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0715B1 - 의료영상장비에 사용되는 크레이들 이송 장치 - Google Patents

의료영상장비에 사용되는 크레이들 이송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0715B1
KR100810715B1 KR1020060078065A KR20060078065A KR100810715B1 KR 100810715 B1 KR100810715 B1 KR 100810715B1 KR 1020060078065 A KR1020060078065 A KR 1020060078065A KR 20060078065 A KR20060078065 A KR 20060078065A KR 100810715 B1 KR100810715 B1 KR 1008107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adle
locking member
conveying
transfer
mri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80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16240A (ko
Inventor
조장희
이철옥
김영보
윤자원
안형진
김동성
심홍
Original Assignee
가천의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동보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천의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동보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가천의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600780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0715B1/ko
Priority to DE102007038613.5A priority patent/DE102007038613B4/de
Priority to US11/840,343 priority patent/US7874030B2/en
Priority to JP2007212621A priority patent/JP5096834B2/ja
Publication of KR200800162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62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07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07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diagnosis by means of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Measuring using microwaves or radio waves 
    • A61B5/05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diagnosis by means of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Measuring using microwaves or radio waves  involving electronic [EMR] or nuclear [NMR] magnetic resonance, e.g. magnetic resonance imag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e.g.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02Devices for diagnosis sequentially in different planes; Stereoscopic radiation diagnosis
    • A61B6/03Computerised tomograph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33Features or image-related aspects of imaging apparatus classified in A61B5/00, e.g. for MRI, optical tomography or impedance tomography apparatus; arrangements of imaging apparatus in a room
    • A61B5/0035Features or image-related aspects of imaging apparatus classified in A61B5/00, e.g. for MRI, optical tomography or impedance tomography apparatus; arrangements of imaging apparatus in a room adapted for acquisition of images from more than one imaging mode, e.g. combining MRI and optical tomograph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0Means for positioning the patient in relation to the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 A61B5/704Tab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e.g.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0Arrangements or instruments for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20Arrangements or instruments for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involving magnetic resonance
    • G01R33/28Details of apparatus provided for in groups G01R33/44 - G01R33/64
    • G01R33/30Sample handling arrangements, e.g. sample cells, spinning mechanisms
    • G01R33/307Sample handling arrangements, e.g. sample cells, spinning mechanisms specially adapted for moving the sample relative to the MR system, e.g. spinning mechanisms, flow cells or means for positioning the sample inside a spectromet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0Arrangements or instruments for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20Arrangements or instruments for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involving magnetic resonance
    • G01R33/44Arrangements or instruments for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involving magnetic resonance using nuclear magnetic resonance [NMR]
    • G01R33/48NMR imaging systems
    • G01R33/4808Multimodal MR, e.g. MR combined with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PET], MR combined with ultrasound or MR combined with computed tomography [CT]
    • G01R33/481MR combined with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PET] or single photon emission computed tomography [SPEC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5/00Beds
    • Y10S5/943Beds with horizontally movable top surface

Abstract

본 발명은 PET-MRI 퓨전영상시스템에서 피검자가 위치하는 크레이들을 MRI의 검사테이블로 이동시키고 회수하기 위한 크레이들 이송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크레이들 이송 장치는, 피검자가 누울 수 있도록 형성된 크레이들과, 크레이들을 지지하면서 MRI의 검사테이블로 크레이들을 이송하고 회수하기 위한 셔틀테이블과, 크레이들을 MRI의 검사테이블 상에 유지하도록 검사테이블에 제공된 크레이들 수용부재를 포함한다. 셔틀테이블은 셔틀테이블 내에 위치하고 크레이들을 걸어 크레이들을 이송시키는 이송부재와, 이송부재를 셔틀테이블을 따라서 왕복 이동시키기 위한 이송부재 구동수단을 구비한다. 크레이들 이송 장치는 크레이들을 검사테이블로 이송한 후 검사테이블에 고정하기 위한 크레이들 고정수단을 더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의 크레이들 이송 장치는 MRI의 검사테이블에 크레이들을 이동시키고 MRI 검사 종료 후 검사테이블로부터 크레이들을 용이하고 정확하게 회수한다.
Figure R1020060078065
PET, MRI, 퓨전영상, 크레이들, 셔틀테이블, 검사테이블

Description

의료영상장비에 사용되는 크레이들 이송 장치{Apparatus for transferring a cradle for use with a medical image equipment}
도 1은 PET-MRI 퓨전영상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이들 이송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셔틀테이블의 전방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셔틀테이블의 후방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이송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6은 이송부재의 구동수단을 나타낸 셔틀테이블의 부분 평면도이다.
도 7은 크레이들의 하방 사시도이다.
도 8은 크레이들의 후면도이다.
도 9는 크레이들 수용부재를 나타낸 MRI 검사테이블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크레이들 수용부재를 나타낸 MRI 검사테이블의 정면도이다.
도 11은 크레이들 고정수단의 일부를 나타낸 크레이들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12는 제1 로킹부재와 제2 전동부를 나타낸 크레이들 고정수단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은 제1 로킹부재의 구동수단과 제1 전동부를 나타낸 셔틀테이블의 부분 확대 평면도이다.
도 14는 크레이들이 MRI 검사테이블로 이송된 상태를 나타낸 크레이들 이송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15는 크레이들이 MRI 검사테이블에 고정된 후 셔틀테이블이 하강한 상태를 나타낸 크레이들 이송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PET-MRI 퓨전영상시스템 11 : PET
12 : MRI 12b : 검사테이블
100 : 크레이들 이송 장치 110 : 크레이들
111 : 크레이들플레이트 113 : 홀더 결합부
115 : 크레이들 롤러부 116 : 가이드롤러
120 : 셔틀테이블 121a, 121b : 이송프레임
131 : 이송부재 131e : 크레이들 홀더
132 : 모터부 133 : 타이밍벨트
141 : 지지부재 142 : 가이드바
151 : 제1 로킹부재 152 : 제2 로킹부재
153 : 인덕션모터 154, 155 : 전동부재
161 : 리미트스위치 162 : 스위치블록
본 발명은 의료영상장비에 사용되기 위한 크레이들 이송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PET-MRI 퓨전영상시스템에서 피검자가 위치하는 크레이들을 MRI의 검사테이블로 이동시키고 회수하기 위한 크레이들 이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의료영상장비중 뇌영상 획득을 위해 주로 사용되고 있는 장비에는 양전자방출단층촬영장치(PET)와 자기공명영상장치(MRI)가 있다. MRI는 의료영상장비 중 가장 높은 공간해상능력을 가지며, PET는 MRI로는 얻기 어려운 다양한 형태의 분자과학적인 영상을 얻을 수 있다. 최근들어, PET와 MRI를 통합하여 뇌에 대한 고해상도 해부학적 정보와 분자과학적 정보를 동시에 얻을 수 있는, “PET-MRI 퓨전영상시스템(PET-MRI Hybrid System)”이 개발되고 있다.
도 1은 PET-MRI 퓨전영상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PET-MRI 퓨전영상시스템(10)은 PET(11)에서 얻어진 정보와 MRI(12)에서 얻어진 정보를 통합하여 뇌에 대한 퓨전영상을 제공한다. PET-MRI 퓨전영상시스템(10)에는, 하나의 시스템 내에서 피검자에 대한 검사가 실행되도록, 크레이들(13)상에 피검자가 위치하고, 크레이들(13)을 지지하면서 PET(11)와 MRI(12) 사이를 왕복하도록 구성된 카트(14)가 제공된다. 카트(14)에 의해 피검자가 MRI(12)와 PET(11)에 차례로 위치되어, 각 장비에서 검사가 실행되고, 각 장비로부터 얻어진 정보로부터 뇌에 대한 퓨전영상이 얻어진다.
