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4487Y1 - 위생 변기 커버 - Google Patents

위생 변기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4487Y1
KR200484487Y1 KR2020150008406U KR20150008406U KR200484487Y1 KR 200484487 Y1 KR200484487 Y1 KR 200484487Y1 KR 2020150008406 U KR2020150008406 U KR 2020150008406U KR 20150008406 U KR20150008406 U KR 20150008406U KR 200484487 Y1 KR200484487 Y1 KR 20048448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movable blade
toilet
shutter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84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2350U (ko
Inventor
양승용
김준성
김창욱
박용성
우상윤
임수빈
Original Assignee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20201500084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4487Y1/ko
Publication of KR2017000235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235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44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448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10Devices for raising and lowering, e.g. tilting or lifting mechanisms; Collapsible or rotating seats or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24Parts or details not covered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A47K13/02 - A47K13/22, e.g. devices imparting a swinging or vibrating motion to the seats
    • A47K13/247Covers with sliding wings or wings pivoting around a vertical axis
    • E05Y2900/614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oilet Supplies (AREA)

Abstract

일측에 연장부를 가지고, 타측의 가운데에는 중앙 개구가 형성된 베이스; 베이스의 연장부의 상측에 배치되는 구동 기어; 베이스의 타측의 상측에 배치되고, 베이스의 중앙 개구에 대응하는 중앙 개구를 갖는 셔터 본체; 및 셔터 본체와 베이스 사이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가동 블레이드;를 포함하며, 가동 블레이드에는, 그 일측에 형성되는 상부 핀과, 그 타측에 형성되는 하부 핀이 형성되며, 베이스에는, 중앙 개구의 둘레를 따라서 다수의 핀 고정 홈이 형성되며, 다수의 핀 고정 홈에는, 가동 블레이드의 하부 핀이 회동 가능하게 삽입되며, 셔터 본체에는, 다수의 핀 고정 홈에 대응하여 가동 블레이드의 상부 핀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이동하도록 삽입되는, 중앙 개구로부터 방사 방향으로의 슬라이딩 슬롯이 형성되며, 셔터 본체의 외주의 일부분에는 구동 기어의 기어날과 대응하여 맞물리는 기어날이 형성된 위생 변기 커버가 제공된다.
본 고안에 따른 위생 변기 커버는, 그 동작을 위해서, 베이스의 연장부에는 구동 기어의 하부 또는 구동 기어의 내부에 결합 고정되는 구동 모터가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위생 변기 커버{HYGIENIC TOILET SEAT COVER}
본 고안은 변기 커버에 관한 것으로, 특히 협소한 공간의 제약을 극복할 수 있으면서도, 변기의 위생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위생 변기 커버에 관한 것이다.
문명의 발달에 따라서 야외에 위치하던 화장실이 실내로 들어오게 되었고, 따라서 대부분의 가정에서는 화장실이 집 안에 위치하고 있다.
이와 같은 화장실에서 각자의 용변이 끝난 뒤에 물을 내리면(flush), 용변 속에 있는 다종, 예를 들면, 500 여종의 세균이 내려가는 물의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화장실 변기 상부측으로 상승하는 현상이 발견되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화장실이 실내에 위치하는 경우, 변기 상부측으로 상승한 세균 등의 불순물이 궁극적으로는 화장실을 벗어나서 통상적인 생활 거주 공간인, 예컨대 거실까지도 확산된다는 우려가 있었다.
일반적인 화장실 변기의 사용 방법에 대해서, 통상적인 좌변기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인 도 1을 참조하여 간략하게 설명한다.
도 1에 따르면, 용변을 보기 위해서는, 변기 몸체(2)의 상부에 위치한 변기 커버(4)를 개방하고 용변을 보게 된다.
한편, 용변이 끝나면 다시 변기 커버(4)를 닫고(폐쇄하고), 플러시 버튼(8)을 눌러서, 저수통(6) 내의 물을 변기 몸체(2) 내로 흘려 보내서 위생적인 처리를 한다.
이때, 변기 커버는 회전축(5)을 기준으로 개폐를 수행할 수 있으며, 물을 내릴 때 변기 커버(4)를 닫고 물을 내리는 사람도 있지만, 그렇지 않은 사람도 있기 때문에, 용변이 끝난 후에, 용변 내의 세균 등이 화장실 내의 공간으로 비산하여 확산하는 일이 있었다.
