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5370B1 - 변기용 슬라이드 커버장치 - Google Patents

변기용 슬라이드 커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5370B1
KR100815370B1 KR1020070031834A KR20070031834A KR100815370B1 KR 100815370 B1 KR100815370 B1 KR 100815370B1 KR 1020070031834 A KR1020070031834 A KR 1020070031834A KR 20070031834 A KR20070031834 A KR 20070031834A KR 100815370 B1 KR100815370 B1 KR 1008153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slide
cover device
motor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18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명근
홍주리
김대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318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53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53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53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14Protecting covers for closet se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24Parts or details not covered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A47K13/02 - A47K13/22, e.g. devices imparting a swinging or vibrating motion to the seats
    • A47K13/247Covers with sliding wings or wings pivoting around a vertical axi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02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mechanically or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also details such as push buttons, levers and pull-card therefor
    • E03D5/04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mechanically or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also details such as push buttons, levers and pull-card therefor directly by the seat or cover combined with devices for opening and closing shutters in the bowl outlet and/or with devices for raising and lowering seat or cover; Raising or lowering seat and/or cover by flushing or by the flushing mechanis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Toilet Supp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변기용 슬라이드 커버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변기용 슬라이드 커버장치는 양변기 본체의 용변공간 상측에 설치되며 중앙부분에 관통구멍이 형성된 상·하판으로 된 커버 케이스와, 상기 상·하판 사이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일단이 선택적으로 외부로 인출되는 것에 의해 관통구멍을 개방하는 슬라이드 셔터와, 상기 커버 케이스의 일측에 설치되며 구동력에 의해 회전축을 회전시켜 이에 연결된 슬라이드 셔터를 권회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와 대응되는 커버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고 슬라이드 셔터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어 관통구멍을 폐쇄하는 위치로 탄성 복귀력을 작용하는 위치 복귀 탄성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양변기 본체의 상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조작력이나 또는 인체감지 센서 등을 이용한 입력신호를 기초로 슬라이드 셔터를 자동 개폐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상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슬라이드 방식에 의한 개폐 구조이므로 제품의 컴팩트화가 가능하여 설치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변기, 비데, 슬라이드, 덮개, 커버,

Description

변기용 슬라이드 커버장치{The Slide Cover Device for Toilet Bowl}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변기용 슬라이드 커버장치가 적용된 변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변기용 슬라이드 커버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변기용 슬라이드 커버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변기용 슬라이드 커버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변기용 슬라이드 커버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양변기 3 : 본체
5 : 수조 10 : 커버장치
11 : 커버 케이스 11a : 상판
11b : 하판 13 : 슬라이드 셔터
14 : 견인 밴드 15 : 구동부
15a : 모터 15b : 동력 전달기어
15c : 회전축 15d : 브라켓트
15e : 하우징 17a : 코일 스프링
17b : 태엽 스프링
본 발명은 변기용 슬라이드 커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구동원을 이용하여 커버시트를 슬라이드 방식으로 자동 개폐되게 하여 사용상의 편의성과 위생적인 환경을 유지할 수 있는 변기용 슬라이드 커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변기는 그 재질이나 형태 및 사용방식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구분되며, 크게 쪼그려 앉아서 용변을 보는 형태로 수조가 화장실에서 가장 높은 위치에 설치되어 있어 그 수압으로 용변과 함께 배수되는 화변기(하이탱크형 변기)와, 사용자가 걸터앉은 자세에서 용변을 볼 수 있도록 구비되면서 뒷 부분에 수조가 위치하는 양변기(로우탱크형 변기)로 구분되며, 근래 들어 그 사용상의 편의성으로 인해 대부분의 가정집이나 건물의 화장실에는 로우탱크형 서양식 변기인 양변기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양변기는 사용자가 걸터앉을 수 있도록 소정의 높이를 가지며 용 변을 볼 수 있도록 용변공간을 형성하고 용변과 물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배수구가 형성된 상면이 개방된 형태의 본체와, 이 본체의 후면측에 배치되어 외부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저장하고 저장된 물을 선택적으로 본체 내부로 공급하도록 구성된 수조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본체는 개방된 상부면에 사용자의 둔부를 받치기 위한 것으로 가운데 부분이 관통된 형태를 가지면서 상기 본체에 대하여 수직하게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좌판과, 이 좌판의 상부면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도록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조는 외부로부터 보충수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급수관과, 이 급수관에 일단이4 연결되고 부력을 받아 물에 뜨는 것에 의해 보충수의 공급을 단속하는 플로우트와, 그리고 물의 수위를 조절하기 위해 설치되는 것으로 일정량 이상의 물이 공급되었을 때 이를 배수시키는 오버플로우관을 포함하면서 그 하측에 변기와 연결된 통로를 차폐한 마개를 일체로 구비하는 플러시밸브와, 상기 마개와 개폐줄로 연결되는 것으로 수조의 외측에 구비되어 사용자로부터 조작력을 받는 핸들레버로 구성된다.
