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1987B1 - 의류용 후크의 자동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의류용 후크의 자동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1987B1
KR100801987B1 KR1020070122008A KR20070122008A KR100801987B1 KR 100801987 B1 KR100801987 B1 KR 100801987B1 KR 1020070122008 A KR1020070122008 A KR 1020070122008A KR 20070122008 A KR20070122008 A KR 20070122008A KR 100801987 B1 KR100801987 B1 KR 1008019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coupled
base
piece
pedes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20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세제
Original Assignee
조세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세제 filed Critical 조세제
Priority to KR10200701220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19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19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19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00Sewing apparatus or machines with mechanism for lateral movement of the needle or the work or both for making ornamental pattern seams, for sewing buttonholes, for reinforcing openings, or for fastening articles, e.g. buttons, by sewing
    • D05B3/12Sewing apparatus or machines with mechanism for lateral movement of the needle or the work or both for making ornamental pattern seams, for sewing buttonholes, for reinforcing openings, or for fastening articles, e.g. buttons, by sewing for fastening articles by sewing
    • D05B3/18Sewing apparatus or machines with mechanism for lateral movement of the needle or the work or both for making ornamental pattern seams, for sewing buttonholes, for reinforcing openings, or for fastening articles, e.g. buttons, by sewing for fastening articles by sewing hooks or eyelet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00Sewing apparatus or machines with mechanism for lateral movement of the needle or the work or both for making ornamental pattern seams, for sewing buttonholes, for reinforcing openings, or for fastening articles, e.g. buttons, by sewing
    • D05B3/12Sewing apparatus or machines with mechanism for lateral movement of the needle or the work or both for making ornamental pattern seams, for sewing buttonholes, for reinforcing openings, or for fastening articles, e.g. buttons, by sewing for fastening articles by sewing
    • D05B3/22Article-, e.g. button-, feed mechanism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69/00Driving-gear; Control devices
    • D05B69/30Detail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D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D05B AND D05C, RELATING TO SEWING, EMBROIDERING AND TUFTING
    • D05D2305/00Operations on the work before or after sewing
    • D05D2305/32Measuring
    • D05D2305/36Quality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류에 부착되는 후크를 자동으로 공급하여 재봉할 수 있는 후크 자동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받침대에 형성된 삽입핀으로 작업자가 후크를 삽입만 해주면 공급용실린더의 작동에 의한 받침대의 이동수단에 의해 후크를 베이스의 중앙공간부 및 전,후방공간부의 하측부에 위치시키게 되고 곧이어서 회전용실린더의 작동에 의한 받침대의 회전수단에 의해 받침대에 안착되어 있는 후크를 베이스의 중앙공간부 및 전,후방공간부로 회전 공급하면 협지용실린더의 작동에 의한 협지편의 이동수단에 의해 후크를 협지할 수 있도록 하여 베이스 하측부로 위치되는 의류에 후크를 재봉할 수 있도록 된 의류용 후크의 자동공급장치를 제공한다.
협지용실린더,지렛대,협지편,베이스,밀착면,받침대,이송대,안내레일,공급용실린더,회전체,연결대,회전용실린더

Description

의류용 후크의 자동공급장치{HOOK SUPPLY FEEDER}
본 발명은 의류에 부착되는 후크를 자동으로 공급하여 재봉할 수 있는 후크 자동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받침대에 형성된 삽입핀으로 작업자가 후크를 삽입만 해주면 공급용실린더의 작동에 의한 받침대의 이동수단에 의해 후크를 베이스의 중앙공간부 및 전,후방공간부의 하측부에 위치시키게 되고 곧이어서 회전용실린더의 작동에 의한 받침대의 회전수단에 의해 받침대에 안착되어 있는 후크를 베이스의 중앙공간부 및 전,후방공간부로 회전 공급하면 협지용실린더의 작동에 의한 협지편의 이동수단에 의해 후크를 협지할 수 있도록 하여 베이스 하측부로 위치되는 의류에 후크를 재봉할 수 있도록 된 의류용 후크의 자동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의 개방된 부위 즉, 바지나 치마등의 절개된 부위에는 지퍼가 재봉되어지고 상기 지퍼의 상측부에는 후크(결합용 후크 포함)가 도 10에 나타낸 바와같이 재봉되어진다.
