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5959B1 - 마커 펜 - Google Patents

마커 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5959B1
KR100805959B1 KR1020060027406A KR20060027406A KR100805959B1 KR 100805959 B1 KR100805959 B1 KR 100805959B1 KR 1020060027406 A KR1020060027406 A KR 1020060027406A KR 20060027406 A KR20060027406 A KR 20060027406A KR 100805959 B1 KR100805959 B1 KR 1008059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rking
ink
nonwoven fabric
shim
marker p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74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96601A (ko
Inventor
오남영
Original Assignee
오남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남영 filed Critical 오남영
Priority to KR10200600274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5959B1/ko
Publication of KR200700966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66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59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59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39/00General-purpose boring or drilling machines or devices; Sets of boring and/or drilling machines
    • B23B39/04Co-ordinate boring or drilling machines; Machines for making holes without previous mar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47/00Constructional features of components specially designed for boring or drilling machines; Accessories therefor
    • B23B47/26Liftable or lowerable drill heads or headstocks; Balancing arrangement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ens And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커 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원가 절감 및 필기 성능 면에서 우수하고, 얻고자 하는 선 모양에 따라 다양한 형상을 가지도록 제조될 수 있는 마커 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잉크 리저버(13), 심(33, 39) 및 마킹 부직포(3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잉크 리저버(13)는 잉크를 저장하고, 상기 심(33, 39)은, 후단은 상기 잉크 리저버(13)에 접촉되고, 선단은 상기 마킹 부직포(35)에 접촉되어, 상기 잉크 리저버(13)로부터 상기 마킹 부직포(35)에 잉크를 공급하고, 상기 마킹 부직포(35)는 상기 심(33, 39)보다 큰 단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커 펜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마커 펜은, 상기 심(33, 39)보다 큰 단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심(33, 39)의 선단을 수용하는 헤드(31a, 31b)를 추가적으로 포함하고, 상기 마킹 부직포(35)는, 상기 헤드(31a, 31b)의 선단을 덮도록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마커 펜은, 상기 마킹 부직포(35)가 덮여 있는 상기 헤드(31a, 31b)의 외부에 끼워져, 상기 마킹 부직포(35)를 상기 헤드(31a, 31b)에 밀착 고정시키는 고정링(37)을 추가적으로 구비한다.

Description

마커 펜{MARKER PEN }
도1은 마킹 팁으로 닙이 사용되는 종래의 마커 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2는 마킹 팁으로 부직포 블록이 사용되는 종래의 마커 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3은 마킹 팁으로 포렉스가 사용되는 종래의 마커 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커 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커 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케이싱 13: 잉크 리저버
21a, 21b: 헤드 23: (닙 타입) 마킹 팁
25: (부직포 블록 타입) 마킹 팁 27: (포렉스 타입) 마킹 팁
31a, 31b: 헤드 33: (닙 타입) 심
35: 마킹 부직포 37: 고정링
39: (필터 타입) 심
본 발명은 마커 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원가 절감 및 필기 성능 면에서 우수하고, 얻고자 하는 선 모양에 따라 다양한 형상을 가지도록 제조될 수 있는 마커 펜에 관한 것이다.
볼펜 등과 함께 대표적인 필기구로 사용되는 마커 펜은, 그 선단의 마킹 팁이 종이 등과 접촉되며 필기를 할 수 있다.
마커 펜은 잉크의 성분에 따라 크게 수성펜, 형광펜, 매직펜, 화이트보드마커,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수성펜은 원료로 염료 또는 안료가 사용되고, 수성 용제(물)가 사용된다. 형광펜은 수성펜과 마찬가지로 원료로 염료 또는 안료가 사용되고 수성 용제가 사용되나, 형광물질이 함유되어 있다. 매직펜은 원료로 염료가 사용되고, 유성 용제(알코올)가 사용된다. 화이트보드마커는 원료로 안료가 사용되고 유성 용제가 사용된다. 염료는 용제에 완전 분산 및 분해 되는데 반하여, 안료는 용제에 녹지 않고 알갱이 형태로 남게 된다.
