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3921B1 - 로터리 제진기 - Google Patents

로터리 제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3921B1
KR101153921B1 KR1020120014973A KR20120014973A KR101153921B1 KR 101153921 B1 KR101153921 B1 KR 101153921B1 KR 1020120014973 A KR1020120014973 A KR 1020120014973A KR 20120014973 A KR20120014973 A KR 20120014973A KR 101153921 B1 KR101153921 B1 KR 1011539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rake
along
binding
vibration dam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49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방성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더존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더존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더존이텍
Priority to KR10201200149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39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39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39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8Details, e.g. gates, screens
    • E02B5/085Arresting devices for waterborne materials, e.g. gratings

Abstract

본 발명은 로터리 제진기에 관한 것으로, 바디, 서로 대향하도록 바디에 구비되고 무한 회전하는 이송부재, 양측이 대응되는 이송부재를 따라 연결되어 이송부재의 이송방향으로 하천수의 협잡물을 제거하는 복수 개의 레이크, 및 이 레이크의 축 방향을 따라 복수 개 연결되고 이송부재 궤적을 따라 무한 회전하면서 협잡물을 걸러내는 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달리 체인의 무한회전으로 이송되는 레이크에 협잡물 걸러내기 위한 와이어가 무한회전 되도록 장착됨으로써 하천수에 고정되는 스크린 대비 협잡물이 모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협잡물 제거 작업 중에 하천수의 흐름을 원활히 할 수 있다.

Description

로터리 제진기{ROTARY TYPE SCRAPER}
본 발명은 로터리 제진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체인의 무한회전으로 이송되는 레이크에 협잡물 걸러내기 위한 와이어가 무한회전 되도록 장착됨으로써 하천수에 고정되는 스크린 대비 협잡물이 모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협잡물 제거 작업 중에 하천수의 흐름을 원활히 할 수 있는 로터리 제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수처리장에는 장마와 같은 우천시 범람하는 빗물과 함께 각종 생활 쓰레기 등이 유입되는 바, 이를 걷어내고 제거하기 위해서 하수처리장에는 수로가 하천으로 유입되는 입구에 로터리 제진기를 설치하여 오물 및 협잡물 등을 수거하고 있다.
이러한 로터리 제진기는 스크린부에 의해 걸러진 오물 등을 체인부의 양단부에 고정되되, 구동모터에 의해 무한궤도로 회전 이송되면서 레이크에 의해 수거된다.
레이크에 의해 수거된 오물 등은 스크래퍼(scrapper)에 걸려져 배출된다.
특히, 로터리 제진기는 프레임 내부 하측으로 다수의 스크린부가 설치되며, 유수와 함께 떠내려오는 부유물을 걸러내기 위한 스크린과, 프레임의 내측 상하단에 설치되며 체인이 권선된 스프로킷과, 스프로킷 및 체인에 연계되어 이들에 연속적인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와, 프레임의 외측단 상부에 설치되며 스프로킷과의 연계를 통해 하중에 따른 체인의 인장력을 조절토록 한 테이크업 유니트를 포함한다.
아울러, 로터리 제진기에 설치된 스크린에 의해 걸러진 오물을 링크체인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 갈퀴형 레이크가 링크체인과 연결된 구동 스프로켓의 회전운동에 의해 오물을 인양 배출하는 장치로 갈퀴형 레이크의 후단 갈퀴부가 설치된 스크린을 따라 이동하면서 스크린에 걸려 있는 오물을 걸러내게 된다.
로터리 제진기의 레이크에 대해서는 국내실용신안등록 제20-0392677호에 제안되어 있다.
