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9999B1 - 일부개방형 안전 보빈케이스 보디를 구비한 재봉틀의회전북장치 - Google Patents

일부개방형 안전 보빈케이스 보디를 구비한 재봉틀의회전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9999B1
KR100559999B1 KR1020050032992A KR20050032992A KR100559999B1 KR 100559999 B1 KR100559999 B1 KR 100559999B1 KR 1020050032992 A KR1020050032992 A KR 1020050032992A KR 20050032992 A KR20050032992 A KR 20050032992A KR 100559999 B1 KR100559999 B1 KR 1005599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bbin
bobbin case
case body
lower thread
partially op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29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철
Original Assignee
코베스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베스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베스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329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99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99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99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 E06B9/11Roller shutters
    • E06B9/17Parts or details of roller shutters, e.g. suspension devices, shutter boxes, wicket doors, ventilation open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 E06B9/11Roller shutters
    • E06B9/15Roller shutters with closing members formed of slats or the like
    • E06B2009/1505Slat details
    • E06B2009/1516Means to increase resistance against bending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 E06B9/11Roller shutters
    • E06B9/15Roller shutters with closing members formed of slats or the like
    • E06B2009/1533Slat connections
    • E06B2009/155Slats connected by separate elements
    • E06B2009/1566Rigid elements, e.g. hinges, hooks or prof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 E06B9/11Roller shutters
    • E06B9/17Parts or details of roller shutters, e.g. suspension devices, shutter boxes, wicket doors, ventilation openings
    • E06B2009/17053Door in shutter screen; wicket do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밑실 수용공간을 확장시키는 일부개방형 보빈케이스 보디에 있어서 밑실의 인출이 보빈케이스 내측으로 인출되게 함으로써 프리바운드 보빈을 적용할 경우에도 일부개방형 보빈케이스 보디의 특성인 밑실량 증대에 따른 작업성 향상 및 재봉품질 향상이 원활하고 안전하게 구현되도록 하는 일부개방형 안전 보빈케이스 보디를 구비한 재봉틀의 회전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구동축에 장착되는 후크보디(Hook Body), 상기 후크보디에 수용되고 바닥에는 스터드가 입설되어 있는 보빈케이스 베이스(Bobbin Case Base)와 보빈을 외측에서 잡아주되 주벽이 밑실인출공 및 텐션스프링 지지홀이 형성되며 텐션스프링이 설치되는 밑실인출영역인 일부만 남기고 나머지 부분은 개방되는 일부개방형 보빈케이스 보디(Bobbin Case Body)로 이루어지는 보빈 케이스(Bobbin Case), 상기 보빈케이스 내에 설치되며 밑실이 권취되는 보빈(Bobbin)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재봉틀 회전북장치에 있어서, 상기 일부개방형 보빈케이스 보디는 밑실이 보빈케이스 내측으로 인출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주벽의 밑실 최종 인출부위에 가이드통로가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통로는 상기 텐션스프링 지지홀을 기점으로 마구리의 반대방향으로 트인 절개홈 형태로 형성되고, 주벽의 상기 가이드통로 양측 선단은 둥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일부개방형 안전 보빈케이스 보디를 구비한 재봉틀의 회전북장치{A ROTARY SHUTTLE DEVICE WITH A SAFETY PART OPENED BOBBIN CASE BODY FOR SEWING MACHINE}
도 1은 종래 기술1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출원인에 의한 선행 기술의 보빈케이스 보디의 사시도
도 3a는 도 1의 사용중 발생되는 트러블 예시도1
도 3b는 도 2의 사용중 발생되는 트러블 예시도 2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일부개방형 안전 보빈케이스 보디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4의 다른 일 실시예의 사시도
도 7은 도 5에 밀실이 걸어진 상태의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사용방법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본 발명의 회전북장치 10: 구동축
20: 후크보디 BC: 보빈케이스
30: 보빈케이스 베이스 31; 스터드
40: 보빈 40A: 프리바운드 보빈
50, 50A: 일부개방형 안전 보빈케이스 보디
50a: 주벽 51: 밑실 인출공
52: 텐션스프링 지지홀 53: 가이드통로
54: 래치 54a: 밑실가이드
55: 텐션스프링 100: 종래 기술1의 회전북장치
250: 종래 기술2의 일부개방형 보빈케이스 보디
본 발명은 재봉틀의 회전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밑실 수용공간을 확장시키는 일부개방형 보빈케이스 보디에 있어서 밑실의 인출이 보빈케이스 내측으로 인출되게 함으로써 프리바운드 보빈을 적용할 경우에도 일부개방형 보빈케이스 보디의 특성인 밑실량 증대에 따른 작업성 향상 및 재봉품질 향상이 원활하고 안전하게 구현되도록 하는 일부개방형 안전 보빈케이스 보디를 구비한 재봉틀의 회전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재봉틀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밑실을 공급하기 위한 종래 기술1의 회전북장치(100)가 설치되어 있다. 이 회전북장치(100)는 동력장치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구동축(110)에 장착되며 겉가마라고도 칭해지는 후크보디 (Hook Body)(120)와, 후크보디(120)에 수납되는 보빈케이스(Bobbin Case: BC)와 밑실이 권취되는 보빈(Bobbin)(140)으로 구성되며, 상기 보빈케이스(BC)는 다시 후크보디(120)에 수용되며 속가마라고도 불리는 보빈케이스 베이스(Bobbin Case Base)(130)와, 보빈(140) 외측에서 보빈을 수납하기 위한 보빈케이스 보디(Bobbin Case Body)(150)로 구성된다.