상기 후크는 의류의 절개된 부위를 개방하거나 봉쇄하기 위해 재봉되는 부속물인 것이다.
종래에는 상기 후크를 의류에 재봉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수작업에 의존하여 재봉작업을 하였었다.
즉, 작업자가 한개의 후크를 손으로 잡고 의류의 재봉 위치에 놓은 뒤 재봉기을 가동시켜 재봉을 함으로서 완성을 시켰었다.
상기와 같이 작업자가 일일히 수작업에 의존하여 후크를 재봉하였기 때문에 정확한 작업이 이루어질 수 없어 수 많은 불량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었다.
상기와 같이 많은 불량에 의해 생산량이 저하되고 나아가서 의류의 가격도 상승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특히, 상기의 재봉 작업은 숙련자가 아닌 초보자는 엄두를 내지 못하는 작업이었기 때문에 숙련자들을 찾기 위한 노력도 심화되고 있는 실정이었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등을 해결 보완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의류에 부착되는 후크들을 자동화 과정에 의해 자동 공급하여 정확한 위치에 재봉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정확한 작업에 의해 제품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고 숙련자나 초보자를 불문하고 손쉽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되므로 불량률을 최소화 시킬 수 있으며 신속한 작업에 의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목적을 제공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받침대에 형성된 삽입핀으로 작업자가 후크를 삽입만 해주면 공급용실린더의 작동에 의한 받침대의 이동수단에 의해 후크를 베이스의 중앙공간부 및 전,후방공간부의 하측부에 위치시키게 되고 곧이어서 회전용실린더의 작동에 의한 받침대의 회전수단에 의해 받침대에 안착되어 있는 후크를 베이스의 중앙공간부 및 전,후방공간부로 회전 공급하면 협지용실린더의 작동에 의한 협지편의 이동수단에 의해 후크를 협지할 수 있도록 하여 베이스 하측부로 위치되는 의류에 후크를 재봉할 수 있도록 하면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이와같이된 본 발명은, 의류에 부착되는 후크들을 자동화 과정에 의해 자동 공급하여 정확한 위치에 재봉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정확한 작업에 의해 제품의 신 뢰도를 높일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숙련자나 초보자를 불문하고 손쉽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되므로 불량률을 최소화 시킬 수 있으며 신속한 작업에 의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의류의 개방 부위를 열고 닫기 위해 의류에 부착되는 후크(161)가 삽입될 수 있도록 전방부에 중앙공간부(122)가 형성되고 중앙공간부(122) 내측면에는 후크 (161)의 상측부(163)를 밀착시키기 위한 밀착면(124)이 형성되며 중앙공간부(122) 전,후방으로는 후크(161)의 재봉공(162)이 위치되도록 전,후방공간부(123)를 형성하고 있고 후방부를 재봉기에 결합하고 있는 베이스(121)와,
상기 베이스(121)의 중앙공간부(122)에 형성된 밀착면(124)으로 후크(161)를 밀착시켜 협지하도록 베이스(121)의 중앙공간부(122)로 위치되어 협지면(114)에 의해 후크(161)의 상측부(163)를 협지하는 협지편(113)과,
상기 협지편(113)이 후크(161)를 협지 및 탈협지하도록 협지편(113)을 이동시키기 위한 협지편의 이동수단과,
상기 베이스(121)의 중앙공간부(122) 및 전,후방공간부(123)로 후크(161)를 공급하기 위해 후크(161)의 재봉공(162)이 삽입될 수 있는 다수개의 삽입핀(133)을 형성하고 있고 있는 받침대(132)와,
상기 받침대(132)에 결합된 후크(161)를 베이스(121)의 중앙공간부(122) 및 전,후방공간부(123) 하측부로 이동시키기 위한 받침대의 이동수단과,
상기 받침대의 이동수단에 의해 베이스(121)의 중앙공간부(122) 하측부 및 전,후방공간부(123)로 이동된 받침대(132)를 회전시켜 받침대(132)의 후크(161)를 베이스(121)의 중앙공간부(122) 및 전,후방공간부(123)로 이동시켜 공급하기 위한 받침대의 회전수단을 구비한 구성이다.
