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3550B1 - 드롭 리프트의 안전 로크 장치 - Google Patents

드롭 리프트의 안전 로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3550B1
KR100803550B1 KR1020060044896A KR20060044896A KR100803550B1 KR 100803550 B1 KR100803550 B1 KR 100803550B1 KR 1020060044896 A KR1020060044896 A KR 1020060044896A KR 20060044896 A KR20060044896 A KR 20060044896A KR 100803550 B1 KR100803550 B1 KR 1008035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
belt
support
plate
drive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48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식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448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35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35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35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7/00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28Constructional details, e.g. end stops, pivoting supporting members, sliding runners adjustable to load dimensions

Abstract

본 발명은 드롭 리프트의 안전 로크 장치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드롭 리프트의 구동축과 종동축을 직접 로킹하는 안전 로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로크수단의 조작을 간편하게 하고, 시간을 절약하며,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베드(10)의 전후 양측에 일정간격을 두고 포스트(11)(12)를 설치하고, 상기 양 포스트(11)(12)에 트랜스 퍼(13a)(13b)를 각각 승강할 수 있게 지지하여 상기 각 트랜스 퍼(13a)(13b) 하단 사이에 대차지지판(15)을 연결하며, 상기 양 포스트(11)(12)의 상단에 지지판(16a)(16b)을 설치하여 모터(18)부설 구동축(17a)과 종동축(17b)을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구동축(17a)과 종동축(17b)에 벨트(19)를 걸어 그 일단에 밸런스 웨이트(20)를 설치하고 타단은 상기 타측의 트랜스 퍼(13b)에 연결하며, 또한 상기 구동축(17a)에 지지벨트(21)를 걸어 그 양단을 상기 밸런스 웨이트(20)와 일측 트랜스 퍼(13a)에 연결한 것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17a)과 종동축(17b)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양측에 로크판(22)을 설치하여 그 원주 방향에 다수의 로크공(23)을 동심원상으로 형성하고, 상기 지지판(16a)에 로크핀(24)을 설치하여 로크핀(24)을 로크공(23)에 삽입하여 로킹토록 한 것이다.
포스트, 트랜스 퍼, 대차지지판, 구동축, 종동축, 벨트, 밸런스 웨이트, 지지벨트, 로크판, 로크공, 로크핀