상기 보빈케이스 보디(150)는 보빈으로부터 풀려나오는 밑실을 재봉영역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래치(151)가 형성된 마구리부152)와 주벽(153)으로 형성되며, 주벽(153) 일측에는 보빈(140)으로부터 풀리는 밑실을 인출시키기 위한 인출공(154)이 형성되고, 이 인출공(154)을 통해 나오는 밑실을 안내하고 또한 밑실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곡판스프링태의 텐션스프링(155)이 구비된다.
이와 같은 보빈케이스 보디(150)가 삽입 설치되는 상기 보빈케이스 베이스(130)의 바닥에는 보빈(140)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기 위한 스터드(131)가 입설되어 있으며, 보빈케이스 보디(150)의 텐션스프링(155)이 형성된 부분이 결합되기 위하여 주벽의 일부가 낮게 형성되는 단차부(133)가 형성되고 상기 주벽 일측에는 윗실이 꿰어진 바늘이 출입하는 관통홀(135)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135)에 인접하는 주벽 선단에 가이드홈(137)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보빈 케이스(BC)의 구성에 따라, 보빈(140)으로부터 풀린 밑실은 보빈케이스 보디(150) 주벽(153)의 밑실 인출공(154) 및 상기 텐션스프링(155)을 경유하여 보빈케이스 베이스(130)의 상기 가이드홈(137)을 통하여 빠져나가게 된다.
상기 회전북 장치의 작동을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구동축(110)의 회전에 의하 여 후크보디(120)가 회전하며 윗실을 걸어 보빈케이스(BC: 130,150)를 휘감는 올가미를 형성하면서 보빈(140)으로부터 풀려나와 보빈케이스 보디(150)의 밑실 인출공(154), 텐션스프링(155) 및 상기 보빈케이스 베이스의 가이드홈을 통하여 인출되는 밑실이 윗실 올가미에 걸어 올려짐으로 재봉작업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재봉작동은 1차적으로 윗실이 밑실을 원활하게 걸어올릴 수 있어야 하며, 윗실과 밑실의 장력이 균형을 이루어야 한다. 만약 밑실의 장력이 적정장력보다 강하거나 약하게 되면 실이 끊어지는 단사가 발생되거나 실이 늘어지는 루프현상(타올현상) 등이 발생되어 작업진행에 지장을 주며 재봉품질을 저하시키게 된다.
한편, 밑실의 권취용량이 많아지면 보빈교체가 줄어들게 되어 작업 생산성이 증대될 뿐만 아니라 봉제품질을 향상시키게 되므로 이를 위한 다양한 노력들이 경주되고 있으며, 본 출원인은 밑실량 증대를 위한 기술로서, 특허출원 제2004-51875호 "일부개방형 보빈케이스 보디를 구비한 재봉틀의 회전북장치"를 제안한바 있다.
상기 선출원 기술의 기술적 요지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빈케이스 보디(250)가 주벽의 반경이 확장되며 밑실 인출공 및 텐션스프링(255)이 설치되는 영역인 밑실인출부(253A)만 살려지고 나머지 영역은 개방되는 일부개방형태로 구성되어 밑실권취 공간을 확장하고, 이에 따라 보빈케이스 베이스는 상기 밑실인출부(253A)의 선단부가 삽입 수용되기 위하여 주벽의 내주면 일부에 함몰부가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구성은 보빈케이스 보디의 주벽을 개방형태로 하여 밑실 수용공간을 늘 림과 아울러 밑실의 장력이 적정하게 유지되는 장점을 갖는다. 반면에 공간상의 제약으로 인하여 최종 밑실 인출위치가 주벽 밖으로 나오도록 설계되어 있다.
