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8837B1 - 수직 다단 스크린 - Google Patents
수직 다단 스크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58837B1 KR101658837B1 KR1020160018356A KR20160018356A KR101658837B1 KR 101658837 B1 KR101658837 B1 KR 101658837B1 KR 1020160018356 A KR1020160018356 A KR 1020160018356A KR 20160018356 A KR20160018356 A KR 20160018356A KR 101658837 B1 KR101658837 B1 KR 10165883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creen
- pressing
- frame
- screen cell
- cell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0356 contamina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6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9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9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9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12216 screen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9000012535 impurit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5
- 230000001965 in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9825 accu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424 Flood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57 bidirection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078 claw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602 cont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70 impreg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8—Details, e.g. gates, screens
- E02B5/085—Arresting devices for waterborne materials, e.g. grating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직 다단 스크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정면과 배면이 개방된 상태로 수로에 설치되며, 수로를 통과하는 물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본체와; 본체의 내측 둘레를 따라 다수개가 연이어 배치되어, 개방된 전면을 통해 유입되는 물에서 협잡물을 걸러내는 버켓 형식의 스크린셀;을 포함하고, 스크린셀은 수로의 수직 단면상에서 양측으로 일렬회전하며,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고, 일 지점에 수직으로 돌출되는 레이크가 형성되도록 하며, 레이크는 좌우방향으로 형성되도록 하여, 버켓형식의 스크린셀을 통해 협잡물을 받쳐 인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크린셀의 양방향 회전을 통해 스크린셀의 한쪽에 협잡물이 쌓여 막히는 것을 방지하고, 레이크를 통해 정방향 및 역방향의 회전시에 모두 협잡물의 인양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협잡물의 제거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며, 스크린셀은 중공된 원호형의 프레임과, 프레임의 중공된 내측에 형성되는 그물망을 포함하고, 상하 방향으로 연결되는 스크린셀은 회전 등에 의하여 스크린셀 사이의 공간이 벌어질 때에도 기밀된 상태를 유지하여 협잡물 등이 유출되는 것을 막을 수 있으며, 그물망은 항상 팽팽하게 당겨진 상태에서 프레임에 결합되도록 하는 수직 다단 스크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수직 다단 스크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정면과 배면이 개방된 상태로 수로에 설치되며, 수로를 통과하는 물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본체와; 본체의 내측 둘레를 따라 다수개가 연이어 배치되어, 개방된 전면을 통해 유입되는 물에서 협잡물을 걸러내는 버켓 형식의 스크린셀;을 포함하고, 스크린셀은 수로의 수직 단면상에서 양측으로 일렬회전하며,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고, 일 지점에 수직으로 돌출되는 레이크가 형성되도록 하며, 레이크는 좌우방향으로 형성되도록 하여, 버켓형식의 스크린셀을 통해 협잡물을 받쳐 인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크린셀의 양방향 회전을 통해 스크린셀의 한쪽에 협잡물이 쌓여 막히는 것을 방지하고, 레이크를 통해 정방향 및 역방향의 회전시에 모두 협잡물의 인양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협잡물의 제거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며, 스크린셀은 중공된 원호형의 프레임과, 프레임의 중공된 내측에 형성되는 그물망을 포함하고, 상하 방향으로 연결되는 스크린셀은 회전 등에 의하여 스크린셀 사이의 공간이 벌어질 때에도 기밀된 상태를 유지하여 협잡물 등이 유출되는 것을 막을 수 있으며, 그물망은 항상 팽팽하게 당겨진 상태에서 프레임에 결합되도록 하는 수직 다단 스크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협잡물 스크린 장치는 수로에 설치되어 수로를 따라 물과 함께 이동되는 협잡물을 스크린으로 걸러낸 후에 상기 스크린을 무한궤도로 이동시키면서 스크린에 걸린 협잡물을 제거하는 수로의 협잡물 제거장치의 일종이다.
종래 스크린은 수로의 물이 흐르는 방향과 수직한 방향의 회전축을 갖도록 형성되어 스크린이 수로를 종단하여 투입되었다가 방향을 전환하여 다시 배출되는 등 두 번에 걸쳐 수로를 종단하면서 협잡물을 제거함으로써, 수로를 따라 흐르는 물에 많은 저항력을 발생시켜 스크린부를 통과하기 전후의 물의 수두차가 현저히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스크린이 두 번에 걸쳐 수로를 종단하게 되어, 수로를 따라 설치되는 공간을 많이 차지했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아래 특허문헌과 같이 수로의 물이 장치를 통과하기 전후의 수두차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수로를 따라 흐르는 물의 수직단면을 통과하는 평면 수직형 스크린 장치를 개발하여 등록받은 바 있으나, 아래 특허문헌에서의 스크린판(100)은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스크린판(100)이 회전하는 과정에서 그물망(101)에 걸리는 협잡물이 인양되지 못하고, 하측으로 떨어져 버리는 문제가 있었으며, 이에 따라 협잡물이 인양되지 못하고 상기 스크린판(100)의 전측에 쌓이게 되어 물의 흐름이 원활하지 못하게 되고, 이물질에 의한 오염이 발생하게 되었다. 따라서, 협잡물을 안정적으로 인양하여 협잡물의 제거효율을 높일 수 있는 수직 다단 스크린 개발의 필요성이 생기게 되었다.
