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3712B1 - 여과재 재생을 위한 분리공법 및 여과재 분리장치 - Google Patents

여과재 재생을 위한 분리공법 및 여과재 분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3712B1
KR100803712B1 KR1020070114560A KR20070114560A KR100803712B1 KR 100803712 B1 KR100803712 B1 KR 100803712B1 KR 1020070114560 A KR1020070114560 A KR 1020070114560A KR 20070114560 A KR20070114560 A KR 20070114560A KR 100803712 B1 KR100803712 B1 KR 1008037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medium
anthracite
activated carbon
housing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45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회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무진하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무진하이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무진하이테크
Priority to KR10200701145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37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37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37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28Moving scree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winging, reciprocating, rocking, tilting or wobbling screens
    • B07B1/30Moving scree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winging, reciprocating, rocking, tilting or wobbling screens jigging or moving to-and-fro within their own plane in or approximately in or transverse to the direction of convey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08Separating or sorting of material, associated with crushing or disintegr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6Constructional details of screens in general; Cleaning or heating of screens
    • B07B1/50Cleaning
    • B07B1/55Cleaning with fluid j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04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according to siz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여과사 분리 장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상단에 서로 다른 메쉬크기를 가지며 상호 연결되어 경사지게 설치되는 선별망체들과,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선별망체를 진동시키기 위한 진동발생기와, 상기 각 선별망체의 하부에 설치되어 선별된 여과재를 배출하기 위한 슈트들을 포함하는 선별수단과;
상기 슈트들 중 규사와 안트라사이트 또는 활성탄이 혼합된 채 배출되는 슈트와 연결되며 상부에 제 1개방부가 형성된 제 1하우징과, 상기 제1하우징의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며 나선형의 깃이 설치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을 구동시키는 구동부를 구비한 스크류 컨베이어와, 상기 제 1하우징을 감싸며 상기 제1 하우징의 제1개방부를 통하여 물과 같이 배출되는 안트라사이트 또는 활성탄을 포집하며 제 1하우징에 대해 경사지게 설치되는 제 2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스크류 컨베이어에 의해 이동되는 여과재에 비중이 낮은 여과재가 제1하우징의 제1개방부를 통하여 제 2하우징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수단을 포함하는 여과재 분리수단을 포함한다.
여과지, 여과사, 분리, 재생

Description

여과재 재생을 위한 분리공법 및 여과재 분리장치{a method for selecting filter-sand and selection apparatus using thereof}
본 발명은 여과재 재생을 위한 분리 공법 및 여과재 분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상호 크기가 유사한 규사와 안트라사이트 또는 규사와 활성탄을 비중차이를 이용하여 분리하는 여과재 재생을 위한 분리공법 및 여과재 분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음용수의 정수, 수영장 또는 목욕탕의 풀에 공급되는 물, 공업용수, 공업폐수 등은 적절한 수질의 유지를 위해 여과지(여과조) 내의 여과재(필터)로서 이물질을 제거함과 아울러 멸균 또는 정화를 위하여 별도의 약품처리를 하고 있다.
상기 여과지는 모래를 여과재로 사용하는 단층 급속여과지, 모래와 안트라사이트(anthracite), 활성탄 등을 사용하는 복층 급속여과지 등이 있다.
이러한 여과지의 일예가 특허등록 제 0488613호에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여과지에 공급되는 여과재로서는 잔모래층과 굵은모래층 및 자갈층 등이 이용된다.
