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6650B1 - 좌변기 비말 차단 장치 - Google Patents

좌변기 비말 차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6650B1
KR102446650B1 KR1020220077901A KR20220077901A KR102446650B1 KR 102446650 B1 KR102446650 B1 KR 102446650B1 KR 1020220077901 A KR1020220077901 A KR 1020220077901A KR 20220077901 A KR20220077901 A KR 20220077901A KR 102446650 B1 KR102446650 B1 KR 1024466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toilet seat
toilet
winding roller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79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동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티피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티피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티피에스
Priority to KR10202200779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66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66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66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14Protecting covers for closet se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12Hing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24Parts or details not covered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A47K13/02 - A47K13/22, e.g. devices imparting a swinging or vibrating motion to the seats
    • A47K13/30Seats having provisions for heating, deodorising or the like, e.g. ventilating, noise-damping or clean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4Apparatus using programmed or automatic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4Means for controlling sterilisation processes, data processing, presentation and storage means, e.g. sensors, controllers, progra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oilet Supp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좌변기에서 용변 공간을 이루는 보울(bowl)의 상부면과 이의 둘레를 따라 안착되며 내부에 상하 관통형 개구부(開口部)를 갖는 변좌(便座) 사이에 개재(介在)되는 커버; 및 상기 변좌의 개구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커버를 슬라이딩 시키기 위한 구동유닛;을 포함하도록 구현함으로써, 좌변기 사용 시 용변이 끝나 기립할 시 자동으로 변좌의 개구부를 차단하고, 배수가 완료되는 시점에 변좌의 개구부를 개방하여 세균이나 바이러스 등이 배수에 의해 비말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좌변기 비말 차단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좌변기 비말 차단 장치{DROPLET BLOCKING APPARATUS FOR TOILET SEAT}
본 발명은 좌변기의 보울(bowl)과 변좌(便座) 사이에 개재(介在)되는 커버를 사용자의 착석 후 기립 시 슬라이딩 시켜 변좌의 개구부를 차단하도록 한 후 배수하여 세균이나 바이러스 등이 비말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한 좌변기 비말 차단 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대변기는 화장실에서 앉은 상태로 용변을 볼 수 있도록 설치되는 시설물로, 적합한 높이의 본체를 화장실 바닥면에 고정하여 설치하고, 본체는 오물을 받는 보울(bowl)의 형태이며, 이용자가 앉을 수 있는 시트와 보울의 내부와 외부를 차단하기 위한 덮개로 구성된다.
이때 대변기에서 용변을 본 후 물을 내리면(flush), 용변의 일부는 물론, 용변 속에 있는 다종의 세균이 물이 내려가는 반대 방향으로 비말(飛沫) 됨에 따라 시트 주변부터 대변기 본체 주변, 칫솔 등의 세안용품을 오염시키는 원인이 된다.
이러한 세균 오염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로는,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484487호 (2017.09.05.등록, 이하에서는 ‘문헌 1’이라고 함) 『위생 변기 커버』가 제시되어 있는 바,
문헌 1은 일측에 연장부를 가지고, 타측의 가운데에는 중앙 개구가 형성된 베이스; 베이스의 연장부의 상측에 배치되는 구동 기어; 베이스의 타측의 상측에 배치되고, 베이스의 중앙 개구에 대응하는 중앙 개구를 갖는 셔터 본체; 및 셔터 본체와 베이스 사이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가동 블레이드;를 포함하며, 가동 블레이드에는, 그 일측에 형성되는 상부 핀과, 그 타측에 형성되는 하부 핀이 형성되며, 베이스에는, 중앙 개구의 둘레를 따라서 다수의 핀 고정홈이 형성되며, 다수의 핀 고정 홈에는, 가동 블레이드의 하부 핀이 회동 가능하게 삽입되며, 셔터 본체에는, 다수의 핀 고정 홈에 대응하여 가동 블레이드의 상부 핀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이동하도록 삽입되는, 중앙 개구로부터 방사 방향으로의 슬라이딩 슬롯이 형성되며, 셔터 본체의 외주의 일부분에는 구동 기어의 기어날과 대응하여 맞물리는 기어날이 형성됨으로써, 협소한 공간의 제약을 극복할 수 있으면서도 변기의 위생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위생 변기 커버에 관한 기술이다.
