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6920B1 - 평면 수직형 스크린 장치와 이의 구동방법 - Google Patents

평면 수직형 스크린 장치와 이의 구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6920B1
KR100806920B1 KR1020070079223A KR20070079223A KR100806920B1 KR 100806920 B1 KR100806920 B1 KR 100806920B1 KR 1020070079223 A KR1020070079223 A KR 1020070079223A KR 20070079223 A KR20070079223 A KR 20070079223A KR 100806920 B1 KR100806920 B1 KR 1008069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chain
water
screen plate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92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희
Original Assignee
중앙종합기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중앙종합기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중앙종합기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792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69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69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69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8Details, e.g. gates, screens
    • E02B5/085Arresting devices for waterborne materials, e.g. grat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수로의 물이 장치를 통과하기 전후의 수두차를 최소화할 수 있는 상태에서 수로를 따라 흐르는 물의 수직 단면을 통과하여 협잡물을 손쉽게 걸러낼 수 있도록 하면서 수로를 따라 흐르는 물의 유압에 의한 과도한 구동부하의 발생이 원활히 방지되도록 하고 작은 공간에도 설치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평면 수직형 스크린 방법이 개시된다. 이 방법은 수로를 따라 유동되는 물이 스크린판을 통과하기 전과 후에 형성되는 수두차를 최소화시키는 상태로 상기 수로를 따라 유동되는 물에 포함된 협잡물을 걸러내도록, 협잡물이 걸리는 상기 스크린판이 다수개로 연이어지게 결합되고 상기 수로를 통과하는 물에 수직으로 배치된 상태로, 상기 스크린판이 상기 수로를 통과하는 물의 수직 단면 상에서 일렬로 회전시키는 것이다.
수로, 배수로, 협잡물, 스크린판, 수직형, 제진기

Description

평면 수직형 스크린 장치와 이의 구동방법{Plane vertical type screen apparatus and driv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수로에 설치되어 협잡물을 제거하는 제진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로의 단면을 횡단하면서 협잡물을 걸러낼 수 있도록 하면서 수로를 따라 흐르는 물의 유압에 의한 과도한 구동부하의 발생이 원활히 방지되도록 하고 작은 공간에도 설치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평면 수직형 스크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협잡물 스크린 장치는 수로에 설치되어 수로를 따라 물과 함께 이동되는 협잡물을 스크린부로 걸러낸 후에 상기 스크린부를 무한궤도로 이동시키면서 상기 스크린부에 걸린 협잡물을 제거하는 수로의 협잡물 제거장치의 일종이다.
도 12와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이동식 스크린 장치는 수로를 따라 내측이 관통되는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에 설치된 구동모터(201)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스프로킷(202)과 한 쌍의 아이들스프로킷(203)의 사이에 이송체인(204)이 무한궤도로 설치되는 구동부(200)와, 상기 본체(100)의 개방 된 전면을 가리면서 협잡물이 걸리도록 상기 이송체인(204)의 내측 사이에 장착되는 스크린바(301)와 상기 스크린바(301)의 하단에 수직으로 장착되는 레이크(302)를 갖는 스크린부(300)와, 상기 본체(100)의 상단 하부로 상기 스크린바(301)에 걸린 협잡물을 긁어내는 스크레이퍼(400)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이동식 스크린 장치는 구동모터(201)의 구동에 따라 구동스프로킷(202)이 회전되면서 아이들스프로킷(203)에 지지된 상태로 이송체인(204)이 무한궤도로 이동되고 그에 따라 상기 이송체인(204)에 장착된 스크린바(301)와 레이크(302)가 수로의 협잡물을 포획한 상태로 상기 이송체인(204)과 함께 상승된다.
그리고, 상기 스크린바(301) 및 레이크(302)와 함께 상승된 협잡물은 본체(100)의 상부로 수로의 외부에서 회전 구동되는 스크레이퍼(400)에 의해 제거된다.
이때, 상기 스크레이퍼(400)는 회전되면서 스크린바(301)의 사이를 긁어 상기 스크린바(301)에 걸려있는 협잡물을 긁어내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종래의 스크린 장치는 스크린부가 수로를 종단하여 투입되었다가 방향을 전환하여 다시 배출되는 등 두 번에 걸쳐 수로를 종단하면서 협잡물을 제거함으로써, 수로를 따라 흐르는 물에 많은 저항력을 발생시켜 스크린부를 통과하기 전후의 물의 수두차가 현저히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와 같은 물에 가해진 저항력은 반대로 스크린부의 작동 시에 과도한 구동부하를 발생시키는 요인이 되어 왔다.
