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83009A - 자동 차단막을 갖는 소변기 및 그 자동 차단 방법 - Google Patents

자동 차단막을 갖는 소변기 및 그 자동 차단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83009A
KR20090083009A KR1020080008918A KR20080008918A KR20090083009A KR 20090083009 A KR20090083009 A KR 20090083009A KR 1020080008918 A KR1020080008918 A KR 1020080008918A KR 20080008918 A KR20080008918 A KR 20080008918A KR 20090083009 A KR20090083009 A KR 200900830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rinal
semicircular
sensor
automatic
b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89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도익
Original Assignee
황도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도익 filed Critical 황도익
Priority to KR10200800089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83009A/ko
Publication of KR200900830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30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3/00Urinals ; Means for connecting the urinal to the flushing pipe and the wastepipe; Splashing shields for urinals
    • E03D13/005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urina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7/00Other equipment, e.g. separate apparatus for deodorising, disinfecting or cleaning devices without flushing for toilet bowls, seats or covers; Holders for toilet brushes
    • A47K17/02Body supports, other than seats, for closets, e.g. handles, back-rests, foot-rests; Accessories for closets, e.g. reading tables
    • A47K17/028Foot- or knee-res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 차단막을 갖는 소변기 및 자동 차단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르면 헤드부와, 하부의 보울(bowl)과, 종방향 슬릿이 형성된 양 측벽과, 개방된 전면을 가지는 본체와; 적어도 1개소에 수평으로 반원상의 랙이 형성된 반원상의 좌우측 차단막과; 반원상의 랙에 계합되며 구동 수단에 의해 구동되는 피니언 롤러로 구성되며: 배뇨자의 접근 시 반원상의 랙이 형성된 반원상의 좌우측 차단막이 그 원주 방향을 따라 양 측벽의 종방향 슬릿 내측으로 요입(후퇴)되고, 배뇨자의 이탈 시 인출(전진)되어 닫히는 자동 차단막을 갖는 소변기가 제공되며, 본 발명에 따르면 배뇨자의 충분한 접근 시에만 자동으로 소변기가 개방되므로 소변의 흘림이나 비산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가 있어 위생성을 제고할 수가 있고 고품격의 위생적 외관과 방취 효과를 제공하며, 또한 타인의 시야 차폐에 의한 개인의 프라이버시 유지에 효과적임과 아울러, 남성용 화장실 시공 시 별도의 시야 차단용 칸막이를 설치할 필요성이 없으므로 시공의 간편성 및 효율성을 제고함과 더불어, 다양한 형상 및 크기의 시야 차단 날개를 적절히 선택하여 용이하게 변경 적용할 수가 있다.
소변기, 차단막, 시야차단, 날개, 칸막이

Description

자동 차단막을 갖는 소변기 및 그 자동 차단 방법{URINALS HAVING AUTOMATIC SHIELDING ARC PLATES AND AUTOMATIC SHIELD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자동 차단막을 갖는 소변기 및 그 자동 차단 방법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평시에는 소변기의 내측 전면이 위생적으로 폐쇄된 상태로 유지되며 남성들의 배뇨 시 충분히 다가설 경우에만 소변기의 내측 전면이 개방되어 배뇨 가능한 형태로 유지되므로 위생성 향상을 도모할 수가 있음과 아울러, 일체형 또는 조립형의 세라믹, 스테인레스 강판, 법랑철기, 또는 합성수지로 된 시야 차단 날개를 가짐으로써 남성들의 배뇨 시 자연스럽게 타인의 시야를 차폐할 수가 있어서 개인의 프라이버시 유지에 효과적인 자동 차단막을 갖는 소변기 및 그 자동 차단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변기는 양변기와 마찬가지로 위생도기(sanitary ware)의 하나로써 모든 공공시설물의 남성 화장실에는 양변기 외에 남성의 간편한 배뇨를 위한 소변기가 함께 설치되며, 이러한 소변기는 도기, 스테인레스 강판, 법랑철기, 또는 합성수지로 제조될 수 있으나 표면의 흡수성이 적고 미려한 품격을 가지는 도기(ceramics or ceramic ware)가 가장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상기한 소변기는 스톨식(standing type)과 벽걸이식(wall-hung type)으로 구분되며, 다가섬 센서가 장착되는 경우에는 센서 내장형 또는 센서 외장형으로 구분되기도 한다.
한편, 그 색상은 유약의 선택에 따라 백색(white), 파스텔 핑크(pastel-pink), 아이보리(ivory), 파스텔 아이보리(pastel-ivory), 제이드 그린(jade-green), 액셀 블루(excel-blue)가 통상적이다.
위생도기의 제조 과정에 대하여 간략히 언급하면, 점토, 도석, 납석 등의 원광석을 성형용 원료로써 사용하기 위하여 미세하게 분쇄한 다음, 진동 스크로우를 이용하여 회전시키면서 혼련(kneading)하여 숙성시킨 후, 성형기에 원료를 주입하여 초기 성형 제품을 만들고, 건조실에서 건조시킨 다음, 시유기를 이용하여 건조된 성형제품의 표면에 유약을 입혀 내식성, 내마모성, 광택성을 부여하고, 22∼24시간 동안 약 1200℃ 정도의 온도에서 소성시켜 제품을 구원 낸 후, 소성하여 요출된 완제품을 시장의 요구수준에 부합하는지 검사하고, 연마기를 이용하여 성형된 완제품의 표면을 매끄럽게 연마 처리하여 포장 후 출고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제조되는 종래의 소변기는 밀폐된 상하면과 양 측면, 그리고 개방된 전면을 가지며 상부의 살수용(撒水用) 급수 구조와 하부의 보울(bowl) 구조를 가지는 소변기 본체와, 본체 하부의 배수 트랩(trap)으로 구성되어 있을 뿐, 시야 차단 날개 또는 칸막이를 부착하여 남성들의 배뇨 시 자연스럽게 타인의 시야를 차폐하여 개인의 프라이버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된 소변기는 물론, 자동으로 소변기 내측 전면을 개폐 가능하게 구성된 자동 차단막이 설치된 소변기 는 제안되어 있는바 전혀 없었다.
