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9646B1 - 축적형 방송 서비스 시스템 및 수신 축적 장치 - Google Patents

축적형 방송 서비스 시스템 및 수신 축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9646B1
KR100809646B1 KR1020027001903A KR20027001903A KR100809646B1 KR 100809646 B1 KR100809646 B1 KR 100809646B1 KR 1020027001903 A KR1020027001903 A KR 1020027001903A KR 20027001903 A KR20027001903 A KR 20027001903A KR 100809646 B1 KR100809646 B1 KR 1008096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channel
accumulation
storage
recep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19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40772A (ko
Inventor
켄니치 후지타
Original Assignee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407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07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96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96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27Arrangements for recording or accumulating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40Arrangements for broadcast specially adapted for accumulation-type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기억 매체를 사용한 정보 전송 서비스에 있어서, 확실한 체크를 보증하고, 더욱이 시청자의 편리성이 높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에서는 수신 축적 장치(11)상에, 축적 채널에 할당하기 위한 하나 또는 다수의 물리적 또는 논리적 단위로 배타적 기억 영역을 유지한다. 더욱이, 수신 축적 장치(11)는 축적 채널을 관리하는 축적 채널 관리부(101)와, 축적 채널의 정보 수신 예약을 하는 예약 처리부(102)와,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103)와, 수신한 정보를 관리함과 동시에 참조명과 축적명의 관계를 유지하는 축적 관리부 (104)와, 축적형 방송 서비스에 필요한 기능을 상기 축적 채널 관리부(101)에서 관리하는 정보를 기초하여 실현하는 축적 채널 조작 애플리케이션부(105)를 구비한다.
디지털 방송, 축적형 방송 서비스, 수신 축적 장치,

Description

축적형 방송 서비스 시스템 및 수신 축적 장치{STORAGE-TYPE BROADCAST SERVICE SYSTEM AND RECEPTION STORAGE UNIT}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에 이용하기 적합한 정보 전송 서비스 및 수신 축적 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대용량 기억 매체를 갖는 수신 축적 장치를 사용하여 양호한 서비스를 행하기 위한 방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방송 기술의 진보에 의해, 유한한 주파수 자원중에 대역을 유효하게 활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데이터 방송 등 다양한 서비스를 할 수 있게 되었 다. 데이터 방송 서비스는 종래의 영상, 음성만에 의한 서비스와는 달리, 정지 그림이나 문자 등의 멀티미디어 정보를 이용함으로써, 제작의 용이성, 인터액티브성 등의 관점에서 이후의 디지털 방송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서비스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미, 일기예보나 뉴스 등을 데이터 방송으로 실현하는 서비스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한 서비스는 시청자가 액세스하는 타이밍이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통상 동일한 데이터를 장기간에 걸쳐 반복 전송하는 것으로 실현되고 있다.
한 편, 디지털 기억 매체의 고밀도화, 저가격화가 진행되어 방송을 기억 매체에 일단 축적하고 나서 이용하는 서비스도 실용화되기 시작하고 있다. 통상의 프로그램 녹화기능외에, 시청중인 텔레비젼 프로그램을 상시 버퍼링하여 필요에 따라 재생하는 기능 등은 이미 실용화되었으며, 녹화된 프로그램의 하이라이트 시청 등의 새로운 서비스도 검토되기 시작했다.
이와 같이, 기록 매체를 유효하게 이용함으로써, 종래의 데이터 방송에서의 반복 전송에 의한 전송 대역의 이용 효율에 관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즉, 사전에 기록 매체에 데이터를 축적하여, 시청자는 필요한 때에 기록 매체에 축적된 데이터를 이용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을 이용하면, 한 번에 전송될 수 없었던 커다란 용량의 컨텐츠도 이용할 수 있어 서비스 질의 향상도 기대가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형태의 서비스를 운용하는데 있어서는 이하에 나타낸 것과 같은 문제가 고려된다.
1) 기억 매체의 이용 상태에 따라, 반드시 데이터가 축적 가능하다고는 말할 수 없다. 수신 축적 단말기에서의 기억 매체의 용량이 한정되는 반면, 그 기억 매체를 이용하는 서비스는 가지각색이다. 시청자의 이용 여부에 따라, 반드시 서비스를 즐기는데 필요한 기억 용량을 확보할 수 없는 경우가 존재한다.
2) 작은 컨텐츠 단위로 축적하면 시청자측에서 관리하기가 매우 성가시게 된다.
필요한 컨텐츠를 매 번 선택하여 수신 축적하도록 구성하면, 컨텐츠의 선택이나 수신후의 컨텐츠의 관리, 정리에 있어서 큰 조작이 필요하게 된다.
3) 기억 매체에 기록하는 정보는 송출측으로부터 지정되지 않으면 안된다.
이와 같은 형태의 서비스는 통상의 시청자의 지시에 의한 프로그램 녹화 등과는 달리, 송출측이 지정한 정보만을 확실하게 축적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것으로, 기억 매체를 사용한 정보 전송 서비스에서 확실한 축적을 보증하고, 더욱이 시청자의 편리성이 높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축적 채널"을 기본으로 한 축적형 방송 서비스를 구현한다. 축적 채널은 배타적으로 확보된 기억 영역으로의 정보 전송을 기초로 한 가상 채널로서 정의된다. 즉, 정보 제공원이 자기의 서비스를 이용하는데 있어서, 필요로 하는 기억 용량을 선언하고, 수신 축적 장치에서 선언된 기억 용량을 확보하고, 확보한 기억 영역에 자기가 제공하는 정보를 전송하는 모델이다. 축적형 방송 서비스는 축적 채널을 기초로 한 서비스이며, 축적 채널의 설치나 선국 조작을 제공한다.