다른 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2372559호 (2022.03.04.등록, 이하에서는 ‘문헌 2’라고 함) 『화장실 대변기용 스마트 덮개 개폐장치』가 제시되어 있는 바,
문헌 2는 화장실의 출입구에 출입을 감지하는 출입센서가 설치되며, 내부의 벽에는 퇴장한 상태를 감지하는 주변 감지센서가 설치되고, 변기에 설치된 상측 좌대에 사용자의 엉덩이를 감지하도록 한쪽 방향으로 변기제어센서가 설치되며 상기 변기에 등받이와 광감지식 세정장치의 동시 활용을 위한 등받이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화장실에 사용자가 변기 덮개를 개폐하거나, 진입 및 퇴장하면 이를 감지해 변기를 자동으로 덮어 보호하거나 닫아주는 슬라이딩 변기커버로 이루어지는 변기 개폐수단을 포함하는 덮개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 수단은 벽면 양쪽에 고정되는 등받이 후레임의 한 부분에 후레임 연결구를 설치하고 상기 후레임 연결구가 후레임 고정구를 통하여 연결되며 상기 후레임 고정구에 등받이를 설치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변기 개폐수단은 슬라이딩 변기커버와 링크 개폐장치에 의해 신축시켜 변기를 덮어 보호하거나 닫아주도록 하되; 상기 슬라이딩 변기커버는 구동부와 연결된 커버 전동실린더의 실린더축이 연결된 기준커버에 제1 커버와 커버수단이 다단계로 연결되는 것을 포함함으로써, 다중이 이용하는 위생시설에서 우려되는 보건, 위생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등받이와 함께 설치할 수 있는 화장실 대변기용 스마트 덮개 개폐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문헌 1.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484487호 (2017.09.05.등록) 문헌 2.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2372559호 (2022.03.04.등록)
본 발명은 변좌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커버를 마련하고, 이 커버가 센서 및 컨트롤러 등에 의한 구동유닛에 의해서 자동 개폐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용변 이후에 배수 시 변좌의 개구부를 자동 차단한 후 배수하고, 배수가 완료되면 자동으로 변좌의 개구부를 개방할 수 있도록 한 좌변기 비말 차단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변좌의 하단 둘레를 따라 실링부재를 마련하여 틈새를 없애 세균이나 바이러스 등이 틈새로 비말되는 것을 차단하고, 자외선램프를 마련하여 설정된 모드에 따라 살균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한 좌변기 비말 차단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록킹유닛을 마련하여 정전에 따른 구동유닛의 구동모터에 대한 전원 공급 차단 시 권취롤러에서 커버가 풀리면서 변좌의 개구부를 차단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좌변기 비말 차단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해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좌변기 비말 차단 장치는,
좌변기에서 용변 공간을 이루는 보울(bowl)의 상부면과 이의 둘레를 따라 안착되며 내부에 상하 관통형 개구부(開口部)를 갖는 변좌(便座) 사이에 개재(介在)되는 커버; 및
상기 변좌의 개구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커버를 슬라이딩 시키기 위한 구동유닛;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좌변기 비말 차단 장치는,
좌변기 사용 시 용변이 끝나 기립할 시 자동으로 변좌의 개구부를 차단하고, 배수가 완료되는 시점에 변좌의 개구부를 개방하여 세균이나 바이러스 등이 배수에 의해 비말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가장 큰 효과가 있다.
도 1은 좌변기를 나타낸 입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좌변기 비말 차단 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 구성도,
도 3은 커버 및 구동유닛을 보여주기 위한 평면 구성도,
도 4는 도 3의 요부 확대 구성도,
도 5는 구동유닛의 일부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측단면 구성도,
도 6은 청소유닛을 보여주기 위한 측단면 구성도,
도 7은 컨트롤유닛을 보여주기 위한 블록 구성도,
도 8 및 도 9는 커버의 개폐 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사용 상태 평면 구성도,
도 10은 실링부재를 보여주기 위한 저면 구성도,
도 11은 록킹유닛을 보여주기 위한 요부 입체 구성도,
도 12는 록킹유닛을 보여주기 위한 정면 구성도,
도 13은 록킹유닛의 동작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좌변기 비말 차단 장치는,
크게 커버(10) 및 구동유닛(20)으로 이루어진다.