이와 같은 현상을 막기 위해서 변기의 물을 내릴 때는 변기 커버를 닫는 임시 방편의 방법이 권장되고 있으나, 변기 커버를 닫는 것에 의해서는 충분히 세균 등의 확산을 차단할 수 없다는 우려가 있었다.
한편, 본 고안과 관련된 종래 기술로는 특허문헌 1이 있다.
상기한 특허문헌 1에서는, 변기 상부에 설치되며, 착좌와 탈좌에 따라서, 용변 유무를 파악하여 변기 커버가 자동으로 개방 및 폐쇄되도록 하는 변기 커버의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서는, 다만, 변기 커버가 자동으로 개방되기 위해서, 저수 탱크의 후단, 즉 착좌되는 변기 커버의 원단부측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레일의 구성을 필수로 하고 있는 바, 대부분의 화장실에서는 이와 같이, 변기 커버와 화장실 벽과의 공간이 제한되고 있는 사정을 감안하면, 특허문헌 1에서 개시하는 구성과는 달리, 다소 협소한 화장실 내의 공간의 제약을 극복할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하다고 하겠다.
이에, 본 고안의 고안자들은 각고의 노력 끝에 기존의 방법과는 달리 화장실 내의 공간의 제약을 피하면서도, 용변 후의 물 내림에 따른 각종 세균 등의 확산을 차단할 수 있는 위생 변기 커버를 창출하였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257204(발명의 명칭: 자동 작동 변기, 2013년 04월 23일 공고)
따라서, 본 고안은, 협소한 화장실 공간에서도 무리없이 사용할 수 있고, 용변 후의 변기로부터 확산되는 세균 등을 차단할 수 있는 것을 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고안에 따른 위생 변기 커버는, 일측에 연장부를 가지고, 타측의 가운데에는 중앙 개구가 형성된 베이스; 베이스의 연장부의 상측에 배치되는 구동 기어; 베이스의 타측의 상측에 배치되고, 베이스의 중앙 개구에 대응하는 중앙 개구를 갖는 셔터 본체; 및 셔터 본체와 베이스 사이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가동 블레이드;를 포함하며, 가동 블레이드에는, 그 일측에 형성되는 상부 핀과, 그 타측에 형성되는 하부 핀이 형성되며, 베이스에는, 중앙 개구의 둘레를 따라서 다수의 핀 고정 홈이 형성되며, 다수의 핀 고정 홈에는, 가동 블레이드의 하부 핀이 회동 가능하게 삽입되며, 셔터 본체에는, 다수의 핀 고정 홈에 대응하여 가동 블레이드의 상부 핀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이동하도록 삽입되는, 중앙 개구로부터 방사 방향으로의 슬라이딩 슬롯이 형성되며, 셔터 본체의 외주의 일부분에는 구동 기어의 기어날과 대응하여 맞물리는 기어날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베이스의 연장부에는 구동 기어의 하부 또는 구동 기어의 내부에 결합 고정되는 구동 모터가 더 설치되며, 베이스의 기어날의 형성 위치에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가동 블레이드의 개폐에 따른 셔터 본체의 탈락을 방지하는 댐퍼가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의 구성에 따르면, 화장실 공간이 협소하더라도 무리없이 사용할 수 있고, 용변 후의 변기로부터의 세균의 확산을 차단할 수 있다.
도 1은, 통상적인 좌변기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구동 기어 및 셔터 본체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사용될 수 있는 가동 블레이드(셔터 날)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낸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가동 블레이드의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사용될 수 있는 베이스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나타낸 베이스의 일측(원단부)에 형성된 연장부의 A-A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에 나타낸 베이스의 타측(근단부)의 B-B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변기 커버 내의 가동 블레이드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8(a)는 완전 개방된 상태를, 도 8(b)는 완전 폐쇄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위생 변기 커버의 동작 순서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구동 기어 및 셔터 본체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사용될 수 있는 가동 블레이드(셔터 날)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나타낸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가동 블레이드의 측단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사용될 수 있는 베이스의 평면도이다.
