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3766B1 - 차량용 레조네이터 - Google Patents

차량용 레조네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3766B1
KR100813766B1 KR1020060129601A KR20060129601A KR100813766B1 KR 100813766 B1 KR100813766 B1 KR 100813766B1 KR 1020060129601 A KR1020060129601 A KR 1020060129601A KR 20060129601 A KR20060129601 A KR 20060129601A KR 100813766 B1 KR100813766 B1 KR 1008137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air duct
coupling
coupling por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96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연준
우종선
Original Assignee
대기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기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기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296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37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37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37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2Intake silencers ; Sound modulation, transmission or amplification
    • F02M35/1283Manufacturing or assembly; Connectors; Fix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2Intake silencers ; Sound modulation, transmission or amplification
    • F02M35/1255Intake silencers ; Sound modulation, transmission or amplification using reson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3Reducing weigh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 덕트를 통해 유동하는 흡입 공기 중의 소음을 저감 시키기 위해 설치되는 레조네이터의 결합 구조를 변경하여 에어 덕트 상에 설치된 이후에 차량 진동 및 충격에 의해 이탈되는 현상 없이 안정적으로 사용가능하도록 에어 덕트의 내부와 연통되며 상기 에어 덕트의 외측으로 연장 형성된 연결구; 상기 연결구의 내측으로 삽입 가능한 길이를 갖는 바디부의 원주면상에 슬롯홀이 형성된 결합부, 상기 결합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에어 덕트를 통해 이동하는 공기의 소음이 결합부를 경유하여 저감 가능하도록 형성된 하우징부; 및 상기 연결구와 결합부 사이에 개재되어 설치되며 상기 연결구의 내측으로 결합부가 결합시에 압착되어 기밀을 유지하는 오링을 포함하는 차량용 레조네이터에 관한 것이다.
에어 덕트, 레조네이터, 오링