그리고 등록 특허 제 0657407호에는 활성탄, 모래 등을 여과재로 이용한 폐 수 또는 하수처리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여과지(여과조)에 설치되는 여과재는 장기간 사용하는 경우 이물질들에 의해 오염되므로 주기적으로 세척하게 된다. 여과재를 세척하는 방법에는 세척수를 이용하여 표면을 세척하는 방식과 물과 공기를 함께 이용하여 역세척 하는 방식이 알려져 있다. 여과재를 역세수 만을 이용하여 세척과 표면세척을 겸하는 것은 역세척 효율이 양호하지 못하고, 물과 공기를 함께 이용하여 세척하는 것은 모래와 안트라사이트 경계면에서 과다한 섞임 현상으로 정밀여과기능이 저하되며 블로워(Blower)와 펌프((Pump)를 사용하게 되므로 많은 유지비가 소요된다. 특히 상술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여과재를 주기적으로 세척하여도 장기간 사용하게 되면 여과재에 이물질이 누적되거나 오염되어 여과 기능이 현저하게 저하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이와 같이 이물질이 누적되거나 오염되어 기능이 저하된 여과재를 폐기하고 새로운 여과재를 투입하게 되므로 많은 인력과 경비가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본 출원인은 여과사 세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여과사 재생공법을 발명하여 등록 특허 제 0735089호로 등록 받은 바 있으며, 이러한 여과재를 재생할 수 있는 방법을 지속적으로 연구하여 이 출원을 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비중차이에 의해 규사와 안트라사이트 또는 활성탄의 여과재를 분리할 수 있는 여과재 재생을 위 한 분리 공법 및 여과재 분리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포를 이용하여 여과재의 유동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여과재의 분리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서는 여과재의 재생에 따른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여과재 분리 재생 공법 및 여과재 분리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여과재 재생을 위한 분리 공법은
자갈, 모래, 안트라사이트, 활성탄의 오염된 여과재를 세척하는 여과재 세척단계와,
세척된 여과재를 서로 다른 메쉬크기에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선별망체를 바이브레이터를 이용하여 진동시켜 상기 선별망체를 따라 이동하는 여과재를 크기별로 분리하는 여과재 선별단계와,
선별된 여과재 중 크기가 유사하여 혼합된 규사와 안트라사이트 또는 규사와 활성탄을 물과 혼합하여 이동시키면서 비중이 가벼운 안트라사이트 또는 활성탄을 부상시켜 분리하는 여과재 분리단계를 포함 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여과재 분리단계는 물과 혼합된 규사와 안트라사이트 또는 규사와 활성탄을 교반시키는 교반단계와, 교반 시 공기를 공급하여 비중이 낮은 안트라사이트 또는 활성탄을 부상시키는 급기단계를 더 구비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여과재 분리장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상단에 서로 다른 메쉬크기를 가지며 상호 연결되어 경사지게 설치되는 선별망체들과,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선별망체를 진동시키 기 위한 바이브레이터와, 상기 각 선별망체의 하부에 설치되어 선별된 여과재를 배출하기 위한 슈트들을 포함하는 선별수단과;
상기 슈트들 중 규사와 안트라사이트 또는 활성탄이 혼합된 채 배출되는 슈트와 연결되며 상부에 제 1개방부가 형성된 제 1하우징과, 상기 제1하우징의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며 나선형의 깃이 설치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을 구동시키는 구동부를 구비한 스크류 컨베이어와, 상기 제 1하우징을 감싸며 상기 제1 하우징의 제1개방부를 통하여 물과 같이 배출되는 안트라사이트 또는 활성탄을 포집하며 제 1하우징에 대해 경사지게 설치되는 제 2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스크류 컨베이어에 의해 이동되는 여과재에 비중이 낮은 여과재가 제1하우징의 제1개방부를 통하여 제 2하우징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수단을 포함하는 여과재 분리수단을 포함 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 컨베이어의 회전축을 통하여 이송중인 여과재에 공기를 공급하여 폭기시키는 급기수단을 더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여과재 재생을 위한 분리공법 및 여과재 분리장치는 비중차이를 이용하여 성상 및 기능이 다른 규사와 안트라사이트 또는 규사와 활성탄을 분류할 수 있으므로 여과재 교환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자갈, 규사, 안트라사이트 등의 여과재를 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이들의 채취에 다른 환경파괴를 억제 할 수 있으며, 안트라사이트의 수입에 따른 외화를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강이나 댐과 같은 취수지에서 물을 취수한 후 정수시켜 가정에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정수장이나 각종 오염물질에 의해 더러워진 물을 정화시켜 배출하기 위한 하수처리장 등에 사용되는 여과지(여과조)에 적층된 여과재 즉, 자갈, 규사, 안트라사이트나 활성탄을 재생할 수 있도록 분리하는 것으로 일 실시예를 도 1에 나타내 보였다.