이와 같이 상기 스크린부가 두 번에 걸쳐 종단되는 구조임으로, 수로를 따라 설치되는 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수로의 물이 장치를 통과하기 전후의 수두차를 최소화할 수 있는 상태에서 수로를 따라 흐르는 물의 수직 단면을 통과하여 협잡물을 손쉽게 걸러낼 수 있도록 하면서 수로를 따라 흐르는 물의 유압에 의한 과도한 구동부하의 발생이 원활히 방지되도록 하고 작은 공간에도 설치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평면 수직형 스크린 장치와 이의 구동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스크린판의 회전 이동이 안정적이면서 정밀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평면 수직형 스크린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스크린판에 걸린 협잡물이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하는 평면 수직형 스크린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평면 수직형 스크린 장치의 구동방법은 수로를 따라 유동되는 물이 스크린판을 통과하기 전과 후에 형성되는 수두차를 최소화시키는 상태로 상기 수로를 따라 유동되는 물에 포함된 협잡물을 걸러내도록, 협잡물이 걸리는 상기 스크린판이 다수개로 연이어지게 결합되고 상기 수로를 통과하는 물에 수직으로 배치된 상태로, 하나의 구동체인과 양옆의 가이드레일에 의해 상기 스크린판이 상기 수로를 통과하는 물의 수직 단면 상에서 일렬로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평면 수직형 스크린 장치는 정면과 배면이 개방된 상태로 수로에 설치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개방된 정면을 통해 유입되는 물에서 협잡물을 걸러내도록 물의 흐름방향에 수직으로 배치되고, 다수개가 연이어지게 상기 본체의 정면 내측 둘레에 구비되는 스크린판과; 다수의 상기 스크린판이 무한궤도로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도록 상기 스크린판의 배면을 따라 장착되는 이송체인과;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체인의 무한궤도 이동을 안내하면서 상기 이송체인을 구동시키는 체인구동부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스크린판에서 협잡물을 이탈시킨 후에 이를 포집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협잡물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크린판은, 상기 이송체인의 회전부위에 돌출되면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착부재와, 상기 장착부재에 하단 중앙이 장착되는 중공된 원호형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중공된 내측에 장착되는 그물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크린판은, 상기 프레임의 상단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상기 프레임의 하단 둘레에 형성되는 슬라이딩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체인구동부는, 상기 이송체인에 맞물려 상기 이송체인을 구동시키는 구동스프로킷과, 상기 본체의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구동스프로킷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스프로킷을 회전시키는 모터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체인구동부는, 상기 본체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구동스프로킷에 대응하여 상기 이송체인의 하부측에 맞물려 회전되는 아이들스프로킷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체인구동부는, 상기 본체의 내측에 장착되고 상기 이송체인의 회전부위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이송체인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협잡물배출부는, 상기 스크린판의 배면으로 상기 본체의 내측 상부에 설치되고 물이 공급되는 물공급관과, 상기 스크린판의 배면을 향해 상기 물공급관에 경사지게 설치되는 다수의 분사노즐과, 상기 분사노즐에 의해 분사된 물에 의해 이탈된 협잡물이 포집되도록 상부가 개방된 상태로 상기 본체의 전면에 설치되는 포집통과, 상기 포집통의 내부에 설치되어 포집된 협잡물을 이송시키는 이송스크루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수로의 물이 장치를 통과하기 전후의 수두차를 최소화할 수 있는 상태에서 수로를 따라 흐르는 물의 수직 단면을 통과하여 협잡물을 손쉽게 걸러낼 수 있고, 수로를 따라 흐르는 물의 유압에 의한 과도한 구동부하의 발생이 원활히 방지되며, 작은 공간에도 설치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스크린판의 회전 이동이 안정적이면서 정밀하게 이루어지고, 그에 따라 작동상의 정밀성 및 안정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의 협잡물배출부를 통해 스크린판에 걸린 협잡 물이 원활하게 배출되는 효과를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 장치의 구동방법을 보인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 수직형 스크린 장치의 구동방법은 다수개의 스크린판을 연이어지게 결합한 상태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하되, 상기 스크린판을 수로를 통과하는 물에 수직으로 설치한 후에 상기 스크린판을 연속하여 물의 수직 단면상에서 일렬로 회전시키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스크린판이 수로를 통과하는 물의 수직 단면 상에서 일렬로 회전됨으로써, 상기 스크린판을 통과하는 물에 저항력을 최소화시켜 상기 스크린판을 통과하기 전후에 물의 수두차가 최소화되는 것이다.