Description

드롭 리프트의 안전 로크 장치 {SAFETY LOCK DEVICE OF DROP LIF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실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동축과 종동축 부위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요부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노브 부분의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로킹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로킹 해제 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1,12 : 포스트 13a,13b : 트랜스 퍼 15 : 대차지지판
17a : 구동축 17b : 중동축 19 : 벨트
20 : 벨런스 웨이트 21 : 지지벨트 22 : 로크판
23 : 로크공 24 : 로크핀
본 발명은 드롭 리프트의 안전 로크 장치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드롭 리프트의 구동축과 종동축을 로킹하는 안전 로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드롭 리프트는 피 반송물을 수평으로 반송할 때 특정 위치에서 수직으로 방향을 변환할 때 사용되며, 예를 들어 자동차의 차체 조립공정에 높낮이가 다른 반송 수단이 설치되었을 때 즉 차체를 하부공정에서 상부공정으로 반송하거나, 상부공정에서 하부공정으로 반송할 때 차제를 상ㆍ하부공정 사이를 위치 이동하기 위하여 상부공정과 하부공정 사이에 설치되는 것이다.
종래의 드롭 리프트는 베드의 전후 양측에 포스트를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하고, 상기 베드에 구동수단을 설치하여 상기 구동수단에 상기 양 포스트의 하부에 위치되는 구동축을 연결함과 아울러 구동축의 양단에 구동 스프로켓을 설치하며, 상기 양 포스트의 상단에 지지축으로 지지된 종동 스프로켓을 설치하여 상기 구동축의 양단에 설치한 구동 스프로켓 사이에 체인을 연결하며, 또한 상기 양측의 체인에는 상기 포스트에 지지되는 트랜스 퍼를 연결하여 구동수단의 회전에 의하여 트랜스 퍼를 승강시키고, 상기 체인에는 밸런스 웨이트를 설치하여 구동력을 감소 시킨 것이다.
또한 상기 드롭 리프트에는 보수 또는 점검시에 트랜스 퍼의 승강을 규제하는 로크수단을 설치하는 바, 상기 로크수단은 트랜스 퍼와 포스트에 로크공을 형성하여 트랜스 퍼의 상승시 상기 로크공에 스톱퍼를 삽입하여 로킹토록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로크수단은 트랜스 퍼와 포스트에 형성한 로크공에 스톱퍼를 삽입할 때 트랜스 퍼와 포스트에 형성한 로크공을 일치시켜야 스톱퍼를 삽입할 수 있음으로 조작 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특히 트랜스 퍼에 차체를 적재한 상태에서 로킹을 하거나 로킹을 해제할 때 힘이 많이 들고, 안전 사고의 위험이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시정하여, 로크수단의 조작을 간편하게 하고, 시간을 절약하며,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한 드롭 리프트의 안전 로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베드의 전후 양측에 일정간격을 두고 포스트를 설치하고, 상기 양 포스트에 트랜스 퍼를 각각 승강할 수 있게 지지하여 상기 각 트랜스 퍼의 하단 사이에 대차지지판을 연결하며, 상기 양 포스트의 상단에 지지판을 각각 설치하여 모터부설 구동축과 종동축을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구동축과 종동축에 벨트를 걸어 상기 벨트의 일단에 밸런스 웨이트를 설치하고 상기 벨트의 타단은 상기 벨런스 웨이트 반대측의 트랜스 퍼에 연결하며, 또한 상기 구동축에 지지벨트를 걸어 그 지지 벨트의 양단을 상기 벨런스 웨이트와 상기 벨렌스 웨이트측의 트랜스 퍼에 연결한 것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과 종동축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양측에 로크판을 설치하여 그 로크판의 원주 방향에 다수의 로크공을 동심원상으로 형성하고, 상기 지지판의 상기 로크판의 대향 위치에 로크핀을 설치하여 로크핀을 로크공에 삽입하여 로킹토록한 것이다.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드(10)의 전후 양측에 포스트(11)(12)를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하여 상기 양 포스트(11)(12)에 트랜스 퍼(13a)(13b)를 각각 롤러(14a)(14b)등에 의하여 승강할 수 있게 지지함과 아울러 상기 각 트랜스 퍼(13a)(13b)의 하단 사이에 대차지지판(15)을 힌지 결합하며, 상기 양 포스트(11)(12)의 상단에 지지판(16a)(16b)을 수평으로 설치하여 모터(18)부설 구동축(17a)과 종동축(17b)을 각각 설치하며, 상기 구동축(17a)과 종동축(17b)에 벨트(19)를 걸어서 그 벨트(19)의 일단 즉 구동축(17a) 부위의 일단에 밸런스 웨이트(20)를 설치하고 타단은 상기 벨렌스 웨이트(20)의 반대측의 트랜스 퍼(13b)에 연결하며, 또한 상기 구동축(17a)의 상기 벨트(19)의 외측에 지지벨트(21)를 걸어서 그 지지 벨트(21)의 양단을 상기 밸런스 웨이트(20)와 상기 벨런스웨이트(20)의 반대측의 트랜스 퍼(13a)에 연결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구동축(17a)과 종동축(17b)의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양측에 로크판(22)을 설치[도면에서는 구동축(17a) 및 종동축(17b) 모두 설치함]하여 그 로크판(22)의 원주 방향에 다수의 로크공(23)을 동심원상으로 형성하고, 상기 지지판(16a)(16b)중 어느 하나 이상에 로크핀(24)을 설치하여 로크핀(24)을 로크공(23)에 삽입하여 트랜스 퍼(13a)(13b)를 로킹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한 벨트(19)는 2가닥으로 형성함으로써 밸런스 웨이트(20)와 타측의 트랜스 퍼(13b)가 균형있게 승강하도록 하고, 또한 상기 지지벨트(21)도 2가닥으로 형성하여 밸런스 웨이트(20)와 일측의 트랜스 퍼(13a)가 안정되고 균형있게 승강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로크핀(24)은 도 3과 같이 지지판(16a)(16b)의 어느 하나 이상에 베이스 플레이트(240)를 설치하여 하우징(241)을 설치하고, 상기 하우징(241)은 측면에 통공(242)을, 상면 양측에 걸림공(243a)(243b)을 형성하여 그 걸림공(243a)(243b) 사이를 슬롯(244)으로 연결한 핀 슬라이드부(245)를 형성하며, 상기 하우징(241)에는, 측면에 홈(246)을 형성한 로크핀본체(245)를 슬라이딩할 수 있게 삽입하며, 상기 로크핀본체(245)의 상면에 볼트(247)를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볼트(247)의 외주에, 상기 걸림공(243a) (243b)과 동일 직경의 걸림돌기(249)를 하단에 형성한 노브(248)를 코일 스프링(250)과 함께 지지하여 노브(248)의 하단에 형성한 걸림돌기(249)가 걸림공(243a)(243b)중의 어느 하나에 삽입되면 로크핀본체(245)는 슬라이딩 불가상태에 있고, 로크핀본체(245)를 슬라이딩할 때에는 노브(248)를 들어올려 걸림공(243a)(243b)에서 걸림돌기(249)를 인출하면 볼트(247)는 슬롯(244)을 따라 슬라이딩할 수 있음으로 로크핀본체(245)가 자유롭게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하고, 그리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40)에 브라켓(251)을 설치하여 리밋 스위치(252)를 액츄에이터(253)가 상기 통공(242)을 통하여 로크핀본체(245)에 접촉되게 설치하고, 상기 리밋 스위치(252)에 경보수단(미도시)을 연결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모터(18)의 구동에 의하여 구동축(17a)을 회전함에 따라 피동축(17b)이 회전하여 트랜스 퍼(13a)(13b) 및 대차지지판(15)이 승강함으로서 즉 트랜스 퍼(13a)(13b)가 하강하여 대차지지판(15)이 하부공정의 반송수단과 수평위치일때 하부공정으로 반송되는 차체를 대차에 지지된 상태로 대차지지판(15)으로 진입시켜 대차지지판(15)을 상부공정의 반송수단과 수평위치로 상승시킨 후 차체를 상부공정 측으로 인출하거나, 상기와 반대로 대차지지판(15)을 상부공정의 반송수단과 수평을 유지한 상태에서 차체를 대차지지판(15)으로 진입시켜 대차지지판(15)을 하부공정의 반송수단과 수평 위치로 하강시킨 후 차체를 인출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차체를 수직 승강시켜 위치 이동ㆍ 반송하거나 또는 반송종료 후 드롭 리프트를 보수 또는 점검할 때에는 로크핀(24)을 로크공(23)에 삽입하면 구동축(17a)과 종동축(17b)이 로킹되는 것이다.
상기한 로킹은 도 6과 같이 리밋 스위치(252)의 액츄에이터(253)가 로크핀본체(245)에 접촉되어 "온"상태로서 비경보상태이고 노브(248)의 하단에 형성한 걸림돌기(249)는 걸림공(243b)에 삽입된 상태이며 그리고 로크핀본체(245)는 비돌출되어 로크공(23)에서 빠진상태에서 노브(248)를 들어올려 걸림돌기(249)를 걸림공 (243b)에서 인출하여 코일 스프링(250)을 압축한 상태로 노브(248)를 걸림공(243a)측으로 밀면 볼트(247)만 슬롯(24)을 슬라이딩하면서 로크핀본체(245)는 로크공 (23)에 삽입되고, 노브(248)를 놓으면 걸림돌기(249)가 걸림공(243a)에 삽입되어 로크핀본체(245)의 로킹상태를 유지함과 아울러 리밋 스위치(252)의 액츄에이터 (253)는 로크핀에 형성한 홈(246)에 삽입됨으로써 리밋 스위치(252)가 "오프"되고 경보수단은 경보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제 3자는 드롭 리프트의 보수 또는 점검사실을 알 수 있어 드롭 리프트의 조작을 하지 않기 때문에 안전한 보수 또는 점검을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안전 로크 장치는 점검자가 로크핀(24)만을 슬라이딩시켜 로크판(22)의 원주방향에 동심원상으로 형성한 로크공(23) 중 임의의 로크공(23)에 삽입함으로 조작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드롭 리프트의 구동축과 종동축의 어느 하나 이상의 양측에 로크판을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로크판에 로크공을 형성하고, 상기 로크판 의 측면에 로크핀을 설치하여 로크핀을 로크공에 삽입하여 드롭 리프트를 로킹함으로써 안전한 보수 또는 점검을 할 수 있고, 또한 조작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4)