(특허문헌)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06920호(2008. 02. 18, 등록)"평면 수직형 스크린 장치와 이의 구동방법"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정면과 배면이 개방된 상태로 수로에 설치되며, 수로를 통과하는 물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본체와; 본체의 내측 둘레를 따라 다수개가 연이어 배치되어, 개방된 전면을 통해 유입되는 물에서 협잡물을 걸러내는 버켓 형식의 스크린셀;을 포함하고, 스크린셀은 수로의 수직 단면상에서 양측으로 일렬회전하며,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고, 일 지점에 수직으로 돌출되는 레이크가 형성되도록 하며, 레이크는 좌우방향으로 형성되도록 하여, 버켓형식의 스크린셀을 통해 협잡물을 받쳐 인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크린셀의 양방향 회전을 통해 스크린셀의 한쪽에 협잡물이 쌓여 막히는 것을 방지하며, 레이크를 통해 정방향 및 역방향의 회전시에 모두 협잡물의 인양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협잡물의 제거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수직 다단 스크린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중공된 원호형의 프레임과, 프레임의 중공된 내측에 형성되는 그물망을 갖는 스크린셀을 포함하고, 프레임은 상측 원호를 형성하는 상측프레임, 하측 원호를 형성하는 하측프레임, 상측프레임의 내측 둘레를 따라 수직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원호형의 가이드바를 포함하여, 그물망으로부터 떨어지는 협잡물이 원호형의 가이드바에 지지되어 인양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협잡물이 인양되지 못하고 바닥에 쌓여 물의 흐름을 방해하거나 오염을 발생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수직 다단 스크린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그물망으로부터 수직으로 돌출되며, 양단이 가이드바와 맞닿도록 형성되는 레이크를 포함하여, 가이드바와 레이크에 의해 일정 공간을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협잡물의 제거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수직 다단 스크린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하측프레임과 대향되도록 형성되어 일정 간격을 갖도록 결합하는 결합바를 갖는 프레임을 포함하고, 다수개 연결되는 스크린셀 중 하측에 연결되는 스크린셀의 상측프레임이 상측에 연결되는 하측프레임과 결합바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도록 하여, 스크린셀의 회전 등에 의해 복수의 스크린셀 사이의 공간이 벌어지는 경우에도 상측프레임이 항상 하측프레임과 결합바 사이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스크린셀 사이의 공간으로 협잡물 등이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수직 다단 스크린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프레임과 그물망 사이에 형성되어 프레임과 그물망을 결합하는 결합부를 갖는 스크린셀을 포함하고, 결합부는 가이드바와 그물망 사이에 형성되어 그물망을 상측방향으로 당기도록 하는 제1결합부와, 하측프레임과 그물망 사이에 형성되어 그물망을 하측방향으로 당기도록 하는 제2결합부를 포함하여, 그물망이 항상 팽팽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수직 다단 스크린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그물망이 제1누름부재에 의해 눌러진 상태에서 결합되도록 하는 제1결합부를 포함하여, 그물망이 상측 방향으로 당겨지는 힘을 증가시킴으로써 팽팽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수직 다단 스크린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그물망이 제2누름부재에 의해 눌러진 상태에서 결합되도록 하는 제2결합부를 포함하여, 그물망이 하측 방향으로 당겨지는 힘을 증가시킴으로써 팽팽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수직 다단 스크린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스크린셀과 지지프레임 사이의 공간을 밀폐하는 밀착부를 포함하여, 스크린셀과 본체 사이의 공간으로 이물질이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하고, 스크린셀이 본체에 안정적으로 지지되어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수직 다단 스크린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앞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해서 구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수직 다단 스크린은 정면과 배면이 개방된 상태로 수로에 설치되며, 상기 수로를 통과하는 물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측 둘레를 따라 다수개가 연이어 배치되어, 개방된 전면을 통해 유입되는 물에서 협잡물을 걸러내는 버켓 형식의 스크린셀;을 포함하고, 상기 스크린셀은 수로의 수직 단면상에서 양측으로 일렬회전하며,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고, 일 지점에 수직으로 돌출되는 레이크가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레이크는 좌우방향으로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스크린셀의 정회전 및 역회전시에 모두 협잡물의 인양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수직 다단 스크린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셀은 중공된 원호형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중공된 내측에 형성되는 그물망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상측 원호를 형성하는 상측프레임, 하측 원호를 형성하는 하측프레임, 상기 상측프레임의 내측 둘레를 따라 수직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원호형의 가이드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수직 다단 스크린에 있어서, 상기 레이크는 상기 그물망으로부터 수직으로 돌출되며, 양단이 상기 가이드바와 맞닿도록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가이드바와 레이크에 의해 일정 공간을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협잡물을 더욱 안정적으로 인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수직 다단 스크린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하측프레임과 대향되도록 형성되어 일정 간격을 갖도록 결합하는 결합바를 포함하고, 다수개 연결되는 스크린셀 중 하측에 연결되는 스크린셀의 상측프레임이 상측에 연결되는 하측프레임과 결합바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수직 다단 스크린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셀은 상기 프레임과 그물망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과 그물망을 결합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가이드바와 그물망 사이에 형성되어 그물망을 상측방향으로 당기도록 하는 제1결합부와, 상기 하측프레임과 그물망 사이에 형성되어 그물망을 하측방향으로 당기도록 하는 제2결합부를 포함하여, 상기 그물망이 항상 팽팽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수직 다단 스크린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는 상기 가이드바의 내측둘레를 따라 밀착되도록 형성되는 제1누름부재; 상기 가이드바와 제1누름부재 사이에 삽입되어 밀착되는 제1완충부재; 상기 가이드바, 제1완충부재, 제1누름부재가 밀착하여 결합하도록 하는 결합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그물망은 상기 가이드바와 완충부재 사이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상기 제1누름부재는 상기 그물망을 누르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턱을 포함하여, 상기 돌출턱이 그물망을 누른 상태에서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그물망이 상측방향으로 당겨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수직 다단 스크린에 있어서,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하측프레임과 결합바 사이에 삽입되는 제2누름부재; 상기 하측프레임과 제2누름부재 사이에 삽입되어 밀착되는 제2완충부재; 상기 하측프레임, 제2완충부재, 제2누름부재, 결합바가 밀착하여 결합하도록 하는 결합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그물망은 상기 하측프레임과 제2완충부재 사이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상기 제2누름부재는 상단에서 상기 그물망을 누를 수 있도록 수직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턱을 포함하여, 상기 돌출턱이 그물망을 누른 상태에서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그물망이 하측방향으로 당겨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수직 다단 스크린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스크린셀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과 스크린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스크린셀과 지지프레임 사이의 공간을 밀폐하는 밀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밀착부는 상기 지지프레임과 스크린셀 사이에 삽입되는 밀착부재와, 상기 밀착부재를 누르는 힘을 제공하는 누름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누름수단은 상기 밀착부재와 접촉하여 밀착부재를 누르는 누름판; 일측이 상기 밀착부재 및 누름판을 관통하여 삽입·고정되는 누름볼트; 상기 누름볼트의 타측이 삽입되어 지지되는 지지부재; 상기 누름볼트에 삽입되며, 일측은 상기 지지부재에 지지되고, 타측은 텐션조절부에 지지되어 압축되는 탄성체; 상기 누름볼트에 삽입·체결되어 상기 탄성체의 압축정도를 조절하는 텐션조절부를 포함하여, 상기 텐션조절부의 조임 정도에 따라 상기 누름수단이 밀착부재를 누르는 힘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예와 하기에 설명할 구성과 결합, 사용관계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정면과 배면이 개방된 상태로 수로에 설치되며, 수로를 통과하는 물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본체와; 본체의 내측 둘레를 따라 다수개가 연이어 배치되어, 개방된 전면을 통해 유입되는 물에서 협잡물을 걸러내는 버켓 형식의 스크린셀;을 포함하고, 스크린셀은 수로의 수직 단면상에서 양측으로 일렬회전하며,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고, 일 지점에 수직으로 돌출되는 레이크가 형성되도록 하며, 레이크는 좌우방향으로 형성되도록 하여, 버켓형식의 