그런데, 보빈에서 양측 플랜지가 배제되고 실의 꼬임이 강하게 접착된 형태로 감겨있는 프리바운드 보빈(PRE-WOUND BOBBIN)(40A)(도 4 참조)의 경우에는 실의 꼬임이 강하므로 후크보디(120) 회전시 꼬여서 늘어지게 되고, 이 늘어진 부분이 후크보디의 텅(121)에 걸려 들어가 밑실(T)이 단사되거나 또한 밑실 단사 상태에서 보빈케이스의 강제회전으로 인해 보빈케이스(BC)의 위치가 바뀌면서 바늘을 부러뜨리는 사례가 발생되었다(도 3a 참조).
또한, 밑실이 보빈케이스 보디의 밑실가이드(251a)가 돌출 구비되는 래치(251)를 통하여 인출되는 자수용 회전북장치의 경우에는 밑실(T)이 보빈케이스 보디(250A)의 윗면으로 걸치게 되는데, 이 경우 자수봉제 사절후 다음 작업 시작시 보빈케이스 보디의 윗면으로 걸쳐진 밑실(T)을 윗실이 밀게되어 사절된 밑실의 길이가 짧아짐으로 자수 봉제작업에 불량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나타났다(도 3b 참조).
이와 같이 상기 일부개방형 보빈케이스 보디(250)(250A)는 밑실량 증대 및 적정장력 유지라는 탁월한 장점을 가지고 있음에도 프리바운드 보빈을 적용할 시에는 몇가지 해결해야 될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밑실 수용공간을 확장시키는 일부개방형 보빈케이스 보디에 있어서 밑실의 인출이 보빈케이스 내측으로 인출되게 함으로써 프리바운드 보빈을 적용할 경우에도 일부개방형 보빈케이스 보디의 특성인 밑실량 증대에 따른 작업성 향상 및 재봉품질 향상이 원활하고 안전하게 구현되도록 하는 일부개방형 안전 보빈케이스 보디를 구비한 재봉틀의 회전북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에 따른 일부개방형 안전 보빈케이스 보디를 구비한 재봉틀의 회전북장치는, 구동축에 장착되는 후크보디(Hook Body), 상기 후크보디에 수용되고 바닥에는 스터드가 입설되어 있는 보빈케이스 베이스(Bobbin Case Base)와 보빈을 외측에서 잡아주되 주벽이 밑실인출공 및 텐션스프링 지지홀이 형성되며 텐션스프링이 설치되는 밑실인출영역인 일부만 남기고 나머지 부분은 개방되는 일부개방형 보빈케이스 보디(Bobbin Case Body)로 이루어지는 보빈 케이스(Bobbin Case), 상기 보빈케이스 내에 설치되며 밑실이 권취되는 보빈(Bobbin)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재봉틀 회전북장치에 있어서,
상기 일부개방형 보빈케이스 보디는 밑실이 보빈케이스 내측으로 인출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주벽의 밑실 최종 인출부위에 가이드통로가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통로는 상기 텐션스프링 지지홀을 기점으로 마구리의 반대방향으로 트인 절개홈 형태로 형성되고,
주벽의 상기 가이드통로 양측 선단은 둥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개방형 안전 보빈케이스 보디를 구비한 재봉틀의 회전 북장치에 대한 일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재봉틀 회전북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일부개방형 안전 보빈케이스 보디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일부개방형 안전 보빈케이스 보디를 구비한 재봉틀의 회전북장치(1)는, 구동축(10)에 장착되는 후크보디(Hook Body)(20), 상기 후크보디(20)에 수용되고 바닥에는 스터드(31)가 입설되어 있는 보빈케이스 베이스(Bobbin Case Base)(30)와 보빈을 외측에서 잡아주되 주벽(50a)이 밑실인출공(51) 및 텐션스프링 지지홀(52)이 형성되며 텐션스프링(55)이 설치되는 밑실인출영역인 일부만 남기고 나머지 부분은 개방되는 일부개방형 보빈케이스 보디(Bobbin Case Body)(50)로 이루어지는 보빈 케이스(Bobbin Case)(BC), 상기 보빈케이스(BC) 내에 설치되며 밑실이 권취되는 보빈(Bobbin)(4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재봉틀 회전북장치에 있어서,
