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3372B1 - 종합 전처리설비 - Google Patents

종합 전처리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3372B1
KR101963372B1 KR1020180099486A KR20180099486A KR101963372B1 KR 101963372 B1 KR101963372 B1 KR 101963372B1 KR 1020180099486 A KR1020180099486 A KR 1020180099486A KR 20180099486 A KR20180099486 A KR 20180099486A KR 101963372 B1 KR101963372 B1 KR 1019633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rake
contaminants
housing
raw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94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가온텍
김병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가온텍, 김병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가온텍
Priority to KR10201800994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33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33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33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8Details, e.g. gates, screens
    • E02B5/085Arresting devices for waterborne materials, e.g. grat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수에 포함되어 있는 협잡물을 순차적으로 큰 부피를 가지는 것으로부터 작은 부피를 가지는 협잡물은 물론 미세 협잡물까지도 제거 가능함과 아울러 협잡물 제거와 함께 침사까지 침강시켜 제거할 수 있도록 하면서 특히, 초기 유입되는 원수에 포함된 큰 부피를 가지는 협잡물을 최대한 긴 경로를 거쳐 걸러지도록 함과 동시에 그 큰 부피를 가지는 협잡물 배출에 따른 과부하 없이 원활하게 배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1 제진부, 침사 제거부, 더블 체인 레이크 스크린 또는 수직 다단 스크린 중의 어느 하나이거나 더블 체인 레이크 스크린과 수직 다단 스크린이 직결되는 제2 제진부 및 유출부를 포함하는 종합 전처리설비를 제공한다.
그에 따라 원수에 포함된 협잡물의 제거 효율성을 극대화함에 따라 전처리설비 후단의 반응처리공정에서 발생하는 부하를 극소화할 수 있는 효과와 함께 특히 초기의 원수에 포함된 부피가 큰 협잡물의 제거 효율성을 더욱더 증대시키는 효과도 가진다.

Description

종합 전처리설비{Integrated Pretreatment Facility}
본 발명은 종합 전처리설비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원수에 포함되어 있는 협잡물을 순차적으로 큰 부피를 가지는 것으로부터 작은 부피를 가지는 협잡물은 물론 미세 협잡물까지도 제거 가능함과 아울러 협잡물 제거와 함께 침사까지 침강시켜 제거할 수 있도록 하면서 특히, 초기 유입되는 원수에 포함된 큰 부피를 가지는 협잡물을 최대한 긴 경로를 거쳐 걸러지도록 함과 동시에 그 큰 부피를 가지는 협잡물 배출에 따른 과부하 없이 원활하게 배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종합 전처리설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발전과 도시화로 인해 환경오염은 더 심각해짐에 따라 배출되는 하수, 폐수, 오수 등(이하 '원수'라고 함)과 같은 오염형태도 다양해지고 있으며, 이를 처리하기 위한 시설 또한 고도화로 인해 처리비용이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아울러, 원수에서 완전히 처리되지 않은 처리수 중 수질오염물질이 하천이나 호수 등을 비롯한 기타 상수원에 유입됨에 따라 효율적인 수질관리에 여러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으며, 유기물의 농도가 높아져 이에 따른 오염 및 악취 문제가 갈수록 심각한 상태에 이르고 있다.
통상적인 수처리공정에는 생물학적 처리, 화학적 처리, 물리적 처리 공정 등이 행해지고 있으며, 특히 생물학적 처리 및 화학적 처리에 앞서 협잡물과 침사 등을 물리적으로 제거는 전처리공정을 수행하게 된다.
전처리공정을 실시하는 통상적인 전처리설비에는 협잡물을 제거하는 협잡물 제거설비와, 침강 등을 통해 흙, 모래 등의 침사를 제거하는 침사 제거설비 등을 포함한다.
그러나 수처리방식이 종래 합류식에서 분류식으로 전환되면서 하수, 폐수, 오수 등을 한꺼번에 모아 처리하게 됨에 따라 전처리설비에 유입되는 양이 많아지게 되면서 협잡물, 침사 등의 유기물이 침적되어 협잡물, 침사 등을 배출하는 과정에서 심한 악취와 2차적으로 오염을 발생시키는 문제가 더욱더 심각해지게 되었다.
또한, 최근에는 수처리 공정의 고도화와 함께 여러 단계를 거치던 수처리 공정을 단순화하여 전처리 공정과 반응처리 공정만으로 수처리를 실시하게 되었으나, 분류식 수처리방식으로의 전환과 함께 반응처리 공정에서의 처리 부하가 급격하게 증가되어 반응효율이 낮아지고 반응처리설비의 고장이 잦아지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그에 따라 전처리공정에서 최대한 작은 크기의 이물질까지 분리, 제거되도록 하여 반응처리 공정에서의 부하를 줄이고 반응처리효율을 높일 필요가 있으며, 또한 전처리공정에서 제거되는 협잡물 및 침사에 침적된 유기물을 제거하여 배출하도록 함으로써 협잡물 및 침사의 배출과정에서 악취 및 2차 오염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관건이다.
상기와 같이 전처리설비와 관련된 종래 선행기술에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44365호(이하 '선행기술문헌 1'이라 한다)에 게시된 바와 같이 사이클론을 다층식을 형성하여 침사의 제거가 작은 공간에서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침사처리부로 하수 및 오수의 균일하고 안정적인 유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하수 및 오수 종합 전처리 장치와 같은 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93772호(이하 '선행기술문헌 2'라 한다)에 게시된 바와 같이 하수의 흐름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침사물과 협잡물을 연속적으로 걸러낼 수 있도록 메인하우징, 스크린필터, 배출부, 이송스크류, 탈수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하수 종합 전처리장치와 같은 기술도 제안된 바 있다.
또, 본 출원이 선출원하여 등록받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68308호(이하 '선행기술문헌 3'이라 한다)에 게시된 바와 같이 여러 단계에 걸쳐 작은 크기의 이물질까지 처리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협잡물의 제거효율을 높여 전처리설비 후단의 반응처리공정에서 발생하는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는 종합 전처리설비와 같은 기술도 제안된 바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44365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93772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68308호
그러나 선행기술문헌 1은 침사 처리 효율성을 높으나, 협잡물의 처리 효율성을 현저하게 낮은 단점을 가진다.
선행기술문헌 2는 협잡물, 침사 등에 유기물이 침적되어 협잡물, 침사 등을 배출하는 과정에서 심한 악취와 2차적인 오염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을 가진다.