스크린셀을 통해 협잡물을 받쳐 인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크린셀의 양방향 회전을 통해 스크린셀의 한쪽에 협잡물이 쌓여 막히는 것을 방지하며, 레이크를 통해 정방향 및 역방향의 회전시에 모두 협잡물의 인양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협잡물의 제거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중공된 원호형의 프레임과, 프레임의 중공된 내측에 형성되는 그물망을 갖는 스크린셀을 포함하고, 프레임은 상측 원호를 형성하는 상측프레임, 하측 원호를 형성하는 하측프레임, 상측프레임의 내측 둘레를 따라 수직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원호형의 가이드바를 포함하여, 그물망으로부터 떨어지는 협잡물이 원호형의 가이드바에 지지되어 인양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협잡물이 인양되지 못하고 바닥에 쌓여 물의 흐름을 방해하거나 오염을 발생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그물망으로부터 수직으로 돌출되며, 양단이 가이드바와 맞닿도록 형성되는 레이크를 포함하여, 가이드바와 레이크에 의해 일정 공간을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협잡물의 제거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하측프레임과 대향되도록 형성되어 일정 간격을 갖도록 결합하는 결합바를 갖는 프레임을 포함하고, 다수개 연결되는 스크린셀 중 하측에 연결되는 스크린셀의 상측프레임이 상측에 연결되는 하측프레임과 결합바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도록 하여, 스크린셀의 회전 등에 의해 복수의 스크린셀 사이의 공간이 벌어지는 경우에도 상측프레임이 항상 하측프레임과 결합바 사이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스크린셀 사이의 공간으로 협잡물 등이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프레임과 그물망 사이에 형성되어 프레임과 그물망을 결합하는 결합부를 갖는 스크린셀을 포함하고, 결합부는 가이드바와 그물망 사이에 형성되어 그물망을 상측방향으로 당기도록 하는 제1결합부와, 하측프레임과 그물망 사이에 형성되어 그물망을 하측방향으로 당기도록 하는 제2결합부를 포함하여, 그물망이 항상 팽팽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그물망이 제1누름부재에 의해 눌러진 상태에서 결합되도록 하는 제1결합부를 포함하여, 그물망이 상측 방향으로 당겨지는 힘을 증가시킴으로써 팽팽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그물망이 제2누름부재에 의해 눌러진 상태에서 결합되도록 하는 제2결합부를 포함하여, 그물망이 하측 방향으로 당겨지는 힘을 증가시킴으로써 팽팽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스크린셀과 지지프레임 사이의 공간을 밀폐하는 밀착부를 포함하여 스크린셀과 본체 사이의 공간으로 이물질이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하고, 스크린셀이 본체에 안정적으로 지지되어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스크린판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 다단 스크린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스크린셀의 사시도
도 4는 스크린셀의 결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절단 사시도
도 5는 제2결합부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절단 사시도
도 6은 프레임과 그물망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7은 스크린셀의 회전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8은 밀착부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9는 밀착부와 스크린셀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 다단 스크린의 배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 다단 스크린의 협잡물제거부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 다단 스크린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스크린셀의 사시도
도 4는 스크린셀의 결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절단 사시도
도 5는 제2결합부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절단 사시도
도 6은 프레임과 그물망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7은 스크린셀의 회전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8은 밀착부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9는 밀착부와 스크린셀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 다단 스크린의 배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 다단 스크린의 협잡물제거부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직 다단 스크린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 다단 스크린을 도 2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수직 다단 스크린은 정면과 배면이 개방된 상태로 수로에 설치되며, 상기 수로를 통과하는 물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본체(1)와; 상기 본체(1)의 내측 둘레를 따라 다수개가 연이어 배치되어, 개방된 전면을 통해 유입되는 물에서 협잡물을 걸러내는 스크린셀(2)과, 다수의 상기 스크린셀(2)을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는 이송체인(3)과, 상기 이송체인(3)을 구동시키는 체인구동부(4), 상기 스크린셀(2)에 걸린 협잡물을 제거하는 협잡물제거부(5), 상기 협잡물제거부(5)에 의하여 제거된 협잡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협잡물배출부(6)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직 다단 스크린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자의 종래 등록특허 발명을 개량한 것으로, 종래에는 평판 형태의 스크린판에 의하여 협잡물이 걸리도록 하고, 이를 인양하여 배출하도록 하였으나, 실제로 스크린판이 회전하는 과정에서 협잡물이 하측으로 떨어지게 되고, 이를 상측의 물 밖으로 인양하는 것이 곤란하게 되어 종래 평면 수직형 스크린 장치 전면에 협잡물이 쌓이게 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였다. 이에 따라 물의 흐름이 원활치 않게 되고, 홍수, 범람 등의 원인이 되었으며, 쌓인 협잡물로 인해 악취, 오염 등이 발생하기도 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수직 다단 스크린은 상기 스크린셀(2)이 평판 형식이 아닌 버켓 형식으로 형성되도록 하여 협잡물이 바닥으로 떨어지는 것을 최소화하고 협잡물의 제거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스크린셀(2)을 한쪽 방향으로만 회전시키기 되면, 상승하는 측에서는 협잡물의 인양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나 하강하는 측에서는 협잡물의 인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한다. 더욱이 상기 스크린셀(2)은 복수의 스크린셀(2)이 서로 밀착되어 양측 방향으로 회전하므로 스크린셀(2) 사이의 공간을 없애기 위하여 라운드지게 돌출되도록 형성되는바, 하강시에는 상측으로 돌출되는 스크린셀(2)에 의해 협잡물이 인양되지 못하고 바닥으로 떨어져 쌓이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스크린셀(2)을 양방향으로 정회전 및 역회전이 가능하도록 하여 한쪽에만 협잡물이 쌓이는 문제를 해결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스크린셀(2)의 정회전 및 역회전을 교대로 실시하는 경우에도 역회전시에는 여전히 상측으로 돌출되는 스크린셀(2)로 인하여 협잡물 인양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했으며,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상기 스크린셀(2)의 일 지점에 수직으로 돌출되는 레이크(24)를 포함하여 정회전 및 역회전 모두에 있어서 협잡물의 인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정리하면, 본 발명에 따른 수직 다단 스크린은 스크린셀(2)의 정회전 및 역회전이 가능하도록 하여, 정회전 및 역회전을 교대로 실시하도록 하고, 이와 동시에 스크린셀(2)에는 수직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레이크(24)를 포함하여, 스크린셀(2)이 어느 방향으로 회전하더라도 협잡물의 인양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협잡물의 제거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수직 다단 스크린은 복수의 스크린셀(2)이 상하 방향으로 연결되고, 상기 본체(1)에 지지되어 양측으로 왕복 회전운동을 하는데, 상기 스크린셀(2)이 회전하면서 스크린셀(2) 사이의 공간이 벌어져 협잡물 등이 그대로 배출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하로 연결되는 스크린셀(2)이 서로 일정 깊이 끼워지는 방식으로 연결되도록 하여 복수의 스크린셀(2)이 서로 떨어지더라도 기밀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협잡물 등이 유출되는 것을 막을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그물망(22)이 팽팽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여 물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였다. 참고로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A-B 방향을 상하, C-D 방향을 전후 방향이라 한다.
상기 본체(1)는 정면과 배면이 개방된 상태로 수로에 설치되는 것으로, 내측 둘레를 따라 상기 스크린셀(2)이 설치되어 상기 본체(1)를 지나가는 물에 포함된 협잡물을 걸러내도록 하고, 상기 스크린셀(2)이 수로의 수직 단면상에서 일렬로 무한궤도 회전을 계속할 수 있도록 상기 스크린셀(2)을 지지한다. 상기 본체(1)는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스크린셀(2)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11)과, 상기 지지프레임(11)과 스크린셀(2)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스크린셀(2)과 지지프레임(11) 사이의 공간을 밀폐하는 밀착부(12)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프레임(11)은 상기 본체(1)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스크린셀(2)을 지지하는 구성으로, 상기 스크린셀(2)의 전후측에 한 쌍이 형성되어 상기 스크린셀(2)이 지지프레임(11)에 지지되어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 스크린셀(2)이 지지프레임(11)을 따라 이동하면서 지지프레임(11)과의 마찰이 발생하고, 상기 스크린셀(2)과 지지프레임(11) 사이의 공간으로 이물질 등이 새나가는 문제가 있었던바, 상기 스크린셀(2)과 지지프레임(11) 사이에 밀착부(12)가 형성되도록 하여 스크린셀(2)과 지지프레임(11) 사이의 공간을 밀폐하도록 한다.