비록 공공시설물의 남성용 화장실에 있어서 프라이버시 유지를 위해 소변기와 소변기 사이에 별도의 칸막이를 전면 벽체에 부착 설치한 구조를 많이 찾아 볼 수 있기는 하나, 이는 어디까지나 소변기 자체의 구조에 대한 것은 아니므로 소변기를 화장실에 설치하는 작업과는 별개로 번거롭고도 수고스러운 칸막이 설치 작업을 하여야만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배뇨 시 소변기에 충분히 다가서지 않는 경우 소변의 흘림이나 비산으로 말미암아 위생상에 문제의 소지가 있었으며, 이러한 문제는 비센서식(non-sensor type)은 물론 센서식(sensor type) 소변기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첫 번째 목적은 남성의 배뇨 시 소변의 흘림이나 비산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가 있도록 충분한 다가섬을 유도할 수가 있어 향상된 위생성을 갖는 개선된 구조의 소변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두 번째 목적은 소변기의 내부를 자동 개폐함으로써 향상된 고품격의 미관과 방취 효과를 나타내는 개선된 구조의 소변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세 번째 목적은 선택적으로 남성의 배뇨 시 자연스럽게 타인의 시야를 차폐할 수가 있어서 개인의 프라이버시 유지에 효과적인 소변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네 번째 목적은 선택적으로 남성용 화장실 시공 시 별도의 시야 차단용 칸막이를 설치하여야 할 필요성을 원천적으로 제거함으로써 시공의 간편성 및 효율성을 제고한 소변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섯 번째 목적은 선택적으로 화장실 넓이나 규모, 설치 장소적 특성, 통상적인 사용 층의 연령이나 감성적 특성 등에 부합될 수 있는 형상 및 크기의 시야 차단막을 적절하고도 용이하게 변경 적용할 수가 있는 개선된 구조의 소변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여섯 번째 목적은 상기한 제반 목적을 원활히 달성할 수가 있는 자동 차단막을 갖는 소변기에 있어서의 효과적인 자동 차단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첫 번째 및 두 번째 목적을 원활히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양태(樣態)에 따르면, 복수개의 통수공이 형성된 저류조와 급수공을 가지며, 전방에 센서가 내장된 헤드부와, 배수 트랩(trap)과 연결되는 하부의 보울(bowl)과, 종방향 슬릿이 형성되고 측벽 공간부를 갖는 양 측벽과, 개방된 전면과 그 배후에 배면 공간부를 가지는 본체와; 적어도 1개소에 수평으로 반원상으로 랙이 형성된 반원상의 좌우측 차단막과; 상기한 반원상의 랙에 계합되며 구동 수단에 의해 구동되고 상기한 측벽 공간부 내에 배치되는 피니언 롤러로 구성되며: 상기한 센서에 의한 배뇨자의 접근 감지 시 상기한 구동 수단의 구동에 의해 피니언 롤러와 계합된 반원상의 랙이 형성된 반원상의 좌우측 차단막이 그 원주 방향을 따라 상기한 양 측벽의 종방향 슬릿 내측으로 요입(후퇴)되고, 상기한 센서에 의한 배뇨자의 이탈 시 상기한 종방향 슬릿 외측으로 인출(전진)되는 자동 차단막을 갖는 소변기가 제공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첫 번째 및 두 번째 목적을 원활히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 양태에 따르면, 복수개의 통수공이 형성된 저류조와 급수공을 갖는 헤드부와, 배수 트랩(trap)과 연결되는 하부의 보울(bowl)과, 종방향 슬릿이 형성되고 측벽 공간부를 갖는 양 측벽과, 개방된 전면을 가지며 그 배후에 배면 공간부를 갖는 본체와; 압력 센서가 내장된 족형 오목부를 갖는 디딤부와; 적어도 1개소에 수평으로 반원상으로 랙이 형성된 반원상의 좌우측 차단막과; 상기한 반원상의 랙에 계합되며 구동 수단에 의해 구동되고 상기한 측벽 공간부 내에 배치되는 피니언 롤러로 구성되며: 상기한 압력 센서에 의한 배뇨자의 접근 감지 시 상기한 구동 수단의 구동에 의해 피니언 롤러와 계합된 반원상의 랙이 형성된 반원상의 좌우측 차단막이 그 원주 방향을 따라 상기한 양 측벽의 종방향 슬릿 내측으로 요입(후퇴)되고, 상기한 압력 센서에 의한 배뇨자의 이탈 시 상기한 종방향 슬릿 외측으로 인출(전진)되는 자동 차단막을 갖는 소변기가 제공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첫 번째 및 두 번째 목적을 원활히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한 양태에 있어서 반원상의 랙이 좌우측 차단막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자동 차단막을 갖는 소변기가 제공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첫 번째 및 두 번째 목적을 원활히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한 양태에 있어서 좌우측 차단막의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의 텐션 롤러가 당접하게 배치되는 자동 차단막을 갖는 소변기 가 제공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첫 