도면을 참조하면, 여과지에 적층되어 역세척 과정에서 혼합되고 오염된 여과재의 재생을 위한 분리공법(10)은 여과지에 적층된 여과재를 회수하여 세척하는 여과제 세척단계(11)와, 세척된 여과재를 크기별로 선별하는 여과재 선별단계(12)를 수행한다.
상기 여과제 세척단계(11)는 화학적인 작용이 이루어지지 않고 단지 여과재의 표면에 부착된 슬러지 등과 같은 이물질을 세척하기 위한 것으로, 고압의 물을 여과제에 분사하여 여과제에 물을 공급하면서 교반하여 세척할 수 있다. 상기 세척단계는 여과제의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구조이면 어느 것이나 가능하다.
상기 여과제 선별단계(12)는 성상 또는 기능이 다른 여과제를 크기별로 분류하는 것으로, 자갈, 규사, 안트라사이트 또는 활성탄을 서로 다른 메쉬를 가지는 선별망체들을 경사지게 설치하고 이 선별망체들을 바이브레이터를 이용하여 진동시킴과 아울러 이들의 상부로 여과제를 공급하여 크기별로 분류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굵은 자갈, 상대적으로 작은 자갈, 굵은 규사, 가는 규사, 안트라사이트 또는 활성탄으로 분류된다. 그러나 상기 규사와 안트라사이트 또는 활성탄은 그 크기가 상대적으로 비슷하므로 선별망체에 의해 완벽하게 분류할 수가 없다.
상기 선별망체에 의해 선별된 굵은 자갈, 작은 자갈, 안트라사이트 또는 활성탄이 혼합되지 않은 굵은 규사는 야적장으로 운반하여 함수비를 최소화시켜 재사용할 수 있도록 저장한다.
그리고 상기 선별망체들을 이용하여 분류 시 안트라사이트 또는 활성탄이 혼합된 모래 즉, 규사는 물과 혼합하여 이동시키면서 비중이 가벼운 안트라사이트 또는 활성탄을 부상시켜 분리하는 여과재 분리단계(13)를 수행한다.
상기 여과재 분리단계(13)는 상부가 개방된 스크류 컨베이어를 이용하여 안트라사이트 또는 활성탄이 혼합된 규사와 물을 혼합하여 이동시킴으로써 상대적으로 비중이 낮은 안트라사이트 또는 활성탄이 개방부를 통한 월류에 편승되어 이동되도록 함으로서 분리한다.
상기와 같이 비중차이에 의해 여과재를 분리하는 여과재 분리단계에 있어서, 상기 물과 혼합된 모래와 안트레사이트 또는 모래와 활성탄을 교반시키는 교반단계(14)와, 교반 시 공기를 공급하여 비중이 낮은 안트라사이트 또는 활성탄을 부상시키는 급기단계(15)를 더 구비한다. 상기 교반단계는 상기 스크류 컨베이어의 회전축이 회전함으로써 이에 설치된 나선형의 깃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급기단계는 스크류의 회전축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중공부와 이와 연통되도록 회전축의 외주면에 형성된 분사공을 통하여 공급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여과재 분리단계(13)에 의해 분리된 규사, 안트라사이트 또는 활성탄을 물과 분리한 후 건조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여과재의 재생을 위한 분리공법은 크기가 유사한 규사와 안트라사이트 또는 규사와 활성탄을 비중을 이용하여 분리함으로써 분리 효율을 극대화 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서는 안트라사이트 또는 활성탄과 같이 비중이 낮은 여과재의 재사용이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여과재의 재생을 위한 분리공법을 수행하기 위한 여과재 분리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 2 내지 도 5에 나타내 보였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여과재 분리장치는 오염물질이 세척된 여과재를 서로 다른 크기의 선별망체을 이용하여 크기별로 분리하는 여과재 선별수단(20)과, 상기 선별수단(20)으로부터 선별된 여과재중 크기가 유사하여 상호 혼합된 규사와 안트라사이트 또는 규사와 활성탄을 비중차이에 의해 분리하는 여과재 분리수단(40)을 포함한다.
