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2908B1 - 소취 기능이 있는 주류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소취 기능이 있는 주류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2908B1
KR100802908B1 KR1020060084193A KR20060084193A KR100802908B1 KR 100802908 B1 KR100802908 B1 KR 100802908B1 KR 1020060084193 A KR1020060084193 A KR 1020060084193A KR 20060084193 A KR20060084193 A KR 20060084193A KR 100802908 B1 KR100802908 B1 KR 1008029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or
alcohol
leaching
deodorizing function
distil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41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인구
전영욱
김병호
홍종인
이수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진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진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진로
Priority to KR10200600841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29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29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290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GWINE; PREPARATION THEREOF; ALCOHOLIC BEVERAGES; PREPARATION OF ALCOHOLIC BEVERAGES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C12C OR C12H
    • C12G3/00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 C12G3/04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by mixing, e.g. for preparation of liqueurs
    • C12G3/06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by mixing, e.g. for preparation of liqueurs with flavouring ingredi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GWINE; PREPARATION THEREOF; ALCOHOLIC BEVERAGES; PREPARATION OF ALCOHOLIC BEVERAGES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C12C OR C12H
    • C12G3/00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 C12G3/02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by fermentation

Abstract

본 발명은 천연소재인 식물체의 주정 침출액을 함유하여 소취기능을 갖는 주류의 제조방법 및 그 주류에 관한 것으로서, 녹차, 도토리, 울금, 정향, 헛개나무, 엄나무 등 소취기능을 갖는 식물체를 주정, 주류 또는 물로 침출시킨 후 희석하여 주류를 제조함으로써 주류의 이취를 제거하거나 안주로 인한 입 냄새를 제거하기 위한 주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녹차, 도토리, 울금, 정향, 헛개나무, 엄나무, 구취, 소취, 주류

Description

소취 기능이 있는 주류 및 그 제조방법{Alcoholic beverages having deodorizing func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식물체의 침출액을 함유하여 소취기능을 갖는 주류의 제조방법 및 그 주류에 관한 것으로서, 식물체의 소취 기능을 갖는 성분을 주정, 주류 또는 물로 침출시킨 후 이를 이용하여 주류를 제조함으로써 주류의 이취 제거 또는 안주로 인한 입 냄새를 제거하기 위한 주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우리는 일상생활에서 혐오스러운 냄새 오염물질에 수없이 접하게 되고 이들 악취에 대응하고자 많은 악취제거법이 개발되어 왔다. 주로 흡착이나 화학적 반응을 이용하는데 이들 방법은 크게는 대규모 쓰레기장의 냄새 제거부터 화장실의 냄새 제거, 의류의 냄새 제거, 구취제거 등 매우 다양한 목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특히 최근 식품 분야에서 이전의 이취 마스킹 방법에서 벗어나 새로운 천연소재를 이용하여 냄새 물질 자체를 제거하는 방법이 개발되고 있으며 이들 소취제들은 구강 세척액, 껌, 사탕 등 새로운 형태의 식품소재로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다. 마늘, 부추 등의 음식을 섭취하면 구취의 원인 물질인 메틸머캅탄, 황화수소(H2S), 암모니아 등이 장내에서 생성된다. 육류, 생선 등 고단백질, 고지방식품을 먹으면 인돌, 스카톨, 트립트아민, H2S, 아민류, 암모니아 등 그 분해물이 장내에서 생성된다. 이들 분해 생성물은 그 일부가 장벽으로부터 흡수되어 혈류를 통해 폐포로부터 호흡기관으로 배출되거나 땀샘으로 발산되어 구취나 체취가 형성되는데, 이들 분해생성물은 단지 악취뿐만 아니고 대량으로 발생하면 발암이나 동맥경화, 간장장애 등으로 세포의 노화를 촉진한다는 보고도 있다.
삭제
냄새 제거에 대한 연구는 구취의 원인 물질인 메틸머캅탄과 생선 비린내 등의 원인이 되는 아민류(주로 트리메틸아민)의 냄새 제거에 관해 주로 진행되어 있다. 모든 메카니즘이 명확히 밝혀져 있지는 않지만 식물에서 발견되는 많은 소취 물질이 폴리페놀류 및 페놀유도체로 알려졌고 이들 물질이 메틸머캅탄 또는 아민류와 반응하여 비휘발성 물질로 만드는 것으로 연구되어 있다.
