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3381B1 - 튜브 클램프 - Google Patents

튜브 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3381B1
KR100813381B1 KR1020077004877A KR20077004877A KR100813381B1 KR 100813381 B1 KR100813381 B1 KR 100813381B1 KR 1020077004877 A KR1020077004877 A KR 1020077004877A KR 20077004877 A KR20077004877 A KR 20077004877A KR 100813381 B1 KR100813381 B1 KR 1008133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lumen
slider
tube
guid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48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43025A (ko
Inventor
히데야스 미야하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제이엠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제이엠에스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제이엠에스
Publication of KR200700430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30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33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33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22Valves or arrangement of valves
    • A61M39/28Clamping means for squeezing flexible tubes, e.g. roller clamps
    • A61M39/286Wedge clamps, e.g. roller clamps with inclined guides
    • A61M39/287Wedge formed by a slot having varying width, e.g. slide clamp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lmon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전후로 관통한 내강(2) 및 상부창(3)을 갖는 하우징(1)과, 상부창에 원통면을 위치시켜 하우징에 장착되고, 내강을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롤러(4)를 구비하고, 상부창을 따라 형성된 한 쌍의 안내홈(6)에 의해 롤러 지축(5)이 안내된다. 내강의 저면(7)과 안내홈과의 사이의 간격은, 협착영역(7b)에 있어서 개방영역(7a)보다 작고, 롤러가 협착영역에 위치할 때, 롤러와 저면 사이에서의 끼움에 의해 튜브(11)가 폐색되고, 롤러가 개방영역에 위치할 때, 튜브의 유로가 개방된다. 또한, 롤러의 상부에 장착되고, 롤러와 일체로 내강 중을 이동 가능한 슬라이더(8)를 구비한다. 슬라이더는 후단부 측면에는 안내홈에 맞물린 슬라이더 지축(9)을 갖고, 전단부 하면에는 롤러지축과 끼워 맞춰 롤러를 유지하는 베어링 노치(10)를 갖는다. 가벼운 힘으로 간단히 조작 가능하며, 게다가 튜브에 대해 폐색력을 충분히 작용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튜브 클램프{TUBE CLAMP}
본 발명은, 유연성을 갖는 튜브를 끼워, 그 내강(內腔)을 폐색하고, 또는 튜브 내강의 유로 단면적을 조정하기 위해 이용되는 튜브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수액이나 수혈에 있어서, 수액백(Bag) 또는 수혈백으로부터, 유연성을 갖는 튜브를 이용하여 약액이나 혈액을 환자에게 보낸다. 예를 들면, 복막 투석 요법에 있어서, 투석 환자의 복강에 실리콘 고무제의 복막 카테터를 매식(埋植)하고, 이 복강 카테터에 접속된 트랜스퍼 튜브(익스텐션 튜브)를 통해, 복강 내에 대한 복막 투석액의 도입 및 배출을 행한다. 이 트랜스퍼 튜브에는, 복강 내에 저류(貯留)한 복막 투석액이 누출되지 않도록, 튜브를 폐색하기 위한 튜브 클램프가 장착되어 있다.
종래,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튜브 클램프로서는,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튜브를 폐색하기 위한 누름부재로서 기능하는 롤러를, 하우징 중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한 것이 있다. 롤러를 손가락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위치를 변화시키면, 롤러의 위치에 따라 하우징의 저면과의 클리어런스가 변화하고, 튜브를 폐색 하는 상태와 개방하는 상태가 얻어진다.
또, 특허 문헌 2에는, 튜브를 클램프하는 작용은 특허 문헌 1과 같지만, 조 작을 하기 쉽게 개량된 튜브 클램프가 기재되어 있다. 즉, 하우징의 내부에 롤러 대신에, 이동 가능한 누름부재와, 누름부재를 이동시키기 위한 레버형상의 조작부재를 조합하여 장착한 구조를 갖는다. 누름부재를 손가락으로 직접 조작할 필요가 없고, 조작부재를, 하우징에의 설치 개소를 지축으로 하여 회동시킨다. 조작부재의 단부의 회동의 궤적이, 누름부재의 단부와 교차하도록 설정되어 있고, 그 교차 위치에서 조작부재의 단부가 누름부재의 단부에 접촉하고, 튜브를 클램프하는 방향으로 누름부재를 이동시킨다. 누름부재 자체를 조작하는 것보다 조작부재를 조작하는 쪽이, 작은 힘으로 클램프 조작을 용이하고 확실히 행할 수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소55-72986호]
[특허 문헌 2: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평7-100207호]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롤러를 손가락으로 조작하는 구조의 경우, 롤러를 회전시켜 직선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조작에 힘을 요하며, 미묘한 조작을 하는 것은 곤란하다. 조작력을 경감하여 조작성을 향상시키고자 하면, 롤러의 지름을 크게 할 필요가 있다. 한편, 작은 가압력으로 튜브를 확실히 폐색하는 데에는, 롤러의 지름이 작은 쪽이 유리하다. 따라서,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구조는, 조작의 용이성과 폐색 작용의 확실성을 동시에 양호하게 하는 데에는, 구조적인 모순이 장해가 된다.