비교적 저가의 용품에 속하는 마커 펜은 가격 경쟁력에 의하여 판매고가 크 게 좌우된다. 즉, 개당 수 원 내지는 수십 원의 원가 절감은 마커 펜 제조업자에게는 가장 절실하면서 당면한 기술 개발 목표가 되는 것이다.
또한 마커 펜은 필기구의 특성 상, 당연히 필기 성능이 우수할 것이 요구되며, 이러한 필기 성능은 가격 경쟁력과 함께 마커 펜의 판매고를 좌우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가 된다. 예컨대 마킹 팁에서의 잉크 유출이 불량하여, 필기 중에 잉크가 끊긴다든지, 마킹 팁의 부위에 따라 일부분만이 필기가 된다든지, 잉크가 다 소비되기도 전에 마킹 팁으로 잉크가 공급되지 않아 필기가 전혀 안된다든지, 등의 현상은 소비자의 주요한 품질 불만 사항으로 지적되어 오고 있다.
따라서 각 제조사들은 원가 절감과 함께 필기 성능 향상에 모든 기술 개발 노력을 다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두 가지 목표는 서로 양립되기 힘든 성질의 것이어서, 이 두 가지 목표를 모두 충족시키는 기술 수준의 향상은 더딘 실정이다.
현재 마커 펜, 특히 마킹 팁은 다양한 구조 및 재질의 것이 개발되어 출시되고 있는데, 상기한 원가 절감 및 필기 성능의 측면에서 종래의 마킹 팁을 살펴본다.
도1 내지 도3은 각각 종래의 마커 펜을 보여주는데, 도시한 바와 같이, 도1 내지 도3의 종래의 마커 펜은 케이싱(11), 잉크 리저버(13), 마킹 팁(23, 25, 27) 및 헤드(21a, 21b)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헤드(21a, 21b)의 선단에 끼워져, 마킹 팁(23, 25, 27)을 외부로부터 보호하고 잉크 마름을 방지하는 캡은 도시하지 않았다.
마킹 팁(23, 25, 27)은 잉크 리저버(13)에 저장된 잉크를 공급받아, 종이 등 과 접촉되면서 필기를 가능하게 한다.
마킹 팁(23, 25, 27)은 다양한 구조와 재질을 가질 수 있는데, 도1은 마킹 팁(23)으로 닙이 사용되는 마커 펜을, 도2는 마킹 팁(25)으로 부직포 블록이 사용되는 마커 펜을, 도3은 마킹 팁(27)으로 포렉스가 사용되는 마커 펜을 보여준다.
닙은 폴리에스터 실 또는 나일론 실을 길게 뽑아내면서 여러 가닥을 봉 형상으로 가열 압축하여 만들어 낸 것을, 짧게 자르고 아래 위를 뾰족하게 가공하여 제조한다. 폴리에스터 실 또는 나일론 실이 아주 조밀하게 나란히 뭉쳐져 있는 내부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닙을 마킹 팁(23)으로 사용하는 도1의 마커 펜은 잉크의 성분에 관계없이 모든 종류의 마커 펜에서 비교적 우수한 필기 성능을 보인다는 장점을 가진다. 그러나 원가가 높아, 닙의 직경이 큰 대형 마커 펜의 경우 가격 경쟁력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점을 가진다.
부직포는 폴리에스터, 레이온, 양모 등의 원사를 접착, 니들 펀칭, 열 융착 등의 방법으로 방향성 없이 결합시켜서 제조한다. 폴리에스터, 레이온, 양모 등의 원사가 방향성 없이 서로 엉켜 있는 내부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부직포 블록을 마킹 팁(25)으로 사용하는 도2의 마커 펜은 도1의 마커 펜에 비하여 원가 절감을 이룰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그러나 화이트보드마커에 적용 시 잉크 유출 성능이 좋지 않아 필기 성능이 나쁘다는 문제점을 가진다.
