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7171B1 - 강 주조 빌렛, 특히 주괴 또는 예비 프로파일 형태의 강주조 빌렛을 연속 주조하고 연이어 성형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강 주조 빌렛, 특히 주괴 또는 예비 프로파일 형태의 강주조 빌렛을 연속 주조하고 연이어 성형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7171B1
KR100817171B1 KR1020037004264A KR20037004264A KR100817171B1 KR 100817171 B1 KR100817171 B1 KR 100817171B1 KR 1020037004264 A KR1020037004264 A KR 1020037004264A KR 20037004264 A KR20037004264 A KR 20037004264A KR 100817171 B1 KR100817171 B1 KR 1008171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llet
section
casting
cross
continuous ca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42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64758A (ko
Inventor
아돌프 자예버
토마스 페스트
디르크 레트첼
빌프리트 밀레브스키
Original Assignee
에스엠에스 데마그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엠에스 데마그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에스엠에스 데마그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0300647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47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71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71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2Accessories for subsequent treating or working cast stock in situ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2Accessories for subsequent treating or working cast stock in situ
    • B22D11/1206Accessories for subsequent treating or working cast stock in situ for plastic shaping of stra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2Accessories for subsequent treating or working cast stock in situ
    • B22D11/124Accessories for subsequent treating or working cast stock in situ for cooling
    • B22D11/1246Nozzles; Spray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6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or operations
    • B22D11/20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or operations for removing cast sto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6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or operations
    • B22D11/22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or operations for cooling cast stock or mould
    • B22D11/225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or operations for cooling cast stock or mould for secondary coo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inuous Casting (AREA)
  • Metal Ro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후속 처리 및 최종 용도에 있어 편석 및 다공이 중요한 강 품질을 고려하여 2차 냉각부(4) 및 빌렛 지지부(11)를 주조 빌렛 횡단면(1a)의 냉각 상태에 맞춰 적합화시키는, 강 주조 빌렛(1), 특히 주괴(2) 또는 예비 프로파일 형태의 강 주조 빌렛을 연속 주조하고 연이어 성형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내부 품질의 개선은 물론 표면 품질에 대한 개선까지 기하는 조치를 구현하기 위해, 2차 냉각부(4)를 그 기하학적 구성에 있어 주조 빌렛(1)의 각각의 경로 구간의 길이(6)를 따른 주조 빌렛(1)의 응고 프로파일(5)에 맞춰 그와 유사하게 각각 적합화시키고, 빌렛 지지부(11)도 역시 각각의 다음 경로 구간의 길이(6)를 따른 주조 빌렛(1)의 응고 프로파일(5)에 의존하여 그와 유사하게 감축시킨다.
Figure 112007073324998-pct00008
강 주조 빌렛, 연속 주조, 성형, 2차 냉각부, 빌렛 지지부, 응고 프로파일

Description

강 주조 빌렛, 특히 주괴 또는 예비 프로파일 형태의 강 주조 빌렛을 연속 주조하고 연이어 성형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DEVICE FOR CONTINUOUS CASTING AND SUBSEQUENT FORMING OF A STEEL BILLET, ESPECIALLY A BILLET IN THE FORM OF AN INGOT OR A PRELIMINARY SECTION}
본 발명은 2차 냉각부를 빌렛 진로에서의 주조 빌렛 횡단면의 냉각 상태에 의존하여 적합화시키되 2차 냉각부를 적어도 코너 구역에서 감축시키는, 강 주조 빌렛, 특히 주괴 또는 예비 프로파일 형태의 강 주조 빌렛을 연속 주조하고 연이어 성형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각종의 강 종류 및 치수 또는 형태를 연속 주조할 경우에는 통상적으로 2차 냉각부에서만 빌렛 쉘 성장에 대해 주목하고, 성형 구간에서만 크레이터 첨두부의 위치에 대해 각각 주목하게 된다. 즉, 주조 빌렛을 성형 구간에서 원하는 최종 두께가 생성될 정도로 압착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EP 0 804 981 A1). 다만, 그렇게 하는데는 그로부터 성형력이 웨지 면(wedge face)에 수평으로 인가되는 크레이터 첨두부의 위치를 규명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한 방법은 대략적인 것으로, 기대하고자 하는 조직에 대한 고려를 전혀 하고 있지 않다. 그 이유는 열이 빌렛 횡단면으로부터 불균일하게 반출되면서 열악한 냉각 및 일률적인 빌렛 지지로 인해 열 분포가 불리하게 되는데 있다. 2차 냉각부를 빌렛 지지부에 매칭시키는 것도 역시 행해지고 있지 않다.