선행기술문헌 3은 초기 유입되는 원수에 포함되어 있는 비교적 부피가 큰 이물질의 걸러내는 효율성이 낮은 단점과 함께 큰 부피의 협잡물 배출시 한꺼번에 많은 양의 협잡물이 배출됨에 따라 배출부에 부하가 발생하는 단점도 가진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본 출원인 선출원하여 등록받은 선행기술문헌 3을 토대로 개량한 것으로, 그 구체적인 기술적 해결과제는 협잡물을 순차적으로 큰 부피를 가지는 것으로부터 작은 부피를 가지는 협잡물은 물론 미세 협잡물까지도 제거 가능함과 아울러 협잡물 제거와 함께 침사까지 침강시켜 제거할 수 있도록 하면서 특히, 초기 유입되는 원수에 포함된 큰 부피를 가지는 협잡물을 최대한 긴 경로를 거쳐 걸러지도록 함과 동시에 그 큰 부피를 가지는 협잡물 배출에 따른 과부하 없이 원활하게 배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종합 전처리설비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적인 기술적 해결과제는 걸려진 큰 부피를 가지는 협잡물을 제거시 완충으로 인해 레이크 부재가 손상되는 것을 최소화함과 아울러 레이크 부재에 잔류하는 협잡물의 제거 또한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적인 기술적 해결과제는 선회류 방식에 의한 침사의 높은 침강 효율성을 가지면서 침강된 침사의 배출 효율성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적인 기술적 해결과제는 미세 협잡물 제거시 수직으로 연이어 배치되어 회전되는 스크린 셀이 수류에 영향에도 비틀림 없이 안정적으로 회전되도록 함과 아울러 수류에 의한 밀림 또한 방지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적인 기술적 해결과제는 미세 협잡물 제거에 따른 스크린 셀에 잔류하는 미세 협잡물의 제거 또한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기술적 해결수단은 제1 하우징의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원수에 포함된 협잡물을 원호형 스크린이 상기 제1 하우징의 바닥면에 흐르는 원수에 포함된 협잡물을 거르도록 곡면의 볼록한 부분이 하부로 위치하면서 원수가 유입되는 일단 하부 측에서 원수가 흐르는 방향의 타단 상부 측으로 경사지게 설치되며 상기 원호형 스크린의 유입구 측의 전방에 공기를 분사하는 산기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원호형 스크린의 상부에 구동수단에 의해 360° 회전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 상에 원호형 스크린에 걸려진 협잡물을 제1 배출부로 제거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되는 각각의 레이크 부재, 및 원수가 흐르는 방향의 원호형 스크린의 끝단 상부에 상기 각 레이크 부재에 잔류하는 협잡물을 제거하는 제거 스크레이퍼부를 포함하는 제1 제진부; 상기 제1 제진부를 거친 원수에 함유된 침사를 선회류 방식에 의해 침강시켜 배출하도록 상기 제1 제진부 보다는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침강조를 포함하는 침사 제거부; 상기 침사 제거부를 거친 원수에 포함되어 제1 제진부에서 제거된 협잡물 보다 작은 협잡물을 제거하는 더블 체인 레이크 스크린 또는 수직 다단 스크린 중의 어느 하나이거나 더블 체인 레이크 스크린과 수직 다단 스크린이 직결되는 제2 제진부; 및 상기 제2 제진부를 거치 협잡물과 침사가 제거된 처리수를 배출하는 유출부;를 포함한다.
상기 레이크 부재는 회전축 상에 적어도 2개 이상을 마련하되, 그 회전축의 축 방향의 서로 다른 선상에 각각 배치되는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레이크 부재는 회전축 상에 형성되는 각각의 고정 프레임, 상기 고정 프레임 상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 프레임, 상기 회동 프레임의 하단에 구비되는 레이크를 포함하되, 상기 회동 프레임은 그 회동 프레임에 형성된 제1 연결대와 상기 회전축 상에 구비되는 제2 연결대 사이에 구비되는 탄성체에 의해 완충 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거 스크레이퍼부는 양측에 상기 제1 하우징의 양측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각각의 장착대, 상기 각 장착대 사이에 상기 레이크의 각 레이크 날 사이를 통과하는 각각의 스크레이퍼날이 형성되는 스크레이퍼를 포함한다.
상기 각 장착대의 밑면 제1 하우징에 구비되는 각각의 스토퍼, 상기 각 장착대의 내측면과 제1 하우징의 상부에 상기 스크레이퍼의 회전 반경을 제한하는 각각의 완충구를 더 포함한다.
상기 침사 제거부는 침강조의 내부 가운데에 밑면으로 양측에 각각의 포기노즐이 형성되는 포기관이 형성되는 분할 격판, 상기 분할 격판의 양측에 구비되는 선회류 유도부재, 상기 침강조의 양측 내측면 상부에 형성되는 각각의 경사진 가이드판, 상기 침강조의 바닥면에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되는 이송스크류가 마련되는 포집호퍼, 상기 포집호퍼의 일단과 연결되는 배출관의 내부에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되는 배출스크류를 포함하되, 상기 배출관의 입구에는 이송스크류 회전에 의해 배출하고자 하는 침사를 탄성에 의해 교반하는 교반부재가 개재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상기 선회류 유도부재는 원통형 또는 하부가 좁고 상부가 넓은 장방형 형태의 바(bar) 형태이다.
상기 교반부재는 배출관의 입구에 장착되는 코일형태의 스프링이되, 상기 스프링은 포집호퍼 측으로 점진적으로 좁은 직경으로, 배출관 측으로 넓은 직경을 가지면서 각 선단은 이송스크류의 이송날과 접촉에 의해 진동이 발생되게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더블 체인 레이크 스크린은 제2 하우징, 상기 제2 하우징의 내부 프레임 상에 상기 원호형 스크린의 스크린 바의 폭 보다 좁은 폭을 갖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스크린 바에 의해 형성되는 스크린부, 상기 프레임의 내측 양측에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되는 한 쌍의 체인 상에 상기 스크린부에 걸려진 협잡물을 끌어올려 제거하는 레이크 플레이트, 및 상기 스크린부의 상단 후방에 구비되는 제2 배출부를 포함하되, 상기 프레임은 상부가 유출부 측으로, 하부는 침사 제거부 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수직 다단 스크린은 침사 제거부를 거친 원수가 유입되고 배출되는 제3 하우징, 상기 제3 하우징의 내측 둘레를 따라 구동부에 의해 회전되는 다수 개가 연이어 배치되어 개방된 전면을 통해 유입되는 물에서 협잡물을 걸러내는 버킷 형식의 각각의 스크린 셀, 상기 제3 하우징 상에 구비되는 안내레일 상에 상기 각 스크린 셀의 후방과 연결되어 회전되는 각 이동 롤 및 상기 이동 롤 간에 연결되는 각각의 연결링크를 포함하되, 상기 안내레일에 각 이동 롤이 이동되는 과정에서 탄성에 의해 유격을 보상하여 수류 영향에도 각 스크린 셀이 비틀림 없이 회전되도록 구비되는 가이드 수단, 상기 이동 롤과 안내레일 사이에 수압에 의해 각 스크린 셀이 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안내레일로 지지되는 밀림 방지부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 수단의 이동 롤의 유격을 보상하는 부분은 수로 잠겨져 물이 흐르는 안내레일의 곡선구간을 벗어나 시작되는 직선구간에 마련되되, 상기 가이드 수단은 안내레일의 내측면 내면에 형성되는 고정 가이드, 상기 안내레일의 외측면 내면에 탄성에 의해 이동 롤의 유격을 보상하도록 완충되는 완충 가이드를 포함한다.
상기 완충 가이드는 안내레일의 외측면 외면에 고정되는 완충 고정 가이드, 상기 완충 고정 가이드 상에 그 안내레일 외측면에 소정 간격으로 관통된 관통공 사이에 구비되는 각각의 탄성체, 상기 안내레일의 외측면 내면 측의 상기 각 탄성체에 결합되어 유격을 보상하도록 완충되는 완충 가동 가이드로 구성된다.
상기 밀림 방지부는 각 이동 롤의 축 상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각각 장착링크, 상기 장착링크의 이동 롤이 위치한 부분에 안내레일에 지지되도록 구비되는 밀림 방지롤러로 구성된다.
상기 제3 하우징의 원수 측으로 인입되는 스크린 셀의 상부에 그 스크린 셀에 부착된 협잡물을 제거하도록 마련되는 협잡물 제거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협잡물 제거부는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되면서 상기 스크린 셀의 전면에 부착된 협잡물을 제거하는 브러쉬, 상기 브러쉬의 브러쉬 회전축 내부에 그 브러쉬 회전축에 형성된 통공을 통하여 스크린 셀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제1 분사노즐부를 포함한다.
상기 협잡물 제거부에는 스크린 셀의 후방에 세척수를 분사하는 제2 분사노즐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협잡물을 순차적으로 큰 부피를 가지는 것으로부터 작은 부피를 가지는 협잡물은 물론 미세 협잡물까지도 제거 가능함과 아울러 협잡물 제거와 함께 침사까지 침강시켜 제거할 수 있도록 하면서 특히, 초기 유입되는 원수에 포함된 큰 부피를 가지는 협잡물을 최대한 긴 경로를 거쳐 걸러지도록 함과 동시에 그 큰 부피를 가지는 협잡물 배출에 따른 과부하 없이 원활하게 배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원수에 포함된 협잡물의 제거 효율성을 극대화함에 따라 전처리설비 후단의 반응처리공정에서 발생하는 부하를 극소화할 수 있는 효과와 함께 특히 초기의 원수에 포함된 부피가 큰 협잡물의 제거 효율성을 더욱더 증대시키는 효과도 가진다.