한편, 특허 문헌 2의 구조를 이용함으로써, 조작성은 개선된다. 그러나, 조작부재의 단부의 회동에 수반하는 접촉에 의해 누름부재를 이동시키기 때문에, 충분한 이동량을 확보하기 위해는 누름부재가 어느 정도 큰 치수를 갖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누름부재의 치수를 작게 하여, 작은 힘으로 확실한 폐색 작용을 얻기에는 부적당한 구조이다. 또, 누름부재는 회전하지 않기 때문에, 폐색 작용을 얻기 위해 누름부재를 이동시키면, 튜브에 대해 누름부재가 슬라이딩하는 상태가 발생한다. 그 때문에, 마찰에 의해 튜브에 대한 손상이 커질 우려가 있다.
또, 특허 문헌 1 및 2의 어느 구조의 경우라도, 롤러, 또는 누름부재와 조작부재를 하우징에 장착하기 위해, 하우징을 2분할한 구조가 이용된다. 즉, 2분할된 하우징 사이에 롤러, 또는 누름부재와 조작부재를 끼워넣고, 그 상태로, 분할 부분을 초음파용착이나 접착제 등에 의해 고정한다. 그로 인해, 하우징에 롤러 등의 부재를 장착할 때에 부재가 벗어나는 일이 없도록 하고, 또 장착된 부재가, 사용 중에 탈락하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기 위해는, 하우징과 롤러 등의 부재의 치수 정밀도를, 엄밀하게 관리할 필요가 있다.
한편, 하우징을 초음파용착이나 접착 등의 기술로 조립한 경우에는, 용착이나 접착 개소에 왜곡에 기인하는 내부 응력이 발생하기 쉽고, 부재에 항상 스트레스가 주어지는 상태가 된다. 그 결과, 그 부분의 부재의 손상이 많이 생기고, 장기에 걸친 사용에 있어서, 그 손상이 서서히 표면화되고, 최종적으로 파손에 이르는 경우가 있다. 또, 엄밀한 치수 정밀도를 관리하는 경우에는, 부품끼리의 마모 등에 의한 치수 변화에 의해, 목적으로 하는 기능이 다하게 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이상을 고려하여, 본 발명은, 가벼운 힘으로 간단하게 조작 가능하고, 또한 튜브를 폐색시키는 힘을 충분히 작용시키는 것이 가능한 튜브 클램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튜브를 누르기 위한 롤러를 포함하는 클램프부재를 하우징에 유지하기 위한 구조가 간단하고, 장기간의 사용에 있어서 파손의 원인이 되는 제조 공정을 포함하지 않고 조립할 수 있는 튜브 클램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의 튜브 클램프는, 전후로 관통한 내강을 가지며, 상기 내강이 위쪽으로 개구하여 상부창이 설치된 하우징과, 상기 상부창에 원통면을 위치시켜 상기 하우징의 내강에 장착되고, 상기 내강을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롤러를 구비한다. 상기 내강의 좌우 측벽 내면에, 상기 상부창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안내홈이 형성되고, 상기 롤러는 그 롤러 지축이 상기 안내홈으로 안내되고, 상기 내강의 저면과 상기 안내홈 사이의 간격이, 상기 내강의 전방부 또는 후방부의 어느 한쪽에 형성된 협착영역에 있어서, 다른 쪽에 형성된 개방영역에 있어서의 간격보다 작게 설정되고, 상기 롤러가 상기 협착영역에 위치할 때, 상기 내강에 삽입통과된 튜브가 상기 롤러와 상기 내강의 저면과의 사이에서 눌려 폐색된 상태이며, 상기 롤러가 상기 개방 영역에 위치할 때, 상기 튜브가 개방된 상태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롤러의 상부에 장착되어 상기 상부창으로부터 상면부를 노출시키고, 상기 롤러와 일체가 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강 중을 이동 가능한 슬라이더를 더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더는, 그 후단부 측면으로 설치되어 상기 안내홈에 맞물린 한 쌍의 슬라이더 지축과, 전단측 하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롤러 지축과 끼워 맞춰 상기 롤러를 유지하는 베어링 노치를 가지며, 상기 슬라이더 지축 및 상기 롤러 지축이 모두 상기 안내홈에 의해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명의 효과)
상기 구성에 의하면, 슬라이더의 평행이동을 통해 롤러를 회전시키므로, 롤러가 소경이어도, 가벼운 힘으로 간단하게 클램프 조작을 행할 수 있고, 롤러에 의해, 튜브를 폐색시키는 힘을 충분히 작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조작의 용이성과 폐색 작용의 확실성에 대해, 동시에 양호한 상태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튜브 클램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동튜브 클램프를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동튜브 클램프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동튜브 클램프의 롤러와 슬라이더가 협착영역에 위치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나타낸 상태에 있어서의 도 3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있어서의 튜브 클램프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하우징 2 내강
3 상부창 4 롤러
5 롤러 지축 6 안내홈
6a 하측 단차부 7 저면
7a 개방영역 7b 협착영역
7c 중간영역 8 슬라이더
9 슬라이더 지축 10 베어링 노치
11 튜브 12 노치홈
13 상측 벽면 14 전단 가장자리
15 걸어맞춤부 16 걸어맞춤 돌기
17 맞물림홈
본 발명의 튜브 클램프에 있어서, 상기 협착영역이 상기 내강의 후방부에 배치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부창의 전단부 측 가장자리에, 위쪽으로부터 상기 한 쌍의 안내홈에 각각 연통한 한 쌍의 노치홈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노치홈을 경유하여 상기 슬라이더 지축을 상기 안내홈의 후방으로 슬라이딩시킴으로써, 상기 상부창을 통해 상기 내강에 삽입 가능하다. 상기 내강의 전방 개구 단부(端部)에 있어서의 상기 내강의 상벽면과 상기 안내홈의 하측 단차부와의 사이의 간격은, 상기 롤러가, 상기 롤러 지축을 상기 안내홈에 위치시켜 상기 내강의 전방 개구를 통해 상기 내강 중에 삽입 가능한 정도로 이겨되어 있다. 상기 롤러 지축이 상기 베어링 노치에 끼워 맞춰짐으로써, 상기 롤러와 상기 슬라이더가 일체로 결합하고,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상부창의 전단에 위치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의 전단부가, 상기 상부창의 전단 가장자리에 의해 더 전방으로의 이동이 제한된다.
