위한 절개선 형태의 인출공이 형성되고 상기 인출공을 통해 나오는 밑실을 안내 및 지지하기 위한 텐션스프링이 구비되는 재봉틀 회전북장치에 있어서, 상기 보빈케이스 보디는 상기 인출공의 인입부에 상기 텐션스프링이 놓치는 밀실의 이탈을 저지하기 위한 텐션 보조스프링이 더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텐션 보조스프링이 구비된 재봉틀의 회전북장치{A ROTARY SHUTTLE DEVICE WITH TENSION AID SPRING FOR SEWING MACHINE}
도 1은 종래 기술의 분해 사시도
도 2a는 종래 기술 보빈케이스 보디로부터 밑실인출 정상경로를 보이는 도면
도 2b는 도 2a의 사용중 발생되는 트러블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보빈케이스 보디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다른 일 실시예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본 발명의 회전북장치 10: 구동축
20: 후크보디 BC: 보빈케이스
30: 보빈케이스 베이스 31; 스터드
40: 보빈 50: 보빈케이스 보디
53: 주벽 52: 가이드홈
54:인출공 55: 텐션스프링
100: 종래 기술의 회전북장치
본 발명은 재봉틀의 회전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보빈케이스 보디 상에서의 밑실 인출경로에서 텐션스프링 이전 위치에 텐션 보조스프링이 설치됨으로써 밑실이 텐션스프링 밖으로 이탈될 경우에도 밑실을 보빈케이스 보디 상에 안전하게 잡아주므로 재봉작업이 원활하게 수행되도록 하고 불량발생을 방지하여 작업성 및 재봉품질이 향상되도록 하는 텐션 보조스프링이 구비된 재봉틀의 회전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재봉틀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밑실을 공급하기 위한 회전북장치(100)가 설치되어 있다. 이 회전북장치(100)는 동력장치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구동축(110)에 장착되며 겉가마라고도 칭해지는 후크보디(Hook Body)(120)와, 후크보디(120)에 수납되는 보빈케이스(Bobbin Case: BC)와 밑실이 권취되는 보빈(Bobbin)(140)으로 구성되며, 상기 보빈케이스(BC)는 다시 후크보디(120)에 수용되며 속가마라고도 불리는 보빈케이스 베이스(Bobbin Case Base)(130)와, 보빈(140) 외측에서 보빈을 수납하기 위한 보빈케이스 보디(Bobbin Case Body)(150)로 구성된다.
상기 보빈케이스 보디(150)는 보빈으로부터 풀려나오는 밑실을 재봉영역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래치(151)가 형성된 마구리부(152)와 주벽(153)으로 형성되며, 주벽(153) 일측에는 보빈(140)으로부터 풀리는 밑실을 인출시키기 위한 인출공(154)이 형성되고, 이 인출공(154)을 통해 나오는 밑실을 안내하고 또한 밑실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만곡판 형태의 텐션스프링(155)이 구비된다.
이와 같은 보빈케이스 보디(150)가 삽입 설치되는 상기 보빈케이스 베이스(130)의 바닥에는 보빈(140)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기 위한 스터드(131)가 입설되어 있으며, 보빈케이스 보디(150)의 텐션스프링(155)이 형성된 부분이 결합되기 위하여 주벽의 일부가 낮게 형성되는 단차부(133)가 형성되고 상기 주벽 일측에는 윗실이 꿰어진 바늘이 출입하는 관통홀(135)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135)에 인접하는 주벽 선단에 가이드홈(137)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보빈 케이스(BC)의 구성에 따라, 보빈(140)으로부터 풀린 밑실은 보빈케이스 보디(150) 주벽(153)의 밑실 인출공(154) 및 상기 텐션스프링(155)을 경유하여 보빈케이스 베이스(130)의 상기 가이드홈(137)을 통하여 빠져나가게 된다.
상기 회전북 장치의 작동을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구동축(110)의 회전에 의하여 후크보디(120)가 회전하며 윗실을 걸어 보빈케이스(BC: 130,150)를 휘감는 올가미를 형성하면서 보빈(140)으로부터 풀려나와 보빈케이스 보디(150)의 밑실 인출공(154), 텐션스프링(155) 및 상기 보빈케이스 베이스의 가이드홈을 통하여 인출되는 밑실이 윗실 올가미에 걸어 올려짐으로 재봉작업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재봉작동은 1차적으로 윗실이 밑실을 원활하게 걸어올릴 수 있어야 하며, 윗실과 밑실의 장력이 균형을 이루어야 한다. 만약 밑실의 장력이 적정장력보다 강하거나 약하게 되면 실이 끊어지는 단사가 발생되거나 실이 늘어지는 루프현상(타올현상) 등이 발생되어 작업진행에 지장을 주며 재봉품질을 저하시키게 된다.