PET(11)로는 원형 PET가 채용될 수 있다. 이 경우, 크레이들(13)을 원형 PET(11) 부근으로 이동시키고 검사위치에 맞게 위치시킴으로써, PET(11)에서의 검사가 실행될 수 있다. MRI(12)는 대체로 자기장을 발생시켜 검사를 실행하는 원통 형의 자기장 튜브(12a)와, 자기장 튜브(12a) 내외로 이동하는 검사테이블(12b)을 가진다. MRI(12)에서의 검사는 자기장 튜브(12a) 내의 중앙에서 실행되므로, MRI(12)에서는 검사테이블(12b)이 자기장 튜브(12a) 내외로 이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PET와 MRI로 구성되는 PET-MRI 퓨전영상시스템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크레이들(13)을 MRI(12)의 검사테이블(12b)로 이송하고 MRI(12)측의 검사가 종료된 후 MRI(12)의 검사테이블(12b)로부터 크레이들(13)을 회수하기 위한 구성이 필요하다. 그리고, 이러한 크레이들(13)의 이송에 있어서, MRI(12)의 검사테이블(12b)의 자기장 튜브(12a) 내외로 이동되므로, 단순히 크레이들(13)을 검사테이블로(12b)로 이동시키는 구성으로는, MRI(12)에서 검사가 종료된 후 검사테이블(12b)로부터 크레이들(13)을 정확하게 회수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필요성을 충족하고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피검자가 위치하는 크레이들을 의료영상장비의 검사테이블로 이동시키고 회수하도록 구성된 크레이들 이송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피검자가 위치하는 크레이들을 의료영상장비의 검사테이블로 이송하고 크레이들을 검사테이블에 고정하도록 구성된 크레이들 이송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PET-MRI 퓨전영상시스템에서 피검자가 위치하는 크레이들을 MRI의 검사테이블로 이동시키고 회수하며 크레이들을 MRI의 검사테이블 에 고정하도록 구성된 크레이들 이송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 및 그 밖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면 상에 피검자가 위치하고, 하면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된 제1 안내부재를 가지는 크레이들과; 크레이들의 하면을 지지하는 이송프레임과, 이송프레임에 이송프레임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크레이들을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부재와, 이송부재가 이송프레임의 일단에 놓이는 제1 위치와 이송프레임의 타단에 놓이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이송부재를 왕복 이동시키기 위한 이송부재 구동수단을 구비하고, 의료영상장비의 테이블의 일단과 이송프레임의 일단이 대향하도록 위치하는 셔틀테이블과; 의료영상장비의 테이블 상에 위치하여 셔틀테이블로부터 이송되어 옮겨진 크레이들을 지지하고, 그 상면에 제1 안내부재가 접촉하기 위한 제2 안내부재가 길이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크레이들 수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영상장비에 사용되기 위한 크레이들 이송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양전자방출단층촬영장치(PET)와 자기공명영상장치(MRI)로 구성되는 PET-MRI 퓨전영상시스템에 사용되기 위한 크레이들 이송 장치이며, 상면 상에 피검자가 위치하고, 하면에 길이방향으로 배열된 제1 안내부재를 가지는 크레이들과; 크레이들의 하면을 지지하는 이송프레임과, 이송프레임에 이송프레임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크레이들을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부재와, 이송부재가 이송프레임의 일단에 놓이는 제1 위치와 이송프레임의 타단에 놓이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이송부재를 왕복 이동시키기 위한 이송부재 구동수단을 구비하는 셔틀테이 블과; 셔틀테이블을 승강 가능하게 지지하면서 PET와 MRI를 왕복하고, MRI 부근에서 검사테이블의 일단과 이송프레임의 일단이 대향하도록 위치하는 테이블 카트와; MRI의 검사테이블 상에 위치하여 셔틀테이블로부터 이송되어 옮겨진 크레이들을 지지하고, 그 상면에 제1 안내부재가 접촉하기 위한 제2 안내부재가 길이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크레이들 수용부재와; 크레이들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제1 로킹부재와, 크레이들 수용부재에 고정되고 제1 로킹부재와 결합 및 분리되는 제2 로킹부재를 구비하는 크레이들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이들 이송 장치를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이들 이송 장치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원에 있어서, “전방”이라는 용어는 MRI의 검사테이블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의미하고, “후방”이라는 용어는 MRI의 검사테이블을 향하는 전방과 대향된 방향을 의미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크레이들 이송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크레이들 이송 장치(100)는, 피검자가 누울 수 있도록 형성된 크레이들(110)과, 크레이들(110)을 지지하면서 의료영상장비의 검사테이블(12b)로 크레이들(110)을 이송하고 회수하는 셔틀테이블(120)과, 의료영상장비의 검사테이블(12b)에 제공되어 셔틀테이블(120)로부터 이송되어 옮겨진 크레이들(110)을 MRI의 검사테이블(12b) 상에 유지하기 위한 크레이들 수용부재(140)를 포함한다. 셔틀테이블(120)은 셔틀테이블(120) 내에 위치하고 크레이들(110)과 접촉하여 크레이들(110)을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부재(미도시)와, 이송부재를 셔틀테 이블(120)을 따라서 왕복 이동시키기 위한 이송부재 구동수단(미도시)을 포함한다.
의료영상장비(12)는 피검자의 환부를 검사하여 그에 대한 영상을 얻도록 구성되며, 검사테이블(12b)이 의료영상장비(12)에서 검사가 실행되는 부분의 내외로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의료영상장비(12)는 MRI로 구성되며, 검사테이블(12b)은 MRI의 자기장 튜브(12a) 내외로 이동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있다.
크레이들(110)은 장방형의 크레이들플레이트(111)를 구비한다. 크레이들플레이트(111)는 피검자가 눕기에 적합한 크기로 형성되며, 그 상면에 피검자가 위치한다. 크레이들플레이트(111)의 후방에는 피검자의 머리가 안착되는 받침대(112)가 설치된다. 크레이들(110)은 셔틀테이블(120) 상에 위치하며, 이송부재(미도시)에 의해 검사테이블(12b) 쪽으로 이동된다.
셔틀테이블(120)은 크레이들(110)의 하면을 지지하면서 테이블 카트(181) 상에 설치되어 있다. 테이블 카트(181)는 내부에 셔틀테이블(120)을 승강시키기 위한 구성과 레일(182)에 따라 자체 이동을 실행하는 구성을 가진다. 레일(182)의 일단은 검사테이블(12b)의 전방 부근까지 연장되어 있고, 그 타단은 MRI(12)와 함께 구성되어 퓨전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다른 의료영상장비, 예컨대 PET(11, 도 1 참조)의 검사 실행 부분까지 연장되어 있다. 따라서, 테이블 카트(181)에 의해 셔틀테이블(120)이 PET와 MRI 사이를 왕복한다. 이렇게 하여, 의료영상장비의 검사테이블에 크레이들을 이동시키고 회수하는 크레이들 이송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PET와 MRI를 통합하여 퓨전영상을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PET-MRI 퓨전 영상시스템에서 크레이들(110)을 MRI의 검사테이블(12b)에 이송하고 회수하는 크레이들 이송 장치(100)가 제공될 수 있다.
도 3은 셔틀테이블(120)의 전방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셔틀테이블(120)의 후방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셔틀테이블(120)은, 셔틀테이블(120)의 뼈대를 구성하는 프레임조립체(121a, 121b, 121c, 121d, 121e, 121f, 121g, 121h)와, 프레임조립체(121a, 121b, 121c, 121d, 121e, 121f, 121g, 121h)에 설치되어 셔틀테이블(120)의 외관을 형성하는 커버부(122a, 122b, 122c)를 구비한다.
프레임조립체(121a, 121b, 121c, 121d, 121e, 121f, 121g, 121h)는 셔틀테이블(120)의 길이방향으로 놓이고 크레이들(110) 이동의 기초로서 작용하며 크레이들(110)의 하면을 크레이들(11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지지하는 이송프레임(121a, 121b)과, 이송프레임(121a, 121b)과 조립되어 있고 셔틀테이블(120)의 폭방향으로 놓이는 다수의 횡프레임(121c 내지 121f)과, 이송프레임(121a, 121b)과 소정 거리 이격되어 횡프레임(121d 내지 121f)과 조립되어 있는 사이드프레임(121g, 121h)을 가진다. 프레임조립체(121a, 121b, 121c, 121d, 121e, 121f, 121g, 121h)는 MRI의 검사테이블(12b)의 전방 단부와 이송프레임(121a, 121b)의 후방 단부가 대향하도록 위치된다.
이송프레임(121a, 121b)은 기다란 바 또는 빔으로서 구성되고 셔틀테이블(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양측에 구비되어 있다. 크레이들(110)은 이송프레임(121a, 121b) 상에서 지지되면서 후술하는 이송부재(131)에 의해 셔틀테이블(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된다.
이송프레임(121a, 121b) 상에는 크레이들(110)의 하면에 설치된 크레이들 롤 러(115a)(도 7 참조)가 구름 접촉하는 롤러플레이트(123a, 123b)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각각의 이송프레임(121a, 121b)의 측부에는 이송부재(131)의 리니어가이드(131d, 도 5 참조)가 끼워져 미끄럼 운동하는 가이드바(124a, 124b)가 설치되어 있다.
