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5672B1 - 환경유해성분을 포함하는 물질로부터 산화음이온을 생성하는 원소의 침출을 감소시키는 방법 - Google Patents

환경유해성분을 포함하는 물질로부터 산화음이온을 생성하는 원소의 침출을 감소시키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5672B1
KR100815672B1 KR1020037007948A KR20037007948A KR100815672B1 KR 100815672 B1 KR100815672 B1 KR 100815672B1 KR 1020037007948 A KR1020037007948 A KR 1020037007948A KR 20037007948 A KR20037007948 A KR 20037007948A KR 100815672 B1 KR100815672 B1 KR 1008156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ching
rti
reducing
anion
residu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79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70586A (ko
Inventor
케스퍼 룬토프
Original Assignee
밥콕 앤 윌콕스 뵐운트 아/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밥콕 앤 윌콕스 뵐운트 아/에스 filed Critical 밥콕 앤 윌콕스 뵐운트 아/에스
Publication of KR200300705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05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56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567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DCHEMICAL MEANS FOR EXTINGUISHING FIRES OR FOR COMBATING OR PROTECTING AGAINST HARMFUL CHEMICAL AGENTS; CHEMICAL MATERIALS FOR USE IN BREATHING APPARATUS
    • A62D3/00Processes for making harmful chemical substances harmless or less harmful, by effecting a chemical change in the substances
    • A62D3/30Processes for making harmful chemical substances harmless or less harmful, by effecting a chemical change in the substances by reacting with chemical agents
    • A62D3/33Processes for making harmful chemical substances harmless or less harmful, by effecting a chemical change in the substances by reacting with chemical agents by chemical fixing the harmful substance, e.g. by chelation or complexation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DCHEMICAL MEANS FOR EXTINGUISHING FIRES OR FOR COMBATING OR PROTECTING AGAINST HARMFUL CHEMICAL AGENTS; CHEMICAL MATERIALS FOR USE IN BREATHING APPARATUS
    • A62D3/00Processes for making harmful chemical substances harmless or less harmful, by effecting a chemical change in the substances
    • A62D3/30Processes for making harmful chemical substances harmless or less harmful, by effecting a chemical change in the substances by reacting with chemical agents
    • A62D3/37Processes for making harmful chemical substances harmless or less harmful, by effecting a chemical change in the substances by reacting with chemical agents by reduction, e.g. hydrogen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DCHEMICAL MEANS FOR EXTINGUISHING FIRES OR FOR COMBATING OR PROTECTING AGAINST HARMFUL CHEMICAL AGENTS; CHEMICAL MATERIALS FOR USE IN BREATHING APPARATUS
    • A62D2101/00Harmful chemical substances made harmless, or less harmful, by effecting chemical change
    • A62D2101/08Toxic combustion residues, e.g. toxic substances contained in fly ash from waste incin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DCHEMICAL MEANS FOR EXTINGUISHING FIRES OR FOR COMBATING OR PROTECTING AGAINST HARMFUL CHEMICAL AGENTS; CHEMICAL MATERIALS FOR USE IN BREATHING APPARATUS
    • A62D2101/00Harmful chemical substances made harmless, or less harmful, by effecting chemical change
    • A62D2101/40Inorganic substances
    • A62D2101/43Inorganic substances containing heavy metals, in the bonded or free stat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Inorganic Compounds Of Heavy Metals (AREA)
  • Manufacture And Refinement Of Metals (AREA)
  • Feeding, Discharge, Calcimining, Fusing, And Gas-Generation Devices (AREA)
  • Gas Separation By Absorption (AREA)

Abstract

환경유해성분을 포함하는 물질, 특히 소각 잔류물로부터 산화음이온을 생성하는 원소, 특히 Cr의 침출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
환경유해성분을 포함하는 물질, 특히 소각 잔류물, 특히 폐기물소각으로부터의 연소가스정화생성물, 특히 비류재로부터 산화음이온을 생성하는 원소, 특히 Cr의 침출을 감소시키는 방법으로, 본 방법에서는 상기의 물질을 밀폐된 용기에서 금속Al, Zn, Fe 그리고 상기의 물질속에 존재하는 다른 순수금속의 산화로 인하여 산화음이온을 생성하는 원소, 특히 Cr을 안정화할 수 있는 환원조건을 만들기에 충분한 액체/고체 비율로 수성매개체에 혼합한다.

Description

환경유해성분을 포함하는 물질로부터 산화음이온을 생성하는 원소의 침출을 감소시키는 방법{A method for reducing the leaching of oxyanion forming elements from materials containing environmentally noxious constituents}
본 발명은 환경유해성분을 포함하는 물질, 특히 폐기물소각잔류물로부터, 특히 비류재를 포함하는 소각연소가스 정화생성물로부터 산화음이온을 생성하는 원소들, 일례로 Sb, As, Mo, Se, V, 특히 Cr의 침출을 감소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Cr, Sb, As, Mo, Se, V 과 같은 원소들은 상기 잔류물과 생성물에 존재하며, 산화음이온의 형태로 지금까지 침출되었다. 상기 물질들로부터의 침출을 감소시키기 위한 기존의 방법들은 산화음이온을 만드는 원소들에 대해서는 일반적으로 비효과적이거나 오히려 이 물질들의 침출을 증가시킬 것이다.