여기서, 물의 수두차는 스크린판을 통과하기 전후의 물의 높이차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다.
상기한 일렬의 스크린판에 의해 물의 수두차가 최소화됨으로써, 스크린판 즉 스크린 장치를 통해 협잡물이 제거되더라도 수로로 물이 안정적으로 흐를 수 있게 되며 따라서 수로의 크기를 작게 할 수 있다.
아래의 [표 1]은 종래의 스크린 장치에 의해 형성되는 수두차와 본 장치에 의해 형성되는 수두차를 동일한 실험 조건하에 비교하여 도출한 실험데이터이다.
스크린의 눈간격 2mm 5mm 10mm 20mm 30mm 50mm
일열 스크린 (평면 스크린) 322mmH2O 129mmH2O 60.9mmH2O 24.2mmH2O 14.1mmH2O 7.13mmH2O
이열 스크린 (종래 방식) 440mmH2O 176mmH2O 83.2mmH2O 33.1mmH2O 19.2mmH2O 9.73mmH2O
[표 1]에서 스크린의 눈간격은 스크린을 형성하는 메시망의 눈과 눈 사이의 간격을 말하는 것이고, mmH2O는 압력단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개략적인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 수직형 스크린 장치는 수로에 설치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다수개가 연이어지게 배치되는 스크린판(20)과, 다수의 상기 스크린판(20)을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는 이송체인(30)과, 상기 이송체인(30)을 구동시키는 체인구동부(40)와, 상기 스크린판(20)에 걸린 협잡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협잡물배출부(5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10)는 정면과 배면이 개방된 상태로 수로에 설치되는 것으로, 정면 하부측으로 수로를 따라 유입된 물이 배면을 통과하는 구조를 갖는 것이다.
상기 스크린판(20)은 본체(10)의 개방된 정면을 통해 유입되는 물에서 협잡물을 걸러내도록 물의 흐름방향에 수직으로 배치되고, 다수개가 연이어지게 상기 본체(10)의 정면 내측 둘레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스크린판(20)을 통과하는 물에서 협잡물을 걸려내는 역할을 한다.
상기 이송체인(30)은 다수의 스크린판(20)의 배면을 따라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 스크린판(20)을 고정하면서 본체(10)의 내측 정면 둘레를 따라 상기 스크린판(20)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체인구동부(40)는 본체(10)에 설치되어 이송체인(30)의 무한궤도 이동을 안내하면서 상기 이송체인(30)을 구동시키는 것이다. 상기 체인구동부(40)는, 이송체인(30)에 맞물려 상기 이송체인(30)을 구동시키는 구동스프로킷(41)과, 본체(10)의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구동스프로킷(41)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스프로킷(41)을 회전시키는 모터구동부(42)를 포함한다.
상기 체인구동부(40)는 모터구동부(42)의 구동에 따라 이에 연결된 구동스프로킷(41)이 회전되면서 상기 구동스프로킷(41)에 맞물린 이송체인(30)을 본체(10)의 내측 정면 둘레를 따라 회전시키는 것이다.
상기 협잡물배출부(50)는 본체(10)에 설치되어 스크린판(20)에 걸린 상태로 상기 스크린판(20)과 함께 이동되는 협잡물을 상기 스크린판(20)에서 이탈시킨 후에 이를 포집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판을 보인 요부 확대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판을 보인 요부 확대 측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크린판(20)은 이송체인(30)의 회전부위에 돌출되면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착부재(21)와, 상기 장착부재(21)에 하단 중앙이 장착되는 중공된 원호형의 프레임(22)과, 상기 프레임(22)의 중공된 내측에 장착되는 그물망(23)을 포함한다.
상기 장착부재(21)는 이송체인(30)의 회전부위에 프레임(22)을 회전 가능하게 장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프레임(22)은 원호형 즉 말굽형태로 구비되어 중공된 내측에 그물망(23)을 고정하는 역할을 하면서 동시에 상기 그물망(23)에 걸린 협잡물이 떨어지지 않도록 고정하는 레이크의 역할을 한다. 상기 그물망(23)은 물에 포함된 협잡물을 걸러내는 스크린의 역할을 한다.