또한, 걸려진 큰 부피를 가지는 협잡물을 제거시 완충으로 인해 레이크 부재가 손상되는 것을 최소화함과 아울러 레이크 부재에 잔류하는 협잡물의 제거 또한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협잡물 제거 효율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높은 신뢰성도 확보할 수 있는 효과와 함께 원호형 스크린에 걸려진 협잡물의 제거 효율성 또한 더욱더 높일 수 있는 효과도 갖는다.
또, 선회류 방식에 의한 침사의 높은 침강 효율성을 가지면서 침강된 침사의 배출 효율성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원수에 포함된 침사의 제거 효율성을 극대화 함은 물론 후처리공정 또한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도 가진다.
또, 미세 협잡물 제거시 수직으로 연이어 배치되어 회전되는 스크린 셀이 수류에 영향에도 비틀림 없이 안정적으로 회전되도록 함과 아울러 수류에 의한 밀림 또한 방지하도록 함으로써, 스크린 셀의 회전에 따른 부하발생을 최소화함에 따라 작은 동력으로도 원활하게 회전시킬 수 있는 효과와 함께 비틀림 방지와 밀림 방지로 인한 협잡물의 제거효율성을 더욱더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 미세 협잡물 제거에 따른 스크린 셀에 잔류하는 미세 협잡물의 제거 또한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원수에 포함된 협잡물 제거 효율성을 더욱더 증대시켜 정화 효율성 또한 높일 수 있는 효과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및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및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및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 제1 제진부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확대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따른 정면도,
도 6은 도 5에 따른 단면도,
도 7은 도 4에 따른 제1 제진부의 회전축과 레이크부재가 연결된 부분을 설명하기 위한 일부 확대도,
도 8은 도 4에 따른 제1 제진부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9는 본 발명 침사 제거부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사시도,
도 10은 도 9에 따른 정면도,
도 11은 도 9에 따른 일부 확대도,
도 12는 본 발명 제2 제진부인 더블 체인 레이크 스크린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13은 도 13에 따른 정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 제2 제진부인 수직 다단 스크린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15는 도 14에 따른 정면도,
도 16은 도 14에 따른 배면도,
도 17은 도 14에 적용되는 가이드 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및 일부 확대 단면도,
도 18은 도 14에 적용되는 밀림 방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발췌 사시도 및 일부 확대 단면도,
도 19는 도 14에 적용되는 협잡물 제거부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확대 투시도 및 일부 단면도,
도 20은 도 19에 따른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측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본 발명이 실시 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및 정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및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및 정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 제1 제진부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확대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따른 정면도이며, 도 6은 도 5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4에 따른 제1 제진부의 회전축과 레이크부재가 연결된 부분을 설명하기 위한 일부 확대도이며, 도 8은 도 4에 따른 제1 제진부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적인 종합 전처리설비(1A)(1B)(1C)는 원수인 하수 또는 오·폐수를 정화하는 수처리공정에서 생물학적, 화학적 반응처리공정에 앞서 협잡물, 침사 등의 이물질을 물리적으로 처리하는 전처리공정에 사용되는 설비이다.
최근에는 반응처리공정의 고도화로 인해 수처리공정이 단순화되어 전처리공정과 반응처리공정만으로 수처리를 실시하는 경우가 많으며, 수처리방식의 합류식에서 분류식으로의 전환에 따라 유입되는 이물질의 양도 많아지게 되어, 반응처리공정에서의 부담을 줄이고 처리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전처리공정에서 최대한 많은 양의 이물질을 처리하여야 할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협잡물을 순차적으로 큰 부피를 가지는 것으로부터 작은 부피를 가지는 협잡물은 물론 미세 협잡물까지도 제거 가능하도록 함과 아울러 협잡물 제거와 함께 침사까지 침강시켜 제거할 수 있도록 하면서 특히, 초기 유입되는 원수에 포함된 큰 부피를 가지는 협잡물을 최대한 긴 경로를 거쳐 걸러지도록 함과 동시에 그 큰 부피를 가지는 협잡물 배출에 따른 과부하 없이 원활하게 배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이는 결국, 반응처리공정에서의 부하를 줄임으로써 반응효율을 높이고 반응처리공정에서의 오작동을 줄일 수 있는 조건을 가진다.
아울러, 수처리공정에서 처리되어야 할 유기물의 양도 많아짐에 따라 협잡물, 침사 등의 배출시 협잡물, 침사 등에 침적된 유기물에 의해 악취 및 2차 오염 등의 문제가 발생하였던바 협잡물, 침사 등으로부터 미리 유기물을 분리하여 세척, 배출하도록 함으로써 악취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종합 전처리설비(1A)(1B)(1C)는 제1 제진부(10), 침강조(20A)를 포함하는 침사 제거부(20), 더블 체인 레이크 스크린(30A) 또는 수직 다단 스크린(30B) 중의 어느 하나이거나 더블 체인 레이크 스크린(30A)과 수직 다단 스크린(30B)이 직결되는 제2 제진부(30); 및 상기 제2 제진부(30)를 거치 협잡물과 침사가 제거된 처리수를 배출하는 유출부(40);를 포함하는 기술적 구성을 가진다.
상기에서, 제1 제진부와 제2 제진부인 더블 체인 레이크 스크린 또는 수직 다단 스크린은 각 스크린의 간격을 달리하여 서로 다른 크기의 협잡물을 걸러내 배출할 수 있는 기술적 구성을 가지는 것으로, 최대한 작은 크기의 협잡물까지 걸러내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제1 제진부는 대략 10㎜, 제2 제진부는 사양에 따라, 즉 더블 체인 레이크 스크린은 대략 3~5㎜, 수직 다단 스크린은 대략 1~3㎜ 이상의 협잡물을 걸러내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각 스크린 사이의 간격은 제거하고자 하는 협잡물의 크기에 따라 선택적으로 적용 가능하다 할 것이다.
특히, 상기 제2 제진부(30)는 협잡물을 제거하기 위한 목적에 따라 침사 제거부(20)의 후방에 더블 체인 레이크 스크린(30A) 또는 수직 다단 스크린(30B)을 단독적으로 배치할 수 있음은 물론 필요에 따라 직결시켜 더욱더 미세한 협잡물 제거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이는 처리하고자 하는 목적이나 설치되는 장소 등에 의해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도 1과 같이 침사 제거부(20)의 후방에 제2 제진부(30)인 더블 체인 레이크 스크린(30A)을 배치할 수 있음은 물론 도 2와 같이 침사 제거부(20)의 후방에 제2 제진부(30)인 수직 다단 스크린(30B)만을 배치할 수 있다.
아울러, 도 3과 같이 침사 제거부(20)의 후방에 제2 제진부(30)인 더블 체인 레인크 스크린(30A) 및 수직 다단 스크린(30B)을 직결되게 배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제1 제진부(10)는 비교적 부피가 큰 협잡물을 걸러 제거하는 것으로, 제1 하우징(H1), 원호형 스크린(12), 산기장치(14), 회전축(15), 레이크 부재(16) 및 제거 스크레이퍼부(18)로 구성된다.
제1 하우징(H1)은 일면에 원수가 유입되는 유입구(H1-1)가 형성되며, 상기 유입구(H1-1)의 반대 측에 제1 배출부(H1-2)가 마련된다.
유입구(H1-1)는 원수가 유입되는 제1 하우징(H1)의 바닥 측에 형성되며, 유입구(H1-1)를 통하여 유입되는 원수는 제1 제진부(10)를 거쳐 침사 제거부(20)의 침강조(20A)로 유입되며, 상기 침사 제거부(20)에서 침강에 의한 침사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유입구(H1-1)는 상기 침강조(20A)로부터 일정 높이를 갖도록 그 침강조(20A)의 상측에 형성된다.
