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2524B1 - 수평 차단형 위생 좌변기 시트 - Google Patents

수평 차단형 위생 좌변기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2524B1
KR101332524B1 KR1020120047754A KR20120047754A KR101332524B1 KR 101332524 B1 KR101332524 B1 KR 101332524B1 KR 1020120047754 A KR1020120047754 A KR 1020120047754A KR 20120047754 A KR20120047754 A KR 20120047754A KR 101332524 B1 KR101332524 B1 KR 1013325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seat
blocking
seat panel
toi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77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14550A (ko
Inventor
석동희
Original Assignee
석동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석동희 filed Critical 석동희
Publication of KR201301145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45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25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25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14Protecting covers for closet se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24Parts or details not covered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A47K13/02 - A47K13/22, e.g. devices imparting a swinging or vibrating motion to the seats
    • A47K13/247Covers with sliding wings or wings pivoting around a vertical axi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24Parts or details not covered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A47K13/02 - A47K13/22, e.g. devices imparting a swinging or vibrating motion to the seats
    • A47K13/26Mounting devices for seats or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oilet Supp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든 좌변기의 상단에 결합시켜 안락하게 용변을 볼 수 있도록 하면서도 보다 청결한 위생을 담보할 수 있도록 하는 수평 차단형 위생 좌변기 시트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좌변기 시트패널을 형성하는 상부시트패널과 하부시트패널의 사이인 간격레일을 가르며 수평이동되도록 비산차단부를 설치하여, 필요시에만 수평방향으로 연동하는 비산차단부인 셔터막이나 차단패널이 수평방향으로 막을 쳐서 배출공을 차단하여 용변 후 내리는 물에 의해서 발생되는 세균의 비산을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도록 한 수평 차단형 위생 좌변기 시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수평 차단형 위생 좌변기 시트{a toilet bowl seat of horizontality shutter to protect virus scatter}
본 발명은 모든 좌변기의 상단에 결합시켜 안락하게 용변을 볼 수 있도록 하면서도 보다 청결한 위생을 담보할 수 있도록 하는 수평 차단형 위생 좌변기 시트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좌변기 시트패널을 형성하는 상부시트패널과 하부시트패널 사이의 간격레일을 가르며 수평이동되도록 비산차단부를 설치하여, 필요시에만 수평방향으로 연동하는 비산차단부인 셔터막이나 차단패널이 수평방향으로 막을 치고 배출공을 차단하여, 용변 후 내리는 물에 의해서 비산되는 세균을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도록 한 수평 차단형 위생 좌변기 시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좌변기는 수세식 화장실에서 사용되는 변기로서 양변기라고도 한다. 이 좌변기는 종래 화장실 변기에 비하여 앉은 자세로 대, 소변을 볼 수 있기에 보다 편리하고, 깨끗한 사용이 가능하지만 더욱 깨끗하고 쾌적한 환경을 추구하고 있는 현대인의 삶에서는 보다 많은 개선이 요구된다.
그럼 그동안 많은 문제가 있었던 부분을 설명한다. 대변을 보기 위해서는 좌변기의 상단에 고정되는 시트에 앉은 상태에서 일을 치르고, 자동이나 수동의 스위치에 의해서 물을 내려 대변을 정화조로 흘려 버리게 되는데, 이때 위생상 문제가 발생된다.
또한 좌변기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남자일 경우에는 직립자세로 소변을 보는 경우가 많은데, 이 과정에서 시트를 상부로 올려 90도 각도로 세운 상태에서 용변을 보지 않고, 좌변기 위에 시트를 올려두고 커버만 들어올린 상태에서 소변을 보기에, 시트에 소변이 묻어 더러운 얼룩이 지는 것은 당연하고, 이에 따라 위생에 문제가 발생된다.
전술된 문제점 중 더욱 큰 문제점이 전자인 대변을 볼 때 발생되는 문제점을 이다. 대변을 보고 나서 반드시 물을 내리게 되는데, 물이 그 저수조에서 떨어지며 낙차가 큰 물살을 일으키게 된다. 이 물살은 용변수 저장공간에 떨어지며 용변과의 마찰을 일으킨다. 이 과정에서 용변에 존재하고 있던 세균들이 화장실 내부를 떠다니며 화장실 내를 더럽히고 있다. 이를 해결하는 방법으로는 시트의 상단에 힌지 고정되는 커버를 덮어 세균의 비산을 차단하는 방식이 있는데, 이도 완벽하지는 못하다. 즉, 좌변기의 상부에 위치하게 될 시트패널은 그 지지 다리를 통해서 일정한 틈이 벌어진다. 바로 이 간격을 통해서 세균 등의 유해한 세균들이 화장실 내로 분출된다. 결국 커버를 덮어도 완벽한 세균의 비산을 막을 수는 없다.
또한 이러한 방식의 문제점은 커버를 덮은 상태에서 세균이 비산하게 되면, 시트패널의 배출공 상부로 올라오던 세균이 커버에 의해서 화장실 내부로 비산되는 것을 차단하기는 하지만, 그 하단의 시트패널의 상부에 떨어져 사용자가 다음의 용변을 위해서 시트패널에 앉을 경우에 신체를 오염시킬 소지가 다분히 있다. 거주자가 다수라면 이러한 문제는 더욱 커져서 거주자 모두를 오염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은 해결을 해야만 하는 문제로 인식되고 있고, 이를 해결하려고 하는 노력이 많이 양산되지는 못했다.