상기 밀착부(12)는 상기 지지프레임(11)과 스크린셀(2)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지지프레임(11)과 스크린셀(2) 사이의 공간이 밀폐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이물질 등이 새나가거나 지지프레임(11)과 스크린셀(2)이 밀착되지 못하여 부딪힘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상기 밀착부(12)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프레임(11)과 스크린셀(2) 사이에 삽입되는 밀착부재(121)와, 상기 밀착부재(121)를 누르는 힘을 제공하는 누름수단(122)을 포함한다.
상기 밀착부재(121)는 상기 지지프레임(11)과 스크린셀(2) 사이에 삽입되는 구성으로, 탄성을 가진 재질로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스크린셀(2)이 밀착부재(121)에 밀착된 상태에서도 원활한 회전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밀착부재(121)는 상기 누름수단(122)에 의해 밀려 상기 스크린셀(2)에 밀착되며, 후술할 탄성체(122e)에 의해 탄성력을 제공받아, 밀착부재(121)의 마모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지속적으로 밀착부재(121)를 밀어 스크린셀(2)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누름수단(122)은 상기 밀착부재(121)와 반대측 지지프레임(11)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밀착부재(121)를 상기 스크린셀(2) 방향으로 눌러 스크린셀(2)에 밀착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밀착부재(121)가 상기 스크린셀(2)과 지지프레임(11) 사이의 공간을 밀폐할 수 있으며, 상기 스크린셀(2)과 지지프레임(11) 사이의 충돌에 의한 파손, 소음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누름수단(122)은 후술할 탄성체(122e)의 탄성력에 의해 밀착부재(121)를 누를 수 있도록 하여 밀착부재(121)의 마모에도 지속적으로 누르는 힘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고, 탄성체(122e)의 탄성력 또한 조절되어 설치환경 또는 사용에 따라 누르는 힘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누름수단(122)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밀착부재(121)와 접촉하여 밀착부재(121)를 누르는 누름판(122a); 일측이 상기 밀착부재(121) 및 누름판(122a)을 관통하여 삽입·고정되는 누름볼트(122b); 상기 누름볼트(122b)를 누름판(122a) 고정시키는 고정너트(122c); 상기 누름볼트(122b)의 타측이 삽입되어 지지되는 지지부재(122d); 상기 누름볼트(122b)에 삽입되며, 일측은 상기 지지부재(122d)에 지지되고, 타측은 텐션조절부(122f)에 지지되어 압축되는 탄성체(122e); 상기 누름볼트(122b)에 삽입·체결되어 상기 탄성체(122e)의 압축정도를 조절하는 텐션조절부(122f), 상기 누름볼트(122b)에 삽입되며, 상기 텐션조절부(122f)와 탄성체(122e) 사이에 형성되어 탄성체(122e)를 지지하는 삽입편(122g)를 포함한다.
상기 누름판(122a)은 상기 밀착부재(121)와 맞닿는 판으로, 상기 누름수단(122)에 의한 힘이 밀착부재(121)에 고르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누름볼트(122b)가 고정되어 밀착부재(121)를 누를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누름볼트(122b)는 일측이 상기 누름판(122a) 및 밀착부재(121)를 관통하여 삽입·고정되며, 상기 고정너트(122c)가 삽입되어 누름판(122a)에 고정되도록 하고, 타측은 상기 지지부재(122d)에 삽입되어 지지된다. 또한, 상기 누름볼트(122b)에는 탄성체(122e), 텐션조절부(122f), 삽입편(122g)이 삽입되며,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텐션조절부(122f)의 조임 및 풀림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고정너트(122c)는 상기 누름볼트(122b)에 삽입·체결되며, 상기 누름볼트(122b)가 누름판(122a)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지지부재(122d)는 상기 밀착부재(121)가 삽입되는 측의 반대측 지지프레임(11)에 고정되며, 상기 누름볼트(122b)가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122d)의 일단에는 상기 탄성체(122e)가 지지되어 텐션조절부(122f)에 의해 압축될 수 있도록 하고, 이에 따라 상기 밀착부재(121)를 누르는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탄성체(122e)는 상기 누름볼트(122b)에 삽입되며, 일단은 상기 지지부재(122d)에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텐션조절부(122f), 더욱 정확하게는 상기 삽입편(122g)에 지지된다. 따라서, 상기 탄성체(122e)는 상기 텐션조절부(122f)에 의해 눌려 압축되면, 상기 밀착부재(121)를 스크린셀(2) 방향으로 누르게 되고, 상기 밀착부재(121)가 어느 정도 마모되더라도 탄성체(122e)가 압축되지 않은 상태가 될 때까지 밀착부재(121)를 누르는 힘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탄성체(122e)는 상기 텐션조절부(122f)의 조임 정도에 따라 압축 정도가 조절되어 밀착부재(121)를 미는 힘이 조절되고, 인위적으로 텐션조절부(122f)를 조작하여 힘을 강하게 하거나 약하게 할 수 있다.