상기 스크린판(20)은 프레임(22)의 하단 둘레에 형성되는 슬라이딩홈(24)을 더 포함한다. 상기 슬라이딩홈(24)은 하부측에 연이어지는 스크린판(20)의 프레임(22) 상단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스크린판(20)의 방향전환 시에 각도이동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판의 회전상태를 보인 요부 정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판(20)은 다수개가 슬라이딩홈(24)에 끼워져 상호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상태로 각각의 상기 스크린판(20)이 이송체인(30)의 회전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와 같이 상기 스크린판(20)이 회전 가능한 상태로 슬라이딩홈(24)에 의해 상호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스프로킷에 의해 상기 스크린판(20)이 회전될 때 서로 벌어지지 않고 긴밀하게 접촉된 상태로 부드럽게 회전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스프로킷을 따라 다수의 스크린판(20)이 상호 벌어지지 않은 상태로 회전될 수 있는 이유는 상기 스크린판(20)이 상기 스프로킷을 따라 회전될 때 상기 스크린판(20)의 일단부가 다른 스크린판(20)이 슬라이딩홈(24)에 끼워진 상태로 자체가 회전되면서 상기 슬라이딩홈(24)을 따라 슬라이딩되기 때문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협잡물배출부를 보인 요부 확대 측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협잡물배출부(50)는 스크린판(20)의 배면으로 본체(10)의 내측 상부에 설치되고 물이 공급되는 물공급관(51)과, 상기 스크린판(20)의 배면을 향해 상기 물공급관(51)에 경사지게 설치되는 다수의 분사노즐(52)과, 상부가 개방된 상태로 상기 본체(10)의 전면에 설치되는 포집통(53)과, 상기 포집통(53)의 내부에 설치되어 포집된 협잡물을 이송시키는 이송스크루(54)를 포함한다.
상기 분사노즐(52)은 물공급관(51)을 통해 공급되는 물을 스크린판(20)의 배면에서 하부방향으로 경사지게 분사하여 상기 스크린판(20)에 걸린 협잡물을 이탈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포집통(53)은 분사노즐(52)에 의한 물의 분사에 의해 스크린판(20)에서 이탈되어 본체(10)의 정면 외부로 낙하하는 협잡물을 포집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이송스크루(54)는 포집통(53)의 내부로 포집된 협잡물을 상기 포집통(53)을 따라 수로의 외부로 이송시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체인구동부를 보인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인구동부는 본체(10)의 내부로 이송체인(30)의 상부측에 맞물리는 구동스프로킷(41)과, 상기 본체(10)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구동스프로킷(41)에 대응하여 상기 이송체인(30)의 하부측에 맞물려 회전되는 아이들스프로킷(43)을 포함한다.
상기 체인구동부는 구동스프로킷(41)과 아이들스프로킷(43)에 의해 이송체인(30)의 상하 양단이 지지된 상태로 상기 구동스프로킷(41)의 구동에 따라 상기 아이들스프로킷(43)이 아이들링되면서 이송체인(30)을 무한궤도로 회전시키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체인구동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인구동부는 본체(10)의 내부로 이송체인(30)의 상부측에 맞물리는 구동스프로킷(41)과, 상기 본체(10)의 내측에 장착되고 상기 이송체인(30)의 회전부위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이송체인(30)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44)을 포함한다.
상기 체인구동부는 가이드레일(44)에 의해 이송체인(30)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이송체인(30)의 이동로가 정해진 상태에서 구동스프로킷(41)의 구동에 따라 상기 이송체인(30)이 상기 가이드레일(44)을 따라 이동되는 구조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체인구동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인구동부는 본체(10)의 내부로 이송체인(30)의 상부측에 맞물리는 구동스프로킷(41)과, 상기 본체(10)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구동스프로킷(41)에 대응하여 상기 이송체인(30)의 하부측에 맞물려 회전되는 아이들스프로킷(43)과, 상기 본체(10)의 내측에 장착되고 상기 이송체인(30)의 회전부위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이송체인(30)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44)을 포함한다.