이러한 양변기는 사용자가 핸들레버를 조작하면 이에 연동하여 마개줄이 당겨져 플러시 밸브의 마개가 열리면서 수조에 저장된 물이 변기 내로 공급되면서 용변과 함께 배수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양변기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체의 상면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구성된 커버와 좌판을 손으로 열고 닫는 것에 의해 본체의 용변공간을 개폐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즉, 여성과 같이 용변을 보기 위해 반드시 좌판에 착석해야 하는 사용자의 경우에는 커버를 수직하게 세운 상태로 하면서 좌판은 내린 상태로 두어 용변을 볼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서서 용변을 보는 남성의 경우에는 소변 등이 커버나 좌판에 묻지 않도록 이들 커버 및 좌판을 수직하게 세운 상태로 하여 사용하고 있다. 또한 변기를 사용하지 않을 시에는 상기 좌판과 커버를 모두 내려 본체의 용변공간을 외부에 노출되지 않게 차폐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양변기는 커버를 사용자가 필요시 회동시키는 것에 의해 본체의 용변공간을 차폐하는 구성이므로 수동 조작에 따른 불편함이 있을 뿐만 아니라 커버를 회동 지지하는 힌지의 구조가 장시간 사용에 따른 헐거움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용변 과정에서 커버가 닫히게 되어 소비자의 불만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양변기를 사용하지 않을 시에는 세워진 상태의 커버를 닫게 되는데, 이때 사용자가 커버를 닫는 방향으로 미는 경우에는 상기 커버가 급격한 회동을 하면서 좌판과 부딪혀 충격음을 발생시키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단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전동기의 구동원을 이용하여 상기 커버를 정·역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구성의 개폐장치를 장착한 양변기가 제안된 바 있으나, 이러한 양변기는 커버의 힌지 부분에 전동기를 설치하여 회동 시켜야 하므로 전동기의 출력이 높아야 할 뿐만 아니라 신속한 개폐가 어려워 사용자로 하여금 불쾌감을 유발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전동 조작에 의해 커버가 개폐되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조급한 마음에 커버에 외력을 가하는 경우가 빈번하며, 이로 인한 전동기 및 구성품의 파손이 잦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슬라이드 방식으로 본체의 용변구간을 개폐하도록 하여 신속하고 안정된 동작을 보장하고 사용자의 조작력을 원천적으로 차단하여 전동 조작중에 가해지는 외력으로 인한 구성품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변기용 슬라이드 커버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변기용 슬라이드 커버장치는, 양변기 본체의 용변공간 상측에 설치되며 중앙부분에 관통구멍이 형성된 상·하판으로 된 커버 케이스와, 상기 상·하판 사이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일단이 선택적으로 외부로 인출되는 것에 의해 관통구멍을 개방하는 슬라이드 셔터와, 상기 커버 케이스의 일측에 설치되며 구동력에 의해 회전축을 회전시켜 이 에 연결된 슬라이드 셔터를 권회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와 대응되는 커버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고 슬라이드 셔터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어 관통구멍을 폐쇄하는 위치로 탄성 복귀력을 작용하는 위치 복귀 탄성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한 특징으로서, 상기 커버 케이스의 하판은 중앙부분에 형성된 관통구멍의 주위로 상기 슬라이드 셔터의 테두리 부분이 안착되는 단차부와, 이 단차부의 일측으로 위치 복귀 탄성체를 구성하는 코일 스프링의 일단이 안내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슬라이드 셔터는 양측 일단에 위치 복귀 탄성체와 연결되는 플랜지가 각각 돌출 형성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구동부는 회전 구동력을 생성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에 연결되어 구동력을 받아 회전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브라켓트와, 상기 모터와 회전축 그리고 브라켓트를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감싸는 