단순하게 시트패널에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종래 대한민국 특허청에 특허 출원 제 10-2009-122382호 "좌변기 시트용 위생 커버"로 출원된 발명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도 9와 10에 도면에서처럼, 종래 발명의 시트용 위생 커버는 커버 본체(10)와, 제1가로접이선(20)과, 복수의 제2가로접이선(26)과, 제1세로접이선(30)과, 제2세로접이선(36)과, 고정부(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커버 본체(10)는 얇은 종이를 사용하여 이루어지고 대략 좌변기(2)의 시트(6)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에 의하여 좌변기(2)의 시트(6) 윗면을 감싸 덮도록 형성하여 설치된다. 커버 본체(10)는 한쪽 또는 양쪽 면이 수지 코팅된 종이를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고, 커버 본체(10)는 부직포, 천, 합성수지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한가지 재질을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1가로접이선(20)은 상기 커버 본체(10)의 좌측 및 우측의 중앙부 2개소에 가로로 형성하여 설치된다. 제1가로접이선(20)은 도 5의 (b)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 본체(10)를 전후 부분으로 구획한 상태에서 중간 부분을 기준으로 전후 부분을 저면이 서로 마주하도록 아래쪽으로 꺾어 반으로 접을 수 있도록 형성하여 설치된다. 제2가로접이선(26)은 상기 제1가로접이선(20)과 상기 커버 본체(10)의 전후 끝 부분 모서리와의 중간 부분 4개소에 가로로 형성하여 설치된다. 상기 제2가로접이선(26)은 도면에서와 같이, 제1가로접이선(20)을 기준으로 구획된 전후 부분을 한번 더 전후 부분으로 각각 구획한 상태에서 한번 더 구획된 전후 부분의 중간 부분을 기준으로 각각 상기 한번 더 구획된 전후 부분을 윗면이 서로 마주하도록 위쪽으로 꺾어 접을 수 있도록 형성하여 설치된다.
상기 제1세로접이선(30)은 상기 커버 본체(10)의 후방 중앙에 세로로 1개소에 형성하여 설치되고, 제1세로접이선(30)은 상기 커버 본체(10)를 좌우 부분으로 구획한 상태에서 중간 부분을 기준으로 좌우 부분의 저면이 서로 마주하도록 아래쪽으로 꺾어 반으로 접을 수 있도록 형성하여 설치된다. 제2세로접이선(36)은 상기 제1세로접이선(30)과 커버 본체(10)의 후방 양측 모서리 사이 중간 부분에 형성하여 설치된다.
또한 제2세로접이선(36)은 상기 제1세로접이선(30)을 기준으로 구획된 좌우 부분을 한번 더 좌우 부분으로 각각 구획한 상태에서 한번 더 구획된 좌우 부분의 중간 부분을 기준으로 각각 상기 한번 더 구획된 좌우 부분을 윗면이 서로 마주하도록 위쪽으로 꺾어 접을 수 있도록 커버 본체(10)의 제1세로접이선(30)을 사이에 두고 세로로 형성하여 설치된다.
고정부(40)는 상기 커버 본체(10)가 펼쳐진 상태에서는 커버 본체(10)를 상기 좌변기(2)의 시트(6) 윗면에 접착 고정시키고 접힌 상태에서 커버 본체(10)의 서로 마주하는 부분끼리 접착이 이루어지도록 커버 본체(10)의 저면 일부에 형성하여 설치된다. 상기 커버 본체(10)에는 상기 제2가로접이선(26)과 제2세로접이선(36) 사이 구간에 위치하는 부분 모서리로부터 한쪽으로 돌출하여 일체로 연장되는 한쌍의 손잡이부(16)가 형성되어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고정부(40)는 상기 커버 본체(10)의 저면 중 상기 제2가로접이선(26)과 제2세로접이선(36) 사이 구간에 위치하는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일정 위치에 접착물질을 도포하는 것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접착물질은 접착력이 비교적 약하고 끈적거리지 않는 것을 사용하여 이루어지는데, 좌변기(2)의 시트(6)에 상기 커버 본체(10)를 접착하여 사용한 후 커버 본체(10)를 분리하기 용이하고 접착성분이 커버 본체(10)에 남지 않는 것을 사용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접착물질은 예를 들면, 접착식 메모지 등에 널리 사용되는 접착물질을 사용한다.
이러한 종래의 발명은 간단하게 접어서 보관을 하고 필요시에 시트(6)에 끼워 고정부(40)를 통해서 고정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결국 이 종래의 발명은 시트(6)에 위생 커버를 씌워 좌변기에서 발생될 수 있는 세균과 유해한 세균이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현상을 차단하고자 하는 발명이지만, 어느 것 하나 종래 발생되어 온 문제점을 해결한 것은 아니다. 단지 시각적으로 깨끗한 커버를 이용하여 시트(6)를 덮어 사용한다는 점만 갖추고 있어서, 심적인 안심만 될 뿐이다.
이 위생커버를 씌우고 용변을 본 후, 좌변기의 물을 내리게 되면, 비산되는 세균을 막을 수 없으면서도 오히려 세균이 서식하기 더 좋은 환경을 가져다 준다. 단순하게 시각적으로 시트(6)에 덮인 위생 커버를 통해서 깨끗한 환경임을 인식시키는 것을 제외하고는, 부직포나 지류로 제작된 이 위생 커버는 세균이 서식할 수보다 좋은 환경이 되기에 사실상 거주자의 위생에 더욱 해롭다.
본 발명은 모든 좌변기의 상단에 결합시켜 안락하게 용변을 볼 수 있도록 하면서도 보다 청결한 위생을 담보할 수 있도록 하는 수평 차단형 위생 좌변기 시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본 발명은 좌변기 시트패널을 형성하는 상부시트패널과 하부시트패널 의 사이인 간격레일을 가르며 수평이동되도록 비산차단부를 설치하여, 필요시에만 수평방향으로 연동하는 비산차단부인 셔터막이나 차단패널이 수평방향으로 막을 쳐서 배출공을 차단하여 용변 후 내리는 물에 의해서 발생되는 세균의 비산을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도록 한 수평 차단형 위생 좌변기 시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평 차단형 위생 좌변기 시트는, 좌변기(1) 상단에 장착하되, 배출공(11, 21)을 가진 상, 하부시트패널(10, 20)로 이루어진 시트패널(A)과; 시트패널(A)의 저면에 부착되는 밀착패드(90); 시트패널(A)에 힌지 고정되어 시트패널(A)의 배출공(11, 21)을 차단하는 시트커버(B)와; 상기 시트패널(A)의 내측에서 시트패널(A)의 배출공(11, 21)을 수평으로 차단시키는 비산차단부(C);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용변에서 발생되는 세균의 비산을 차단한다.