이들 도면으로부터,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위생 변기 커버는, 일측에 연장부를 가지고, 타측의 가운데에는 중앙 개구(105)가 형성된 베이스(100); 베이스(100)의 연장부의 상측에 배치되는 구동 기어(400); 베이스(100)의 타측의 상측에 배치되고, 베이스의 중앙 개구에 대응하는 중앙 개구를 갖는 셔터 본체(300); 및 셔터 본체(300)와 베이스(100) 사이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가동 블레이드(200);를 포함하고 있다.
베이스(100)는, 기존 변기의 형상에 대략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그 일측, 즉 용변을 보려고 접근하는 방향으로부터 먼 곳에는 구동 기어(400)가 설치되는 연장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 연장부는, 예컨대, 특허문헌 1에서와 같이 가이드 레일의 설치에 필요한 공간에 대해서는 대폭 단축되어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기존 화장실에서와 같이 공간적인 제약이 있더라도 충분히 대응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위생 변기 커버의 베이스(100)에는, 중앙 개구(105)의 둘레를 따라서 다수의 핀 고정 홈(120)이 형성되며, 다수의 핀 고정 홈(120)에는, 후술하는 가동 블레이드(200)의 하부 핀(220)이 회동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이때,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가동 블레이드의 하부 핀(220)의 회동과는 상이하게도, 가동 블레이드의 상부 핀(240)은 셔터 본체(300)의 슬라이딩 슬롯(340)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운동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핀 고정 홈(120)은, 바람직하게는 가동 블레이드(200)의 설치 갯수에 대응하여 형성된다.
이때, 가동 블레이드(200)에 고정되어 형성된 하부 핀(220)은 핀 고정 홈(120)에 회동 가능하게 삽입, 즉 가동 블레이드(200)가 움직일 때, 하부 핀(220)이 이에 대응하여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자유롭게 회동이 가능하도록 삽입된다.
구동 기어(400)는, 상술한 연장부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구동 기어(400)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모터(500)가, 구동 기어(400)의 중심축(420)과 정렬되어 설치될 수 있다.
구동 모터(500)는, 구동 기어(400)의 하부에 설치될 수도 있으나, 변기 상부에서의 공간의 제약을 감안하여, 구동 기어(400)와 일체화되는, 즉 구동 기어(400) 내부에 일체로 결합 고정되어, 구동 기어(40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셔터 본체(300)는, 베이스(100)에 형성된 중앙 개구(105)와 대응하는 형상의 중앙 개구(320)를 가지고 있으며, 이때, 이들 중앙 개구(105, 320)는 변기의 상측 내경의 형상에 대응하고 있음을 알아야 한다.
베이스(100)는 변기 상부, 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낸 변기 커버(4)의 직하부에 고정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나아가서는, 구동 기어(400)의 소형화를 통해서 이 변기 커버(4)와 함께 개폐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베이스(100)와 변기 커버(4, 도 1 참조)가 동시에 개폐되는 경우에는 대변이 아니라 소변인 경우에는, 불필요하게 본 고안에 따른 위생 변기 커버를 빈번하게 동작시킬 필요가 없어지게 되므로, 본 고안에 따른 위생 변기 커버의 장수명화에도 기여할 수 있게 된다.
다르게는, 베이스(100)가 변기 상부에 고정되어 위치되는 경우에는, 본 고안에 따른 위생 변기 커버를 조작하기 위한 별도의 스위치부(미도시)가 더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위생 변기 커버에 있어서, 가동 블레이드(200)에는, 그 일측에 형성되는 상부 핀(240)과, 그 타측에 형성되는 하부 핀(220)이 형성된다.
가동 블레이드(200)는 다르게는 셔터 날(shutter leaf)이라고 불리며, 셔터 본체(300) 내에 복수개, 바람직하게는 12 개가 설치되어, 셔터 본체(300)의 중앙 개구(320)를 개폐할 수 있다.
가동 블레이드(200)는 또한 불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가동 블레이드(200) 자체의 위생을 위해서 투명한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하겠다.
또한, 가동 블레이드(200)는 대략 꺽여진 U 자 형상 또는 부메랑 형상을 하고 있으며, 그 일측, 예컨대, 도 3에서 상측에는 상부 핀(240)이 형성되고, 그 타측, 예컨대, 도 3에서 하측에는 하부 핀(220)이 형성된다.