서두에 언급된 방법은 경압하 구간을 동반한 연속 주조 방법을 개시하고 있는 JP-A-03 090258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그 문헌에서는 빌렛 폭을 덮는 일련의 분사 노즐 중에서 개개의 외측 분사 노즐의 작동을 끊음으로써, 주조 빌렛의 냉각을 빌렛의 응고 상태에 맞춰, 보다 정확히 말하자면 크레이터의 감소에 의존하여 적합화시킨다. 따라서, 2차 냉각부의 기하학적 형태는 계속적으로 그대로 유지된다. 그를 위해, 코너에서의 주조 빌렛 횡단면의 냉각을 제한한다. 그러한 방법은 빌렛 진로에서 생기는 냉각 상태를 단지 매우 개략적으로만 파악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2차 냉각부, 빌렛 지지부, 및 성형 온도를 서로에 맞춰 적합화시켜 주조하기 매우 어려운 강 종류, 보다 정확히 말해서 후속 처리 및 최종 용도를 위해 편석 및 다공이 중요한 일체의 강 품질까지 주조할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내부 품질을 개선시키는 이외에 표면 품질에 대한 개선도 기하는 조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한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2차 냉각부를 그 기하학적 구성에 있어 주조 빌렛의 다음 경로 구간의 길이를 따른 주조 빌렛의 응고 프로파일에 맞춰 그와 유사하게 각각 적합화시키고, 빌렛 지지부도 역시 각각의 다음 경로 구간의 길이를 따른 주조 빌렛의 응고 프로파일에 의존하여 그와 유사하게 감축시킴으로써 달성된다. 빌렛 지지부는 롤 박스 길이를 크레이터 폭 이하로 하되, 에지 냉각이 회피되도록 함으로써 사방에서 주조 쉘 성장에 맞춰 적합화된다. 그럼으로써, 주조 재료가 조직에 있어, 그리고 표면에서 현격히 개선되게 된다.
일 구성에 따르면, 주조 빌렛 횡단면의 코너 구역을 경로 구간의 길이의 증가에 따라 중심 구역보다 덜 냉각시킨다. 그 경우, 개개의 측면을 보다 더 적은 물의 추진에 의해 냉각시켜 빌렛 횡단면의 온도 분포가 최적화되되, 후속 경압하 공정에까지 그 영향이 미치도록 한다.
다른 구성에 따르면, 2차 냉각부에서의 분사 제트를 그 분사 각으로써 주조 쉘 두께에 맞춰 적합화시켜 점점 더 작아지는 크레이터 폭에 보다 더 작은 분사 각 이 배정되도록 조치한다. 그럼으로써, 2차 냉각부가 그 분사 각에 있어 주조 쉘 성장에 맞춰 적합화되어 빌렛 횡단면에서는 물론 표면에서 최적의 온도 분포가 설정되게 되는데, 그 경우에 에지에서는 약간의 온도 하락이 이뤄진다.
크레이터 폭이 감소된 경우에는 분사 제트를 생성하는 분사 노즐과 빌렛 표면과의 간격을 응고 프로파일에 의존하여 변경시킴으로써 유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다른 특징에 따라 주조 빌렛 횡단면의 코너 구역을 경로 구간의 길이의 증가에 따라 중심 구역보다 덜 지지함으로써도 추가의 열 흡수가 방지되게 된다. 따라서, 보다 더 긴 지지 롤에 걸쳐 접촉됨이 없도록 함으로써 열 흡수가 줄어들게 된다.
온도 분배 및 균일화를 위한 조치의 부가의 구성은 주조 빌렛 횡단면의 코너 구역 및/또는 측면을 열 흡수에 대해 단열시키는 것이다. 최적의 응고 구조를 얻도록 공정에 맞춰 적합화되는 2차 냉각부에서는 빌렛 횡단면의 의도적인 단열이 이뤄져서 경압하 공정을 위한 연질의 빌렛 횡단면 코어가 생성되게 된다.
또한, 주조 횡단면의 코너 구역 및/또는 측면을 단열시키는 것에 부가하여 빌렛 상면 및 빌렛 하면을 선택적으로 냉각제로 집중 냉각시킨다. 특히, 중심 구역을 그렇게 하는데 고려하여 크레이터 폭이 추가로 줄어들도록 한다. 경압하 세그먼트의 전방에서 빌렛 상면 및 빌렛 하면을 성형되기 힘든 보다 더 경질의 경압하 공정용 가압 면으로서 표면 냉각시킨다.