또, 상기 베어링 노치의 개구단의 폭은, 상기 롤러 지축의 지름보다 작고, 상기 베어링 노치의 개구 단부를 탄성변형에 의해 확대시켜 상기 롤러 지축을 눌러 넣음으로써, 롤러 지축이 상기 베어링 노치에 끼워 맞춰져 있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 상기 슬라이더의 후단에 설치된 걸어맞춤부와, 상기 상부창의 후단 근방에 있어서의 상기 하우징의 내면에 형성된 걸어맞춤 돌기를 더 구비하고, 상기 롤러가 상기 협착영역에 위치한 상태로, 상기 걸어맞춤부와 걸어맞춤 돌기가 서로 맞물리고, 상기 슬라이더의 전방으로의 이동을 제지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안내홈이 형성한 단차부에 연결되도록 상기 안내홈 상부의 상기 하우징 내벽면에 형성된 맞물림홈을 더 구비하고, 상기 롤러가 상기 협착영역에 위치한 상태로, 상기 롤러 지축이 상기 맞물림홈에 맞물릴 수 있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튜브 클램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이 튜브 클램프를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이 튜브 클램프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있어서의 A-A단면도이다.
1은 하우징이며, 전후로 관통한 내강(2)을 가지며, 내강(2)이 위쪽으로 개구하여 상부창(3)이 설치되어 있다. 4는 롤러이며, 하우징(1)의 내강(2)에 장착되고, 상부창(3)에 원통면을 위치시켜 내강(2)을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내강(2)의 좌우 측벽의 내면에는, 상부창(3)을 따라서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좌우 한 쌍의 안내홈(6)이 형성되어 있다. 롤러(4)는, 그 롤러 지축(5)이 안내홈(6)에 안내되어 내강(2)을 이동한다. 내강(2)의 저면(7)은, 전방부에 있어서 안내홈(6)과의 사이의 간격이 충분한 개방 영역(7a)을 형성하고, 후방부에 있어서 안내홈(6)과의 사이의 간격이 전방부보다 작은 협착영역(7b)을 형성한다. 개방 영역(7a)과 협착영역(7b) 중간부에는, 간격이 개방 영역(7a)과 협착영역(7b)의 사이의 크기로 설정된 중간 영역(7c)이 형성되어 있다. 중간 영역(7c)은, 간격이 서서히 변화하여도 된다.