포렉스(Porex)는 상품명으로, 포렉스 테크놀로지스 코포레이션(Porex Technologies Corporation)에 의하여 개발된 성형 가능한 다공성 물질이다. 기본적 으로 포렉스는 열가소성 중합체 펠릿의 소결물, 특히 중합체를 물로 신속하게 켄칭시켜 펠릿화시키는 공정에 의하여 제조된 미세 펠릿을 포함한다.
이러한 포렉스를 마킹 팁(27)으로 사용하는 도3의 마커 펜은 도1의 마커 펜에 비하여 원가 절감을 이룰 수 있는 이점을 역시 가진다. 그러나 안료 타입 형광펜과 화이트보드마커에 적용 시 잉크 유출 성능이 좋지 않아 필기 성능이 나쁘다는 문제점을 역시 가진다. 또한 초기 금형 비용이 많이 소요되므로, 소량 주문 제작 시에는 오히려 원가가 매우 높아지게 되는 한계를 가진다.
정리하면, 상기 도1 내지 도3의 종래의 마커 펜은, 상반되는 두 가지 목표라 할 수 있는 원가 절감과 필기 성능 중 어느 한 가지 측면에서 문제점을 가지고 있고, 따라서 이 모두를 충족시킬 수 있는 기술 개량의 필요성이 요구되어 왔다.
한편, 닙 타입의 마킹 팁(23)과 부직포 블록 타입의 마킹 팁(25)에서는, 팁(23, 25)을 여러 가지 형상으로 가공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아, 사실상 다양한 선 모양을 얻을 수 없는 한계를 가진다. 따라서 소비자의 다양한 취향에 부합하지 못함에 따라, 구매 흡인력의 극대화가 어려운 한계를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반된 목표라 할 수 있는 원가 절감과 필기 성능의 두 가지 측면 모두에서 향상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마커 펜을 제공하는데 있다.
즉, 마커 펜, 특히 대형 마커 펜을 제조하는데 있어, 원가 비용을 최대한 절 감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종국적으로는 높은 가격 경쟁력을 가지는 마커 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원가 절감의 목적을 달성함에 있어, 필기 성능의 저하를 가져오지 않고, 우수한 필기 성능을 유지할 수 있는 마커 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선 모양을 얻을 수 있는 다양한 형상의 마커 펜을 제공함으로써, 종국적으로 구매 흡인력의 극대화를 가져올 수 있도록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잉크 리저버, 심 및 마킹 부직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잉크 리저버는 잉크를 저장하고, 상기 심은, 후단은 상기 잉크 리저버에 접촉되고, 선단은 상기 마킹 부직포에 접촉되어, 상기 잉크 리저버로부터 상기 마킹 부직포에 잉크를 공급하고, 상기 마킹 부직포는 상기 심보다 큰 단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커 펜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마커 펜은, 상기 심보다 큰 단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심의 선단을 수용하는 헤드를 추가적으로 포함하고, 상기 마킹 부직포는, 상기 헤드의 선단을 덮도록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마커 펜은, 상기 마킹 부직포가 덮여 있는 상기 헤드의 외부에 끼워져, 상기 마킹 부직포를 상기 헤드에 밀착 고정시키는 고정링을 추가적으로 구비한다.
수성 잉크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닙 타입의 심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유성 잉크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필터 타입의 심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커 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도4의 마커 펜은 케이싱(11), 잉크 리저버(13), 헤드(31a), 심(33), 마킹 부직포(35) 및 고정링(37)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케이싱(11)은 몸체의 역할을 하며, 내부의 잉크 리저버(13)를 보호한다.
잉크 리저버(13)는 잉크를 저장하고, 심(33)에 잉크를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4( 및 도5)의 실시예에서는 필터 타입 잉크 리저버(13)가 사용된다.
필터는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재질의 원형 튜브 안으로 여러 가닥의 폴리에스터 실을 한꺼번에 집어넣어서 가열하면서 뽑아내어 제조한다. 원형 튜브 안에 폴리에스터 실이 조밀하게 나란하면서도 구불구불한 형태로 뭉쳐져 있는 내부 구조를 가진다.