빌렛 횡단면의 층에 걸쳐 빌렛 횡단면에서의 온도의 현격한 균일화를 이룬 후에는 주조 빌렛 횡단면을 소위 경압하 방법에 따라 위쪽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압 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된 목적은 2차 냉각부가 주조 빌렛 횡단면의 냉각 상태에 맞춰 적합화될 수 있는, 강 주조 빌렛, 특히 주괴 또는 예비 프로파일 형태의 강 주조 빌렛을 연속 주조하고 연이어 성형하는 장치에서 본 발명에 따라 2차 냉각부가 대략 전체의 빌렛 폭에서 시작되는 응고 프로파일 및 경로 구간의 길이에 의존하여 형성되고, 2차 냉각부가 분사 제트에 의해, 그리고 빌렛 지지부가 지지 롤에 의해 아치형 섹션의 경로 구간의 길이 내에서의 주조 빌렛의 응고 프로파일에 의존하여 각각 감축되어 주조 빌렛이 경압하 세그먼트에 유입되기 전에 빌렛 폭의 빌렛 하면 상에서만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달성된다. 그럼으로써, 공정 기술상의 개선 이외에 장치의 비용상의 개선도 이뤄지게 되는데, 기계 부품이 응력에 맞춰 적합하게 설계됨으로써 기계 응력 및 열 응력이 낮아지게 된다.
빌렛 횡단면의 에지에서의 과도한 열 흡수를 피하기 위해, 2차 냉각부 및 빌렛 지지부 내에서 주조 빌렛 횡단면의 측면 및/또는 코너 구역에 차폐 요소가 배치되도록 조치한다.
다른 부가의 구성에 따르면, 경압하 세그먼트가 시작부 및 단부에 배치된, 구동되는 구동 롤을 구비한 구동 스탠드와 함께 형성되고, 경압하 세그먼트가 구동기가 없는 롤 쌍을 구비한 2개 이상의 롤 스탠드로 이뤄지되, 상부 프레임이 하부 프레임을 따라 유압에 의해 각각 조정될 수 있도록 조치한다. 그럼으로써, 경압하 세그먼트에서 다수의 롤 세그먼트를 통해 경압하가 행해질 수 있게 된다. 선택될 수 있는 길이에 걸친 연속적인 경압하 공정은 지속적인 원추형을 생성한다. 응고 구역의 최종 수 미터에 걸친 크레이터 두께를 사전에 이론적으로 계산함으로써, 바 람직한 원추형의 채택 및 그 길이가 추정될 수 있다.
또 다른 특징은 빌렛 이동 방향으로 경압하 세그먼트의 전방 및 후방에 하나 이상의 구동 스탠드가 배치되는 것이다. 그럼으로써, 주조 빌렛이 성형 구역으로 충분히 이송될 수 있고, 성형력이 충분한 정도로 인가될 수 있게 된다.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구동 스탠드의 전방 및/또는 후방에 주조 빌렛 횡단면의 빌렛 상면 및 빌렛 하면에 대한 집중 냉각 장치가 배치된다. 몇몇 강 품질은 소위 "급냉(quenching)"에 의해 후속 처리할 경우에 양호한 표면 조직을 나타낸다. 경압하 공정 전의 냉각과 연계하면, 그러한 효과도 역시 얻어질 수 있게 된다. 기계적 장치(세그먼트, 구동 스탠드)에 의해 행해지는 경압하의 작용은 소위 "열 경압하(thermal soft reduction)"에 의해 더욱 촉진될 수 있다. 그를 위해, 고려되는 구역에서 부가적으로 및 의도적으로 주조된 빌렛에 물이 추진된다.
또 다른 배치 구성은 경압하 세그먼트의 전방에 주조 빌렛 횡단면의 빌렛 상면 및 빌렛 하면에 대한 집중 냉각 장치가 배치되는 것이다.
또 다른 구성은 경압하 세그먼트가 하나 이상의 구동 스탠드의 전방에 배치되어 빌렛 이동 방향으로 또는 빌렛 이동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유닛을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주어진다.
또한, 경압하 세그먼트는 교정 및 경압하 세그먼트로서 구동 스탠드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럼으로써, 기계적 경압하 및 열적 경압하의 조합이 제공되게 된다.
아울러, 경압하 세그먼트가 빌렛 이동 방향으로 교정 및 이송 장치(구동 스 탠드)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도록 조치한다.