따라서, 밑실의 장력이 적정하게 유지되도록 보빈케이스 보디 내측에는 보빈의 공회전방지를 위한 스프링(161)이 장착된다.
그런데, 상기 공전방지 스프링(161)에 작업중 발생되는 실먼지 등의 슬러지가 증착되고 이를 제때 제거하지 않으면 상기 공전방지 스프링(161)의 기능을 잃게 될 뿐만 아니라 밑실에 과도한 압력을 가함으로써 오히려 재봉불량을 촉발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보빈케이스를 일정 작업량 주기마다 분해하여 슬러지를 제거해야 되는데 여기에 많은 일손 및 시간이 손실되기 때문에 통상적으로 재봉작업 현장에서는 공전방지 스프링을 빼놓고 사용하고 있는 형편이다.
이로 인하여 밑실(T)이 장력을 잃고 상기 텐션스프링에 의하여 탄지 및 안내되어 인출되는 정상경로(도 2a 참조)에서 이탈되어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빈케이스 보디(150) 외측으로 늘어지는 등으로 단사 및 실엉킴이 발생되어 재봉품질 및 생산성을 저하시키고 납기일정에 지장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보빈케이스 보디 상에서의 밑실 인출경로에서 텐션스프링 이전 위치에 텐션 보조스프링이 설치됨으로써 텐션스프링이 밑실을 놓칠 경우에도 밑실을 보빈케이스 보디 상에 안전하게 잡아주므로 재봉작업이 원활하게 수행되도록 하고 불량발생을 방지하여 작업성 및 재봉품질이 향상되도록 하는 텐션 보조스프링이 구비된 재봉틀의 회전북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에 따른 텐션 보조스프링이 구비된 재봉틀의 회전북장치는 구동축에 장착되는 후크보디(Hook Body), 상기 후크보디에 수용되고 바닥에는 스터드가 입설되어 있는 보빈케이스 베이스(Bobbin Case Base)와 보빈케이스 보디(Bobbin Case Body)로 이루어지는 보빈 케이스(Bobbin Case), 상기 보빈케이스 내에 설치되며 밑실이 권취되는 보빈(Bobbin)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보빈케이스 보디는 보빈으로부터 풀려나오는 밑실을 재봉영역으로 안내하기 위하여 일측에 보빈으로부터 풀리는 밑실을 인출시키기 위한 절개선 형태의 인출공이 형성되고 상기 인출공을 통해 나오는 밑실을 안내 및 지지하기 위한 텐션스프링이 구비되는 재봉틀 회전북장치에 있어서,
상기 보빈케이스 보디는 상기 인출공의 인입부에 상기 텐션스프링이 놓치는 밀실의 이탈을 저지하기 위한 텐션 보조스프링이 더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텐션 보조스프링이 구비된 재봉틀의 회전북장치에 대한 실 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본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보빈케이스 보디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축(10)에 장착되는 후크보디(Hook Body)(20), 상기 후크보디(20)에 수용되고 바닥에는 스터드(31)가 입설되어 있는 보빈케이스 베이스(Bobbin Case Base)(30)와 보빈케이스 보디(Bobbin Case Body)(50)로 이루어지는 보빈 케이스(Bobbin Case)(BC), 상기 보빈케이스(BC) 내에 설치되며 밑실이 권취되는 보빈(Bobbin)(4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보빈케이스 보디(50)는 보빈으로부터 풀려나오는 밑실을 재봉영역으로 안내하기 위하여 일측에 보빈(40)으로부터 풀리는 밑실을 인출시키기 위한 절개선 형태의 인출공(54)이 형성되고 상기 인출공(54)을 통해 나오는 밑실을 안내 및 지지하기 위한 텐션스프링(55)이 구비되는 재봉틀 회전북장치에 있어서, 상기 보빈케이스 보디(50)는 상기 인출공(54)의 인입부에 상기 텐션스프링이 놓치는 밀실의 이탈을 저지하기 위한 텐션 보조스프링(57)이 더 설치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텐션 보조스프링(57)은 보빈케이스 보디의 인출공(54) 인입부 외주연에 빗장타입으로 밀착되어 밑실의 이탈을 저지하는 빗장부(57a)와 보빈케이스 보디 주벽(53)에 고정되는 고정부(57b)로 형성되고, 상기 빗장부(57a)의 선단(57aa)은 밑실의 유입이 용이하도록 경사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텐션 보조스프링의 고정부(57b)는 상기 빗장부(57a)로부터 텐션스프링(55)의 두께를 수용하는 단차가 절곡형성되고 상기 텐션스프링(55)과 겹쳐 서 보빈케이스 보디의 주벽(53)에 고정된다.
즉, 본래 텐션스프링(55)을 고정하는 스크류(56)가 텐션 보조스프링(57)까지 한꺼번에 체결하는 것이다.