상기 텐션조절부(122f)는 상기 누름볼트(122b)에 삽입·체결되며, 누름볼트(122b)를 따라 조이거나 푸는 정도에 따라 상기 탄성체(122e)의 압축 정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너트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텐션조절부(122f)는 상기 탄성체(122e)와의 사이에 삽입편(122g)이 삽입되도록 하여 탄성체(122e)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삽입편(122g)은 상기 누름볼트(122b)에 삽입되며, 상기 탄성체(122e)와 텐션조절부(122f) 사이에 삽입되어 탄성체(122e)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텐션조절부(122f)는 상기 탄성체(122e)를 안정적으로 압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스크린셀(2)은 상기 본체(1)의 정면을 통해 유입되는 물에서 협잡물을 걸러내도록 물의 흐름방향에 수직으로 배치되고, 다수개가 연이어지게 상기 본체(1)의 내측 둘레를 따라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스크린셀(2)은 물이 흐르는 수로의 수직 단면 상에서 좌우 양측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즉 일측은 하강하고 타측은 상승하며 연이어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수로를 흐르는 물의 협잡물을 모두 걸러내어 인양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하강하는 측에서는 협잡물이 인양되지 못하고 쌓여 막히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상기 스크린셀(2)은 도 2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방향 및 역방향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고, 정방향 및 역방향의 회전을 교대로 실시하도록 하여 스크린셀(2)의 일측에 협잡물이 쌓이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나 정방향 및 역방향의 회전을 실시한다고 하더라도 상기 스크린셀(2), 더욱 정확하게는 상기 스크린셀(2)의 후술할 상측프레임(211)이 라운드지게 돌출되도록 형성되므로 협잡물의 인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도 7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 방향을 정회전 방향이라 하고 ⓔ 방향을 역회전 방향이라고 했을 때, 정회전시에는 하강하는 측의 협잡물 인양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역회전시에는 정회전시 하강하는 측이 상승하도록 하나 상측으로 돌출되는 상측프레임(211)으로 인해 역회전시에도 협잡물을 제대로 인양할 수 없어 협잡물이 계속 쌓여 막히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스크린셀(2)에 수직으로 돌출되는 레이크(24)가 형성되도록 하여 역회전시에도 협잡물의 인양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일측에 협잡물이 쌓여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크린셀(2)은 평판이 아닌 버켓 형식으로 형성되어 상기 스크린셀(2)에 걸리는 협잡물이 하부로 떨어지지 않고 인양되어 배출될 수 있도록 하며, 다수게 연이어 배치되는 각각의 스크린셀(2) 사이는 서로 끼워지는 형식을 갖도록 하여 각각의 스크린셀(2) 사이로 협잡물이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스크린셀(2)은 다공판이나 웨지바 등으로 제작되도록 할 수 있으나, 중공된 원호형의 프레임(21); 상기 프레임(21)의 중공된 내측에 형성되는 그물망(22); 상기 그물망(22)으로부터 수직으로 돌출되며, 양단이 상기 프레임(21)과 맞닿도록 형성되는 레이크(24); 상기 프레임(21)과 그물망(22)을 결합하는 결합부(23); 상기 스크린셀(2)이 상기 이송체인(3)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장착수단(25);을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레임(21)은 원호형, 즉 말굽형태로 구비되어 중공된 내측에 그물망(22)을 고정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스크린셀(2)의 각각의 프레임(21)이 서로 밀착된 상태로 형성되어 협잡물 등이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고, 특히 상하 방향으로 연결되는 상기 스크린셀(2)의 프레임(21)은 서로 끼워지는 형식으로 연결되도록 하며, 스크린셀(2)의 회전시에 스크린셀(2) 사이의 공간이 벌어지는 경우에도 기밀성을 유지하여 협잡물 등이 새나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21)의 전측, 즉 상기 프레임(21)의 수직방향으로는 상부측 둘레를 따라 가이드바(213)가 형성되어 상기 스크린셀(2)이 버켓 형식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프레임(21)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 원호를 형성하는 상측프레임(211), 하측 원호를 형성하는 하측프레임(212), 상기 상측프레임(211)의 둘레를 따라 수직으로 돌출되는 가이드바(213), 상기 하측프레임(212)과 대향되도록 형성되어 일정 간격을 갖도록 결합하는 결합바(214)를 포함한다.
상기 상측프레임(211)은 상기 프레임(21)의 상측 원호를 형성하는 구성으로, 원호형의 판재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측에 연결되는 스크린셀(2)의 하측프레임(212)과 결합바(214) 사이에 끼워지도록 한다. 상기 상측프레임(211)은 내측둘레를 따라 수직 전방으로 가이드바(213)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바(213)에 의해 협잡물이 떨어지지 않고 인양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하측프레임(212)은 상기 프레임(21)의 하측 원호를 형성하는 구성으로, 원호형의 판재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결합바(214)와 대향되도록 결합하여 상기 결합바(214)와의 사이에 하측에 연결되는 스크린셀(2)의 상측프레임(211)이 끼워질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크린셀(2)의 회전에 의해 상측프레임(211)과 하측프레임(212)의 간격이 벌어지는 경우에도 상기 상측프레임(211)과 하측프레임(212) 사이의 공간은 상기 결합바(214)에 의해 차단되므로 협잡물 등의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하측프레임(212)과 결합바(214) 사이에는 후술할 제2결합부(232)가 형성되어 그물망(22)과 결합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그물망(22)은 상기 제2결합부(232)에 의해 당겨진 상태로 하측프레임(212)에 고정되도록 하여 항상 팽팽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상기 가이드바(213)는 상기 상측프레임(211)의 내측 둘레를 따라 수직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레이크(24)와 함께 일정 공간을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바(213)는 상기 스크린셀(2)이 회전하여 상승 및 하강할 때 상기 그물망(22)에 걸린 협잡물이 떨어져도 상기 가이드바(213) 또는 레이크(24)에 걸리도록 함으로써 한번에 더 많은 양의 협잡물을 인양할 수 있도록 하고, 하부로 떨어져 인양되지 않는 협잡물을 줄여 협잡물의 제거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바(213)에는 후술할 제1결합부(231)가 형성되어 그물망(22)이 결합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그물망(22)은 상기 제1결합부(231)에 의해 당겨진 상태로 상기 가이드바(213)에 고정되어 항상 팽팽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상기 결합바(214)는 상기 하측프레임(212)과 동일한 형상을 갖는 판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하측프레임(212)과 대향되도록 형성되어 일정 간격을 갖도록 결합한다. 상기 결합바(214)와 하측프레임(212) 사이의 상측에는 상기 제2결합부(232)가 형성되어 밀착되므로 상기 결합바(214)와 하측프레임(212)이 일정 간격을 유지할 수 있고, 상기 결합바(214)와 하측프레임(212) 사이의 하측에는 하측에 연결되는 스크린셀(2)의 상측프레임(211)이 끼워지게 된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크린셀(2)의 회전 등에 따라 상측프레임(211)과 하측프레임(212) 사이가 @ 방향으로 벌어지는 경우에도 상측프레임(211)과 하측프레임(212) 사이의 공간이 결합바(214), 상측프레임(211), 하측프레임(212) 등에 의하여 밀폐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상측프레임(211)과 하측프레임(212) 사이의 공간이 벌어져 협잡물 등의 그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그물망(22)은 물에 포함된 협잡물을 걸러내는 스크린의 역할을 하며, 상기 그물망(22)의 개방된 내부 공간의 크기에 따라 걸러낼 수 있는 협잡물의 크기가 결정된다. 또한, 상기 그물망(22)에는 수직방향으로 상기 레이크(24)가 돌출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바(213)와 함께 협잡물을 인양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그물망(22)은 상기 프레임(21)과의 사이에 결합부(23)가 형성되어 당겨진 상태에서 프레임(21)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여 항상 팽팽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물의 흐름이 원활하게 하고 그물망(22)이 늘어져 엉킴, 파손 등의 고장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결합부(23)는 상기 프레임(21)과 그물망(22)을 결합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상기 가이드바(213)와 그물망(22) 사이에 형성되어 그물망(22)을 상측방향으로 당기도록 하는 제1결합부(231)와, 상기 하측프레임(212)과 그물망(22) 사이에 형성되어 그물망(22)을 하측방향으로 당기도록 하는 제2결합부(232)를 포함하여, 상기 그물망(22)이 항상 팽팽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1결합부(231)는 상기 그물망(22)의 상단 부분이 상기 프레임(21)의 가이드바(213)와 결합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상기 그물망(22)이 상측 방향으로 강하게 당겨진 상태에서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제1결합부(231)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바(213)의 내측둘레를 따라 밀착되도록 형성되는 제1누름부재(231a); 상기 가이드바(213)와 제1누름부재(231a) 사이에 삽입되어 밀착되는 제1완충부재(231b); 상기 가이드바(213), 제1완충부재(231b), 제1누름부재(231a)가 밀착하여 결합하도록 하는 결합수단(231c);을 포함하고, 상기 그물망(22)이 상기 제1완충부재(231b)와 가이드바(213) 사이에 삽입되어 수직으로 절곡된 상태를 형성하며, 상기 제1누름부재(231a)에 의해 상기 그물망(22)이 눌린 상태가 되도록 하여 상기 그물망(22)을 상측방향으로 당길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1누름부재(231a)는 상기 제1완충부재(231b)를 사이에 두고 상기 가이드바(213)와 결합수단(231c)에 의해 밀착 결합하며, 상기 그물망(22)과 맞닿는 면에서는 그물망(22)을 ⓑ 방향으로 누를 수 있도록 하여 상측방향으로 당겨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1누름부재(231a)는 상기 그물망(22)을 더욱 강하게 누르기 위해 상기 그물망(22)과 접촉되는 방향, 즉 후방으로 돌출되는 돌출턱(231a-1)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제1누름부재(231a)는 상기 가이드바(213)와 강하게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돌출턱(231a-1)에 의해 그물망(22)을 ⓑ 방향 눌러 상측방향으로 당겨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1완충부재(231b)는 상기 제1누름부재(231a)와 가이드바(213) 사이에 삽입되어 밀착 결합하며, 상기 가이드바(213)와의 사이에는 상기 그물망(22)이 삽입되어 고정된다. 