이하, 첨부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 도면 중에서,
도 1은 제1 선택안으로서의 경압하부를 구비한 주괴 형태용 아치형 연속 주조 설비의 측면도이고,
도 2a는 크레이터 폭이 여전히 크고 빌렛 쉘이 보다 더 얇을 때의 2차 냉각부에서의 주조 빌렛 횡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2b는 분사 제트 폭이 감소되고 크레이터 폭이 줄어든 동일한 주조 빌렛 횡단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c는 빌렛 상면 및 빌렛 하면에서의 분사 제트 폭이 추가로 감소되고 크레이터 폭이 추가로 줄어든 동일한 주조 빌렛 횡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3a는 빌렛 쉘 두께가 도 2a와 상응하고 빌렛 지지부가 보다 더 넓은 주조 빌렛 횡단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b는 빌렛 쉘 두께가 도 2b와 상응하고 빌렛 지지부가 줄어든 주조 빌렛 횡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3c는 빌렛 쉘 두께가 도 2c와 상응하고 빌렛 상면 및 빌렛 하면에서의 빌렛 지지부가 줄어든 주조 빌렛 횡단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a는 본 발명에 의하지 않고서 통상대로 완전 응고되고 측면이 차폐되지 않았을 경우의 주조 빌렛 횡단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b는 본 발명에 의하지 않고서 기존의 압력 분포로 한 경우에 경압하부에서의 주조 빌렛 횡단면으로서, 수축된 부분이 생성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5a는 온도 분배를 위해 차폐를 한 경우의 주조 빌렛 횡단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b는 본 발명에 따라 온도를 분배한 경우의 경압하부에서의 주조 빌렛 횡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은 제2 선택안으로서의 경압하부를 구비한 주괴 형태용 아치형 연속 주조 설비의 측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 빌렛 1a 주조 빌렛 횡단면
1b 코너구역 1c 중심구역
1d 빌렛 표면 1e 주조 빌렛 횡단면의 측면
1f 빌렛 상면 1g 빌렛 하면
1h 빌렛 폭 2 주괴 형태
3 연속 주조 주형 4 2차 냉각부
5 응고 프로파일 5a 빌렛 쉘
5b 빌렛 쉘 두께 6 경로 구간의길이
7 분사제트 7a 분사 각
7b 분사제트 폭 8 크레이터 폭
9 간격 10 분사노즐
11 빌렛 지지부 12 경압하 세그먼트
12a 시작부 12b 단부
12c 롤 스탠드 12d 상부 프레임
12e 하부 프레임 12f 유닛
13 차폐요소 13a 앵글부재
14 구동 스탠드 14a 구동 롤
15 빌렛 이동방향 17 집중 냉각장치
18 수축된 부분 19 온도한계구역
20 온도한계구역 21 온도한계구역
도 1에 따라 장방형 형태 또는 주괴 형태로 강을 연속 주조하는 방법은 냉각, 지지, 및 성형에 의해 특징지워진다. 주조 빌렛 횡단면(1a)을 갖는 주조 빌렛(1)은 본 실시예에서는 주괴 형태(2)로 되고, 연속 주조 주형(3)으로부터 유출되어 바로 2차 냉각부(4)에서 냉각된다. 그 경우, 아치형 섹션(A)으로부터 아치형 섹션(B, C, 및 D)까지 아치형 섹션마다 성장된 빌렛 쉘 두께(5b)를 갖는 이미 굳어진 빌렛 쉘(5a)로 나타내어지는 응고 프로파일(5)이 수립된다(도 2a, 도 2b, 도 2c). 이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하면, 2차 냉각부(4)의 기하학적 형상은 아치형 섹션(A)으로부터 아치형 섹션(D)까지 주어지는 각각의 경로 구간의 길이(6)에서의 주조 빌렛(1)의 응고 프로파일(5)과 상응하게 적합되고, 이때 빌렛 지지부(11)도 역시 다음 경로 구간의 길이(6)를 따른 주조 빌렛(1)의 응고 프로파일에 상응하게 각각 감소된다. 그 경우, 경로 구간의 길이(6)의 증가에 따라 주조 빌렛 횡단면(1a)의 코너 구역(1b)을 중심 구역(1c)보다 덜 냉각시킨다.
그와 같이 제어하는 것은 예컨대 2차 냉각부(4)에서의 분사 제트(7)를 그 분사 각(7a)으로써 각각의 주조 쉘 두께(5b)에 맞춰 적합화시켜 점점 더 작아지는 크레이터 폭(8)에 보다 더 작은 분사 각(7a)이 배정되도록 함으로써 이뤄진다.
선택적으로는, 분사 제트(7)를 생성하는 분사 노즐(10)과 빌렛 표면(1d)과의 간격을 수립된 응고 파일(5)에 의존하여 변경시킨다. 즉, 줄인다(도 2b).
그러한 의미에서, 주조 빌렛 횡단면(1a)의 코너 구역(1b)은 증가하는 경로 구간의 길이(6)에 따라 중심 구역(1c)보다도 적게 지지된다(도 3a, 도 3b, 도 3c).
도 4a 및 도 4b는 외측 구역에서 거의 균일한 온도 분포를 갖는 완전 응고된 주조 빌렛(1)을 나타낸 것으로, 그러한 주조 빌렛(1)에는 바람직하지 않은 수축된 부분(18)이 형성되어 있다.