롤러(4)의 상면부를 덮고, 슬라이더(8)가 롤러(4)에 장착되어 있다. 슬라이더(8)는, 하우징의 상부창(3)으로부터 상면부를 노출시키고, 롤러(4)와 일체가 되어 내강(2) 중을 이동 가능하며, 클램프부재를 구성한다. 슬라이더(8)에는, 한 쌍의 슬라이더 지축(9)과, 베어링 노치(10)가 설치되어 있다. 슬라이더 지축(9)은, 슬라이더(8)의 후단부 측면에 설치되며, 안내홈(6)에 맞물려 있다. 베어링 노치(10)는, 슬라이더(8)의 전단부 하면에 설치되고, 롤러 지축(5)과 끼워 맞춰서 롤러(4)를 유지한다. 이 상태로, 슬라이더 지축(9) 및 롤러 지축(5)이 모두 안내홈(6) 에 의해 안내된다. 하우징(1), 롤러(4) 및 슬라이더(8)는 모두, 예를 들면 플라스틱으로 성형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연성을 갖는 튜브(11)를, 내강(2)에 삽입통과하고, 슬라이더(8)의 상면부를 손가락으로 눌러, 슬라이더(8)와 일체가 된 롤러(4)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튜브(11)에 대한 클램프상태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롤러(4)가 내강(2)의 개방 영역(7a)에 위치한 상태에서는, 튜브(11)의 내강은 개방된 상태이며, 유로로서 완전하게 기능한다. 이 상태에서는, 내강(2)의 저면(7)이 안내홈(6)으로부터 충분한 간격을 가지며, 따라서, 롤러(4)의 원통면과 내강(2)의 저면(7)과의 사이에 충분한 간격이 유지되고, 튜브(11)를 누르는 힘은 작용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도 5 및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롤러(4)가 협착영역(7b)에 위치하는 상태에서는, 튜브(10)가 롤러(4)와 저면(7)과의 사이에서 눌리고, 튜브(11)의 내강은 폐색된다. 중간 영역(7c)에 위치한 상태에서는, 튜브(11)의 내강의 개구 단면적을 변화시켜, 유량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중간 영역(7c)에 있어서의 저면(7)의 형상, 즉, 안내홈(6)과의 사이의 간격의 변화 상태를 적절히 설정함으로써, 유량 조절의 조작성을 적당한 것으로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구조에 의해, 슬라이더(8)의 평행이동을 통해 롤러(4)를 회전시키므로, 롤러(4)가 소경이어도, 가벼운 힘으로 간단히 클램프 조작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롤러(4)에 의해, 튜브(11)를 폐색시키는 힘을 충분히 작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조작의 용이성과 폐색 작용의 확실성에 대해, 동시에 양호한 상태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 튜브 클램프는, 롤러(4) 및 슬라이더(8)를 일체로 결합시켜, 하우징(1)에 대해 장착하기 위한, 개량된 구조를 이하와 같이 갖는다. 상부창(3)의 전단부 측 가장자리에는, 위쪽으로부터 한 쌍의 안내홈(6)에 각각 연통된 한 쌍의 노치홈(12)이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더(8)는, 도 2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슬라이더 지축(9)에 노치홈(12)을 통과시킴으로써, 상부창(3)을 통해 내강(2)에 삽인된다. 즉, 슬라이더 지축(9)이 노치홈(12)을 경유하여 안내홈(6)을 후방으로 슬라이딩함으로서, 슬라이더(8)는, 상부창(3)을 통해 내강(2)에 삽입된다.
또, 내강(2)의 전방 개구 단부에 있어서의 내강(2)의 상측 벽면(13)과 안내홈(6)의 하측 단차부(6a)와의 사이의 간격은, 롤러(4)가, 전방 개구를 통해 내강(2) 중에 삽입 가능한 정도로 이격되어 있다. 따라서, 롤러(4)는, 도 2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롤러 지축(5)을 안내홈(6)에 위치시켜 내강(2) 중에 삽입된다.
슬라이더(8) 및 롤러(4)를 상술한 바와 같이 하여 하우징(1) 내에 장착하고, 롤러 지축(5)을 베어링 노치(12)에 끼워 맞춤으로써, 롤러(4)와 슬라이더(8)가 일체로 결합한다. 롤러(4)와 슬라이더(8)가 일체로 결합하고 있으면, 도 3,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더(8)가 상부창(3)의 전단에 위치한 상태에 있어서, 슬라이더(8)의 전단부가 상부창(3)의 전단 가장자리(14)에 접촉하므로, 슬라이더(8)의 더 전방으로의 이동이 제한된다. 또, 슬라이더 지축(9) 및 롤러 지축(5)이 안내홈(6)과 맞물려 있으므로, 슬라이더(8)가 상부창(3)으로부터 위쪽으로 벗어나는 일도 없다. 이와 같이, 롤러(4)와 슬라이더(8)가 일체로 결합한 상태에서는, 슬라이더 지축(9) 및 롤러 지축(5)과 안내홈(6)과의 맞물림, 및 상부창(3)의 전단 가장자리(14)에 의한 슬라이더(8)의 전단부에 대한 이동 제한에 의해, 롤러(4)와 슬라이더(8)의 결합체를 하우징(1)에 장착한 상태가 유지된다.
또, 롤러(4)와 슬라이더(8)가 일체로 결합한 상태는, 베어링 노치(10)와 롤러 지축(5)의 끼워 맞춤에 의해 유지된다. 즉, 베어링 노치(10)의 개구단의 폭은, 롤러 지축(5)의 지름보다 작다. 따라서, 베어링 노치(10)에 롤러 지축(5)을 끼워 맞출 때에는, 베어링 노치(10)의 개구 단부를 탄성변형에 의해 확대시켜 롤러 지축(5)을 눌러 넣는다. 그로 인해, 일단 끼워 맞춘 후에는, 베어링 노치(10)의 개구 단부가 탄성변형하도록 강한 힘을 롤러 지축(5)에 가하지 않으면, 롤러 지축(5)이 베어링 노치(10)로부터 벗어나는 일은 없다.
이상과 같이, 롤러(4)와 슬라이더(8)를 별개로 하우징(1)에 삽입한 후, 합체 시킴으로써, 하우징(1)에 대한 클램프부재의 장착이 완료된다. 그 상태에서는, 롤러(4)와 슬라이더(8)의 결합체는, 외형이 하우징(1)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치수가 되기 때문에, 클램프부재의 장착 상태가 확보된다. 이와 같이, 튜브(11)를 롤러(4) 및 슬라이더(8)로 이루어진 클램프부재를 하우징(1)에 유지하기 위한 구조는 간단하며, 유지 작용은 확실하다. 또한, 장기간의 사용에 있어서 파손의 원인이 되는, 초음파 용착이나 접착에 의한 접합이 불필요하고, 조립한 후에는 각부에는, 튜브에 의해 발생하는 이외의 응력이 발생하지 않으며, 내구성이 양호하다.
