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0627B1 - 무선 디포깅 센서 - Google Patents

무선 디포깅 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0627B1
KR102360627B1 KR1020200008660A KR20200008660A KR102360627B1 KR 102360627 B1 KR102360627 B1 KR 102360627B1 KR 1020200008660 A KR1020200008660 A KR 1020200008660A KR 20200008660 A KR20200008660 A KR 20200008660A KR 102360627 B1 KR102360627 B1 KR 1023606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lower case
coupled
sensor
wire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86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94875A (ko
Inventor
김권일
최준호
오상호
임채근
허진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원진일렉트로닉스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원진일렉트로닉스,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원진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2000086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0627B1/ko
Publication of KR202100948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48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06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06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00Details of thermomet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thermometer
    • G01K1/14Supports; Fastening devices; Arrangements for mounting thermometers in particular lo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60H1/00792Arrangement of detec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00Details of thermomet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thermometer
    • G01K1/08Protective devices, e.g. casing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3/00Thermomet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전면 유리 온도와 차량의 실내 온도 및 실내 습도를 측정하는 무선 디포깅 센서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 차량의 전면 유리 상단에 노출 설치된 전원 공급 케이블 및 전원 공급 케이블을 마감하는 외장제 케이블을 제거하여 설계 디자인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무선 디포깅 센서는 내장형 배터리를 이용함에 따라 센서의 위치 변경이 자유롭고, 센서 성능을 최적화할 수 있는 자동차용 무선 자동 디포깅 센서다.

Description

무선 디포깅 센서{WIRELESS DEFOGGING SENSOR}
본 발명은 무선 디포깅 센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차량의 전면 유리 온도 및 차량의 실내 온도를 측정하는 센서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무선 디포깅 센서에 관한 것이다.
차량 공조기는 차량의 내부에서 측정된 온도 및 습도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바탕으로 이슬점 온도를 결정하고, 결정된 이슬점과 기 설정된 기준 비교값과 비교하여 차량의 앞유리에 김서림이 생기지 않도록 에어컨디셔닝을 수행함으로써, 차량 내부가 디포깅 상태가 되도록 유지하고, 이에 따른 차량의 실내 환경이 지속적으로 쾌적할 수 있도록 유지시킨다. 이를 위해, 차량 공조기는 실내 온도를 측정하는 디포깅 센서를 이용한다.
디포깅 센서는 차량의 실내에 설치되며, 차량의 앞유리의 안쪽 부분의 온도 및 차량의 앞유리와 인접한 실내의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이다. 그리고, 디포깅 센서는, 차량의 앞유리에 생기는 김서림을 제거하기 위해, 차량의 실내에서 측정된 온도 및 습도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차량 공조기로 전송하고, 차량 공조기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차량 내 공기의 신선도, 온도, 습도 등의 흐름을 제어한다.
디포깅 센서는 차량의 움직임에 따라 외부 충격이 가해질 수 있음에 따라 외부 충격으로부터 센서를 보호하기 위한 별도의 케이스를 덮어씌워진다. 디포깅 센서는 끼움 방식 또는, 결합 방식으로 결합 가능한 상부 및 하부로 구분된 케이스의 내부에 삽입되어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의 차량용 디포깅 센서 및 케이스의 결합 구조는 차량 앞유리의 경사진 구조에 의한 육안으로 상태를 확인하기 어렵고, 케이스의 결합 구조에 의한 디포깅 센서의 신호선 등의 케이블 선 정리 및 상부 케이스/하부 케이스 간 결합 상태가 해체될 가능성 등의 문제점을 갖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면서, 차량의 전면 유리 온도 및 차량의 실내 온도를 측정하는 센서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디포깅 센서를 제안한다.