최근 식품 분야에서 화제가 되고 있는 소취 방식은 화학적 소취로 녹차, 우롱차, 감, 사과, 쑥, 양송이(샴피기논, Champignon) 등 우리와 친숙한 식물 추출물을 이용하고 있는 점이 소비자 등에게 큰 호응을 얻고 있고, 이 중 녹차 추출물과 샴피기논 추출물, 사과추출물과 같은 배합이 식품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특히 구취와 관련해서는 이전에 동클로로필린 나트륨이 범용 되었으나 최근에는 구취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천연물질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어 녹차, 약초, 야초, 향신료 등 각종 육상식물 추출물의 구취억제에 대한 연구가 다수 보고되고 있고, 식물 플라보노이드(flavonoid), 향신료 및 장미과 식물 등에 구취억제 효과가 있다고 알려졌다. 또한, 해조류 중에서도 갈조류의 다시마목에 속하는 대황, 락쿄(rakxo), 곰피와 모자반목의 톳이 90% 이상의 우수한 메틸머캅탄(methyl mercaptan)에 대한 소취효과를 갖고 있다고 보고되어 있다.
그러나 소취 소재의 주류 적용 가능성에 대해서는 연구되거나 검토된 바가 없으며, 본 발명자들은 충분히 소취 효과가 있는 구취 또는 음식냄새 제거 기능을 가진 주류 제품 개발이 가능한가를 검토하고 주류에 적합한 신규 소취 소재를 탐색하였다.
본 발명은 소취능의 주류 제품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여러 천연물의 주정 침출액을 대상으로 소취능을 나타내는 지표인 메틸머캅탄 소거능을 시험하였고, 녹차, 도토리, 울금, 정향, 헛개나무, 엄나무 등의 주정 침출액이 비교적 높은 메틸머캅탄 소거능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들은 천연물 중 높은 메틸머캅탄 제거능을 보이고 관능적인 면에서도 무리가 없다고 판단되며, 주류 적용이 용이하고 소주까지도 적용 가능하다고 판단되는 소재이므로 소취 기능을 갖는 주류를 발명하고자 하였다.
소취 메카니즘으로는 녹차 추출물의 경우 주성분인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epigallocatechin gallate, egcg)의 메틸머캅탄에 대한 소취 활성은 egcg가 산화되어 생성되는 퀴논(o-quinone)이 메틸머캅탄의 싸이올(thiol) 그룹과 반응하여 메틸머캅탄을 비휘발성으로 전환하기 때문이라고 알려졌고, 과실 및 채소류에 널리 분포되어 있는 폴리페놀옥시데이즈(polyphenoloxidase, PPO)는 폴리페놀을 기질로 하여 갈변 중간체로 o-quninone을 생성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위에서 언급한 소재에 대해 간략하게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울금(Curcuma aromatica)은 강황이라고도 하며 카레가루의 향신료로 쓰이기도 한다. 뿌리줄기의 가루나 달인 액은 이담작용, 위액분비 촉진작용, 이뇨작용, 해독기능이 있으며, 간세포의 재생을 촉진한다. 이런 작용은 쿠르쿠민 유사물질과 정유의 작용에 의한 것이다. p-토릴메틸카르비놀은 진성 이담작용이 있는 천연화합물로 알려진 좋은 간염치료약이다.
도토리는 저 칼로리 알칼리성 건강식품이며 그 아콘산은 인체 내부의 중금속 및 여러 유해 물질을 흡수, 배출시키는 작용을 한다. 피로회복 및 숙취에 효과가 있고 소화기능을 촉진시키며 입맛을 돋우어 준다. 도토리는 장과 위를 강하게 하고 설사를 멈추며 강장 효과 있고, 당뇨 및 암 등 성인병 예방에 효과가 있으며 잇몸염, 인두염, 화상 등에 효과가 있다. 동의보감에는 늘 배가 부글거리고 끓는 사람, 불규칙적으로 또는 식사를 끝내자마자 대변을 보는 사람, 소변을 자주 보는 사람, 몸 이 자주 붓는 사람에게 원인치료가 쉽게 이루어진다고 기록되어 있다.