각 구성에 대해 살펴보면,
상기 커버(1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변기(T)에서 용변 공간을 이루는 보울(bowl)(1)의 상부면과 이의 둘레를 따라 안착되며 내부에 상하 관통형 개구부(開口部)(2a)를 갖는 변좌(便座)(2) 사이에 개재(介在)되는 것으로,
일정 길이를 갖는 합성수지 재질의 사각 시트로 이루어진다.
이때 ‘일정 길이’라 함은 후술할 권취롤러(21)에 상기 커버(10)가 감긴 상태에서 풀림 시 상기 변좌(2)의 개구부(2a)를 전부 덮어 가릴 수 있는 정도의 길이를 의미한다.
그리고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커버(10)의 단부에는 호형(弧形)의 라운딩부(11)가 더 형성됨으로써, 펼침 시 상기 변좌(2)의 개구부(2a) 전방 측을 좀 더 용이하게 덮어 가릴 수 있도록 하는 데에 도움을 준다.
또한, 권취롤러(21)에는 숄(shawl, 미도시)이 부착될 수 있으며, 상기 권취롤러(21)만 교체하도록 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손쉽게 교체할 수 있고, 세균이나 바이러스의 누적을 막아 상시 청결한 상태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구동유닛(20)은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변좌(2)의 개구부(2a)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커버(10)를 슬라이딩 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커버(10)가 감기는 권취롤러(21),
상기 권취롤러(21)의 축 양단부를 회전케 지지하는 한 쌍의 서포트(22),
상기 권취롤러(21)의 축에 회전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부(23),
상기 서포트(22)에 내장되며 상기 권취롤러(21) 회전 시 감기게 되는 태엽스프링(24),
상기 커버(10)의 단부 양측에 구비되는 한 쌍의 커넥터(25),
상기 각 커넥터(25)에 일단이 연결되는 한 쌍의 와이어(26),
상기 커버(10)의 단부 양측에 상기 권취롤러(21)가 풀리는 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며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빈 공간부(271) 및 이의 상방으로 개구된 슬릿(slit)(272)을 갖는 한 쌍의 가이드(27), 그리고
상기 각 가이드(27)의 공간부(271)에 타단이 고정되며 일단에 상기 각 와이어(26)의 타단이 연결되는 한 쌍의 코일스프링(28)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권취롤러(21)는 눕혀진 원통 구조이고, 내부에 축을 갖는다. 상기 커버(10)의 일단이 상기 권취롤러(21)에 접착제 등을 통해서 접착 고정되거나 상기 권취롤러(21)의 외주면에 길이 방향으로 홈을 파고 그 홈에 상기 커버(10)의 일단에 구비된 별도의 막대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각 서포트(22)의 내주면에는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상기 권취롤러(21)의 축을 지지하는 볼베어링이 더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구동부(23)는 상기 권취롤러(21)의 축 단부에 축 결합되는 종동기어(231)와, 상기 종동기어(231)와 상호 맞물리는 구동기어(232)를 갖는 구동모터(233)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구동모터(233) 구동 시 상기 권취롤러(21)가 회전하게 되어 상기 권취롤러(21)에 상기 커버(10)를 감을 수 있으면서 상기 변좌(2)의 개구부(2a)를 개방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태엽스프링(24)은 일단이 상기 서포트(22)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권취롤러(21)의 축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권취롤러(21) 회전 시 압축되고, 상기 권취롤러(21)를 회전시키는 상기 구동부(23)에 대한 전원 공급이 차단되면 탄성 복원되는 공지의 태엽 스프링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각 와이어(26)는 일정 직경을 갖는 합성수지 재질의 끈 구조로 이루어지는데, 적정 탄성력을 갖도록 고무 성분이 포함된 끈 구조로도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각 가이드(27)는 상기 변좌(2)의 개구부(2a)를 사이에 두도록 양측에 나란히 배치되며, 상기 가이드(27)의 슬릿(272)은 상기 코일스프링(28) 보다 작으면서 상기 와이어(26) 보다 큰 폭을 갖는다. 이러한 슬릿(272)은 상기 권취롤러(21)로부터 상기 커버(10)가 풀리면서 상기 변좌(2)의 개구부(2a)를 폐쇄할 때에 상기 태엽스프링(24)이 풀리고 상기 코일스프링(28)이 복원되면서 견인되는 상기 와이어(26)는 통과하고 상기 코일스프링(28)은 이탈되지 않도록 하면서 직선 왕복운동을 할 수 있도록 안내한다.