본 발명은 전원 케이블이 없는 타입으로 무선 디포깅 센서의 전원을 내장형 배터리로 적용함으로써, 차량의 전면 유리창 또는, 차량의 후면 유리창에 자유롭게 장착이 가능한 무선 디포깅 센서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저전력 블루투스(BLE: Bluetooth Low Energy) 기반의 무선 통신을 이용함으로써, 무선 디포깅 센서의 전원 및 입출력 시그널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의 제거가 가능한 무선 디포깅 센서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끼움 결합을 통해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를 결합시켜, 무선 디포깅 센서를 보호함으로써, 단품 케이스로의 마감 처리가 가능한 무선 디포깅 센서를 제공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디포깅 센서는, 인쇄 기판, 인쇄 기판의 하부면에 결합되는 연성 기판,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배터리, 인쇄 기판의 상부면에 배터리를 보호하기 위해 결합된 배터리 홀더, 공기 중의 불순물 및 수분을 차단하기 위한 필터, 필터를 밀봉하기 위한 실리콘, 연성 기판이 삽입되는 수용 공간을 포함하는 하부 케이스, 및 배터리 홀더가 삽입되는 수용 공간을 포함하는 상부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인쇄 기판은, 제1 관통부, 제2 관통부 및 제3 관통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관통부는, 상기 하부 케이스에 형성된 융착부와 결합되기 위해 형성된 구멍이고, 상기 제2 관통부는, 상기 연성 기판과 결합되기 위해 형성된 구멍이고, 상기 제3 관통부는, 상기 하부 케이스에 형성된 고정축과 결합되기 위해 형성된 구멍일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연성 기판은, 차량의 내부 유리창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해 일측면에 장착된 온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하부 케이스는, 인쇄 기판의 상단부와 결합하기 위해 하부 케이스의 상단부 내측으로 형성된 고정축을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하부 케이스는, 상부 케이스의 하단부와 결합되기 위해 하부 케이스의 하단부 내측으로 형성된 걸림공을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하부 케이스는, 상부 케이스의 상단부와 끼움 결합되기 위해 하부 케이스의 상단부에 형성된 제4 관통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부 케이스는, 하부 케이스의 하단부와 끼움 결합되기 위해 상부 케이스의 하단부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걸림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부 케이스는, 하부 케이스의 상단부와 케이스 간에 결합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상부 케이스의 상단부 외측으로 형성된 탄성 걸림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부 케이스는, 필터 및 실리콘을 배치하기 위해, 상부 케이스의 내부 하단측에 일정 높이의 제1 칸막이 및 제2 칸막이를 형성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제1 칸막이 및 제2 칸막이는, 필터의 외형에 기초한 서로 다른 크기의 동일한 모양으로 형성되며, 제1 칸막이의 크기는, 제2 칸막이의 크기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무선 디포깅 센서는 전원 케이블이 없는 타입으로 무선 디포깅 센서의 전원을 내장형 배터리로 적용함으로써, 차량의 전면 유리창 또는, 차량의 후면 유리창에 자유롭게 장착이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무선 디포깅 센서는 저전력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 통신을 이용함으로써, 무선 디포깅 센서의 전원 및 입출력 시그널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의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무선 디포깅 센서는 끼움 결합을 통해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를 결합시켜 외부 충격으로부터 무선 디포깅 센서를 보호함으로써, 단품 케이스로의 마감 처리가 가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디포깅 센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디포깅 센서를 구성하는 각 부품을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디포깅 센서의 구조에 따른 각 부품의 연관 관계를 도시한 조립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디포깅 센서의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디포깅 센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무선 디포깅 센서(100)는 차량의 내부 유리창에 부착되어, 내부 유리창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무선 디포깅 센서(100)는 외부에 덮어씌워 보호하는 단품 형태의 상부 케이스 및 하부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디포깅 센서(100)는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가 결합함으로써, 내부에 형성된 공간에 배치되어, 외부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될 수 있다.
상부 케이스 및 하부 케이스는 걸림 돌기와 걸림공 및, 탄력 걸림 돌기와 제4 관통부를 끼움 결합 구조에 따른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자세하게, 끼움 결합 구조는 상부 케이스의 하단부에 형성된 걸림 돌기와 하부 케이스의 하단부에 형성된 걸림공이 1차적으로 끼움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후, 끼움 결합 구조는 상부 케이스의 상단부에 탄력 걸림 돌기와 하부 케이스의 상단부 제4 관통부가 2차적으로 끼움 결합이 이루짐에 따라 무선 디포깅 센서(100)의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를 결합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이때, 무선 디포깅 센서(100)는 무선 디포깅 센서의 전원을 내장형 배터리로 적용할 수 있다. 내장형 배터리는 원통형, 코인형, 단추형 등으로 무선 디포깅 센서(100)로의 저전력 공급이 가능한 배터리로, 무선 디포깅 센서(101)의 내부에 탈부착이 가능할 수 있다. 이는 기존에 차량 내부에 노출 설치되었던 전원 케이블을 제거하며, 차량 내부의 장착 위치에 대한 확장성을 높이기 위함일 수 있다. 또한, 내장형 배터리는 배터리 홀더의 내부에 슬라이드 형태로 쉽게 탈부착되는 구조로 구현됨에 따라 배터리의 교체가 용이할 수 있다.