또한 본 발명 수평 차단형 위생 좌변기 시트에 따른, 시트패널(A)의 후방에 일체로 형성되는 시트프레임(30)의 내측에는 자외선램프(31)를 형성하여 살균력을 부여하고 : 비산차단부(C)는, 상부시트패널(10)과 하부시트패널(20)의 사이에서, 배출공(11, 21) 좌, 우측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ㄷ"자형 가이드레일(40); 시트프레임(30)의 내측에 배열된 샤프트(41)와 샤프트(41) 끝단에 고정된 모터(42); 및 상기 샤프트(41)에 감겨져, 펼칠 경우 상부시트패널(10)과 하부시트패널(20) 사이 간격레일(K)을 이동하며 배출공(11, 21)을 차단하는 셔터막(43);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모터(42)가 회전하여 셔터막(43)을 가이드레일(40)을 타고 이동시키며 배출공(11, 21)을 폐쇄하고, 개방한다.
또한 본 발명 수평 차단형 위생 좌변기 시트에 따른, 비산차단부(C)는, 상부시트패널(10)과 하부시트패널(10)의 사이에서, 배출공(11, 21) 좌우측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ㄷ"자형 가이드레일(50); 상기 가이드레일(50)에 좌우측단이 끼워지고 서로 포개어 겹치며 펼쳐질 수 있도록 설치되어, 상부시트패널(10)과 하부시트패널(20) 사이 간격레일(K)을 이동하며 배출공(11, 21)을 차단하는 다단 차단패널(60); 차단패널(60)의 끝단에 각각 고정되는 다단의 폴(53)과 이를 연동시키기 위한 모터(51)로 이루어진 폴연동구(52);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모터(51)가 회전하면 다단의 폴(53)이 그 끝단에 고정된 차단패널(60)을 하나씩 펼치거나 접어, 배출공(11, 21)을 폐쇄하고 개방하고 : "ㄷ"자형 가이드레일(50)은, 펼칠 때, 일부 포개진 차단패널(60)의 두께 차이만큼 점차적으로 간격이 좁아지도록 다단으로 형성되며 : 차단패널(60)은, 수평한 얇은 패널의 형태이되, 가이드레일(50)에 끼워지는 양단부는 절곡되어 "ㄷ"자 형태로 이루어진 지지부(65)가 형성되어, 1단패널(61)에 후속 차단패널(60)들이 단수에 따라 연속되어 끼워지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 수평 차단형 위생 좌변기 시트에 따른, 셔터막(43)의 최전방에는 간격레일(K)의 내측으로 이동시 간격레일(K)의 간격을 차단시킬 수 있는 밀폐라인(67)을 결합시켜 셔터막(43)의 연동과 함께 간격레일(K)을 타고 밀폐라인(67)이 이동되도록 하고 : 차단패널(60) 중 최전방 차단패널(60)의 첫 단에는 간격레일(K)의 내측으로 이동시 간격레일(K)의 간격을 차단시킬 수 있는 밀폐라인(67)을 결합시켜 차단패널(60)의 연동과 함께 밀폐라인(67)이 간격레일(K)을 타고 이동되도록 하며 : 밀폐라인(67)은 상부시트패널(10)과 하부시트패널(20)에 좌우 양쪽에 라운드지게 형성된 레일홈(68)을 타고 연동하도록 하여, 밀폐라인(67)의 수용과 연동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 수평 차단형 위생 좌변기 시트에 따른, 시트프레임(30)과 하단시트패널(20)에는, 연동가능한 멀티노즐(미도시)을 다수 개 형성하여 셔터막(43)이나 차단패널(60)의 저면을 청소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라 용변 후 간단하게 시트커버와 시트프레임의 내부에 내장한 비산차단부를 수평방향으로 펼치는 작동만으로 용변에서 발생될 수 있는 비산하는 세균을 차단할 수 있기에 사용이 편리하고 위생적이라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비산차단부로 활용되는 셔터막이나 차단패널을 배출공에 수평방향으로 펼쳐 배출공을 차단하기에, 배출공을 통해서 외부로 새어나올 수 있는 모든 오염물이나 세균을 차단할 수 있기에 화장실 청결에 도움이 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기존에 사용되던 좌변기 시트나 비데에 조금의 형상변경만을 가하여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활용가능성이 높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시트를 감싸는 커버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종래 커버를 다른 상태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좌변기 시트커버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좌변기 시트커버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 제2실시예의 비산방지부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좌변기 시트커버를 결합하여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좌변기 시트커버를 결합하여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좌변기 시트커버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좌변기 시트커버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 제2실시예의 가이드레일을 타고 연동하는 차단패널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 제2실시예의 밀폐라인 결합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 제1실시예의 밀폐라인 결합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좌변기에 설치되는 좌변기시트나 비데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을 도시된 도 3 내지 도 12와 함께 살펴본다.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은 좌변기(1) 상단에 장착하되, 배출공(11, 21)을 가진 상, 하부시트패널(10, 20)로 이루어진 시트패널(A)이 있고, 시트패널(A)에 힌지 고정되어 시트패널(A)의 배출공(11, 21)을 차단하는 시트커버(B)가 있으며, 상기 시트패널(A)의 내측에서 시트패널(A)의 배출공(11, 21)을 수평으로 차단시키는 비산차단부(C)가 있다. 따라서 용변에서 발생되는 세균의 비산을 차단한다.