번째 및 두 번째 목적을 원활히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한 양태에 있어서 상기한 측벽 공간부와 배면 공간부에 걸쳐 내외측 가이드가 배치되고 상기한 내외측 가이드 사이의 닙(nip)을 통하여 상기한 좌우 차단막이 안내되는 자동 차단막을 갖는 소변기가 제공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첫 번째 내지 및 두 번째 목적을 원활히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한 소변기 본체의 보울의 전방 영역이 디딤부에 의하여 한정되는 앞쪽으로 길게 연장된 전방 만입부를 갖는 자동 차단막을 갖는 소변기가 제공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첫 번째 및 두 번째 목적을 원활히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 양태에 따르면, 소변기 본체의 개방된 내측 전면에 내향 경사면이 형성된 자동 차단막을 갖는 소변기가 제공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세 번째 내지 네 번째 목적을 원활히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한 소변기 본체의 양 측벽에 시야 차단 날개가 형성된 자동 차단막을 갖는 소변기가 제공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다섯 번째 목적을 원활히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한 소변기 본체의 양 측벽의 시야 차단 날개가 분리형인 자동 차단막을 갖는 소변기가 제공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여섯 번째 목적을 원활히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 한 일 양태에 따르면, (A) 소변기 본체의 헤드부에 내장된 센서가 사용자의 소정 거리 이내로의 접근을 감지하는 단계와; (B) 상기한 센서로부터 소정 거리 이내로 사용자가 접근 시 상기한 양태에 따른 피니언 롤러를 구동시킴으로써 반원상의 랙이 형성된 좌우측 차단막을 양 측벽의 종방향 슬릿을 통하여 요입(후퇴)시키는 단계; (C) 상기한 (B) 단계에 후속하거나 또는 그와 동시에 급수공을 개방하여 소변기 본체의 내측면을 예비 세정하는 단계와; (D) 상기한 센서로부터 소정 거리 밖으로 사용자가 이탈 시 급수공을 개방하여 소변기 본체의 내측면을 본세정하는 단계와; (E) 상기한 (D) 단계에 후속하거나 또는 그와 동시에 상기한 양태에 따른 피니언 롤러를 구동시킴으로써 반원상의 랙이 형성된 좌우측 차단막을 양 측벽의 종방향 슬릿을 통하여 인출(전진)시켜 원위치시키는 단계로 구성되는 소변기의 자동 차단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다섯 번째 목적을 원활히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한 방법에 있어서 디딤부의 족형 오목부에 사용자의 발이 위치할 경우에만 상기한 (B) 단계가 수행되며, 상기한 디딤부의 족형 오목부로부터 사용자의 발이 이탈될 경우 상기한 (E) 단계가 수행되는 소변기의 자동 차단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차단막을 소변기 및 그 자동 차단 방법에 의하면, 남성이 배뇨를 위하여 충분히 접근할 경우에만 자동으로 소변기가 개방되어 배뇨 가능한 형태가 되므로 소변의 흘림이나 비산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가 있어 위생성을 제고할 수가 있음과 아울러, 고품격의 위생적 외관과 방취 효과를 제공하며, 또한 시야 차단 날개가 부착된 경우에는 타인의 시야를 차폐함으로써 개인의 프라이버시 유지에 효과적임과 아울러, 남성용 화장실 시공 시 별도의 시야 차단용 칸막이를 설치하여야 할 필요성을 원천적으로 제거함으로써 시공의 간편성 및 효율성을 제고함과 아울러, 화장실 넓이나 규모, 설치 장소적 특성, 통상적인 사용 층의 연령이나 감성적 특성 등에 부합될 수 있는 형상 및 크기의 시야 차단 날개를 적절히 선택하여 용이하게 변경 적용할 수가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구체예에 따른 자동 차단막을 갖는 소변기(1)의 폐쇄 상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자동 차단막을 갖는 소변기(1)의 개방 상태 사시도로서, 편의상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차단막을 갖는 소변기(1)는 하부에 배수 트랩(trap)(미도시)과 연결되는 보울(bowl)(15)을 가지며 개방된 내측 전면(11)을 가지는 소변기 본체(10)와, 양 측벽(12)의 외측벽(도 3, 4의 도면부호 12b 참조)에 부착된 선택적 구성 요소로서의 일체형 또는 분리형의 시야 차단 날개(20)와, 상기한 소변기 본체(10)의 하부에 형성되는 선택적 구성 요소로서의 디딤부(30)로 구성된다.
상기한 소변기 본체(10)는 내측 전면(11)과 양 측벽(12)의; 내측면(도면부호 미부여)으로 구성되는 개방된 전면과, 양 측벽(12)과, 상기한 내측 전면(11)의 세정을 위한 급수공(13b)이 상면(13)에 형성된 상부의 살수 구조와, 배수구 뚜껑(16) 이 위치하는 하부의 보울(15)로 구성되며, 이는 공지이다.