자세하게, 무선 디포깅 센서(100)는 차량 내부의 에어컨디셔닝을 수행하기 위해 공조 시스템(HVAC: heating, ventilation, & air conditioning)과 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무선 디포깅 센서(100)는 내부 유리창과 공조 시스템을 연결되도록 차량의 내부에 노출되어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무선 디포깅 센서(100)는 전원 케이블의 노출 여부를 고려하여 무선 디포깅 센서의 전원을 내장형 배터리로 적용함으로써, 기존에 차량 내부에 설치되었던 전원 케이블이 제거될 수 있다. 일례로, 무선 디포깅 센서(100)는 내장형 배터리를 이용하는 전원 케이블이 없는 타입으로 구현됨에 따라, 차량의 내부 유리창에서 공조 시스템까지의 전원 케이블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무선 디포깅 센서(100)는 내장형 배터리를 적용함으로써, 차량의 전면 유리창 또는, 차량의 후면 유리창 등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자유롭게 장착이 가능해질 수 있다. 다시 말해, 무선 디포깅 센서(100)는 차량의 전면 유리창 또는, 차량의 후면 유리창에 자유롭게 장착이 가능함에 따라. 보다 확장된 형태로 사용이 가능해질 수 있다. 무선 디포깅 센서(100)는 저전력 블루투스(BLE: Bluetooth Low Energy) 기반의 무선 통신을 이용함으로써, 공조 시스템과의 보다 원활한 통신을 수행하며, 무선 디포깅 센서의 전원 및 입출력 시그널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의 제거가 가능할 수 있다.
이에, 무선 디포깅 센서(100)는 저전력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차량의 내부 유리창에서 감지된 온도 데이터 및 습도 데이터를 공조 시스템으로 전달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디포깅 센서를 구성하는 각 부품을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무선 디포깅 센서의 결합 구조는 하부 케이스(206)와 상부 케이스(212)가 단품 형태로 무선 디포깅 센서의 외부를 덮어씌우는 구조이다.
인쇄 기판(201)은 인쇄 회로 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으로, 온도 센서가 장착된 연성 기판(204) 및 내장형 배터리(209)를 배치시키기 위한 베이스 기판일 수 있다. 인쇄 기판(201)은 인쇄 기판(201)의 상부면에 배터리(209)를 보호하기 위해 결합된 배터리 홀더(210)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 홀더(210)는 배터리 홀더(210)의 내부로 삽입되는 배터리(209)를 밀착 배치되도록 하는 돌기부(219)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209)는 배터리 홀더(210)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으며, 돌기부(219)에 의해 배터리(209)의 배면이 인쇄 기판(201)에 밀착 배치될 수 있다.
인쇄 기판(201)은 사용자 편의를 고려하여 상단부 중앙 내부 방향으로 라운드 형태의 홈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배터리(209)를 삽입하거나 또는, 제거하기 용이하도록 형성한 디자인 패턴일 수 있다.
인쇄 기판(201)은 제1 관통부(202), 제2 관통부(203) 및 제3 관통부(218)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 제1 관통부(202)는 인쇄 기판(201)의 하단부 모서리 영역에 형성되어, 하부 케이스(206)에 형성된 융착부(205)와 결합되기 위해 형성된 구멍일 수 있다.
제2 관통부(203)은 인쇄 기판(201)의 하단부 중앙에 형성되어, 인쇄 기판(201)의 하부면에 결합되는 연성 기판(204)과 결합되기 위해 형성된 구멍일 수 있다.
제3 관통부(218)는 인쇄 기판(201)의 상단부 가장자리 영역에 형성되어, 하부 케이스에 형성된 고정축과 결합되기 위해 형성된 구멍일 수 있다.