커버부(122a, 122b, 122c)는 횡프레임(121c 내지 121f)에 결합되어 있는 2개의 사이드커버(122a, 122b)와, 사이드커버(122a, 122b)의 전방과 횡프레임(121a)의 전방에 결합된 리어커버(122c)로 이루어진다.
셔틀테이블(120)은 크레이들(110)의 상하방 변위를 한정하며 셔틀테이블(120)의 길이방향을 따르는 이동을 보장하기 위한 다수의 구름운동부재(125)를 더 구비한다. 구름운동부재(125)는 크레이들(110)의 이동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되는 제1 롤러(125a)와, 제1 롤러(125a)의 회전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되는 제2 롤러(125b)와, 제1 및 제2 롤러(125a, 125b)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브라켓(125c)을 구비한다. 구름운동부재(125)는 고정판(126a, 126b)에 의해 사이드커버(122a, 122b)에 설치되어 있다.
셔틀테이블(120)에는 크레이들(110)을 이송하거나 셔틀테이블(120) 또는 테이블 카트(181)를 구동하기 위해 작업자가 조작하는 입력장치(127)가 구비되어 있다. 입력장치(127)는 디스플레이패널(127a)과 다수의 키(127b)를 구비하며, 사이드커버(122a, 122b)에 형성된 개구부(122a′, 122b′)를 통해 셔틀테이블(120) 외부로 디스플레이패널(127a)과 키(127b)가 노출되도록 셔틀테이블(120)에 설치된다. 입력장치(127)는 크레이들 이송 장치(1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128)에 접 속되어 있다. 컨트롤러(128)는 이송부재 구동수단과 후술하는 크레이들 고정수단의 구동을 제어한다.
크레이들 이송 장치(100)는 크레이들(110)을 검사테이블(12b)로 전달하고 MRI 검사 종료후 검사테이블(12b)로부터 크레이들(110)을 회수하기 위한 크레이들 이송수단(130)을 포함한다.
크레이들 이송수단(130)은 크레이들(110)과 결합되어 크레이들(110)을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부재(131)와, 이송부재(131)를 구동하기 위한 이송부재 구동수단(132, 133)을 포함한다.
이송부재(131)는 이송프레임(121a, 121b)에 의해 지지되면서 이송프레임(121a, 121b)을 따라서 슬라이드 이동된다.
도 5는 이송부재(131)의 정면도이다. 이송부재(131)는 이송프레임(121a, 121b)에 걸치도록 형성된 크레이들 지지판(131a)과, 크레이들 지지판(131a)의 횡방향 양단에 결합된 이송판(131b, 131c)과, 이송판(131b, 131c)의 내측 표면에 설치된 리니어가이드(131d)를 구비한다. 리니어가이드(131d)는 상술한 가이드바(124a, 124b)에 끼워진다. 따라서, 이송부재(131)는 이송프레임(121a, 121b)의 가이드바(124a, 124b)에 의해 지지되어 이송프레임(121a, 121b)을 따라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다.
크레이들 지지판(131a)의 크레이들(110)에 면하는 표면에는 크레이들(110)의 하면을 붙잡기 위한 홀더로서, 크레이들 혼(131e)이 구비되어 있다. 크레이들 혼(131e)은 원주 또는 원뿔대 형태로 형성된다. 크레이들 혼(131e)은 후술하는 홀 더 결합부(113, 도 7 참조)에 정합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송부재(131)를 셔틀테이블(120)의 길이방향으로 구동시키는 이송부재 구동수단(132, 133)은 모터부(132)와 모터부(132)의 회전을 이송부재(131)의 직선 이동으로 전환하기 위한 타이밍벨트(133)로 이루어진다.
도 6은 이송부재 구동수단(132, 133)을 나타낸 셔틀테이블(120)의 부분 평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모터부(132)는 정역회전 가능한 서보모터(132a)와, 감속기(132b)와, 타이밍풀리(132c)를 포함한다. 타이밍풀리(132c) 부근에는 타이밍벨트(133)에 장력을 부가하기 위한 아이들풀리(135a, 135b)가 설치되어 있다.
타이밍벨트(133)는 셔틀테이블(120)의 이송프레임(121a, 121b)을 따라서 감아져 있다. 타이밍벨트(133)의 일단은 이송부재(131)에 결합되어 있고, 타단은 횡프레임(121c)에 설치된 타이밍풀리(134a, 도 3 참조)와, 아이들풀리(135a, 135b) 및 타이밍풀리(132c)와, 횡프레임(121f)에 설치된 타이밍풀리(134b)(도 3 참조)를 지난 후 이송부재(131)에 결합되어 있다. 타이밍벨트(133)의 양단은 이송부재(131)에 설치되는 한 쌍의 벨트결합판(133a) 사이에 고정되며, 벨트결합판(133a)은 타이밍벨트 브라켓(133b, 133c)(도 5 참조)을 통해 이송부재(131)의 크레이들 지지판(131a)의 하면 상에 고정되어 있다.
서보모터(132a)가 회전하면, 서보모터(132a)의 회전에 의해 타이밍벨트(133)가 어느 한 방향으로 당겨지게 되고, 이에 의해 이송부재(131)가 이송프레임(121a, 121b)에 지지되어 이송프레임(121a, 121b)를 따라서 슬라이드 이동된다. 이송부재(131)의 크레이들 혼(131e)이 크레이들(110)의 홀더 결합부(113)에 끼워져 있으 므로, 서보모터(132a)의 회전에 의해 크레이들(110)은 이송프레임(121a, 121b)을 따라서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이송부재(131)는 셔틀테이블(120) 내에서, 크레이들(110)이 셔틀테이블(120)의 후방 단부까지 완전히 밀려져 그 대부분이 MRI 검사테이블(12b) 상에 놓이고 이송부재(131)가 더 이상 이동될 수 없는 위치(이하, 이러한 위치를 “제1 위치”라 한다)와, 크레이들(110)이 셔틀테이블(120)의 전방 단부까지 완전히 당겨진 위치(이하, 이러한 위치를 “제2 위치”라 한다) 사이에서 왕복 이동된다.
도 7은 크레이들(110)의 하방 사시도이고, 도 8은 크레이들(110)의 후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크레이들(110)은 크레이들플레이트(111)의 일단에 크레이들 혼(131e)에 대응하는 홀더 결합부(113)를 구비한다. 홀더 결합부(113)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며, 크레이들 혼(131e)의 배열과 개수에 맞추어 구비되고, 크레이들 혼(131e)이 끼워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크레이들 혼(131e)이 홀더 결합부(113)에 끼워짐으로써, 이송부재(131)가 크레이들(110)을 걸게된다. 변형예로서, 크레이들 혼(131e)이 크레이들의 하면에 또한 홀더 결합부(113)가 이송부재(131)의 상면에 구비될 수도 있다.
크레이들플레이트(111)의 길이방향의 양측 가장자리에는, 셔틀테이블(120)의 구름운동부재(125)가 끼워지는 안내부(114a, 114b)가 형성되어 있다. 안내부(114a, 114b)는 크레이들플레이트(111)의 길이방향 가장자리를 따라서 길게 형성된 제1 돌출부(114a)와, 제1 돌출부(114a)와 평행하게 일정 거리 떨어져 크레이들플레이트(111)의 길이방향 가자장자리를 따라서 길게 형성된 제2 돌출부(114b)를 구비한다. 따라서, 제1 및 제2 돌출부(114a, 114b) 사이에 일정 폭의 홈(114c)이 형성되며, 이 홈(114c)에 상술한 구름운동부재(125)가 접촉한다. 상세하게는, 구름운동부재(125)의 제1 롤러(125a)는 제1 돌출부(114a)의 하면 또는 제2 돌출부(114b)의 상면과 접촉하고 제2 롤러(125b)는 안내부(114a, 114b)의 벽면(114d)에 접촉한다. 따라서, 제1 롤러(125a)와 제1 돌출부(114a)의 하면 또는 제2 돌출부(114b)의 상면에 의해, 크레이들(110)의 셔틀테이블(120)에 대한 상하방 운동이 제한되고, 제2 롤러(125b)와 안내부(114a, 114b)의 벽면(114d)에 의해 크레이들(110)의 셔틀테이블(120)에 대한 폭방향 운동이 제한된다.