기존 로터리 제진기는 프레임에 고정 설치된 스크린을 하천에 잠기도록 설치함으로써 협잡물이 스크린에 달라붙어 있음에 따라 협잡물 수거율이 낮아지고, 하천수의 원활한 흐름을 방해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체인의 무한회전으로 이송되는 레이크에 협잡물 걸러내기 위한 와이어가 무한회전 되도록 장착됨으로써 하천수에 고정되는 스크린 대비 협잡물이 모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협잡물 제거 작업 중에 하천수의 흐름을 원활히 하고자 하는 로터리 제진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무한회전하기 위해 폐회로를 이루는 와이어의 양측 단부 연결부위에 완충부를 구비함으로써 와이어의 인장과 압축을 허용함에 따라 와이어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로터리 제진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나란하게 배치되는 와이어를 서포터로 지지함으로써 와이어의 처짐이나 와이어 간격 불균일을 방지하고자 하는 로터리 제진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레이크를 하측에서 지지함으로써 자중과 수압에 대해 레이크가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고자 하는 로터리 제진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로터리 제진기는: 바디, 서로 대향하도록 상기 바디에 구비되고 무한 회전하는 이송부재, 양측이 대응되는 상기 이송부재를 따라 연결되어 상기 이송부재의 이송방향으로 하천수의 협잡물을 제거하는 복수 개의 레이크, 및 상기 레이크의 축 방향을 따라 복수 개 연결되고, 상기 이송부재 궤적을 따라 무한 회전하면서 협잡물을 걸러내는 와이어를 포함한다.
상기 와이어 각각은 양측 단부가 완충부로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완충부는, 상기 와이어의 일측 단부에 연결되는 제 1조인트부재, 상기 제 1조인트부재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1플랜지, 상기 와이어의 타측 단부에 연결되는 제 2조인트부재, 상기 제 2조인트부재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플랜지, 및 상기 제 1플랜지와 상기 제 2플랜지에 대응되는 단부가 고정되고 상기 와이어의 장력 크기에 따라 수축과 이완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레이크는 상기 와이어를 삽입하여 정렬하기 위해 축 방향을 따라 삽입홀부가 통공되고, 상기 와이어는 메인클램프부재에 의해 상기 레이크에 연결된 상태로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인클램프부재는, 상기 레이크의 타측 가장자리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결속편부재, 상기 결속편과 면접되는 결속판부재, 상기 와이어를 내측에 수용한 상태로 양측이 상기 결속편부재와 상기 결속판부재에 순서대로 삽입되는 U볼트부재, 및 상기 결속판부재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기 U볼트부재의 양측에 나사 결합되는 너트부재를 포함한다.
이웃한 상기 레이크 사이에 해당되는 상기 와이어는 서포터에 의해 지지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서포터는, 양측이 대응되는 상기 이송부재를 따라 복수 개 연결되는 서포트바, 상기 서포트바의 축 방향을 따라 돌출되어 상기 와이어를 삽입함으로써 지지하는 지지부재, 및 상기 와이어가 상기 지지부재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되도록 결속하는 결속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바디는 대향하는 내측에 프레임이 연결 고정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레이크의 이동 궤적을 따라 가이드레일을 구비하며, 상기 레이크는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구름 회전되는 가이드롤러를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서포트바는 이동방향에 대해 전측에 스크래퍼를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로터리 제진기는 종래 기술과 달리 체인의 무한회전으로 이송되는 레이크에 협잡물 걸러내기 위한 와이어가 무한회전 되도록 장착됨으로써 하천수에 고정되는 스크린 대비 협잡물이 모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협잡물 제거 작업 중에 하천수의 흐름을 원활히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무한회전하기 위해 폐회로를 이루는 와이어의 양측 단부 연결부위에 완충부를 구비함으로써 와이어의 인장과 압축을 허용함에 따라 와이어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나란하게 배치되는 와이어를 서포터로 지지함으로써 와이어의 처짐이나 와이어 간격 불균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레이크를 하측에서 지지함으로써 자중과 수압에 대해 레이크가 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터리 제진기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터리 제진기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터리 제진기의 레이크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의 설치 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에 장착되는 완충부의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크에 와이어를 고정하는 구조의 확대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레이크에 와이어를 고정하는 구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지지용 서포터의 설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크 지지 상태를 보인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로터리 제진기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터리 제진기의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터리 제진기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터리 제진기의 레이크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의 설치 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에 장착되는 완충부의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크에 와이어를 고정하는 구조의 확대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레이크에 와이어를 고정하는 구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지지용 서포터의 설치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크 지지 상태를 보인 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터리 제진기(10)는 강이나 하천에서 흐르는 물을 따라 유동하는 협잡물을 수거하는 설비로서, 바디(20), 이송부재(30), 레이크(40) 및 와이어(100)를 포함한다.