상기 일부개방형 보빈케이스 보디(50)는 밑실이 보빈케이스(BC) 내측으로 인출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주벽(50a)의 밑실 최종 인출부위에 가이드통로(53)가 형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일부개방형 보빈케이스 보디(50)의 주벽(50a)에 형성되는 가이드통로(53)는 상기 텐션스프링 지지홀(52)을 기점으로 마구리(56)의 반대방향으로 트인 절개홈 형태로 형성되고, 주벽(50a)의 상기 가이드통로(53) 양측(53a)(53b) 선단은 둥글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통로(53)의 외측주벽(53a)은 내측주벽(53b)에 비하여 상기 텐션 스프링(55)에 근접하도록 마구리(56)로부터의 길이가 짧게 형성되며, 상기 텐션스프링(55)은 밑실이 상기 가이드통로(53)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저지하기 위한 빗장부(55a)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가이드통로(53)의 양측 선단이 둥글게 되고 외측 주벽(53a)은 내측주벽(53b)에 비하여 짧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가이드통로(53)를 통한 실(T)의 인출이 용이하게 수행되도록 한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일부개방 안전 보빈케이스 보디(50A)는 래치(54)에 밑실가이드(54a)가 돌출 구비되는 자수용으로 구성되기도 한다.
다시 말하면, 일부개방형 안전 보빈케이스 보디(50)(50A)에 상기 가이드통로(53)가 형성되는 기술은 일반 재봉틀의 회전북장치는 물론이고 자수용 회전북장치에도 공히 적용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일부개방형 안전 보빈케이스 보디를 구비한 재봉틀의 회전북장치(1)의 작용상태를 살펴본다.
보빈은 항상 실이 감겨진 방향의 역방향으로 나오도록 하여 보빈케이스 보디에 걸어지는데, 먼저 상기 주벽(50a)의 밑실인출공(51)을 통하여 끼워져 주벽(50a)의 외주연과 텐션스프링(55) 사이를 경유하면서 탄지된 다음 상기 가이드통로(53)를 통하여 보빈케이스 보디(50)(50A) 내측으로 인출되어 보빈케이스 베이스(30)의 가이드홈(37)으로 안내된다 (도 4, 도 7 참조).
이때, 상기 텐션스프링(55)의 빗장부(55a)로 인하여 밑실(T)은 텐션스프링 지지홀(52)을 통하여 보빈케이스 보디 내부로 안내되며 보빈케이스(BC) 외부로 불거지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밑실(T)이 고정적으로 보빈케이스 안쪽으로 나오게 됨으로써 후크보디(20)의 텅(21)에 걸릴 염려가 없고 단사 및 바늘 부러짐이 방지되어 봉제가 안전하고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자수용 보빈케이스 보디(50A)의 경우에도 밑실이 보빈케이스 보디의 마구리(56)쪽으로 불거지지 않게 되어 자수 재봉봉제의 불량 발생이 차단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밑실의 인출이 보빈케이스 내측으로 인출되게 함으로 밑실양을 증대시키는 개방형 보빈케이스 보디를 사용할 경우에도 밑실의 불거짐을 방지하여 재봉작업이 원활하게 수행되도록 하고 재봉 작업성 및 재봉품질을 향상토록 한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설명하였다. 여기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개방형 보빈케이스 보디를 구비한 재봉틀의 회전북장치는, 밑실수용공간을 확장시키는 일부개방형 보빈케이스 보디에 있어서, 밑실의 인출이 보빈케이스 내측으로 인출되게 함으로써 프리바운드 보빈을 적용할 경우에도 일부개방형 보빈케이스 보디의 특성인 밑실량 증대에 따른 작업성 향상 및 재봉품질 향상이 원활하고 안전하게 구현되도록 하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삭제
  2. 구동축(10)에 장착되는 후크보디(Hook Body)(20), 상기 후크보디(20)에 수용되고 바닥에는 스터드(31)가 입설되어 있는 보빈케이스 베이스(Bobbin Case Base)(30)와 보빈을 외측에서 잡아주되 주벽(50a)이 밑실인출공(51) 및 텐션스프링 지지홀(52)이 형성되며 텐션스프링(55)이 설치되는 밑실인출영역인 일부만 남기고 나머지 부분은 개방되는 일부개방형 보빈케이스 보디(Bobbin Case Body)(50)로 이루어지는 보빈 케이스(Bobbin Case)(BC), 상기 보빈케이스(BC) 내에 설치되며 밑실이 권취되는 보빈(Bobbin)(4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재봉틀 회전북장치에 있어서,
    상기 일부개방형 보빈케이스 보디(50)는 밑실이 보빈케이스(BC) 내측으로 인출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주벽(50a)의 밑실 최종 인출부위에 가이드통로(53)가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통로(53)는 상기 텐션스프링 지지홀(52)을 기점으로 마구리의 반대방향으로 트인 절개홈 형태로 형성되고,