심(33)은, 후단은 잉크 리저버(13)에 접촉되고, 선단은 마킹 부직포(35)에 접촉되어, 잉크 리저버(13)로부터 마킹 부직포(35)에 잉크를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4의 실시예에서는 닙 타입 심(33)이 사용된다. 닙은, 부직포 및 포렉스에 비하여 양호한 잉크 유출 성능을 가지므로, 대형 마커 펜에 필요한 충분한 양의 잉크를 마킹 부직포(35)에 전달할 수 있다.
닙은 전술한 바와 같이, 폴리에스터 실 또는 나일론 실을 길게 뽑아내면서 여러 가닥을 봉 형상으로 가열 압축하여 제조하고, 폴리에스터 실 또는 나일론 실이 아주 조밀하게 나란히 뭉쳐져 있는 내부 구조를 가진다.
헤드(31a)는 심(33)의 선단을 수용한다.
마킹 부직포(35)는 헤드(31a)의 선단을 덮어 심(33)의 선단과 접촉된다.
헤드(31a)는 심(33)보다 큰 단면(필기 단면)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헤드(31a)를 덮는 마킹 부직포(35) 역시 심(33)보다 큰 단면으로 형성된다. 대형 마커 펜을 제조할 때는, 필요한 크기만큼 헤드(31a)의 단면을 크게 설계한다.
도1 내지 도3에서, 대형 마커 펜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그에 따라 마킹 팁(23, 25, 27)의 직경을 증가시켜야 한다. 이 경우, 마킹 팁(23, 25, 27)의 제조 원가가 직경에 비례하여 상승하게 되므로, 원가 부담이 매우 커지게 된다.
반면, 도4에서는 닙 타입 심(33)을 사용하되, 심(33)의 직경은 증가시키지 않고, 대신 헤드(31a) (따라서 마킹 부직포(35))의 단면을 증가시켜, 필기 시 동일한 선 굵기를 얻을 수 있으면서도, 원가 증가 요인을 최소화시킨 것이다. 도1내지 도3의 종래의 마킹 팁(23, 25, 27)과 대비할 때, 절반 이하의 비용으로 제조가 가능하다.
또한 도1 및 도2의 마킹 팁(23, 25)과 대비할 때, 헤드(31a)를 다양한 형상(원형 단면, 삼각형 단면, 사각형 단면, 등)으로 제조할 수 있으므로, 여러 가지 모 양의 선을 얻을 수 있는 다양한 형상의 마커 펜을 제조할 수 있게 된다.
고정링(37)은 마킹 부직포(35)가 덮여 있는 헤드(31a)의 외부에 끼워져, 마킹 부직포(35)를 헤드(31a)에 밀착 고정시킨다. 고정링(37)은 헤드(31a)의 형상에 대응하여 다양한 형상을 가진다.
도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커 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도4의 닙 타입의 심(33) 대신에, 도5에서는 필터 타입의 심(39)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기본적인 구성은 도4의 구성과 동일하다.
도4의 마커 펜은 수성 잉크를 사용하는 제품에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도5의 마커 펜은 유성 잉크를 사용하는 제품에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성 잉크는 유출 성능이 수성 잉크에 비하여 떨어지므로, 유성 잉크용 대형 마커 펜의 심으로는, 닙보다는 잉크 유출 성능이 상대적으로 좋은 필터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마커 펜은, 용제(수성/유성)에 따라 도4의 마커 펜 및 도5의 마커 펜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사용함으로써, 잉크의 성분에 관계없이 우수한 필기 성능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상기한 구성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반된 목표라 할 수 있는 원가 절감과 필기 성능의 두 가지 측면 모두에서 향상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마커 펜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마커 펜은 원료 및 용제의 종류에 관계없이 모든 종류의 마커 펜에 적용이 가능하다. 예컨대, 수성용 마커 펜으로는 닙 타입 심을, 유성용 마커 펜으로는 필터 타입 심을 선택적으로 사용함으로써, 우수한 필기 성능을 얻을 수 있다.