상기 축적형 방송 서비스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수신 축적 장치는 축적 채널을 할당하기 위하여 하나 또는 다수의 물리적 또는 논리적 단위로 배타적 기억 영역을 유지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수신 축적 장치는 축적 채널을 관리하는 축적 채널 관리부와, 축적 채널의 정보 수신을 예약하는 예약 처리부와,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수신된 정보를 관리함과 동시에 참조명과 축적명의 관계를 유지하는 축적 관리부와, 축적형 방송 서비스에 필요한 기능을 상기 축적 채널 관리부에서 관리하는 정보를 바탕으로 실현하는 축적 채널 조작 애플리케이션부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본 발명은 상기 구성을 가짐으로써, 기억 매체를 사용한 정보 전송 서비스에 있어서, 확실한 축적을 보증하고, 더욱이 시청자의 편리성이 높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축적형 방송 서비스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억 매체의 배타적 기억 영역의 할당 모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축적 채널 관리부의 배타적 기억 영역 관리 정보의 리스트.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축적 채널 리스트 정보의 내용예를 나타낸 리스트.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축적 채널 관리 테이블의 내용예를 나타낸 리스트.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축적 채널 리스트의 화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축적 채널 설치 화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축적 채널 설치시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수신 축적 장치에서의 디렉토리 구성예를 나타낸 리스트.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축적 관리부에서의 파일명 변환예를 나타 낸 리스트.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축적 채널의 액세스시에 이용하는 리모컨의 정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형태에서의 축적 채널 선택시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량 관리부가 내부에 유지하는 배타적 기억 영역의 용량 테이블의 예를 나타낸 도면.
도 14는 계약 관리부를 포함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축적형 방송 서비스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송 스케쥴 정보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설치 해제, 구독 해제, 구독 재개를 위한 예약 처리부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
또한, 도면의 참조부호 (10)은 정보 송신 장치, (11)은 수신 축적 장치, (12)는 방송망, (101)은 축적 채널 관리부, (102)는 예약 처리부, (103)은 수신부, (104)는 축적 관리부, (105)는 축적 채널 조작 애플리케이션부, (106)은 표시부, (107)은 기록 매체, (108)은 지시 입력부, (109)는 계약관리부이다.
이하, 본 발명에서의 축적형 방송 서비스 시스템 및 수신 축적형 장치의 실시예에 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축적형 방송 서비스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1에서, (10)은 각종 방송 서비스 등의 정보를 방송의 형태로 송신하는 정보 송신 장치, (11)은 정보 송신 장치(10)로부터 송신된 방송 서비스 등의 정보를 수신하여 축적하는 수신 축적 장치이다. 정보 송신 장치(10)와 수신 축적 장치(11)는 방송망(12)을 통하여 접속되며, 수신 축적 장치(11)는 방송망(12)을 통하여 통상의 방송 서비스를 수신하는 기능을 탑재할 수 있다. 수신 축적 장치(11)에는 축적 채널이 설치되어 있다. 이 수신 축적 장치(11)는 축적 채널 관리부(101)와, 축적 채널 관리부(101)에 접속된 예약 처리부(102)와, 예약 처리부(102)에서의 예약 내용에 따라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103)와, 수신된 정보를 축적 관리하는 축적 관리부(104)와, 축적 채널의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축적 채널 조작 애플리케이션부(105)와, 축적 채널 조작 애플리케이션부(105)의 조작에 의해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106)와, 수신된 정보를 축적 또는 격납하는 기억 매체(107)와, 축적 채널 조작 애플리케이션부(105)에 대하여 각종 지시를 입력하는 지시 입력부(108)를 구비한다.
수신 축적 장치(11)에 있어서, 축적 채널 관리부(101)는 수신 축적 장치(11)에 설치된 축적 채널을 관리한다. 예약 처리부(102)는 축적 채널의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예약 동작을 한다. 수신부(103)는 정보 송신 장치(10)로부터 송신되는 각종 정보를 수신한다. 축적 관리부(104)는 수신부(103)에서 수신된 정보를 기억 매체(107)내에 축적한다. 축적 채널 조작 애플리케이션부(105)는 축적 채널 관리부 (101)의 관리 내용을 사용하여 축적 채널의 리스트 표시나 선국 기능을 담당한다. 표시부(106)는 축적 채널 조작 애플리케이션부(105)에서 생성된 화면을 표시한다. 기억 매체(107)는 여기에서는 내장 기억 매체를 예로 하였지만, 외장, 가동 매체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의 기억 매체에 관해서는 내장, 외장 등의 접속 형태, 접속 기억 장치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지시 입력부(108)는 시청자가 리모컨(도 11에 도시)을 사용하여 조작한 조작 내용을 수신한다.
도 2는 초기 상태에서 수신 축적 장치(11)에서의 기억 매체(107)의 배타적 기억 영역의 할당을 나타낸 도면이다. 기억 매체(107)의 총기억량이 100GB(기가바이트)로 하여, 이 기억 매체(107)는 80GB의 유저 역역 C와 2GB 단위로 10개의 배타 영역(D~M)으로 분할되어 초기화된다. 유저 영역은 통상의 방송 프로그램 녹화 등 시청자가 자유롭게 이용 가능한 영역이다. 이것에 대하여, 남은 20GB의 배타적 기억 영역은 축적 채널 이용을 위한 미리 준비된 영역이다. 기억 매체(107)로서는 하드 디스크, DVD-RAM, SD 카드, 메모리 카드 등의 이용이 고려된다. 또한, 수신 축적 장치(11)상에 탑재하는 배타적 기억 영역의 개수는 본 실시예에서는 10개였지만, 한 개 이상의 임의의 개수를 취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2중 D: ~ M:으로 식별되는 배타적 기억 영역에 대해서는 축적 채널 관리부(101)에서 관리한다. 축적 채널 관리부(101)에서는 설치되어 있는 배타적 기억 영역과 개개의 축적 채널과의 관계를 관리하지만, 초기 상태에서는 축적 채널이 1개도 설치되지 않는다. 이 상태에서의 축적 채널 관리부(101)의 배타적 기억 영역 관리 정보는 도 3과 같다.