상기 제1완충부재(231b)는 탄성을 가진 고무 등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1누름부재(231a) 및 그물망(22)과의 마찰력을 증가시켜 상기 제1누름부재(231a)가 그물망(22)을 강하게 누를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제1누름부재(231a)와 가이드바(213)가 강하게 압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결합수단(231c)은 상기 가이드바(213), 제1완충부재(231b), 제1누름부재(231a)를 밀착 결합시키는 구성으로, 상기 가이드바(213), 제1완충부재(231b), 제1누름부재(231a)를 관통하는 볼트부재(231c-1)와 상기 볼트부재(231c-1)와 결합하는 너트부재(231c-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볼트부재(231c-1)는 강한 압착력을 제공하기 위해 접시머리를 가진 볼트로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볼트부재(231c-1)는 상기 그물망(22)이 걸리도록 하여 그물망(22)의 결합력이 더욱 향상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제2결합부(232)는 상기 그물망(22)의 하단 부분이 상기 하부프레임(21)과 결합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상기 그물망(22)이 하측 방향으로 강하게 당겨진 상태에서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제2결합부(232)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측프레임(212)과 결합바(214) 사이에 삽입되는 제2누름부재(232a); 상기 하측프레임(212)과 제2누름부재(232a) 사이에 삽입되어 밀착되는 제2완충부재(232b); 상기 하측프레임(212), 제2완충부재(232b), 제2누름부재(232a), 결합바(214)가 밀착하여 결합하도록 하는 결합수단(231c);을 포함하고, 상기 그물망(22)이 상기 하측프레임(212)과 제2완충부재(232b) 사이에 삽입되도록 하며, 상기 제2누름부재(232a)에 의해 상기 그물망(22)이 눌린 상태에서 고정되도록 하여 하측방향으로 당겨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2누름부재(232a)는 상기 결합바(214)와 하측프레임(212) 사이에 삽입되고, 상기 제2완충부재(232b)를 사이에 두고 상기 하측프레임(212)과 결합수단(231c)에 의해 밀착 결합하며, 상단에는 상기 그물망(22)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턱(232a-1)을 포함하여, 상기 그물망(22)을 누를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제2누름부재(232a)는 상기 돌출턱(232a-1)을 통해 ⓒ 방향으로 그물망(22)을 누르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그물망(22)은 ⓒ 방향으로 눌린 상태에서 고정되어 하측 방향으로 당겨지는 힘을 받을 수 있게 된다.
상기 제2완충부재(232b)는 상기 제2누름부재(232a)와 하측프레임(212) 사이에 삽입되어 밀착 결합하며, 상기 하측프레임(212)과의 사이에는 상기 그물망(22)의 하단이 삽입되어 고정된다. 상기 제2완충부재(232b)는 탄성을 가진 고무 등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2누름부재(232a) 및 그물망(22)과의 마찰력을 증가시켜 상기 그물망(22)의 고정력을 높이고, 상기 제2누름부재(232a)가 상기 그물망(22)을 더욱 강하게 누를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결합수단(232c)은 상기 하측프레임(212), 제2완충부재(232b), 제2누름부재(232a) 및 결합바(214)를 밀착 결합시키는 구성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측프레임(212), 제2완충부재(232b), 제2누름부재(232a) 및 결합바(214)룰 관통하는 볼트부재(232c-1)와 상기 볼트부재(232c-1)와 결합하는 너트부재(232c-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볼트부재(232c-1)는 강한 압착력을 제공하기 위해 접시머리를 가진 볼트로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볼트부재(232c-1)는 상기 그물망(22)이 걸리도록 하여 그물망(22)의 결합력이 더욱 향상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레이크(24)는 상기 가이드바(213)와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그물망(22)의 일 지점에 양측의 가이드바(213)와 맞닿도록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바(213)와 일정 공간을 형성하도록 한다. 따라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스크린셀(2)이 버켓 형식으로 형성되도록 하여 협잡물을 효율적으로 인양할 수 있으며, 상기 레이크(24)는 바닥과 수평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협잡물을 더욱 안정적으로 받쳐 인양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레이크(24)는 스크린셀(2)의 역방향 회전시에도 협잡물을 받쳐 인양하도록 함으로써 역회전시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상측프레임(211)에 의해 협잡물이 인양되지 못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스크린셀(2)의 정, 역방향 회전과 동시에 상기 레이크(24)를 통하여 비로소 스크린셀(2)의 일측에 협잡물이 쌓여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장착수단(25)은 상기 스크린셀(2)을 상기 이송체인(3)에 연결하여 회전가능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상기 하측프레임(212)과 이송체인(3)을 연결하여 이송체인(3)의 이동에 따라 상기 스크린셀(2)이 함께 이동하도록 하고, 상기 스크린셀(2)이 본체(1)의 곡선부분을 용이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한다. 상기 장착수단(25)은 연결축(251), 회전부재(252), 베어링(253) 등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축(251)은 상기 이송체인(3)과 회전부재(252)를 연결하도록 하며, 상기 회전부재(252)는 상기 하측프레임(212)에 고정결합되고, 상기 연결축(251)과 회전부재(252) 사이에는 베어링(253)이 삽입되어 연결축(251)과 회전부재(252)가 서로 회전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이송체인(3)은 다수의 스크린셀(2) 배면을 따라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 스크린셀(2)을 고정하면서 본체(1)의 내측 둘레를 따라 상기 스크린셀(2)이 회전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이송체인(3)은 상기 체인구동부(4)의 후술할 구동스프로킷(41)과 아이들스프로킷(43)에 감겨 지지되며, 상기 구동스프로킷(41)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하게 된다. 또한, 상기 이송체인(3)은 상기 장착수단(25)에 의해 상기 하측프레임(212)과 연결되어 상기 스크린셀(2)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체인구동부(4)는 본체(1)에 설치되어 이송체인(3)의 무한궤도 이동을 안내하면서 상기 이송체인(3)을 구동시킨다. 상기 체인구동부(4)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송체인(3)에 맞물려 상기 이송체인(3)을 구동시키는 구동스프로킷(41)과, 상기 본체(1)의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구동스프로킷(41)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스프로킷(41)을 회전시키는 모터구동부(42) 및 상기 본체(1)의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구동스프로킷(41)에 대응하여 상기 이송체인(3)의 하부측에 맞물려 회전하는 아이들스프로킷(43)을 포함한다. 상기 체인구동부(4)는 모터구동부(42)의 구동에 따라 이에 연결된 구동스프로킷(41)이 회전하면서 상기 구동스프로킷(41)에 맞물린 이송체인(3)을 본체(1)의 둘레를 따라 회전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체인구동부(4)는 구동스프로킷(41) 및 아이들스프로킷(342)에 의해 이송체인(3)의 상하양단이 지지된 상태로 상기 구동스프로킷(41)의 구동에 따라 이송체인(3)을 무한궤도로 회전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체인구동부(4)는 상기 스크린셀(2)의 회전상태에 따라 정회전 또는 역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며, 일정 시간 간격으로 정회전 및 역회전이 교대로 실행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협잡물제거부(5)는 상기 스크린셀(2)의 그물망(22)에 걸린 또는 상기 가이드바(213) 및 레이크(24)에 의하여 인양된 협잡물을 상기 스크린셀(2)로부터 이탈시켜 상기 협잡물배출부(6)로 배출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셀(2)의 배면으로 본체(1)의 내측 상부에 설치되고 물이 공급되는 물공급관(51)과, 상기 스크린셀(2)의 배면을 향해 상기 물공급관(51)에 경사지게 설치되는 다수의 분사노즐(52)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분사노즐(52)은 상기 물공급관(51)을 통해 공급되는 물을 상기 스크린셀(2)의 배면에서 하부방향으로 경사지게 분사하여 상기 스크린셀(2)의 그물망(22)에 걸리거나 가이드바(213) 및 레이크(24)에 인양된 협잡물을 이탈시키도록 한다.