하우징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위치 복귀 탄성체는 길이재의 탄성밴드를 탄력적으로 권회한 태엽 스프링인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모터에 연결되는 웜과 상기 회전축에 축결합되는 웜휠로 된 동력 전달기어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변기용 슬라이드 커버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변기용 슬라이드 커버장치가 적용된 변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양변기(1)는 용변공간과 배수구가 형성되는 본체(3)와, 이 본체(3)의 후면측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선택적으로 물을 공급받아 일정량 저장하며 사용자의 핸들레버 조작시 연동하여 저장된 물을 상기 본체(3)의 용변공간측으로 배출시키는 수조(5)로 구성되며, 이러한 양변기(1)는 상기 본체(3)의 용변공간 상측면을 커버하는 형태로 커버장치(10)가 부가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양변기(1)는 공지의 기술에 의해 실시되는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변기용 슬라이드 커버장치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도 2는 용변공간을 폐쇄하도록 슬라이드 셔터(13)가 닫힌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용변공간이 개방되도록 슬라이드 셔터(13)가 열린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변기용 슬라이드 커버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변기용 슬라이드 커버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커버장치(10)는 크게 외체를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양변기(1)의 용변공간의 상측에 설치되는 중앙부분에 관통된 구멍이 형성된 판재형의 커버 케이스(11)와, 이 커버 케이스(11) 내에 설치되며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에 의해 선택적으로 상기 양변기(1)의 용변공간을 차폐하는 슬라이드 셔터(13)와, 상기 슬라이드 셔터(13)를 개방위치로 견인 이동시키는 구동부(15) 및 상기 구동부(15)에 공급되는 전원 차단시 상기 슬라이드 셔터(13)를 개방 위치에서 차폐 위치로 복귀시키는 위치 복귀 탄성체로 구성된다.
커버 케이스(11)는 통상의 양변기(1)에 채용되는 좌판 형태로 구비되는 부재로서,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판(11a)과 하판(11b)으로 구성되며, 상기 상판(11a)은 후방 상측에 구동부(15)를 비롯한 각종 구성품이 장착되는 설치 공간을 제공하고 전방측으로는 사용자가 착석할 수 있는 좌석부를 제공하며, 상기 하판(11b)은 상기 상판(11a)의 전방 상부에 일체로 결합된다.
즉, 상기 상판(11a)과 하판(11b)은 중앙부분에 소정크기의 상·하 관통구멍(11a',11b')이 형성되는 판재형의 부재로서, 이때의 상기 상·하 관통구멍(11a',11b')은 상술한 양변기(1)의 본체(3)에 제공되는 용변공간과 연결된다. 이러한 구성의 상판(11a)과 하판(11b)은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호 다수의 나사부재를 이용하여 상호 결합되거나 또는 끼워 맞춤 구조를 통해 일체로 조립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성의 커버 케이스(11)는 그 내부에 슬라이드 셔터(13)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면서 후방측을 통해 외부로 인출될 수 있게 제공되며, 이러한 슬라이드 셔터(13)를 구비하기 위해 상기 하판(11b)은 상기 슬라이드 셔터(13)의 하면 테두리 부분이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관통구멍(11b')의 주위로 단차부(11bs)가 형성되는 구조이며, 이러한 단차부(11bs)는 필요시 상기 상판(11a)에 대응되게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하판(11b)은 후술할 슬라이드 셔터(13)의 이동 방향에 평행하게 가이드홈(11bg)이 형성되며, 이때의 상기 가이드홈(11bg)은 상기 단차부(11bs)의 일측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소정의 깊이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커버 케이스(11)는 대량 양산과 제조의 용이성을 고려하여 합성수지재를 사출 성형하여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종전의 양변기용 커버와 마찬가지로 양변기(1) 본체(3)에 힌지 결합되는 형태로 구비되어도 무방할 것이다.