International Application No.PCT/DK97/00350(WO98/08628)에 기술된 이른바 페렉스(Ferrox) 공정에서는 폐기물소각으로부터 발생한 연소가스 정화생성물은 안 정화된다. 대량으로 생성되는 이 잔류생성물들은 많은양의 중금속들(Pb,Zn,Cr,Cd등)과 염분들을(소금,기타)가지고, 씻겨내리기 쉬우며, 퇴적물을 통하여 빗물유출로 침출될 수 있다. 페렉스(Ferrox) 공정에서는 쉽게 용해하는 염분은 잔류생성물로부터 용출되며, 반면에 중금속은 안정화되어있는 동안 잔류생성물로 남아있고 공정중에 산화철로 산화되는 2가철의 첨가에 의하여 고체상태로 결합되어있게된다. 공정중에 산화철이 양전기를 띈 양이온들에 대하여 높은 결합능력을 가지므로 중금속은 중금속이 산화철에 결합하므로 인하여 침출에 대하여 부동화된다. 비록 페렉스(Ferrox)공정이 상기 잔류물로부터 염분 또는 중금속의 침출에서 뚜렷한 감소를 얻는데 매우 매력적이고 효율적인 방법이지만, 산화음이온을 생성하는 원소들, 특히 Cr에대한 그 효과는 미미하며 불만족 스럽다.
발명의 목적이 상기 물질에 존재하는 금속Al, Zn, Fe 그리고 다른 순수 금속의 산화로 인하여 산화음이온을 생성하는 원소, 특히 Cr을 안정화할 수 있는 환원조건을 만들기에 충분한 액체-고체 비율로 밀폐된 용기에서, 상기에서 언급된 물질을 수성매개체와 혼합하므로써 간편하고 효율적이며 그리고 값싼 방법으로 획득할 수 있다는 것이 놀랍게도 발견되었다.
잔류물속에 있는 금속Al과 다른 금속들은 산화음이온을 생성하는 원소들, 일례로 Cr의 환원을 유도하고, 비 침출형태로 이에의해 산화음이온을 생성하는 원소 들의 부동화를 가져온다.
그리하여 가장 넓은 관점에서 본 발명은 환경적으로 유해한 성분을 포함하는 물질로부터, 특히 소각잔류물로부터 산화음이온을 생성하는 원소, 특히 Cr의 침출을 감소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방법은 상기물질과 그 물질에 존재하는 금속Al, Zn, Fe 그리고 다른 순수금속의 산화로 인하여 산화음이온을 생성하는 원소들, 특히 Cr을 안정화할 수 있는 환원조건을 만들기에 충분한 액체-고체 비율로 즉, 약 0.7~3 ℓ/㎏ 의 액체-고체비율로 밀폐된 용기에서 수성매체개체와 혼합하는 것으로 구성되어있다.
특히 만약 그 물질이나 잔류물에 있는 금속Al의 양이 충분하지 못하면, 금속Al을 외부공급원으로부터 첨가할 수 있으며 또한 Al과 같은 방식으로 반응할 수 있는 다른 금속을 첨가할 수 있다. 즉, 상기 금속Al은 외부공급원으로부터 약 5% w/w 가량 또한, 금속Fe는 약 3% w/w 량으로 첨가할 수 있다.
일례로 6가를 3가로 원하는 바의 환원을 보장하기위해 외부공급원으로부터 수소나 또는 메탄 또는 다른 환원가스를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여러 가지 구체화사항들이 청구항 2 내지 19항에 정리되어 있다. 즉, 상기 환경적으로 유해한 성분을 포함하는 물질은 염기성 영역의 상부 특히, pH 12 부근을 구비하며, 밀폐된 용기내에서 반응 후 pH 9 ~ 10 을 구비하게 된다. 또한, 상기 밀폐된 용기에서의 반응시간은 10분~24시간을 구비하며, 바람직하게는 1~3시간을 구비한다. 이들 구체화사항과 연관된 장점들은 나타난 특성치, 특히 실험부분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EP 0 901 800 A1에서는 수성상태나 또는 수증기존재하에서 폐기물 소각공장으로부터 나온 찌꺼기 또는 재를 고압에 놓이게 함으로써 찌꺼기 또는 재로부터 상당량의 중금속의 침출을 감소시키는 방법을 나타내고 있다. 이 기술은 인공적인 숙성으로 알려져있고 탄산화에 의해 PH를 낮추어서 많은 양이온들, 일례로 Pb, Zn 그리고 Cd의 침출성을 감소시킨다. 이 자료에서 실례는 Pb, Zn총량의 환원에 관련되어 있을 뿐이며, 그 외에 언급된 중금속은 Cd와 Cu 뿐이다. Cr은 전혀 언급되어있지 않고, 그리고 특히 6가 Cr이 3가 Cr로 환원하거나 또는 일례로 As, Mo, Se 또는 V의 동시환원의 언급은 없다. 더구나 이 자료는 상기 금속들이 특히 Cr와 반응하도록 하는 목적과 함께 폐기생성물에 존재하는 Al과 또는 Fe가 갖는 이점에 관해서는 명기되어있지 않다.
NL 9500479 A 에는 수증기를 함유하는 가스에 의한 고압용기에서 Mo, Cd 그리고 Pb의 침출을 사실상 낮추는 폐기물소각잔류물 처리에 관한 방법을 나타내고 있다. 그 방법은 EP 0 901 800 에서와같이 인공적인 숙성에 근거하고 있다 NL9500479 A에는 Cr이 언급되어있지않으며, 앞에서처럼 특히 6가 Cr이 3가 Cr으로의 환원이나 As, Mo, Se또는 V의 동시환원에 관한 언급이 없다. 더구나 이 자료는 상기 금속들이, 특히 Cr와 반응하도록 하는 목적과 함께 폐기생성물에서 Al과 또는 Fe의 함유량의 유용성을 제안하지 않는다.
일례로 US 4 033 867 A와 US 3 901 805 A에서 수성매개체에서 6가 Cr이 3가 Cr으로의 잘 알려진 환원이 기술되어있다. 이 환원은 일례로 수소나 산화유황등 환원성 가스로 이루어진다.