상기 협잡물배출부(6)는 상기 스크린셀(2)의 전측에 형성되어 상기 협잡물제거부(5)에 의해 이탈되는 협잡물을 가압, 탈수하여 배출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상기 협잡물제거부(5)에 의하여 이탈된 협잡물을 가압, 탈수하여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상기 협잡물배출부(6)는 이송관(61), 이송스크류컨베이어(62), 구동장치(63) 등을 포함한다.
상기 이송관(61)은 상기 본체(1)의 상부 전측에 형성되어 상기 협잡물제거부(5)에 의해 스크린셀(2)로부터 이탈된 협잡물이 유입되는 구성으로, 그 내부에는 이송스크류컨베이어(62)가 형성되어 협잡물을 이송, 가압, 탈수하도록 한다. 상기 이송관(61)은 별도의 협잡물 처리 시설로 연결되어 협잡물의 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이송스크류컨베이어(62)는 상기 이송관(62)의 내부에 형성되어 회전하며, 협잡물을 이송하고, 가압, 탈수하여 배출하도록 한다. 상기 이송스크류컨베이어(62)에 관한 구성은 이미 공지된 바와 같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구동장치(63)는 상기 이송스크류컨베이어(62)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구성으로, 일반 모터가 적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수직 다단 스크린의 작동과정에 관하여 설명하면, 상기 수직 다단 스크린은 수로를 가로막도록 형성되어 상기 스크린셀(2)의 그물망(22)에 협잡물이 걸리도록 한다. 상기 스크린셀(2)은 복수개가 연이어 배치되어 상기 그물망(22)에 걸린 협잡물을 인양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가이드바(213)와 레이크(24)를 통해 일정 공간을 형성하여 협잡물의 인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스크린셀(2)이 회전하는 과정에서 평판으로 형성될 경우 협잡물이 하측으로 떨어질 수밖에 없는데, 상기 스크린셀(2)이 상승하는 방향일 경우에는 상기 가이드바(213)에 의하여 협잡물을 받쳐 인양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스크린셀(2)이 하강하는 방향일 경우에도 상기 레이크(24)에 의하여 떨어지는 협잡물을 받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바닥으로 떨어지는 협잡물을 최소화하고, 한번에 인양되어 배출되는 협잡물의 양을 증가시킴으로써 협잡물의 제거효율 또한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스크린셀(2)이 한쪽 방향으로만 회전하도록 하면, 하강하는 측에서는 협잡물이 쌓이게 될 수밖에 없는 바, 정방향 및 역방향 회전을 교대로 실시할 수 있도록 한다. 더불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측으로 돌출되는 상측프레임(211)에 의해 역방향의 회전만으로는 협잡물이 쌓이는 것을 효율적으로 막을 수 없으므로, 상기 레이크(24)를 통해 스크린셀(2)의 역회전시에도 협잡물의 인양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일측에 협잡물이 쌓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협잡물이 바닥에 떨어져 쌓이거나, 이로 인해 물의 흐름을 방해하고 2차적인 오염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는 발생하지 않게 된다. 상기 스크린셀(2)의 그물망(22)에 걸리거나 상기 가이드바(213) 또는 레이크(24)에 걸려 상부로 인양되는 협잡물은 상기 협잡물제거부(5)의 분사노즐(52)에서 분사되는 물에 의해 스크린셀(2)로부터 이탈되고, 이탈된 협잡물은 상기 협잡물배출부(6)의 이송관(61)으로 유입되어 가압·탈수되며 외부의 별도 처리시설로 이송된다.