즉, 본 발명은 종래 일반적인 좌변기시트나 비데와 동일 내지 유사한 형태를 갖는다. 그들처럼 시트패널(A)과 시트커버(B)로 이루어져 있다. 시트패널(A)의 경우 상, 하부시트패널(10, 20)이 서로 결합하여 하나의 시트패널(A)을 형성하게 되는데, 이 또한 종래의 좌변기시트나 비데와 동일한 사항이다. 단지 본 발명이 종래의 그것에 비하여 차이가 있다면 상기 시트패널(A)의 내측에 형성된 비산차단부(C)가 수평방향으로 이동을 하며 상하방향으로 개방된 배출공(11, 21)을 차단시킨다는 점에서만 차이가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차단의 방식도 독특하다. 본 발명의 비산차단부(C)는 상부시트패널(10)과 하부시트패널(20)의 내측에 내장된 상태로 있다가, 수평으로 이동하면서 필요시 배출공(11, 21)을 차단한다. 이 배출공(11, 21)은 상부시트패널(10)과 하부시트패널(20)이 모두 형성되어, 서로 면접하여 하나의 구멍이 되는데, 이 상부시트패널(10)과 하부시트패널(20)의 사이에서 비산차단부(C)가 배출공(11, 21)을 차단하는 것이다. 이 차단에 의해서 내부에서 발생될 수 있는 비산되는 오염물이나 세균을 막는다.
이 사용의 형태를 상세히 살펴본다. 사용자는 본 발명 즉, 본 발명의 비산차단부(C)가 장착된 비데나 또는 좌변기 시트에 앉아서 볼일을 본다. 물론 선 자세에서 소변을 볼 수도 있고, 앉은 자세에서 대변을 볼 수도 있다. 이때 사용자는 좌변기 시트이건 비데이건 그 시트커버(B)를 90도 각도로 올리고, 시트패널(A)에 앉거나 서서 볼일을 보게 된다. 시트패널(A)의 중심부에 형성된 배출공(11, 21)을 통해서 용변을 오물통으로 떨어지게 한다. 이 후 사용자는 수동이거나 자동으로 설치되는 상기 비산차단부(C)를 통해서 배출공(11, 21)을 차단한다. 별도의 상기 시트커버(B)를 내려서 배출공(11, 21)을 차단하는 방식이 아니다. 시트커버(B)를 내려서 배출공(11, 21)을 차단하는 방식은 종래기술에서 설명된 것처럼 시트커버(B)의 상단이 세균에 오염될 소지가 있기에 바람직한 방법이 아니다. 바로 본 발명은 상단시트커버(10)와 하단시트커버(20)의 사이에서 수평으로 이송하는 비산차단부(C)를 통해서 배출공(11, 21)을 차단하고, 용변에서 발생된 세균의 비산을 직접적으로 차단한다.
종래 좌변기시트나 비데에서는 본 발명의 비산차단부(C)와 같은 기능을 갖추고 있지 못하였기에, 용변 후 물을 내릴 때 그 강하게 낙하하는 수압에 의해서 용변이 분쇄되면서 미립자 형태의 세균이나 유해 물질이 비산되어 화장실을 전체적으로 오염시켜 왔다. 화장실에 비치된 수건은 물론 안경, 컨텍트렌즈, 비누, 샴푸 등 눈에 보이지 않는 중대한 오염이 심각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모두 해결한 발명이다.
그럼 본 발명의 보다 구체적인 구성과 그 작용을 도시된 도면과 함께 상세히 살펴본다. 본 발명에서 시트패널(A)의 후방에 일체로 형성되는 시트프레임(30)의 내측에는 자외선램프(31)를 형성하여 살균력을 부여한다. 즉, 본 발명의 시트패널(A)은 종래의 시트패널(A)과 마찬가지로 상부시트패널(10)과 하부시트패널(20)이 결합된 구조이다. 종래의 좌변기시트는 상부시트패널(10)과 하부시트패널(20)로 이루어지고, 상부시트패널(10)과 하부시트패널(20)의 후방부분에 서로 일체로 결합된 시트프레임(30)부분을 갖추고 있다. 눈에 띄게 구분되는 것은 아니지만 착석자의 착석을 제외한 부분을 칭한다. 이에 반하여 비데의 경우 내장할 노즐이나 스위치 패널 등의 장착을 위해서 시트패널(A)의 후방에 일체형의 시트프레임(30)부분을 갖고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비데나 좌변기시트에 모두 장착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자외선램프(31)는 모두 이 시트프레임(30) 내측에 장착된다. 자외선램프(31)는 후술될 비산차단부(C)인 셔터막(43)이나 차단패널(60)의 살균과 소독을 위한다. 본 발명은 좌변기 사용시 발생될 수 있는 위생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 비산차단부(C)가 수평방향으로 배출공(11, 21)을 차단하지 않은 때에는 비산차단부(C)도 역시 자외선을 통해서 살균하고자 한 배려이다.
그럼 본 발명에서 실시한 상기 비산차단부(C)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도시된 도면의 실시예는 2가지이다. 하나는 도시된 도 3과 같은 셔터형이고, 다른 하나는 도 4와 같은 차단패널형이다. 따라서 이 순서에 따라서 비산차단부(C)의 상세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비산차단부(C)는, 상부시트패널(10)과 하부시트패널(20)의 사이에서, 배출공(11, 21) 좌, 우측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ㄷ"자형 가이드레일(40)이 있고, 시트프레임(30)의 내측에 배열된 샤프트(41)와 샤프트(41) 끝단에 고정된 모터(42)이 있으며, 상기 샤프트(41)에 감겨져, 펼칠 경우 상부시트패널(10)과 하부시트패널(20) 사이 간격레일(K)을 이동하며 배출공(11, 21)을 차단하는 셔터막(43)이 있다. 따라서 상기 모터(42)가 회전하여 셔터막(43)을 가이드레일(40)을 타고 이동시키며 배출공(11, 21)을 폐쇄하고, 개방하는 것이다.