또한 헤드의 형상에 따라 여러 가지 선 모양을 얻을 수 있는 마커 펜의 제조가 가능하므로, 수요자의 다양한 취향에 부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삭제
  2. 잉크 리저버, 심, 헤드 및 마킹 부직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잉크 리저버는 잉크를 저장하고,
    상기 심은, 후단은 상기 잉크 리저버에 접촉되고, 선단은 상기 마킹 부직포에 접촉되어, 상기 잉크 리저버로부터 상기 마킹 부직포에 잉크를 공급하고,
    상기 헤드는 상기 심보다 큰 단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심의 선단을 수용하고,
    상기 마킹 부직포는 상기 헤드의 선단을 덮도록 상기 헤드에 밀착 고정되어 상기 심보다 큰 단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커 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킹 부직포가 덮여 있는 상기 헤드의 외부에 끼워져, 상기 마킹 부직포를 상기 헤드에 밀착 고정시키는 고정링을 추가적으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커 펜.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는 수성 잉크이고,
    상기 심은 닙 타입의 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커 펜.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는 유성 잉크이고,
    상기 심은 필터 타입 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커 펜.
KR1020060027406A 2006-03-27 2006-03-27 마커 펜 KR1008059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7406A KR100805959B1 (ko) 2006-03-27 2006-03-27 마커 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7406A KR100805959B1 (ko) 2006-03-27 2006-03-27 마커 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6601A KR20070096601A (ko) 2007-10-02
KR100805959B1 true KR100805959B1 (ko) 2008-02-25

Family

ID=388034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7406A KR100805959B1 (ko) 2006-03-27 2006-03-27 마커 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595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89385U (ja) 1981-12-14 1983-06-17 株式会社 トンボ鉛筆 ペン芯
JPS6086484U (ja) 1983-11-17 1985-06-14 株式会社 サクラクレパス 塗布具の塗布液調節装置
JPS6091469U (ja) 1983-11-29 1985-06-22 セーラー万年筆株式会社 無方向ペン体
JP2004223907A (ja) 2003-01-23 2004-08-12 Tsukasa Felt Shoji Kk 筆記具用芯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89385U (ja) 1981-12-14 1983-06-17 株式会社 トンボ鉛筆 ペン芯
JPS6086484U (ja) 1983-11-17 1985-06-14 株式会社 サクラクレパス 塗布具の塗布液調節装置
JPS6091469U (ja) 1983-11-29 1985-06-22 セーラー万年筆株式会社 無方向ペン体
JP2004223907A (ja) 2003-01-23 2004-08-12 Tsukasa Felt Shoji Kk 筆記具用芯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6601A (ko) 2007-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44541Y2 (ko)
US5352051A (en) Writing instrument
JP7011893B2 (ja) 筆記具
KR100805959B1 (ko) 마커 펜
JP2021028163A (ja) 筆記具
JPWO2020032104A1 (ja) ペン先及びこのペン先を備えた筆記具
JP6908392B2 (ja) 筆記具の製造方法
JP2017144581A (ja) 筆記具
JP6659921B1 (ja) 筆記具
JP7040956B2 (ja) 筆記具
WO2021029255A1 (ja) 筆記具
WO2024075805A1 (ja) 筆記具
JP6077802B2 (ja) 軸筒及びその軸筒を用いた筆記具
JP2014050967A (ja) 筆記具
JP6949504B2 (ja) 塗布具用ペン芯
CN205044354U (zh) 一种可替换墨仓的自密封书写工具
JP2024055129A (ja) 筆記具用中綿
CN100352671C (zh) 装配有笔尖用的支座装置的书写工具
JP2024055130A (ja) 筆記具
JP7418199B2 (ja) 筆記具
KR100980121B1 (ko) 마커 펜
CN208881408U (zh) 一种热弹性塑体唛头笔
JP7100461B2 (ja) 筆記具
KR20190020387A (ko) 잉크 스토퍼가 구비되는 보드용 마카펜
JP2020062780A (ja) 筆記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21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