여기서 상부의 살수 구조는 상기한 급수공(13b)에 연결된 저류조(도 5의 도면부호 13c 참조)의 내측 전면(11)의 상단부에 형성된 복수개의 살수용 개구(도 5의 도면부호 13d 참조)로 형성되며, 상기한 헤드부(13)의 전면의 센서공(13a) 뒤에는 센서(도 5의 도면부호 80 참조)가 설치되나 이에 대한 것은 모두 공지이므로 이에 대한 부연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한 소변기 본체(10)는 도시된 스톨식(standing type)의 장방형 외에도 한국 전통 형식의 꽃신 형태를 갖는 타원형으로 할 수도 있으며, 비록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벽걸이식(wall-hung type)의 방패형 또는 타원형으로 형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고, 이 또한 본 발명의 영역 내이다.
상기한 소변기 본체(10)의 내측 전면(11)은 대략 중간부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내측으로 경사진 직선상 또는 곡선상의 경사구배를 갖는 내향 경사면(11a)이 형성되며, 이에 의해 사용자의 배뇨 시 내측 전면에 충돌하는 소변의 각도가 예각화(銳角化)되므로 소변의 비산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 특징적인 구성 요소인 차단막(40)은 우측 차단막(41)과 좌측 차단막(42)의 2매 1조로 구성된다. 상기한 우측 차단막(41)과 좌측 차단막(42)은 각기 동일 치수 및 형태를 갖는 반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한 본체(10)의 양 측벽(12)에 형성된 종방향 슬릿(12a)을 통하여 그 내외측으로 전진 및 후퇴하여 소변기를 개폐하게 되며, 이에 대하여는 후술하는 도면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의 선택적 구성 요소인 시야 차단 날개(20)는 수평 연장부(21)와 전방 연장부(22)로 구성된다.
상기한 시야 차단 날개(20)의 상면(23)과 저면(26)은 상호 평행한 형태, 또는 상면(23) 혹은 저면(26) 중 어느 한 쪽이 상방으로 상향 경사지거나 또는 하향 경사지게 구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도시된 예에서는 상기한 시야 차단 날개(20)의 상면(23)은 수평하고 그 저면(26)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전체적으로 상광하협(上廣下狹)의 직각 사다리꼴 형태이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한 전방 연장부(22)의 전체적인 형태를 정방형, 장방형, 원형, 타원형, 평형사변형, 사다리꼴, 또는 직각 역사다리꼴 형태 등으로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영역 내이다.
도시된 예에서는 상기한 시야 차단 날개(20)의 전방 연장부(22)의 전면(24) 하방 영역에 의한 시야 차단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그 외측면이 내측으로 만곡(彎曲)되어 외측의 시야로부터 내측면이 가려지는 형태를 제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에 있어 이는 선택적이며 만곡되지 않은 직선상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한 수평 연장부(21)와 전방 연장부(22)의 경계면(도면부호 미부여)은 곡선상으로 형성하거나 또는 직각으로 절곡된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한 시야 차단 날개(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일체형으로 제작될 경우, 소변기 본체(10)와 동일 재질인 세라믹(도기)으로 형성되며, 이는 고품격의 미려한 형상을 제공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시야 차단 날개(20)를 분리형으로 제작할 경 우에는 가격이나 취급 편의성, 사용자의 미적 취향 등에 따라 스테인레스 강판, 법랑철기, 또는 합성수지 등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선택적 구성요소로서의 디딤부(30)는 상기한 소변기 본체(10)의 하부에 일체로 또는 분리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한 디딤부(30)의 상면(31)에는 족형 오목부(34)를 형성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소변기 본체(10)에 자연스럽게 다가서도록 유도하여 소변의 비산이나 흘림으로 인한 위생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한 족형 오목부(34)에는 압력 센서(미도시)를 설치하여 배뇨자가 족형 오목부(34)에 정확히 올라서거나 또는 내려갔을 경우 상기한 자동 차단막(40)의 개폐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상기한 디딤부(30)가 소변기 본체(10)와 일체형의 세라믹으로 제작되고 모서리(31)가 형성된 측면(32)을 갖도록 형성된 예를 나타내고 있으나, 그 전체적인 형태는 본 발명에 있어 선택적이며 제한적이지 않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한 소변기 본체(10)의 보울(15)의 전방 영역은 디딤부(30)에 의하여 한정되며, 앞쪽으로 길게 연장된 전방 만입부(15a)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 소변의 흘림을 방지하여 위생성을 보다 제고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어서, 도 3은 도 1의 I-I선 횡단면도로서 자동 차단막(40)의 폐쇄 상태를 나타내며, 도 4는 도 2의 II-II선 횡단면도로서 자동 차단막(40)의 개방 상태를 나타내고, 도 5는 도 2의 III-III선 종단면도로서 자동 차단막(40)의 작동 상태를 예시한 도면으로서, 설명의 편의상 함께 언급하기로 한다.
도 1 및 2에서의 측벽(12)은 종방향 슬릿(12a)이 형성되고 외측벽(12b)과 내측벽(12c)에 의해 한정되는 측벽 공간부(47)를 가지며, 외측벽(12b)과 내측 전면(11)에 의해 배면 공간부(48)가 한정된다.
배뇨자가 존재하지 않는 평상시의 상황을 도시한 도 3을 참조하면, 우측 차단막(41)과 좌측 차단막(42)이 전방을 폐쇄하여 상호 그 일단부가 당접하여 접촉된 상태로 유지되며 타단부는 상호 이격된 상태로 유지된다.