정향(Eugenia aromaticum)은 클로브라고도 불리며, 정향의 꽃봉오리를 말려서 건조시킨 향신료이다. 맛이 달면서도 맵기 때문에 식욕증진에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정향은 우리나라에서도 귀한 약재로써 오래 전부터 이용해 왔다. 동의보감에는 비위가 허하고 배가 차고 아프며 게우거나 설사하고 입맛이 없을 때, 딸꾹질, 소화 장애, 무릎과 허리가 시리고 아픈데, 회충증 등에 쓰인다고 그 처방이 나와 있다.
따라서 이들 천연 소재는 다양한 생리적 활성을 가질 뿐만 아니라, 침출 방법에 따라 메틸머캅탄 제거능이 더 높아질 수도 있다고 생각되므로 높은 소취능을 갖는 주류 발명에 유리한 소재이다.
이 밖의 소취능을 갖는 소재에는 가지과의 구기자, 꿀풀과의 세이지, 타임, 세이보리, 오레가노, 마죠람, 로즈마리, 바질, 차즈기, 블랙민트, 애플민트, 페파민트, 레몬밤, 향유, 황금등의 허브류가 있으며, 지치과의 지치, 물푸레나무과의 세잎개나리, 사군자과의 Terminalia, 석류과의 석류, 귤나무과의 산초, 콩과의 소방목, 장미과의 산벚나무, 가락지나물, 산사나무, 끈끈이귀개과의 끈끈이주걱, 십자화과의 대청(개갓), 녹나무과의 Sassafras, 내자나무과의 남천(南天), 으름덩굴과의 으름, 미나리아재비과의 모란, 마디풀과의 대황, 참나무과의 참나무류, 토란과의 창포, 낙우송과의 메타스퀘어가 있으며, 그 밖에 올스파이스, 유칼리 등이 있다.
본 발명은 구취제거 기능을 갖는 주류 제품을 개발하기 위하여, 천연 소재인 식물체에 주정, 주류 또는 물로 침출한 침출액을 이용하여 관능적인 면에서도 무리가 없으면서 소취기능을 갖는 주류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이들 소재를 주류의 이취 제거 또는 안주 등으로 인한 입 냄새 제거와 같은 목적으로 주류에 적용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녹차, 도토리, 울금, 정향, 헛개나무, 엄나무 등의 식물체는 식품에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는 천연 소재이면서도 주정 침출액에서 비교적 높은 폴리페놀 무게당 메틸멀캅탄 제거량을 나타내었고 엄나무와 헛개나무는 목통 저장의 개념으로 주류에 적용 가능한 소재이므로 소취 기능을 갖는 주류 제품 발명을 위한 소재로 선택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식물체를 주정, 주류 및 물로 침출한 침출액을 이용한 소취 기능을 갖는 주류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다음의 단계로 이루어지는 소취 기능을 갖는 녹차, 도토리, 울금, 정향, 헛개나무, 엄나무 물 또는 주정 및 주류 침출액을 함유하는 주류의 제조방법:
(a) 녹차, 도토리, 울금, 정향, 헛개나무, 엄나무를 일정 크기로 분쇄하여 물 또는 주정 및 과실주와 같은 주류에 첨가하여 일정기간 침출하는 단계(침출 공정);
(b) 침출 단계를 거친 후 여과하는 단계(여과 공정);
(c) 상기 여과 단계를 거친 주정 침출액에 주조용수를 가하여 원하는 알콜도수로 희석하는 단계(희석 공정)
(d) 상기 희석 단계를 거친 주정 침출액에 일반 주정 희석액을 첨가하거나, 첨가물료를 가하여 블렌딩하는 단계(블렌딩 공정), 이 때 첨가하는 첨가물료는 주세법상 주류에 첨가할 수 있는 설탕, 액상과당, 올리고당 등의 당류; 구연산, 호박산, 사과산, 주석산 등의 유기산류; 글리신, 알라닌, 아스파라긴 등의 아미노산류; 식염; 및 향료 등을 들 수 있으며, 주세법상 주류의 종류에 따라 허용되는 식품첨가물를 더 첨가하는 첨가물을사용한다. 또한 그 첨가량은 다양하게 조절이 가능하다.