후속 성형 작업에 알맞은 형태로 균일하게 열을 분배하기 위해, 주조 빌렛 횡단면(1a)의 코너 구역(1b) 및/또는 측면(1e)을 열 흡수에 대해 단열시킨다(도 5a 및 도 5b). 그럼으로써, 온도 한계 구역(19, 20, 21)이 형성된다. 주조 빌렛 횡단면(1a)의 중심에는 온도 한계 구역(21)(도 5b)이 유포되고, 그 온도 한계 구역(21)에서는 위쪽으로부터 아래쪽으로 프레싱하는 것에 의해 성형 작업이 행해진다. 따라서, 그러한 중심 구역에서는 온도가 아주 위쪽이나 아주 아래쪽보다 훨씬 더 높다. 그 밖에도, 그와 같이 하여 편석이 용이하게 분배되고 다공이 제거되 게 된다.
주조 빌렛 횡단면(1a)의 코너 구역(1b) 및/또는 측면(1e)을 단열시키는 것에 부가하여, 빌렛 상면(1f) 및 빌렛 하면(1g)을 선택적으로 냉각제로 집중 냉각시킨다.
또 다른 방법 섹션에서는 주조 빌렛 횡단면(1a)을 소위 경압하 방법에 따라 위쪽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압연하는데, 그 때에 다른 경우라면 통상적인 급냉을 행하지 않는다.
2차 냉각부(4) 및 빌렛 지지부(11)가 주조 빌렛 횡단면(1a)의 냉각 상태에 맞춰 적합화될 수 있는, 강 주조 빌렛(1), 특히 주괴 또는 예비 프로파일 형태의 강 주조 빌렛(1)을 연속 주조하고 연이어 성형하는 도시된 장치는 2차 냉각부(4)가 대략 전체의 빌렛 폭(1h)에서 시작되는 응고 프로파일(5) 및 나아간 경로 구간의 길이(6)에 의존하여 형성되고, 2차 냉각부(4) 및 빌렛 지지부(11)가 경로 구간의 길이(6) 내에서의 주조 빌렛(1)의 응고 프로파일(5)에 의존하여 감축되어 주조 빌렛(1)이 경압하 세그먼트(12)에 유입되기 전에 빌렛 폭(1h)의 빌렛 하면(1g) 상에서만 지지되도록 하는 형식으로 형성된다. 중심에 성형될 수 있는 층을 갖는 원하는 온도 분포를 얻기 위해, 2차 냉각부(4) 및 빌렛 지지부(11) 내에서 주조 빌렛 횡단면(1a)의 측면(1e) 및/또는 코너 구역(1b)에 앵글 부재(13a)를 형성할 수 있는 차폐 요소(13)가 배치된다.
경압하 세그먼트(12)에는 구동되는 구동 롤(14a)을 구비한 구동 스탠드(14)가 시작부(12a) 및 단부(12b)에 배속된다. 경압하 세그먼트(12) 자체는 그 롤 쌍 이 구동기를 구비하지 않는 2개 이상의 롤 스탠드(12c)로 이뤄진다. 상부 프레임(12d)은 하부 프레임(12e)을 따라 유압에 의해 각각 조정될 수 있다.
또한, 빌렛 이동 방향(15)으로 경압하 세그먼트(12)의 전방 및 후방에는 하나 이상의 구동 스탠드(14)가 배치된다.
완전 응고된 수평 층에서 원하는 온도 분포를 얻기 위해, 경압하 세그먼트(12)의 전방에 주조 빌렛 횡단면의 빌렛 상면(1f) 및 빌렛 하면(1g)에 대한 집중 냉각 장치(17)가 배치된다. 그러한 냉각 장치는 강도를 높여서 경압하 예비물을 형성한다. 빌렛 상면(1f) 및 빌렛 하면(1g)의 집중 냉각은 구동 스탠드(14)의 전방에서는 물론 이동식 경압하 세그먼트(12)의 전방 또는 구동 스탠드(14)의 후방에서도 유효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6에는 제2 선택적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한 구성에서는 경압하 세그먼트(12)가 빌렛 이동 방향(15)으로 하나 이상의 구동 스탠드(14)의 전방에 배치되어 빌렛 이동 방향(15)으로 또는 빌렛 이동 방향(15)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유닛(12f)으로서 형성된다.