    주벽(50a)의 상기 가이드통로(53) 양측(53a)(53b) 선단은 둥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일부개방형 안전 보빈케이스 보디를 구비한 재봉틀의 회전북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통로(53)의 외측주벽(53a)은 내측주벽(53b)에 비하여 상기 텐션스프링(55)에 근접하도록 마구리로부터의 길이가 짧게 형성되며,
    상기 텐션스프링(55)은 밑실이 상기 가이드통로(53)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저지하기 위한 빗장부(55a)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일부개방형 안전 보빈케이스 보디를 구비한 재봉틀의 회전북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케이스 보디(50A)는 래치(54)에 밑실가이드(54a)가 돌출 구비되는 자수용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일부개방형 안전 보빈케이스 보디를 구비한 재봉틀의 회전북장치.
KR1020050032992A 2005-04-21 2005-04-21 일부개방형 안전 보빈케이스 보디를 구비한 재봉틀의회전북장치 KR1005599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2992A KR100559999B1 (ko) 2005-04-21 2005-04-21 일부개방형 안전 보빈케이스 보디를 구비한 재봉틀의회전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2992A KR100559999B1 (ko) 2005-04-21 2005-04-21 일부개방형 안전 보빈케이스 보디를 구비한 재봉틀의회전북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59999B1 true KR100559999B1 (ko) 2006-03-13

Family

ID=371795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2992A KR100559999B1 (ko) 2005-04-21 2005-04-21 일부개방형 안전 보빈케이스 보디를 구비한 재봉틀의회전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9999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9907B1 (ko) 밑실가드가 구비된 재봉틀의 회전북장치
KR101828483B1 (ko) 재봉틀의 밑실 공급장치
KR100559999B1 (ko) 일부개방형 안전 보빈케이스 보디를 구비한 재봉틀의회전북장치
KR102018598B1 (ko) 단사방지수단을 구비한 히치 스티치용 회전북통
KR100515898B1 (ko) 재봉틀의 회전북장치
US2851977A (en) Loop takers for lock stitch sewing machines
KR102189146B1 (ko) 재봉틀의 밑실 공급장치
KR200395794Y1 (ko) 윗실 걸림방지 보빈케이스 보디를 구비한 재봉틀의회전북장치
KR200219042Y1 (ko) 재봉틀용 보빈
WO2006004243A1 (en) A rotary shuttle device with a part opened bobbin case body for sewing machine
US1995278A (en) Rotary hook and bobbin-case device for sewing machines
KR101276273B1 (ko) 재봉기의 실 절단장치
US5189973A (en) Looper which rotates in a horizontal plane for a double lock-stitch sewing machine
TWM462755U (zh) 繞線件外殼組件以及具有繞線件外殼組件之立式成環器和縫紉機
KR102018597B1 (ko) 단사방지수단을 구비한 히치 스티치용 회전북통
KR100355884B1 (ko) 재봉틀의보빈스레드단부파지장치및셔틀레이스캡
KR100961154B1 (ko) 단사 방지 재봉틀의 회전북장치
KR100860774B1 (ko) 윗실 끼임이 방지되는 재봉틀의 회전북장치
KR101733702B1 (ko) 보빈케이스베이스가 구비된 체인형 락스티치 밑실공급장치
JP3099946U (ja) ミシンの下糸供給装置
KR101828484B1 (ko) 재봉틀의 밑실 공급장치 및 재봉방법
KR20170139409A (ko) 지그재그 재봉용 수직전회전북통, 이 수직전회전북통에 의해 만들어진 스티치 및 스티치제조방법
KR100819905B1 (ko) 텐션 보조스프링이 구비된 재봉틀의 회전북장치
KR100819906B1 (ko) 바늘 부러짐이 방지되는 재봉틀의 회전북장치
KR200364370Y1 (ko) 일부 개방형 보빈케이스 보디를 구비한 재봉틀의회전북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