크레이들플레이트(111)의 하면에는 이송프레임(121a, 121b) 상에 구비된 롤러플레이트(123a, 123b)와 구름 접촉하는 크레이들 롤러부(115)가 구비되어 있다. 크레이들 롤러부(115)는 크레이들 롤러(115a)와 브라켓(115b)을 구비한다. 크레이들 롤러(115a)는 롤러플레이트(123a, 123b)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크레이들플레이트(111)의 하면에 배치되어 있고, 브라켓(115b)에 의해 크레이들플레이트(111)의 하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크레이들플레이트(111)의 하면에는, 셔틀테이블(120)과 검사테이블(12b) 사이의 크레이들(110) 이송에 있어서, 크레이들(110)이 셔틀테이블(120) 상에 놓이는 방향으로 검사테이블(12b)로 이동되고, 검사테이블(12b) 상에서 검사테이블(12b)의 폭방향으로 변위되지 않게 하기 위한 제1 안내부재로서, 다수의 롤링부재(116)가 구비되어 있다. 롤링부재(116)는 크레이들(110)의 이동방향으로 회 전하도록 설치된 한 쌍의 가이드롤러(116a)와 가이드롤러(116a)를 크레이들플레이트(111)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판(116b)을 구비한다. 한 쌍의 가이드롤러(116a) 사이의 거리는 그 사이에 제2 안내부재(142)를 구성하는 가이드바(도 9 참조)가 끼워지도록 정해져 있다.
도 9는 MRI 검사테이블(12b)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MRI 검사테이블(12b)의 정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MRI의 검사테이블(12b)에 제공되는 크레이들 이송 장치(100)의 크레이들 수용부재(140)는, 검사테이블(12b) 상에 놓이며 크레이들(110)의 하면을 지지하는 지지부재(141a, 141b)와, 제1 안내부재를 구성하는 롤링부재(116)가 구름접촉하는 제2 안내부재(142)를 구비한다.
지지부재(141a, 141b)는 장방형의 판상부(141a)와, 판상부(141a)의 길이방향 양측 가장자리에 형성된 고정부(141b)를 가진다. 판상부(141a)는 크레이들(110)이 충분히 놓일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된다. 크레이들(110)이 셔틀테이블(120)에서 크레이들 수용부재(140)로 이동될 때, 크레이들 롤러(115a)가 판상부(141a)의 상면과 구름 접촉한다. 판상부(141a)의 전방 단부는 검사테이블(12b)의 전방 단부와 정렬되어 위치한다. 고정구(141c)에 의해 판상부(141a)의 고정부(141b)와 검사테이블(12b)의 가장자리가 서로 고정됨으로써, 지지부재(141a, 141b)가 검사테이블(12b) 상에 고정된다.
판상부(141a) 상에는 제1 안내부재(116)에 대응하는 제2 안내부재를 구성하는 가이드바(142)가 설치되어 있다. 가이드바(142)는 판상부(141a)의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되고, 크레이들(110)의 이송방향에 평행하게 판상부(141a) 상에 배치된다. 가이드바(142)의 폭은 상술한 한 쌍의 가이드롤러(116a) 사이의 간격과 동일하게 형성된다. 가이드바(142)는 크레이들(110)이 검사테이블(12b)로 이동될 때 가이드롤러(116a) 사이에 가이드바(142)가 놓이도록 판상부(141a) 상에 배치된다. 변형예로서, 가이드롤러(116a)가 판상부(141a) 상에 길이방향의 일렬로 배열되어 배치될 수도 있고, 가이드바(142)가 크레이들플레이트(111)의 하면에 배치될 수도 있다.
도 2 내지 도 10을 함께 참조하여, 크레이들(110)의 검사테이블(12b)로의 이동에 대해 설명한다.
이송프레임(121a, 121b)의 상면과 판상부(141a)의 상면이 동일한 높이로 유지되어 있고 크레이들(110)이 제2 위치에 놓인 상태에서, 테이블 카트(181)가 레일(182)을 따라 MRI의 검사테이블(12b)의 전방 부근으로 이동하여, 이송프레임(121a, 121b)의 후방 단부와 이에 대향하는 판상부(141a)의 전방 단부가 약간의 간격을 두고 대향할 때 정지한다. 이 상태에서, 서보모터(132a)가 일방향으로 회전하면(크레이들(110)이 검사테이블(12b)로 이송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면), 이송부재(131)는 타이밍벨트(133)에 의해 검사테이블(12b) 측으로 이동되고, 이와 동시에 크레이들(110)이 검사테이블(12b)로 이송된다. 이 때, 크레이들(110)은 안내부(114a, 114b)와 구름운동부재(125)에 의해 셔틀테이블(120)의 길이방향으로만 이동될 수 있고, 또한 크레이들 롤러(115a)가 롤러플레이트(123a, 123b)와 판상부(141a)와 구름 접촉하므로, 크레이들(110)은 부드럽고 원활하게 검사테이블(12b)로 이송될 수 있다.
한편, 크레이들(110)이 검사테이블(12b)로 이송될 때, 한 쌍의 가이드롤러(116a) 사이에 가이드바(142)가 끼워지므로, 크레이들(110)은 셔틀테이블(120)에서 유지된 배향과 동일한 배향으로 검사테이블(12b) 상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MRI 검사 종료 후 검사테이블(12b)에서 셔틀테이블(120)로 크레이들을 이송할 때(회수할 때), 크레이들(110)의 배향이 변화하지 않는다.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크레이들 고정 수단에 대해 설명한다. 크레이들 이송 장치(100)는 검사테이블(12b)로 이송된 크레이들(110)이 검사테이블(12b)의 이동에 의해 변위되지 않도록 크레이들(110)을 검사테이블(12b)에 고정하기 위한 크레이들 고정 수단을 더 포함한다.
크레이들 고정 수단은 크레이들(110)에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설치되는 제1 로킹부재(151)와, 검사테이블(12b)측에 설치되고 제1 로킹부재(151)와 결합 및 분리되는 제2 로킹부재(152)와, 제1 로킹부재(151)를 구동하기 위한 로킹부재 구동수단(153)과, 로킹부재 구동수단(153)의 구동을 제1 로킹부재(151)로 전달하는 전동부재(154, 155)와, 제1 로킹부재(151)의 위치를 한정하는 위치한정부재(156)를 포함한다. 전동부재(154, 155)는 셔틀테이블(120)에 배치되는 제1 전동부재(154)와 크레이들(110)에 배치되는 제2 전동부재(155)로 이루어진다.
도 11은 크레이들 고정 수단의 일부를 나타낸 크레이들(120)의 부분 사시도이고, 도 12는 제1 로킹부재(151), 제2 전동부재(155) 등을 나타낸 크레이들 고정 수단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3은 구동수단(153)과 제1 전동부재(154)를 나타낸 셔 틀테이블(120)의 부분 확대 평면도이다. 도 11 내지 도 13을 함께 참조하여 크레이들 고정 수단의 각 요소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 로킹부재(151)는 소정 길이의 샤프트(151a, 151b)를 포함한다. 샤프트(151a, 151b)는 후방 단부 부근에 수나사(151c)가 형성된 제1 샤프트부(151a)와, 일단에서 제1 샤프트부(151)의 타단과 결합되어 있고 제1 샤프트부(151a)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제2 샤프트부(151b)를 가진다. 따라서, 제1 및 제2 샤프트부(151a, 151b) 사이에는 걸림턱(151d)이 형성된다. 제1 로킹부재(151)는 제2 샤프트부(151b)에 차례로 끼워지는 제1 슬리브(151f)와 제2 슬리브(151g)를 더 포함한다. 제1 슬리브(151f)에는 스퍼기어(151e)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스퍼기어(151e)가 형성된 제1 슬리브(151f)는 제2 샤프트부(151b)에 형성된 키홈(미도시)과 이에 끼워지는 키(미도시)에 의해 제2 샤프트부(151b)에 고정된다. 제2 샤프트부(151b)의 타단에는 스위치블록(162)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와셔(151i)를 통해 볼트(미도시)가 제2 스위치부(151b)의 타단에 체결되어 스위치블록(162)의 위치가 한정된다. 스위치블록(162)의 작용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제1 로킹부재(151)는 제1 슬리브(151f)와 스위치블록(162)의 위치를 한정하기 위해 제2 슬리브(151g) 둘레에 위치하고 스위치블록(162)과 제1 슬리브(151f) 사이에 개재되는 압축스프링(151h)을 더 포함한다. 따라서, 압축스프링(151h)의 팽창력에 의해 제1 슬리브(151f)와 스퍼기어(151e)는 걸림턱(151d) 측으로 가압되고, 스위치블록(162)는 와셔(151i) 측으로 가압된다.