연성 기판(204)은 차량의 내부 유리창에 온도를 측정하기 위해 일측면에 장착된 온도 센서를 포함하며 인쇄 기판의 하부면에 결합할 수 있다. 여기서, 연성 기판(204)은 플렉시블한 고무, 또는 스펀지로 구성될 수 있다.
하부 케이스(206)는 인쇄 기판(201)의 상단부와 결합하기 위해 하부 케이스(206)의 상단부 내측으로 형성된 고정축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 케이스(206)는 상부 케이스(212)의 하단부와 결합되기 위해 하부 케이스(206)의 하단부 내측으로 형성된 걸림공(217)을 포함할 수 있다. 걸림공(217)은 상부 케이스(212)에 형성된 걸림 돌기(214)가 끼워지면서 걸림 돌기(214)가 하부 케이스(206)의 내부에서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된 구조일 수 있다.
하부 케이스(206)는 상부 케이스(212)의 상단부와 탄력적 끼움 결합되기 위해 하부 케이스(206)의 상단부에 형성된 제4 관통부(207)를 포함할 수 있다. 제4 관통부(207)는 하부 케이스(206)의 상단부에 외부 방향으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하부 케이스(206)는 하부 케이스(206)의 하단부로 연성 기판(204)이 삽입되는 수용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 케이스(206)는 하부 케이스(206)의 중앙에 내부가 비어져 있는 공간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 케이스(206)는 배터리(209)가 배치되는 영역에 대응하여 경사진 구조를 갖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해당 공간은 사용자가 배터리(209)를 삽입하거나 또는, 제거하기 용이하도록 형성한 공간일 수 있다.
상부 케이스(212)는 배터리 홀더(210)가 삽입되는 수용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케이스(212)는 하부 케이스(206)의 하단부와 끼움 결합되기 위해 상부 케이스(212)의 하단부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걸림 돌기(214)를 포함할 수 있다. 걸림 돌기(214)는 끼움 결합 시, 하부 케이스(206)의 하단부에 형성된 걸림공(217)에 끼워지면서, 걸림공(217)의 내부로 삽입되고, 삽입됨에 따라 체결 완료될 수 있다.
상부 케이스(212)는, 하부 케이스(206)의 상단부와 상부 케이스(212) 간에 결합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상부 케이스(212)의 상단부 외측으로 형성된 탄성 걸림 돌기(213)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 걸림 돌기(213)는 하부 케이스(206)의 상단부에 형성된 제4 관통부(207)에 탄력적 끼임 결합될 수 있다.
탄력적 끼임 결합은 탄성 걸림 돌기(213)가 제4 관통부(207)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탄성 걸림 돌기(213)가 외부의 힘에 의해 형태가 변형되고, 탄성 걸림 돌기(213)가 제4 관통부(207)에 삽입 완료된 상태에서 탄성 걸림 돌기(213)가 본래의 형태로 돌아가려는 힘에 의한 결합을 의미할 수 있다. 이에, 탄성 걸림 돌기(213)는 탄력적 끼임 결합에 의해 보다 견고하게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c
상부 케이스(212)는 필터(211) 및 실리콘(208)을 배치될 수 있다. 상부 케이스(212)는 필터(211) 및 실리콘(208)을 배치하기 위해 상부 케이스(212)의 내부 하단측에 일정 높이의 제1 칸막이(215) 및 제2 칸막이(216)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칸막이(215) 및 제2 칸막이(216)는, 필터(211)의 외형에 기초한 서로 다른 크기의 동일한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칸막이(215)의 크기는, 제2 칸막이(216)의 크기보다 작은 것이 특징일 수 있다.
제1 칸막이(215)에 의해 형성된 내부 공간에는 필터(211)가 삽입될 수 있다. 자세하게, 필터(211)는 공기 중의 불순물 및 수분을 차단할 수 있다. 필터(211)는 제1 칸막이(215)에 의해 형성된 내부 공간에 배치되어, 상부 케이스(212) 내로 유입되는 공기 중의 수분 또는 불순물이나 외부에서 유입되는 수분 또는 불순물을 차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칸막이(215)와 제2 칸막이(216) 사이에 형성된 내부 공간에는 실리콘(208)가 삽입될 수 있다. 실리콘(208)은 필터를 밀봉하기 위한 것으로, O-Ring 일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디포깅 센서의 구조에 따른 각 부품의 연관 관계를 도시한 조립도이다.