이와 같이 초기화된 수신 축적 장치(11)에 축적 채널을 설치할 때의 동작예를 이하에 나타낸다. 먼저, 수신 축적 장치(11)는 방송망(12)을 통하여 제공되는 축적 채널 리스트 정보를 취득한다. 축적 채널 리스트 정보는 정기적으로 또는 필요에 따라 수신되고 축적 채널 관리부(101)의 관리하에 있는 영역에 축적된다. 또한, 축적 채널 리스트 정보는 상기 방송망(12)에 한정되지 않고, 위성 통신, 지상 파, 케이블 텔레비젼, 인터넷 등을 통하여 취득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는 본 실시예에서의 축적 채널 리스트 정보의 내용을 나타낸 도면이다. 채널 번호는 축적 채널을 시청자가 선택할 때 이용하기 위한 번호이다. 채널 호칭은 시청자에게 제시하기 위하여 축적 채널에 만들어진 이름이다. 채널 식별은 수신 축적 장치(11)에서 축적 채널을 독자적으로 식별하기 위한 이름이다. 축적 채널의 각 정보는 모두 이 식별명을 포함한 참조명을 갖는다. 기억 영역 정보는 축적 채널을 설치하기 위하여 필요한 배타적 기억 영역에 관한 정보이며, 배타적 기억 영역마다 대응하는 영역 식별과 기억 용량이 기재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축적 채널로서 이용하는 배타적 기억 영역이 2 GB 단위로 구성되는 것이 의무 지어진다. 이와 같이, 미리 정한 고정 용량 단위로 축적 채널의 용량을 정의하는 것은 수신 축적 장치(11)의 구성을 간이화하는 수단으로서 극히 유효한 것이 된다. 또한, 이와 같이, 고정 용량에 의한 운용을 하지 않는 경우, 수신 축적 장치(11)에서 용량 관리부를 설치하여 대응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축적 채널이 정의된 배타적 기억 영역의 용량을 항상 확보 가능하도록 기억 매체(107)로의 기입시에 용량 관리부가 그 서비스를 항상 감시할 필요가 있다.
도 13은 용량 관리부가 내부에 유지하는 배타적 기억 영역의 용량 테이블(이하, 용량 테이블)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용량 테이블은, 예를 들면, 채널 식별과 각 채널 식별이 현재 사용중인 배타적 기억 영역의 용량을 대응시켜 기억되고, 어느 하나의 채널 식별에 대응하는 배타적 기억 영역이 변화될 때마다 갱신된다. 이 용량 테이블의 정보를 기초로 용량 관리부는 새로운 컨텐츠나 축적 채널의 다운로 드가 가능한지를 판단한다.
또한, 용량 관리부는, 예를 들면, 축적 관리부(104)내에 포함되는 구성을 취하는 것이 가능하며, 또, 상기 용량 관리부의 기능은 범용 계산기에 상기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설치함으로써 실현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취하면, 수신 축적 장치(11)에 탑재하는 배타적 기억 영역의 용량은 임의의 값을 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서비스의 규모에 따라 다수의 고정 용량을 탑재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기억 영역 정보에 기재된 용량을 바탕으로, 확보해야 할 배타적 기억 영역이 추출된다.
도 4에서, 다운로드 정보는 축적 채널에 이용할 때 필요한 소프트웨어를 수신하기 위한 정보이다. 여기서는 다운로드 컨텐츠 수신을 위한 다운로드 로케이션 정보가 별도로 전송되고, DownloadId에 의해 식별 가능한 운용을 상정하고 있다. 축적 채널 설치시의 정보로서 다운로드 정보를 포함시킴으로써, 축적 채널에 고유의 기능을 확장하는 것이 가능하게 됨과 동시에, 다운로드의 확실성을 보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계약 정보는 축적 채널의 이용에 필요한 과금 정보 등을 기재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과금 정보만이 기재되고, 계약 실행을 위한 정보나 계약자에게 할당된 계약키의 송수신은 별도로 운용된다. 물론 다른 실시예에서, 계약 정보중에 상기 정보를 포함한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암호화 정보는 축적 채널의 정보를 암호화하여 전송하는 경우에 기재한다. 암호화 정보를 바탕으로 암호를 복호하기 위한 키를 수신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암호화 정보중에 직접 복호키를 기재한다. 엔트리 정보는 축적 채널을 선국한 때 실행되는 처리에 관하여 기 재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실행되어야 할 엔진명과 엔진에 부여되어야 할 파일명이 기재된다.
축적 채널 관리부(101)는 축적 채널의 설치 상태, 구독 상태 등을 관리하도록 축적 채널 관리 테이블을 보유하고 있다. 또한, 축적 채널의 설치는 배타적 기억 영역의 확보를 포함하고 축적 채널의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초기화 처리이며, 축적 채널의 구독은 설치된 축적 채널의 정보를 수신하는 것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에서의 축적 채널 관리 테이블의 내용을 나타낸 일 예이다. 여기서는 설치가 완료된 축적 채널에 대하여, 그 구독 상태, 계약 확인의 필요성, 암호키, 엔트리 동작에 관하여 일괄적으로 관리된다. 또한, 그러한 정보는 설치시에 축적 채널 리스트 정보로부터 취득될 수 있다.
수신 축적 장치(11)에서는 축적 채널 리스트 정보 및 축적 채널 관리 테이블을 이용하여 축적 채널 리스트 화면을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1에 나타낸 리모컨 등의 입력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행한 시청자로부터의 축적 채널 리스트 표시 명령을 지시 입력부(108)에서 수신할 때, 이 입력은 축적 채널 제어 애플리케이션부(105)로 전송되고, 축적 채널 제어 애플리케이션부(105)에서, 축적 채널 관리부 (101)에서 관리되는 축적 채널 리스트 정보 및 축적 채널 관리 테이블을 바탕으로 축적 채널 리스트 화면을 생성하고, 표시부(106)에서 화면을 표시한다. 도 6은 축적 채널 리스트 화면예이다. 화면상에는 축적 채널명, 채널 번호, 설치 유무, 구독 유무, 계약 정보(유료/무료), 필요한 배타적 기억 영역의 용량 등이 표시된다.