구동 스탠드 구역에 있는 경압하 세그먼트(12)는 통상적으로 2개의 교정 지점을 갖는 블룸 설비에서는 필수적인 개념이기 보다는 지원 개념과 결부되어 구상된 것이다. 굽힘 교정 과정에서의 재료의 탄소성(elasto- plastic) 거동을 고려하여, 주조 빌렛(1)은 직선적인 형태를 취한다. 빌렛이 곡선 경로를 경유하여 직선적인 형태로 안내되는 슬래브 설비와는 다르게, 블룸 빌렛의 경우에는 주조 빌렛의 관성 모멘트, 온도 및 주조 빌렛 횡단면(1a) 내에서의 온도 분포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특히 부분적으로 예컨대 각각의 교정 지점 이후에 짧은 구간에 걸쳐 기본 휨 라인으로부터 벗어나 휨 변곡점 갖는 휨 라인이 교정 구역에 세팅되어 주조 빌렛(1)이 그 구역에서 매우 강한 크리프 거동(creep behavior)을 보이게 된다. 경압하 구역에 곡선 경로를 미리 주는 것에 의거하여, 실제로 산출된 허용 신장도를 미리 부여할 수 있다. 그러한 휨 공정에 의해 생성되는 탄소성 거동은 주조 빌렛(1)을 통상의 경우에 낮은 힘 소비를 필요로 하는 상태(이론적 항복 강도, 점탄성 거동 등의 값)가 되게 하여 추가의 경압하를 행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7)

  1. 2차 냉각부(4)를 주조 빌렛 횡단면(1a)의 냉각 상태에 의존하여 적합화시키는, 주괴(2) 또는 예비 프로파일 형태의 강 주조 빌렛(1)을 연속 주조하고 연이어 성형하는 방법에 있어서,
    2차 냉각부(4)를 그 기하학적 구성에 있어 주조 빌렛(1)의 다음 경로 구간의 길이(6)를 따른 주조 빌렛(1)의 응고 프로파일(5)에 상응하게 각각 적합화시키고, 빌렛 지지부(11)도 역시 각각의 다음 경로 구간의 길이(6)를 따른 주조 빌렛(1)의 응고 프로파일(5)에 상응하게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 주조 빌렛의 연속 주조 및 연이은 성형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경로 구간의 길이(6)의 증가에 따라 주조 빌렛 횡단면(1a)의 코너 구역(1b)을 중심 구역(1c)보다 덜 냉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 주조 빌렛의 연속 주조 및 연이은 성형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차 냉각부(4)에서의 분사 제트(7)를 그 분사 각(7a)으로써 주조 쉘 두께(5b)에 상응하게 적합화시켜, 점점 더 작아지는 크레이터 폭(8)에 보다 더 작은 분사 각(7a)이 배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 주조 빌렛의 연속 주조 및 연이는 성형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분사 제트(7)를 생성하는 분사 노즐(10)과 빌렛 표면(1d)과의 간격(9)을 응고 프로파일(5)에 의존하여 변경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 주조 빌렛의 연속 주조 및 연이은 성형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경로 구간의 길이(6)의 증가에 따라 주조 빌렛 횡단면(1a)의 코너 구역(1b)이 중심 구역(1c)보다도 적게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 주조 빌렛의 연속 주조 및 연이은 성형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주조 빌렛 횡단면(1a)의 코너 구역(1b)이나 측면(1e), 또는 코너 구역(1b)과 측면(1e)을 열 흡수에 대해 단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 주조 빌렛의 연속 주조 및 연이은 성형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주조 빌렛 횡단면(1a)의 코너 구역(1b)이나 측면(1e), 또는 코너 구역(1b)이나 측면(1e)을 단열시키는 것에 부가하여, 빌렛 상면(1f) 및 빌렛 하면(1g)을 선택적으로 냉각제로 집중 냉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 주조 빌렛의 연속 주조 및 연이는 성형 방법.
  8. 제1항 내지 제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주조 빌렛 횡단면(1a)을 소위 경압하 방법에 따라 위쪽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압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 주조 빌렛의 연속 주조 및 연이은 성형 방법.
  9. 2차 냉각부(4)가 주조 빌렛 횡단면(1a)의 냉각 상태에 맞춰 적합화될 수 있는, 주괴(2) 또는 예비 프로파일 형태의 강 주조 빌렛(1)을 연속 주조하고 연이어 성형하는 장치에 있어서,
    2차 냉각부(4)는 전체의 빌렛 폭(1h)에서 시작되는 응고 프로파일(5) 및 경로 구간의 길이(6)에 의존하여 형성되고, 2차 냉각부(4)는 분사 제트(7)에 의해, 그리고 빌렛 지지부(11)는 지지 롤에 의해 아치형 섹션(A 내지 D)의 경로 구간의 길이(6) 내에서의 주조 빌렛(1)의 응고 프로파일(5)에 상응하게 감소되어 주조 빌렛(1)이 경압하 세그먼트(12)에 유입되기 전에 빌렛 폭(1h)의 빌렛 하면(1g) 상에서만 지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 주조 빌렛의 연속 주조 및 연이은 성형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2차 냉각부(4) 및 빌렛 지지부(11) 내에서 주조 빌렛 횡단면(1a)의 측면(1e)이나 코너 구역(1b), 또는 측면(1e)과 코너 구역(1b)에 차폐 요소(13)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 주조 빌렛의 연속 주조 및 연이은 성형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경압하 세그먼트(12)는 시작부(12a) 및 단부(12b)에 배치된, 구동되는 구동 롤(14a)을 구비한 구동 스탠드(14)와 함께 형성되고, 경압하 세그먼트(12)는 구동기가 없는 롤 쌍을 구비한 2개 이상의 롤 스탠드(12c)로 이뤄지되, 상부 프레임(12d)이 하부 프레임(12e)을 따라 유압에 의해 각각 조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 주조 빌렛의 연속 주조 및 연이은 성형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빌렛 이동 방향(15)으로 경압하 세그먼트(12)의 전방 및 후방에 하나 이상의 구동 스탠드(14)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 주조 빌렛의 연속 주조 및 연이은 성형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스탠드의 전방이나 후방, 또는 전방과 후방에 주조 빌렛 횡단면(1a)의 빌렛 상면(1f) 및 빌렛 하면(1g)에 대한 집중 냉각 장치(17)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 주조 빌렛의 연속 주조 및 연이은 성형 장치.