슬라이드 셔터(13)는 상기의 커버 케이스(11) 내부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에 의해 선택적으로 관통구멍(11a',11b')을 개폐하는 개폐 부재로서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커버 케이스(11)의 후방측을 통해 외부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슬라이드 셔터(13)는 후술할 구동부(15)를 구성하는 회전축(15c)에 감겨질 수 있도록 소정의 두께를 갖는 플랙시블한 소재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 셔터(13)는 양측면에 플랜지(13a)가 돌출 형성되는 구성이며, 이때의 상기 플랜지(13a)는 후술할 위치 복귀 탄성체의 일단이 연결되는 연결부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슬라이드 셔터(13)는 후술할 구동부(15)의 회전축(15c)에 견인 밴드(14)를 통해 연결되는 것에 의해 상기 회전축(15c)에 선택적으로 감겨져 상기 커버 케이스(11)의 관통구멍(11a',11b')을 개방하게 되고, 위치 복귀 탄성체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되어 관통구멍(11a',11b')을 차폐하게 된다.
구동부(15)는 상기 커버 케이스(11)으 일측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선택적으로 구동력을 생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상기 슬라이드 셔터(13)를 커버 케이스(11)의 외부로 즉, 후방측으로 견인시켜 관통구멍(11a',11b')을 개방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구동부(15)는 크게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으며 사용자의 스위치 조작 또는 인체감지센서 등에 연결되어 제어신호를 받아 회전 구동력을 생성하는 모터(15a)와, 상기 모터(15a)에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것으로 양단이 브라켓트(15d)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축(15c)과, 상기 모터(15a)와 회전축(15c) 그리고 브라켓트(15d)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감싸는 덮개 부재인 하우징(15e)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모터(15a)는 사용자로부터 조작력을 받는 스위치(미도시)나 인체감지센서(미도시) 등에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전원을 공급받도록 회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은 공지의 기술에 의해 실시되는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브라켓트(15d)는 회전축(15c)의 원활한 회전을 도모하기 위해 공지의 베어링을 구성하여 회전축(15c)을 지지하는 구성이며, 상기 하판(11b)의 상측에 접합되거나 또는 나사부재를 이용하여 결합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하우징(15e)은 상술한 하판(11b)에 실링구조로 결합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구동부(15)는 상기 모터(15a)와 회전축(15c)간의 공간이 협소하여 축방향 배치가 어렵거나 또는 모터(15a)의 출력을 높이기 위하여 공지의 감속기어나 방향절환기어 등이 부가 설치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모터(15a)와 회전축(15c) 사이에 웜(15b')과 웜휠(15b")로 된 동력 전달기어(15b)를 부가 배치한 것을 제안하였다.
즉, 상기 모터(15a)의 축에는 웜(15b')이 결합되고, 상기 회전축(15c)의 일단에는 웜휠(15b")이 결합되며, 이때의 웜(15b')과 웜휠(15b")은 상호 교합되게 배치되는 것에 의해 결과적으로 상기 모터(15a)의 회전력이 웜(15b')과 웜휠(15b")을 통해 회전축(15c)에 전달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구동부(15)는 사용자로부터 스위치 조작력이나 인체감지센서의 신호를 통해 모터(15a)에 전원이 공급되면, 이에 연동하여 웜(15b')과 웜휠(15b")을 통해 회전축(15c)이 일방향 회전을 실시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상기 회전축(15c)에 견인 밴드(14)를 통해 연결된 슬라이드 셔터(13)가 커버 케이스(11)의 외부로 인출되면서 관통구멍(11a',11b')을 개방하게 된다.