도 6의 축적 채널 리스트 화면상에서 축적 채널을 선택할 때, 설치되지 않은 축적 채널의 경우에는 축적 채널 제어 애플리케이션부(105)에서 설치 화면이 생성되고, 표시부(106)에서 화면이 표시된다. 설치 화면중에는 축적 채널을 설치하도록 필요한 정보가 표시된다. 도 7은 축적 채널 설치 화면예이다. 이 화면도 축적 채널 리스트 화면과 같이, 축적 채널 제어 애플리케이션부(105)에 의해, 축적 채널 관리부 (101)에서 관리되는 축적 채널 리스트 정보를 이용하여 작성된다.
도 8은 설치시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축적 채널의 설치는 개개의 축적 채널마다의 설치에 필요한 정보를 기재한 서비스 구성 정보에 따라 처리되고, 최초에 배타적 기억 영역을 확보하는 처리가 행해진다(S801). 서비스 구성 정보중의 축적 용량 정보로부터 배타 영역의 확보수를 결정하고, 현재 미사용인 배타 영역이 확보될 수 있는 지를 확인한다. 본 실시예에서 서비스 구성 정보는 축적 채널 리스트 정보로서 정보 송신 장치로부터 전송되고, 여기서는 도 4의 축적 채널 리스트 정보에 기재된 내용을 바탕으로 처리가 행해지는 전제에서 기재된다. 또한, 도 4의 축적 채널 리스트 정보에서 개개의 축적 채널에 해당하는 열의 내용이 서비스 구성 정보로 될 수 있다. 도 4의 축적 채널 리스트 정보에서 정의된 축적 채널중 채널 호칭이 채널 1000인 축적 채널을 설치하는 경우, 도 4의 기억 영역 정보에 기초하여 2GB의 배타적 기억 영역을 2개 확보할 필요가 있다. 축적 채널 관리부(101)에서 관리하는 배타적 기억 영역 관리 정보(도3)를 검색하고, 빈 영역을 탐색한다. 현상태에서는 모두 배타적 기억 영역으로 사용 가능하고, 여기서는 D: 및 E: 2개의 배타 영역이 채널 1000을 위하여 확보된다. 그 축적 채널용의 디렉토리를 작성하고, 각 배타적 기억 영역을 나타낸 디렉토리명에 마운트된다(그 디렉토리 이하의 파일은 모두 그 배타적 기억 영역에 축적된다). 이 상태에서의 디렉토리 구성은 도 9에 나타낸 것과 같다. 본 실시예에서 축적 채널은 /preston 디렉토리 하에 작성된다. 이 디렉토리는 수신 축적 장치마다 결정되고, 임의로 설정 가능하다.
서비스 구성 정보중에 다운로드 로케이션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그 지시에 따라 필요한 소프트웨어의 다운로드 실행 또는 예약 처리를 한다(S803,S804). 여기서, 다운로드 소프트웨어의 내용, 송출 방법, 수신 방법 등은 관계없다. 서비스 구성 정보중에 계약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계약 확인 처리를 한다(S805,S806). 또한, 계약키는 별도로 전송되어 도 14에 나타낸 계약 관리부(109)에서 관리되고, 정기적 및 계약 상태 변화시에 갱신된다. 여기서는 계약 처리의 내용, 실행 방법 등은 관계없다. 축적 채널 정보중에 암호화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복호키 수신 처리를 한다(S807,S808). 암호화의 방식이나 키 수신의 방법 등은 관계없다. 다운로드 소프트웨어의 수신, 복호키의 수신도 포함되며, 이상의 처리가 완결된 시점에서 설치 처리는 종료이고, 축적 채널 관리 테이블에 그 축적 채널을 등록한 후, 축적 채널로서 전송되는 정보의 수신 처리를 개시한다(본 실시예에서는, 설치 종료시에는 자동적으로 구독 상태로 된다). 또한, 이러한 처리는 각각의 정보가 별도로 전송될 가능성도 있고 비동기로 행해지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또한, 도 8에 나타낸 축적 채널 설치 동작은 범용 계산기에 상기 스텝(S801~S812)을 기능시키는 프로그램을 설치함으로써 실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6은 설치 해제, 구독 해제, 구독 재개를 위한 예약 처리부(102)가 행하는 동작의 흐름도를 나타낸 것이다.
설치의 해제는 이하의 동작을 한다.
1) 예약 처리부(102)에서의 해당 축적 채널에 관한 예약 내용을 모두 소거한다(S1602).
2) 해당 축적 채널에 해당하는 디렉토리를 모두 소거한다(S1603).
3) 해당 축적 채널용으로 할당된 배타적 기억 영역의 마운트를 제거한다 (S1604).
4) 해당 축적 채널을 미설치 상태로 한다(S1605).
설치되어 있는 축적 채널에 대한 구독 해제는 이하의 동작을 한다.
1) 예약 처리부(102)에서의 해당 축적 채널에 관한 예약 내용을 모두 소거한다(S1610).
2) 해당 축적 채널을 구독 중단중 상태로 한다(S1611).
구독 재개는 이하의 동작을 한다.
1) 예약 처리부(102)에서 해당 축적 채널의 예약 수신처리를 개시한다 (S1608).
2) 해당 축적 채널을 구독중 상태로 한다(S1609).
이와 같이, 축적 채널 리스트 정보로서 축적 채널 정보를 송신하고, 축적 채널 관리부(101)에서 축적 채널의 상태를 관리함과 동시에, 수신 축적 장치(11)내에 삽입된 배타적 기억 영역과 축적 채널을 관련지어 관리함으로써, 시청자가 원하는 축적 채널을 필요한 타이밍에 짜 넣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시청자는 축적 채널상에 존재하는 개개의 파일을 의식할 필요가 없이, 축적 채널의 설치, 구독만을 관리 하면 되어 편리성이 우수하다. 또한, 상기 설치 해제, 구독 해제, 구독 재개의 각 기능은 도 16에 나타낸 흐름도를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범용 계산기에 설치함으로써도 실현될 수 있다.