그리고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커넥터(25)에는 하방 연장되어 상기 슬릿(272)에 배치되는 중계부(251)와, 상기 중계부(251)에서 하방 연장되되 상기 공간부(271)를 차지하는 형태로 사각 블록 구조를 갖는 슬라이더(252)가 더 구비됨으로써, 상기 커넥터(25) 이동 시 상기 슬라이더(252)가 상기 공간부(271) 내에서 슬라이딩 됨에 따라 상기 커넥터(25)의 이탈 방지는 물론, 안정되게 직선 왕복운동을 할 수 있다.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권취롤러(21)에서 풀려나온 상기 커버(10)가 상기 구동부(23)에 의해 상기 권취롤러(21) 회전 시 상기 권취롤러(21)에 감기면서 상기 태엽스프링(24)이 압축되고, 동시에 상기 코일스프링(28)이 신장된다.
그리고 도 8 및 도 9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커버(10)와 이에 대한 구동유닛(20)이 마련되는데, 다른 실시예로 상기 커버(10)가 서로 마주보게 한 쌍이 구비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유닛(20) 및 후술할 컨트롤유닛(30)에 의해서 상기 각 커버(10)가 서로 마주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어 상기 변좌(2)의 개구부(2a)를 개폐하게 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상기 변좌(2)의 개구부(2a)에서 이를 사이에 두고 좌우 측에 각 커버(10)가 배치된 상태에서 좌우 슬라이딩 동작을 통해 개폐하거나, 또는 상기 변좌(2)의 개구부(2a)에서 이를 사이에 두고 전후 측에 각 커버(10)가 배치된 상태에서 전후 슬라이딩 동작을 통해 개폐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좌변기 비말 차단 장치는 컨트롤유닛(30)을 더 포함하는데,
상기 컨트롤유닛(30)은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부(23)로 인가되는 전원을 온/오프하기 위한 스위치(31),
상기 변좌(2)에 착석 후 기립 시 이를 감지하는 센서(32),
상기 센서(32)로부터 감지값을 전달받은 후에 일정 시간이 경과되면 신호를 발생시키는 타이머(33), 그리고
상기 센서(32)로부터 감지값을 전달받거나 상기 타이머(33)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스위치(31) 또는 상기 구동부(23), 또는 이들 모두를 제어하는 컨트롤러(34)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결국 상기 변좌(2)에 사용자 착석 시 상기 센서(32)가 센싱하여 감지값을 상기 컨트롤러(34)에 전달하고, 용변 완료 후 상기 변좌(2)에서 기립 시 상기 센서(32)에서의 감지값 전달이 발생하지 않을 경우 상기 컨트롤러(34)가 상기 스위치(31)를 제어해 상기 구동부(23)의 구동모터(233)에 대한 전원 공급을 차단함으로써, 상기 태엽스프링(24)과 상기 코일스프링(28)의 복원력에 의해서 상기 커버(10)가 상기 권취롤러(21)에서 자동으로 풀리면서 상기 변좌(2)의 개구부(2a)를 차단한다.