위치 복귀 탄성체는 상술한 구동부(15)에 의해 외부로 인출된 슬라이드 셔터(13)의 위치를 복귀시켜 커버 케이스(11)의 관통구멍(11a',11b')을 차폐시키도록 하는 것으로서, 도 4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코일 스프링(17a)으로 제공되거나 또는 도 5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태엽 스프링(disc spring;17b)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위치 복귀 탄성체로서 코일 스프링(17a)이 제공되는 경우에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판(11b)의 관통구멍(11b') 주위에 가이드홈(11bg)을 형성하고, 이 가이드홈(11bg)에 코일 스프링(17a)을 끼워 넣은 뒤 그 양단을 슬라이드 셔터(13)의 양측에 돌출 구비되는 플랜지(13a)에 연결하는 것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 셔터(13)에 대한 탄성력을 작용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상기 슬라이드 셔터(13)가 상기 구동부(15)의 회전축(15c)에 감겨진 상태에서 모터(15a)에 인가되는 전원이 차단되면 상기 코일 스프링(17a)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 셔터(13)가 전방측으로 당겨지게 되므로 결과적으로 관통구멍(11a',11b')을 차폐하게 된다.
또한, 상기 위치 복귀 탄성체로서 태엽 스프링(17b)이 제공되는 경우에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판(11b)의 관통구멍(11b') 주위로 가이드홈(11bg)이 형성되고, 앞쪽 부분 양측에 각각의 태엽 스프링(17b) 몸체가 끼움되는 설치홈(11bm)이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 셔터(13)를 기준으로 양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태엽 스프링(17b)은 각 탄성밴드(미부호)의 일단이 상기 가이드홈(11bg)을 따라 상기 슬라이드 셔터(13)의 플랜지(13a)에 연결되는 것에 의해 전술한 코일 스프링(17a)과 마찬가지로 상기 구동부(15)의 회전축(15c)에 감겨진 슬라이드 셔터(13)를 전방측으로 당기는 탄성 작용을 통해 위치 복귀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변기용 슬라이드 커버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양변기(1) 일측에 제공되는 조작스위치(미도시)를 조작하거나, 또는 인체감지센서(미도시)를 통해 양변기에 접근하는 사용자를 감지하게 되면, 상기 구동부(15)를 구성하는 모터(15a)에 전원이 인가되고 이 모터(15a)와 동력 전달기어(15b)로 연결된 회전축(15c)이 연동하여 일방향 회전을 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 회전축(15c)과 견인 밴드(14)로 연결된 슬라이드 셔터(13)가 후방측으로 당겨지면서 회전축(15c)에 감기게 되고 결과적으로 커버 케이스(11)의 내부에서 인출되어 관통구멍(11a',11b')에 대한 개방 상태를 이루게 되므로 양변기의 이용이 가능하다.
한편, 사용자가 조작스위치를 재 조작하거나 또는 인체감지센서에 의해 사용자가 감지되지 않게 되면 상기 구동부(15)를 구성하는 모터(15a)에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됨에 따라 상기 위치 복귀 탄성체를 구성하는 코일 스프링(17a) 또는 태엽 스프링(17b)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슬라이드 셔터(13)가 앞쪽으로 당겨지게 되므로 결과적으로 상기 슬라이드 셔터(13)가 커버 케이스(11)의 관통구멍(11a',11b')을 차폐시키는 것에 의해 양변기(1) 본체(3)의 용변공간이 차폐된다.
한편,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변기용 슬라이드 커버장치는, 양변기 본체의 상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조작력이나 또는 인체감지 센서 등을 이용한 입력신호를 기초로 슬라이드 셔터를 자동 개폐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상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슬라이드 방식에 의한 개폐구조이므로 제품의 컴팩트화가 가능하여 설치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비데 등과 같은 위생기구의 추가적인 기능으로써의 장착이 가능하여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만족도와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6)

  1. 양변기 본체의 용변공간 상측에 설치되며 중앙부분에 관통구멍이 형성된 상·하판으로 된 커버 케이스와;
    상기 상·하판 사이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일단이 선택적으로 외부로 인출되는 것에 의해 관통구멍을 개방하는 슬라이드 셔터와;
    상기 커버 케이스의 일측에 설치되며 구동력에 의해 회전축을 회전시켜 이에 연결된 슬라이드 셔터를 권회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와 대응되는 커버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고 슬라이드 셔터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어 관통구멍을 폐쇄하는 위치로 탄성 복귀력을 작용하는 위치 복귀 탄성체;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용 슬라이드 커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케이스의 하판은 중앙부분에 형성된 관통구멍의 주위로 상기 슬라이드 셔터의 테두리 부분이 안착되는 단차부와, 이 단차부의 일측으로 위치 복귀 탄성체를 구성하는 코일 스프링의 일단이 안내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용 슬라이드 커버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셔터는 양측 일단에 위치 복귀 탄성체와 연결되는 플랜지가 각각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용 슬라이드 커버장 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회전 구동력을 생성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에 연결되어 구동력을 받아 회전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브라켓트와;
    상기 모터와 회전축 그리고 브라켓트를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감싸는 하우징;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용 슬라이드 커버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복귀 탄성체는 길이재의 탄성밴드를 탄력적으로 권회한 태엽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용 슬라이드 커버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모터에 연결되는 웜과 상기 회전축에 축결합되는 웜휠로 된 동력 전달기어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용 슬라이드 커버장치.