다음, 축적 채널의 정보 송수신, 축적 관리, 정보 이용에 관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축적 채널의 정보 수신 처리는 전송 스케쥴 정보에 기초하여 행해진다. 전송 스케쥴 정보는 정보 송신 장치(10)에서 축적 채널마다 생성되고, 축적 채널 리스트 정보중 또는 서비스 구성 정보에 포함시키는 등으로서 전송되고, 축적 채널 관리부(101)의 관리하에서 관리된다. 예약 처리부(102)에서는 축적 채널 관리부 (101)에서 관리되는 전송 스케쥴 정보를 바탕으로,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103)의 기동 관리를 한다. 도 15는 전송 스케쥴 정보의 일 예이며, 전송 채널 번호, 송출 개시 시각, 송출 종료 시각의 정보가 부여된다. 예약 처리부(102)에서는 이러한 정보를 바탕으로, 예를 들어 예약 처리부(102)내에 타이머를 설치하고, 상기 타이머에 수신 스케쥴을 등록하고(여기서는 송출 개시 시각을 세트), 타이머 구동에 의해 송출 개시 시각에 송출 채널로의 튜닝을 하고, 수신부(103)를 기동시킨다. 축적 채널의 정보 전송시에 있어서는 축적 채널을 구성하는 정보 파일에서 임의의 다수의 파일을 다중/패킷화하여 전송한다. 이 중에는 다음회 이후의 정보 전송의 스케쥴을 나타내는 전송 스케쥴 정보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한다.
수신부(103)는 전송 패킷을 디코드하고, 수신부(103)내의 수신 버퍼상에 파일을 추출한다. 이 때, 이러한 파일은 암호화되어 전송되는 것도 고려된다. 설치시에 복호키를 수신하고 있는 경우에는 그 키를 이용하여 암호를 복호화한다. 개개의 파일에는 파일 생성시간에 부여된 이름이 기재되어 있다. 축적 관리부(104)에서는 부여된 이름을 바탕으로 축적되어야 할 영역을 확정하고 기억 매체(107)에 축적한다. 또한, 여기서 전송시에 부여되는 파일명은 개개의 정보중에서 참조하는 경우 참조명으로서도 이용된다.
도 10은 축적 관리부(104)에서 처리하는 전송시에 부여된 파일명을 수신 축적 장치상에서 관리되는 파일명으로 변환하는 예를 나타낸다. 여기서는 전송시에는 "file://" 문자열 이후에, 축적 채널 식별(AAA)과, 이것 이후의 파일 패스명을 기재한다. 수신 축적 장치(11)에서, 축적 채널은 모두 /preston 이하의 디렉토리에 생성되는 것으로 하여, 축적 채널 1000을 설치한 시점에서, /preston/AAA 디렉토리 및 /preston/AAA/aaa 디렉토리가 생성된다. 따라서, 전송시에 부여된 파일명(참조명)의 선두 문자열 "file://" 을 "/preston/"으로 치환함으로써, 축적시에 부여되어야 할 파일명을 추출할 수 있다. 이 때, /preston/AAA는 배타적 기억 영역 D:에, /preston/AAA/aaa는 배타적 기억 영역 E:에 각각 마운트되어 있기 때문에, HYPERLINK file://AAA/abc.bin file://AAA/abc.bin 파일은 /preston/AAA/abc.bin 파일명으로 배타적 기억 영역 D:에, HYPERLINK file://AAA/aaa/def.bin file ://AAA/aaa/def.bin은 /preston/AAA/aaa/def.bin 파일명으로 배타적 기억 영역 E:에 각각 격납된다. 또한, 축적 관리부(104)에서의 이와 같은 전송 파일명(참조명)의 축적 파일명으로의 변환 처리는 파일중에서 다른 파일을 참조하는 경우 등에도 이용된다.
예약 처리부(102)에서는 새롭게 수신된 전송 스케쥴 정보 등을 기초로 하여 다음회 이후의 수신 예약을 실행한다. 이렇게 해서 축적 채널로서 전송되는 각종 정보는 시청자가 의식하지 않고, 자동적으로 기억 장치내에 축적, 갱신된다. 따라서, 시청자는 축적 채널 설치후, 항상 최신의 정보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 이와 같이 세트되어 있는 수신 축적 장치에서, 축적 채널에 액세스하고, 정보를 제시하는 경우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축적 채널의 액세스시에 이용하는 리모컨의 일 예이다. 통상 이용시에는 채널 UpDown 버튼(1101)이나 수치 입력 버튼(1102)을 누름으로써 방송 서비스를 선택하여 시청할 수 있다. 축적 채널에 액세스하는 경우에는 모드 전환 버튼(1103)을 눌러 모드를 「축적 채널」로 세트한다. 또한, 이 모드 전환 버튼(1103)은 텔레비젼 방송, 라디오 방송 등의 방송 종류를 전환하기 위한 버튼, 또는 다수의 방송 네트워크를 전환하는 버튼 등과 공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모드 전환 버튼(1103)을 설치하지 않고, 통상의 방송 서비스의 연속으로서 축적 채널을 제시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축적 채널 선국 모드의 상태에서 채널 UpDown 버튼(1101) 또는 수치 입력 버튼(1102)을 조작함으로써, 축적 채널을 선국하는 것이 가능하다. 채널 UpDown 버튼 (1101)은 채널 번호 다음에 큰/작은 축적 채널을 제시할 때 이용한다. 수치 입력 버튼(1102)은 직접 축적 채널 번호를 지정하여 제시할 때 이용한다. 리모컨의 시청자 조작은 지시 입력부(108)를 통하여 축적 채널 제어 애플리케이션부(105)로 전송된다. 축적 채널 제어 애플리케이션부(105)에서는 축적 채널 관리부(101)에서 관리하는 축적 채널 리스트 정보를 기초하여, 선택되어야 할 축적 채널을 추출할 수 있다. 이 때, 축적 채널 관리부(101)에서 동일하게 관리되는 축적 채널 관리 테이블 에 기재된 축적 채널의 설치 상태, 구독 상태도 용이하게 참조가능하기 때문에, 설치하고 있는 축적 채널만의 선국, 구독중의 축적 채널만의 선국을 실행하는 것도 용이하다. 또한, 리모컨에서 직접 지정하는 것 뿐만 아니라, 상술한 축적 채널 리스트 화면 등의 화면을 통하여 축적 채널을 선국시키도록 하는 것도 용이하다.