그리고, 상기 협지편의 이동수단은 협지편(113)의 일측부로 부착되어 고정대(111)의 안내홈(112)내에서 이동이 용이토록 결합되고 상측면으로 부착된 이동핀(117)을 고정대(111)의 안내장공(116)을 관통하여 고정대(111) 상측부로 노출시키고 있는 이동편(115)과,
상기 이동편(115)의 이동핀(117)에 전방장공(107)을 결합하고 있고 중앙부를 중심핀(106)에 의해 회전용이토록 베이스(121)에 결합하고 있는 지렛대(104)와,
상기 지렛대(104)의 후방장공(105)으로 고정핀(103)을 결합시키고 있는 밀편 (102)과,
상기 밀편(102)을 전,후진시키기 위해 밀편(102)에 피스톤을 결합하고 있고 하측부를 베이스(121)에 고정하고 있는 협지용실린더(101)로 구비하였다.
또한, 상기 받침대의 이동수단은 받침대(132)와 연결된 공급편(131)을 상측부에 연결하고 있고 후방부에는 직선운동기구(135)를 결합하고 있는 이송대(134)와,
상기 이송대(134)에 결합된 직선운동기구(135)의 직선이동이 용이토록 직선운동기구(135)에 결합되고 타측부에는 브라켓(144)을 고정시키고 있는 안내레일 (145)과,
상기 안내레일(145)을 지지하기 위해 안내레일(145)의 중간부로 관통 결합되는 고정볼트(150)들에 의해 고정되고 중앙지지판(149)으로 베어링과 함께 회전용이토록 결합되는 회전체(146)와,
상기 이송대(134)를 전,후진시키기 위해 이송대(134) 하측의 연장편(136)으로 중심축(137)에 의해 결합된 제1연결편(143)에는 피스톤(142)을 결합하고 있고 안내레일(145) 후측의 브라켓(144)에는 몸체를 고정하고 있는 공급용실린더(141)로 구비하였다.
그리고, 상기 받침대의 회전수단은 회전체(146)의 후측부에 체결볼트(152)에 의해 상측부를 고정하고 있는 연결대(151)와,
상기 연결대(151)의 하측부에 회전용이토록 결합된 제2연결편(153)에는 피스톤(154)을 결합하고 있고 후측부에는 힌지축(156)에 의해 중앙지지판(149)에 회전용이토록 결합된 회전용실린더(155)로 구비하였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초기 상태는 도 2에 나타낸 바와같이 베이스(121)가 들려 있는 상태로 하측의 재봉기 바닥면과 소정의 간격을 띄우고 있다.
상기 베이스(121)와 재봉기 바닥면 사이에는 나중에 후크(161)를 재봉하기 위한 의류가 위치 되어지는 공간이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121)에 고정된 협지용실린더(101)는 전진 상태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협지편(113)의 협지면(114)과 베이스(121)의 밀착면(124)은 서로 벌어진 상태를 유지하고 있게 된다.
또한, 공급용실린더(141)가 후진 상태로 있으므로 받침대(132)는 베이스 (121)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정지되어 있다.
그리고, 중앙지지판(149) 후측부에 힌지축(156)으로 회전용이토록 결합되어 있는 회전용실린더(155) 역시 후진 상태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안내레일(145)은 비스듬하게 경사진 상태를 유지하면서 일단부가 측벽(147)에 형성된 통공(148)내의 하측부에 위치해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초기 상태에서 작업자가 받침대(132)의 삽입핀(133)으로 후크 (161)의 재봉공(162)을 끼워 안착시킨 다음 시작 보턴을 누르면 콘트롤박스(도시안됨)의 지시에 의해 받침대 이동수단의 공급용실린더(141)가 작동되면서 피스톤 (142)을 전진시킨다.
상기 피스톤(142)의 전진에 의해 피스톤(142)과 연결되어 있고 연장편(136)에 중심축(137)으로 회전용이토록 결합된 제1연결편(143)의 전진이 이루어지면서 이송대(134)가 전진하게 되고 이송대(134)에 결합된 직선운동기구(135)가 비스듬하게 경사진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안내레일(145)의 안내를 받아 이동을 하게 되므로 도 3과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받침대(132) 및 이에 결합된 후크(161)를 베이스 (121)의 중앙공간부(122) 및 전,후방공간부(123)의 하측부에 경사진 상태로 위치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받침대(132)와 후크(161)가 베이스(121)의 중앙공간부(122) 및 전,후방공간부(123)의 하측부에 경사진 상태로 위치되면 콘트롤박스의 지시에 의해 공급용실린더(141)는 작동을 중지하면서 정지하는 동시에 받침대 회전수단의 회전용실린더(155)가 작동되면서 피스톤(154)을 전진시킨다.