즉, 이 실시예는 셔터를 통해서 배출공(11, 21)을 차단하는 구조이다. 이를 위해서 도시된 것처럼, 가이드레일(40)을 장착하되 하부시트패널(20)과 상부시트패널(10) 사이에 끼워 넣는다. 이때 배출공(11, 21)의 좌우측에 근접된 위치에 가이드레일(40)을 체결한다. 상기 가이드레일(40)에는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절단된 셔터가 결합된 셔터막(43)이 끼워져 수평방향으로 연동할 때, 가이드레일(40)이 된다. 즉, 도시된 도면에서처럼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비산차단부(C)는 시트프레임(30) 내측에 그 셔터막(43)을 감은 상태로 배치된다. 셔터막(43)을 풀어 수평방향으로 펼지면 셔터막(43)만 배출공(11, 21)을 가리고 그 샤프트(41)와 모터(42)는 시트프레임(43) 내에 위치한다. 샤프트(41)의 일 측단에 모터(42)의 축이 체결된 상태이거나 변속기(AB)를 통해서 연결된 축이 체결된 상태이다. 그리고 샤프트(41)의 외주면에는 셔터막(43)의 일측단이 체결된 상태이기에 상기 샤프트(41)가 회전하는 방향에 따라 샤프트(41)의 외주면에 셔터막(43)을 감아주고 풀어주는 작동을 한다. 결국 상기 모터(42)가 회전을 하면 그 회전에 따라 샤프트(41)가 셔터막(43)을 감거나 풀어 배출공(11, 21)을 개방하고 폐쇄한다.
사용자는 이를 필요시에 별도로 마련된 유, 무선의 스위치를 통해서 달성한다. 용변을 볼 시기에는 수평방향으로 셔터를 걷어 배출공(11, 21)을 개방한 상태에서 용변을 보고, 용변이 끝나고 나면 셔터를 내려 배출공(11, 21)을 폐쇄한 상태에서 물을 내려 용변을 흘려 보낸다. 이후 사용자가 원하는 상태로 셔터의 개방과 폐쇄 여부를 선택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센서에 의해서 사용자가 없고, 오랜 기간 사용자의 사용이 없을 시에는 자동으로 셔터막(43)을 치도록 프로그램된 것도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기 셔터막(43)의 최전방에는 간격레일(K)의 내측으로 이동시 간격레일(K)의 간격을 차단시킬 수 있는 밀폐라인(67)을 결합시켜 셔터막(43)의 연동과 함께 간격레일(K)을 타고 밀폐라인(67)이 이동되도록 한다. 도시된 도면에서처럼 이 밀폐라인(67)은 오염의 방지를 위한 것이다. 셔터막(43)이 쳐진 상태에서는 상기 셔터막(43)이 지나다니는 간격레일(K)이 셔터막(43)에 의해서 일정부분 차단된 상태이기에 이 간격을 통해서 오염물질이나 세균이 스며들 우려가 적다. 그러나 셔터막(43)이 개방된 상태에서는 세균이나 오염물질이 간격레일(K)의 사이에 끼어 들어가 위생상 문제가 발생될 우려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셔터막(43)이 개방된 상태에서도 셔터막(43)이 타고다니는 간격레일(K)의 사이에 밀폐라인(67)을 끼워 넣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는 셔터막(43)의 끝단에 밀폐라인(67)을 결합시키고, 셔터막(43)의 연동에 따라 밀폐라인(67)이 같이 연동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작동이 가능하다.
셔터막(43)의 최전방에 밀폐라인(67)을 힌지나 고정구 등을 통해서 결합시키되, 상부시트패널(10)과 하부시트패널(20)이 면접하는 부분 즉, 배출공(11, 21)을 형성하는 부분에 대응되는 위치를 선정하여 결합시킨다. 셔터막(43)은 모터(42)의 회전을 통해서 샤프트(41)에 감기고 풀리는 작용을 하는데, 이 작용에 따라 셔터막(43) 전방에 고정된 밀폐라인(67)도 동일한 움직임을 갖는다. 셔터막(43)이 샤프트(41)에 감길 때에는 밀폐라인(67)도 셔터막(43)의 끝단에 고정된 상태로 모터(42)가 설치된 방향으로 이동을 한다. 셔터막(43)이 샤프트(41)에 다 감기어 배출공(11, 21)을 완벽하게 개방하게 되면 셔터막(43)이 지나친 간격레일(K)의 사이에 셔터막(43)을 따라서 이동한 밀폐라인(67)이 간격레일(K)의 간격을 밀폐시킨다. 밀폐라인(67)은 고무나 합성수지의 형태가 바람직하며, 장형으로 간격레일(K)의 간격에 끼워질 수 있는 정도의 두께가 적당하다. 이 작용에 따라 본 발명의 시트패널(A)은 그 간격레일(K)을 통해서 오염물질이나 세균이 스며들 수 있는 문제점을 차단했다.
앞에서는 제1실시예의 비산차단부(C)를 설명하였다. 따라서 이후에는 제2실시예의 비산차단부(C)를 설명한다.
제2실시예에 따른 비산차단부(C)는 상부시트패널(10)과 하부시트패널(10)의 사이에서, 배출공(11, 21) 좌우측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ㄷ"자형 가이드레일(50)이 있고, 상기 가이드레일(50)에 좌우측단이 끼워지고 서로 포개어 겹치며 펼쳐질 수 있도록 설치되어, 상부시트패널(10)과 하부시트패널(20) 사이 간격레일(K)을 이동하며 배출공(11, 21)을 차단하는 다단 차단패널(60)이 있으며, 차단패널(60)의 끝단에 각각 고정되는 다단의 폴(53)과 이를 연동시키기 위한 모터(51)로 이루어진 폴연동구(52)가 있다. 따라서 상기 모터(51)가 회전하면 다단의 폴(53)이 그 끝단에 고정된 차단패널(60)을 하나씩 펼치거나 접어, 배출공(11, 21)을 폐쇄하고 개방한다.