또한, 이 튜브 클램프는, 롤러(4)가 협착영역(7b)에 위치한 상태로, 롤러(4)의 위치를 유지하기 위해, 슬라이더(8)의 이동을 제지하는 제지 기구를 갖는다. 제 지 기구는, 도 4에 명확히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더(8)의 후단에 설치된 걸어맞춤부(15)와, 상부창(3)의 후단 근방에 있어서의 하우징(1)의 내면에 형성된 걸어맞춤 돌기(16)로 구성된다. 걸어맞춤부(15)와 걸어맞춤 돌기(16)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롤러(4)가 협착영역(7b)에 위치한 상태에서, 서로 맞물리고, 슬라이더(8)의 전방으로의 이동을 제지한다. 이 제지 상태를 해제하려면, 슬라이더(8)를 튜브(11)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아래쪽으로 눌러 내림으로써, 걸어맞춤부(15)와 걸어맞춤 돌기(16)의 맞물림을 해제하면 된다.
또, 걸어맞춤부(15)와 걸어맞춤 돌기(16)의 맞물림에 의해, 폐색 조작의 완료를 인지하는 작용도 얻을 수 있다. 즉, 클램프 폐색 조작시에 슬라이더(8)를 이동시켜, 걸어맞춤부(15)와 걸어맞춤 돌기(16)를 맞물렸을 때, 제지기구가 작용하는 것과 동시에, 양자의 맞물림에 수반하여 「찰칵」하는 기계음을 발생한다. 또, 조작자의 손가락에 그때의 감촉이 전해진다. 따라서, 조작자는, 「폐색 조작의 완료」를, 청각적 신호 및/또는 촉각적 신호에 의해 인지 가능하다. 걸어맞춤부(15)와 걸어맞춤 돌기(16)의 맞물림에 의한 이들 일련의 작용에 의해, 종합적인 조작성의 향상을 얻을 수 있다.
(실시 형태 2)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있어서의 튜브 클램프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7의 B-B선에 따른 단면도를, 도 8에 나타낸다.
본 실시 형태는, 기본적인 구성은 실시 형태 1과 같고, 협착영역(7b)에 위치한 상태로 롤러(4)의 이동을 제지, 롤러(4)의 위치를 유지하기 위한 롤러 제지 기 구를 갖는다. 롤러 제지 기구는,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걸어맞춤부(15)와 걸어맞춤 돌기(16)의 맞물림에 의한 제지 기구 대신에 이용된다.
도 7, 도 8에 나타낸 맞물림홈(17)이, 롤러 제지 기구를 구성한다. 맞물림홈(17)은, 안내홈(6)의 상부의 하우징(1)의 내벽면에 형성되고, 안내홈(6)을 형성하고 있는 상부 단차부(6b)에 연결되어 있다. 롤러(4)가 협착영역(7b)에 위치하는 상태로, 롤러 지축(5)이 맞물림홈(17)에 맞물릴 수 있도록, 맞물림홈(17)의 위치가 설정된다. 맞물림홈(17)의 넓이(폭)는, 롤러 지축(5)의 직경보다 작고, 롤러 지축(5)의 일부가 꼭 맞을 정도로 설정된다.
롤러 지축(5)이 안내홈(6)을 슬라이딩하고, 롤러(4)가 협착영역(7b)에 위치했을 때에, 롤러 지축(5)의 상측부분이 맞물림홈(17)에 꼭 맞는 상태가 된다. 그로 인해 롤러 지축(5)의 안내홈(6) 방향의 움직임에 저항하는 힘이 부여되고, 롤러(4)의 움직임이 제지된다. 롤러(4)가 협착영역(7b)에 위치할 때에는, 롤러(4)가 튜브(11)를 누르는 상태이며, 튜브(11)로부터의 반발력에 의해 롤러(4)가 위쪽으로 힘이 가해지므로, 롤러 지축(5)을 맞물림홈(17)에 끼워넣는 힘이 작용한다. 따라서, 소정 위치에서 롤러 제지 기구로서 용이하게 작용한다. 또, 롤러 지축(5)과 맞물림홈(17)의 맞물림 시에, 끼워 맞춤의 감촉이 명료하게 얻어지며, 조작성이 양호하다. 또한, 맞물림을 해제할 때에는, 슬라이더(8)를 통해 롤러(4)에 작용하는 조작력, 및 그 방향이, 롤러 지축(5)이 맞물림홈(17)으로부터 벗어나는 힘으로서 직접 작용하므로, 조작이 용이하다.
맞물림홈(17)은, 하우징(1)의 성형성의 관점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안내홈 (6)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관통하는 형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다른 조건과의 관계에 의해, 위쪽으로 관통하지 않는 아래쪽만의 비관통홈, 또는 홈 형상이 아닌 얕은 오목부 등의 형상으로 할 수도 있다.
