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3865Y1 - 재봉틀 회전북장치의 프리바운드 보빈 - Google Patents

재봉틀 회전북장치의 프리바운드 보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3865Y1
KR200383865Y1 KR20-2005-0004072U KR20050004072U KR200383865Y1 KR 200383865 Y1 KR200383865 Y1 KR 200383865Y1 KR 20050004072 U KR20050004072 U KR 20050004072U KR 200383865 Y1 KR200383865 Y1 KR 20038386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bbin
sewing machine
flange
wound
thr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40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철
Original Assignee
코베스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베스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베스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5-00040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386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386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3865Y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57/00Loop takers, e.g. loopers
    • D05B57/08Loop takers, e.g. loopers for lock-stitch sewing machines
    • D05B57/10Shuttles
    • D05B57/14Shuttles with rotary hook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57/00Loop takers, e.g. loopers
    • D05B57/28Applications of bobbins for storing the lower thread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CEMBROIDERING; TUFTING
    • D05C11/00Devices for guiding, feeding, handling, or treating the threads in embroidering machines; Machine needles; Operating or control mechanisms therefor
    • D05C11/18Shuttles ; Shuttle holders; Shuttle driv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사용자의 와인딩작업이 불필요한 프리바운드 보빈에 있어서, 권취된 밑실의 허실이 없으며 보빈교체 주기가 현저히 연장되어 생산성이 획기적으로 향상되도록 하는 재봉틀 회전북장치의 프리바운드 보빈에 관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재봉틀의 회전북 장치에서 밑실이 권취되는 보빈에 있어서, 상기 보빈은 축봉과 상기 축봉의 일측 선단에 플랜지가 형성되는 1플랜지형 보빈으로 구성되고, 상기 1플랜지형 보빈에 밑실이 권취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재봉틀 회전북장치의 프리바운드 보빈{A PRE-WOUND BOBBIN FOR SEWING MACHINE ROTARY SHUTTLE DEVICE}
본 고안은 사용자의 와인딩작업이 불필요한 프리바운드 보빈에 있어서, 권취된 밑실의 허실이 없으며, 보빈교체 주기가 현저히 연장되어 생산성이 획기적으로 향상되도록 하는 재봉틀 회전북장치의 프리바운드 보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재봉틀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밑실을 공급하기 위한 회전북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이 회전북장치는 동력장치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구동축(110)에 장착되며 겉가마라고도 칭해지는 후크보디(Hook Body)(120)와, 후크보디(120)에 수납되는 보빈케이스(Bobbin Case: BC)와 밑실이 감겨지는 보빈(Bobbin)(140)으로 구성되며, 상기 보빈케이스(BC)는 다시 후크보디(120)에 수용되며 속가마라고도 불리는 보빈케이스 베이스(Bobbin Case Base)(130)와, 보빈(140)외측에서 보빈을 수납하기 위한 보빈케이스 보디(Bobbin Case Body)(150)로 구성된다.
상기 보빈케이스 베이스(130)의 바닥에는 스터드(131)가 입설되어 있으며, 그 스터드(131)에는 보빈(140)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보빈케이스 보디(150)에는 상기 보빈케이스 베이스(130)에 형성되는 스터드봉(131)에 대한 체결 및 해제와 착탈시 보빈(140)을 잡아주기 위한 레버인 래치(Latch)(151)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회전북 장치의 작동을 살펴보면 구동축(110)의 회전에 의하여 후크보디(120)가 회전하며 윗실을 걸어 보빈케이스(BC: 130,150)를 휘감는 올가미를 형성하면서 보빈(140)으로부터 풀려나와 보빈케이스 보디(150)의 밑실배출구를 통하여 인출되는 밑실이 윗실 올가미에 걸어 올려짐으로 재봉작업이 이루어진다.
또한, 재봉틀에는 일련의 재봉구동이 완료됨과 동시에 밑실의 절단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는 사절(絲切)장치가 구비됨으로써 재봉구간 마다 밑실을 수작업으로 절단하는 수고를 덜어주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사절장치에 따른 재봉작업에 있어서 테이블이 움직이지 않는 일반적인 재봉틀의 경우에는 밑실의 취출위치가 고정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문제가 없으나, 테이블이 움직이는 자수용 재봉틀의 경우에는 밀실 절단(絲切) 후 다음 작업시 밑실의 취출위치가 일정하지 못함으로 밑실 가이드수단이 구비된다.
밑실의 취출위치를 정위치로 잡아 주기 위한 가이드수단이 구비된 종래 기술의 보빈케이스 보디(150)는 바늘이 내려오는 방향으로 가이드(155)가 구비되어 여기에 밑실이 꿰어져 취출 위치가 가이드되며, 사절 및 다음 작업 시작시에는 밀실이 유동되지 않도록 집게모양의 피크(3)가 재봉틀 몸체에 장착되어 있다가 레버장치에 의하여 상기 가이드(155)의 양측으로 내려와 보빈의 플랜지(143)를 잡아주게 된다.