즉, 이 두 번째 실시예는 도시된 도에서처럼 차단패널(60)을 통해서 배출공(11, 21)을 차단하는 구조이다. 이를 위해서 도시된 것처럼, 가이드레일(50)을 장착하되 하부시트패널(20)과 상부시트패널(10) 사이에 끼워 넣는다. 이때 배출공(11, 21)의 좌우측에 근접된 위치에 가이드레일(50)을 체결한다. 상기 가이드레일(50)에는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절단된 차단패널(60)이 겹쳐져 있다가 하나씩 연장되어 펼쳐지는 다단구조의 차단패널(60)이 끼워져 있다. 즉, 도시된 도면에서처럼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비산차단부(C)는 시트프레임(30) 내측에 그 다단의 차단패널(60)을 다수 개 겹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차단패널(60) 즉, 1단의 차단패널(=1단패널; 60, 61)에서 2단의 차단패널(=2단패널; 60, 62)을 2단의 차단패널(=2단패널; 60, 62)에서 3단의 차단패널(=3단패널; 60, 63)을 뽑아 연장하는 형태로 차단패널(60)을 연장시키면 연장된 차단패널(60)들이 배출공(11, 21)을 가린다. 그러나 수용되어 하나의 차단패널(60)의 내측에 다단의 모든 차단패널(60)이 들어오면 배출공(11, 21)은 개방되고 차단패널(60)은 시트프레임(30) 내에 위치한다.
이러한 연동을 가능하게 하는 이유는 다단의 폴(53)이 각각의 차단패널(60)의 하단 끝단에 고정된 상태이고, 이 폴(53)은 폴연동구(52)의 동력인 모터(51)를 통해서 연동된다. 마치 안테나가 단을 연장하여 팽창하고, 수축하여 단을 줄일 때마다 같이 결합된 차단패널(60)을 동일한 거리만큼 연동시켜 배출공(11, 21)을 차단하고 개방한다.
결국 상기 폴연동구(52)인 모터(51)가 회전을 하면 그 회전에 따라 다단의 폴(53)이 길이를 연장하고 축소하며, 이 작동에 따라 차단패널(60)이 배출공(11, 21)을 패쇄하고 연장한다.
사용자는 이러한 작동을 필요한 경우에만 별도로 마련된 유, 무선의 스위치를 통해서 달성한다. 용변을 볼 시기에는 수평방향으로 차단패널(60)을 걷어 배출공(11, 21)을 개방한 상태에서 용변을 보고, 용변이 끝나고 나면 차단패널(60)을 펼쳐 배출공(11, 21)을 폐쇄한 상태에서 물을 내려 용변을 흘려 보낸다. 이후 사용자가 원하는 상태로 차단패널(60)의 개방과 폐쇄 여부를 선택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센서에 의해서 사용자가 없고, 오랜 기간 사용자의 사용이 없을 시에는 자동으로 본 차단패널(60)을 치도록 프로그램된 것도 바람직하다.
또한 이 제2실시예에서, 도시된 도 4의 도면에서처럼 상기 "ㄷ"자형 가이드레일(50)은, 펼칠 때, 일부 포개진 차단패널(60)의 두께 차이만큼 점차적으로 간격이 좁아지도록 다단으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즉, 가이드레일(50)에는 홈이 형성되고, 그 홈에 차단패널(60)의 좌우 양단이 끼워져 차단패널(60)이 가이드레일(50)을 타고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차단패널(60)은 다단으로 형성되어 길이가 연장되고, 서로 포개져서 축소되는 형태로 작동되는데, 포개진 상태에서 연장이 되면 외곽부의 차단패널(60)은 후속 다단의 차단패널(60)에 비하여 더 넓은 넓이와 두께를 가져야만 한다. 따라서 이들이 서로 일측이 포개진 상태로 연장되었을 때, 서로 두께가 다르게 된다. 바로 본 발명의 가이드레일(50)은 이러한 차단패널(60)의 폭과 두께 차이를 고려하고, 이들이 서로 연장되었을 때, 그 폭과 두께의 차에 따라 가이드레일(50)에 끼워지는 폭과 두께가 다른 점을 고려하여 가이드레일(50)도 다단이 될 수 있도록 했다. 이러한 구조적인 안정감으로 인하여 본 발명의 차단패널(60)은 보다 견고히 배출공(11, 21)을 차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차단패널(60)은, 수평한 얇은 패널의 형태이되, 가이드레일(50)에 끼워지는 양단부는 절곡되어 "ㄷ"자 형태로 이루어진 지지부(65)가 형성되어, 1단패널(61)에 후속 차단패널(60)들이 단수에 따라 연속되어 끼워지도록 한 다. 이미 어느 정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차단패널(60)은 도시된 도 4, 5에서처럼, 다 단으로 형성되어 최외곽에 형성된 차단패널(60)의 내부에 다른 단의 차단패널(60)이 수용될 수 있도록 결합시키고 필요시 차단패널(60)의 내부에서 다른 차단패널(60)이 돌출되어 길이를 연장하는 구조적인 결합을 가진다. 이때 차단패널(60)의 좌우 양단은 가이드레일(50)의 레일홈을 타고 이동되야 하기에, 보다 견고한 형태이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차단패널(60)의 좌우양단을 절곡하여 일정한 두께를 가질 수 있도록 했다. 그 형태도 "ㄷ"자 구조를 가져 견고하면서도 재료의 투입을 최소화하였다. 좌우 양단인 "ㄷ"자 절곡 지지부(65)에 비하여 안쪽은 평판형이고 두께가 얇기에 상부시트패널(10)과 하부시트패널(20)의 간격인 간격레일(K)을 지나갈 수 있도록 하면서도, 좌우 양단의 지지부(65)는 가이드레일(50)의 레일홈을 지나갈 수 있도록 했기에 수평 연동은 안전하면서도 차단의 효과는 배가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2실시예의 비산차단부(C)도 전술된 제1실시예의 비산차단부(C)와 동일 내지 유사하게 차단패널(60) 중 최전방 차단패널(60)의 첫 단에는 간격레일(K)의 내측으로 이동시 간격레일(K)의 간격을 차단시킬 수 있는 밀폐라인(67)을 결합시켜 차단패널(60)의 연동과 함께 밀폐라인(67)이 간격레일(K)을 타고 이동되도록 한다.