협착영역(7b)에 롤러(4)의 위치를 유지하기 위해는, 상기 구성 외에, 예를 들면, 슬라이더 지축(9)을 걸어맞추는 기구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슬라이더 지축(9) 선단과 대향하는 위치의 안내홈(6)의 벽면에 맞물림 구멍을 설치하고, 롤러(4)가 협착영역(7b)에 위치했을 때에, 슬라이더 지축(9)의 선단이 맞물림구멍에 꼭 맞도록 설정한다. 그러기 위해는, 슬라이더 지축(9)의 선단을 안내홈(6)의 벽면에 누르는 힘이 작용하도록, 슬라이더(8)에 있어서의 슬라이더 지축(9)의 설치 개소, 형상 및 치수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튜브 클램프는, 롤러(4)와 슬라이더(8)의 조합에 의해 클램프 기구가 구성된다. 클램프를 위한 조작은, 슬라이더(8)를 평행이동시키는 것만으로도 되며, 롤러(4)를 손가락으로 회전시키는 조작이 불필요하다. 따라서, 확실한 클램프 작용을 얻는데 적합한 소경의 롤러를 이용한 경우라도, 조작성에 대한 영향은 작다.
본 발명의 튜브 클램프는, 가벼운 힘으로 간단하게 조작 가능하고, 또한 튜브를 폐색시키는 힘을 충분히 작용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수액이나 수혈에 이용하는 튜브를 클램프하는 부재로서 유용하다.

Claims (6)

  1. 전후로 관통한 내강을 가지며, 상기 내강이 위쪽으로 개구하여 상부창이 설치된 하우징과, 상기 상부창에 원통면을 위치시켜 상기 하우징의 내강에 장착되고, 상기 내강을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롤러를 구비하고, 상기 내강의 좌우 측벽 내면에, 상기 상부창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안내홈이 형성되고, 상기 롤러는 그 롤러 지축이 상기 안내홈으로 안내되며, 상기 내강의 저면과 상기 안내홈의 사이의 간격이, 상기 내강의 전방부 또는 후방부의 어느 한쪽에 형성된 협착영역에 있어서, 다른 쪽에 형성된 개방 영역에 있어서의 간격보다 작게 설정되고, 상기 롤러가 상기 협착영역에 위치할 때, 상기 내강에 삽입통과된 튜브가 상기 롤러와 상기 내강의 저면과의 사이에서 눌려져 폐색된 상태이며, 상기 롤러가 상기 개방 영역에 위치할 때, 상기 튜브가 개방된 상태인 튜브 클램프에 있어서,
    상기 롤러의 상부에 장착되어 상기 상부창으로부터 상면부를 노출시키고, 상기 롤러와 일체가 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강 중을 이동 가능한 슬라이더를 더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더는, 그 후단부 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안내홈에 맞물린 한 쌍의 슬라이더 지축과, 전단측 하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롤러 지축과 끼워 맞춰 상기 롤러를 유지하는 베어링 노치를 가지며, 상기 슬라이더 지축 및 상기 롤러 지축이 모두 상기 안내홈에 의해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클램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협착영역이 상기 내강의 후방부에 배치된, 튜브 클램프.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창의 전단부 측 가장자리에, 위쪽으로부터 상기 한 쌍의 안내홈에 각각 연통된 한 쌍의 노치홈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노치홈을 경유하여 상기 슬라이더 지축을 상기 안내홈의 후방으로 슬라이딩시킴으로써, 상기 상부창을 통해 상기 내강에 삽입 가능하며,
    상기 내강의 전방 개구 단부에 있어서의 상기 내강의 상벽면과 상기 안내홈의 하측 단차부와의 사이의 간격은, 상기 롤러가, 상기 롤러 지축을 상기 안내홈에 위치시켜 상기 내강의 전방 개구를 통해 상기 내강 중에 삽입 가능한 정도로 이격시켜 두고,
    상기 롤러 지축이 상기 베어링 노치에 끼워 맞춰짐으로써, 상기 롤러와 상기 슬라이더가 일체로 결합하고,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상부창의 전단에 위치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의 전단부가, 상기 상부창의 전단 가장자리에 의해 더 전방으로의 이동이 제한되는, 튜브 클램프.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노치의 개구단의 폭은, 상기 롤러 지축의 지름보다 작고, 상기 베어링 노치의 개구 단부를 탄성변형에 의해 확대시켜 상기 롤러 지축을 눌러 넣음 으로써, 롤러 지축이 상기 베어링 노치에 끼워 맞춰져 있는, 튜브 클램프.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의 후단에 설치된 걸어맞춤부와, 상기 상부창의 후단 근방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면에 형성된 걸어맞춤 돌기를 더 구비하고, 상기 롤러가 상기 협착영역에 위치한 상태로, 상기 걸어맞춤부와 걸어맞춤 돌기가 서로 맞물려, 상기 슬라이더의 전방으로의 이동을 제지하는, 튜브 클램프.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내홈이 형성하는 단차부에 연결되도록 상기 안내홈 상부의 상기 하우징 내벽면에 형성된 맞물림홈을 더 구비하고,
    상기 롤러가 상기 협착영역에 위치한 상태로, 상기 롤러 지축이 상기 맞물림홈에 맞물릴 수 있는, 튜브 클램프.