상부 핀(240)의 형성 위치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동 블레이드(200)의 상단 단부측에서의 가상의 중간의 위치에서 살짝 외측, 즉 도면에서 좌측으로 벗어난 위치에 형성되며, 하부 핀(220)의 경우에는 가동 블레이드(200)의 하단 단부측에서의 가상의 중간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부 핀(240)의 형성 위치가 가운데 위치가 아닌 것은, 후술하는 슬라이딩 슬롯(340)에 결합된 이후의 가동 블레이드(200)의 이동을 감안한 것으로 이해하면 바람직하다.
상부 핀(240)은 셔터 본체(300)에 형성되는 슬라이딩 슬롯(340)에 삽입되며, 하부 핀(220)은 베이스(100)에 형성되는 다수의 핀 고정 홈(120)에 삽입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 있어서, 셔터 본체(300)와 하나 이상의 가동 블레이드(셔터 날)(200)를 집합적으로 변기 내부 커버로도 부를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즉, 본 고안에 따른 위생 변기 커버에는, 미관상 등의 목적으로 그 상부에 설치되는 또 다른 커버(예컨대, 도 1에 나타낸 커버(4))가 더 설치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또 다른 커버는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변기 커버로 불릴 수 있고,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위생 변기 커버는 변기 커버 내부에 설치되기 때문에 변기 내부 커버로도 부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위생 변기 커버는 매우 복잡하게 구성된 집약품이 아니라, 서로 분해가 용이하므로, 오염이 발생하더라도 쉽게 분해하여 청소할 수 있으므로 화장실에서의 위생성의 향상에도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위생 변기 커버에 있어서, 셔터 본체(300)에는, 베이스(100)에 형성된 다수의 핀 고정 홈(120)에 대응하여 가동 블레이드(200)의 상부 핀(240)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이동하도록 삽입되는, 중앙 개구(320)로부터 방사 방향으로의 슬라이딩 슬롯(340)이 형성된다.
셔터 본체(300)에는, 예를 들어서, 12 개의 핀 고정 홈(120)에 대응하여 슬라이딩 슬롯(340)이 형성된다.
즉, 핀 고정 홈(120) 및 슬라이딩 슬롯(340)은 원주를 따라서 15 도의 각도를 가지고 분할되어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딩 슬롯(340)은 셔터 본체(300)의 중앙 개구(320)의 외주를 향해서 연장되어 형성되며, 그 연장 길이는 셔터 본체(300)의 크기에 적합한 길이, 바람직하게는 실험적인 수치를 가지고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셔터 본체(300)의 외주의 일부분에는 구동 기어(400)의 기어날(440)과 대응하여 맞물리는 기어날(360)이 형성된다.
이 때 기어날(360)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셔터 본체(300)에 있어서 구동 기어(400) 측으로 향해서 절반 정도의 영역에 형성된다.
따라서, 셔터 본체(300)의 나머지 절반의 영역에는 구동 기어(400)와 맞물리는 기어가 형성되지 않아도 됨을 알아야 한다.
이 경우, 기어날(360)의 형성 갯수는 구동 기어(400)에 형성된 기어날(440)의 형성 갯수를 감안하여 적절한 갯수를 형성하면 바람직하다.
즉, 공간의 제약을 극복하기 위해서 구동 기어(400)를 작게 형성하고, 이에 따라서, 구동 기어(400)를 다수회 회전시키는 경우에는 기어날(360)의 사이즈 역시 작아질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경우에는 기어날(360)의 숫자가 증가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시계 반대 방향으로 개방으로 시계 방향으로 폐쇄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그 방향은 다를 수도 있다.
구동 모터(500)에 의해서 구동되는 구동 기어(400)는 셔터 본체(300)의 기어날(360)과 맞물리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술한 바와 같이 공간의 제약을 해소하기 위해서, 예컨대 도 2에 도시한 형상 보다 더 소형으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구동 기어(400)의 회전수는 1 회를 초과할 수도 있으며, 따라서 구동 기어(400)의 회전수는 경우에 따라서 상이해질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상술한 구성에 추가하여, 베이스(100)의 기어날(360)의 형성 위치에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가동 블레이드(200)의 개폐에 따른 셔터 본체(300)의 탈락을 방지하기 위한 댐퍼(140)가 더 형성된다.