비록 앞의 기술이 6가 Cr이 3가 Cr이나 더욱이 금속Cr으로 환원되는 몇가지 예를 포함하고 있다 하더라도, 본 발명의 이론은 이 기술에 숙련된 평균적 수준의 사람들에게는 아직 신기하고 불명료하게 여겨진다. 그리하여 대표적인 앞의 기술자료는 앞의 기술에 관련된 검토를 별개로하고 (a) 상기 폐기물질이 상당량의 6가 Cr이 2가와 3가 Cr화합물로 전환하기에 충분한 시간동안 일정량의 전자를 줄 수 있는 수용성 환원제와 더불어 염기성 수성 매개체에 접촉하는 과정, 그리고 (b)상기 처리된 폐기물질을 상당량의 상기 화합물이, TLCP(Toxicity Characteristic Leaching Procedure)-Cr수준이 5 ㎎/㎖ 이하로 낮아진 비 침출성 그리고 안정된 광물성 물질로 전환하기에 충분한 시간동안 (a)과정에서 일정량으로 생성된 2가, 3가 Cr화합물과 반응할 수 있는 수용성 인산화물 공급원과 접촉하는 과정으로 구성되는 폐기물질에서 Cr의 고착화와 안정화에 관련된 US Patent Specification No.5,397,478이다.
즉시 명확해지겠지만, 후자의공정은 처리된 잔류물질에 존재하고있는 금속Al과 다른금속들이 물등 수성매개체의 간단한 첨가에 의해 6가 Cr이 3가 Cr으로 환원유도될 뿐아니라, 산화음이온을 생성하는, 일례로 As, Mo, Sb, Se와 또는 V의 동시 환원이 일어남으로써 얻어지는 잇점의 현실적이며 간편하고 효율적인 이론에 근거 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실험
본 발명의 방법론은 다음 실험보고서에서 상세히 기술된다.
1. 배경
APC잔류물의 침출성분 관찰에 관한 연구가 행해진 바, Cr의 침출성이 건조된 APC잔류물에 물을 간단히 첨가함으로써 낮추어진다는 것을 암시했다. 밀폐된 용기에서 건조된 APC잔류물에 물이 첨가될 때 가스발생이 일어난다는 것이 관찰되었다. 동시에 이 잔류물로부터 Cr이 침출되지 않는다는 것이 검출되었다. 그 가스는 수소와 미세 메탄으로 확인되었다. 논문으로부터 수소발생은 금속Al과 Zn에 혐기성 산화가 이루어질 때 일어난다. APC잔류물이 유동성 6가 Cr을 침출성이 낮은 3가 Cr으로 환원하거나, 다른 산화음이온을 생성하는 원소들을 환원하는데 활용될 수 있는 성질(금속 Al 또는 다른 순수금속의 함유량)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실증하기 위해 한 시리즈의 실험들이 시작되었다. 이 실험들은 더욱이 외부공급원으로부터의 Al의 첨가가 Cr을 부동화할 것인지를 밝히도록 설계되었다. 다음과 같이 이 실험들은 기 술된다.
2. 처리방법
이 방법은 잔류물로부터 잠재적으로 침출될 수 있는 Cr의 부동화를 위해 APC잔류물에 있는 순수금속의 자연상태의 함유량을 활용하는데 근거하고 있다.
이 처리는 혐기성 조건, 일례로 밀폐된 용기에서 원 잔류물에 물을 첨가함으로써 행해진다. 만약 필요하면 효율을 높이기 위해 순수 금속, 일례로 Al(0), Zn(0) 또는 Fe(0)를 추가할 수 있다. 산소가 없는 환경에서 물을 첨가함으로써 순수금속, 일례로 Al, Zn, Fe의 산화가 일어날 것이며, 동시에 Cr과 아마도 산화음이온을 생성하는 원소들도 또한 환원될 것이다. 이 방법은 일례로 Cr을 유독하고 유동적인 6가 Cr으로부터 용해성이 낮아 유동성이 낮은 3가 Cr으로 환원할 것이다.그로써 이 방법은 Cr의 환원이 일어나는 것을 허용하지 않는 산소가 충분한 조건에서 일례로 습하게 하거나 물로 식히거나 하는 전통적으로 취급한 잔류물에 비교하여 예상되는 침출에서 Cr의 방출이 감소되는 것으로 환경에 유익하다.
3. 실험1
3.1 실험구성
이 실험을 위하여 자치단체 고체폐기물소각로 I/S Vestforbraending(VF)에서 정전기를 띈 침전물로부터 비류재가 사용되었다. 균일하게 습기찬 물질을 얻기위하 여 600g VF비류재를 10분간 플라스틱 주머니에서 444㎖의 비이온화된 물을 섞는다. 동시에 습기찬 잔류물을 3개의 100㎖ 베노젝트(Venoject) 유리기구에 75% 차도록 옮긴다. 다음에 질소가스 분출로 유리기구내의 공기를 제거한 다음, 각 유리기구를 기체를 모우는 관이 설치된 격막(septum)으로 닫는다. 습기찬 비류재로부터 발생한 가스는 생성된 가스의 부피를 측정할 수 있도록 물속에 잠긴 눈금이 있는 실린더에 모아진다. 모든 유리기구들을 연기를 빨아들이는 찬장(board)에 놓고 처음 6시간 동안은 매 30분마다 그리고 다음 6시간 동안은 자주 교반한다. 3개의 베노젝트(Venoject) 유리기구들(이른바 반응로)을 각각 다르게 취급한다.