KR1020077004877A 2004-08-25 2005-08-18 튜브 클램프 KR1008133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245496 2004-08-25
JPJP-P-2004-00245496 2004-08-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3025A KR20070043025A (ko) 2007-04-24
KR100813381B1 true KR100813381B1 (ko) 2008-03-12

Family

ID=359674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4877A KR100813381B1 (ko) 2004-08-25 2005-08-18 튜브 클램프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571889B2 (ko)
EP (1) EP1806156A4 (ko)
JP (2) JP4324883B2 (ko)
KR (1) KR100813381B1 (ko)
CN (1) CN100471530C (ko)
HK (1) HK1104489A1 (ko)
WO (1) WO2006022189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61947A1 (ko) 2012-10-15 2014-04-24 에이스메디칼 주식회사 낙하방식에 의한 주입량의 자동 조절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50039083A (ko) 2014-08-20 2015-04-09 에이스메디칼 주식회사 낙하방식에 의한 주입량의 자동 조절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21883B2 (en) * 2004-10-14 2009-11-24 Patterson Medical Products, Inc. Slide lock
US8523828B2 (en) 2008-12-30 2013-09-03 Covidien Lp Clamping assembly for use with a catheter
US8419694B2 (en) 2008-12-30 2013-04-16 Covidien Lp Extension tube clamps for use with a catheter
US8221388B2 (en) * 2009-04-22 2012-07-17 Tyco Healthcare Group Lp Biased clamping assemblies
DE202009004772U1 (de) * 2009-04-30 2009-10-15 Hopf, Hans-Jürgen Vorrichtung zur Regulierung eines Volumenstroms in einem Schlauch
US8876798B2 (en) * 2010-02-23 2014-11-04 Smiths Medical Asd, Inc. Catheter adapter
US9364651B2 (en) 2010-02-23 2016-06-14 Smiths Medical Asd, Inc. Adapter with special fitting
US10737087B2 (en) 2012-04-17 2020-08-11 Smiths Medical Asd, Inc. Filling fitting
US8702681B2 (en) * 2012-05-31 2014-04-22 Progeny Concepts, Llc Catheter valve and methods of using same
US9360124B2 (en) * 2013-03-15 2016-06-07 Cook Medical Technologies Llc Bi-directional valve device for selective control of fluid flow through multiple converging paths
US10265708B2 (en) * 2014-07-15 2019-04-23 Lunatec, Inc. Pressurizable fluid container and flexible dispenser
US9572933B2 (en) * 2014-09-19 2017-02-21 Shawn Grannell Extravasation detection apparatus and methods
WO2016111402A1 (ko) 2015-01-09 2016-07-14 (주)엠에스디바이스 수액 세트
US9624996B2 (en) 2015-01-15 2017-04-18 Flowco Production Solutions, LLC Robust bumper spring assembly
CA2918007C (en) 2015-01-15 2022-10-18 Flowco Production Solutions, LLC Robust bumper spring assembly
US11578570B2 (en) * 2015-02-20 2023-02-14 Flowco Production Solutions, LLC Unibody bypass plunger and valve cage with sealable ports
CA2921175C (en) * 2015-02-20 2023-09-26 Flowco Production Solutions, LLC Improved dart valves for bypass plungers
US9963957B2 (en) * 2015-02-20 2018-05-08 Flowco Production Solutions, LLC Clutch assembly for bypass plungers
US10669824B2 (en) 2015-02-20 2020-06-02 Flowco Production Solutions, LLC Unibody bypass plunger and valve cage with sealable ports
US10221849B2 (en) * 2015-05-18 2019-03-05 Patriot Artificial Lift, LLC Forged flange lubricator
WO2017023947A1 (en) * 2015-08-04 2017-02-09 Lunatec, Inc. Pressurizable fluid container and flexible dispenser
GB2541221B (en) * 2015-08-12 2021-04-14 Royal United Hospitals Bath Nhs Found Trust Pinch valve for a urinary drainage system
US10161230B2 (en) 2016-03-15 2018-12-25 Patriot Artificial Lift, LLC Well plunger systems
CN106563193A (zh) * 2016-11-03 2017-04-19 东华大学 一种医疗点滴调节装置
CN107642618A (zh) * 2017-11-06 2018-01-30 深圳市雷拓尔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控制清洗水管通断水的控制开关
CA3093112C (en) 2018-03-06 2023-09-05 Flowco Production Solutions, LLC Internal valve plunger
JP7381484B2 (ja) * 2018-03-21 2023-11-15 ケアフュージョン 303、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静脈内(iv)流体投与のための直線作動フローコントローラ
US20220056785A1 (en) * 2018-09-13 2022-02-24 Flowco Production Solutions, LLC Unibody bypass plunger with integral dart valve cage