상기 피스톤(154)의 전진에 의해 피스톤(154)과 연결되어 있는 제2연결편 (153)이 연결대(151)를 전진시킴으로서 상기의 연결대(151)상측부는 체결볼트(152)에 의해 도 9에 나타낸 바와같이 회전체(146)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결국, 중앙지지판(149)에 베어링과 함께 결합되어 있는 회전체(146)를 회전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체(146)의 회전에 의해 회전체(146)에 고정볼트(150)로 고정되어 있는 안내레일(145)이 도 3에서 도 4에 나타낸 바와같이 회전체(146)를 중심으로 회전을 하게 되므로 받침대(132)에 안착되어 있는 후크(161)를 베이스(121)의 중앙공간부(122)와 전,후방공간부(123)내에 위치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받침대(132)의 후크(161)가 베이스(121)의 중앙공간부(122)와 전,후방공간부(123)내에 위치되면 콘트롤박스의 지시에 의해 회전용실린더(155)는 작동을 중지하면서 정지하는 동시에 협지편의 이동수단의 협지용실린더(101)가 작동되면서 피스톤과 연결된 밀편(102)을 당겨 후진시킨다.
상기 밀편(102)의 당김력에 의해 고정핀(103)이 후진하면서 고정핀(103)이 결합된 후방장공(105)을 당김에 따라 지렛대(104)가 중심핀(106)을 중심으로 회전을 하게 되고 아울러 지렛대(104) 전방의 전방장공(107)이 후방장공(105)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이동핀(177)을 고정대(111)의 안내장공(116)내에서 이동시킨다.
또한, 상기 이동핀(117)이 부착된 이동편(115)을 고정대(111)의 안내홈 (112)내에서 이동시키게 되므로 도 5와 도 7에 나타낸 바와같이 이동편(115)에 부 착된 협지편(113)이 이동하면서 후크(161)의 상측부(163) 양측을 베이스(121)의 밀착면(124)과 협지편(113)의 협지면(114)사이로 도 8에 나타낸 바와같이 협지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베이스(121)의 밀착면(124)과 협지편(113)의 협지면(114)사이에 후크((161)가 협지 완료되면 콘트롤박스의 지시에 의해 회전용실린더(155)가 후진작동을 하면서 원위치로 복귀하게 되므로 안내레일(145),이송대(134),받침대(132)들이 회전체(146)를 중심으로 역회전되면서 경사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용실린더(155)의 자동이 완료되면 공급용실린더(141)가 후진 작동을 하면서 원위치로 복귀하게 되므로 받침대(132),이송대(134),직선운동기구(135)들을 초기의 상태로 원위치 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회전용실린더(155)와 공급용실린더(141)들의 원위치 작용에 의해 받침대(132)가 베이스(121)의 중앙공간부(122) 및 전,후방공간부(123)를 빠져 나가면 이미 재봉기 바닥면에 대기하고 있는 의류 방향으로 베이스(121)가 하강하면서 후크(161)를 의류와 접촉시키면 재봉바늘(166)이 후크(161)의 재봉공(162)을 재봉을 하여 도 10에 나타낸 바와같이 후크(161)를 의류에 부착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재봉바늘(166)에 의한 재봉이 완료되면 협지용실린더(101)가 전진을 하면서 협지편(113)의 협지면(114)과 베이스(121)의 밀착면(124)사이의 후크 (161)를 탈협지하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베이스(121)는 원위치로 상승할 수 있게 되고 후크(161)는 의류에 부착된 상태로 취출되어진다.