  14. 제11항 내지 제1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경압하 세그먼트(12)의 전방에 주조 빌렛 횡단면(1a)의 빌렛 상면(1f) 및 빌렛 하면(1g)에 대한 집중 냉각 장치(17)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 주조 빌렛의 연속 주조 및 연이은 성형 장치.
  15. 제11항 내지 제1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경압하 세그먼트(12)는 하나 이상의 구동 스탠드(14)의 전방에 배치되어 빌렛 이동 방향(15)으로 또는 빌렛 이동 방향(15)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유닛(12f)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 주조 빌렛의 연속 주조 및 연이은 성형 장치.
  16. 제11항 내지 제1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경압하 세그먼트(12)는 교정 및 경압하 세그먼트로서 구동 스탠드(14)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 주조 빌렛의 연속 주조 및 연이은 성형 장치.
  17. 제11항 내지 제1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경압하 세그먼트(12)는 빌렛 이동 방향(15)으로 교정 및 이송 장치의 다음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 주조 빌렛의 연속 주조 및 연이은 성형 장치.
KR1020037004264A 2000-10-20 2001-09-28 강 주조 빌렛, 특히 주괴 또는 예비 프로파일 형태의 강주조 빌렛을 연속 주조하고 연이어 성형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8171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051959.8 2000-10-20
DE10051959A DE10051959A1 (de) 2000-10-20 2000-10-20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Stranggießen und anschließendem Verformen eines Gießstranges aus Stahl, insbesondere eines Gießstranges mit Blockformat oder Vorprofil-Format
PCT/EP2001/011222 WO2002034432A1 (de) 2000-10-20 2001-09-28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stranggiessen und anschliessendem verformen eines giessstranges aus stahl, insbesondere eines giessstranges mit blockformat oder vorprofil-forma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4758A KR20030064758A (ko) 2003-08-02
KR100817171B1 true KR100817171B1 (ko) 2008-03-27

Family

ID=76604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4264A KR100817171B1 (ko) 2000-10-20 2001-09-28 강 주조 빌렛, 특히 주괴 또는 예비 프로파일 형태의 강주조 빌렛을 연속 주조하고 연이어 성형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6892794B2 (ko)
EP (1) EP1330321B1 (ko)
JP (1) JP2004525767A (ko)
KR (1) KR100817171B1 (ko)
CN (1) CN1222382C (ko)
AT (1) ATE270933T1 (ko)
AU (1) AU2002212289A1 (ko)
DE (2) DE10051959A1 (ko)
RU (1) RU2271895C2 (ko)
UA (1) UA75616C2 (ko)
WO (1) WO200203443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293966C (zh) 2002-02-22 2007-01-10 Sms迪马格股份公司 用于金属坯、尤其是钢材连铸金属坯的连铸和直接成型的方法和装置
DE102004057427A1 (de) * 2004-11-27 2006-06-01 Sms Demag A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Stranggießen
SI1897636T1 (sl) * 2006-09-04 2009-12-31 Concast Ag Naprava za kontinuirano litje in postopek za kontinuirano litje
CN101970151A (zh) * 2008-01-14 2011-02-09 Sms康卡斯特股份公司 尤其用于长形钢制品的连铸设备以及连铸方法
DE102008004915A1 (de) * 2008-01-18 2009-07-23 Sms Demag Ag Treibrichtsystem für Stranggießanlagen
DE102010022003B4 (de) 2009-06-19 2022-12-29 Sms Group Gmbh Vertikal-Stranggießanlage
DE102010007659B4 (de) 2010-01-12 2019-05-09 Sms Group Gmbh Stranggießmaschine mit einem Kaltstrang
IT1400003B1 (it) 2010-05-18 2013-05-09 Danieli Off Mecc Dispositivo di colata continua e relativo procedimento
CN102744383A (zh) * 2012-07-30 2012-10-24 首钢总公司 一种含Nb亚包晶钢连铸坯、其制造方法及专用连铸机