KR1020070031834A 2007-03-30 2007-03-30 변기용 슬라이드 커버장치 KR1008153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1834A KR100815370B1 (ko) 2007-03-30 2007-03-30 변기용 슬라이드 커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1834A KR100815370B1 (ko) 2007-03-30 2007-03-30 변기용 슬라이드 커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15370B1 true KR100815370B1 (ko) 2008-03-19

Family

ID=39411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1834A KR100815370B1 (ko) 2007-03-30 2007-03-30 변기용 슬라이드 커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5370B1 (ko)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8069B1 (ko) * 2010-01-26 2012-07-24 김흥기 교체 구조를 갖는 양변기용 슬라이드형 커버장치
KR101257204B1 (ko) 2012-01-31 2013-04-22 황득철 자동 작동 변기
KR101332524B1 (ko) * 2012-04-09 2013-11-22 석동희 수평 차단형 위생 좌변기 시트
KR101347922B1 (ko) 2013-09-06 2014-01-07 석동희 수평 차단형 위생 좌변기 시트
KR20160002543U (ko) * 2015-01-12 2016-07-20 채기석 자동 등받이와 전동커버를 구비한 양변기
KR101739077B1 (ko) * 2017-01-02 2017-05-23 김수범 변기 커버의 개폐장치
CN108618689A (zh) * 2018-07-16 2018-10-09 厦门瑞尔特卫浴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快拆式马桶盖板及连接装置
KR101966286B1 (ko) * 2018-01-26 2019-04-05 조재석 소변의 비산 방지용 양변기
KR102059278B1 (ko) * 2018-12-18 2019-12-26 경운대학교 산학협력단 자동 변기 개폐장치
CN111743447A (zh) * 2019-03-28 2020-10-09 日本电产三协株式会社 开闭部件驱动装置
GB2599072A (en) * 2020-08-12 2022-03-30 Indira Kunhiraman Manoj A toilet covering
KR102407052B1 (ko) * 2020-12-09 2022-06-16 주영한 변기시트 어셈블리
KR102446650B1 (ko) * 2022-06-26 2022-09-26 주식회사 티피에스 좌변기 비말 차단 장치
WO2023128931A1 (en) * 2021-12-27 2023-07-06 Eczacibasi Yapi Gerecleri Sanayi Ve Ticaret Anonim Sirketi Sliding toilet seat lid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70833A (ja) * 1988-04-23 1989-10-30 Kenichi Sakurai 使い捨て便座カバー連続紙及びその自動切離供給装置
JPH02309922A (ja) * 1989-05-15 1990-12-25 Chuyu O カバー被覆装置を備えたトイレ用便座
JP2002082174A (ja) * 2000-09-08 2002-03-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X線撮影装置
JP2004055228A (ja) * 2002-07-17 2004-02-19 Tocad Energy Co Ltd 電源プラ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70833A (ja) * 1988-04-23 1989-10-30 Kenichi Sakurai 使い捨て便座カバー連続紙及びその自動切離供給装置
JPH02309922A (ja) * 1989-05-15 1990-12-25 Chuyu O カバー被覆装置を備えたトイレ用便座
JP2002082174A (ja) * 2000-09-08 2002-03-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X線撮影装置
JP2004055228A (ja) * 2002-07-17 2004-02-19 Tocad Energy Co Ltd 電源プラグ

Non-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국내공개특허공보 제2002-82174호
