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3183B1 - 복합기능모듈이 구비된 자동차용 룸미러 장치 - Google Patents

복합기능모듈이 구비된 자동차용 룸미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3183B1
KR100813183B1 KR1020070044010A KR20070044010A KR100813183B1 KR 100813183 B1 KR100813183 B1 KR 100813183B1 KR 1020070044010 A KR1020070044010 A KR 1020070044010A KR 20070044010 A KR20070044010 A KR 20070044010A KR 100813183 B1 KR100813183 B1 KR 1008131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mirror
sensor
illumination
illumination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40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대우
Original Assignee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440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31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31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31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4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insid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12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12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 B60R2001/1223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with sensors or transduc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12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 B60R2001/123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with thermome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12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 B60R2001/1284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with communication systems other than radio-receivers, e.g. keyless entry systems, navigation systems; with anti-collision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합기능의 모듈이 내장된 자동차용 룸미러 장치에 관한 것으로, 고속도로 톨게이트 자동요금 결재 시스템의 차량단말기인 OBU와, 차량 앞유리의 김서림 발생이 예상되면 음성안내로 공조장치의 가동방법을 알려주는 김서림 알림센서, 차량후방에서 강한 빛이 입사 되었을 때 운전자의 눈부심을 방지해주는 ECM 미러, 차량의 조명 및 전조등을 주위 밝기에 따라 자동으로 ON /OFF할 수 있는 조도센서, 핸즈프리 기능을 하는 블루투스모듈 등이 차량의 룸미러 유닛에 일체화되어 이루어진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복합형 자동차용 룸미러는 하나의 메인 컨트롤 유닛을 이용하여 여러 가지 자동차의 편의장치를 룸미러에 집속 설치할 수가 있어 원가를 절감할 수 있음은 물론, 차량의 여러 위치에 설치되는 모듈과 센서를 룸미러에 통합 설치함으로써, 차량의 미관을 좋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의 편의 장치를 하나의 미러에 설치하면서도 운전자의 전면 시야를 확보하여 안전운전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편의장치를 효과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등의 이점을 얻을 수 있다.
복합기능모듈, 자동차용 룸미러

Description

복합기능모듈이 구비된 자동차용 룸미러 장치{A ROOM MIRROR DEVICE HAVING A MULTI FUNCTIONAL MODUL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 기능 모듈이 구비된 자동차용 룸미러장치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 기능 모듈이 구비된 자동차용 룸미러장치의 개략적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룸미러의 복합 기능 모듈에 대한 구성블럭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 전면 유리 3 - 미러 유닛
5 - OBU 7 - 김서림 감지센서
9 - ECM 미러 11 - 조도센서
13 - 블루투스 모듈 15 - 안테나
17 - 중앙제어처리기 19 - 메모리
21 - AUDIO CADEC 23 - 증폭기
25 - 마이크 27 - MUX
29 - 스위치 31 - 카드 삽입홈
33 - 전원 LED 35 - 지지대
37 - 배선와이어
본 발명은 차량의 실내에 설치되는 룸미러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하나의 룸미러에 여러 가지 복합 기능이 내장되어 서로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효과를 높일 수 있게 하면서도 운전자의 시야를 방해하지 않게 한 자동차의 룸미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실내에 설치되는 룸미러는 운전자가 운전 중에 뒷좌석 및 차량의 뒷부분을 살피면서 안전운전을 할 수 있게 하는 수단으로서, 차량의 전면유리 상단 또는 천정의 끝부분에 설치되어 사용된다.
이러한 룸미러는 단순이 차량의 뒷부분을 비추어주는 역할만 하기 때문에, 그 효용성을 높이기 위하여 룸미러에 여러 가지 설비를 사용하기 위해 여러 가지 시도를 하고 있다.
예컨대, 차량의 과속상태를 체크하는 카메라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이 감시카메라를 체크하는 안테나를 룸미러에 설치하여 룸미러의 기능과 감시 카메라 안 테나의 기능을 겸하도록 한 것이 일찍이 고안되어 있다.