한편, 축봉(141)의 양측에 플랜지(143)가 구비되는 종래 기술의 보빈(140)은 상기 플랜지(143)로 인하여 밀실이 감겨질 수 있는 공간이 줄어들게 되어 밑실용량을 감축시키는 한편, 사용자가 보빈에 밑실을 직접 와인딩해야 함으로 생산성을 저하시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보빈에서 양측 플랜지를 배제하고 플랜지가 점유했던 공간을 밑실권취공간으로 전환하여 밑실용량을 늘림과 동시에 사용자가 직접 보빈에 실을 와인딩하는 수고를 덜어주도록 하는 일회용 프리바운드 보빈(Pre-Wound Bobbin)이 제안되어 있다.
종래 기술의 프리바운드 보빈(200)은 사용자의 와인딩작업이 불필요함과 아울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빈에서 양측의 플랜지가 배제된 채, 축봉(201)에 접착성을 갖는 코팅제가 입혀진 밑실(70)이 와인딩되므로 접착 권취에 의하여 기존의 보빈 밑실 권취량에 비하여 단위 공간당 권취용량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이 밀실 사절 및 사절 이후 다시 작업을 시작할 때는 상기 피크(3)가 밀실의 유동이 방지되도록 잡아주어야 됨으로, 보빈의 플랜지가 배재된 프리바운드 보빈(200)의 경우에는 피크가 잡아주기 위한 최소한의 직경을 가지고 있어야 된다. 이 때 피크(3)가 잡아주기 위한 최소한의 직경(D)은 재봉틀의 설계 구조상 적어도 ø18㎜ 이상이다. 그리고 자수용 재봉틀의 회전북 장치에서 밑실(70)의 잔존 권취량이 피크(3)가 잡을 수 없을 정도로 프리바운드 보빈의 직경(D)이 작아지면 사절 후 다음 작업 시작이 불가능하고, 이에 따라 소정 직경(D) 이하로 잔존하는 밑실은 사용이 불가능하여 실제로는 권취량이 약 1/3 정도 남아있는 상태에서 폐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막대한 량의 실이 손실될 뿐만 아니라 사절 불량이 발생되어 재봉품질을 저하시키고 생산성이 떨어져 와인딩 수고를 덜어주는 장점에도 불구하고 활용도가 미미한 상태에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프리바운드 보빈에 있어서, 권취된 실을 남김없이 사용하게 됨으로써 밑실의 허실이 없으며, 보빈교체 주기가 현저히 연장되어 생산성이 획기적으로 향상되도록 하는 재봉틀 회전북장치의 프리바운드 보빈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는 본 고안에 따른 재봉틀 회전북장치의 프리바운드 보빈은, 재봉틀의 회전북 장치에서 밑실이 권취되는 보빈에 있어서,
상기 보빈은 축봉과 상기 축봉의 일측 선단에 플랜지가 형성되는 1플랜지형 보빈으로 구성되고, 상기 1플랜지형 보빈에 밑실이 권취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재봉틀 회전북장치의 프리바운드 보빈에 대한 일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구성을 보이는 프리바운드 보빈(A)의 사시도, 도 4는 1플랜지형 보빈(60)의 사시도, 도 5는 도 3의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재봉틀 회전북장치의 프리바운드 보빈(A)은, 재봉틀의 회전북 장치에서 밑실이 권취되는 보빈에 있어서, 상기 보빈은 축봉(61)과 상기 축봉(61)의 일측 선단에 플랜지(63)가 형성되는 1플랜지형 보빈(60)으로 구성되고, 상기 1플랜지형 보빈(60)에 밑실(70)이 권취되어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밑실(70)은 코팅재로 인하여 접착 권취된다.
상기 1플랜지형 보빈(60)의 플랜지(63)는 직경(63d)의 크기가 18㎜에서 보빈케이스 보디에 수용가능한 최대 치수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플랜지 직경(63d)은 피크(3)가 잡을 수 있는 최소한의 크기인 18㎜에서 보빈케이스 보디에 수용가능한 최대 치수인 23.5㎜ 이내로 되는 것이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랜지(63)는 직경(63d)의 크기가 18 ~ 18.5㎜ 구성되고, 이와 같이 플랜지의 직경(63d)이 작아짐으로 발생된 공간에 밑실(70)이 권취되어 플랜지(63)의 면과 권취된 밀실(70)이 평탄면을 이루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재봉틀 회전북장치의 프리바운드 보빈(A)은 상기 1플랜지형 보빈(60)이 수지재로 이루어지며 여기에 밑실이 접착 권취되는 1회용으로 제조된다.
이러한 구성을 지닌 본 고안의 재봉틀 회전북장치의 프리바운드 보빈(A)은 일측에 플랜지(63)가 형성됨으로써 사절 및 다음 작업 시작시 작동하는 피크(3)가 플랜지(63)를 통하여 보빈을 잡아주도록 한다.
따라서, 권취된 밑실(70)을 손실 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사절시 작동하는 피크(3)가 밑실(70)에 직접 접하지 않고 상기 플랜지(63)를 눌러 프리바운드 보빈(A)의 유동을 저지함으로 밑실의 잔존량과 무관하게 피크가 프리바운드 보빈을 잡을 수 있어 권취된 밑실을 모두 재봉작업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플랜지 직경(63d)을 최소로 형성하고 플랜지가 작아진 만큼 발생되는 공간에 밑실을 권취함으로써 밑실용량을 더욱 늘릴 수 있다(도 6 참조).
이와 같은 본 고안은 공장에서 대량으로 제조되는 일회용 소모품으로서 사용자가 밑실을 보빈에 권취하는 와인딩작업이 불필요하고, 밀착 권취에 의하여 밀실용량이 증대되며 또한, 권취량을 잔존량 없이 모두 사용하게 됨으로써 밑실의 허실이 없으며, 보빈교체 주기가 현저히 연장되어 실제 작업생산성이 약 210 퍼센트 이상 증대된다.
본 고안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재봉틀 회전북장치의 프리바운드 보빈은 사용자의 와인딩작업이 불필요한 프리바운드 보빈에 있어서, 권취된 실을 남김없이 사용하게 됨으로써 밑실의 허실이 없으며, 보빈교체 주기가 현저히 연장되어 작업생산성이 획기적으로 향상되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회전북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의 프리바운드 보빈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프리바운드 보빈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1플랜지형 보빈의 사시도
도 5는 도 3의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일 실시예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본 고안의 프리바운드 보빈 3: 피크
60: 1플랜지형 보빈 61: 축봉 63: 플랜지
70: 밑실 100: 일반적인 자수용 회전북 장치
110: 구동축 130: 보빈케이스 베이스
131: 스터드봉 140: 보빈 150: 보빈케이스 보디
200: 종래 기술의 프리바운드 보빈