상기 여과재 선별수단(20)은 프레임(21)과, 상기 프레임(21)에 경사지게 연속하여 설치되며 서로 다른 크기의 매쉬를 가지는 선별망체(22-24)들과, 각 선별망체(22-24)의 하부에 설치되어 선별망체에 의해 선별된 여과재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슈트(26-28)들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21)에는 선별망체(22-24)를 진동시키기 위한 바이브레이터(30)가 설치된다. 상기 프레임(21)에 설치되는 선별망체(22-24)는 바이브레이터(30)에 의해 진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프레임(21)에 링크(34)에 의해 연결되거나 탄성부재에 의해 지지될 수 있으며, 상기 바이브레이터(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21)에 설치되는 모터(31)와, 상기 모터(31)의 회전축에 설치되는 편심캠(32)과, 편심캠(32)과 선별망체를 연결하 는 연결부재(33)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바이브레이터는 상술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여과재를 선별하기 위하여 선별망체를 진동시킬 수 있는 구조이면 어느 것이나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배출슈트는 배출되는 여과재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하여 슈트의 배출측이 양측으로 엇갈리게 위치되도록 교호적으로 설치된다. 상기 프레임에는 선별망체(22-24)에 분리하고자 하는 여과재가 공급되는 호퍼(35)가 설치된다.
상기 여과재 분리수단(40)은 선별수단에 의해 선별된 여과재들 중 그 크기가 상대적으로 비슷하여 선별망체에 의한 선별 시 혼합되어 선별되는 규사와 안트라사이트 또는 규사와 활성탄을 분리하기 위한 것으로 일 실시예를 도 2 및 도 5에 나타내 보였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여과재 분리수단(40)은 상기 슈트(26)와 연결되는 투입호퍼(41)와 연결되며 물이 넘칠 수 있도록 길이 방향으로 상부에 제1개방부(42)가 형성되며, 단부에 비중이 상대적으로 큰 규사가 토출되는 제1토출구(43)가 형성된 제 1하우징(44)과, 상기 제 1하우징(44)의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외주면에 나선형의 깃(45)이 형성된 회전축(46)과, 상기 제1하우징(44)에 지지된 회전축(46)을 정역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47)를 구비한 스크류컨베이어(48)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스크류컨베이어(48)의 제 1하우징(44)을 감싸며 상기 제1개방부(42)를 통하여 넘치는 물을 회수할 수 있는 제 2하우징(50)을 구비한다. 여기에서 상기 제 2하우징(50)은 제1개방부(42)와 대응되는 측에 제 2개방부(52)가 형성되며 상기 제 1하우징(44)으로부터 넘치는 물의 회수가 용이하도록 제 2개방부(52)의 폭이 제 1개방부(42)의 폭보다 넓게 형성되며 단부축에는 제 2토출구(54)가 형성되다. 그리고 상기 제 2하우징(50)은 제 1하우징으로부터 유입된 월류가 단부측으로 원활하게 흐를 수 있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투입호퍼(41)로 유입되는 여과재를 비중차이에 의해 불리할 수 있도록 상기 투입호퍼(41) 또는 제 1하우징에 제1개방부를 통하여 월유가 발생하도록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수단(60)과, 상기 제 1하우징(44)에 물과 혼합되어 이동되는 여과재의 교반력을 높이기 위해 공기를 공급하는 급기수단(70)을 구비한다.