원호형 스크린(12)은 상기 제1 하우징(H1)의 바닥면에 유입된 원수에 포함된 협잡물을 거르도록 곡면의 볼록한 부분이 하부로 위치하면서 원수가 유입되는 일단 하부 측에서 원수가 흐르는 방향의 타단 상부 측으로 경사지게 설치된다. 상기 원호형 스크린은 복수의 원호형 스크린 바가 협잡물을 거르기 위해 일정 간격을 갖도록 통상적인 방식에 의해 형성된다.
다시 말해서, 원호형 스크린은 하우징의 바닥면에 상기한 구조로 설치됨에 따라 유입되는 원수가 일단 하부 측으로부터 타단 상부 측으로 흐르는 관계로, 그 원수의 통과되는 길이가 긴 조건을 가지게 된다. 이는 결국 원수에 포함된 협잡물 또한 걸러지는 길이가 길게 형성되는 것이므로 협잡물이 걸러지는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조건을 가지게 된다.
산기장치(14)는 통상적인 기술적 구성을 가지는 것으로, 파이프 형태의 산기관에 일정간격으로 산기노즐이 배치되는 구조이다.
이러한 산기장치(14)는 유입구(H1-1) 측의 바닥에 형성되어, 상측으로 압축된 공기를 분사하여 협잡물, 침사 등에 침적된 유기물이 협잡물, 침사 등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산기장치(14)는 상기 제1 제진부(10)의 전방 측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로 인해 상기 제1 제진부(10)에서 제거되어 제1 배출부(H1-2)에 의해 외부로 배출되는 협잡물은 유기물이 제거된 상태가 되어 악취 및 2차 오염을 발생하지 않게 된다. 상기 산기장치(14)는 상기 제1 제진부(10)의 원호형 스크린(12)의 전방 측에 좌우 방향으로 복수 개 형성되도록 하여 원호형 스크린(12)으로 유입되는 원수에 포함되는 협잡물 및 침사 등을 고르게 세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배출부(H1-2)는 통상적인 기술적 구성을 가지는 것으로, 공지된 기술적 구성인 모터와 감속기 및 동력전달수단에 의해 협잡물이 투입되도록 상면이 개방된 배출관(H1-2A) 내에서 회전되는 배출스크류(H1-2B)와 배출 이송관(H1-2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원호형 스크린에 걸려진 협잡물을 회전축에 구비되어 회전되는 레이크 부재에 의해 상기 배출관으로 협잡물을 걷어 제거함으로써, 제거된 협잡물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회전축(15)은 상기 원호형 스크린(12)의 상부에 공지된 기술적 구성을 가지는 구동수단(15A)에 의해 360° 회전된다. 상기 구동수단은 공지된 모터와 감속기 및 동력전달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축의 양단은 원활한 회전을 위하여 통상적인 기술적 구성인 베어링 등에 의해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축은 원호형 스크린에 걸려진 협잡물을 제거하기 위해 마련되는 레이크 부재를 회전시키기 위한 기술적 구성이다.
레이크 부재(16)는 상기 회전축(15) 상에 원호형 스크린(12)에 걸려진 협잡물을 제거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된다.
아울러, 상기 레이크 부재(16)는 회전축(15) 상에 적어도 2개 이상을 마련하되, 그 회전축(15)의 축 방향의 서로 다른 선상에 각각 배치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즉, 원호형 스크린에 걸려진 협잡물을 한꺼번에 제1 배출부로 배출할 경우, 제1 배출부에 과부하가 발생할 수 있는 관계로, 협잡물을 순차적으로 배출시켜 제1 배출부에 과부하가 발생하지 않으면서 원활하게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더욱이, 원호형 스크린에 걸려진 협잡물을 제거시에도 한꺼번에 제거시에는 회전축의 구동수단에도 과부하가 발생할 수 있는 관계로, 이 또한 감안한 중요한 기술적 구성의 하나이다.
상기 레이크 부재(16)는 회전축(15) 상에 형성되는 각각의 고정 프레임(16A)과, 상기 고정 프레임(16A) 상에서 통상적인 핀 결합방식이나 힌지 결합방식 등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 프레임(16B)과, 상기 회동 프레임(16B)의 하단에 구비되는 레이크(16C)를 포함하되, 상기 회동 프레임(16B)은 그 회동 프레임(16B)에 형성된 제1 연결대(16B-1)와 상기 회전축(15) 상에 구비되는 제2 연결대(15B) 사이에 구비되는 통상적인 스프링 등과 같은 탄성체(15C)에 의해 완충 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상기 레이크(16C)의 끝단에는 원호형 스크린(12) 사이를 통과하면서 협잡물을 제거할 수 있는 각각의 레이크 날(16C-1)이 형성된다.
아울러, 레이크가 구비되는 회동 프레임을 고정 프레임으로부터 완충 가능하게 구비하는 것은, 레이크 부재에 의해 원호형 스크린에 걸려진 협잡물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원호형 스크린에 협잡물이 박혀 제거되지 않을 때, 자연스럽게 완충되도록 절곡되어 레이크 부재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중요한 기능이다.
또한, 레이크 부재에 잔류하는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후술하는 제거 스크레이퍼와 접촉시에도 완충에 의한 자연스럽게 어느 정도의 꺾임이 발생하여 서로 간에 큰 충격이 발생하지 않고 레이크 부재에 잔류하는 협잡물의 제거 또한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에 따라 레이크 부재는 원호형 스크린에 걸려진 협잡물을 원활하게 제거함은 물론 혹여 원호형 스크린에 박힌 일부의 협잡물에 의해서도 손상됨 없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조건을 가진다.
제거 스크레이퍼부(18)는 원수가 흐르는 방향의 원호형 스크린(12)의 끝단 상부에 상기 각 레이크 부재(16)의 레이크 날(16C-1)에 잔류하는 협잡물을 제거한다.
다시 말해서, 제거 스크레이퍼부는 레이크 부재에 의해 원호형 스크린의 협잡물을 제1 배출부 측으로 제거 후 회전되는 과정에서 혹여 레이크 부재의 레이크 날에 일부 걸려 있는 협잡물 또한 깨끗하게 제거하도록 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이다.
상기 제거 스크레이퍼부(18)는 양측에 상기 제1 하우징(H1)의 양측에서 통상적인 핀 결합방식이나 힌지 결합방식 등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각각의 장착대(18A)와, 상기 각 장착대(18A) 사이에 상기 레이크(16C)의 각 레이크 날(16C-1) 사이를 통과하는 각각의 스크레이퍼날(18B)이 형성되는 스크레이퍼(18C)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거 스크레이퍼부를 회전 가능하게 마련하는 것은 레이크 부재와 접촉시 충격 등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그에 따라 제거 스크레이퍼부는 레이크 부재가 협잡물을 제1 배출부로 제거한 직후, 상기 레이크 부재에 잔류하는 일부의 협잡물까지 제거함으로써, 레이크 부재에 의해 원호형 스크린의 협잡물을 더욱더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조건을 구축하게 된다.
한편, 상기 각 장착대(18A)의 밑면 제1 하우징(H1)에 구비되는 각각의 스토퍼(18D)와, 상기 각 장착대(18A)의 내측면과 제1 하우징(H1)의 상부 수로 상에 상기 스크레이퍼(18C)의 회전 반경을 제한하는 통상적인 완충기(shock absorber) 등과 같은 각각의 완충구(18E)를 더 포함한다.
즉, 상기 스토퍼는 제거 스크레이퍼부가 항시 일정한 위치, 즉 레이크 부재가 원호형 스크린의 협잡물을 제거한 직후 상승될 때, 레이크 부재에 잔류하는 일부의 협잡물을 제거할 수 있는 항상 동일한 위치에 위치하도록 한다.
아울러, 완충구는 스크레이퍼가 상승되는 위치를 제한하는 것으로, 즉 레이크 부재의 잔류하는 협잡물이 제거된 후 통과함에 따라 스크레이퍼는 상부로 더이상 상승할 필요가 없는 것으로, 레이크 부재와 접촉시 충격을 완화 시킴과 동시에 레이크 부재가 통과한 후 다시 스토퍼가 위치한 부분으로 하강시키도록 한다.