*처음 반응로는 설치된후 24시간동안 가동된다. 발생된 가스의 부피는 기록되며, 가스샘플은 가스분석을 위해 3㎖ 베노젝트(Venoject) 유리기구에 모아진다. 동시에 침출실험은 반응로가 정지된 후 즉각 습한 잔류물에 대해 행해진다.
*두번째 반응로는 설치된 후 48시간동안 가동된다. 생성되는 가스의 부피는 시작 후 2, 4, 6, 24 그리고 48시간 경과시에 기록된다. 가스는 샘플채취되고, 침출시험은 처음 반응로에서 기술된 바 대로 행해진다.
*마지막 반응로는 설치 후 7일동안 가동된다. 발생된 가스량은 7일후에 기록되고 앞서 기술된 다른 반응로에서와 같이 가스는 샘플채취되고, 침출시험이 행해진다.
기술된 반응로에 덧붙여서 100g의 습기찬 잔류물을 산소접촉을 극대화하기 위해 매우 얇은 층(대략2㎜) 으로 플라스틱 쟁반에 옮긴다. 그 잔류물이 습기함유량을 유지하도록 가끔 물을 끼얹으며 1주일동안 쟁반에 보관한다. 1주일이 지난 뒤에 이 습기찬 호기성 조건을 거쳐온 이 잔류물에 대해 침출시험을 시행한다.
이 실험에서는 Cr의 침출을 조사하기위하여 2가지 타입의 침출시험이 사용된다. 먼저 개방된 PE병에서 24시간동안 자성교반기로 L/S(액체-고체비율)20 ℓ/㎏으로 일단의 침출시험이 행해지고, 두 번째로는 밀폐된 PE병에서 24시간동안 자성교반기로 L/S 20 ℓ/㎏으로 침출시험이 행해진다. 샘플의 pH를 측정하고, 걸러진 용액을 0.45㎛필터로 걸러내고 Cr분석에 앞서서 산성화한다.
3.2 결과
[표1]은 시간에 대한 가스의 생성과 Cr의 침출을 나타낸다. 가스분석은 생성된 가스가 주로 수소와 보다 작은량의 메탄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검출되었다는 것을 나타낸다. 많은 량의 가스는 습기찬 잔류물로부터 발생된 것으로 나타났다. 7일 후에 3.6 ℓ/㎏의 가스가 반응로들에 보관된 습기찬 잔류물로부터 발생되었다. 가스발생비율은 실험의 각기 다른 단계에서 달라졌고 첫 24시간동안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음 3일 동안에는 감소되었고, 그후 가스발생은 정지되었다. 따라서 반응로들(혐기성조건)에서 습기찬 잔류물로부터 6가 Cr의 침출은 매우 낮았다. 더욱이 침출시험이 밀폐된 병에서 행해질 때 더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대로 침출조건(개방 또는 밀폐된 병)에 관계없이 쟁반에 노출된 잔류물로부터 Cr의 높은 침출이 나타났다. 침출성질을 비교하면, 산화잔류물로부터 Cr의 침출은, 혐기성 조건하에서 잔류물의 침출보다 2또는 3단계(10배수단계) 더 높다. 수소를 생성하는 반응은 Cr의 부동성과 유사하게 상응한다. 가스발생은 산소가 없는 환경에서 일례로 Al과 같은 순수금속의 산화에 기인한다. 개방된 병에서 행해진 시험과 비교하면, 밀폐된 병에서 행해진 침출시험에서 Cr의 침출이 더 낮아진다는 것은 산소의 결핍이 잔류물로부터 Cr의 환원/부동화에 대해 중요하다는 것을 암시한다.
[표1] 시간에 대한 혐기성 조건하에서 습하게 보관된 비류재로부터 Cr(호기성 또는 혐기성조건하의 침출)의 여과와 가스의 발생
처리시간 침출결과 수소발생
시간 호기성 ㎎ Cr/㎏ 혐기성 ㎎ Cr/㎏ ℓ/㎏
24 0.51 0.01 2.2
48 0.51 0.04 2.8
168 0.34 0.01 3.6
비처리 습한 호기성조건하에서 168시간 12 9.7 -

4. 실험2
4.1 실험구성
실험2의 목적은 잔류물이 금속 Al과 다른 순수금속들의 자연상태 함유량에 기인하여 Cr을 환원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실증하는 것이다. 나아가 금속Al과 Fe를 산화잔류물에 첨가하는 것이 혐기성조건하에서, 이들의 첨가가 잔류 물에서 Cr을 환원할 수 있다는 것을 실증하기 위하여 연구된다. 종국적으로 부동성Cr의 안정화가 검정된다.
이 실험을 위하여, 자치단체의 고체폐기물소각로KARA에서 섬유질필터로부터 채취한 반건조된 APC잔류물이 사용되었다. KARA(SD)로부터 반건조된 5㎏의 잔류물을 비 이온화된 물로 스프레이하고, 3주동안 최대한 공기에 노출되도록 얕은 층으로된 쟁반으로 옮긴다. 이 기간동안 APC잔류물을 가끔씩 물로 스프레이하고 그리고 이 잔류물에서 순수금속의 자연적인 산화가 최대한 일어나도록 뒤집는다. 이 산화된 반건조 APC잔류물을 OSD라 명하고 실험에 사용하기 전에 채로 거른다. 가스조임마개가 있는 8개의 유리병에 잔류물편과 금속을 다음과 같이 첨가한다.