(e) 상기의 블렌딩 단계를 거친 후 규조토 및 여과지를 이용하여 최종여과하는 단계(최종 여과 공정);
(f) 상기의 최종 여과 공정을 거친 제조된 주류를 병입하는 단계(병입 공정);
(g) 상기의 병입된 주류를 주류의 종류에 따라 필요시 살균하는 단계(살균 공정).
상기 침출을 위한 주정은 알콜 농도 10%~6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소재에 따라 장기간의 침출은 소취력을 떨어트리는 경우가 있으므로 녹차, 도토리, 울금, 정향의 침출 기간은 상온에서 4일 이상~4개월 이내로 하는 것이 좋고, 헛개나무와 엄나무의 경우는 주류제품 제조시 숙성의 개념이 포함될 수 있으므로 소취력은 떨어질 수 있지만 4개월 이상의 장기 침출도 가능하다. 침출과정에서 소재사용은 건조 무게 대비 주정 사용량 기준 10%(w/v) 이내로 하는 것이 좋다. 침출과정에서 주정의 사용은 침출기간 중 미생물의 번식을 억제하고 유효성분의 변화를 억제하여 장기간 안정적으로 소재 성분을 침출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녹차, 도토리, 울금, 정향, 헛개나무, 엄나무 침출액을 함유하는 주류의 제조방법은 침출시 각 소재들을 볶거나, 찌는 등의 전처리 공정을 포함하며, 소재의 형태에 있어서도 분쇄하여 침출하거나 또는 목통(헛개나무, 엄나무의 경우)을 제조하여 목통내에서 자연적으로 침출되게 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주류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목통에 저장하여 숙성시키는 방법이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 엄나무와 헛개나무로 만든 목통에 넣어서 주류를 숙성시키게 되면 일반적인 목통 숙성의 효과에 더해 소취 성분으로 인한 소취 기능이 부가된 기능성 주류를 손쉽게 제조할 수 있다. 이렇게 엄나무와 헛개나무로 만든 목통으로 주류를 숙성하는 것은 목통 숙성이라는 본연의 효과에 덧붙여 소취 기능을 동시에 부여할 수 있다는 큰 장점이 있다. 침출액을 첨가하는 등의 부가적인 공정을 사용하지 않고, 목통 숙성이라는 전통적이고 품격 높은 공정에서 자연스럽게 소취 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는 것은 주류 업계에서 보면, 상당한 장점이 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녹차, 도토리, 울금, 정향, 헛개나무, 엄나무 침출액을 이용하여 각종 희석단계를 거쳐 희석식소주, 증류식소주, 약주, 청주, 과실주, 탁주, 리큐르, 일반증류주, 위스키, 브랜디, 맥주, 기타 주류 등 다양한 형태의 주류를 제조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실시예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제시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어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실시예1: 주정 침출액의 메틸머캅탄 소거능 및 폴리페놀 함량>
울금, 정향, 헛개나무, 엄나무 등은 각각을 두께 3~5mm, 크기 2×2cm 정도로 절단된 조각을 사용하였고, 도토리는 분말가루를 이용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울금, 정향, 헛개나무, 엄나무 조각 및 도토리 분말은 시료 7.14 그램을 알콜 농도 50% 주정 100ml에 첨가하여 상온에서 7일 동안 침출시키고 여과막 포어(pore) 사이즈 0.45㎛를 이용하여 침출액만을 여과 분리하여 각 주정 침출액을 준비하였다(표1). 녹차는 시판되는 티백 제품의 음용 농도와 유사하도록(0.75g/100ml) 침출액 당 소재 무게를 달리하여 위와 같은 방식으로 침출하였다. 각 녹차, 도토리, 울금, 정향, 헛개나무, 엄나무 주정 침출액을 알콜 도수 15%의 주정으로 분석이 용이하도록 적절하게 희석한 후, 메틸멀캅탄 소거능 및 폴리페놀 함량을 아래 방법에 의하여 분석하여 표2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표 1]