그러나, 룸미러는 기본적으로 운전자의 운전에 도움을 주기 위해 차량의 뒷부분을 비추어주어야 할 뿐만 아니라, 전방의 시야를 방해하여서도 안 되기 때문에 룸미러 자체에 여러 가지 설비 또는 장치를 함부로 장착 사용하여 운전자의 시야를 방해하게 하여서는 안 된다.
한편, 차량의 운전을 안전하게 하기 위해 여러 가지 편의장치가 있는바, 예컨대 고속도로 톨게이트 자동요금 징수시스템(ETCS)의 단말기인 OBU와, 네비게이션 시스템, 전화통화를 무선으로 할 수 있게 하는 핸즈프리 시스템 및, 룸미러의 유리가 빛의 강도에 따라 그 조도를 달리하면서 운전자의 눈부심을 방지하게 하는 ECM 등과 같은 편의장치가 있다.
그런데, 이러한 기존의 자동차용 편의장치는 각각 개별적으로 설치되어 사용되기 때문에 장치가 집약적이지 못하여 여러 개의 장비가 필요하다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한편, 일부 편의장치는 네비게이션에 복합적으로 장착되어 사용되는 경우의 예가 있기는 하나, 여러 가지 편의장치 중에서 일부는 차량의 전면유리에 근접하여 설치되어야만 제 기능을 효과적으로 발휘할 수가 있기 때문에, 따라서 결국 여러 가지 편의장치를 사용하게 되면 각각의 기능을 발휘하는 모듈 및 유닛으로 이루어지는 장치를 설치하여야 하기 때문에 운전석의 대쉬보드 앞부분이 복잡하고, 운전자의 시야를 가리는 등의 문제가 있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의 구체적인 예를 들면 ETCS의 단말기인 OBU의 경우에는 차량 의 대쉬보드 위에 부착되거나 차량의 전면 유리에 장착되어 사용되고, 별도의 전원이 필요하기 때문에 차량의 전원을 인출하여 사용하거나 배터리를 사용하게 된다.
또한, 음성안내시 성능이 약한 단말기의 스피커를 통하여 안내되기 때문에, 창문을 열고 운전을 하거나 음악을 듣고 운전을 할 때 그 내용을 쉽게 들을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한편, 핸즈프리 기능은 별도의 유닛을 이용하면서 차량 스피커를 통하여 듣도록 되어 있어 상기한 바와 같은 스피커의 성능으로 인한 문제는 없지만, 마이크 배선을 머리 위쪽으로 배선하여야 하는 등의 불편함이 있고, 밤과 낮을 구분하여 전조등을 자동적으로 제어하게 하는 조도센서의 경우에는 차량의 유리 전면을 향하도록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야간에 전방의 강한 빛이나 가로등의 조명 등으로 인하여 전조등의 ON/OFF에 대한 판단오류를 일으킬 수 있다.
또한, 운전 중에 차량의 전면 유리 등에 김서림이 발생되면, 운전자의 경험칙에 따라 차량의 공조장치를 적절하게 작동시켜 김서림을 제거하고 있다. 따라서 경험이 적은 초보운전자의 경우 김서림이 발생하면 어떻게 하여야 하는지 당황하게 되고, 운전도 익숙하지 않는 상태에서 역시 익숙하지 않은 공조장치를 조작하다 보면 사고가 나는 등의 문제가 있을 수 있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이러한 자동차의 편의장치는 부분적으로 또는 개별적으로 설치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여러 가지 장비를 설치함으로 인하여 운전자의 시야를 방해하거나, 안전문제가 있고, 차량 미관이 저해되며, 부품의 중복사용으로 인하여 원가가 상승되고 제품구현이 불리하다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핸즈프리의 경우에 있어서는 오디오 내장형으로 일체화 하거나 별도의 핸즈프리 유닛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는데, 이러한 형태의 종래의 핸즈프리 유닛은 마이크와 블루투스 모듈을 와이어로 연결하다 보면, 그 거리가 길게 배선됨으로 인하여 핸드폰 수신 상태가 좋지 않게 되어 노이즈 발생 또는 외부 잡음발생 및 와이어 자체에 바이브레이션이 일어나 음질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차량의 운전 중에 외부에서 전화가 걸려오는 경우에 핸드폰이 운전자의 주머니 또는 가방 안에 있을 때, 운전 중 전화를 받기위해 호주머니 또는 가방 등에서 핸드폰을 꺼내는 동작을 취하게 되면 큰 위험에 처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여, 여러 가지 편의장치를 룸미러에 설치하여 하나로 통합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하면서도, 운전자의 시야를 방해하지 않고, 차량의 미관도 좋게 하면서,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복합기능을 