*412g OSD잔류물(건조잔류량300g과 동등한 량)과 15g 금속 Al(Al호일-Al(0)) 2병
*412g OSD잔류물과 10g의 알맹이 금속Fe(Fe(0)) 2병
*412g OSD 2병
*300g SD상태의 잔류물 2병
각 병을 비이온화된 물로 채우고, 그리고 닫는다. 질소가스를 각 반응로로부터 1000㎖의 물을 치환할 수 있도록 각 병에 주입한다. 이후 각 반응로의 액체/고체 비율은 대략 3 ℓ/㎏이다. 모든 반응로를 실험중에는 회전반 위에서 흔들어준 다. 용액과 가스는 병들로부터 설치후 0, 2½, 7 그리고 24시간후에 샘플채취한다. 반건조잔류물(SD)과 (혐기성 조건하에서 물을 첨가하여) 처리되고 금속Al이 첨가된 산화 반건조잔류물(OSD)는 처리된 잔류물의 안전성을 연구하는데 사용되었다. 이 두병에서 APC잔류물과 부용물은 2부분으로 나누어지고, 병의 내용물을 나타내는 각 부분은
*SD3와 OSD3라고 명한 첫 부분은 각각 처리된 잔류물이 재 산화를 거치도록 24시간동안 자연개방상태에서 유리용기를 저어서 공기를 쐬도록 한다.
*SD4와 OSD4라고 명한 두 번째 부분은 각각 혐기성조건하에서 48시간동안 유리병에 보존한다.
기술된 대로 각 부분을 처리한 뒤 여과한다. 그 결과 4개의 다르게 처리된 잔류물(SD3, SD4, OSD3, 그리고 OSD4)를 다음에 두 부분으로 나누고, 한 부분은 침출시험에 앞서 50℃로 건조하고, 한 부분은 침출시험전에 밀폐된 용기에 젖은 상태로 보관한다.
8개의 다른 물질들은 2종류의 침출시험에의해 침출시험한다.
*호기성조건하에 24시간동안 L/S 20에서 일단의 침출시험
*혐기성조건하에서 24시간동안 L/S 20에서 일단의 침출시험
침출시험 샘플은 구멍크기 0.45㎛의 얇은 막의 필터로 여과하고, pH를 측정한다음 Cr분석에 앞서 산성화한다.
4.2 결과
OSD와 SD잔류물의 처리과정에서 용액의 Cr농도와 pH는 [표2]에 나타난다. [표2]의 숫자는 두 번 행해진 각 시리즈의 평균치이다.
어떤 순수금속의 추가없는 OSD로부터의 용액에 Cr의 높은방출(400㎍/ℓ)이 보일 것이다. OSD잔류물이 호기성조건하에서 함유된 순수금속을 산화하기위한 이 실험에 앞서서 충분히 산화된다는 것이 에상된다. 그리하여 OSD는 전통적으로 처리된 잔류물로부터 침출되었다고 예상할수 있는 Cr의 수준에 참고자료로 기여한다.
반대로 OSD와 금속Al을 넣은 반응로에서 Cr농도는 매우 빨리 감소하였고 첫 샘플을 채취하기 전에 100㎍/ℓ이하 였다. 농도는 2.5시간내에 검출한계(2㎍/ℓ)이하로 감소되었다. 동시에 수소발생과 pH감소를 관찰하였다. 이 결과는 순수금속의 자연상태 함유량이 결핍된 잔류물에 Cr을 부동화하기위해 외부 공급원으로부터 Al(0)를 추가할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혐기조건하에서 OSD에 금속Al보다 낮은비율로 금속Fe를 첨가하는 것이 Cr을 부동화 할수 있다고 확인되었다. 이 결과는 순수금속의 자연상태의 함유량이 결핍된 잔류물에 Cr을 부동화하기위해 외부 공급원으로부터 Fe(0)를 첨가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SD상태로 있는 반응로에서는 작은량의 수소발생이 일례로 Al(0)또는 Zn(0)의 순수금속의 혐기성 산화를 암시하는 낮은 Cr의 물에의 방출과 함께 부수적으로 관찰되었다. 물에서 Cr의 농도는 빠르게 감소되었다. 이 결과 SD상태로의 잔류물은 만약 제안된 처리방법에서와 같이 혐기성조건하에서 물을 첨가하면 순수금속의 자연상태의 함유량에의해 Cr을 환원하는 능력을 가졌다는 것을 보여준다.
[표2] Cr농도, 용액의 pH와 OSD(Al(0) 또는 Fe(0)첨가 또는 미첨가) 또는 SD의 혐기성적 반응로에서 처리하는동안 수소의 발생
시료 첨가물 처리시간 pH Cr 농도
시(hours) ㎍/ℓ
OSD None 0 10.8 245
11.1 427
7 11.1 442
24 11.2 343
OSD Al(0) 0 10.5 63
9.1 <2
7 9.1 <<2
24 9.2 <<2
OSD Fe(0) 0 10.7 183
11.1 189
7 11.1 114
24 11.1 6
SD None 0 12.2 36
12.0 <2
7 12.0 <2
24 12.0 <2

보유물이 공기를 쐬거나(OSD3와 SD3)혐기성조건하에서 보존된(OSD4와 SD4)후에 여과하는 동안 옮겨진 물은 Cr을 위해 분석되었다. 이 여과과정으로부터 물에서는 Cr가 나타나지않았다. 처리된 잔류물의 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2개의 처리잔류물이 다음 연구에 제공되었다.
처리된 잔류물의 안정성 평가는 2개의 처리된 잔류물의 침출시험에 의해 행해졌다. 침출시험은
*외부 공급원으로부터 Al이 첨가되어 처리된 OSD잔류물에 대해서,
*외부 공급원으로부터 금속의 첨가없이 처리된 SD잔류물에 대해서,
*그리고 처리되지 않은 SD상태(참고자료)에 대해서 이행되었다.