도 1은 본 발명 후크 자동공급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후크 자동공급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 후크 자동공급장치의 후크의 공급 작용을 나타낸 작용도면
도 4는 본 발명 후크 자동공급장치중 공급편의 회전 작용을 나타낸 작용도면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 후크 자동공급장치중 후크를 협지하기 전 상태의 작용을 나타낸 도면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 후크 자동공급장치중 후크를 협지하는 작용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 후크 자동공급장치중 안내레일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체의 결합 구성을 나타낸 요부 평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 후크 자동공급장치에 의해 의류에 재봉된 후크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 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1-협지용 실린더 102-밀편
103-고정핀 104-지렛대
105-후방장공 106-중심핀
107-전방장공 111-고정대
112-안내홈 113-협지편
114-협지면 115-이동편
116-안내장공 117-이동핀
121-베이스 122-중앙공간부
123-전,후방공간부 124-밀착면
131-공급편 132-받침대
133-삽입핀 134-이송대
135-직선운동기구 136-연장편
137-중심축 141-공급용실린더
142-피스톤 143-제1연결편
144-브라켓 145-안내레일
146-회전체 147-측벽
148-통공 149-중앙지지판
150-고정볼트 151-연결대
152-체결볼트 153-제2연결편
154-피스톤 155-회전용실린더
156-힌지축 161-후크
162-재봉공 163-상측부
164-의류 165-결합용후크

Claims (4)

  1. 의류의 개방 부위를 열고 닫기 위해 의류에 부착되는 후크가 삽입될 수 있도록 전방부에 중앙공간부가 형성되고 중앙공간부 내측면에는 후크의 상측부를 밀착시키기 위한 밀착면이 형성되며 중앙공간부 전,후방으로는 후크의 재봉공이 위치되도록 전,후방공간부를 형성하고 있고 후방부를 재봉기에 결합하고 있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중앙공간부에 형성된 밀착면으로 후크를 밀착시켜 협지하도록 베이스의 중앙공간부로 위치되어 협지면에 의해 후크의 상측부를 협지하는 협지편과,
    상기 협지편이 후크를 협지 및 탈협지하도록 협지편을 이동시키기 위한 협지편의 이동수단과,
    상기 베이스의 중앙공간부 및 전,후방공간부로 후크를 공급하기 위해 후크의 재봉공이 삽입될 수 있는 다수개의 삽입핀을 형성하고 있고 있는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에 결합된 후크를 베이스의 중앙공간부 및 전,후방공간부 하측부로 이동시키기 위한 받침대의 이동수단과,
    상기 받침대의 이동수단에 의해 베이스의 중앙공간부 하측부 및 전,후방공간부로 이동된 받침대를 회전시켜 받침대의 후크를 베이스의 중앙공간부 및 전,후방공간부로 이동시켜 공급하기 위한 받침대의 회전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용 후크의 자동공급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협지편의 이동수단은 협지편의 일측부로 부착되어 고정대의 안내홈내에서 이동이 용이토록 결합되고 상측면으로 부착된 이동핀을 고정대의 안내장공을 관통하여 고정대 상측부로 노출시키고 있는 이동편과,
    상기 이동편의 이동핀에 전방장공을 결합하고 있고 중앙부를 중심핀에 의해 회전용이토록 베이스에 결합하고 있는 지렛대와,
    상기 지렛대의 후방장공으로 고정핀을 결합시키고 있는 밀편과,
    상기 밀편을 전,후진시키기 위해 밀편에 피스톤을 결합하고 있고 하측부를 베이스에 고정하고 있는 협지용실린더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용 후크의 자동공급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의 이동수단은 받침대와 연결된 공급편을 상측부에 연결하고 있고 후방부에는 직선운동기구를 결합하고 있는 이송대와,
    상기 이송대에 결합된 직선운동기구의 직선이동이 용이토록 직선운동기구에 결합되고 타측부에는 브라켓을 고정시키고 있는 안내레일과,
    상기 안내레일을 지지하기 위해 안내레일의 중간부로 관통 결합되는 고정볼트들에 의해 고정되고 중앙지지판으로 베어링과 함께 회전용이토록 결합되는 회전체와,
    상기 이송대를 전,후진시키기 위해 이송대 하측의 연장편으로 중심축에 의해 결합된 제1연결편에는 피스톤을 결합하고 있고 안내레일 후측의 브라켓에는 몸체를 고정하고 있는 공급용실린더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용 후크의 자동공급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의 회전수단은 회전체의 후측부에 체결볼트에 의해 상측부를 고정하고 있는 연결대와,
    상기 연결대의 하측부에 회전용이토록 결합된 제2연결편에는 피스톤을 결합하고 있고 후측부에는 힌지축에 의해 중앙지지판에 회전용이토록 결합된 회전용실린더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용 후크의 자동공급장치.