도 12는 축적 채널 선택시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축적 채널이 결정될 때, 축적 채널 제어 애플리케이션부(105)에서는 먼저 축적 채널이 현재 설치되어 있는지를 체크한다(S1201). 이 정보는 축적 채널 관리부(101)로부터 입수 가능하다. 설치되지 않은 축적 채널의 경우, 축적 채널 관리부(101)에서 관리하고 있는 서비스 구성 정보를 참조하여 설치 화면을 표시한다(S1202). 이 후의 처리는 상기 내용과 동일하다. 설치되어 있는 축적 채널의 경우, 다음으로 구독중인지가 체크된다(S1203).
구독 중단중의 경우, 구독 재개화면을 제시한다(S1204). 이 후의 처리는 상기 내용과 동일하다. 구독중의 경우, 계약의 유무를 체크한다(S1205). 계약의 유효성이 계약 관리부(109)에서 일괄적으로 관리되어, 축적 채널 식별을 계약 관리부 (109)로 넘겨줌으로써, 현시점에서의 계약 유효성의 유무가 판별된다(S1206). 계약 관리부(109)는, 예를들어 IC 카드 등으로 실현된다. 현시점에서 계약 유효성이 만족되지 않는 경우에는 계약 불가를 나타낸 메시지를 표시한다(S1207). 계약 유효성이 만족되어 있는 경우에는 축적 채널마다에 설정되는 엔트리 동작을 실행한다 (S1208). 엔트리 동작에는 기동하는 엔진의 지정, 그 때의 초기 정보등이 포함된다. 초기 정보는 각 실행 엔진마다에 정의되고, 축적 채널 제어 애플리케이션부 (105)가 엔진을 기동할 때 축적 채널 관리부(101)에서 관리하는 초기 정보를 그대로 해당 엔진으로 준다.
또한, 도 12에 나타낸 축적 채널 선택시의 동작은 범용 계산기에 도 12에 나타낸 스텝(S1201~S1209)으로 기능시키는 프로그램을 설치함으로써 실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축적 채널 관리부(101)의 관리에 따라 축적 채널 조작 애플리케이션부(105)가 처리함으로써, 기억 매체(107)상에 축적된 정보를 축적 채널로서 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통상의 방송 서비스와 동일한 유저 인터페이스로 액세스하는 것도 가능하게 되어 매우 큰 편리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축적 채널의 정보 이용에 관하여, 선국 동작으로서 엔트리 동작으로부터 개시하는 방법을 기재하였지만, 축적 관리부(104)에서의 참조명-축적명의 변환 기능을 이용함으로써, 직접 파일을 지정하여 참조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통상의 방송 프로그램에서 축적 채널로서 전송된 파일을 사용한 데이터 방송 기능을 실현하는 것 등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기재된 수신 축적 장치는 범용 계산기에 상기 수신 축적 장치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을 설치함으로써 동일한 기능을 실현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기재된 정보 송신 장치는 범용 계산기에 상기 정보 송신 장치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을 설치함으로써, 동일한 기능을 실현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지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을 이용함으로써,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정보는 송출측으로부터 지정된 축적 채널을 기본 구성 요소로 하는 축적형 방송 서비스가 실현 가능하다. 그 결과, 의도한 정보를 확실히 축적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됨과 동시에, 정보량이 증대되고 작은 컨텐츠 단위의 축적 정보가 증대된 경우에서도 간편한 이용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33)

  1. 삭제
  2. 정보를 송신하는 정보 송신 장치와 정보를 수신하고 축적하는 수신 축적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수신 축적 장치에서 특정의 축적 채널에 배타적으로 이용가능한 기억 영역을 관리하고, 해당 축적 채널로서 송신된 정보를 상기 수신 축적 장치내의 해당 배타적 기억 영역에 격납하고,
    상기 축적 채널마다 배타적 기억 영역의 용량을 지정하고, 상기 수신 축적 장치에서 축적 채널에 지정된 기억 용량에 합치하는 배타적 기억 영역을 축적 채널 전용에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적형 방송 서비스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축적 장치는 미리 고정 용량의 다수의 배타적 기억 영역을 탑재하고, 축적 채널마다 지정되어질 기억 영역의 용량을 상기 고정 용량 단위로 정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적형 방송 서비스 시스템.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송신 장치는 상기 수신 축적 장치에서 확보해야 할 기억 용량, 축적 채널 이용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축적 채널의 이용에 관한 계약 정보, 암호화되어 송신되는 정보를 복호하기 위한 암호화 정보, 정보를 수신하 기 위한 전송 스케쥴 정보, 축적 채널 선택시의 초기 동작을 규정하는 엔트리 정보, 또는 그러한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정보중 적어도 하나를 기재한 서비스 구성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적형 방송 서비스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축적 장치는 서비스 구성 정보를 사용하여 축적 채널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적형 방송 서비스 시스템.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축적 장치는, 서비스 구성 정보중에 기재된 기억 용량에 기초하여 배타적 기억 영역을 확보하고, 확보한 영역을 해당 축적 채널에 관련지어 관리함과 동시에 서비스 구성 정보의 기재에 기초하여 소프트웨어의 수신, 계약키의 수신, 암호키의 수신을 행하고, 상기 수신의 성공후 해당 축적 채널의 정보 수신을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적형 방송 서비스 시스템.
  7. 제 2항 또는 3항에 있어서, 운용중의 축적 채널의 리스트 정보로서 적어도 축적 채널 식별, 및 축적 채널마다의 서비스 구성 정보 또는 서비스 구성 정보 수신을 위한 정보를 기재한 축적 채널 리스트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적형 방송 서비스 시스템.
  8. 축적 채널을 관리하는 축적 채널 관리부와, 축적 채널의 정보를 수신하기 위하여 예약 처리를 행하는 예약 처리부와,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수신한 정보 를 축적 관리함과 동시에 정보를 참조하기 위한 이름과 수신 축적 장치내에 격납된 이름을 관련지어 관리하는 축적 관리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축적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축적 채널 관리부는 축적 채널 리스트 정보를 관리함과 동시에 상기 축적 채널 리스트 정보를 이용하여 축적 채널 리스트 화면을 생성하는 축적 채널 제어 애플리케이션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축적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축적 채널 리스트 화면상에 개개의 축적 채널의 정보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축적 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축적 채널의 정보가 설치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축적 장치.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축적 채널의 정보가 구독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축적 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독 상태는 미구독, 구독중, 구독 중단중의 상태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축적 장치.