소재 시료 무게(g) / 50% 주정 100ml
1 헛개나무(건조물) 7.14
2 정향(건조물) 7.14
3 울금(건조물) 7.14
4 도토리(건조 가루) 7.14
5 엄나무(건조물) 7.14
6 녹차(건조물) 0.75
분석방법
1) 메틸머캅탄 소거능 측정
a) 반응조건
- 0.2M potassium phosphate buffer(pH7.5) 1.5ml
- 15% 알콜에 녹인 sample 1.0ml
- 메틸머캅탄 표준액(2㎍/ml) 0.5ml
- 반응 시간 37℃ 5분
b) 분석 : Headspace 가스크로마토그래피법
2) 폴리페놀 분석
a) 총 폴리페놀: 탄닌을 standard로 하여 Folin-Ciocalteu method
로 측정
[표 2]천연물 주정 침출액의 메틸머캅탄 소거능 및 폴리페놀 함량
반응액 소재 침출액(1.0ml) + 버퍼(1.5ml) + 메틸머캅탄 (2㎍/ml, 0.5ml) 메틸머캅탄 제거량(㎍) /소재 1mg 침출액 폴리페놀 함량(㎍) /소재 1mg 침출액 메틸머캅탄 제거량(㎍) /폴리페놀(㎍)
침출 소재
알콜15% 주정 0 0 0
녹차 2.4 31.4 0.076
도토리 0.433 8.24 0.053
울금 0.046 0.80 0.058
정향 3.665 105.7 0.035
헛개나무 0.061 11.1 0.006
엄나무 0.042 1.32 0.032
알콜 15% 주정과 비교하여 녹차, 도토리, 울금, 정향, 헛개나무, 엄나무 주정 침출액 모두에서 의미 있는 수준의 메틸멀캅탄 소거능을 나타내었고 폴리페놀이 존재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따라서 이들 천연 소재들은 적절한 주류 적용 방법을 통해 소취능이 있는 주류 제품 개발을 위한 유용한 소재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이들 주정 침출액 자체를 사용하거나 각 소재별 침출액을 혼합하여 다양한 종류의 소취능이 있는 주정 침출 혼합물을 만들 수 있으며 이로부터 상승적인 소취력을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실시예2 : 관능검사>
실시예1에서 제조된 녹차, 도토리, 울금, 정향, 헛개나무, 엄나무 주정 침출액 및 이들의 혼합물을 첨가하여 알콜도수 15%의 희석식 소주 형태로 제조한 후 관능검사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다음의 [표 3]에 나타내었다. 관능검사는 각 시료의 전반적인 맛, 풍미, 색깔 및 전체적인 거부감의 4개 항목에 대해 실시하였으며, 5점 척도법에 의하여 다음의 평가기준에 의하여 피시험자가 점수를 기록한 후 이들의 평균을 계산하였다.
5: 아주 좋다 (거부감의 경우, 전혀 없다),
4: 좋다 (거부감의 경우, 없다),
3: 보통
2: 나쁘다 내지는 좋지 않다 (거부감의 경우, 약간 있다),
1: 아주 나쁘다 (거부감의 경우, 있다).
[표 3]관능검사
풍미 색깔 거부감
녹차 3.8 3.6 3.9 3.5
도토리 3.4 3.6 3.9 3.5
울금 3.0 3.3 3.4 3.2
정향 3.5 3.5 3.5 3.4
헛개나무 3.7 3.8 3.9 3.9
엄나무 3.8 3.9 3.9 3.5
혼합물 3.8 3.7 3.7 3.8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녹차, 도토리, 울금, 정향, 헛개나무, 엄나무 주정 침출액 및 이들의 혼합물을 이용한 주류시제품은 맛, 풍미, 색깔의 관능적인 요인에서 긍정적인 점수를 보였다.
<실시예3 : 소취소재 침출액이 첨가된 주류의 제조방법>
(1) 소취소재의 주정 침출
엄나무 목질 부분을 두께 3~5mm, 크기 2×2cm 정도로 절단하고, 절단된 조각 71.4 그램을 알콜 농도 50% 주정 700ml에 첨가하여 상온에서 7일 동안 침출시킨 후, 주정과 엄나무 조각을 분리하였다.
(2) 희석 및 블렌딩
상기 단계 (1)에서 얻어진 엄나무 침출주정을 최종 제품의 총알코올분 대비 20%의 비율이 되도록 첨가하고, 주정, 물 및 각종 첨가물료(설탕 2.0%(w/v), 올리고당 1.0%(w/v), 구연산 0.1%(w/v), 호박산 0.03%(w/v), 글리신 0.03%(w/v), 식염 0.02%(w/v), 최종 제품 기준)를 가하여 알코올분이 20%인 최종 제품을 만들었다.