댐퍼(140)는 베이스(100)의 일측에서 베이스(100)의 상측 표면에 돌출시켜서 형성될 수도 있고, 후술하는 도 7에서와 같이 베이스(100)의 일측의 단부에서 수직으로 돌출시켜서 형성될 수도 있으며, 또 다르게는, 도시한 바와 달리, 댐퍼(140)의 전체 길이로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셔터 본체(300)의 기어날(360)이 개방 및 폐쇄를 위해서 회전한 결과 충돌하는 위치, 즉 도 5에서 댐퍼(140)의 최상단과 댐퍼(140)의 최하단의 위치에만 일정한 크기와 형상을 갖는 포스트(미도시)를 형성하고, 도시된 댐퍼(140)의 가운데 정도의 위치에 별도의 포스트(미도시)를 더 형성하도록 구성하여도 되며, 이와 같이 형성하는 경우, 댐퍼(140)의 형성 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는 추가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한편, 댐퍼(140)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셔터 본체(300)의 일측에서 셔터 본체(300)의 원주의 대략 절반 정도까지 형성된다.
도면에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기어날(360)을 갖는 셔터 본체(300)가 베이스(100)에 결합하게 되면, 기어날(360)은 베이스(100)의 최외곽으로 일부 돌출할 수 있다.
기어날(360)이 일부 돌출하고 있기 때문에, 셔터 본체(300)의 회전에 의해서, 기어날(360)의 선단의 일측이 댐퍼(140)와 충돌할 수 있으며, 이를 감안하여 댐퍼(140)는 셔터 본체(300)의 일측에서 셔터 본체(300)의 원주의 대략 절반 정도까지만 형성된다.
여기에서, 대략 절반 정도라는 것은, 구동 기어(400)의 회전 구동에 의해서 셔터 본체(300)가 회전하면, 셔터날(360)이 개방 방향 또는 폐쇄 방향으로 이동하고, 이때 셔터날(360)의 최선단이 댐퍼(140)와 간섭할 수 있기 때문에, 셔터날(360)의 최대 개방 또는 폐쇄 상태에서 댐퍼(140)와의 충돌 간섭을 회피하기 위한 것임을 알아야 한다.
다음으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베이스(100)에 결합된 구동 기어(400), 및 셔터 본체(300)와 가동 블레이드(200)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6은, 도 5에 나타낸 베이스의 일측(원단부)에 형성된 연장부의 A-A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5에 나타낸 베이스의 타측(근단부)의 B-B 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구동 모터(500)는 구동 기어(400)의 중심축(420, 도 2 참조)과 정렬하여 베이스(100)의 하부에 고정 설치되어 있다.
이때, 구동 모터(5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변기 상측에서의 높이 공간의 제약을 극복하기 위해서 베이스(100)에 내장되어 설치될 수도 있고, 더 나아가서는 구동 기어(400)의 내측에 일체화하여 설치될 수도 있음을 알아야 한다.
이와 같이, 구동 모터(500)를 설치하게 되면, 더욱 더 콤팩트한 변기 커버 구동 메커니즘이 가능하게 되고, 따라서 기존의 화장실에 설치된 변기를 대체할 수도 있다.
도 6에서 도면 부호 440은 도 2에 나타낸 셔터날(440)과 동일한 셔터날이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베이스(100)의 외주를 따라서 형성된 핀 고정 홈(120)에는 셔터 날 또는 가동 블레이드(200)의 하부 핀(220)이 회동 가능하게 삽입 고정되고, 가동 블레이드(200)의 상부 핀(240)이 회동 가능하게 삽입 고정되어 있고, 그 위로는 셔터 본체(300)가 위치하며, 셔터 본체(300)에 형성된 슬라이딩 슬롯(340, 도 2 참조)에는 가동 블레이드(200)의 상부 핀(240)이 삽입되어, 셔터 본체(300)의 중앙 개구(320)의 중심부 위치에서 셔터 본체(300)의 외주 둘레를 향해서 슬라이딩 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때, 셔터 본체(300)가 개방되거나 폐쇄될 때의 셔터 본체(300)의 탈락을 방지하기 위한 수직 댐퍼(150)가 설치되어 있다.
수직 댐퍼(150)는, 도 5에 나타낸 댐퍼(140)와 마찬가지로 셔터 본체(300)의 탈락을 방지하기 위한 것임을 알아야 한다.