일단의 침출시험의 결과는 [표3]에서 나타난다. 어떤 처리에 앞서 처리되지 않은 SD에 대해 행해진 침출시험은 참고자료를 제공하며, 그리고 그 결과는 [표3]에 나타난다. 나아가 각기 다르게 처리된 잔류물의 침출결과는 참고자료(처리되지 않은 SD)의 침출에 상관되어있다. 일단의 침출시험이 혐기성조건하에서 처리되지 않은 건조SD에 대해 행해진다면 Cr은 기술된 처리방법과 같은 과정으로 금속Al과 다른 순수금속의 산화로 인하여 환원할 것이다. 그러므로 만약 침출시험이 혐기성조건(이 결과들은 나타나있지 않다)하에서 행해진다면, 개선된 결과는 관찰될 수 없을 것이다. 만약 침출시험이 산화된 조건하에서 행해진다면 처리된 물질은 [표3] 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처리되지 않은 SD의 것보다 더 낮은 Cr의 침출성을 가진다.
[표3] 호기성조건하에서 처리된 또는 처리되지 않은 SD로부터 Cr의 침출비교
샘플 pH 시험전 건조 재산화 방출 ㎍/㎏ 참고자료와의 관계
참고자료 미처리SD 12.3 500
SD 12.6 No yes 122 24%
SD 12.5 No no <<40 <<8%
SD 12.6 Yes yes <<40 <<8%
SD 12.7 Yes no 166 33%
OSD 10.3 No yes <<40 <<8%
OSD 10.3 No no <<40 <<8%
OSD 10.0 Yes yes <40 <8%
OSD 10.2 Yes no 101 20%

재산화를 거쳐온 (SD3와 OSD3)처리된 잔류물과 재산화를 거치지 않고 (SD4와 OSD4)유사하게 처리된 샘플과 그리고 처리되지 않은 잔류물의 침출성질간의 비교는 커다란 재산화가 실험에서([표4] 참조) 나타날 수 없다는 것을 보여준다. OSD에 대해서는 재산화가 전혀 관찰될 수 없었다. SD에 대해서는 침출시험이 호기성적으로 이행 되었을 때, 참고시험으로부터 침출된 Cr의 24%가 재산화 되었음이 관찰되었다. 건조된 SD샘플에 대한 침출시험에서 33%의 재산화가 관찰된다([표3]참조)
[표4] 재산화된 처리잔류물(SD3와 OSD3)과 재산화되지 않은 처리잔류물(SD4와 OSD4)의 비교. 시험에 앞서 건조되지 않았다. 실험에 있어 pH는 모든 SD잔류물에 대해서 12.5~12.8 이었고 모든 OSD잔류물에 대해서는 10.3~10.7 이었다.
잔류물 침출조건 SD3/OSD3 ㎍/㎏ SD4/OSD4 ㎍/㎏ 참고자료- 미처리SD ㎍/㎏
SD -Ox <<40 <<40 <<40
SD +Ox 122 <<40 500
OSD -Ox <<40 <<40 <<40
OSD +Ox <<40 <<40 500

5. 결론
*혐기성조건하에서 원APC잔류물에 물을 첨가하는 처리는 산소가 없는 조건하에 잔류물에서 대체로 순수금속의 산화가 자연적으로 일어남으로 인하여 Cr을 부동화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수반되는 산화/환원 반응은 순수금속과 Cr와 다른 성분들, 일례로 발생기수소를 포함할 수 있다.
*처리된 APC잔류물의 침출성질은 괄목하게 개선된다. 일단의 침출시험은 처리된 APC잔류물로부터 Cr의 침출이 매우 낮다는 것을 암시했다.(GFAAS 검출한계 2㎍/ℓ 이하 내지 유사)
*처리된 APC잔류물의 안정성에 관한 연구는 부동화된 Cr이 빨리 재산화될 수 없다는 것을 확인한다. 부유물에 공기를 쐬거나 또는 처리된 잔류물의 호기성건조(50℃)는 환원된 Cr을 최고 33% 재산화 하였다. 그리고 만약 그 처리가 Al(0)의 첨가로 이루어졌다면 재산화는 관찰되지 않을 수 있다.
*침출조건, 일례로 호기성, 혐기성조건은 Cr 침출에 강한 효과를 가진다.
폐기물 소각으로부터 발생하는 공기오염억제(APC)잔류물이 페렉스(Ferrox)공정에서 산성비나 기타 이유에의한 산성화에 대해 높은 완충능력을 유지하지 않으면 안되며, 염기성 환경을 형성한다는 것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페렉스(Ferrox)공정에서는 공정수에서 Cr농도를 합리적 수준으로 감소하는 것이 가능했으나, 반면에 최종적으로 안정화된 잔류생성물로부터 Cr의 침출을 감소시키는 것은 가능하지 않았다. Cr에관한 유사한 문제들은 알려진 다른 공정들과 연계하여 관찰된다.
그리하여 환경유해성분을 포함하는 물질로부터, 특히 염기성폐기물 소각잔류물로부터 산화음이온을 형성하는 원소, 일례로 Cr의 침출을 감소시키는 효과적이며 간편한 방법의 필요성이제기되며, 이에따라 발명의 목적은 상기의 필요성을 충족시킬 것이다.
상기 Cr 잔류물들은 우선적으로 금속Cr, 3가Cr, 6가Cr 형태로 존재한다고 예상된다. 후자는 유독하고 수용성의 관점에서 유동성이다. Cr의 가장 안정된 형태로 간주되는 3가 Cr은 다소 용해성이 떨어지며 수용액에서는 의미있는 농도를 나타내지않을 것이다. 금속 Cr은 반응성이 매우 낮은 것으로 알려져있다.
잔류물이 반응물질과 연소가스정화공정의 생성물과 또는 비류재로 구성되어 있다는 관점에서, 이 잔류물은 대부분의 미세원소들을 포함하여 대부분원소들의 꽤 많은 성분을 가지고 있다. 금속원소로서 Al은 실질적으로 언제나 잔류물에 존재할 것이다.