제2 로킹부재(152)는 판상부(141a)의 전방 단부에 설치된다(도 9 참조). 제2 로킹부재(152)는 기다란 블록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제1 샤프트(151a)의 후방 단부가 끼워지는 보어(152a)와, 보어(152a)의 내주면에 수나사(151c)에 대응하는 암나사(152b)를 구비한다. 제2 로킹부재(152)는 제1 샤프트(151)의 수나사(151c)가 형성된 전방 단부가 결합되는 너트로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로킹부재(152)는 크레이들(110)의 검사테이블(12b)로의 이송시 샤프트(151a, 151b)의 후방 단부가 끼워지도록 판상부(141a) 상에 위치한다.
제1 로킹부재(151)를 구동하기 위한 로킹부재 구동수단(153)은 셔틀테이블(120)의 횡프레임(121d) 상에 설치된다. 구동수단(153)은 모터를 포함하며, 상세하게는 정역회전 가능한 인덕션모터를 포함한다. 인덕션모터(153)는 컨트롤러(128, 도 3 참조)에 의해 제어된다.
인덕션모터(153)의 회전은 제1 전동부재(154)를 통해 셔틀테이블(120)의 후방 단부측으로 전달된다. 제1 전동부재(154)는 전동축(154a)과, 베벨기어 쌍(154c, 154e)과, 스퍼기어 쌍(154f, 154h)을 구비한다. 전동축(154a)은 일단에서 인덕션모터(153)의 회전축과 결합되어 있고, 지지구(154b)에 의해 횡프레임(121d, 121e, 121f) 상에서 지지된다. 전동축(154a)의 타단에 베벨기어(154c)가 고정되어 있고, 베벨기어(154c)는 베벨기어(154e)와 물려있다. 베벨기어(154e)는 스퍼기어(154f)와 고정되어 있고, 스퍼기어(154f)는 스퍼기어(154h)와 물려있다. 베벨기어(154e)와 스퍼기어(154f)는 축(154d)을 통해, 또한 스퍼기어(154h)는 축(154g)을 통해 각각 브라켓(154i, 154j)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브라켓(154i, 154j)은 횡프레임(121f) 상에 설치되어 있다.
인덕션모터(153)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은 베벨기어 쌍(154c, 154e)과 스퍼기어(154f)를 통해 스퍼기어(154h)의 시계방향 회전 또는 시계반대방향 회전으로 실현된다. 스퍼기어(154h)의 회전이 제2 전동부재(155)의 스퍼기어(155b)에 전달된다. 스퍼기어(154h)와 스퍼기어(155b)는 이송프레임(121a, 121b)의 길이방향에 평행하게 일렬로 배열되어 있다. 이송부재(131)가 제1 위치에 위치한 때, 스퍼기어(154h)와 스퍼기어(155b)가 물리도록, 제2 전동부재(155)가 크레이들플레이트(111)의 하면에 위치한다.
제2 전동부재(155)는 크레이들(110)의 전방 부분, 상세하게는 크레이들플레이트(111)의 전방 하면에 설치된다. 제2 전동부재(155)에 제1 로킹부재(151)가 회전 및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2 전동부재(155)는 스퍼기어(155b)와, 베벨기어 쌍(155c, 155e)과, 스퍼기어(155f)를 구비한다. 회전축(155a)의 중간에 스퍼기어(155b)가 고정되어 있고, 회전축(155a)의 일단에 베벨기어(155c)가 고정되어 있다. 회전축(155a)은 브라켓(155k, 155l)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브라켓(155k, 155l)은 크레이들플레이트(111)의 하면에 설치되어 있다. 베벨기어(155c)는 베벨기어(155e)와 물려있고, 베벨기어(155e)는 회전축(155d)에 고정되어 있다. 회전축(155d)의 타측에는 스퍼기어(155f)가 고정되어 있다. 회전축(155d)은 브라켓(155h, 155i, 155j)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브라켓(155h, 155i, 155j)은 브라켓(155g)과 함께 크레이들플레이트(111)의 하면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스퍼기어(155b)의 회전은 베벨기어 쌍(155c, 155e)을 통해 스퍼기어(155f)의 회전으로 실현된다.
스퍼기어(151e)가 스퍼기어(155f)에 물리도록 제1 샤프트부(151a)와 제1 슬리브(151f)가 각각 브라켓(155i, 155j)을 관통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스퍼기어(155f)의 회전은 스퍼기어(151e)를 거쳐 제1 로킹부재(151)의 회전으로 실현된다. 결국, 스퍼기어(154h)와 스퍼기어(155b)가 물려있을 때, 인덕션모터(153)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은 제1 로킹부재(151)의 시계방향 회전 또는 시계반대방향 회전으로 실현된다.
크레이들 고정 수단은 제1 로킹부재(151)의 위치를 한정하기 위한 위치한정부재(156)를 더 포함한다. 위치한정부재(156)는 크레이들플레이트(111)의 하면에 제2 전동부재(155)에서 크레이들(110)의 후방 쪽으로 떨어져 위치한다. 위치한정부재(156)는 육면체 블록형태로 이루어지며, 제1 샤프트부(151a)과 관통하는 보어(156a)를 가진다. 바람직하게는, 보어(156a)는 수나사(151c)에 대응하는 암나사(156b)가 형성되어 있다. 제1 샤프트부(151a)의 후방 단부는 나사체결 형태로 위치한정부재(156)를 관통한다. 위치한정부재(156)는 그 보어(156a)의 중심이 제2 로킹부재(152)의 보어(152a)의 중심과 크레이들(110) 이송방향에 평행하게 일렬을 이루도록 위치되어 있다. 위치한정부재(156)와 제1 샤프트(151a)가 나사결합되어 있으므로, 크레이들(110)의 이송시 제1 로킹부재(151)가 크레이들(110)의 이송방향으로 미끄러지지 않는다. 또한, 위치한정부재(156)는 크레이들(110) 고정을 위해 제1 로킹부재(151)가 제2 로킹부재에 결합할 때 제1 로킹부재(151)를 지지한다.
제1 전동부재(154)가 셔틀테이블(120)의 후방에 설치되어 있고, 제2 전동부재(155)가 크레이들(110)의 전방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인덕션모터(153)와 제1 로 킹부재(151) 사이에는 단속과 접속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크레이들(110)의 전방 부분이 셔틀테이블(120)의 후방에 위치할 때(제1 위치), 상세하게는 크레이들(110)이 이송되어 제2 전동부의 스퍼기어(155b)가 제1 전동부의 스퍼기어(154h)와 물릴때, 인덕션모터(153)와 제1 로킹부재(151) 사이에 접속이 달성된다.
도 14는 크레이들(110)이 MRI 검사테이블(12b)로 이송된 상태를 나타낸 크레이들 이송 장치(100)의 측면도이다.
크레이들(110)의 MRI 검사테이블(12b)로의 이동은, 위치한정부재(156)가 제2 로킹부재(152)와 거의 접해 있고, 제1 샤프트부(151a)의 전방 단부가 제2 로킹부재(152)의 보어(152a) 내로 약간 삽입된 상태에서 종료한다. 이 때, 스퍼기어(154h)와 스퍼기어(155b)가 서로 물리게 되어, 제1 로킹부재(151)와 인덕션모터(153)의 접속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인덕션모터(153)의 회전 구동은 제1 로킹부재(151)의 회전으로 실현될 수 있다. 인덕션모터(153)에 의한 회전이 제1 샤프트부(151a)가 제2 로킹부재(152)에 체결되기 위한 회전인 경우, 제1 샤프트부(151a)의 전방 단부가 제2 로킹부재(152)에 나사체결되어, 크레이들(110)은 MRI 검사테이블(12b)에 고정된다.
크레이들 이송 장치(100)는 크레이들 고정 수단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발생수단(160)을 더 포함한다. 신호발생수단은 인덕션모터(153)의 구동을 중지시키기 위한 제1 신호와 인덕션모터(153)의 구동을 개시하기 위한 제2 신호를 발생시킨다.
신호발생수단은 리미트스위치(161)와 리미트스위치(161)와 접촉되도록 구성 된 스위치블록(162)을 구비한다.