도 5에서의 헤드부(13) 구조 및 시야 차단 날개(20) 구조에 대해서는 이미 상술한 바 있으므로 이에 대한 부연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 내지 5에서, 우측 차단막(41)과 좌측 차단막(42)은 각각 동일한 형태 및 크기를 갖는 반원통상이며, 적어도 하나의 개소에 수평으로 반원상의 랙(49)이 형성(도시된 예에서는 각기 상하 2개소에 형성)된 예를 나타내고 있으며 반원통체의 내측(즉, 차단막(40)의 내주면)에 랙(49)이 형성된 예를 나타내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반원통체의 외측에 랙(49)을 형성할 수도 있으나, 미관 상 측면에서 내측에 랙(49)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랙(49)에는 모터(60)와 같은 구동수단에 의해 구동되는 피니언 롤러(43)가 계합되며, 구동수단의 축(71)은 감속기어 박스(70)를 경유하여 본체(10) 상방의 베어링(73)에 끼워지고 상기한 축(71)에는 피니언 롤러(43)가 고정된다.
한편, 선택적으로는 우측 차단막(41)과 좌측 차단막(42)을 경계로 상기한 피니언 롤러(43)가 위치하는 반대쪽(즉, 차단막(40)의 외주면)에 텐션(tension) 롤러(44a, 44b)를 설치할 수 있으며, 그 개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다. 텐션롤 러(44a, 44b)의 외표면이 당접하여 지지하게 되면 우측 차단막(41)과 좌측 차단막(42)의 수평 좌우 이동이 확실하게 안내된다.
상기한 피니언 롤러(43)와 텐션 롤러(44a, 44b)는 외측벽(12b)과 내측벽(12c) 에 의해 한정되는 측벽 공간부(47)에 배치되며, 피니언 롤러(43)의 톱니(도면부호 미부여)는 우측 차단막(41)과 좌측 차단막(42)에 음각으로 형성된 랙(49)의 톱니(도면부호 미부여)와 맞물려 있으며, 피니언 롤러(43)의 톱니는 랙(49) 상단부를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의 본체(10)의 측벽(12)은 제한적인 것은 아니나 전체적으로 볼록 원통상으로 구성하는 것이 공간 확보상 바람직하다.
또한 선택적으로는, 상기한 측벽 공간부(47)와 배면 공간부(48)에 걸쳐 외측 가이드(45a)와 내측 가이드(45b)가 배치되고 상기한 내외측 가이드(45b,45a) 사이의 닙(nip)(46)을 통하여 상기한 우측 차단막(41) 및 좌측 차단막(42)이 안내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헤드부(13) 내의 전방에 위치하는 센서(80)에 의한 배뇨자의 접근 감지 시 상기한 구동수단(60)의 구동에 의해 피니언 롤러(43)와 계합된 반원상의 랙(49)이 형성된 반원상의 우측 및 좌측 차단막(41, 42)이 그 원주 방향을 따라 상기한 양 측벽(12)의 종방향 슬릿(12a) 내측으로 요입(후퇴)되고, 상기한 센서(80)에 의한 배뇨자의 이탈 감지 시 상기한 종방향 슬릿(12a) 외측으로 인출(전진)된다.
또한 선택적으로는, 디딤부(30)의 상면(31)의 족형 오목부(34)에 압력 센서 (미도시)를 설치하여, 배뇨자가 상기한 족형 오목부(34)에 올라 선 경우에 압력 센서가 이를 감지하여 상기한 구동수단(60)을 구동시킴으로써 피니언 롤러(43)와 계합된 반원상의 랙(49)이 형성된 반원상의 우측 및 좌측 차단막(41,42)이 그 원주 방향을 따라 상기한 양 측벽(12)의 종방향 슬릿(12a) 내측으로 요입(후퇴)되고, 상기한 압력 센서에 의한 배뇨자의 이탈 감지 시 상기한 종방향 슬릿(12a) 외측으로 인출(전진)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으며, 이 또한 본 발명의 영역 내이다.
상기한 자동 차단막(40)의 재질은 금속, 법랑 철기, 세락믹, 또는 합성수지와 같은 다양한 재질의 것을 사용할 수 있으나, 경량의 내구성 있는 저렴한 소재가 바람직하므로 스티프니스(stiffness)를 갖는 투면, 반투명, 또는 불투명의 합성수지대가 바람직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는 매우 간단하여 내구성이 높고 작동 신뢰성이 높다.
상기한 센서(80)는 공지이며, 통상적인 것은 적외선 센서로서 감지 거리는 약 400∼800㎜ 정도, 통상적으로는 600㎜ 이내이며 감지 시간은 약 3초이고 예비 세척 시간은 약 1.5초이며 본 세척은 약 8초 정도이다. 또한 사용 압력 조건은 0.5∼7kgf/㎠이고 사용 유량은 약 4ℓ이하이며 통상적으로 리튬 전지 또는 알칼라인 전지가 사용된다.
또한, 상기한 디딤부(30) 상면의 족형 오목부(34)에 압력 센서(미도시)를 설치하여 사용자가 족형 오목부(34)에 발을 올려놓을 경우에만 시야 차단 날개(20)가 전진하도록 하고 발을 내려놓을 경우 시야 차단 날개(20)가 후퇴하도록 구성하고, 상기한 적외선 센서(80)는 예비세척 및 본세척 용도로만 사용되도록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시야 차단 날개(20)를 분리형으로 제작할 수도 있으며, 그 가격이나 취급 편의성, 사용자의 미적 취향 등에 따라 세라믹, 스테인레스 강판, 법랑철기, 또는 불투명이거나 반투명인 합성수지 등으로 형성할 수 있고, 분리형으로 제작 시 남성용 화장실 시공 시 소변기의 운반 편의성과 시공의 간편성 및 효율성을 제고함과 아울러, 화장실 넓이나 규모, 설치 장소적 특성, 통상적인 사용 층의 연령이나 감성적 특성 등에 부합될 수 있는 형상 및 크기의 시야 차단막을 적절하고도 용이하게 변경 적용할 수가 있게 된다.