바디(20)는 로터리 제진기(10)의 외형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이송부재(30), 레이크(40) 및 와이어(100) 등을 지지하거나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바디(20)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한데, 편의상, 대략 사각틀 형상으로 도시한다. 물론, 바디(20)는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이송부재(30)는 바디(20)에 무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특히, 이송부재(30)는 바디(20)의 대향하는 양측에 무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편의상, 이송부재(30)는 체인으로 도시한다. 그래서, 바디(20)는 일측 상부와 하부에 스프로킷휠(32)을 회전 가능하게 구비하고, 타측 상부와 하부에 스프로킷휠(32)을 회전 가능하게 구비한다. 이송부재(30)는 바디(20)의 일측에 구비된 한 쌍의 스프로킷휠(32)에 감겨지고, 바디(20)의 타측에 구비된 한 쌍의 스프로킷휠(32)에 감겨지게 된다.
따라서, 한 쌍의 이송부재(30)가 나란하게 배치되어 각각 무한 회전하게 된다.
아울러, 한 쌍씩의 스프로킷휠(32) 중 어느 하나는 구동모터(34)에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한 쌍의 이송부재(30)는 동일 속도로 무한 회전하게 된다.
물론, 이송부재(30)는 컨베이어벨트 등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한편, 레이크(40)는 이송부재(30)의 이송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되고, 일측이 어느 하나의 이송부재(30)에 연결되며, 타측이 다른 하나의 이송부재(30)에 연결된다. 그래서, 레이크(40)는 이송부재(30)와 함께 무한 회전하게 된다. 이로 인해, 레이크(40)는 이송부재(30)의 이송방향으로 하천수의 협잡물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편의상, 레이크(40)는 이송부재(30)의 이송 방향에 대해 수직하게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한다. 그리고, 레이크(40)는 한 쌍의 이송부재(30)를 따라 복수 개가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다.
특히, 레이크(40)는 플레이트(43) 및 갈퀴부재(45)를 포함한다.
플레이트(43)는 판(板) 형상으로 이루어져, 일측이 어느 하나의 이송부재(30)에 직접적으로 연결 고정되고, 타측이 다른 하나의 이송부재(30)에 직접적으로 연결 고정된다. 플레이트(43)는 볼팅 등 다양한 방식에 의해 이송부재(3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플레이트(43)는 하천수를 따라 흘러 내려오는 협잡물을 걷어올리는 역할을 한다.
아울러, 갈퀴부재(45)는 플레이트(43)의 전측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 개 연장 형성된다. 여기서, '전측'은 하천수를 따라 흘러 내려오는 협잡물을 향하는 방향을 말한다.
그래서, 갈퀴부재(45)는 플레이트(43)로 걷어올려지는 협잡물이 하천수와 함께 플레이트(43)의 외측으로 흘러내리는 것을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갈퀴부재(45)는 다양한 재질로 변형 가능하고, 개수에 한정하지 않는다.
한편, 와이어(100)는 레이크(40)의 축 방향을 따라 복수 개 연결된다. 즉, 레이크(40)는 나란하게 배치되는 와이어(100)를 따라 일정 간격만큼 유격되도록 고정 설치된다. 그래서, 이송부재(30)가 무한 회전함에 따라, 레이크(40)가 이송부재(30)와 함께 이동하게 되고, 와이어(100)가 이송부재(30)의 궤적을 따라 무한 회전하게 된다.