리미트스위치(161)는 제1 전동부재(154) 부근에 위치하며, 브라켓(161b)에 의해 횡프레임(121f)에 설치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리미트스위치(161)는 탄동 가능한 레버(161a)를 구비하며, 레버(161a)가 스위치블록(162)에 의해 조작되면 리미트스위치(161)는 인덕션모터(153)의 구동을 정지시키거나 개시하기 위한 신호를 발생하도록 구성된다. 리미트스위치(161)는 컨트롤러(128)에 접속되어 있으며, 발생된 신호를 컨트롤러(128)에 전송한다.
스위치블록(162)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로킹부재의 제2 샤프트부(151b)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도 11 및 도 12 참조). 또한, 스위치블록(162)은 브라켓(155h)에 고정된 한 쌍의 고정편(162a) 사이에 협지되어 있다. 따라서, 제1 로킹부재(151)가 회전하고 제1 샤프트부(151a)가 제2 로킹부재(152)에 체결되면서 전진할 때, 스위치블록(162)은 회전함이 없이 샤프트부(151a, 151b)의 전진에 이끌려 이동된다. 제1 로킹부재(151)가 어느 정도 전진하여, 스위치블록(162)에 의해 레버(161a)가 도면의 하방으로 젖혀지면, 리미트스위치(161)는 제1 신호를 발생시킨다. 이를 위해, 리미트스위치(161)는 제1 샤프트부(151a)가 제2 로킹부재(152)에 충분한 깊이로 삽입되었을 때 레버(161a)가 조작되도록 그 위치가 정해진다. 리미트스위치(161)에서 발생된 제1 신호는 컨트롤러(128)에 보내지고, 컨트롤러(128)는 인덕션모터(153)를 정지시킨다.
도 15는 크레이들(110)이 MRI 검사테이블(12b)에 고정된 후 셔틀테이블(120)이 하강한 상태를 나타낸 크레이들 이송 장치(100)의 측면도이다.
크레이들(110)을 MRI 검사테이블(12b)로 이송하고 고정한 후, 셔틀테이블(120)은 테이블 카트(181)에 의해 하강된다. 이 때,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로킹부재의 제1 샤프트부(151a)는 제2 로킹부재(152)에 완전히 나사체결되어 있고, 리미트스위치의 레버(161a)는 처음의 위치로 복귀해 있다.
이 후, MRI 검사테이블(12b)은 크레이들(110)을 수용한 채로 MRI 자기장 튜브(12a, 도 2 참조) 내로 이동되어, MRI의 검사가 실행된다. MRI의 검사가 완료된 후, 검사테이블(12b)은 다시 도 15에 도시된 크레이들(110)을 전달받은 초기위치로 복귀한다. 이 경우, 크레이들 고정 수단에 의해 크레이들(110)은 MRI 검사테이블(12b) 상에서 변위되지 않는다.
다시 셔틀테이블(120)이 상승하면, 크레이들(110)은 MRI 검사테이블(12b)로 이동되기 전 위치에 머물러 있으므로, 크레이들 혼(131e)은 홀더 결합부(113)에 정합될 수 있다. 따라서, 크레이들(110)은 MRI 검사테이블(12b)로부터 셔틀테이블(120)로 정확하게 회수될 수 있다. 이 때, 셔틀테이블(120)의 상승 높이는 롤러플레이트(123a, 123b)와 판상부(141a)가 동일 높이로 되도록 정해져 있다.
또한, 셔틀테이블(120)이 상승하면서, 스퍼기어(154h)와 스퍼기어(155b)가 서로 물리게 되어, 제1 로킹부재(151)와 인덕션모터(153) 사이에 접속이 이루어진다. 이와 동시에, 스위치블록(162)이 리미트스위치의 레버(161a)를 도면의 하방으로 젖히게 되어, 리미트스위치(161)는 제2 신호를 발생시킨다. 그러면, 컨트롤러(128)에 의해 인덕션모터(153)는 제1 로킹부재(151)를 제2 로킹부재(152)에 체결하는 경우와는 반대로 회전되고, 제1 로킹부재(151)는 제2 로킹부재(152)에서 해제된다. 제1 로킹부재(151)가 제2 로킹부재(152)에서 완전히 해제되도록 인덕션모터(153)가 구동된 후, 인덕션모터(153)를 정지시키고, 서보모터(132a)를 구동하여 크레이들(110)을 제2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MRI 검사테이블(12b)로부터의 크레이들(110)의 회수가 달성된다.
한편, 신호발생수단은 크레이들(110)의 이송에 관계되는 서보모터(132a)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리미트스위치(163a, 163b)(도 4 참조)와 리미트스위치(163a, 163b)와 접촉되기 위한 스위치블록(164)을 더 포함한다. 리미트스위치(163a, 163b)는 컨트롤러(128)에 접속되어 있다. 스위치블록(164)은 이송부재(131)의 이송판(131c)에 설치되어 있다.
리미트스위치(163a)는 셔틀테이블(120) 내에 이송부재(131)가 제2 위치에 위치할 때 스위치블록(164)과 접촉되도록 배치된다. 리미트스위치(163b)는 이송부재(131)가 제1 위치에 위치하여 위치한정부재(156)가 제2 로킹부재(152)와 거의 접촉할 때 스위치블록(164)과 접촉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이송부재(131)가 제2 위치에 도달하면, 리미트스위치(163a)가 동작하여 서보모터(132a)의 구동이 정지되고, 이송부재(131)가 제1 위치에 도달하면, 리미트스위치(163b)가 동작하여 서보모터(132a)의 구동이 정지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크레이들 이송 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첫 째, 의료영상장비의 검사테이블로 크레이들을 이동시키고 의료영상장비의 검사가 끝난 후 검사테이블로부터 크레이들을 회수할 수 있는 크레이들 이송 장치가 제공된다.
둘 째, 크레이들과 검사테이블에 안내부재가 설치되어, 크레이들은 셔틀테이블에서 유지하는 배향과 동일 배향으로 검사테이블 상에 수용된다.
셋 째, 크레이들과 크레이들을 지지하는 셔틀테이블이 분리되므로, 검사테이블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는다.
넷 째, 크레이들이 검사테이블에 고정되므로, 의료영상장비에서 검사가 끝난 후 크레이들이 변위되지 않아, 검사테이블로부터 셔틀테이블로 크레이들은 정확하게 회수된다.
다섯 째, MRI 검사테이블에 크레이들을 전달하고 회수하도록 구성되므로, MRI와 PET에 피검자를 차례로 위치시켜 퓨전영상을 얻기위한 PET-MRI 퓨전영상시스템이 구현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8)

  1. 상면 상에 피검자가 위치하고, 하면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된 제1 안내부재를 가지는 크레이들과;
    상기 크레이들의 하면을 지지하는 이송프레임과, 상기 이송프레임에 상기 이송프레임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크레이들을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부재와, 상기 이송부재가 상기 이송프레임의 일단에 놓이는 제1 위치와 상기 이송프레임의 타단에 놓이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상기 이송부재를 왕복 이동시키기 위한 이송부재 구동수단을 구비하고, 의료영상장비의 테이블의 일단과 상기 이송프레임의 일단이 대향하도록 위치하는 셔틀테이블과;
    상기 의료영상장비의 테이블 상에 위치하여 상기 셔틀테이블로부터 이송되어 옮겨진 상기 크레이들을 지지하고, 그 상면에 상기 제1 안내부재가 접촉하기 위한 제2 안내부재가 길이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크레이들 수용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영상장비에 사용되기 위한 크레이들 이송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안내부재 중 하나는 다수의 롤링부재를 구비하고, 다른 하나는 가이드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이들 이송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재는 상기 크레이들을 붙잡기 위한 홀더를 가지고, 상기 크레이들은 상기 홀더가 결합하는 홀더 고정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이들 이송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재 구동수단은, 상기 셔틀테이블에 설치된 정역회전 가능한 제1 모터와, 상기 제1 모터에 의해 구동되고 상기 이송부재에 고정되며 상기 이송프레임을 따라서 감아진 벨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이들 이송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크레이들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제1 로킹부재와, 상기 크레이들 수용부재에 고정되고 상기 제1 로킹부재와 결합 및 분리되는 제2 로킹부재를 구비하는 크레이들 고정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이들 이송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로킹부재는 일단에 수나사가 형성된 샤프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로킹부재는 암나사가 형성된 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이들 이송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크레이들 고정수단은 상기 셔틀테이블에 설치된 정역회전 가능한 제2 모터와, 상기 제2 모터의 회전을 상기 제1 로킹부재에 전달하기 위한 전동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전동부재는 상기 이송프레임의 일단에 인접하게 상기 셔틀테이블에 배치되는 제1 전동부재와, 상기 크레이들의 하면에 상기 제1 로킹부재와 접속되어 배치되는 제2 전동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이송부재가 상기 제2 위치에 놓일 때, 상기 제1 전동부재와 제2 전동부재가 접속되어 상기 제2 모터의 회전이 상기 제1 로킹부재의 회전으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이들 이송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모터를 정지시키는 제1 신호와 상기 제2 모터를 구동시키는 제2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발생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이들 이송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발생수단은 상기 제1 로킹부재에 설치되는 스위치블록과 상기 이송프레임의 일단에 설치되는 리미트스위치를 구비하며,
    상기 제1 로킹부재와 상기 제2 로킹부재가 결합되는 도중 상기 스위치블록이 상기 리미트스위치에 접촉되면 상기 리미트스위치가 제1 신호를 발생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이들 이송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셔틀테이블을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셔틀테이블의 승강에 의해 상기 이송부재와 상기 크레이들의 결합 및 분리가 이루어지고, 상기 셔틀테이블의 상승시 상기 리미트스위치와 상기 스위치블록이 접촉되면 상기 리미트스위치가 제2 신호를 발생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이들 이송 장치.