그에 따라 제거 스크레이퍼부는 레이크 부재에 잔류하는 일부의 협작물을 제거한 후 항시 원위치로 위치함으로써, 지속적으로 회전되는 레이크 부재에 잔류하는 일부의 협잡물의 제거 또한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제1 제진부는 복잡한 기술적 구성을 가지는 것이 아니라 간단한 구조와 간단한 원리에 의해 원수에 포함된 협잡물을 긴 경로를 통하여 걸림 효율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제거 또한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특히, 협잡물을 제거시 레이크 부재의 손상도 방지함에 따라 오랜 사용기간은 물론 높은 신뢰성도 확보할 수 있다.
아울러, 레이크 부재에 잔류하는 일부의 협잡물까지 제거함으로써, 레이크 부재에 의한 협잡물 제거 효율성도 높일 수 있는 조건도 가진다.
침사 제거부(20)를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제1 제진부(10)를 거친 원수에 함유된 침사를 선회류 방식에 의해 침강시켜 배출하도록 상기 제1 제진부(10) 보다는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침강조(20A)를 포함하는 기술적 구성을 가진다.
상기 침사 제거부(20)는 침강조(20A)의 내부 가운데에 밑면으로 양측에 선회류를 유도하기 위해 원수에 분사되는 통상적인 각각의 포기노즐(22A)이 형성되는 포기관(22B)이 형성되는 분할 격판(22)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분할 격판(22)의 양측에 상기 포기노즐(22A)로부터 분사되는 기류에 의해 선회류를 발생하도록 구비되는 선회류 유도부재(24)와, 상기 침강조(20A)의 양측 내측면 상부에 하부로부터 선회되는 원수를 가이드 하여 상기 분할 격판(22) 측으로 유도하도록 형성되는 각각의 경사진 가이드판(25)을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침강조(20A)의 바닥면에 침강 된 침사를 일측으로 이송하도록 통상적인 모터와 감속기 및 동력전달수단 등으로 구성되는 구동수단(26)에 의해 회전되는 이송스크류(28A)가 마련되는 포집호퍼(28)를 포함한다.
또, 상기 포집호퍼(28)의 일단과 연결되는 배출관(29)의 내부에 통상적인 모터와 감속기 및 동력전달수단 등으로 구성되는 구동수단(29A)에 의해 상기 이송스크류에 의해 이송된 침사를 배출할 수 있게 회전되는 배출스크류(29B)를 포함하되, 상기 배출관(29)의 입구에는 이송스크류(28A) 회전에 의해 배출하고자 하는 침사를 탄성에 의해 서로 응집되지 않고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교반하는 교반부재(29C)가 개재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다시 말해서, 상기 침사 제거부는 침강조 내로 유입된 원수를 분할 격판을 기준하여 포기 노즐의 포기에 의해 양측에 위치한 선회류 유도부재를 통하여 원수를 분할 격판 측으로 선회되도록 함으로서, 원수에 포함된 비교적 중량이 무거운 침사는 포집호퍼 내로 포집된다.
이렇게, 포집호퍼로 포집된 침사는 이송스크류에 의해 배출관 측으로 이송됨과 동시에 배출관 내의 배출스크류를 통하여 배출된다.
특히, 상기 배출관의 입구에는 그 배출관의 입구로 포집된 침사가 서로 뒤엉키지 않고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교반부재의 탄성에 의해 교반 함으로써, 원활하게 배출이 이루어질 수 있는 조건을 가진다. 이때, 교반부재는 별도의 동력에 의해 교반하는 것이 아니라 이송스크류의 회전에 의해 교반하는 것으로 이는 후술한다.
한편, 상기 선회류 유도부재(24)는 원수는 물론 침사가 원활하게 선회될 수 있는 형태인 원통형 또는 하부가 좁고 상부가 넓은 장방형 형태의 바(bar)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선회류 유도부재는 선단과 말단이 침강조의 내측에 통상적인 방식에 의해 고정된다.
그로 인해 포기 노즐의 포기에 의해 원수와 함께 침사는 상기 선회류 유도부재의 외주면 곡면을 타고 원활하게 선회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교반부재(29C)는 배출관(29)의 입구에 장착되는 코일형태의 스프링(29C-1)이되, 상기 스프링(29C-1)은 포집호퍼(28) 측으로 점진적으로 좁은 직경으로, 배출관(29) 측으로 넓은 직경을 가지면서 각 선단은 이송스크류(28A)의 이송날과 접촉에 의해 진동이 발생되게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즉, 상기 교반부재는 별도의 동력에 의해 교반하는 것이 아니라 이송스크류의 회전에 의해 이송날이 스프링의 각 선단과 접촉됨으로써, 진동에 의해 교반이 이루어진다. 특히, 포집호퍼 측에서 좁은 직경을 가지다가 배출관 측으로 넓은 직경으로 형성됨으로 인해 침사의 교반 효율성을 높힘은 물론 배출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조건도 가진다.
제2 제진부(30)는 상기 침사 제거부(20)를 거친 원수에 포함되어 제1 제진부(10)에서 제거된 협잡물 보다 작은 미세한 협잡물을 제거하는 더블 체인 레이크 스크린(30A) 또는 수직 다단 스크린(30B) 중의 어느 하나이거나 더블 체인 레이크 스크린(30A)과 수직 다단 스크린(30B)이 직결되는 기술적 구성을 가진다.
먼저, 더블 체인 레이크 스크린(30A)은 도 12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 하우징(H2)과, 상기 제2 하우징(H2)의 내부 통상적인 사각 틀 형태의 프레임(30A-1) 상에 상기 원호형 스크린(12)의 스크린 바의 폭 보다 좁은 폭을 갖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스크린 바에 의해 형성되는 스크린부(30A-2)와, 상기 프레임(30A-1)의 내측 양측에 통상적인 모터와 감속기 및 동력전달수단 등으로 구성되는 구동수단(30A-3)에 의해 회전되는 한 쌍의 체인(30A-4) 상에 상기 스크린부(30A-2)에 걸려진 협잡물을 끌어올려 제거하는 통상적인 빗과 같은 형태의 레이크날이 형성되는 레이크 플레이트(30A-5), 및 상기 스크린부(30A-2)의 상단 후방에 구비되는 전술한 제1 배출부와 동일한 기술적 구성을 가지는 제2 배출부(30A-6)를 포함하되, 상기 프레임(30A-1)은 상부가 유출부(40) 측으로, 하부는 침사 제거부(20) 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다시 말해서, 더블 체인 레이크 스크린은 통상적인 수로에 설치되는 제진기의 구조와 대등소유한 기술적 구성을 가지는 것으로, 다만 제1 제진부에서 걸러진 협잡물 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는 미레한 협잡물을 제거하기 위해 설치된다.
그에 따라 원수에 포함되어 있는 미세한 협잡물을 2차적으로 걸러냄으로써, 원수의 정화 효율성을 더욱더 높일 수 있는 조건을 가진다.
수직 다단 스크린(30B)은 이 출원인의 선등록 권리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인 선행기술문헌 3과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58837호(이하 '선행기술문헌 4'라 한다)를 토대로 개량한 것이므로 동일한 기술적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며, 도 14 내지 도 2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수직 다단 스크린(30B)은 침사 제거부(20)를 거친 원수가 유입되고 배출되는 제3 하우징(H3)과, 상기 제3 하우징(H3)의 내측 둘레를 따라 구동부(31)에 의해 회전되는 다수 개가 연이어 배치되어 개방된 전면을 통해 유입되는 물에서 협잡물을 걸러내는 버킷 형식의 각각의 스크린 셀(32)과, 상기 제3 하우징(H3) 상에 구비되는 안내레일(33) 상에 상기 각 스크린 셀(32)의 후방과 연결되어 회전되는 각 이동 롤(34) 및 상기 이동 롤(34) 간에 연결되는 각각의 연결링크(34A)를 포함하되, 상기 안내레일(33)에 각 이동 롤(34)이 이동되는 과정에서 탄성에 의해 유격을 보상하여 수류 영향에도 각 스크린 셀(32)이 비틀림 없이 회전되도록 구비되는 가이드 수단(35), 상기 이동 롤(34)과 안내레일(33) 사이에 수압에 의해 각 스크린 셀(32)이 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안내레일(33)로 지지되는 밀림 방지부(36)를 포함한다.