갖춘 자동차용 룸미러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룸미러 장치는, 고속도로 톨게이트 자동요금 결재 시스템의 차량단말기인 OBU와, 차량 앞유리의 김서림 발생이 예상되면 음성안내로 공조장치의 가동방법을 알려주는 김서림 알림센서, 차량후방에서 강한 빛이 입사 되었을 때 운전자의 눈부심을 방지해주는 ECM 미러, 차량의 조명 및 전조등을 주위 밝기에 따라 자동으로 ON /OFF할수 있는 조도센서, 핸즈프 리 기능을 하는 블루투스모듈 등이 차량의 룸미러 유닛에 일체화되어 이루어진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복합형 자동차용 룸미러 장치는 하나의 메인 컨트롤 유닛을 이용하여 여러 가지 자동차의 편의장치를 룸미러에 집속 설치할 수가 있어 원가를 절감할 수 있음은 물론, 차량의 여러 위치에 설치되는 모듈과 센서를 룸미러에 통합 설치함으로써, 차량의 미관을 좋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의 편의장치를 하나의 미러에 설치하면서도 운전자의 전면 시야를 확보하여 안전운전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편의장치를 효과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등의 이점을 얻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면 1은 본 발명에 따라 복합 기능 모듈이 구비된 자동차용 룸미러의 정면도이고, 도면 2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 기능 모듈이 구비된 자동차용 룸미러의 개략적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면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룸미러의 복합 기능 모듈에 대한 구성블럭도로서,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룸미러 장치는, 자동차의 전면 유리(1) 상단에 장착되는 미러 유닛(3)에 고속도로 톨게이트 자동요금 결재 시스템의 차량단말기인 OBU(5)와, 차량 앞유리의 김서림을 감지하는 김서림 감지센서(7), 차량후방에서 강한 빛이 입사 되었을 때 운전자의 눈부심을 방지해주는 ECM 미러(9), 차량의 조명 및 전조등을 주위 밝기에 따라 자 동으로 ON /OFF할 수 있는 조도센서(11), 핸즈프리 기능을 하는 블루투스모듈(13) 및, 차량의 제어상태를 알려주는 액정표시장치(15)가 일체로 설치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자동요금 결재 시스템의 차량단말기인 OBU(5)는 도면에 도시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안테나(5a)와 RF모듈(5b) 및 스마트카드(5c)로 이루어지고, 상기 안테나(5a)는 미러 유닛(3)에서 전면의 차량유리(1)쪽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차량유리(1)를 통하여 원활한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상기 안테나(5a)에서 접수된 신호는 RF모듈(5b)에서 그 데이터가 복조되어 중앙제어처리기(17)로 전달되고, 상기 중앙제어처리기(17)에서 처리된 신호에 따라 상기 스마트카드(5c)에서 비용이 결제되어지게 된다.
지불된 통행료는 액정표시장치(15)를 통하여 표시됨과 더불어, 상기 중앙제어처리기(17)에 연결된 메모리(19)의 안내음성이 AUDIO CADEC(21)을 통하여 디코딩된 다음, 증폭기(23)에서 증폭되어 차량용 스피커(도시 안 됨)를 통하여 출력되면서, 요금지불내역과 잔액을 음성 안내한다.
또한, 상기 안테나(5a)는 미러 유닛(3)에 설치될 때, 절대 기준면에 대하여 수직 또는 수평상태로 설치되는 것이 아니고, 도면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신을 좋게 하기 위해 5 ~ 25도의 각도를 유지하게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조도센서(11)는 전면유리(1)쪽에 설치되는 전방조도센서(11a)와 ECM 미러(9)에 설치되어 후방의 빛을 감지하는 후방조도센서(11b)로 이루어지며, 상기 후방조도센서(11b)는 야간에 후방의 차량에서 강한 전조등이 비추 어지면, 이를 감지하여 중앙제어처리기(17)로 보내고, 상기 중앙제어처리기(17)는 ECM 미러(9)를 전자 감광시켜 반사율이 낮아지게 함으로써 운전자의 눈부심을 방지하게 한다.