와이어(100)는 하천수의 흐름 방향에 대해 경사지도록 복수 열로 배치되어 무한 회전하게 됨으로써 하천수를 따라 흐르는 협잡물을 걸러내는 역할을 한다. 즉, 협잡물은 하천수를 따라 흐르면서 와이어(100)에 걸리게 된다.
와이어(100)에 걸린 협잡물은 무한 회전하는 와이어(100)에 의해 걸려 올라오거나 또는 레이크(40)에 의해 제거될 수 있게 된다.
특히, 와이어(100)가 바디(20)의 상하 방향으로 무한 회전하게 됨으로써 지속적으로 수축 및 이완되면서 장력을 받게 된다.
이 경우, 와이어(100) 각각은 작용하는 장력의 크기에 따라 수축, 이완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와이어(100) 각각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이에 따라, 도 5에서처럼, 와이어(100) 각각은 양측 단부에 완충부(200)가 구비된다. 즉, 와이어(100) 일측은 완충부(200)의 일측에 연결되고, 와이어(100) 타측은 완충부(200)의 타측에 연결된다. 이에 따라, 와이어(100)와 완충부(200)는 연결되어 링 형상의 폐회로를 형성하게 된다.
이때, 완충부(200)는 제 1조인트부재(210), 제 1플랜지(220), 제 2조인트부재(230), 제 2플랜지(240) 및 탄성부재(250)를 포함한다.
제 1조인트부재(210)는 와이어(100)의 일측 단부에 연결되고, 제 2조인트부재(230)는 와이어(100)의 타측 단부에 연결된다.
특히, 와이어(100)는 장력이나 수압에 견딜 수 있도록 금속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 1조인트부재(210)와 제 2조인트부재(230)가 강성을 갖도록 금속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제 1조인트부재(210)와 제 2조인트부재(230)는 와이어(100)에 용접이나 납땜 처리된다.
아울러, 제 1플랜지(220)는 제 1조인트부재(2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 2플랜지(240)는 제 2조인트부재(23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 1플랜지(220)와 제 1조인트부재(210)는 볼팅 등 다양한 방식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 2플랜지(240)와 제 2조인트부재(230)는 볼팅 등 다양한 방식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탄성부재(250)는 일측이 제 1플랜지(220)에 고정 연결되고, 타측이 제 2플랜지(240)에 고정 연결된다. 이때, 탄성부재(250)와 제 1플랜지(220)와 제 2플랜지(240)는 강성을 갖도록 금속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탄성부재(250)는 대응되는 제 1플랜지(220)와 제 2플랜지(240)에 용접 처리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탄성부재(250)는 대응되는 제 1플랜지(220)와 제 2플랜지(240)에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탄성부재(250)는 코일 스프링으로 함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탄성부재(250)에 의해 완충부(200)는 와이어(100)의 장력 크기에 따라 수축과 이완된다.
한편, 와이어(100)의 레이크(40)에 연결된 부위가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이송부재(30)와 함께 강제 이송되는 레이크(40)에 대해 와이어(100)의 슬립(slip)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그래서, 레이크(40)는 와이어(100)를 삽입하여 정렬하기 위해 축 방향을 따라 삽입홀부(42)가 통공된다. 즉, 플레이트(43)는 축 방향을 따라 노치(notch) 형상 또는 홀(hole) 형상의 삽입홀부(42)를 통공한다. 물론, 삽입홀부(42)의 개수는 한정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와이어(100)는 삽입홀부(42)에 일대일 대응되도록 축 삽입된다.
특히, 와이어(100)는 삽입홀부(42)에 단순히 삽입될 경우 삽입홀부(42)의 내측면에 대해 슬립(slip)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와이어(100)는 메인클램프부재(300)에 의해 레이크(40)에 연결된 상태로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예로서, 도 6 및 도 7에서처럼, 메인클램프부재(300)는 결속편부재(310), 결속판부재(320), U볼트부재(330) 및 너트부재(340)를 포함한다.