상기 체인구동부는 구동스프로킷(41)과 아이들스프로킷(43)에 의해 이송체인(30)의 상하 양단이 지지되면서 동시에 가이드레일(44)에 의해 상기 이송체인(30)의 이동로가 안내되는 상태로 상기 구동스프로킷(41)의 구동에 따라 상기 이송체인(30)을 무한궤도로 회전시키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 장치의 구동방법을 보인 개략적인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개략적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개략적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판을 보인 요부 확대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판을 보인 요부 확대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판의 회전상태를 보인 요부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협잡물배출부를 보인 요부 확대 측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체인구동부를 보인 개략적인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체인구동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개략적인 정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체인구동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개략적인 정면도,
도 12는 종래의 일예를 보인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13 및 도 14는 도 12의 요부 확대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
20 : 스크린판
21 : 장착부재 22 : 프레임
23 : 그물망 24 : 슬라이딩홈
30 : 이송체인
40 : 체인구동부
41 : 구동스프로킷 42 : 모터구동부
43 : 아이들스프로킷 44 : 가이드레일
50 : 협잡물배출부
51 : 물공급관 52 : 분사노즐
53 : 포집통 54 : 이송스크루

Claims (8)

  1. 수로를 따라 유동되는 물이 스크린판을 통과하기 전과 후에 형성되는 수두차를 최소화시키는 상태로 상기 수로를 따라 유동되는 물에 포함된 협잡물을 걸러내도록, 협잡물이 걸리는 상기 스크린판이 다수개로 연이어지게 결합되고 상기 수로를 통과하는 물에 수직으로 배치된 상태로, 하나의 구동체인과 양옆의 가이드레일에 의해 상기 스크린판이 상기 수로를 통과하는 물의 수직 단면 상에서 일렬로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 수직형 스크린 장치의 구동방법.
  2. 정면과 배면이 개방된 상태로 수로에 설치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개방된 정면을 통해 유입되는 물에서 협잡물을 걸러내도록 물의 흐름방향에 수직으로 배치되고, 다수개가 연이어지게 상기 본체(10)의 정면 내측 둘레에 구비되는 스크린판(20)과;
    다수의 상기 스크린판(20)이 무한궤도로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도록 상기 스크린판(20)의 배면을 따라 장착되는 이송체인(30)과;
    상기 본체(10)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체인(30)의 무한궤도 이동을 안내하면서 상기 이송체인(30)을 구동시키는 체인구동부(40)와;
    상기 본체(10)에 설치되어 상기 스크린판(20)에서 협잡물을 이탈시킨 후에 이를 포집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협잡물배출부(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 수직형 스크린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판(20)은,
    상기 이송체인(30)의 회전부위에 돌출되면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착부재(21)와,
    상기 장착부재(21)에 하단 중앙이 장착되는 중공된 원호형의 프레임(22)과,
    상기 프레임(22)의 중공된 내측에 장착되는 그물망(2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 수직형 스크린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판(20)은,
    상기 프레임(22)의 상단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상기 프레임(22)의 하단 둘레에 형성되는 슬라이딩홈(24)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 수직형 스크린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체인구동부(40)는,
    상기 이송체인(30)에 맞물려 상기 이송체인(30)을 구동시키는 구동스프로킷(41)과,
    상기 본체(10)의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구동스프로킷(41)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스프로킷(41)을 회전시키는 모터구동부(4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 수직형 스크린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체인구동부(40)는,
    상기 본체(10)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구동스프로킷(41)에 대응하여 상기 이송체인(30)의 하부측에 맞물려 회전되는 아이들스프로킷(43)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 수직형 스크린 장치.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체인구동부(40)는,
    상기 본체(10)의 내측에 장착되고 상기 이송체인(30)의 회전부위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이송체인(30)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44)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 수직형 스크린 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협잡물배출부(50)는,
    상기 스크린판(20)의 배면으로 상기 본체(10)의 내측 상부에 설치되고 물이 공급되는 물공급관(51)과,
    상기 스크린판(20)의 배면을 향해 상기 물공급관(51)에 경사지게 설치되는 다수의 분사노즐(52)과,
    상기 분사노즐(52)에 의해 분사된 물에 의해 이탈된 협잡물이 포집되도록 상부가 개방된 상태로 상기 본체(10)의 전면에 설치되는 포집통(53)과,
    상기 포집통(53)의 내부에 설치되어 포집된 협잡물을 이송시키는 이송스크루(5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 수직형 스크린 장치.