여기서 ECM 미러(9)의 전자 감광에 의한 반사율의 제어 작동 및 그 원리 등은 이미 공지된 기술에 불과한 것이므로, 본 발명에서 이를 자세하게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그리고, 전면 유리(1)에 김서림이 발생하거나 발생할 것이 예상되면, 상기 김서림 감지센서(7)가 이를 감지하여 메모리(19)에 미리 녹음 저장되어 있는 음성안내, 예컨대 약한 김서림이 예상될 때는 “외부 바람을 선택해 주세요”또는 “공조장치의 온도를 20도로 설정한 후 에어컨을 가동하세요” 등과 같은 멘트를 음성안내로 알려 줌으로써, 초보운전자가 당황하지 않고 김서림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미러 장치는 연료낭비를 위해 김서림 발생요인이 제거되면 역시 김서림 감지센서(7)가 이를 감지하여 중앙제어처리기(17) 및 메모리(19)의 작동에 의해 김서림 방지작동에 따른 조치를 음성으로 안내하게 한다.
상기 전방조도센서(11a)는 차량의 조명 및 전조등을 자동으로 on/off 하기 위한 것으로서, 야간 또는 터널을 통과할 때 차량 주위의 밝기를 판단하여 일정 이하의 조도가 되면 상기 중앙처리제어기(17)에 그에 부합하는 신호를 인가하여 차량의 실내조명, 전조등 및 차폭등 등을 자동으로 on/off 하게 해 준다.
한편, 상기 차량의 전방에 강한 빛이나 가로등, 터널 등을 통과할 때는 전등 빛에 의해 밝기의 판단에 대해 오류를 일으킬 우려가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서는 미러 유닛(3)의 후방에 배치된 후방조도센서(11b)와 미러 유닛(3)의 전방에 배치된 전방조도센서(11a)가 미러 유닛(3)의 전후면에서 비추어지는 빛을 비교 판단하여 적절한 알고리즘으로 판단의 오류를 최소화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미러 유닛(3)에서는 마이크(25)를 내장함과 더불어 마이크와 핸즈프리 기능을 수행하는 블루투스 모듈(13)을 내장함으로써 마이크(25)와 블루투스 모듈(13)의 거리를 최소화함으로써 음질 저하를 막을 수 있다.
만약 운전자의 핸드폰이 블루투스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라면, 핸드폰에 저장되어 있는 mP3음악을 블루투스모듈(13)과 MUX(27) 및 증폭기(23)를 통하여 증폭시켜서, 무선으로 차량의 스피커를 통하여 들을 수 있게 할 수가 있고, 상기 미러 유닛(3)에 마이크(25)와 안테나(25a)를 장착하여 별도의 배선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전화통화를 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블루투스 기능이 있는 휴대폰을 사용하면 고속도로 톨게이트 자동요금 결제시스템에서 무선모뎀 접속을 통하여 자동으로 요금이 충전되어지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증폭기(23)는 차량의 오디오 전원 스위치가 오프 되어 있는 상태에서도 항상 배터리의 전원이 직접 연결되어 정상적으로 작동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도면 3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미러 유닛(3)에 블루투스모듈(13)을 on/off시키는 스위치(29)를 설치하여 운전자의 핸드폰이 호주머니나 가방 안에 있을 때, 핸드폰을 꺼내지 않고 상기 스위치(29)를 온오프 시킴으로써 간단하게 전화를 받을 수 있어 사고의 위험을 예방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서는 상기 미러 유닛(3)에 블루투스용 마이크(25)가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톨게이트 자동요금 결재 시스템의 차량단말기인 OBU(5)의 스마트카드를 삽입하기 위한 카드 삽입홈(31)이 형성되어 있고, 미러 유닛(3)의 하단에 톨게이트를 통과하면서 지불한 요금과 남은 요금을 표시해 주는 액정표시장치(15)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으며, 미러 유닛(3)의 전원이 on/off된 상태를 표시해 주는 전원 LED(33)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카드 삽입홈(31)에 스마트카드를 삽입하지 않은 상태이거나 요금 지불에 있어 문제가 예상되면 차량스피커를 통하여 그 내용을 운전자에게 음성으로 미리 알려 주게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도면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의 중앙제어처리기(17)를 사용함으로써 구성을 간소화 할 수가 있고, 각각의 장치에 필요한 PCB는 개별적으로 만들어 내장설치하면 된다.