이렇게 차단이 되고 난 후 상기 타이머(33)에서 세팅한 시간에 도달하면 상기 컨트롤러(34)가 상기 스위치(31)를 제어해 상기 구동모터(233)에 대한 전원 공급을 개방하고, 상기 구동모터(233)를 제어해 상기 권취롤러(21)를 회전시켜 상기 커버(10)를 감아 상기 변좌(2)의 개구부(2a)를 개방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좌변기 비말 차단 장치는 실링부재(40)와 자외선램프(50)를 더 포함하는데,
상기 실링부재(4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변좌(2)의 하단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것으로,
고무 재질의 띠 구조로서, 접착제 등을 통해 상기 변좌(2)의 하단 둘레를 따라 부착되며 상기 좌변기(T)의 보울(1) 상부면에 안착된 상태에서 밀착되어 있다가 상기 변좌(2)에 사용자 착석 시 가압된다.
결국 상기 실링부재(40)는 상기 커버(10)를 통해 상기 변좌(2)의 개구부(2a)가 폐쇄(차단) 된 상태에서 자동 또는 수동 조작에 의해 배수될 때에 변 찌꺼기는 물론, 세균 및 바이러스 등이 비말되어 빠져나갈 수 있는 틈새를 없앨 수 있다.
상기 자외선램프(50)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변좌(2)의 하부면 또는 상기 각 가이드(27)에 구비되어 상기 보울(1) 내부는 물론, 상기 변좌(2)의 하부면 측에 대한 살균 처리를 실시할 수 있도록 자외선을 조사하는 살균용 램프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상기 자외선램프(50)는 상기 컨트롤러(3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는데, 일예로 상기 보울(1)에 상기 변좌(2)가 안착된 상태이고 상기 커버(10)가 개방된 상태일 때에 자외선이 조사되도록 제어될 수 있고, 또 일예로 상기 변좌(2)에 착석 후 기립 시 상기 커버(10)가 폐쇄된 상태에서 일정 시간이 지나 상기 권취롤러(21)에 상기 커버(10)가 감긴 이후에 자외선이 조사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또 일예로 상시 또는 일정 시간, 또는 일정 시간을 반복하는 다양한 모드를 설정해 자외선이 조사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좌변기 비말 차단 장치는 청소유닛(60)을 더 포함하는데,
상기 청소유닛(6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 가이드(27)의 단부 상부면에 형성되는 한 쌍의 지지대(61),
상기 각 지지대(61)에 일단이 연결되는 탄성 재질인 한 쌍의 로드(62), 그리고
상기 각 로드(62)를 연결하는 형태로 배치되면서 상기 각 로드(62)에 회전케 결합되는 하나의 롤브러시(63)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로드(62)는 외력에 의해 변형되면서 외력 해제 시 원래의 형태로 복원되도록 탄성력을 갖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다.
결국 상기 구동유닛(20)에 의해서 상기 커버(10)가 상기 권취롤러(21)에 감길 때에 상기 커버(10)의 하부면에 접하고 있는 상기 롤브러시(63)가 자유 회전하면서 상기 커버(10)의 하부면을 청소하게 된다. 이는 청소 뿐만 아니라 상기 커버(10) 권취 시 상기 커버(10)가 주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데에도 도움을 준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좌변기 비말 차단 장치는 록킹유닛(70)을 더 포함하는데,
상기 록킹유닛(70)은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넥터(25)의 전방 즉, 상기 커버(10)가 풀리는 방향으로 상기 커넥터(25)의 움직임을 제한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가이드(27)에 회전케 장착되며 상기 권취롤러(21)에 상기 커버(10)가 감긴 상태에서 상기 커넥터(25)의 전방 움직임을 제한하도록 가로막게 세워지는 제1스토퍼(711) 및 상기 커넥터(25)의 하부 측에 눕혀지게 배치되는 제2스토퍼(712)를 갖는 회전체(71),
상기 회전체(71)의 축에 끼워져 일단이 상기 가이드(27)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회전체(71)에 고정되는 코일형 스프링(72),
상기 가이드(27)의 내벽에 요입되게 형성되는 리세스(73),
상기 리세스(73)에 전후 슬라이딩 되게 삽입되며 상기 회전체(71)의 제2스토퍼(712)가 걸리게 되는 후크(74),
상기 리세스(73)에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후크(74)에 타단이 고정되는 리턴스프링(75), 그리고
상기 커넥터(25)에 형성되어 상기 후크(74)의 전방 측에 배치되는 푸셔(76)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도 12에서와 같이, 상기 리세스(73)의 바닥에는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면서 하방 요입된 레일홈(731)이 형성되고, 상기 후크(74)의 하부면에는 상기 레일홈(731)과 암수 결합되는 형태로 삽입 안착되어 상기 레일홈(731)을 따라 안정되고 전후 직선운동을 하도록 안내하는 답면부(741)가 형성된다.