Description

차량용 레조네이터{vehicle resonator}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레조네이터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레조네이터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에어 덕트 110 : 연결구
112 : 가이드편 200 : 하우징부
210 : 결합부 212 : 슬롯홀
214 : 걸림돌기
본 발명은 에어 덕트를 통해 유동하는 흡입 공기 중의 소음을 저감 시키기 위해 설치되는 레조네이터의 결합 구조를 변경하여 에어 덕트 상에 설치된 이후에 차량 진동 및 충격에 의해 이탈되는 현상 없이 안정적으로 사용가능한 차량용 레조네이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흡기장치는 에어 덕트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정화되는 에어 클리너와 상기 에어 클리너와 흡기 매니폴드의 서지 탱크를 연결하는 에어 인테 이크 호스와, 상기 서지 탱크에 장착되는 스로틀바디와, 흡입된 외기를 각 실린더로 분배할 수 있도록 구분된 배출 포트를 구비한 흡기 매니폴드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흡기장치를 통해 엔진의 실린더에 공급되는 외부 공기는 엔진의 흡기부압에 의해 흡입되며, 상기 외부 공기가 흡입되면서 유동할 때 공기 유동에 따른 흡기소음이 차실내로 전달되어 안락한 운전을 방해하게 된다.
상기한 흡기장치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방지하고자 에어 클리너와 연결설치된 에어 덕트 상에 레조네이터를 설치하여 상기 에어 덕트를 통해 유동하는 소음을 감쇄시켜 사용해 왔다.
상기한 레조네이터(Resonator)는 흡배기 통로를 따라 흐르는 특정 주파수의 소음을 공명(共鳴)의 원리를 이용하여 저감 시키는 장치이며, 특정 주파수 영역에서의 소음 감쇄를 위해서 다양한 형태의 레조네이터가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한 레조네이터는 에어 덕트 상에 별도로 구비된 클램프를 이용하여 설치 고정하거나 볼팅을 하는 등의 불필요한 작업이 필요했으며, 장기간 사용후에 클램프 또는 볼팅된 부위가 차량 진동에 의해 풀리는 현상이 발생 되어 이탈되는 문제점을 야기시켰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에어 덕트 상에 레조네이터 장착 후 이탈되지 않으며 작업성 향상과 함께 중량 감소가 가능한 차량용 레조네이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레조네이터는 에어 덕트의 내부와 연통되며 상기 에어 덕트의 외측으로 연장 형성된 연결구; 상기 연결구의 내측으로 삽입 가능한 길이를 갖는 바디부의 원주면상에 슬롯홀이 형성된 결합부, 상기 결합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에어 덕트를 통해 이동하는 공기의 소음이 결합부를 경유하여 저감 가능하도록 형성된 하우징부; 및 상기 연결구와 결합부 사이에 개재되어 설치되며 상기 연결구의 내측으로 결합부가 결합시에 압착되어 기밀을 유지하는 오링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부의 결합부는 상측 단부에 원주 방향을 따라 하향 경사진 걸림돌기가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연결구는 내측으로 결합부가 삽입될 때 슬롯홀의 개구된 영역안으로 삽입되어 상기 결합부의 회전을 방지하는 가이드편, 하우징부의 결합부와 록킹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부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연결구의 내측 상부에 형성된 걸림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연결구는 걸림 돌기가 형성된 결합부가 내측으로 삽입될 때 가이드 하도록 연결구의 내측 하부에 외측을 향해 경사진 안내편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레조네이터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레조네이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레조네이터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첨부된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에어 덕트(100)의 내부와 연통되며 상기 에어 덕트(100)의 외측으로 연장 형성된 연결구(110); 상기 연결구(110)의 내측으로 삽입 가능한 길이를 갖는 바디부의 원주면상에 슬롯홀(212)이 형성된 결합부(210), 상기 결합부(210)와 일체로 형성되며 에어 덕트(100)를 통해 이동하는 공기의 소음이 결합부(210)를 경유하여 저감 가능하도록 형성된 하우징부(200); 및 상기 연결구(110)와 결합부(210) 사이에 개재되어 설치되며 상기 연결구(110)의 내측으로 결합부(210)가 결합시에 압착되어 기밀을 유지하는 오링(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슬롯홀(212)은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부(200)의 결합부(210)는 상측 단부에 원주 방향을 따라 하향 경사진 걸림 돌기(214)가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연결구(110)는 내측으로 결합부(210)가 삽입될 때 슬롯홀(212)의 개구된 영역안으로 삽입되어 상기 결합부(210)의 회전을 방지하는 가이드편(112), 하우징부(200)의 결합부(210)와 록킹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부(200)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연결구(110)의 내측 상부에 형성된 걸림턱(11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연결구(110)는 걸림 돌기(214)가 형성된 결합부(210)가 내측으로 삽입될 때 가이드 하도록 연결구(110)의 내측 하부에 외측을 향해 경사진 안내편(116)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레조네이터의 결합 상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작업자는 오링(300)을 하우징부(200)의 결합부(210)상에 삽입한 상태에서 연결구(110)의 내측으로 삽입한다.
이때, 상기 연결구(110)의 가이드편(112)과 결합부(210)의 슬롯홀(212)이 상호간에 결합되도록 위치를 맞추어 삽입을 실시한다.
상기 결합부(210)의 상측 단부에는 걸림돌기(214)가 형성되어 있어서 연결구(110)의 내측으로 삽입될 때 안내편(116)과 면접촉이 이루어지면서 결합부(210)가 화살표 방향으로 미세하게 오므라지면서 연결구(110)의 내측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된다.
연결구(110)의 내측에 삽입된 결합부(210)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가이드편(112)과 슬롯홀(212)이 결합되어 하우징부(200)의 회전을 방지하면서 결합되고 최종적으로 걸림 돌기(214)가 연결구(110)의 걸림턱(114)에 록킹 결합되어 결합 이후에 연결구(110)의 외측으로 이탈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때 오링(300)은 연결구(110)와 결합부(210)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고 유동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레조네이터는 에어 덕트 상에 설치된 이후에 차량 진동 및 충격에 의해 이탈되는 현상 없이 안정적으로 사용가능한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에어 덕트의 내부와 연통되며 상기 에어 덕트의 외측으로 연장 형성된 연결구;
    상기 연결구의 내측으로 삽입 가능한 길이를 갖는 바디부의 원주면상에 슬롯홀이 형성된 결합부, 상기 결합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에어 덕트를 통해 이동하는 공기의 소음이 결합부를 경유하여 저감 가능하도록 형성된 하우징부; 및
    상기 연결구와 결합부 사이에 개재되어 설치되며 상기 연결구의 내측으로 결합부가 결합시에 압착되어 기밀을 유지하는 오링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한 연결구는 결합부가 내측으로 삽입될 때 가이드 하도록 연결구의 내측 하부에 외측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된 안내편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레조네이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의 결합부는 상측 단부에 원주 방향을 따라 하향 경사진 걸림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레조네이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는 내측으로 결합부가 삽입될 때 슬롯홀의 개구된 영역안으로 삽입되어 상기 결합부의 회전을 방지하는 가이드편, 하우징부의 결합부와 록킹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부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연결구의 내측 상부에 형성된 걸림턱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레조네이터.
  4. 삭제
KR1020060129601A 2006-12-18 2006-12-18 차량용 레조네이터 KR1008137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9601A KR100813766B1 (ko) 2006-12-18 2006-12-18 차량용 레조네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9601A KR100813766B1 (ko) 2006-12-18 2006-12-18 차량용 레조네이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13766B1 true KR100813766B1 (ko) 2008-03-13