상기한 시야 차단 날개(20)를 분리형으로 할 경우, 그 체결 구조는 공지의 다양한 체결 구조를 적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차단막을 갖는 소변기(1)에 있어서의 자동 차단막(40)을 이용한 자동 차단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하기의 단계로 구성된다.
(A) 단계:
소변기 본체의 헤드부에 내장된 센서가 사용자의 소정 거리 이내로의 접근을 감지한다.
(B) 단계:
상기한 센서로부터 소정 거리 이내로 사용자가 접근 시 상기한 양태에 따른 피니언 롤러를 구동시킴으로써 반원상의 랙이 형성된 좌우측 차단막을 양 측벽의 종방향 슬릿을 통하여 요입(후퇴)시킨다.
(C) 단계:
상기한 (B) 단계에 후속하거나 또는 그와 동시에 급수공을 개방하여 소변기 본체의 내측면을 예비 세정한다.
(D) 단계:
상기한 센서로부터 소정 거리 밖으로 사용자가 이탈 시 급수공을 개방하여 소변기 본체의 내측면을 본세정한다.
(E) 단계:
상기한 (D) 단계에 후속하거나 또는 그와 동시에 상기한 양태에 따른 피니언 롤러를 구동시킴으로써 반원상의 랙이 형성된 좌우측 차단막을 양 측벽의 종방향 슬릿을 통하여 인출(전진)시켜 원위치시킨다.
또한, 디딤부(30)의 족형 오목부(34)에 사용자의 발이 위치할 경우에만 그에 설치된 압력센서에 의해 상기한 (B) 단계가 수행되도록 하고, 상기한 디딤부(30)의 족형 오목부(34)로부터 사용자의 발이 이탈될 경우 상기한 (E) 단계가 수행되도록 할 수도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하기의 단계를 들 수 있다.
(A) 단계:
소변기 본체의 헤드부에 내장된 적외선 센서가 사용자의 소정 거리 이내로의 접근을 감지한다.
(B) 단계:
디딤부의 족형 오목부에 사용자가 올라서는 것을 압력 센서로 감지한다.
(C) 단계:
상기한 압력 센서가 압력 감지 시 상기한 양태에 따른 피니언 롤러를 구동시킴으로써 반원상의 랙이 형성된 좌우측 차단막을 양 측벽의 종방향 슬릿을 통하여 후퇴시킨다.
(D) 단계:
상기한 (A) 또는 (C) 단계에 후속하거나 또는 그와 동시에 급수공을 개방하여 소변기 본체의 내측면을 예비 세정한다.
(E) 단계:
상기한 적외선 센서로부터 소정 거리 밖으로 사용자가 이탈 시 급수공을 개방하여 소변기 본체의 내측면을 본세정한다.
(F) 단계:
상기한 압력 센서가 압력 해제 감지 시 상기한 (D) 단계에 후속하거나 또는 그와 동시에 상기한 양태에 따른 피니언 롤러를 구동시킴으로써 반원상의 랙이 형성된 좌우측 차단막을 양 측벽의 종방향 슬릿을 통하여 전진시켜 원위치시킨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일구체예를 통하여 설명하였으나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일탈하는 일 없이도 다양한 변화 및 수정이 가능함은 물론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영역 내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구체예에 따른 자동 차단막을 갖는 소변기의 폐쇄 상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자동 차단막을 갖는 소변기의 개방 상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I-I선 횡단면도로서 자동 차단막의 폐쇄 상태를 나타낸다.
도 4는 도 2의 II-II선 횡단면도로서 자동 차단막의 개방 상태를 나타낸다.
도 5은 도 2의 III-III선 종단면도로서 자동 차단막의 작동 상태를 예시한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차단막을 갖는 소변기
10 : 본체
11 : 내측 전면 11a : 내향 경사면
12 : 측벽 12a : 슬릿
12b : 외측벽 12c : 내측벽
13 : 헤드부 13a : 센서공
13b : 급수공 13c : 저류조
13d : 통수공 15 : 보울(bowl)
15a : 전방 만입부 16 : 배수구 뚜껑
20 : 시야 차단 날개
21 : 수평 연장부 22 : 전방 연장부
23 : 상면 24 : 전면
25 : 하향 곡면 26 : 저면
27 : 돌출부
30 : 디딤부 31 : 상면
32 : 측면 33 : 모서리
34 : 족형(足形) 오목부
40 : 차단막
41 : 우측 차단막 42 : 좌측 차단막
43 : 피니언 롤러 44a : 제1 텐션 롤러
44b : 제2 텐션 롤러 45a : 외측 가이드
45b : 내측 가이드 46 : 닙(nip)
47 : 측벽 공간부 48 : 배면 공간부
49 : 환형 랙
60 : 모터
70 : 감속기어 박스 71 : 축
80 : 센서

Claims (10)

  1. 복수개의 통수공이 형성된 저류조와 급수공을 가지며, 전방에 센서가 내장된 헤드부와, 배수 트랩(trap)과 연결되는 하부의 보울(bowl)과, 종방향 슬릿이 형성되고 측벽 공간부를 갖는 양 측벽과, 개방된 전면과 그 배후에 배면 공간부를 가지는 본체와;
    적어도 1개소에 수평으로 반원상의 랙이 형성된 반원상의 좌우측 차단막과;
    상기한 반원상의 랙에 계합되며 구동 수단에 의해 구동되고 상기한 측벽 공간부 내에 배치되는 피니언 롤러로 구성되며:
    상기한 센서에 의한 배뇨자의 접근 감지 시 상기한 구동 수단의 구동에 의해 피니언 롤러와 계합된 반원상의 랙이 형성된 반원상의 좌우측 차단막이 그 원주 방향을 따라 상기한 양 측벽의 종방향 슬릿 내측으로 후퇴하고,
    상기한 센서에 의한 배뇨자의 이탈 시 상기한 종방향 슬릿 외측으로 전진하는
    자동 차단막을 갖는 소변기.