  14. 제 8항에 있어서, 통상의 채널 선택과 동일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축적 채널의 선국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축적 장치.
  15. 제 8항에 있어서, 설치되지 않은 축적 채널을 선국한 경우, 설치 화면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축적 장치.
  16. 제 8항에 있어서, 구독 중단중의 축적 채널을 선국한 경우, 구독 재개화면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축적 장치.
  17. 제 8항에 있어서, 구독중의 축적 채널을 선국한 경우, 계약 정보를 기초하여 계약의 유무를 확인하고, 계약 확인이 성공한 경우에는 엔트리 정보에 따라 동작하고, 계약 확인이 실패한 경우에는 계약 불비를 나타낸 메시지를 화면상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축적 장치.
  18. 제 8항에 있어서, 용량 관리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용량 관리부는 축적 채널의 배타적 기억 영역의 용량을 감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축적 장치.
  19. 제 8항에 있어서, 계약 관리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수신부가 수신한 상기 서비스 구성 정보중에 계약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계약 관리부가 계약의 유 효성을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축적 장치.
  20. 수신 축적 장치가 확보해야 할 기억 용량, 축적 채널 이용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축적 채널의 이용에 관한 계약 정보, 암호화되어 송신되는 정보를 복호하기 위한 암호화 정보,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전송 스케쥴 정보, 축적 채널 선택시의 초기 동작을 규정하는 엔트리 정보, 또는 그러한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정보중 적어도 하나를 기재한 서비스 구성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송신 장치.
  21. 축적 채널 관리부가 축적 채널을 관리하고, 예약 처리부가 축적 채널의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예약 처리를 하고, 수신부가 정보를 수신하고, 축적 관리부가 수신된 정보를 축적 관리함과 동시에 정보를 참조하기 위한 이름과 수신 축적 장치내에 격납된 이름을 관련지어 관리하는 수신 축적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축적 채널 관리부가 축적 채널 리스트 정보를 관리함과 동시에, 상기 축적 채널 리스트 정보를 이용하여 축적 채널 리스트 화면을 생성하는 축적 채널 제어 애플리케이션부로서 기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축적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축적 채널 리스트 화면상에 개개의 축적 채널의 정보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축적 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축적 채널의 정보가 설치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축적 방법.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축적 채널의 정보가 구독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축적 방법.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구독 상태는 미구독, 구독중, 구독 중단중의 상태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축적 방법.
  27. 제21항에 있어서, 통상의 채널 선택과 동일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축적 채널의 선국이 가능한 수신 축적 방법.
  28. 제21항에 있어서, 설치되지 않은 축적 채널을 선국한 경우, 설치 화면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축적 방법.
  29. 제21항에 있어서, 구독 중단중인 축적 채널을 선국한 경우, 구독 재개 화면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축적 방법.
  30. 제21항에 있어서, 구독중인 축적 채널을 선국한 경우, 계약 정보를 기초하여 계약의 유무를 확인하고, 계약 확인이 성공한 경우에는 엔트리 정보에 따라 동작하고, 계약 확인이 실패한 경우에는 계약 불비를 나타낸 메시지를 화면상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축적 방법.
  31. 제21항에 있어서, 용량 관리부가 축적 채널의 배타적 기억 영역의 용량을 감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축적 방법.
  3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가 수신한 상기 서비스 구성 정보중에 계약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계약 관리부가 계약의 유효성을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축적 방법.
  33. 수신 축적 장치가 확보해야 할 기억 용량, 축적 채널 이용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축적 채널의 이용에 관한 계약 정보, 암호화되어 송신되는 정보를 복호하기 위한 암호화 정보,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전송 스케쥴 정보, 축적 채널 선택시의 초기 동작을 규정하는 엔트리 정보, 또는 그러한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정보중 적어도 하나를 기재한 서비스 구성 정보를 송신 장치가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축적 방법.
KR1020027001903A 2000-06-13 2001-06-11 축적형 방송 서비스 시스템 및 수신 축적 장치 KR1008096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177631 2000-06-13
JPJP-P-2000-00177631 2000-06-13
JP2001128502A JP4766770B2 (ja) 2000-06-13 2001-04-25 蓄積型放送サービスシステムおよび受信蓄積装置
JPJP-P-2001-00128502 2001-04-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0772A KR20020040772A (ko) 2002-05-30
KR100809646B1 true KR100809646B1 (ko) 2008-03-05

Family

ID=265938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1903A KR100809646B1 (ko) 2000-06-13 2001-06-11 축적형 방송 서비스 시스템 및 수신 축적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330635B2 (ko)
EP (1) EP1207692A4 (ko)
JP (1) JP4766770B2 (ko)
KR (1) KR100809646B1 (ko)
CN (2) CN100450165C (ko)
AU (1) AU6423801A (ko)
WO (1) WO200109751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3994B1 (ko) * 2002-03-14 2004-10-26 주식회사 에이치 제이 텍 마그네슘 및 마그네슘합금의 다이내믹 에칭을 통한 2층무전해 니켈 도금방법
US7587715B1 (en) * 2002-12-31 2009-09-08 Emc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ve installation of one or more components for a data storage management system
US7822428B1 (en) * 2004-03-01 2010-10-26 Adobe Systems Incorporated Mobile rich media information system
JP4498113B2 (ja) * 2004-12-03 2010-07-07 キヤノン株式会社 記録装置及び記録装置の制御方法
US7721318B2 (en) * 2005-04-15 2010-05-18 Scientific-Atlanta, Inc. Uplink signaling for global decoder control
US7810131B2 (en) * 2005-04-15 2010-10-05 Scientific-Atlanta, Llc Control system with global control stream for controlling a plurality of decoders
KR100749202B1 (ko) * 2005-08-17 2007-08-1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축적 방송 컨텐츠 생성 장치
JP5028115B2 (ja) * 2006-09-07 2012-09-19 キヤノン株式会社 記録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062666B2 (ja) * 2007-04-17 2012-10-31 京セラ株式会社 携帯通信端末