밀폐라인(67)을 통해서 간격레일(K)을 차단시키는 것이다. 도시된 도면에서처럼 이 밀폐라인(67)은 오염의 방지를 위한 것이다. 차단패널(60)이 쳐진 상태에서는 상기 차단패널(60)이 지나다니는 간격레일(K)이 차단패널(60)에 의해서 일정부분 차단된 상태이기에 이 간격을 통해서 오염물질이나 세균이 스며들 우려가 적다. 그러나 차단패널(60)이 개방된 상태에서는 세균이나 오염물질이 간격레일(K)의 사이에 끼어 들어가 위생상 문제가 발생될 우려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차단패널(60)이 개방된 상태에서도 차단패널(60)이 타고다니는 간격레일(K)의 사이에 밀폐라인(67)을 끼워 넣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는 최전방으로 펼쳐질 차단패널(60)의 끝단에 밀폐라인(67)을 결합시키고, 다단의 차단패널(60) 연동에 따라 밀폐라인(67)이 같이 연동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작동이 가능하다.
다단의 차단패널(60) 중 최전방으로 펼쳐질 차단패널(60)에 밀폐라인(67)을 힌지나 고정구 등을 통해서 결합시키되, 상부시트패널(10)과 하부시트패널(20)이 면접하는 부분 즉, 배출공(11, 21)을 형성하는 부분에 대응되는 위치를 선정하여 결합시킨다. 모터(51)의 회전을 통해서 폴(53)은 연동운동을 하고, 각각의 폴(53)과 결합된 각각의 차단패널(60)도 연동운동을 한다. 이 작동에 따라 최 외곽의 차단패널(60)인 1단패널(61)의 내측에 2단패널(62)이 수용되고, 2단패널(62)의 내측에 3단패널(63)이 수용되어 길이가 축소되고, 각각의 차단패널(60)들이 전방으로 돌출되며 길이를 연장한다. 이 과정에서 최전방 차단패널(60) 전방에 고정된 밀폐라인(67)도 동일한 움직임을 갖는다. 최전방 차단패널(60)이 1단패널(61)과 근접되게 이동함에 따라 밀폐라인(67)도 최전방 차단패널(60)의 끝단에 고정된 상태로 시트프레임(30)의 내측으로 이동을 한다. 차단패널(60)이 서로 포개져 1단패널(61)의 내측에 수용되었을 때, 배출공(11, 21)을 완벽하게 개방하게 되고 최전방의 차단패널(60)이 지나친 간격레일(K)의 사이에 차단패널(60)을 따라서 이동한 밀폐라인(67)이 간격레일(K)의 간격을 밀폐시킨다. 밀폐라인(67)은 고무나 합성수지의 형태가 바람직하며, 장형으로 간격레일(K)의 간격에 끼워질 수 있는 정도의 두께가 적당하다. 이 작용에 따라 본 발명의 시트패널(A)은 그 간격레일(K)을 통해서 오염물질이나 세균이 스며들 수 있는 문제점을 차단했다.
그리고 이러한 밀폐라인(67)의 작용을 돕기 위해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추가한다. 이도 제1실시예의 밀폐라인(67)은 물론 제2실시예의 밀폐라인(67)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사안이다. 즉, 밀폐라인(67)은 상부시트패널(10)과 하부시트패널(20)에 좌우 양쪽에 라운드지게 형성된 레일홈(68)을 타고 연동하도록 하여, 밀폐라인(67)의 수용과 연동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한다.
밀폐라인(67)이 제1실시예의 차단막(43)은 물론 제2실시예의 차단패널(60)과 결합되어 연동될 때 밀폐라인(67)을 가이드하고, 수용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는 별도의 레일홈(68)을 비치한 것이다. 도시된 도면에서처럼, 차단막(43)이나 또는 차단패널(60)의 최전방에 고정될 밀폐라인(67)을 위해서, 상부시트패널(10)이나 하부시트패널(20)에 밀폐라인(67)이 타고 이동할 레일홈(68)을 형성하는 것이다. 쌍으로 형성될 밀폐라인(67) 중 좌측의 것이 상부시트패널(10)에 형성된 레일홈(68)을 타고 이동할 수 있도록 했다면 우측의 것은 하부시트패널(20)에 형성된 레일홈(68)을 타고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는 역순으로 설치하여도 무방하다.
그리고 상부나 하부시트패널(20)에 2개의 레일홈(68)을 형성하여 모든 밀폐라인(67)의 수용과 가이드를 가능하게 설치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시트프레임(30)과 하단시트패널(20)에는, 연동가능한 멀티노즐(미도시)을 다수 개 형성하여 셔터막(43)이나 차단패널(60)의 저면을 청소할 수 있도록 한다. 도시된 도면에서처럼, 전술된 제1실시예나 제2실시예의 비산차단부(C)가 되는 셔터막(43)이나 차단패널(60)의 하단은 항상 수평으로 이동하면서 세균과 직면할 소지가 있다. 이를 깨끗이 청소하기 위해서 시트프레임(30)이나 하단시트패널(20)에 멀티노즐(미도시)을 형성하여 물을 분사시킬 수 있도록 한다. 하단을 전체적으로 청소하는 것이기에 다수가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분출되는 물줄기를 통해서 항상 셔터막(43)이나 차단패널(60)을 깨끗이 청소할 수 있도록 한다.