  2. 복수개의 통수공이 형성된 저류조와 급수공을 갖는 헤드부와, 배수 트랩(trap)과 연결되는 하부의 보울(bowl)과, 종방향 슬릿이 형성되고 측벽 공간부를 갖는 양 측벽과, 개방된 전면을 가지며 그 배후에 배면 공간부를 갖는 본체와;
    압력 센서가 내장된 족형 오목부를 갖는 디딤부와;
    적어도 1개소에 수평으로 반원상의 랙이 형성된 반원상의 좌우측 차단막과;
    상기한 반원상의 랙에 계합되며 구동 수단에 의해 구동되고 상기한 측벽 공간부 내에 배치되는 피니언 롤러로 구성되며:
    상기한 압력 센서에 의한 배뇨자의 접근 감지 시 상기한 구동 수단의 구동에 의해 피니언 롤러와 계합된 반원상의 랙이 형성된 반원상의 좌우측 차단막이 그 원주 방향을 따라 상기한 양 측벽의 종방향 슬릿 내측으로 후퇴하고,
    상기한 압력 센서에 의한 배뇨자의 이탈 시 상기한 종방향 슬릿 외측으로 전진하는
    자동 차단막을 갖는 소변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반원상의 랙이 좌우측 차단막의 내주면에 음각으로 형성되는 자동 차단막을 갖는 소변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한 좌우측 차단막의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의 텐션 롤러가 당접하게 배치되는 자동 차단막을 갖는 소변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측벽 공간부와 배면 공간부에 걸쳐 내외측 가이드가 배치되고 상기한 내외측 가이드 사이의 닙(nip)을 통하여 상기한 좌우 차단막이 안내되는 자동 차단막을 갖는 소변기.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소변기 본체의 보울의 전방 영역이 디딤부에 의하여 한정되는 앞쪽으로 길게 연장된 전방 만입부를 갖는 자동 차단막을 갖는 소변기.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소변기 본체의 개방된 내측 전면에 내향 경사면이 형성된 자동 차단막을 갖는 소변기.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소변기 본체의 양 측벽에 일체형 또는 분리형의 시야 차단 날개가 형성된 자동 차단막을 갖는 소변기.
  9. 하기의 단계로 구성되는 자동 차단막을 이용한 소변기의 자동 차단 방법:
    (A) 소변기 본체의 헤드부에 내장된 센서가 사용자의 소정 거리 이내로의 접근을 감지하는 단계;
    (B) 상기한 센서로부터 소정 거리 이내로 사용자가 접근 시 제1항에 따른 피니언 롤러를 구동시킴으로써 반원상의 랙이 형성된 좌우측 차단막을 양 측벽의 종방향 슬릿을 통하여 후퇴시키는 단계;
    (C) 상기한 (B) 단계에 후속하거나 또는 그와 동시에 급수공을 개방하여 소변기 본체의 내측면을 예비 세정하는 단계;
    (D) 상기한 센서로부터 소정 거리 밖으로 사용자가 이탈 시 급수공을 개방하여 소변기 본체의 내측면을 본세정하는 단계; 및
    (E) 상기한 (D) 단계에 후속하거나 또는 그와 동시에 상기한 양태에 따른 피니언 롤러를 구동시킴으로써 반원상의 랙이 형성된 좌우측 차단막을 양 측벽의 종방향 슬릿을 통하여 전진시켜 원위치시키는 단계.
  10. 하기의 단계로 구성되는 자동 차단막을 이용한 소변기의 자동 차단 방법:
    (A) 소변기 본체의 헤드부에 내장된 적외선 센서가 사용자의 소정 거리 이내로의 접근을 감지하는 단계;
    (B) 디딤부의 족형 오목부에 사용자가 올라서는 것을 압력 센서로 감지하는 단계;
    (C) 상기한 압력 센서가 압력 감지 시 제2항에 따른 피니언 롤러를 구동시킴으로써 반원상의 랙이 형성된 좌우측 차단막을 양 측벽의 종방향 슬릿을 통하여 후퇴시키는 단계;
    (D) 상기한 (A) 또는 (C) 단계에 후속하거나 또는 그와 동시에 급수공을 개방하여 소변기 본체의 내측면을 예비 세정하는 단계;
    (D) 상기한 적외선 센서로부터 소정 거리 밖으로 사용자가 이탈 시 급수공을 개방하여 소변기 본체의 내측면을 본세정하는 단계; 및
    (E) 상기한 압력 센서가 압력 해제 감지 시 상기한 (D) 단계에 후속하거나 또는 그와 동시에 상기한 양태에 따른 피니언 롤러를 구동시킴으로써 반원상의 랙이 형성된 좌우측 차단막을 양 측벽의 종방향 슬릿을 통하여 전진시켜 원위치시키는 단계.