(3) 여과 및 병입
상기 단계 (2)에서 얻어진 검정주를 규조토와 여과지를 이용하여 여과한 후 병입하였다.
<실시예4 :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주류와 기존 주류와의 관능검사>
실시예3에서 제조된 주류와 엄나무 침출액이 첨가되지 않은 동일한 방법의 주류를 제조(비교예)하여 향, 부드러움, 맛(단맛, 쓴맛, 신맛 및 목넘김의 조화된 정도) 및 종합미의 항목을 대상으로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관능검사의 평가기준으로는 매우 우수함(5점), 우수함(4점), 보통(3점), 약간 나쁨(2점) 및 매우 나쁨(1점)으로 구분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4]와 같다.
[표 4]
구 분 비교예 실시예
3.5 4.0
부드러움 3.6 3.8
3.7 3.7
종합미 3.7 3.8
상기 [표 4]로부터, 본 발명의 소취소재 침출액 첨가 주류가 비교예에 비해 향, 부드러움 및 맛이 우수하고 전체적인 선호도를 나타내는 종합미에서도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하고 입증하였듯이, 본 발명에 따른 녹차, 도토리, 울금, 정향, 헛개나무, 엄나무의 침출액을 함유하는 소취기능을 갖는 주류의 제조방법은 미래 식품산업에서 건강을 중요시하며 기능성을 지닌 식품을 추구하는 소비자들의 욕구를 만족시킬 수 있는 천연 소재를 이용하여 기존의 상품에 부가가치를 높이는 신기능 주류 발명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녹차, 도토리, 울금, 정향, 헛개나무, 엄나무 주정 침출액을 함유하는 주류는 냄새 제거 외에 소취제의 생리활성 기능을 최대로 활용하는 기능성 주류로의 활용가능성을 높여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녹차, 도토리, 울금, 정향, 헛개나무, 엄나무의 침출액을 이용한 주류의 제조방법은 구취, 마늘 냄새 등의 대표적인 악취 물질이나 고기 냄새, 생선 비 린내 등의 안주로 인한 입 냄새를 제거 또는 비휘발성화를 통해 새로운 기능성 형태의 구취제거 효과를 갖는 주류뿐만 아니라 요리용 주류 개발에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뛰어난 효과를 지니고 있다.

Claims (7)

  1. 삭제
  2. 다음의 단계로 이루어지는 소취 기능을 갖는 도토리, 울금, 정향, 헛개나무, 엄나무를 주정, 주류 또는 물로 침출한 침출액을 함유하는 소취 기능을 갖는 주류의 제조방법:
    (a) 상기 도토리, 울금, 정향, 헛개나무, 엄나무를 일정 크기로 분쇄하여 주정, 주류 또는 물에 첨가하여 일정기간 침출하는 단계;
    (b) 침출 단계를 거친 후 여과하는 단계; 및
    (c) 상기 여과 단계를 거친 침출액을 일정 도수의 알콜로 조정하는 단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c) 여과 단계를 거친 침출액에 설탕, 액상과당, 올리고당 등의 당류; 구연산, 호박산, 사과산, 주석산 등의 유기산류; 글리신, 알라닌, 아스파라긴 등의 아미노산류, 식염, 및 향료 등 허용 가능한 식품첨가물를 더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소취 기능을 갖는 주류의 제조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침출을 위한 주정은 알콜 농도 10%~6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체 주정 침출액을 함유하는 소취 기능을 갖는 주류의 제조방법.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으로 제조된 주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주류는 희석식소주, 증류식소주, 약주, 청주, 과실주, 탁주, 리큐르, 일반증류주, 위스키, 브랜디 및 맥주 중에서 선택되는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류.