Claims (3)

  1. 재봉틀의 회전북 장치에서 밑실이 권취되는 보빈에 있어서,
    상기 보빈은 축봉(61)과 상기 축봉의 일측 선단에 플랜지(63)가 형성되는 1플랜지형 보빈(60)으로 구성되고, 상기 1플랜지형 보빈(60)에 밑실(70)이 권취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 회전북장치의 프리바운드 보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1플랜지형 보빈(60)의 플랜지는 직경(63d)의 크기가 18㎜에서 보빈케이스 보디에 수용가능한 최대 치수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 회전북장치의 프리바운드 보빈.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는 직경(63d)의 크기가 18 ~ 18.5㎜ 구성되고,
    상기 플랜지의 직경(63d)이 작아짐으로 발생된 공간에 밑실(70)이 권취되어 플랜지(63)의 면과 권취된 밀실이 평탄면을 이루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 회전북장치의 프리바운드 보빈.
KR20-2005-0004072U 2005-02-16 2005-02-16 재봉틀 회전북장치의 프리바운드 보빈 KR20038386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4072U KR200383865Y1 (ko) 2005-02-16 2005-02-16 재봉틀 회전북장치의 프리바운드 보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4072U KR200383865Y1 (ko) 2005-02-16 2005-02-16 재봉틀 회전북장치의 프리바운드 보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3865Y1 true KR200383865Y1 (ko) 2005-05-10

Family

ID=43685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4072U KR200383865Y1 (ko) 2005-02-16 2005-02-16 재봉틀 회전북장치의 프리바운드 보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386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67419B2 (en) Upper thread cassette and upper thread changing device
JP2008297078A (ja) 糸条巻取機
CN102730486B (zh) 自动络纱机
JP2014508613A (ja) コンピュータ刺繍ミシンにおける下糸自動交換装置のボビン自動供給機
KR200383865Y1 (ko) 재봉틀 회전북장치의 프리바운드 보빈
JPH06304369A (ja) ミシンのボビン交換装置
KR101032967B1 (ko) 재봉틀 밑실공급장치
JP3797326B2 (ja) 上糸カセット付きミシン及び上糸カセット
KR101180219B1 (ko) 재봉틀용 밑실 보빈
KR100740523B1 (ko) 재봉틀의 밑실공급장치
KR20120018216A (ko) 고속 박음질이 가능한 셔틀케이스
KR200339538Y1 (ko) 재봉틀의 자수용 회전북 장치
JP3156611U (ja) ボビン整理収納箱
KR200339543Y1 (ko) 재봉틀용 회전 북 장치의 보빈 및 밑실뭉치
JP2736225B2 (ja) 下糸自動供給装置
KR101478281B1 (ko) 셔틀케이스
KR200429000Y1 (ko) 외부에서 밑실이 공급되는 밑실공급장치
KR200209958Y1 (ko) 자수기용 북에 있어서 엉킴 방지구조
JP4266438B2 (ja) 下糸自動供給装置およびボビンケース
CN212503351U (zh) 一种金银线绕线筒装置
CN215713860U (zh) 一种厚料自动缝纫机构
KR100819905B1 (ko) 텐션 보조스프링이 구비된 재봉틀의 회전북장치
JP2013034494A (ja) ミシン用釜
KR200280939Y1 (ko) 재봉기 및 자수기의 보빈보관장치
JPH071110Y2 (ja) ミシンにおける糸結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503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