US11293267B2 (en) 2018-11-30 2022-04-05 Flowco Production Solutions, LLC Apparatuses and methods for scraping
US11058861B2 (en) * 2019-04-09 2021-07-13 Carefusion 303, Inc. Locking mechanism for roller clamp
KR102260526B1 (ko) * 2019-04-26 2021-06-02 김진건 산소발생기능이 구비된 마스크
USD937982S1 (en) 2019-05-29 2021-12-07 Flowco Production Solutions, LLC Apparatus for a plunger system
WO2021046330A1 (en) 2019-09-05 2021-03-11 Flowco Productions Solutions, Llc Gas assisted plunger lift control system and method
KR102171665B1 (ko) 2020-03-17 2020-10-29 (주)메디라인액티브코리아 수액주입용 유량조절 레귤레이터
US11819661B2 (en) * 2020-09-29 2023-11-21 Carefusion 303, Inc. Sliding flow controller
KR102573891B1 (ko) * 2023-07-04 2023-08-31 유영선 스토퍼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유량조절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9581A (ja) * 1993-07-30 1995-02-10 Nissho Corp ローラクランプ
JPH07100207A (ja) 1993-10-04 1995-04-18 Terumo Corp クランプ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97558A (en) * 1965-03-12 1967-01-10 Instrumentation Labor Inc Fluid control apparatus
USRE31584E (en) * 1969-09-08 1984-05-15 Apparatus for regulating fluid flow through plastic tubing
US3625472A (en) * 1969-09-19 1971-12-07 Illinois Tool Works Roller clamp for flexible tubing
US4340201A (en) * 1978-04-05 1982-07-20 Becker Jr Karl E Intravenous tubing clamping device
US4265425A (en) 1978-11-06 1981-05-05 Cutter Laboratories, Inc. Flow control device
US4337791A (en) * 1980-11-17 1982-07-06 La-Van Tech Development Corp. Flow regulator assembly
JPS6176169A (ja) 1984-09-14 1986-04-18 アルフレツド フイスター‐レーマン 尿カテーテル用閉鎖装置
US4919389A (en) * 1989-03-17 1990-04-24 Baxter International Inc. Large bore tubing roller clamp
GB9403021D0 (en) 1994-02-17 1994-04-06 Clinical Product Dev Ltd Couplings for medical cannulae
US6892996B2 (en) * 1996-12-05 2005-05-17 Jovanka Starchevich Flow regulator
US6415960B1 (en) * 2001-09-14 2002-07-09 Karen E. Fink Arm-mountable liquid dispensing apparatus
US6536739B1 (en) * 2001-11-01 2003-03-25 Fresenius Usa, Inc. Flow control de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9581A (ja) * 1993-07-30 1995-02-10 Nissho Corp ローラクランプ
JPH07100207A (ja) 1993-10-04 1995-04-18 Terumo Corp クランプ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61947A1 (ko) 2012-10-15 2014-04-24 에이스메디칼 주식회사 낙하방식에 의한 주입량의 자동 조절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50039083A (ko) 2014-08-20 2015-04-09 에이스메디칼 주식회사 낙하방식에 의한 주입량의 자동 조절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6022189A1 (ja) 2006-03-02
CN101005866A (zh) 2007-07-25
US20080029721A1 (en) 2008-02-07
EP1806156A1 (en) 2007-07-11
JPWO2006022189A1 (ja) 2008-05-08
KR20070043025A (ko) 2007-04-24
JP4811687B2 (ja) 2011-11-09
US7571889B2 (en) 2009-08-11
JP2009154015A (ja) 2009-07-16
CN100471530C (zh) 2009-03-25
HK1104489A1 (en) 2008-01-18
EP1806156A4 (en) 2009-12-02
JP4324883B2 (ja) 2009-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3381B1 (ko) 튜브 클램프
CA2574057C (en) Automatic clamp apparatus for iv infusion sets used in pump devices
EP1951362B1 (en) Automatic clamp apparatus
JP4483866B2 (ja) 輸液安全装置
US8145092B2 (en) Switching mechanism for toner cartridge
NO20034904L (no) Forbedret strömningsstansgrensesnitt for medisinske instrumenter
JP3133453U (ja) 輸液ポンプ用チューブカセット
JP2011161958A (ja) 車両用シートリクライニング装置
US20170165414A1 (en) Self-compensating chucking device for infusion pump systems
JPH0542587B2 (ko)
JP2008540045A (ja) ドローバック防止医療用バルブ
JP2012045133A (ja) ローラクランプおよびそれを備えた輸液装置
JP4710618B2 (ja) チューブクランプ装置
JP3925887B2 (ja) 抽斗の閉止装置
JP2008133695A (ja) フラット扉
JP2024030210A (ja) クリップ、及びそのクリップを備える輸液ポンプ
CN219175401U (zh) 偏心式按键组件及坐便器
KR102524474B1 (ko) 유체 조절 슬롯 밸브
JP2510908B2 (ja) 医療用液体ポンプ
KR102537390B1 (ko) 방화문용 자동폐쇄장치
JP2510907B2 (ja) 医療用液体ポンプ
JP2002182271A (ja) レンズバリアを有するカメラ
JP2001017543A (ja) 蠕動式輸液装置
JP4410373B2 (ja) ルーバの羽根板開閉装置
JP2008127743A (ja) 鎌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