JP5541488B2 (ja) * 2009-02-09 2014-07-09 ソニー株式会社 コンテンツ受信装置および方法
TWI545955B (zh) * 2011-04-28 2016-08-11 Sony Corp Signal receiving apparatus and method, a signal transmission apparatus and method, and progra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1013695A2 (fr) 1990-03-16 1991-09-19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S.A. Recepteur-enregistreur d'emissions de television
JPH0965288A (ja) * 1995-08-28 1997-03-07 Sony Corp 番組送出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139861A1 (en) * 1992-07-08 1994-01-20 Bernard J. Craig Media server for supplying video and multi-media data over the public telephone switched network
JP2903942B2 (ja) * 1993-05-19 1999-06-1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セットトップターミナル
US5768539A (en) * 1994-05-27 1998-06-16 Bell Atlantic Network Services, Inc. Downloading applications software through a broadcast channel
JP3564748B2 (ja) * 1994-08-19 2004-09-15 ソニー株式会社 受信装置及び放送内容記録方法
JPH09245049A (ja) * 1996-03-05 1997-09-19 Toshiba Corp 情報受け取り方法および装置
JPH10336611A (ja) * 1997-05-30 1998-12-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ータ放送受信装置
JP3983853B2 (ja) * 1997-07-31 2007-09-2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放送受信装置
JPH11103450A (ja) * 1997-09-29 1999-04-13 Sony Corp ディジタル放送システムおよびディジタル放送受信装置
JPH11112494A (ja) * 1997-10-03 1999-04-23 Mitsubishi Electric Corp クライアント・サーバシステム
EP0907285A1 (en) * 1997-10-03 1999-04-07 CANAL+ Société Anonyme Downloading data
JP3561154B2 (ja) * 1997-12-26 2004-09-02 株式会社東芝 放送受信装置および契約管理装置
JPH11232727A (ja) * 1998-02-18 1999-08-27 Hitachi Ltd Av機器およびav機器の録画方式
JP3361997B2 (ja) * 1998-05-07 2003-01-0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放送送信装置及び放送送信方法
EP0969666A3 (en) * 1998-06-30 2005-02-16 Tokyo Broadcasting System Inc. Broadcasting apparatus and terminal apparatus for digital broadcasting service
JP2000036781A (ja) * 1998-07-17 2000-02-02 Sony Corp 著作権管理装置、著作物配信装置および著作物配信受信システム
JP4382178B2 (ja) * 1998-09-11 2009-12-0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受信装置
JP2000137607A (ja) * 1998-10-29 2000-05-16 Sanyo Electric Co Ltd デジタルテレビジョン受像機
EP1057329B1 (en) * 1998-12-23 2007-12-05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Apparatus for receiving programs
JP3619427B2 (ja) * 1999-11-05 2005-02-09 株式会社ビューポイント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情報表示装置
JP2001169235A (ja) * 1999-12-13 2001-06-22 Jisedai Joho Hoso System Kenkyusho:Kk 受信装置と蓄積コンテンツの消去方法
US6862657B1 (en) * 1999-12-21 2005-03-01 Intel Corporation Reading data from a storage medium
JP2001251576A (ja) * 2000-03-03 2001-09-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番組受信装置および蓄積放送課金装置
WO2001080565A2 (en) * 2000-04-17 2001-10-25 Cachestream Corporation Channel dancer, virtual channel schedul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1013695A2 (fr) 1990-03-16 1991-09-19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S.A. Recepteur-enregistreur d'emissions de television
JPH0965288A (ja) * 1995-08-28 1997-03-07 Sony Corp 番組送出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766770B2 (ja) 2011-09-07
AU6423801A (en) 2001-12-24
WO2001097515A1 (fr) 2001-12-20
CN100450165C (zh) 2009-01-07
US7330635B2 (en) 2008-02-12
EP1207692A4 (en) 2009-06-03
US20030185540A1 (en) 2003-10-02
CN1592380A (zh) 2005-03-09
CN1207904C (zh) 2005-06-22
CN1389066A (zh) 2003-01-01
JP2002077080A (ja) 2002-03-15
EP1207692A1 (en) 2002-05-22
KR20020040772A (ko) 2002-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07315B2 (ja) 前に放送された内容を番組の録画に組み込む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776523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solving conflicts and managing system resources in multimedia delivery systems
JP5010803B2 (ja) 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受信機及び方法
US8819727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ent delivery with multiple embedded messages
JP4389353B2 (ja) 録画代行装置
MXPA04002733A (es) Guia de previsualizacion de canal virtual.
US20030110504A1 (en) Dividing and managing time-shift buffering into program specific segments based on defined durations
KR20110116023A (ko) 콘텐츠 수신 장치 및 방법, 콘텐츠 송신 장치 및 방법, 프로그램, 및 기록 매체
KR100809646B1 (ko) 축적형 방송 서비스 시스템 및 수신 축적 장치
WO2011146237A2 (en) Method and system of building a wanted list queue for a user in a content distribution system
KR100659191B1 (ko) 주문형 비디오 서비스의 효율적 운영방법 및 시스템
JP4433754B2 (ja) 情報提供システム及び情報提供方法、録画装置及び録画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20020040476A1 (en) Electronic program guide
JP4943548B2 (ja) 受信蓄積装置
WO2001093587A2 (en) Method and system for pausing and replaying scheduled rich media broadcasts
US20030110487A1 (en) Computerised method for operating an interactive digital television broadcast
JP5671343B2 (ja) 番組受信装置、番組送受信システム、番組受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KR100557289B1 (ko) 예약 다운로드에 의한 이동형 방송서비스의 채널 확장장치 및 방법
KR100871872B1 (ko) Pc용 ecg 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방법
KR20060114546A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에서의 브이오디 서비스 시스템 및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