도 3의 (a)를 살펴보면, 인쇄 기판은 무선 디포깅 센서를 생성하기 위한 베이스로, 인쇄 기판의 하부면에는 연성 기판이 결합되고, 인쇄 기판의 상부면에는 배터리 홀더가 결합되고, 배터리 홀더의 내부에는 배터리가 결합될 수 있다.
도 3의 (b)를 살펴보면, 하부 케이스와 상부 케이스는 끼움 결합되어, 무선 디포그 센서의 외부를 덮어씌워 결합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단품 형태의 케이스이다.
도 3의 (c)를 살펴보면, 인쇄 기판은 하부 케이스의 내부로 삽입되어 결합된 상태일 수 있다. 인쇄 기판은 인쇄 기판에 형성된 제1 관통부와 하부 케이스에 형성된 융착부가 결합됨에 따라, 인쇄 기판의 하단부와 하부 케이스의 하단부가 결합될 수 있다. 인쇄 기판은 인쇄 기판에 형성된 제3 관통부와 하부 케이스에 형성된 고정축이 결합됨에 따라 인쇄 기판의 상단부와 상부 케이스의 상단부가 결합될 수 있다.
도 3의 (d)를 살펴보면, 상부 케이스는 필터와 실리콘이 삽입될 수 있다.
도 3의 (e)를 살펴보면, 하부 케이스의 하단부와 상부 케이스의 하단부는 서로 결합된 상태일 수 있다. 하부 케이스의 하단부에 형성된 걸림공과 상부 케이스의 하단부에 형성된 걸림 돌기가 결합될 수 있다. 무선 디포깅 센서는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에 의해 외부가 덮어 씌워지고, 이에 따른 결합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디포깅 센서의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고하면, 무선 디포깅 센서의 시스템(400)은 코인 배터리(401), 마이크로 컨트롤러(402), 선형 레큘레이터(403), 온도 센서(404), 감지 센서(405), 컨트롤러(408)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코인 배터리(401)는 내부에 충전된 에너지를 외부로 출력할 수 있는 전기 화학 전지로, 마이크로 컨트롤러(402), 선형 레큘레이터(403) 및 감지 센서(405) 각각에 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마이크로 컨트롤러(402)는 코인 배터리(401)로부터 전달된 전력이 입력되면, 기 정해진 기능을 수행하도록 활성화될 수 있다. 마이크로 컨트롤러(402)는 감지 센서(405)로부터 감지된 제1 온도 데이터 및 습도 데이터를 입력받거나, 또는, 제1 온도 데이터 및 습도 데이터를 전달받기 위한 요청 데이터를 감지 센서(405)로 출력할 수 있다. 자세하게, 감지 센서(405)는 습도 센서(406) 및 온도 센서(407)를 포함할 수 있다. 온도 센서(407)는 차량의 앞유리창에 가장 가까운 실내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이고, 습도 센서(406)는 차량의 앞유리창에 가장 가까운 실내의 습도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일 수 있다. 여기서, 제1 온도 데이터는 온도 센서(407)로부터 감지된 실내의 온도일 수 있다.
마이크로 컨트롤러(402)는 선형 레큘레이터(403)로부터 감지된 제2 온도 데이터를 입력받을 수 있다. 선형 레큘레이터(403)는 온도 센서(404)와 연동하여 코인 배터리(401)로부터 전달된 전력을 기반으로 낮은 전위차에서도 일정한 전압을 유지하도록 온도 센서(404)로 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온도 센서(404)는 차량의 앞유리의 안쪽 부분의 온도를 측정하는 센서일 수 있다. 온도 센서(404)에서 측정된 온도는 제2 온도 데이터일 수 있다. 온도 센서(404)는 아날로그 형태의 제2 온도 데이터를 아날로그-디지털 변환(ADC: Analog Digital Converter)을 수행하여 디지털 형태의 제2 온도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온도 센서(404)는 디지털 형태로 변환된 제2 온도 데이터를 마이크로 컨트롤러(402)로 전달할 수 있다.