  1. 베드의 전후 양측에 일정간격을 두고 포스트를 설치하고, 상기 양 포스트에 트랜스 퍼를 각각 승강할 수 있게 지지하여 상기 각 트랜스 퍼의 하단 사이에 대차지지판을 연결하며, 상기 양 포스트의 상단에 지지판을 각각 설치하여 모터부설 구동축과 종동축을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구동축과 종동축에 벨트를 걸어 그 벨트의 일단에 밸런스 웨이트를 설치하고 상기 벨트의 타단은 상기 벨런스 웨이트 반대측의 트랜스 퍼에 연결하며, 또한 상기 구동축에 지지벨트를 걸어 그 지지 벨트의 양단을 상기 밸런스 웨이트와 상기 벨렌스 웨이트 측의 트랜스 퍼에 연결한 것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과 종동축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양측에 로크판을 설치하여 그 로크판의 원주 방향에 다수의 로크공을 동심원상으로 형성하고, 상기 지지판의 상기 로크판의 대향 위치에 로크핀을 설치하여 로크핀을 로크공에 삽입하여 로킹토록 한 드롭 리프트의 안전 로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벨트 및 지지벨트는 2가닥인 드롭 리프트의 안전 로크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로크판과 로크핀은 구동축 및 종동축의 모두에 설치한 드롭 리프트의 안전 로크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로크핀은 지지판의 어느 하나 이상에 베이스 플레이트를 설치하여 하우징을 설치하고, 상기 하우징은 측면에 통공을, 상면 양측에 걸림공을 형성하여 그 걸림공 사이를 슬롯으로 연결한 핀 슬라이드부를 형성하며, 상기 하우징에는, 측면에 홈을 형성한 로크핀본체를 슬라이딩할 수 있게 삽입하며, 상기 로크핀본체의 상면에 볼트를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볼트의 외주에, 상기 걸림공과 동일 직경의 걸림돌기를 하단에 형성한 노브를 코일 스프링과 함께 지지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브라켓을 설치하여 리밋 스위치를 액츄에이터가 상기 통공을 통하여 로크핀본체에 접촉되게 설치하고, 상기 리밋 스위치에 경보수단을 연결한 드롭 리프트의 안전 로크 장치.
KR1020060044896A 2006-05-19 2006-05-19 드롭 리프트의 안전 로크 장치 KR1008035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4896A KR100803550B1 (ko) 2006-05-19 2006-05-19 드롭 리프트의 안전 로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4896A KR100803550B1 (ko) 2006-05-19 2006-05-19 드롭 리프트의 안전 로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3550B1 true KR100803550B1 (ko) 2008-02-15