Family

ID=393988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9601A KR100813766B1 (ko) 2006-12-18 2006-12-18 차량용 레조네이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376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96514A (ja) * 1995-04-24 1996-11-12 Toyota Motor Corp レゾネータ及び分岐管の接続構造
KR970041461U (ko) * 1995-12-19 1997-07-29 홉기장치에서 레조네이터와 홉기구의 결합 구조
JP2000002161A (ja) 1998-06-15 2000-01-07 Fuji Heavy Ind Ltd 吸気系消音器の取付構造
JP2005188440A (ja) 2003-12-26 2005-07-14 Mahle Tennex Corp エンジン等の共鳴型消音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96514A (ja) * 1995-04-24 1996-11-12 Toyota Motor Corp レゾネータ及び分岐管の接続構造
KR970041461U (ko) * 1995-12-19 1997-07-29 홉기장치에서 레조네이터와 홉기구의 결합 구조
JP2000002161A (ja) 1998-06-15 2000-01-07 Fuji Heavy Ind Ltd 吸気系消音器の取付構造
JP2005188440A (ja) 2003-12-26 2005-07-14 Mahle Tennex Corp エンジン等の共鳴型消音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22738B2 (en) Ejector and arrangement for use in a motor vehicle having a turbocharger
BR112016006213B1 (pt) Veículo para montar
BRPI0902765A2 (pt) estrutura de tubo de admissão para motor de combustão interna
US6293981B1 (en) Arrangement of an air filter and a membrane carburetor
US8001945B2 (en) Resonator for an intake system of a motor vehicle
KR100813766B1 (ko) 차량용 레조네이터
KR100604013B1 (ko) 공기 안내 시스템, 특히 내연 기관의 흡기 시스템
JP2007009707A (ja) エアクリーナ
US7213668B2 (en) Sliding air-box
KR100758103B1 (ko) 차량용 레조네이터
KR200394427Y1 (ko) 튜브 브랜치의 결합구조
CN205908391U (zh) 碳罐装置组合
KR100795276B1 (ko) 결합 구조가 개선된 차량용 튜브 브랜치
WO2019203381A1 (ko) 사이클론 방식의 차량용 에어 덕트 어셈블리
KR100942090B1 (ko) 자동차용 흡기시스템
KR20100009881A (ko) 차량용 냉각 시스템
KR200420528Y1 (ko) 차량용 튜브 브랜치
CN216447027U (zh) 一种汽车进气系统的安全防护装置
BRPI0606448A2 (pt) dispositivo para o transporte de combustìvel de um tanque de combustìvel para o motor de combustão interna de um veìculo automóvel
EP2261495B1 (en) Duct system for the incoming air to the air filter of a vehicle's engine, especially industrial or commercial vehicle
KR101562872B1 (ko) 차량용 에어클리너
KR20100060293A (ko) 자동차용 흡기제거시스템의 소음저감장치.
US7163004B2 (en) Ventilation system for a fuel tank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102429050B1 (ko) 에어클리너 어셈블리 및 싸이클론 내장형 인렛 덕트
KR100362413B1 (ko) 가변 길이형 튜브가 삽입되는 에어 클리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4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