KR1020070079223A 2007-08-07 2007-08-07 평면 수직형 스크린 장치와 이의 구동방법 KR1008069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9223A KR100806920B1 (ko) 2007-08-07 2007-08-07 평면 수직형 스크린 장치와 이의 구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9223A KR100806920B1 (ko) 2007-08-07 2007-08-07 평면 수직형 스크린 장치와 이의 구동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6920B1 true KR100806920B1 (ko) 2008-02-22

Family

ID=393831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9223A KR100806920B1 (ko) 2007-08-07 2007-08-07 평면 수직형 스크린 장치와 이의 구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692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8837B1 (ko) * 2016-02-17 2016-09-22 주식회사 가온텍 수직 다단 스크린
KR101963371B1 (ko) 2018-08-14 2019-03-28 주식회사 가온텍 수직 다단 스크린
KR101963372B1 (ko) * 2018-08-24 2019-03-28 주식회사 가온텍 종합 전처리설비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09667A (ja) * 1995-02-03 1996-08-13 Mitsubishi Heavy Ind Ltd 取水口へのクラゲ侵入防止方法
JPH10311020A (ja) 1997-05-09 1998-11-24 Hitachi Kiden Kogyo Ltd 取水口のごみ進入阻止装置
JPH1129919A (ja) 1997-07-10 1999-02-02 Kinki:Kk 水路設置型スクリーン及びこれを備えた水路設置型破砕装置
JP3098519U (ja) * 2003-06-12 2004-03-04 株式会社丸島アクアシステム 除塵装置
KR100445196B1 (ko) 2003-12-18 2004-08-21 중앙종합기계 주식회사 유수지의 협잡물처리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09667A (ja) * 1995-02-03 1996-08-13 Mitsubishi Heavy Ind Ltd 取水口へのクラゲ侵入防止方法
JPH10311020A (ja) 1997-05-09 1998-11-24 Hitachi Kiden Kogyo Ltd 取水口のごみ進入阻止装置
JPH1129919A (ja) 1997-07-10 1999-02-02 Kinki:Kk 水路設置型スクリーン及びこれを備えた水路設置型破砕装置
JP3098519U (ja) * 2003-06-12 2004-03-04 株式会社丸島アクアシステム 除塵装置
KR100445196B1 (ko) 2003-12-18 2004-08-21 중앙종합기계 주식회사 유수지의 협잡물처리방법 및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8837B1 (ko) * 2016-02-17 2016-09-22 주식회사 가온텍 수직 다단 스크린
KR101963371B1 (ko) 2018-08-14 2019-03-28 주식회사 가온텍 수직 다단 스크린
KR101963372B1 (ko) * 2018-08-24 2019-03-28 주식회사 가온텍 종합 전처리설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4319B1 (ko) 제진기의 잔류 진개물 제거장치
KR100850122B1 (ko) 패널 세정기 및 세정 방법
KR200437204Y1 (ko) 부상식 차단부를 갖는 다단식 로터리 제진기
US10486091B2 (en) Continuous belt screen
KR100806920B1 (ko) 평면 수직형 스크린 장치와 이의 구동방법
US11617976B2 (en) Method of operating a rake system
KR102052320B1 (ko) 협잡물 제거기능이 향상된 제진기
CN113877280A (zh) 一种y型过滤器的滤网切换装置
KR101110668B1 (ko) 로타리 제진기
KR101735693B1 (ko) 목 메임 방지용 로터리식 제진기
KR100902816B1 (ko) 오폐수 처리용 자동 바 스크린 장치
KR20140033613A (ko) 제진기의 전위스크린
JP5645906B2 (ja) フィルタ洗浄装置及びフィルタ洗浄方法
KR101973628B1 (ko) 광폭 수로형 제진기
KR200399266Y1 (ko) 제진기의 스크린 구조
CA2058643A1 (en) Shield apparatus for travelling water screen
KR100872492B1 (ko) 양어장 용수 협잡물 제거장치
JP5415981B2 (ja) フィルタ洗浄装置及びフィルタ洗浄方法
KR100816046B1 (ko) 외측구동형 이동식 스크린 장치
JP2007275860A (ja) フィルター清掃と浄水を同時に行う浄水方法と装置
CN103316523A (zh) 一种无停修方形滤布滤池设备
JP5424153B2 (ja) 取水口におけるゴミ取り装置
CN114225520B (zh) 一种真空皮带脱水机
JP2004074195A (ja) 切断定盤
KR20150003958A (ko) 벨트 스크린식 제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8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