우선, 상기 커버(10)는 상기 권취롤러(21)에 감겨진 상태로 대기하게 되는데, 이때 정전이 발생하게 되면 상기 구동모터(233)에 공급되었던 전원이 차단되면서 상기 권취롤러(21)에 걸린 제동이 풀려 상기 태엽스프링(24)과 상기 코일스프링(28)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커버(10)가 풀리면서 상기 변좌(2)의 개구부(2a)를 차단하게 된다.
이렇게 되는 경우, 용변을 보기 위해서는 상기 커버(10)를 강제로 개방해야 하는데, 억지로 개방하더라도 상기 태엽스프링(24)과 상기 코일스프링(28)에 의해서 변좌(2)의 개구부(2a)를 계속 차단하려고 하기에 개방에 어려움이 있다. 이를 방지하고자 본 발명에서는 상기 록킹유닛(70)을 마련하였다.
상기 커버(10)가 풀린 상태(즉, 상기 변좌(2)의 개구부(2a)를 차단한 상태)에서는 도 13의 [다]에서와 같이, 상기 회전체(71)의 제2스토퍼(712)가 세워지고 제1스토퍼(711)가 눕혀진 형태를 취하게 되는데, 이는 상기 코일형 스프링(72)에 의해 유지된다.
이때 상기 커버(10)가 감기게 되는 경우, 상기 커넥터(25)가 상기 회전체(71)의 제2스토퍼(712)를 밀게 되고, 제1스토퍼(711)는 반대로 세워지게 되며, 점차 밀린 상기 제2스토퍼(712)는 상기 후크(74)에 걸림으로써, 상기 커버(10)가 풀리는 방향으로 상기 회전체(71)의 회전 동작이 제한된다. 이렇게 된 상태에서 정전이 발생하여 상기 구동모터(233)에 대한 전원 공급이 차단되더라도 상기 후크(74)에 의해 고정된 상기 회전체(71)의 제1스토퍼(711)에 의해서 상기 커넥터(25)의 전방 움직임이 제한됨으로써 상기 커버(10)의 풀림 동작이 방지된다.
도 13의 [나]에서와 같이, 용변을 본 후, 기립 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컨트롤러(34)에 의해 상기 구동모터(233)가 제어되는데, 상기 록킹유닛(70)이 마련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구동모터(233)의 축을 상기 커버(10)가 감기는 방향으로 일정 시간 회전케 함으로써, 상기 커넥터(25)가 후진하여 상기 커넥터(25)에 형성된 푸셔(76)가 상기 후크(74)를 후방 측으로 밀게 되고, 상기 후크(74)에 걸렸던 상기 제2스토퍼(712)의 걸림 동작이 해제됨으로써 상기 코일형 스프링(72)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회전체(71)가 회전하게 되며, 이때 상기 커넥터(25)의 하부면에 제2스토퍼(712)가 접하면서 회전 정지된다.