상기 물공급수단(60)은 물탱크(61) 또는 원수공급관과 연결되어 상기 투입호퍼(41) 또는 제1하우징(44)에 물을 공급하는 연결관(62)과, 상기 연결관(62)에 설치되는 펌프(63)를 구비한다. 상기 물공급수단(60)은 제 1하우징(44)의 제 1개방부(42)를 통하여 물이 넘칠 수 있도록 공급될 수 있어야 하며, 상기 연결관(62)에는 물의 공급량을 조절하기 위한 밸브(64)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급기수단(70)은 제1하우징(44)의 내부에서 이동되는 여과재 즉, 규사와 안트라사이트 또는 규사와 활성탄이 혼합된 여과재의 내부에 공급되는 공기의 폭기 작용에 의해 순환력을 높일 수 있는 것으로, 상기 회전축(46)에 길이 방향으로 중공부(71)가 형성되고, 이 회전축(46)의 외주면에는 상기 중공부(71)와 연통되는 복수개의 분사공(72)들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46)의 일측 단부에는 상기 중공부(71)에 공기를 공급하는 위한 로터리 죠인트(73)가 설치되고, 로터리 조인트는 컴프레셔(74)의 토출구와 연결된 공기 공급관(75)과 연결된다.
상기 급기수단(70)은 상술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제 1하우징(44) 의 내주면에 분사관을 설치하거나 상기 제1하우징(44)의 외주면에 상기 제 1하우징(44)의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관이 설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여과재 재상을 위한 분리 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오염된 여과재를 세척하기 위해서는 여과지 또는 여과조 내의 여과재를 취출한 후 이를 세척하여 여과재 선별수단(20)의 호퍼(35)에 공급한다.
그리고 상기 바이브레이터(30)를 구동시킴으로써 상기 호퍼(35) 내의 여과재가 진동하는 선별망체(22-24)들을 통과하게 되고, 이 선별망체(22-24)들을 통과하면서 여과재는 규격별로 분리된다. 즉, 굵은자갈, 작은 자갈, 굵은 모래, 작은 모래, 안트라사이트 또는 활성탄등으로 분리된다.
상기와 같이 분리되는 과정에서 작은 모래 즉, 규사와 안트라사이트 또는 규사와 활성탄은 그 크기가 실질적으로 유사하므로 혼합된 상태로 분리된다.
이와 같이 규사와 안트라사이트 또는 규사와 활성탄은 여과재 분리수단(40)에 의해 재 분리된다.
이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여과재 선별수단(20)에 의해 분리된 여과재를 슈트(26)를 통하여 여과재 분리수단(40)의 투입호퍼(41)로 공급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부(47)에 의해 나선형의 깃(45)이 형성된 회전축(46)이 회전함과 아울러 상기 물공급수단(60)에 의해 물이 공급되고, 상기 급기수단(70)에 의해 상기 중공부(71)와 분사공(72)을 통하여 공기를 공급한다. 이와 같이 하면 규사와 안트라사이트가 혼합된 여과재와 물이 혼합되어 이동되는데, 상대적으로 비중이 낮은 안트 라사이트는 부상하게 되고, 부상된 안트라사이트는 제 1개방부(42)를 통하여 넘치는 물에 편승하여 제 2하우징(50)의 제 2개방부(52)를 통하여 유입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규사와 안트라사이트가 혼합된 여과재는 회전축(46)에 설치된 나선형의 깃(45)에 의해 제 1토출구(43) 측으로 이송됨과 아울러 상기 회전축(46)의 분사공을 통하여 이송되는 여과재 내부에서 폭기됨으로써 안트라사이트와 규사의 비중차이에 의한 분리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비중이 상대적으로 큰 규사는 회전축의 분기공으로부터 분사되는 공기의 폭기현상과 와류현상에 의해 안트라사이트는 부상하게 됨으로써 규사와 안트라사이트의 비중차에 의한 분리현상을 극대화 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부상된 안트라사이트는 원류에 편승하여 제 2하우징으로 유입되고, 제2토출구를 통하여 배출된다. 여기에서 상기 제 2하우징(50)의 바닥면은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제 2하우징으로 유입됨 물과 안트라사이트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여과재를 크기에 따라 선별하고, 크기가 유사한 여과재를 비중의 차이에 의해 분리할 수 있으므로 여과재의 재사용을 가능하게 하며 각종 수처리 장치 등에 널리 사용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여과재 재생을 위한 분리공법의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여과재 분리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여과재 분리장치의 단면도,
도 4는 선별망체를 구동시키기 위한 바이브레이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 보인 측면도,
도 5는 여과재 분리장치의 단면도.