결속편부재(310)는 레이크(40)의 타측 가장자리 즉, 플레이트(43)의 후측에서 외측으로 연장된다. 결속편부재(310)는 플레이트(43)의 전측에 반대되는 후측 가장자리를 따라 플레이트(43)에 수직되도록 연장된다. 물론, 결속편부재(310)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고, 플레이트(43)에 일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결속판부재(320)는 결속편에 면접되게 배치된다. 물론, 결속판부재(320)는 다양한 형상 및 개수에 한정하지 않는다.
아울러, U볼트부재(330)는 'U'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삽입홀부(42)에 삽입된 와이어(100)를 구부러진 내측에 수용한다. 그리고, U볼트부재(330)의 나란한 양측은 결속편부재(310)와 결속판부재(320)에 순서대로 삽입된다.
너트부재(340)는 결속판부재(320)의 외측으로 돌출된 U볼트부재(330)의 양측에 나사 결합된다.
따라서, 너트부재(340)가 U볼트부재(330)의 양측에 죄여짐으로써 결속판부재(320)에 대해 U볼트부재(330)를 당기게 되어, 와이어(100)는 U볼트부재(330)와 결속편부재(310)에 의해 가압됨에 따라 견고하게 고정된다. 그래서, 와이어(100)는 레이크(40)에 대해 슬립이 방지된다.
물론, 메인클램프부재(300)는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한편, 이송부재(30)의 이송 방향을 따라, 레이크(40)와 레이크(40) 사이에 해당되는 와이어(100)는 수압에 의해 하천수의 흐름 방향으로 휘어지거나, 이웃한 와이어(100)끼리 벌어지게 된다.
이 경우, 협잡물이 와이어(100)를 통과하게 되어 수거율이 저하된다.
그래서, 이웃한 레이크(40) 사이에 해당되는 와이어(100)는 서포터(400)에 의해 지지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지지됨'은 휘어지거나 간격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함을 의미한다.
예로서, 도 8에서처럼, 서포터(400)는 서포트바(410), 지지부재(420) 및 결속부재(430)를 포함한다.
서포트바(410)는 양측이 대응되는 이송부재(30)를 따라 복수 개 연결된다. 즉, 서포트바(410) 각각은 일측이 어느 하나의 이송부재(30)에 연결 고정되고, 타측이 다른 하나의 이송부재(30)에 연결 고정된다.
그리고, 지지부재(420)는 서포트바(410)의 축 방향을 따라 돌출되어 각 와이어(100)를 일대일 대응되게 삽입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래서, 와이어(100)는 지지부재(420)에 의해 간격이 유지되고, 서포트바(410)와 지지부재(420)에 의해 하천수의 흐름 방향으로 휘어지지 않게 된다.
물론, 서포트바(410)와 지지부재(420)는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
특히, 서포터(400)가 와이어(100)에 따라 위치 이동되지 않도록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와이어(100)가 지지부재(420)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되도록 결속하는 결속부재(430)가 구비된다.
결속부재(430)는 다양하게 적용 할 수 있는데, 편의상 서포트바(410)에 삽입되는 메인클램프부재(300)의 U볼트부재(330)와 너트부재(340)로 도시한다.
또한, 레이크(40)는 수압, 협잡물의 무게 및 자중 등에 의해 와이어(100)와 함께 하천수의 흐름 방향으로 휘어질 수 있다.
그래서, 바디(20)가 레이크(40)를 지지함이 바람직하다.
예로서, 도 3 및 도 9에서처럼, 바디(20)는 대향하는 내측에 프레임(500)이 연결 고정된다. 즉, 프레임(500)의 일측은 대응되는 바디(20)의 내측에 연결 고정되고, 프레임(500)의 타측은 대응되는 바디(20)의 내측에 연결 고정된다. 이때, 프레임(500)은 이송부재(30)의 이송 방향으로 배치된다.