미설명 부호 38은 협잡물 배출부로, 통상적인 모터와 감속기, 동력전달부재에 의해 회전되는 협잡물 배출스크류가 내장되어 있는 협잡물 배출관을 포함하는 기술적 구성을 가진다.
상기에서, 제3 하우징(H3)과, 스크린 셀(32)은 물론 이동 롤(34) 및 연결링크(34A)는 선행기술문헌 4에 게시된 기술적 구성과 동일한 기술적 구성을 가지는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안내레일(33)은 제3 하우징(H3)의 원수에 잠겨지는 측에 위치하는 곡선구간(33A)과 제3 하우징(H3)의 원수로부터 벗어나는 상부까지 위치하는 직선구간(33B)으로 나뉜다.
또한, 상기 스크린 셀(32)의 구동은 구동부(31)의 구동모터의 구동 스프로킷(31A)과 체인으로 연결되는 연동 스프로킷(31B) 및 상기 연동 스프로킷(31B)의 연동축과 연결되어 상기 각 이동 롤(34)과 접촉되어 회전시키는 회전 스프로킷(31B)으로 구성되되, 상기 이동 롤(34)만이 안내레일(33) 상에서 자유단으로 이동되는 기술적 구성의 특징을 가진다. 여기서, 안내레일(33)의 폭은 이동 롤(34)의 직경에 비해 대략 1.5배 정도의 폭을 갖도록 형성됨에 따라 각 연결링크(34A)로 연결되는 각 이동 롤(34)이 안내레일(33)의 곡선구간(33A)에서 자연스럽게 유동성을 가지면서 회전된다.
가이드 수단(35)의 이동 롤(34)의 유격을 보상하는 부분은 제3 하우징(H3)의 원수에 잠긴 안내레일(33)의 곡선구간(33A)을 벗어나 시작되는 직선구간(33B)에 마련된다. 즉, 곡선구간 내에서는 연결링크로 연결된 각 이동 롤이 회전으로 인해 안내레일의 내측면에 밀착되게 이동됨에 따라 유동성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상기 가이드 수단(35)은 안내레일(33)의 내측면 내면에 통상적인 용접 또는 볼팅 등에 의해 형성되는 고정 가이드(35)와, 상기 안내레일(33)의 외측면 내면에 탄성에 의해 이동 롤(34)의 유격을 보상하도록 완충되는 완충 가이드(35B)를 포함하되, 상기 완충 가이드(35B)는 안내레일(33)의 외측면 외면에 통상적인 용접 또는 볼팅 등에 의해 고정되는 완충 고정 가이드(35B-1)와, 상기 완충 고정 가이드(35B-1) 상에 그 안내레일(33) 외측면에 소정 간격으로 관통된 관통공(33C) 사이에 구비되는 통상적인 스프링 형태인 각각의 탄성체(35B-2)와, 상기 안내레일(33)의 외측면 내면 측의 상기 각 탄성체(35B-2)에 통상적인 억지끼움 방식 등에 의해 결합되어 유격을 보상하도록 완충되는 완충 가동 가이드(35B-3)로 구성된다.
그에 따라 안내레일의 곡선구간을 벗어난 시점의 이동 롤은 완충 가이드의 완충 가동 가이드와 접함과 동시에 타고 이동됨으로써, 탄성체의 탄성에 의해 완충 가동 가이드가 이동 롤을 고정 가이드 측으로 밀착시키게 된다.
그로 인해 안내레일의 내측면과 외측면 사이에서 이동 롤의 유격이 발생하지 않게 됨에 따라 안정적으로 이동되는 것이며, 그에 따라 스크린 셀에 비틀림이 발생하지 않게 되어 안정적으로 이송되면서 협잡물을 제거할 수 있는 조건을 가지게 된다.
한편, 상기 밀림 방지부(36)는 각 이동 롤(34)의 축 상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각각 장착링크(36A)와, 상기 장착링크(36A)의 이동 롤(34)이 위치한 부분에 안내레일(33)에 지지되도록 구비되는 밀림 방지롤러(36B)로 구성된다.
그로 인해 제3 하우징의 하부 원수 내에서의 스크린 셀로 수압이 발생 되더라고 밀림 방지롤러에 의해 안내레일에 지지됨에 따라 밀림을 방지할 수 있어, 제3 하우징의 하부에 위치한 스크린 셀은 항시 수직선상으로 회전이 이루어져, 협잡물의 제거 효율성을 더욱더 높일 수 있는 것이다.
이로써, 수직 다단 스크린은 가이드 수단에 의해 스크린 셀이 좌우로 비틀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밀림 방지부에 의해 스크린 셀이 전후로 밀리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스크린 셀이 안정적으로 동일 선상과 동일 면상에 위치하여 회전됨으로 인해 협잡물이 제거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스크린 셀이 회전되는 과정에서 비틀림으로 인해 발생 되었던 부하 또한 상쇄시킴으로써, 최소한의 동력으로도 원활하게 회전시킬 수 있는 부수적인 조건도 가진다.
그리고 상기 스크린 셀에 의해 협잡물을 제거한 후 다시 수로로 진입하기 전에 혹여 스크린 셀에 부착된 협잡물 또한 깨끗하게 제거할 수 있는 기술적 구성도 가진다.
제3 하우징(H3)의 원수로 인입되는 스크린 셀(32)의 상부에 그 스크린 셀(32)에 부착된 협잡물을 제거하도록 마련되는 협잡물 제거부(320)를 더 포함하되, 상기 협잡물 제거부(320)는 통상적인 구동수단(322)에 의해 회전되면서 상기 스크린 셀(32)의 전면에 부착된 협잡물을 제거하는 브러쉬(324)와, 상기 브러쉬(324)의 브러쉬 회전축(324A)의 내부에 그 브러쉬 회전축(324A)에 형성된 통공(324B)을 통하여 스크린 셀(32)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제1 분사노즐부(325)를 포함한다.
구동수단(322)은 모터와 감속기 등으로 구성되는 구동부(322A)와, 상기 구동부와 통상적인 방식에 의해 연결되는 브러쉬 회전축(324A)으로 구성되며, 상기 브러쉬 회전축(324A)의 외주면에 스크린 셀(32)에 부착된 협잡물을 제거하는 브러쉬(324)를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브러쉬 회전축(324A)은 내부가 중공되어 내부에 제1 분사노즐부(325)의 분사노즐관(325A)이 삽입되며, 상기 분사노즐관(325A)에는 복수 개의 분사노즐(325B)이 마련되되, 상기 브러쉬 회전축(324A)에는 상기 분사노즐(325B)로부터 세척수가 분사되도록 통공(324B)이 형성된다. 상기 분사노즐관(325A)의 복수 개의 분사노즐(325B)은 스크린 셀(32)의 전면을 향하여 고정되며, 상기 분사노즐관(325A)과 브러쉬 회전축(324A) 사이에는 통상적인 회전부싱이 마련된다. 즉, 브라쉬 회전축과 분사노즐관은 통상적인 이중관 형태로 조립된다. 상기 통공은 도시된 바와 같이 분사노즐과 대응되는 갯 수로 각각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 장방형 형태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그로 인해 브러쉬가 회전되면서 스크린 셀의 전면에 부착된 협잡물을 쓸어내리듯이 제거함과 동시에 브러쉬 회전축에 형성된 통공이 분사노즐관의 분사노즐과 일치되는 시점에서 세척수가 스크린 셀로 분사되어, 다시 한번 세정함으로써, 스크린 셀을 깨끗하게 세정하는 것이다.
그에 따라 수로로 다시 인입되는 스크린 셀은 깨끗하게 세척된 상태이므로 수로 내의 물로부터 협잡물을 더욱더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조건을 가진다.