Claims (4)

  1. 자갈, 규사, 안트라사이트, 활성탄의 오염된 여과재를 세척하는 여과재 세척단계와,
    세척된 여과재를 서로 다른 메쉬크기에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선별망체를 바이브레이터를 이용하여 진동시켜 상기 선별망체를 따라 이동하는 여과재를 크기별로 분리하는 여과재 선별단계와,
    선별된 여과재 중 크기가 유사하여 혼합된 규사와 안트라사이트 또는 규사와 활성탄을 물과 혼합하여 이동시키면서 비중이 가벼운 안트라사이트 또는 활성탄을 부상시켜 분리하는 여과재 분리단계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재 재생을 위한 분리 공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재 분리단계는 물과 혼합된 규사와 안트라사이트 또는 규사와 활성탄을 교반시키는 교반단계와, 교반 시 공기를 공급하여 비중이 낮은 안트라사이트 또는 활성탄을 부상시키는 급기단계를 더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재 재생을 위한 분리공법.
  3.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상단에 서로 다른 메쉬크기를 가지며 상호 연결되어 경사지게 설치되는 선별망체들과,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선별망체를 진동시키기 위한 진동발생기와, 상기 각 선별망체의 하부에 설치되어 선별된 여과재를 배출하기 위한 슈트들을 포함하는 선별수단과;
    상기 슈트들 중 규사와 안트라사이트 또는 활성탄이 혼합된 채 배출되는 측의 슈트와 연결되며 상부에 제 1개방부가 형성된 제 1하우징과, 상기 제1하우징의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며 나선형의 깃이 설치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을 구동시키는 구동부를 구비한 스크류 컨베이어와, 상기 제 1하우징을 감싸며 상기 제1 하우징의 제1개방부를 통하여 물과 같이 배출되는 안트라사이트 또는 활성탄을 포집하며 제 1하우징에 대해 경사지게 설치되는 제 2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스크류 컨베이어에 의해 이동되는 여과재에 비중이 낮은 여과재가 제1하우징의 제1개방부를 통하여 제 2하우징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수단을 포함하는 여과재 분리수단을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재 분리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 컨베이어의 회전축을 통하여 이송중인 여과재에 공기를 공급하여 폭기시키는 급기수단을 더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재 분리장치.
KR1020070114560A 2007-11-09 2007-11-09 여과재 재생을 위한 분리공법 및 여과재 분리장치 KR1008037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4560A KR100803712B1 (ko) 2007-11-09 2007-11-09 여과재 재생을 위한 분리공법 및 여과재 분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4560A KR100803712B1 (ko) 2007-11-09 2007-11-09 여과재 재생을 위한 분리공법 및 여과재 분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3712B1 true KR100803712B1 (ko) 2008-02-15

Family

ID=393433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4560A KR100803712B1 (ko) 2007-11-09 2007-11-09 여과재 재생을 위한 분리공법 및 여과재 분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371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2223B1 (ko) 2009-09-16 2012-02-27 주식회사강남기공 교반부재 및 그를 구비한 교반장치
KR101151389B1 (ko) 2009-09-16 2012-06-11 주식회사강남기공 혼합물용 공급 및 교반장치
KR101168748B1 (ko) 2008-08-08 2012-07-26 김동열 오염물질 제거 장치 및 그 제거 방법
WO2017188493A1 (ko) * 2016-04-25 2017-11-02 주식회사 메타텍 2개의 회전축이 대칭회전과 동 방향회전이 가능한 교차 교반날개를 갖는 교반기 및 교반방법