  11. 양전자방출단층촬영장치(PET)와 자기공명영상장치(MRI)로 구성되는 PET-MRI 퓨전영상시스템에 사용되기 위한 크레이들 이송 장치이며,
    상면 상에 피검자가 위치하고, 하면에 길이방향으로 배열된 제1 안내부재를 가지는 크레이들과;
    상기 크레이들의 하면을 지지하는 이송프레임과, 상기 이송프레임에 상기 이송프레임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크레이들을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부재와, 상기 이송부재가 상기 이송프레임의 일단에 놓이는 제1 위치와 상기 이송프레임의 타단에 놓이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상기 이송부재를 왕복 이동시키기 위한 이송부재 구동수단을 구비하는 셔틀테이블과;
    상기 셔틀테이블을 승강 가능하게 지지하면서 상기 PET와 MRI를 왕복하고, 상기 MRI 부근에서 상기 MRI의 검사테이블의 일단과 상기 이송프레임의 일단이 대향하도록 위치하는 테이블 카트와;
    상기 MRI의 검사테이블 상에 위치하여 상기 셔틀테이블로부터 이송되어 옮겨진 상기 크레이들을 지지하고, 그 상면에 상기 제1 안내부재가 접촉하기 위한 제2 안내부재가 길이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크레이들 수용부재와;
    상기 크레이들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제1 로킹부재와, 상기 크레이들 수용부재에 고정되고 상기 제1 로킹부재와 결합 및 분리되는 제2 로킹부재를 구비하는 크레이들 고정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이들 이송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안내부재 중 하나는 다수의 롤링부재를 구비하고, 다른 하나는 가이드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이들 이송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재는 상기 크레이들을 붙잡기 위한 홀더를 가지고, 상기 크레이들은 상기 홀더가 결합하는 홀더 고정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이들 이송 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재 구동수단은, 상기 셔틀테이블에 설치된 정역회전 가능한 제1 모터와, 상기 제1 모터에 의해 구동되고 상기 이송부재에 고정되며 상기 이송프레임을 따라서 감아진 벨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 이들 이송 장치.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로킹부재는 일단에 수나사가 형성된 샤프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로킹부재는 암나사가 형성된 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이들 이송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크레이들 고정수단은 상기 셔틀테이블에 설치된 정역회전 가능한 제2 모터와, 상기 제2 모터의 회전을 상기 제1 로킹부재에 전달하기 위한 전동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전동부재는 상기 이송프레임의 일단에 인접하게 상기 셔틀테이블에 배치되는 제1 전동부재와, 상기 크레이들의 하면에 상기 제1 로킹부재와 접속되어 배치되는 제2 전동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이송부재가 상기 제2 위치에 놓일 때, 상기 제1 전동부재와 제2 전동부재가 접속되어 상기 제2 모터의 회전이 상기 제1 로킹부재의 회전으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이들 이송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모터를 정지시키는 제1 신호와 상기 제2 모터를 구동시키는 제2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발생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이들 이송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발생수단은 상기 제1 로킹부재에 설치되는 스위치블록과 상기 이송프레임의 일단에 설치되는 리미트스위치를 구비하며,
    상기 크레이들이 상기 크레이들 수용부재로 옮겨진 후 상기 셔틀테이블의 승강에 의해 상기 이송부재와 상기 크레이들의 결합 및 분리가 이루어지고,
    상기 리미트스위치는 상기 제1 로킹부재와 상기 제2 로킹부재가 결합되는 도중 상기 스위치블록이 상기 리미트스위치에 접촉되면 상기 제1 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셔틀테이블의 상승시 상기 리미트스위치와 상기 스위치블록이 접촉되면 상기 제2 신호를 발생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이들 이송 장치.
KR1020060078065A 2006-08-18 2006-08-18 의료영상장비에 사용되는 크레이들 이송 장치 KR1008107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8065A KR100810715B1 (ko) 2006-08-18 2006-08-18 의료영상장비에 사용되는 크레이들 이송 장치
DE102007038613.5A DE102007038613B4 (de) 2006-08-18 2007-08-16 Vorrichtung zum Verschieben einer Aufnahmevorrichtung zur Verwendung mit einem medizinischen Bildgebungsgerät oder einem PET-MRT-Hybridsystem
US11/840,343 US7874030B2 (en) 2006-08-18 2007-08-17 Device for transferring a cradle for use with a medical imaging equipment
JP2007212621A JP5096834B2 (ja) 2006-08-18 2007-08-17 医療映像装備に用いられるクレイドル移送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8065A KR100810715B1 (ko) 2006-08-18 2006-08-18 의료영상장비에 사용되는 크레이들 이송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6240A KR20080016240A (ko) 2008-02-21
KR100810715B1 true KR100810715B1 (ko) 2008-03-07

Family

ID=389897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8065A KR100810715B1 (ko) 2006-08-18 2006-08-18 의료영상장비에 사용되는 크레이들 이송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874030B2 (ko)
JP (1) JP5096834B2 (ko)
KR (1) KR100810715B1 (ko)
DE (1) DE102007038613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39762B2 (en) 2007-10-22 2010-06-22 Mizuho Orthopedic Systems, Inc. Surgery table apparatus
US9295433B2 (en) 2005-02-22 2016-03-29 Roger P. Jackson Synchronized patient elevation and positioning apparatus for use with patient positioning support systems
US7565708B2 (en) 2005-02-22 2009-07-28 Jackson Roger P Patient positioning support structure
US9186291B2 (en) 2005-02-22 2015-11-17 Roger P. Jackson Patient positioning support structure with trunk translator
US9744087B2 (en) 2005-02-22 2017-08-29 Roger P. Jackson Patient support apparatus with body slide position digitally coordinated with hinge angle
US20150059094A1 (en) 2005-02-22 2015-03-05 Roger P. Jackson Patient positioning support structure
US10869798B2 (en) 2006-05-05 2020-12-22 Warsaw Orthopedic, Inc. Patient positioning support apparatus with virtual pivot-shift pelvic pads, upper body stabilization and fail-safe table attachment mechanism
KR100810715B1 (ko) * 2006-08-18 2008-03-07 가천의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의료영상장비에 사용되는 크레이들 이송 장치
US8505137B1 (en) * 2008-01-22 2013-08-13 Artec Imaging, Llc Equine CT table
US8561226B1 (en) * 2009-07-01 2013-10-22 Martin Manufacturing Co., Inc. MRI or imaging transfer table
US8166586B2 (en) * 2009-12-18 2012-05-01 General Electric Company Removable pallets and patient tables for medical systems
JP5956998B2 (ja) * 2011-09-22 2016-07-2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医用画像診断装置
WO2013058806A1 (en) 2011-10-17 2013-04-25 Jackson Roger P Patient positioning support structure
US10045712B2 (en) 2012-02-02 2018-08-14 Children's Hospital Medical Center MRI transfer station and dock
EP3508129A1 (en) 2012-02-02 2019-07-10 Children's Hospital Medical Center Mri transfer table assembly
US9561145B2 (en) 2012-02-07 2017-02-07 Roger P. Jackson Fail-safe release mechanism for use with patient positioning support apparati
US9265440B2 (en) 2012-05-30 2016-02-23 General Electric Company Split bridge for PET-MR scanner
CN103735265B (zh) * 2013-01-23 2015-08-26 宁波健信机械有限公司 医用磁体磁极自动升降及精密定位机构
CN103961132B (zh) * 2013-01-31 2019-01-22 Ge医疗系统环球技术有限公司 床板驱动机构、病床以及患者成像和传送设备
US9540017B2 (en) * 2013-05-07 2017-01-10 Raytheon Company Apparatus for automated transfer of large-scale missile hardware
US9625545B2 (en) 2013-05-29 2017-04-18 Childrens Hospital Medical Center Faraday cage for MR imaging with accessory equipment
CH708922A1 (de) * 2013-12-04 2015-06-15 Schär Engineering Ag Transfereinrichtung für eine Therapieliege.