아울러, 상기 스크린 셀의 전면에 부착된 협잡물을 브러쉬에 의해 제거함과 동시에 상기 스크린 셀의 후방에서 세척수를 다시 분사되도록 함으로써, 더욱더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는 기술적 구성도 제공한다.
협잡물 제거부(320)에는 스크린 셀(32)의 후방에 세척수를 분사하는 제2 분사노즐부(320A)를 더 포함한다.
제2 분사노즐부(320A)는 통상적인 기술적 구성을 가지는 것으로 본체 상에 통상적인 방식에 의해 고정되는 분사노즐관(325A)과, 상기 분사노즐관(325A)에 스크린 셀(32) 방향으로 구비되는 복수 개의 분사노즐(325B)로 구성된다.
그로 인해 스크린 셀에 부착되는 협잡물을 전면에서 뿐만 아니라 후방에 구비되는 제2 분사노즐부에 의해 분사되는 세척수에 의하여 더욱더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조건을 가진다.
유출부(40)는 상기 제2 제진부(30)를 거치 협잡물과 침사가 제거된 처리수를 배출하는 기술적 구성을 가지는 것으로, 이는 선행기술문헌 3과 동일한 기술적 구성을 가지는 것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1A, 1B, 1C : 종합 전처리설비
10 : 제1 제진부 12 : 원호형 스크린
14 : 산기장치 15 : 회전축
15A, 29A, 30A-3, 322 : 구동수단 15B : 제2 연결대
15C : 탄성체 16 : 레이크 부재
16A : 고정 프레임 16B : 회동 프레임
16B-1 : 제1 연결대 16C : 레이크
16C-1 : 레이크 날 18 : 제거 스크레이퍼부
18A : 장착대 18B : 스크레이퍼날
18C : 스크레이퍼 18D : 스토퍼
18E : 완충구
H1 : 제1 하우징 H1-1 : 유입구
H1-2 : 제1 배출부 H1-2A, 29 : 배출관
H1-2B, 29B : 배출스크류 H1-2C : 배출 이송관
20 : 침사 제거부 20A : 침강조
22 : 분할 격판 22A : 포기노즐
22B : 포기관 24 : 선회류 유도부재
25 : 가이드판 28 : 포집호퍼
28A : 이송스크류 29C : 교반부재
29C-1 : 스프링 30 : 제2 제진부
30A : 더블 체인 레이크 스크린 30A-1 : 프레임
30A-2 : 스크린부 30A-4 : 체인
30A-5 : 레이크 플레이트 30A-6 : 제2 배출부
H2 : 제 하우징
30B : 수직 다단 스크린 31 : 구동부
31A : 구동 스프로킷 31B : 연동 스프로킷
31C : 회전 스프로킷 32 : 스크린 셀
320 : 협잡물 제거부 320A : 제2 분사노즐부
322A : 구동부 324 : 브러쉬
324A : 브러쉬 회전축 324B : 통공
325 : 제1 분사노즐부 325A : 분사노즐관
325B : 분사노즐
33 : 안내레일 33A : 곡선구간
33B : 직선구간 33C : 관통공
34 : 이동 롤 34A : 연결링크
35 : 가이드 수단 35A : 고정 가이드
35B : 완충 가이드 35B-1 : 완충 고정 가이드
35B-2 : 탄성체 35B-3 : 완충 가동 가이드
36 : 밀림 방지부 36A : 장착링크
36B : 밀림 방지롤러 40 : 유출부
H3 : 제3 하우징

Claims (14)

  1. 제1 하우징의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원수에 포함된 협잡물을 원호형 스크린이 상기 제1 하우징의 바닥면에 흐르는 원수에 포함된 협잡물을 거르도록 곡면의 볼록한 부분이 하부로 위치하면서 원수가 유입되는 일단 하부 측에서 원수가 흐르는 방향의 타단 상부 측으로 경사지게 설치되며 상기 원호형 스크린의 유입구 측의 전방에 공기를 분사하는 산기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원호형 스크린의 상부에 구동수단에 의해 360° 회전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 상에 원호형 스크린에 걸려진 협잡물을 제1 배출부로 제거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되는 각각의 레이크 부재, 및 원수가 흐르는 방향의 원호형 스크린의 끝단 상부에 상기 각 레이크 부재에 잔류하는 협잡물을 제거하는 제거 스크레이퍼부를 포함하는 제1 제진부;
    상기 제1 제진부를 거친 원수에 함유된 침사를 선회류 방식에 의해 침강시켜 배출하도록 상기 제1 제진부 보다는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침강조를 포함하는 침사 제거부;
    상기 침사 제거부를 거친 원수에 포함되어 제1 제진부에서 제거된 협잡물 보다 작은 협잡물을 제거하는 더블 체인 레이크 스크린 또는 수직 다단 스크린 중의 어느 하나이거나 더블 체인 레이크 스크린과 수직 다단 스크린이 직결되는 제2 제진부; 및
    상기 제2 제진부를 거치 협잡물과 침사가 제거된 처리수를 배출하는 유출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거 스크레이퍼부는 양측에 상기 제1 하우징의 양측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각각의 장착대, 상기 각 장착대 사이에 상기 레이크의 각 레이크 날 사이를 통과하는 각각의 스크레이퍼날이 형성되는 스크레이퍼를 포함하는 종합 전처리설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크 부재는 회전축 상에 적어도 2개 이상을 마련하되, 그 회전축의 축 방향의 서로 다른 선상에 각각 배치되는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레이크 부재는 회전축 상에 형성되는 각각의 고정 프레임, 상기 고정 프레임 상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 프레임, 상기 회동 프레임의 하단에 구비되는 레이크를 포함하되, 상기 회동 프레임은 그 회동 프레임에 형성된 제1 연결대와 상기 회전축 상에 구비되는 제2 연결대 사이에 구비되는 탄성체에 의해 완충 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종합 전처리설비.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장착대의 밑면 제1 하우징에 구비되는 각각의 스토퍼, 상기 각 장착대의 내측면과 제1 하우징의 상부에 상기 스크레이퍼의 회전 반경을 제한하는 각각의 완충구를 더 포함하는 종합 전처리설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침사 제거부는 침강조의 내부 가운데에 밑면으로 양측에 각각의 포기노즐이 형성되는 포기관이 형성되는 분할 격판, 상기 분할 격판의 양측에 구비되는 선회류 유도부재, 상기 침강조의 양측 내측면 상부에 형성되는 각각의 경사진 가이드판, 상기 침강조의 바닥면에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되는 이송스크류가 마련되는 포집호퍼, 상기 포집호퍼의 일단과 연결되는 배출관의 내부에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되는 배출스크류를 포함하되, 상기 배출관의 입구에는 이송스크류 회전에 의해 배출하고자 하는 침사를 탄성에 의해 교반하는 교반부재가 개재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종합 전처리설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선회류 유도부재는 원통형 또는 하부가 좁고 상부가 넓은 장방형 형태의 바(bar) 형태인 종합 전처리설비.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부재는 배출관의 입구에 장착되는 코일형태의 스프링이되, 상기 스프링은 포집호퍼 측으로 점진적으로 좁은 직경으로, 배출관 측으로 넓은 직경을 가지면서 각 선단은 이송스크류의 이송날과 접촉에 의해 진동이 발생되게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종합 전처리설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더블 체인 레이크 스크린은 제2 하우징, 상기 제2 하우징의 내부 프레임 상에 상기 원호형 스크린의 스크린 바의 폭 보다 좁은 폭을 갖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스크린 바에 의해 형성되는 스크린부, 상기 프레임의 내측 양측에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되는 한 쌍의 체인 상에 상기 스크린부에 걸려진 협잡물을 끌어올려 제거하는 레이크 플레이트, 및 상기 스크린부의 상단 후방에 구비되는 제2 배출부를 포함하되, 상기 프레임은 상부가 유출부 측으로, 하부는 침사 제거부 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종합 전처리설비.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다단 스크린은 침사 제거부를 거친 원수가 유입되고 배출되는 제3 하우징, 상기 제3 하우징의 내측 둘레를 따라 구동부에 의해 회전되는 다수 개가 연이어 배치되어 개방된 전면을 통해 유입되는 물에서 협잡물을 걸러내는 버킷 형식의 각각의 스크린 셀, 상기 제3 하우징 상에 구비되는 안내레일 상에 상기 각 스크린 셀의 후방과 연결되어 회전되는 각 이동 롤 및 상기 이동 롤 간에 연결되는 각각의 연결링크를 포함하되, 상기 안내레일에 각 이동 롤이 이동되는 과정에서 탄성에 의해 유격을 보상하여 수류 영향에도 각 스크린 셀이 비틀림 없이 회전되도록 구비되는 가이드 수단, 상기 이동 롤과 안내레일 사이에 수압에 의해 각 스크린 셀이 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안내레일로 지지되는 밀림 방지부를 포함하는 종합 전처리설비.