이상에서, 출원인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일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한 어떠한 변경예 또는 수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본체
11: 지지프레임
12: 밀착부 121: 밀착부재 122: 누름수단
2: 스크린셀
21: 프레임 211: 상측프레임 212: 하측프레임
213: 가이드바 214: 결합바
22: 그물망
23: 결합부 231: 제1결합부
231a: 제1누름부재 231b: 제1완충부재 231c: 결합수단
232: 제2결합부
232a: 제2누름부재 232b: 제2완충부재 232c: 결합수단
24: 레이크
25: 장착수단
251: 연결축 252: 회전부재 253: 베어링
3: 이송체인
4: 체인구동부
41: 구동스프로킷 42: 모터구동부 43: 아이들스프로킷
5: 협잡물제거부
51: 물공급관 52: 분사노즐
6: 협잡물배출부
61: 이송관 62: 이송스크류컨베이어 63: 구동장치
11: 지지프레임
12: 밀착부 121: 밀착부재 122: 누름수단
2: 스크린셀
21: 프레임 211: 상측프레임 212: 하측프레임
213: 가이드바 214: 결합바
22: 그물망
23: 결합부 231: 제1결합부
231a: 제1누름부재 231b: 제1완충부재 231c: 결합수단
232: 제2결합부
232a: 제2누름부재 232b: 제2완충부재 232c: 결합수단
24: 레이크
25: 장착수단
251: 연결축 252: 회전부재 253: 베어링
3: 이송체인
4: 체인구동부
41: 구동스프로킷 42: 모터구동부 43: 아이들스프로킷
5: 협잡물제거부
51: 물공급관 52: 분사노즐
6: 협잡물배출부
61: 이송관 62: 이송스크류컨베이어 63: 구동장치
Claims (8)
- 정면과 배면이 개방된 상태로 수로에 설치되며, 상기 수로를 통과하는 물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측 둘레를 따라 다수개가 연이어 배치되어, 개방된 전면을 통해 유입되는 물에서 협잡물을 걸러내는 버켓 형식의 스크린셀;을 포함하고,
상기 스크린셀은 수로의 수직 단면상에서 양측으로 일렬회전하며,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고, 일 지점에 수직으로 돌출되는 레이크가 형성되도록 하며, 중공된 원호형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중공된 내측에 형성되는 그물망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과 그물망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과 그물망을 결합하는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레이크는 좌우방향으로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스크린셀의 정회전 및 역회전시에 모두 협잡물의 인양이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프레임은 상측 원호를 형성하는 상측프레임, 하측 원호를 형성하는 하측프레임, 상기 상측프레임의 내측 둘레를 따라 수직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원호형의 가이드바를 포함하며, 상기 하측프레임과 대향되도록 형성되어 일정 간격을 갖도록 결합하는 결합바를 포함하고, 다수개 연결되는 스크린셀 중 하측에 연결되는 스크린셀의 상측프레임이 상측에 연결되는 하측프레임과 결합바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도록 하며,
상기 결합부는 상기 가이드바와 그물망 사이에 형성되어 그물망을 상측방향으로 당기도록 하는 제1결합부와, 상기 하측프레임과 그물망 사이에 형성되어 그물망을 하측방향으로 당기도록 하는 제2결합부를 포함하여, 상기 그물망이 항상 팽팽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제1결합부는 상기 가이드바의 내측둘레를 따라 밀착되도록 형성되는 제1누름부재; 상기 가이드바와 제1누름부재 사이에 삽입되어 밀착되는 제1완충부재; 상기 가이드바, 제1완충부재, 제1누름부재가 밀착하여 결합하도록 하는 결합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그물망은 상기 가이드바와 완충부재 사이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상기 제1누름부재는 상기 그물망을 누르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턱을 포함하여, 상기 돌출턱이 그물망을 누른 상태에서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그물망이 상측방향으로 당겨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다단 스크린.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크는
상기 그물망으로부터 수직으로 돌출되며, 양단이 상기 가이드바와 맞닿도록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가이드바와 레이크에 의해 일정 공간을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협잡물을 더욱 안정적으로 인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다단 스크린. - 삭제
- 삭제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하측프레임과 결합바 사이에 삽입되는 제2누름부재; 상기 하측프레임과 제2누름부재 사이에 삽입되어 밀착되는 제2완충부재; 상기 하측프레임, 제2완충부재, 제2누름부재, 결합바가 밀착하여 결합하도록 하는 결합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그물망은 상기 하측프레임과 제2완충부재 사이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상기 제2누름부재는 상단에서 상기 그물망을 누를 수 있도록 수직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턱을 포함하여, 상기 돌출턱이 그물망을 누른 상태에서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그물망이 하측방향으로 당겨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다단 스크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스크린셀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과 스크린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스크린셀과 지지프레임 사이의 공간을 밀폐하는 밀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밀착부는 상기 지지프레임과 스크린셀 사이에 삽입되는 밀착부재와, 상기 밀착부재를 누르는 힘을 제공하는 누름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누름수단은 상기 밀착부재와 접촉하여 밀착부재를 누르는 누름판; 일측이 상기 밀착부재 및 누름판을 관통하여 삽입·고정되는 누름볼트; 상기 누름볼트의 타측이 삽입되어 지지되는 지지부재; 상기 누름볼트에 삽입되며, 일측은 상기 지지부재에 지지되고, 타측은 텐션조절부에 지지되어 압축되는 탄성체; 상기 누름볼트에 삽입·체결되어 상기 탄성체의 압축정도를 조절하는 텐션조절부를 포함하여, 상기 텐션조절부의 조임 정도에 따라 상기 누름수단이 밀착부재를 누르는 힘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다단 스크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18356A KR101658837B1 (ko) | 2016-02-17 | 2016-02-17 | 수직 다단 스크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18356A KR101658837B1 (ko) | 2016-02-17 | 2016-02-17 | 수직 다단 스크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58837B1 true KR101658837B1 (ko) | 2016-09-22 |
Family
ID=571024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18356A KR101658837B1 (ko) | 2016-02-17 | 2016-02-17 | 수직 다단 스크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58837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63371B1 (ko) | 2018-08-14 | 2019-03-28 | 주식회사 가온텍 | 수직 다단 스크린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06920B1 (ko) * | 2007-08-07 | 2008-02-22 | 중앙종합기계 주식회사 | 평면 수직형 스크린 장치와 이의 구동방법 |
KR101568308B1 (ko) * | 2015-03-13 | 2015-11-12 | 주식회사 가온텍 | 종합 전처리설비 |
-
2016
- 2016-02-17 KR KR1020160018356A patent/KR10165883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06920B1 (ko) * | 2007-08-07 | 2008-02-22 | 중앙종합기계 주식회사 | 평면 수직형 스크린 장치와 이의 구동방법 |
KR101568308B1 (ko) * | 2015-03-13 | 2015-11-12 | 주식회사 가온텍 | 종합 전처리설비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63371B1 (ko) | 2018-08-14 | 2019-03-28 | 주식회사 가온텍 | 수직 다단 스크린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42238B1 (ko) | 협잡물 이송을 위한 로타리식 제진기 | |
US7510650B2 (en) | Perforated plate element screen with sealed element design | |
KR101099431B1 (ko) | 로타리 제진기 | |
KR101738636B1 (ko) | 퇴적물 분산유닛을 갖는 제진기 | |
KR101658837B1 (ko) | 수직 다단 스크린 | |
KR101945155B1 (ko) | 협잡물 자동제거 기능을 갖는 링크제진기 | |
US20150157966A1 (en) | Rotary type dust removing machine | |
KR20150020443A (ko) | 벨트 스크린식 제진기 | |
KR101964591B1 (ko) | 로터리 제진기 | |
KR101425778B1 (ko) | 제진기 | |
KR102498334B1 (ko) | 공기 여과 | |
KR102038437B1 (ko) | 클라이밍 밴드 스크린 | |
KR102243084B1 (ko) | 제진기 | |
CN106430373A (zh) | 一种回转耙式格栅除污设备 | |
KR101887831B1 (ko) | 협잡물 퇴적방지구조가 적용된 계단식 여과기 | |
KR101738635B1 (ko) | 제진기에 마련된 전위 스크린의 전, 후 왕복 장치 | |
KR101177922B1 (ko) | 제진기 | |
KR20190095758A (ko) | 보조레이크를 갖는 제진기 | |
KR101973628B1 (ko) | 광폭 수로형 제진기 | |
KR101044248B1 (ko) | 수 처리용 회전식 플레이트형 제진기 | |
KR100774584B1 (ko) | 제진기의 레이크 체결부 | |
KR20070038777A (ko) | 각형 풀리식 협잡물 제거장치 | |
KR101782295B1 (ko) | 확장형 스크린을 구비하는 제진기 | |
KR101153921B1 (ko) | 로터리 제진기 | |
KR102560238B1 (ko) | 스크린의 수류 방해 해소 및 협잡물 누출방지를 통한 펌프 고장 문제를 해결한 제진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905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