EP3079592B1 (en) 2013-12-12 2020-03-04 General Electric Company Examination table of medical imaging system
DE102014100444B4 (de) * 2014-01-16 2017-06-29 MAQUET GmbH Vorrichtung zum linearen Verschieben einer Patientenlagerfläche und Verfahren zur Montage einer derartigen Vorrichtung
WO2016007524A1 (en) 2014-07-07 2016-01-14 Jackson Roger P Single and dual column patient positioning and support structure
US9622928B2 (en) 2014-07-07 2017-04-18 Roger P. Jackson Radiolucent hinge for a surgical table
US10548532B2 (en) 2014-11-12 2020-02-04 Shanghai United Imaging Healthcare Co., Ltd. Transport apparatus in medical system
JP6103270B2 (ja) * 2015-10-02 2017-03-29 株式会社三洋物産 遊技機
TWI605794B (zh) * 2016-12-27 2017-11-21 台達電子工業股份有限公司 造影掃描裝置、載床及載床定位裝置
CN108236474B (zh) * 2016-12-27 2021-04-27 台达电子工业股份有限公司 造影扫描装置、载床及载床定位装置
CN107374084A (zh) * 2017-07-31 2017-11-24 青岛万祥如光机械技术研究有限公司 一种图书自动整理系统
CN108272454B (zh) * 2018-03-13 2022-02-11 上海东软医疗科技有限公司 扫描床及具有该扫描床的医疗影像设备
DE102018207636A1 (de) * 2018-05-16 2019-11-21 Siemens Healthcare Gmbh Patiententisch mit Vorrichtung zur reversiblen Aufnahme einer Transferplatte
JP7055699B2 (ja) * 2018-05-22 2022-04-18 キヤノン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X線ct装置および医用寝台装置
US11206997B2 (en) * 2018-06-29 2021-12-28 Siemens Healthcare S.A.E. Handbrake of a medical imaging apparatus
KR102210441B1 (ko) * 2018-10-18 2021-02-01 박순백 엑스레이 영상 출력 장치
JP7146577B2 (ja) * 2018-11-02 2022-10-04 株式会社三洋物産 遊技機
KR102597240B1 (ko) * 2021-04-15 2023-11-02 (주)씨비에이치 의료용 테이블 구조를 이동시키는 레일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55042A (ja) * 1988-08-22 1990-02-23 Hitachi Medical Corp 核磁気共鳴イメージング装置
KR19990068038A (ko) * 1998-01-28 1999-08-25 지이 요꼬가와 메디칼 시스템즈 가부시끼가이샤 자기 공명 촬영 장치 및 이동식 테이블
US20010003218A1 (en) 1999-12-08 2001-06-14 Schaefer Danny Genius Aldegonda Carrier for medical facilities with a large displacement range
US20020013524A1 (en) 1998-06-15 2002-01-31 Yujiro Hayashi Mri vertical magnet apparatus and mri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88500A (en) * 1968-11-22 1971-06-28 Westinghouse Electric Corp X-ray table with selective float and power drive top
GB1578754A (en) 1976-03-25 1980-11-12 Emi Ltd Patient positioning and supporting arrangement
US4105923A (en) * 1977-04-01 1978-08-08 Pfizer Inc. Patient handling system and apparatus for tomographic scanning
US4475072A (en) * 1982-11-12 1984-10-02 General Electric Company Patient-positioning X-ray table
JPS6148712U (ko) * 1984-09-03 1986-04-01
US4641823A (en) * 1984-12-18 1987-02-10 General Electric Company Cradle drive and release mechanism for use with a magnetic resonance scanner
US4771785A (en) * 1986-07-25 1988-09-20 Resonex, Inc. Magnetic resonance imaging apparatus and three-axis patient positioning assembly for use therewith
JPH03231642A (ja) * 1990-02-08 1991-10-15 Toshiba Corp 医用診断装置用寝台
JPH1033527A (ja) * 1996-07-22 1998-02-10 Ge Yokogawa Medical Syst Ltd クレードル位置制御方法及び被検体載置台
US5808468A (en) * 1996-12-13 1998-09-15 Bis; Kostaki G. Universal kinematic imaging table for rapid positional changes in patient centering
WO1998046983A1 (en) * 1997-04-11 1998-10-22 William Beaumont Hospital Rapid magnetic resonance imaging and 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 of multiple anatomical territories
JP4303859B2 (ja) * 2000-03-10 2009-07-29 株式会社東芝 磁気共鳴イメージング装置に用いられる寝台装置
DE10108635A1 (de) * 2001-02-22 2002-09-19 Siemens Ag Lagerungseinrichtung für eine bildgebende medizinische Untersuchungseinrichtung
US6640364B1 (en) 2001-11-30 2003-11-04 Ge Medical Systems Global Technololgy Company, Llc Pedestal for use with patient transport system for multiple imaging systems
US6782571B1 (en) * 2001-11-30 2004-08-31 Ge Medical Systems Patient transport system for multiple imaging systems
DE10340552B4 (de) * 2003-09-01 2015-10-15 Siemens Aktiengesellschaft Patientenliege
KR100810715B1 (ko) * 2006-08-18 2008-03-07 가천의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의료영상장비에 사용되는 크레이들 이송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55042A (ja) * 1988-08-22 1990-02-23 Hitachi Medical Corp 核磁気共鳴イメージング装置
KR19990068038A (ko) * 1998-01-28 1999-08-25 지이 요꼬가와 메디칼 시스템즈 가부시끼가이샤 자기 공명 촬영 장치 및 이동식 테이블
US20020013524A1 (en) 1998-06-15 2002-01-31 Yujiro Hayashi Mri vertical magnet apparatus and mri apparatus
US20010003218A1 (en) 1999-12-08 2001-06-14 Schaefer Danny Genius Aldegonda Carrier for medical facilities with a large displacement ran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8043770A (ja) 2008-02-28
KR20080016240A (ko) 2008-02-21
DE102007038613A1 (de) 2008-03-06
JP5096834B2 (ja) 2012-12-12
US20080045831A1 (en) 2008-02-21
US7874030B2 (en) 2011-01-25
DE102007038613B4 (de) 2019-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0715B1 (ko) 의료영상장비에 사용되는 크레이들 이송 장치
WO2021237887A1 (zh) 一种电动汽车换电站
CN106290946B (zh) 阵列式便隐血检测分析仪
EP2792304B1 (en) Medical examination-cum-surgery table
CN101600289A (zh) 用于x射线c臂的移动装置
JP6618008B2 (ja) 二軸引張試験用治具
JP2006133099A (ja) 表示用パネルの検査装置
DE112015006991T5 (de) Rotationskopf und Oberflächenmontagegerät
KR101663648B1 (ko)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용 반전기
US20100325793A1 (en) Examination bed movement device
CN101496722B (zh) 磁共振系统的病床驱动装置
JP6395254B2 (ja) 車両用リフト装置
JP5207069B2 (ja) 板材収納ラック、及び、板材収納ラック用の連動機構
CN109333507A (zh) 一种用于柔性电路板检测的爬行输送式机械手
KR20120025404A (ko) 평판상 피검사체의 검사장치
CN110972767B (zh) 一种立体种植托盘垂直传送装置
CN210181862U (zh) 一种思政教育用示教装置
CN217323861U (zh) 一种玻璃钢化炉的限位运行装置
CN117506210B (zh) 一种船舶锚链自动焊接设备
EP4357786A1 (en) Vertical transmission equipment
JPS62179698A (ja) 核燃料集合体組立装置
CN114187801B (zh) 一种电气实验用实训台
CN218922616U (zh) 伸缩式医用床
CN218378772U (zh) 一种现场勘测装置
JP2001252260A (ja) 磁気共鳴イメージング装置に用いられる寝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