KR1020080008918A 2008-01-29 2008-01-29 자동 차단막을 갖는 소변기 및 그 자동 차단 방법 KR2009008300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8918A KR20090083009A (ko) 2008-01-29 2008-01-29 자동 차단막을 갖는 소변기 및 그 자동 차단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8918A KR20090083009A (ko) 2008-01-29 2008-01-29 자동 차단막을 갖는 소변기 및 그 자동 차단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3009A true KR20090083009A (ko) 2009-08-03

Family

ID=412040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8918A KR20090083009A (ko) 2008-01-29 2008-01-29 자동 차단막을 갖는 소변기 및 그 자동 차단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83009A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38802A (zh) * 2017-11-29 2018-04-20 广西博点旅游产业发展有限公司 一种防臭小便池
CN107938801A (zh) * 2017-11-29 2018-04-20 广西博点旅游产业发展有限公司 一种感应式长寿命小便池
CN107956243A (zh) * 2017-11-29 2018-04-24 广西博点旅游产业发展有限公司 一种耐用小便池
CN107965028A (zh) * 2017-11-29 2018-04-27 广西博点旅游产业发展有限公司 一种长寿命小便池
CN107989147A (zh) * 2017-11-29 2018-05-04 广西博点旅游产业发展有限公司 一种小便池
CN108005203A (zh) * 2017-11-29 2018-05-08 广西博点旅游产业发展有限公司 一种感应式耐用小便池
CN108005202A (zh) * 2017-11-29 2018-05-08 广西博点旅游产业发展有限公司 一种感应式防臭小便池
CN108035422A (zh) * 2017-11-29 2018-05-15 广西博点旅游产业发展有限公司 一种感应式小便池
WO2020111322A1 (ko) * 2018-11-29 2020-06-04 정우형 소변기
KR20210067046A (ko) 2019-11-29 2021-06-08 성태선 남성용 프라이버시 보호 및 공간 활용성을 증대한 소변기.
KR102537822B1 (ko) * 2022-11-29 2023-05-26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변기 주변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위생 칸막이 장치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38802A (zh) * 2017-11-29 2018-04-20 广西博点旅游产业发展有限公司 一种防臭小便池
CN107938801A (zh) * 2017-11-29 2018-04-20 广西博点旅游产业发展有限公司 一种感应式长寿命小便池
CN107956243A (zh) * 2017-11-29 2018-04-24 广西博点旅游产业发展有限公司 一种耐用小便池
CN107965028A (zh) * 2017-11-29 2018-04-27 广西博点旅游产业发展有限公司 一种长寿命小便池
CN107989147A (zh) * 2017-11-29 2018-05-04 广西博点旅游产业发展有限公司 一种小便池
CN108005203A (zh) * 2017-11-29 2018-05-08 广西博点旅游产业发展有限公司 一种感应式耐用小便池
CN108005202A (zh) * 2017-11-29 2018-05-08 广西博点旅游产业发展有限公司 一种感应式防臭小便池
CN108035422A (zh) * 2017-11-29 2018-05-15 广西博点旅游产业发展有限公司 一种感应式小便池
WO2020111322A1 (ko) * 2018-11-29 2020-06-04 정우형 소변기
KR20210067046A (ko) 2019-11-29 2021-06-08 성태선 남성용 프라이버시 보호 및 공간 활용성을 증대한 소변기.
KR102537822B1 (ko) * 2022-11-29 2023-05-26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변기 주변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위생 칸막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83009A (ko) 자동 차단막을 갖는 소변기 및 그 자동 차단 방법
CN201068596Y (zh) 一种旋转式小便器
WO2007043872A1 (en) Sanitary device
WO2008136015A2 (en) Splashless european commode with invisibility / w.c. / toilet / sanitary ware and indian floor mounted toilet pan with invisibility
WO2015058451A1 (zh) 一种马桶座
CN101105051B (zh) 一种旋转式小便器
KR100978796B1 (ko) 남성용 소변기가 구비된 양변기
KR200446249Y1 (ko) 시야 차단 날개를 갖는 소변기
KR200370142Y1 (ko) 환자용 침대의 좌변기 결합구조
KR20060023639A (ko) 환자용 침대의 좌변기 결합구조
CN211735651U (zh) 一种组合式便盆
CN2375686Y (zh) 侧旋隐蔽式坐便器
DE102013107874A1 (de) Spülrandloser Sanitärgegenstand, insbesondere Toilette oder Urinal
KR20120041492A (ko) 화장실용 복합 위생기
US6951281B1 (en) Plunger holder
KR100989201B1 (ko) 매립형 양변기
JP5804416B2 (ja) 格納型小便器
CN201431117Y (zh) 马桶刷帚座
KR200484487Y1 (ko) 위생 변기 커버
ES2553156B1 (es) Inodoro sanitario autolimpiable y procedimiento de limpieza del mismo
CN101570980A (zh) 隐蔽式小便器
CN217500456U (zh) 一种集杀菌及一体式感应伸缩接盘防外滴尿的小便器
KR200336172Y1 (ko) 다기능 환자침대용 서랍식 세면대의 회전밸브 설치구조
CN2291113Y (zh) 自动开闭式蹲便器
EP2080465B1 (en) Hygienic-sanitary s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