Family

ID=393433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4896A KR100803550B1 (ko) 2006-05-19 2006-05-19 드롭 리프트의 안전 로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355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8394B1 (ko) 2008-11-03 2011-12-01 김익근 드롭리프트용 안전록킹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공개실용신안공보 제1989-6891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8394B1 (ko) 2008-11-03 2011-12-01 김익근 드롭리프트용 안전록킹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98138B2 (ja) 資材搬送リフト
ES2377966T3 (es) Procedimiento de montaje de una máquina de accionamiento de cabina, en particular para ascensores sin sala de máquinas y ascensor correspondiente
JP5184184B2 (ja) 上下コンベア間の荷移載装置
JP2009279972A (ja) スライドレール付車両用シートの組立方法及びその組立装置
KR100803550B1 (ko) 드롭 리프트의 안전 로크 장치
KR101382195B1 (ko) 자재 보관장치
JP2538827Y2 (ja) 荷役搬送用昇降機
KR102279414B1 (ko) 전동식 갠트리 크레인 조립체
JPWO2017221580A1 (ja) 電機設備盤の起立設備および電機設備盤の起立方法
KR20160003956U (ko) 차량 이동장치가 구비된 타워형 주차장치
JP2006027753A (ja) 電動機検修ライン用ターンテーブル装置
KR102340469B1 (ko) 무동력 리프트 장치
KR100423050B1 (ko) 차량조립을 위한 이송시스템 및 그 이송방법
KR102199305B1 (ko) 차량운송 트럭용 상판승강대의 이중안전을 위한 스토퍼장치
JP4228294B2 (ja) 荷搬送台車の中間棚支持装置
JPH05162991A (ja) 昇降搬送装置の安全装置
KR20130055092A (ko) 모터교체용 지그 어셈블리
CN217262697U (zh) 一种用于汽车夹具的传送装置
CN213923935U (zh) 叉具和叉车设备
CN212045273U (zh) 一种模台防溜装置和养护窑
CN201245305Y (zh) 顶驱装置与运输架的连接结构
CN219771129U (zh) 锂电池夹具的运输装置
JP6624937B2 (ja) カウンタウェイトの搬送装置及びカウンタウェイト搬送方法
CN109576472B (zh) 一种热处理炉炉辊快速更换装置
JPH10331470A (ja) 細長型立体駐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501 Disposition of invalidation of tri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9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