상기 텐션 보조스프링(57)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텐션스프링(55)과 일체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한편, 상기 보빈케이스 보디(50)는 상기 인출공(54)으로의 밑실 유입이 용이하도록 인출공(54)의 인입부 양측에 가이드홈(52)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출공(54) 인입부의 가이드홈(52)은 일측으로 텐션 보조스프링(57)의 선단부를 벗어난 영역에서 경사면으로 시작되는 제1단홈(52a)과, 타측으로 상기 텐션 보조스프링(57)에 의하여 덮이며 상기 제1단홈(52a)에 비하여 깊숙이 파여 단차를 이루는 제2단홈(52b)이 대향하여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지닌 본 발명에 따른 텐션 보조스프링이 구비된 재봉틀의 회전북장치(1)의 작용상태를 도 6을 참고하여 살펴본다.
보빈(40)에 감겨진 밑실은 항상 실이 감겨진 방향의 역방향으로 나오도록 보빈케이스 보디에 걸어져 인출되는데, 먼저 상기 텐션 보조스프링(57)의 선단부 전방이 되는 상기 가이드홈 제1단홈(52a)를 통하여 유입시킨 후 상기 제2단홈(52b)에서 방향을 틀어 인출공(54)으로 끼워 올려진다.
이때, 상기 제2단홈(52b)이 제1단홈(52a)에 비하여 깊숙이 파여 있어, 밑실(T)이 인출공으로 용이하게 유입된다.
이후 밑실(T)은 상기 인출공(54)을 통하여 주벽(53)의 외주연과 텐션스프링(55) 사이를 경유하면서 탄지된 다음 보빈케이스 보디(50) 외측으로 인출되고 재봉영역으로 안내되는 정상경로를 경유하게 된다.
그리고, 공전방지 스프링을 배제시키는 등으로 밑실이 장력을 유지하지 못하고 텐션스프링(55)으로부터 이탈될 경우에도 상기 텐션 보조스프링(57)이 밑실을 탄력적으로 잡아주고 적어도 보빈케이스 보디(50)로부터 탈거되는 것을 저지한다.
따라서, 밑실(T)이 보빈케이스 보디로부터 이탈되어 늘어지는 등의 장력불량 발생을 차단하므로 단사나 실엉킴이 방지되어 봉제가 안전하고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보빈케이스 보디 상에서의 밑실 인출경로에서 텐션스프링 이전 위치에 텐션 보조스프링이라는 안전수단이 설치됨으로써 텐션스프링이 밑실을 놓칠 경우에도 밑실을 보빈케이스 보디 상에 안전하게 잡아주므로 재봉작업이 원활하게 수행되도록 하고 불량발생을 방지하여 작업성 및 재봉품질을 현저히 향상시켜 준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설명하였다. 여기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텐션 보조스프링이 구비된 재봉틀의 회전북장치는, 보빈케이스 보디 상에서의 밑실 인출경로에서 텐션스프링 이전 위치에 텐션 보조스프링이 설치됨으로써 장력불량으로 인하여 텐션스프링이 밑실을 놓칠 경우에도 밑실을 보빈케이스 보디 상에 안전하게 잡아주므로 재봉작업이 원활하게 수행되도록 하고 불량발생을 방지하여 작업성 및 재봉품질이 향상되도록 하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Claims (6)

  1. 구동축(10)에 장착되는 후크보디(Hook Body)(20), 상기 후크보디(20)에 수용되고 바닥에는 스터드(31)가 입설되어 있는 보빈케이스 베이스(Bobbin Case Base)(30)와 보빈케이스 보디(Bobbin Case Body)(50)로 이루어지는 보빈 케이스(Bobbin Case)(BC), 상기 보빈케이스(BC) 내에 설치되며 밑실이 권취되는 보빈(Bobbin)(4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보빈케이스 보디(50)는 보빈으로부터 풀려나오는 밑실을 재봉영역으로 안내하기 위하여 일측에 보빈(40)으로부터 풀리는 밑실을 인출시키기 위한 절개선 형태의 인출공(54)이 형성되고 상기 인출공(54)을 통해 나오는 밑실을 안내 및 지지하기 위한 텐션스프링(55)이 구비되는 재봉틀 회전북장치에 있어서,
    상기 보빈케이스 보디(50)는 상기 인출공(54)의 인입부에 상기 텐션스프링이 놓치는 밀실의 이탈을 저지하기 위한 텐션 보조스프링(57)이 더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텐션 보조스프링이 구비된 재봉틀의 회전북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텐션 보조스프링(57)은 보빈케이스 보디의 인출공(54) 인입부 외주연에 빗장타입으로 밀착되어 밑실의 이탈을 저지하는 빗장부(57a)와 보빈케이스 보디 주벽(53)에 고정되는 고정부(57b)로 형성되고,
    상기 빗장부(57a)의 선단(57aa)은 밑실의 유입이 용이하도록 경사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텐션 보조스프링이 구비된 재봉틀의 회전북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텐션 보조스프링의 고정부(57b)는 상기 빗장부(57a)로부터 텐션스프링(55)의 두께를 수용하는 단차가 절곡형성되고 상기 텐션스프링(55)과 겹쳐서 보빈케이스 보디의 주벽(53)에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텐션 보조스프링이 구비된 재봉틀의 회전북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텐션 보조스프링(57)은 상기 텐션스프링(55)과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텐션 보조스프링이 구비된 재봉틀의 회전북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케이스 보디(50)는 상기 인출공(54)으로의 밑실 유입이 용이하도록 인출공(54)의 인입부 양측에 가이드홈(52)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텐션 보조스프링이 구비된 재봉틀의 회전북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공(54) 인입부의 가이드홈(52)은 일측으로 상기 텐션 보조스프링(57)의 선단부를 벗어난 영역에서 경사면으로 시작되는 제1단홈(52a)과, 타측으로 상기 텐션 보조스프링(57)에 의하여 덮이며 상기 제1단홈(52a)에 비하여 깊숙이 파여 단차를 이루는 제2단홈(52b)이 대향하여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텐션 보조스프링이 구비된 재봉틀의 회전북장치.