1; 좌변기 10, 20; 상, 하부시트패널
11, 21; 배출공 30; 시트프레임
40; 가이드레일 41; 샤프트
42; 모터 43; 셔터막
50; 가이드레일 51; 모터
53; 폴 60; 차단패널
65; 지지부 67; 밀폐라인

Claims (10)

  1. 좌변기(1) 상단에 장착하되, 배출공(11, 21)을 가진 상, 하부시트패널(10, 20)로 이루어진 시트패널(A)과;
    시트패널(A)의 저면에 부착되는 밀착패드(90);
    시트패널(A)에 힌지 고정되어 시트패널(A)의 배출공(11, 21)을 차단하는 시트커버(B)와;
    상기 시트패널(A)의 내측에서 시트패널(A)의 배출공(11, 21)을 수평으로 차단시키는 비산차단부(C);를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비산차단부(C)는, 상부시트패널(10)과 하부시트패널(20)의 사이에서, 배출공(11, 21) 좌, 우측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ㄷ"자형 가이드레일(40); 시트프레임(30)의 내측에 배열된 샤프트(41)와 샤프트(41) 끝단에 고정된 모터(42); 및 상기 샤프트(41)에 감겨져, 펼칠 경우 상부시트패널(10)과 하부시트패널(20) 사이 간격레일(K)을 이동하며 배출공(11, 21)을 차단하는 셔터막(43)으로 이루어져, 상기 모터(42)가 회전하여 셔터막(43)을 가이드레일(40)을 타고 이동시키며 배출공(11, 21)을 폐쇄하고, 개방하며;
    상기 셔터막(43)의 최전방에는 간격레일(K)의 내측으로 이동시 간격레일(K)의 간격을 차단시킬 수 있는 밀폐라인(67)을 결합시켜 셔터막(43)의 연동과 함께 간격레일(K)을 타고 밀폐라인(67)이 이동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차단형 위생 좌변기 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시트패널(A)의 후방에 일체로 형성되는 시트프레임(30)의 내측에는 자외선램프(31)를 형성하여 살균력을 부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차단형 위생 좌변기 시트.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밀폐라인(67)은 상부시트패널(10)과 하부시트패널(20)에 좌우 양쪽에 라운드지게 형성된 레일홈(68)을 타고 연동하도록 하여, 밀폐라인(67)의 수용과 연동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차단형 위생 좌변기 시트.
  10. 제1항에 있어서,
    시트프레임(30)과 하단시트패널(20)에는,
    연동가능한 멀티노즐(미도시)을 다수 개 형성하여 셔터막(43)이나 차단패널(60)의 저면을 청소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차단형 위생 좌변기 시트.
KR1020120047754A 2012-04-09 2012-05-04 수평 차단형 위생 좌변기 시트 KR1013325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36581 2012-04-09
KR1020120036581 2012-04-09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6994A Division KR101347922B1 (ko) 2013-09-06 2013-09-06 수평 차단형 위생 좌변기 시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4550A KR20130114550A (ko) 2013-10-18
KR101332524B1 true KR101332524B1 (ko) 2013-11-22

Family

ID=496345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7754A KR101332524B1 (ko) 2012-04-09 2012-05-04 수평 차단형 위생 좌변기 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252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7842B1 (ko) * 2021-05-24 2023-03-08 김종우 소변 튐 방지 기능을 갖는 양변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7235Y1 (ko) * 2003-10-08 2003-12-31 이광우 좌변기용 시트
KR100815370B1 (ko) * 2007-03-30 2008-03-19 삼성전기주식회사 변기용 슬라이드 커버장치
KR20110010319A (ko) * 2009-07-24 2011-02-01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다기능 화장실
KR20120002665U (ko) * 2010-10-11 2012-04-19 오상영 유아용 변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7235Y1 (ko) * 2003-10-08 2003-12-31 이광우 좌변기용 시트
KR100815370B1 (ko) * 2007-03-30 2008-03-19 삼성전기주식회사 변기용 슬라이드 커버장치
KR20110010319A (ko) * 2009-07-24 2011-02-01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다기능 화장실
KR20120002665U (ko) * 2010-10-11 2012-04-19 오상영 유아용 변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4550A (ko) 2013-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47426B1 (de) Dusch-WC
CN103958793B (zh) 一种卫生设备
KR20090083009A (ko) 자동 차단막을 갖는 소변기 및 그 자동 차단 방법
US10337182B1 (en) Toilet splash guard systems
KR101347922B1 (ko) 수평 차단형 위생 좌변기 시트
EP2071087A2 (de) Selbstreinigende Toilette
KR101332524B1 (ko) 수평 차단형 위생 좌변기 시트
ITRM20090544A1 (it) Tazza da bagno pieghevole a mantice.
US8484772B2 (en) Automatic lavatory-cleaning system
CH706368A2 (de) Sanitäranordnung.
KR20150089472A (ko) 음식물 쓰레기통
JP4394705B2 (ja) 高さ調整可能な男子用トイレ
WO2018077816A1 (en) Sanitary cabin
KR20140001717U (ko) 세균의 비산 방지를 위한 위생 좌변기 시트
JP6900018B1 (ja) 飛沫遮蔽具
CN211200612U (zh) 一种高度可调马桶
DE102007048912A1 (de) Kombi-Spültoilette und Toilettenaufsatz für ein Sitztoilettenbecken
KR200480353Y1 (ko) 이동식 간이 화장실
DE10258275B3 (de) Toilette mit Urinal
EP2447427A1 (de) Wc
DE202004006372U1 (de) Raumsparende Sanitäreinrichtung
JP2007046379A (ja) 引込戸
JP5954682B2 (ja) トイレ・シャワーユニット
CN113775016B (zh) 一种自适应双用便器
KR20120041492A (ko) 화장실용 복합 위생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