특히, 프레임(500)은 하천수의 원활한 흐름에 방해되지 않도록 최소의 개수로 이루어져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다.
또한, 프레임(500)은 레이크(40)의 이동 궤적을 따라 가이드레일(610)을 구비하며, 레이크(40)는 가이드레일(610)을 따라 구름 회전되는 가이드롤러(620)를 구비한다.
즉, 이송부재(30)가 강제 이송되면, 레이크(40)가 이송되고, 가이드롤러(620)는 가이드레일(610)을 따라 구름 회전하며 이송된다.
이에 따라, 레이크(40)가 프레임(500)에 지지됨으로써, 레이크(40)의 내구성이 향상된다.
물론, 가이드레일(610)은 이송부재(30)의 무한 회전 궤적을 따라 바디(20)에 전체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바디(20)의 일부 구간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서포트바(410)가 이송부재(30)의 이송 방향으로 이송시, 협잡물이 레이크(40)와 프레임(500) 사이 및 가이드롤러(620)와 가이드레일(610) 사이에 끼이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도 9에서처럼, 서포트바(410)는 이동방향에 대해 전측에 스크래퍼(700)를 구비한다. 즉, 스크래퍼(700)는 이송 방향에 대해 서포트바(410)의 전측에 구비되어 협잡물의 끼임을 방지한다. 스크래퍼(700)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고, 서포트바(4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로터리 제진기 20: 바디
30: 이송부재 32: 스프로킷휠
34: 구동모터 40: 레이크
42: 삽입홀부 43: 플레이트
45: 갈퀴부재 100: 와이어
200: 완충부 210,230: 제 1,2조인트부재
220,240: 제 1,2플랜지 250: 탄성부재
300: 메인클램프부재 310: 결속편부재
320: 결속판부재 330: U볼트부재
340: 너트부재 400: 서포터
410: 서포트바 420: 지지부재
430: 결속부재 500: 프레임
610: 가이드레일 620: 가이드롤러
700: 스크래퍼

Claims (9)

  1. 바디;
    서로 대향하도록 상기 바디에 구비되고, 무한 회전하는 이송부재;
    양측이 대응되는 상기 이송부재를 따라 연결되어 상기 이송부재의 이송방향으로 하천수의 협잡물을 제거하는 복수 개의 레이크; 및
    상기 레이크의 축 방향을 따라 복수 개 연결되고, 상기 이송부재 궤적을 따라 무한 회전하면서 협잡물을 걸러내는 와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레이크는 상기 와이어를 삽입하여 정렬하기 위해 축 방향을 따라 삽입홀부가 통공되며,
    상기 와이어는 메인클램프부재에 의해 상기 레이크에 연결된 상태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제진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각각은 양측 단부가 완충부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제진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는,
    상기 와이어의 일측 단부에 연결되는 제 1조인트부재;
    상기 제 1조인트부재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1플랜지;
    상기 와이어의 타측 단부에 연결되는 제 2조인트부재;
    상기 제 2조인트부재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플랜지; 및
    상기 제 1플랜지와 상기 제 2플랜지에 대응되는 단부가 고정되고, 상기 와이어의 장력 크기에 따라 수축과 이완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제진기.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클램프부재는,
    상기 레이크의 타측 가장자리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결속편부재;
    상기 결속편과 면접되는 결속판부재;
    상기 와이어를 내측에 수용한 상태로 양측이 상기 결속편부재와 상기 결속판부재에 순서대로 삽입되는 U볼트부재; 및
    상기 결속판부재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기 U볼트부재의 양측에 나사 결합되는 너트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제진기.