마이크로 컨트롤러(402)는 온도 센서(404) 및 감지 센서(405)로부터 각각 입력 받은 제1 온도 데이터, 제2 온도 데이터 및 습도 데이터를 컨트롤러(408)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컨트롤러(408)는 공조 시스템의 제어 유닛으로, 차량 내 공기의 신선도, 온도, 습도 등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마이크로 컨트롤러(402)와 컨트롤러(408)는 저전력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 통신을 이용할 수 있다. 일례로, 마이크로 컨트롤러(402)와 컨트롤러(408)는 2.4 Hz BLE Communication을 기반으로 차량의 앞유리에 생기는 김서림을 제거하기 위해, 온도 센서(404) 및 감지 센서(405)에서 감지된 제1 온도 데이터, 제2 온도 데이터 및 습도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다수의 특정한 구현물의 세부사항들을 포함하지만, 이들은 어떠한 발명이나 청구 가능한 것의 범위에 대해서도 제한적인 것으로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오히려 특정한 발명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특유할 수 있는 특징들에 대한 설명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개별적인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특정한 특징들은 단일 실시형태에서 조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반대로, 단일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기술한 다양한 특징들 역시 개별적으로 혹은 어떠한 적절한 하위 조합으로도 복수의 실시형태에서 구현 가능하다. 나아가, 특징들이 특정한 조합으로 동작하고 초기에 그와 같이 청구된 바와 같이 묘사될 수 있지만, 청구된 조합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은 일부 경우에 그 조합으로부터 배제될 수 있으며, 그 청구된 조합은 하위 조합이나 하위 조합의 변형물로 변경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특정한 순서로 도면에서 동작들을 묘사하고 있지만, 이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도시된 그 특정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대로 그러한 동작들을 수행하여야 한다거나 모든 도시된 동작들이 수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한 경우, 멀티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의 다양한 장치 컴포넌트의 분리는 그러한 분리를 모든 실시형태에서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설명한 프로그램 컴포넌트와 장치들은 일반적으로 단일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중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징 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201: 인쇄 기판 202: 제1 관통부
203: 제2 관통부 204: 연성 기판
205: 융착부 206: 하부 케이스
207: 제4 관통부 208: 실리콘
209: 배터리 210: 배터리 홀더
211: 필터 212: 상부 케이스
213: 탄성 걸림 돌기 214: 걸림돌기
215: 제1 칸막이 216: 제2 칸막이
217: 걸림공 218: 제3 관통부
219: 돌기부

Claims (10)

  1. 제1 관통부, 제2 관통부 및 제3 관통부를 포함하는 인쇄 기판(PCB)-상기 제1 관통부는, 하부 케이스에 형성된 융착부와 결합되기 위해 형성된 구멍이고, 상기 제2 관통부는, 연성 기판과 결합되기 위해 형성된 구멍이고, 상기 제3 관통부는, 상기 하부 케이스에 형성된 고정축과 결합되기 위해 형성된 구멍임-;
    상기 인쇄 기판의 하부면에 결합되며, 차량의 내부 유리창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해 일측면에 장착된 온도 센서를 포함하는 연성 기판(FPCB);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배터리;
    상기 인쇄 기판의 상부면에 배터리를 보호하기 위해 결합된 배터리 홀더;
    공기 중의 불순물 및 수분을 차단하기 위한 필터;
    상기 필터를 밀봉하기 위한 O-Ring 형태의 실리콘;
    상기 연성 기판이 삽입되는 수용 공간을 포함하는 하부 케이스; 및
    상기 배터리 홀더가 삽입되는 수용 공간을 포함하는 상부 케이스
    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케이스는,
    상기 하부 케이스의 하단부 내측으로 형성된 걸림공 및 상기 하부 케이스의 상단부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제4 관통부를 포함하고,
    상기 인쇄 기판의 상단부와 결합하기 위해 하부 케이스의 상단부 내측으로 형성된 고정축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 케이스는,
    상기 상부 케이스의 하단부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걸림 돌기 및 상기 상부 케이스의 상단부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탄성 걸림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 및 실리콘을 배치하기 위해, 상기 상부 케이스의 내부 하단측에 일정 높이의 제1 칸막이 및 제2 칸막이를 형성되며-제1 칸막이 및 제2 칸막이는, 상기 필터의 외형에 기초한 서로 다른 크기의 동일한 모양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칸막이의 크기는, 상기 제2 칸막이의 크기보다 작은 것임-,