CN115999900B (zh) * 2023-02-03 2024-06-07 湖南缘佳新材料有限公司 一种硅砂洗选设备及洗选工艺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23433A (ko) * 1994-01-08 1995-08-18 임권신 K.s 필터 급속 여과지
KR200312732Y1 (ko) 2003-01-25 2003-05-13 카본코리아 주식회사 여과재 선별장치
JP2003275509A (ja) * 2002-03-22 2003-09-30 Masujiro Arita 固液分離装置及びその分離方法
JP2004130274A (ja) * 2002-10-15 2004-04-30 Ishigaki Co Ltd スクリュー排出型脱水機並びにその運転方法
KR200398486Y1 (ko) 2005-07-22 2005-10-13 송주천 여과재 재생선별장치
KR200403564Y1 (ko) 2005-09-29 2005-12-09 길조씨앤씨(주) 여과재 선별세척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23433A (ko) * 1994-01-08 1995-08-18 임권신 K.s 필터 급속 여과지
JP2003275509A (ja) * 2002-03-22 2003-09-30 Masujiro Arita 固液分離装置及びその分離方法
JP2004130274A (ja) * 2002-10-15 2004-04-30 Ishigaki Co Ltd スクリュー排出型脱水機並びにその運転方法
KR200312732Y1 (ko) 2003-01-25 2003-05-13 카본코리아 주식회사 여과재 선별장치
KR200398486Y1 (ko) 2005-07-22 2005-10-13 송주천 여과재 재생선별장치
KR200403564Y1 (ko) 2005-09-29 2005-12-09 길조씨앤씨(주) 여과재 선별세척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8748B1 (ko) 2008-08-08 2012-07-26 김동열 오염물질 제거 장치 및 그 제거 방법
KR101112223B1 (ko) 2009-09-16 2012-02-27 주식회사강남기공 교반부재 및 그를 구비한 교반장치
KR101151389B1 (ko) 2009-09-16 2012-06-11 주식회사강남기공 혼합물용 공급 및 교반장치
WO2017188493A1 (ko) * 2016-04-25 2017-11-02 주식회사 메타텍 2개의 회전축이 대칭회전과 동 방향회전이 가능한 교차 교반날개를 갖는 교반기 및 교반방법
US11389775B2 (en) 2016-04-25 2022-07-19 Young Ho Bok Stirrer comprising two rotating shafts having intersecting stirring blades capable of rotating symmetrically and rotating in identical direction and stirring method
CN115999900B (zh) * 2023-02-03 2024-06-07 湖南缘佳新材料有限公司 一种硅砂洗选设备及洗选工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0746B1 (ko) 상향류식 여과장치
KR101831961B1 (ko) 비점오염원 저감장치
CN107127210A (zh) 一种土壤淋洗修复系统及方法
KR101982969B1 (ko) 복합 오염토양 정화시스템용 유수분리장치
KR100803712B1 (ko) 여과재 재생을 위한 분리공법 및 여과재 분리장치
JP4943309B2 (ja) 粉粒体処理システム及び粉粒体処理方法
KR100912058B1 (ko) 준설물 종합 처리 시스템
KR100648424B1 (ko) 세척을 겸하는 여과사 세척수 회수장치
KR100545927B1 (ko) 건축용 폐골재 재활용을 위한 폐골재 분류장치
US6773585B1 (en) Device for separating fluids
KR100533616B1 (ko) 골재 선별 세척장치
CN218357618U (zh) 一种节能环保的工业污水处理装置
JP2002254063A (ja) 汚染土壌の浄化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分離装置
KR100512329B1 (ko) 여과사 재생 장치
KR100705963B1 (ko) 여과재 재생선별장치 및 여과재 재생선별방법
KR100397530B1 (ko) 원심 상향류식 모래 여과기
KR101350617B1 (ko) 우수처리 장치
JP3636205B1 (ja) 濾材洗浄選別装置
KR100303255B1 (ko) 협잡물 처리방법 및 그 장치
CN111451207A (zh) 一种碎石清洗设备及其清洗方法
KR100851280B1 (ko) 오염토양 세척장치
JP2001129426A (ja) 洗浄処理装置
KR200430295Y1 (ko) 세척수 회수가 가능한 여과사 골재 선별장치
JP4557604B2 (ja) 沈砂分級機
KR101796774B1 (ko) 잡배수 및 빗물 처리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12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