  6. 제 1항에 있어서,
    이웃한 상기 레이크 사이에 해당되는 상기 와이어는 서포터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제진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터는,
    양측이 대응되는 상기 이송부재를 따라 복수 개 연결되는 서포트바;
    상기 서포트바의 축 방향을 따라 돌출되어 상기 와이어를 삽입함으로써 지지하는 지지부재; 및
    상기 와이어가 상기 지지부재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되도록 결속하는 결속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제진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대향하는 내측에 프레임이 연결 고정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레이크의 이동 궤적을 따라 가이드레일을 구비하며;
    상기 레이크는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구름 회전되는 가이드롤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제진기.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바는 이동방향에 대해 전측에 스크래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제진기.
KR1020120014973A 2012-02-14 2012-02-14 로터리 제진기 KR1011539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4973A KR101153921B1 (ko) 2012-02-14 2012-02-14 로터리 제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4973A KR101153921B1 (ko) 2012-02-14 2012-02-14 로터리 제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53921B1 true KR101153921B1 (ko) 2012-06-18

Family

ID=46688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4973A KR101153921B1 (ko) 2012-02-14 2012-02-14 로터리 제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392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9832B1 (ko) * 2014-07-04 2014-12-09 코오롱이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싱크분쇄 음식폐기 협잡물 처리시스템
KR101995414B1 (ko) * 2018-12-14 2019-07-02 주식회사 에코셋 회전스크린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1474Y1 (ko) * 2000-08-11 2001-01-15 김해동 협잡물 제거장치
KR200247793Y1 (ko) * 2001-06-15 2001-10-18 보성환경산업(주) 스크린 제진기
KR20110030897A (ko) * 2009-09-18 2011-03-24 최기억 와이어 스크린 연속식 제진기
KR20110092024A (ko) * 2010-02-08 2011-08-17 김영기 게이트 펌프용 로터리 제진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1474Y1 (ko) * 2000-08-11 2001-01-15 김해동 협잡물 제거장치
KR200247793Y1 (ko) * 2001-06-15 2001-10-18 보성환경산업(주) 스크린 제진기
KR20110030897A (ko) * 2009-09-18 2011-03-24 최기억 와이어 스크린 연속식 제진기
KR20110092024A (ko) * 2010-02-08 2011-08-17 김영기 게이트 펌프용 로터리 제진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9832B1 (ko) * 2014-07-04 2014-12-09 코오롱이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싱크분쇄 음식폐기 협잡물 처리시스템
KR101995414B1 (ko) * 2018-12-14 2019-07-02 주식회사 에코셋 회전스크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1070B1 (ko) 수류 저항감소 구조를 갖는 회전식 제진기
KR101084319B1 (ko) 제진기의 잔류 진개물 제거장치
KR101893203B1 (ko) 스프링캡 내장형 레이크를 구비한 협잡물 제거용 스크린
KR101250253B1 (ko) 로터리 제진기
KR101119517B1 (ko) 로터리 제진기
KR101752106B1 (ko) 더블 레이크가 적용된 스크린 인양식 로터리 제진기
KR101415953B1 (ko) 물의 흐름에 영향을 주지 않는 제진기
KR101153921B1 (ko) 로터리 제진기
KR101425778B1 (ko) 제진기
KR101406712B1 (ko) 이중 스크린 제진기
KR101735693B1 (ko) 목 메임 방지용 로터리식 제진기
KR101972705B1 (ko) 스크린 회전형 제진기
KR102243084B1 (ko) 제진기
KR100746924B1 (ko) 협잡물 제거용 로타리 자동스크린
KR200381939Y1 (ko) 협잡물 제거용 로타리 자동스크린
KR200332449Y1 (ko) 로터리식 제진기
KR101330187B1 (ko) 로터리 제진기
KR200349383Y1 (ko) 제진기
KR101254694B1 (ko) 제진기
KR101887831B1 (ko) 협잡물 퇴적방지구조가 적용된 계단식 여과기
KR20020092765A (ko) 로터리식 제진기
KR102152401B1 (ko) 보조레이크를 갖는 제진기
KR100774584B1 (ko) 제진기의 레이크 체결부
CN210419299U (zh) 一种用于循环水的新型格栅
JPS6274804A (ja) 竪置コンベア式除塵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