이미 수행한 연구로부터(Oberste-Padtberg~61-62)금속Al은 자치단체의 고체폐기물 소각잔류물에서, 특히 연소가스정화생성물에서 발견될 수 있다고 알려져있다. 오버스트 페트버그(Oberste-Padtberg) 에는 잔류물에 있는 금속Al과 Zn이 어떻게 염기성 환경에서 물과 반응하여 이에의해 수소를 만드는가 하는 것이 기술되어있다. 이 반응은 가스-콘크리트(gas-concrete)의 전형적인 폼-라이크 콘크리트(foam-like concrete)를 생산하는데 모르타르(mortar)에 금속Al가루를 첨가하는 가스-콘크리트(gas-concrete)생산에 사용된다. 오버스트 페트버그(Oberste-Padtberg)에서는 여과성능이나 산화음이온을 생성하는 원소들에 대한 강조는 어쨌든 언급되지 않는다. 또한 금속Al이 자치단체의 폐기물소각의 바닥재에서 발견될 수 있고, 그리고 그 바닥재가 물과 접촉될 때 수소의 발생이 일어난다는 것이 알려져있다.




Claims (19)

  1. 환경유해성분을 포함하는 물질로부터 산화음이온을 생성하는 원소의 침출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밀폐된 용기에서 상기 물질과 금속Al, Zn, Fe 그리고 상기 물질에 존재하는 다른 순수 금속의 산화로 인하여 산화음이온을 생성하는 원소를 안정화 할 수 있는 환원조건을 만들기에 충분한 액체-고체의 비율로 수성매개체를 혼합하여 반응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유해성분을 포함하는 물질로부터 산화음이온을 생성하는 원소의 침출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금속Al이 외부공급원으로부터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유해성분을 포함하는 물질로부터 산화음이온을 생성하는 원소의 침출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Al은 외부공급원으로부터 5% w/w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유해성분을 포함하는 물질로부터 산화음이온을 생성하는 원소의 침출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금속Zn이 외부공급원으로부터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유해성분을 포함하는 물질로부터 산화음이온을 생성하는 원소의 침출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금속Fe가 외부공급원으로부터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유해성분을 포함하는 물질로부터 산화음이온을 생성하는 원소의 침출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Fe는 외부공급원으로부터 3% w/w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유해성분을 포함하는 물질로부터 산화음이온을 생성하는 원소의 침출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질은 염기성 소각잔류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유해성분을 포함하는 물질로부터 산화음이온을 생성하는 원소의 침출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질은 잔류물이 폐기물 소각으로부터의 염기성 소각폐기잔류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유해성분을 포함하는 물질로부터 산화음이온을 생성하는 원소의 침출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질은 폐기물소각으로부터의 바닥재(bottom ash)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유해성분을 포함하는 물질로부터 산화음이온을 생성하는 원소의 침출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의 물질은 폐기물소각으로부터의 연소가스정화생성물인 비류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유해성분을 포함하는 물질로부터 산화음이온을 생성하는 원소의 침출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음이온 생성원소는 C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유해성분을 포함하는 물질로부터 산화음이온을 생성하는 원소의 침출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음이온 생성원소는 Sb, As, Mo, Se, V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유해성분을 포함하는 물질로부터 산화음이온을 생성하는 원소의 침출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
  13. 제 7 항 내지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물질은 pH 12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유해성분을 포함하는 물질로부터 산화음이온을 생성하는 원소의 침출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물질은 밀폐된 용기내에서 반응 후 pH 9 ~ 10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유해성분을 포함하는 물질로부터 산화음이온을 생성하는 원소의 침출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고체의 비율은 0.7~3 ℓ/㎏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유해성분을 포함하는 물질로부터 산화음이온을 생성하는 원소의 침출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된 용기에서의 반응시간은 10분~24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유해성분을 포함하는 물질로부터 산화음이온을 생성하는 원소의 침출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된 용기에서의 반응시간은 1~3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유해성분을 포함하는 물질로부터 산화음이온을 생성하는 원소의 침출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
  18. 제 1,2,3,4,5,6,7,8,9,10,11,12,15,16,17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환원가스가 외부공급원으로부터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유해성분을 포함하는 물질로부터 산화음이온을 생성하는 원소의 침출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성매개체는 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유해성분을 포함하는 물질로부터 산화음이온을 생성하는 원소의 침출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
KR1020037007948A 2000-12-19 2001-12-19 환경유해성분을 포함하는 물질로부터 산화음이온을 생성하는 원소의 침출을 감소시키는 방법 KR1008156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KPA200001901 2000-12-19
DKPA/2000/01901 2000-12-19
PCT/DK2001/000839 WO2002049779A1 (en) 2000-12-19 2001-12-19 A method for reducing the leaching of oxyanion forming elements, in particular chromium, from hazardous wast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0586A KR20030070586A (ko) 2003-08-30
KR100815672B1 true KR100815672B1 (ko) 2008-03-20

Family

ID=81599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7948A KR100815672B1 (ko) 2000-12-19 2001-12-19 환경유해성분을 포함하는 물질로부터 산화음이온을 생성하는 원소의 침출을 감소시키는 방법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6924409B2 (ko)
EP (1) EP1345709B1 (ko)
JP (1) JP4018983B2 (ko)
KR (1) KR100815672B1 (ko)
AT (1) ATE276840T1 (ko)