KR1020070044985A 2007-05-09 2007-05-09 텐션 보조스프링이 구비된 재봉틀의 회전북장치 KR1008199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4985A KR100819905B1 (ko) 2007-05-09 2007-05-09 텐션 보조스프링이 구비된 재봉틀의 회전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4985A KR100819905B1 (ko) 2007-05-09 2007-05-09 텐션 보조스프링이 구비된 재봉틀의 회전북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19905B1 true KR100819905B1 (ko) 2008-04-08

Family

ID=395339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4985A KR100819905B1 (ko) 2007-05-09 2007-05-09 텐션 보조스프링이 구비된 재봉틀의 회전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990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78565U (ko) 1975-12-09 1977-06-11
JPS5461758U (ko) 1977-10-05 1979-04-28
JPS627989U (ko) 1985-06-29 1987-01-17
JPH0652780U (ja) * 1992-12-22 1994-07-19 ジューキ株式会社 針振りミシンのボビンケース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78565U (ko) 1975-12-09 1977-06-11
JPS5461758U (ko) 1977-10-05 1979-04-28
JPS627989U (ko) 1985-06-29 1987-01-17
JPH0652780U (ja) * 1992-12-22 1994-07-19 ジューキ株式会社 針振りミシンのボビンケース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3280B1 (ko) 재봉기기 밑실공급장치
KR101492604B1 (ko) 윗실교차 구조가 구비된 밑실공급장치
KR101626018B1 (ko) 보빈케이스베이스가 구비된 윗실교차형 밑실공급장치
KR100819905B1 (ko) 텐션 보조스프링이 구비된 재봉틀의 회전북장치
KR101180219B1 (ko) 재봉틀용 밑실 보빈
KR100515898B1 (ko) 재봉틀의 회전북장치
KR102189146B1 (ko) 재봉틀의 밑실 공급장치
TWM462755U (zh) 繞線件外殼組件以及具有繞線件外殼組件之立式成環器和縫紉機
KR101519484B1 (ko) 밑실 이탈방지수단이 구비된 재봉틀용 회전북장치
JP2002095883A (ja) ミシンの糸検知装置
JP2017029658A (ja) ボビンレス下糸連続供給装置
KR200209958Y1 (ko) 자수기용 북에 있어서 엉킴 방지구조
KR20140028339A (ko) 보빈캡
US20220220650A1 (en) Rotary shuttle for sewing machine
KR950011286B1 (ko) 재봉기의 밑실(下絲) 공급장치
JP3099946U (ja) ミシンの下糸供給装置
KR100559999B1 (ko) 일부개방형 안전 보빈케이스 보디를 구비한 재봉틀의회전북장치
KR100819906B1 (ko) 바늘 부러짐이 방지되는 재봉틀의 회전북장치
CN211198212U (zh) 一种纺织机械用纱筒装置
KR100844102B1 (ko) 밑실 장력이 안정되는 재봉틀의 회전북장치
KR200383865Y1 (ko) 재봉틀 회전북장치의 프리바운드 보빈
JP2960363B2 (ja) ボビンケース
KR200364370Y1 (ko) 일부 개방형 보빈케이스 보디를 구비한 재봉틀의회전북장치
KR100860774B1 (ko) 윗실 끼임이 방지되는 재봉틀의 회전북장치
KR200339538Y1 (ko) 재봉틀의 자수용 회전북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