도 13의 [다]에서와 같이, 상기 컨트롤러(34)를 통해 상기 스위치(31)를 제어해 상기 구동모터(233)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면, 상기 태엽스프링(24)과 상기 코일스프링(28)의 복원력이 지속되면서 상기 커넥터(25)가 전진하고, 이와 동시에 상기 회전체(71)도 함께 회전한다. 결국 상기 커버(10)가 상기 변좌(2)의 개구부(2a)를 차단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좌변기 비말 차단 장치"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T : 좌변기
1 : 보울
2 : 변좌
2a : 개구부
10 : 커버
11 : 라운딩부
20 : 구동유닛
21 : 권취롤러
22 : 서포트
23 : 구동부
231 : 종동기어
232 : 구동기어
233 : 구동모터
24 : 태엽스프링
25 : 커넥터
251 : 중계부
252 : 슬라이더
26 : 와이어
27 : 가이드
271 : 공간부
272 : 슬릿
28 : 코일스프링
30 : 컨트롤유닛
31 : 스위치
32 : 센서
33 : 타이머
34 : 컨트롤러
40 : 실링부재
50 : 자외선램프
60 : 청소유닛
61 : 지지대
62 : 로드
63 : 롤브러시
70 : 록킹유닛
71 : 회전체
711 : 제1스토퍼
712 : 제2스토퍼
72 : 코일형 스프링
73 : 리세스
731 : 레일홈
74 : 후크
741 : 답면부
75 : 리턴스프링
76 : 푸셔

Claims (5)

  1. 좌변기(T)에서 용변 공간을 이루는 보울(bowl)(1)의 상부면과 이의 둘레를 따라 안착되며 내부에 상하 관통형 개구부(開口部)(2a)를 갖는 변좌(便座)(2) 사이에 개재(介在)되는 커버(10); 및
    상기 변좌(2)의 개구부(2a)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커버(10)를 슬라이딩 시키기 위한 구동유닛(20);을 포함하되,
    상기 구동유닛(20)은
    상기 커버(10)가 감기는 권취롤러(21)와,
    상기 권취롤러(21)의 축 양단부를 회전케 지지하는 한 쌍의 서포트(22)와,
    상기 권취롤러(21)의 축에 회전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부(23)와,
    상기 서포트(22)에 내장되며 상기 권취롤러(21) 회전 시 감기게 되는 태엽스프링(24)과,
    상기 커버(10)의 단부 양측에 구비되는 한 쌍의 커넥터(25)와,
    상기 각 커넥터(25)에 일단이 연결되는 한 쌍의 와이어(26)와,
    상기 커버(10)의 단부 양측에 상기 권취롤러(21)가 풀리는 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며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빈 공간부(271) 및 이의 상방으로 개구된 슬릿(slit)(272)을 갖는 한 쌍의 가이드(27)와,
    상기 각 가이드(27)의 공간부(271)에 타단이 고정되며 일단에 상기 각 와이어(26)의 타단이 연결되는 한 쌍의 코일스프링(28)
    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구동부(23)로 인가되는 전원을 온/오프하기 위한 스위치(31)와,
    상기 변좌(2)에 착석 후 기립 시 이를 감지하는 센서(32)와,
    상기 센서(32)로부터 감지값을 전달받은 후에 일정 시간이 경과되면 신호를 발생시키는 타이머(33)와,
    상기 센서(32)로부터 감지값을 전달받거나 상기 타이머(33)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스위치(31) 또는 상기 구동부(23), 또는 이들 모두를 제어하는 컨트롤러(34)
    로 이루어진 컨트롤유닛(3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커버(10)가 서로 마주보게 한 쌍이 구비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유닛(20) 및 상기 컨트롤유닛(30)에 의해서 상기 각 커버(10)가 서로 마주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어 상기 변좌(2)의 개구부(2a)를 개폐하게 되고,
    상기 변좌(2)의 하단 둘레를 따라 실링부재(40)가 구비되며,
    상기 변좌(2)의 하부면 또는 상기 각 가이드(27)에는 살균용 자외선램프(50)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27)에 회전케 장착되며 상기 권취롤러(21)에 상기 커버(10)가 감긴 상태에서 상기 커넥터(25)의 전방 움직임을 제한하도록 가로막게 세워지는 제1스토퍼(711) 및 상기 커넥터(25)의 하부 측에 눕혀지게 배치되는 제2스토퍼(712)를 갖는 회전체(71)와,
    상기 회전체(71)의 축에 끼워져 일단이 상기 가이드(27)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회전체(71)에 고정되는 코일형 스프링(72)과,
    상기 가이드(27)의 내벽에 요입되게 형성되는 리세스(73)와,
    상기 리세스(73)에 전후 슬라이딩 되게 삽입되며 상기 회전체(71)의 제2스토퍼(712)가 걸리게 되는 후크(74)와,