  7. 삭제
KR1020060084193A 2006-09-01 2006-09-01 소취 기능이 있는 주류 및 그 제조방법 KR1008029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4193A KR100802908B1 (ko) 2006-09-01 2006-09-01 소취 기능이 있는 주류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4193A KR100802908B1 (ko) 2006-09-01 2006-09-01 소취 기능이 있는 주류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2908B1 true KR100802908B1 (ko) 2008-02-13

Family

ID=393430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4193A KR100802908B1 (ko) 2006-09-01 2006-09-01 소취 기능이 있는 주류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290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5413B1 (ko) 2010-02-26 2011-10-24 동의나라주식회사 울금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취 조성물
WO2011149130A1 (ko) * 2010-05-27 2011-12-01 (주)우리술 울금을 이용한 탁주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58061A (ko) * 2014-11-13 2016-05-24 (주)애니캠 헛개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알코올 음료 맛 개선용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알코올 음료 조성물 및 알코올 음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JP2018007643A (ja) * 2016-07-15 2018-01-18 宝酒造株式会社 蒸留酒類、清酒、みりん、発酵調味料、食材の処理方法、不快臭の消臭方法、並びに、加工食品の製造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1812A (ko) * 1997-10-14 1999-05-06 서경배 녹차잎을 이용한 소주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1812A (ko) * 1997-10-14 1999-05-06 서경배 녹차잎을 이용한 소주의 제조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5413B1 (ko) 2010-02-26 2011-10-24 동의나라주식회사 울금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취 조성물
WO2011149130A1 (ko) * 2010-05-27 2011-12-01 (주)우리술 울금을 이용한 탁주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58061A (ko) * 2014-11-13 2016-05-24 (주)애니캠 헛개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알코올 음료 맛 개선용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알코올 음료 조성물 및 알코올 음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20160076492A (ko) * 2014-11-13 2016-06-30 (주)애니캠 헛개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알코올 음료 맛 개선용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알코올 음료 조성물 및 알코올 음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651068B1 (ko) 2014-11-13 2016-08-26 (주)애니캠 헛개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알코올 음료 맛 개선용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알코올 음료 조성물 및 알코올 음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691074B1 (ko) 2014-11-13 2016-12-30 (주)애니캠 헛개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알코올 음료 맛 개선용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알코올 음료 조성물 및 알코올 음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JP2018007643A (ja) * 2016-07-15 2018-01-18 宝酒造株式会社 蒸留酒類、清酒、みりん、発酵調味料、食材の処理方法、不快臭の消臭方法、並びに、加工食品の製造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3188B1 (ko) 아미노산, 활성종합비타민 및 한방생약재를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H685663A5 (de) Verfahren um essbare Zwiebeln, insbesondere Knoblauch oder Winterzwiebel zu desodorisieren.
KR100598145B1 (ko) 해삼 가공제품 및 그 가공방법
KR101281065B1 (ko) 매실감식초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매실감식초
KR101928965B1 (ko) 생선 및 육류의 냄새 제거용 소스 조성물
KR100802908B1 (ko) 소취 기능이 있는 주류 및 그 제조방법
JP2005087184A (ja) ステビア由来成分含有飲食物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70036452A (ko) 프로폴리스 추출물을 함유하는 고기양념소스 조성물 및제조방법
KR20190140879A (ko) 황칠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또는 음용수
KR100830693B1 (ko) 더덕 고추장 절임의 제조방법
KR100802906B1 (ko) 엄나무 또는 헛개나무를 이용한 소취 기능을 갖는 주류 제조방법
CN106577988A (zh) 天然复合肉用保鲜剂及其制备方法
JPH09327504A (ja) 脱臭剤
Yusuf et al. Formulation and Evaluation of Mango Leaf Tea Supplemented with Moringa and Ginger Powder
KR102093741B1 (ko) 즉석식품용 샐러드의 제조 방법
KR101639567B1 (ko) 독성이 제거되고 항산화 활성이 증진된 옻나무 추출물의 제조 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옻나무 추출물
KR102012217B1 (ko) 삼채 진액의 제조방법
KR100802907B1 (ko) 도토리 또는 정향을 이용한 소취 기능을 갖는 주류의 제조방법
KR102050554B1 (ko) 숙취해소용 액상차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10048971A (ko) 즉석식품용 샐러드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즉석식품용 샐러드
KR101032818B1 (ko) 김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른 김치
KR101145437B1 (ko) 한방 천연소재를 이용한 식육 연화 및 풍미 증진용 조성물
KR102346273B1 (ko) 소취 기능을 갖는 캔디 및 그 제조방법
KR102346276B1 (ko) 소취 기능을 갖는 껌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21675A (ko) 독성이 제거되고 항산화 활성이 증진된 옻나무 추출물의 제조 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옻나무 추출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8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