DE102015223787A1 (de) * 2015-10-09 2017-04-13 Sms Group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Herstellen eines metallischen Bandes durch Endloswalzen
AT518450B1 (de) * 2016-03-17 2021-02-15 Primetals Technologies Austria GmbH Verfahren und Kühleinrichtung zum Kühlen eines metallischen Strangs
DE102017213842A1 (de) * 2017-08-08 2019-02-14 Sms Group Gmbh Verfahren und Anlage zum Stranggießen eines metallischen Produkts
CN115415489B (zh) * 2022-09-05 2024-02-13 东北大学 一种铝/铝合金薄板坯连铸装备及工艺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48059A (ja) 1982-02-27 1983-09-03 Nippon Kokan Kk <Nkk> 連続鋳造における鋳片の温度制御法および装置
JPH0390258A (ja) * 1989-08-31 1991-04-16 Nippon Steel Corp 連続鋳造方法およびスプレー幅切り装置
EP0804981A1 (en) * 1995-10-18 1997-11-05 Sumitomo Metal Industries, Ltd. Continuous cast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572370A5 (ko) * 1974-02-28 1976-02-13 Concast Ag
JP2528341Y2 (ja) * 1991-08-07 1997-03-12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連続鋳造設備におけるビ−ムブランクと矩形鋳片兼用ロ−ラエプロン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48059A (ja) 1982-02-27 1983-09-03 Nippon Kokan Kk <Nkk> 連続鋳造における鋳片の温度制御法および装置
JPH0390258A (ja) * 1989-08-31 1991-04-16 Nippon Steel Corp 連続鋳造方法およびスプレー幅切り装置
EP0804981A1 (en) * 1995-10-18 1997-11-05 Sumitomo Metal Industries, Ltd. Continuous cast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330321A1 (de) 2003-07-30
US20040020633A1 (en) 2004-02-05
US6892794B2 (en) 2005-05-17
JP2004525767A (ja) 2004-08-26
RU2271895C2 (ru) 2006-03-20
CN1469789A (zh) 2004-01-21
UA75616C2 (en) 2006-05-15
AU2002212289A1 (en) 2002-05-06
ATE270933T1 (de) 2004-07-15
DE50102870D1 (de) 2004-08-19
WO2002034432A1 (de) 2002-05-02
EP1330321B1 (de) 2004-07-14
DE10051959A1 (de) 2002-05-02
CN1222382C (zh) 2005-10-12
KR20030064758A (ko) 2003-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7171B1 (ko) 강 주조 빌렛, 특히 주괴 또는 예비 프로파일 형태의 강주조 빌렛을 연속 주조하고 연이어 성형하는 방법 및 장치
JP2738934B2 (ja) 鋼帯を製造する方法及び装置
US4493363A (en) Method at continuous casting of steels and metal alloys with segregation tendency and apparatus for carrying out the method
JP3043075B2 (ja) 連続鋳造装置の作動方法及び装置
KR101252645B1 (ko) 주편의 연속 주조방법 및 장치
US4582114A (en) Continuous casting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of cast sheets
JP3293794B2 (ja) 連続鋳造機の冷却装置
KR20040063177A (ko) 트림되는 금속 스트립의 제조 방법 및 장치
KR100780327B1 (ko) 강 주조 빌렛, 특히 빔용 예비 프로파일의 지지, 안내, 및냉각 방법과 그를 위한 빌렛 가이드
US20090178777A1 (en) Casting machine for production of casting bars in the shape of billets or blocks
JP2983152B2 (ja) 連続鋳造方法および連続鋳造設備
JP3146904B2 (ja) 大断面鋳片の垂直型連続鋳造方法
WO2002081124A1 (en) Method and device for cooling and guiding a beam blank in a curved secondary cooling zone of a beam blank caster
JP2867894B2 (ja) 連続鋳造方法
JPH10249408A (ja) ステンレス鋼板の製造装置
JP7356016B2 (ja) 矩形断面鋼片の圧延方法、連続鋳造圧延設備及び圧延設備
JPH11320060A (ja) ビレットの鋳片軽圧下連続鋳造方法及びその設備
JP2000190058A (ja) 鋳片の軽圧下方法
JP3042324B2 (ja) 広幅薄鋳片連続鋳造用ダミーバヘッド
JPH0342981B2 (ko)
JPS61199554A (ja) 連続鋳造方法及び装置
JPS63180351A (ja) 鋼片鋳造法
JPH0550200A (ja) 連続鋳造装置
JPS63256241A (ja) 水平型連鋳機の鋳片位置制御方法
JP2002321039A (ja) 連続鋳造鋳片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連続鋳造設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