    상기 리세스(73)에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후크(74)에 타단이 고정되는 리턴스프링(75)과,
    상기 커넥터(25)에 형성되어 상기 후크(74)의 전방 측에 배치되는 푸셔(76)
    로 이루어진 록킹유닛(7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 비말 차단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20077901A 2022-06-26 2022-06-26 좌변기 비말 차단 장치 KR1024466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7901A KR102446650B1 (ko) 2022-06-26 2022-06-26 좌변기 비말 차단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7901A KR102446650B1 (ko) 2022-06-26 2022-06-26 좌변기 비말 차단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6650B1 true KR102446650B1 (ko) 2022-09-26

Family

ID=834525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7901A KR102446650B1 (ko) 2022-06-26 2022-06-26 좌변기 비말 차단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665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18420A (ja) * 1988-02-24 1989-08-31 Toto Ltd シートペーパー自動供給便座
KR100815370B1 (ko) * 2007-03-30 2008-03-19 삼성전기주식회사 변기용 슬라이드 커버장치
KR20130066740A (ko) * 2011-12-13 2013-06-21 호원대학교산학협력단 살균기능을 갖춘 양변기커버
KR200484487Y1 (ko) 2015-12-22 2017-09-12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위생 변기 커버
KR102372559B1 (ko) 2021-11-01 2022-03-10 한국토지주택공사 화장실 대변기용 스마트 덮개 개폐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18420A (ja) * 1988-02-24 1989-08-31 Toto Ltd シートペーパー自動供給便座
KR100815370B1 (ko) * 2007-03-30 2008-03-19 삼성전기주식회사 변기용 슬라이드 커버장치
KR20130066740A (ko) * 2011-12-13 2013-06-21 호원대학교산학협력단 살균기능을 갖춘 양변기커버
KR200484487Y1 (ko) 2015-12-22 2017-09-12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위생 변기 커버
KR102372559B1 (ko) 2021-11-01 2022-03-10 한국토지주택공사 화장실 대변기용 스마트 덮개 개폐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57133B2 (en) Buttocks wiping device
KR100946393B1 (ko) 변기의 무전원 자동 물내림 장치
AU2015203630B2 (en) Bed
KR101661675B1 (ko) 애완동물 배변 자동 처리 장치
KR102446650B1 (ko) 좌변기 비말 차단 장치
KR101523718B1 (ko) 인체하중을 이용한 변기용 무전원 자동 물 내림장치
KR100593391B1 (ko) 변기시트 멸균세척 장치 및 방법
US20170332852A1 (en) Device for automatically providing a disposable seating-surface cover for a toilet seat
KR200381551Y1 (ko) 변기시트 멸균세척 장치
JPH01236026A (ja) 衛生的な便座組立体
KR102059278B1 (ko) 자동 변기 개폐장치
US6948201B2 (en) Care bed used commonly for bathing and toileting
KR20140076810A (ko) 변좌 세척장치
KR101168069B1 (ko) 교체 구조를 갖는 양변기용 슬라이드형 커버장치
CN201024509Y (zh) 自动清洗擦拭卫生坐便器
CN111588299A (zh) 一种容积可变的收纳模块及具有该收纳模块的排泄装置
KR101675060B1 (ko) 세척장치를 구비한 변기시트
KR970005511Y1 (ko) 자동세척 및 살균기능이 있는 좌변기
US20190069735A1 (en) Hygienic toilet
KR100970658B1 (ko) 양변기용 커버 시트 살균 장치
KR20190119254A (ko) 위생 좌변기
JP5938231B2 (ja) 浴槽のリフト機構
CN212394769U (zh) 一种打包模块及辅助排泄装置
KR100593392B1 (ko) 장애인용 팔걸이겸 변기시트 멸균세척장치 및 방법
CN212394768U (zh) 一种容积可变的收纳模块及具有该收纳模块的排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