다음으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변기 커버 내의 가동 블레이드의 움직임에 대해서,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변기 커버 내의 가동 블레이드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8(a)는 완전 개방된 상태를, 도 8(b)는 완전 폐쇄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에 따르면, 가동 블레이드(200)를, 예를 들어, 셔터 본체(300) 상부에서 이 셔터 본체(300)의 외곽으로 향해서 산개하게 되면, 도 8(a)에 나타낸 상태가 되고, 반대로, 셔터 본체(300) 상부에서 이 셔터 본체(300)의 가운데를 향해서 가동 블레이드(200)를 수렴하게 되면, 도 8(b)에 나타낸 상태가 된다.
도면에서는, 도 8(a)와 도 8(b)의 중간 상태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가동 블레이드(200)는 구동 모터(500)의 회전에 의한 구동 기어(400)의 회전에 대응하여, 셔터 본체(300)에 대해서 방사 방향으로 형성된 다수의 슬라이딩 슬롯(340)을 따라서 내측으로 또는 외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 의해서, 각각, 도 8(a) 또는 도 8(b)의 상태로 변동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가동 블레이드(200)의 하부 핀(220)은 핀 고정 홈(120)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 유지되어 있으며, 셔터 본체(300)의 슬라이딩 슬롯(340)에 삽입된 가동 블레이드(200)의 상부 핀(240)만이 셔터 본체(300)의 회전에 따라서 슬라이딩 슬롯(340)의 형성 길이 방향을 따라서 대응하는 슬라이드 운동을 하게 되며, 이와 같이, 하부 핀(220)과, 특히 상부 핀(240)의 상대적인 운동에 의해서, 가동 블레이드(200)가 도 8(a)의 완전 개방 상태 또는 도 8(b)의 완전 폐쇄 상태 중의 하나의 상태로 변동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위생 변기 커버의 동작 순서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위생 변기 커버의 동작 순서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9에 따르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위생 변기 커버의 동작 순서는 다음과 같이 행해질 수 있다.
용변이 종료되면(S10), 플러시 버튼을 가동하고(S20), 이에 따라서, 모터, 바람직하게는 구동 모터(500)가 가동되며(S30), 이후에 변기 내부 커버가 폐쇄되고(S40), 소정 시간이 경과한 후, 물을 내리게 된다(S50).
이어서, 소정 시간이 경과한 다음에, 변기 내부 커버가 개방되면(S60), 차회의 용변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여기에서, 변기 내부 커버가 폐쇄(S40)된 이후에 필요한 소정 시간은 폐쇄 직후로부터 몇 초 정도의 시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
당연하지만, 물 내림에 의해서 용변 속의 세균 등이 공기 중으로 비산 확산한다고 알려져 있기 때문에, 용변이 끝난 뒤에 변기 내부 커버를 폐쇄하는 즉시 바로 물을 내려도 무방하다는 것으로 이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물을 내린(S50) 이후의 소정 시간이라는 것은, 물을 내릴 때 발생할 수 있는 공기 중으로 비산된 용변 내의 각종 세균들이 어느 정도 안정화되어 다시 변기 내의 바닥으로 가라앉기를 기다리는 시간이며, 이를 감안하여 길게는 1 분(60 초)에서 짧게는 20 초 정도로 설정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본 고안의 위생 변기 커버는, 도 1에 나타낸 플러시 버튼(8)과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는 제어부의 구성을 더 가질 수 있다.
이때, 제어부는, 플러시 버튼(8)의 동작을 감지하고, 저수통(6) 내의 물이 변기 내로 내려 오기 전에, 신속하게 가동 블레이드(200)를 동작시켜서 중앙 개구(105, 특히 320)를 도 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완전 폐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부는, 선택적으로, 기존의 비데 컨트롤러에 일체형으로 내장되어 설치될 수도 있음은 잘 알 것이다.