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수단의 이동 롤의 유격을 보상하는 부분은 수로 잠겨져 물이 흐르는 안내레일의 곡선구간을 벗어나 시작되는 직선구간에 마련되되, 상기 가이드 수단은 안내레일의 내측면 내면에 형성되는 고정 가이드, 상기 안내레일의 외측면 내면에 탄성에 의해 이동 롤의 유격을 보상하도록 완충되는 완충 가이드를 포함하는 종합 전처리설비.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 가이드는 안내레일의 외측면 외면에 고정되는 완충 고정 가이드, 상기 완충 고정 가이드 상에 그 안내레일 외측면에 소정 간격으로 관통된 관통공 사이에 구비되는 각각의 탄성체, 상기 안내레일의 외측면 내면 측의 상기 각 탄성체에 결합되어 유격을 보상하도록 완충되는 완충 가동 가이드로 구성되는 종합 전처리설비.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밀림 방지부는 각 이동 롤의 축 상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각각 장착링크, 상기 장착링크의 이동 롤이 위치한 부분에 안내레일에 지지되도록 구비되는 밀림 방지롤러로 구성되는 종합 전처리설비.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하우징의 원수 측으로 인입되는 스크린 셀의 상부에 그 스크린 셀에 부착된 협잡물을 제거하도록 마련되는 협잡물 제거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협잡물 제거부는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되면서 상기 스크린 셀의 전면에 부착된 협잡물을 제거하는 브러쉬, 상기 브러쉬의 브러쉬 회전축 내부에 그 브러쉬 회전축에 형성된 통공을 통하여 스크린 셀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제1 분사노즐부를 포함하는 종합 전처리설비.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협잡물 제거부에는 스크린 셀의 후방에 세척수를 분사하는 제2 분사노즐부를 더 포함하는 종합 전처리설비.
KR1020180099486A 2018-08-24 2018-08-24 종합 전처리설비 KR1019633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9486A KR101963372B1 (ko) 2018-08-24 2018-08-24 종합 전처리설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9486A KR101963372B1 (ko) 2018-08-24 2018-08-24 종합 전처리설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3372B1 true KR101963372B1 (ko) 2019-03-28

Family

ID=65908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9486A KR101963372B1 (ko) 2018-08-24 2018-08-24 종합 전처리설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337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304131A (zh) * 2022-08-15 2022-11-08 湖南艾迪奥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磁芯倒角用尾水处理器
KR102511082B1 (ko) 2022-12-13 2023-03-17 주식회사 가온텍 하, 폐수용 종합 전처리장치
CN117049752A (zh) * 2023-10-11 2023-11-14 广东华鑫原点科技有限公司 一种连续处理的废水多级处理装置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315U (ja) * 1994-03-10 1996-08-20 遠藤鋼機株式会社 除塵装置
KR200162956Y1 (ko) * 1997-06-11 1999-12-15 강동석 오폐수 처리장치
KR200241722Y1 (ko) * 1999-02-03 2001-09-25 윤창진 수조식 양식 시설의 경사 스크린 청소용 브러시
KR100544365B1 (ko) 2005-05-13 2006-01-23 중앙종합기계 주식회사 하수 및 오수 종합 전처리 장치
KR100806920B1 (ko) * 2007-08-07 2008-02-22 중앙종합기계 주식회사 평면 수직형 스크린 장치와 이의 구동방법
KR20090093772A (ko) 2008-02-29 2009-09-02 주식회사 대흥기계 하수 종합 전처리장치
KR101147031B1 (ko) * 2011-12-26 2012-05-17 주식회사 월드이노텍 레이크의 양방향 탄성기울임이 가능한 제진기
KR101568308B1 (ko) 2015-03-13 2015-11-12 주식회사 가온텍 종합 전처리설비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315U (ja) * 1994-03-10 1996-08-20 遠藤鋼機株式会社 除塵装置
KR200162956Y1 (ko) * 1997-06-11 1999-12-15 강동석 오폐수 처리장치
KR200241722Y1 (ko) * 1999-02-03 2001-09-25 윤창진 수조식 양식 시설의 경사 스크린 청소용 브러시
KR100544365B1 (ko) 2005-05-13 2006-01-23 중앙종합기계 주식회사 하수 및 오수 종합 전처리 장치
KR100806920B1 (ko) * 2007-08-07 2008-02-22 중앙종합기계 주식회사 평면 수직형 스크린 장치와 이의 구동방법
KR20090093772A (ko) 2008-02-29 2009-09-02 주식회사 대흥기계 하수 종합 전처리장치
KR101147031B1 (ko) * 2011-12-26 2012-05-17 주식회사 월드이노텍 레이크의 양방향 탄성기울임이 가능한 제진기
KR101568308B1 (ko) 2015-03-13 2015-11-12 주식회사 가온텍 종합 전처리설비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304131A (zh) * 2022-08-15 2022-11-08 湖南艾迪奥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磁芯倒角用尾水处理器
CN115304131B (zh) * 2022-08-15 2024-01-09 湖南艾迪奥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磁芯倒角用尾水处理器
KR102511082B1 (ko) 2022-12-13 2023-03-17 주식회사 가온텍 하, 폐수용 종합 전처리장치
CN117049752A (zh) * 2023-10-11 2023-11-14 广东华鑫原点科技有限公司 一种连续处理的废水多级处理装置
CN117049752B (zh) * 2023-10-11 2023-12-12 广东华鑫原点科技有限公司 一种连续处理的废水多级处理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3372B1 (ko) 종합 전처리설비
KR200417966Y1 (ko) 롤링 회전구조를 갖는 협잡물 제거용 드럼스크린
AU2014275092B8 (en) Continuous belt screen
KR20030042031A (ko) 물 처리 장치
CN210206159U (zh) 一种多缸长网造纸机的废水预处理装置
CN210825754U (zh) 一种分级式污水处理装置
KR20130139735A (ko) 협잡물 제거용 드럼 스크린
KR100803712B1 (ko) 여과재 재생을 위한 분리공법 및 여과재 분리장치
CN113617110A (zh) 一种ecr污水处理设备
KR100866039B1 (ko) 하폐수 여과 장치
KR100730319B1 (ko) 청수장치
CN114920320B (zh) 焦化厂废水焦油回收装置
KR101863696B1 (ko) 생물반응조의 슬러지 감량 시스템
CN117122964A (zh) 一种生物载体拦截滤筒装置
CN116196684A (zh) 一种采矿现场污水处理装置
KR100783024B1 (ko) 원통형의 메쉬스크린과 헬리컬바를 이용한 고액분리장치
WO2003105987A1 (en) Water treatment device and water treatment method
CN114671550A (zh) 一种污水处理装置
KR102230225B1 (ko) 비점오염원 처리장치
KR100705963B1 (ko) 여과재 재생선별장치 및 여과재 재생선별방법
CN113277656A (zh) 一种超声波工业废水处理系统及方法
KR100762416B1 (ko) 침전상등수용 여과장치
KR200400257Y1 (ko) 오폐수 정화용 슬러지 분리기
JP3636205B1 (ja) 濾材洗浄選別装置
CN213202599U (zh) 一种废水初级过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