    상기 상부 케이스의 걸림 돌기는,
    끼임 결합을 통해 하부 케이스의 걸림공 내부로 삽입되어, 체결이 완료되고,
    상기 상부 케이스의 탄성 걸림 돌기는,
    상기 상부 케이스의 상단부에 외측으로 형성되며, 상기 상부 케이스의 걸림 돌기와 하부 케이스의 걸림공 간에 체결이 완료된 이후, 탄력적 끼임 결합을 통해 제4 관통부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탄성 걸림 돌기가 외부의 힘에 의해 형태가 변형되면서 하부 케이스의 제4 관통부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 간 결합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탄력적 끼임 결합은,
    상기 상부 케이스의 탄성 걸림 돌기가 하부 케이스의 제4 관통부에 삽입 완료된 상태에서 탄성 걸림 돌기의 형태가 되돌아가려는 힘에 의한 결합이며,
    상기 하부 케이스의 제4 관통부는,
    상기 상부 케이스의 상단부와 탄력적 끼움 결합되기 위해 하부 케이스의 상단부에 형성되며, 상단부의 외부 방향으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는 무선 디포깅 센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200008660A 2020-01-22 2020-01-22 무선 디포깅 센서 KR1023606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8660A KR102360627B1 (ko) 2020-01-22 2020-01-22 무선 디포깅 센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8660A KR102360627B1 (ko) 2020-01-22 2020-01-22 무선 디포깅 센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4875A KR20210094875A (ko) 2021-07-30
KR102360627B1 true KR102360627B1 (ko) 2022-02-09

Family

ID=771484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8660A KR102360627B1 (ko) 2020-01-22 2020-01-22 무선 디포깅 센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062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3183B1 (ko) * 2007-05-07 2008-03-17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복합기능모듈이 구비된 자동차용 룸미러 장치
KR101499746B1 (ko) 2013-09-25 2015-03-18 암페놀센싱코리아 유한회사 디포그 센서 유닛
KR101717577B1 (ko) * 2015-08-10 2017-03-27 주식회사 원진일렉트로닉스 차량용 디포그 센싱장치
KR102024096B1 (ko) 2013-12-12 2019-09-23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60173A (ja) * 1994-11-30 1996-06-21 Yamatake Honeywell Co Ltd ケースのカバー取付構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3183B1 (ko) * 2007-05-07 2008-03-17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복합기능모듈이 구비된 자동차용 룸미러 장치
KR101499746B1 (ko) 2013-09-25 2015-03-18 암페놀센싱코리아 유한회사 디포그 센서 유닛
KR102024096B1 (ko) 2013-12-12 2019-09-23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KR101717577B1 (ko) * 2015-08-10 2017-03-27 주식회사 원진일렉트로닉스 차량용 디포그 센싱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4875A (ko) 2021-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18000B2 (en) Zero delay predictor signal synchronization system and method
JP6545963B2 (ja) 温度又は湿度センサーを有するシートアッセンブリ
EP1799475B1 (en) An environmental control system for a vehicle
KR102401949B1 (ko) 전자 디바이스용 안테나
US20150346766A1 (en) Battery compartments for wearable electronic device
US20210061054A1 (en) Air Conditioning Unit
EP3148409A1 (en) Wearable electronic device
CN109641667A (zh) 云台装置及无人机
KR102360627B1 (ko) 무선 디포깅 센서
KR20170002995A (ko) 차량용 온도 습도 검출장치
US8369067B2 (en) Electricity feeding control device
CN112304629A (zh) 可调节汽车关闭件关闭速度测试装置
US10461380B2 (en) Battery attachment apparatuses
KR101666467B1 (ko) 스마트 신발용 전원공급장치
EP2262063A3 (en) Thermoelectric connector
JP4512706B2 (ja) 通信機能付電力量計
KR101298231B1 (ko) 차량용 디포그센서 및 케이스의 결합구조
CN216960461U (zh) 外壳组件及具有其的储能设备
US11046146B2 (en) Control element
CN215452909U (zh) 车辆的后背门触控开关装置以及车辆
JP2000351312A (ja) 車両用温湿度検出装置
JP7198136B2 (ja) センサ装置
JP6801935B2 (ja) 通信機のガスメータへの取り付け方法
JPS5938673Y2 (ja) 空気調和機
JPH02292998A (ja) 電気機器の遠隔操作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