2 : 변기 몸체
4 : 변기 커버
5 : 회전축
6 : 저수통
8 : 플러시 버튼
100 : 베이스
105 : 중앙 개구
120 : 핀 고정 홈
140 : 댐퍼
200 : 가동 블레이드
220 : 하부 핀
240 : 상부 핀
300 : 셔터 본체
320 : 중앙 개구
340 : 슬라이딩 슬롯
360 : 기어날
400 : 구동 기어
420 : 중심축
440 : 기어날
500 : 구동 모터

Claims (2)

  1. 일측에 연장부를 가지고, 타측의 가운데에는 중앙 개구가 형성된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기 연장부의 상측에 배치되는 구동 기어;
    상기 베이스의 상기 타측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의 상기 중앙 개구에 대응하는 중앙 개구를 갖는 셔터 본체; 및
    상기 셔터 본체와 상기 베이스 사이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가동 블레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가동 블레이드에는, 그 일측에 형성되는 상부 핀과, 그 타측에 형성되는 하부 핀이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에는, 상기 중앙 개구의 둘레를 따라서 다수의 핀 고정 홈이 형성되며,
    상기 다수의 핀 고정 홈에는, 상기 가동 블레이드의 상기 하부 핀이 회동 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셔터 본체에는, 상기 다수의 핀 고정 홈에 대응하여 상기 가동 블레이드의 상기 상부 핀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이동하도록 삽입되는, 중앙 개구로부터 방사 방향으로의 슬라이딩 슬롯이 형성되며,
    상기 셔터 본체의 외주의 일부분에는 상기 구동 기어의 기어날과 대응하여 맞물리는 기어날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변기 커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상기 연장부에는 상기 구동 기어의 하부 또는 상기 구동 기어의 내부에 결합 고정되는 구동 모터가 더 설치되며,
    상기 베이스의 상기 기어날의 형성 위치에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가동 블레이드의 개폐에 따른 상기 셔터 본체의 탈락을 방지하는 댐퍼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변기 커버.
KR2020150008406U 2015-12-22 2015-12-22 위생 변기 커버 KR20048448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8406U KR200484487Y1 (ko) 2015-12-22 2015-12-22 위생 변기 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8406U KR200484487Y1 (ko) 2015-12-22 2015-12-22 위생 변기 커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2350U KR20170002350U (ko) 2017-07-03
KR200484487Y1 true KR200484487Y1 (ko) 2017-09-12

Family

ID=593159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8406U KR200484487Y1 (ko) 2015-12-22 2015-12-22 위생 변기 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448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6650B1 (ko) 2022-06-26 2022-09-26 주식회사 티피에스 좌변기 비말 차단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36834A (ja) * 2011-11-28 2013-07-11 National Institute For Materials Science 蒸着用シャッター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成膜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7204B1 (ko) 2012-01-31 2013-04-22 황득철 자동 작동 변기
KR101347922B1 (ko) * 2013-09-06 2014-01-07 석동희 수평 차단형 위생 좌변기 시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36834A (ja) * 2011-11-28 2013-07-11 National Institute For Materials Science 蒸着用シャッター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成膜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6650B1 (ko) 2022-06-26 2022-09-26 주식회사 티피에스 좌변기 비말 차단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2350U (ko) 2017-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18118B2 (ja) 操作装置
KR100815370B1 (ko) 변기용 슬라이드 커버장치
JP6176441B2 (ja) 洗浄水タンク装置の操作装置
CN102839733B (zh) 双冲洗触发
KR101621906B1 (ko) 자력을 이용한 양변기의 배수밸브 개폐 장치
KR101282765B1 (ko) 간병 침대
TW201139800A (en) Wash water tank device and drainage device
KR200484487Y1 (ko) 위생 변기 커버
WO2010025243A2 (en) System and method for flushing a toilet
EP1795661A2 (en) Flush tank drain valve assembly with a system for regulating the amount of water drained
US20180216329A1 (en) Discharge valve operating device, flush water tank device, and toilet system
KR20110046114A (ko) 개폐 및 세척기능을 갖는 소변기
ES2358809T3 (es) Accesorio de entrada y rebosadero para bañeras.
CN104264765A (zh) 一种节水便器
US10524624B2 (en) Self-contained cabinet urinal systems
KR20130038123A (ko) 좌변기의 좌대 개폐장치
EP1795660A2 (en) Flush tank drain valve assembly
KR102651329B1 (ko) 변기 커버 및 시트 무소음 닫힘장치
CN104912172A (zh) 自动对开门式小便器
KR20090025466A (ko) 소변기 덮개 자동개폐장치
RU209315U1 (ru) Блок выдвижения для сиденья унитаза
PT1088942E (pt) Dispositivo de accionamento
KR20120039427A (ko) 양변기
KR102424052B1 (ko) 팔꿈치용 스위치를 구비한 좌변기
KR20140087353A (ko) 변좌커버 닫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