기타, 본 발명에 따른 미러 유닛(3)에는 핸드폰에 사용하는 소형카메라를 부가 설치하고, 영상 메모리 기능을 부가 설치하여 사고 또는 기타 필요한 경우에 자동 또는 수동으로 차량의 전방에 대한 영상을 찍어 저장하게 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조와 기능을 갖춘 본 발명의 미러 유닛(3)은 도면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동차의 전면 유리(1) 상단에 미러 지지대(35)를 통하여 장착되고, 상기 미러 지지대(33)에 관통 설치된 배선와이어(37)를 통하여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하게 되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룸미러 장치는 하나의 미러 유닛(3)에 고속도로 톨게이트 자동요금 결재 시스템의 차량단말기인 OBU(5)와, 차량 앞유리의 김서림을 감지하는 김서림 감지센서(7), 차량후방에서 강한 빛이 입사 되었을 때 운전자의 눈부심을 방지해주는 ECM 미러(9), 차량의 조명 및 전조등을 주위 밝기에 따라 자동으로 ON /OFF할 수 있는 조도센서(11), 핸즈프리 기능을 하는 블루투스모듈(13) 및, 차량의 제어상태를 알려 주는 액정표시장치(15)가 일체로 설치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차량의 운행에 필요한 여러 가지 편의장치를 간단하게 차량에 내장 설치할 수가 있으며, 운전석의 전면 유리 상단에 여러 가지 편의장치를 설치하면서도 운전자의 시야를 방해하지 않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나의 중앙제어처리기(17)를 사용함으로써 구성을 간단히 할 수 있으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등의 여러 가지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삭제
  2. 자동차의 전면 유리(1) 상단에 장착되는 미러 유닛(3)에 고속도로 톨게이트 자동요금 결재 시스템의 차량단말기인 OBU(5)와, 차량 앞유리의 김서림을 감지하는 김서림 감지센서(7), 차량후방에서 강한 빛이 입사 되었을 때 운전자의 눈부심을 방지해주는 ECM 미러(9), 차량의 조명 및 전조등을 주위 밝기에 따라 자동으로 ON /OFF할 수 있는 조도센서(11), 핸즈프리 기능을 하는 블루투스모듈(13) 및, 차량의 제어상태를 알려 주는 액정표시장치(15)가 일체로 설치되며, 상기 조도센서(11)가 차량의 앞쪽 조도를 감지하는 전방조도센서(11a)와 차량의 후방 조도를 감지하는 후방조도센서(11b)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후방 조도센서(11a,11b)의 조도가 동시 비교되어 외부 차량의 전조등 및 가로등의 영향을 최소화하게 작동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룸미러 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070044010A 2007-05-07 2007-05-07 복합기능모듈이 구비된 자동차용 룸미러 장치 KR1008131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4010A KR100813183B1 (ko) 2007-05-07 2007-05-07 복합기능모듈이 구비된 자동차용 룸미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4010A KR100813183B1 (ko) 2007-05-07 2007-05-07 복합기능모듈이 구비된 자동차용 룸미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13183B1 true KR100813183B1 (ko) 2008-03-17

Family

ID=39410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4010A KR100813183B1 (ko) 2007-05-07 2007-05-07 복합기능모듈이 구비된 자동차용 룸미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3183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7333B1 (ko) * 2008-07-21 2009-09-16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용 룸미러 일체형 하이패스 모듈.