KR1020070122008A 2007-11-28 2007-11-28 의류용 후크의 자동공급장치 KR1008019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2008A KR100801987B1 (ko) 2007-11-28 2007-11-28 의류용 후크의 자동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2008A KR100801987B1 (ko) 2007-11-28 2007-11-28 의류용 후크의 자동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1987B1 true KR100801987B1 (ko) 2008-02-12

Family

ID=393427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2008A KR100801987B1 (ko) 2007-11-28 2007-11-28 의류용 후크의 자동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198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52863A (zh) * 2014-04-30 2014-07-30 宁波舒普机电科技有限公司 一种双针钉襻机的送料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34849A (en) 1975-09-10 1977-03-17 Mizunuma Kinzoku Kk Device for supplying back washer to gullet hook attaching machine with tiltable pawl
JPS5240264A (en) 1975-09-26 1977-03-29 Nissan Motor Co Ltd Oil pressure controller of a transmission for industrial cars
US4524704A (en) 1983-04-20 1985-06-25 G & G Sewing Machine Co., Inc. Accessory-holding jig providing multiple sewing positions
US4554877A (en) 1983-04-20 1985-11-26 P.S.R., Incorporated Alignment system for a garment accessory-holding jig
JPH01160973U (ko) * 1988-04-30 1989-11-08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34849A (en) 1975-09-10 1977-03-17 Mizunuma Kinzoku Kk Device for supplying back washer to gullet hook attaching machine with tiltable pawl
JPS5240264A (en) 1975-09-26 1977-03-29 Nissan Motor Co Ltd Oil pressure controller of a transmission for industrial cars
US4524704A (en) 1983-04-20 1985-06-25 G & G Sewing Machine Co., Inc. Accessory-holding jig providing multiple sewing positions
US4554877A (en) 1983-04-20 1985-11-26 P.S.R., Incorporated Alignment system for a garment accessory-holding jig
JPH01160973U (ko) * 1988-04-30 1989-11-08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52863A (zh) * 2014-04-30 2014-07-30 宁波舒普机电科技有限公司 一种双针钉襻机的送料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70001272B1 (ko) 직물 소재의 재봉을 위한 방법 및 장치
JP3265505B2 (ja) 幅調節及びセンタリング機能を有する衣服用ボタンの供給装置
JP2684521B2 (ja) ベルトループ縫付けミシンにおけるテープ折り曲げ端の形成維持方法及びその装置
US1243679A (en) Sewing-machine.
KR100801987B1 (ko) 의류용 후크의 자동공급장치
CN105986369B (zh) 带环材料的缝合方法以及带环缝制缝纫机
CN109137278B (zh) 一种具有自动裁剪缝合功能的皮带圈制作装置
TWI703250B (zh) 縫紉機及縫製裝置、以及縫製方法
JPH0311797B2 (ko)
US3762348A (en) Device for top stitching cuffs or the like workpiece parts
US4911091A (en) Sewing apparatus for attaching a strip of cloth with a zip-fastener component to a trouser forepart
CN107663718A (zh) 缝纫机及缝纫机的控制方法
JPH0642621Y2 (ja) ミシンのバンドル−プ弛め装置
US2341441A (en) Work holder for article-attaching machines
US360850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ffixing a zip fastener to a supporting article
EP0353208A1 (en) Industrial sewing machine for simultaneously performing a plurality of improved seaming lines
CN216585506U (zh) 一种自动门襟衫钉扣装置
CN108914397B (zh) 一种全自动皮带圈裁剪缝合机
JP3503672B2 (ja) 鳩目穴かがりミシン
JPS61284288A (ja) 縫着方法及び縫着装置
CN210945984U (zh) 一种锁扣眼缝纫机的辅助装置
JPH05184755A (ja) 自動ミシン用ファスナー供給装置およびこのファスナー供給装置を備えた自動ミシン
JPH08103583A (ja) ニット製品縫製用ミシン装置
US3004504A (en) Machine for turning and spreading over-lock stitched garments
JPS62161394A (ja) ミシ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