국내공개특허공보 제2004-55228호
미국특허 제5561867호
일본공개특허공보 평01-270833호
일본공개특허공보 평02-309922호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8069B1 (ko) * 2010-01-26 2012-07-24 김흥기 교체 구조를 갖는 양변기용 슬라이드형 커버장치
KR101257204B1 (ko) 2012-01-31 2013-04-22 황득철 자동 작동 변기
KR101332524B1 (ko) * 2012-04-09 2013-11-22 석동희 수평 차단형 위생 좌변기 시트
KR101347922B1 (ko) 2013-09-06 2014-01-07 석동희 수평 차단형 위생 좌변기 시트
KR20160002543U (ko) * 2015-01-12 2016-07-20 채기석 자동 등받이와 전동커버를 구비한 양변기
KR200481634Y1 (ko) * 2015-01-12 2016-10-25 채기석 자동 등받이와 전동커버를 구비한 양변기
KR101739077B1 (ko) * 2017-01-02 2017-05-23 김수범 변기 커버의 개폐장치
KR101966286B1 (ko) * 2018-01-26 2019-04-05 조재석 소변의 비산 방지용 양변기
CN108618689A (zh) * 2018-07-16 2018-10-09 厦门瑞尔特卫浴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快拆式马桶盖板及连接装置
CN108618689B (zh) * 2018-07-16 2023-11-28 厦门瑞尔特卫浴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快拆式马桶盖板及连接装置
KR102059278B1 (ko) * 2018-12-18 2019-12-26 경운대학교 산학협력단 자동 변기 개폐장치
CN111743447A (zh) * 2019-03-28 2020-10-09 日本电产三协株式会社 开闭部件驱动装置
GB2599072A (en) * 2020-08-12 2022-03-30 Indira Kunhiraman Manoj A toilet covering
KR102407052B1 (ko) * 2020-12-09 2022-06-16 주영한 변기시트 어셈블리
WO2022124761A1 (ko) * 2020-12-09 2022-06-16 주영한 변기시트 어셈블리
WO2023128931A1 (en) * 2021-12-27 2023-07-06 Eczacibasi Yapi Gerecleri Sanayi Ve Ticaret Anonim Sirketi Sliding toilet seat lid
KR102446650B1 (ko) * 2022-06-26 2022-09-26 주식회사 티피에스 좌변기 비말 차단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5370B1 (ko) 변기용 슬라이드 커버장치
WO2011002598A1 (en) Combined control for a basin overflow and a basin drain
US20100050331A1 (en) System and method for flushing a toilet
CN102378843A (zh) 马桶注水阀的防逆流装置
US10081936B2 (en) Flush toilet apparatus and drive unit for same
KR100869762B1 (ko) 대소변 겸용 변기
KR101066922B1 (ko) 개폐 및 세척기능을 갖는 소변기
KR101315294B1 (ko) 변기의 시트커버 작동식 수세장치
KR100944385B1 (ko) 소변기가 부착된 절수형 변기
KR101523718B1 (ko) 인체하중을 이용한 변기용 무전원 자동 물 내림장치
KR102089985B1 (ko) 변기커버 개폐기능이 구비된 좌변기
KR101588426B1 (ko) 양변기의 배수 처리장치
JP4304461B2 (ja) ターントラップ式水洗便器
WO2021082343A1 (zh) 一种用于水槽进排水控制的集成开关及其自动控制系统
KR102424052B1 (ko) 팔꿈치용 스위치를 구비한 좌변기
KR101281948B1 (ko) 절수형 수세식 변기
KR101208147B1 (ko) 양변기
KR101947575B1 (ko) 비데의 수동버튼 구조
KR200409000Y1 (ko) 수압을 이용한 좌변기의 좌대 개폐장치
KR200484487Y1 (ko) 위생 변기 커버
KR102651329B1 (ko) 변기 커버 및 시트 무소음 닫힘장치
KR200419441Y1 (ko) 좌변기의 좌대 개폐장치
KR200216292Y1 (ko) 초 절수 개량형 변기
CN211037173U (zh) 一种水槽下水器排水口的开合控制机构
KR100715006B1 (ko) 좌변기의 좌대 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