CN105329175A (zh) * 2015-11-26 2016-02-17 重庆奥科伦实业发展有限公司 设于汽车内部的多功能外部信息观察装置
CN105383391A (zh) * 2015-11-26 2016-03-09 重庆奥科伦实业发展有限公司 设于汽车内的用于观察汽车外部信息的内后视镜
CN106103193A (zh) * 2014-03-19 2016-11-09 比科电子株式会社 雨量传感器及高通终端机一体型封盖
RU2677247C1 (ru) * 2017-09-05 2019-01-16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Брян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аграр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Установка для определения запотевания стекол защитных очков
KR20210094875A (ko) * 2020-01-22 2021-07-30 주식회사 원진일렉트로닉스 무선 디포깅 센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3424U (ko) * 1996-10-31 1998-07-25 양재신 차량의 아웃 사이드 미러 과다 눈부심 방지장치
KR20020008630A (ko) * 2000-07-24 2002-01-31 이형도 온 보드 유니트의 결합장치
KR20030017849A (ko) * 2001-08-23 2003-03-04 한라공조주식회사 차량의 김서림 발생점 검출방법
KR200419398Y1 (ko) 2005-10-07 2006-06-20 신 에트케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다용도 차량 내부 백미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3424U (ko) * 1996-10-31 1998-07-25 양재신 차량의 아웃 사이드 미러 과다 눈부심 방지장치
KR20020008630A (ko) * 2000-07-24 2002-01-31 이형도 온 보드 유니트의 결합장치
KR20030017849A (ko) * 2001-08-23 2003-03-04 한라공조주식회사 차량의 김서림 발생점 검출방법
KR200419398Y1 (ko) 2005-10-07 2006-06-20 신 에트케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다용도 차량 내부 백미러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7333B1 (ko) * 2008-07-21 2009-09-16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용 룸미러 일체형 하이패스 모듈.
CN106103193A (zh) * 2014-03-19 2016-11-09 比科电子株式会社 雨量传感器及高通终端机一体型封盖
CN105329175A (zh) * 2015-11-26 2016-02-17 重庆奥科伦实业发展有限公司 设于汽车内部的多功能外部信息观察装置
CN105383391A (zh) * 2015-11-26 2016-03-09 重庆奥科伦实业发展有限公司 设于汽车内的用于观察汽车外部信息的内后视镜
RU2677247C1 (ru) * 2017-09-05 2019-01-16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Брян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аграр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Установка для определения запотевания стекол защитных очков
KR20210094875A (ko) * 2020-01-22 2021-07-30 주식회사 원진일렉트로닉스 무선 디포깅 센서
KR102360627B1 (ko) * 2020-01-22 2022-02-09 주식회사 원진일렉트로닉스 무선 디포깅 센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3183B1 (ko) 복합기능모듈이 구비된 자동차용 룸미러 장치
US9446715B2 (en) Vision system for a vehicle
US6520667B1 (en) Vehicle interior rearview mirror assembly with display
US20010013825A1 (en) Interior rearview mirror system incorporating a light-emitting information display
KR101772444B1 (ko) 차량용 프로젝션형 가상 안전 삼각대 표시장치
KR101725549B1 (ko) 실내등 조작 장치 및 그 방법
KR20160041519A (ko) 차량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160091293A (ko) 차량용 사이드 미러 카메라 시스템
JP2010519099A (ja) 照明装置
KR20130136057A (ko) 차량 운행안내장치 및 방법
WO2008062403A1 (en) Method and system for reducing distraction during driving
KR101394727B1 (ko) 자동차용 워닝 시스템
CN107941223A (zh) 具有合理使用远光灯提醒功能的导航仪
JP2008168705A (ja) 車両用ミラー装置
KR20080014372A (ko) 안전삼각대와 차량 비씨엠과의 통신시스템 및 방법
FR2839932B1 (fr) Dispositif de securite anti-eblouissement pour projecteur de vehicule automobile
KR100410936B1 (ko) 차량용 오토 라이트 시스템
JP5354210B2 (ja) 車載用電子機器
KR101616110B1 (ko) 차량의 클러스터 제어 장치 및 방법
CN111516588A (zh) 警车的速度相关暗模式
CN202508009U (zh) 汽车用运营状态提示装置
CN108454507A (zh) 车载后向远光和行驶安全提示仪
JP3099419U (ja) 車載用照明装置
KR101805376B1 (ko) 사운드 제어장치, 차량 및 그 제어방법
JP2007203945A (ja) Etc表示灯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