AU (1) AU2002221580A1 (ko)
CA (1) CA2430468C (ko)
DE (1) DE60105846T2 (ko)
DK (1) DK1345709T3 (ko)
NO (1) NO20032787D0 (ko)
TW (1) TWI265051B (ko)
WO (1) WO200204977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VE20090007A1 (it) * 2009-01-26 2010-07-27 Veneta Depuratori E Affini S Ve D A Soc Procedimento di trattamento di ceneri ottenute in impianti di incenerimento di rifiuti.-
US10272057B2 (en) 2012-10-05 2019-04-30 Oxford Pharmascience Limited Layered double hydroxides
GB201217911D0 (en) 2012-10-05 2012-11-21 Oxford Pharmascience Ltd Layered double hydroxides
CN106377867A (zh) * 2016-08-22 2017-02-08 武汉都市环保工程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垃圾焚烧飞灰重金属固化剂及其固化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74984A (ja) 1985-01-30 1986-08-06 Denki Kagaku Kogyo Kk 焼却灰の固化方法
DE4404203C1 (de) * 1994-02-10 1995-03-30 Bosag Bodensanierungsgesellsch Verfahren und Mittel zur chemischen Behandlung von mit Chromverbindungen kontaminiertem Boden oder Abfallmaterial
US5609558A (en) 1992-12-16 1997-03-11 Kanegafuchi Kagaku Kogyo Kabushiki Kaisha Waste-treating material
KR19980013753A (ko) * 1996-08-02 1998-05-15 박광조 중금속 함유 폐기물 고화처리용 조성물
JPH11267602A (ja) 1998-03-25 1999-10-05 Mitsubishi Heavy Ind Ltd 石炭燃焼排ガスからの補集灰処理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75853A (en) * 1968-12-24 1971-04-20 Lab Betz Inc Waste water treatment
US3933635A (en) * 1975-07-15 1976-01-20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Interior Method for removing soluble selenium from acidic waste water
US5431825A (en) * 1992-10-29 1995-07-11 Chemical Waste Management, Inc. Method for the reduction and stabilization of metal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74984A (ja) 1985-01-30 1986-08-06 Denki Kagaku Kogyo Kk 焼却灰の固化方法
US5609558A (en) 1992-12-16 1997-03-11 Kanegafuchi Kagaku Kogyo Kabushiki Kaisha Waste-treating material
DE4404203C1 (de) * 1994-02-10 1995-03-30 Bosag Bodensanierungsgesellsch Verfahren und Mittel zur chemischen Behandlung von mit Chromverbindungen kontaminiertem Boden oder Abfallmaterial
KR19980013753A (ko) * 1996-08-02 1998-05-15 박광조 중금속 함유 폐기물 고화처리용 조성물
JPH11267602A (ja) 1998-03-25 1999-10-05 Mitsubishi Heavy Ind Ltd 石炭燃焼排ガスからの補集灰処理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2221580A1 (en) 2002-07-01
DE60105846T2 (de) 2005-03-24
WO2002049779A1 (en) 2002-06-27
NO20032787L (no) 2003-06-18
US6924409B2 (en) 2005-08-02
KR20030070586A (ko) 2003-08-30
DE60105846D1 (de) 2004-10-28
JP4018983B2 (ja) 2007-12-05
DK1345709T3 (da) 2005-01-10
EP1345709A1 (en) 2003-09-24
CA2430468C (en) 2008-11-04
TWI265051B (en) 2006-11-01
US20040040914A1 (en) 2004-03-04
CA2430468A1 (en) 2002-06-27
ATE276840T1 (de) 2004-10-15
EP1345709B1 (en) 2004-09-22
JP2004516134A (ja) 2004-06-03
NO20032787D0 (no) 2003-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artlett et al. Behavior of chromium in soils: III. Oxidation
EP0038235B1 (fr) Procédé de traitement de déchets liquides de forte acidité
AU2016397508B2 (en) Composition containing modified chromate-deficient red mud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JPH08224560A (ja) 飛灰中の重金属の固定化方法
EP1296907B1 (en) Control of ammonia emission from ammonia-laden fly ash in concrete
US4344842A (en) Reactive iron oxide agents for scavenging hydrogen sulfide from hydrocarbon liquids
CA2264181C (en) A method for the treatment, in particular stabilization, of materials containing environmentally noxious constituents, especially from the incineration of waste, as well as a plant for carrying out the said method
EA023831B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состава, содержащего аморфный гидрат окиси железа
KR100815672B1 (ko) 환경유해성분을 포함하는 물질로부터 산화음이온을 생성하는 원소의 침출을 감소시키는 방법
KR19980080729A (ko) 크롬산화물 함유물질의 대량 처리방법 및 그 처리물의 이용방법과 이용물
US5092931A (en) Method for making insoluble heavy metals contained in fly ash discharged from incinerator
RU2225240C2 (ru) Смесь для обработки отходов
Breslin et al. Vanadium release from stabilized oil ash waste in seawater
JPS62183896A (ja) 石炭灰の安定化方法
CN107867749A (zh) 一种垃圾渗滤液除臭降解处理剂及其制备方法
Peters et al. The dissolution/leaching behavior of metal hydroxide/metal sulfide sludges from plating wastewaters
JPH07239118A (ja) 汚泥の処理方法
JP4557666B2 (ja) 重金属の溶出低減方法
JPH10113636A (ja) 廃棄物処理材および廃棄物処理方法
Hu et al. Effect of drying on leaching testing of treated municipal solid waste incineration APC-residues
Lechich et al. Marine disposal of stabilized metal processing waste
CA1179622A (en) Scavenging hydrogen sulfide from hydrocarbon liquids
RO134684A0 (ro) Compoziţie şi procedeu pentru tratarea in situ a gudronului acid şi a solului contaminat
JP2023140099A (ja) コンクリートスラッジ処理物の製造方法
JPS6354987A (ja) 石炭灰の安定化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